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720849B1 -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0849B1
KR102720849B1 KR1020230049229A KR20230049229A KR102720849B1 KR 102720849 B1 KR102720849 B1 KR 102720849B1 KR 1020230049229 A KR1020230049229 A KR 1020230049229A KR 20230049229 A KR20230049229 A KR 20230049229A KR 102720849 B1 KR102720849 B1 KR 102720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virtual object
virtual
a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9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84425A (ko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매지니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매지니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매지니어스
Publication of KR20240084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4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08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현실 공간에 대해 복수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에서 검증된 거래이력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해 발행된 NFT를 소유한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소유권을 가진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서비스 계정과 연동하여 저장함으로써 소유권 DB를 갱신하는 단계;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 1 영역 내에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제 1 NFT를 소유한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상기 제 1 영역과 관련된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AUGMENTED REALITY SERVICE WITH NON-FUNGIBLE TOKEN}
본 개시는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행되는 토큰의 일종으로 발행 량이 제한되어 있어서 일반적인 암호화폐 토큰과 달리 대체 불가능성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NFT는 대체 불가능성 및 희소성을 가진다. 이러한 배경에서 NFT는 디지털 아트나 게임 내 재화, 음악 파일 등에 대해 대체 불가능한 소유권을 보장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NFT를 거래하기 위한 마켓 플레이스들이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NFT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부재하여 NFT의 소유 동기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NFT의 소유권은 블록체인의 온-체인 영역에 저장되며, 콘텐츠 파일은 블록체인 밖의 저장소에 저장되기 때문에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지인들에게 콘텐츠의 실 소유권을 일일이 확인하는 것은 번거로운 작업이다.
따라서, NFT 거래가 더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NFT 콘텐츠의 사용 니즈를 충족하면서 용이하게 NFT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2-0011385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NFT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현실 공간에 대해 복수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에서 검증된 거래이력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해 발행된 NFT를 소유한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소유권을 가진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서비스 계정과 연동하여 저장함으로써 소유권 DB를 갱신하는 단계;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 1 영역 내에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제 1 NFT를 소유한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상기 제 1 영역과 관련된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영역은, 현실 공간의 적어도 3개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값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유권 DB는 상기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과 관련된 현실 공간의 적어도 3개의 GPS 좌표값,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이름,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등급을 나타내는 등급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의 객체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가 동일하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가 동일하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려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가 동일한 정보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할 제 1 위치에 대한 제 1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위치에 다른 가상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가상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및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가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가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정보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려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가 동일하지 않다고 결정되고, 그리고 상기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가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정보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소유권 DB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와 관련된 제 2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 1 영역 내에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의 승인을 중개하기 위한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상기 제 1 영역에 오버레이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반영에 따른 제 1 리워드(reward)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제 1 리워드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가상지갑에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가상지갑으로 지급되도록 야기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증강 현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접속 요청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위치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제 2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속한 제 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영역과 관련된 제 2 가상 객체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촬영 이미지에 오버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 2 영역을 임대하기 위한 임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유권 DB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영역과 관련된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 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 2 영역의 임대를 중개하기 위한 임대 중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임대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영역의 소유권을 이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대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영역의 소유권을 이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에서 검증된 거래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영역에 대해 발행된 제 2 NFT를 소유한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갱신 결과, 상기 제 2 영역에 대해 발행된 제 2 NFT를 소유한 가상지갑 소유자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 갱신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계정과 연동하여 저장함으로써 소유권 DB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대 중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 2 영역에 대한 임대 기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임대 기간이 경과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2 영역의 소유권이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이전되도록 야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계정과 연동하여 저장함으로써 소유권 DB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임대 중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영역의 임대 비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임대 비용에 기초하여, 임대 중개에 따른 제 2 리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제 2 리워드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가상지갑에서 상기 서버와 관련된 가상지갑으로 지급되도록 야기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 2 영역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유권 DB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영역과 관련된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 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 2 영역의 구매를 중개하기 위한 구매 중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영역의 소유권을 이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 1 영역 내에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증강 현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에서 검증된 거래이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소유한 것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NFT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NFT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단계; 구성된 상기 라이브러리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야기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 중 상기 일 영역에서의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상기 서버는 현실 공간에 대해 복수의 영역을 설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에서 검증된 거래이력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해 발행된 NFT를 소유한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소유권을 가진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서비스 계정과 연동하여 저장함으로써 소유권 DB를 갱신하는 제어부; 및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 1 영역 내에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제 1 NFT를 소유한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상기 제 1 영역과 관련된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사용자 단말의 촬영 이미지에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소유권을 이전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리워드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역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서버는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NFT는 디지털 파일을 가리키는 주소를 토큰 안에 담음으로서, 고유성, 원본성 또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서버는 현실 공간의 적어도 3개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값을 이용하여 설정된 복수의 영역을 이용하여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일례로, 서버는 현실 공간의 적어도 3개의 GPS 좌표값을 이용하여 NFT를 발행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적어도 3개의 GPS 좌표값을 이용하여 생성된 복수의 영역을 이용하여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서버는 발행된 NFT를 판매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대여할 수 있다. 복수의 영역 각각과 관련된 NFT를 소유한 소유자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권한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역 중 제 1 영역 관련된 제 1 NFT를 소유한 제 1 사용자는 제 1 영역에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overlay)하거나 또는 오버레이된 가상 객체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오버레이 한다는 의미는 증강 현실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현실 공간에 가상 객체를 겹쳐서 디스플레이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에 오버레이되는 가상 객체는 증강 현실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 2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2 사용자는 증강 현실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 1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제 1 영역을 체험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는 현실 공간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지역에 방문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제 1 영역에 오버레이된 가상 객체들을 체험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사용자는 제 1 영역의 구매 또는 임대에 대한 니즈(needs)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NFT의 거래를 통해 제 1 영역에 대한 소유권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서버가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제어부(110), 저장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서버(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서버(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서버(1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메인프레임 컴퓨터, 디지털 프로세서, 휴대용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 제어기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전형적인 컴퓨터 하드웨어(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network-attached storage)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 storage area network)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상적으로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서버(100)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1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데이터 분석을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110)는 현실 공간에 대해 복수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400)을 통해 복수의 영역 각각에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10)는 현실 공간의 적어도 3개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3개의 GPS 좌표값 또는 복수의 영역이 설정된 영역 정보를 나타내는 원본 디지털 파일을 가리키지는 주소가 포함되도록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400) 또는 블록체인 메인넷(400)의 거래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마켓 플레이스(500)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하여, NFT의 소유권을 다른 사용자에게 이전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10)는 NFT의 소유권을 판매하거나 또는 NFT를 소정의 기간 동안 대여할 수 있는 대여권을 판매할 수 있다. 서버(100)로부터 NFT의 소유권을 이전 받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은 NFT와 관련된 영역에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은 서버(100)를 통해 제공되는 증강 현실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NFT와 관련된 영역에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110)가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는 도 2를 통해 설명한다.
저장부(120)는 메모리 및/또는 영구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서버(100)와 통신 시스템 사이, 서버(100)와 제 1 사용자 단말(200) 사이, 서버(100)와 제 2 사용자 단말(300) 사이, 서버(100)와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400) 사이, 서버(100)와 적어도 하나의 마켓 플레이스(500) 사이, 또는 서버(100)와 네트워크(60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 book),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프로세서, 디바이스 제어기 및 사용자 단말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메인넷(400)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출시하여 운영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블록체인 메인넷(400)은 불특정 다수의 노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트랜잭션(transaction)을 기록하고 블록체인 프로토콜에 의해 검증할 수 있다. 블록체인 메인넷(400)은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해 토큰을 발행하고 토큰의 소유권에 대한 트랜잭션을 기록 및 검증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400)을 표시하였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블록체인 메인넷(400)과 통신할 수 있다. 각각의 블록체인 메인넷(400)은 NFT를 지원하는 블록체인 프로토콜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NFT를 지원하는 블록체인 프로토콜은 이더리움, WAX, FLOW,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inance Smart Chain) 등이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NFT는 상술한 이더리움, WAX, FLOW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등의 프로토콜에 따라 발행될 수 있다. NFT의 발행량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FT의 발행량은 1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NFT의 발행량은 1보다 큰 수일 수 있다. NFT의 발행량은 대체 가능한 토큰의 발행량에 비해 현저히 작을 수 있다.
마켓 플레이스(500)는 NFT 거래를 중계하는 플랫폼일 수 있다. 마켓 플레이스(500)는 NFT 거래 중계 기능을 제공하고, 블록체인에 의해 검증이 완료된 NFT 거래 트랜잭션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0)는 복수의 마켓 플레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마켓 플레이스(500)의 예로 오픈시(OpenSea), 라리블(Rarible), 니프티 게이트웨이(Nifty Gateway), 슈퍼레어(SuperRare) 등이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600)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서버(100)가 위치 기반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현실 공간에 대해 복수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S110).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현실 공간의 적어도 3개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적어도 3개의 GPS 좌표값을 꼭지점으로 하는 가상의 다각형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가상의 다각형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복수의 영역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해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400)을 통해 현실 공간의 적어도 3개의 GPS 좌표값을 이용하여 NFT를 발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적어도 3개의 GPS 좌표값을 이용하여 생성된 복수의 영역을 설정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발행된 NFT를 적어도 하나의 마켓 플레이스(500)에 등록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마켓 플레이스(500)를 통해 거래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400)에서 검증된 거래이력에 의하여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해 발행된 NFT를 소유한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120).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메인넷(400)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출시하여 운영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블록체인 메인넷(400)은 불특정 다수의 노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트랜잭션을 기록하고 블록체인 프로토콜에 의해 검증할 수 있다. 블록체인 메인넷(400)은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해 NFT를 발행하고 NFT의 소유권에 대한 트랜잭션을 기록 및 검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블록체인 메인넷(400)에서 검증된 트랜잭션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해 발행된 NFT를 소유한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복수의 영역 각각의 소유권을 가진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서비스 계정과 연동하여 저장함으로써 소유권 DB(DataBase)를 갱신할 수 있다(S130). 서비스 계정은 사용자 단말들과 관련된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계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소유권 DB의 갱신은 사전 설정된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해 발행된 NFT는 사용자 단말 간에 거래가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전 설정된 주기로 소유권 DB를 갱신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NFT는 서버(100)에 의해 수행된 NFT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NFT의 소유권 변동 이력을 추적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NFT의 소유권이 변동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블록체인 메인넷(400)을 통해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재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재추출된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서비스 계정과 연동하여 저장함으로써, 소유권 DB를 갱신할 수 있다.
소유권 DB는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복수의 영역 각각과 관련된 현실 공간의 적어도 3개의 GPS 좌표값을 포함할 수 있다.
소유권 DB는 복수의 영역 각각의 이름, 등급 정보 및 객체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등급 정보는 복수의 영역 각각의 등급을 나타낼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10)는 복수의 영역 각각의 면적, 복수의 영역 각각의 형상,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현실 공간의 위치, 복수의 영역 각각과 인접한 지형 또는 복수의 영역 각각과 인접한 다른 영역 등에 기초하여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객체 목록은 복수의 영역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의 목록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영역 각각의 이름, 등급 정보 및 객체 목록은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증강 현실 서비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복수의 영역 중 제 1 영역 내에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40). 제 1 가상 객체는 3D 모델링 객체일 수 있다. 제 1 가상 객체는 제 1 NFT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중 하나일 수 있다.
오버레이의 의미는 증강 현실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현실 공간에 가상 객체가 겹쳐서 디스플레이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제 1 영역에 방문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제 1 가상 객체가 제 1 영역에 오버레이된 경우,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현실 공간에는 제 1 가상 객체가 현실 공간과 겹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1 가상 객체는 제 2 사용자 단말(3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제 1 영역에 방문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제 1 가상 객체가 제 1 영역에 오버레이된 경우, 제 2 사용자 단말(30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현실 공간에는 제 1 가상 객체가 현실 공간과 겹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가상 객체에는 제 1 가상 객체의 소유자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제 2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증강 현실 서비스에는 제 1 영역의 이름, 제 1 영역의 등급 정보 및 제 1 영역의 객체 목록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제 1 영역을 소유하고 있는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로부터 제 1 가상 객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라이브러리를 구성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는 적어도 하나의 NFT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 가상 객체 미리보기 파일,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와 관련된 설명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의 이름 등과 같은 정보들이 모듈화되어 사용자에게 적절한 기능/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디스플레이되는 라이브러리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소유한 것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NFT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증강 현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신된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접속 요청을 승인하기로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400)에서 검증된 거래이력에 의하여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소유한 것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NFT를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NFT가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NFT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NFT와 관련된 정보는 NFT 토큰 ID 또는 메타데이터 저장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NFT와 관련된 가상 객체 파일, 데이터 또는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주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NFT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NFT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의 이름,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의 종류를 나타내는 가상 객체 설명 및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 파일의 저장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객체 파일의 저장 위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 파일은 예를 들어 3D 모델링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타데이터 및 가상 객체 파일 등은 오프-체인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 및 가상 객체 파일 등은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클라우드 저장소 등에 저장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메타데이터는 가상 객체, 또는 가상 객체 미리보기 파일 등을 직접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NFT의 메타데이터 저장 위치에 엑세스 하여 적어도 하나의 NFT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NFT의 메타데이터 또는 적어도 하나의 NFT의 메타데이터에 저장된 URL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NFT에 대응하는 가상 객체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 파일이 획득된 경우,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 파일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 미리 보기 파일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 미리 보기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 파일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 미리 보기를 생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가 생성된 경우,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NFT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를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구성된 라이브러리가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브러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 미리 보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러리에 대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통해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항목들 중 특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 중 일 영역에서의 제 1 가상 객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제 1 NFT를 소유한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제 1 영역과 관련된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50).
일례로, 제어부(110)는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는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제 1 NFT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는 제 1 영역과 관련된 NFT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비교 결과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가 동일하다고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1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제 1 NFT 및 제 1 영역과 관련된 NFT의 소유권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고 결정된 경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NFT 및 제 1 영역과 관련된 NFT는 동일한 제 1 NFT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복수의 영역에 대해 NFT를 발행하는 경우, 복수의 영역 및 복수의 영역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포함하여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NFT 및 제 1 영역과 관련된 NFT는 동일한 제 1 NFT일 수도 있다. 이하, 제어부(110)가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는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다른 일례로, 제어부(110)는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및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는 제 1 사용자 단말(200) 또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보유하고 있는 가상지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는 제 1 영역과 관련된 NFT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가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라고 결정된 경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110)가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는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한편,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하기로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 1 영역 내에서 제 1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할 제 1 위치에 대한 제 1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신된 제 1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위치에 다른 가상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가상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강 현실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단말에는 제 1 가상 객체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증강 현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접속 요청에 포함된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 중 제 2 사용자 단말(300)이 위치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300)이 위치한 영역이 제 1 영역이라고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제 1 영역 내에 제 1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제 1 영역 내에 오버레이되는 제 1 가상 객체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제 1 영역을 방문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영역에 대한 소유권이 확인된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제 1 영역에 방문하지 않더라도 제 1 영역 내에서 제 1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할 제 1 위치에 대한 제 1 위치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어 하에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증강 현실 서비스에 접속하는 경우, 제 1 사용자 단말(200)에는 제 1 영역을 편집 또는 수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디스플레이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영역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제 1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하기 위한 요청을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서버(100)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함으로써,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영역을 방문한 다른 사용자들은 별도의 검증 절차 없이 복수의 영역에 오버레이된 가상 객체가 NFT로 발행된 가상 객체라는 것을 신뢰할 수 있다. 또한, 가상 객체는 가상 객체와 관련된 영역에 대한 소유권을 가진 사용자만 오버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영역을 방문한 다른 사용자들은 가상 객체가 오버레이된 영역의 소유권 또한 가상 객체의 소유자와 같은 소유자에게 존재한다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방문한 사용자는 영역에 오버레이된 가상 객체를 확인한 후, 가상 객체를 소유하고 싶은 욕구가 생긴다면 가상 객체를 구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NFT를 거래하기 위한 거래 시장이 활발해질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방문한 영역을 소유하고 싶은 욕구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복수의 영역 각각을 거래하기 위한 중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통해 본 개시에 따른 서버(100)가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S151).
구체적으로,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는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제 1 NFT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는 제 1 영역과 관련된 NFT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가상지갑의 소유자와 제 2 가상지갑의 소유자가 동일한지 또는 상이한지 여부를 비교할 수 있다.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400)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가 동일하다고 결정된 경우(S152, Yes),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할 수 있다(S153).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가상지갑의 소유자와 제 2 가상 지갑의 소유자가 동일한 소유자라고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제 1 NFT의 소유자와 제 1 영역과 관련된 NFT의 소유자가 동일한 소유자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NFT 및 제 1 영역과 관련된 NFT가 서로 동일한 제 1 NFT라고 결정된 경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복수의 영역에 대해 NFT를 발행하는 경우, 복수의 영역 및 복수의 영역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포함하여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NFT 및 제 1 영역과 관련된 NFT는 동일한 제 1 NFT일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NFT 및 제 1 영역과 관련된 NFT가 서로 동일한 제 1 NFT라고 결정된 경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할 수 있다.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하기로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 1 영역 내에서 제 1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할 제 1 위치에 대한 제 1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증강 현실 서비스에 접속하는 경우, 제 1 사용자 단말(200)에는 제 1 영역을 편집 또는 수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디스플레이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영역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제 1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하기 위한 요청을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제 1 영역을 직접 방문하여 제 1 영역 내에서 제 1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할 제 1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디스플레이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하기 위한 요청을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신된 제 1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위치에 다른 가상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가상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할 수 있다. 또는, 다른 가상 객체가 존재한다고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제 1 위치에 다른 가상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다른 가상 객체와 제 1 가상 객체가 오버레이되도록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다른 가상 객체의 표면에 제 1 가상 객체가 오버레이되도록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할 수도 있다.
한편,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가 동일하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S152, No),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려할 수 있다(S154).
다시 말해,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제 1 NFT의 소유자와 제 1 영역과 관련된 NFT의 소유자가 동일하지 않은 소유자라고 결정된 경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려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가상 객체와 관련된 NFT를 소유한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NFT로 발행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관련된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방문한 다른 사용자들은 별도의 검증 절차 없이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소유권과 가상 객체에 대한 소유권이 동일한 사용자에게 존재한다고 신뢰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 개시에 따른 서버(100)가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S210).
구체적으로,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는 제 1 사용자 단말(200) 또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보유하고 있는 가상지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는 제 1 영역과 관련된 NFT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의 사용자와 제 2 가상지갑의 소유자가 동일한지 또는 상이한지 여부를 비교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가 소유한 가상지갑과 서로 연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사용자들은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와 사용자가 소유한 가상지갑을 연동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단계 S152를 통해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가 동일하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비교할 수도 있다.
비교 결과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가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라고 결정된 경우(S220, Yes),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의 사용자와 제 2 가상 지갑의 소유자가 동일한 사용자라고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제 1 NFT의 소유자와 제 1 영역과 관련된 NFT의 소유자가 동일한 소유자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할 수 있다.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가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정보라고 결정된 경우(S220, No),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려할 수 있다(S240).
다시 말해,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제 1 NFT의 소유자와 제 1 영역과 관련된 NFT의 소유자가 동일하지 않은 소유자라고 결정된 경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려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및 NFT로 발행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관련된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방문한 다른 사용자들은 별도의 검증 절차 없이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소유권과 가상 객체에 대한 소유권이 동일한 사용자에게 존재한다고 신뢰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려한 경우, 서버(100)는 제 1 영역과 관련된 제 2 사용자 단말(300)을 결정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제 1 영역에 대해 발행된 NFT를 보유한 단말일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300)이 결정된 경우, 서버(100)는 제 1 영역에 제 1 가상 객체를 설치하기 위한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통해 본 개시에 따른 서버(100)가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S310).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가상지갑의 소유자와 제 2 가상지갑의 소유자가 동일한지 또는 상이한지 여부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가 동일하다고 결정된 경우(S320, Yes),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할 수 있다(S330).
비교 결과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가 동일하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S320, No), 제어부(110)는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S340).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및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의 사용자와 제 2 가상지갑의 소유자가 동일한지 또는 상이한지 여부를 비교할 수 있다.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가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라고 결정된 경우(S350, Yes),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할 수 있다(S350).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가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정보라고 결정된 경우(S350, No), 제어부(110)는 소유권 DB에 기초하여,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와 관련된 제 2 사용자 단말(300)을 결정할 수 있다(S360).
구체적으로, 소유권 DB는 복수의 영역 각각의 소유권을 가진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가 서비스 계정과 연동되어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가 서비스 계정과 연동된 소유권 DB에 기초하여,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와 관련된 제 2 사용자 단말(300)을 결정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결정된 제 2 사용자 단말(300) 및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제 1 영역 내에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의 승인을 중개하기 위한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70).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는 다른 사용자 단말에 소유권이 존재한다고 결정된 영역에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의 승인을 중개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는 제 2 사용자 단말(300)에 소유권이 존재한다고 결정된 제 1 영역 내에,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소유권이 존재한다고 결정된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의 승인을 중개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는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하는 기간,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하는 비용,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하는 위치, 제 1 사용자 단말(200)과 관련된 사용자 정보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300)과 관련된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하는 비용은 가상 객체 오버레이의 승인에 대한 리워드(reward)로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제 2 사용자 단말(300)에 지급하는 비용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130)를 통해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380).
일례로, 제어부(11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영역에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를 승인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어부(11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영역에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를 승인하는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려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제 1 가상 객체를 제 1 영역에 오버레이하기로 결정한 경우,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반영에 따른 제 1 리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리워드는 제 1 영역 내에 제 1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함에 따라,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제 2 사용자 단말(300)에 지급하는 비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는 리워드는 제 1 영역 내에 제 1 가상 객체가 오버레이됨에 따라, 제 2 사용자 단말(300)이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지급받는 보상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리워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술에서 이용되는 가상 화폐 또는 토큰(token) 등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리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리워드가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제 1 리워드가 제 1 사용자 단말(200)과 관련된 가상지갑에서 제 2 사용자 단말(300)과 관련된 가상지갑으로 지급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제 1 리워드에 상응하는 가상 화폐가 제 1 사용자 단말(200)과 관련된 가상지갑에서 제 2 사용자 단말(300)과 관련된 가상지갑으로 지급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400)을 통해 제 1 리워드가 제 1 사용자 단말(200)과 관련된 가상지갑에서 제 2 사용자 단말(300)과 관련된 가상지갑으로 지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리워드가 지급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할 수 있다.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한 이후, 제어부(110)는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하는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하는 기간이 경과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제 1 영역 내에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를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를 연장할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연장 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서버(100)는 제 1 영역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지 않은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제 1 가상 각체가 제 1 영역에 오버레이되도록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하지 못한 제 1 영역에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제 1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하고 싶은 니즈가 존재하는 경우, 비용을 지불하여 제 1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오버레이가 반영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는 사용자 단말들에서 확인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통해 본 개시에 따른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의 촬영 이미지에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사용자 단말의 촬영 이미지에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증강 현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410).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접속 요청은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2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 중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속한 제 2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S420). 여기서, 제 2 영역은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소유한 영역일 수도 있고,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소유하지 않은 영역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현실 공간의 적어도 3개의 GPS 좌표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3개의 GPS 좌표값을 꼭지점으로 하는 가상의 다각형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2 위치 정보에 포함된 현실 공간의 GPS 좌표값이 속하는 제 2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제 2 영역이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제 2 영역과 관련된 제 2 가상 객체를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 이미지에 오버레이할 수 있다(S430). 여기서, 제 2 가상 객체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소유한 가상 객체일 수도 있고,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소유하지 않은 가상 객체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증강 현실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제 1 사용자 단말(200)에는 현실 공간을 촬영한 촬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촬영 이미지에 제 2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서버(100)는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접속 요청을 수신한 경우, 어느 하나의 영역과 관련된 가상 각체를 사용자 단말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방문한 영역에 오버레이된 가상 객체를 소유하고 싶은 동기가 증대 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소유 동기가 존재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소유권을 임대하거나 또는 구매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통해 본 개시에 따른 서버(100)가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소유권을 이전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소유권을 이전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복수의 영역 중 제 2 영역을 임대하기 위한 임대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510). 여기서, 제 2 영역은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소유권을 가지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2 영역은 다른 사용자 단말이 소유권을 가진 영역일 수 있다. 제 2 영역을 임대한다는 의미는 제 2 영역과 관련된 NFT의 소유권을 제 2 영역과 관련된 사용자 단말의 가상 지갑에서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가상 지갑으로 소정의 기간 동안 이전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임대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10)는 소유권 DB에 기초하여, 제 2 영역과 관련된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S520).
제어부(110)는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 2 사용자 단말(300) 및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제 2 영역의 임대를 중개하기 위한 임대 중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530). 임대 중개 정보는 제 2 영역을 임대하는 기간, 제 2 영역을 임대하는 비용, 제 1 사용자 단말(200)과 관련된 사용자 정보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300)과 관련된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영역을 임대하는 비용은 제 2 영역 임대 요청의 승인에 대한 리워드로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제 2 사용자 단말(300)에 지급하는 비용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서비스 계정이 연동된 소유권 DB에 기초하여,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와 관련된 제 2 사용자 단말(300)을 결정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300)이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임대 중개 정보를 생성하여 제 2 사용자 단말(300) 및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임대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제 2 영역의 소유권을 이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540).
일례로, 제어부(11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임대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제 2 영역의 소유권 이전을 승인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 2 영역의 소유권을 제 2 사용자 단말(300)에서 제 1 사용자 단말(200)로 이전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어부(11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임대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제 2 영역의 소유권 이전을 승인하지 않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 2 영역의 소유권을 이전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400)에서 검증된 거래 이력에 기초하여, 제 2 영역의 소유권을 이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400)에서 검증된 거래이력에 기초하여, 제 2 영역에 대해 발행된 제 2 NFT를 소유한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갱신 결과, 제 2 영역에 대해 발행된 제 2 NFT를 소유한 가상지갑 소유자가 제 1 사용자 단말(200)로 갱신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서비스 계정과 연동하여 저장함으로써 소유권 DB를 갱신할 수 있다.
제 2 영역의 소유권이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가상지갑으로 이전된 경우,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제 2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제 2 영역에 대한 임대 기간에 기초하여, 제 2 영역의 소유권을 재이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임대 중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제 2 영역에 대한 임대 기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임대 기간이 경과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제 2 영역의 소유권이 제 1 사용자 단말(200)에서 제 2 사용자 단말(300)로 이전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10)는 임대 기간이 만료되었다는 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400)에서 검증된 거래이력에 기초하여, 제 2 영역에 대해 발행된 제 2 NFT를 소유한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갱신 결과, 제 2 영역에 대해 발행된 제 2 NFT를 소유한 가상지갑 소유자가 제 1 사용자 단말(200)에서 제 2 사용자 단말(300)로 갱신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서비스 계정과 연동하여 저장함으로써 소유권 DB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복수의 영역 중 제 2 영역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영역을 구매한다는 의미는 제 2 영역과 관련된 NFT의 소유권을 제 2 영역과 관련된 사용자 단말의 가상 지갑에서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가상 지갑으로 이전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구매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10)는 소유권 DB에 기초하여, 제 2 영역과 관련된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 2 사용자 단말(300) 및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제 2 영역의 구매를 중개하기 위한 구매 중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매 중개 정보는 제 2 영역을 구매하는 비용, 제 1 사용자 단말(200)과 관련된 사용자 정보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300)과 관련된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영역을 구매하는 비용은 제 2 영역 구매 요청의 승인에 대한 리워드로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제 2 사용자 단말(300)에 지급하는 비용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구매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제 2 영역의 소유권을 이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1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구매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제 2 영역의 소유권 이전을 승인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 2 영역의 소유권을 제 2 사용자 단말(300)에서 제 1 사용자 단말(200)로 이전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어부(11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구매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제 2 영역의 소유권 이전을 승인하지 않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 2 영역의 소유권을 이전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400)에서 검증된 거래 이력에 기초하여, 제 2 영역의 소유권을 이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400)에서 검증된 거래이력에 기초하여, 제 2 영역에 대해 발행된 제 2 NFT를 소유한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갱신 결과, 제 2 영역에 대해 발행된 제 2 NFT를 소유한 가상지갑 소유자가 제 1 사용자 단말(200)로 갱신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서비스 계정과 연동하여 저장함으로써 소유권 DB를 갱신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서버(100)는 복수의 영역에 대한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복수의 영역의 임대를 위한 임대 중개를 수행하거나 또는 복수의 영역의 구매/판매를 위한 구매 중개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하지 못한 영역을 소유하고 싶은 니즈가 존재하는 경우, 비용을 지불하여 복수의 영역을 임대하거나 또는 구매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소유권이 이전된 경우, 서버(100)는 임대, 구매 또는 판매를 중개한 중개 수수료를 리워드로서 획득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통해 본 개시에 따른 서버가 리워드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리워드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임대 중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영역의 임대 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S541). 임대 중개 정보는 제 2 영역을 임대하는 기간, 제 2 영역을 임대하는 비용, 제 1 사용자 단말(200)과 관련된 사용자 정보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300)과 관련된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임대 중개 정보에 기초하여 임대 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임대 비용에 기초하여, 임대 중개에 따른 제 2 리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S542).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결정된 임대 비용에서 소정의 비율을 제 2 리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임대 비용의 10%를 제 2 리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임대 비용의 1%를 제 2 리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소정의 비율이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10)는 결정된 제 2 리워드가 제 1 사용자 단말(200)과 관련된 가상지갑에서 서버(100)와 관련된 가상지갑으로 지급되도록 야기할 수 있다(S543).
일례로, 제어부(110)는 제 2 리워드 또는 제 2 리워드에 대응하는 가상 화폐를 지급받기 위한 지급 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 2 리워드 또는 제 2 리워드에 대응하는 가상 화폐가 지급된 경우, 제어부(110)는 제 2 영역의 소유권을 제 2 사용자 단말(300)에서 제 1 사용자 단말(200)로 이전할 수 있다. 제 2 리워드가 서버(100)와 관련된 가상지갑으로 지급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 2 영역의 소유권을 이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을 통해서는 임대 중개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100)가 리워드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서버(100)는 구매 중개 정보에 기초하여 리워드를 획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구매 중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영역의 구매 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구매 비용에 기초하여, 구매 중개에 따른 제 2 리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결정된 제 2 리워드가 제 1 사용자 단말(200)과 관련된 가상지갑에서 서버(100)와 관련된 가상지갑으로 지급되도록 야기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현실 공간의 적어도 3개의 GPS 좌표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통해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영역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역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현실 공간의 적어도 3개의 GPS 좌표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3개의 GPS 좌표값을 꼭지점으로 하는 가상의 다각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3개의 GPS 좌표값을 꼭지점으로 하는 제 1 영역(710)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6개의 GPS 좌표값을 꼭지점으로 하는 제 2 영역(720)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12개의 GPS 좌표값을 꼭지점으로 하는 제 3 영역(730)을 설정할 수 있다. 복수의 영역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400)을 통해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NFT를 발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상술한 바에 따르면, 서버(100)는 현실 공간에 대해 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대한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서버(100)는 발행된 NFT의 임대, 구매 또는 판매 등을 중개함으로써, 현실 공간에 대해 설정된 복수의 영역을 소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나아가, 서버(100)는 복수의 영역을 소유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영역을 방문한 다른 사용자들은 별도의 검증 절차 없이 복수의 영역에 오버레이된 가상 객체가 NFT로 발행된 가상 객체라는 것을 신뢰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영역을 방문한 다른 사용자는 오버레이된 가상 객체 또는 복수의 영역에 대한 소유 욕구가 발생되는 경우, 가상 객체 또는 복수의 영역을 거래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3개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값을 이용하여 현실 공간에 대해 복수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에서 검증된 거래이력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해 발행된 NFT를 소유한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소유권을 가진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서비스 계정과 연동하여 저장함으로써 소유권 DB를 갱신하는 단계;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 1 영역 내에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제 1 NFT를 소유한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상기 제 1 영역과 관련된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소유권 DB는 상기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과 관련된 현실 공간의 적어도 3개의 GPS 좌표값,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이름,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등급을 나타내는 등급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의 객체 목록을 포함하고,
    상기 등급 정보는 복수의 영역 각각의 면적, 복수의 영역 각각의 형상,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현실 공간의 위치, 복수의 영역 각각과 인접한 지형 및 복수의 영역 각각과 인접한 다른 영역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가 동일하지 않다고 결정되고, 그리고 상기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가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정보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소유권 DB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와 관련된 제 2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 1 영역 내에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의 승인을 중개하기 위한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가 동일하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가 동일하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가 동일한 정보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오버레이할 제 1 위치에 대한 제 1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위치에 다른 가상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가상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및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가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가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정보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반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상기 제 1 영역에 오버레이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반영에 따른 제 1 리워드(reward)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제 1 리워드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가상지갑에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가상지갑으로 지급되도록 야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한 이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증강 현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접속 요청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위치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제 2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속한 제 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영역과 관련된 제 2 가상 객체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촬영 이미지에 오버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한 이후,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 2 영역을 임대하기 위한 임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유권 DB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영역과 관련된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 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 2 영역의 임대를 중개하기 위한 임대 중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임대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영역의 소유권을 이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영역의 소유권을 이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에서 검증된 거래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영역에 대해 발행된 제 2 NFT를 소유한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갱신 결과, 상기 제 2 영역에 대해 발행된 제 2 NFT를 소유한 가상지갑 소유자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 갱신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계정과 연동하여 저장함으로써 소유권 DB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 중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 2 영역에 대한 임대 기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임대 기간이 경과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2 영역의 소유권이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이전되도록 야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계정과 연동하여 저장함으로써 소유권 DB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임대 중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영역의 임대 비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임대 비용에 기초하여, 임대 중개에 따른 제 2 리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제 2 리워드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가상지갑에서 상기 서버와 관련된 가상지갑으로 지급되도록 야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한 이후,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 2 영역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유권 DB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영역과 관련된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3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 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 2 영역의 구매를 중개하기 위한 구매 중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영역의 소유권을 이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 1 영역 내에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증강 현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에서 검증된 거래이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소유한 것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NFT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NFT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단계;
    구성된 상기 라이브러리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야기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 중 상기 일 영역에서의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적어도 3개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값을 이용하여 현실 공간에 대해 복수의 영역을 설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에서 검증된 거래이력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해 발행된 NFT를 소유한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소유권을 가진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를 서비스 계정과 연동하여 저장함으로써 소유권 DB를 갱신하는 제어부; 및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 1 영역 내에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제 1 NFT를 소유한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상기 제 1 영역과 관련된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소유권 DB는 상기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과 관련된 현실 공간의 적어도 3개의 GPS 좌표값,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이름,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등급을 나타내는 등급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의 객체 목록을 포함하고,
    상기 등급 정보는 복수의 영역 각각의 면적, 복수의 영역 각각의 형상,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현실 공간의 위치, 복수의 영역 각각과 인접한 지형 및 복수의 영역 각각과 인접한 다른 영역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 1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 및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가 동일하지 않다고 결정되고, 그리고 상기 서비스 계정 로그인 정보가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정보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소유권 DB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가상지갑 소유자 정보와 관련된 제 2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 1 영역 내에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의 승인을 중개하기 위한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가상 객체 오버레이 중개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오버레이 요청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서버.
KR1020230049229A 2022-12-05 2023-04-14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Active KR102720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136 2022-12-05
KR20220168136 2022-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4425A KR20240084425A (ko) 2024-06-13
KR102720849B1 true KR102720849B1 (ko) 2024-10-23

Family

ID=9148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229A Active KR102720849B1 (ko) 2022-12-05 2023-04-14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08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503B1 (ko) 2019-06-17 2020-03-23 노용호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2423989B1 (ko) 2022-05-02 2022-07-22 주식회사 패션에이드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의상 재조합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721B1 (ko) * 2018-05-04 2020-03-30 (주)픽뱅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공간 플랫폼
KR102415338B1 (ko) 2020-07-21 2022-06-29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503B1 (ko) 2019-06-17 2020-03-23 노용호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2423989B1 (ko) 2022-05-02 2022-07-22 주식회사 패션에이드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의상 재조합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문서, 리베이스소개 위치 기반 NFT(2022.11.3.)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4425A (ko) 202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522807B2 (ja) 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現され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710401B1 (ja) 対象物を管理する方法及び管理サーバ
KR10211073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960877B1 (ko) 3d 프린팅에서의 연합 프린터 액세스 기법
CN118901076A (zh) 非同质化代币(nft)购买和转移系统
KR20190127512A (ko)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공간 플랫폼
US20230267450A1 (en) Fractional non-fungible token trading marketplace
US20160253677A1 (en) Fractional ownership using digital assets
US20230298005A1 (en) Multi-layer cryptocurrency conversions using available blockchain outputs
US12248936B2 (en) User activity detection for locking cryptocurrency conversions
KR20200062640A (ko) 블록체인 기반 미술작품 거래정보 관리 방법 및 블록체인의 노드 장치
JP2022013271A (ja) 非代替性トークン管理システム
Rafati Niya et al. Deti: A decentralized ticketing management platform
US20230401571A1 (en) Maintaining blockchain state when performing non-blockchain commerce workflow
KR102074937B1 (ko) 미술품의 분할된 소유권을 관리하는 방법
KR102720849B1 (ko)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719856B1 (ko) 디지털 자산용 등기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동산의 디지털 자산화 방법
US12008573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fraudulent activity
KR100926112B1 (ko) 진성 확인된 부동산 거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90119394A (ko) 블록체인원장시스템을 이용한 부동산 안전거래 제공방법
KR20230150029A (ko) Nft 기반의 숙박권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523264B1 (ko) 음원 앨범에 수록된 qr 인식을 통한 음원 콘텐츠의 nft 발행 및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JP764905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0523808B1 (ko) 판매자의 예치금을 이용한 안전한 전자상거래 대금결제방법
US115162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rging accou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8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