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00075610A -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610A
KR20000075610A KR1019997007671A KR19997007671A KR20000075610A KR 20000075610 A KR20000075610 A KR 20000075610A KR 1019997007671 A KR1019997007671 A KR 1019997007671A KR 19997007671 A KR19997007671 A KR 19997007671A KR 20000075610 A KR20000075610 A KR 20000075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heating
conditioning equipment
air
automotiv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꾸아르미첼
다우쉬우베
Original Assignee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끌리마띠자씨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951519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0007561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끌리마띠자씨옹 filed Critical 레메이르 마르
Publication of KR20000075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61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107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heat exchangers, e.g. arrangements leading to a curved airflo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계기판 내에 설치되는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는 공기 팬(26), 증발기(56), 가열 라디에이터(72) 및 공기 분배 수단을 포함한다. 증발기(56)는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의 기류(F2)가 통과하도록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압력손실을 제한하도록 공기 팬(26)과 가열 라디에이터(72)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HEATING/AIR-CONDITIONING DEVICE INTEGRATED IN A MOTOR VEHICLE INSTRUMENT PANEL}
이런 유형의 장치에서, 팬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승객실 외부에서 확보되는 외부 공기 또는 승객실 내부에서 확보되는 재순환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종래에는 팬은 기류를 종래의 공기조화 회로에 연결된 증발기를 통해 공급하거나, 뜨거운 유체, 즉 자동차 엔진 냉각액이 통과하는 가열 라디에이터를 통해 공급할 수도 있다. 그래서, 냉각 및/또는 가열된 기류는 분배 수단에 의하여 서로 다른 통풍구 입구 사이에서 승객실 쪽으로 분배된다.
그러한 장치는 대체로 기류에 의해 운반되는 불순물을 포획하기 위해서 기류의 경로에 배치된 공기 필터를 포함한다.
최근에 이 장치의 구성 요소를 계기판 내에 직사각형의 공간, 특히 대략 평행한 파이프 형상으로 묶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 방법의 이점은 공간을 절약하고 생산의 표준화를 이룰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증발기가 수평 방향의 위치에 있도록 하여 정확한 작동이 어렵게 한다. 또 이 방법은 기류에 압력 손실과 열 손실을 입히는 긴 순환 경로를 강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결점을 뚜렷하게 극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앞에서 정의된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가 제시되는데, 그 내부에 증발기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인 기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로 배치되어 있고, 압력 손실을 제한하기 위하여 증발기는 팬과 가열 라디에이터 사이에 직접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증발기는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에 배치되며, 이것은 큰 면이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다른 큰 면을 통과하여 나오기 위해서 큰 면중 하나로 들어가는 기류는 실질적으로 수평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직접 배치된(disposed directly)"이라는 표현은 증발기가 팬 및 가열 라디에이터에 인접한 곳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기류의 경로의 길이를 최소화하고 열손실뿐만 아니라 압력 손실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부속물 특히 공기 필터가 팬과 증발기 사이 또는 증발기와 가열 라디에이터 사이에 개재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 그러한 장치는 장치의 전체 부피를 줄이는 기능을 하여 공간활용도가 높은 구조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는 계기판 내부의 사용가능한 공간 중 일부만을 차지하여 다른 품목이나 장비를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을 제공한다.
이렇게 차지된 공간은 높이 및/또는 깊이가 작으며, 이로 인해 작은 크기의 차량에서조차도 계기판에 쉽게 통합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 라디에이터가 계기판의 중앙 영역에 위치할 때 팬은 계기판의 측면 영역에 위치된다.
그 결과 계기판 반대편 측면 영역에 여유 공간이 생기며, 이 여유 공간은 예를 들면 안전 에어백, 글로브 박스, 플랩 등의 장비의 품목이 차지한다.
팬은 차량 운전 위치와 같은 쪽, 즉 운전자 쪽에 위치해 있어 도움이 된다. 따라서, 상술한 여유 공간은 승객실 쪽에 위치한다.
변형예로서, 팬은 운전 위치의 반대쪽에 위치해 있어서, 상술한 여유 공간이 운전자 쪽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팬은 신선한 공기 또는 재순환되는 공기를 받아들일 수 있는 공기 입구와 증발기 쪽으로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기류를 보낼 수 있는 공기 출구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 공기 출구는 기류가 채널을 통과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증발기로 직접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팬은 실질적으로 자동차의 중심축에 평행한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터빈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 팬은 두 개의 동심축 터빈을 구비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팬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터빈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 팬은 단일 터빈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며, 팬의 입구가 우선적으로 하방으로 배향된다. 그러나, 팬 입구가 위쪽을 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의 증발기는 큰 면이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과 같이 다른 방법으로 배향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증발기는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자동차의 중심축에 평행한 큰 면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증발기는 자동차의 중심축에 실질적으로 수직 및 경사진 큰 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이점이 있는 특징에 따르면, 증발기는 실질적으로 장방형 형상인 수직 방향의 큰 면을 구비하며, 수평 방향의 치수(깊이)와 수직 방향의 치수(높이)의 비가 2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에 가깝다. 이로 인해 장치의 높이 치수가 감소되고,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편편한 공간(flat volume)"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변경으로서, 증발기는 실질적으로 장방형 형상인 수직 방향의 큰 면을 구비하며, 수평 방향의 치수(깊이)와 수직 방향의 치수(높이)의 비가 0.5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에 가깝다. 이로 인해 장치의 깊이 치수가 감소되고,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편편한 공간"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비록, 증발기가 원칙적으로 계기판의 공간 내에 완전히 내장될 지라도, 증발기의 일단이 자동차의 엔진실과 승객실을 분리하는 스커틀에 있는 오목부에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공기 필터가 가열 라디에이터의 상류쪽에 배치되어 유리하다.
이 공기 필터는 팬의 상류, 또는 팬과 증발기의 사이, 또는 증발기와 가열 라디에이터의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공기 필터는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로 배치된다.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공기 필터는 계기판의 저면에 위치한 플랩으로부터 이익이 되도록 받아들일 수 있다. 이 플랩은 계기판의 저면에 성형되며, 필름 힌지에 의해 계기판에 연결된다.
따라서, 승객실로부터 공기 필터에 직접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열 라디에이터는 상기 팬과 연통되는 공기 입구 및 상기 공기 분배 수단과 연통되는 출구를 구비하며 계기판에 위치하는 기술적 하우징에 장착된다.
가열 라디에이터의 방향은 특별히 중요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가열 라디에이터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가열 라디에이터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자동차의 중심축에 평행한 큰 면을 구비하고, 자동차의 중심축에 수직인 큰 면을 구비한다.
가열 라디에이터의 큰 면은 자동차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이거나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 라디에이터는 냉기 분기부와 연통되는 공기 가열 분기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혼합 플랩이 제공되어 조정된 온도에서 혼합 기류를 생성하도록 2개의 분기부 사이의 기류의 분배가 허용된다.
따라서, 장치는 소위 "공기중 혼합(mixing on air)"이라는 기술에 따라 조정된 온도에서 기류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열 라디에이터는 밸브의 조정을 통해 그 내부를 조정가능한 속도로 통과하는 뜨거운 유체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조정된 온도의 기류는 소위 "공기중 조정(adjustment on air)"이라는 기법에 의해 확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는 이 2가지 기류의 온도 조정 기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분배 수단은 성에 제거 출구와, 중앙 환기 출구와, 발 높이 출구 사이로 기류를 분배할 수 있다.
성에 제거 출구는 윈드스크린의 성에/흐림 제거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 역할을 할 수 있고, 중앙 환기 출구는 자동차 계기판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발 높이 출구는 승객실의 하부를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공기 분배 수단은 성에 제거 출구를 조정하기 위한 플랩과 환기 출구 및 발 높이 출구를 모두 조정하기 위한 다른 플랩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분배 수단은 성에 제거 출구 및 환기 출구 모두를 조정하기 위한 플랩과, 발 높이 출구를 조정하기 위한 다른 플랩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 분배 수단은 가열 라디에이터 및 계기판 전면에 배치되어 부피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 분배 수단은 계기판에 장착된 환기 통풍구를 공급하기 위해 계기판 내부에서 그리고 상기 자동차의 중심축에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을 포함한다.
따라서, 성에/흐림을 제거하는 통풍구 역할을 하는 관과 중앙 환기 통풍구 역할을 하는 다른 관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인 팬과, 증발기와, 가열 라디에이터와, 공기 분배 수단 및 공기 필터는 자동차의 중심축에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방향의 횡단 부재에 의해서 이송된다.
이 횡단 부재는 장치 전체를 강화하며 차량 섀시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또한, 공기를 분배하는 역할도 한다. 이 횡단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안전 에어백과 같은 장비의 특정 품목을 지지할 수도 있다.
팬과, 증발기와, 가열 라디에이터 및 공기 분배 수단은 계기판 내의 케이싱에 장착되는 이점이 있다.
우선적으로, 이 케이싱은 적어도 하나의 접근 플랩을 포함하여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의 유지관리나 교체를 허용한다.
특히, 케이싱의 접근 플랩은 가열 라디에이터의 상류에 위치한 공기 필터를 교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케이싱은 자동차의 엔진실을 승객실로부터 분리하는 스커틀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는 폐쇄된 전면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싱은 자동차의 엔진실을 승객실로부터 분리하는 스커틀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개방된 전면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 스커틀은 케이싱을 형성하는 것을 도와서 장치가 구비하고 있은 내부 관의 일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라서, 장치는 자동차의 엔진실을 승객실로부터 분리하는 스커틀 대향하여 위치한다. 이로 인해 장치를 스커틀 쪽으로 가압하고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 스커틀 증발기의 일단을 수납할 수 있는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라서, 케이싱은 자동차의 중심축에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방향의 횡단 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자동차의 섀시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적어도 장치의 일부 특히 공기 팬이 자동차 조향 칼럼 위에 위치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계기판의 내부 공간에 장착된 팬과, 증발기와, 가열 라디에이터 및 공기 분배 수단을 구비하는 형태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시에 의해 제공되는 아래의 설명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상세한 확대도,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VIII-V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부분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X-X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XI-X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XIII-X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부분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XV-X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XVI-XV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배 수단을 수직 횡단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8은 도 17과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평면도,
도 20은 도 19에서 XX-XX 선을 따라 절단한 동일 축척의 단면도,
도 21은 도 19에서 XXI-XXI 선을 따라 절단한 동일 축척의 단면도,
도 22는 도 2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는 라이닝(14)과 클래딩되어 계기판의 클래딩을 형성하는 수평 방향의 상면(12)과, 수평 방향의 저면(16)에 의해 범위가 결정되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파이프 형태의 케이싱(10)을 포함한다. 케이싱(10)은 우측에 위치한 수직 측면(22) 및 좌측에 위치한 수직 측면(24) 뿐만 아니라, 엔진실(M)과 같은 쪽에 위치한 수직 전면(18) 및 승객실(H)과 같은 쪽에 위치한 수직 후면(20)에 의해서도 범위가 결정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전면(18)은 폐쇄되어 있고 스커틀(T)(도 1 및 도 2)을 따라 위치하여 엔진실(M)과 승객실(H)을 분리하며, 이로 인해 장치를 스커틀(T)쪽으로 밀 수 있어서 공간을 현저하게 절약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로서, 전면(18)이 개방되어 있고 케이싱(10)은 스커틀(T)에 의해 닫혀 있어서 케이싱의 범위를 결정하고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관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케이싱(10)은 폭(ℓ)[면(22, 24) 사이]이 예를 들면 60㎝ 내지 150㎝이고, 깊이(p)[면(18, 20) 사이]가 예를 들면 20㎝ 내지 50㎝이고, 바람직하게 30㎝ 내지 40㎝이며, 높이(h)[면(12, 16) 사이]가 예를 들면 10㎝ 내지 30㎝이고, 바람직하게 15㎝ 내지 20㎝이다.
도 1은 자동차의 중심축(YY)(중심 평면이라고도 불림)을 도시한 것으로서, 차량의 중심을 통과하는 길이 방향의 축에 해당한다.
케이싱(10)은 측면(24)에 인접하여, 즉 운전석 영역에서 승객실의 좌측에 배치된 공기 팬(26)을 포함한다. 조향 칼럼의 경로는 도 2에서 참조부호(CD)로 간단하게 표시되어 있다.
팬(26)은 자동차의 중심축(YY)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축(30)을 구동하는 전기 모터(28)를 구비하고 있다. 동심축을 가진 2개의 터빈(32)은 모터(28)의 각 측면에서 축(30)에 키 결합된다.
이러한 터빈 각각은 흡입 챔버(34)에 기류[도 1에서 화살표(F1)로 도시됨]를 축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다. 각 챔버(34)는 새로운 공기[승객실(H) 외부에서 확보됨]를 공급할 수 있는 입구(36)와, 재순환되는 공기[승객실(H) 내부에서 확보됨]를 공급할 수 있는 입구(38)를 구비하고 있다. 드럼형 플랩(40)(도 2에 도시됨)은 입구(36, 38)를 조정하고 팬(26)에 신선한 공기 또는 재순환되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스핀들(42)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하게 장착되어 있다.
터빈(32)은 "쉘(shell)"이라고도 불리는 2개의 덮개(44) 사이에 구비되며, 그 내부에서 기류는 접선 방향으로 가속된다. 이러한 덮개는 팬의 출구를 구성하는 공통 출구(46)쪽으로 개방되어 기류를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F2)(도 1 및 도 2를 참고)으로 보낸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기류는 면(18, 20)에 평행한 방향, 즉 중심축(YY)에 수직한 방향으로 공급된다. 기류(F2)는 각각 케이싱(10)의 면(18, 20)에 가까이 연장되는 측벽(48, 50)(도 1에 도시됨) 사이의 채널(channel)을 통과한다.
벽(48, 50)은 케이싱의 면(12, 16)과 결합하여 장방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관(52)의 범위를 결정한다.
관(52)에는 공기 필터(54) 및 증발기(56)가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공기 필터(54)는 팬으로부터의 출구(46)에 인접한 곳에 위치해 있으며,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어 큰 면(주요면)이 수직이며 중심축(YY)에 대해서 평행하다.
증발기(56)는 필터(54) 다음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는 2개의 큰 면(주요면)으로서 입구면(58) 및 출구면(60)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면(58, 60)은 수직이며 중심축(YY)에 대해서 평행하다. 따라서, 기류(F2)는 팬에 의해 공급되어 공기 필터(54) 및 증발기(56)를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그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필터로 걸러지고 냉각될 수 있다.
증발기의 큰 면(58, 60)은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형상을 갖고, 수평 방향의 치수(깊이) 및 수직 방향의 치수(높이) 사이의 비가 2 이상, 바람직하게 2에 근접한다. 이를 통해 실제로 수평 방향으로 편편하게 배치되어 높이가 낮으면서 증발기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증발기의 큰 면(58, 60)은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형상을 갖고, 수평 방향의 치수(깊이) 및 수직 방향의 치수(높이) 사이의 비가 0.5 이하, 바람직하게 0.5에 근접한다. 이를 통해 실제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깊이가 얕으면서 증발기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증발기의 깊이 및 높이는 케이싱(10)의 깊이와 높이를 참고하여 고려되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증발기(56)는 케이싱의 횡단면 내에 완전히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장치의 공간 활용도를 더 높이기 위해서, 상기 증발기의 일단이 스커틀에 있는 오목부에 수납되도록 하는 설비를 변형 실시예(도 9를 참고)로서 제조할 수도 있다.
증발기(56)는 커넥터(61)에 연결되며, 엔진실(M)과 같은 쪽에 위치하여(도 1을 참고) 종래의 공기조화 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류[화살표(F3)]는 증발기(56)를 통과한 후에 중심축(YY)의 각 측부에서, 계기판의 중간 영역에 위치해 있는 기술적 하우징(64)의 측면 입구(62)로 공급된다. 도 4에 더욱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적 하우징(64)은 중심축(YY)에 수직이며 평행한 측벽(66)을 두드러지게 구비하며, 그 내부에는 전술한 측면 입구(62)가 제공된다. 기술적 하우징은 케이싱(10)의 측면(22)과 같은 쪽에 위치한 대향하는 측벽(68)도 포함한다.
측벽(68)과 측면(22) 사이에는 예를 들면 안전 에어백, 글로브 박스, 플랩(flap) 등의 장비를 수용할 수 있는 여유 공간(70)(도 1 및 도 2를 참고)이 형성되어 있다.
기술적 하우징(64)의 내부에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가열 라디에이터(72)가 장착되어 있다. 이 라디에이터(72)는 2개의 매니폴드(73, 75)(도 2 및 도 4를 참고)를 구비하여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 냉각액인 뜨거운 유체의 출입을 허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화살표(F4)]는 하우징(64) 내에 그 범위가 결정되는 입구 챔버(74)로 공급된다. 이 챔버는 한편으로는 그 내부에 라디에이터(72)가 장착되는 U자형 주머니 형상의 분기부(76)와 연통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냉기 전달 분기부(78)와 연통된다. 이러한 두 개의 분기부는 그 출구에서 혼합 챔버(80)와 연통된다.
나비형의 혼합 플랩(82)은 중심축(YY)에 대해서 수평 및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핀들(83)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하도록 장착된다. 혼합 플랩(82)은 혼합 챔버(80) 내부에서 조절된 기류를 확보하도록 전술한 분기부(76 및 78) 사이의 기류(F4)를 분배할 수 있게 한다.
분기부(78)는 적어도 하나의 윈드스크린의 성에/흐림 제거용 통풍구에 공급할 수 있는 성에 제거 출구(84)와, 차량의 계기판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환기용 통풍구에 공급할 수 있는 중앙 환기 출구(86)와, 그리고 승객실의 밑바닥 쪽으로 열리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에 공급할 수 있는 하부 출구(88)(발 높이 출구)에 연통된다. 혼합 챔버(80)에서 생성된 조절된 온도의 기류(F5)는 두 개의 플랩을 포함하는 분배 수단에 의해서 출구(84, 86, 88)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축 YY에 수평 방향 및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핀들(92)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할 수 있도록 드럼형으로 장착되는 플랩(90)을 포함한다. 플랩(90)은 성에 제거 출구(84)와 환기 출구(86) 사이에 기류(F5)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분배 수단은 상술한 스핀들(92)에 평행한 스핀들(95)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하도록 나비형으로 장착된 플랩(9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플랩(94)은 발 높이 열 출구(88)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술적 하우징(64)은 자동차의 탑승자가 바라는 편안한 기온으로 기류를 발산하는 것과, 필요한 경우 라디에이터(72)를 통해 기류를 가열하는 것과, 그리고 출구(84, 86, 88) 사이에 기류를 할당할 수 있도록 분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성에 제거 출구(84)는 성에 제거관(96)이 연결되고, 환기 출구(86)는 환기관(98)이 연결된다(도 1 및 도 3을 참고). 이들 관은 상술한 통풍구로 공급하기 위해서 계기판 내에서, 중심축(YY)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들은 계기판 내에서 승객실(H)과 같은 쪽에 위치한 후면(20)에 가까이 배치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도 2의 요소들이 다시 한 번 발견된다.
케이싱(10)은 자동차의 중심축에 대해서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고 자동차의 섀시(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는 수평 방향의 횡단 부재(100)에 의해 지지된다.
케이싱(10)은 공기 필터(54)를 사용 후에 교환할 수 있게 하는 접근 플랩(102)을 포함한다. 이 플랩(102)은 저면(16)에 일부로 성형되는데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되므로 이로운 점이 있으며, 플라스틱 재료를 부분적으로 얇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필름 힌지(104)에 의해 면(16)에 연결된다. 플랩(102)은 케이싱의 저면(16)의 일부에 성형되는 돌기(108)와 함께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106)와 같은 적절한 수단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도 5에 대한 참고 사항을 설명하면, 도 5에는 도 3의 분배 플랩의 변형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사실, 분배 수단은 혼합 플랩(82)의 스핀들에 평행한 스핀들(112)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기 위하여 드럼 형태로 장착된 플랩(110)을 포함한다. 플랩(110)은 성에 제거 출구(84)와, 환기 출구(86) 및 발 높이 열 출구(88)를 연결하는 챔버(114)를 조정할 수 있다. 이들 2개의 출구는 상술한 스핀들(112)에 평행한 스핀들(118)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할 수 있도록 플래그형으로 장착된 플랩(116)에 의해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 6내지 도 8을 참고한다. 이 장치도 전술한 것과 같은 케이싱(10)을 포함하며 면(12, 16, 18, 20, 22, 24)에 의해 그 범위가 결정된다.
이 케이싱에는 운전석에 해당하는 측면 영역에 단일 터빈(126)이 키로 연결되는 축(124)을 회전구동하는 전기 모터(122)를 포함하는 팬(120)이 장착된다. 축(124)은 수직에 대해서 경사져 있고, 터빈(126)은 하방으로, 즉 케이싱(10)의 저면(6)을 향하고 있다. 터빈(126)은 공기 필터(54)를 장착하고 있는 입력 챔버(130)와 연통되는 쉘(128)의 내부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공기 필터(54)는 팬(120)의 상류쪽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입력 챔버(130)는 외부 공기 입구(36) 및 재순환 공기 입구(38)와 연통된다. 전술한 것과 유사한 피봇운동하는 드럼형의 플랩(40)은 팬에 신선한 공기나 재순환 공기(F1)를 공급할 수 있도록 스핀들(4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팬(120)은 기류(F2)를 전술한 것과 유사하고 입구면(58) 및 출구면(60)을 구비하는 증발기(56)의 방향인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공기 출구(132)를 구비한다. 이 증발기는 종래의 공기조화 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접속할 수 있도록 엔진실(M)과 같은 쪽에 위치한 커넥터(61)에 연결된다.
증발기(56)는 수직으로 배치되며, 그 면(58, 60)은 수직이지만 자동차의 중심축(YY)에 대해서는 경사져 있다.
증발기(56)는 실질적으로 계기판의 중간 영역, 즉 중심축(YY) 가까이에 위치한 기술적 하우징(134)에 장착된다.
하우징(134)은 측면 출구(136)를 통해 전술한 것과 유사한 가열 라디에이터(72)를 장착하고 있는 다른 하우징(138)과 연통된다. 그러나, 가열 라디에이터(72)는 중심축(YY)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큰 면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38)은 그 내부에 가열 라디에이터(72)가 장착되는 U자형 공기 가열 분기부(140)와, 냉기 전달 분기부(142)의 범위를 결정한다. 이들 두 분기부는 서로 연통되어 있고 그 내부에 나비형의 혼합 플랩(146)이 장착되어 수직 방향의 스핀들(148)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하는 혼합 챔버(144)로 개방되어 있다.
혼합 챔버(144)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들과 유사한 성에 제거 출구(84), 중앙 환기 출구(86) 및 발 높이 출구(88)에 연결된 분배 챔버(150)와 연통된다.
이러한 3개의 출구는 3개의 플랩에 의해서 조정된다. 스핀들(154)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할 수 있게 드럼형으로 장착된 플랩(152)은 성에 제거 출구(84)를 조정한다. 스핀들(158)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할 수 있게 플래그형으로 장착된 플랩(156)은 중앙 환기 출구(86)를 조정하고, 스핀들(162)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할 수 있게 플래그형으로 장착된 플랩(160)은 발 높이 가열 출구(88)(도 8을 참고)를 조정한다.
출구(84)는 윈드스크린용 성에/흐림 제거 통풍구에 연결되어 있다. 출구(86)는 계기판에 위치한 중앙 환기용 통풍구에 연결된다. 출구(88)는 승객실의 하부로 향하는 통풍구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한다.
제 3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과 상당히 유사하다. 케이싱(10)은 면(12, 16, 18, 20, 22, 24)에 의해 그 범위가 결정된다. 이 케이싱에는 운전석 쪽에 도 1 및 도 2에서와 유사한, 즉 자동차의 중심축(YY)에 평행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공통축(30)에 의해 두 개의 터빈(32)을 구동하는 전기 모터(28)를 구비하는 공기 팬(26)이 장착되어 있다.
공기 팬(26)은 스핀들(42)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하도록 장착되는 드럼 플랩(40)에 의해 조정되는 신선한 공기 입구(36)와 재순환 공기 입구(38)에 연결되는 입구 챔버(3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터빈은 그 내부에 모두 자동차의 중심축(YY)에 수직 및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공기 필터(54)와 증발기(56)가 배치되어 있는 공통 출구(46)를 구비하는 2개의 쉘(44) 내에서 회전한다. 필터(54)와 증발기(56)는 두 개의 평행한 벽(48, 50)사이에서 연장되어 관(52)의 범위를 결정한다.
스커틀(T)은 증발기(56)의 일단을 수납할 수 있는 오목부(53)(도 9를 참고)를 구비하고 있으며, 오목부는 커넥터(61)에 연결되어 있다.
관(52)은 도 1 및도 2의 것과 유사한 기술적 하우징(64)과 연통되어 있고 계기판의 중간 영역에 위치해 있다. 하우징(64)에는 상술한 두 가지 실시예의 라디에이터(72)와는 달리 "급수 조정(adjustment on water)"형중 하나인 가열 라디에이터(164)가 장착되어 있다. 이것은, 이 라디에이터가 그 위에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는 뜨거운 액체(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엔진의 냉각수임)의 유속 조정용의 조정 밸브(168)가 장착된 입구 매니폴드(166)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라디에이터는 기존의 기술에 따라 밸브(168)를 세팅함으로써 온도가 조정되는 분배 챔버(170)에 접근하는 기류(F3)가 그 속을 통과하게 할 수 있다.
분배 챔버(170)는 전술한 것과 유사한 성에 제거 출구(84), 중앙 환기 출구(86) 및 발 높이 출구(88)와 연통된다. 출구(84, 86)는 스핀들(92)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하도록 장착된 드럼형의 공통 플랩(90)에 의해 조정된다. 출구(88)는 스핀들(95)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하도록 장착된 나비형의 플랩(94)에 의해 조정된다. 출구(84)는 성에 제거관(96)과 연통하고 출구(86)는 환기관(98)과 연통하며, 이들 두 관은 계기판 내부로 연장되어 각각 성에/흐림 제거 통풍구 및 환기 통풍구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한다.
이 실시예는 도 9 내지 도 11과 아주 유사하고 이 도면들에 대한 설명이 참고된다. 도 9 내지 도 11과 비교하면, 주요한 차이점은 공기 필터(54)와 가열 라디에이터(164)의 위치에 관한 것이다.
증발기(56)는 전술한 위치, 즉 자동차의 중심축(YY)에 대해 수직이며 평행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한편, 팬(26) 및 증발기(56) 사이에 위치되었던 전술한 실시예의 필터(54)는 증발기(56)와 가열 라디에이터(164)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54)는 실제로 도 9의 가열 라디에이터(164)의 자리에 배치된다.
즉, 필터(54)는 중심축에 대해서 수직 및 경사지게 배치된다. 필터(54)의 큰 면은 중심축(YY)에 수직한 축에 대해서 약간 경사져 있다. 가열 라디에이터(164)도 급수의 형식에 따라 조정된다. 이것은 그 위에 속도 조정 밸브(168)가 장착되어 있는 입구 매니폴드(166)를 포함한다. 라디에이터(164)는 그 큰 면이 중심축(YY)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결국, 라디에이터(164)는 도 9 내지 11 중 하나와 유사한 분배 챔버(170)에 직접 도달하기 위해서, 그 내부로 축 YY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흐르는 기류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 챔버(170)는 2개의 플랩(90, 94)에 의해 출구(84, 86, 88)에 연통된다(도 3 및 도 11을 참고).
도 9 내지 도 11의 변형예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도 14 내지 도 16을 참고로 한다. 그러므로, 상기 도면으로 도시된 것이 참고로 설명된다.
도 9 내지 도 11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본질적인 차이는 가열 라디에이터(164)의 위치에 있다. 사실 필터(54) 및 증발기(56)는 그 큰 면이 자동차의 중심축(YY)에 평행하게 한 채로 동일한 수직 위치를 유지한다. 가열 라디에이터(164)도 "급수 조정"형이며, 그 위에 조정 밸브(168)가 장착되는 입구 매니폴드(166)를 포함한다. 라디에이터(164)는 증발기(56) 가까이에 배치되어 그 큰 면이 수직이며 중심축(YY)에 대해서 평행하다. 따라서, 필터(54), 증발기(56) 및 가열 라디에이터(164)는 모두 각각의 큰 면이 서로 평행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며, 이를 통해 공간활용도가 증대된다. 결국 기술적 하우징(64)은 도 9 내지 도 11 또는 도 12 및 도 13에서 보다 부피가 더 작아 운전석 쪽의 반대쪽에 더 큰 여유 공간(70)을 형성한다.
또, 이로 인해 분배 챔버(170)의 기하학적 형상이 변경된다. 분배 챔버(1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성에 제거 출구(84) 및 중앙 환기 출구(86)와 연통된다.
반면에, 발 높이 출구(88)는 복제되어(도 14 및 도 16 참고), 예를 들면 2개의 독립적인 플랩(94)(도 15 참고)이 제공될 경우에 운전자 쪽 또는 승객 쪽에서 독립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들 플랩 각각은 중심축(YY)에 수평 방향이고 평행한 스핀들(95)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14 내지 도 16의 실시예는 특정한 품목이나 장비를 위한 많은 여유 공간(70)을 제공하는 특히 공간활용도가 높은 구조를 제공한다.
실제로는 도 3의 세부 사항을 구성하는 도 17을 참고한다. 드럼 플랩(90)과 나비 플랩(94) 뿐만 아니라 성에 제거 출구(84)와, 중앙 환기 출구(86)와, 발 높이 출구(88)가 다시 발견된다. 환기 출구는 계기판에 위치한 다른 환기 설비(도시되지 않음)와 연통된다. 환기 출구의 폐쇄를 완벽하게 보장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각각 전용의 폐쇄 플랩을 구비한 환기 설비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도 18의 실시예에서, 도 5와 유사한 구조가 발견된다. 자동차의 중심축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핀들(112)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하도록 장착된 드럼형의 플랩(110)이 발견된다. 플랩(110)은 성에 제거 출구(84) 및 챔버(114)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챔버(114)는 중앙 환기 출구(86) 및 발 높이 가열 출구(88)에 공급한다.
출구(86, 88)는 스핀들(112)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스핀들(174)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할 수 있게 장착되는 드럼형의 플랩(172)에 의해 조정된다. 플랩(172)은 챔버(114)쪽으로 향하는 오목부를 구비한다. 이것은 도 5의 플랩(11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도 18의 실시예에서 2개의 플랩(110, 172)이 전체의 폐쇄와 각 분배 모드(mode)의 완벽한 분배를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19 내지 도 21을 참고한다.
이 실시예에서, 장치는 전술한 것과 유사하고 승객실(H)과 엔진실(M) 사이에 배치된 스커틀(T)을 따라 위치한 케이싱(10)을 포함한다. 장치는 운전석이 왼쪽에 있는 자동차용이다. 이 실시예에서 승객실의 오른쪽에 공기 팬(17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팬(176)(도 19 및 도 21 참고)은 그 위에 터빈(182)이 키로 결합되는 축(180)을 회전시키는 전기 모터(178)를 포함한다. 축(180)은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터빈(182)은 위쪽을 향한다. 터빈(182)은 하우징(184) 내에서 회전하며, "쉘"로 불리고 상부에 위치하여 터빈(182)을 마주보는 입구 챔버(186)의 범위를 결정한다. 이 챔버(186)는 신선한 공기용의 입구(190) 및 재순환 공기용의 입구(192)를 포함하는 공기 입구 하우징(188)에서 정의된다. 이 두 입구는 수평 방향의 스핀들(196)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하도록 드럼형으로 장착된 플랩(194)에 의해 조정된다.
쉘(184)은 터빈에 의해 실질적으로는 수평 방향인 접선 방향으로 가속된 기류(F2)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출구(198)(도 19 참고)를 구비한다. 터빈의 출구(198)는 공기 필터(54) 및 증발기(56)를 연속적으로 구비한다. 공기 필터는 수직으로 그리고 그 큰 면은 자동차의 중심축(YY)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증발기(56)는 각각 입구 면(58) 및 출구 면(60)인 2개의 큰 면(60)을 구비한다. 이들 두 면은 수직이며 필터(54)의 큰 면들에 평행하고 중심축(YY)에 대해서 경사진 각을 형성하다. 따라서, 필터(54)는 팬과 증발기 사이에 배치된다.
쉘의 출구(198)는 전술한 것과 유사한 기술적 하우징(64)과 연통되고 계기판의 중앙 영역, 즉 중심축(YY)의 각 측면에 배치된다. 하우징(64)은 공기 입구(200)를 통과하여 쉘의 출구(198)와 연통된다(도 20 참고).
기술적 하우징(64)은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가열 라디에이터(72)를 장착한다. 기술적 하우징(64)은 그 내부에 라디에이터(72)가 장착되는 U자형 가열 분기부(202) 및 냉기 전달 분기부(204)의 범위를 결정하며, 이 두 분기부는 그 입구 및 출구에서 서로 연통된다.
가열 라디에이터(72)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중심축(YY)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72)는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분기부(202, 204)는 "공기중 조정" 기술에 따라 분기부(202, 204)를 각각 통과하는 기류 사이의 비율을 변경함으로써 온도 조절이 가능한 기류를 공급받을 수 있는 혼합 챔버(206)와 연통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장치는 스핀들(210)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할 수 있게 나비형으로 장착되고 공기 가열 분기부(202)에 위치한 플랩(208)과, 스핀들(214)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할 수 있게 드럼형으로 장착되고 분기부(204)의 출구에 위치한 플랩(212)을 구비한다. 스핀들(210, 214)은 서로 평행하고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을 향한다.
혼합 챔버(206)는 성에 제거 출구(218)와, 중앙 환기 출구(도시되지 않음)와, 발 높이 출구(220)를 포함하는 분배 하우징(216)과 연통된다. 성에 제거 출구(218)는 앞유리용 성에/흐림 제거 통풍구와, 계기판에 제공된 환기용 통풍구의 환기용 출구와, 승객실(H)의 저부쪽으로 향한 통풍구의 출구(220)에 공급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전술한 스핀들(210, 214)에 평행한 스핀들(224)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할 수 있도록 드럼형으로 장착된 플랩(222)을 구비한다. 플랩(222)은 성에 제거 출구(218) 및 중앙 환기 출구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발 높이 출구(220)를 조정하기 위하여, 스핀들(224)에 평행한 스핀들(228)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할 수 있도록 플랩(226)이 나비형으로 장착된다.
도 22의 장치는 도 1 및 도 2의 장치를 변형한 것이다. 장치의 일부, 특히 공기 팬(26)이 자동차의 조향 칼럼(CD) 위쪽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공기 팬(26)과 같은 쪽에 위치한 측면(24)은 공기 팬(26)의 반대쪽에 위치한 측면(22)의 높이(h)보다 작은 높이(h')를 갖는다. 높이(h')는, 예를 들면 10㎝ 내지 15㎝일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모든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는 특히 평행한 파이프형의 케이싱에 장착된 공간활용도가 높은 구조를 제공하며, 이는 높이가 낮고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편편한 공간을 차지하면서 계기판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에 있어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증발기의 치수비가 약 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변형예로서 이 편편한 공간을 실질적으로 수직인 위치에 배치하여 깊이가 얕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술한 치수비가 약 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몇몇 경우에 장치의 공간 활용도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서 증발기의 일부가 자동차의 스커틀에 제공되는 오목부에 확실히 수용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계기판의 횡단 방향의 치수 중 일부, 즉 자동차의 폭 중 일부만을 차지할 수 있다.
결국, 예를 들면 장치의 일부가 자동차 조향 칼럼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팬은 운전석 쪽에 위치해 있고 가열 라디에이터를 장착하고 있는 기술적 하우징은 계기판의 중앙 영역에 위치해 있어서 승객 쪽의 여유 공간을 허용하여 장비의 한 품목을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변형 실시예로서, 운전석 쪽의 반대쪽(승객 쪽)에 팬을 배치하고, 상술한 여유 공간을 운전자 쪽에 허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경우에, 이 여유 공간은, 예를 들면 조향 칼럼 또는 계기판과 같은 장비의 다른 품목용의 공간을 남겨 두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장비의 공간활용도가 높아서, 기류는 방향의 변환이 최소로 되는 짧은 경로를 순환하여 압력 손실과 열 손실이 제한된다.

Claims (42)

  1. 팬(26, 120, 176)과, 증발기(56)와, 가열 라디에이터(72, 164)와, 계기판 내의 공간에 내장된 공기 분배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automobile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device)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56)는 그 내부를 통과하는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인 기류(F2)를 구비하도록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 위치로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팬(26, 120, 176)과 상기 가열 라디에이터(72,164) 사이에 직접 배치되어 압력손실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26, 120, 176)은 계기판의 측면 영역에 위치해 있고, 상기 가열 라디에이터(72, 164)는 계기판의 중앙 영역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26, 120, 176)은 차량 운전자 위치와 동일한 측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26, 120, 176)은 차량 운전자 위치의 반대쪽 측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26, 120, 176)은 새로운 공기 또는 재순환 공기를 흡입하기에 적절한 공기 입구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을 유지하면서 기류를 상기 증발기(56)에 공급할 수 있는 공기 출구(46, 132, 19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26)은 실질적으로 자동차의 중심축(YY)에 평행한 수평 방향의 스핀들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터빈(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팬(26)은 두 개의 동심축 터빈(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120, 176)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터빈(126, 18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팬(120)은 단일 터빈(126)을 구비하며, 상기 팬 입구는 하방으로 배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56)는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자동차의 중심축(YY)에 평행한 큰 면(58, 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56)는 자동차의 중심축(YY)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경사진 큰 면(58, 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56)는 실질적으로 장방형 형상인 수직 방향의 큰 면(58, 60)을 구비하며, 수평 방향의 치수(깊이)와 수직 방향의 치수(높이)의 비가 2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에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56)는 실질적으로 장방형 형상인 수직 방향의 큰 면(58, 60)을 구비하며, 수평 방향의 치수(깊이)와 수직 방향의 치수(높이)의 비가 0.5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에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 필터(54)는 가열 라디에이터(72, 164)의 상류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필터(54)는 상기 팬(26, 120, 176)의 상류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필터(54)는 상기 팬(26, 120, 176)과 상기 증발기(56)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필터(54)는 상기 증발기(56)와 상기 가열 라디에이터(72, 16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필터(54)는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19. 제 14 항 내지 제 1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필터(54)는 상기 계기판의 저면(16)에 위치한 플랩(102)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102)은 상기 계기판의 저면에 성형되며, 필름 힌지(104)에 의해 상기 계기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라디에이터(22, 164)는 상기 팬과 연통되는 공기 입구(62) 및 상기 공기 분배 수단과 연통되는 출구를 구비하며 계기판에 위치하는 기술적 하우징(64, 134)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라디에이터(72, 164)는 상기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23. 제 1 항 내지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라디에이터(72, 164)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라디에이터(72, 164)는 상기 자동차의 중심축(YY)에 평행한 큰 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라디에이터(72, 164)는 상기 자동차의 중심축에 수직인 큰 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26. 제 1 항 내지 제 2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라디에이터(72)는 냉기 분기부(78, 140, 202)와 연통되는 공기 가열 분기부(76, 140, 202)에 내장되며 그 내부에 혼합 플랩(82, 146, 208, 212)이 제공되어 조정된 온도에서 혼합 기류를 생성하도록 상기 2개의 분기부 사이의 기류의 분배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27. 제 1 항 내지 제 2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라디에이터(164)는 밸브(168)의 조정을 통해 그 내부를 조정가능한 속도로 통과하는 뜨거운 유체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 수단은 성에 제거 출구(84)와, 중앙 환기 출구(86) 및 발 높이 출구(88) 사이의 기류를 분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 수단은 상기 성에 제거 출구를 조정하기 위한 플랩(110)과 상기 환기 출구 및 상기 발 높이 출구를 모두 조정하기 위한 다른 플랩(116, 1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 수단은 상기 성에 제거 출구 및 상기 환기 출구 모두를 조정하기 위한 플랩(90)과 상기 발 높이 출구를 조정하기 위한 다른 플랩(9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31. 제 28 항 내지 제 3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 수단은 계기판에 장착된 환기 통풍구에 연결하기 위해 계기판 내부에서 그리고 상기 자동차의 중심축(YY)에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96, 9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32. 제 1 항 내지 제 3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26, 120, 176)과, 상기 증발기(56)와, 상기 가열 라디에이터(72, 164) 및 상기 공기 분배 수단은 상기 자동차의 중심축(YY)에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방향의 횡단 부재(100)에 의해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26, 120, 176)과, 상기 증발기(56)와, 상기 가열 라디에이터(72, 164) 및 상기 공기 분배 수단은 상기 계기판 내의 케이싱(1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적어도 하나의 접근 플랩(1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접근 플랩(102)은 상기 가열 라디에이터의 상류에 위치한 공기 필터(54)를 교체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36. 제 33 항 내지 제 3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은 자동차의 엔진실(M)을 승객실(H)로부터 분리하는 스커틀(T)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는 폐쇄된 전면(1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37. 제 33 항 내지 제 3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은 자동차의 엔진실(M)을 승객실(H)로부터 분리하는 스커틀(T)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개방된 전면(1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38. 제 1 항 내지 제 3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엔진실(M)을 승객실(H)로부터 분리하는 스커틀(T)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틀(T)은 증발기(56)의 일단을 수납할 수 있는 오목부(5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40. 제 1 항 내지 제 3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장치의 일부 특히 공기 팬(26)이 자동차 조향 칼럼(CD) 위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41. 제 33 항 내지 제 4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은 60㎝ 내지 150㎝의 폭(ℓ)과, 20㎝ 내지 50㎝, 바람직하게 30㎝ 내지 40㎝인 깊이(p)와, 10㎝ 내지 30㎝이고, 바람직하게 15㎝ 내지 20㎝의 자동차 조향 칼럼(CD)의 높이(h)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42. 제 33 항 내지 제 4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은 자동차의 중심축에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방향의 횡단 부재(100)에 의해 지지되며 자동차의 섀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KR1019997007671A 1997-12-26 1998-12-23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KR200000756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16582A FR2773113B1 (fr) 1997-12-26 1997-12-26 Dispositif de chauffage-climatisation integre dans une planche de bord de vehicule automobile
FR97/16582 1997-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610A true KR20000075610A (ko) 2000-12-26

Family

ID=951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671A KR20000075610A (ko) 1997-12-26 1998-12-23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961698B2 (ko)
JP (1) JP2001512398A (ko)
KR (1) KR20000075610A (ko)
BR (1) BR9807731A (ko)
DE (1) DE69815502T2 (ko)
ES (1) ES2201568T3 (ko)
FR (1) FR2773113B1 (ko)
WO (1) WO199903367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5460B1 (fr) * 2003-06-02 2006-06-23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chauffage-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a encombrement reduit pour vehicule automobile
DE502004009206D1 (de) * 2003-10-09 2009-05-07 Behr Gmbh & Co Kg Klimaanlage, insbesondere Kraftfahrzeug-Klimaanlage
DE102004015270A1 (de) * 2004-03-29 2005-10-20 Valeo Klimasysteme Gmbh Luftbehandlungsanlagengehäusestruktur
DE102004054169B3 (de) * 2004-09-20 2006-04-13 Konvekta Ag Klimagerät
DE102007024732B4 (de) * 2007-05-25 2017-03-09 Mahle International Gmbh Gehäuseteil, insbesondere eines Fahrzeug-Klimaanlagengehäuse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102011051489C5 (de) * 2011-07-01 2023-01-19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95 Gebläse-Luftansaugungsvorrichtung
JP6183399B2 (ja) * 2015-03-30 2017-08-2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センタコンソ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61932C3 (de) 1970-12-16 1979-12-20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Heizungs- und Lüftungsanlage oder Klima-Anlage für Kraftwagen
JPS604410A (ja) * 1983-06-22 1985-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DE3330951C2 (de) * 1983-08-27 1985-08-22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Frischluftzuführeinrichtung für eine Heizungs-Lüftungs- oder Klimatisierungseinrichtung
US4834170A (en) * 1986-11-21 1989-05-30 Diesel Kiki Co., Ltd.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s
FR2611170B1 (fr) * 1987-02-20 1992-03-27 Valeo Procede de montage d'un appareil de chauffage et/ou de climatisation dans un vehicule automobile, et unite de montag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JP2847714B2 (ja) * 1987-10-14 1999-01-20 株式会社デンソー 通風濾過装置
FR2631287A1 (fr) * 1988-05-10 1989-11-17 Valeo Dispositif de chauffage et de ventilat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4982579A (en) * 1989-03-31 1991-01-08 Showa Aluminum Corporation Evaporator
DE3913622A1 (de) * 1989-04-25 1990-10-31 Schultz Gmbh Aurora Kompakteinheit
FR2661883B1 (fr) * 1990-05-11 1992-07-17 Renault Structure plastique de separation entre l'habitacle et le compartiment moteur d'un vehicule automobile.
JPH05104946A (ja) * 1991-10-14 1993-04-27 Hitachi Ltd 自動車用空調装置
US5335718A (en) * 1992-04-02 1994-08-09 Ford Motor Company Space-efficient air conditioning/heating module
FR2697475B1 (fr) * 1992-10-30 1994-11-25 Renault Structure de montage de composants de chauffage et de climatisation pour véhicules automobiles.
DE4336105C2 (de) * 1993-10-22 1997-04-10 Daimler Benz Ag Cockpitaufbau für Kraftfahrzeuge
JP2628144B2 (ja) * 1994-05-25 1997-07-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空調装置のエアフィルタ着脱構造
EP0713798B1 (en) * 1994-11-25 1998-04-29 Delphi Automotive Systems Deutschland GmbH Dashboard assembly
DE19611193B4 (de) * 1995-03-23 2006-08-03 Denso Corp., Kariya Klima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DE19540286A1 (de) * 1995-10-28 1997-04-30 Behr Gmbh & Co Klima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DE19620919A1 (de) 1996-05-24 1997-11-27 Behr Gmbh & Co Instrumententafel für ein Kraftfahrzeug
JP3758286B2 (ja) * 1996-06-26 2006-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送風ユニット
FR2756802B1 (fr) * 1996-12-10 1999-02-05 Reydel Sa Tableau de bord pour vehicule tel que, notamment, des vehicules automob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33677A2 (fr) 1999-07-08
EP0961698B1 (fr) 2003-06-11
BR9807731A (pt) 2000-06-27
DE69815502D1 (de) 2003-07-17
EP0961698B2 (fr) 2013-02-27
EP0961698A1 (fr) 1999-12-08
FR2773113A1 (fr) 1999-07-02
DE69815502T2 (de) 2004-04-29
JP2001512398A (ja) 2001-08-21
WO1999033677A3 (fr) 1999-11-04
FR2773113B1 (fr) 2000-08-04
ES2201568T3 (es) 200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6704A (en) Air conditioner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US6595276B2 (en) Vehicular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unit including plural air-mixing spaces
US20020014331A1 (en) Heating and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5101883A (en) Method of assembly of single and multi-zone vehicle heating and a/c systems
CN100450804C (zh) 汽车空调装置
EP1319540B1 (en)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rotary door
US6431267B1 (en) Air conditioning unit and vehicular air conditioner
KR20000075610A (ko) 자동차용 가열 및 공기조화 장치
KR1019981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6508701B1 (en)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for a vehicle, with gentle diffusion
US6651453B2 (en) Air-conditio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6675598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arrangement structure of face ducts
US6427771B1 (en)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568200B2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US20230286357A1 (en) Housing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or air condition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US20070187520A1 (en) Multi-zone temperature control module for an air handling system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KR20090066420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4417316A (zh) 车辆空调装置
KR2016011186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65878A (ko) 차량 공조장치용 모드도어
KR102379897B1 (ko)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JPH10297248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4677204B2 (ja) 自動車用の小型の暖房換気または空調装置
US20230166577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MXPA99007891A (en) Heating/air-conditioning device integrated in a motor vehicle instrument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