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978Y1 - 차량용 시트프레임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프레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8978Y1 KR200208978Y1 KR2020000022420U KR20000022420U KR200208978Y1 KR 200208978 Y1 KR200208978 Y1 KR 200208978Y1 KR 2020000022420 U KR2020000022420 U KR 2020000022420U KR 20000022420 U KR20000022420 U KR 20000022420U KR 200208978 Y1 KR200208978 Y1 KR 20020897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frame
- support plate
- vehicle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시트를 구성하기 위한 시트프레임의 구조를 개량하여 장시간의 사용시에도 시트의 좌대부분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시트의 쿠션감을 향상시켜 차량운전자가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단면 및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대체적으로 사각체의 형태를 이루면서 그 선단이 하향으로 만곡되어진 선단만곡부(114)가 형성되어진 금속재의 테두리프레임(110)과; 상기 테두리프레임(110)의 양측 상면에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진 다수개의 결합공(116)내에 그 일단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진 스프링(120)과; 상기 스프링(120)의 타단에 그 양측테두리부분이 연결되어 상기 테두리프레임(110)에 대해 탄력적으로 결합되어진 시트형태의 탄성지지판(130)과; 상기 탄성지지판(130)의 양측테두리내에 내장 봉합되고 스프링(120)에 의해 탄지되어진 탄성지지판(13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봉(140)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각종 차량용시트에 적용되어지는 시트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시트를 구성하기 위한 시트프레임의 구조를 개량하여 장시간의 사용시에도 시트의 좌대부분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시트의 쿠션감을 향상시켜 차량운전자가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차량에 장착되어진 차량용 시트는 그 전체적인 구성이 좌대부와 등받이부로 분류되어지며 이 좌대부와 등받이부의 외피는 대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피복되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차량용 시트는 외피소재의 자체탄력성에 의해 차량의 탑승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게 됨은 물론, 장시간 운전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피로감을 덜어주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는 특히, 시트의 좌대부에 탑승자의 하중이 집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차량의 구입후 1 년정도 경과하게 되면 시트의 탄성력이 자체적으로 크게 저하되어 차량의 탑승자가 시트에 걸쳐 앉게 되면 상기 시트 좌대부의 상면이 그 형태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운전자는 상기 형태성을 잃어버린 시트의 좌대부에 앉게 되면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어 이를 보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석등과 같은 수단을 깔고 착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태성을 잃어버린 시트의 좌대부에 보조수단인 방석등을 깔고 착석하게 되면 차량의 시트로 그 위에 놓이게 되는 방석등이 쉽게 미끌어질 우려가 있어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게 되며 궁극적으로 차량의 탑승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차량용시트를 구성하기 위한 시트프레임의 구조를 개량하여 장시간의 사용시에도 시트의 좌대부분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시트의 쿠션감을 향상시켜 차량운전자가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시트의 시트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프레임은, 단면및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대체적으로 사각체의 형태를 이루면서 그 선단이 하향으로 만곡되어진 선단만곡부가 형성되어진 테두리프레임과;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양측상면에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진 다수개의 결합공내에 그 일단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진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그 양측테두리부분이 연결되어상기 테두리프레임에 대해 탄력적으로 결합되어진 시트형태의 탄성지지판과; 상기 탄성지지판의 양측테두리내에 내장되어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진 탄성지지판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봉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시트프레임이 차량용시트에 적용되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시트프레임 112: 확개부
114: 선단만곡부 116: 결합공
120: 스프링 130: 탄성지지판
132: 가로부재 134: 세로부재
136: 벨크로테잎 138: 결합공
140: 지지봉 200: 시트
210: 좌대 220: 등받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프레임은, 그 외곽둘레에 금속재의 테두리프레임(110)이 배치된다.
이 테두리프레임(110)은 단면 및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대체적으로 사각체의 형태를 이루면서 후방의 양측단으로 부터 그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확대되는 확개부(112)로 구성되는 것이며 또한, 그 선단은 하향으로 만곡되어진 선단만곡부(114)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테두리프레임(110)은 그 내측이 공간부를 이루게 되며 이 공간부내에는 테두리프레임(110)의 양측 상면에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진 다수개의 결합공(116)내에 그 일단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진 스프링(120)을 매개로 탄성지지판(130)이 탄력적으로 결합되어진다.
즉, 상기 스프링(120)의 양단은 걸고리 형태로 각각 구성되어 그 일단은 테두리프레임(110)의 상면에 형성되어진 결합공(116)내에 선택적으로 각각 연결되고 또한, 그 타단은 상기 탄성지지판(130)의 양측에 형성되어진 결합공(138)내에 삽입결합됨으로서 스프링(120)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테두리프레임(110)의 내측에 탄성지지판(130)이 탄력적으로 결합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지지판(130)은 직물재로 된 다수개의 가로부재(132) 및 이 가로부재(132)의 저면에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세로부재(134)가 상호 중첩되어진 상태에서 이들이 봉합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시트판 형태를 이루게 되는 구조이며, 아울러 그 양단에는 금속재의 지지봉(140)이 내장되어 이 지지봉(140)에 의해 탄성지지판(130)의 양측이 스프링(120)의 장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당겨지게 되어 상기 테두리프레임(110)에 대해 탄성지지판(130)이 탄력적으로 결합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판(130)을 구성하게 되는 가로부재(132)의 각 모서리면에는 벨크로테잎(136)이 각각 부착되어 이 벨크로테잎(136)을 매개로 하여 시트프레임(100)을 시트의 좌대(210) 내부에 간편하게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프레임은 첨부된 도면의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다.
그 장착방법은 시트프레임(100)의 좌대(210)내부에 장착되는데 그 장착과정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시트프레임(100)에 적용되어진 탄성지지판(130)의 각 모서리면에 부착된 벨크로테잎(136)을 이용하여 부착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시트프레임(1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시트의 좌대(210) 내부에 내장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200)의 좌대(210) 내부에 시트프레임(100)을 장착시킨 상태에서 차량의 탑승자가 시트(200)의 좌대(210)에 앉게 되면 그 하중에 의해 좌대(210)의 상면이 하부방향으로 눌려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그 내부에 장착되어진 시트프레임(100)의 탄성지지판(130)이 탄력적으로 아랫방향으로 쳐지게 되면서 탑승자의 엉덩이부분을 탄력적으로 지지시켜 주게 된다.
이는 그 양측면에 각각 연결되어진 다수개의 스프링(120)이 탑승자로 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비례하여 그 간격이 벌어지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그 하중을 상쇄시켜 줄 수 있는 스프링(120)의 압축력이 작용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탑승자의 하체부분을 상기 탄성지지판(130)이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탑승자는 보다 안락한 상태에서 시트에 앉아 있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특히 본 고안을 차량의 운전석시트에 적용하게 될 경우 차량운전자가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상태에서 운전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시트의 좌대내부에 내장되어진 시트프레임의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서 차량용 시트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도 그 형태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의 좌대내부에 시트프레임을 장착시키되, 이 시트프레임은 테두리프레임의 내측으로 다수개의 스프링을 장착하고 또한, 이 스프링의 내측으로 탄성지지판을 결합하여 차량용시트에 탑승자가 착석하는 경우 상기 탄성지지판이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탑승자의 하체부분을 탄력적으로 받쳐 줄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의 사용시에도 시트의 좌대부분이 아래부분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탑승중에 시트의 쿠션감을 향상시켜 차량운전자가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운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 단면 및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대체적으로 사각체의 형태를 이루면서 그 선단이 하향으로 만곡되어진 선단만곡부(114)가 형성되어진 금속재의 테두리프레임(110)과; 상기 테두리프레임(110)의 양측 상면에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진 다수개의 결합공(116)내에 그 일단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진 스프링(120)과; 상기 스프링(120)의 타단에 그 양측테두리부분이 연결되어 상기 테두리프레임(110)에 대해 탄력적으로 결합되어진 시트형태의 탄성지지판(130)과; 상기 탄성지지판(130)의 양측테두리내에 내장 봉합되어 스프링(120)에 의해 탄지되어진 탄성지지판(13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봉(140)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프레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2420U KR200208978Y1 (ko) | 2000-08-07 | 2000-08-07 | 차량용 시트프레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2420U KR200208978Y1 (ko) | 2000-08-07 | 2000-08-07 | 차량용 시트프레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8978Y1 true KR200208978Y1 (ko) | 2001-01-15 |
Family
ID=73086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2420U KR200208978Y1 (ko) | 2000-08-07 | 2000-08-07 | 차량용 시트프레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8978Y1 (ko) |
-
2000
- 2000-08-07 KR KR2020000022420U patent/KR20020897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28004B2 (en) | Vehicle seat | |
WO2012086546A1 (ja) |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 | |
JP2024074909A (ja) | シート | |
US3512831A (en) | Spring seat | |
KR200208978Y1 (ko) | 차량용 시트프레임 | |
JPH04200410A (ja) | シート装置 | |
JPH038119Y2 (ko) | ||
JP2003002090A (ja) | 車両用シート | |
KR20210002354U (ko) | 차량용 보조 헤드레스트 | |
JP2525528Y2 (ja) | 背凭れ付きシート | |
JPH01171507A (ja) | 車両用シート等のバネ構造 | |
JP3586907B2 (ja) | 車両用シートのモールドパッド支持構造 | |
JP4524409B2 (ja) | 自動車のフロント・シートに用いるシート・バック | |
JPS6335649Y2 (ko) | ||
JPS6237497Y2 (ko) | ||
JPH0235240Y2 (ko) | ||
JP3288816B2 (ja) | 自動車用シート | |
JP2000041782A (ja) |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 | |
KR200147888Y1 (ko) | 자동차 시트쿠션의 사이드부 조절장치 | |
JPH0322027Y2 (ko) | ||
JPH09381A (ja) | 車両用シートの補助ピロー | |
JP2008119098A (ja) | 自動車シート用背当て | |
JP2529215Y2 (ja) | 車両用シート構造 | |
KR0148777B1 (ko) | 탈착식 중앙 쿠션부를 지닌 뒷좌석 시트쿠션 | |
KR960008991Y1 (ko) | 승합자동차(乘合自動車)용 시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