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26290B1 - Supporting device for elevator door unlocking - Google Patents
Supporting device for elevator door unlock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26290B1 KR102726290B1 KR1020220138983A KR20220138983A KR102726290B1 KR 102726290 B1 KR102726290 B1 KR 102726290B1 KR 1020220138983 A KR1020220138983 A KR 1020220138983A KR 20220138983 A KR20220138983 A KR 20220138983A KR 102726290 B1 KR102726290 B1 KR 1027262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door
- guide
- locking
- door
- van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592817 Cadd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승강구에 도착하였을 때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장치의 록킹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 지게 하여 승객의 갇힘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림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엘리베이터카의 좌우로 개폐되는 한 쌍의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 중에서 상기 제1카도어(14)에 장착된 베이스(22); 제2카도어(16)에 장착된 록킹래치(32); 상기 베이스(22)에 한쌍의 록킹링크(34a)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개방될 때에 승강장도어 록킹장치(120)의 언록킹 푸셔(122)에 의해 상승하는 록킹 밴날개(34); 상기 베이스(22)와 상기 록킹 밴날개(34)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록킹 밴날개(34)의 승강에 따라 상기 록킹래치(32)에 결합해제되거나 결합되는 회동록킹편(36); 상기 록킹 밴날개(34)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하며 상기 베이스(22)에 한쌍의 가동링크(44a)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 밴날개(44);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탑프레임(12)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브라켓(250); 상단에 가이드롤러(240)를 구비하며 하단은 가동 밴날개(44)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22)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링크(200)로 구성하여,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개방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에서 이탈하면서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상기 언록킹 퓨셔(122)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록킹 밴날개(34)를 상승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door unlocking auxiliary device that can prevent passengers from being trapped by smoothly unlocking the elevator door locking device when the elevator car door arrives at the boarding area.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22) mounted on the first car door (14) among a pair of first and second car doors (16) that open and close to the left and right of an elevator car; a locking latch (32) mounted on the second car door (16); a locking vane (34) that is movably connected to the base (22) by a pair of locking links (34a) and rises by an unlocking pusher (122) of a landing door locking device (120) when the first and second car doors (14) and (16) are opened; a rotating locking piece (36) that is hinge-connected to the base (22) and the locking vane (34) and is engaged or disengaged with the locking latch (32) according to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locking vane (34); The elevator car comprises a guide bracket (250) fixedly installed on the top frame (12) of the elevator car, which comprises a guide roller (240) at the top, a lower part connected to the movable vane (44), and a hinge-type auxiliary link (200)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22) by a pair of movable links (44a) and installed facing the locking vane (34),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re opened, the guide roller (240) is detached from the guide bracket (250), and the movable vane (44) presses the locking vane (34) upwardly via the unlocking pusher (122) as a medium.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승강구에 도착하였을 때 엘리베이터 도어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장치의 작동이 안되어 엘리베이터 잠금사고가 발생하는 사례가 있는데, 본 발명은 새로운 구성을 적용하여 록킹풀림 작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oor lock release auxiliary device. There are cases where an elevator lock accident occurs because the device for releasing the elevator door lock does not work when the elevator car door arrives at the lan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oor lock release auxiliary device that applies a new configuration to ensure that the lock release operation is performed reliably.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되는 카도어와 건물 각층에서 승강로와 연통하는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층에서의 승객의 승하차 출입을 위해서는 카도어와 승강장 도어를 동시에 개폐하여야 한다.An elevator includes a car door installed in an elevator car that moves along a building's hoistway and a platform door installed in a landing connected to the hoistway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In order for passengers to board and alight on each floor, the car door and landing door must be opened and closed simultaneously.
통상적으로,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카도어가 정상적으로 승객이 승하차하는 각층의 승강장에 도달하고,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승강장 도어와 같이 열리는 상태가 아닐 때에 임의로 카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잠금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에 도착하였다 하더라도 승객의 안전을 위한 잠금장치의 풀림이 진행되지 않으면, 승강장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되어 승객이 엘리베이터카에 갇히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Normally,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the elevator car door is designed with a locking device to prevent the car door from being opened arbitrarily when it reaches the platform where passengers normally get on and off, and the elevator car door is not in a state where it opens together with the platform door. Therefore, even if the elevator car arrives at the platform, if the locking device is not released for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the platform door will not open, and passengers will be trapped in the elevator car.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엘리베이터카 상부에 위치하는 탑프레임(12)에는 밴캠(13)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밴캠(13)에는 상승가이드부(13a)를 구비한다. 상기 밴캠(13)의 상승가이드부(13a)는 좌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conventionally, a van cam (13) is fixedly installed on a top frame (12)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an elevator car, and the van cam (13) is provided with a rising guide part (13a). The rising guide part (13a) of the van cam (13) is formed to slope downward in the left direc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연관있는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된 록킹풀림장치는 엘리베이터카의 좌우로 개폐되는 한 쌍의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 중에서 상기 제1카도어(14)에 장착된 베이스(22)와, 제2카도어(16)에 장착된 록킹래치(32)와, 상기 베이스(22)에 한쌍의 록킹링크(34a)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개방될 때에 승강장도어 록킹장치(120)의 언록킹 푸셔(122)에 의해 상승하는 록킹 밴날개(34)와, 상기 베이스(22)와 상기 록킹 밴날개(34)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록킹 밴날개(34)의 승강에 따라 상기 록킹래치(32)에 결합해제되거나 결합되는 회동록킹편(36)과, 상기 록킹 밴날개(34)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하며 상기 베이스(22)에 한쌍의 가동링크(44a)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 밴날개(44)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되어있다.As shown in Fig. 2, the locking release device installed in the elevator ca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22) mounted on the first car door (14), a locking latch (32) mounted on the second car door (16), and a locking vane (34) that is connected to the base (22)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a pair of locking links (34a) among a pair of first car doors (14) and second car doors (16) that open and close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elevator car, and is raised by the unlocking pusher (122) of the landing door locking device (120) wh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re opened, and a locking vane (34) that is connected to the base (22) and the locking vane (34) by a hinge so as to be engaged or disengaged with the locking latch (32) according to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locking vane (34). It is composed of a basic configuration of a rotating locking member (36) and a movable vane (44) that is installed in a position facing the locking vane (34) and is connected to the base (22) so as to be able to rise and fall by a pair of movable links (44a).
도 1은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닫힌 상태서 엘리베이터카가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1 shows a state in which an elevator car is moving along a hoistway with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closed.
도 1에서, 안내롤러(47)가 밴캠(13)의 상부에 올라가 있으므로 가동 밴날개(44)는 상승된 상태이고 록킹 밴날개(34)와는 일정간격을 두고 있다. 이때에는 록킹 밴날개(34)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한 상태이고 회동록킹편(36)은 록킹래치(32)와 결합된 상태로 되어있으므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것이다.In Fig. 1, since the guide roller (47) is raised to the upper part of the van cam (13), the movable vane (44) is raised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vane (34). At this time, the locking vane (34)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and the rotating locking piece (36) is engaged with the locking latch (32), so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r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이후, 도 3에서와같이,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에 도착하게 되면 승강장도어 록킹장치(120)의 언록킹푸셔(122)는 가동 밴날개(44)와 록킹 밴날개(3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3, when the elevator car arrives at the platform, the unlocking pusher (122) of the platform door locking device (120) is positioned between the movable vane (44) and the locking vane (34).
이후, 도시하지 않은 위치감지 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카도어의 개방신호를 발생하게 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개방을 위한 구동장치가 작동하게 된다.Afterwards, as the opening signal of the car door is generated by detection by the non-city position detection sensor, the driving device for opening related to this is operated.
이때, 도 4에서, 승강장 래치후크(124)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서 승강장도어 록킹장치(120)의 언록킹푸셔(122)(롤러형으로 설치되어 있음)가 록킹 밴날개(34)를 상승위치로 가압하여 주게된다. 이때 록킹 밴날개(34)는 록킹링크(34a)의 회전궤적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록킹밴날개(34)가 힌지로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 회동록킹편(36)을 밀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하여 록킹레치(32) 로부터 결합이 해제되어, 도어를 열수 있는 상태가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in Fig. 4, when the engagement state of the platform latch hook (124) is released, the unlocking pusher (122) (installed in a roller type) of the platform door locking device (120) presses the locking vane (34) to the rising position. At this time, the locking vane (34) rotates clockwise along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locking link (34a), thereby pushing the coupled rotating locking piece (36) so that the locking vane (34) can rotate as a hinge, thereby releasing the engagement from the locking latch (32), and allowing the door to be opened.
이후,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는 승강장 제1도어와 승강장 제2도어와 함께 열릴수 있는 상태가 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1카도어(14)의 이동초기에 안내롤러(47)는 밴캠(13)의 가이드부(13a)를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 가동 밴날개(44)는 하방으로 회전하고 언록킹푸셔(122)는 가동 밴날개(44)와 록킹 밴날개(34)에 의하여 그립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카도어(14)와 함께 개방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After that,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re opened together with the first platform door and the second platform door, and move in opposite direc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movement of the first car door (14), the guide roller (47) moves along the guide part (13a) of the van cam (13), so that the movable vane (44) rotates downward, and the unlocking pusher (122) maintains the grip state by the movable vane (44) and the locking vane (34), and moves to the opening position together with the first car door (14).
이러한 구성으로 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에 도착하였을 때 언로킹푸셔(122)가 록킹 밴날개(34)를 밀어올려주는 힘 만으로 전술한 회동록킹편(36) 등으로 구성된 제1카도어(14) 및 제2카도어(16)의 록킹장치(120)를 해제하여야 하였는데, 상기 록킹 밴날개(34)의 회전이 잘 안되어서 록킹장치(120)의 해제가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 conventional elevator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elevator car arrives at the platform, the locking device (120) of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which are configured with the aforementioned rotating locking piece (36), must be released only by the force of the unlocking pusher (122) pushing up the locking vane (34). Howev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locking device (120) could not be released because the locking vane (34) did not rotate properly.
예를들어 록킹 밴날개(34)의 작동과 연관된 부품으로서, 힌지, 베어링, 스프링, 링크의 접동부 등이 습기로 부식되거나 노후화로 인하여 부하가 많이 걸리기도 하는 원인으로, 상대적으로 언로킹푸셔(122)의 미는 힘이 부족하게 되면, 즉 록킹장치(120)의 언록킹푸셔(122)(롤러형으로 설치되어 있음)가 록킹 밴날개(34)를 상승위치로 가압하여 주어야하지만, 힘이 부족하면, 록킹 밴날개(34)는 록킹링크(34a)의 회전궤적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록킹밴날개(34)가 힌지로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 회동록킹편(36)을 밀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하여 록킹레치(32) 로부터 결합이 해제되어야 하지만 힘의 부족으로 인하여 해제가 되지 못하므로, 도어를 열수 없는 상태가되는 것이다. For example, if the part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vane (34), such as the hinge, bearing, spring, and link joints, are corroded by moisture or subjected to a lot of load due to aging, and the pushing force of the unlocking pusher (122)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at is, the unlocking pusher (122) of the locking device (120) (installed in a roller shape) must press the locking vane (34) to the rising position, but if the force is insufficient, the locking vane (34) rotates clockwise along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locking link (34a), and pushes the rotating locking piece (36) coupled so that the locking vane (34) can rotate with the hinge, thereby disengaging from the locking latch (32), but since the disengagement is not achieved due to insufficient force, the door cannot be opened.
따라서 록킹장치(120)의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회동록킹편(36)이 록킹레치(32)에 걸린 상태에서 카도어를 여는 동작만 반복하는 등 갇힘 사고가 발생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locking device (120) was not released and the rotation locking piece (36) was caught in the locking latch (32), so the door was only repeatedly opened, resulting in an entrapment accident.
또한, 상기 언로킹푸셔(122)의 경우 승강장 도어측에 설치되는데, 상기 언로킹 푸셔(122)의 이동경로(레일)상에 이물질이 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카가 닫힘상태에서 정위치에 있지 못하기도 하고, 롤러형태로 된 언로킹푸셔(122)가 먼지 등으로 오염되었을 경우에도 갇힘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unlocking pusher (122), i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elevator door. If there is a foreign substance on the movement path (rail) of the unlocking pusher (122), the elevator car may not be in the correct position when closed, and if the roller-shaped unlocking pusher (122) is contaminated with dust, etc., an entrapment accident may occur.
이러한 경우에 엘리베이터카를 닫는 시점이 되었을 때 승강장도어의 홈이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파인 레일에 이물질이 많이 쌓여 있을 경우 승강장 도어는 닫히지 않고, 록킹장치(120)는 작동이 완료되어 잠기고, 또는 승강기 도어의 회동록킹편(36)이 록킹레치(32)에 잠기고, 도어(승강장, 승강기)는 이물질로 인하여 닫힘이 완성되지 않아 센서에 감지되어 오작동 신호를 울려주며, 작동사고가 발생이 되며, 또 다른 원인으로는 언로킹푸셔(122)가 록킹 밴날개(34)를 밀어주는 힘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승객의 닫힘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In such a case, when it is time to close the elevator car, if there is a lot of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the fine rail where the door of the landing door opens and closes, the landing door does not close, the locking device (120) is locked after operation is completed, or the rotating locking piece (36) of the elevator door is locked in the locking latch (32), and the door (landing, elevator) is not completely closed due to the foreign matter, which is detected by the sensor and a malfunction signal is sounded, causing an operation accident. Another cause is that the force of the unlocking pusher (122) to push the locking vane (34) is not sufficiently transmitted, which causes a closing accident for passenger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승강구에 도착하였을 때 언로킹푸셔와 함께 록킹 밴날개를 강제적으로 신속하게 밀어올려 줄수 있도록 가동 밴날개에 보조링크를 포함하는 새로운 구성을 추가하여 록킹장치의 록킹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승객의 갇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림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elevator door unlocking auxiliary device which can smoothly unlock a locking device and prevent passengers from being trapped by adding a new configuration including an auxiliary link to a movable vane so that the locking vane can be forcibly and quickly pushed up together with an unlocking pusher when the elevator car door arrives at a landing,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엘리베이터카의 좌우로 개폐되는 한 쌍의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 중에서 상기 제1카도어(14)에 장착된 베이스(22);A base (22) mounted on the first car door (14) among a pair of first car doors (14) and second car doors (16) that open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elevator car;
상기 제2카도어(16)에 장착된 록킹래치(32);A locking latch (32) mounted on the second car door (16);
상기 베이스(22)에 한쌍의 록킹링크(34a)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개방될 때에 승강장도어 록킹장치(120)의 언록킹 푸셔(122)에 의해 상승하는 록킹 밴날개(34);A locking vane (34) that is movably connected to the above base (22) by a pair of locking links (34a) and is raised by the unlocking pusher (122) of the platform door locking device (120) wh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re opened;
상기 베이스(22)와 상기 록킹 밴날개(34)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록킹 밴날개(34)의 승강에 따라 상기 록킹래치(32)에 결합해제되거나 결합되는 회동록킹편(36); A rotating locking piece (36) that is hinge-connected to the above base (22) and the above locking vane (34) and is engaged or disengaged with the locking latch (32)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above locking vane (34);
상기 록킹 밴날개(34)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하며 상기 베이스(22)에 한쌍의 가동링크(44a)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 밴날개(44);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movable vane (44) that is installed in a position facing the above locking vane (34) and is connected to the base (22) so that it can be lifted by a pair of movable links (44a);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탑프레임(12)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브라켓(250);A guide bracket (250) fixedly installed on the top frame (12) of the above elevator car;
상단에 가이드롤러(240)를 구비하며 하단은 가동 밴날개(44)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22)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링크(200)로 구성하여,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개방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에서 이탈하면서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하강하여 상기 언록킹 퓨셔(122)를 밀어주고, 상기 언록킹 퓨셔(122)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록킹 밴날개(34)를 상승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가 제공된다.An elevator door lock release auxiliary device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roller (240) at the top, an auxiliary link (200) connected to a movable vane (44) at the bottom and rotatably installed as a hinge on the base (22), so that wh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re opened, the guide roller (240) is separated from the guide bracket (250), the movable vane (44) descends to push the unlocking pusher (122), and the locking vane (34) can be pressed in an upward direction using the unlocking pusher (122) as a medium.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은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251)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롤러(240)의 진입 후에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조링크(200)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guide bracket (250)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guide groove (25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roller (240) enters, so that the auxiliary link (200) can rot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vane (44) rises after the guide roller (240) enters.
상기 가이드홈(251)의 상단 입구에 상기 가이드브라켓(250)과 일체로 가압돌기(252)를 형성하여, 상기 가압돌기(252)는 평상시에 가이드롤러(240)와 닿지 않고 작동하는 것으로, 초기의 설치 가동할 때나, 이상 현상이 있을 경우, 가동밴날개(44)의 자중과 스프링의 힘의 균형이 맞지 않도록 과하게 텐션을 주어 설치되는 잘못으로 도어가 열리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할시 안내롤러(47)이 가압돌기에 걸려서 강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며, A pressure projection (25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guide bracket (250) at the upper entrance of the guide home (251), so that the pressure projection (252) operates without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guide roller (240) during normal operation. When the door is opened due to an error in which excessive tension is applied so that the weight of the movable vane (44) and the force of the spring are not balanced, the guide roller (47) is caught on the pressure projection and is forced to rotate clockwise.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으로 부터 이탈하면서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하강할 때, 상기 가이드롤러(240)의 상단부와 접촉함으로서 상기 보조링크(200)의 초기 회동력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guide roller (240) is separated from the guide home (251) and the movable vane (44) is lowered, the initial rotational force of the auxiliary link (200) can be increased by making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guide roller (240).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가 닫힐 때 중앙지점으로 부터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이 각각 일정 거리이격된 위치에 도달할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진입하여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끝단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 닿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들어가기 시작하여 일정거리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상부가이드브라켓(254)과 측부가이드브라켓(256) 접하게되어 정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브라켓(250)의 설치 위치와 상기 가이드홈(251)의 길이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re closed, the guide roller (240) enters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bracket (250) and, when the gap betwe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reaches a position where the gap i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and the guide roller (240)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curved guide bracket (258) without transmitting force, the guide roller (240) begins to enter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bracket (250) and, when moved a certain distance, the guide roller (2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guide bracket (254) and the side guide bracket (256) of the guide bracket (250) and stops,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guide bracket (250) and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251) are set so that the guide roller (240) can be stopped.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이 각각 ④ 의 위치에 도달할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진입하여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끝단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들어가기 시작하여 ①의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상부가이드브라켓(254)과 측부가이드브라켓(256) 접하게되어 정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브라켓(250)의 설치 위치와 상기 가이드홈(251)의 길이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gap betwe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reaches the position ④, the guide roller (240) enters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bracket (250) and touches the end of the curved guide bracket (258), and when the guide roller (240) starts to enter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bracket (250) and moves to the position ①, the guide roller (24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guide bracket (250) and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251) are set so that the guide roller (240)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guide bracket (254) and the side guide bracket (256) of the guide bracket (250) and stop.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이 각각 ④ 의 위치에서 ②위치에 도달할 때 까지, 가동밴날개(44)가 언록킹푸셔(122)를 접하고 미는힘을 발생하여 이물질로 인하여 록킹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를 닫히도록 밀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vane (44) contacts the unlocking pusher (122) and generates a pushing force until the gap betwe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reaches position ② from position ④, thereby pushing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which may be locked due to foreign substances, to close.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과 가이드브라켓(250)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간격은 각각 ④의 위치에서 ③ 까지는 5mm, ③의 위치에서 ② 까지는 5 ~ 8mm 이며, ②의 위치에서 ① 까지는 7 ~10mm 로, ④의 위치에서 ① 까지는 20mm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vals represen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ard door (14) and the second card door (16)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guide bracket (250)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5 mm from position ④ to ③, 5 to 8 mm from position ③ to ②, 7 to 10 mm from position ② to ①, and 20 mm from position ④ to ①.
상기 보조링크(200)는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와 제3링크(230)를 차례로 연결한 3절링크식으로 구성하되, The above auxiliary link (200) is configured as a three-section link by sequentially connecting the first link (210), the second link (220), and the third link (230).
상기 제1링크(210)는 상단에 상기 가이드롤러(240)를 설치하는 상태로 상기 베이스(22)에 힌지로 연결하고, The above first link (210) is connected to the base (22) with a hinge while the guide roller (240) is installed at the top.
상기 제3링크(230)의 끝단이 상기 가동 밴날개(44)와 연결된 가동링크(44a) 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가동링크(44a)에 가동링크(44a)가 베이스(22)에 결합된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일체로 가동링크(44a)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d of the third link (2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ovable link (44a) selected from among the movable links (44a) connected to the movable vane (44) so that the movable link (44a) can rotate around a hinge connected to the base (22).
일단은 상기 제1링크(2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22)에 고정되는 밸런스스프링(260)을 구비하여, 상기 가동 밴날개(44)의 하강속도를 조절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balance spring (260) that is fixed at one end to the first link (210) and the other end to the base (22), thereby controlling the descending speed of the movable vane (44), and at the same time, ensuring that the guide roller (240) is stably seated in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bracket (250).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승강구에 도착하였을 때 록킹 밴날개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가압하여 밀어올려 줄수 있도록 가동 밴날개에 간단한 구성의 보조링크를 추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록킹장치의 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 지게 되고, 록킹 밴날개를 도어가 거의 닫힐 때까지 부가적으로 밀어 확실하게 가압하여 승객의 갇힘사고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mple auxiliary link is added to a movable vane so that the locking vane can be quickly and reliably pushed up by pressurizing when the elevator car door arrives at the landing, thereby smoothly releasing the elevator locking device and significantly reducing passenger entrapment accidents by additionally pushing and reliably pressurizing the locking vane until the door is almost closed.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림장치와 록킹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리장치와 록킹장치의 주요구성을 확대한 정면도.
도 3은 도 1에서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에 도착하였을 때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카의 열리는 상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림 보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6은 도 5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주요구성의 작동상태로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브라켓(250)에 근접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7은 도 5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주요구성의 작동상태로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 내의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끝단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 닿아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8은 도 5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주요구성의 작동상태로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 내의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끝단에 올라 접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9는 도 5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주요구성의 작동상태로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 내의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과 접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10은 도 5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주요구성의 작동상태로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브라켓(250)의 측부가이드브라켓(256)과 상부가이드브라켓(254)에 접하여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11 및 도 12는 도 5에서 엘리베이터카가 열리는 상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Figure 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elevator door locking release device and locking device.
Figure 2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elevator door locking pulley device and locking device in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when the elevator car in Figure 1 arrives at the platform.
Figure 4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car in the open state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door lock releas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n which the guide roller (240) is close to the guide bracket (250).
FIG. 7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n which the guide roller (240)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curved guide bracket (258) within the guide groove (251) without force being transmitted thereto.
FIG. 8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n which the guide roller (2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curved guide bracket (258) within the guide groove (251).
Figure 9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5, in which the guide roller (240) is in contact with the curved guide bracket (258) within the guide groove (251).
FIG. 10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n which the guide roller (240) is connected to the side guide bracket (256) and the upper guide bracket (254) of the guide bracket (250).
Figures 11 and 12 are front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car in the open state in Figure 5.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urpos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attached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so that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or example, since the embodiments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may tak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m or only include such effect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n this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so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erefore,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s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All term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evant technology,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 중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identical to those in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by assigning the same symbols to them.
통상적으로, 건물의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따라 승강되는 엘리베이터카의 상단부에 탑프레임(12)이 구비되고, 탑프레임(12)에는 좌우 한 쌍의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엘이베이터카의 출입구를 개폐한다. 엘리베이터카에 구비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승강장에 설치(홀에 설치)된 좌우 양쪽 승강장 제1도어와 승강장 제2도어와 만나도록 엘리베이터카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승강장 제1 도어와 승강장 제2 도어와 함께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같이 열리게 된다.Typically, a top frame (12)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an elevator car that goes up and down along the elevator shaft of a building, and a pair of first car doors (14) and second car doors (16) on the left and right are slidably supported on the top frame (12), so that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open and close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car. When the elevator car is stopped so that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provided on the elevator car meet the first and second landing doors (installed in the hall)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anding, the first and second landing doors (14) and the second landing door (16) open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landing doors.
또한, 종래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는 엘리베이터카의 좌우로 개폐되는 한 쌍의 카도어 중에서 한쪽의 제1카도어(14)에 장착된 베이스(22)와, 다른 쪽의 제2카도어(16)에 장착된 록킹래치(32)와, 제1카도어(14)에 승강 및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록킹 밴날개(34)와, 힌지부에 의해 베이스(22)에 연결되고 록킹 밴날개(34) 연결 힌지부에 의해 상기 록킹 밴날개(34)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회동 록킹편(36)을 구비한다.In addition, as in the past, the elevator door lock release auxiliary device comprises a base (22) mounted on a first car door (14) of one of a pair of car doors that open and clos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n elevator car, a locking latch (32) mounted on a second car door (16) of the other side, a locking vane (34)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car door (14) so as to be able to move in the up and down and width directions, and a rotating locking piece (36) that is connected to the base (22) by a hinge portion and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locking vane (34) by a locking vane (34) connection hinge portion.
상기 록킹 밴날개(34)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회동록킹편(36)이 회동하면서 록킹래치(32)와의 결합이 해제되거나 걸림상태(록킹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s the above locking vane (34) rises or lowers, the rotating locking piece (36) rotates so that the engagement with the locking latch (32) is released or put into a locked state (locked state).
또한, 승강장 도어 상부에는 승강장 도어 장치(홀도어 장치)가 구비된다.Additionally, a platform door device (hall door device)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platform door.
상기 승강장 도어 장치는 승강장 입출구의 상부에 구비된 승강장 도어 메인 프레임(110)과, 이 승강장 도어 메인 프레임(110)의 도어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좌우 한 쌍의 승강장 제1 도어행거(111)와 승강장 제2 도어행거(112)를 포함하며, 좌우 한 쌍의 승강장 제1 도어행거(111)와 승강장 제2 도어행거(112)에 좌우 한 쌍의 승강장 도어(도시 생략)가 연결된다. 승강장 제1 도어행거(111)과 승강장 제2 도어행거(112)에 승강장 제1 도어와 승강장 제2 도어가 연결된다. 승강장 도어 장치의 한쪽의 승강장 제1 도어행거(111)에 구비된 승강장 도어 록킹장치(120)는 다른 쪽의 승강장 제2 도어행거(112)에 구비된 승강 래치후크(124,홀도어 래치)에 걸려져서 좌우 승강장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승강장 도어 록킹장치(120)에는 언록킹 푸셔(122)가 구비된다.The above-described platform door device includes a platform door main frame (11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form entrance/exit,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platform first door hangers (111) and a platform second door hanger (112) slidably connected to the door rail of the platform door main frame (110). A pair of left and right platform doors (not shown)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platform first door hangers (111) and the platform second door hangers (112). The platform first door and the platform second door are connected to the platform first door hangers (111) and the platform second door hangers (112). The platform door locking device (120) provided on the first platform door hanger (111) of one side of the platform door device is caught on the platform latch hook (124, hall door latch) provided on the second platform door hanger (112) of the other side, thereby keeping the left and right platform doors closed. The platform door locking device (120) is provided with an unlocking pusher (122).
한편,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 도어 위치로 이동(카도어가 승강장 도어와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22)에 구비된 록킹 밴날개(34)와 가동 밴날개(44) 사이로 승강장 도어 록킹장치(120)의 언록킹 푸셔(122)가 들어오게 되어 있다. 상기 승강장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구비된 승강장 제1 도어와 승강장 제2 도어를 열고 닫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장 도어 장치에 의해 승강장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은 공지의 장치를 채용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when the elevator car moves to the landing door position (the car door moves to the position facing the landing door), the unlocking pusher (122) of the landing door locking device (120) is inserted between the locking vane (34) and the movable vane (44) provided on the base (22). The landing door device opens and closes the landing first door and the landing second door provided on the elevator landing, and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landing door by this landing door device employs a known devic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탑프레임(12)에 가이드브라켓(250)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보조링크(200)의 상단에는 가이드롤러(240)를 구비하며 보조링크(200)의 하단은 상기 가동 밴날개(44)와 연결된 가동링크(44a) 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가동링크(44a)에 가동링크(44a)가 베이스(22)에 결합된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일체로 가동링크(44a)에 결합하며, 가동링크(44a)에 가동 밴날개(44)가 힌지로 연결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bracket (25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top frame (12) of the elevator car, a guide roller (240)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link (200), and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link (200) is connected to one movable link (44a) selected from among the movable links (44a) connected to the movable vane (44) so that the movable link (44a) can rotate based on a hinge connected to the base (22), and the movable vane (44) is connected to the movable link (44a) by a hinge.
상기 보조링크(200)는 상기 베이스(22)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개방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에서 이탈하면서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상기 언록킹 퓨셔(122)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록킹 밴날개(34)를 상승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above auxiliary link (200) is installed rotatably as a hinge on the base (22), and is configured so that wh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re opened, the guide roller (240) is separated from the guide bracket (250), and the movable vane (44) can press the locking vane (34) upwardly using the unlocking pusher (122) as a medium.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은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251)을 형성하는데,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 하단의 형상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상승하게 된다. The above guide bracket (250) forms a guide groove (25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roller (240) enters. When the guide roller (240) enters the guide groove (251), the guide roller (240) is guided along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guide groove (251), causing the movable vane (44) to rise.
또한, 상기 가이드홈(251)의 상단 입구에는 상기 가이드브라켓(250)과 일체로 가압돌기(252)를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가압돌기(252)는 평상시에 가이드롤러(240)와 닿지 않고 작동하는 것으로, 초기의 설치 가동할 때나, 이상 현상이 있을 경우, 가동밴날개(44)의 자중과 스프링의 힘의 균형이 맞지 않도록 과하게 텐션을 주어 설치되는 잘못으로 도어가 열리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할시 안내롤러(47)이 가압돌기에 걸려서 강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며, 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pressure projection (25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guide bracket (250) at the upper entrance of the guide home (251) is that the pressure projection (252) operates without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guide roller (240) in normal times, and when the door is opened due to an error in which excessive tension is applied so that the weight of the movable vane (44) and the force of the spring are not balanced, the guide roller (47) is caught on the pressure projection and is forced to rotate clockwise.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으로 부터 이탈하면서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하강할 때, 상기 가이드롤러(240)의 상단부에 부딪히면서 다소 충격이 가해짐으로 가이드롤러(240)가 하방으로 움직이면, 보조링크(200)들의 작용에 의하여 가동밴날개(44)를 가동링크(44a)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밴날개(44)가 언록킹푸셔(122)를 충격적으로 밀게 된다. When the above guide roller (240) is detached from the guide home (251) and the above movable vane (44) descends, it hits the upper part of the guide roller (240) and a certain amount of impact is applied, so that the guide roller (240) moves downward. As a result, the movable vane (44) rotates clockwise by the action of the auxiliary links (200), and the movable link (44a) of the movable vane (44) shockingly pushes the unlocking pusher (122).
따라서 상기 보조링크(200)의 회동력이 증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uxiliary link (200) increases.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은 엘리베이터카의 닫힘동작시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이 닫힘위치전 각각 20mm 도달할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진입하는 위치인 도 7에서 가이드롤러(240)의 일측면이 가이드브라켓끝단(259)에 접하도록 도달하게 되며, The above guide bracket (250) reaches a position where the guide roller (240) enters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bracket (250) when the gap betwe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reaches 20 mm before each closing position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and one side of the guide roller (240) reaches the end (259) of the guide bracket at FIG. 7, which is the position where the guide roller (240) enters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bracket (250).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이 닫힘위치전 각각 7 ~10mm 에 도달 되었을때 가동밴날개(44)가 상부로 회동하기 시작하여 가동밴날개(44)가 언록킹푸셔(122)를 접하여 밀어주다가 가동밴날개(44)가 언록킹푸셔(122)에서 떨어지기 시작하고, When the gap betwe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reaches 7 to 10 mm before the closing position, the movable vane (44) begins to rotate upwards, and the movable vane (44) pushes the unlocking pusher (122) by contacting it, and then the movable vane (44) begins to separate from the unlocking pusher (122).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이 닫힘위치인 각각 0mm 도달할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진입하는 위치인 도 10에서 가이드롤러(240)의 일측면이 수직부가이드브라켓(256)과 상부가이드브라켓(254)에 접하도록 도달하게 되어 정지될 수 있도록 위치설정함과 동시에 가이드홈(251)의 길이를 설계하였다.When the gap between the first door (14) and the second door (16) reaches the closing position of 0 mm, the guide roller (240) is positioned so that it can be stopped by reaching a position where one side of the guide roller (2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vertical guide bracket (256) and the upper guide bracket (254) at the position where it enters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bracket (250) as shown in Fig. 10, and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251) is designed.
따라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브라켓(250)에 안착할 때 또는 이탈할 때 마다 보조링크(200)가 회전하면서 가동 밴날개(44)의 빠른 상승과 하강동작이 이루어지게 되고 엘리베이이터카 도어의 담힘동작과 열림동작시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whenever the guide roller (240) is installed or removed from the guide bracket (250), the auxiliary link (200) rotates, causing rapid rising and falling motions of the movable vane (44), and the closing and opening motions of the elevator car door are smoothly performed.
본 발명에 예시한 상기 보조링크(200)는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와 제3링크(230)를 차례로 연결한 3절링크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1링크(210)의 상단에 상기 가이드롤러(240)를 설치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22)에 힌지로 연결하고, 상기 제3링크(230)는 상기 가동 밴날개(44)와 연결된 가동링크(44a)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일체로 결합하면 된다. The auxiliary link (200) exempl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three-section link type in which a first link (210), a second link (220), and a third link (230) are sequentially connected. At this time, the guide roller (24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link (210) and connected to the base (22) by a hinge, and the third link (230) is selected from among the movable links (44a) connected to the movable vane (44) and joined as one piece.
상기 제3링크(230)의 하부에 두개의 리벳으로 상기 가동 밴날개(44)와 연결된 아래 가동링크(44a)에 일정각도 기울여서 가동링크(44a) 중앙부에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 At the lower part of the third link (230), the lower movable link (44a) connected to the movable vane (44) is tilted at a certain angle and integrally joined to the center of the movable link (44a) with two rivets.
본 발명에 구비되는 밸런스스프링(260)은 상기 가동 밴날개(44)와 보조링크(200)의 하중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제1링크(2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22)에 고정된다. 즉, 보조링크(200)에 비하여 가동 밴날개(44)의 하중이 지나치게 크면 가이드브라켓(250)에서 가이드롤러(240)의 이탈동작시 가동 밴날개(44)의 하강속도가 너무 빠르고 가속도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밸런스스프링(260)은 가동 밴날개(44)의 부드러운 하강을 위하여 필요하기도 하다. The balance spring (260)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ively installed considering the load of the movable vane (44) and the auxiliary link (200), and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link (21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base (22). That is, if the load of the movable vane (44) is excessively large compared to the auxiliary link (200), the descending speed of the movable vane (44) becomes too fast and acceleration occurs when the guide roller (240) is detached from the guide bracket (250). Therefore, the balance spring (260) is also necessary for the smooth descending of the movable vane (44).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안착하였을 때, 상기 밸런스스프링(260)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홈(251)의 내측방향으로 수평분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이탈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guide roller (240) is seated in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bracket (250), the guide roller (240) is subjected to a horizontal force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251) by the balance spring (260), thereby preventing it from coming off even if an impact is transmitted.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카의 급정지, 정전시에 어느 정도 충격력이 보조링크(200)로 전달되어 가동 밴날개(44)개가 하강하게 되면 승객이 엘리베이터카를 임의로 열수 있게 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밸런스스프링(260)으로 가동밴날개(44)와 연결된 구성의 무게를 상쇄하여 자중이나 충격에 의하여 가동밴날개(44)가 언록킹푸셔(122)를 밀수 없도록 밸런스스프링(260)의 텐션을 조절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event of a sudden stop or power outage of an elevator car, a certain amount of impact force is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link (200) and the movable vane (44) descends, so that a passenger may open the elevator car at will. In order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the weight of the component connected to the movable vane (44) is offset by the balance spring (260) so that the movable vane (44) does not push the unlocking pusher (122) due to its own weight or impact. This can be done 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balance spring (260)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door lock release auxili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described as follows.
도 5는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닫힌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카가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고 승강장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5 shows a state where an elevator car moves along a hoistway and reaches a platform while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re closed.
도 5 내지 도 10에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닫히는 작동을 도면들을 바탕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first card door (14) and the second card door (16) in FIGS. 5 to 10 will be explained based on the drawings.
도 6은 도 5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주요구성의 작동상태로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브라켓(250)의 측부가이드브라켓(256)과 상부가이드브라켓(254)에 근접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며,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5, in which the guide roller (240) is close to the side guide bracket (256) and the upper guide bracket (254) of the guide bracket (250).
도 7은 도 5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주요구성의 작동상태로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 내의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끝단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 닿아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FIG. 7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n which the guide roller (240)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curved guide bracket (258) within the guide groove (251) without transmitting force.
승강장 도어와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는 싱크로나이즈되어 있어 같이 움직이므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움직임이 승강장 도어로 동일시 하여도 무방하다. The platform door and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re synchronized and move together, so the movements of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can be considered identical to those of the platform door.
도 6은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닫히는 작동을 위하여,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마주하며 가까워지고 있는 형상이고, Figure 6 is a shape in which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re facing each other and approaching each other for the operation of closing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마주하며 조금더 가까워지면, 도 7의 도면과 같은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 내의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끝단을 올라 타고 접한 상태가 되는 것으로, 이 때에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맞닫는 부분의 위치가 ④의 위치이며, 이때의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간격은 40mm 가되며, ④의 위치에서 ①과의 거리는 20mm가 된다. Wh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face each other and come a little closer, the guide roller (240) as shown in the drawing of Fig. 7 rides up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curved guide bracket (258) in the guide groove (251).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closing portion of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is at position ④, and the gap betwe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t this time is 40 mm, and the distance from position ④ to ① is 20 mm.
가이드브라켓(250)에 표기된 표기 ①②③④는 베이스측면라인(280)을 연장한 연장선을 표기한 것으로, 위에서 본 형상으로 도시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움직이면서 표기된 ①②③④와 싱크로나이즈(synchronize)되어 같이 동시에 움직이는 것을 나타내며, 같은 번호는 순차적으로 동일한 순간에 움직인 위치를 나타낸다. The notations ①②③④ marked on the guide bracket (250) indicate an extension line of the base side line (280), and indicate that the first card door (14) and the second card door (16) shown in the shape as seen from above mov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notations ①②③④ and move simultaneously, and the same number indicates the position that moved sequentially at the same moment.
카도어를 록킹하는 회동록킹편(36)과 승강장도어의 잠금장치인 승강장도어래치(120)는 도 6과 도 7에서는 아직 열려 있는 위치에 있게된다. The rotary locking piece (36) that locks the car door and the platform door latch (120), which is a locking device for the platform door, are still in the open position in FIGS. 6 and 7.
도 7의 도면에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마주하며 조금더 가까워지면, 도 8의 형상이 되는 것으로, 가이드롤러(24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가이드홈(251) 내의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끝단을 올라 타고 접하여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 7에서의 위치보다 약간 상승하게되는 형상으로, 이 때에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맞닫는 부분의 위치가 ③의 위치이며,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간격은 30mm 가되며, ③의 위치에서 ①과의 거리는 15mm가 된다. In the drawing of Fig. 7, wh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face each other and come a little closer, the shape of Fig. 8 is formed, in which the guide roller (240) moves to the right, rides up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curved guide bracket (258) in the guide groove (251), moves to the right, and rises slightly higher than the position in Fig. 7.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closing portion of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is position ③, the gap betwe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is 30 mm, and the distance from position ③ to ① is 15 mm.
카도어를 록킹하는 회동록킹편(36)과 승강장도어의 잠금장치인 승강장도어래치(120)는 도 8에서 나타나듯이 모두 이동하여 잠겨있는 위치에 있게되며, 록킹밴 날개(34)는 약간 상부로 이동은 하였으나 아직 언록킹 푸셔(122)를 접하여 밀어주고 있는 상태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도어의 안내 홀에 외부의 이물질이 끼어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부하를 걸거나, 작동하는 부품들이 녹이슬거나, 오래사용에 의한 부품의 마모에 의하여 부하가 걸리더라도, 일정 부하를 이기고 도어가 닫칠수 있도록 부가적으로 도어가 닫칠수 있도록 가해지는 힘의 부가할 수있는 구조이다. As shown in FIG. 8, the rotary locking piece (36) that locks the car door and the car door latch (120), which is the locking device of the car door, are both moved to the locked position, and the locking vane wing (34) is slightly moved upward but is still in a state of contacting and pushing the unlocking pusher (122). This structure is capable of additionally applying force so that the door can be closed by overcoming a certain load even if a load is applied due to an external foreign substance getting caught in the door guide holes of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to prevent movement, or if the operating parts are rusted or the parts are worn out due to long-term use.
이때에 록킹밴 날개(34)를 도어가 완전히 닫힐 위치까지 근접하도록 언록킹 푸셔(122)를 밀어주어 도어의 잠금장치는 잠기고 도어가 닫히지 않는 사고가 일어날수 있는 확율을 현저하게 줄여주는 구조인 것이다. At this time, the unlocking pusher (122) is pushed so that the locking vane (34) approaches the position where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so that the door lock is locked and the probability of an accident occurring where the door does not close is significantly reduced.
도 8의 도면에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마주하며 조금더 가까워지면, 도 9의 형상이 되는 것으로, 가이드롤러(24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가이드홈(251) 내의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올라 타고 접하며 상승하여 도 8에서의 위치보다 약간 상승하게되는 형상으로, 이 때에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맞닫는 부분의 위치가 ②의 위치이며,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간격은 14 ~ 20mm 가되며, ②의 위치에서 ①과의 거리는 7~10mm가 된다. In the drawing of Fig. 8, wh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face each other and come a little closer, the shape of Fig. 9 is formed, and the guide roller (240) moves to the right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urved guide bracket (258) in the guide groove (251) and rises to a shape that is slightly higher than the position in Fig. 8.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closing portion of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is position ②,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is 14 to 20 mm, and the distance from position ② to position ① is 7 to 10 mm.
카도어를 록킹하는 회동록킹편(36)과 승강장도어의 잠금장치인 승강장도어래치(120)는 도 9에서 나타나듯이 모두 이동하여 잠겨있는 위치에 있게되며, 록킹밴 날개(34)는 약간 상부로 이동은 하였으나 아직 언록킹 푸셔(122)를 접하여 밀어주고 있는 상태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도어의 안내 홀에 외부의 이물질이 끼어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부하를 걸거나, 작동하는 부품들이 녹이슬거나, 오래사용에 의한 부품의 마모에 의하여 부하가 걸리더라도, 일정 부하를 이기고 도어가 닫칠수 있도록 부가적으로 도어가 닫칠수 있도록 가해지는 힘의 부가할 수있는 구조이다. As shown in FIG. 9, the rotary locking piece (36) that locks the car door and the car door latch (120), which is the locking device of the car door, are both moved to the locked position, and the locking vane wing (34) is slightly moved upward but is still in a state of contacting and pushing the unlocking pusher (122). This structure is capable of additionally applying force so that the door can be closed by overcoming a certain load even if a load is applied due to an external foreign substance getting caught in the door guide holes of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to prevent movement, or if the operating parts are rusted or the parts are worn out due to long-term use.
도 9의 도면에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마주하며 조금더 가까워지면, 가이드롤러(240)가 도 9에서의 위치보다 약간 상승하게되는 형상으로, 도 10의 형상이 되는 것으로, 가이드롤러(24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가이드홈(251) 내의 상부가이드브라켓(254)과 측부가이드브라켓(256)과 접하며 정지하여 도 10에서의 형상으로, 이 때에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맞닫는 부분의 위치가 ①의 위치이며,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간격은 0mm 가되며, ①의 위치에서 ①과의 거리는 0mm가 된다. In the drawing of Fig. 9, wh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face each other and come a little closer, the guide roller (240) is shaped to rise slightly higher than the position in Fig. 9, and becomes the shape in Fig. 10. The guide roller (240) moves to the right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guide bracket (254) and the side guide bracket (256) in the guide groove (251) and stops, becoming the shape in Fig. 10.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closing portion of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is position ①, the gap betwe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is 0 mm, and the distance from position ① to ① becomes 0 mm.
카도어를 록킹하는 회동록킹편(36)과 승강장도어의 잠금장치인 승강장도어래치(120)는 도 10에서 나타나듯이 모두 잠겨있는 위치에 있게되며, 록킹밴 날개(34)는 상부로 이동은 하여 언록킹 푸셔(122)와 이격되어 있는 상태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에 도어가 닫칠수 있도록 부가적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구조이다. As shown in Fig. 10, the rotary locking piece (36) that locks the car door and the car door latch (120), which is the locking device of the car door, are both in a locked position, and the locking vane wing (34) moves upward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nlocking pusher (122), so that no additional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so that the doors can be closed.
위의 설명과 반대로 도 10에서 부터 도 6을 순차적으로 역순으로 설명하면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잠겨있는 상태에서 열리는 상태를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Contrary to the above explanation, if Fig. 10 to Fig. 6 are sequentially explained in reverse order,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re opened while they are locked.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가동 밴날개(44)는 상승된 상태이고 록킹 밴날개(34)와는 일정간격을 두고 있다. 이때 록킹 밴날개(34)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한 상태이고 회동록킹편(36)은 록킹래치(32)와 결합된 상태로 되어있으므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는 닫힌상태를 유지하고 있는것이다.Since the guide roller (240) is seated in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bracket (250), the movable vane (44) is raised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vane (34). At this time, the locking vane (34)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and the rotating locking piece (36) is engaged with the locking latch (32), so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r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또한,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에 도착하게 되면 승강장도어 록킹장치(120)의 언록킹푸셔(122)는 가동 밴날개(44)와 록킹 밴날개(3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elevator car arrives at the platform, the unlocking pusher (122) of the platform door locking device (120) is positioned between the movable vane (44) and the locking vane (34).
이후, 도시하지 않은 위치감지 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카도어의 개방신호를 발생하게 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구동장치가 작동하게 된다.Afterwards, the opening signal of the car door is generated by detection by the non-city position detection sensor, and the related driving device is operated.
이때,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장 래치후크(124)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서 승강장도어 록킹장치(120)의 언록킹푸셔(122,롤러형)가 록킹 밴날개(34)를 상승위치로 가압하여 주는 동작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6 to 10, the engaging state of the platform latch hook (124) is released, and the unlocking pusher (122, roller type) of the platform door locking device (120) performs an operation of pressing the locking vane (34) to the rising position.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는 열리는 동작을 살펴보기 위하여, 도 10에서부터 도 6을 역순으로 살펴보면,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는 열리는 동작을 하게 되고 양측도어가 각각 20mm 정도 열렸을 때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으로부터 이탈되려고하는 상태를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도 6에서는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다. In order to examine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looking at FIG. 10 to FIG. 6 in reverse order,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open, and when the doors on both sides open by about 20 mm each, the state in which the guide roller (240) is about to be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bracket (250) can be confirmed in FIG. 7, and FIG. 6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guide roller (240) is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bracket (250).
가압돌기(252)는 평상시는 가이드롤러(240)와 닿지 않고 작동하는 것으로, 초기의 설치 가동할 때나, 이상 현상이 있을 경우, 가동밴날개(44)의 자중과 스프링의 힘의 균형이 맞지 않도록 과하게 텐션을 주어 설치되는 잘못으로 도어가 열리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할시 안내롤러(47)이 가압돌기에 걸려서 강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하는 것으로, 이탈 초기에 가이드롤러(240)의 상부면이 가압돌기(252)에 살짝 접촉되면서 하방으로 충격적인 힘이 작용하고, 이 충격적인 힘은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 및 구종 부품들이 마찰력을 이기고 움직일수 있는 힘을 주는 것이며, 3절링크식으로 된 보조링크(200)는 힌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The pressure projection (252) normally operates without contacting the guide roller (240), but when the door is opened and does not rotate clockwise due to an error in which excessive tension is applied during initial installation or in the event of an abnormality, such that the dead weight of the movable vane (44) and the force of the spring are not balanced, the guide roller (47) is caught on the pressure projection and is forced to rotate clockwise. In the initial stage of detach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oller (240) slightly contacts the pressure projection (252), and a shocking force is applied downward. This shocking force provides the first car door (14), the second car door (16), and the old parts with the force to overcome the frictional force and move, and the auxiliary link (200) of the three-section link type rotates clockwise around the hinge.
따라서 제3링크(230)와 연결되 가동링크(44a)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가동 밴날개(44)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어 가동링크(44a)가 수평으로되고 가동 밴날개(44)는 언록킹푸셔(22)를 가동밴날개(34)와 같이 밀어주는 형상이 되는것이다. Accordingly, the rotational power is transmitted to the movable link (44a) connected to the third link (230), and the movable vane (44)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movable link (44a) becomes horizontal and the movable vane (44) is shaped to push the unlocking pusher (22) together with the movable vane (34).
이때 밸런스스프링(260)은 인장 되면서 가동 밴날개(44)의 하강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게된다.At this time, the balance spring (260) is tensioned to maintain the descending speed of the movable vane (44) constant.
이와 같이, 가동 밴날개(44)가 하강함에 따라 가동 밴날개(44)는 록킹 밴날개(34)쪽으로 근접되고, 결국 가동 밴날개(44)가 언로킹푸셔(122)와 접촉하면서 동시에 록킹 밴날개(34)를 가압하여 주게 되므로 록킹 밴날개(34)를 강제로 밀어올려 주게 된다.In this way, as the movable vane (44) descends, the movable vane (44) approaches the locking vane (34), and eventually, as the movable vane (4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nlocking pusher (122), it simultaneously pressurizes the locking vane (34), thereby forcibly pushing up the locking vane (34).
이에 따라, 상기 록킹 밴날개(34)와 연동되는 회동록킹편(36)이 회전하면서 록킹래치(32)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풀림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 지며, 언로킹푸셔(122)와 한몸체로 이루어진 승강장도어 래치(120)도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승강장도어도 동시에 해제가 이루어 지게되는 것이다. Accordingly, as the rotating locking piece (36) linked with the locking vane (34) rotates, the engagement state with the locking latch (32) is released, and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re securely released, and the platform door latch (120), which is formed as one body with the unlocking pusher (122), is also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state, so that the platform door is simultaneously released.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후,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는 승강장 제1도어와 승강장 제2도어와 함께 열릴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1카도어(14)의 이동초기에 가이드롤러(240)는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서 이탈과 동시에 가동 밴날개(44)는 하방으로 신속하게 회전하고 언록킹푸셔(122)는 가동 밴날개(44)와 록킹 밴날개(34)에 의하여 그립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카도어(14)와 함께 개방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reafter,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re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y can be opened together with the first platform door and the second platform door. At the beginning of the movement of the first car door (14), the guide roller (240) is released from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bracket (250) and the movable vane (44) quickly rotates downward, and the unlocking pusher (122) maintains a gripping state by the movable vane (44) and the locking vane (34) and moves to the opening position together with the first car door (14).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에 도착하여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를 개방할 때 보조링크(200)가 언로킹푸셔(122)에 밀착하여 록킹 밴날개(34)를 강제로 밀어올려 주는 힘을 가하여 줌으로 제1카도어(14) 및 제2카도어(16)의 록킹장치(120)를 확실히 해제시켜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function of reliably unlocking the locking devices (120) of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by applying force to the auxiliary link (200) to forcibly push up the locking vane (34) by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nlocking pusher (122) when the elevator car arrives at the platform and opens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따라서, 록킹 밴날개(34)와 연관된 부품이 습기로 부식되거나 노후화로 인하여 초기설정한 허용값 보다 부하가 많이 걸리기더라도 록킹장치(120)의 해제가 이루어지게 됨으로 승객의 갇힘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even if the parts associated with the locking vane (34) are corroded by moisture or subjected to a load greater than the initially set allowable value due to aging, the locking device (120) is released,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involving passengers from being trapped in advance.
또한, 상기 언로킹 푸셔(122)의 이동경로상에 이물질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카가 닫힘상태에서 상기 언로킹푸셔(122)가 정위치에 있지 못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카를 여는 시점이 되었을 때 가동 밴날개(44)가 언로킹푸셔(122)를 매개체로 하여 록킹 밴날개(34)를 밀어주게 되므로 회동록킹편(36), 록킹래치(32) 등으로 구성된 통상의 도어록킹장치(120)의 해제를 원활하게 하여 승객의 갇힘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f a foreign substance is present on the path of the unlocking pusher (122), the unlocking pusher (122) may not be in the correct position when the elevator car is closed. Even in this case, when the elevator car is opened, the movable vane (44) pushes the locking vane (34) using the unlocking pusher (122) as a medium, thereby facilitating the release of a conventional door locking device (120) comprising a rotating locking piece (36), a locking latch (32), etc., thereby preventing passengers from being trapped.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a scope that does not chang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fully inform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refore should be understood to be exemplary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12; 탑프레임 13; 밴캠
13a; 상승가이드부 14; 제1카도어
16; 제2카도어 22; 베이스
32; 록킹레치 36; 회동록킹편
34; 록킹 밴날개 34a; 록킹링크
44; 가동 밴날개 44a; 가동링크
47; 안내롤러 110; 메인프레임
111; 승강장 제1도어행거 112; 승강장 제2도어행거
120; 승강장 도어 록킹장치
122; 언록킹 푸셔 124; 승강장 래치후크
200; 보조링크 210; 제1링크
220; 제2링크 230; 제3링크
240; 가이드롤러 250; 가이드브라켓
251; 가이드홈 252; 가압돌기
254; 상부가이드브라켓 256; 측부가이드브라켓
258; 곡면부가이드브라켓 259; 가이드브라켓 끝단
260; 밸런스스프링 270; 보조링크회동힌지
280; 베이스측면라인12; Top Frame 13; Van Cam
13a; Ascending guide section 14; First car door
16; 2nd Caddo 22; Base
32; Locking latch 36; Rotating locking section
34; Locking vane 34a; Locking link
44; movable vane 44a; movable link
47; Guide roller 110; Main frame
111; Platform 1st door hanger 112; Platform 2nd door hanger
120; Platform door locking device
122; Unlocking pusher 124; Platform latch hook
200; Auxiliary link 210; First link
220; 2nd link 230; 3rd link
240; Guide roller 250; Guide bracket
251; Guide home 252; Pressing projection
254; Top guide bracket 256; Side guide bracket
258; Curved guide bracket 259; Guide bracket end
260; Balance spring 270; Auxiliary link pivot hinge
280; Base side line
Claims (9)
상기 제2카도어(16)에 장착된 록킹래치(32);
상기 베이스(22)에 한쌍의 록킹링크(34a)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개방될 때에 승강장도어 록킹장치(120)의 언록킹 푸셔(122)에 의해 상승하는 록킹 밴날개(34);
상기 베이스(22)와 상기 록킹 밴날개(34)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록킹 밴날개(34)의 승강에 따라 상기 록킹래치(32)에 결합해제되거나 결합되는 회동록킹편(36);
상기 록킹 밴날개(34)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하며 상기 베이스(22)에 한쌍의 가동링크(44a)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 밴날개(44);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탑프레임(12)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브라켓(250);
상단에 가이드롤러(240)를 구비하며 하단은 가동 밴날개(44)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22)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링크(200)로 구성하여,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개방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에서 이탈하면서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하강하여 상기 언록킹 푸셔(122)를 밀어주고, 상기 언록킹 푸셔(122)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록킹 밴날개(34)를 상승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은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251)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롤러(240)의 진입 후에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조링크(200)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가 닫힐 때 중앙지점으로 부터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이 각각 일정 거리이격된 위치에 도달할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진입하여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끝단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 닿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들어가기 시작하여 일정거리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상부가이드브라켓(254)과 측부가이드브라켓(256) 접하게되어 정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브라켓(250)의 설치 위치와 상기 가이드홈(251)의 길이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
A base (22) mounted on the first car door (14) among a pair of first car doors (14) and second car doors (16) that open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elevator car;
A locking latch (32) mounted on the second car door (16);
A locking vane (34) that is movably connected to the above base (22) by a pair of locking links (34a) and is raised by the unlocking pusher (122) of the platform door locking device (120) wh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re opened;
A rotating locking piece (36) that is hinge-connected to the above base (22) and the above locking vane (34) and is engaged or disengaged with the locking latch (32)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above locking vane (34);
It includes a movable vane (44) that is installed in a position facing the above locking vane (34) and is connected to the base (22) so that it can be lifted by a pair of movable links (44a);
A guide bracket (250) fixedly installed on the top frame (12) of the above elevator car;
It is configured with an auxiliary link (200) that is provided at the top with a guide roller (240) and is connected to a movable vane (44) at the bottom and is rotatably installed as a hinge on the base (22), so that wh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re opened, the guide roller (240) is separated from the guide bracket (250), and the movable vane (44) is lowered to push the unlocking pusher (122), and the locking vane (34) can be pressed in an upward direction using the unlocking pusher (122) as a medium.
The above guide bracket (250) forms a guide groove (25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roller (240) enters, so that the auxiliary link (200) can rot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vane (44) rises after the guide roller (240) enters.
An elevator door lock releas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guide bracket (250) and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251) are set so that wh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re closed and the gap betwe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reaches a position where the gap from the center point is a certain distance, the guide roller (240) enters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bracket (250) and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curved guide bracket (258) without transmitting force, and when the guide roller (240) starts to enter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bracket (250) and moves a certain distance, the guide roller (2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guide bracket (254) and the side guide bracket (256) of the guide bracket (250) and stops.
상기 가이드홈(251)의 상단 입구에 상기 가이드브라켓(250)과 일체로 가압돌기(252)를 형성하여, 상기 가압돌기(252)는 평상시에 가이드롤러(240)와 닿지 않고 작동하는 것으로, 초기의 설치 가동할 때나, 이상 현상이 있을 경우, 가동밴날개(44)의 자중과 스프링의 힘의 균형이 맞지 않도록 과하게 텐션을 주어 설치되는 잘못으로 도어가 열리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할시 안내롤러(47)이 가압돌기에 걸려서 강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며,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으로 부터 이탈하면서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하강할 때, 상기 가이드롤러(240)의 상단부와 접촉함으로서 상기 보조링크(200)의 초기 회동력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A pressure projection (25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guide bracket (250) at the upper entrance of the guide home (251), so that the pressure projection (252) operates without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guide roller (240) during normal operation. When the door is opened due to an error in which excessive tension is applied so that the weight of the movable vane (44) and the force of the spring are not balanced, the guide roller (47) is caught on the pressure projection and is forced to rotate clockwise.
An elevator door lock releas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guide roller (240) is separated from the guide home (251) and the movable vane (44) descends, the initial rotational force of the auxiliary link (200) can be increased by conta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roller (240).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이 각각 ④ 의 위치에 도달할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진입하여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끝단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 닿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들어가기 시작하여 ①의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상부가이드브라켓(254)과 측부가이드브라켓(256) 접하게되어 정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브라켓(250)의 설치 위치와 상기 가이드홈(251)의 길이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An elevator door lock releas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guide bracket (250) and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251) are set so that when the gap betwe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reaches the position ④, the guide roller (240) enters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bracket (250) and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curved guide bracket (258) without force being transmitted thereto, and when the guide roller (240) begins to enter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bracket (250) and moves to the position ①, the guide roller (2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guide bracket (254) and the side guide bracket (256) of the guide bracket (250) and stops.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이 각각 ④ 의 위치에서 ②위치에 도달할 때 까지, 가동밴날개(44)가 언록킹푸셔(122)를 접하고 미는힘을 발생하여 이물질로 인하여 록킹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를 닫히도록 밀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
In paragraph 5,
An elevator door lock releas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vane (44) contacts the unlocking pusher (122) and generates a pushing force until the gap betwe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reaches from position ④ to position ②, thereby pushing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which may be locked due to foreign substances, to close.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과 가이드브라켓(250)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간격은 각각 ④의 위치에서 ③ 까지는 5mm, ③의 위치에서 ② 까지는 5 ~ 8mm 이며, ②의 위치에서 ① 까지는 7 ~10mm 로, ④의 위치에서 ① 까지는 20mm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
In paragraph 5,
An elevator door lock releas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between the first car door (14) and the second car door (16) and the gap indicating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guide bracket (250) are 5 mm from position ④ to ③, 5 to 8 mm from position ③ to ②, 7 to 10 mm from position ② to ①, and 20 mm from position ④ to ①.
상기 보조링크(200)는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와 제3링크(230)를 차례로 연결한 3절링크식으로 구성하되,
상기 제1링크(210)는 상단에 상기 가이드롤러(240)를 설치하는 상태로 상기 베이스(22)에 힌지로 연결하고,
상기 제3링크(230)의 끝단이 상기 가동 밴날개(44)와 연결된 가동링크(44a) 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가동링크(44a)에 가동링크(44a)가 베이스(22)에 결합된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일체로 가동링크(44a)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auxiliary link (200) is configured as a three-section link by sequentially connecting the first link (210), the second link (220), and the third link (230).
The above first link (210) is connected to the base (22) with a hinge while the guide roller (240) is installed at the top.
An elevator door lock releas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third link (230) is integrally connected to a movable link (44a) selected from among the movable links (44a) connected to the movable vane (44) so that the movable link (44a) can rotate around a hinge connected to the base (22).
일단은 제1링크(2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22)에 고정되는 밸런스스프링(260)을 구비하여, 상기 가동 밴날개(44)의 하강속도를 조절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In paragraph 5,
An elevator door lock releas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lance spring (260) which is fixed at one end to the first link (210) and the other end to the base (22), thereby controlling the descending speed of the movable vane (44), and at the same time ensuring that the guide roller (240) is stably seated in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bracket (25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8983A KR102726290B1 (en) | 2022-10-26 | Supporting device for elevator door unlock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8983A KR102726290B1 (en) | 2022-10-26 | Supporting device for elevator door unlock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58344A KR20240058344A (en) | 2024-05-03 |
KR102726290B1 true KR102726290B1 (en) | 2024-11-05 |
Family
ID=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08386A1 (en) | 2013-07-19 | 2015-01-22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car door lock device |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08386A1 (en) | 2013-07-19 | 2015-01-22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car door lock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89945B2 (en) | Device for preventing travel of an elevator with its doors open | |
JP5047281B2 (en) | Elevator door equipment | |
EP2263963B1 (en) | Elevator car door lock | |
JP5755033B2 (en) | Door device and elevator device | |
WO2005092773A1 (en) | Elevator door apparatus | |
JP2011088720A (en) | Elevator door device | |
CN104760873B (en) | Synchronous door cam device integrated with car door lock | |
CN110526092B (en) | Asynchronous door knife assembly of elevator car door lock | |
KR101220495B1 (en) | Apparatus for rocking of elevator hatch door | |
KR101665338B1 (en) | Elevator door safety locking assembly | |
JP5448306B2 (en) | Elevator car side door locking device | |
JPWO2018138896A1 (en) | Elevator equipment | |
JP7206067B2 (en) |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ler | |
EP3192764B1 (en) | Elevator apparatus | |
JP5600778B1 (en) | Elevator safety device | |
KR102726290B1 (en) | Supporting device for elevator door unlocking | |
KR102094885B1 (en) | Elevator door locking implement | |
CN109071179A (en) | Lift appliance | |
US9643820B2 (en) | Device for preventing travel of an elevator with its doors open | |
EP1524234A1 (en) | Elevator system | |
KR102103335B1 (en) | Elevator door unlocing system with increased unlocking function | |
KR100940420B1 (en) | Door device for elevator | |
KR20240058344A (en) | Supporting device for elevator door unlocking | |
JP2006096489A (en) | Elevator door device | |
KR101220502B1 (en) | Apparatus for rocking of elevator hatch do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