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172633Y1 - 크랭크 샤프트 베어링 캡 - Google Patents

크랭크 샤프트 베어링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633Y1
KR200172633Y1 KR2019960056684U KR19960056684U KR200172633Y1 KR 200172633 Y1 KR200172633 Y1 KR 200172633Y1 KR 2019960056684 U KR2019960056684 U KR 2019960056684U KR 19960056684 U KR19960056684 U KR 19960056684U KR 200172633 Y1 KR200172633 Y1 KR 200172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crankshaft
passage
bearing cap
lubricating 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6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565U (ko
Inventor
이경원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56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633Y1/ko
Publication of KR199800435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5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63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2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4Crankshafts, eccentric-shafts; Cranks, eccentrics
    • F16C3/06Crankshafts
    • F16C3/1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9/00Bearings for crankshafts or connecting-rods; Attachment of connecting-rods
    • F16C9/02Crankshaf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6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crankshafts or connecting rods with lubricant passageways, e.g. b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 캡에 있어 크랭크 샤프트와 베어링과의 사이에 유막을 형성하는 윤활유가 항시 제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쿨링순환을 시킬 수 있게 한 크랭크 샤프트 베어링 캡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블럭에 형성된 윤활통로를 통해 상부 베어링 하우징과 베어링 캡에 형성된 하부 베어링 하우징 사이에 장설되는 크랭크 샤프트와 베어링 사이로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캡의 하부 베어링 하우징에서부터 외주면까지 관통하는 회수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회수통로는 윤활통로의 정반대방향에 형성하므로서 윤활통로로부터 공급된 윤활유가 크랭크 샤프트와 베어링 사이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면서 회수될 수 있게 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크랭크 샤프트 베어링 캡
본 고안은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 캡에 있어 베어링 하우징 및 베어링 캡과 베어링의 사이에 유막을 형성하는 윤활유가 항시 제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쿨링순환을 시킬 수 있게 한 크랭크 샤프트 베어링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랭크 샤프트는 크랭크 케이스 안에 설치되며, 실린더블럭의 저부측과 베어링 캡에 설치되는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각 실린더의 동력행정에서 발생한 피스턴의 직선동력을 커넥팅로드를 통해 회전동력으로 바꾸고, 반대로 다른 행정에서는 피스턴에 왕복운동을 가하여 연속해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크랭크 샤프트는 연속적인 회전운동을 하게 되므로서 윤활작용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종래 기술의 크랭크 샤프트의 윤활작용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린더블럭(10)에 형성된 윤활통로(11)를 통해 윤활유를 크랭크 샤프트(12)와 베어링(13) 사이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실린더블럭(10)에 형성되어 있는 윤활통로(11)를 통해서 윤활유를 공급할 수는 있지만 공급된 윤활유를 순환시킬 수 없기 때문에 크랭크 샤프트(12)와 베어링(13) 사이에 향성된 유막의 점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는 크랭크 샤프트(12)가 연속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크랭크 샤프트와 베어링 사이에는 반드시 열이 발생하게 되어 유막의 점도가 저하되는 것이며, 이같이 열에 의해 유막의 점도가 저하될 경우에는 크랭크 샤프트(12)와 베어링(13)이 손상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실린더블럭에 형성된 윤활통로를 통해 베어링 하우징 및 베어링 캡과 베어링 사이에 공급된 윤활유가 오일팬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베어링 하우징 및 베어링 캡과 베어링 사이에 유막을 형성하는 윤활유가 항시 쿨링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베어링을 냉각시키므로서 정상적인 윤활작용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어링이 과열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실린더블럭에 형성된 윤활통로를 통해 상부 베어링 하우징과 베어링 캡에 형성된 하부 베어링 하우징 사이에 장설된 베어링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캡의 하부 베어링 하우징에서부터 외주면까지 관통하는 회수통로를 형성하되, 윤활통로의 회수통로는 상, 하부 베어링 하우징의 내주면에 요입 형성된 윤활유홈과 연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회수통로는 윤활통로의 정반대방향에 형성하므로서 윤활통로로부터 공급된 윤활유가 베어링 하우징 및 베어링 캡과 크랭크 샤프트와 베어링 사이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면서 회수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크랭크 샤프트 베어링 캡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종래 기술의 크랭크 샤프트의 설치구조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 : 크랭크 샤프트 2,10 : 실린더블럭
3 : 베어링 캡 4,13 : 베어링
5,11 : 윤활통로 6 : 회수통로
7 : 윤활유홈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크랭크 샤프트 베어링 캡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크랭크 샤프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크랭크 샤프트(1)는 실린더블럭(2)의 저부에 형성된 하부 베어링 하우징과 베어링 캡(3)의 상부 베어링 하우징에 장설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상, 하부 베어링 하우징에는 크랭크 샤프트(1)를 지지하는 베어링(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블럭(2)에는 오일팬(도시 생략)으로부터 윤활유가 유입되어 상부 베어링 하우징을 향해 관통되어 있는 윤활통로(5)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하부 베어링 하우징에는 베어링 캡(3)의 외주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수통로(6)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윤활통로(5) 및 회수통로(6)는 상, 하부 베어링 하우징에 형성된 윤활유홈(7)과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실린더블럭(2)에 형성된 윤활통로(5)로 통해 상부 베어링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윤활유는 윤활유홈(7)에 의하여 베어링 하우징 및 베어링 캡(3)과 베어링(4) 사이로 분포되어 유막을 형성하게 되어 베어링(4)은 부드럽게 회전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윤활통로(5)로 유입되는 윤활유의 일부는 윤활유홈(7)을 통해 베어링 캡(3)의 하부 베어링 하우징으로 이동하여 회수통로(6)를 통해 오일팬으로 회수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는 작용을 반복 되풀이하게 되는데, 이와같이 순환하는 윤활유는 충분히 쿨링된 상태에서 윤활통로(5)로 연속적으로 재유입되면서 베어링 하우징 및 베어링 캡(3)과 베어링(4) 사이에 형성된 유막을 쿨링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어 유막은 항시 재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점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서 베어링(4)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의해 베어링(4)이 과열되어 손상되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베어링 캡(3)에 형성되는 회수통로(6)를 윤활통로(5)와 정반대의 방향에 형성하므로서 윤활통로(5)로 유입된 윤활유가 크랭크 샤프트(1)와 베어링(4) 전체에 고르게 분포된 후 회수되는 순환작용을 할 수 있게 되어 유막의 쿨링작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윤활통로를 통해 베어링 하우징 및 베어링 캡과 베어링 사이에 공급된 윤활유가 유막을 형성하면서 베어링 캡에 형성된 회수통로를 통해 오일팬으로 회수되어 쿨링된 후 다시 윤활통로로 재공급되므로서 크랭크 샤프트와 베어링 사이에 형성되는 유막은 항시 쿨링된 상태하에서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다 주어 베어링의 손상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베어링의 내구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실린더블럭에 형성된 윤활통로를 통해 상부 베어링 하우징과 베어링 캡에 형성된 하부 베어링 하우징 사이에 장설된 베어링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캡의 하부 베어링 하우징에서부터 외주면까지 관통하는 회수통로를 형성하되, 윤활통로와 회수통로는 상, 하부 베어링 하우징의 내주면에 요입 형성된 윤활유홈과 연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샤프트 베어링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수통로는 윤활통로의 정반대방향에 형성하므로서 윤활통로로부터 공급된 윤활유가 베어링 하우징 및 베어링 캡과 베어링 사이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면서 회수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샤프트 베어링 캡.
KR2019960056684U 1996-12-26 1996-12-26 크랭크 샤프트 베어링 캡 Expired - Lifetime KR200172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684U KR200172633Y1 (ko) 1996-12-26 1996-12-26 크랭크 샤프트 베어링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684U KR200172633Y1 (ko) 1996-12-26 1996-12-26 크랭크 샤프트 베어링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565U KR19980043565U (ko) 1998-09-25
KR200172633Y1 true KR200172633Y1 (ko) 2000-04-01

Family

ID=1948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6684U Expired - Lifetime KR200172633Y1 (ko) 1996-12-26 1996-12-26 크랭크 샤프트 베어링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6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565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2633Y1 (ko) 크랭크 샤프트 베어링 캡
JP2005273715A (ja) エンジンの軸受装置
US5267537A (en) Lubricating structure for power transmission chain
JP3890857B2 (ja) ピストンの潤滑構造
KR100291749B1 (ko) 오일통로가형성된자동차용실린더블록과크랭크축베어링의구조
EP4177455A1 (en) Stirling engine
KR100488565B1 (ko) 피스톤의 윤활 및 냉각구조
KR100241367B1 (ko) 엔진 오일용 필터의 장착구조
KR200159678Y1 (ko) 피스톤의 냉각장치
KR19980020703U (ko) 자동차엔진윤활용 엔진오일통로구조
KR0135560Y1 (ko) 자동차엔진의 밸런스축 윤활유 공급구조
KR960005513Y1 (ko) 엔진의 윤활장치
KR200152948Y1 (ko) 커넥팅로드의 윤활구조
KR100219450B1 (ko) 오일 스크린
KR19980027801U (ko) 자동차 엔진의 오일 냉각장치
KR19990020867U (ko) 윤활성을 개선한 캠샤프트
KR960008156B1 (ko) 자동차 엔진 윤활장치의 잉여오일 사용을 위한 유압회로
KR200294552Y1 (ko) 공냉식 엔진의 커넥팅 로드 오일 통로
KR100410497B1 (ko) 자동차의 윤활장치
KR19990032830U (ko) 크랭크축 메인 베어링의 윤활구조
KR19980037286U (ko) 피스톤의 오일 저장구조
KR20000014131U (ko) 크랭크 샤프트의 비산오일 일부 차단장치
CA1060290A (en) Internal oil seal for piston
KR200176251Y1 (ko) 자동차의 엔진 오일 비산 탱크 구조
KR19990032283A (ko) 스터링사이클기기의 운동부 윤활 및 냉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22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1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26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53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12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