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848Y1 - 건축용 배수트랩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용 배수트랩의 고정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45848Y1 KR200145848Y1 KR2019960022777U KR19960022777U KR200145848Y1 KR 200145848 Y1 KR200145848 Y1 KR 200145848Y1 KR 2019960022777 U KR2019960022777 U KR 2019960022777U KR 19960022777 U KR19960022777 U KR 19960022777U KR 200145848 Y1 KR200145848 Y1 KR 20014584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 trap
- fixture
- panel
- fixing
- flo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03F5/16—Devices for separating oil, water or grease from sewage in drains leading to the main sew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나 주택 등의 건물축조시 화장실이나 세탁실 등의 바닥에 배수관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배수트랩(Trap) 및 슬리브(Sleeve) (이하, 배수트랩이라 칭함)를 고정하기 위한 건축용 배수트랩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에 매몰 설치되는 배수트랩을 고정하기 위한 배수트랩의 고정구에 있어서, 고정공을 갖는 결합부와 통공을 갖는 면판을 일체로 형성하므로 배수트랩의 설치종료 후 판넬을 제거하였을 때 바닥저면에 못 등의 고정구들이 판넬과 함께 제거되므로 깔끔한 외관을 제공함은 물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인건비 및 제반경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아파트나 주택 등의 건물축조시 화장실이나 세탁실 등의 바닥에 배수관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배수트랩(Trap) 및 슬리브(Sleeve) (이하 배수트랩이라 칭함)를 고정하기 위한 건축용 배수트랩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물을 축조시 발코니, 또는 화장실이나 세탁실 등에는 폐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바닥에 배수트랩을 매몰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배수트랩은 매몰설치시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벗어날 우려가 있는 바, 지금까지는 이와 같이 바닥에 매몰 설치되는 배수트랩의 고정을 위해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트랩(9)의 저면에, 하부에 다릿발(7)을 갖는 고정구(6)를 결합하고 이어, 판넬(10)사에 배수트랩(9)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를 선정하여 이에, 고정구(6)가 결합된 배수트랩(9)을 위치시킨후, 다릿발(7)에 형성된 고정공(7a)을 통해 못(8)으로 판넬(10)과 고정하고, 이어 판넬(10)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배수트랩(9)이 바닥(11)에 고정 설치되며, 이와 같이 배수트랩(9)의 설치가 끝나게 되면 바닥(11) 저면의 판넬(10)은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바닥(11)저면에는 판넬(10)상에 배수트랩(9)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 못(8)이 제거되지 않고 남게 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므로서 외관을 조악하게 하였고, 또는 못(8)의 뾰쪽한 부분이 노출되므로서 작업중 안전사고의 위험도 뒤따랐으며, 이로 인해 못(8)을 절단하거나 은폐하기 위한 마무리 공정이 추가되므로서, 작업의 번거로움이 발생하였고 또는, 이와 같은 작업을 거치더라도 깔끔한 마무리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지금까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축조시 발코니, 또는 화장실이나 세탁실 등의 바닥에 폐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매몰 설치되는 배수트랩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매몰 설치하다 배수트랩 저면의 체결홈에서 삽탈이 가능토록 하므로서, 배수트랩의 설치완료 후, 판넬을 제거하였을 때 바닥저면에 못이 고정구와 함께 제거되므로 깔끔한 외관을 제공함은 물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른 제반경비와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구 2 : 체결부
3 : 고정공 4 : 면판
5 : 통공
바닥에 매몰설치되는 배수트랩을 고정하기 위한 배수트랩의 고정구에 있어서, 조정고(3)을 갖는 결합부(2)와 통공(5)을 갖는 면판(4)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넬(10)상에 배수트랩(9)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를 선정하여 이에, 고정구(1)를 고정하게 되는데, 고정구(1)의 결합부(2)에 형성된 고정공(3)을 통해 못(8)으로 판넬(10)에 고정하고, 배수트랩(9)을 상부에서 강하게 누르게 되면 배수트랩(9)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홈(9a)에 고정구(1)의 결합부(2)가 결합되면서 판넬(10)에 견고히 고정된 고정구(1)에 배수트랩(9)이 결합되며 이어, 판넬(10)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배수트랩(9)이 바닥(11)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배수트랩(9)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바닥(11)저면의 판넬(10)을 제거하게 되면, 판넬(10)이 바닥(11)저면에서 이탈되면서 이에 못(8)으로 고정된 고정구(1) 또는 바닥(11)에 매몰설치된 배수트랩(9)에서 이탈되게 되어 바닥(11)저면은 깔끔한 상태를 유지케 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구(1)의 면판(4)에 형성된 통공(5)은 배수트랩(9)과의 결합시 배수트랩(9)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시키므로서 배수트랩(9)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배수트랩(9)의 설치가 끝난 판넬(10)이 바닥(11)저면에서 이탈될 때, 바닥(11)저면에서 판넬(10)만 이탈되고 고정구(1)는 배수트랩(9)에 결합된 상태가 발생되는 것으로, 이때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통공(5)에 걸어서 당기게 되면, 배수트랩(9)으로부터 고정구(1)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배수트랩(9)의 설치가 끝나게 되면 고정구(1)는 다시 재수거하여 고정구(1)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자원을 재활용 할 수 있음은 물론 제반경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매몰 설치되는 배수트랩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배수트랩 저면의 체결홈에서 삽탈이 가능토록 하므로서, 배수트랩의 설치종료 후 바닥저면에 깔끔한 외관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된 고정구는 재수거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 재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능률의 향상을 가져오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 바닥에 매몰 설치되는 배수트랩을 고정하는 고정구에 있어서, 결합부(2)와 통공(5)을 갖는 면판(4)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배수트랩의 고정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22777U KR200145848Y1 (ko) | 1996-07-30 | 1996-07-30 | 건축용 배수트랩의 고정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22777U KR200145848Y1 (ko) | 1996-07-30 | 1996-07-30 | 건축용 배수트랩의 고정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8326U KR980008326U (ko) | 1998-04-30 |
KR200145848Y1 true KR200145848Y1 (ko) | 1999-06-15 |
Family
ID=1946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22777U KR200145848Y1 (ko) | 1996-07-30 | 1996-07-30 | 건축용 배수트랩의 고정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45848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00080A (ko) * | 2001-09-17 | 2001-11-14 | 김지태 | 건축용 트랩을 겸한 슬리브 |
-
1996
- 1996-07-30 KR KR2019960022777U patent/KR20014584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8326U (ko) | 1998-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1357B1 (ko) | 발코니 난간 지지용 브라켓 조립체 | |
KR200145848Y1 (ko) | 건축용 배수트랩의 고정구 | |
JPH0613282Y2 (ja) | 床のシ−ト防水構造 | |
JP3020371U (ja) | 段差解消用簡易床装置 | |
JP3153987B2 (ja) | 便器の設置構造 | |
KR0126613Y1 (ko) | 세면대용 지주부재 | |
KR20080033672A (ko) | 조립식 바닥재 | |
JP6777128B2 (ja) | 手摺の防水構造 | |
JP2525162Y2 (ja) | 洗面器の固定構造 | |
KR20090096964A (ko) |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 | |
CA2358171A1 (en) | Convertible shower | |
JPS6141846Y2 (ko) | ||
JPH08144445A (ja) | 内外装改修構造 | |
JP3611647B2 (ja) | バルコニーの防水パンの固定構造 | |
JPH0330494Y2 (ko) | ||
KR200244697Y1 (ko) | 발코니 배수장치 | |
JPH0716848Y2 (ja) | 水回りユニット連結体 | |
JP3319908B2 (ja) | 軒先の改装構造 | |
KR200273962Y1 (ko) | 건축물의 처마 | |
KR900006375Y1 (ko) | 세면대 지지용 브라켓 (Bracket) | |
JPH0645539Y2 (ja) | 軒先構造 | |
TW202204737A (zh) | 衛生單元結構體及其施工方法 | |
JPH0827987A (ja) | 手摺部の取付構造 | |
JPS6313293Y2 (ko) | ||
JPH0642025Y2 (ja) | 雨水集水ますの取付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