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10114028A -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4028A
KR20010114028A KR1020000033918A KR20000033918A KR20010114028A KR 20010114028 A KR20010114028 A KR 20010114028A KR 1020000033918 A KR1020000033918 A KR 1020000033918A KR 20000033918 A KR20000033918 A KR 20000033918A KR 20010114028 A KR20010114028 A KR 20010114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room
room
train
servic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경
Original Assignee
문재경
경진부로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경, 경진부로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재경
Priority to KR1020000033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4028A/ko
Priority to KR2020000017652U priority patent/KR200204481Y1/ko
Publication of KR20010114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402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61D27/0018Air-conditioning means, i.e. combining at least two of the following ways of treating or supplying air, namely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차의 서비스룸 루프(roof)에 하나의 배기팬과 별도의 에어컨을 설치하여 각각의 서비스룸을 환기하도록 함으로서, 서비스룸 내부의 환기 및 냉ㆍ난방능력을 향상시킨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기차의 서비스룸 루프에 설치된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과 각각의 서비스룸에 연결된 덕트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서비스룸 루프에 서비스룸 내부를 냉ㆍ난방하는 에어컨을 더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팬과 연결된 덕트 중 화장실에 설치된 수직배기덕트를 상ㆍ중ㆍ하로 구분하여 각각 배기구를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SERVICE ROOM AIR CONDITIONING DEVICE OF TRAIN}
본 발명은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차의 서비스룸 루프(roof)에 하나의 배기팬과 별도의 에어컨을 설치하여 각각의 서비스룸내를 환기하도록 함으로서, 서비스룸 내부의 환기 및 냉ㆍ난방능력을 향상시킨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차는 객차와 서비스룸으로 구분되며, 상기 객차는 승객들이 탑승하는 것이고, 상기 서비스룸은 탑승객들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객차의 일측에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서비스룸에는 대변실, 소변실 및 방송실 등이 설치되어 있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종래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객차(1)의 일측에 서비스룸(2)이 형성되어 있고, 서비스룸(2)은 각각 대변실(2a), 소변실(2b) 및 방송실(2c)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서비스룸(2)의 직상부 천정 내부에 배기팬(3)이 각각 설치되어 서비스룸(2) 내부의 악취를 환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객실(1)과 서비스룸(2) 사이에 덕트(4)를 설치하여 객실공기를 대변실(2a), 소변실(2b) 및 방송실(2c)로 유동시켜 환기 및 냉ㆍ난방을 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는 객실 내부의 공기가 덕트(4)를 통해 서비스룸(2) 내부로 유입됨으로서, 객실내에서 오염된 공기가 서비스룸(2) 내부로 유입되어 각각의 배기팬(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신선한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서비스룸의 공기조화장치는 다수개의 배기팬(3)을 설치하여 서비스룸(2) 내부를 개별적으로 환기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서, 구조가 복잡하고, 필요이상의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기팬(3)이 다수개 설치되어 있어 사후 관리가 어렵고, 고장시에는 천정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수리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서비스룸 루프에 하나의 배기팬과 별도의 에어컨을 설치하여 각각의 서비스룸내를 환기하도록 하는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도 4의 C - C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기팬을 상세히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도 6의 저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수직배기덕트를 나나낸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A" 에서 본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수직배기덕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공기조화장치 10: 배기팬
11: 하우징 11a: 흡입구
11b: 배출구 12: 팬
13: 구동모터 20: 에어컨
21: 외기흡입구 30: 덕트
31: 수직배기덕트 31a:배기구
31b: 공기유입구 200: 서비스룸
210:화장실 210a: 대변실
210b: 소변실 220: 방송실
230: 복도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차의 서비스룸 루프에 설치된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과 각각의 서비스룸에 연결된 덕트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서비스룸 루프에 서비스룸 내부를 냉ㆍ난방하는 에어컨을 더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팬과 연결된 덕트 중 화장실에 설치된 수직배기덕트를 상ㆍ중ㆍ하로 구분하여 각각 배기구를 형성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4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발명의 서비스룸의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서비스룸(200)의 공기조화장치(100)는 서비스룸(200)의 루프에 배기팬(10) 및 에어컨(20)이 설치되고, 각각의 서비스룸(200) 내부를 덕트(30)로 연결하여 공기조화를 수행하고 있다.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8에서는 배기팬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배기팬(10)은 서비스룸(200)의 직상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서비스룸(200)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팬(12)과, 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와, 상기 팬(12)과 구동모터(13)를 수용하는 하우징(11)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팬(12)은 시로콘팬으로서, 편흡입(SINGLE SUCTION)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동모터(1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1)에는 서비스룸(200)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1a)와 이흡입된 공기가 팬(1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1b)가 형성되어져 있다.
에어컨(20)은 서비스룸(200) 내부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냉ㆍ난방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에어컨(20)과 동일하고 다만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룸(200)을 전용으로 공기조화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배기덕트(30)는 대변실(210a)과 소변실(210b)로 이루어진 화장실(210), 방송실(220) 및 복도(230)의 천정에 설치되어 배기팬(10)과 연결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특히, 첨부도면 도 9 및 도 10에서는 화장실(210)에 설치된 수직배기 덕트(31)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상ㆍ중ㆍ하로 구분하여 배기구(31a)를 형성하고, 바닥면에는 공기유입구(31b)를 형성함으로서, 화장실(210) 내부 전체를 환기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즉, 화장실(210)은 서비스룸(200) 중에서 가장 취약한 장소임으로서, 하부의 변기쪽 배기를 50%로 하고, 중간부는 CO가스 발생량 및 담배연기를 고려하여 30%로 하며, 상부는 20%를 배분하여 수직배기덕트(31)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화장실(210) 내부는 악취, 담배연기 등의 가장 취약한 지역이므로 실내에 음압(陰壓)을 유지시켜 출입문을 열 경우 복도(230)쪽 공기가 화장실(210)쪽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악취, 담배연기 등이 복도(230)쪽으로 빠져 나오지 않게 한다.
즉, 음압(陰壓)이란 급기량보다 배기량을 많게 하여 실내(화장실(210)) 공기가 외측(230)으로 빠져 나오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수직배기덕트(31)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주로 대변실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대변실(210a)은 소변실(210b)보다 악취가 심하기 때문에 수직배기덕트(31) 상에 배기구(31a)를 4등분하여 형성한 것이다.
한편, 미설명 부호 40은 콘트롤 박스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차의 서비스룸(200) 직상부 루프에 배기팬(10)과 에어콘을 설치하고, 이를 천정내의 배기덕트와 연결하고, 화장실(210)에는 수직배기덕트(31)를 설치하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을 설치한 상태에서 먼저 공기의 흡입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에어컨(20)의 측면에 형성된 외기흡입구(21)를 통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 및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ㆍ난방된 공기가 덕트(30)를 통해 각각의 서비스룸(200) 내부로 유입된다.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서비스룸(200) 직 상부에 설치된 배기팬(10) 내의 구동모터(13)가 회전하면 이에 결합된 팬(12)이 회전하게 되고, 화장실(210)을 비롯한 각각의 서비스룸(200)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배기구(복도 및 방송실의 배기구는 미도시)를 통해 유입되어 천정내에 설치된 덕트(30)를 통해 배기팬(10)의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11b)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특히, 화장실(210)의 오염된 공기는 수직배기덕트의 바닥면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상ㆍ중ㆍ하로 형성된 배기구(31a)를 통해 화장실 내의 오염된 공기가 배기되도록 함으로서,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기팬이 가동이 되지 않더라도 기차의 진행속도에 의해 배기팬의 하우징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외부공기가 흘러들어가면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차 서비스룸의 공기조화장치는 하나의 배기팬과 서비스룸 전용 에어컨을 서비스룸의 루프에 설치함으로서, 서비스룸 내부에 신선한 외부공기 및 냉ㆍ난방된 공기를 제공하여 항상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서비스룸에 설치한 배기팬을 하나의 배기팬으로 서비스룸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함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에너지도 절약이 되는 것이다.
또한, 배기팬을 서비스룸의 루프에 돌출되게 설치함으로서, 고장시 수리하기가 쉬을 뿐만 아니라 사후관리가 편리한 것이다.

Claims (3)

  1. 기차의 서비스룸(200) 루프에 설치된 배기팬(10);
    상기 배기팬(10)과 각각의 서비스룸(200)에 연결된 덕트(30)로 구성된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룸(200) 루프에 서비스룸(200) 내부를 냉ㆍ난방하는 에어컨(2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10)과 연결된 덕트(30) 중 화장실(210)에 설치된 수직배기 덕트(31)를 상ㆍ중ㆍ하로 구분하여 각각 배기구(31a)를 형성한 것을 특징을 하는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
KR1020000033918A 2000-06-20 2000-06-20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 KR20010114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918A KR20010114028A (ko) 2000-06-20 2000-06-20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
KR2020000017652U KR200204481Y1 (ko) 2000-06-20 2000-06-21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918A KR20010114028A (ko) 2000-06-20 2000-06-20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652U Division KR200204481Y1 (ko) 2000-06-20 2000-06-21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4028A true KR20010114028A (ko) 2001-12-29

Family

ID=19672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918A KR20010114028A (ko) 2000-06-20 2000-06-20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40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734B1 (ko) * 2006-08-30 2008-01-10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동차 객실 파티션 부위의 냉방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장치
KR100954492B1 (ko) * 2009-06-05 2010-04-22 고홍달 열차용 냉방장치
KR20240070375A (ko) 2022-11-12 2024-05-21 한상관 자동차,기차,전철,선박,비행기의 내부에서 중력의 작용과 대류현상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상승하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중력의 작용과 대류작용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 공기를 깨끗하게 자연 정화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기 정화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734B1 (ko) * 2006-08-30 2008-01-10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동차 객실 파티션 부위의 냉방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장치
KR100954492B1 (ko) * 2009-06-05 2010-04-22 고홍달 열차용 냉방장치
WO2010140791A2 (ko) * 2009-06-05 2010-12-09 Ko Hong-Dal 열차용 냉방장치
WO2010140791A3 (ko) * 2009-06-05 2011-03-31 Ko Hong-Dal 열차용 냉방장치
KR20240070375A (ko) 2022-11-12 2024-05-21 한상관 자동차,기차,전철,선박,비행기의 내부에서 중력의 작용과 대류현상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상승하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중력의 작용과 대류작용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 공기를 깨끗하게 자연 정화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기 정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870B1 (ko) 환기장치
JPH10274425A (ja) 換気機能付き空気調和機及びその空気調和機を用いた換気空調システム
JP6211675B1 (ja) 全館空調システム
JP2011185502A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JP2004360943A (ja) エレベータシャフトを利用した空気循環機構
JP5530282B2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KR20010114028A (ko)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
JP2018123999A (ja) 風路切替ダンパ、ファンコイル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KR200204481Y1 (ko)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
JPH11141954A (ja) セントラル空調システム
JP2010054110A (ja) 換気システム及び建物
KR100321113B1 (ko) 공기청정기
JP3521801B2 (ja) クリーンルーム設備
CN110319525A (zh) 一种组合式节能型新风机
JP2006105425A (ja) 換気装置、換気システム及び建物
JPH0752027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996626B1 (ko) 실내공기 환기장치
JP3098954B2 (ja) 熱気を含んだ内気の排出装置
JP3946546B2 (ja) 換気構造
KR20020026724A (ko) 환기 장치가 구비된 공기 조화기
KR101114324B1 (ko)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JP4712172B2 (ja) セントラル換気装置およびセントラル換気ユニット
JPH10141705A (ja) 換気機能を有するファンコイルユニット
JP3924478B2 (ja) 換気構造
JPH0719518A (ja) 天井設置用空調換気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