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167359Y1 - 보도블록 - Google Patents

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359Y1
KR200167359Y1 KR2019970031129U KR19970031129U KR200167359Y1 KR 200167359 Y1 KR200167359 Y1 KR 200167359Y1 KR 2019970031129 U KR2019970031129 U KR 2019970031129U KR 19970031129 U KR19970031129 U KR 19970031129U KR 200167359 Y1 KR200167359 Y1 KR 200167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portion
convex curved
sidewalk block
circumference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058U (ko
Inventor
이영식
Original Assignee
이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식 filed Critical 이영식
Priority to KR2019970031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359Y1/ko
Publication of KR980003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0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3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특히 꽃모양의 무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생활환경의 미화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마감처리가 쉬울 뿐만 아니라 일측면으로 작용하는 힘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켜주므로써 쉽게 흐트러지지 않는 보도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보도블록은 소정 곡률의 원주를 따라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제1볼록 곡면부, 제1볼록 곡면부의 왼쪽으로 배치되고 소정 곡률의 원주를 따라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제2볼록 곡면부, 제1볼록 곡면부의 오른쪽에 제2볼록 곡면부와 대칭되게 배치되고 소정 곡률의 원주를 따라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제3볼록 곡면부 및 제1볼록 곡면부 내지 제3볼록 곡면부에 마주보고 배치되고 소정 곡률의 원주를 따라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곡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도에 용이하게 꽂무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생활환경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일측의 방향에서 큰 힘이 작용되더라도 그 힘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켜주므로써 쉽게 흐트러지지 않으며 한쪽으로 치우치게 각각 배치되어 있는 각각의 돌기들로 인해 결합력이 더욱 견고하고 또한 돌기로 인한 틈새는 필요에 따라 충진재를 채우므로 써 더 향상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해주며 마감석을 이용하므로써 쉽게 마무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 준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보도블록
본 고안은 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 가의 보도나 공원, 아파트, 골목 등의 보도에 설치하여 사람이 편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해주며 빗물 등으로 인해 보도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가의 보도 등에는 동일한 형상을 가진 보도블록을 연속되게 설치하여 사람들이 용이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보도블록은 사람이 편안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눈, 비 등으로 인해 진흙탕길이 되는 것을 막아주고 또한 비로 인해 보도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보도블록으로는 여러 형태의 것이 사용되고 있는 데, 대부분 직육면체의 형상을 하고 있고, 일부 조금 변형된 형태의 것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첨부된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종래의 보도블록을 설명한다.
도1은 일반적인 직육면체 형태의 보도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에는 보도블록(10)이 도시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보도블록(10)은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판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상면에는 볼록돌기(12)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볼록돌기(12)는 행인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때로는 건널목 부근에 설치되는 경우 맹인들에게 건널목이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보도블록(10)은 그 면적이 넓어 짧은 시간에도 넓은 면적에 걸쳐서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충격을 받는 경우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특히,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보도블록(10)을 사용하는 경우 그 외곽이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모양의 무늬를 형성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보도블록이 설치되는 부분이 편평하지 않은 경우 쉽게 유동될 우려가 있고 이에 따라 보도블록이 이탈될 염려가 많다. 그 외에 마감석과의 경계부분에서는 공사현장의 작업자가 직접 도1의 보도블록(10)을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설치하는 데, 이는 매우 힘든 일이며 미감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도2는 보도블록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의 보도블록(20)은 벽돌형태의 모양을 하고 있다. 이 보도블록(20)은 길이 방향의 양측면을 곡면으로 형성한 것으로 도1의 보도블록(10)에 비해 파손될 염려가 적고 이웃하는 보도블록(20)과 곡면으로 접촉되는 부분이 있어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길이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그 힘이 한 곳으로 집중되어 그 설치상태가 흐트러질 확률이 높다. 뿐만 아니라 도2에 나타낸 보도블록(20) 역시 마감처리에 어려움이 따르며 모양이 단순하고 직선부를 구비하고 있어 다양한 모양의 무늬를 형성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특히 꽃모양의 무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생활환경의 미화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마감처리가 쉬울 뿐만 아니라 일측면으로 작용하는 힘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켜주므로써 쉽게 흐트러지지 않는 보도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직육면체 형태의 보도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보도블록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보도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4a는 도3 보도블록의 평면도이고.
도4b는 도3 보도블록의 저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보도블록을 도로 가의 보도 등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보도블록과 한 조를 이루는 마감석을 나타낸 평면도.
도7과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보도블록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도블록 105 : 돌기
107 : 틈새 110 : 제1볼록 곡면부
120 : 제 2볼록곡면부 130 : 제3볼록 곡면부
140 : 오목곡면부 200 : 마감석
202 : 좌볼록 마감석 204 : 우볼록 마감석
206 : 좌오목 마감석 208 : 우오목 마감석
본 고안의 목적은 사람이 다니는 보도에 설치하기 위한 보도블록에 있어서, 소정 곡률의 원주를 따라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제1볼록 곡면부, 제1볼록 곡면부의 왼쪽으로 배치되고 소정 곡률의 원주를 따라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제 2볼록곡면부, 제1볼록 곡면부의 오른쪽에 제2볼록 곡면부와 대칭되게 배치되고 소정 곡률의 원주를 따라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제3볼록 곡면부 및 제1볼록 곡면부 내지 제3볼록 곡면부에 마주보고 배치되고 소정 곡률의 원주를 따라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보도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에는 본 고안에 따른 보도블록(100)이 도시되어 있다. 이 보도블록(100)은 제1볼록 곡면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볼록 곡면부(110)는 소정곡률의 원주를 따라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제1볼록 곡면부(110)의 일측에는 상하로 돌기(10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105)는 제1볼록 곡면부(110)의 좌우 중앙이 아닌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바깥쪽으로 돌출 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105)는 이웃하여 배치되는 보도블록(100)과 소정의 틈새를 유지하여 필요한 충진재를 채울 수 있도록 해준다.
제1볼록 곡면부(110) 왼쪽으로는 제2볼록 곡면부(1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2볼록 곡면부(120)는 제1볼록 곡면부(110)와 동일한 곡률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제2볼록 곡면부(120)의 일측에 돌기(105)가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05) 역시 제2볼록 곡면부(120)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역할 역시 제1볼록 곡면부(110)에서와 동일하다.
제1볼록 곡면부(110) 오른쪽으로는 제 3볼록곡면부(1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3볼록곡면부(130)는 제1불록곡면부(110)와 동일한 곡률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제3볼록 곡면부(130)의 일측에 상하로 돌기(10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05) 역시 제 3볼록곡면부(130)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역할 역시 제1볼록 곡면부(110)에서와 동일하다.
본 고안에 따른 보도블록(100)은 오목곡면부(1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오목곡면부(140)는 제1볼록 곡면부(110) ∼ 제3볼록 곡면부(130)에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으며 소정 곡률의 원주를 따라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곡면부(140)의 곡률은 제1볼록 곡면부(110) ∼ 제 3볼록곡면부(140)와 거의 동일하여야 된다. 이 오목곡면부(140)는 제1볼록 곡면부(110) ∼ 제3볼록 곡면부(130)와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된다. 이러한 오목곡면부(140)에도 돌기(105)가 상하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05)는 각 오목곡면부(140)의 중앙이 아닌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곡면부(140)는 이웃하는 보도블록(100)의 제1볼록 곡면부(110) 제3볼록 곡면부(130)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보도블록(100)은 전체적으로 한 장의 꽃잎 형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4a는 도3 보도블록의 평면도이고, 도4b는 도3 보도블록의 저면도이다.
도4a와 도4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도블록(100)은 제1볼록 곡면부(110), 제2볼록 곡면부(120), 제3볼록 곡면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볼록 곡면부(110)∼제3볼록 곡면부(130)에는 각각 돌기(105)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기(105)는 모두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볼록 곡면부(110) ∼ 제3볼록 곡면부(130) 맞은편에는 오목곡면부(14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곡면부(140)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1볼록 곡면부(110) ∼ 제3볼록 곡면부(130)와 동일한 곡률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곡면부(140)는 이웃하여 배치되는 보도블록(100)의 제1볼록 곡면부(110), 제2볼록 곡면부(120), 제3볼록 곡면부(130)가 각각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오목곡면부(140)에도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돌기(10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상 도3과 도4a 및 도4b를 통해 설명한 보도블록(100)을 설치한 상태는 도5를 보면 알 수 있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보도블록을 도로 가의 보도 등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5에는 다수의 보도블록(100)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보도블록(100)의 제 1볼록곡면부(110)는 앞쪽에 배치된 보도블록(100)의 가운데 오목곡면부(140)에 결합되어 있고, 제2볼록 곡면부(120)는 왼쪽에 배치된 보도블록(100)의 오른쪽 오목곡면부(140)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3볼록 곡면부(130)는 오른쪽에 배치된 보도블록(100)의 왼쪽 오목곡면부(140)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돌기(105)는 상대편 보도블록(100)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이웃 보도블록(100)과 소정 간격의 틈새(107)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서로 마주 보는 부분에서의 돌기(105)는 서로 어긋나게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다. 돌기(105)에 의한 틈새(107)는 보도에서의 배수를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불필요시에는 모래나 기타 충진재를 채우므로써 보도블록(100)이 보다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일측의 보도블록(100)에 힘이 작용하더라도 그 힘은 제1볼록 곡면부(110) ∼ 제3볼록 곡면부(130)를 통해 여러 방향으로 분산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보도블록(100)을 이용하는 경우 일측의 보도블록(100)에 큰 힘이 작용하더라도 보도블록(100)이 쉽게 흐트러지지 않는다.
그 외에도 본 고안에 따른 보도블록(100)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가지 형태의 꽃모양 무늬를 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뿐만 아니라 돌기(105)는 이웃 보도블록(100)에 쐐기모양으로 접촉되어 쉽게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주기도 한다. 마무리되는 부분에는 도3 보도블록(100)을 4등분한 각각의 마감석(202 ∼ 208)을 이용하면 되는데, 이는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보도블록과 한 조를 이루는 마감석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감석(200)은 도3 보도블록(100)이 4등분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그 사용상태는 도5를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도6에서 알 수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감석(200)은 좌볼록마감석(202), 우볼록마감석(204), 좌오목마감석(206) 및 우오목마감석(208)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직선과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사용되며, 이 역시 각각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돌기(205)를 구비하고 있다.
도7과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보도블록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사진이다.
도7과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도블록을 이용하는 경우 아름다운 꽃무늬와 이를 응용한 무늬를 쉽게 형성할 수 있어 도시미관의 정화에 일조를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도블록을 이용하면 보도에 용이하게 꽃무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생활환경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준다. 뿐만 아니라 일측의 방향에서 큰 힘이 작용되더라도 그 힘을 여러방향으로 분산시켜주므로써 쉽게 흐트러지지 않으며 한쪽으로 치우치게 각각 배치되어 있는 각각의 돌기들로 인해 결합력이 더욱 견고하다. 또한 돌기로 인한 틈새에는 필요에 따라 충진재를 채우므로써 더 향상된 결합력을 얻을 수 있고, 마감석을 이용하므로써 쉽게 마무리 작업을 할 수 있다.

Claims (4)

  1. 사람이 다니는 보도에 설치하기 위한 보도블록에 있어서, 소정 곡률의 원주를 따라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제1볼록 곡면부; 상기 제1볼록 곡면부의 왼쪽으로 배치되고 소정 곡률의 원주를 따라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제2볼록 곡면부; 상기 제1볼록 곡면부의 오른쪽에 상기 제2볼록 곡면부와 대칭되게 배치되고 소정 곡률의 원주를 따라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제3볼록 곡면부; 및 상기 제1볼록 곡면부 내지 제3볼록 곡면부에 마주보고 배치되고 소정 곡률의 원주를 따라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볼록 곡면부, 제2볼록 곡면부, 제3볼록 곡면부, 오목곡면부에 일측으로 치우치게 상하로 각각 형성되고 바깥쪽으로 돌출된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볼록 곡면부 내지 제3볼록 곡면부는 상기 오목곡면부 반대편 한쪽에 몰려있어 하나의 꽃잎모양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볼록 곡면부 내지 제3볼록 곡면부와 오목곡면부의 곡률은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KR2019970031129U 1997-11-05 1997-11-05 보도블록 KR200167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129U KR200167359Y1 (ko) 1997-11-05 1997-11-05 보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129U KR200167359Y1 (ko) 1997-11-05 1997-11-05 보도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058U KR980003058U (ko) 1998-03-30
KR200167359Y1 true KR200167359Y1 (ko) 2000-02-01

Family

ID=1951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129U KR200167359Y1 (ko) 1997-11-05 1997-11-05 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3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058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6494C (en) Paving stone
US5503498A (en) Paving stone with lateral spacers
US5797698A (en) Paving elements for the water-permeable reinforcement of surfaces
ES2265434T3 (es) Unidad de pavimento.
ATE310852T1 (de) Pflasterstein
KR100711569B1 (ko) 포장용 블록
US5941657A (en) Floor covering made up of pentagonal concrete moulded parts with joints between them
ES2372529T3 (es) Piedra para conformar un pavimento.
KR200167359Y1 (ko) 보도블록
KR200167358Y1 (ko) 보도블록
KR200167360Y1 (ko) 보도블록 마감석
US2033028A (en) Pavement curb
ATE56769T1 (de) Bodenbelagelement, insbesondere (beton)pflasterstein.
FI98239C (fi) Kivi ja laatta
JP3475906B2 (ja) 自由勾配型函渠側溝
KR200301571Y1 (ko) 삼각형 연접돌기 및 홈 부 보도블록
KR102264087B1 (ko) 경계석 어셈블리
JPH0437922Y2 (ko)
JP2002530551A (ja) 交通エリアのための、人工石材から形成した舗装エレメントによる舗装面
KR200385871Y1 (ko) 조립형 횡단보도 블럭
EP0347113A1 (en) Paving and tiling
KR200311107Y1 (ko) 도로 경계석
CN212279124U (zh) 保护盘
KR200320477Y1 (ko) 기능성 보도블록
KR200255905Y1 (ko) 도로용 2중경계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