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141851Y1 - 변압기의 절연파괴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변압기의 절연파괴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851Y1
KR200141851Y1 KR2019950034057U KR19950034057U KR200141851Y1 KR 200141851 Y1 KR200141851 Y1 KR 200141851Y1 KR 2019950034057 U KR2019950034057 U KR 2019950034057U KR 19950034057 U KR19950034057 U KR 19950034057U KR 200141851 Y1 KR200141851 Y1 KR 200141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oscillator
input
transistor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4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486U (ko
Inventor
송권식
Original Assignee
손기락
엘지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기락, 엘지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기락
Priority to KR2019950034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851Y1/ko
Publication of KR9700254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4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85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압기의 절연파괴방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압기의 출력을 입력하여 펄스를 발생시키는 발진기에서 발진기 전원 개방시 변압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 회로는 발진기의 구동 전원을 이용하여 변압기의 고압발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압기의 절연파괴방지회로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변압기 제어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변압기의 절연파괴방지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1,...R8 : 저항 D1, D2 : 다이오드
C1, C2, C3 : 콘덴서 TR1, TR2 :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변압기의 절연파괴방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압기의 출력을 입력하여 펄스를 발생시키는 발진기 전원 개방시 변압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고압 또는 저압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회로인 경우, 한전에거 인가하는 교류전압을 인가 받은 뒤, 원하는 크기의 전압으로 변압시켜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장치로 변압기를 들 수 있으며, 상기 변압기는 1차측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압시켜서 2차측으로 유기시킨다. 따라서 회로는 상기 변압기 2차측에 접속하여, 원하는 크기로 변압되어 2차측에 유기되는 전압을 입력해서 사용하게 된다.
일 예로 변압기의 출력을 입력하여 구동 펄스를 발생시키는 발진기에서, 변압기는 트리거신호에 의해서 1차측에 전압이 인가되면, 2차측에 고압이 발생하고, 이 발생된 고압이 발진기로 인가되어 구동 펄스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발진기에는 항시 발진기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다.
상기 설명의 변압기를 사용하는 발진기를 일 예로 도시한 제1도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변압기의 제어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접속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발진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 전원으로 인가되는 약 6.3볼트가 제1입력단자(5)로 입력되고, 상기 제1입력단자는 저항(R3)의 일측에 접속한다. 상기 저항(R3)의 타측은 접속점을 통해서 콘덴서(C2,C3)의 각 일측에 접속하는 한편 발진기(도시하지 않음)의 입력단자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콘덴서(C2,C3)의 타측은 그라운드 전원을 입력하는 제2입력단자(15)에 접속하고, 상기 제2입력단자는 상기 발진기(도시하지 않음)의 제2입력단자에 접속한다.
그리고 변압기(도시하지 않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트리거신호가 제4입력단자(35)로 입력되고, 상기 제4입력단자는 접속점을 통해서 저항(R1,R2)의 각 일측에접속하고 있다. 상기 저항(R1)의 타측은 그라운드 전원을 입력하는 제5입력단자(45)에 접속하고, 상기 저항(R2)의 타측은 다이오드(D1)의 양단자에 접속한다. 상기 다이오드(D1)의 음단자는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자는 제5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약 12볼트의 동작전원을 입력하는 제3입력단자(25)는 저항(R4,R6)의 일측에 접속하는 한편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단자에 접속한다. 상기 저항(R4)의 타측은 접속점을 통해서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단자에 접속하는 한편 콘덴서(C1)의 일측에 접속한다. 상기 콘덴서(C1)의 타측은 저항(R5)를 통해서 상기 저항(R6)의 일측 및 다이오드(D2)의 음단자에 접속한다. 상기 다이오드(D2)의 양단자는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자에 접속하고, 콜렉터단자는 저항(R8)를 통해서 SCR게이트단자에 접속하는 한편 저항(R7)을 통해서 제5입력단자에 접속한다. 상기 SCR게이트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트리거신호는 변압기(도시하지 않음)의 고압발생을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의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먼저 제1입력단자(5)를 통해서 인가되는 약 6.3볼트의 전원은 저항과 콘덴서에 의해 동작전원으로 발진기(도시하지 않음)에 인가된다. 이 동작전원에 의해서 상기 발진기가 충분히 가열된 후, 제4입력단자(35)를 통해서 입력되는 트리거신호는 다이오드(D1)을 도통시키면서 트랜지스터(TR1)을 턴 온 시킨다.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턴 온 되면, 이와 연관되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자에 로우레벨전위가 인가된다. 따라서 PNP형의 트랜지스터(TR2)도 턴-온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은 NPN형 트랜지스터이다.
상기 트랜지스터(TR2)가 턴-온 됨에 의해서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단자를 통해 SCR게이트단자에 트리거신호가 인가되게 된다. 상기 SCR게이트단자에서 인가되는 트리거신호는 변압기(도시하지 않음)의 고압발생을 제어하는 제어신호이므로, 이 트리거신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변압기(도시하지 않음)의 1차측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서, 상기 변압기 2차측에 고압이 발생되고, 이 발생된 고압에 의해서 발진기(도시하지 않음)는 동작 펄스를 발생한다.
한편, 에러 또는 사용상의 필요에 의해 발진기(도시하지 않음)의 동작 전원을 차단했을 경우, 다시 말해서 제1입력단자(5)를 통해서 약6.3볼트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상기 발진기(도시하지 않음)는 동작을 멈춘상태가 된다. 이때에도 제4입력단자(35)를 통해 트리거신호가 인가되는 상태에서는 제3입력단자(25)로 입력되는 약12볼트의 동작전원에 의해서 상기 과정과 동일하게 두개의 트랜지스터(TR1,TR2)가 모두 턴-온 상태가 되어 SCR게이트 단자로 트리거신호가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트리거신호에 의해 고압발생을 제어 받는 변압기(도시하지 않음)는 발진기(도시하지 않음)의 전원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고압 발생을 계속하게 되어서,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매우 큰 고압이 발생되는 상태가 된다.
즉, 종래 기술은 발진기의 전원 개방시에도 변압기의 2차측에 계속 발생되는 고압에 의해서 변압기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변압기의 출력을 발진기에 인가하여 펄스를 발생시키는 회로에 있어서, 발진기 전원이 개방되면 SCR 게이트단자로 트리거 신호가 인가되지 않게 하여 변압기 1차측 개방시켜 변압기를 보호할 수 있는 변압기의 절연파괴방지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변압기의 절연파괴방지회로는, 발진기의 구동 전원을 이용하여 변압기 1차측을 제어 고압발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접속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발진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 전원으로 인가되는 약6.3볼트가 제1입력단자(5')로 입력되고, 상기 제1입력단자는 저항(R3)의 일측에 접속한다. 상기 저항(R3)의 타측은 접속점을 통해서 콘덴서(C2,C3)의 각 일측에 접속하는 한편 발진기(도시하지 않음)의 입력단자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콘덴서(C2,C3)의 타측은 그라운드 전원을 입력하는 제2입력단자(15')에 접속하고, 상기 제2입력단자는 상기 발진기(도시하지 않음)의 제2입력단자에 접속한다.
그리고 변압기(도시하지 않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트리거신호가 제3입력단자(35')로 입력되고, 상기 제3입력단자는 접속점을 통해서 저항(R1,R2)의 각 일측에 접속하고 있다. 상기 저항(R1)의 타측은 그라운드 전원을 입력하는 제4입력단자(45')에 접속하고, 상기 저항(R2)의 타측은 다이오드(D1)의 양단자에 접속한다. 상기 다이오드(D1)의 음단자는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자는 제4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약 6.3볼트의 전원을 입력하는 상기 제1입력단자(5')는 저항(R4,R6)의 일측에도 접속하는 한편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단자에 접속한다. 상기 저항(R4)의 타측은 접속점을 통해서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콜렉서단자에 접속하는 한편 콘덴서(C1)의 일측에 접속한다. 상기 콘덴서(C1)의 타측은 저항(R5)를 통해서 상기 저항(R6)의 일측 및 다이오드(D2)의 음단자에 접속한다. 상기 다이오드(D2)의 양단자는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자에 접속하고, 콜렉터단자는 저항(R8)를 통해서 SCR게이트단자에 접속하는 한편 저항(R7)을 통해서 제4입력단자에 접속한다. 상기 SCR게이트단자에 인가되는 트리거신호는 변압기(도시하지 않음)의 고압발생을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된다.
즉, 본 고안의 구성이 종래 기술과 다른 점은 변압기의 고압 발생을 제어하는 트리거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회로에서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전원을 발진기(도시하지 않음)의 동작전원(제1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약6.3볼트의 전원)으로 사용하여 발진기 전원이 개방될 때 트리거회로도 개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구성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발진기(도시하지 않음)가 정상상태로 동작할 때의 과정은 종래와 동일하다. 즉 제1입력단자(5')를 통해서 인가되는 약6.3볼트의 전원은 저항과 콘덴서에 의해 동작전원으로 발진기(도시하지 않음)에 인가된다. 이 동작전원에 의해서 상기 발진기가 충분히 가열된 후, 제3입력단자(35')를 통해서 입력되는 트리거신호는 다이오드(D1)을 도통시키면서 트랜지스터(TR1)을 턴 온 시킨다.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턴 온 되며, 이와 연관되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자에 로우레벨전위가 인가된다. 따라서 PNP형의 트랜지스터(TR2)도 턴-온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은 NPN형 트랜지스터이다. 이때 상기 두개의 트랜지스터(TR1,TR2)의 동작 전원은 상기 제1입력단자(5')를 통해 입력되는 약6.3볼트의 전원이다.
상기 트랜지스터(TR2)가 턴-온 됨에 의해서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단자를 통해 SCR게이트단자에 트리거신호가 인가되게 된다. 상기 SCR게이트단자에서 인가되는 트리거신호는 변압기(도시하지 않음)의 고압발생을 제어하는 제어신호이므로, 이 트리거신호가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변압기(도시하지 않음)의 1차측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서, 상기 변압기 2차측에 고압이 발생되고, 이 발생된 고압에 의해서 발진기(도시하지 않음)는 동작펄스를 발생한다.
그러나 발진기(도시하지 않음)의 동작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발진기가 작동하지 못할때의 트리거 회로는, 제3입력단자(35')로 트리거신호가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제1입력단자(5')로 전원이 입력되지 않음에 의해서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TR1)은 턴-오프 상태가 되고, 이와 연관되어 트랜지스터(TR2)도 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단자와 접속한 SCR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신호는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트리거회로에서 인가되는 트리거신호에 의해 고압 발생을 제어받는 변압기(도시하지 않음)는 제어신호의 차단에 의해서 고압 발생을 중지하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변압기의 절연파괴방지회로는 발진기 전원이 개방될 때, 변압기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고압의 발생에 따른 변압기의 절연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변압기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발진펄스를 발생시키는 발진기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의 제1,2구동전원을 입력하는 제1,2입력부와; 상기 변압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트리거신호를 입력하는 제3입력부와; 상기 제3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트리거신호에 의해서 제어되고, 상기 제1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발진기의 제1구동전원에 의해서 동작되어, 상기 발진기의 제1구동전원 입력을 감시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의 출력에 제어되어서, 상기 변압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변압기의 절연파괴방지회로.
KR2019950034057U 1995-11-17 1995-11-17 변압기의 절연파괴 방지회로 Expired - Lifetime KR200141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057U KR200141851Y1 (ko) 1995-11-17 1995-11-17 변압기의 절연파괴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057U KR200141851Y1 (ko) 1995-11-17 1995-11-17 변압기의 절연파괴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486U KR970025486U (ko) 1997-06-20
KR200141851Y1 true KR200141851Y1 (ko) 1999-06-01

Family

ID=19429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4057U Expired - Lifetime KR200141851Y1 (ko) 1995-11-17 1995-11-17 변압기의 절연파괴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8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486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27301A (ko) 영전압 스위칭 제어회로
ATE39797T1 (de) Sperrwandler-schaltnetzteil.
KR950015945A (ko) 스위칭전원장치
KR830008450A (ko) 트랜지스터 인버어터장치
KR200141851Y1 (ko) 변압기의 절연파괴 방지회로
WO1991015053A3 (de) Elektronisches schaltnetzteil
KR970024478A (ko) 전류 모드 제어를 구비한 동조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장치(tuned swit6ch-mode power supply with current mode control)
US4100595A (en) Circuit for the production of an output voltage depending on an input direct voltage and a given desired voltage
KR200150912Y1 (ko) 전력 모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어회로
KR920022711A (ko) 고전압 발생회로
US3879650A (en) DC to polyphase inverter utilizing a plurality of switching device and a transformer having a plurality of primary and feedback windings connected in circuit with the switching device
KR830008451A (ko) 트랜지스터 인버어터 장치
KR100271288B1 (ko) 모터용인버터의게이트구동장치
KR0126459Y1 (ko) 전원 보호 회로
KR950010315A (ko) 과전압 보호회로를 구비하는 스위칭 모드 파워 써플라이
KR920000770Y1 (ko) 수평발진 전원 공급회로
KR940001275Y1 (ko) 고압 전원 회로
JPH04150516A (ja) インダクタンス負荷駆動回路
KR900007411B1 (ko) 고전압발생장치의 제어회로
KR100214877B1 (ko) 전자유도가열조리기의 아이지비티 구동전압공급장치
SU156993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от превышени частоты вращени электромашинного преобразовател
KR970022719A (ko) 모니터의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보호회로
KR950002408Y1 (ko) 타이밍 딜레이회로
SU1026257A1 (ru)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
JP2691430B2 (ja) 放電灯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11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111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07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1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1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4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