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1814A -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 - Google Patents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51814A KR19990051814A KR1019970071210A KR19970071210A KR19990051814A KR 19990051814 A KR19990051814 A KR 19990051814A KR 1019970071210 A KR1019970071210 A KR 1019970071210A KR 19970071210 A KR19970071210 A KR 19970071210A KR 19990051814 A KR19990051814 A KR 199900518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lyte
- lithium ion
- exhaust
- ion battery
- alarm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28—Leak testing of cells or batter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4—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electrolyte level, electrolyte density or electrolyte conductivit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목적 : 리튬이온 전지의 제조시 충·방전기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원인를 미리 감지하여 사고를 예방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안전장치가 내장된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에 관한 것으로,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는 전해액의 누액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충·방전기에 내장 시켜 전해액 감지시 경보 및 배기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구성 : 전해액을 검출하는 전해액 감지센서와, 상기 전해액 감지센서가 유기성가스에 노출될 경우 전해액 누액 감지여부를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발생 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감지회로부와, 상기 감지회로부의 전해액 누액여부에 의해 설비 비상정지부와, 경보수단부와, 배기제어장치부, 방재센터부에 경보신호를 전달하는 경보신호 발생부로 구성된다.
효과 :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는 전해액의 누액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충·방전기에 내장 시키므로 전해액 감지시 경보 및 배기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충·방전기의 안전성과 작업의 안전성을 증대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튬이온 전지의 제조시 충·방전기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원인를 미리 감지하여 사고를 예방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안전장치가 내장된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니켈수소(Ni-MH) 전지와 리튬이온(Li-ion) 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니켈수소 전지의 양극은 금속 산화물이 사용되고, 음극은 수소흡장 합금이 사용되어 충전시에는 음극에서 발생된 수소가 수소흡장 합금으로 흡수되고, 방전시에는 필요한 수소가 전해액 내로 방출 되어 충·방전이 반복된다.
이러한 니켈수소 전지는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삽입하여 서로 권취되며, 다시 일정크기의 캔 내부로 조립하여 그 내부에 전해액이 충전된 구조로 밀봉된다.
한편, 리튬이온 전지는 양극 활물질로 리튬-천이금속 산화물이 사용되고, 음극 활물질로 리튬금속과, 리튬합금 그리고 탄소와 탄소 복합체가 사용된다.
그리고 산소기, 질소기, 황산기등을 포함한 한 개 이상의 유기용매에 리튬염을 녹인 비수 전해액이 사용되고, 양극과 음극간에 리튬이온이 이동되어 기전력을 발생 시켜 충·방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리튬이온 전지는 양극과 세퍼레이터 및 음극이 함께 권취되어 상기 음극과 접속된 캔의 내부에 수납되고,그 캔의 상부에 상기 양극과 접속된 캡 어셈블리가 설치되며, 캡 어셈블리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전해액이 주입된 후, 밀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리튬이온 전지 제조공정시 전지이상 또는 설비이상으로 인해 충·방전시 전지는 급격한 화학반응으로 내압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전지내의 안전변이(Vent)가 개방(Open)되어 전해액이 누액되며 전해액으로 부터 유해가스, 가연성 가스가 발생된다.
이때, 발생된 HF등의 유해가스는 인체에 유독할 뿐 아니라, 가연성 가스의 발생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시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의 안전장치는 충·방전기내 온도센서, 연기센서등을 사용하여 화재로 인한 열과 연기(CO)등을 감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중 안전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충·방전기내 온도센서 연기센서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화재발생등 위험성이 극도로 고조된 시점에서 센서가 작동하므로 작업자가 대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충·방전기내 안전장치는 작업자에 대한 이상상태 경보 즉 경보램프 및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또는 충·방전기의 동작 정지등에 국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는 전해액의 누액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충·방전기에 내장 시켜 전해액 감지시 경보 및 배기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적당한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내장한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전해액 감지센서 20 : 감지회로부
30 : 경보신호 발생부 40 : 설비비상정지부
50 : 경보수단부 60 : 배기제어장치
70 : 방재센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는 전해액을 검출하는 전해액 감지센서와, 상기 전해액 감지센서가 유기성가스에 노출될 경우 전해액 누액 감지여부를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발생 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감지회로부와, 상기 감지회로부의 전해액 누액여부에 의해 설비 비상정지, 경보수단, 배기제어장치, 방재센터에 경보신호를 전달하는 경보신호 발생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내장한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튬이온 전지의 제조시 충·방전기에 있어서, 전해액을 검출하는 전해액 감지센서(10)와, 상기 전해액 감지센서(10)가 유기성가스에 노출될 경우 전해액 누액 감지여부를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발생 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감지회로부(20)와, 상기 감지회로부(20)의 경보신호에 의해 설비 비상정지부(40), 경보수단부(50), 배기제어장치부(60), 외부의 방재센터(70)에 경보신호를 전달하는 경보신호 발생부(30)로 구성된다.
한편, 전해액은 EC(Ethyl Caarbonate), DMC(Dimethy Carbonate)등의 유기물을 사용하므로 전해액은 가연성이다.
따라서, 상기 전해액 감지센서(10)는 가연성 가스센서로 전해액 검출이 가능하며, 전해액 감지센서(10)는 충·방전기내의 전지 위치부에 내장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내장한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해액 감지센서(10)의 가연성 가스센서는 접촉연소방식(Catalytic combustion), 반도체 방식(Semiconductor)을 이용하여 전해액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전해액 감지센서(10)가 전해액으로 부터 발생되는 유기성가스 또는 가연성가스가 노출될 경우 감지회로부(20)에 의해 전해액 누액을 감지한 후, 경보신호 발생부(30)에서 경보신호를 발생 시킬 수 있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회로부(20)는 상기 전해액 감지센서(10)의 전도도 변이에 따른 전압변화를 감지하여 설정값고 비교한 후, 전해액 누액을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경보신호 발생부(30)는 경보신호를 충·방전기를 비상정지 시키는 설비 비상정지부(40)와, 작업자에게 전해액 누액여부를 전달하기 위한 경보수단부(50)와, 발생된 가스에 의한 가스중독, 화재발생, 폭발등의 사고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에 설치된 충·방전설비의 배기량을 조절 제어하여 발생된 유기성가스를 충·방전 설비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제어장치(60)와, 전지공장의 화재,응급재난을 방재하는 방재센터(70)등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경보수단부(50)는 부저 또는 램프등을 이용하고, 상기 배기제어장치(60)는 배기밸프 또는 배기펌프등을 이용하며, 유기성가스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도록 배기밸프의 개폐, 배개펌프의 모터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2차적인 감지수단으로 연기센서(CO 가스센서), 온도센서등을 이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리튬이온 전지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는 전해액의 누액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충·방전기에 내장 시키므로 전해액 감지시 경보 및 배기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충·방전기의 안전성과 작업의 안전성을 을 증대 시킬 수 있다.
또한, 전지공장의 방재센터에 신속히 알리므로 화재예방 및 방재효과를 높일 수 있다.
Claims (7)
- 전해액을 검출하는 전해액 감지센서와;상기 전해액 감지센서가 유기성가스에 노출될 경우 전해액 누액 감지여부를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발생 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감지회로부와;상기 감지회로부의 전해액 누액여부에 의해 설비 비상정지부와, 경보수단부와, 배기제어장치, 방재센터에 경보신호를 전달하는 경보신호 발생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경보신호 발생부는 충·방전기를 비상정지 시키는 설비 비상정지부와, 작업자에게 전해액 누액여부를 전달하기 위한 경보수단부와, 발생된 가스에 의한 가스중독, 화재발생, 폭발등의 사고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충·방전설비의 배기량을 조절 제어하여 발생된 유기성가스를 충·방전 설비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제어장치와, 전지공장의 화재,응급재난을 방재하는 방재센터에 경보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해액 감지센서는 가연성 가스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가연성 가스센서는 접촉연소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가연성 가스센서는 반도체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배기제어장치는 발생가스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도록 배기밸프, 배기펌프를 이용하여 배기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배기제어장치는 배기밸브의 개폐, 배기펌프의 모터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71210A KR100477734B1 (ko) | 1997-12-20 | 1997-12-20 |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71210A KR100477734B1 (ko) | 1997-12-20 | 1997-12-20 |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51814A true KR19990051814A (ko) | 1999-07-05 |
KR100477734B1 KR100477734B1 (ko) | 2005-06-07 |
Family
ID=37302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71210A KR100477734B1 (ko) | 1997-12-20 | 1997-12-20 |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7773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77536A1 (ko) * | 2012-11-19 | 2014-05-22 | 자동차부품연구원 |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86017A (ja) * | 1990-11-19 | 1992-07-02 | Fujita Corp | ガス安全供給方法 |
KR960024447A (ko) * | 1994-12-28 | 1996-07-20 | 윤종용 | 전지의 내압 측정장치 |
JPH08222278A (ja) * | 1995-02-17 | 1996-08-30 |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 二次電池用充電器およびその充電方法 |
-
1997
- 1997-12-20 KR KR1019970071210A patent/KR10047773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77536A1 (ko) * | 2012-11-19 | 2014-05-22 | 자동차부품연구원 |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 |
KR101489837B1 (ko) * | 2012-11-19 | 2015-02-04 | 자동차부품연구원 |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77734B1 (ko) | 2005-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0012B1 (ko) | 소화 장치가 포함된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 |
EP2827408B1 (en) | Lithium-ion rechargeable battery | |
KR20210008543A (ko) | 액화질소를 이용한 전기차 배터리 전용프레임 자동소화장치 | |
CN112103444B (zh) | 电池、用电设备及电池的制造方法 | |
WO2008044430A1 (en) | Battery pack and battery-mounted device | |
WO2017090866A1 (ko) | 소화 장치가 포함된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 |
KR20230077002A (ko) | 전기자동차 배터리 화재위험 감지 및 자동 소화장치 | |
JPH07226232A (ja) | 非水電解液二次電池及び電源装置 | |
KR20210012103A (ko) |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 |
CN218299895U (zh) | 电池及用电装置 | |
KR20220088038A (ko) | 배터리 안전 충전 장치 | |
JP7536879B2 (ja) | 筐体、電池、電気設備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 |
KR100477734B1 (ko) |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기 | |
KR102625181B1 (ko) | 소방 장치, 케이스 어셈블리, 배터리, 전기 장치 및 배터리의 제조 방법 | |
KR100537603B1 (ko) |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
CN117977031A (zh) | 一种电池包、电池舱及消防方法 | |
CN117547765A (zh) | 电池模组、电化学储能电站分布式自触发电池热失控抑制装置及方法 | |
KR100277652B1 (ko) |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
KR100522670B1 (ko) | 리튬이온 전지 에이징용 래크 | |
KR20000051638A (ko) | 이차전지 | |
JPH0737568A (ja) |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安全弁 | |
KR100399784B1 (ko) | 안전변을 구비한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JP5070768B2 (ja) | 廃液収容室を備えた電池 | |
CN218122202U (zh) | 一种检测锂电池热失控产气速率的试验装置 | |
CN219416695U (zh) | 一种通过气压变化检测电池安全阀开启的检测装置和电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