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321U - 와셔볼트에 있어서의 평와셔 구조 - Google Patents
와셔볼트에 있어서의 평와셔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11321U KR19990011321U KR2019970024675U KR19970024675U KR19990011321U KR 19990011321 U KR19990011321 U KR 19990011321U KR 2019970024675 U KR2019970024675 U KR 2019970024675U KR 19970024675 U KR19970024675 U KR 19970024675U KR 19990011321 U KR19990011321 U KR 1999001132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er
- bolt
- flat washer
- flat
- nu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원형상 평와셔의 구조를 변경하여 굴곡면이나 좁은면에서 와셔로서의 기능을 다하는 볼팅이 용이한 평와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통상의 볼트(2)에 스프링와셔(3) 및 평와셔(4)를 끼워 너트(6)와 조합하여 판부재(5)를 결합하거나 조이는데 사용하는 와셔볼트(1)에 있어서, 상기 평와셔(4)의 양단에 일직선상으로 길게 뻗은 연장부(4a)(4a')를 일체로 형성하되, 그 연장부(4a)(4a')의 소정부위에 절곡부(4b)(4b')를 형성한 것이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굴곡면 및 좁은면에서도 볼팅이 용이하기 때문에 와셔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와셔볼트에 있어서의 평와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형상의 평와셔의 양단에 일직선상으로 길게 뻗은 연장부를 일체로 형성하되, 그 연장부에 절곡부분을 형성하므로서 굴곡면 및 좁은면을 갖는 판부재에 대해서도 볼팅이 용이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셔볼트(1)는 도1에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나사(2a)가 새겨져 있으며 너트(6)와 조합하여 판부재(5)를 결합하거나 조이는데 사용하는 볼트(2)와, 너트(6)의 풀림을 방지하는 스프링와셔(3)와, 볼트(2)의 구멍이 크거나 내압력이 작은 부재에 사용하거나 볼트(2) 또는 너트(6)의 접촉면에 요철이 심할 때 사용하는 원형상 평와셔(4)로 구성되어 제2도와 같이 볼트(2)에 스프링와셔(3) 및 평와셔(4)를 끼워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원형상 평와셔(4)는 접촉면의 굴곡이 심한 경우 와셔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또한 원형상 평와셔(4) 면적만큼의 범위가 필요하므로 좁은면적에서의 볼팅이 용이하지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의 원형상 평와셔의 구조를 변경하여 굴곡면이나 좁은면에서 와셔로서의 기능을 다하는 볼팅이 용이한 평와셔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와셔볼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와셔볼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와셔볼트
2 : 볼트 2a : 수나사부
3 : 스프링와셔
4 : 평와셔 4a,4a': 연장부 4b,4b': 절곡부
5 : 판부재
6 : 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 도 3 및 도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구성요소에 있어서 종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통상의 볼트(2)에 스프링와셔(3) 및 평와셔(4)를 끼워 너트(6)와 조합하여 판부재(5)를 결합하거나 조이는데 사용하는 와셔볼트(1)에 있어서, 상기 평와셔(4)의 양단에 일직선상으로 길게 뻗은 연장부(4a)(4a')를 일체로 형성하되, 그 연장부(4a)(4a')의 소정부위에 절곡부(4b)(4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통상의 스프링와셔(3) 및 연장부(4a)(4a')와 절곡부(4b)(4b')가 구비된 평와셔(4)가 끼워진 볼트(2)의 수나사부(2a)에 좁거나 또는 굴곡이 심한 판부재(5)을 개재하여 너트(6)로 조이는 경우, 상기 평와셔(4)의 연장부(4a)(4a')와 절곡부(4b)가 굴곡이 심하거나 좁은 면의 판부재(5)에 대해서도 볼팅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원형상의 평와셔의 양단에 일직선상으로 길게 뻗은 연장부를 일체로 형성하되, 그 연장부의 소정부위에 절곡부분을 형성하므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굴곡면 및 좁은면에서도 볼팅이 용이하기 때문에 와셔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 통상의 볼트(2)에 스프링와셔(3) 및 평와셔(4)를 끼워 너트(6)와 조합하여 판부재(5)를 결합하거나 조이는데 사용하는 와셔볼트(1)에 있어서, 상기 평와셔(4)의 양단에 일직선상으로 길게 뻗은 연장부(4a)(4a')를 일체로 형성하되, 그 연장부(4a)(4a')의 소정부위에 절곡부(4b)(4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셔볼트에 있어서의 평와셔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24675U KR19990011321U (ko) | 1997-08-30 | 1997-08-30 | 와셔볼트에 있어서의 평와셔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24675U KR19990011321U (ko) | 1997-08-30 | 1997-08-30 | 와셔볼트에 있어서의 평와셔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1321U true KR19990011321U (ko) | 1999-03-25 |
Family
ID=6967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24675U KR19990011321U (ko) | 1997-08-30 | 1997-08-30 | 와셔볼트에 있어서의 평와셔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11321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7385B1 (ko) * | 2008-02-26 | 2013-01-30 | 주식회사 만도 |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 |
-
1997
- 1997-08-30 KR KR2019970024675U patent/KR19990011321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7385B1 (ko) * | 2008-02-26 | 2013-01-30 | 주식회사 만도 |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9990041553U (ko) | 라쳇 스패너 | |
CA2318550A1 (en) | Improved wheel nut assembly | |
US6089807A (en) | Bolt-and-nut joint | |
KR19990011321U (ko) | 와셔볼트에 있어서의 평와셔 구조 | |
KR920008365A (ko) | 풀림방지용 체결기구 | |
KR200184125Y1 (ko) | 스프링 와셔 | |
KR0153327B1 (ko) | 자동차의 루프안테나 체결용 너트 | |
JPH10184649A (ja) | まわり止め構造 | |
KR19980041262U (ko) | 와셔볼트의 와셔구조 | |
KR200158468Y1 (ko) | 엔진의 스파크 플러그 분해조립 렌치 | |
JPH0321592Y2 (ko) | ||
KR19980019328A (ko) | 너트(Nut) | |
KR19990027717U (ko) | 와셔가 일체로 결합된 육각 너트 | |
GB2335721A (en) | Improved wheel nut assembly | |
JPH046627Y2 (ko) | ||
KR200266362Y1 (ko) | 쉬운 나사 | |
KR950003392Y1 (ko) | 관리기용 핸들 고정축의 손잡이 결합구조 | |
KR20040016229A (ko) | 더블 카운터성크 체결부재 | |
JP2584119Y2 (ja) | 車輌補助ランプの開閉装置 | |
KR870000167Y1 (ko) | 안테나 단자판의 러그단자 고정장치 | |
KR200285985Y1 (ko) | 주방용 및 산업용 고정볼트 | |
KR200223985Y1 (ko) | 밸브 | |
KR970006258Y1 (ko) | 너트와 와셔의 결합구조 | |
ATE294337T1 (de) | Befestigungselement für gewindebolzen | |
KR19980053372U (ko) | 전선의 접속단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