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728732B1 - 하폐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하폐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8732B1
KR102728732B1 KR1020240046157A KR20240046157A KR102728732B1 KR 102728732 B1 KR102728732 B1 KR 102728732B1 KR 1020240046157 A KR1020240046157 A KR 1020240046157A KR 20240046157 A KR20240046157 A KR 20240046157A KR 102728732 B1 KR102728732 B1 KR 102728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impurities
contaminant
discharge
debr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6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연
Original Assignee
(유)일토씨엔엠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일토씨엔엠 filed Critical (유)일토씨엔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8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8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 cake, e.g.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된 하폐수를 이송하여 유출구로 배출하는 하폐수 이송수단(200), 상하 개방되어 협잡물을 걸러내는 분리 가능한 원통형의 거름망(300), 상기 거름망(300)에 걸려진 협잡물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협잡물 이송수단(400) 및 이송된 협잡물을 측면방향으로 배출하는 협잡물 배출수단(500)을 포함하는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10)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으로서, (a) 하폐수 유입관(100)으로부터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200)으로 하폐수가 유입되는 단계; (b) 상기 유입되는 하폐수가 상기 거름망(300)을 거치면서 협잡물과 나머지 하폐수로 분리되는 단계; (c) 상기 협잡물 이송수단(400)에 구비된 협잡물 스크레이퍼(420)가 상기 거름망(300) 하부에서 상기 거름망(300) 내측을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거름망(300)에 걸린 협잡물을 긁는 단계; 및 (d) 상기 협잡물 배출수단(500)에 포함된 협잡물 배출범퍼(520)가 상기 협잡물 이송수단(400)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된 협잡물을 가압하여 협잡물 배출판(512)을 통해 측면 일측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폐수 처리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하폐수 처리방법 {Wastewater treatment method}
본 발명은 하폐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하폐수에서 거름망을 이용하여 협잡물을 걸러내고 스크레이퍼를 통해 협잡물을 긁어서 상측으로 이동시키며, 이송된 협잡물을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하폐수 유입구에 설치하여 협잡물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하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하폐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수처리장 등에 유입되는 하폐수에는 가정이나 공장, 농장의 오수 및 분뇨처리시설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이나 플라스틱, 낙엽, 분뇨, 각종 쓰레기와 침전물 등이 포함되며, 하폐수의 정화를 위해서는 퇴비화하기 어려워 하폐수로부터 필수적으로 분리해야 하는 다양한 이물질(협잡물)을 우선적으로 분리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협잡물 제거를 위한 종래 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0779738호의 "종합 협잡물 처리장치"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드럼스크린과, 협잡물 이송 컨베이어와, 스크류 컨베이어와, 침사 분리용기로 이루어진 일련의 유기적 시스템 구성에 의해 인위적으로 발생된 협잡물(음식물, 화장지, 헝겁, 플라스틱, 음료캔 등의 쓰레기)과, 자연 침적물인 침사를 서로 분리된 형태로 수거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복합적이고, 광범위한 형태의 기능을 발휘되게 함으로써, 배출수로(하수도)의 협잡물 수거작업 효율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종합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종래 기술은 오폐수에 포함된 협잡물의 양에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운용되는 것을 목표로 여러 개의 스크류형 컨베이어를 필요로 하므로, 협잡물 처리장치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넓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협잡물의 다소에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드럼 스크린 및 이송컨베이어가 운용되므로 전력소모가 크고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듈화하여 하폐수 유입구 일측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고 적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는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폐수에 포함된 협잡물의 양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고,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된 하폐수를 이송하여 유출구로 배출하는 하폐수 이송수단, 상하 개방되어 협잡물을 걸러내는 분리 가능한 원통형의 거름망, 상기 거름망에 걸려진 협잡물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협잡물 이송수단 및 이송된 협잡물을 측면방향으로 배출하는 협잡물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으로서, (a) 하폐수 유입관으로부터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으로 하폐수가 유입되는 단계; (b) 상기 유입되는 하폐수가 상기 거름망을 거치면서 협잡물과 나머지 하폐수로 분리되는 단계; (c) 상기 협잡물 이송수단에 구비된 협잡물 스크레이퍼가 상기 거름망 하부에서 상기 거름망 내측을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거름망에 걸린 협잡물을 긁는 단계; 및 (d) 상기 협잡물 배출수단에 포함된 협잡물 배출범퍼가 상기 협잡물 이송수단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된 협잡물을 가압하여 협잡물 배출판을 통해 측면 일측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폐수 처리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한 센싱으로 일시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유출구 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c) 단계 이전에, (b')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협잡물 또는 하폐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싱에 의해 유출구가 폐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름망은,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거름망 유동부와, 상기 협잡물 이송수단 하부에 구비되는 거름망 고정부로 이뤄지며, 상기 (b') 단계 이후에, (b") 상기 거름망 유동부를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 내측에서 이동시켜 상기 거름망 고정부와 결합하여 원통형의 거름망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협잡물 배출수단은, 하측에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에 의해 이송된 협잡물이 내부로 이송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협잡물 배출판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판 인근에 범퍼 스크레이퍼가 구비된 하우징과, 협잡물을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협잡물 배출판을 통해 측면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 및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를 상기 협잡물 배출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 이후, (e)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가 상기 협잡물 배출판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범퍼 스크레이퍼에 의해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 하면의 점착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폐수 유입관으로부터 하폐수가 유입되고, 하폐수로부터 협잡물을 분리하여 각각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하폐수 이송수단; 유입되는 하폐수에서 협잡물을 걸러내고 하폐수를 배출하도록 상하 개방되고 측면에 다수의 살이 형성된 원통형의 거름망; 상기 거름망 내측을 상하로 이동하면서 거름망에 걸린 협잡물을 긁어 상측으로 이송하는 협잡물 스크레이퍼; 및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된 협잡물을 가압하여 협잡물 배출판을 통해 측면 방향으로 배출하는 협잡물 배출범퍼를 포함하며, 상기 거름망은, 하폐수에 포함된 협잡물과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거름망 유동부와, 상기 거름망 유동부와 결합하여 원통형의 거름망을 형성하는 거름망 고정부로 이뤄지며,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는 상기 원통형 거름망이 형성된 이후에 상기 거름망 내측을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는 두 개의 대칭형 몸체로 이뤄지며, 상기 두 개의 몸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은, 상기 하폐수 유입관과 연결되는 유입구, 유입된 하폐수에서 협잡물과 분리된 나머지 하폐수가 유출되는 제1유출구, 상기 유입구 일측에 구비되며 협잡물과 분리되지 않은 하폐수가 유출될 수 있는 제2유출구, 협잡물이 이송될 수 있는 협잡물 배출구를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제1,2유출구를 각각 일시적으로 개폐 가능한 제1,2개폐장치와, 상기 몸체부가 상기 하폐수 유입관과 정확하게 연결되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장치와, 상기 제2유출구 일측에 구비되어 하폐수의 수위를 센싱하는 제3감지센서와, 부유물 등의 협잡물 또는 하폐수 수위를 센싱할 수 있도록 상기 협잡물 배출구 일측 하부와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2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 내부는 상기 유입된 하폐수가 1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부층에 형성되는 제1수로와 상기 제1수로의 상부층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하폐수 및 협잡물에 기초하여 추가적으로 개방이 이뤄지는 제2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로 및 제2수로를 각각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수로 개폐기 및 제2수로 개폐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수로 개폐기 및 제2수로 개폐기, 상기 유출구 개폐장치 및 제2개폐장치, 상기 거름망 유동부 및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는 상기 제1,2,3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싱에 기초하여 동작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하폐수 유입구 일측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설치공간이 크지 않아도 설치 가능하고 하폐수 처리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협잡물의 양을 고려하여 제거장치를 운용할 수 있어 전력 소비량이 적고, 부유물 및 침전물을 모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의 형성 및 협잡물 스크레이퍼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배출수단의 동작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의 구성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용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에 의한 하폐수용 협잡물 처리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4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용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에 의한 하폐수용 협잡물 처리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10)에 대해 도면을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의 형성 및 협잡물 스크레이퍼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배출수단의 동작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10)는, 하폐수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하폐수 이송수단(200), 이송된 하폐수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는 원통형의 거름망(300), 상기 거름망(300)에서 걸러진 협잡물을 수직으로 이송시키는 협잡물 이송수단(400) 및 이송된 협잡물을 배출하는 협잡물 배출수단(5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10)는, 유입되는 하폐수에서 협잡물을 걸러내고 하폐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상하 개방된 원통형의 거름망(300), 상기 거름망(300) 내측을 상하로 이동하면서 거름망(300)에 걸린 협잡물을 긁어 상측으로 이송하는 원판형의 협잡물 스크레이퍼(420)를 포함하는 협잡물 이송수단(400) 및 상기 협잡물 이송수단(400)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된 협잡물을 가압하여 협잡물 배출판(512)을 통해 측면 방향으로 배출하는 협잡물 배출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수직 협잡물 처리장치(10)는 후술하는 센싱에 의해 여러 구동수단, 계폐기 및 계폐장치 등이 자동/수동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수직 협잡물 처리장치(10)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하폐수 처리장치 외부에 구비되어 관리자 등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거름망(300)은 상하 개방된 원통형의 몸체로 이뤄져 몸체 측면에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한 다수의 살(도면부호 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살은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가 이동시 협잡물을 긁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거름망(300)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거름망 유동부(320)와 고정 형성된 거름망 고정부(340)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 일측에는 후술하는 협잡물 이송수단(400)의 구동장치(460)와 유사한 형태의 유동부 구동장치(3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망 고정부(340)는 상기 협잡물 이송수단(4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는 하폐수 유입관(100) 일측 위치에 구비되다가 후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의 센싱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거름망 고정부(340)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협잡물 이송수단(4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원통형 거름망(3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거름망(300)은 협잡물 이송수단(400)의 협잡물 이송관(410) 하부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협잡물 이송수단(400) 하부에 거름망(300) 상부가 접촉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이송수단(400)은, 협잡물 스크레이퍼 이송축(440), 상기 거름망(30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거름망(300)에 걸린 협잡물을 긁어서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원판형의 협잡물 스크레이퍼(420),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에 의해 이송되는 협잡물이 이송과정에서 낙하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원통형의 협잡물 이송관(410) 및 구동장치(4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60)는 협잡물 스크레이퍼 이송축(440)에 결합된 협잡물 스크레이퍼(420)를 구동시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가 거름망(300) 하부에 위치하다가 거름망(300)에 미리 설정된 일정량 이상 또는 일정 높이 이상의 협잡물이 걸려 있거나 일시적으로 점착되는 경우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협잡물이 상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는 상기 거름망(300)의 측면과 대응되는 톱니형상으로 이뤄져 상기 거름망(300)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협잡물을 긁어 올려서 상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는 톱니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원판형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상기 거름의 다수의 살은 상기 톱니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협잡물 이송수단(400)의 동작에 의해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의 톱니형상이 상기 거름망(300)의 다수의 살 사이에 걸려있거나 일시적으로 점착된 협잡물을 긁으면서 상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는 적어도 외측 톱니 부분이 가요(可撓)성 소재로 이뤄지며, 적어도 상기 협잡물 이송관(410) 및 상기 거름망(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경은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의 외경보다 크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의 외경이 상기 협잡물 이송관(410) 및/또는 상기 거름망(300)의 외경보다 크지 않게 구성되므로,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협잡물 이송관(410)의 내부 및/또는 상기 거름망(300)의 살과 살 사이를 긁으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의 톱니 부분이 가요성 소재로 이뤄짐에 따라 상기 거름망(300)의 상하부 프레임을 이동할 때 또는 상기 협잡물 이송관(410) 내부를 이동할 때 일시적인 구부러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구부러짐에 의해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가 거름망(300) 및/또는 협잡물 이송관(410) 내부와 더욱 밀착될수 있으며,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의 톱니 틈새로 협잡물이 낙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는 가요성 소재로 이뤄지는 상부판(422)과 상기 상부판 하부에 상부판을 지지하고 상기 상부판에 비해 외경이 작은 강체(剛體)의 하부판(424)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협잡물 스크레이퍼(420)는 상기 상부판(422)이 잘 휘어지면서 협잡물 스크레이퍼(420)가 상기 거름망(300)의 각각의 살을 더욱 잘 긁어낼 수 있고, 협잡물 이송관(410)에 더욱 잘 밀착되어 협잡물 낙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과 더불어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약한 가요성의 상부판(422)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협잡물 배출수단(500)은, 하측에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에 의해 이송된 협잡물이 내부로 이송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협잡물 배출판(512)이 형성된 하우징(510)과, 협잡물을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협잡물 배출판(512)을 통해 측면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협잡물 배출범퍼(520), 및 구동장치(5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0)은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가 이동 전 대기상태에서 일측에 위치할 수 있는 수용공간(도면부호 미도시)을 구비하며,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가 이동하여 협잡물이 배출되는 측에 형성되는 협잡물 배출판(51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510)은 상기 협잡물 배출판(512) 상면 또는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 이송축(440)과 협잡물 배출판(512) 사이 위치에 범퍼 스크레이퍼(5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범퍼 스크레이퍼(514)는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가 이동할 때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 하부가 접촉되면서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의 하중에 의해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의 하부로부터 협잡물의 잔여물이 자동으로 긁혀져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범퍼 스크레이퍼(514)가 적어도 협잡물이 배출되는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가 협잡물 배출판으로 협잡물을 밀어내고 다시 되돌아올 때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의 하부가 자연스럽게 상기 범퍼 스크레이퍼(514)에 의해 긁혀져 협잡물의 잔여물이 협잡물 배출범퍼(520)로부터 떨어질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는 두 개의 대칭형 몸체로 이뤄지며, 상기 두 개의 몸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542, 544)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의 두 개의 몸체는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 이송축(440)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542, 544)는 상기 두 개의 몸체가 서로 당겨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 이송축(440) 전에 위치할 때는 상기 탄성부재(542, 544)에 의해 두 개의 몸체가 서로 당겨져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6의 (a)).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가 협잡물을 배출하기 위해 이동하면서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 이송축(440)을 지나게 되면,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 전단 내측 모서리에 형성된 필렛부(fillet)에 의해 상기 범퍼가 자연스럽게 벌어지면서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 이송축(440)을 각각의 몸체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이동하게 된다(도 6의 (b). 일례로, 상기 필렛부는 챔퍼(chamfer)형상 즉 라운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542, 544)는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의 각 몸체가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 이송축(440)에서 멀어지지 않고 최대한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협잡물 배출판(512)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가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 이송축(440)을 지나면 상기 탄성부재(542, 544)에 의해 각 몸체가 서로 당겨져 밀착되며 협잡물을 남김없이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도 6의 (c)). 일례로,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의 후단 내측 모서리에도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갈 때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 이송축(440)을 내측으로 자연스럽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필렛부 또는 챔퍼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200)은, 하폐수가 수집되는 하폐수 유입관(100)으로부터 하폐수를 전달받아 협잡물을 걸러내고, 협잡물이 분리된 하폐수를 혐기조 등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며, 전술한 거름망(300)에 협잡물이 포함된 하폐수를 공급시 효율적인 하폐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200)은, 상기 원통형의 거름망(300)이 내부에 수용되는 협잡물 배출구(216)와, 측면 방향으로 형성된 하폐수 유입관(100)의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삽입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유입구(212)와, 협잡물이 분리된 하폐수가 배출되는 유출구(214, 제1유출구)가 형성된 몸체부(2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250, 252, 254)의 센싱에 의해 상기 유출구(214)를 일시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유출구 개폐장치(22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출구 개폐장치(제1개폐장치, 220)는 계폐판(222)과 상기 계폐판을 구동하는 개폐판 구동장치(224)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유출구 개폐장치는 상기 유입구(212) 일측에서 하폐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형태로 더욱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210)의 유입구(212) 일측에는 하폐수가 유입되면서 몸체부(210) 내부로 유입이 이뤄질 수 있고 별도의 외부 연결수단을 통해 이원화된 하폐수 이송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유출구(218, 제2유출구)가 더욱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10)는 상기 제2유출구(218) 및 유입구(212)를 동시에 개폐하기 위한 유출구 개폐장치(제2개폐장치, 24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200)은, 하폐수를 집수하여 하폐수 처리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하폐수 유입관(100)과 간단히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212) 측에 걸림턱(219)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219)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이송수단(200)이 상기 하폐수 유입관(100)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움 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200)은 상기 하폐수 유입관(100)과 결합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장치(2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싱은 하폐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것일 수 있으며, 부유물 등이 협잡물의 양이나 걸린 위치를 검출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협잡물 처리모듈(10)은 수위감지센서 및/또는 물체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250, 252, 254, 260)는 바람직하게 하폐수 이송수단(200), 거름망(300) 또는 협잡물 이송수단(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부유물이나 협잡물 등의 물체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10)는, 상기 유출구(214) 개폐를 위한 복수의 센서(250, 252, 254)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센서(250, 252, 254)는 상기 협잡물 배출구(216) 또는 상기 거름망(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10)는, 상기 센서에 의해 미리 결정된 위치(특정 위치)에서 협잡물이 인식되면 상기 유출구 개폐장치(220)가 동작하여 유출구(214, 218)가 폐쇄되며, 다음으로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협잡물이나 하폐수 수위가 인식되면 상기 유출구 개폐장치(220, 240)가 동작하여 유출구(214, 218)가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가 부유물이나 침전물 등을 긁으면서 이동하고 거름망 고정부(340)와 결합하여 원통형의 거름망(30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가 상기 원통형의 거름망(300)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거름망(300)의 살을 긁어 모으면서 협잡물을 상부로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10)는,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200)의 몸체부(210) 일측 위치에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를 이동시키는 유동부 구동장치(36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동부 구동장치(360)는 개폐장치(220, 240)의 구동장치(224, 244)나 협잡물 이송수단(400)의 구동장치(46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면서 유사한 방식으로 구동이 이뤄질 수 있으나 구동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협잡물) 처리방법의 순서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용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에 의한 하폐수 (협잡물) 처리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협잡물) 처리방법은, 유입된 하폐수를 이송하여 유출구로 배출하는 하폐수 이송수단(200), 상하 개방되어 협잡물을 걸러내는 분리 가능한 원통형의 거름망(300), 상기 거름망(300)에 걸려진 협잡물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협잡물 이송수단(400) 및 이송된 협잡물을 측면방향으로 배출하는 협잡물 배출수단(500)을 포함하는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10)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이다.
상기 하폐수 처리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하폐수 유입관(100)으로부터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200)으로 하폐수가 유입되는 단계(S1); (b) 상기 유입되는 하폐수가 상기 거름망(300)을 거치면서 협잡물과 나머지 하폐수로 분리되는 단계(S2); (c) 상기 협잡물 이송수단(400)에 구비된 협잡물 스크레이퍼(420)가 상기 거름망(300) 하부에서 상기 거름망(300) 내측을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거름망(300)에 걸린 협잡물을 긁는 단계(S3); 및 (d) 상기 협잡물 배출수단(500)에 포함된 협잡물 배출범퍼(520)가 상기 협잡물 이송수단(400)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된 협잡물을 가압하여 협잡물 배출판(512)을 통해 측면 일측으로 배출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거름망(3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거름망(300) 상부 일측 또는 하부 일측에서 하폐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폐수 처리방법은 하폐수 유입관(100)으로부터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200)으로 하폐수가 유입되는 단계(S1)와 상기 유입되는 하폐수가 상기 거름망(300)을 거치면서 협잡물과 나머지 하폐수로 분리되는 단계(S2) 이후에, (b') 유출구 폐쇄단계(S2-1)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구 폐쇄단계 이후, (b") 거름망 형성단계(S2-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에 의해 협잡물을 상측으로 이송하는 단계(S3) 및 협잡물 배출 단계(S4) 이후, (e) 점착물 제거단계(S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가 상측으로 이동하기 전에,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협잡물 또는 하폐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싱에 의해 유출구(214)가 폐쇄될 수 있다(S2-1 단계). 이러한 유출구(214) 폐쇄로 인해 하폐수가 더 이상 하폐수 이송수단(200) 내에서 이동하지 않아 협잡물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구(214)가 폐쇄된 이후에,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를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200) 내측에서 이동시켜 상기 거름망 고정부(340)와 결합하여 원통형의 거름망(300)을 형성할 수 있다(S2-2 단계). 만일 하폐수가 지속적으로 배출됨에 따라 협잡물이 움직이게 되면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가 이동하여 상기 거름망 고정부(340)와 결합하여 형성하는 원통형의 거름망(300) 외측에 협잡물이 걸리거나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출구(214)를 먼저 폐쇄한 이후에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가 협잡물 배출판(51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협잡물을 배출(S4 단계)한 이후에,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가 상기 협잡물 배출판(512)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범퍼 스크레이퍼(514)에 의해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 하면의 점착물이 제거될 수 있다(S5 단계).
일례로, 상기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10)에 의한 하폐수 (협잡물) 처리방법은, 하폐수가 이동하면서 거름망 고정부(340)에서 협잡물을 걸러내고(도 8 참고), 제1개폐장치(220)에 의해 제1유출구(214)를 차단(도 9 참고)하며, 거름망 유동부(320)가 이동(도 10 참고)하고, 협잡물 스크레이퍼(420)가 상측으로 이동(도 11 참고)한 뒤, 협잡물 배출범퍼(520) 이동에 의한 협잡물 배출(도 12 및 도 13 참고)이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폐수가 하폐수 유입관(100)을 통해 유입되면서 하폐수 이송수단(200)의 유입구(212)를 거쳐 거름망 고정부(340)를 지나게 된다. 상기 거름망 고정부(340)는 하폐수에 포함된 부유물 및 다양한 협잡물을 하폐수로부터 분리하게 되며, 협잡물과 분리된 하폐수는 제1유출구(214)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름망 고정부(340)에 걸리는 협잡물이 점차 증가하면서 거름망(300)을 지나 제1유출구(214)로 배출되는 하폐수의 수위는 차츰 높아지게 되며, 상기 거름망 고정부(340) 또는 하폐수 이송수단(200)의 협잡물 배출구(216) 주위에 설치된 제1감지센서(252)에서 하폐수의 수위 또는 협잡물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제1감지센서(252)에 의해 미리 설정된 높이의 하폐수의 수위 또는 협잡물의 높이나 양이 감지되면 제1개폐장치(220)가 제1개폐판 구동장치(224)에 의해 구동되면서 제1개폐판(222)이 하부로 이동하여 제1유출구(214)를 폐쇄(차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출구(214)가 폐쇄되면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가 상기 거름망 고정부(340) 측으로 이동하면서 원통형의 거름망(3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200)의 몸체부(210)에서 하폐수가 이송되는 공간의 높이는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의 상하부와 대응되는 규모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실리콘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210) 내부 공간의 상측과 하측을 모두 긁으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폐장치(240)의 동작에 의해 제2개폐판(242)이 하부로 이동하여 제2유출구(218) 및 유입구(212)를 차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개폐장치(240)의 동작은 제2감지센서(254) 및/또는 제2유출구 일측에 구비된 제3감지센서(260)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상기 제2감지센서(254) 및/또는 제3감지센서(260)의 센싱과 무관하게 제1개폐장치(220)의 동작과 동시에 이뤄질 수도 있다. 상기 제3감지센서(260)는 수위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협잡물 부유물을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개폐장치(240)의 동작으로 인해 제1개폐장치(220)의 동작에 의해 제1유출구(214)가 폐쇄되는 경우 유입되는 하폐수가 상기 제2유출구(218)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개폐장치(24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유입구(212)가 차단되면 더이상의 하폐수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유출구(214)의 폐쇄가 이뤄진 다음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하폐수가 유입하여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와 거름망 고정부(340) 사이가 아닌 다른 위치에 협잡물이 위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원통형 거름망(300)의 결합이 이뤄지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협잡물 이송수단(400)의 구동장치(460)의 동작에 의해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가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는 상기 원통형 거름망(300)에 일시적으로 점착되거나 걸려있는 협잡물을 긁으며 상기 협잡물 이송관(410)을 거쳐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협잡물 배출수단(500)의 하부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협잡물 배출수단(500)의 구동장치(560)의 동작에 의해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가 협잡물 배출판(512)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는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 상측에 모여있는 협잡물을 가압하여 상기 협잡물 배출판(512)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협잡물이 배출되면,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는 상기 협잡물 배출수단(500)의 하우징(510) 내 원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가 하강하며,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 또한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200) 내 원 위치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2개폐장치(220, 240)가 동작하여 제1,2유출구(214, 218)가 개방되면 다시 하폐수가 유입구(212)로 유입되며, 하폐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상기 거름망 고정부(340)에 걸림이 이뤄지고 걸러진 하폐수가 상기 제1유출구(214)로 배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의 구성도, 도 14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용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에 의한 하폐수용 협잡물 처리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10)는, 전술한 하폐수 유입관(100)과 연결되는 하폐수 이송수단(200)의 몸체부(210) 내부에 복수의 수로(제1,2수로, 215,217)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200)은 도 7 및 도 14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폐수 유입관(100)과 연결되는 유입구(212), 유입된 하폐수에서 협잡물과 분리된 나머지 하폐수가 유출되는 제1유출구(214), 상기 유입구(212) 일측에 구비되며 협잡물과 분리되지 않은 하폐수가 유출될 수 있는 제2유출구(218), 협잡물이 이송될 수 있는 협잡물 배출구(216)를 포함하는 몸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200)은 상기 제1,2유출구(214, 218)를 각각 일시적으로 개폐 가능한 제1,2개폐장치(220, 240)와, 상기 몸체부(210)가 상기 하폐수 유입관(100)과 정확하게 연결되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장치(270)와, 상기 제2유출구(218) 일측에 구비되어 하폐수의 수위를 센싱하는 제3감지센서(260)와, 부유물 등의 협잡물 또는 하폐수 수위를 센싱할 수 있도록 상기 협잡물 배출구(216) 일측 하부와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2감지센서(252, 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2감지센서(252, 254)는 상기 협잡물 배출구(216), 상기 거름망(300) 및/또는 협잡물 이송수단(400)의 협잡물 이송관(4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0) 내부는 상기 유입된 하폐수가 1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부층에 형성되는 제1수로(215)와 상기 제1수로(215)의 상부층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하폐수 및 협잡물에 기초하여 추가적으로 개방이 이뤄지는 제2수로(217)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로(215) 및 제2수로(217)를 각각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수로 개폐기(215a) 및 제2수로 개폐기(217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수로 개폐기(215a) 및 제2수로 개폐기(217a), 상기 유출구 개폐장치(220) 및 제2개폐장치(240),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 및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는 상기 제1,2,3감지센서(252, 254, 2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싱에 기초하여 동작이 이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10)는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의 개폐장치(220, 240), 거름망(300), 협잡물 스크레이퍼(420) 및 협잡물 배출범퍼(520)를 구동시키므로 효율적인 장치 운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10)에 의한 협잡물 처리방법은, 제1수로(215)를 통한 하폐수 이동 및 협잡물 거름단계(S1'), 제1개폐장치(220)에 의한 제1유출구(214) 일부(제1유출구 하부) 차단 및 제1유출구 상부 배수단계(S2'), 제1수로(215) 차단 및 거름망 유동부(320) 이동단계(S3'), 제2수로(217) 개방단계(S4'), 제2개폐장치(240)에 의한 유입구(212), 제2유출구(218) 폐쇄 및 협잡물 스크레이퍼(420) 이동단계(S5'), 협잡물 배출범퍼(520) 이동에 의한 협잡물 배출단계(S6')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 단계에서 하폐수가 하폐수 이송수단(200)의 유입구(212)로 유입되면서 몸체부(210) 하측에 구비된 제1수로(215)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제1수로 개폐기(215a)는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하폐수가 몸체부(210) 내부를 이동하면서 상기 협잡물 배출구(216)에 삽입된 거름망 고정부(340)에서 걸러지게 되고, 협잡물과 분리된 하폐수가 하폐수 이송수단(200)의 제1유출구(214)로 배출된다. 상기 거름망 고정부(340)는 이동 가능한 거름망 유동부(320)와 결합하여 거름망(300)을 형성하며, 상기 거름망 고정부(340) 상부에 상부 거름망 고정부 형태의 상부 거름망(3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거름망(350)은 상부 거름망 고정부 외에도 상기 상부 거름망 고정부와 결합하여 원통형의 상부 거름망(350)을 형성하는 이동 가능한 구조의 상부 거름망 유동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거름망(300) 및 상부 거름망(350)은 원통형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원통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 및 협잡물 이송관(410)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면 박스형이나 다각기둥형상 모두 가능하다.
점차 하폐수가 유입되고 거름망(300)에서 걸러지는 협잡물이 증가하면 거름망(300)에 걸린 협잡물로 인해 제1수로(215)의 하폐수 수위가 점차 증가하며, 시간당 배출되는 하폐수의 수량이 감소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 단계에서 상기 제1수로(215)의 하폐수 수위가 점차 증가하면서 상기 거름망 고정부(340) 상측에 구비된 제1감지센서(252)에서 하폐수 또는 부유물을 감지하며, 상기 제1감지센서(252)에서 센싱이 이뤄지면 제1개폐장치(220)가 동작하면서 상기 제1유출구(214)의 하부를 폐쇄하여 제1유출구(214)의 하부로 하폐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개폐장치(220)의 제1개폐판(222)은 관통형성되어 하폐수가 배출될 수 있는 제1개폐판 상부(222a)와 하폐수를 차단하는 제1개폐판 하부(222b)로 이뤄진다. 상기 제1개폐판 하부(222b)로 인해 제1유출구(214) 하부가 차단되면서 하폐수 수위는 더욱 증가하게 되고 하폐수는 협잡물 배출부 상측에 구비된 상부 거름망(상부 거름망 고정부, 350)을 거쳐서 제1유출구(214) 상부로 배출된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상기 거름망 고정부(340) 상부의 거름망 고정부(이하 상부 거름망, 350)에서 걸러지는 협잡물이 점차 증가하게 되면, 제1유출구(214) 상부에서 배출되는 시간당 하폐수 수량이 점차 감소하면서 하폐수 수위가 증가하게 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 단계에서 하폐수 수위가 점차 증가하면서 상기 상부 거름망(350) 상측에 구비된 제2감지센서(254)에서 하폐수 또는 부유물을 감지하게 되며, 상기 제2감지센서(254)에서 센싱이 이뤄지면 제1수로 개폐기(215a)가 동작하면서 제1수로(215)를 차단한다.
하폐수가 제1수로(215)를 통해 유입되지 않으면서 상기 상부 거름망(350)을 거쳐 제1유출구(214)로 배출되는 하폐수의 수위가 점차 감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수로(215)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는 거름망 유동부(320)가 제1수로(215) 내부의 상측에 남아 있는 부유물과 바닥의 침지물을 긁으면서 거름망 고정부(340)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거름망 고정부(340)와 결합하여 원통형상의 거름망(30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수로(215) 내부 높이는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의 상하부와 대응되는 규모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실리콘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1수로(215) 내부 상측과 하측을 모두 긁으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가 이동하더라도 제1수로(215)가 폐쇄되면서 거름망 유동부(320)의 이동방향 반대쪽에서 협잡물이 추가적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거름망 유동부(320)가 이동하여 원통형의 거름망(300)으로 결합될 때 협잡물 누락 없이 효과적으로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게 된다.
제1수로(215)가 폐쇄됨에 따라, 유입되는 하폐수는 더이상 제1유출구(214)로 배출되지 못하며 제2유출구(218) 상부를 향해 점차 하폐수의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 단계에서 제2유출구(218) 측에서의 수위 증가에 따라 상기 제2유출구(218) 상측에 구비된 제3감지센서(260)에서 하폐수를 인식하게 되면 제2수로 개폐기(217a)가 동작하면서 제2수로(217)가 개방된다.
유입되는 하폐수는 제2수로(217)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 거름망(350)에서 협잡물이 걸러지게 되고 협잡물과 분리된 하폐수는 제1유출구(214) 상부로 배출된다. 점차 협잡물이 증가하면서 제1유출구(214) 상부에서 배출되는 시간당 하폐수 수량이 점차 감소하면서 하폐수 수위가 다시 증가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5' 단계에서 하폐수 수위가 다시 증가하여 상기 제3감지센서(260)에서 하폐수를 인식하게 되면 제2개폐장치(240)가 동작하면서 상기 제2유출구(218)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유입구(212) 및 제2유출구(218)를 폐쇄하여 일시적으로 하폐수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기 유입된 하폐수는 제2수로(217)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부 거름망(350)을 거쳐 제1유출구(214) 상부로 모두 배출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1개폐장치(220)가 제1유출구(214) 하부를 폐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과정에서 제1개폐장치(220)가 동작하여 제1유출구(214)를 개방하면서 제1수로(215)에 갇혀 있던 하폐수가 모두 배출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수로(217)의 하폐수가 배출되면 구동장치(460)에 의해 상기 협잡물 이송수단(400)의 협잡물 스크레이퍼(420)가 상기 거름망(300) 및 상부 거름망(350)의 내측을 긁으면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의 톱니 부분은 상기 거름망(300) 및 상부 거름망(350)의 내측(망부분)을 모두 긁을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의 톱니 부분은 실리콘으로 이뤄져 탄성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질 수 있으며, 상기 거름망(300) 및 상부 거름망(350)을 긁으면서 협잡물 이송관(410) 내부에 밀착되면서 상부로 이동함으로써 협잡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6' 단계에서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가 상부로 이동하여 협잡물 배출수단(500)의 하우징(510)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가 측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협잡물을 배출판(512)을 거쳐 배출하게 된다.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는 탄성부재(542, 544)에 의해 양측면에서 중앙측 방향으로 가압이 이뤄지면서 이동하므로 협잡물 스크레이퍼 이송축(440) 주변의 협잡물도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의 하부는 협잡물을 배출하고 원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하우징(510)에 형성된 범퍼 스크레이퍼(514)에 의해 협잡물이 모두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가 원상태로 복귀되면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는 다시 하강하게 되며,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도 제1수로(215) 일측의 원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 및 협잡물 스크레이퍼(420)가 원 위치로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2개폐장치(240)가 동작하여 제2개폐판(242)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유입구(212) 및 제2유출구(218)가 개방되어 하폐수 유입이 다시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10)는 상기 협잡물 제거 프로세스에 의해 하폐수 유입이 차단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협잡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하폐수 유입관
200: 하폐수 이송수단 210: 몸체부
212: 유입구 214, 218: 유출구(제1,2유출구)
216: 협잡물 배출구 215: 제1수로
215a: 제1수로 개폐기 217: 제2수로
217a: 제2수로 개폐기 220, 240: 제1,2개폐장치
222: 제1개폐판 222a, 222b: 제1개폐판 상부, 하부
224: 제1개폐판 구동장치 242: 제2개폐판
244: 제2개폐판 구동장치 250, 252, 254, 260: 센서
270: 높이조절장치 300: 거름망
320: 거름망 유동부 340: 거름망 고정부
350: 상부 거름망 360: 유동부 구동장치
400: 협잡물 이송수단 410: 협잡물 이송관
420: 협잡물 스크레이퍼 440: 협잡물 스크레이퍼 이송축
460: 구동장치
500: 협잡물 배출수단 510: 하우징
512: 배출판 514: 범퍼 스크레이퍼
520: 협잡물 배출범퍼 542, 544: 탄성부재
560: 구동장치
2: 스크린 조 3: 혐기조
4: 무산소조 5: MBR조
6: SDR조 7: 약품탱크조
12: 배출관 13: 순환라인
14: 이송관 31: 제1수중교반기
41: 제2수중교반기 51: 분리막 모듈

Claims (7)

  1. 유입된 하폐수를 이송하여 유출구(214)로 배출하는 하폐수 이송수단(200), 상하 개방되어 협잡물을 걸러내는 분리 가능한 원통형의 거름망(300), 상기 거름망(300)에 걸려진 협잡물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협잡물 이송수단(400) 및 이송된 협잡물을 측면방향으로 배출하는 협잡물 배출수단(500)을 포함하는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10)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으로서,
    (a) 하폐수 유입관(100)으로부터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200)으로 하폐수가 유입되는 단계;
    (b) 상기 유입되는 하폐수가 상기 거름망(300)을 거치면서 협잡물과 나머지 하폐수로 분리되는 단계;
    (c) 상기 협잡물 이송수단(400)에 구비된 협잡물 스크레이퍼(420)가 상기 거름망(300) 하부에서 상기 거름망(300) 내측을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거름망(300)에 걸린 협잡물을 긁는 단계; 및
    (d) 상기 협잡물 배출수단(500)에 포함된 협잡물 배출범퍼(520)가 상기 협잡물 이송수단(400)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된 협잡물을 가압하여 협잡물 배출판(512)을 통해 측면 일측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폐수 처리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250)에 의한 센싱으로 일시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유출구 개폐장치(2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c) 단계 이전에, (b')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협잡물 또는 하폐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싱에 의해 상기 유출구(214)가 폐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거름망(300)은,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200)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거름망 유동부(320)와, 상기 협잡물 이송수단(400) 하부에 구비되는 거름망 고정부(340)로 이뤄지며,
    상기 (b') 단계 이후에, (b")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를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200) 내측에서 이동시켜 상기 거름망 고정부(340)와 결합하여 원통형의 거름망(30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협잡물 배출수단(500)은,
    하측에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에 의해 이송된 협잡물이 내부로 이송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협잡물 배출판(512)이 형성되며, 상기 협잡물 배출판(512) 인근에 범퍼 스크레이퍼(514)가 구비된 하우징과,
    협잡물을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협잡물 배출판(512)을 통해 측면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 및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를 상기 협잡물 배출판(51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560)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 이후, (e)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가 상기 협잡물 배출판(512)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범퍼 스크레이퍼(514)에 의해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 하면의 점착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폐수 처리방법.
  5. 하폐수 유입관(100)으로부터 하폐수가 유입되고, 하폐수로부터 협잡물을 분리하여 각각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하폐수 이송수단(200);
    유입되는 하폐수에서 협잡물을 걸러내고 하폐수를 배출하도록 상하 개방되고 측면에 다수의 살이 형성된 원통형의 거름망(300);
    상기 거름망(300) 내측을 상하로 이동하면서 거름망(300)에 걸린 협잡물을 긁어 상측으로 이송하는 협잡물 스크레이퍼(420); 및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된 협잡물을 가압하여 협잡물 배출판(512)을 통해 측면 방향으로 배출하는 협잡물 배출범퍼(520)를 포함하며,
    상기 거름망(300)은,
    하폐수에 포함된 협잡물과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거름망 유동부(320)와,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와 결합하여 원통형의 거름망(300)을 형성하는 거름망 고정부(340)로 이뤄지며,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는 상기 원통형 거름망(300)이 형성된 이후에 상기 거름망(300) 내측을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협잡물 배출범퍼(520)는 두 개의 대칭형 몸체로 이뤄지며,
    상기 두 개의 몸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542)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하폐수 이송수단(200)은,
    상기 하폐수 유입관(100)과 연결되는 유입구(212), 유입된 하폐수에서 협잡물과 분리된 나머지 하폐수가 유출되는 제1유출구(214), 상기 유입구(212) 일측에 구비되며 협잡물과 분리되지 않은 하폐수가 유출될 수 있는 제2유출구(218), 협잡물이 이송될 수 있는 협잡물 배출구(216)를 포함하는 몸체부(210)와,
    상기 제1,2유출구(214, 218)를 각각 일시적으로 개폐 가능한 제1,2개폐장치(220, 240)와,
    상기 몸체부(210)가 상기 하폐수 유입관(100)과 정확하게 연결되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장치(270)와,
    상기 제2유출구(218) 일측에 구비되어 하폐수의 수위를 센싱하는 제3감지센서(260)와,
    부유물 등의 협잡물 또는 하폐수 수위를 센싱할 수 있도록 상기 협잡물 배출구(216) 일측 하부와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2감지센서(252, 254)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210) 내부는 상기 유입된 하폐수가 1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부층에 형성되는 제1수로(215)와 상기 제1수로(215)의 상부층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하폐수 및 협잡물에 기초하여 추가적으로 개방이 이뤄지는 제2수로(217)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로(215) 및 제2수로(217)를 각각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수로 개폐기(215a) 및 제2수로 개폐기(217a)가 구비되며,
    상기 제1수로 개폐기(215a) 및 제2수로 개폐기(217a), 상기 제1,2개폐장치(220, 240), 상기 거름망 유동부(320) 및 상기 협잡물 스크레이퍼(420)는 상기 제1,2,3감지센서(252, 254, 2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싱에 기초하여 동작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
KR1020240046157A 2024-04-04 하폐수 처리방법 KR102728732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28732B1 true KR102728732B1 (ko) 2024-11-1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9942B1 (en) Apparatus for removal of floatables and scum in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US9908067B2 (en) Floatables and scum removal apparatus for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149567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및 비점오염 물질 저감방법
CN211497007U (zh) 分离器设备
KR101562757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047570B1 (ko) 맨홀
KR102728732B1 (ko) 하폐수 처리방법
KR102701751B1 (ko) 하폐수용 수직 협잡물 제거장치
US201501828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backwash to clean a bar rack in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2701753B1 (ko) 하폐수용 협잡물 처리장치
KR102728731B1 (ko) 하폐수 협잡물 처리장치
KR102701752B1 (ko) 하폐수 처리방법
KR102728730B1 (ko) 하폐수 처리장치
KR102601272B1 (ko)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JP6253174B2 (ja) 夾雑物除去スクリーン装置の運転方法、およびスクリーンシステム
KR100620438B1 (ko) 상향식 오폐수 처리 장치
JP6716805B2 (ja) スクリーンシステム
KR200343484Y1 (ko)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장치
KR200346465Y1 (ko) 하수내 침사및 협잡물 처리를 위한 일체형 스크린 장치
KR100840373B1 (ko) 협잡물 처리장치
JP2020007905A (ja) 夾雑物除去スクリーン装置の運転方法
JP6592705B2 (ja) 夾雑物除去スクリーン装置の運転方法、およびスクリーンシステム
US8136673B2 (en) Grit elevator
JP2005034804A (ja) 夾雑物除去装置
JP2002363950A (ja) 取水口塵芥除去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