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209523Y1 - 연질의 내장 용기와 경질의 외장 용기가 장착된 토출기 - Google Patents

연질의 내장 용기와 경질의 외장 용기가 장착된 토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523Y1
KR200209523Y1 KR2020000022438U KR20000022438U KR200209523Y1 KR 200209523 Y1 KR200209523 Y1 KR 200209523Y1 KR 2020000022438 U KR2020000022438 U KR 2020000022438U KR 20000022438 U KR20000022438 U KR 20000022438U KR 200209523 Y1 KR200209523 Y1 KR 200209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jector
opening
outer container
pum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강현
Original Assignee
한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강현 filed Critical 한강현
Priority to KR2020000022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5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52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the dispensing stroke being affected by the stored energy of a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3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94Containers having an external wall formed as, or with, a diaphragm or the like which is deformed to expel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의 내용물이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는 토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토출기 용기 내의 액상의 내용물이 외장 용기 밖으로 누액되는 등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액상의 내용물이 담겨지고 연질로 구성된 내장 용기와 내장 용기를 감싸고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는 외장 용기의 이중으로 형성된 토출기의 구조를 개시하며,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통하여 액상의 내용물이 외장 용기 밖으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장 용기와 외장 용기가 별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장 용기의 형상이 자유롭게 디자인될 수 있어 심미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연질의 내장 용기와 경질의 외장 용기가 장착된 토출기{ Dispensing vessel with soft inner receptacle and hard outer receptacle }
본 고안은 액상의 내용물이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는 토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액상의 내용물이 담겨지고 연질로 구성된 내장 용기와 내장 용기를 감싸고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는 외장 용기의 이중으로 형성된 토출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업, 세제업, 및 제약업에서 사용되는 액체의 화장품, 세제, 및 약품과 같은 고기능성 액상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로 튜브 팩(Tube pack)과 같은 연질의 용기와 유리(Glass), 플라스틱(Plastic)과 같은 경질의 용기가 사용된다.
튜브 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튜브 팩을 손으로 눌러 원하는 양의 내용물을 짜서 사용하므로 내용물이 앞뒤로 몰리거나 또는 튜브 팩에 잔유물이 남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또한 유리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의 뚜껑을 열고 용기의 입구를 아랫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내용물을 흘려 사용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위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에어리스 펌프(Airless pump)를 이용한 토출기가 등장하였다. 종래의 토출기는 '내용물 토출기'라는 명칭으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공개번호 실1999-006526)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의 토출기(100)가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을 참고로 하여 종래의 토출기(1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토출기(100)는 크게 구분하여 액상의 내용물이 담겨지는 소정 형상의 내부공간(16)이 형성되고 일측에 입구(12)가 형성된 외장 용기(10)와, 입구(12)에 결합되어 외장 용기(10)의 내부공간(16)을 밀폐하는 분사 수단(30)을 포함한다.
분사 수단(30)은 외장 용기(10)의 뚜껑 역할을 하며, 입구(12)에 대응되어 내부공간의 내용물을 흡입하는 펌프(32)와 펌프에 연결되어 액상의 내용물을 외장 용기(10) 외부로 분사하는 노즐(34) 및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36)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외장 용기(10)의 입구(12)와 반대측의 하단(14)에는 외장 용기의 내측에 접하는 형태의 용기씰(20 ; Seal)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의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하단(14)에는 관통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토출기에서 액상의 내용물이 분사되는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액상의 내용물은 외장 용기의 입구를 통하여 외장 용기의 입구와 용기씰 사이의 내부공간에 담겨지며, 펌프 등이 형성된 분사 수단이 외장 용기의 입구에 결합된다.
버튼이 1회 눌려짐에 따라 펌프가 작동하여 노즐을 통하여 내부공간에 담겨진 액상의 내용물이 외장 용기 외부로 분사되며, 액상의 내용물이 분사되는 양만큼 용기씰이 위로 상승하게 된다. 용기씰은 외장 용기의 내측에 접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위로 상승하면서, 외장 용기의 내측에 내용물의 잔류량이 남지 않도록 한다. 이처럼, 버튼을 수회 반복하여 눌러 펌프를 작동시킴으로서 토출기에 담겨진 액상의 내용물이 손쉽게 외부로 분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외장 용기는 AS(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AS or SAN) 수지로, 용기씰은 PE(Polyethylene) 수지 또는 실리콘(Silicone)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토출기에서, 액상의 내용물 특성 및 외장 용기의 재질 등에 따라 액상의 내용물이 외장 용기 바깥으로 흐르는 등 누액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온도변화에 따른 재질변화 등에 따라 누액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토출기는 외장 용기의 내측에 끼워진 용기씰을 펌프의 힘에 의해 상승시켜야 하기 때문에 펌프의 흡입력이 커야 하는 제한이 있으며, 외장 용기의 내측에 용기씰이 틈새 없이 접하여야 하기 때문에 외장 용기의 형태가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을 유지해야 하는 등 디자인상의 제한을 갖는다.
본 고안은 용기 내에 담겨진 액상의 내용물이 용기 바깥으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토출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토출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변형예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 용기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210a, 210b : 외장 용기(Outer receptacle)
12, 112 : 입구 14, 114, 214b : 하단
16, 116 : 내부공간 20 : 용기씰(Seal)
30, 130 : 분사 수단 32, 132 : 펌프(Pump)
34, 134 : 노즐(Nozzle)
100, 200, 200', 200', 300a, 300b : 토출기(Dispensing vessel)
150, 250a, 250b : 내장 용기(inner receptacle)
152 : 개구 154 : 내장공간
156 : 확장부 158 : 패킹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이 개방되는 입구와, 입구를 통하여 개방되는 소정 형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경질의 외장 용기; 외장 용기의 내부공간 내에 구비되며, 입구에 대응되어 일측이 개방되는 개구와, 개구를 통하여 개방되는 내장공간이 형성되는 연질의 내장 용기; 및 입구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밀폐하고, 개구에 연결되는 펌프와 펌프에 연결된 노즐 및 펌프를 작동시키는 버튼이 형성된 분사 수단;을 포함하며, 내장공간에 액상의 내용물이 담겨진 후 분사 수단을 통하여 외장 용기 밖으로 분사됨으로써 액상의 내용물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의 내장 용기와 경질의 외장 용기가 장착된 토출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토출기에 있어서, 내장 용기는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액상의 내용물이 일부분 분사됨에 따라 내장 용기의 내장공간 용적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기(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토출기(200)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토출기(200)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기(200)는 크게 구분하여 내장 용기(150)와 외장 용기(110) 및 분사 수단(1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내장 용기(150)는 액상의 내용물이 담겨지는 내장공간(154)과 내장공간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152)를 포함하며, 합성수지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외장 용기(110)는 내장 용기(150)가 삽입되는 내부공간(116)과 개구(152)에 대응되는 입구(112)가 형성되며, AS 수지와 같은 경질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와는 달리 용기씰(도 1의 20)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외장 용기(110)의 하단이 분리될 필요가 없으며, 단지 내부공간(116)이 입구(112)로 개방된 일체형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분사 수단(130)은 외장 용기(110)의 뚜껑 역할을 하며, 입구(112)에 대응되어 결합되고, 내장 용기의 내장공간(154)에 담겨진 액상의 내용물을 흡입하는 펌프 (132)와 펌프에 연결되어 액상의 내용물을 외장 용기(110) 외부로 분사하는 노즐 (134) 및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136)을 포함한다.
내장 용기(150)는 물질은 라텍스(Latex),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등과 같이 수축성이 뛰어난 연질의 합성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장 용기(150)는 블로우 머신(Blow machine) 등에 의해 0.3∼0.5m/m 정도로 얇게 성형될 수 있으며, 외장 용기(110)의 입구(112)를 통하여 외장 용기(110)의 내부공간(116)에 삽입된다.
위와 같은 구조의 토출기에서 액상의 내용물이 분사되는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액상의 내용물은 내장 용기(150)의 개구(152)를 통하여 내장 용기의 내장공간(154)에 담겨지며, 분사 수단(130)이 외장 용기(110)의 입구(112)에 결합된다. 분사 수단(130)이 결합될 때 펌프(132)는 내장 용기의 개구(152)에 연결되고 펌프(132)와 내장 용기의 개구(152) 사이는 밀봉되어진다.
분사 수단(130)의 버튼(136)이 1회 눌려짐에 따라 펌프(132)가 작동하여 노즐(134)을 통하여 내장 용기(150)의 내장공간(154)에 담겨진 액상의 내용물이 외장 용기(110) 외부로 분사되며, 액상의 내용물이 분사되는 양만큼 내장 용기가 흡입되어 내장 용기(150)의 내장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즉, 펌프(132)의 흡입에 따라 분사되는 액상의 내용물만큼 내장 용기(150)가 수축되거나 오므라지게 되어 내장공간 (154)의 용적이 줄어들게 된다.
분사 수단(130)의 펌프(1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37)과 스프링(138)을 포함하는 구조이며, 버튼이 눌려지기 전에는 내장 용기의 개구를 밀폐하고, 버튼이 눌려짐에 의해 액상의 내용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분사한다. 본 고안에서 외장 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분사 수단의 구조는 종래와 상이한 점이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 종래의 구성과는 달리 분사 수단(130)의 펌프(132)가 내장 용기(150)의 개구(152)에 연결된 후 밀봉되어야 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종래와는 달리 분사 수단(130)과 외장 용기(110)의 입구(112)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장 용기가 수축되는 것을 돕는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3의 변형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으며, 도 4a 및 도 4b를 참고로 하여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내부 용기(150)의 개구(152)를 외부 용기(110)의 입구(112) 위로 끌어내어 확장부(156)를 형성한 후 분사 수단(130)을 결합한 것으로, 별도의 밀봉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내부 용기(150)를 밀봉시킬 수 있다. 내부 용기(150)의 재질이 연질이기 때문에 도 4a와 같이 개구(152)의 끝단을 외부 용기(110)의 입구 위로 끌어내어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밀봉된다.
도 4b는 내부 용기(150)의 개구(152) 끝단에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된 패킹 (158 ; Packing)을 부착한 후, 열전도 방법 및 초음파 융착 방법으로 개구(152)의 끝단과 패킹(158)이 접착되어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패킹(158)이 접착된 내부 용기(150)는 외부 용기(110)에 삽입된 후 패킹(158)이 외부 용기의 입구(112)에 끼워진 후 외부 용기에 분사 수단이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토출기는 연질의 내장 용기와 경질의 외장 용기의 이중 구조를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내장 용기에 담겨지는 액상의 내용물이 누액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외장 용기의 하단이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어 누액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종래에 사용되던 용기씰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분사 수단의 펌프가 커다란 흡입력을 가져야 하는 제한을 덜 수 있으며, 액상의 내용물이 단일 재질의 내장 용기에 담겨지게 되므로 온도변화 등에 누액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종래의 토출기에서는 외장 용기와 용기씰이 AS 수지와 실리콘 고무 등의 이질적인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변화에 따라 용기씰이 휘어지거나 틀어지는 등 외장 용기와의 접하는 면에서 틈새가 형성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고, 이를 통해 액상의 내용물이 누액될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고안에 따른 토출기는 일체형의 외장 용기를 이용함으로써 외장 용기 밖으로 액상의 내용물이 누액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토출기는 반드시 일체형의 몸체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단지 일체형 몸체를 형성함에 따라 액상의 내용물이 누액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토출기가 내장 용기와 외장 용기의 이중으로 형성되고, 액상의 내용물이 내장 용기의 내장공간에 담겨진다는 전제 하에서 자유롭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외장 용기처럼 외장 용기의 하단이 분리될 수 있는 형태를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용기씰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외장 용기의 형상이 수직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되던 종래의 제한이 해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심미적인 도안을 활용하여 외장 용기의 형상을 다양하게 디자인 할 수 있다.
다양한 형상의 외장 용기를 갖는 토출기의 다른 실시예들이 도 5a 및 도 5b에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외장 용기(210a)의 형상이 플라스크(Flask)와 같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기(300a)에 관한 것이며, 도 5b는 도 2의 실시예와 달리 외장 용기(210b)의 하단(214b)이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의 토출기(300b)에 관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토출기들은 외장 용기들(210a, 210b)의 내부에 각각 내장 용기(250a, 250b)가 삽입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외장 용기들(210a, 210b)의 형상이 변화된 것 이외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토출기의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질의 내장 용기와 경질의 외장 용기의 이중으로 구성된 토출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액상의 내용물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토출기는 액상의 내용물이 담겨지는 내장 용기와 내장 용기가 삽입되어 있는 외장 용기의 이중으로 구성된 토출기의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액상의 내용물이 외장 용기 밖으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장 용기와 외장 용기가 별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장 용기의 형상이 자유롭게 디자인될 수 있어 심미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Claims (2)

  1. 일측이 개방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를 통하여 개방되는 소정 형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경질의 외장 용기;
    상기 외장 용기의 내부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입구에 대응되어 일측이 개방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를 통하여 개방되는 내장공간이 형성되는 연질의 내장 용기; 및
    상기 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밀폐하고, 상기 개구에 연결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된 노즐 및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버튼이 형성된 분사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내장공간에 액상의 내용물이 담겨진 후 상기 분사 수단을 통하여 외장 용기 밖으로 분사됨으로써 액상의 내용물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의 내장 용기와 경질의 외장 용기가 장착된 토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용기는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액상의 내용물이 일부분 분사됨에 따라 상기 내장공간의 용적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의 내장 용기와 경질의 외장 용기가 장착된 토출기.
KR2020000022438U 2000-08-07 2000-08-07 연질의 내장 용기와 경질의 외장 용기가 장착된 토출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09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438U KR200209523Y1 (ko) 2000-08-07 2000-08-07 연질의 내장 용기와 경질의 외장 용기가 장착된 토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438U KR200209523Y1 (ko) 2000-08-07 2000-08-07 연질의 내장 용기와 경질의 외장 용기가 장착된 토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523Y1 true KR200209523Y1 (ko) 2001-01-15

Family

ID=7308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438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9523Y1 (ko) 2000-08-07 2000-08-07 연질의 내장 용기와 경질의 외장 용기가 장착된 토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523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320B1 (ko) * 2007-02-14 2008-09-17 박영주 유체용기
KR101335812B1 (ko) * 2012-02-09 2013-12-03 허재영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
KR20200025358A (ko) * 2018-08-30 2020-03-10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KR20200078436A (ko) * 2020-06-12 2020-07-01 주식회사 연희 화장품 용기
WO2020153668A1 (ko) *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이너보틀 파우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장치
KR20210012120A (ko) * 2019-07-24 2021-02-03 (주) 뉴우성 리필 가능한 내용기 구조를 갖는 용기의 제조방법
KR20220067214A (ko) 2020-11-17 2022-05-24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 누출 방지 용기
KR102462396B1 (ko) 2021-07-20 2022-11-03 김성훈 튜브 용기
KR20240134690A (ko) 2023-03-02 2024-09-10 김성훈 튜브 용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320B1 (ko) * 2007-02-14 2008-09-17 박영주 유체용기
KR101335812B1 (ko) * 2012-02-09 2013-12-03 허재영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
KR20200025358A (ko) * 2018-08-30 2020-03-10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KR102124992B1 (ko) * 2018-08-30 2020-06-22 주식회사 연희 화장품 용기
US12030705B2 (en) 2019-01-22 2024-07-09 Innerbottle Co., Ltd. Pouch assembly and container device using same
WO2020153668A1 (ko) *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이너보틀 파우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장치
KR20210012120A (ko) * 2019-07-24 2021-02-03 (주) 뉴우성 리필 가능한 내용기 구조를 갖는 용기의 제조방법
KR102219284B1 (ko) * 2019-07-24 2021-02-24 (주)뉴우성 리필 가능한 내용기 구조를 갖는 용기의 제조방법
KR102245542B1 (ko) * 2020-06-12 2021-04-28 주식회사 연희 화장품 용기
KR20200078436A (ko) * 2020-06-12 2020-07-01 주식회사 연희 화장품 용기
KR20220067214A (ko) 2020-11-17 2022-05-24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 누출 방지 용기
KR102462396B1 (ko) 2021-07-20 2022-11-03 김성훈 튜브 용기
KR20240134690A (ko) 2023-03-02 2024-09-10 김성훈 튜브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4619B1 (en) Spray nozzle
US6672479B2 (en) Closing structure of a dispensing container
US6375045B1 (en) Airless type dispenser
RU2238233C2 (ru) Сильфонный насос для подачи жидкости
US6152324A (en) Flow reducer member, in particular for a receptacle containing a cosmetic, and a method of manufacture
US6889873B1 (en) Pouch and packaging and distribution unit
CN100464871C (zh) 手动计量泵及用于包装和分配流体或糊状产品的装置
CN1222893A (zh) 具有改进阀座的改进型个人卫生液给液器
JP2003321038A (ja) 注出容器
KR200209523Y1 (ko) 연질의 내장 용기와 경질의 외장 용기가 장착된 토출기
KR102338575B1 (ko)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102318862B1 (ko) 에어리스 펌핑형 화장품 용기
US11925947B2 (en) Fluid dispenser
WO2013013310A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liquid
US12269662B2 (en) Flexible mouth insert for pouch
KR100284813B1 (ko) 도립시에도 사용할 수 있는 수동식 분사 펌프
JP4962953B2 (ja) 計量注出容器
KR102527875B1 (ko) 화장품용 디스펜서
KR102742645B1 (ko) 화장품용 디스펜서
CN205459880U (zh) 一种组合盖和具有该组合盖的输液容器
KR200499347Y1 (ko) 액상용 용기
KR102643135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JP3907188B2 (ja) 注出容器
EP1689532A1 (en) Dispensing container
JP2002018331A (ja) 液体噴出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807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26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0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808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2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2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