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160297Y1 - 건축물 외부 마감판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부 마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297Y1
KR200160297Y1 KR2019970013261U KR19970013261U KR200160297Y1 KR 200160297 Y1 KR200160297 Y1 KR 200160297Y1 KR 2019970013261 U KR2019970013261 U KR 2019970013261U KR 19970013261 U KR19970013261 U KR 19970013261U KR 200160297 Y1 KR200160297 Y1 KR 200160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te
finishing plate
fastener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082U (ko
Inventor
김선심
Original Assignee
김선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심 filed Critical 김선심
Priority to KR2019970013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297Y1/ko
Publication of KR199900000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0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2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05Peg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건축물 외부 마감판은 고정구가 마감판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미관상 불리할 뿐 아니라 고정구가 두 개의 마감판을 동시에 관통하므로 철거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빗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단(51)에 비해 하단(52)의 두께가 크게 형성되고, 설치시 내측 상단(52')은 벽(60)에 밀착되고 내측 하단(52')은 벽(60)과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내부면이 각이 지게 형성되며, 상단(51)은 나사나 못과 같은 고정구(61)를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토록 고정부(53)로 형성되고 고정부(53)의 끝단이 다른 마감판(5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 홈(54)에 삽입됨으로써 고정구(61)가 외측으로 나타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정구(61)가 하나의 마감판(50)만을 고정하므로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고 삽입 홈(54)의 외측부에 의해 고정구(61)가 덮이게 되므로 미관이 유려한 건축물 외부 마감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외부 마감판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되어 미관을 좋게 하는 건축물 외부 마감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돌출부와 삽입 홈을 형성하여 적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한 건축물 외부 마감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물 외부 마감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이 흘러내리기 용이하도록 하단(12)의 두께를 상단(11)에 비해 크게 제작하였다.
건축물의 외벽(20)에 일정 간격으로 지지용 목재(22)를 설치하고, 마감판(10)을 두꺼운 부분(12)이 아래로 가도록 한 후, 마감판(10)의 상단(11)과 다른 마감판의 하단을 겹친 후 못과 같은 고정구(21)를 사용하여 벽(20)에 설치하였다. 따라서, 빗물이 마감판(10)에 떨어지더라도 경사면을 따라 흘러 내려 마감판(10)의 안쪽으로 빗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건축물 외부 마감판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이 곤란하고 두 개의 마감판을 겹친 상태에서 고정하게 되므로 철거 작업 또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수평 방향으로 길게 설치해야 하므로 고정구를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할 때 위치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잡아 주어야 하므로 설치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로오르형 건축물 외부 마감판을 사용하기도 한다. 플로오르형 마감판(30)은 일측에는 돌출부(31)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돌출부(31)가 삽입되는 홈(32)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고, 마루 조립과 같이 한 마감판의 돌출부(31)를 다른 마감판의 홈(32)에 삽입하여 조립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건축물의 외벽(40)에 지지용 목재(42)를 설치한 후, 지지용 목재(42)의 외측에 플로오르형 마감판(30)을 길게 설치하고, 다른 마감판과 조립한 후 겹치는 부분을 고정구(42)로 고정하여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조립의 불편함은 어느 정도 해소 할 수 있으나, 마감판(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빗물 등이 유입되어 마감판(30)을 부식시키게 되고, 최상단의 형상은 다르게 형성해야 한다. 이는 플로오르형 마감판(10)의 돌출부(31)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일이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건축물 외부 마감판은 양자 모두 고정구가 마감판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미관상 불리할 뿐 아니라 고정구가 두 개의 마감판을 동시에 관통하므로 철거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측에 삽입 홈을 설치하여 조립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구가 외측에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이 유려한 건축물 외부 마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건축물 외부 마감판의 설치 상태도이고,
제2도는 종래의 플로오르형 마감판의 설치 상태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부 마감판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건축물 외부 마감판의 설치 상태도이며,
제5도는 제4도의 "A"부분의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건축물 외부 마감판 51 : 상단
52 : 하단 53 : 고정부
54 : 삽입 홈 55 : 가로 방향의 홈
60 : 벽 61 : 고정구
62 : 지지용 목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하여 미적 효과를 추구하는 건축물 외부 마감판에 있어서; 빗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단에 비해 하단의 두께가 크게 형성되고, 설치시 내측 상단은 벽에 밀착되고 내측 하단은 벽과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내부면이 각이 지게 형성되며, 상단은 나사나 못과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토록 고정부로 형성되고 고정부의 끝단이 다른 마감판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 홈에 삽입됨으로써 고정구가 외측으로 나타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건축물 외부 마감판(5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단(51)에 비해 하단(52)의 두께가 크게 형성되고, 설치시 내측 상단(51')은 벽(60)에 밀착되고 내측 하단(52')은 벽(60)과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각이 지게 형성되며, 상단(51)은 나사나 못과 같은 고정구(61)를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토록 고정부(53)로 형성되고 고정부(53)의 끝단이 다른 마감판(5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 홈(54)에 삽입됨으로써 고정구(61)가 외측으로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마감판(50)의 하단(52)은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시 내측부의 끝단이 고정구(61)에 걸리지 않도록 하고, 그 내면에는 부식이 방지되도록 가로 방향의 홈(55)이 복수개 형성되어 공기가 유통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건축물 외부 마감판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다.
건축물의 외벽(60)에 지지용 목재(62)를 설치하고,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조립해 나가게 된다. 고정구(61)가 상단(51)의 고정부(53)를 관통하여 지지용 목재(62)에 이르도록 하고, 하단(52)의 삽입 홈(54)에 상단(51)의 고정부(53)가 삽입되도록 설치한다. 즉, 상단(51)의 고정부(53)를 지지용 목재(62)에 고정하면서 삽입홈(54)에 고정부(53)가 삽입되도록 적층하여 외부 마감을 완료하게 된다.
그런데, 고정구(61)가 고정부(53)를 관통할 때 삽입 홈(54)의 내측 끝단이 걸리지 않게 되므로 고정구(61)는 하나의 마감판(50) 만을 지지하게 되고, 삽입 홈(54)의 외측부가 고정구(51)를 덮게 된다. 따라서, 고정구(51)가 외측으로 드러나지 않게 되므로 미관이 유려하게 되고, 각 고정구(51)는 하나의 마감판(50)만을 고정하므로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게 된다.
물론, 마감판의 하단(52) 외면이 상단(51) 외면에 비해 지지용 목재로부터 더 이격되어 있고 마감판의 하단이 하측에 설치된 마감판의 상단을 덮고 있으므로, 인접된 두 마감판 사이의 갭은 외측으로 드러나지 않게 되어 마감판(50)의 안쪽으로 흘러들지 않고 하측으로만 흘러내리게 된다. 따라서, 마감판의 외부면을 방수처리할 경우 마감판의 내부로도 빗물이 스며들지 않게 되어 부식이 방지된다.
또한, 내측에 가로 방향의 홈(55)이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되므로 벽과의 사이에 침투된 습기에 의한 마감판(50)의 부식이 방지되고, 하단 부분이 벽면과 일정정도 이격되므로 부식 방지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제거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건축물 외부 마감판은 고정구가 하나의 마감판만을 고정하므로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고, 삽입 홈의 외측부에 의해 고정구가 덮이게 되므로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내측부에 형성된 가로 방향의 홈과 각이 지게 형성된 하단부로 인해 내부면을 따라 공기가 유통되어 부식이 방지되므로 수명이 길어지는 다른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하여 미적 효과를 추구하는 건축물 외부 마감판에 있어서; 빗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단에 비해 하단의 두께가 크게 형성되고, 설치시 내측 상단은 벽에 밀착되고 내측 하단은 벽과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내부면이 각이 지게 형성되며, 상단은 나사나 못과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토록 고정부로 형성되고 고정부의 끝단이 다른 마감판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 홈에 삽입됨으로써 고정구가 외측으로 나타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부 마감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의 하단은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시 내측부의 끝단이 고정구에 걸리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부 마감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은 그 내면에 공기가 유통되는 가로 방향의 홈이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부 마감판.
KR2019970013261U 1997-06-03 1997-06-03 건축물 외부 마감판 KR200160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261U KR200160297Y1 (ko) 1997-06-03 1997-06-03 건축물 외부 마감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261U KR200160297Y1 (ko) 1997-06-03 1997-06-03 건축물 외부 마감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082U KR19990000082U (ko) 1999-01-15
KR200160297Y1 true KR200160297Y1 (ko) 1999-11-01

Family

ID=1950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261U KR200160297Y1 (ko) 1997-06-03 1997-06-03 건축물 외부 마감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2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855A (ko) * 2012-03-15 2013-09-25 김기태 단열패널과 브라켓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77960C (en) * 1999-06-24 2007-12-04 Flexiteek International A/S Shape conforming surface cover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855A (ko) * 2012-03-15 2013-09-25 김기태 단열패널과 브라켓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082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2351U (ko) 건축물외장판재의설치구조
KR100825883B1 (ko) 건축물의 슬라이딩식 목재데크판 고정 구조
KR101359182B1 (ko) 레일 패널
KR200160297Y1 (ko) 건축물 외부 마감판
KR200405447Y1 (ko) 지붕패널
JP7289490B2 (ja) 軒先構造
JP3756254B2 (ja) 建築用壁面板と屋根構造及び壁面構造
JP2011052415A (ja) 見切り材及び見切り材の納まり構造
KR100964345B1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JP3399628B2 (ja) 外壁の胴差部化粧防水構造
KR200422988Y1 (ko) 건축용 결속편형 조립식 판넬
KR200373828Y1 (ko) 욕실용 천장패널 이음부 장식몰딩
JP3669386B2 (ja) 端部構造
JP2539154B2 (ja)
JPH0444735Y2 (ko)
JP7007211B2 (ja) 鼻隠部材および屋根
JPS6214247Y2 (ko)
JP3989602B2 (ja) 軒先構造
KR200309941Y1 (ko) 건축용 패널의 조인트 커버
JPH0532567Y2 (ko)
JPS6334002Y2 (ko)
JPS6328727Y2 (ko)
JP4323933B2 (ja) バルコニーの格子ユニットの取付け構造
KR20230113213A (ko) 마감재 시공구조
JPH068172Y2 (ja) 軒天井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