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3736A -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53736A KR20010053736A KR1019990054217A KR19990054217A KR20010053736A KR 20010053736 A KR20010053736 A KR 20010053736A KR 1019990054217 A KR1019990054217 A KR 1019990054217A KR 19990054217 A KR19990054217 A KR 19990054217A KR 20010053736 A KR20010053736 A KR 200100537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t cable
- groove
- housing
- actuator
- contact pie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의 액추에이터에 접점편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접점편에 적어도 두 개이상의 접촉부를 두어 접점편과 플랫케이블 간의 전기전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홈(3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30)과, 이 하우징(30)의 홈(32)에 부분삽입되고 하측에 리드(42)가 형성된 접점편(40)과, 상기 하우징(30)에 형성된 슬릿형태의 개구부(34)를 통해 삽입되어 플랫케이블(50)과 접점편(40)을 압박하는 액추에이터(60)로 구성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60)의 내측면에 상기 하우징(30)에 형성된 홈(32)과 대향하는 또 다른 홈(62)을 형성하여 상기 접점편(40)의 일부분이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름형태의 플랫케이블(일명 "FPC"필름)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의 액추에이터에 접점편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접점편에 두 개이상의 접촉부를 두어 접점편과 플랫케이블 간의 전기전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는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의 홈(12)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에 형성된 홈(12)에 삽입되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있는 여러개의 접점편(14)과, 상기 하우징(10)으로 삽입되는 플랫케이블(16)을 접점(14) 쪽으로 압박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액추에이터(18)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하우징(10)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점접편(14)의 리드(14a)를 인쇄회로기판(20)에 납땜한 다음 하우징(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형태의 개구부(10a)를 통해 플랫케이블(16)을 삽입한 다음 액추에이터(18)를 누르게 되면, 이 액추에이터(18)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리브(18a)가 접점편(14)과 하우징(10)의 내측벽면 사이로 억지끼움되면서 플랫케이블(16)과 접점편(14)간의 결합력이 더욱 증대되는 동시에 플랫케이블(16)과 접점편(14)의 접촉저항을 줄여 전기전도성이 증대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는 액추에이터(18)가 하우징(10)의 내측벽면과 접점편(14) 사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접점편(14)이 측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이들 접점편(14)의 측방향 움직임에 대해 지지할 수 있는 것이 액추에이터(18)에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접점편(14) 간의 간격이 일정치 못하게 변화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액추에이터(18)에 접하고 있는 접점편(14) 사이에는 마무런 차단벽이 없었기 때문에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쌓이면서 회로간 단락을 유발시키는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접점편(14)에서 플랫케이블(16)과 접촉되는 부분이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접촉점(P1)이 한 개이기 때문에 대전류를 흘릴 경우 접촉저항에 의해 전기저항의 증대로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접점편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접점편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홈에 부분삽입되고 하측에 리드가 형성된 접점편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슬릿형태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플랫케이블과 접점편을 압박하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상기 액추에이터의 내측면에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홈과 대향하는 또 다른 홈을 형성하여 상기 접점편의 일부분이 끼워지도록 구성하여 플랫케이블용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홈에 부분삽입되고 하측에 리드가 형성된 접점편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슬릿형태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플랫케이블과 접점편을 압박하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점편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고 끝부분에 상기 플랫케이블과 접촉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접촉부를 갖는 통전부와, 상기 통전부와 대향되면서 "U"자 형태를 이루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밀려서 플랫케이블을 통전부를 향해 압박하는 탄성지지부로 구성하여 플랫케이블용 커넥터가 제공된다.
도 1 은 종래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의 일예를 보이는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의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의 구조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의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플랫케이블이 끼워지기 전의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플랫케이블이 끼워진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2,62 : 홈 30 : 하우징
42 : 리드 40 : 접점편
34 : 개구부 50 : 플랫케이블
60 : 액추에이터 P11,P12 : 접촉부
72 : 통전부 74 : 탄성지지부
74a : 걸림부 74b : 탄성휨부
62g : 유도홈 62t : 경사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홈(3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30)과, 이 하우징(30)의 홈(32)에 부분삽입되고 하측에 리드(42)가 형성된 접점편(40)과, 상기 하우징(30)에 형성된 슬릿형태의 개구부(34)를 통해 삽입되어 플랫케이블(50)과 접점편(40)을 압박하는 액추에이터(60)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며, 이 액추에이터(60)의 내측면에 상기 하우징(30)에 형성된 홈(32)과 대향하는 또 다른 홈(62)을 형성하여 상기 접점편(40)의 일부분이 끼워지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액추에이터(60)에 형성되는 홈(62)의 하단부에 상기 접점편(40)의 탄성지지부(74)가 간섭없이 진입되도록 상기 홈(62)보다 더 깊게 형성된 유도홈(62g)과, 탄성지지부(74)를 이 유도홈(62g)으로부터 상기 홈(62)으로 완만하게 안내하기 위한 경사홈(62t)을 형성하였다.
한편 상기 접점편(40)은 상기 하우징(30)에 형성된 홈(32)에 삽입되고 끝부분에 상기 플랫케이블(50)과 접촉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접촉부(P11)(P12)를 갖는 통전부(72)와, 상기 통전부(72)와 대향되면서 "U"자 형태를 이루고, 상기 액추에이터(40)에 의해 밀려서 플랫케이블(50)을 통전부(72)를 향해 압박하는 탄성지지부(74)로 구성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지지부(74)는 상기 플랫케이블(50)을 사이에 두고 접촉부(P11)(P12) 사이로 맞물리는 걸림부(74a)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통전부(72)의 하측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원호형의 탄성휨부(74b)를 그 하단부에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의 내측벽면과 접점편(40)의 양측면에는 요철(凹凸) 형태의 돌기와 홈이 반복되는 결합부(48)(38)를 각각 형성하여 하우징(30)으로 하측을 통해 접점편(40)을 끼웠을 때 이 접점편(40)이 자중에 의해 밑으로 빠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0은 상기 하우징(30)의 측면에 형성된 2단 걸림턱을 나타낸 것이고, 82,83은 상기 액추에이터(60)의 양측에서 수직하방으로 형성되어 하우징(30)에 형성된 2단 걸림턱(80)에 걸리는 후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과 액추에이터(60)가 가결합된 상태 즉, 액추에이터(60)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82)(83)가 하우징(30)에 형성되어 있는 2단 걸림턱(80)의 중간에 걸린 상태에서 하우징(30)의 상면에 형성된 슬릿(slit) 형태의 개구부(34)를 통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플랫케이블(50)을 삽입한 다음 액추에이터(60)를 강하게 누르게 되면, 중간위치에 걸려 있던 후크(82)(83)가 도2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걸림턱(80)의 끝까지 완전하게 걸리면서 액추에이터(60)와 하우징(30)이 결합되는 동시에 액추에이터(60)에 의해 접점편(40)의 탄성지지부(74)가 통전부(72)쪽으로 휘면서 플랫케이블(50)이 통전부(72)와 탄성지지부(74) 사이에 강하게 물리게 된다.
즉, 액추에이터(60)에 형성되어 있는 유도홈(62g)으로 탄성지지부(74)가 간섭없이 진입되다가 경사홈(62t)을 만났을 때 통전부(72)쪽으로 휘기 시작하면서 탄성변형되는 것이며, 이때 탄성지지부(74)와 통전부(72)의 하측을 연결하고 있는 원호모양의 탄성휨부(74b)에 의해 탄성변형시에 접점편(40)의 국부에 집중될 수 있는 응력을 비교적 넓은 면적에 걸쳐서 분포시키게 되므로, 응력집중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전부(72)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P11)(P12) 사이로 걸림부(74a)가 맞물리면서 플랫케이블(50)의 표면에 "V"자 모양의 홈을 형성하면서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액추에이터(60)가 하우징(30) 내측으로 삽입될 때 이 액추에이터(60)에 형성되어 있는 홈(62)에 접점편(40)의 탄성지지부(74)가 끼워지면서 접점편(40)이 측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플랫케이블(50)이 접점편(40)에 물린 상태에서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접점편(40)의 탄성지지부(74)가 액추에이터(60)의 홈(62)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으로 이물질이나 먼지가 끼어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접점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플랫케이블(50)을 접점편(4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액추에이터(6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82)(83) 끝부분과 2단 걸림턱(80)의 사이로 소형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나 손톱을 이용하여 후크(82)(83)를 바깥쪽으로 약간 벌린 다음 액추에이터(60)를 상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후크(82)(83)가 다시 하우징(3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2단 걸림턱(80)의 중간에 위치되는 동시에 액추에이터(60)가 하우징(30)으로부터 일부 빠져나오면서 접점편(40)의 탄성지지부(74)가 경사홈(62t)을 타고 유도홈(62g)에 위치된다.
이때 접점편(40)의 탄성지지부(74)는 지니고 있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통전부(72)와 탄성지지부(74) 간의 사이가 느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플랫케이블(50)을 하우징(30)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쉽게 분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우징은 물론이고 액추에이터에도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추에이터를 삽입할 때 접점편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기존과 같은 접점편 간의 단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접점편의 일부분이 하우징과 액추에이터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접점편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액추에이터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유도홈과 경사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점편의 탄성변형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홈(3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30)과, 이 하우징(30)의 홈(32)에 부분삽입되고 하측에 리드(42)가 형성된 접점편(40)과, 상기 하우징(30)에 형성된 슬릿형태의 개구부(34)를 통해 삽입되어 플랫케이블(50)과 접점편(40)을 압박하는 액추에이터(60)로 구성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상기 액추에이터(60)의 내측면에 상기 하우징(30)에 형성된 홈(32)과 대향하는 또 다른 홈(62)을 형성하여 상기 접점편(40)의 일부분이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홈(3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30)과, 이 하우징(30)의 홈(32)에 부분삽입되고 하측에 리드(42)가 형성된 접점편(40)과, 상기 하우징(30)에 형성된 슬릿형태의 개구부(34)를 통해 삽입되어 플랫케이블(50)과 접점편(40)을 압박하는 액추에이터(60)로 구성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상기 접점편(40)은 상기 하우징(30)에 형성된 홈(32)에 삽입되고 끝부분에 상기 플랫케이블(50)과 접촉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접촉부(P11)(P12)를 갖는 통전부(72)와;상기 통전부(72)와 대향되면서 "U"자 형태를 이루고, 상기 액추에이터(40)에의해 밀려서 플랫케이블(50)을 통전부(72)를 향해 압박하는 탄성지지부(7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60)에 형성되는 홈(62)의 하단부에 상기 접점편(40)의 탄성지지부(74)가 간섭없이 진입되도록 상기 홈(62)보다 더 깊게 형성된 유도홈(62g)과, 탄성지지부(74)를 이 유도홈(62g)으로부터 상기 홈(62)으로 완만하게 안내하기 위한 경사홈(62t)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74)는 상기 플랫케이블(50)을 사이에 두고 접촉부(P11)(P12) 사이로 맞물리는 걸림부(74a)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통전부(72)의 하측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원호형의 탄성휨부(74b)를 그 하단부에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54217A KR20010053736A (ko) | 1999-12-01 | 1999-12-01 |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54217A KR20010053736A (ko) | 1999-12-01 | 1999-12-01 |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53736A true KR20010053736A (ko) | 2001-07-02 |
Family
ID=1962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54217A KR20010053736A (ko) | 1999-12-01 | 1999-12-01 |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0053736A (ko)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16743U (ko) * | 1988-01-14 | 1989-08-19 |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 플랫 전기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
JPH0237678A (ja) * | 1988-07-28 | 1990-02-07 | Honda Tsushin Kogyo Kk |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H03152885A (ja) * | 1989-11-09 | 1991-06-28 | Keru Kk |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 |
JPH0645016A (ja) * | 1989-03-18 | 1994-02-18 | Kel Corp | フラットケーブル圧接タイプコネクタ |
JPH07282916A (ja) * | 1994-04-07 | 1995-10-27 | Sumitomo Wiring Syst Ltd |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
KR960016009A (ko) * | 1993-07-29 | 1996-05-22 | 프랭크 에이. 월프링 | 전기 커넥터 |
KR960019210U (ko) * | 1994-11-29 | 1996-06-19 | 홍성용 |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
JPH09120850A (ja) * | 1995-08-18 | 1997-05-06 | Thomas & Betts Corp <T&B> | 可撓性平形ケーブル及びこれを接続するためのコネクタ |
KR19990045524A (ko) * | 1997-11-24 | 1999-06-25 | 제리 크로넨베드 | 분리가능한 커버와 인쇄회로기판 커넥터의 연결조립체 |
-
1999
- 1999-12-01 KR KR1019990054217A patent/KR2001005373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16743U (ko) * | 1988-01-14 | 1989-08-19 |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 플랫 전기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
JPH0237678A (ja) * | 1988-07-28 | 1990-02-07 | Honda Tsushin Kogyo Kk |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H0645016A (ja) * | 1989-03-18 | 1994-02-18 | Kel Corp | フラットケーブル圧接タイプコネクタ |
JPH03152885A (ja) * | 1989-11-09 | 1991-06-28 | Keru Kk |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 |
KR960016009A (ko) * | 1993-07-29 | 1996-05-22 | 프랭크 에이. 월프링 | 전기 커넥터 |
JPH07282916A (ja) * | 1994-04-07 | 1995-10-27 | Sumitomo Wiring Syst Ltd |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
KR960019210U (ko) * | 1994-11-29 | 1996-06-19 | 홍성용 |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
JPH09120850A (ja) * | 1995-08-18 | 1997-05-06 | Thomas & Betts Corp <T&B> | 可撓性平形ケーブル及びこれを接続するためのコネクタ |
KR19990045524A (ko) * | 1997-11-24 | 1999-06-25 | 제리 크로넨베드 | 분리가능한 커버와 인쇄회로기판 커넥터의 연결조립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97700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080207014A1 (en) |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 |
US6576853B2 (en) | Switch exhibition non-unidirectional displacement | |
USRE42075E1 (en) | Electrical connector | |
EP0194266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H03119981U (ko) | ||
JPH07147170A (ja) | プラグ係止機構付きコンセント | |
US6843688B2 (en) | Connector in which movement of contact portion of contact is guided by insulator | |
JP3028199B2 (ja) | 電気コネクタのターミナル | |
JP2006339141A (ja) | 低挿入力コネクタ及び端子 | |
US6149468A (en) | Card edge connector | |
US5716232A (en) | Female terminal for connector | |
US6083043A (en) | Fastening device for an electrical connector | |
US6716060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solder plate and pegs for PC board mounting | |
KR20010053736A (ko) |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 |
US6146172A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6164990A (en) | Pick-up for electronic card connector | |
JP3744135B2 (ja) | 電気機器の端子装置 | |
US6962508B2 (en) | Card connector | |
JPH0817528A (ja) | 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リジッド基板用中継コネクタ | |
JPH0414874Y2 (ko) | ||
JPH08306408A (ja) | Fpc用コネクタ | |
JP2523294Y2 (ja) | 給電線支持具のレールへの取付け構造 | |
JPS6142289Y2 (ko) | ||
KR200225814Y1 (ko) | 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