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9980040349A - Vending machine with easy structure - Google Patents

Vending machine with easy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349A
KR19980040349A KR1019960059530A KR19960059530A KR19980040349A KR 19980040349 A KR19980040349 A KR 19980040349A KR 1019960059530 A KR1019960059530 A KR 1019960059530A KR 19960059530 A KR19960059530 A KR 19960059530A KR 19980040349 A KR19980040349 A KR 19980040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door
sales
convey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5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부용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59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0349A/en
Publication of KR19980040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349A/en

Links

Landscapes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 취출구로부터 컵을 꺼낼 때 소모되는 수로를 덜 수 있도록 하는 컵 취출 용이 구조의 자동 판매기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nding machine having an easy cup take-out structure that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channel consumed when taking out the cup from the cup outlet.

그 컵 취출 용이 구조의 자동 판매기는, 판매 동작 개시에 의거하여 컵(6)을 방출하는 컵 방출 장치와, 상기 컵 방출 장치로부터 방축되는 컵(6)을 유지하는 컵 유지 장치(5)와, 상기 컵 유지 장치(5)를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컵 이송 장치와, 상기 컵 이송 장치에 의한 컵 이송 경로중에 설치되어, 컵 유지 장치(5)에 유지되어 있는 컵(6)에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와, 음료가 주입된 컵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컵 이송 장치에 의한 컵 이송 경로중에 설치되는 컵 접수 장치와, 컵(6)을 받아들인 상기 컵 접수 장치를 윗쪽으로 이송하는 컵 상하 이송 장치(12)와, 상기 컵(6)의 구경 보다 크게 열리도록 카운터 테이블(2)에 형성한 컵 반출구(22)와, 상기 컵 반출구(22)를 개폐하는 판매문(3)과, 상기 판매문(3)을 개폐 동작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컵 반출구(22)는 상기 판매문(3)의 개방 이동 방향으로 상기 판매문(3)에 의해 개방되는 부분 보다 크게 열린 칫수의 여유가 설정되어 있다.The vending machine of the cup taking-out easy structure includes the cup discharging device which discharges the cup 6 based on the start of sales operation, the cup holding device 5 which holds the cup 6 which is discharged from the cup discharging device, A cup conveying apparatus for conveying the cup holding device 5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up conveying path provided by the cup conveying device to supply a drink to a cup 6 held in the cup holding device 5. Cup up and down conveying a beverage supply apparatus, a cup receiving apparatus installed in a cup conveying path by the cup conveying apparatus so as to receive a cup filled with a beverage, and the cup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the cup 6 upwards. A conveying device 12, a cup dispensing opening 22 formed in the counter table 2 so as to open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up 6, and a sales door 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up discharging opening 22; And driv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ales door 3, In the cup dispensing opening 22, the allowance of the open dimension is set larger than the part opened by the said sales door 3 in the open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said sales door 3. As shown in FIG.

Description

컵 취출 용이 구조의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 with easy structure

본 발명은 판매 동작의 개시에 의해서 컵을 컵 수납부로부터 계속 내보내고, 이 컵속에 각종 음료를 주입해서 판매하는 컵식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컵 취출 용이 구조의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vending machine for continuously dispensing a cup from a cup storage unit and injecting and selling various drinks into the cup.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컵식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음료 탱크는 판매기내의 상부 위치에 배치하고, 컵은 그 하부에 놓아 음료를 주입해서 판매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general, in this type of cup vending machine, the beverage tank is arranged at the upper position in the vending machine, and the cup is placed at the lower part to inject the beverage to sell.

또, 종래의 컵식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음료가 주입된 컵을 투명문을 열고 그 음료 주입 컵을 꺼내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컵을 꺼내는 판매구가 상당히 낮은 위치에 있었다. 이 때문에, 고객은 허리를 구부려서 음료가 들어 있는 컵을 꺼내지 않으면 안되어 거북한 자세를 강요당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Moreover, in the conventional cup type | mold vending machine, since the cup in which the drink was injected is made to open a transparent door, and the drink injecting cup is taken out, the sales outlet which takes out the cup was in the low position. For this reason, the customer has to bend the waist and take out the cup containing the drink, which is inconvenient to be forced into a poor posture.

또, 한쪽 손으로 문을 열고, 다른 손으로 꺼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hassle to open the door with one hand and take it out with the other.

또한, 그 컵은 판매구내에 탄력성이 있는 컵 파지 부재로 파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 파지 부재로부터 한손으로 빼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컵을 꺼낼 때 컵안의 음료가 가끔씩 업질러져 컵 파지 부재가 불결해지므로, 비위생적으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up is held by the elastic cup gripping member in the sales area, it is not easy to pull it out from the gripping member with one hand, and when the cup is taken out, the drink in the cup is sometimes caught up and the cup gripping member is dirty.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of becoming unsanitary.

본 발명은 컵 취출구로부터 컵을 꺼낼 때 소모되는 수고를 덜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labor consumed when taking out a cup from a cup outlet.

도 1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첩식 자동 판매기의 전체 외관 사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verall appearance of a fold vending machine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컵에의 음료 주입과 주입후의 컵 이동 과정을 나타내는 판매 구조의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les structure showing the process of injecting beverage into a cup and moving the cup after infusion.

도 3 은 컵 상하 이송 장치로의 이송 직후의 상황을 나타내는 판매 기구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les mechanism showing a situation immediately after transfer to a cup vertical transfer apparatus;

도 4 는 판매부에 컵이 밑에서 위로 떠오르는 상황을 나타내는 판매 기구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les mechanism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cup rises from the bottom to the sales unit.

도 5A 는 컵 반출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5A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up dispensing outlet;

도 5B 는 도 5A 의 정면도.5B is a front view of FIG. 5A.

도 6 은 판매문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ales door.

도 7A 는 컵 취출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7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t the time of taking out a cup.

도 7B 는 도 5A 의 정면도.7B is a front view of FIG. 5A.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설명* Symbol description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

1 : 판매부, 2 : 카운터 테이블부, 3 : 판매문, 4 : 조작 패널, 4A : 선택 버튼, 5 : 컵 유지 장치, 6 : 컵, 7 : 컵 유지부, 7A, 7B : 컵 파지 부재, 8 : 레일, 9 : 슬라이더부, 10 : 음료 주입 노즐, 11 : 얼음 배출 호스, 12 : 컵 상하 이송 장치, 13 : 풀리, 14 : 벨트, 15 : 구동 전동기, 16 : 슬라이더, 18 : 코우스터부, 19 : 안내간, 20 : 풀리 지지축, 21 : 컵 안내 구조, 22 : 컵 반출구, 23 : 컵 낙하 장치, 24 : 컵 슈트, 25 : 컵 홀더, 26 : 랙, 27 : 피니언, 28M : 구동 전동기, 29 : 롤러, 30 : 컵 받침대, 31 : 컵 폐기구, 32 : 배수통, 35 : 롤러 받이부, 37 : 축, 38A, 38B : 작동 레버, 39A, 39B : 암, 40A, 40B : 용수철, 41A, 41B : 돌기, 42 : 캠, 43 : 캠 회전용 축, 44a : 캠 면, 45 : 캠 구동 장치, 46 : 구동 전동기, 47 : 감속 기구, 48 : 구동 기어, 49 : 캠 구동 기어, 50 : 컵 전후 이송 장치, 80 : 탄산 가스 노즐, 81 : 전자 밸브, 82 : 분기 배관, 83 : 탄산 가스 봄베, 164 : 컵 반출구, 165 : 덮개 부재, 166 : 판매문, 167 : 구동축, 168 : 감속 기구, 169 : 전동기, 170 : 스프링 핀, 171 : 나선 절삭부, 172 : 개구, 173 : 먼지, 174, 176 : 돌기, 175 : 핀, 177a : 직각면, 177b : 구배면, 178 : 코일 스프링, 179 : 단일 방향 클러치, 180 : 용수철, 181 : 문 열림 감지기, 182 : 차폐판, 183 : 저지편, 184 : 문 닫힘 감지기, 185 : 볼록부, 186 : 저지편, 400 : 증감 표시 램프, 411 : 설탕 증량 버튼, 412 : 크림 증량 버튼, 413 : 커피 증량 버튼, 414 : 설탕 감량 버튼, 415 : 크림 감량 버튼, 416 : 커피 감량 버튼, 417 : 설탕/크림 없음 버튼, 418 : 얼음 있음 버튼, 420 : 마이크로 컴퓨터, 421 : 커피 전동기, 422 ; 설탕 전동기, 423 : 크림 전동기, 424 : 커피 전자 밸브, 425 : 인버터, 426 : 동전 기구DESCRIPTION OF SYMBOLS 1 Sales part, 2 counter table part, 3 sales door, 4 operation panel, 4A selection button, 5 cup holder, 6 cup, 7 cup holder, 7A, 7B cup holding member, 8 : Rail, 9: slider portion, 10: drink injection nozzle, 11: ice discharge hose, 12: cup up and down conveying device, 13: pulley, 14: belt, 15: drive motor, 16: slider, 18: coaster part, 19: guide rod, 20: pulley support shaft, 21: cup guide structure, 22: cup outlet, 23: cup dropping device, 24: cup chute, 25: cup holder, 26: rack, 27: pinion, 28M: drive Electric motor, 29: roller, 30: cup holder, 31: cup waste outlet, 32: drain container, 35: roller receiving part, 37: shaft, 38A, 38B: operating lever, 39A, 39B: arm, 40A, 40B: spring , 41A, 41B: projection, 42: cam, 43: cam rotation shaft, 44a: cam face, 45: cam drive device, 46: drive motor, 47: reduction mechanism, 48: drive gear, 49: cam drive gear, 50: transfer device before and after the cup, 80: carbon dioxide gas nozzle, 81: solenoid valve, 82 : Branch piping, 83: carbon dioxide gas cylinder, 164: cup outlet, 165: cover member, 166: sales door, 167: drive shaft, 168: reduction mechanism, 169: electric motor, 170: spring pin, 171: spiral cutting part, 172: opening, 173: dust, 174, 176: protrusion, 175: pin, 177a: right angle, 177b: gradient surface, 178: coil spring, 179: single direction clutch, 180: spring, 181: door open detector, 182 : Shield plate, 183: Stop piece, 184: Door closing detector, 185: Convex part, 186: Stop piece, 400: Increase and decrease indicator lamp, 411: Sugar increase button, 412: Cream increase button, 413: Coffee increase button, 414 : Sugar reduction button, 415: cream reduction button, 416: coffee reduction button, 417: sugar / cream free button, 418: ice button, 420: microcomputer, 421: coffee electric motor, 422; Sugar electric motor, 423: cream electric motor, 424: coffee solenoid valve, 425: inverter, 426: coin applianc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판매 동작 개시에 의거하여 컵(6)을 방출하는 컵 방출 장치와, 상기 컵 방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컵(6)을 유지하는 컵 유지 장치(5)와, 상기 컵 유지 장치(5)를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컵 이송 장치와, 상기 컵 이송 장치에 의한 컵 이송 경로중에 설치되어, 컵 유지 장치(5)에 유지되어 있는 컵(6)에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와, 음료가 주입된 컵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컵 이송 장치에 의한 컵 이송 경로중에 설치되는 컵 접수 장치와, 컵(6)을 받아들인 상기 컵 접수 장치를 윗쪽으로 이송하는 컵 상하 이송 장치(12)와, 상기 컵(6)의 구경 보다 크게 열리도록 카운터 테이블(2)에 형성한 컵 반출구(22)와, 상기 컵 반출구(22)를 개폐하는 판매문(3)과, 상기 판매문(3)을 개폐 동작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컵 반출구(22)는 상기 판매문(3)의 개방 이동 방향으로 상기 판매문(3)에 의해 개방되는 부분 보다 크게 열린 칫수의 여유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취출 용이 구조의 자동 판매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p discharging device for discharging the cup 6 based on the start of sales operation, a cup holding device 5 for holding the cup 6 discharged from the cup discharging device; And a cup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the cup holding device 5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up 6 installed in a cup conveying path by the cup conveying device and supplying a drink to the cup 6 held by the cup holding device 5. A cup for feeding a beverage supply device, a cup receiving device installed in a cup conveying path by the cup conveying device so as to receive a cup filled with a beverage, and the cup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a cup 6 upwards. A sales door 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apparatus 12, the cup dispensing opening 22 formed in the counter table 2 so as to open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up 6, and the cup discharging opening 22. And drive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ales door 3, and The cup dispensing port 22 is a vending machine with an easy structure to take out the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openings larger than the portion opened by the sale door 3 is set in the open movement direction of the sale door 3. To provid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an accompanying drawing.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컵식 자동 판매기의 전체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판매부(1)는 종래의 직사각형이 판매구와는 달리, 가로로 넓게 개방된 카운터 테이블식으로 구성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cup-typ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lling part 1 is constituted by a counter table type which is wide open horizontally, unlike a conventional rectangle.

그리고, 이 카운터 테이블부(2)의 일부를 돔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카운터 테이블부(2)에 상품 반출용 컵 반출구를 설치하는 한편, 이 돔 부분의 밑으로 접근하며 동일한 모양의 돔 형상을 하고 있는 판매문(3)을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설치하고, 판매문(3)에는 그 판매문(3)이 개방되었을 때 상기 컵 반출구와 일치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A part of this counter table part 2 is formed in a dome shape, and a cup discharge port for carrying out goods is provided in the counter table part 2, while a dome shape of the same shape is approached under this dome part. The sales door 3 is provided so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is free, and the sales door 3 is formed with a hole that coincides with the cup outlet when the sales door 3 is opened.

따라서, 통상은 이 판매문(3)에 의한 상기 컵 반출구는 폐쇄되고, 판매시에 쌍방 구멍이 일치함에 의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refore, normally, the said cup delivery opening by this sales door 3 is comprised so that it may open by mutually matching holes at the time of sale.

또, 판매부(1)는 종래의 높이의 위치보다도 한단 위쪽의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e selling part 1 is provided in the position of the height one step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conventional height.

구체적으로는, 이 판매부(4A)는 선택 버튼(4A)을 부착시킨 조작 패널(4)의 바로 아래에 형성되고, 안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으며, 컵(6)의 추출에 지장이 없는 높이의 칫수로 옆으로 길게 개방되어 있다.Specifically, this selling part 4A is formed just below the operation panel 4 to which the selection button 4A is attached, and is in a recessed state, and has a height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extraction of the cup 6. Open sideways with the dimensions of.

그리고, 이 판매부(1)에 음료 주입이 끝난 컵이 솟아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다.And this cup part is comprised so that the drink-injected cup may spring out.

한편, 컵, 음료, 얼음 등이 송출되는 공급부는 판매기안에서 분산되게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ly unit to which cups, drinks, ice, etc. are sent out is provided in a vending machine.

다음에, 도 2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컵식 자동 판매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principal part of the cup-type vending machin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FIG.

도 2 는 컵의 음료 주입과 주입후의 컵을 컵 상하 이송 장치로 이동시키는 상황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또 도 3 은 컵 상하 이송 장치에 의해 음료가 들어있는 컵이 상승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또 도 4 는 음료가 들어 있는 컵이 판매부로 다가오는 상황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cup is injected and the cup after the injection is moved to the cup up and down transport apparatus.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is lifted by the cup up and down transport apparatus.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cup containing a beverage approaches a sales department.

각 도면에 있어서, (5)는 판매 지령에 의해 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컵 공급 장치로부터 송출된 컵(6)을 파지하는 개폐식의 컵 파지 부재(7A)(7B)를 갖고 있으며, 또한 컵의 이송 장치로서 작용하기도 하는 컵 유지 장치로서, 이 컵 유지 장치(5)는 자동 판매기의 캐비닛안에 거의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레일(8)에 그 슬라이더부(9)를 자유롭게 활주하도록 설치하며, 자동 판매기의 정면에서 보아 전후 방향으로 레일(8)을 따라 활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each figure, (5) has the opening-and-closing cup holding member 7A (7B) which hold | grips the cup 6 sent out from the cup supply apparatus as mentioned later by a sales instruction, and also conveys a cup. As a cup holding device which also acts as a device, the cup holding device 5 is installed so as to slide the slider portion 9 freely on a rail 8 which is installed almost horizontally in a cabinet of the vending machine.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slide along the rail 8 in the front-back direction seen from the front.

그런데, 컵 유지 장치(5)가 통상 대기하고 있는, 도 2 에 도시하고 있는 위치의 위쪽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음료 공급 장치나 제빙기 등이 설치되어 있고, 그들로부터의 음료 주입 노즐(10) 및 얼음 배출 호스(11)가 컵(6)을 향하고 있다.By the way, although not shown in the upper part of the position shown in FIG. 2 in which the cup holding apparatus 5 is normally waiting,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the ice maker, etc. are provided, and the beverage injection nozzle 10 and ice from them are provided. The discharge hose 11 faces the cup 6.

그리고, 음료 공급 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비자에 의한 상품 선택 동작에 부합하게 음료를 조합하여 컵 유지 장치(5)가 컵(6)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합한 음료를 음료 주입 노즐(10)을 통해서 컵(6)안으로 주입한다.In addition,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combines the beverages in accordance with the product selection operation by the consumer as described below, and combines the beverages in the state in which the cup holding device 5 holds the cup 6. Inject into the cup (6) through.

이때, 음료 공급 장치는 시럽을 탄산수로 희석시켜서 탄산 음료를 조합하거나 또는 커피 등의 분말 원료를 뜨거운 물로 용해시킴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서는 설탕, 우유를 첨가해서 커피 음료를 조합한다.At this time, the beverage supply device dilutes the syrup with carbonated water to combine the carbonated beverage or dissolve powder raw materials such as coffee with hot water, and combines the coffee beverage by adding sugar and milk as necessary.

마찬가지로 제빙기도 소비자에 의한 상품 선택 동작이 있으면 얼음 배출 호스(11)를 통해서 컵 유지 장치(5)가 유지하고 있는 컵안으로 얼음을 송출한다.Similarly, the ice maker also sends ice into the cup held by the cup holding device 5 through the ice discharge hose 11 when there is a product selection operation by the consumer.

컵에 음료와 얼음이 모두 공급되면, 컵 유지 장치(5)는 도 2 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활주 이동해서 도 3 에 도시하고 있는 위치로 전진하고 소정의 위치에서 멈춘다.When both the drink and the ice are supplied to the cup, the cup holding device 5 slid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as shown in FIG. 2, advances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3, and stops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컵 유지 장치(5)의 정지에 관한 제어는 컵의 이송로상에 배치되어 있는 광학적 위치 센서 등으로 제어한다.The control regarding the stop of the cup holding apparatus 5 is controlled by the optical position sensor etc. arrange | positioned on the conveyance path of a cup.

(12)는 이 소정의 위치로 전진한 컵을 이송시켜서 상승시키는 컵 상하 이송장치이다. 이 컵 상하 이송 장치(12)는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 풀리(13)에 가설된 벨트(14)와, 이 풀리중 한쪽을 구동시키는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구동 전동기(15)와, 상기 벨트(14)에 부착시킨 상하 슬라이더(16)와, 상하 슬라이더(16)의 앞쪽 끝에 설치한 원주 형상의 코우스터부(18)와, 그 상하 슬라이더(16)의 기초부를 삽입 관통해서 코우스터부(18)가 안정된 상하 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안내간(19)으로 구성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cup up and down conveying apparatus which conveys and advances the cup advanced to this predetermined position. The cup up / down conveying apparatus 12 includes a belt 14 arranged on a pulley 13 arranged up and down, a drive motor 15 capable of driving one of the pulleys in a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the belt ( 14, the upper and lower sliders 16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liders 16, a cylindrical coaster portion 18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upper and lower sliders 16, and the base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sliders 16 are inserted therethrough, and the coaster portion 18 is inserted. ) Is composed of guide bars 19 to perform stable up and down movement.

또한, (20)은 풀리 지지축이다.In addition, 20 is a pulley support shaft.

한편, 상기 코우스터부(18)는 도 2 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해오는 컵(6)의 저면으로부터 약간 아래의 위치에서 통상 대기하고 있고, 컵(6)이 오면 구동 전동기(15)는 약간 정회전함으로써 코우스터부(18)는 약간 상승해서 컵의 저면을 지지하고, 그 위에 탑재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aster portion 18 is normally waiting at a position slightly below the bottom of the cup 6 moving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2, and when the cup 6 comes, the driving motor 15 is slightly stationary. By rotating, the coaster portion 18 rises slightly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cup and is mounted thereon.

그 후, 컵 파지 부재(7A)(7B)가 벌어져 컵 파지 부재(7A)(7B)로부터 코우스터부(18)로의 이송이 수행된다.Thereafter, the cup gripping members 7A and 7B are opened and the transfer from the cup gripping members 7A and 7B to the coaster portion 18 is performed.

다음에, 컵 파지 부재(7A)(7B)가 컵(6)의 상승에 지장이 없는 한도안에서 더 크게 개방된 후, 다시 구동 전동기(15)의 정회전에 의해 코우스터부(18)를 상승시키고, 컵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컵의 구경보다 한 단계 크게한 형상의 컵 안내구(21)로 들어가서 약간 나온 위치에서 정지한다.Next, after the cup gripping members 7A and 7B are opened to a greater extent without limiting the rise of the cup 6, the coaster portion 18 is raised again by the forward rotation of the drive motor 15. In order to prevent the cup from falling over, it enters the cup guide 21 of the shape which is one step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up and stops at the slightly exited position.

도 4 는 컵(6)이 판매부(1)의 카운터 테이블부(2)위로 나온 상황을 나타내고 있고,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료가 들어 있는 컵(6)은 밑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도록해서 판매부(1)안에 나타나게 된다.Fig. 4 shows a situation in which the cup 6 has emerged on the counter table 2 of the sales section 1, and as can be seen from this figure, the cup 6 containing the beverage is raised from the bottom to the sales section. It appears in (1).

이 때문에, 판매문(3)은 개방 동작하여 컵(6)이 나오는 컵 반출구(22)를 개방한다.For this reason, the sales door 3 opens and the cup dispensing opening 22 which the cup 6 exits is opened.

전술한 바와 같이, 컵 공급 장치로부터 방출된 컵의 파지→컵으로의 음료 주입→음료 주입 후, 컵 상하 이송 장치로의 이동→컵 상하 이송 장치로의 컵의 이송→컵의 상승 동작→판매부로의 반출이라고 하는 일련의 판매 동작을 수행하여 컵 음료가 소비자에게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holding the cup discharged from the cup supply device → injecting the drink into the cup → injecting the beverage into the cup, moving to the cup up / down conveying device → feeding the cup to the cup up / down conveying device → upward movement of the cup → sales unit The cup beverage is provided to the consumer by performing a series of sales operations called the export of.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판매부(1)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sales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A 및 도 5B 는 컵 반출구(164)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5A and 5B show an example of the cup outlet 164.

컵 반출구(164)는 전면(2a)의 오목한 부분(2b)에 부착되어 있는 구면상의 덮개 부재(165)의 거의 중앙부에 뚫어 설치되어 있고, 이 덮개 부재의 안쪽에는 덮개부재(165)의 구면과 중심 PC이 일치하는 구면의 일부를 거의 부채꼴로 절단해서 이루어진 판매문(166)이 배치되어 있다.The cup dispensing port 164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spherical cover member 165 attached to the concave portion 2b of the front surface 2a, and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65 is provided inside the cover member. The sales door 166 which cut | disconnected a part of spherical surface which and a center PC correspond substantially is arrange | positioned.

이 판매문(166)의 중심 PC을 통하는 연직선상에 길이 방향이 일치하는 축(167)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축(167)에는 감속 기구(168)를 거쳐서 전동기(169)의 동력이 전달되고 있다.The sales door 166 is fixedly installed on a shaft 16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vertical line through the center PC, and the power of the electric motor 169 is supplied to the shaft 167 via the reduction mechanism 168. It is delivered.

또한, 판매문(166)의 안쪽에는 컵(6)을 검출하기 위한 한 쌍의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로 이루어진 컵의 유무 감지 센서 S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코우스터부(18)는 컵(6)을 대기 위치로부터 컵 반출구(166)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대기시에는 도면의 점선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Further, inside the sales door 166, a presence / absence sensor S 12 including a pair of light emitting elements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for detecting the cup 6 is disposed. In addition, the coaster part 18 is for moving the cup 6 from a standby position to the cup discharge opening 166, and it stops at the dotted line position of a figure at the time of waiting.

게다가, 판매문(166)에는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컵(6)의 구경보다 약간 큰 칫수의 열린 곳(172)이 형성되어 있고, 컵 반출구(164)보다도 판매문(166)의 이동 방향으로 크고 긴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sales door 166 is formed with an opening 172 having a dimension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up 6, and the sales door 166 is larger than the cup outlet 164. It is formed of a large and long hole in the moving direction.

그러므로, 전동기(169)를 구동시키면, 그 동력이 감속 기구(168)를 거쳐서 축(167)으로 전달되고, 그것에 의해서 축(167)이 전동기(169)의 구동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해서 판매문(166)이 컵 반출구(164)의 개폐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판매문(166)은 대기 상태에서는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고, 상품의 판매시에는 도면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어서 열린 곳(172)이 코우스터부(18)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면 정지한다.Therefore, when the electric motor 169 is driven, th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shaft 167 via the deceleration mechanism 168, whereby the shaft 167 rotates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motor 169, The sales door 166 moves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cup dispensing outlet 164. Here, the sales door 166 is stopped at the position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6 in the standby state, and when the product is sold, the place 172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awing and opened at the coaster portion 18. It stops when it is in the position just above).

이것에 의해서 판매문(166)의 열린 곳(172) 및 컵 반출구(164)를 거쳐서 코우스터부(18)가 외부로 나타나고, 이 코우스터부(18)에 탑재되어 있는 컵(6)을 소비자에게 제공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때, 판매문(166)의 상면에 먼지(173)가 쌓여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판매문(166)의 이동에 수반해서 이동 방향측의 컵 반출구(164)의 끝부분 즉, 도면 오른쪽의 끝까지 이동하고, 그 끝부분에 맞닿아서 걸리고, 그 이후는 판매문(166)이 이동해도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As a result, the coaster portion 18 appears to the outside via the opening 172 of the sales door 166 and the cup discharge port 164, and the cup 6 mounted on the coaster portion 18 is opened. It becomes a state which can be provided to a consumer. At this time, even if dust 173 is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ales door 166, it moves to the end of the cup dispensing port 164 on the moving direction side, that is, to the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with the movement of the sales door 166. The door is held in contact with the end thereof, and is held thereafter even when the sales door 166 moves.

따라서, 판매문(166)에 쌓인 먼지(173)는 컵 반출구(164)와 열린 곳(172)의 칫수 차이의 부분에 남고, 그 때문에 열린 곳(172)을 거쳐서 컵(6)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Thus, the dust 173 accumulated in the sales door 166 remains at the por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p outlet 164 and the open 172, and thus into the interior of the cup 6 via the open 172. Intrusion is prevented.

또한, 열린 곳(172)의 칫수를 컵 반출구(164)보다도 크게 형성하면, 컵 반출구(22)를 개방할 때, 판매용 문에 쌓인 먼지(173)를 컵(6)과 컵 반출구(164)의 칫수 차이의 부분에 모을 수 있고, 따라서 먼지(173)이 컵(6)의 내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dimension of the open part 172 is formed larger than the cup outlet 164, when the cup outlet 22 is opened, the dust 173 accumulated at the door for sale will be removed from the cup 6 and the cup outlet ( 164 can be collected in the part of the difference in dimensions, and thus dust 173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interior of the cup 6.

판매 대기시에는 판매문(166)이 컵 반출구(164)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코우스터부(18)는 컵 유지 장치(5)의 컵 파지 부재(7A)(7B)에 지지되어 레일(8)을 따라서 이동해오는 컵(6)의 저면보다 약간 하방의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이, 코우스터부(18)로의 컵(6)의 탑재가 종료하기 직전의 타이밍으로 제어 장치는 전동기(5)를 개방 방향으로 구동시켜서 판매문(166)을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열린 곳(172)을 코우스터부(18)의 바로 위의 위치까지 이동시킨다.At the time of waiting for sale, the sales door 166 closes the cup dispensing opening 164 and the coaster portion 18 is supported by the cup holding members 7A and 7B of the cup holding apparatus 5 so as to support the rail 8. It is located slightly below the bottom of the cup 6 which moves along). In this way, at the timing just before the mounting of the cup 6 to the coaster portion 18, the control device drives the electric motor 5 in the opening direction to move the sales door 166 in the opening direction, 172 is moved to a position directly above the coaster portion 18.

판매문(166)이 컵 반출구(164)를 개방시키면, 제어 장치는 코우스터부(18)를 상승시켜서 도 7A 및 도 7B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컵(6)을 컵 반출구(164)로부터 돌출시킨다. 이 상태에 있어서, 컵(6)의 하단부는 컵 반출구(164)의 최하단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따라서 소비자는 컵 반출구(164)의 가장 자리에 걸리는 경우가 없이도 컵(6)을 꺼낼 수 있다.When the sales door 166 opens the cup discharge port 164, the control device raises the coaster portion 18 and moves the cup 6 to the cup discharge port 164 as shown in solid lines in FIGS. 7A and 7B. Protrude from). In this state, the lower end of the cup 6 is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cup dispensing opening 164, so that the consumer can take out the cup 6 without catching the edge of the cup discharging opening 164. Can be.

소비자가 컵(6)을 꺼내면 컵의 유무 감지 센서 S12가 컵(6)을 검출하지 않게되기 때문에, 제어 장치는 코우스터부(18)를 대기 위치까지 하강함과 더불어 판매문(166)을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컵 반출구(164)를 폐쇄시킨다.When the consumer pulls out the cup 6, the presence or absence sensor of the cup S 12 does not detect the cup 6, so that the control unit lowers the coaster portion 18 to the standby position and opens the sales door 166. The cup outlet 164 is closed by moving in the closing direction.

이와 같이 하여, 소비자는 컵 반출구(164)로부터 컵(6)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sumer can easily take out the cup 6 from the cup dispensing outlet 164.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컵을 용이하게 꺼내기 위한 구조를 갖는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유무 감지 센서 S12가 컵(6)이 검출된 때에만 판매문(166)이 개방되어 컵 반출구(164)가 개방되고 코우스터부(18)가 상승되어 컵(6)이 컵 반출구(164)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소비자가 컵 취출구로부터 컵을 꺼낼 때 컵 반출구(164)의 가장 자리에 걸림이 없이 용이하게 컵(6)을 꺼낼 수 있으며, 그 컵을 꺼내는 데에 소모되는 수고를 덜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vending machine having a structure for easily taking out th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les door 166 is opened only when the presence sensor S 12 detects the cup 6 so that the cup outlet 164 is opened. And the coaster portion 18 is raised so that the cup 6 protrudes from the cup dispensing port 164, so that the cup is easily caught without the edge of the cup discharging port 164 when the consumer takes the cup out of the cup dispensing port. (6) can be taken out and less effort is required to take out the cup.

Claims (3)

판매 동작 개시에 의거하여 컵(6)을 방출하는 컵 방출 장치와, 상기 컵 방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컵(6)을 유지하는 컵 유지 장치(5)와, 상기 컵 유지 장치(5)를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컵 이송 장치와, 상기 컵 이송 장치에 의한 컵 이송 경로중에 설치되어, 컵 유지 장치(5)에 유지되어 있는 컵(6)에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와, 음료가 주입된 컵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컵 이송 장치에 의한 컵 이송 경로중에 설치되는 컵 접수 장치와, 컵(6)을 받아들인 상기 컵 접수 장치를 윗쪽으로 이송하는 컵 상하 이송 장치(12)와, 상기 컵(6)의 구경 보다 크게 열리도록 카운터 테이블(2)에 형성한 컵 반출구(22)와, 상기 컵 반출구(22)를 개폐하는 판매문(3)과, 상기 판매문(3)을 개폐 동작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컵 반출구(22)는 상기 판매문(3)의 개방 이동 방향으로 상기 판매문(3)에 의해 개방되는 부분 보다 크게 열린 칫수의 여유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취출 용이 구조의 자동 판매기.The cup discharging device which discharges the cup 6 based on a sale operation start, the cup holding apparatus 5 which holds the cup 6 discharged from the said cup discharge apparatus, and the said cup holding apparatus 5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up feeding device for feeding beverage to the cup, a cup feeding path provided by the cup feeding device, for supplying a beverage to the cup 6 held by the cup holding apparatus 5, and a cup into which the beverage is injected. A cup receiving apparatus installed in a cup conveying path by the cup conveying apparatus, a cup up and down conveying apparatus 12 for conveying the cup receiving apparatus which receives the cup 6 upwards, and the cup (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cup dispensing opening 22 formed in the counter table 2, the sales door 3 which opens and closes the cup discharging opening 22, and the selling door 3 so as to open larger than the aperture of 6). Drive means for discharging, and the cup dispensing opening 22 opens the sales door 3; Automatic devices for easily taking out the cup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with a space of larger dimension than the open portion is opened by the sale door 3 in the same direction is s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 반출구(22)는 전면의 오목한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구면상의 덮개 부재(165)의 거의 중앙부에 뚫어 설치되어 있고, 이 덮개 부재의 안쪽에는 덮개 부재(165)의 구면과 중심 PC이 일치하는 구면의 일부를 거의 부채꼴로 절단해서 판매문(166)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판매문(166)이 중심 PC을 통하는 연직선상에 길이 방향이 일치하는 축(167)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취출 용이 구조의 자동 판매기.2. The cup discharging opening 2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spherical cover member 165 attached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A part of the spherical surface where the spherical surface and the center PC coincide is cut almost in a fan shape, and the sales door 166 is disposed, and the sales door 166 is arranged on an axis 167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incides with the vertical line through the center PC. A vending machine having an easy structure for taking out cups, which is fixedly install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167)에는 감속 기구(168)를 거쳐서 전동기(169)의 동력이 전달되어 회동하며, 판매문(166)의 안쪽에는 컵(6)을 검출하기 위한 한쌍의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로 이루어진 컵의 유무 감지 센서 S12가 배치되어 있어 그 컵의 유무 감지 센서 S12의 감지에 따라 판매문(166)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취출 용이 구조의 자동 판매기.3. The shaft 167 is rotated by the power of the electric motor 169 is transmitted to the shaft 167 via a deceleration mechanism 168, a pair of light emission for detecting the cup 6 inside the sales door 166. automatic device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up sensor 12 S that there is disposed a cup, characterized in that sold door 166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detection sensor S 12 of the cup taken out easily structure consisting of elements and the light-receiving element.
KR1019960059530A 1996-11-29 1996-11-29 Vending machine with easy structure KR199800403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530A KR19980040349A (en) 1996-11-29 1996-11-29 Vending machine with easy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530A KR19980040349A (en) 1996-11-29 1996-11-29 Vending machine with easy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349A true KR19980040349A (en) 1998-08-17

Family

ID=6648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530A KR19980040349A (en) 1996-11-29 1996-11-29 Vending machine with easy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034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012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ups of vending machine
KR19980040349A (en) Vending machine with easy structure
WO2017191531A1 (en) Automatic dispensing machine for dispensing products
US3519166A (en) Drinking straw dispenser
KR19980040443A (en) Vending machine with automatic release of cup jamming and cup tilt
KR19980040403A (en) Vending machine with dust prevention structure
KR19980040447A (en) Vending machine for automatic cup jamming in cup chute
KR19980040401A (en) Vending machine with automatic return from cup jam
KR19980040446A (en) Vending machine of bad cup automatic disposal structure
KR19980040444A (en) Vending machine for automatic cup jamming in cup chute
KR19980040350A (en) Vending machine improves hygiene of sales area
KR19980040366A (en) Vending machine with multi-level increase / decrease structure of raw material
KR19980040442A (en) Vending machine with detection and healing of abnormal occurrence
JPS62171096A (en) Cup type beverage vending machine
KR19980040400A (en) Sanitary vending machine
KR19980040445A (en) Vending machine of shortened structure of sale wait time
KR19980040402A (en) Vending machine with easy to take out cup
KR19980040365A (en) Vending machine with saf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JP4433839B2 (en) vending machine
KR200336684Y1 (en) The lift mechanism for can drink vending machine
JP3854491B2 (en) vending machine
KR0117866B1 (en) Food beverage supplying apparatus
KR930008483Y1 (en) Wares supply equipment of vending machine
JP2002279520A (en) Cup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KR200176799Y1 (en) Holder device for removal of cup of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