KR20020015643A -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15643A KR20020015643A KR1020010041913A KR20010041913A KR20020015643A KR 20020015643 A KR20020015643 A KR 20020015643A KR 1020010041913 A KR1020010041913 A KR 1020010041913A KR 20010041913 A KR20010041913 A KR 20010041913A KR 20020015643 A KR20020015643 A KR 200200156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ool
- locking
- moving
- locking mechanism
- fishing lin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31 antifri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56 stainless stee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2—Positiv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8—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with unwinding indicators, e.g. a bell or a flashing light
- A01K89/0179—Clicking indicators, e.g. flexible pawl and toothed membe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 베어링릴의 스풀록킹기구에 있어서, 무리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좀처럼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 베어링릴의 스풀록킹기구(8)는 양 베어링릴의 릴 본체(1)에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양단에 한쌍의 플랜지부를 구비한 스풀을 낚싯줄 방출방향에서 회전 불가능하게 록킹하는 기구로서, 록킹부(21)와, 록킹이동기구(22)와, 록킹홈부(23)를 구비하고 있다. 록킹부(21)는 릴 본체(1)에 진출위치와 후퇴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이다. 록킹이동기구(22)는 록킹부(21)를 진출위치와 후퇴위치로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록킹홈부(23)는 핸들장착측의 플랜지부(3b)의 외측면에 마련되며 진출위치로 진출한 록킹부(21)의 선단이 결합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풀록킹기구, 특히 양 베어링릴의 릴 본체에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양단에 한쌍의 플랜지부를 구비한 스풀의 적어도 낚싯줄 방출방향으로의 회전을 록킹하는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릴은 일반적으로 낚시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감기용 스풀을 구비하고 있다. 스풀은 낚싯줄을 권취하기 위한 줄감기몸체부와 줄감기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양 베어링릴에 있어서, 낚시바늘뭉치가 수초 등에 걸렸을 때 낚시바늘뭉치를 회수하기 위해 스풀 록킹기구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는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부재를 록킹하는 록킹부재와, 록킹부재를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부재는 통상적으로 외주부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톱니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스풀축에 세레이션결합 등의 적당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재의 외경은 릴 내의 공간을 고려하면 너무 크게 할 수 없고 통상은 줄감기몸체부의 외경보다 작다. 록킹부재는 톱니부에 접촉하는 접촉위치와 이반하는 이반위치로 회전부재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릴 본체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양 베어링릴에서는 낚시바늘뭉치가 수초 등에 걸리면 이동기구에 의해 록킹부재를 접촉위치로 이동시켜서 회전부재를 록킹한다. 이로써 스풀축의 회전이 불가능해지고 나아가 스풀이 회전 불가능해진다. 그리고 낚시줄을 권취하여 팽팽하게 한 후 낚싯대를 낚시바늘뭉치를 향해 똑바로 끌어당긴다. 이렇게 함으로써 걸린 상대물, 낚싯바늘, 낚싯줄 또는 그 결속부가 파손되어 낚시바늘뭉치 또는 낚시바늘뭉치의 일부를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종래의 스풀 록킹기구에서는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부재를 통해 스풀을 록킹하고 있다. 이 때문에 낚싯줄의 비강도(比强度)가 높은 경우에는 회전부재나 록킹부재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여, 예컨대 스풀축과 회전부재의 고정부분이 파괴될 우려가 있다. 이 회전부재의 고정부분이 파괴되면 스풀 록킹기구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스풀을 교환할 필요가 생긴다.
또한 회전부재의 외경이 줄감기몸체부의 외경보다 작으면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보다 록킹부재에 작용하는 힘이 커져 록킹부재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에 있어서 무리한 힘이 작용해도 좀처럼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게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레버 드래그릴의 단면도이고,
도 2는 그 측면도이고,
도 3은 스풀 록킹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스풀 록킹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역회전방지기구의 정면도이고,
도 6은 역회전방지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릴 본체
3 스풀
3b 플랜지부
8 스풀 록킹기구
21 록킹부
22 록킹이동기구
23 록킹홈부
25 이동부재
26 코일스프링
27 록킹레버
27a 경사캠면
28 록킹플레이트
29 록킹캠기구
30 캠핀
청구항 1에 따른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는, 양 베어링릴의 릴 본체에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양단에 한쌍의 플랜지부를 갖는 스풀의 적어도 낚싯줄 방출방향으로의 회전을 록킹하는 기구로서, 록킹부와 이동기구와 록킹홈부를 구비하고 있다. 록킹부는 릴 본체에 진출위치와 후퇴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이다. 이동기구는 록킹부를 진출위치와 후퇴위치로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록킹홈부는 한쌍의 플랜지부의 한쪽 외측면에 마련되어 진출위치로 진출한 록킹부의 선단이 결합 가능한 것이다.
이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에서는 수초 등에 걸릴 때에는 이동기구에 의해 록킹부를 후퇴위치로부터 진출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록킹부가 스풀의 외측면에 마련된 록킹홈부에 결합되어 스풀이 록킹된다. 이 상태에서 낚싯대를 똑바로 끌어당겨 낚싯바늘 등을 파손시킨다. 그리고 록킹부를 진출위치로부터 후퇴위치로 이동시키면 록킹홈부에서 분리되어 스풀이 회전 가능하게 되어 낚시바늘뭉치를 회수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스풀에 설치된 록킹홈부에 록킹부가 결합됨으로써 스풀을 록킹하고 있으므로 스풀을 직접 록킹할 수 있으며 무리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스풀 록킹기구가 좀처럼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한 록킹홈부가 플랜지부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줄을 방출한 상태에서는 통상은 낚싯줄의 권취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큰 직경부분에 록킹홈부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록킹부에 작용하는 힘이 낚싯줄의 장력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스풀 록킹기구가 더욱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게 된다.
청구항 2에 따른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록킹홈부는 스풀의 회전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록킹홈부가 복수개 마련되므로 회전방향의 록킹위치가 많아진다.
청구항 3에 따른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록킹홈부는 플랜지부의 외측면에 장착된 링형상의 록킹 플레이트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멍이다. 이 경우에는 록킹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에 의해 록킹홈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스풀에 직접 록킹홈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가공이 용이하다.
청구항 4에 따른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는 청구항 3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형성부분에 대향하는 플랜지부의 외측면은 다른 부분보다 오목하다. 이 경우에는 스풀의 외측면에 오목한 부분을 형성했기 때문에 록킹부가 록킹홈부를 관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록킹시의 내력이 커진다.
청구항 5에 따른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록킹부는 릴 본체의 핸들 장착측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조작부분이 집중되는 핸들 장착측에 록킹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핸들을 조작하는 손으로 간단히 록킹조작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따른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록킹부는 진출위치와 후퇴위치로 스풀의 회전축심과 평행한 이동축을 따라 릴 본체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이 록킹홈부에 결합되는 이동부재를 구비하며, 이동기구는 이동축 주위에 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요동부재와, 이동부재를 진출위치측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부재와, 요동부재의 요동에 따라 이동부재를 바이어스부재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진출위치로부터 후퇴위치로 이동시키는 캠기구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요동부재를 한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캠기구에 의해 이동부재가 바이어스부재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진출위치로부터 후퇴위치로 이동축을 따라 이동한다. 역방향으로 요동시키면 바이어스부재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이동부재가 후퇴위치로부터 진출위치로 이동한다. 여기에서는 캠기구와 바이어스부재에 의해 요동부재의 이동축 둘레의 요동을 이동부재의 이동축을 따른 이동으로 간단한 구조로 변환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따른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는 청구항 6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캠기구는 요동부재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경사캠면과, 이동부재의 후단부에 경사캠면에 결합되도록 장착된 캠핀을 구비한다.
청구항 8에 따른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록킹부는 진출위치에서 스풀의 낚싯줄 권취방향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 경우에는 록킹부를 진출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도 스풀의 낚싯줄 권취방향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후퇴위치로 이동하지 않아도 수초 등에 걸린 것을 빼낸 후에 신속하게 낚시바늘뭉치 또는 낚시바늘뭉치의 일부를 회수할 수 있다.
〔전체 구성〕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채용한 양 베어링릴은 레버 드래그릴로서, 통형상의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축(2)과, 스풀축(2)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된 스풀(3)과, 릴 본체(1)의 옆쪽에 배치된 핸들(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레버 드래그릴은 핸들(4)의 회전을 스풀(3)로 전달하는 회전 전달기구(6)와, 스풀(3)의 낚싯줄 방출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레버 드래그 기구와(7), 스풀(3)을 록킹하는 스풀 록킹기구(8)와, 레버 드래그 기구(7)의 낚싯줄 방출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역회전방지기구(9)를 릴 본체(1)의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1)는 금속제의 좌우 한쌍의 접시형 측판(10),(11)과, 측판(10),(11)이 양단에 스피것(spigot)결합에 의해 동축으로 결합되고 복수개의 고정볼트(13)에 의해 고정된 금속제의 구멍 뚫린 통형상의 릴몸체(12)를 구비하고 있다. 측판(10),(11)과 릴몸체(12) 사이에는 릴을 몸으로 지탱하기 위해 사용하는 한쌍의 하니스러그(14)가 장착되어 있다. 측판(10),(11)은 거의 중심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스풀축(2)의 양단을 지지한다. 왼쪽 측판(10)의 중심부 내측면에는 안쪽으로 돌출된 통형의 베어링 수납부(1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왼쪽 측판(10)의 스피것 결합부분의 내주부(10d)는 고정 볼트(13)를 피하는 상태로 내주부를 언더컷 가공하여 살빼기처리를 하고 있다. 이로써 릴 본체(1)의 경량화를 꾀하고 있다. 오른쪽(핸들(4)쪽) 측판(11)의 중심부에는 스풀축(2)을 지지하기 위해 축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보스부(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스부(11)a)의 주위에는 핸들(4)의 핸들축(5)을 장착하기 위한 두꺼운 원판형 베어링블럭(15)이 나사고정되어 있다. 릴몸체(12)의 하부에는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낚싯대 장착부(19)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축(2)은 양단에 배치된 좌우 한쌍의 베어링(31a),(31b)에 의해 릴 본체(1)의 측판(10),(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그 안쪽에서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스풀(3)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베어링(32a),(32b)에 의해 스풀(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왼쪽 베어링(31a)은 왼쪽 측판(10)에 형성된 베어링 수납부(10a)에 수납되어 있다. 오른쪽 베어링(31b)은 오른쪽 측판(11)에 형성된 보스부(11a)에 장착되어 있다. 스풀축(2)의 오른쪽 끝의 베어링(31b)의 외륜 우측에는 레버 드래그기구(8)의 이동기구(38)(후술)의 구성부품이 접촉되어 있다. 또한 내륜의 왼쪽에는 회전전달기구(6)의 피니언기어(17)(후술)가 접촉되어 있다. 스풀축(2)의 좌측단의 베어링(31a)의 내륜의 오른쪽에는 역회전방지기구(9)가 접촉되어 있다. 또한 외륜의 좌측단에는 측판(10)의 내측면이 접촉되어 있다. 스풀(3)을 지지하는 오른쪽 베어링(32b)의 외륜의 왼쪽에는 스풀(3)이 접촉되어 있다. 또한 내륜의 오른쪽에는 와셔(미도시)를 통해 4장의 접시스프링(34)이 접촉되어 있다. 이 접시스프링(34)은 제동조작레버(후술)의 요동에 대해 드래그력을 급격히 상승시키지 않고 광범위하게 드래그력을 조정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스풀(3)을 지지하는 왼쪽 베어링(32a)의 내륜의 왼쪽에는 레버 드래그기구(7)의 후술하는 마찰디스크(36)가 복귀스프링(47)을 통해 접촉되어 있다. 외륜의 오른쪽은 스풀(3)에 접촉되어 있다.
스풀(3)은 줄감기몸체부(3a)와 줄감기몸체부(3a)의 양단에 일체형성된 플랜지부(3b)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의 오른쪽(핸들장착쪽)의 플랜지부(3b)의 바깥쪽에는 스풀록킹기구(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왼쪽의 플랜지부(3b)의 바깥쪽에는 레버 드래그기구(7)의 제동디스크(35)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제동디스크(35)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39)를 장착하기 위해 왼쪽 플랜지부(3b)의 외주부는 스풀축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통형부(3d)가 형성되어 있다. 통형부(3d)의 내주면(3e)은 언더컷 가공하여 살빼기처리되어 있다. 이로써 스풀(3)의 경량화를 꾀하고 스풀(3)의 관성이 감소된다.
[스풀 록킹기구의 구성]
스풀 록킹기구(8)는 스풀(3)을 낚싯줄 권취방향의 회전을 혀용하고 낚싯줄 방출방향의 회전을 록킹하는 기구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뒷부분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 록킹기구(8)는 도 3 및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1)에 진출위치(도 4a)와 후퇴위치(도 4b)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록킹부(21)와, 록킹부(21)를 진출위치와 후퇴위치로 이동시키는 록킹 이동기구(22)와, 플랜지부(3b)의 외측면에 마련되고 진출위치로 진출한 록킹부(21)의 선단이 결합 가능한 록킹홈부(23)를 구비하고 있다.
록킹부(21)는 측판(11)에 고정된 수납부재(24)에 스풀축(2)과 평행한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부재(25)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부재(25)는 막대형 부재로서 선단측으로부터 록킹돌기(25a), 턱부(25b), 축부(25c) 및 컷팅부(25d)를 구비하고 있다. 록킹돌기(25a)는 록킹홈부(23)에 결합되는 돌기로서, 도 4a 및 도 4b에 화살표로 도시한 스풀(3)의 낚싯줄 방출방향의 상류측이 예각이고 하류측이 둔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록킹돌기(25a)는 록킹홈부(23)에 결합되었을 때 예각측에 록킹홈부(23)가 접촉되면, 이동부재(25)가 다소 경사지더라도 록킹홈부(23)에 확실히 결합되어 스풀(3)에 록킹되고, 둔각측에 록킹홈부(23)가 접촉되면 록킹홈부(23)의 작용에 의해 이동부재(25)가 후퇴가능하다. 턱부(25b)는 록킹 이동기구(22)를 구성하는 코일스프링(26)을 걸어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코일스프링(26)은 수납부재(24)의 내부에서 이동부재(25)의 축부(25c)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코일스프링(26)은 이동부재(25)를 록킹홈부(23)쪽으로 바이어스시킨다. 축부(25c)는 수납부재(24)에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컷팅부(25b)에 의해 수납부재(24)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수납부재(24)에는 일단에 컷팅부(25d)와 결합될 수 있는 비원형공(24a)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이동부재(25)는 릴 본체(1)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동부재(25)의 컷팅부(25d)의 후단부에는 직경방향을 따라 관통공(25e)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5e)에는 록킹 이동기구(22)를 구성하는 캠핀(30)이 장착되어 있다. 이 캠핀(30)에 의해 이동부재(25)의 진출위치측의 위치결정도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록킹돌기(25a)와 코일스프링(26)에 의한 압압에 의해, 진출위치로 이동한 이동부재(25)가 록킹홈부(23)에 결합되면 낚싯줄 권취방향의 회전이 허용되고 낚싯줄 방출방향의 회전이 록킹된다.
록킹홈부(23)는 록킹 플레이트(28)에 회전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록킹 플레이트(28)는 스풀(3)의 도 1 오른쪽의 플랜지부(3b)의 외측면에 고정된 링형상의 플레이트이다. 스풀(3)의 플랜지부(3b)의 록킹홈부(23)가 형성된 외측면에는 록킹홈부(23)에 대향한 위치에 고리형으로 오목한리세스부(3c)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리세스부(3c)를 형성함으로써 이동부재(25)의 록킹돌기(25a)가 록킹홈부(23)를 관통할 수 있다.
록킹 이동기구(22)는 측판(11)에 이동부재(25)의 축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록킹 레버(27)와, 상술한 코일스프링(26)과, 록킹레버(27)의 요동에 의해 이동부재(25)를 코일스프링(26)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해 진출위치에서 후퇴위치로 이동시키는 록킹 캠기구(29)를 구비하고 있다. 록킹 레버(2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출위치에 대응한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진출자세와 후퇴위치에 대응한 실선으로 도시한 후퇴자세로 토글스프링(37)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있다. 록킹 캠기구(29)는 록킹레버(27)의 기단부(基端部) 내측벽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경사캠면(27a)과, 이동부재(25)의 후단부에 경사캠면(27a)에 결합되도록 장착된 캠핀(30)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4)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축(2)의 아래쪽에 스풀축(2)과 평행하게 배치된 통형상의 핸들축(5)의 돌출단에 고정볼트(6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볼트(60)에는 머리부(60a)가 형성되어 있다. 머리부(60a)에는 외주면에 오목부(60b)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부(60b)에 머리부가 결합되는 나사(61)에 의해 회전방지되어 있다. 핸들축(5)은 보스부(11a)의 앞쪽 하방에서 베어링블록(15)에 끼워진 통형 부재(15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축(5)의 선단에는 메인기어(16)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회전전달기구(6)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4)의 핸들축(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메인기어(16) 및 스풀축(2)에 일체형성된 피니언기어(17)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4)의 회전은 핸들축(5), 메인기어(16), 피니언기어(17)를 통해 스풀축(2)에 전달된다.
레버 드래그기구(7)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3)의 도 1 왼쪽의 플랜지부(3b)의 외측면에 장착된 제동디스크(35)와, 제동디스크(35)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마찰디스크(36)와, 스풀(3) 및 마찰디스크(36)를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드래그 이동기구(38)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디스크(35)는 예컨대 스테인리스제 와셔형 원판부재로서, 직경방향 안쪽의 측면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장착나사(40)에 의해 스풀(3)의 왼쪽의 플랜지부(3b)의 외측면에 스풀(3)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동디스크(35)의 장착나사(40)의 장착부(35a)는 직경방향 바깥쪽 부분보다 오목하게 고리형으로 패여 있다. 이로써 드래그면적, 특히 직경방향 바깥쪽의 드래그면적이 제한되기 어려워지며 스풀(3)의 바깥직경에 대응하는 최대직경의 제동디스크(35)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마찰디스크(36)는 제동디스크(35)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마찰디스크(36)의 제동디스크(35)에 대향하는 면에는 예컨대 카본그래파이트나 섬유강화수지 등의 내마찰소재제의 링형상의 마찰판(36a)이 나사 등의 적당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마찰디스크(36)는 중심부에 축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통형 보스부(36b)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보스부(36b)에 스풀축(2)의 직경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스풀축(2)에 장착된 핀(2a)이 결합되어 있다. 이로써 마찰디스크(36)는 스풀축(2)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스풀축(2)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마찰디스크(36)의 보스부(36b)의 도 1 왼쪽면에는 역회전방지기구(9)의 래칫휠(50)이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마찰디스크(36)는 커버부재(39)에 의해 덮여있다. 마찰디스크(36)의 보스부(36b)는 커버부재(39)를 관통하여 베어링(31a)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커버부재(39)의 관통부분과 보스부(36b) 사이에는 실링부재(39a)가 설치되어 있다.
[역회전방지기구의 구성]
역회전방지기구(9)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톱니(50a)가 형성된 래칫휠(50)과, 래칫휠(50)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선단이 톱니(50a)에 걸리는 한쌍의 래칫후크(51)를 구비하는 래칫형 일방향 클러치이다.
래칫휠(50)은 마찰디스크(36)의 보스부(36b)의 외주면에 예컨대 세레이션 등의 적당한 결합수단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바깥쪽(도 1의 왼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결과 래칫휠(50)은 스풀축(2)에 마찰디스크(36)를 통해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래칫휠(50)은 도 1 좌측면에 동축으로 장착된 링형상의 접촉부재(54)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부재(54)는 베어링(31a) 내륜의 우측 단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베어링 수납부(10a)의 내주면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위치 결정부(54a)를 외주면에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접촉부재(54)를 설치하면 래칫휠(50)을 측판(10)에 대해 동축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래칫휠(50)의 조립이 용이하다. 그리고, 베어링(31a)의 외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측판(10)에 접촉되어 있다.
래칫휠(50)은 한쌍의 빠짐방지부재(55)에 의해 측판(10)에 대해 빠짐방지되어 있다. 빠짐방지부재(55)는 측판(10)에 고정된, 예컨대 스테인리스 합금제 등의 금속제 판형부재로서, 일단부(55a)가 측판(10)에 고정되어 있다. 빠짐방지부재(55)에는 일단부(55a)에서 크랭크 형태로 마찰디스크(36)쪽으로 구부러져 래칫후크(51)를 건너는 중앙부(55b)가 형성되며, 다시 측판(10) 쪽으로 크랭크 형태로 구부러져 고정부(55c)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55c)에서도 측판(10)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55c)에서 다시 래칫휠(50) 쪽으로 만곡하여 크랭크 형태로 구부러져 타단부(55d)가 형성되어 있다. 타단부(55d)는 래칫휠(50)의 마찰디스크(36) 쪽의 측면에 대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타단부(55d)에 의해 래칫휠(50)이 빠짐방지되어 있다. 또한 중앙부(55b)에서 래칫후크(51)의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빠짐방지된다.
한쌍의 래칫후크(51)는 스풀축심에 대해 점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측판(10)의 내측면에 톱니(50a)에 접촉하는 접촉자세와 톱니(50a)에서 이반되는 이반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래칫후크(51)의 선단은 요동축심보다 래칫휠(50)의 낚싯줄 권취방향(R)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측판(10)에는 래칫후크(51)를 요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한쌍의 후크보스(10b)가 베어링 수납부(10a)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후크보스(10b)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장착보스(10c)가 형성되어 있다. 후크보스(10b)에는 래칫후크(51)를 요동 가능하게 측판(10)에 장착하기 위한 요동핀(53)이 장착되어 있다. 요동핀(53)도 빠짐방지부재(55)에 의해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빠짐방지되어 있다. 2개의 장착보스(10c)는 빠짐방지부재(55)를일단부(55a)와 고정부(55c)에서 측판(10)에 나사고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래칫후크(51)의 중간부에는 C자형으로 구부러진 매개부재(52)가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매개부재(52)의 한쌍의 선단(52a)은 래칫휠(50)의 양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래칫휠(50)을 끼움지지하고 있다. 이 매개부재(52)는 래칫휠(50)이 낚싯줄 권취방향(R)으로 회전하면 래칫휠(50)과의 마찰에 의해 래칫후크(51)를 이반자세쪽으로 바이어스시킨다. 바이어스된 래칫후크(51)는 빠짐방지부재(55)에 접촉되어 이반자세로 유지된다. 또한 래칫휠(50)이 반대로 낚싯줄 방출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칫휠(50)과의 마찰에 의해 래칫후크(51)를 접촉자세쪽으로 바이어스시킨다. 이로써 낚싯줄 권취시에 래칫후크(51)가 래칫휠(50)의 톱니(50a)에 접촉하지 않게 되며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회전저항의 증가를 억제하며 스풀(3)의 낚싯줄 권취효율의 저하 또한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마찰디스크(36)는 스풀축방향 바깥쪽(도 1에서의 왼쪽) 즉 제동디스크(36)에서 이반되는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함과 동시에 역회전방지기구(9)에 의해 낚싯줄 권취방향의 회전이 허용되며 낚싯줄 방출방향의 회전이 금지된다.
여기에서 제동해제상태에 있을 때 도 1의 스풀축심의 아래쪽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찰디스크(36)의 마찰판(36a)과 제동디스크(35) 사이에 틈이 생기며, 제동상태에 있을 때에는 도 1의 스풀축심의 윗쪽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자가 밀착된다. 이 밀착정도를 조정함으로써 드래그력이 변화된다.
드래그이동기구(38)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1)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동조작레버(45)와, 제동조작레버(45)의 도 2의 시계방향의 요동에 따라스풀(3) 및 제동디스크(35)를 압압하여 도 1의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압압기구(46)와, 마찰디스크(36)와 스풀(3) 사이에 배치되며, 제동조작레버(45)의 도 2의 반시계방향의 이동에 따라 스풀을 도 1의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47)을 구비하고 있다.
복귀스프링(47)은 마찰디스크(36)와 베어링(32a) 사이에 있어서 스풀축(2)의 외주측에 압축상태로 장착되며 마찰디스크(36)는 제동디스크(35)(스풀(3))를 이반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고 또한 제동디스크(35)(스풀(3))를 도 1의 오른쪽으로 바이어스시킨다.
제동조작레버(45)는 도 2에 실선으로 도시한 제동해제위치와 2점쇄선으로 도시한 최대제동위치 사이에서 릴 본체(1)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동조작레버(45)는 보스부(11a)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부(45a)와, 레버부(45a)의 선단에 고정된 손잡이부(45b)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부(45a)의 기단부는 압압기구(46)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다음에 레버 드래그기구(7)의 제동조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레버 드래그기구(7)에서는 제동조작레버(45)를 도 2에 2점쇄선으로 도시한 제동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도시한 제동해제위치로 요동시키면 도 1의 스풀축심의 위쪽에 도시한 상태에서 아래쪽에 도시한 상태로 변화한다. 우선 복귀스프링(47)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스풀(3)이 압압되어 도 1의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제동디스크(35)와 마찰디스크(36) 사이에 틈이 생긴다. 그리고 베어링(32a)을 통해 스풀(3)이 압압되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스풀(3)의 제동이 해제된다. 한편,스풀(3)이 이동하면 베어링(32b), 접시스프링(34), 피니언기어(17) 및 베어링(31b)을 통해 압압기구가 압압되어 도 1의 오른쪽으로 후퇴한다. 그리고 제동조작레버(45)가 제동해제위치로 요동하면 도 1의 스풀축심의 아래쪽 상태로 이동한다.
한편, 제동조작레버(45)를 도 2에 실선으로 도시한 제동해제위치로부터 2점쇄선으로 도시한 제동위치로 요동시키면 도 1의 스풀축심의 아래쪽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위쪽에 도시한 상태로 변화한다. 우선 제동조작레버(45)의 요동에 의해 압압기구(46)가 스풀축방향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베어링(31b)의 외륜이 압압되어 이동하고 피니언기어(17), 접시스프링(34) 및 베어링(32b)을 통해 스풀(3)이 압압되어 스풀축방향 왼쪽(도 1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제동디스크(35)도 축방향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제동디스크(35)가 마찰디스크(36)에 근접한다. 그리고 제동디스크(35)가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고 또한 낚싯줄 방출방향으로 회전 불가능한 마찰 디스크(36)에 접촉하면 드래그력이 스풀(3)에 작용한다. 그래서 제동조작레버(45)를 최대 요동위치까지 요동시키면 압압력이 최대가 되고 제동디스크(35)가 마찰디스크(36)에 의해 압압되어 큰 드래그력을 얻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핸들(4)의 회전에 의해 스풀(3)이 낚싯줄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마찰디스크(36)를 통해 래칫휠(50)도 낚싯줄 권취방향(R)(도 5)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매개부재(52)는 래칫휠(50)과의 마찰에 의해 낚싯줄 권취방향(R)으로 끌어당겨진다. 이 결과 래칫후크(51)는 매개부재(52)에 의해 이반자세쪽으로 바이어스되고 이반자세로 요동하여 빠짐방지부재(55)에 접촉된다. 이 때문에 스풀(3)이 낚싯줄 권취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래칫휠(50)과 래칫후크(51)의 충돌에 의한 클릭음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낚시바늘뭉치에 물고기가 걸려 스풀(3)이 낚싯줄 방출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칫휠(50)도 낚싯줄 방출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매개부재(52)는 래칫휠(50)과의 마찰에 의해 낚싯줄 권취방향(R)과 반대인 낚싯줄 방출방향으로 끌어당겨진다. 이 결과 래칫후크(51)는 매개부재(52)에 의해 접촉자세측으로 바이어스되고 접촉자세로 요동한다. 이 때문에 스풀(3)이 낚시줄 방출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래칫휠(50)의 낚싯줄 방출방향의 회전이 금지된다. 이 결과 마찰디스크(36)의 낚싯줄 방출방향의 회전이 저지되어 스풀(3)에 설정된 드래그력이 작용한다.
다음에 레버 드래그릴의 조작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스풀에 낚시줄을 권취할 때에는 핸들(4)을 낚싯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핸들(4)의 회전이 핸들축(5), 메인기어(16), 피니언기어(17), 스풀축(2), 레버드래그기구(7)를 통해 스풀(3)로 전달되어 스풀(3)이 회전한다.
한편 낚시바늘뭉치가 수초 등에 걸렸을 때 스풀(3)을 록킹시키는 경우에는 록킹레버(27)를 도 2에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로부터 2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요동시킨다. 그러면 코일스프링(26)에 의해 바이어스된 이동부재(25)가 진출위치쪽으로 진출하고 록킹돌기(25a)가 록킹홈부(23)에 결합되어 스풀(3)의 낚싯줄 방출방향으로의 회전이 록킹된다. 이 상태에서 낚싯줄을 권취하여 팽팽하게 한 후 낚싯대를 낚시바늘뭉치를 향해 똑바로 끌어당긴다. 이렇게 함으로써 걸린 상대물, 낚싯바늘, 낚싯줄 또는 그 결속부가 파손되어 낚시바늘뭉치 또는 낚시바늘뭉치의 일부를 회수할 수 있다.
이 때 이동부재(25)는 턱부(25b)와 축부(25c)가 수납부재(24)에 접촉하여 힘을 받는다. 이 록킹시에는 스풀(3)에 설치된 록킹홈부(23)에 이동부재(25)를 결합시킴으로써 스풀(3)을 록킹하고 있으므로 스풀(3)을 직접 록킹할 수 있으며 무리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스풀록킹기구(8)가 좀처럼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한 록킹홈부(23)가 플랜지부(3b)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을 방출한 상태에서는 통상적으로는 낚싯줄의 권취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큰 직경부분에 록킹홈부(23)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이동부재(25)에 작용하는 힘이 낚싯줄의 장력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스풀록킹기구(8)가 더욱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한 록킹돌기(25a)가 상술한 바와 같이 낚싯줄 방출방향 하류측이 둔각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이동부재(25)가 코일스프링(26)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스풀(3)이 낚싯줄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부재(25)가 록킹홈부(23)에 의해 압압되어 후퇴위치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스풀록킹 중에 잘못하여 스풀(3)을 낚싯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켜도 회전전달기구(6) 등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한편, 릴의 유지보수를 위해 스풀축(2)을 빼면 래칫휠(50)이 그리스의 점성이나 마찰에 의해 스풀축(2)과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빠짐방지부재(55)에 의해 래칫휠(50)은 빠짐방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래칫휠(50)은 스풀축(2)을 빼도 측판(10)쪽에 남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스풀축(2)을 착탈할 때 래칫후크(51)에 장착된 매개부재(52)가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풀축 주위에 드래그기구가 설치된 레버드래그식 양 베어링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는데 핸들축 주위에 드래그기구가 설치된 스타드래그식의 드래그기구 등 다른 형식의 양 베어링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핸들장착측에 스풀록킹기구를 설치했는데 핸들장착측과 반대쪽에 설치해도 좋다.
(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풀록킹기구(8)에 의해 낚싯줄 권취방향의 회전을 허용했는데 양방향 모두 록킹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풀(3)의 플랜지부(3b)의 외측면에 록킹플레이트(28)를 설치하고 록킹플레이트(28)에 형성된 록킹홈부(23)를 마련했는데 스풀(3)의 플랜지부(3b)의 외측면에 록킹홈부(23)를 직접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풀에 마련된 록킹홈부에 록킹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스풀을 록킹하고 있기 때문에 스풀을 직접 록킹할 수 있으며 무리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스풀록킹기구가 좀처럼 파손되거나 손상되지 않게 된다. 또한 록킹홈부가 플랜지부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을 방출한 상태에서는 통상적으로는 낚싯줄의 권취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큰 직경부분에 록킹홈부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록킹부에 작용하는 힘이 낚싯줄의 장력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스풀록킹기구가 더욱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게 된다.
Claims (8)
- 양 베어링릴의 릴 본체에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양단에 한쌍의 플랜지부를 갖는 스풀의 적어도 낚싯줄 방출방향으로의 회전을 록킹하는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로서,상기 릴 본체에 진출위치와 후퇴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록킹부와,상기 록킹부를 상기 진출위치와 후퇴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상기 한쌍의 플랜지부의 한쪽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진출위치로 진출한 상기 록킹부의 선단이 결합 가능한 록킹홈부를 구비한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홈부는 상기 스풀의 회전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되어 있는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홈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면에 장착된 링형상의 록킹 플레이트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멍인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형성부분에 대향하는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면은 다른 부분보다 오목한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릴 본체의 핸들 장착측에 장착되어 있는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진출위치와 상기 후퇴위치로 상기 스풀의 회전축심과 평행한 이동축을 따라 상기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이 상기 록킹홈부에 결합되는 이동부재를 구비하며,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이동축 주위에 상기 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요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진출위치측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부재와, 상기 요동부재의 요동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바이어스부재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상기 진출위치로부터 상기 후퇴위치로 이동시키는 캠기구를 구비한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는 상기 요동부재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경사캠면과, 상기 이동부재의 후단부에 상기 경사캠면에 결합되도록 장착된 캠핀을 구비한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진출위치로부터 상기 스풀의 낚싯줄 권취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251324A JP2002058399A (ja) | 2000-08-22 | 2000-08-22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ロック機構 |
JPJP-P-2000-00251324 | 2000-08-2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15643A true KR20020015643A (ko) | 2002-02-28 |
Family
ID=18740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41913A KR20020015643A (ko) | 2000-08-22 | 2001-07-12 |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6431482B1 (ko) |
EP (1) | EP1181864B1 (ko) |
JP (1) | JP2002058399A (ko) |
KR (1) | KR20020015643A (ko) |
CN (1) | CN1200606C (ko) |
AT (1) | ATE268111T1 (ko) |
AU (1) | AU779445B2 (ko) |
DE (1) | DE60103593T2 (ko) |
ES (1) | ES2220676T3 (ko) |
TW (1) | TW493973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7256A (ko) * | 2014-10-22 | 2016-05-02 |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 스플 잠금용 스냅버튼을 구비한 낚시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81733B2 (ja) * | 2003-06-26 | 2009-12-09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 |
WO2006098739A2 (en) * | 2005-03-11 | 2006-09-21 | The Will-Burt Company | Heavy duty field mast |
US7226038B1 (en) * | 2005-03-25 | 2007-06-05 | Jon Wickstrom | Load arrestor, lifting system and method |
JP4921188B2 (ja) * | 2007-01-25 | 2012-04-25 | 株式会社シマノ | 片軸受リール |
JP5324819B2 (ja) * | 2008-05-12 | 2013-10-23 |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 レバードラグ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
KR101126546B1 (ko) * | 2009-06-26 | 2012-03-26 |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 낚시용 베이트 릴의 클러치 기구 |
JP5616087B2 (ja) * | 2010-03-23 | 2014-10-29 | 株式会社シマノ | 片軸受リール |
CN101926314B (zh) * | 2010-07-21 | 2011-11-02 | 李锦明 | 钓鱼单侧立式转脚绕线轮 |
JP6166558B2 (ja) * | 2013-03-13 | 2017-07-19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 |
US9210920B1 (en) * | 2013-07-03 | 2015-12-15 |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 Fishing reel with improved line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and clicker mechanism |
JP6376739B2 (ja) * | 2013-09-30 | 2018-08-22 | 株式会社シマノ | 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ユニット |
JP2015065914A (ja) * | 2013-09-30 | 2015-04-13 | 株式会社シマノ | 釣用リール |
JP6368529B2 (ja) * | 2014-04-28 | 2018-08-01 | 株式会社シマノ | 釣用リールのドラグ機構用の制動板組、及び釣用リールのドラグ機構用の制動板組を備えた釣用リール |
JP6534556B2 (ja) * | 2015-04-15 | 2019-06-26 |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
JP6684093B2 (ja) * | 2016-01-19 | 2020-04-22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
KR101994191B1 (ko) * | 2018-03-02 | 2019-06-28 |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 팜측 제1 사이드커버 개폐용 락 레버를 구비한 낚시 릴 |
US10336408B1 (en) * | 2018-07-18 | 2019-07-02 | Jacek Jankowski | Method and device for locking rope winch |
KR102280541B1 (ko) * | 2019-03-28 | 2021-07-26 |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 이동식 관성력 브레이크를 구비한 낚시 릴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44730A (en) * | 1959-12-21 | 1962-07-17 | Wright & Mcgill Co | Spin casting reel with positive and friction brake means |
US3061232A (en) * | 1960-05-17 | 1962-10-30 | Joseph C Clark | Fishing reel with combined positive and friction brake |
US4446433A (en) * | 1981-06-11 | 1984-05-01 | Shuck Lowell Z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directional characteristics of fracture systems in subterranean earth formations |
GB2206022B (en) | 1987-05-23 | 1991-04-17 | Shimano Industrial Co | Double-bearing fishing reel |
JPH0424455U (ko) | 1990-06-20 | 1992-02-27 | ||
US5407144A (en) * | 1991-09-12 | 1995-04-18 | Ryall; James J. | Fishing reel with improved spool disconnect, one-way lock and drag mechanisms |
US6123280A (en) * | 1999-06-28 | 2000-09-26 | Heligear Engineering (Hk) Co., Ltd. | Fishing reel switchable stepless anti-reverse mechanism with plunger locator |
-
2000
- 2000-08-22 JP JP2000251324A patent/JP2002058399A/ja active Pending
-
2001
- 2001-06-21 TW TW090115117A patent/TW493973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7-12 KR KR1020010041913A patent/KR2002001564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1-08-16 US US09/930,156 patent/US643148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8-17 AU AU61869/01A patent/AU779445B2/en not_active Ceased
- 2001-08-21 EP EP01307095A patent/EP118186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08-21 AT AT01307095T patent/ATE268111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8-21 DE DE60103593T patent/DE60103593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8-21 ES ES01307095T patent/ES2220676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08-22 CN CNB011257695A patent/CN1200606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7256A (ko) * | 2014-10-22 | 2016-05-02 |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 스플 잠금용 스냅버튼을 구비한 낚시릴 |
US9615557B2 (en) | 2014-10-22 | 2017-04-11 | Doyo Engineering Co., Ltd. | Fishing reel equipped with snap lock button for spoo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20027176A1 (en) | 2002-03-07 |
CN1200606C (zh) | 2005-05-11 |
AU779445B2 (en) | 2005-01-27 |
DE60103593D1 (de) | 2004-07-08 |
DE60103593T2 (de) | 2005-06-16 |
AU6186901A (en) | 2002-02-28 |
EP1181864A1 (en) | 2002-02-27 |
US6431482B1 (en) | 2002-08-13 |
ATE268111T1 (de) | 2004-06-15 |
JP2002058399A (ja) | 2002-02-26 |
TW493973B (en) | 2002-07-11 |
EP1181864B1 (en) | 2004-06-02 |
CN1339251A (zh) | 2002-03-13 |
ES2220676T3 (es) | 2004-1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20015643A (ko) |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 | |
JP5153269B2 (ja) | ローラクラッチ | |
US7374121B2 (en) | Fishing reel component | |
KR101692836B1 (ko) | 스피닝 릴의 드랙 전환 장치 | |
KR20120010564A (ko) |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사운드 발생 장치 | |
KR101942880B1 (ko) |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 |
JP2009063052A5 (ko) | ||
KR100722538B1 (ko) | 양 베어링 릴의 역회전 방지기구 | |
JP2002218870A (ja) | 釣り用リールのシール構造 | |
KR101185510B1 (ko) | 드래그 조작 부재의 장착 구조 | |
JP4451773B2 (ja) | 両軸受リール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 | |
KR20150056031A (ko) | 양 베어링 릴 | |
JP2006180777A5 (ko) | ||
KR20020081088A (ko) |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 |
JP2006025763A (ja) |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 |
JP4324268B2 (ja) |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 |
JP4834240B2 (ja) |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機構 | |
JP2005318864A (ja) |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機構 | |
JP4834786B2 (ja) |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機構 | |
JP4313891B2 (ja) |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カバー取付構造 | |
TWI858243B (zh) | 紡車式捲線器 | |
JP2000125712A (ja) |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 |
KR930002617B1 (ko) | 스피닝 릴 | |
JP2000213567A (ja) | 釣り具リ―ル用クラッチ | |
JP2004135513A (ja) | レバードラグ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