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9980074477A -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기제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진통제 - Google Patents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기제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진통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4477A
KR19980074477A KR1019970010335A KR19970010335A KR19980074477A KR 19980074477 A KR19980074477 A KR 19980074477A KR 1019970010335 A KR1019970010335 A KR 1019970010335A KR 19970010335 A KR19970010335 A KR 19970010335A KR 19980074477 A KR19980074477 A KR 19980074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analgesic
nonsteroidal anti
polyoxyethylene alkyl
alkyl eth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중
이우영
장시영
손세일
박성배
정진호
도기찬
Original Assignee
우대규
한일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대규, 한일약품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대규
Priority to KR1019970010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4477A/ko
Publication of KR1998007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47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기제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약물을 유효성분으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기제성분으로 함유하여 외용도포시 전기 약물을 고농도로 피부안으로 유입시키는 소염, 진통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는 기제성분으로 포함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에 의해, 종래의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보다 약효성분을 다량으로 피부안으로 투과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용제에 포함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약효성분의 양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효가 낮은 화합물도 약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Description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기제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진통제
본 발명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기제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약물을 유효성분으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기제성분으로 함유하여 외용도포시 전기 약물을 고농도로 피부안으로 유입시키는 소염, 진통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용 외용제제는 O/W, W/O 크림제가 대부분인데, 이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약물의 대부분이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 약물입자의 미세한 분산을 요하기 때문이다. 그 외의 제조로는 겔제, 용액제, 파스타제, 카타플라스마제 등이 있으며, 전기 크림제를 포함한 이들 제제는 우수한 경피흡수성을 가지나, 약물의 용해성 및 경피흡수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다량의 저급알코올(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및 다가알코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300, 폴리에틸렌글리콜 400등) 을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자극등의 부작용을 유발시키고 있다. 또한, 전술한 제제들 중에 겔제는 피부에 도포할 때 통상적으로 도포면을 밀봉하는 수단을 채택하지 않기 때문에, 기제중의 저급알코올은 즉시 휘발하여 약효성분의 결정이 석출되는 문제를 가지며, 그 결과 약효성분의 경피흡수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저급알코올 및 다가알코올을 소량 함유하면서도 경피흡수성, 안전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가 당업계에서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당면 과제를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약효성분으로서의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약물에 특정의 기제성분 즉, 우수한 약물의 안정성과 피부친화력 및 낮은 독성을 가지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배합한 결과,, 약물의 경피흡수성이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기제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약물의 용해성 및 경피흡수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종래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제에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저급알코올 및 다가알코올의 양을 줄이면서도 약물의 경피흡수성을 향상시키고자, 다양한 의약제제 및 화장품 등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어온 무독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기제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약효성분에 일정량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넣고 85 내지 95℃에서 가온용해시켜 방냉한 다음, 점도증가제를 미리 용해시킨 수용액에 혼화·교반시키고, 이들을 특정의 제제화에 적합한 공지의 방법으로 겔제, 크림제, 용액제, 파스타제, 카타플라스마제 등으로 제조한다.
상기에서,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약효성분으로는 인도메타신,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아세틸, 살리실산, 살리실산글리콜, 설린닥, 페노프로펜, 프로부펜, 디클로페낙 디에틸암몬, 후루페나믹산, 부펙사멕, 이부프로펜, 나푸록센, 플로오르비프로펜, 피록시캄, 테녹시캄, 펠비낙, 케토프로펜, 프라노프로펜, 메페남산, 플루테남산, 메클로페남산, 알크로페탁, 수프로펜, 록소프로펜, 에토도락, 케토로락, 이부페낙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사용한다.
아울러,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는 하기와 같은 일반식으로 표시되며, 그의 배합량은 대상으로 하는 적응증, 제형, 함유하는 소염, 진통약물의 종류 및 양에 따라 다르나, 외용액의 전량에 대하여 적어도 1-10중량%, 바람직하게는 1-30중량%를 포함한다.
Rm(OCH2CH2)nOH
상기에서;
R은 탄소수 12 내지 20의 알킬기;
m은 12 내지 20의 자연수; 및;
n은 2 내지 100의 자연수이다.
이러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는 분자내에 함유된 알킬기 및 에틸렌옥사이드의 비율에 따라 대상약물의 피부투과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선형 지방알코올의 폴리에폭실레이션에 의해 제조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상기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는 기제성분으로 포함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에 의해 다량의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약효성분을 효율적으로 피부내 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용제에 포함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약효성분의 양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효가 낮은 화합물도 약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이하, 살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I)
폴리옥시에틸렌(5)세틸올레일에테르 10g에 이부프로펜 5g을 넣고 90℃로 가온 용해시킨 다음, 카보폴940 1g과 에탄올 10g을 미리 용해시킨 수용액에 혼화시켜 크림상의 외용제 100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Ⅱ)
폴리옥시에틸렌(5)세틸에테르 15g에 이부프로펜 10g을 넣고 90℃로 가온 용해시킨 다음, 카보폴940 1.5g과 에탄올 15g을 미리 용해시킨 수용액에 혼화시켜 크림상의 외용제 100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Ⅲ)
폴리옥시에틸렌(30)세틸스테아릴에테르 10g에 케토프로펜 3g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15g을 넣고 90℃로 가온 용해시킨 다음, 카보폴940 1.5g과 에탄올 10g을 미리 용해시킨 수용액에 혼화시켜 겔상의 외용제 100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Ⅳ)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 15g에 케토프로펜 10g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15g을 넣고 90℃로 가온 용해시킨 다음, 카보폴940 1.5g, 에탄올 10g 및 프로필렌글리콜 5g을 미리 용해시킨 수용액에 혼화시켜 크림상의 외용제 100g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의 피부 투과시험;
적출한 랫트 피부를 미리 인산염 완충액에 적신 다음, 물기를 제거하고 환산셀을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4에서 각각 제조한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를 처리하고, 4시간 경과후에 피부를 메탄올로 깨끗이 세척하였다. 이어, 피부를 절삭하고 아세토니트릴로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정량하여 피부에 투과된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약물의 양(㎍/㎠/h)을 측정하였다.
이중, 5중량%의 이부프로펜을 함유한 실시예 1의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 및 동일 양의 이부프로펜을 함유한 시판의 IBUTOP크림(Chefaro Pharma, Germany)과의 피부투과성을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1]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외용제 및 IBUTOP크림의 투과성 비교
상기 표 1 에서 보듯이, 10중량%의 폴리옥시에틸렌(5)세틸올레일에테르를 기제로 사용한 실시예 1의 외용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기제로 사용한 종래의 IBUTOP크림보다 약 4배 이상의 높은 피부투과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폴리옥시에틸렌(5)세틸올레일에테르는 이부프로펜의 피부 투과를 촉진시킴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10중량%의 이부프로펜을 함유하고, 15중량%의 폴리옥시에틸렌(10)세틸에테르를 기제로 함유하는 실시예 2의 외용제는 상술한 실시예 1의 경우보다 높은 피부투과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폴리옥시에틸렌(10)세틸에테르는 이부프로펜의 피부 투과를 촉진시킴을 확인하였다.
한편, 3중량%이 케토프로펜을 함유한 실시예 3의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 및 동일 양의 케토프로펜을 함유한 시판의 케노펜겔((주)일동제약, 대한민국)과의 피부투과성을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외용제 및 케노펜겔의 투과성 비교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10중량%의 폴리옥시에틸렌(30)세틸스테아릴에테르를 기제로 사용한 실시예 3의 외용제는 플로사머 407을 기제로 사용한 종래의 케노펜겔보다 약 1.5배 이상의 높은 피부투과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폴리옥시에틸렌(30)세틸스테아릴에테르는 케토프로펜의 피부 투과를 촉진시킴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10중량%의 케토프로펜을 함유하고, 15중량%의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를 기제로 함유하는 실시예 4의 외용제는 상술한 실시예 3의 경우보다 높은 피부투과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는 케토프로펜의 피부 투과를 촉진시킴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의 구성성분은 화장품업이나 제약업 등에서 사용되는 공지의 물질로서 안전성이 확보된 성분이므로, 이들 성분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는 유효량의 범위내에서 안전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의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는 기제성분으로 포함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에 의해, 종래의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보다 약효성분을 다량으로 피부안으로 투과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용제에 포함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약효성분의 양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효가 낮은 화합물도 약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Claims (4)

  1. 하기와 같은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기제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
    Rm(OCH2CH2)nOH
    상기에서;
    R은 탄소수 12 내지 20의 알킬기;
    m은 12 내지 20의 자연수; 및;
    n은 2 내지 100의 자연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약물은 인도메타신,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아세틸, 살리실산, 살리실산글리콜, 설린닥, 페노프로펜, 프로부펜, 디클로페낙 디에틸암몬, 후루페나믹산, 부펙사멕, 이부프로펜, 나푸록센, 플로오르비프로펜, 피록시캄, 테녹시캄, 펠비낙, 케토프로펜, 프라노프로펜, 메페남산, 플루테남산, 메클로페남산, 알크로페탁, 수프로펜, 록소프로펜, 에토도락, 케토로락, 이부페낙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약효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겔제, 크림제, 용액제, 카타플라스마제 및 파스타제로 구성된 그룹으로 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는 외용제의 전량에 대하여 1-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 외용제.
KR1019970010335A 1997-03-25 1997-03-25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기제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진통제 Ceased KR19980074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335A KR19980074477A (ko) 1997-03-25 1997-03-25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기제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진통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335A KR19980074477A (ko) 1997-03-25 1997-03-25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기제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진통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477A true KR19980074477A (ko) 1998-11-05

Family

ID=65950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335A Ceased KR19980074477A (ko) 1997-03-25 1997-03-25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기제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진통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44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72462B1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s
BG61713B1 (bg) Стабилен ретиноиден състав за локално приложение
GB2130486A (en) Anti-acne compositions based on benzoyl peroxide
RU2181285C2 (ru) Гелевая система нимесулида для мест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варианты)
JP3340126B2 (ja) 非ステロイド系消炎鎮痛薬を含む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4195178B2 (ja) 消炎鎮痛外用剤
EP2019666B1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s for transdermal use
JP4138910B2 (ja) 経皮吸収性が良好で且つ皮膚刺激性の少ない塩酸アゼラスチン含有経皮製剤
WO2004030665A1 (en) Transparent gel composition, for the administration of diclofenac sodium through the skin
KR950003611B1 (ko) 항진균 외용 이미다졸 제제
JPS63145217A (ja) 経皮投与組成物
JP5109383B2 (ja) アダパレン含有外用剤組成物
KR19980074477A (ko)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기제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진통제
FI118953B (fi) Ulkoisesti käytettävä, nimesulidia käsittävä tulehdusta torjuva aine
JP5670008B2 (ja) アダパレン含有外用剤組成物
JP3215133B2 (ja) 消炎鎮痛外用剤
JPS61200918A (ja) 外用消炎鎮痛剤
JPS63166825A (ja) 尿素を安定に含む透明ゲル製剤
JP7270374B2 (ja) 外用組成物
JP2700990B2 (ja) 経皮吸収促進物質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JP2001206851A (ja) 皮膚外用製剤
JP5646129B2 (ja) アダパレン含有外用剤組成物
JPS63146817A (ja) 外用抗真菌剤
JPH0772133B2 (ja) 安定なケトプロフエン含有クリ−ム製剤
JPH09241124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3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3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906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902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