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9990087207A - 수분사 직기용 리드 및 이 리드를 이용한 제직방법 - Google Patents

수분사 직기용 리드 및 이 리드를 이용한 제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207A
KR19990087207A KR1019980706604A KR19980706604A KR19990087207A KR 19990087207 A KR19990087207 A KR 19990087207A KR 1019980706604 A KR1019980706604 A KR 1019980706604A KR 19980706604 A KR19980706604 A KR 19980706604A KR 19990087207 A KR19990087207 A KR 19990087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ater
weaving
wing
bla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하루 가와무라
히데끼 가와미나미
지또시 미야무까이
Original Assignee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35764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302557A/ja
Application filed by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이 쇼사꾸
Publication of KR19990087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20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7Guide mechanisms
    • D03D47/278Guide mechanisms for pneumatic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60Construction or operation of slay
    • D03D49/62Reeds mounted on s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수분사 직기에 부착된 상태에서 있어서, 상부가 "く" 형상으로 직전측으로 굴곡된 형상을 갖는 리드날개, 및 이 리드날개를 이용하여 제직할 때, 경사로서 1 m 당 100 회 이상의 꼬임수 또는 인터레이스 가공에 의한 교락점을 구비하는 실질적으로 무연(無撚)의 열가소성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의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경사를 이용하여, 리드날개를 상기 "く" 형상으로 굴곡함으로써 리드의 요동에 의한 경사와의 마찰거리를 짧게한 상태에서 경사개구에 수분사류로 위사삽입을 실시한다.

Description

수분사 직기용 리드 및 이 리드를 이용한 제직방법
무저 (북이 없는) 직기의 제직속도가 고속화되면, 당연히 리드의 왕복운동을 고속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리드를 고속으로 왕복운동시키려고 하면, 리드에는 큰 관성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이 관성력의 발생에 따르는 불가피한 진동 등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리드의 강성을 강하게 하거나, 경량화할 필요가 생긴다.
분사수에 의해 위사를 수반하여 비주(飛走)시킬 수 있고, 이 때문에 경사의 개구량을 작게 할 수 있는 수분사 직기는, 리드높이 (상하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공기분사직기나 래피어(rapier) 직기 는, 위사의 비주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정도만큼, 경사의 개구량을 크게 할 필요가 생기고, 이에 따라 리드가 왕복운동하는 것에 의한 상기의 진동 등의 문제가 보다 심각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경감하기 위해, 리드의 이동 스트로크가 큰 공기분사직기나 래피어직기에서는, 도 1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날개의 상부를 직기의 직전 (織前) 측으로 굴곡시키고, 이로써 리드높이 (H;상하의 치수)를 작게 하여 경량화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 도 1b 는 공기분사직기에서의 리드의 단면도이다.
이 리드높이를 낮게하는 것의 이점에 관해서는, 리드날개 (1 또는 2) 에 의해 개구각 (α)를 형성시켜 경사 (6)를 상하로 개구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 1a 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직전측으로 굴곡시키지 않은 리드날개 (22) 와 실선으로 나타낸 직전측으로 굴곡시킨 리드날개 (1)를 비교하면, 하기와 같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직선형상의 리드날개 (22) 에서는, 개구각 (α)을 형성시키면서 경사 (6)를 상하로 개구시키기 위해서는, 리드높이 (H') 가 필수가 되는 것에 반하여, 상부가 직전측으로 굴곡된 "く" 형상을 갖는 리드날개 (1) 에서는, 리드높이 (H) 로 해도 좋다. 이 때문에, 리드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리드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a 의 개구각 (α) 과 굴곡시킨 리드날개 (1) 와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보면 명확한 바와 같이, 리드높이 (H) 의 저감효과는, 공기분사직기나 래피어직기와 같이 개구각 (α) 이 필연적으로 커지는 경우에 한하여 큰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수분사 직기와 같이 경사의 개구량이 적어도 되는 경우, 즉 개구각 (α) 이 적은 경우에는, 거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리드날개 (1)를 직전측으로 굴곡시킨다는 여분의 제조공정을 필요로 하는 분만큼, 제조비용이 증가한다는 바람직하지 않은 부차작용조차 발생한다. 따라서, 수분사 직기에서는, 리드날개를 직전측으로 굴곡시킨 형상으로 하는 등은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고속으로 운전되는 수분사 직기의 리드에 있어서는, 고속화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의 강성부족에 기인하는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리드날개의 폭을 넓게하거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리드날개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이에 대응하여 필연적으로 경사를 통하는 틈새가 좁아지지 않을 수 없다. 이 때문에, 경사는, 리드날개에 의해 마찰되어 보푸러기 발생 등의 손상을 받기쉬워짐과 동시에, 리드의 구동저항도 커진다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리드 날개의 폭을 넓게 하면, 위사삽입 수를 사용한다는 수분사 직기의 숙명 상, 나란히 놓여진 리드 날개의 사이에 모세관현상 (표면장력) 에 의해 물이 보다 대량으로 유지되어, 이 대량으로 유지된 물의 작용에 의해 경사에 부착된 풀제가 녹는 것을 들 수 있다. 만약,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풀이 떨어지거나 풀이란 보호층을 빠뜨린 경사가 마찰되면, 경사는 보다 손상을 받기 쉽고, 이것 때문에 보푸러기 등을 용이하게 야기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리드날개의 사이에 다량의 물이 유지되면, 리드날개의 요동에 따라 이들의 물이 유동되어, 리드날개에 진동이 발생한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경사의 개구량이 작은 수분사 직기, 즉 직선상의 리드를 구비한 수분사 직기로 경사에 멀티필라멘트를 이용한 직물을 제직하는 경우, 경사의 보푸러기나 경사 끊어짐을 방지하는 방지수단으로서, 종래는, 경사에 풀제를 부착시키는 방법이나 경사에 실을 꼬는 방법, 경사를 교락시키는 방법이 채용되었다. 당연하지만, 꼬임수가 적은 약연의 실에서는, 중연 (中撚) 이나 강연 (强撚) 의 실에 비하여, 실을 구성하는 다수의 필라멘트 중의 일부 필라멘트만이 종광이나 리드날개에 마찰되기 때문에, 필라멘트 끊어짐이 발생하기 쉽고, 따라서 제직이 곤란해진다. 이 것은, 인터레이스 가공에 의한 교락점을 설치한 실질상 무연의 필라멘트사에서도 동일하다. 따라서, 제직 상에서는, 1 m 당의 꼬임수가 500 내지 3000 회의 중연 및 강연의 실이 보푸러기가 생기기 어렵고, 일반적으로는 풀제로 필라멘트를 고정하지 않고 제직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꼬임수가 1 m 당 500 회 이하의 약연의 실은, 풀제로 필라멘트를 고정함으로써, 특히 약연 중에서도 꼬임수가 비교적 많은 것은, 비교적 용이하게 제직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약연 중에서도 꼬임수가 1 m 당 300 회 이하의 비교적 꼬임수가 적은 것 및 인터레이스 가공에 의한 교락점을 구비한 실질상 무연의 멀티필라멘트사는, 제직이 매우 곤란하고, 더구나 꼬임도 교락점도 갖지 않은 무연의 멀티필라멘트사는, 실질적인 속도로 제직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상에 서술한 종래의 수분사 직기의 리드에 관한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당업계에서 오랫동안 요망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근본적인 해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 근래의 텍스타일 제품의 다양화에 의해, 특히 패션성이 요구되는 웃옷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섬유 직물에서는, 보다 가는 필라멘트를 이용하고, 또한 무연의 멀티필라멘트사를 이용한 직물도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직물을 제직하는 경우에는, 무연의 실에 인터레이스 가공에 의해 1 m 당 10 내지 60 개의 교락점을 형성하여, 제직 중에 필라멘트가 벗겨지거나, 일부의 필라멘트만이 리드 등의 마찰에 의해 손상을 받는 것을 회피한 상태에서 제직을 실시한다. 인터레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 교락점은, 제직 중에 풀려, 모두 제직된 때에는, 1 m 당 고작 수개의 교락점이 잔존하는 것만이 되므로, 무연의 멀티필라멘트사를 이용한 것과 동일한 직물을 제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단을 강구하였다고 해도, 이와 같은 멀티필라멘트사를 이용한 직물을 수분사 직기로 제직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고, 물이 부착된 리드날개에 의해 심하게 마찰되는 경사의 필라멘트 끊어짐에 의한 직물품질의 저하나, 경사 끊어짐에 의한 정지가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수분사 직기에 부설된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수류에 위사를 수반시키고, 이로써 위사삽입을 할 때에 사용하는 수분사 직기용 리드(reed)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리드를 이용하여, 열가소성 합성섬유직물의 제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약연 (弱撚) 의 또는 인터레이스 (interlace) 가공에 의한 교락점 (交絡点) 을 갖는 실질상 무연 (無撚) 의 폴리에스테르 및 여타 열가소성 합성섬유의 멀티필라멘트사를 경사로 한 열가소성 합성섬유직물의 제직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 는 래피어직기 및 공기분사직기에서의 리드 높이 (H)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b 는 공기분사직기에서의 리드날개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수분사 직기에 부착된 리드날개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제직방법과 종래의 제직방법과의 차이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수분사 직기용 리드에 걸리는 실시의 일태양을 예시한 측면도로, 상기 도면에서, (1) 은 리드날개, (2) 는 상부채널, (3) 은 리드날개 지지구, (4) 및 (5) 는 각각 상부 및 하부 코일, 그리고, (6) 은 경사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수분사 직기용 리드 (10) 는, 상기 리드날개 (1), 상부채널 (2), 리드날개 지지구 (3), 상부코일 (4) 및 하부코일 (5)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리드날개 (1) 는, 그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부채널 (2) 과 리드날개 지지구 (3) 로 고정되고, 또한 인접하는 리드날개끼리가 경사를 삽입통과하기 위한 소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상부코일 (4) 및 하부코일 (5)을 통하여, 도 2 의 지면 직각방향으로 다수 병렬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드날개 (1) 는, 수분사 직기용 리드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 그 상부를 "く" 형상으로 직전측으로 굴곡된 형상을 갖고, 또한 경사 삽입통과방향을 따른 상부측의 안길이 폭을 하부측의 안길이 폭보다도 좁게 하고 있다. 또, 리드날개의 하부는, 그 연장 방향을 반직전측으로 경사시킨 상태에서 리드날개 지지구 (3)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 부호 (A), (B) 및 (C) 는, 제직시에서 부호 (S) 로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를 그리면서 요동하는 동일한 리드날개 (1) 가 취하는 3 개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A) 는 리드날개 (1) 가 직전측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 (수분사노즐로 부터의 분사수에 의해 위사삽입하는 상태), (C) 는 직전측에 가장 근접한 위치 (위사를 경사에 비팅(beating) 한 상태), 그리고 (B) 는 이들의 (A) 와 (C) 와의 중간위치에서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리드날개 (1) 가 원호를 그리면서 요동운동을 하면, 이에 따라 원호에 대하여 법선방향으로 관성력으로서 원심력이 작용하는 것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수분사 직기의 리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리드의 특징은, 리드날개 (1) 가 리드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부가 직전측 (도 2 에서는 우측) 으로 "く"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에 있다. 여기에서 "く자 형상"을 다시 정의하면, 리드가 직전에 맞닿는 점보다 상방에 굴곡점이 있고, 리드의 상부가 직전측으로 굴곡된 상태라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굴곡점의 위치는 직전으로부터 0.5 ㎜ ∼ 20 ㎜, 특히 0.7 ㎜ ∼ 15 ㎜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굴곡각도는 20°∼ 45°, 특히 25 °∼ 4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리드날개는, 도 1a 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곧은 형상을 갖고 있을 뿐으로, 직전측으로 "く" 형상으로 굴곡시키는 것, 및 리드날개의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안길이 폭에 치수차를 만드는 것에 관한 본 발명과 같은 절묘한 창의를 전혀 볼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리드 대신에 본 발명의 리드를 채용한 것은, 본 발명자 등의 하기와 같은 지견에 근거한다.
먼저, 본 발명자들은, 수분사 직기의 제직고속화를 예의검토하고 있는 과정에서, 제직 고속화를 방해하고 있는 큰 요인의 하나가, 리드날개의 요동 (원호운동) 에 의해, 종래의 리드에서는, 리드날개에 유지된 물로 관성력 (원심력) 이 작용하는 방향과, 리드날개가 직선형상으로 상방으로 연장 방향이 합치하는 것에서 기인하는 것을 안 것에서 시작된다. 또, 이와 같은 종래의 리드에서는, 리드날개 (1) 의 사이에 모세관현상 (표면장력) 에 의해 유지된 물은, 원심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려고 하지만, 물이 이동하려고 하는 리드날개의 상단에는, 물을 막는 상부채널 (2) 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이 상부채널 (2) 에 의해, 물의 이동이 방해되어, 리드날개의 사이에 유지된 물의 차단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없는 것도 알았다. 또한, 이와 같은 리드날개의 사이에 유지된 물은, (1) 리드날개의 사이에 삽입통과된 경사의 보호층이 되는 풀제를 녹게하고, 이로써 경사에 마찰손상을 부여하는 것, (2) 리드날개에 부착된 물에 의해 리드의 중량증가를 야기함과 동시에, 리드의 요동에 맞추어 발생하는 물의 운동 (리드날개를 따른 상하운동) 에 의해 리드에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구명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지견에 근거하여, 리드날개의 사이에 유지되어 체류하는 물을 양호하게 물을 차단할 수 있는 리드를 연구함으로써, 본 발명의 리드에 최종적으로 도달한 것이다.
이상으로 서술한 본 발명이 도출되는 과정과 배경을 상세하게 알면, 이하에 서술하는 본 발명의 리드가 종래의 리드와 비교하여 얼마나 많이 우수한 점을 갖고 있는 지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말하면, 종래의 리드날개는, 원심력의 작용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똑바로 신장되어, 이 연장 방향으로 물을 막는 상부채널이 존재하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리드날개 (1) 에서는, 그 상부를 직전측으로 "く" 형상으로 굴곡시키고 있어, 이것이 물차단에 중요한 역할을 갖는다. 여기에서 이 "く" 형상으로 굴곡된 리드날개 (1) 의 물차단에 관한 작용은, 리드날개 (1) 의 하부에 유지된 물에 대하여 원심력이 작용하는 경우와, 상부에 유지된 물에 대하여 원심력이 작용하는 경우와의 2 개의 경우로 나누어 생각하면 알기 쉽다.
즉, 전자의, 리드날개 (1) 의 하부에 유지된 물에 대하여 원심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관하여 말하면, 도 2 의 위치 (A)에서 위사삽입을 위해 수분사노즐 (도시생략) 로부터 분사되어, 이로써 리드날개 (1) 의 사이에 유지된 물은, 리드 (10) 의 요동 (원호운동) 에 기인하는 원심력을 받아 리드날개 (1) 의 하부가 연장 상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 때, 리드날개 (1) 의 상부는, 직전측으로 "く"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굴곡부로부터 다시 상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물을 막는 역할을 하는 상부채널 (2) 과 같은 장해물이 이제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리드날개 (1) 의 하부에 유지된 물은, 그 대로 원심력에 의해 굴곡부에서 리드날개로부터 차단되게 된다.
다음에, 후자의 리드날개 (1) 의 상부에 유지된 물에 대하여 원심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관하여 말하면, 본 발명에서는 리드 (10) 의 요동 (원호운동) 에 따라 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작용방향과, 리드날개 상부의 연장 방향이 일치하지 않도록 연구하고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이룬다. 즉, 리드날개 (1) 에 유지된 물은, 당연하지만 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리드날개가 이동하는 궤적 (원호) 의 법선방향 (원호의 반경방향) 으로 이동한다. 만약, 이 때, 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작용방향에 이미 리드날개가 존재하고 있는 종래의 리드를 사용하면, 물은 리드날개를 따라 단순히 상방으로 이동하여, 그 대로 상부채널에 의해 막히게 되어, 리드날개에 계속 구속되는 것은, 이미 서술한 바와 같다. 다시말하면, 리드날개에 유지된 물이 그대로 리드날개에 체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원심력의 작용방향과 리드날개의 연장 방향을 일치시켜서는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드날개 (1) 에서는, 직전측에 "く" 형상으로 굴곡시킨 형상을 채용하고, 이로써, 물이 리드날개 (1) 와의 표면장력에 의해 리드날개 (1) 에 구속되면서 이동할 수 있는 방향과, 원심력의 작용방향이 명확하게 다르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매우 교묘한 연구에 의해, 리드날개 (1) 에 유지된 물은, 리드날개 (1) 와의 표면장력에 의한 구속으로부터 풀려, 원심력에 의해 리드날개 (1) 의 뒷 가장자리 (경사 삽입통과방향에 대하여 직전반대측의 가장자리) 로부터 차단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리드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경사 삽입통과방향을 따라 리드날개 (1) 의 상부측의 안길이 폭이 하부측의 안길이 폭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이로써, 리드날개 (1) 의 하부측에 표면장력 (모세관현상) 의 작용에 의해 부착된 물이, 원심력의 영향으로 하부측으로부터 상부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과정에 있어서, 안길이 폭의 급격한 감소에 따라 발생하는 리드날개 (1) 로의 물의 부착력의 급격한 감소를 일으킨다. 이 때문에, 리드날개 (1) 에 부착된 물은, 원심력의 작용으로 용이하게 리드날개 (1) 로부터 차단되어, 이로써 상부측에 유지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도 2 의 리드날개 (1) 의 원호를 그려 요동하는 상태를 보면, 명확한 바와 같이, 리드날개의 근원 (하단) 에는, 선단보다도 큰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높은 강도와 강성이 요구되지만, 본 발명의 리드 (10) 에서는, 특히 리드날개 (1) 의 하부측의 안길이 폭을 상부측보다도 넓게 할 수 있어, 그 강도와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부측의 안길이 폭을 좁게 할 수 있어, 리드날개 (1)를 경량화할 수 있어, 결국 리드 그 자체도 경량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리드날개 (1) 의 하부의 연장 방향을 반직전측으로 경사시키고, 상기 리드날개 (1) 의 하단을 리드날개 지지구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직전측에서 보면 리드 (10) 의 전면이 "く" 형상으로 움푹 들어가 있기 (도 2 에서 해칭을 한 부분) 때문에, 경사를 분사수에 수반시켜 위사를 개구한 경사의 사이로 들어갈 때에, 상기 "く" 형상의 움푹 들어간 것에 대하여, 위사를 원활하게 비주시키기 위한 위사의 안내공간의 역할을 이루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로써, 안정된 위사삽입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음에,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의 리드를 수분사 직기에 이용한, 열가소성 합성섬유직물의 제조방법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경사의 보푸러기나 경사끊어짐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く" 형상의 리드를 이용하고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직방법과 직선형상의 리드를 이용한 종래의 제직방법과의 차이를 나타낸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く" 형상으로 굴곡된 리드 (10) 는 실선으로 나타나 있고, 종래의 직선형상의 리드 (21) 를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리드 (10, 21) 는, 전진단위치와 후퇴단위치의 양위치에서 나타나 있고, 리드의 요동각 (θ)을 종래방법의 것과 동일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제직방법에 의한 제 1 특징은, 상방으로 개구된 경사 (6) 에 대하는 리드날개 (1) 의 마찰 스트로크 (S)를, 종래방법에 의한 때의 마찰 스트로크 (T) 보다 대폭적으로 짧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리드날개 (1) 의 상방부분을 직전 (15) 측으로 "く" 형상으로 굴곡함으로써, 리드가 후퇴했을 때 이 리드날개 (1) 와 경사 (6) 와의 접촉점 (16) 을, 종래의 직선형상의 리드날개 (22)를 이용한 때의 접촉점 (23) 보다 훨씬 직전 (15) 측으로 가까이 할 수 있고, 한편, 리드날개가 직전에 맞닿는 위치는 종래방법에 의한 때와 다르지 않기 때문에, 경사 (6) 에 대하는 리드날개 (1) 의 마찰스트로크를 작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짧아진 부분은, 리드날개의 선단측 즉 리드날개가 보다 빠른 속도로 경사를 마찰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리드날개와의 마찰에 의한 경사의 손상을 그 마찰 스트로크가 짧아진 만큼의 이상으로 경감할 수 있다.
한편, 리드의 요동각 (θ1)을 동일하게 한 도 3 의 예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때는, 위사의 비주통로가 도 3 에 사선을 한 영역 (17) 분만큼 좁아진다. 그러나, 위사 (18) 를 반송하는 물의 분류 (噴流) 는, 위사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영역에 확산되므로, 도면에 사선을 친 영역 (17) 은, 원래 위사반송용의 물의 분류 (19) 및 위사 (18) 의 통로로서 그다지 유효하게 기능하지 않았던 부분으로, 리드날개 (1) 를 "く" 형상으로 굴곡한 것에 의한 위사통로의 단면적의 감소는, 위사삽입의 장해가 되는 일은 거의 없다. 오히려, 위사통로가 물의 분류의 확산형상인 원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위사의 반송에 기여하지 않은 확산주변부분의 물방울이 리드날개 (1) 에 충돌하여 비산하게 되어, 주변부에 확산된 물방울이 경사에 충돌함으로써 발생하는 경사의 손상을 저감하는 데에 오히려 유효하다. 즉, 리드날개의 상방부분을 "く" 형상으로 굴곡함으로써, 상방으로 크게 확산된 위사의 반송에 기여하지 않은 물방울이 굴곡하게 된 리드날개에 충돌하여 비산함으로써, 큰 속도를 갖는 물방울이 직접 경사에 충돌하여 경사에 손상을 주는 것을 경감할 수 있는 점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제 2 특징이다.
리드날개를 "く" 형상으로 굴곡한 굴곡부의 앞 가장자리는, 원호형상부 (20) 로 되어 있다. 비팅을 할 때에 직전에 충돌하는 위치는, 리드날개의 앞 가장자리의 하방의 직선부 (11) 와, 상기 원호형상부 (20) 와의 접점 (12) 보다 약간 하방의 위치에 설정한다. 이로써, 슬레이소드 (sley sword) 의 요동각도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위사를 삽입할 때의 위사통로를 리드날개 (1) 의 "く" 형상에 의해, 원형의 분류수를 둘러싸는 듯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4 는 리드의 요동각 (θ2)을 종래방법에서의 요동각 (θ1) 보다 크게 하여도, 본 발명의 상기의 작용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4 의 것에서는, "く" 형상으로 굴곡된 리드날개 (1) 를 구비한 리드 (10) 를 이용함과 동시에, 당해 리드를 장착한 슬레이소드의 요동각 (θ2)을 종래방법에 의한 경우의 요동각 (θ1) 보다 약간 크게 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리드의 상방을 굴곡하므로써 위사통로의 감소분 (17) 이 슬레이소드의 요동각을 크게 한 것에 의한 리드날개의 하방부분에서의 위사통로의 증대로 보충되어, 도 3 의 것보다 위사통로를 크게, 따라서 위사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한 경우에서도, 개구부 상방의 경사 (6) 에 대한 리드날개 (1) 의 마찰스트로크를, 직선형상의 리드날개 (22)를 이용한 경우보다 훨씬 작게 할 수 있으며, 또 굴곡된 리드날개에 의해, 위사 (18) 의 상방으로 크게 치우친 분류수를 "く" 형상으로 굴곡된 리드날개의 상방부분에 충돌시켜 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 3 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작용을 발휘시킬 수 있어, 경사 (6) 의 손상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직방법에 의한 경우에는, 상기의 "く" 형상의 리드 (10) 가 갖는 특성, 즉, 리드날개의 굴곡점보다 하방의 위치에서 리드날개의 사이에 유지된 물은, 리드날개의 요동에 따라, 도 4 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리드날개의 굴곡부 (13) 부분에서, 리드의 후방 (반직전) 으로 차단된다는 특성에 의해, 리드날개의 사이에 유지되는 물의 양을 훨씬 저감할 수 있고, 리드날개의 사이에 유지된 물의 사이를 경사가 고속으로 가로지름으로써 발생하는 경사의 손상을 대폭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는 제 3 특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경우에는, 리드 (10) 의 상단과 종광 (14) 과의 간섭이 회피되도록 되기 때문에, 종광 (14) 과 직전 (15) 과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어, 동일한 경사개구각을 얻기 위해 필요한 종광의 상하동 스트로크를 종래방법의 경우보다 작게 할 수 있으며, 이 점에서도 경사에 대한 손상을 작게 할 수 있다는 제 4 특징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각 특징은, 리드 (10) 나 종광 (14) 과의 마찰에 의해, 일부의 필라멘트만이 손상하게 되거나, 물방울의 충돌이나 리드날개 간에 유지된 물의 사이를 가로지름으로써, 필라멘트 상호가 따로따로 흩어지기쉬운 약연의 멀티필라멘트사에 대하여, 그리고 동일한 약점을 갖는 인터레이스 가공에 의한 교락점을 설치한 실질상 무연의 멀티필라멘트사에 대하여 보다 유효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약연의 또는 인터레이스 가공에 의한 교락점을 구비한 실질상 무연의 경사를 이용하는 열가소성 합성섬유직물을, 경사를 손상시키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또한 보다 고속으로 제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직방법에 의하면, 위사에 권축가공이 실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주 중의 위사 (18) 의 튐이 적고, 따라서 경사개구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상기 작용을 보다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드날개에 기인하는 경사의 마찰손상이 매우 적고, 게다가, 안정되고 고속인 제직성을 실현할 수 있는 수분사 직기용 리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연에 가까운 멀티필라멘트사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사 등의 열가소성 합성섬유직물을, 보다 용이하게 또한 고속으로 제직할 수 있는 제직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여기에, 본 발명에 의하면, 수분사 직기용 리드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 그 상부가 "く" 형상으로 직전측으로 굴곡된 형상을 갖는 리드날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사용 직기용 리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리드를 이용하여, 경사로서 1 m 당 100 회 이상의 꼬임수의 또는 인터레이스 가공에 의한 교락점을 구비한 실질상 무연의 열가소성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의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경사를 이용하여, 리드날개를 상기 "く" 형상으로 굴곡함으로써 리드가 후퇴단에 이른 때의 리드날개와 경사와의 접촉점과 직전과의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한 상태에서 경사개구 내에 수분사류에 의해 위사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방법이 제공된다.
실시예 1
도 2 에 예시한 리드날개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리드날개를 구비한 리드를 설치한 수분사 직기를 사용하여 제직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때, 리드날개 (1) 의 경사삽입통과방향의 안길이 폭은, 상부측이 2.2 ㎜, 하부가 3 ㎜ 이고, 리드의 부착밀도는 48 장/인치, 그리고 "く" 형태를 형성시키기 위한 하반부에 대한 상반부의 경사각은 30°이었다. 또, 리드전면의 직전과의 맞닿음위치는, 상기 리드의 굴곡부의 원호 (R 부) 와 리드날개 하반부의 직선이 연이어 접하는 점의 1 ㎜ 하방에 설정하여 정한다.
상기의 장치를 사용한 제직시험에서는, 경사로서 50 데니르/24 fil 의 인터레이스 교락점이 30 개/m 이고, 무연, 무풀의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 위사로서 75 데니르/36 fil 의 실질적으로 무연의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의 실을 사용하여, 직기회전수 800 rpm 으로 태피터 (taffeta) 직물을 제직하였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는, 그 효과를 정량화할 수 있는 요인으로서, 직기의 정지회수 (회/일·대)를 들어, 이 직기의 정지회수 (회/일·대)를 조사하였다 (표 1 참조).
또한, 비교예로서 똑바른 리드날개를 구비한, 종래의 리드에 관해서도, 리드 이외의 다른 조건을 본 실시예 1 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그 정지회수 (회/일·대)를 조사하였다 (표 1 참조).
비교예 실시예
경사원인 정지 0.5 0.1
위사원인 정지 0.2 0.2
기계원인 정지 2.1 0.4
그 외 원인의 정지 0.6 0.5
합계 3.4 1.2
표 1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종래의 리드와 비교하면, 경사원인과 기계원인에 의한 정지회수가 대폭 감소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경사원인에 의한 정지의 원인을 상세하게 조사하면, 경사가 마찰되어 끊어지는 것에 기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어, 본 발명의 리드를 사용한 효과가 명확하였다. 또, 제직후의 직물을 조사한 결과, 표 1 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명확하게 경사에 발생하는 보푸러기 수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리드와 비교하여 감소되었다. 또한, 기계원인에 의한 정지에 관해서도 상세하게 그 내용을 조사하면, 개구한 경사의 사이로 위사삽입하는 위사의 선단 엉킴과 반환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본 발명의 리드가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위사의 비주의 안정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리드날개에 유지된 물을 매우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리드의 중량을 경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리드날개에 유지된 물에 의해 경사에 풀제를 부착시킨 경우에서도, 풀제가 녹는 것을 대폭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분사 직기의 제직을 고속화하는 데에 속도를 정하는 리드중량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동시에, 리드날개에 유지된 물의 상하방향의 이동에 따르는 진동의 발생도 대폭적으로 저감하고, 나아가서는, 경사의 풀제가 녹는 것이 대폭적으로 적어져, 리드날개에 마찰되어 경사에 보푸러기가 발생하거나, 단사되는 일도 없어진다는 매우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리드날개의 하단을 리드날개 지지구에 경사시켜 고정함으로써, 위사삽입시에, 위사의 비주를 안정되게 안내하고, 보다 넓은 안내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안정된 위사삽입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2
도 2 에 예시한 리드날개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리드날개에서, 상방부분이 직전측으로 35 °로 "く" 형상 으로 굴곡하고, 또한 하방부분에 비하여 상방부분이 폭좁은 리드날개를 구비하고 있는 리드 (밀도 : 19 날개/㎝)를 사용하여, 경사에 50 de/24 fil 의 인터레이스 교락점이 25 개/m 로, 무연, 무풀의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를 사용하고, 위사에 75 de/36 fil 의 실질적으로 무연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사용하며, 회전수 750 rpm 으로 위사밀도 47 개/in 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직물을 제직하였다. 이 때의 1 일 24 시간, 1 대 당의 직기의 정지회수는 표 2 에 나타낸 바와 같고, "く" 형상의 굴곡리드를 사용한 효과는 크다.
굴곡 리드 종래 리드
경사원인 정지 0.2 0.5
위사원인 정지 0.2 0.3
기계원인 정지 0.6 1.8
그 외 원인의 정지 0.4 0.5
합계 1.4 3.1
실시예 3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상방부분이 직전측으로 33 °로 "く" 형상으로 굴곡하고, 또한 하방부분에 비하여 상방부분이 폭좁은 리드날개를 구비하고 있는 리드 (밀도 : 18.5 날개/㎝)를 사용하여, 경사에 75 de/72 fil 의 인터레이스 교락점이 7 개/m 를 갖고, 해서 (解舒) 에 의한 꼬임 이외의 꼬임을 갖지 않는 실질적으로 무풀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에 폴리아크릴계 풀제를 부착시킨 것을 사용하고, 위사에 동종의 75 de/72 fil 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사용하며, 회전수 700 rpm 으로 위사밀도 50 개/in 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직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의 직기의 정지회수는 표 3 에 나타낸 바와 같고, 통상의 리드를 사용했을 때와 비교하여 직기의 정지회수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굴곡 리드 종래 리드
경사원인 정지 0.3 0.4
위사원인 정지 0.3 0.3
기계원인 정지 0.5 2.1
그 외 원인의 정지 0.6 0.7
합계 1.7 3.5
실시예 4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상방부분이 직전측으로 30 °로 "く" 형상으로 굴곡된 리드날개를 구비하고 있는 리드 (18 날개/㎝)를 사용하고, 경사로서 나일론 필라멘트사 70 de/108 fil 에 300 T/M 의 꼬임을 만들어, 다시 폴리아크릴계 풀제를 3.5 중량% 부착시킨 것을 사용하여, 위사에 동종의 70 de/108 fil 의 무연의 나일론 필라멘트사를 사용하고, 회전수 900 rpm 으로 위사밀도 30 개/in 의 나일론 필라멘트 직물을 제직하였다. 이 때의 직기의 정지회수는 표 4 에 나타낸 바와 같고, 통상의 리드를 사용한 때와 비교하여 직기의 정지회수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것은, 리드가 경사를 당기는 길이가 7 % 감소한 때문으로, 경사 보푸러기의 발생이 억제되었다. 또, 노즐로부터 분사된 분류 중, 위사를 반송하는데 필요한 분류 이외의 분류가 굴곡된 리드의 상방부분에 충돌하여 안개형상으로 변화하여, 경사에 매우 부드럽게 닿기 때문에, 종래 경사에 충돌하여 경사이 배열을 흐트러뜨려 경근현상을 유인하였던 분류가 삭감되어, 직물의 품위가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다.
굴곡 리드 종래 리드
경사원인 정지 0.3 0.9
위사원인 정지 0.2 0.2
기계원인 정지 0.4 1.8
그 외 원인 정지 0.6 0.7
합계 1.5 3.6
본 발명에 의하면, 리드날개에 기인하는 경사의 마찰손상이 매우 적고, 게다가 안정되고 또한 고속의 제직성을 실현할 수 있는 수분사 직기용 리드가 제공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리드를 채용한 수분사 직기에 의해, 무연에 가까운 멀티필라멘트사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사 등의 열가소성 합성섬유직물을, 보다 용이하게 또한 고속으로 제직할 수 있어, 그 공업적 의의는 매우 크다.

Claims (6)

  1. 수분사 직기용 리드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 그 상부가 "く" 형상으로 직전측으로 굴곡된 형상을 갖는 리드날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사 직기용 리드.
  2. 제 1 항에 있어서, 경사 삽입통과방향을 따른 상기 리드날개의 상부측의 안길이 폭을 하부측의 안길이 폭보다도 좁게 한 수분사 직기용 리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날개의 하부의 연장 방향을 직전반대측으로 경사시키고, 이 리드날개의 하단을 리드날개 지지구에 고정한 수분사 직기용 리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리드를 이용하고, 경사로서 1 m 당 100 회 이상의 꼬임수 또는 인터레이스 가공에 의한 교락점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무연의 열가소성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의 이루어지는 경사를 이용하여, 리드날개를 "く" 형상으로 굴곡함으로써 리드가 후퇴단에 이른 때의 리드날개와 경사와의 접촉점과 직전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한 상태에서 경사개구 내에 수분사류에 의해 위사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합성섬유직물의 제직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위사에 권축가공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실질적으로 무연의 열가소성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직기회전수 550 rpm 이상으로 한 열가소성 합성섬유직물의 제직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경사가 1 m 당 10 ∼ 60 개의 인터레이스 가공에 의한 교락점을 갖는 실질적으로 무연, 무풀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인 열가소성 합성섬유직물의 제직방법.
KR1019980706604A 1996-12-26 1997-10-24 수분사 직기용 리드 및 이 리드를 이용한 제직방법 Ceased KR199900872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57649 1996-12-26
JP8357649A JPH09302557A (ja) 1996-03-14 1996-12-26 水噴射織機用オサ及び当該オサを用いる製織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207A true KR19990087207A (ko) 1999-12-15

Family

ID=1845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604A Ceased KR19990087207A (ko) 1996-12-26 1997-10-24 수분사 직기용 리드 및 이 리드를 이용한 제직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90666A4 (ko)
KR (1) KR19990087207A (ko)
CN (1) CN1077619C (ko)
ID (1) ID20309A (ko)
WO (1) WO19980295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330B1 (ko) * 2019-01-23 2020-06-03 삼성에스티에스(주) 직조기 리드 및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12164A3 (nl) * 1998-09-04 2000-06-06 Picanol Nv Riet voor een weefmachine.
FR2886951B1 (fr) * 2005-06-08 2007-08-31 Schonherr Textilmaschb Gmbh Dispositif d'insertion de fils de trame pour metier a deux nappes superposees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 tel dispositif
CN101629351B (zh) * 2009-08-05 2012-10-03 青岛金三阳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塑料编织喷水织机的分经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5459A (en) * 1967-03-23 1969-02-04 Marshall John D Camming beat-up mechanism for looms
JPS5070271U (ko) * 1973-10-22 1975-06-21
DE8130278U1 (de) * 1980-11-20 1982-03-11 Gebrüder Sulzer AG, 8401 Winterthur "riet fuer eine webmaschine"
CH649586A5 (de) * 1981-03-05 1985-05-31 Rueti Ag Maschf Blattzahn fuer duesenwebmaschinen und unter verwendung des blattzahns hergestelltes webblatt.
JPS62133147A (ja) * 1985-12-05 1987-06-16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加工糸織物の製造方法
JPS63159545A (ja) * 1986-12-17 1988-07-02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長繊維加工糸織物の製造方法
DE4138046A1 (de) * 1990-11-19 1992-05-21 Gueth & Wolf Bandwebautomat zum weben eines schlaufenban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330B1 (ko) * 2019-01-23 2020-06-03 삼성에스티에스(주) 직조기 리드 및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619C (zh) 2002-01-09
ID20309A (id) 1998-11-26
EP0890666A4 (en) 1999-03-31
EP0890666A1 (en) 1999-01-13
WO1998029589A1 (fr) 1998-07-09
CN1216587A (zh) 1999-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7207A (ko) 수분사 직기용 리드 및 이 리드를 이용한 제직방법
CA2218494C (en) Power weaving loom
JP3961318B2 (ja) エアジェットルーム用の変形筬
JPH09302557A (ja) 水噴射織機用オサ及び当該オサを用いる製織方法
JP4242031B2 (ja) 補強用織物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7421206B2 (ja) 織機
JP2001303396A (ja) フィラメント織物の製織方法および製織用エアジェットルーム
JP3555548B2 (ja) フィラメント織物の製織方法および噴射式織機
JPH0152496B2 (ko)
KR200232708Y1 (ko) 레노 조직용 종광
JP2003003349A (ja) フィラメント織物の製織方法
JP3357278B2 (ja) エアジェットルーム用の変形筬
EP0095167B1 (en) Weft picking device of air jet loom
JPH06207346A (ja) マルチフィラメントの高速製織方法
JP2004300643A (ja) 織物の製織方法
JPH09157998A (ja) 水流噴射式織機の緯入れ方法
JPH02269833A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JPH09119042A (ja) 水流噴射式織機の緯入れ方法とその装置
JPH0345968Y2 (ko)
JPH0634381Y2 (ja) 糸端処理装置の緯糸捕捉装置
JPS62125050A (ja) ジエツトル−ムの製織方法
JPH0135096B2 (ko)
JP2003293239A (ja) 織物の製織方法およびウォータージェットルーム
JPS62125051A (ja) 流体噴射式織機による製織方法
JP2002317349A (ja) フィラメント織物の製織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1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11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4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