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614Y1 - 가축사료 자동 급이기 - Google Patents
가축사료 자동 급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88614Y1 KR200188614Y1 KR2020000003847U KR20000003847U KR200188614Y1 KR 200188614 Y1 KR200188614 Y1 KR 200188614Y1 KR 2020000003847 U KR2020000003847 U KR 2020000003847U KR 20000003847 U KR20000003847 U KR 20000003847U KR 200188614 Y1 KR200188614 Y1 KR 20018861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ed
- container
- livestock
- feeding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3031 fee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94 snou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료통과 먹이통으로 구성된 가축사료 자동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형 먹이통 중앙이 일정한 높이의 원뿔형으로 형성되고 사료통의 공급구와 결합되어 결합된 부분으로 공급되는 사료가 젖지 않도록 구성되며, 사료통의 상부에 지지대와 회전축이 형성되고 사료 조절판과 조절핀이 형성되어 사료의 공급량이 조절되며, 회전축의 저음대 작동으로 사료의 공급이 용이하여 사료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며 가축의 먹이활동이 용이하도록 칸막이대의 볼록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사료의 자동 급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가축에게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가축사료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료통의 사료량 조절장치와 공급 조절장치와 사료가 젖지 않도록 형성된 먹이통의 볼록한 중심부와 사육가축의 먹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축사료 자동 급이기의 구성은, 급이기의 상부에는 사료통이 위치하고, 사료통의 밑으로 먹이통이 위치된다. 사료통은 상부에 사료를 투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먹이통에 사료를 공급하는 공급구가 형성되고, 사료통은 상부에서 하부로 가며 크기가 작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의 공급구에는 사료를 자동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작동바가 먹이통 중심부에 돌출되도록 축설된다. 사료통의 외부 테이퍼부에는 결합편이 설치된다.
먹이통은 원형의 통으로 형성되며, 먹이통의 외주에 일단이 부착된 다수의 원호 형상으로 된 칸막이대는 일정 높이의 먹이통 중심부로 진입되어 설치되고, 칸막이대의 끝 부분에 물 공급 노즐이 형성된 원형의 물 공급 파이프를 결합하여 칸막이대와 물 공급 파이프는 견고히 결합된다.
사료통의 외부에 설치된 결합편은 먹이통의 상부에 형성된 물 공급 파이프에 끼워져 사료통과 먹이통이 일체로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사료 자동 급이기는 사료통의 공급구에 축설된 작동바를 가축이 작동하여 사료통에 저장된 사료가 먹이통으로 떨어져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서 먹이통의 위에 물 공급 노즐이 설치되어 같은 장소에서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축사를 건조하게 유지할 수 있고 많은 시간과 인력을 투자하지 않아도 되었으나, 가축의 수와 비교하여 사료의 공급량 조절이 원활하지 않아 공급된 사료가 부족하거나 과 공급되어 가축의 성장이 저하되거나 사료가 과다하게 소비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먹이통에 떨어진 사료는 한 곳에 쌓이게 되어 가축이 쉽게 사료를 먹지 못하게 되며, 사료가 먹이통에 쌓였을 때 물을 섭취하며 흘린 물이 사료에 닿게 되면 사료가 그 형태로 굳게 되어 공급구에서 사료가 원활히 공급되지 않으며 심할 경우 공급구를 막아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가축사료 급이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료통과 먹이통으로 구성된 사료 자동 급이기에 공급하는 사료의 양을 기립 자세에서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료의 불필요한 낭비를 없게 하고, 먹이통의 중앙에 원뿔형의 볼록부를 형성하고 사료통의 공급구와 결합하여 공급구가 막히지 않도록 하며 사료가 먹이통에 넓게 고루 퍼질수 있도록 구성하여 가축이 사료를 쉽게 먹을 수 있고 일정한 시간에 신선한 사료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종래의 사료 급이기의 사료통 상부에 사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기를 형성하며, 상기 조절기는 조절핀과 저음대가 형성된 회전축과 사료통의 상부 내벽에 형성되어 사료의 량을 조절하는 조절판을 구성하며, 먹이통의 중앙에는 사료의 산개를 목적으로 볼록부를 형성하며 먹이통의 원주에는 다수의 가축이 동시에 서로 간섭하지 않고 사료를 먹을 수 있으며 칸마다 이동이 용이한 칸막이를 형성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사료통 11 : 주입구
12 : 공급구 14 : 사료조절 지지대
14a: 체결구멍 15 : 조절판
15a: 조절구멍 16 : 조절 고정대
20 : 회전축 21 : 공급조절원판
22 : 공급조절구멍 23 : 조절핀
24 : 저음대 원판 25 : 저음대
26 : 밀폐원판 27 : 작동바
30 : 원형 먹이통 31 : 원추형 볼록부
32 : 칸막이대 33 : 급수공급파이프
34 : 급수노즐 35 : 급수 파이프
36 : 물받이갓
이하 본 고안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부호 10은 사료통으로서 전체적인 형상이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사료가 투입되는 주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사료 공급구(12)가 형성되며, 사료통(10)의 외부 경사면에는 먹이통(30)의 원주와 연계하여 다수개의 칸막이(32)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구(13)가 설치된다.
사료통(10)의 상부 내측에는 사료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사료조절 지지대(14)가 설치되며, 상기 사료조절 지지대(14)는 어느 일단이 사료통(10)에 볼트로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사료통(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다단계의 높이 조절구멍(15a)이 형성된 조절판(15)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조절판(15)의 조절 구멍(15a)에 삽입된 사료조절 지지대(14)가 이탈되지 않도록 사료조절 지지대(14)에 일단이 고정된 고정대(16)가 임의로 사료통(10)에 결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4)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체결구멍(14a)이 형성되고, 체결구멍(14a)에는 회전축(20)이 끼워지며 회전축(20)의 상단은 둥근 프라스틱 베어링과 나사가 형성되어 너트로 지지대(14)에 고정되어 사료 공급구의 회전을 원활히 되도록 한다.
회전축(20)은 사료통(10)의 중심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대(14)의 하부 즉 회전축(20)의 상부에 사료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공급 조절원판(21)이 설치되고, 공급 조절원판(21)에는 다단계의 구멍(22)이 천공되어 회전각을 조절하는 2개의 조절핀(23)이 끼워지며, 조절핀(23)은 상단이 지지대(14)에 걸릴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축(20)의 하부에는 공급구(12)로 사료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저음대(25)가 형성되고 상기 저음대(25)는 원판(24)에 결합된다.
회전축(20)의 하단에는 공급구(12)를 밀폐할 수 있는 밀폐원판(26)이 설치되고, 밀폐원판(26)에는 다수의 작동바(27)가 먹이통(30)으로 노출되어 형성된다.
사료통(10)의 하부에는 먹이통(30)이 연계하여 결합되며 먹이통(30)의 중앙에는 물침투와 사료의 산개를 목적으로 볼록부(31)가 형성되어 볼록부(31)의 상단이 사료통(10)의 공급구(12)에 근접되도록 형성된다.
먹이통(30)의 원주에는 다수개의 칸막이대(32)가 설치되며, 칸막이대(32)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부가 내측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며, 칸막이대(32)의 상단에는 다수의 노즐(34)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파이프(33)가 급수 파이프(35)에 연계된다.
상기 원형파이프(33)는 사료통(10)의 외주에 설치된 고정구(13)에 고정되고 상기 원형파이프(33)에는 칸막이대(32)의 상부가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운용은, 사료통(10)에 사료를 공급하고 공급구(12)의 사료 량을 조절한다. 사료 공급량의 조절은 사료통(10)의 상단에 수평 설치되어 일측단이 조절판(15)에 끼워져 결합된 지지대(14)를 조절판(15)에 형성된 다단계의 조절구멍(15a) 중 하나의 조절구멍(15a)에 끼워 고정시키면 회전축(20)의 하단에 설치된 밀폐원판(26)이 사료통(10)의 공급구(12)와의 거리가 조절되어 사료의 공급 양이 조절된다.
조절판(15)에 형성된 구멍(15a)은 그 높이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지지대(14)를 상부 구멍(15a)에 결합할 때는 회전축(20)의 하단에 설치된 밀폐원판(26)이 사료 공급구(12)에 거의 근접하여 위치하므로 사료의 공급량이 적어지게 되고, 지지대(14)를 조절판(15)의 하부에 있는 구멍(15a)에 결합할 때는 공급구(12)에서 밀폐원판(26)이 멀어져 공급구(12)와의 간극이 커저 사료의 공급이 많아지게 된다.
가축들의 먹이 시간에는 가축들이 먹이통(30)으로 모이게 되고, 칸막이 사이에서 사료를 먹게 된다. 가축이 먹는 동작에서 먹이통(30)의 중앙에 돌출된 볼록부(31)의 주변에 위치한 작동바(27)를 가축 주둥이로 밀면 회전축이(30) 회전하면서 회전축 하부에 형성된 저음대(25)의 저음 작동에 의해 사료통(10)의 사료가 흘러내리게 되고 볼록부(31) 아래로 산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볼록부(31)의 구성은 사료의 배출 부분과 사료가 쌓이는 부분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가축이 물을 먹다 흘린 물에 사료의 공급 배출구까지 젖는 것을 방지하고 사료가 원활히 흘러내리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가축이 작동바(27)를 계속 밀게 되면 사료 또한 계속적으로 공급되게 되므로 회전축(20)의 회전을 통제하여 사료 공급이 조절된다.
회전축(20)의 회전을 통제하는 방법으로는 상단에 설치된 공급 조절원판(21)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22)에 지지대(14)를 사이로 하여 2개의 조절핀(23)이 끼워져 회전축(20)의 회전을 통제하므로 사료가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먹이통(30)의 원주에 설치되어 먹이통(30)의 먹이 자리를 분할한 칸막이대(32)는 그 중간 부분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가축의 칸막이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 의한 사료 자동 급이기는 사료 공급 조절장치를 2중으로 함으로써 사료공급량을 세분화하여 공급할 수 있으므로 가축에게는 모자라지도 않고 남지도 않는 사료를 공급할 수 있어 사료의 절약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일정한 시간동안에는 무인 관리가 가능하여 적은 인력으로 경영이 가능하므로 경비의 절감효과가 있고 양질의 가축을 사육할 수 있다.
Claims (3)
- 원형의 먹이통(30)과 상기 먹이통(30)의 중앙에 직립한 원추형의 호퍼로 형성되어 사료통(10)으로 구성된 가축의 먹이 기구에 있어서, 다단계의 사료조절장치는 사료통(10)의 내부 상부에 형성되며 사료통(10)의 내벽에 지지되어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지지대(14) 및 다단계의 조절판(15)과 사료통(10)의 중앙에서 통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지지대(14)에 회동 가능하게 플라스틱 베어링과 너트로 고정되고 하부는 밀폐원판(26)에 체결되는 회전축(20)과 사료 공급구(12)와 밀폐원판(16) 사이로 사료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사료 공급구(12)의 외측에 설치한 경사 물받이 갓(36)과 사료의 산개와 바닥 물에 젖지 않도록 구성된 원형 먹이통(30) 중앙의 볼록부(31)와 가축의 먹이 활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먹이통(30)의 원주에 착설된 다수개의 칸막이대(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자동 급이기.
-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20)의 상부는 사료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조절원판(21)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조절원판(21)에는 공급조절원판(21)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조절핀(23)이 형성되며 회전축(20)의 중간부위에는 사료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저음대(25)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자동 급이기.
- 제1항에 있어서, 조절판(15)은 지지대(14)가 삽입되어 밀폐원판(26)과 사료통(10)과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는 다단계의 조절구멍(15a)과 조절을 고정하는 조절 고정대(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료 자동 급이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3847U KR200188614Y1 (ko) | 2000-02-14 | 2000-02-14 | 가축사료 자동 급이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3847U KR200188614Y1 (ko) | 2000-02-14 | 2000-02-14 | 가축사료 자동 급이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88614Y1 true KR200188614Y1 (ko) | 2000-07-15 |
Family
ID=19641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3847U KR200188614Y1 (ko) | 2000-02-14 | 2000-02-14 | 가축사료 자동 급이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88614Y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0289B1 (ko) | 2005-10-19 | 2007-05-22 | 김기주 | 양돈용 습식 급이기 |
KR100868582B1 (ko) | 2007-02-27 | 2008-11-14 | 대한민국 | 병목현상 자동방지기능이 구비된 자돈사료급여기 |
KR200446622Y1 (ko) | 2009-06-26 | 2009-11-12 | 이규호 | 원터치식 사료공급량 조절이 가능한 양돈용 급이기 |
KR200448419Y1 (ko) * | 2007-11-01 | 2010-04-09 | 이창현 | 축산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공급장치 |
KR101338672B1 (ko) * | 2012-01-05 | 2013-12-09 | 이창현 | 자동 습식사료 급여기의 감지장치 |
-
2000
- 2000-02-14 KR KR2020000003847U patent/KR20018861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0289B1 (ko) | 2005-10-19 | 2007-05-22 | 김기주 | 양돈용 습식 급이기 |
KR100868582B1 (ko) | 2007-02-27 | 2008-11-14 | 대한민국 | 병목현상 자동방지기능이 구비된 자돈사료급여기 |
KR200448419Y1 (ko) * | 2007-11-01 | 2010-04-09 | 이창현 | 축산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공급장치 |
KR200446622Y1 (ko) | 2009-06-26 | 2009-11-12 | 이규호 | 원터치식 사료공급량 조절이 가능한 양돈용 급이기 |
KR101338672B1 (ko) * | 2012-01-05 | 2013-12-09 | 이창현 | 자동 습식사료 급여기의 감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73194C2 (ru) | Вращающаяся кормушка для домашнего скота с отверстиями для подачи корма самотеком | |
US7730851B2 (en) | Animal feeder device | |
US7798098B1 (en) | Animal feeder | |
US4401057A (en) | Hog feeder | |
KR100620535B1 (ko) | 사료 자동 공급기 | |
US5150666A (en) | Feeding apparatus | |
US4947798A (en) | Feed pan for pigs and piglets | |
KR200188614Y1 (ko) | 가축사료 자동 급이기 | |
KR20060084427A (ko) | 양돈용 습식 급이기 | |
KR20070099490A (ko) | 양돈용 습식 급이기 | |
KR101923115B1 (ko) |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 |
ES2770079T3 (es) | Alimentador de ganado rotatorio con aberturas de alimentación de flujo por gravedad | |
JP3974277B2 (ja) | 給餌装置 | |
KR20100090539A (ko) | 양돈용 습식 급이기 | |
WO2008123653A1 (en) | Extracting part of humid-typed feeder for rearing pigs | |
KR20070072436A (ko) | 양돈용 액상 급이기 | |
KR200344867Y1 (ko) | 사료 자동 공급기 | |
KR20210133089A (ko) | 양돈용 액상사료 급이기의 사료공급방법 | |
CN104872003A (zh) | 养鸡场投料喂水一体机 | |
KR200315771Y1 (ko) | 어류용 사료공급장치 | |
EP0760203A1 (en) | Regulating silo for feeding cattle | |
KR200436019Y1 (ko) | 티엠알 사료 자동공급기 | |
KR102634335B1 (ko) | 내구성이 높고 안전한 먹이 공급이 가능한 가축 급이기의 사료배출장치 | |
CN216254713U (zh) | 一种禽类用饲料喂养盒 | |
CN216292554U (zh) | 一种畜牧养殖用自动喂料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1028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