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196623Y1 - 원적외선 발생 돌을 이용한 통닭 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발생 돌을 이용한 통닭 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623Y1
KR200196623Y1 KR2020000003503U KR20000003503U KR200196623Y1 KR 200196623 Y1 KR200196623 Y1 KR 200196623Y1 KR 2020000003503 U KR2020000003503 U KR 2020000003503U KR 20000003503 U KR20000003503 U KR 20000003503U KR 200196623 Y1 KR200196623 Y1 KR 200196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cken
far
roasting
heat
roasting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호
Original Assignee
정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호 filed Critical 정창호
Priority to KR2020000003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6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62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돌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 열을 대류시켜 통닭을 태우지 않으면서 속살까지 익히고, 통닭의 불필요한 지방질을 제거하여 통닭의 단백한 맛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는 통닭 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가스에 의해 다단계로 점화되는 가스 버너; 가스 버너에 의해 가열되어 원적외선 열을 발생하는 다수의 원적외선 발생 돌; 다수의 원적외선 발생 돌을 안치시키기 위한 돌 용기; 다수의 원적외선 발생 돌에 의해 발생되는 원적외선 열이 본체 내부에서 대류하도록 하여 여러 마리의 통닭을 동시에 익히기 위한 구이실; 본체내에서 순환되는 대류열에 의해 증발되어 구이실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일정량의 물이 안치되고, 구이실 내의 통닭들로부터 분출되는 기름을 받아내기 위한 물 및 기름 용기; 여러마리의 통닭에 고른 원적외선 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구이실 내부에 배치되어 통닭의 위치를 자동으로 변환시켜주는 통닭위치 자동변환수단; 및 구이실 내의 대류열이 외부로 방열되지 않도록 이중의 내열유리창으로 이루어지며, 구이실을 열고 닫기 위한 여닫이 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발생 돌을 이용한 통닭 구이 장치{APPARATUS FOR ROASTING CHICKEN USING STONE PRODUCING A FAR INFRARED RAYS}
본 고안은 원적외선 발생 돌을 이용한 통닭 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적외선 발생 돌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 열을 대류시켜 여러 마리의 통닭을 동시에 익힐 수 있는 통닭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닭을 굽기 위한 종래의 통닭 구이 장치로는, 전기구이 장치, 가스구이 장치, 숯불구이 장치 및 장작구이 장치 등이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통닭 구이 장치들은 구워지는 통닭에 대한 열침투력이 약하기 때문에 통닭 속까지 익히기 위해서 통닭의 겉표면이 타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통닭의 겉표면이 타지않도록 속살까지 잘익은 통닭을 굽기위해서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종래의 전기구이 장치는, 온도조절이 용이하고 비교적 작업 공수가 적어 영업용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전력소비가 많아 이동식으로는 사용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가스를 이용한 종래의 통닭 구이 장치는 용량이 작아서 영업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종래의 숯불구이 장치는, 통닭을 속살까지 익히기 위하여 통째로 굽지못하고 반 또는 여러 조각으로 잘라서 구워야 하였으며, 또한 굽는 동안에는 타지않도록 하기 위하여 자주 뒤집어 주어야 하므로써, 많은 손길을 필요로 하면서도 숙력된 경험이 요구되었다.
또한, 종래의 장작구이 장치는, 고기맛을 위해서는 양질의 장작을 사용해야 하였으며, 건축폐자재를 사용할 경우 통닭에서 화학물질 냄새가 배어나는 경우가 많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종래의 통닭 구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통닭 구이 장치는, 본체(10) 내부에 구이실(11)을 구비하고, 구이실(11)은 내열유리창(12a)을 가진 도어(12)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으며, 구이실(11) 뒤쪽에는 내열유리창(12a')만이 설치되므로서, 구이실(11)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구이실(11) 상부에는 바깥쪽에는 감속모터(13)가 설치되어 있으며, 감속모터(13)의 모터축(13a)은 구이실(11) 내부로 설치되는 주축(14)과 커플링(15)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주축(14)에는 회전대(16)가 고정되도록 설치하므로서, 감속모터(13)의 동력에 의해 회전대(16)가 서서히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대(16)의 외극주연부에는 위성기어(17)를 가진 위성기어축(17a)이 회전될 수 있도록 다수 설치되고, 위성기어축(17a)에는 걸고리대(18)를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걸고리대(18)는 통닭(P)을 걸 수 있는 걸고리(18a)를 다수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위성기어(17)는 주축(14)이 관통되는 축관통공(19a)을 가지며, 구이실(11)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기어(19)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주축(14) 회전으로 회전대(16)가 회전되면, 여기에 설치되어 있는 위성기어(17)가 큰원을 그리며 회전되는 상태가 됨에 따라 고정기어(19) 주위를 돌게되고, 그로인해 고정기어(19)에 맞물려 회전되는 위성기어(17)가 자전되는 동작을 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걸고리대(18)는 회전대(16)의 회전으로 큰원을 그리며 회전되는 것과 동시에 위성기어(17) 회동으로 자전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걸고리대(18)에 매달려 있는 통닭(P)은 구이실(11) 사방에 설치된 히터(20)로부터 제공되는 열에 의해 익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통닭 구이 장치의 경우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통닭에 대한 열침투력이 약하기 때문에 통닭 속살까지 완전히 익히기 위해서 통닭의 겉표면이 타는 경우가 많았고, 또한 통닭의 겉표면이 타지않도록 속살까지 잘익은 통닭을 굽기위해서는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히터(20)가 사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고정 위치에서 회전하고 있는 여러마리의 통닭에 고르게 열을 조사할 수 있기는 하지만, 열 발생히터가 넓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전력소모가 많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장치를 휴대가 간편한 가스용 통닭구이 장치에 적용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전기히터와는 달리 가스버너를 본체 사방에 배치하는 것이 구조상 상당히 어렵게 된다. 다시 말해, 가스버너는 본체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을 뿐이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구이실 내부에서의 통닭의 위치가 일정한 종래의 장치로서는 통닭을 고르게 굽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돌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 열을 대류시켜 통닭을 태우지 않으면서 속살까지 익히고, 통닭의 불필요한 지방질을 제거하여 통닭의 단백한 맛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는 통닭 구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원적외선 발생 돌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 열을 대류시키고, 통닭의 위치를 자동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여러마리의 통닭을 동시에 고르게 익힐 수 있는 가스용 통닭 구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원적외선 발생 돌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 열을 이용하여 완전히 익은 통닭을 보온시켜, 영업소 등에서 손님에게 통닭을 신속히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통닭 구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통닭을 익힐 때 수분을 공급하여 통닭이 마르지 않도록 하는 통닭 구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닭 구이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통닭 구이 장치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1의 A-A' 선 단면 개략도.
도 4는 도 3의 B-B' 선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발생 돌을 이용한 통닭 구이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의 Ⅵ-Ⅵ' 선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가스 버너 112: 원적외선 발생 돌
113: 돌 용기 114: 구이실
115: 물 및 기름 용기 116, 117: 제 1 및 제 2 보온 용기
118: 조절부 119: 여닫이 문
120: 지지대 121: 바퀴
122: 통공 123: 열 방향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통닭을 익히는 통닭 구이 장치에 있어서, 가스에 의해 다단계로 점화되는 가스 버너(Burner)와, 상기 가스 버너에 의해 가열되어 원적외선 열을 발생하는 다수의 원적외선 발생 돌과, 상기 버너 상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원적외선 발생 돌을 안치시키기 위한 돌 용기와, 상기 다수의 원적외선 발생 돌에 의해 발생되는 원적외선 열이 본체 내부에서 대류하도록 하여 여러 마리의 통닭을 동시에 익히기 위한 구이실과, 여러마리의 통닭에 고른 원적외선 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구이실 내부에 배치되어 통닭의 위치를 자동으로 변환시켜주는 통닭위치 자동변환수단과, 상기 본체내에서 순환되는 대류열에 의해 증발되어 상기 구이실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일정량의 물이 안치되고, 상기 구이실 내의 통닭들로부터 분출되는 기름을 받아내기 위한 물 및 기름 용기, 및 상기 구이실 내의 대류열이 외부로 방열되지 않도록 이중의 내열유리창으로 이루어지는 구이실 개폐용 여닫이 문을 포함한다.
전술한 통닭위치 자동 변환수단은, 본체의 일측벽에 부착되어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제 1 회전판과, 타측벽에 상기 제 1 회전판과 수평되게 부착되고, 상기 제 1 회전판과 동일한 모양 및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회전판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제 2 회전판과, 양단이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판 상의 동일 위치에 각각 수평되게 부착된 다수의 바(bar)와, 통닭이 안치될 수 있는 오목한 내부를 가지는 신장(elongated)된 형상의 용기로서, 통닭으로부터 분출되는 기름이 상기 물 및 기름 용기로 떨어지도록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판이 회전하더라도 안치된 통닭이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다수의 바(bar)에 그네식으로 부착되는 통닭 거치대, 및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판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로 이루어진다.
또한, 원적외선 발생 돌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 열을 반사하여 상기 구이실 내부에 고르게 대류하도록 구이실 상단에 설치되는 열 반사판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대류열 중 일부(잔열)에 의해 통닭을 보온하기 위하여 상기 구이실과 격리되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보온 용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하단의 4곳에는 본체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거리 조정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고, 지지대 각각의 하단에는 바퀴가 구비됨으로써 구이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체 상부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구이실 내부의 고열을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한 배기용 통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통공들을 통해 방출되는 고열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고 상기 본체의 후면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단이 상기 본체의 상단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 상단에 위치한 상기 통공들로부터 일정 각도 이격되어 상기 통공을 덮고 있는 열 방향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구이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구이실 내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 버너의 점화단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발생 돌을 이용한 통닭 구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통닭 구이 장치는, 본체(100)와, 가스에 의해 다단계로 점화되는 가스 버너(Burner)(111)와, 가스 버너(111)에 의해 가열되어 원적외선 열을 발생하는 원적외선 발생 돌(112)들과, 원적외선 발생 돌(112)들을 안치시키기 위한 돌 용기(113)와, 원적외선 발생 돌(112)에 의해 발생되는 원적외선 열이 본체(100) 내부에서 대류하도록 하여 여러 마리의 통닭을 동시에 익히기 위한 구이실(114)과, 본체(100) 내부의 대류열에 의해 증발되어 구이실(150)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일정량의 물이 안치되고, 구이실(114) 내의 통닭들로부터 분출되는 기름을 받아내기 위한 물 및 기름 용기(115)와, 완전히 익은 통닭을 안치시켜 본체(100) 내부의 대류열에 의해 보온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보온 용기(116, 117)와, 본체(100)의 통닭 구이 기능을 임의로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118)와, 구이실(114)을 열고 닫기 위한 여닫이 문(119)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본체(100)를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지지대(120)와, 지지대(120) 위에 놓인 본체(10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지대(120)의 하단에 부착된 바퀴(121)들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본체(100)는 사용자에 의해 지지대(12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며, 구이실(114) 내부의 고열을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하여 본체(100) 상단의 일측에 배치되는 통공(122)과, 통공(122)을 통해 분출되는 고열이 본체(100)의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고 본체(100)의 후면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단이 본체(100)의 상단에 부착되고, 본체(100) 상단에 위치한 통공(122)로부터 약 45도 정도 이격되어 통공(122)을 덮고 있는 열 방향판(123)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조절부(118)를 통해 통공(122)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으며, 즉 구이실(114)내의 통닭을 익히고 있는 중이면, 사용자는 구이실(114) 내부의 대류열이 외부로 방열되지 않도록 통공(122)을 밀폐시킨다. 반대로, 완전히 익은 통닭을 구이실(114)로부터 꺼내려 할 경우, 사용자는 우선 통공(122)을 개방시켜 구이실(114) 내부의 고열을 방열시킨 후 구이실(114)로부터 통닭을 꺼내게 되는데, 이것은 구이실(114)내부의 고열을 방출시키지 않고 곧바로 구이실(114)을 열게 되면, 고열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때, 통공(122)을 통해 방열되는 고열은 열 방향판(123)에 의해 사용자와 반대 방향인 본체(100)의 후면쪽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구이실(114) 내부의 고열이 본체(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고열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입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있다.
한편, 통공(122)의 개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구이실(114) 내부의 온도와 일정 온도의 지속시간을 감지하고, 이 감지 결과에 따라 통공(122)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공(112)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다른 형태들로 얼마든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가스 버너(111)는 화력이 낮은 단계에서 높은 단계까지 다단계적으로 점화되는데, 이는 구이실(114) 내부의 온도와 점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다단계적으로 점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스 버너(111)의 다단계 점화 기술은 공지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한 것이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가스버너 이외에도 전기히터와 같은 가열수단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가스가 소모된 경우에도 전기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조절부(118)에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구이실 내부의 온도를 자동으로 측정하며, 측정된 온도에 따라 버너의 점화단계를 자동으로 변화시키는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최초에는 강한불로 조리하다가,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단계를 하나 줄여 약한 불로 조리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원적외선 발생 돌(112)은 반영구적인 돌로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맥반석 이외에도, 버너(111)에 의해 가열되어 원적외선을 발생하고 가열상태가 오래 지속되는 한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원적외선은 통닭의 불필요한 지방질을 제거하여 통닭의 단백한 맛을 현저하게 높여 준다. 또한, 원적외선 발생 돌(112)의 가열상태가 오래 지속되므로써, 보다 적은 전력으로 통닭을 익힐 수 있다.
물 및 기름 용기(115)는 책상 서랍과 같이 본체(100)에 밀어넣거나 앞으로 잡아당겨서 빼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구이실(114)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이격되며, 내부 바닥에 일정량의 물이 수납된다. 이 물은 구이실(114)의 대류열에 의해 수증기로 증발되어 구이실(114) 내부에서 익혀지고 있는 통닭에게 전달된다. 또한, 물 및 기름 용기(115)는 구이실(114)에서 통닭을 익힐 때, 통닭으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 내는데 이용된다.
제 1 및 제 2 보온 용기(116, 117)는 구이실(114) 내부의 대류열을 간접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이실(114)의 옆쪽에 배치되는데, 이 보온 용기(116, 117)들은 물 및 기름 용기(115)와 마찬가지로 서랍식으로 되어 있으며, 조리전의 닭을 어느 정도 보온하거나, 완전히 익은 통닭을 보온시키는 데 사용한다.
여닫이 문(119)은 구이실(114) 내부의 대류열이 외부로 방열되지 않도록, 이중의 내열유리창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의 후측 하면에는 가스버너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기유입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5에서의 Ⅵ-Ⅵ' 선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도 5의 구이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실(114) 내부에는 통닭위치 자동변환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전술한 통닭위치 변환수단은 일측벽에 부착되어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제 1 회전판(124)과, 타측벽에 제 1 회전판(124)과 수평되게 부착되고, 제 1 회전판(124)과 동일한 모양 및 크기로 이루어지고, 제 1 회전판(124)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제 2 회전판(도시되지 않았음)과, 양단이 제 1 회전판(124)과 상기 제 2 회전판 상의 동일 위치에 각각 수평되게 부착되는 다수의 바(bar, 125)들과, 통닭이 안치될 수 있는 오목한 내부를 가지는 신장(elongated)된 형상의 용기로서, 통닭으로부터 분출되는 기름이 상기 물 및 기름 용기로 떨어지도록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판이 회전하더라도 안치된 통닭이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다수의 바(bar)에 그네식으로 부착되는 통닭 거치대(127), 및 회전판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통닭 거치대(127)는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판 사이에 있는 바로부터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통닭을 용이하게 상기 장치로 출입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구이실 내부에는 원적외선 발생 돌(112)들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 열을 반사하여 구이실(114) 내부에 고르게 대류시키기 위한 열 반사판(126)이 구이실 상단 전후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 밖에, 도 6의 일측에는 원적외선 발생돌(112)을 안치시키기 위한 돌용기(113) 및 그 하부에 배치되는 가스버너(111)로 이루어지는 가열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가열 조립체는 구이실의 하단 후면을 따라 신장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배치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하단 전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높은 열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양측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통닭 거치대(127)에 안치된 통닭이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판을 따라 회전하여 위치를 바꾸면서, 동시에 구이실 내부에 고르게 분포되는 대류열에 의해 동시에 고르게 익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통닭을 태우지 않고도 여러 마리의 통닭을 동시에 익힐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통닭 거치대(127)는 통닭이 접촉하는 부분에는 통닭이 눌러붙지 않도록 하는 테프론과 같은 재료로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돌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통닭을 익히므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
첫째, 통닭위치 자동 변환장치를 이용하면 구이실 내부에서의 통닭의 상하좌우 위치가 자동으로 변화함으로써, 골고루 열을 받아 여러마리의 통닭을 고르게 조리할 수 있다.
둘째, 가열상태가 오래지속되는 원적외선 발생 돌을 이용함으로써 최소한의 가스량 또는 전력량으로 조리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원적외선에 의한 대류열을 이용함으로써 구이실 내부의 열전달 분포를 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마리의 통닭을 동시에 고르게 익힐 수 있다.
넷째, 물 및 기름용기를 이용하면 조리되는 통닭에 적당한 수분을 공급하게 되므로, 통닭의 불필요한 지방을 용이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통닭을 태우지 않고도 속살까지 완전히 익히므로써, 조리된 통닭의 육질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다섯째, 소모되는 대류열 중 일부를 이용하는 보온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보온상태의 통닭을 고객에게 신속히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통닭을 익히는 통닭 구이 장치에 있어서,
    가스에 의해 다단계로 점화되는 가스 버너(Burner);
    상기 가스 버너에 의해 가열되어 원적외선 열을 발생하는 다수의 원적외선 발생 돌;
    상기 버너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원적외선 발생 돌을 안치시키기 위한 돌 용기;
    상기 다수의 원적외선 발생 돌에 의해 발생되는 원적외선 열이 본체 내부에서 대류하도록 하여 여러 마리의 통닭을 동시에 익히기 위한 구이실;
    여러마리의 통닭에 고른 원적외선 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구이실 내부에 배치되어 통닭의 위치를 자동으로 변환시켜주는 통닭위치 자동변환수단;
    상기 본체내에서 순환되는 대류열에 의해 증발되어 상기 구이실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일정량의 물이 안치되고, 상기 구이실 내의 통닭들로부터 분출되는 기름을 받아내기 위한 물 및 기름 용기; 및,
    상기 구이실 내의 대류열이 외부로 방열되지 않도록 이중의 내열유리창으로 이루어지는 구이실 개폐용 여닫이 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닭 구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닭위치 자동 변환수단은,
    본체의 일측벽에 부착되어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제 1 회전판;
    타측벽에 상기 제 1 회전판과 수평되게 부착되고, 상기 제 1 회전판과 동일한 모양 및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회전판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제 2 회전판;
    양단이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판 상의 동일 위치에 각각 수평되게 부착된 다수의 바(bar);
    통닭이 안치될 수 있는 오목한 내부를 가지는 신장(elongated)된 형상의 용기로서, 통닭으로부터 분출되는 기름이 상기 물 및 기름 용기로 떨어지도록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판이 회전하더라도 안치된 통닭이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다수의 바(bar)에 그네식으로 부착되는 통닭 거치대;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판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닭 구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실 상단에 설치되어, 원적외선 발생 돌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 열을 반사하여 상기 구이실 내부에 고르게 대류하도록 하는 열 반사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닭 구이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류열 중 일부에 의해 통닭을 보온하기 위하여 상기 구이실과 격리되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보온 용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닭 구이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바닥으로부터 본체 하단까지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하여 본체 하단의 4곳에 배치되는 거리 조정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위에 놓인 상기 본체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부착된 다수의 바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닭 구이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구이실 내부의 고열을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 상단에 배치되는 통공; 및
    상기 통공들을 통해 방열되는 고열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고 상기 본체의 후면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단이 상기 본체의 상단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 상단에 위치한 상기 통공들로부터 일정 각도 이격되어 상기 통공을 덮고 있는 열 방향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닭 구이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구이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구이실 내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 버너의 점화단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닭 구이 장치.
KR2020000003503U 2000-02-10 2000-02-10 원적외선 발생 돌을 이용한 통닭 구이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196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503U KR200196623Y1 (ko) 2000-02-10 2000-02-10 원적외선 발생 돌을 이용한 통닭 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503U KR200196623Y1 (ko) 2000-02-10 2000-02-10 원적외선 발생 돌을 이용한 통닭 구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623Y1 true KR200196623Y1 (ko) 2000-09-15

Family

ID=19641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503U Expired - Fee Related KR200196623Y1 (ko) 2000-02-10 2000-02-10 원적외선 발생 돌을 이용한 통닭 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6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78797A (zh) * 2023-04-26 2023-07-25 农夫与海(杭州)食品有限公司 一种牛肉制造用风干发酵系统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78797A (zh) * 2023-04-26 2023-07-25 农夫与海(杭州)食品有限公司 一种牛肉制造用风干发酵系统及方法
CN116478797B (zh) * 2023-04-26 2023-10-13 农夫与海(杭州)食品有限公司 一种牛肉制造用风干发酵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3778A (en) Roasting oven
CA2172586C (en) Roasting oven
KR100793797B1 (ko) 히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WO1995020902A9 (en) Roasting oven
WO2009091211A2 (ko) 적외선 가열 조리기
US6405640B1 (en) Roasting oven
KR100512564B1 (ko) 숯불구이장치
KR102335948B1 (ko) 초벌구이장치
KR101968249B1 (ko) 직립형 숯불구이 장치
KR200463731Y1 (ko) 황토 아궁이식 구이장치
KR0140408Y1 (ko) 훈연기를 가진 바베큐기
KR200196623Y1 (ko) 원적외선 발생 돌을 이용한 통닭 구이 장치
KR200166404Y1 (ko) 고기 구이기
KR200242492Y1 (ko) 할로겐램프가 설치된 구이기
KR200272473Y1 (ko) 원통구이기
KR100950183B1 (ko) 간접열을 이용한 균일 가열이 이루어지게 한 구이장치
KR101294369B1 (ko) 음식물 조리 장치
KR200353161Y1 (ko) 전기 바베큐 구이기
KR19980067337A (ko) 통닭구이장치
KR20220001100A (ko) 근적외선 방사열을 이용한 조리기구
RU20642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100644973B1 (ko)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KR200214856Y1 (ko) 원적외선 방사체와 천연옥 반사경을 이용한 구이기
KR200166371Y1 (ko) 구이기
KR100316472B1 (ko) 만능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21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7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2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10112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0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7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