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722855B1 - 무압력 취반기 - Google Patents

무압력 취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2855B1
KR102722855B1 KR1020240114758A KR20240114758A KR102722855B1 KR 102722855 B1 KR102722855 B1 KR 102722855B1 KR 1020240114758 A KR1020240114758 A KR 1020240114758A KR 20240114758 A KR20240114758 A KR 20240114758A KR 102722855 B1 KR102722855 B1 KR 102722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detergent
cooking
suppor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114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류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Priority to KR1020240114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2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2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2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압력 취반기는 밥을 짓기 위해 쌀과 물이 안쳐지는 취반기용 밥팬 밧드(1)가 내부 수납된 취반실(3)과; 상기 취반실(3)의 개방된 전면을 열고 닫는 취반실 도어(5); 상기 취반실(3)과 격벽(7)을 사이에 두고 이웃 설치된 기계실(9); 상기 격벽(7)에 가공된 증기 토출구(11); 상기 기계실(9) 내부에 설치되고 물이 채워지는 스팀발생장치(13)를 구비하며 스팀발생장치(13) 안에 채워진 물을 끓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 수단(15); 상기 기계실(9)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증기 발생 수단(15)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증기 토출구(11)로 안내하는 증기 전달 수단(17); 및 취반 중 또는 취반 후 취반실(3) 바닥에 고인 물과, 밥물을 취반실(3) 바깥으로 내보내는 취반실측 배수 수단(19)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압력 취반기{Non-pressure rice cooker}
본 발명은 무압력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기로 밥을 지을 수 있는 무압력 취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 인원의 식사를 준비해야 하는 대형 식당이나, 군부대, 학교, 공장의 구내 식당에서는 대량의 밥을 짓기 위해 대용량 취반기를 이용한다.
이러한 대용량 취반기는 히터를 이용한 전열식 취반기나, 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가스식 취반기, 증기를 이용하는 증기식 취반기를 이용한다.
하지만, 대형 급식을 위해 사용되는 전열식 취반기는 대용량으로 인해 소비 전력이 큰 단점이 있었고, 가스식 취반기는 운영비가 많이 들뿐만 아니라 유해 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지 못하며, 안전상 취급 관리에 있어 많은 주의를 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스식의 경우 가스 안전 상태를 수시로 점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가스 누출 시 인명 피해는 물론 재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증기식 취반기는 사용 시간이 누적됨에 따라 스팀발생장치 내벽과 증기 이동 통로에 미생물이 번식하거나, 이물질이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는 출원번호 "10-2018-0001724"호의 "무압력 취반기"가 특허 출원되어 등록되었는데, 상기 무압력 취반기는 취반 용기가 다단으로 안치되는 취반실이 갖추어진 취반기 본체와, 상기 취반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되 취반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제어 박스를 포함하는 무압력 취반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박스는 물을 열교환 방식 발열부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취반기 본체 및 제어 박스의 아랫면에 결합되고, 주방 용기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 공간부는 취반실과 폐열 배출 파이프로 연결되어 취반 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취반실에 잔류하는 폐열을 상기 폐열 배출 파이프를 통해 공급 받아 수납 공간부에 수납된 각종 주방 용기들을 건조 및 살균시킨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995320"호 (2019.07.03)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증기로 밥을 짓되, 증기가 발생되는 스팀발생장치의 내부와, 증기 이동 통로의 세척이 용이한 무압력 취반기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압력 취반기는 밥을 짓기 위해 쌀과 물이 안쳐지는 취반기용 밥팬 밧드(1)가 내부 수납된 취반실(3)과; 상기 취반실(3)의 개방된 전면을 열고 닫는 취반실 도어(5); 상기 취반실(3)과 격벽(7)을 사이에 두고 이웃 설치된 기계실(9); 상기 격벽(7)에 가공된 증기 토출구(11); 상기 기계실(9) 내부에 설치되고 물이 채워지는 스팀발생장치(13)를 구비하며 스팀발생장치(13) 안에 채워진 물을 끓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 수단(15); 상기 기계실(9)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증기 발생 수단(15)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증기 토출구(11)로 안내하는 증기 전달 수단(17); 및 취반 중 또는 취반 후 취반실(3) 바닥에 고인 물과, 밥물을 취반실(3) 바깥으로 내보내는 취반실측 배수 수단(19)을 포함한다.
T자 형태의 배관으로서 상기 기계실(9) 내부에 설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제1 입수구와 제2 입수구를 구비하고 유체가 유출되는 출수구가 갖추어진 T자형 체결 조인트(21)와;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제1 입수구로 물을 공급하는 제1 물 공급 수단(23);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제2 입수구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공급 수단(25); 상기 스팀발생장치(13)와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출수구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취반실(3)과 증기 발생 수단(15) 그리고 증기 전달 수단(17)의 세척시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출수구를 통해 빠져나오는 세제물을 스팀발생장치(13)로 전달하는 유체 전달 수단(27); 및 상기 취반실(3)과 증기 발생 수단(15) 그리고 증기 전달 수단(17)의 세척시 제1 물 공급 수단(23)과 세제 공급 수단(25)을 제어하여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제1 입수구로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입수구로 세제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29)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무압력 취반기는 증기를 이용하여 밥을 지을 수 있고, 증기를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13)의 내부와, 증기 이동 통로를 자동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취반실 도어(5)를 개방 시 취반실 도어(5)에 맺힌 물기를 취반실 도어(5)에 설치된 상부 받침 수단(95)에 일시적으로 모아두었다가 취반실 도어(5)의 폐쇄 시 취반실(3)에 고정 설치된 하부 받침 수단(99)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취반실 도어(5)가 개방되더라도 취반실 도어(5)에 맺힌 물기가 조리실 바닥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오수 탱크(57)에 채워진 오수의 온도가 설정된 한도를 초과하였을 때 오수 탱크(57)안에 찬물을 공급함으로써 고온의 오수를 중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고온의 오수 배출로 인한 환경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도면 1은 무압력 취반기의 사시도,
도면 2는 격벽으로 분할된 취반실과 기계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3은 격벽에 설치된 증기 토출구를 도시한 도면,
도면 4는 스팀발생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5는 증기 전달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면 6은 취반실 바닥에 설치된 취반실측 배수구를 도시한 도면,
도면 7은 기계실 내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8은 오수 탱크와 취반실측 배수구 사이에 설치된 취반실측 배수관을 도시한 도면,
도면 9는 상부 받침 수단에 설치된 배수구 개폐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면 10은 취반실 전면 하부에 설치된 하부 받침 수단과 V형 레버 접촉판을 도시한 도면,
도면 11과 도면 12 그리고 도면 13은 취반실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배수구 개폐 수단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14는 하부 받침 수단과 오수 배출관 사이에 설치된 분기관과 하부 받침 수단측 배수관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압력 취반기는 도면 1 내지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밥을 짓기 위해 쌀과 물이 안쳐지는 취반기용 밥팬 밧드(1)가 내부 수납된 취반실(3)과; 상기 취반실(3)의 개방된 전면을 열고 닫는 취반실 도어(5); 상기 취반실(3)과 격벽(7)을 사이에 두고 이웃 설치된 기계실(9); 상기 격벽(7)에 가공된 증기 토출구(11); 상기 기계실(9) 내부에 설치되고 물이 채워지는 스팀발생장치(13)를 구비하며 스팀발생장치(13) 안에 채워진 물을 끓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 수단(15); 상기 기계실(9)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증기 발생 수단(15)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증기 토출구(11)로 안내하는 증기 전달 수단(17); 및 취반 중 또는 취반 후 취반실(3) 바닥에 고인 물과, 밥물을 취반실(3) 바깥으로 내보내는 취반실측 배수 수단(19)을 포함한다.
상기 증기 발생 수단(15)은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스팀발생장치(13) 내 물이나 세제물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75)과, 상기 스팀발생장치(13)에 설치되고 스팀발생장치(13) 내 물이나 세제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스팀발생장치측 온도 센싱 수단(77), 및 상기 가열 수단(75)과 상기 스팀발생장치측 온도 센싱 수단(77)을 제어하여 스팀발생장치(13) 내 물이나 세제물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에 맞추는 제어 수단(29)을 포함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13) 내부에는 스팀발생장치(13) 내부에 채워진 물이나, 세제물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수위 감지 모듈(30)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 수단(29)은 수위 감지 모듈(30)을 통해 스팀발생장치(13) 내 수위가 설정된 한도에 다달았음을 감지하였을 때 스팀발생장치(13)로 공급되는 물과 세제의 공급을 중단한다.
상기 증기 토출구(11)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 이상이고, 상기 증기 전달 수단(17)은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계실(9) 내부를 마주보는 격벽(7)의 일면에 설치되고 스팀발생장치(13)와 연통되어 스팀발생장치(13)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전달받는 제1 증기 안내 수단(79)와, 상기 제1 증기 안내 수단(79)의 하부에 '1'자 형태로 세워진 파이프로서 상기 기계실(9) 내부를 마주보는 격벽(7)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단이 제1 증기 안내 수단(79)과 연통되어 제1 증기 안내 수단(79)으로부터 증기를 전달받는 제2 증기 안내 수단(81), 상기 제2 증기 안내 수단(81)의 하부에 '1'자 형태로 세워진 파이프로서 상기 기계실(9) 내부를 마주보는 격벽(7)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단이 제2 증기 안내 수단(81)과 연통되어 제2 증기 안내 수단(81)으로부터 증기를 전달받고 증기 토출구(11)와 연통된 제3 증기 안내 수단(83), 상기 제3 증기 안내 수단(83)의 하부에 '1'자 형태로 세워진 파이프로서 상기 기계실(9) 내부를 마주보는 격벽(7)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단이 제3 증기 안내 수단(83)과 연통되어 제3 증기 안내 수단(83)으로부터 증기를 전달받는 제4 증기 안내 수단(85), 및 상기 제4 증기 안내 수단(85)의 하부에 설치되고 가로폭이 상기 제4 증기 안내 수단(85)의 가로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기계실(9) 내부를 마주보는 격벽(7)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단이 제4 증기 안내 수단(85)과 연통되어 제4 증기 안내 수단(85)으로부터 증기를 전달받고 증기 토출구(11)와 연통된 제5 증기 안내 수단(87)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T자 형태의 배관으로서 상기 기계실(9) 내부에 설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제1 입수구와 제2 입수구를 구비하고 유체가 유출되는 출수구가 갖추어진 T자형 체결 조인트(21)와;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제1 입수구로 물을 공급하는 제1 물 공급 수단(23);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제2 입수구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공급 수단(25); 상기 스팀발생장치(13)와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출수구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취반실(3)과 증기 발생 수단(15) 그리고 증기 전달 수단(17)의 세척시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출수구를 통해 빠져나오는 세제물을 스팀발생장치(13)로 전달하는 유체 전달 수단(27); 및 상기 취반실(3)과 증기 발생 수단(15) 그리고 증기 전달 수단(17)의 세척시 제1 물 공급 수단(23)과 세제 공급 수단(25)을 제어하여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제1 입수구로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입수구로 세제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29)을 포함한다.
상기 T자형 체결 조인트(21)는 상기 취반실(3)과 증기 발생 수단(15) 그리고 증기 전달 수단(17)의 세척시 제1 입수구로 들어온 물과, 제2 입수구로 들어온 세제를 한데 섞어 희석 후 만들어진 세제물을 유체 전달 수단(27)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1 물 공급 수단(23)은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9) 외부에 설치된 상수관로와 연결되고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관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물을 흘려보내거나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1 물 공급 수단측 밸브(31)와, 상기 제1 물 공급 수단측 밸브(31)의 출수구와 상기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제1 입수구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물 공급 수단측 밸브(31)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제1 입수구로 전달하는 제1 물 전달 수단(3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29)은 취반시 또는 상기 취반실(3)과 증기 발생 수단(15) 그리고 증기 전달 수단(17)의 세척시 제1 물 공급 수단측 밸브(31)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물 공급 수단측 밸브(31)를 개방시킨다.
상기 제1 물 공급 수단측 밸브(31)는 제어 수단(29)의 전기 신호에 따라 관로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다.
상기 세제 공급 수단(25)은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제가 보관된 세제 보관 수단(35)과, 상기 세제 보관 수단(35)과 세제 펌프(39) 사이에 연결된 제1 세제 전달 수단(37), 상기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세제 전달 수단(37)을 통해 세제 보관 수단(35)에 채워진 세제를 끌어올리는 세제 펌프(39), 및 상기 세제 펌프(39)로부터 공급된 세제를 상기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제2 입수구로 전달하는 제2 세제 전달 수단(4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세제 전달 수단(41)은 상기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제2 입수구에 설치되어 제2 입수구를 통해 물이나, 세제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체크 밸브(43)를 더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팀발생장치(13) 안에 채워진 세제물을 스팀발생장치(13)의 안과 바깥으로 순환시켜 스팀발생장치(13) 내벽과, 스팀발생장치(13) 내부에 설치된 증기 발생 수단(15)을 세척하는 세제물 순환 수단(4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세제물 순환 수단(45)은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팀발생장치(13)의 하부에 설치되고 스팀발생장치(13)에 채워진 세제물을 기계실(9) 안에 설치된 세제물 순환 펌프(49)의 입수구로 전달하는 순환용 세제물 전달 수단(47)과; 기계실(9) 안에 설치되고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순환용 세제물 전달 수단(47)을 통해 전달된 세제물의 수압을 높여 출수구를 통해 순환용 세제물 공급 수단(51)으로 전달하는 세제물 순환 펌프(49); 및 상기 세제물 순환 펌프(49)의 출수구로부터 토출된 세제물을 다시 스팀발생장치(13)로 전달하는 순환용 세제물 공급 수단(51)을 포함한다.
상기 순환용 세제물 공급 수단(51)은 세제물을 스팀발생장치(13) 상부를 통해 스팀발생장치(13) 안으로 주입시켜 세제물이 스팀발생장치(13) 안에서 낙수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은 세제물의 거품이 스팀발생장치(13)의 내부에서 극대화되도록 하여 강한 세척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팀발생장치(13)에 채워진 물이나, 세제물을 스팀발생장치(13)의 바깥으로 내보내는 스팀발생장치측 배수 수단(5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측 배수 수단(53)은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팀발생장치(13) 안에 채워진 물이나 세제물을 오수 탱크(57)로 내보내거나 내보내지 않는 스팀발생장치측 오수 배출 수단(55)과, 상기 기계실(9)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팀발생장치측 오수 배출 수단(55)을 통해 배출된 물이나 세제물 그리고 상기 취반실측 배수 수단(19)을 통해 배출된 물이나 세제물 또는 밥물이 저장되는 오수 탱크(57), 및 상기 오수 탱크(57)에 설치되고 오수 탱크(57)에 채워진 물이나, 세제물, 또는 밥물을 기계실(9) 바깥으로 내보내는 오수 배출관(59)을 포함한다.
상기 오수 탱크(57)에는 취반실(3)에서 오수 탱크(57)로 전달된 고압 증기를 기계실(9) 바깥으로 내보내는 배기관(61)이 설치된다.
또, 본 발명은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수 탱크(57)에 설치되어 오수 탱크(57) 내부에 채워진 오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오수 탱크측 온도 센싱 수단(67)과, 상기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수 탱크(57)에 상수도 물을 공급하는 제2 물 공급 수단(69)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29)은 오수 탱크측 온도 센싱 수단(67)을 통해 감지된 오수의 온도가 제어 수단(29)에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였을 시 제2 물 공급 수단(69)을 제어하여 오수 탱크(57)에 상수도 물을 공급한다.
상기 오수 탱크(57)에 상수도 물을 공급하는 이유는 뜨거운 오수가 오수 배출관(5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었을 때 환경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오수 탱크(57)에 채워진 오수의 온도를 낮추기 위함이다.
상기 제2 물 공급 수단(69)은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관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상수도 물을 흘려보내거나 흘려보내지 않는 제2 물 공급 수단측 밸브(71)와, 상기 제2 물 공급 수단측 밸브(71)로부터 배출된 물을 상기 오수 탱크(57)로 전달하는 제2 물 전달 수단(73)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물 공급 수단측 밸브(71)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다.
상기 취반실측 배수 수단(19)은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취반실(3) 바닥에 형성되고 취반실(3) 바닥에 고인 물이나 밥물 또는 세제물을 취반실(3) 바깥으로 내보내는 취반실측 배수구(63)와, 상기 취반실측 배수구(63)로부터 빠져나온 물이나 밥물 또는 세제물을 오수 탱크(57)로 전달하는 취반실측 배수관(65)을 포함한다.
상기 취반실 도어(5)는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 도어로서 취반실(3) 전면에 힌지(Hinge) 결합된 외부 도어(89)와, 취반실(3)을 마주보는 상기 외부 도어(89)의 후면에 힌지 결합된 내부 도어(91)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어(89)의 후면 하부와, 취반실(3)의 전면 하부에는 도면 11 내지 도면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도어(91)의 표면에 맺혀있다가 내부 도어(91)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받아내기 위한 도어측 물받이 수단(93)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측 물받이 수단(93)은 도면 9 내지 도면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도어(91)의 하부에 배치되고 외부 도어(89)의 후면 하부에 고정되어 외부 도어(89)를 따라 이동되며 내부 도어(91)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받아내는 상부 받침 수단(95)과, 상기 상부 받침 수단(95)에 채워진 물을 상부 받침 수단(95)의 바깥으로 내보내기 위해 상기 상부 받침 수단(95)의 밑면에 가공된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 상기 취반실(3) 전면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받아내는 하부 받침 수단(99), 및 상기 외부 도어(89)가 열렸을 때 상기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를 폐쇄하고 외부 도어(89)가 닫혔을 때 상기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를 개방하는 배수구 개폐 수단(101)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받침 수단(99)의 후면에는 도면 10과 도면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받침 수단측 후면판(103)이 장착되고, 상기 하부 받침 수단측 후면판(103)의 상단은 내부 도어(91)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배수구 개폐 수단(101)은 도면 11 내지 도면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받침 수단(95) 안에 설치되되 상부 받침 수단(95)의 밑면과 소정 높이 간격 떨어져 설치되고 중앙에 샤프트 통과홀(107)이 관통된 샤프트 고정판(105)을 구비한 샤프트 고정 브라켓(109)과, 상기 샤프트 통과홀(107)에 끼워져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샤프트(111), 상기 샤프트(111)의 하단에 샤프트(111)와 일체로 결합되어 샤프트(111)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마개(113), 상기 마개(113) 밑면에 고정 설치되고 하강된 마개(113)가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를 막았을 때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를 통해 물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고무링(115), 상기 마개(113)의 밑면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에 끼워진 상태에서 마개(113)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측면과 밑면에 서로 연통된 코크측 배수홀(119)이 가공된 코크(117), 상기 샤프트 고정판(105)과 마개(113) 사이에 설치된 샤프트(111)에 끼워져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마개(113)를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121), 상기 하부 받침 수단측 후면판(103)을 마주보는 상부 받침 수단(95)의 후면에 고정 설치된 V형 레버 고정 브라켓(123), 'V'자 형상으로서 상기 코크(117)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V형 레버 고정 브라켓(123)에 축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축회전되는 V형 레버(125), 및 상기 V형 레버(125)를 마주보는 하부 받침 수단측 후면판(103)에 장착되어 외부 도어(89)가 닫혔을 때 상기 V형 레버(125)와 마주 접하는 V형 레버 접촉판(127)을 포함하여, 취반실 도어(5)를 개방하면, V형 레버(125)가 V형 레버 접촉판(127)으로부터 분리되고, 마개(113)는 스프링(121)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되어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를 폐쇄한다.
반대로 취반실 도어(5)를 폐쇄하면, V형 레버(125)가 V형 레버 접촉판(127)에 밀려 코크(117) 방향으로 축회전되고 마개(113)는 V형 레버(125)에 의해 상승되며 스프링(121)은 수축된다. 또한, 상부 받침 수단(95)에 저장된 물은 코크측 배수홀(119)과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를 통해 하부 받침 수단(99)으로 떨어진다.
상기 하부 받침 수단(99)에는 도면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받침 수단(99)에 채워진 물을 하부 받침 수단(99)의 바깥으로 내보내는 하부 받침 수단측 배수 수단(129)이 설치되고, 상기 오수 배출관(59)에는 오수 배출관(59)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131)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 받침 수단측 배수 수단(129)은 하부 받침 수단(99)과 상기 분기관(131)에 연결되어 하부 받침 수단(99)에 채워진 물을 분기관(131)으로 전달하는 하부 받침 수단측 배수관(133)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무압력 취반기는 증기를 이용하여 밥을 지을 수 있고, 증기를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13)의 내부와, 증기 이동 통로를 자동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취반실 도어(5)를 개방 시 취반실 도어(5)에 맺힌 물기를 취반실 도어(5)에 설치된 상부 받침 수단(95)에 일시적으로 모아두었다가 취반실 도어(5)의 폐쇄 시 취반실(3)에 고정 설치된 하부 받침 수단(99)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취반실 도어(5)가 개방되더라도 취반실 도어(5)에 맺힌 물기가 조리실 바닥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오수 탱크(57)에 채워진 오수의 온도가 설정된 한도를 초과하였을 때 오수 탱크(57)안에 찬물을 공급함으로써 고온의 오수를 중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고온의 오수 배출로 인한 환경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1. 취반기용 밥팬 밧드 3. 취반실
5. 취반실 도어 7. 격벽
9. 기계실 11. 증기 토출구
13. 스팀발생장치 15. 증기 발생 수단
17. 증기 전달 수단 19. 취반실측 배수 수단
21. T자형 체결 조인트 23. 제1 물 공급 수단
25. 세제 공급 수단 27. 유체 전달 수단
29. 제어 수단 31. 제1 물 공급 수단측 밸브
33. 제1 물 전달 수단 35. 세제 보관 수단
37. 제1 세제 전달 수단 39. 세제 펌프
41. 제2 세제 전달 수단 43. 체크 밸브
45. 세제물 순환 수단 47. 순환용 세제물 전달 수단
49. 세제물 순환 펌프 51. 순환용 세제물 공급 수단
53. 스팀발생장치측 배수 수단 55. 스팀발생장치측 오수 배출 수단
57. 오수 탱크 59. 오수 배출관
61. 배기관 63. 취반실측 배수구
65. 취반실측 배수관 67. 오수 탱크측 온도 센싱 수단
69. 제2 물 공급 수단 71. 제2 물 공급 수단측 밸브
73. 제2 물 전달 수단 75. 가열 수단
77. 스팀발생장치측 온도 센싱 수단 79. 제1 증기 안내 수단
81. 제2 증기 안내 수단 83. 제3 증기 안내 수단
85. 제4 증기 안내 수단 87. 제5 증기 안내 수단
89. 외부 도어 91. 내부 도어
93. 도어측 물받이 수단 95. 상부 받침 수단
97.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 99. 하부 받침 수단
101. 배수구 개폐 수단 103. 하부 받침 수단측 후면판
105. 샤프트 고정판 107. 샤프트 통과홀
109. 샤프트 고정 브라켓 111. 샤프트
113. 마개 115. 고무링
117. 코크 119. 코크측 배수홀
121. 스프링 123. V형 레버 고정 브라켓
125. V형 레버 127. V형 레버 접촉판
129. 하부 받침 수단측 배수 수단 131. 분기관
133. 하부 받침 수단측 배수관

Claims (6)

  1. 밥을 짓기 위해 쌀과 물이 안쳐지는 취반기용 밥팬 밧드(1)가 내부 수납된 취반실(3)과;
    상기 취반실(3)의 개방된 전면을 열고 닫는 취반실 도어(5);
    상기 취반실(3)과 격벽(7)을 사이에 두고 이웃 설치된 기계실(9);
    상기 격벽(7)에 가공된 증기 토출구(11);
    상기 기계실(9) 내부에 설치되고 물이 채워지는 스팀발생장치(13)를 구비하며 스팀발생장치(13) 안에 채워진 물을 끓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 수단(15);
    상기 기계실(9)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증기 발생 수단(15)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증기 토출구(11)로 안내하는 증기 전달 수단(17);
    및 취반 중 또는 취반 후 취반실(3) 바닥에 고인 물과, 밥물을 취반실(3) 바깥으로 내보내는 취반실측 배수 수단(19)을 포함하고,
    상기 취반실 도어(5)는 이중 도어로서 취반실(3) 전면에 힌지(Hinge) 결합된 외부 도어(89)와,
    취반실(3)을 마주보는 상기 외부 도어(89)의 후면에 힌지 결합된 내부 도어(91)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어(89)의 후면 하부와, 취반실(3)의 전면 하부에는 상기 내부 도어(91)의 표면에 맺혀있다가 내부 도어(91)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받아내기 위한 도어측 물받이 수단(93)이 설치되며,
    상기 도어측 물받이 수단(93)은 내부 도어(91)의 하부에 배치되고 외부 도어(89)의 후면 하부에 고정되어 외부 도어(89)를 따라 이동되며 내부 도어(91)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받아내는 상부 받침 수단(95)과,
    상기 상부 받침 수단(95)에 채워진 물을 상부 받침 수단(95)의 바깥으로 내보내기 위해 상기 상부 받침 수단(95)의 밑면에 가공된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
    상기 취반실(3) 전면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받아내는 하부 받침 수단(99),
    및 상기 외부 도어(89)가 열렸을 때 상기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를 폐쇄하고 외부 도어(89)가 닫혔을 때 상기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를 개방하는 배수구 개폐 수단(101)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받침 수단(99)의 후면에는 하부 받침 수단측 후면판(103)이 장착되고,
    상기 하부 받침 수단측 후면판(103)의 상단은 내부 도어(9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수구 개폐 수단(101)은 상부 받침 수단(95) 안에 설치되되 상부 받침 수단(95)의 밑면과 소정 높이 간격 떨어져 설치되고 중앙에 샤프트 통과홀(107)이 관통된 샤프트 고정판(105)을 구비한 샤프트 고정 브라켓(109)과,
    상기 샤프트 통과홀(107)에 끼워져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샤프트(111),
    상기 샤프트(111)의 하단에 샤프트(111)와 일체로 결합되어 샤프트(111)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마개(113),
    상기 마개(113) 밑면에 고정 설치되고 하강된 마개(113)가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를 막았을 때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를 통해 물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고무링(115),
    상기 마개(113)의 밑면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에 끼워진 상태에서 마개(113)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측면과 밑면에 서로 연통된 코크측 배수홀(119)이 가공된 코크(117),
    상기 샤프트 고정판(105)과 마개(113) 사이에 설치된 샤프트(111)에 끼워져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마개(113)를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121),
    상기 하부 받침 수단측 후면판(103)을 마주보는 상부 받침 수단(95)의 후면에 고정 설치된 V형 레버 고정 브라켓(123),
    'V'자 형상으로서 상기 코크(117)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V형 레버 고정 브라켓(123)에 축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축회전되는 V형 레버(125),
    및 상기 V형 레버(125)를 마주보는 하부 받침 수단측 후면판(103)에 장착되어 외부 도어(89)가 닫혔을 때 상기 V형 레버(125)와 마주 접하는 V형 레버 접촉판(127)을 포함하여,
    취반실 도어(5)를 개방하면, V형 레버(125)가 V형 레버 접촉판(127)으로부터 분리되고, 마개(113)는 스프링(121)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되어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를 폐쇄하며,
    취반실 도어(5)를 폐쇄하면, V형 레버(125)가 V형 레버 접촉판(127)에 밀려 코크(117) 방향으로 축회전되고 마개(113)는 V형 레버(125)에 의해 상승되며 스프링(121)은 수축되고, 상부 받침 수단(95)에 저장된 물은 코크측 배수홀(119)과 상부 받침 수단측 배수구(97)를 통해 하부 받침 수단(99)으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압력 취반기.
  2. 제1 항에 있어서,
    T자 형태의 배관으로서 상기 기계실(9) 내부에 설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제1 입수구와 제2 입수구를 구비하고 유체가 유출되는 출수구가 갖추어진 T자형 체결 조인트(21)와;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제1 입수구로 물을 공급하는 제1 물 공급 수단(23);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제2 입수구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공급 수단(25);
    상기 스팀발생장치(13)와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출수구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취반실(3)과 증기 발생 수단(15) 그리고 증기 전달 수단(17)의 세척시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출수구를 통해 빠져나오는 세제물을 스팀발생장치(13)로 전달하는 유체 전달 수단(27);
    및 상기 취반실(3)과 증기 발생 수단(15) 그리고 증기 전달 수단(17)의 세척시 제1 물 공급 수단(23)과 세제 공급 수단(25)을 제어하여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제1 입수구로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입수구로 세제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29)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물 공급 수단(23)은 기계실(9) 외부에 설치된 상수관로와 연결되고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관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물을 흘려보내거나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1 물 공급 수단측 밸브(31)와,
    상기 제1 물 공급 수단측 밸브(31)의 출수구와 상기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제1 입수구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물 공급 수단측 밸브(31)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제1 입수구로 전달하는 제1 물 전달 수단(33)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 공급 수단(25)은 세제가 보관된 세제 보관 수단(35)과,
    상기 세제 보관 수단(35)과 세제 펌프(39) 사이에 연결된 제1 세제 전달 수단(37),
    상기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세제 전달 수단(37)을 통해 세제 보관 수단(35)에 채워진 세제를 끌어올리는 세제 펌프(39),
    및 상기 세제 펌프(39)로부터 공급된 세제를 상기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제2 입수구로 전달하는 제2 세제 전달 수단(4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세제 전달 수단(41)은 상기 T자형 체결 조인트(21)의 제2 입수구에 설치되어 제2 입수구를 통해 물이나, 세제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체크 밸브(4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팀발생장치(13) 안에 채워진 세제물을 스팀발생장치(13)의 안과 바깥으로 순환시켜 스팀발생장치(13) 내벽과, 스팀발생장치(13) 내부에 설치된 증기 발생 수단(15)을 세척하는 세제물 순환 수단(4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물 순환 수단(45)은 스팀발생장치(13)의 하부에 설치되고 스팀발생장치(13)에 채워진 세제물을 기계실(9) 안에 설치된 세제물 순환 펌프(49)의 입수구로 전달하는 순환용 세제물 전달 수단(47)과,
    기계실(9) 안에 설치되고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순환용 세제물 전달 수단(47)을 통해 전달된 세제물의 수압을 높여 출수구를 통해 순환용 세제물 공급 수단(51)으로 전달하는 세제물 순환 펌프(49),
    및 상기 세제물 순환 펌프(49)의 출수구로부터 토출된 세제물을 다시 스팀발생장치(13)로 전달하는 순환용 세제물 공급 수단(51)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팀발생장치(13)에 채워진 물이나, 세제물을 스팀발생장치(13)의 바깥으로 내보내는 스팀발생장치측 배수 수단(5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팀발생장치측 배수 수단(53)은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팀발생장치(13) 안에 채워진 물이나 세제물을 오수 탱크(57)로 내보내거나 내보내지 않는 스팀발생장치측 오수 배출 수단(55)과,
    상기 기계실(9)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팀발생장치측 오수 배출 수단(55)을 통해 배출된 물이나 세제물 그리고 상기 취반실측 배수 수단(19)을 통해 배출된 물이나 세제물 또는 밥물이 저장되는 오수 탱크(57),
    및 상기 오수 탱크(57)에 설치되고 오수 탱크(57)에 채워진 물이나, 세제물, 또는 밥물을 기계실(9) 바깥으로 내보내는 오수 배출관(59)을 포함하며,
    상기 오수 탱크(57)에는 취반실(3)에서 오수 탱크(57)로 전달된 고압 증기를 기계실(9) 바깥으로 내보내는 배기관(61)이 설치되고,
    상기 취반실측 배수 수단(19)은 상기 취반실(3) 바닥에 형성되고 취반실(3) 바닥에 고인 물이나 밥물 또는 세제물을 취반실(3) 바깥으로 내보내는 취반실측 배수구(63)와,
    상기 취반실측 배수구(63)로부터 빠져나온 물이나 밥물 또는 세제물을 오수 탱크(57)로 전달하는 취반실측 배수관(65)을 포함하며,
    상기 오수 탱크(57)에 설치되어 오수 탱크(57) 내부에 채워진 오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오수 탱크측 온도 센싱 수단(67)과,
    상기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수 탱크(57)에 상수도 물을 공급하는 제2 물 공급 수단(69)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29)은 오수 탱크측 온도 센싱 수단(67)을 통해 감지된 오수의 온도가 제어 수단(29)에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였을 시 제2 물 공급 수단(69)을 제어하여 오수 탱크(57)에 상수도 물을 공급하며,
    상기 제2 물 공급 수단(69)은 제어 수단(29)의 제어 신호에 따라 관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상수도 물을 흘려보내거나 흘려보내지 않는 제2 물 공급 수단측 밸브(71)와,
    상기 제2 물 공급 수단측 밸브(71)로부터 배출된 물을 상기 오수 탱크(57)로 전달하는 제2 물 전달 수단(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압력 취반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 수단(15)은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스팀발생장치(13) 내 물이나 세제물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75)과,
    상기 스팀발생장치(13)에 설치되고 스팀발생장치(13) 내 물이나 세제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스팀발생장치측 온도 센싱 수단(77),
    및 상기 가열 수단(75)과 상기 스팀발생장치측 온도 센싱 수단(77)을 제어하여 스팀발생장치(13) 내 물이나 세제물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에 맞추는 제어 수단(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압력 취반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토출구(11)는 2개 이상이고,
    상기 증기 전달 수단(17)은 상기 기계실(9) 내부를 마주보는 격벽(7)의 일면에 설치되고 스팀발생장치(13)와 연통되어 스팀발생장치(13)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전달받는 제1 증기 안내 수단(79)와,
    상기 제1 증기 안내 수단(79)의 하부에 '1'자 형태로 세워진 파이프로서 상기 기계실(9) 내부를 마주보는 격벽(7)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단이 제1 증기 안내 수단(79)과 연통되어 제1 증기 안내 수단(79)으로부터 증기를 전달받는 제2 증기 안내 수단(81),
    상기 제2 증기 안내 수단(81)의 하부에 '1'자 형태로 세워진 파이프로서 상기 기계실(9) 내부를 마주보는 격벽(7)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단이 제2 증기 안내 수단(81)과 연통되어 제2 증기 안내 수단(81)으로부터 증기를 전달받고 증기 토출구(11)와 연통된 제3 증기 안내 수단(83),
    상기 제3 증기 안내 수단(83)의 하부에 '1'자 형태로 세워진 파이프로서 상기 기계실(9) 내부를 마주보는 격벽(7)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단이 제3 증기 안내 수단(83)과 연통되어 제3 증기 안내 수단(83)으로부터 증기를 전달받는 제4 증기 안내 수단(85),
    및 상기 제4 증기 안내 수단(85)의 하부에 설치되고 가로폭이 상기 제4 증기 안내 수단(85)의 가로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기계실(9) 내부를 마주보는 격벽(7)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단이 제4 증기 안내 수단(85)과 연통되어 제4 증기 안내 수단(85)으로부터 증기를 전달받고 증기 토출구(11)와 연통된 제5 증기 안내 수단(8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압력 취반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 수단(99)에는 하부 받침 수단(99)에 채워진 물을 하부 받침 수단(99)의 바깥으로 내보내는 하부 받침 수단측 배수 수단(12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압력 취반기.
KR1020240114758A 2024-08-27 2024-08-27 무압력 취반기 KR102722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14758A KR102722855B1 (ko) 2024-08-27 2024-08-27 무압력 취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14758A KR102722855B1 (ko) 2024-08-27 2024-08-27 무압력 취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22855B1 true KR102722855B1 (ko) 2024-10-28

Family

ID=9328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14758A KR102722855B1 (ko) 2024-08-27 2024-08-27 무압력 취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28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301B1 (ko) 2012-12-24 2013-07-01 (주)티에스케이에프 콤비스티머 무압력 취사기
KR101548084B1 (ko) * 2014-09-03 2015-08-27 화신주방산업(주) 오븐
KR102234308B1 (ko) * 2021-01-28 2021-03-31 화신주방산업(주) 다단 취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301B1 (ko) 2012-12-24 2013-07-01 (주)티에스케이에프 콤비스티머 무압력 취사기
KR101548084B1 (ko) * 2014-09-03 2015-08-27 화신주방산업(주) 오븐
KR102234308B1 (ko) * 2021-01-28 2021-03-31 화신주방산업(주) 다단 취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3491A (en) Cleaning system for boiler
US20090107477A1 (en) Steam Oven System with Steam Generator
EP0191757A1 (en) Unit for and method of recovery of waste energy
CN104352155A (zh) 一种电蒸箱的蒸汽发生装置
KR102722855B1 (ko) 무압력 취반기
CN102261731A (zh) 电锅炉
CN201029781Y (zh) 高温水消毒饮水机
CN111780196B (zh) 一种通过蒸汽供热的地暖系统
CN111536566A (zh) 一种配气式集成灶
KR102722857B1 (ko) 트롤리가 장착된 무압력 취반기
KR20170042445A (ko)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
CN210292292U (zh) 一种壁挂炉
CN219846132U (zh) 一种储水盒及应用有该储水盒的蒸烤箱水路系统
CN209039805U (zh) 洗衣机及其预存水装置
CN210446667U (zh) 一种燃气蒸箱的补水系统
CN213909857U (zh) 一种蒸烤箱排水装置及蒸烤箱
CN202083092U (zh) 电锅炉
KR100992701B1 (ko) 가스레인지의 폐열을 이용한 온수 보일러
KR100967360B1 (ko) 전열 온수 보일러
KR20170056916A (ko) 식기세척기를 이용한 온수 공급장치
JP3961641B2 (ja) 温水温度を安定化した温水製造装置
CN112450838B (zh) 消毒结构及洗碗机
CN221005469U (zh) 热水组件及水供给装置
CN217004593U (zh) 一种烹饪器具
CN221997599U (zh) 净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