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159464Y1 - 수직 컨베이어의 달걀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수직 컨베이어의 달걀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464Y1
KR200159464Y1 KR2019970025425U KR19970025425U KR200159464Y1 KR 200159464 Y1 KR200159464 Y1 KR 200159464Y1 KR 2019970025425 U KR2019970025425 U KR 2019970025425U KR 19970025425 U KR19970025425 U KR 19970025425U KR 200159464 Y1 KR200159464 Y1 KR 200159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fork
conveyor
horizontal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2338U (ko
Inventor
김순중
Original Assignee
김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중 filed Critical 김순중
Priority to KR2019970025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464Y1/ko
Publication of KR199900123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3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46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4Nest-boxes, e.g. for singing birds or the like
    • A01K31/16Laying nests for poultry; Egg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3/00Testing, sorting or cleaning eggs ; Conveying devices ; Pick-u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08Eg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65G47/681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from distinct, separate conveyor la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라미드형 케이지로부터의 수평이동에 따른 설치 면적의 증대로 인한 부지의 활용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집난 시스템의 달걀 수직전달 장치로써 그 폭을 좁게 형성함에 따른 달걀 안내에 있어서의 충돌 없는 효율성을 제고한 수직 컨베이어의 달걀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수평 컨베이어 폭과 같은 폭으로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는 상하 스포로킷 사이에 체인이 권설되어 모터로 구동되고, 상기 체인의 일정 간격으로는 횡축이 가로 설치되어 일정 간격으로 포크가 부설되고, 케이지로부터의 수평 켄베이어의 종단에는 대기되는 달걀의 공급 행거를 가지게 형성하되, 상기 포크와 공급 행거는 일정한 이 격 간격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간격 사이에는 달걀 전달 수단을 가지는 수직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횡축의 양단에는 달걀 이탈 방지 플레이트가 부설되고, 상기 포크는 상면에 원호부를 가지며, 하면 전방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바 형태로써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 스프로킷의 사이의 축에는 등각도의 3방향으로 안내바를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일정 간격으로 부설되어 스프로킷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포크 사이사이에 개재되는 수급 행거의 상부에는 선단에 절곡 스톱퍼를 갖는 윙이 사방으로 형성된 센타에 축을 갖는 달걀 안내용 회전자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 컨베이어의 달걀 배출 장치
본 고안은 양계장의 집난 시스템에서 수평이동 시킨 달걀을 수직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컨베이어에 전달되어 수직 이동한 후 다시 이 달걀을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부에서 난의 역전에 의한 탈락을 방지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가이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라미드형 케이지로부터의 수평이동에 따른 설치 면적의 증대로 인한 부지의 활용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집난 시스템의 달걀 수직 전달 장치로써 그 폭을 좁게 형성함에 따른 달걀 안내에 있어서의 충돌 없는 효율성을 제고한 수직 컨베이어의 달걀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지를 피라미드형으로 설치한 양계장에서는 집난 컨베이어 역시 중첩 폭을 갖기는 하지만 수평이동을 위한 컨베이어가, 케이지가 설치되는 하부 최대 폭을 점유하면서 설치됨으로써, 양계 면적을 불필요하게 넓게 함으로 인한 부지의 활용도를 나쁘게 함은 물론 이로부터 달걀을 받아 수직 이동시키는 수직 컨베이어 장치 또한 넓은 폭을 가지면서 그 크기가 커서 동력도 많이 드는 등의 장치 비용적인 부담 또한 큰 문제점이다.
이러한 종래의 피라미드 형 케이지에 설치되는 집난 시스템의 달걀 수직 전달 장치를 제1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로 구동되는 비교적 큰 폭으로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는 상하 스프로킷(10,20)사이에 체인(30)이 권설되고, 상기 체인(30)의 일정 간격으로는 횡축(41)이 가로 설치되고, 이 횡축(41)에는 일정 간격으로 수평 컨베이어(100)의 종단에서 대기되는 난을 떠안을 수 있는 포크(42)가 부설되어 수직 승강 컨베이어(200)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 컨베이어(100)의 종단에 대기되는 달걀은 상기 포크(42) 사이사이에 개재되어 중첩되는 공급 행거(120)를 가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포크(42)가 역전되는 수직 컨베이어(200)의 상부 배면에는 역시 상기 공급 행거(120)와 같은 구조의 수급 행거(120A)가 수평 컨베이어(100A)에 부설되어 배출되는 달걀을 필요 장소로 보내게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각층의 케이지로부터 온 달걀이 수직승강 컨베이어(200)로 이동시 서로 다른 폭을 사용하게 되어 다른 층의 달걀과 부딪히는 충돌 장애가 없으나 상기에서 설명한 양계 면적을 불필요하게 넓게 함으로 인한 부재의 활용도를 나쁘게 함은 물론 이로부터 달걀을 받아 수직 이동시키는 수직 컨베이어 장치 또한 넓은 폭을 가지면서 그 크기가 커서 동력도 많이 드는 등의 장치 비용적인 부담 또한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지를 수직형으로 설치함에 따라 그 설치 면적을 최소화하여 양계장의 부지면적 활용을 보다 좋게 함에 의해 수직 승강 컨베이어도 좁은 폭으로 설치함에 따른 각층의 케이지로부터의 유입되어 배출 안내되는 승강 난이 서로 장애가 없이 원할히 수직 컨베이어의 상부에서 역전됨과 동시에 배출되는 달걀들이 서로 장애를 갖지 않고 원할히 배출 이송되게 한 수직 컨베이어의 달걀 배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수평 컨베이어 폭과 같은 폭으로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는 상하 스프로킷 사이에 체인이 권설되어 모터로 구동되고, 상기 체인의 일정 간격으로는 횡축이 가로 설치되어 일정 간격으로 포크가 부설되고, 케이지로부터의 수평 컨베이어의 종단에는 대기되는 달걀의 공급 행거를 가지게 형성하되, 상기 포크와 공급 행거는 일정한 이 격 간격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간격 사이에는 전달 수단을 가지는 수직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횡축의 양단에는 달걀 이탈 방지 플레이트가 부설되고, 상기 포크는 상면에 원호부를 가지며, 하면 전방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바 형태로써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 스프로킷의 사이의 축에는 등각도의 3방향으로 안내바를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일정 간격으로 부설되어 스프로킷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포크 사이사이에 개재되는 수급 행거의 상부에는 선단에 절곡 스톱퍼를 갖는 윙이 사방으로 형성된 센타에 축을 갖는 달걀 안내용 회전자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도는 종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횡축 42 : 포크
42A : 원호부 43 : 이탈 방지 플레이트
42B : 걸림턱 10S : 축
50 : 가이드 플레이 51 : 안내바
60 : 회전자 61 : 스톱퍼
62 : 윙 60S : 축
이하에서 본 고안을 양호안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서와 같이 수평 컨베이어 폭과 같은 폭으로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는 상하 스프로킷(10,20) 사이에 체인(30)이 권설되어 모터로 구동되고, 상기 체인(30)의 일정 간격으로는 횡축(41)이 가로 설치되어 일정 간격으로 포크(42)가 부설되고, 케이지로부터 달걀을 안내하는 수평 켄베이어(100)의 종단에는 대기되는 달걀의 공급 행거(120)를 가지게 형성하되, 상기 포크(42)와 공급 행거(120A)는 일정한 이 격 간격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간격 사이에는 달걀 전달수단을 가지는 수직컨베이어에 있어서, 제2도 내지 제4도에서와 같이 상기 횡축(41)의 양단에는 달걀 이탈 방지 플레이트(43)가 부설되고, 상기 포크(42)는 상면에 원호부(42A)를 가지며, 하면 전방에 걸림턱(42B)이 형성되는 바 형태로써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 스프로킷(10)의 사이의 축(10S)에는 등각도의 3방향으로 안내바(51)를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50)가 일정 간격으로 부설되어 스프로킷(1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포크(42) 사이사이에 개재되는 수급 행거(120B)의 상부에는 선단에 절곡 스톱퍼(61)를 갖는 윙(62)이 사방으로 형성된 센타에 축(60S)을 갖는 달걀 안내용 회전자(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와 같이 달걀 전달수단에 의해 포크(42)에 옮겨진 달걀은 포크의 원호부(42A)에 안착된 상태로 모터로 구동되는 스프로킷(10,20)이 체인(30)을 회전시킴에 따라 승강된다.
이렇게 승강되는 달걀은 제3도에서와 같이 스프로킷(10) 상에서 역전되면서 상면의 원호부(42A)에 있던 달걀이 선행되던 포크(42)의 하면에 안착된다.
이때 스프로킷(10)의 사이에 축(10S)에 부설된 가이드 플레이트(50)의 안내바(51)가 포크(42)사이의 이 격 간격에 의한 틈으로 달걀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선행 포크(42)의 하면에 부드럽게 안착시키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동시에 수급 행거(120B)의 사이사이로 포크(42)가 지나감에 따라 달걀이 이를 따라 수급용 수평 컨베이어(100A)로 유입되는데, 이때 유입되는 달걀은 좁은 간격을 가지며 연속 수급되는 관계로 서로 부딪혀 깨질 염려가 있는데, 이를 달걀 안내용 회전자(60)가 저지시킨다.
그 작용은 제4도에서와 같이 하나의 포크(42)로부터 수급 행거(120B)를 통해 유입되는 달걀은 회전자(60)의 윙(62)사이에 하나의 달걀만을 가둔 채 수평 컨베이어(100A)로 격리된 채로 순차로 공급하기 때문에 조밀하게 유입되는 달걀이 서로 부딪힐 염려가 없이 수급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케이지를 수직형으로 설치함에 따라 그 설치 면적을 최소화하여 양계장의 부지면적 활용을 보다 좋게 함에 의해 수직 승강 컨베이어도 좁은 폭으로 설치함에 따른 각층의 케이지로부터의 유입되어 배출 안내되는 승강 난이 서로 장애가 없이 원할히 수직 컨베이어의 상부에서 역전됨과 동시에 배출되는 달걀들이 서로 장애를 갖지 않고 원할히 배출 이송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평 컨베이어 폭과 같은 폭으로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는 상하 스프로킷(10,20) 사이에 체인(30)이 권설되어 모터로 구동되고, 상기 체인(30)의 일정 간격으로는 횡축(41)이 가로 설치되어 일정 간격으로 포크(42)가 부설되고, 케이지로부터 달걀을 안내하는 수평 컨베이어(100)의 종단에는 대기되는 달걀의 공급 행거(120)를 가지게 형성하되, 상기 포크(42)와 공급 행거(120A)는 일정한 이 격 간격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간격 사이에는 전달 수단을 가지는 수직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횡축(41)의 양단에는 달걀 이탈 방지 플레이트(43)가 부설되고, 상기 포크(42)는 상면에 원호부(42A)를 가지며, 하면 전방에 걸림턱(42B)이 형성되는 바 형태로써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 스프로킷(10)의 사이의 축(10S)에는 등각도의 3방향으로 안내바(51)를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50)가 일정 간격으로 부설되어 스프로킷(1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포크(42)가 사이사이에 개재되는 수급 행거(120B)의 상부에는 선단에 절곡 스톱퍼(61)를 갖는 윙(62)이 사방으로 형성된 센타에 축(60S)을 갖는 달걀 안내용 회전자(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수직 컨베이어의 달걀 배출 장치.
KR2019970025425U 1997-09-08 1997-09-08 수직 컨베이어의 달걀 배출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159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425U KR200159464Y1 (ko) 1997-09-08 1997-09-08 수직 컨베이어의 달걀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425U KR200159464Y1 (ko) 1997-09-08 1997-09-08 수직 컨베이어의 달걀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338U KR19990012338U (ko) 1999-04-06
KR200159464Y1 true KR200159464Y1 (ko) 1999-10-15

Family

ID=1951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425U Expired - Fee Related KR200159464Y1 (ko) 1997-09-08 1997-09-08 수직 컨베이어의 달걀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4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338U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334977C2 (ko)
US4823737A (en) Egg transfer device
CN111086831B (zh) 一种适用于电机转子流水线的多链转送装置
CN107336944A (zh) 一种角钢上料设备
DE3909786A1 (de)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kopsen und huelsen zwischen im verlauf des transportes wechselnden ebenen
DE102009037863B4 (de) Artikelhebevorrichtung
EP3083458B1 (en) Plant for the immersion treatment of bodyworks
KR200159464Y1 (ko) 수직 컨베이어의 달걀 배출장치
EP1152657B1 (de) Aufnahmevorrichtung für gegenstände, insbesondere zur aufnahme von eiern
KR200159463Y1 (ko) 집난 시스템의 달걀 수직 전달장치
KR200395672Y1 (ko) 승강기식 주차시스템
CN207174732U (zh) 一种输送导轨
KR101995125B1 (ko) 자동화 주차장의 입출고용 주차대
JPS6320722B2 (ko)
US1469329A (en) Automatic feeder for elevators
KR970002853Y1 (ko) 계란의 승하강 이송장치
DE2209053C3 (de) Schleppkettenkreisfördersystem
KR200367835Y1 (ko) 계란이송용 파란방지장치
ITMI982160A1 (it) Carrello per la movimentazione di autovetture in autosili
JPH0726268Y2 (ja) ケージ方式のタイル移載装置
CN113802489A (zh) 一种旅游景区用栏杆装置
CN113086665A (zh) 一种用于装配式建筑的混凝土拌合物运输设备
KR20120130425A (ko) 계란 이송장치
DE226135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vertikalen foerdern von behaeltern, vorzugsweise schriftgutbehaeltern
JP2564812Y2 (ja) 縦列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9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90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7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7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9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