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377A - 열간 압연 설비 및 압연 방법 - Google Patents
열간 압연 설비 및 압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21377A KR20010021377A KR1020000048817A KR20000048817A KR20010021377A KR 20010021377 A KR20010021377 A KR 20010021377A KR 1020000048817 A KR1020000048817 A KR 1020000048817A KR 20000048817 A KR20000048817 A KR 20000048817A KR 20010021377 A KR20010021377 A KR 200100213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ing
- mill
- furnace
- equipment
- coil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68—Furnace coilers; Hot coi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3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 B21B1/3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in reversing single stand mill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reels for accumulating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4—Heating the produ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21B1/2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by hot-rolling, e.g. Steckel hot mi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3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 B21B1/3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in reversing single stand mill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reels for accumulating work
- B21B1/3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in reversing single stand mill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reels for accumulating work by hot-ro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2013/003—Inactive rolling sta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2—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xes of rolls arranged horizontally
- B21B2013/021—Twin mi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2—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xes of rolls arranged horizontally
- B21B2013/025—Quarto, four-high sta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2—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xes of rolls arranged horizontally
- B21B2013/028—Sixto, six-high sta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1/00—Special rolling modes
- B21B2201/02—Austenitic ro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1/00—Special rolling modes
- B21B2201/04—Ferritic ro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1/00—Special rolling modes
- B21B2201/16—Two-phase or mixed-phase ro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18—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strips, sheets, or pl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39—Lubricating
- B21B45/0245—Lubricating devices
- B21B45/0248—Lubricating devices using liquid lubric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51—Lubricating devices using liquid lubric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strips, sheets, or pl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21B45/08—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hydraul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스텍켈 압연 설비의 조업성을 향상하는 데 있다.
스텍켈 압연 설비의 입구측 및 출구측 중 적어도 한쪽에 노 내에 권취기를 구비한 퍼네스 코일러를 설치하고, 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의 입구측 및 출구측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한 퍼네스 코일러와 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 사이에 상기 압연기로 압연하는 압연재의 온도를 조정하는 장치를 설치한다.
이로써, 스텍켈 압연 설비의 조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간 압연 설비 및 압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강도, 고인성 등의 제품의 제조를 목적으로 한 고급 탄소강의 재료 조성 및 제조 방법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0-147843호 및 일본 특허 공개 평7-18381호를 들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의 제조 프로세스를 고려한 핫 스트립 밀 설비 기술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10-277601호가 있다. 그리고, 압연재 후단부의 사행(蛇行) 제어에 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9-38710호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매우 고도하고 또한 미묘한 제어가 필요해진다. 또한, 1대의 하우징에 2세트의 압연 롤을 조립한 소위 트윈 밀을 이용한 압연 설비가 일본 특허 공개 평11-702호, 일본 특허 공개 평9-239413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설비를 이용한 고급 품질 탄소강의 압연에서는 또한 금속 조직적인 문제가 있다. 그 하나는 특히 압연재 선후단부의 온도 저하가 크다는 것이다. 이로써, 압연재 길이 방향의 금속 조직이 균일해지지 않아 수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일본 특허 공고 평5-45327호에서는 압연기와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 제1 가열 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압연재 선후단부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압연기와 다운 코일러 사이의 핫런 테이블 상에 제2 가열 장치를 설치하여 압연재 전체에 걸쳐 온도를 균일하게 하는 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5755128호에도 스텍켈 압연 설비에 있어서, 가열 장치 및 냉각 장치를 배치하여 균일한 온도로 압연하는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발명의 주목적은 압연재 온도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압연재의 품질을 균일하게 하고, 또한 제품 수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에는 또한 고강도재를 얻는 등의 압연재 품질의 획기적 향상을 목적으로 한 압연 방법은 일체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공지예에는 다른 커다란 문제가 있다. 그것은 압연기의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 가열 장치 또는 냉각 장치 등을 설치하므로, 압연기와 퍼네스 코일러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 현저하게 조업이 곤란해진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출물은 금속 조직 중에, 미세하고 또한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금속 조직 결정립의 성장 비대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매우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헌「저탄소 Nb강에 있어서의 오스테나이트 영역 열간 가공시의 NbC 석출 모델의 개발」철과 강 제75년(1989) 제6호에 게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연 가공을 실시한 경우의 석출 속도는 일반적으로 빨라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스텍켈 압연 설비에서는 압연 가공된 압연재가 노 중에서 권취·보유 지지되는 공정을 반복하여 받으므로, 석출물은 주로 결정 입계에 집중하여 비대화하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금속 조직의 결정립은 미세할수록 바람직하며, 강도가 높아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철강 협회 출판「제어 압연·제어 냉각」의 제2. 2장에, 모재의 항복 응력은 결정립 직경의 평방근에 역비례한다고 하는 Hall-Petch의 관계식이 기재되어 있다. 이 점에 관해서도, 고온으로 장시간 권취 보유 지지되는 공정을 반복하는 스텍켈 밀은 좋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고온에 노출되어지는 시간이 길수록, 일반적으로 금속 조직의 결정립은 성장하여 비대화하기 때문이다.
이상으로부터, 종래의 핫 스트립 밀을 이용한 설비에서는 고품질의 압연은 가능해지지만, 대형이며 또한 설비비도 매우 높아지는 외에, 다양한 압연 제조 프로세스를 고려한 경우, 반드시 가장 적절한 설비로 되어 있다고 할 수는 없다. 또한, 종래의 스텍켈 밀에서의 압연 방법에서는 특히 고품질 탄소강에 있어서의 금속 조직적인 품질에 문제가 있다는 것도 설명했다. 그러나, 스텍켈 압연 설비는 종래의 핫 스트립 밀과 비교하여 설비비가 매우 저렴하고, 설비 길이도 매우 짧아지는 등의 유리한 점도 많으며, 금속 조직적인 품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 소중(小中) 생산량 다품종용의 압연 설비에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텍켈 압연 설비의 조업성 및 제품 품질을 향상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압연 설비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압연 설비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압연 설비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압연 설비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압연 설비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연재
1a : 선행재
1b : 후행재
2 : 트윈 밀
3, 9, 18 : 가열로
4, 10, 19 : 권취기
5 : 가열 장치
6 : 냉각 장치
7 : 디스케일링 장치
8 : 노즐
11 : 핀치 롤
12 : 디플렉터 롤
13 : 압연재 안내 장치
14 : 층류 냉각 장치
15 : 다운 코일러
16 : 온도 검출기
17 : 온도 제어 장치
20 : 마무리 압연기
본 발명의 열간 압연 설비는 노 내에 권취기를 구비한 퍼네스 코일러를 압연기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설치한 스텍켈 압연 설비를 구비한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 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의 입구측 및 출구측 중 적어도 한쪽에 노 내에 권취기를 구비한 퍼네스 코일러를 설치하고, 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의 입구측 및 출구측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한 퍼네스 코일러와 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 사이에 상기 압연기로 압연하는 압연재의 온도를 조정하는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본 발명의 압연 방법은 노 내에 권취기를 구비한 퍼네스 코일러를 압연기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설치한 스텍켈 압연 설비를 구비한 열간 압연 설비의 압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의 입구측 및 출구측 중 적어도 한쪽에 노 내에 권취기를 구비한 퍼네스 코일러가 배치되고, 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의 입구측 및 출구측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한 퍼네스 코일러와 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 사이에 압연재의 온도를 조정하는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압연기에 의해 적어도 1회 압연하는 압연 공정과, 상기 압연 공정 후에 압연재의 온도를 조정하는 장치에 의해 열처리하는 열처리 공정과, 상기 열처리 공정 후에 적어도 1회 압연하는 압연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압연기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노 내에 권취기를 구비한 제1(입구측) 및 제2(출구측) 퍼네스 코일러를 갖는 스텍켈 압연 설비의 입·출구측의 어느 한쪽, 바람직하게는 입구측에 제3 퍼네스 코일러를 설치하고, 상기 제3 퍼네스 코일러와 제1 혹은 제2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 압연재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나 디스케일링 장치와는 별도의 냉각 장치를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의 입구측 혹은 출구측에 제3 및 제4 퍼네스 코일러를 구비한 중간 권취 장치를 설치하고, 중간 권취 장치 내에는 가열 장치 및/또는 냉각 장치를 설치하고, 이 근처에 레벨러를 설치하거나 한다. 특히, 스텍켈 압연 설비의 압연기는 적어도 1대 이상의 트윈 밀로 하고, 디스케일링 장치 및 바람직하게는 열간 압연유 장치를 설치하거나 한다.
또한, 상기 열간 압연 설비의 압연 방법으로써, 적어도 1회 이상 압연 가공된 압연재에 대해, 권취 및/또는 감아내기를 행하면서 가열 및/또는 냉각을 행하는 열처리 공정을 적어도 1회 이상 실시하고, 바람직하게는 최종 패스의 바로 전의 패스에서 실시하고, 가열 처리는 압연재의 석출 탄화물의 고용(固溶)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권취하고, 일정 시간 보유 지지하는 공정을 적어도 1회 이상 실시한 후, 압연 가공 처리를 1회 이상 행하고, 그 후 냉각하거나 하는 열간 압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가열 장치의 근방에 설치된 디스케일링 장치와는 별도의 냉각 장치와 가열 장치에 의해 적어도 1회 이상의 권취·감아내기 과정에서, 가열 냉각의 열처리 과정을 적어도 1회 이상 실시하고, 그 후의 압연 공정에서는 열간 압연유를 이용하거나, 특히 최종 압연 개시 전의 압연재 온도를 오스테나이트의 미결정 영역에 설정하거나, 페라이트 영역 혹은 오스테나이트 및 페라이트의 2상 혼합 영역에 설정하거나 하고, 최종 압연시의 누적 압하율을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으로 하거나 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제1 실시예>
도1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압연기는 하나의 하우징에 2세트의 롤군을 조립한 소위 트윈 밀(2)로 하고, 그 트윈 밀(2)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가열로(3L), 가열로(3R) 내에 각각 권취기(4L), 권취기(4R)를 설치한 소위 제1, 제2 퍼네스 코일러를 배치하고 있다. 소위 스텍켈 밀 압연 설비이다. 여기에서, 트윈 밀(2)은 가역 압연 가능한 가역식압연기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윈 밀(2)과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는 탄소강의 압연을 가 능하게 하기 위해, 고압 유체를 압연재 표면에 분사하는 디스케일링 노즐을 구비한 디스케일링 장치(7)를 설치하고, 또한 열간 압연유를 분사하는 노즐(8)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슬래브 가열로 등으로부터 반송된 압연재(1)는 디스케일링 장치(7)로 압연재 표면의 스케일을 제거하면서, 트윈 밀(2)에 의해 반복 압연되고, 그 판 두께가 권취 가능한 25㎜ 정도가 되면, 핀치 롤(11), 디플렉터 롤(12) 및 압연재 안내 장치(13) 등으로 안내되면서 권취기(4L 또는 4R)에 의해 권취된다.
이후의 가역 압연에서는 제1 및 제2 퍼네스 코일러[권취기(4L 및 4R)]로 권취, 되감기를 반복하면서 최종 판 두께까지 압연되고, 그 후 런아웃 테이블 상의 냉각 장치(14)에 의해 냉각되어 다운 코일러(15)로 권취된다.
또한, 특히 일반 탄소강을 압연하는 경우는 필요에 따라서 디스케일링 장치(7)에 의해, 압연재 표면 스케일의 제거가 행해지는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스텍켈 밀 압연 설비에서는 압연이 행해진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의 더욱 입구측에 가열로(9) 내에 권취기(10)를 설치한 제3 퍼네스 코일러를 설치하고, 또한 권취기(4L)를 구비한 제1 퍼네스 코일러와 권취기(10)를 구비한 제3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 압연재(1)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냉각 장치(6)나 가열 장치(5)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트윈 밀(2)과 그 입구측의 제1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는 가열 수단이나 냉각 수단을 마련하지 않으므로, 권취 압연 패스에 있어서의 조업성이 우수하여, 전술한 공지예의 과제의 하나는 해소된다. 또한, 가열 장치(5) 및 냉각 장치(6)를 트윈 밀(2)과 제1 또는 제2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 설치하지 않으므로, 그 가열 장치(5)나 냉각 장치(6)의 길이에 관해서는 공지예에 개시된 경우보다도 압연 조업성에 대해 그다지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자유롭게 부여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즉, 압연기와 그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배치된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 가열 수단이나 냉각 수단을 배치하고 있지 않으므로, 가역 압연의 조업성을 나쁘게 하는 일 없이 압연할 수 있다.
또한, 압연기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배치된 퍼네스 코일러와 그와는 별도의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 가열 수단이나 냉각 수단을 설치하므로, 길이의 제약을 받는 일 없이 적절한 길이의 가열 수단이나 냉각 수단을 배치할 수 있어 압연재(1)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에, 제3 퍼네스 코일러 및 가열·냉각 장치의 압연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종래의 스텍켈 밀에서의 최종 패스 바로 전의 패스에서는, 압연재(1)는 출구측 코일러(4R)로부터 감아내어지고, 트윈 밀(2)에 의해 압연되면서 입구측의 권취기(4L)에 의해 권취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입구측 권취기(4L)에서는 권취하지 않고, 도중 가열 장치(5)에 의해 가열되면서 제3 코일러인 권취기(10)로 권취한다. 다음의 최종 압연 패스에서는 권취기(10)로부터 감아내어진 압연재(1)는 필요에 따라서 가열 및/또는 냉각되면서 트윈 밀(2)에 의해 압연되고, 런아웃 테이블 상의 층류 냉각 장치(14)에 의해 냉각되고, 다운 코일러(15)에 의해 권취된다. 이 경우, 압연재(1)의 온도 제어는 온도 검출기(16)에 의해 측정되고, 이것이 원하는 온도가 되도록 제어 장치(17)로 가열 장치(5) 또는 냉각 장치(6)를 제어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 최종 패스의 바로 전의 패스[이하, 가열 통판(通板) 패스]에서는 압연을 행하지 않거나 또는 극경압하(極輕壓下)(예를 들어 5% 이하)로, 또한 저속으로 통판하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압연재(1)와 압연 롤과의 접촉에 의한 압연재(1)의 온도 저하를 최대한 방지하고, 목표 가열 온도까지 가열하는 가열 장치(5)의 필요 길이를 최소한으로 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단, 압연기를 특히 트윈 밀(2)로 한 경우에는 극경압하하면서 통판해도 좋다. 즉, 통상의 1스탠드의 압연기에서는 압하가 미소하더라도, 압연재(1)의 선단부가 권취기(10)에 도달하기까지의 무장력 압연시, 사행 등의 위험성이 매우 높아질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는 완전히 압하를 하지 않고, 저속으로 통판한 쪽이 좋다. 단, 트윈 밀(2)에서는 압연 롤 사이의 거리가 짧고, 이 사이에서 압연재가 구속되므로 통판의 안정성이 뛰어나게 좋고, 상기와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인 압연 설비를 이용하여 압연한 경우의 작용에 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스텍켈 압연 설비를 이용하여 압연하는 경우, 금속 조직적인 문제에 관해서는 앞에 서술한 바와 같다. 특히, 문제가 되는 점은 석출 탄화물의 비대화를 방지하는 방법이며, 일단 발생한 집중 거대 석출 탄화물을 통상의 압연 과정에서 미세화하면서 또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이에 대해, 가열 장치(5)를 구비한 본 설비에서는 가열 통판 패스에서 압연재(1)를 오스테나이트 변태점(A3점)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영역에 있어서의 석출 탄화물의 재고용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서 퍼네스 코일러로 권취하여, 필요 시간 보유 지지함으로써, 확실하게 압연재 중에 석출된 석출 탄화물을 재고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열 장치(5)의 이용 방법은 앞의 공지예, 일본 특허 공고 평5-45327호 및 미국 특허 제5755128호에도 일체 기재되어 있지 않아, 이용 목적이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한 공지예에 있어서의 가열 장치의 이용목적은 압연재의 선후단부 온도 제어 또는 압연재의 전체 길이에 걸친 온도의 균일화 제어이며, 본 발명과 같이 압연재의 금속 조직을 적극적으로 개질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권취기(10)에 의해 권취된 압연재(1)를 노(9) 내에서 필요 시간 보유 지지하는 것은 석출 탄화물의 재고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중요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열 장치(5)의 이용 방법에는 별도의 과제도 있다. 그것은 마무리 제품 판 두께에도 따르지만, 일반적으로 최종 패스 부근에서의 압연에서는 900℃ 정도 이하까지 압연재 온도가 저하하는 것이 보통이다. 박판 등을 압연하는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압연으로 일반적으로 일컬어지고 있는 허용 하한 온도, A3점 이하로 될 수 밖에 없는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하여, 석출 탄화물의 고용 처리를 행하는 온도는 일반적으로는 1000도 이상이며, 꽤 큰 가열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가열 장치의 대형화 및 가열로의 노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고용 처리를 목적으로 한 가열을 행하는 패스에서는 압연을 행하지 않거나 또는 극경압하, 그리고 저속으로 통판하면서 가열하는 방법으로 함으로써, 가능한 한 필요 가열로 길이를 짧게 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단, 가열 용량을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해서는 롤과 압연재를 접촉시키지 않고서 통판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문제도 있다. 즉, 롤과 압연재를 비접촉 상태로 장시간 방치한 경우, 롤이 냉각됨으로써, 지금까지의 압연으로 발생한 롤 열팽창에 의한 롤 표면 프로필(서멀 크라운)이 변화하게 된다. 이 과제는 다음의 최종 압연에 있어서의 압연재의 형상 제어가 지금까지의 압연으로 행해지고 있었던 형상 제어 방법으로 일변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형상 제어의 용이성으로부터는, 이것은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이것은 고용 처리를 목적으로 한 가열을 행하는 패스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통상 행해지고 있는 압연 롤 냉각을 행하기 위해 롤에 분사되는 냉각액(롤 냉각제)의 수량을 적게 제어하거나, 분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서멀 크라운의 변화를 가능한 한 적게 하는 것이 유효한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 과제에 관해서는 유효한 별도의 압연 방법을 후술한다.
또한, 압연재가 얇을 수록 가열하기 쉬우며, 따라서 가열 장치(5)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은 고용 처리를 목적으로 한 가열 처리는 최종 패스의 바로 전의 패스에서 행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판 두께가 얇을 수록, 빠르게 가열 후의 판 두께 방향의 온도 분포가 일정해져, 고용 처리를 간단하면서 균일하게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도 상기 이유의 하나이다.
즉, 상기 고용 처리의 일반적 목표는 판 두께 25㎜당 0.5 시간 정도의 보유 지지 시간이 필요하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판 두께 2.5㎜로 고용 처리를 행한 경우, 노 내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시간은 3분 정도로 충분하게 되고, 판 두께가 얇을수록 노 내 보유 지지 시간이 적어지게 되어, 생산성 및 품질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가열 통판 후에 필요 보유 지지 시간을 취하는 것은 그 때의 판 두께에도 따르지만, 생산량의 감소에 연결되는 것은 틀림없다. 이에 관해서도, 가능한 한 생산성을 높이는 압연 방법을 후술한다.
또한, 압연재를 고온으로 보유 지지한다고 하는 과제는 이에 따라 금속 조직의 결정립이 성장하여 비대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재의 강도가 저하한다고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에 관해서는 앞에 언급된 문헌「제어 압연·제어 기술」의 제2.2장에도 기재하고 있는 바와 같이, 페라이트의 결정립 직경을 결정하는 커다란 요인은 미결정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의 누적 압하율에 있다는 것이 명백해지고 있다. 이것을 단적으로 나타낸 문헌으로서는 신닛데쓰(新日鐵) 기보 제365호(1997)「후판(厚板) 페어 크로스 밀에 있어서의 대(大)압하 압연 기술」등이 있다.
상기 문헌 등에 의해, 누적 압하율이 50% 이하인 경우는 대략 상기 압하율에 비례하여 페라이트 입경이 작아지며,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에서는 대략 포화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고용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거칠고 크게 된 결정립은 그 후 미결정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 강압하함으로써, 미세한 페라이트의 결정립으로 할 수 있게 된다.
통상 1대의 압연기로 50% 이상의 압하를 행하는 것은 압연 하중이 커지고 형상 제어도 어려워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압연기는 복수대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조업의 안정성으로부터는 트윈 밀의 적용이 이상적인 것은 앞에도 반복 서술한 바와 같다.
이상과 같이 압연된 후, 압연재는 출구측 런아웃 테이블 상에 설치된 냉각 장치(14)에 의해 냉각되고, 다운 코일러(15)에 의해 권취되어 제품화된다. 이 런아웃 테이블에서의 냉각이 최종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것은 종래의 제어 압연 기술과 마찬가지이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압연 방법으로 고용된 석출 탄화물은 상기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재석출하게 된다. 여기에서 고용 처리된 압연재를 이용하는 의미는 최종 제품에 남는 석출 탄화물의 대부분은 상기 런아웃 테이블 상의 냉각에 의해 생성된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런아웃 테이블 상의 냉각을 압연강의 종류에 따라서 제어함으로써, 고용 처리 전의 압연 이력에 관계 없이 탄화물의 가장 적절한 석출 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극히 미세한 탄화물을 균일하게 모재 중에 분산시키도록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테이블 상에서 오스테나이트로부터 페라이트로 변태하는 페라이트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하여 제품 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모재 중의 고용 탄소량을 감소시켜 인성이 풍부한 제품의 생산이 가능해진다.
이상이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압연 방법 및 압연 설비에 적용되는 새로운 압연 제조 프로세스에 대한 기본적인 사고 방식이다. 그러나 더 설명을 붙이자면, 오스테나이트 압연에서는 고용 처리를 실시한 후의 압연은 미결정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압연재의 온도로, A3 변태점으로부터 대략 950℃ 정도의 범위에 있어서의 압연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용 처리로 상기 범위 이상으로 온도를 올린 경우, 효율적으로 상기 범위 내에서 압연을 행하기 위해서는 고용 처리 후에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수단으로서는 디스케일링 장치(7)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래 목적이 다르게 되어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압연재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디스케일링 장치(7)의 본래의 목적은 압연재 표면 스케일의 제거이며, 이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100㎏/㎠ 이상의 고압 유체를 다량으로 압연재 표면에 분사하는 바와 같은 설비로 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온도 제어하기 위해서는 압력, 유량 등을 제어할 필요가 있어, 실제로는 매우 곤란하며, 또한 매우 나쁜 사용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압연재의 냉각이 목적이면, 이러한 고압 유체는 필요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층류 냉각 등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전용의 냉각 장치(6)를 구비한 쪽이 좋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최종 압연의 수 패스 전에서 고용 처리를 행하고, 계속된 후의 압연에서 결과적으로 미결정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의 압연이 되도록 압연 스케줄을 짜는 것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특히 페라이트 압연을 행하는 경우, 상기 냉각 장치(6) 및/또는 디스케일링 장치(7)를 이용하여 A3 변태점 이하로 제어하는 것은 당연하다. 판 두께가 두텁게 설치된 냉각 장치의 능력에서는 고용 처리 후 1회의 냉각으로 소정 온도까지 내려 가지 않는 경우는 비압연 상태 또는 통상의 압연 패스를 복수회 반복하고,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기까지 냉각을 행할 수도 있다. 단, 이 경우, 트윈 밀(2)과 권취기(10)의 거리가 길어져 조업 상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설비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한다.
또한 이상과 같은 설비로, 적어도 고용 처리 이후의 압연에 있어서 적어도 1 패스 이상의 압연에 열간 압연유를 도포하는 것은 각별한 효과가 있다. 열간 압연유를 적용함으로써, 롤과 압연재 사이의 마찰력이 저하하고, 압연 하중·토크 등이 작아진다. 이것은 특히 페라이트 압연 등의 저온 압연시에 유효하다.
본 실시예에 부수한 고유의 효과로서는,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는 페라이트 입경을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해서는 누적 압하율을 높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서술했다. 이것은 적어도 고용 처리 이후의 압연은 가능한 한 고압하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고압하 압연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압연 롤을 가능한 한 소직경화하는 것이다. 또한 압연의 안정성으로 말하자면, 가능한 한 작업 롤 구동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것은 구동계, 특히 스핀들의 허용 토크가 작게 억제되게 되어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없게 된다. 이 제한을 완화하기 위해, 특히 고압하율이 바람직한 고용 처리 이후의 압연에 열간 압연유를 이용하는 것은 고압하율의 압연을 가능하게 하므로, 금속 조직의 입경을 미세화하여 품질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직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로서, 롤과 압연재 사이의 마찰력이 저감한다고 하는 것은 압연재와 롤 사이에 작용하는 전단력이 작아진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압연재 표면층 부근에 작용하는 국부적인 전단 변형이 작아지는 것을 의미하고, 압연 조직을 판 두께 방향으로도 균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것은 균일한 고품질재를 생산한다고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더욱 높인다고 할 수 있다.
도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압연기로서 트윈 밀을 이용했지만, 통상의 1 스탠드 또는 복수 스탠드의 압연기로서도 마찬가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가열 장치는 효율적으로 가열하기 위해 전자 유도 가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텍켈 압연 설비의 상류측에 조(粗)압연기를 설치하거나, 후방에 복수의 마무리 압연기를 설치해도 좋다. 특히, 후방측에 마무리 압연기를 설치하면, 최종 패스에서의 누적 압하율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1에서는 냉각 장치(6) 및 가열 장치(5)를 동시에 설치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압연강 종류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가열 장치(5)만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1에는 가열 장치(5) 및 냉각 장치(6)를 각각 상하로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을 한쪽만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5)를 상부측에 설치하고, 냉각 장치(6)를 그 하부측에 설치하는 등이다. 또한, 상기의 가열 및/또는 냉각을 제어함으로써, 간단하게 2상(오스테나이트 및 페라이트의 혼합 조직) 압연이 가능해진다.
또, 지금까지 가열 통판 패스는 최종 패스의 바로 전의 패스에서 행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서술했다. 그러나, 상기에 얽매일 필요는 없으며, 권취 가능한 판 두께가 되면, 그 이후의 임의의 패스에서 필요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2는 도1에 도시한 실시예에 대해, 생산량을 향상시키고 또한 전술한 서멀크라운 대책에도 적절한 압연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2에서는 먼저 압연되어 압연재[선행재(1a)]가 제3 권취기(10)로 권취되고, 노(9) 내에서 보유 지지되고 있으며, 다음의 압연재[후행재(1b)]를 압연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선행재(1a)의 선단부는 핀치 롤(11)로 핀치되고, 도시하고 있지 않은 핀치 롤(11)의 승강 장치에 의해 패스 라인 위로 들어 올려지고 있다. 이것은 후행재(1b)가 길어 제3 퍼네스 코일러를 초과한 경우를 상정하고 있으므로, 이것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선행재(1a)가 가열 통판된 후 즉시 후행재(1b)의 압연을 행할 수 있다. 후행재(1b)의 압연이 개시되어 권취 가능 상태가 되어 제3 코일러와 간섭하지 않게 되면, 선행재(1a)의 선단부를 핀치하고 있는 핀치 롤(11)은 정규의 패스 라인 상의 위치로 복귀하여, 최종 압연의 준비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에 대해, 후행재(1b)는 가열 통판 패스의 직전에서 제2 코일러(4R)에 권취되고, 핀치 롤(11)에 의해 선단부가 핀치되어, 패스 라인 위에 대기하도록 조작된다. 이 상태에서, 선행재(1a)의 석출 탄화물을 고용하는 충분한 보유 지지 시간을 거친 후, 바로 선행재(1a)의 최종 압연이 실시된다. 선행재(1a)의 압연이 완료한 후, 후행재(1b)의 선단부를 핀치하고 있는 핀치 롤(11)은 정규의 패스 라인 상의 위치로 복귀되어, 가열 통판 처리가 즉시 개시된다.
이상과 같은 압연 방법으로 하는 것의 이점은 필요 가열 보유 지지 시간의 동안이라도 압연이 가능해져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선행재(1a)의 가열 통판 중에 작업 롤이 냉각되어 서멀 크라운이 크게 변화하더라도, 후행재(1b)가 계속해서 압연하게 되므로, 선행재(1a)의 최종 압연시에는 대략 정상인 서멀 크라운이 되어, 형상 제어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것이다. 즉, 생산성 및 형상 품질이 향상된다.
여기에서, 후행재(1b)의 압연은 판 두께가 두꺼운 곳에서부터 시작되므로, 롤의 서멀 크라운이 다소 변화하더라도 형상에 끼치는 영향은 적어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제3 실시예>
도3은 본 발명의 응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압연기(2)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가열로(3L, 3R) 내에 권취기(4L, 4R)를 설치한 퍼네스 코일러를 구비하는 스텍켈 밀 압연 설비는 도1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출구측에 2대의 가열로(10L, 18R) 내에 권취기(19L, 19R)를 설치한 퍼네스 코일러를 갖는 중간 권취 설비를 구비하고, 이 사이에 가열 장치(5) 및/또는 냉각 장치(6)를 설치하고, 또한 마무리 압연기(20)를 그 후에 배치한 것이다.
스텍켈 압연 설비의 압연은, 스텍켈 밀의 최종 압연 패스로 압연된 압연재(1)는 압연되면서 핀치 롤(11) 및 디플렉터 롤(12) 등으로 안내되면서, 중간 권취 설비의 코일러(19R)에 의해 권취된다. 코일러(19R)에 의해 권취가 완료된 압연재(1)는 필요에 따라서 가열 장치(5) 및/또는 냉각 장치(6)에 의해 가열 및/또는 냉각되면서, 다른 한쪽의 코일러(19L)를 향해 감아내어져 권취된다. 최종 압연은 코일러(19L)로부터 감아내어지고, 후방에 설치된 마무리 압연기(20)에 의해 압연되어, 런아웃 테이블 상의 층류 냉각 장치(14)에 의해 냉각되고, 다운 코일러(15)에 의해 권취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가열·냉각 등의 열처리 프로세스는 압연 프로세스와 독립하여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열처리 프로세스를 실행 중에 스텍켈 밀 설비로 압연을 행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설비에서는 가열 및 냉각을 복수 패스로 나눠 행하는 것이 간단하게 가능해진다.
이것은 압연 도중에 복잡한 열처리를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제품 품질이 양호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중간 권취 장치에 의해, 최초의 패스에서 A3점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압연재를 A3점 이하의 페라이트 영역으로 온도를 낮추고, 그 다음의 패스에서 페라이트 조직의 압연재를 A3점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가열하는 등이다.
일반적으로 탄소강에 있어서는 변태점을 통과시킴으로써, 금속 조직은 예를 들어 오스테나이트로부터 페라이트 혹은 페라이트로부터 오스테나이트로의 재결정이 발생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금속 조직의 결정립을 미세화할 수 있다. 즉, 최종 패스 전에 상기의 열처리 프로세스를 실시함으로써, 가능한 한 모재의 결정립을 사전에 미세화해 두는 것은 최종 제품의 품질 향상에 더욱 유용한 것은 당연할 것이다. 단, 필요한 열처리 프로세스는 압연 재질에 따라 다르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설비로 가능하게 되는 범위 내에서, 압연재에 따라서 가장 알맞은 열처리를 적절하게 행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설비적으로는 중간 권취 장치와 마무리 압연기 사이 또는 중간 권취 장치 내에 레벨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코일러로 감긴 선단부의 권취 습관을 교정하여 마무리 밀로의 통판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제4 실시예>
도4는 스텍켈 밀 압연 설비에 있어서의 출구측 압연재의 길이가 중간 권취 장치에 도달하는 경우, 중간 권취 장치의 조업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도4에서는 선행재(1a)가 중간 권취 장치 양측의 코일러(19L, 19R)에 권취되고, 장력이 작용한 단계에서 핀치 롤(11)의 상부 롤을 후행재(1b)의 판 두께 이상으로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선행재(1a)와 후행재(1b)의 간섭을 간단하게 피할 수 있다. 이로써, 스텍켈 압연 설비와 마무리 압연기 사이의 거리를 가능한 한 짧게 하더라도, 중간 권취 장치의 처리가 종료하기까지 스텍켈 밀 설비의 압연을 중지시켜 둘 필요가 없어,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다.
<제5 실시예>
도5는 도3의 설비에서의 중간 권취 장치를 스텍켈 압연 설비의 입구측에 배치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텍켈 압연 설비의 최종 압연 패스의 바로 전의 패스에서, 코일러(3R)로부터 감아내어진 압연재(1)는 압연기(2)를 통해 코일러(19L)에 권취하는 것은 도1의 설비에서의 압연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윈 밀(2)에서는 압연하면서 고속으로 권취할 수 있다. 즉, 고용 처리 등의 열처리를 목적으로 한 프로세스는 코일러(19L)에 권취된 압연재(1)를 코일러(19R)에 재권취하는 공정에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코일러(19L 및 19R) 사이에서의 열처리를 복수 패스로 간단히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도3에 있어서의 설명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4에서 설명한 압연 방법을 이용하면, 중간 권취 장치에서 필요한 가열· 냉각을 한창 행하고 있는 중이라도 후행재(1b)를 스텍켈 밀로 동시에 압연할 수 있는 것도 당연하다. 최종 압연 패스에서는 코일러(19L)로부터 감아내어진 압연재(1)는 스텍켈 압연 설비의 압연기인 트윈 밀(2) 및 마무리 압연기(20)에 의해 탠덤형으로 압연되고, 런아웃 테이블 상의 냉각 장치(14)에 의해 냉각되어, 다운 코일러(15)로 권취된다.
이와 같은 배치로 하는 첫번째 목적은 마무리 스탠드 수의 삭감에 있다. 즉, 도3의 실시예에서는 중간 권취 장치를 스텍켈 압연 설비와 마무리 압연기 사이에 설치하였으므로, 최종 압연 패스에서는 그 이후에 설치된 마무리 압연기만으로의 압연이 된다. 이에 대해 도5와 같은 배치로 한 경우, 최종 패스의 압연에서도 스텍켈 압연 설비 내에 설치된 압연기인 트윈 밀(2)에 의한 압연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마무리 압연기의 설치수를 도3의 경우와 동수로 한 경우에는 보다 압하량을 크게 취할 수 있고, 반대로 같은 정도의 압하량으로 좋은 경우에는 마무리 압연기의 설치 대수를 삭감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설비의 간략화, 설치 공간 삭감, 설비비의 저감에 효과적은 배치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압연기와 그 전후의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는 가열·냉각 장치를 설치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해 왔다. 그러나, 앞의 공지예와 같이 상기 사이에 가열·냉각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즉, 가능한 한 소용량인 가열·냉각 장치로 함으로써, 조업성을 저해하는 일 없이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텍켈 압연 설비의 코일러는 가열로 내에 설치한 퍼네스 코일러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상기는 반드시 가열로 내에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특히 최종 판 두께가 3 내지 5㎜ 정도인 경우, 열을 보존할 정도인 것이라도 좋다. 단, 압연재의 판 폭 단부(엣지부)는 적극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판 중앙에 비해 엣지부는 냉각하기 쉬워, 이대로 압연한 경우에 엣지 균열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져 이를 방지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스텍켈 압연 설비에 이용한 코일러 이외의 권취기는 퍼네스 코일러로서 패스 라인의 위에 설치한 것으로 하여 설명해 왔다. 그러나, 이에 관해서는 퍼네스 코일러 이외의 코일러, 예를 들어 다운 코일러 타입 등이라도 좋으며, 설치 위치는 패스 라인의 아래라도 좋다. 또한, 중간 권취 장치를 구비한 설비에 있어서는 본 장치를 압연 라인 옆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는 압연 라인 상에 별도의 권취기를 설치하고, 여기에서 권취된 코일을 반송 장치에 의해 중간 권취 장치로 반송하고, 필요한 열처리 프로세스를 실시한 후, 반송 장치로 압연 라인 상의 감아내기 장치로 반송하고, 그 후 압연을 계속하면 좋다. 요는 적어도 1회 이상 압연 가공된 압연재를 적어도 최종 압연 전에 적어도 1회 이상 권취 혹은 감아내면서 열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는 데 있다.
스텍켈 압연 설비를 포함하는 열간 압연 설비를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경우, 종래는 곤란했던 고품질의 탄소 강판의 압연이 가능해지는 것은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명백하다.
이상에 의해, 종래의 대형 핫 스트립 압연 설비에서는 실질적으로 매우 곤란했던 압연 전의 금속 조직의 자유로운 제작을 본 실시예에 의해 간단하게 달성할 수 있게 하였다. 이것은 또한 종래의 스텍켈 밀이 스테인레스강 등의 특수강에 오로지 적용되고 있었던 것을 단숨에 고품질 탄소강의 압연에도 적용 가능하게 하는 획기적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텍켈 압연 설비의 조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3)
- 노 내에 권취기를 구비한 퍼네스 코일러를 압연기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설치한 스텍켈 압연 설비를 구비한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의 입구측 및 출구측 중 적어도 한쪽에 노 내에 권취기를 구비한 퍼네스 코일러를 설치하고, 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의 입구측 및 출구측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한 퍼네스 코일러와 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 사이에 상기 압연기로 압연하는 압연재의 온도를 조정하는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설비.
- 노 내에 권취기를 구비한 제1 퍼네스 코일러와, 압연재를 압연하는 압연기와, 노 내에 권취기를 구비한 제2 퍼네스 코일러를 차례로 배치한 스텍켈 압연 설비를 구비하고,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의 상류측 및 하류측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압연재의 온도를 조정하는 장치를 설치하고,상기 압연재의 온도를 조정하는 장치의 스텍켈 압연 설비 반대측에 노 내에 권취기를 구비한 제3 퍼네스 코일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설비.
- 압연재를 압연하는 압연기와, 상기 압연기의 입구측에 배치되고 노 내에 제1 권취기를 구비한 퍼네스 코일러와, 상기 압연기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노 내에 제2 권취기를 구비한 퍼네스 코일러를 갖는 스텍켈 압연 설비를 구비한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제3 및 제4 권취기를 구비한 권취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제3 및 제4 권취기 사이에 상기 압연재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 및 상기 압연재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 중 적어도 가열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설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의 하류측에 마무리 압연기를 배치하고, 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와 상기 마무리 압연기 사이에 상기 중간 권취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중간 권취 장치 내 혹은 상기 중간 권취 장치와 상기 마무리 압연기 사이로써 상기 중간 권취 장치측에 상기 압연재의 굽힘을 교정하는 교정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설비.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의 압연기를 하나의 하우징에 2세트의 롤군을 구비한 적어도 1대의 압연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설비.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의 입구측 및 출구측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고, 고압 유체를 상기 압연재에 분사하여 상기 압연재의 표면 스케일을 제거하는 디스케일링 장치, 또는 열간 압연유를 상기 압연재의 표면에 분사하는 열간 압연유 공급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설비.
- 노 내에 권취기를 구비한 퍼네스 코일러를 압연기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설치한 스텍켈 압연 설비를 구비한 열간 압연 설비의 압연 방법에 있어서,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의 입구측 및 출구측 중 적어도 한쪽 노 내에 권취기를 구비한 퍼네스 코일러가 배치되고,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의 입구측 및 출구측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한 퍼네스 코일러와 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 사이에 압연재의 온도를 조정하는 장치가 배치되고,상기 압연기에 의해 적어도 1회 압연하는 압연 공정과, 상기 압연 공정 후에 압연재의 온도를 조정하는 장치에 의해 열처리하는 열처리 공정과, 상기 열처리 공정 후에 적어도 1회 압연하는 압연 공정을 포함하는 열간 압연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공정은 상기 압연기에 의한 적어도 최종 패스의 바로 전의 패스에서 적어도 1회 실시하고, 또한 그 후의 압연 가공 후에 상기 압연재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방법.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공정은 상기 압연재의 석출 탄화물의 고용 온도 이상 A3점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영역에 가열하여 권취되고, 소정 시간 권취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하는 공정을 적어도 1회 포함하는 것, 혹은 압연재를 냉각하는 냉각 공정을 적어도 1회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방법.
-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공정 후의 압연 공정 중 적어도 1회의 압연으로 열간 압연유를 이용한 압연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텍켈 압연 설비의 입구측 및 출구측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한 퍼네스 코일러에 권취하는 패스시에, 상기 압연기에서는 압연을 행하지 않거나 또는 극경압하에서 압연하면서 행하는 것, 혹은 상기 압연기의 압연 롤을 냉각하는 롤 냉각제를 상기 압연 롤에 걸지 않거나 또는 그 양을 적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열간 압연 방법.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공정은 상기 압연재의 석출 탄화물의 고용 온도 이상 A3점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영역에 가열하여 권취되고, 소정 시간 권취된 상태로 보유 지지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그 공정 후의 감아내기 공정에서, 압연 직전의 압연재 온도를 압연재의 오스테나이트 미재결정 영역, 또는 페라이트 영역 혹은 페라이트 및 오스테나이트의 혼합 2상 영역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열간 압연 방법.
-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의 최종 압연 패스의 누적 압하율을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열간 압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3650699A JP3695242B2 (ja) | 1999-08-24 | 1999-08-24 | 熱間圧延設備及び圧延方法 |
JP99-236506 | 1999-08-2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21377A true KR20010021377A (ko) | 2001-03-15 |
Family
ID=1700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48817A KR20010021377A (ko) | 1999-08-24 | 2000-08-23 | 열간 압연 설비 및 압연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3695242B2 (ko) |
KR (1) | KR20010021377A (ko) |
CN (1) | CN1285245A (ko) |
DE (1) | DE1004135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1397452B1 (it) * | 2009-12-30 | 2013-01-10 | Danieli E C Ohg S P A | Dispositivo e procedimento per avvolgere/svolgere un prodotto metallico in una linea di laminazione |
EP3269464B1 (en) * | 2015-03-09 | 2020-12-02 |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s Corporation | Rolling facility |
CN112705569B (zh) * | 2020-12-09 | 2022-09-23 | 一重集团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 超短距离布置的炉卷轧机生产线及轧制工艺 |
-
1999
- 1999-08-24 JP JP23650699A patent/JP369524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
- 2000-08-22 CN CN00124257A patent/CN1285245A/zh active Pending
- 2000-08-23 DE DE10041352A patent/DE10041352A1/de not_active Withdrawn
- 2000-08-23 KR KR1020000048817A patent/KR2001002137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1058202A (ja) | 2001-03-06 |
JP3695242B2 (ja) | 2005-09-14 |
DE10041352A1 (de) | 2001-04-05 |
CN1285245A (zh) | 2001-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G60451B1 (bg) | Метод и инсталация за получаване на кангали от стоманена лента | |
JPH0364202B2 (ko) | ||
US20120160377A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microalloyed steel, in particular a pipe steel | |
JP3691996B2 (ja) | ステッケル熱間圧延設備 | |
JP2000271603A (ja) | 極薄帯板の熱間圧延方法および圧延装置 | |
JP2023530544A (ja) | 熱間圧延極薄鋼帯の連続生産のためのプラントおよび方法 | |
EP3498389B1 (en) | Device and method for cooling hot-rolled steel sheet | |
EP1033182A1 (en) | Sheet hot rolling mill | |
US6978531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hot rolled steel sheet using mini mill process | |
JP2003320402A (ja) | 熱延鋼帯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
JPH0761488B2 (ja) | 熱間鋼帯の製造方法および設備 | |
CN113118783B (zh) | 一种1.5~4mm规格低碳钢横折缺陷控制方法 | |
KR20030064761A (ko) | 주문에 의한 강 스트립 공급 방법 | |
KR20010021377A (ko) | 열간 압연 설비 및 압연 방법 | |
JP5609407B2 (ja) | 熱延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設備 | |
WO2017130765A1 (ja) | 熱延鋼帯の製造設備列および熱延鋼帯の製造方法 | |
JPH06320203A (ja) | 鋳造熱間圧延連続設備 | |
WO2017130767A1 (ja) | 熱延鋼帯の製造設備列および熱延鋼帯の製造方法 | |
JP2006021246A (ja) | 高強度熱延鋼板製造設備。 | |
KR100435435B1 (ko) | 초극박 열연강판 생산겸용 연속열간압연장치 및 이를이용한 초극박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 |
JP5609703B2 (ja) | 熱延鋼板の製造方法 | |
JP2005169454A (ja) | 鋼帯の製造設備および製造方法 | |
KR20020001435A (ko) | 벤딩수단에 의한 판재 권취장치 | |
US5419172A (en) | Continuously cast carbon and stainless steel hot-rolling mill | |
JP2005296973A (ja) | 熱延鋼板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