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376Y1 - 운동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운동보조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7376Y1 KR200207376Y1 KR2020000022138U KR20000022138U KR200207376Y1 KR 200207376 Y1 KR200207376 Y1 KR 200207376Y1 KR 2020000022138 U KR2020000022138 U KR 2020000022138U KR 20000022138 U KR20000022138 U KR 20000022138U KR 200207376 Y1 KR200207376 Y1 KR 20020737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thed
- spool
- central shaft
- hole
- base p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7—Arrangements on balls for connecting lines or 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컨대 배낭 등에 부착할 수 있고 필요시 줄의 길이를 원활히 조절하여 이동중에도 공을 이용하여 운동이나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 운동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주연부에 봉제용 천(11)이 달린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에 입설되고, 원통부(21)와 톱니부(22) 및 나사부(23)가 차례로 형성되면서, 상기 원통부(21)에 톱니부(22)와 연접하여 핀결합공(24)이 형성된 중심축(20)과; 상기 중심축(20)의 원통부(21)에 결합되어 제 1 와셔(32)를 통해 핀결합공(24)에 고정핀(100)으로 고정되고, 후면에 제 1 기어부(31)가 형성된, 통상의 공에 연결된 줄이 감기게 되는 스풀(30)과; 상기 중심축(20)의 톱니부(22)에 겹합되도록 톱니공(41)이 형성되고, 이 톱니공(41)의 타단으로 스프링(44)이 착설되며, 전면에 상기 스풀(30)의 제 1 기어부(31)에 대응하는 제 2 기어부(43)와 후면에 일자형 손잡이(42)가 형성되면서, 상기 스프링(44)의 타단으로 제 2 와셔(45)를 통해 상기 중심축(20)의 나사부(23)에 너트(46)를 조여 고정되는 스톱퍼(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예컨대 배낭 등에 고착할 수 있고 필요시 줄의 길이를 원활히 조절하여 이동중에도 공을 이용하여 운동이나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 운동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대가 복잡해지고 생활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운동용품도 개인의 기호나 특성 그리고 새로운 기능이나 효과가 추가되는 등 다각적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공을 이용한 운동은 웨이트 트레이닝이나 러닝 등과는 달리 흥미를 갖고 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대방없이 개인 혼자서 공을 갖고 운동하기에는 곤란한 점이 있다. 이에 따라, 통상의 공에 줄을 연결하여 사용자가 혼자서 예컨데 축구공이나 배구공 등을 차거나 던지면서 운동할 때에도 공이 사용자로부터 일정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 것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통상의 줄이 달린 공을 이용하되, 이 줄의 길이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배낭의 멜빵 등에 고착하여 이동중에도 공을 이용한 운동이나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운동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 -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조립상태도
도 4a 및 도 4b -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도 5 -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2 : 베이스판 11, 51 : 봉제용 천
20 : 중심축 21 : 원통부
22 : 톱니부 23 : 나사부
24 : 핀결합공 30 : 스풀
31 : 제 1 기어부 32 : 제 1 와셔
33 : 연결고리 40 : 스톱퍼
41 : 톱니공 42 : 손잡이
43 : 제 2 기어부 44 : 스프링
45 : 제 2 와셔 46 : 너트
50 : 보조지지부재 53 : 앵커
100 : 고정핀 200 : 배낭 멜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운동보조기구는, 주연부에 봉제용 천(11)이 달린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에 입설되고, 원통부(21)와 톱니부(22) 및 나사부(23)가 차례로 형성되면서, 상기 원통부(21)에 톱니부(22)와 연접하여 핀결합공(24)이 형성된 중심축(20)과; 상기 중심축(20)의 원통부(21)에 결합되어 제 1 와셔(32)를 통해 핀결합공(24)에 고정핀(100)으로 고정되고, 후면에 제 1 기어부(31)가 형성된, 통상의 공에 연결된 줄이 감기게 되는 스풀(30)과; 상기 중심축(20)의 톱니부(22)에 겹합되도록 톱니공(41)이 형성되고, 이 톱니공(41)의 타단으로 스프링(44)이 착설되며, 전면에 상기 스풀(30)의 제 1 기어부(31)에 대응하는 제 2 기어부(43)와 후면에 일자형 손잡이(42)가 형성되면서, 상기 스프링(44)의 타단으로 제 2 와셔(45)를 통해 상기 중심축(20)의 나사부(23)에 너트(46)를 조여 고정되는 스톱퍼(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베이스판(52)의 주연부에 봉제용 천(5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줄걸이용 앵커(53)가 입설된 보조지지부재(50)가 상기 운동보조기구와 함께 1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운동보조기구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운동보조기구는 통상의 공에 연결된 줄을 감을 수 있도록 회동가능한 스풀(30)이 형성된 것이되, 이 스풀(30)이 스프링(44)에 의해 탄발되는 스톱퍼(40)를 통해 협지 또는 협지해제되면서, 베이스판(10)에 형성된 봉제용 천(11)을 매개로 예컨대 배낭의 멜빵 등에 고착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운동보조기구는, 줄이 달린 공을 이용하여 운동을 할 때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사용자가 배낭을 매고 등산이나 여행을 하면서 이동할 때, 공을 차거나 던지는 운동이나 놀이를 할 수 있고, 또한 당시의 상황이나 필요에 따라 공의 줄 길이를 간편히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로서, 도 2a는 본 고안을 앞쪽에서 본 모양을 일부절결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뒤쪽에서 본 모양을 도시한 것이다.
동 도면에서, 도면부호 (10)은 베이스판, (20)은 이 베이스판에 입설된 중심축, (30) 및 (40)은 이 중심축에 차례로 결합되는 스풀과 이 스풀의 회동을 제어하는 스톱퍼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판(10)은 그 테두리의 양측 또는 다수측에 봉제용 천(11)을 형성하여, 예컨대 배낭의 멜빵이나 허리끈 등에 재봉에 의해 고착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판(10)의 중앙에 연직으로 돌설된 중심축(20)은, 베이스판(10)으로부터 원통부(21), 톱니부(22), 나사부(23)가 차례로 형성된 것으로, 이 원통부(21) 및 톱니부(22)에 후술되는 스풀(30) 및 스톱퍼(40)가 차례로 결합되고, 나사부(23)에는 너트(46)가 체결되어, 상기 스풀(30) 및 스톱퍼(4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원통부(21)에서 톱니부(22)와 연접된 부분에는 고정핀(100)이 꽂혀지는 핀결합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풀(30)은, 통상의 공에 연결된 줄이 감기게 되는 것으로, 상기 중심축(20)의 원통부(21)에 끼워져 회동되며, 제 1 와셔(32)를 대고 상기 핀결합공(24)에 고정핀(100)을 꽂아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 스풀(30)의 후면에는 제 1 기어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줄의 끝을 묶을 수 있도록 연결고리(33)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톱퍼(40)는, 스풀(30)의 회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20)의 톱니부(22)에 대응하는 톱니공(41)이 형성되어, 중심축(20)의 톱니부(22)에 회동없이 앞·뒤로 이동되게 결합되며, 전면에는 상기 스풀(30)의 후면 제 1 기어부(31)에 대응하는 제 2 기어부(43)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사용자가 잡고 당길 수 있도록 일자형 손잡이(42)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운동보조기구는, 도 3과 같이 베이스판(10)의 중심축(20)에 스풀(30)을 제 1 기어부(31)가 외향되도록 결합하고 제 1 와셔(32)를 끼운 다음 고정핀(100)을 핀결합공(24)에 끼워 이탈되지 않도록 조립하고, 그 다음 스톱퍼(40)를 그 제 2 기어부(43)가 상기 스풀(30)의 제 1 기어부(31)에 대향하도록 끼워 맞추고, 이 스톱퍼(40)의 톱니공(41) 후면으로는 스프링(44)을 착설하고, 이 스프링(44)의 타단을 중심축(20)의 나사부(23)에 제 2 와셔(45)를 끼우고 너트(46)를 체결하여 지지시키는 것으로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4)의 탄발에 의해 스톱퍼(40)의 제 2 기어부(43)가 스풀(30)의 제 1 기어부(31)와 맞물려, 중심축(20)상의 스풀(30)은 회동되지 않는 상태로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스풀(30)에 줄을 감아 두었을 때 감겨진 줄은 풀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이다.
줄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b와 같이 스톱퍼(40)의 손잡이(42)를 잡고 뒤로 당기면, 서로 맞물린 스풀(30)과 스톱퍼(40), 즉 제 1 및 제 2 기어부(31,43)가 분리되고, 이로써 스풀(30)은 중심축(20)상에서 회동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스풀(30)을 돌려 원하는 만큼 줄을 풀거나 감아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줄 길이를 조절한 후에는 단지 잡고 있던 스톱퍼(40)를 놓아줌으로써, 스톱퍼(40)는 스프링(44)의 탄발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다시 스풀(30)을 협지하여 고정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스풀(30)에 연결된 줄을 보다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보조지지부재(50)를 추가하여 구성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지지부재(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52)에 줄을 몇 차례 둘러 맬 수 있도록 줄걸이용 앵커(53)를 형성하는 것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지지부재(50)의 베이스판(52)에는 그 주연부에 봉제용 천(51)을 형성하여, 본 고안의 운동보조기구 옆으로 인접하여 배낭의 멜빵(100)이나 허리끈에 재봉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공에 연결된 줄은 1차로 스풀(30)에 감겨 지지되고, 2차로 보조지지부재(50)의 앵커(53)에 감겨져 지지되므로,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공을 차거나 던지더라도 보다 안정되게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배낭의 멜빵이나 허리끈 등에 고착시켜, 공이 연결된 줄을 지지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줄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배낭을 매고 이동하면서 공을 이용하여 운동을 하거나 놀이를 할 수 있는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 주연부에 봉제용 천(11)이 달린 베이스판(10)과,상기 베이스판(10)에 입설되고, 원통부(21)와 톱니부(22) 및 나사부(23)가 차례로 형성되면서, 상기 원통부(21)에 톱니부(22)와 연접하여 핀결합공(24)이 형성된 중심축(20)과,상기 중심축(20)의 원통부(21)에 결합되어 제 1 와셔(32)를 통해 핀결합공(24)에 고정핀(100)으로 고정되고, 후면에 제 1 기어부(31)가 형성된, 통상의 공에 연결된 줄이 감기게 되는 스풀(30)과,상기 중심축(20)의 톱니부(22)에 겹합되도록 톱니공(41)이 형성되고, 이 톱니공(41)의 타단으로 스프링(44)이 착설되며, 전면에 상기 스풀(30)의 제 1 기어부(31)에 대응하는 제 2 기어부(43)와 후면에 일자형 손잡이(42)가 형성되면서, 상기 스프링(44)의 타단으로 제 2 와셔(45)를 통해 상기 중심축(20)의 나사부(23)에 너트(46)를 조여 고정되는 스톱퍼(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보조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2138U KR200207376Y1 (ko) | 2000-08-03 | 2000-08-03 | 운동보조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2138U KR200207376Y1 (ko) | 2000-08-03 | 2000-08-03 | 운동보조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7376Y1 true KR200207376Y1 (ko) | 2000-12-15 |
Family
ID=1966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2138U KR200207376Y1 (ko) | 2000-08-03 | 2000-08-03 | 운동보조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7376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37148A (ko) * | 2011-07-13 | 2014-03-26 | 밸런스드 바디, 인크. | 리포머 운동 장치 |
-
2000
- 2000-08-03 KR KR2020000022138U patent/KR20020737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37148A (ko) * | 2011-07-13 | 2014-03-26 | 밸런스드 바디, 인크. | 리포머 운동 장치 |
KR101688688B1 (ko) * | 2011-07-13 | 2016-12-21 | 밸런스드 바디, 인크. | 리포머 운동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94336B2 (en) | Ball training apparatus | |
US3999752A (en) | Push-pull type of exercising device supported entirely by the body | |
US7087001B1 (en) | Portable handheld exercise apparatus which can be attached to a multiplicity of body parts | |
JP2002513662A (ja) | サッカー教習用装置 | |
US7175573B1 (en) | Exercising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 |
US6752746B1 (en) | Adjustable jump rope apparatus with adjustable weight and length | |
US5433688A (en) | Exercise device worn on the user's body having resilient resistance mechanisms | |
US5094462A (en) | Soccer training device | |
US5556368A (en) | Exercise apparatus | |
US20020022555A1 (en) | Portable doorway apparatus for upper and lower body strengthening and conditioning | |
US20040043873A1 (en) | Exercise device for exercising upper body simultaneously with lower body exercise | |
US20020068667A1 (en) | Training device | |
US8246480B2 (en) | Golf ball holding structure | |
US6575883B1 (en) | Exercise wheel assembly | |
US20110312477A1 (en) | Weight resistance device | |
US7955239B2 (en) | Portable exercise apparatus | |
US8956239B2 (en) | Golf ball holding structure | |
US7374523B2 (en) | Training harness | |
US20110098159A1 (en) | Dumbbell resistance device | |
US6837835B2 (en) | Exercise ball device | |
US4003575A (en) | Amusement and exercise device | |
KR200207376Y1 (ko) | 운동보조기구 | |
US5234393A (en) | Skipping apparatus | |
EP2092965A2 (en) | Ball training apparatus | |
KR200289035Y1 (ko) | 운동보조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