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712162B1 -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의 안전 보건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의 안전 보건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2162B1
KR102712162B1 KR1020230093847A KR20230093847A KR102712162B1 KR 102712162 B1 KR102712162 B1 KR 102712162B1 KR 1020230093847 A KR1020230093847 A KR 1020230093847A KR 20230093847 A KR20230093847 A KR 20230093847A KR 102712162 B1 KR102712162 B1 KR 102712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information
worker
health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3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미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비웹에이치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비웹에이치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비웹에이치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2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2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의 안전 보건을 지원하는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은 상기 근로자의 작업 준비 현황과 질환 현황에 관련된 근로자 정보를 생성하는 근로자 단말, 상기 작업장의 작업 스케줄과 작업 환경에 관련된 작업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단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근로자 정보와 상기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작업에 대한 안전 보건 정보와 설비에 대한 설비 안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 보건 정보와 상기 설비 안전 정보에 따른 응답 안전도를 결정하고, 재해 발생 이력에 따른 평가 안전도를 결정하고, 상기 응답 안전도와 상기 평가 안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장에 대응되는 안전 보건 상태를 결정하는 안전 보건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의 안전 보건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HE HEALTH AND SAFETY OF WORKERS IN THE WORKPLACE}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근로자 정보, 작업 정보, 및 재해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장의 위험도에 관련된 안전 보건 상태를 산출하고, 안전 보건 상태를 이용하여 안전 보건 체계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 기술의 발전과 함께 산업 구조가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으며, 산업 구조의 다양화와 함께 산업 재해가 발생하는 원인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산업 재해는 근로자에게 있어 개인의 건강 악화 및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노동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생계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치며, 기업에게 있어 경제적 손실을 야기한다. 이와 같은 인명 피해와 재산 상의 손실은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산업 재해의 예방은 근로자 건강과 생산성 있는 노동력의 확보로 인해 경제발전에 기인할 수 있다.
산업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복잡한 형태의 개인 및 산업 구조로부터 산업 재해 발생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산업안전보건공단은 지속적으로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근로환경조사와 같은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장에서 안전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예측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산업안전보건의 작업환경관리 및 위험물에 대하여 전방위적으로 예측하거나 관리할 수는 없다. 또, 사업장의 작업환경측정, 보건진단과 같은 현장조사, 직무 스트레스, 근 골격계와 같은 건강상태 파악, 화학 물질 위험성 평가와 안전교육이 함께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기업의 효율적인 안전보건경영을 위한 기업의 업무상 질병예방, 안전한 작업 환경 조성 및 노무를 제공하는 자의 안전보건 유지 및 증진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없다.
종래의 산업 현장은 사업주가 산업안전보건공단 및 관련 기관으로부터 작업장 준수 사항, 안전 교육 프로그램 등을 제공받고 이에 따른 작업장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근로자가 구축된 작업장에서 근무 수칙을 준수하여 근무를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졌다. 즉, 종래의 방식은 근로자 및 사업주의 자율에 따라 근무 수칙을 지킬 것을 권고하는 수준에 그쳤기 때문에 발생 원인이 다양한 산업 재해를 효율적으로 예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응하여, 산업 안전 보건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 측정, 평가, 조사, 진단 및 예방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플랫폼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을 지시하지 않는다. 즉,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13278호(2021.02.08)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안전 보건 관리 체계를 지원하기 위한 온라인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에서 근로자 정보, 작업 정보, 및 재해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장의 위험도에 관련된 안전 보건 상태를 산출하고, 안전 보건 상태를 이용하여 안전 보건 체계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에서 직관적인 UI(user interface)로 제공되는 웹 페이지들을 이용하여 근로자의 근무 현형 및 근무 수칙 준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에서 근로자의 응답, 및 재해 발생 이력에 따른 안전도를 객관적으로 수치화 하여 안전 보건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에서 안전 보건 상태에 따라 안전 진단 보고서 및 재해 안내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의 안전 보건을 지원하는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은 상기 근로자의 작업 준비 현황과 질환 현황에 관련된 근로자 정보를 생성하는 근로자 단말, 상기 작업장의 작업 스케줄과 작업 환경에 관련된 작업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단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근로자 정보와 상기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작업에 대한 안전 보건 정보와 설비에 대한 설비 안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 보건 정보와 상기 설비 안전 정보에 따른 응답 안전도를 결정하고, 재해 발생 이력에 따른 평가 안전도를 결정하고, 상기 응답 안전도와 상기 평가 안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장에 대응되는 안전 보건 상태를 결정하는 안전 보건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근로자 단말은 상기 근로자의 서명 요청하는 제1 웹 페이지를 통한 제1 근로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근로자의 출근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근로자가 출근한 것으로 식별된 이후에, 상기 근로자의 안전 장비 확인을 요청하는 제2 웹 페이지를 통한 제2 근로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근로자의 장비 착용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장비 착용 상태를 획득한 이후에, 상기 근로자의 작업 전 안전 교육 이수 유무 및 질환 유무의 확인을 요청하는 제3 웹 페이지를 통한 제3 근로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근로자의 준비 완료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출근 여부, 상기 장비 착용 상태, 및 상기 준비 완료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근로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웹 페이지는 상기 근로자의 전신 이미지, 및 상기 전신 이미지에서 신체 부위들 각각에 필요한 장비를 표시하는 장비 UI(user interface) 객체들을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근로자 입력은 상기 장비 UI 객체들을 선택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 보건 관리 장치는 상기 근로자 정보와 상기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작업장에 필요한 안전 보건 조치와 설비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 보건 조치에 따른 작업 별 위험 요인 및 예방 대책에 대한 안전 보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 정보에 따른 설비 별 위험 요인에 대한 설비 안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 보건 관리 장치는 상기 근로자 단말로부터, 상기 안전 보건 정보에서 상기 예방 대책에 대한 상기 근로자의 확인 결과를 지시하는 제1 응답 정보와 상기 설비 안전 정보에서 상기 설비 별 위험 요인에 대한 상기 근로자의 평가 결과를 지시하는 제2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응답 정보의 확인 결과에 따른 상기 예방 대책의 구현 정도와 상기 제2 응답 정보에 따른 상기 평가 결과의 평균에 따른 설비 정도를 합산하여 응답 안전도를 결정하고, 웹 크롤링에 기반하여 재해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재해 정보에 기반하여 작업 공간의 크기와 사고 위험도 사이의 관계 레벨을 연산하고, 상기 관계 레벨과 상기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작업장의 평가 안전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 정보는 상기 작업장의 작업 내용, 상기 작업장의 크기, 상기 작업장의 운영 기간, 상기 작업장에 배치된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보건 관리 장치는 상기 안전 보건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태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작업 정보, 상기 안전 보건 상태를 표시하는 안전 진단 보고서를 상기 관리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재해 정보 중에서 상기 작업장과 관련도가 높은 재해 안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재해 안내 정보에 대한 재해 안내 보고서를 상기 근로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각각의 측면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된다.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의 조합들(combinations)은, 단지 청구항들에서 명시적으로 제시되는 것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독립항들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하나의 실시 예(any one embodiment)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다른 실시 예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들의 대안적인 조합이 본 개시에 논의된 하나 이상의 기술적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감시키거나, 본 개시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discernable) 기술적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감시키고, 나아가 실시 예의 특징들(embodiment features)의 이렇게 형성된 특정한 조합(combination) 또는 순열(permutation)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양립 불가능한(incompatible) 것으로 이해되지만 않는다면, 그 조합은 가능하다.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예시 구현(any described example implementation)에 있어서 둘 이상의 물리적으로 별개의 구성 요소들은 대안적으로, 그 통합이 가능하다면 단일 구성 요소로 통합될 수도 있으며, 그렇게 형성된 단일한 구성 요소에 의해 동일한 기능이 수행된다면, 그 통합은 가능하다. 반대로,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 예(any embodiment)의 단일한 구성 요소는 대안적으로, 적절한 경우,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둘 이상의 별개의 구성 요소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들(certain embodiments)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 관련된 문제점 및/또는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 완화 또는 제거하는 것에 있다. 특정 실시 예들(certain embodiments)은 후술하는 장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이 담당 업무에 관하여 준수하여야 하는 안전 보건 조치의 실행여부를 보다 수월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에서 근로자 정보, 작업 정보, 및 재해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장의 위험도에 관련된 안전 보건 상태를 산출하고, 안전 보건 상태를 이용하여 안전 보건 체계를 지원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에서 직관적인 UI로 제공되는 웹 페이지들을 이용하여 근로자의 근무 현형 및 근무 수칙 준수 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에서, 근로자의 응답, 및 재해 발생 이력에 따른 안전도를 수치화 하여 안전 보건 상태를 객관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에서 안전 보건 상태에 따라 안전 진단 보고서 및 재해 안내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공함으로써, 근로자가 안전 보건 상태를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전 보건 관리 체계를 지원하기 위한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에서, 안전 보건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에서, 근로자 단말에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에서, 설비 안전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에서, 안전 보건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안전 보건 관리 체계를 지원하기 위한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에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근로자 정보, 작업 정보, 및 재해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장의 위험도에 관련된 안전 보건 상태를 산출하고, 안전 보건 상태를 이용하여 안전 보건 체계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도면에서 상대적인 두께, 길이나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의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특정 조건의 만족(satisfied), 충족(fulfilled)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초과 또는 미만의 표현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일 예를 표현하기 위한 기재일 뿐 이상 또는 이하의 기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이하'로 기재된 조건은 '미만', '이상 및 미만'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및 이하'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전 보건 관리 체계를 지원하기 위한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100)은 작업자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에게 안전 보건 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100)은 작업장 환경이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법규를 준수 여부를 조사 및 평가하거나, 근로자가 작업장의 공정 내용에 따라 준수하여야 할 안전 보건 수칙, 안전 보건 교육 프로그램 등을 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종합적인 관리 시스템을 지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100)은 근로자 단말(110), 관리 단말(120), 외부 서버(130), 데이터베이스(140),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동작들은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에 의하여 제어되는 플랫폼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랫폼은 웹 페이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근로자 단말(110)은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111)가 운용하는 전자 장치를 지시한다. 근로자(111)는 근로자 단말(11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출근 기록, 인적 사항, 및 건강 질환 등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근로자 단말(11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로자 단말(110)은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지시할 수 있다.
관리 단말(120)은 안전 보건 지원을 위하여 작업장의 작업 스케줄이나 작업 환경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전자 장치를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단말(120)은 해당 작업장의 위치, 크기, 작업장에서 수행될 일별 공정 스케줄, 작업장에 배치된 설비의 종류, 및 설비의 관리 상태 등 작업장의 작업 환경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리 단말(120)은 근로자 단말(110)과 같이,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서버(130)는 안전 보건을 관리하는 외부 기관이 운용하는 서버 장치를 지시한다. 외부 서버(130)는 산업안전보건공단, 안전 보건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관, 및 안전 보건 재해 사고를 기록하는 기관 등을 포함하여 산업안전보건법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 운용하는 서버를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서버(130)는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작업장의 안전 보건 상태를 산출하고, 안전 보건 상태를 이용하여 안전 보건 체계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지시한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근로자의 작업 준비 현황, 질환 현황, 작업장의 스케줄, 작업 환경을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장의 위험도에 관련된 안전 보건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안전 보건 상태를 고려하여 안전 진단 보고서를 작성함으로써 사업주가 작업장을 효율적 및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하고, 재해 안내 보고서를 작성함으로써 근로자에게 안전 근무 환경을 지원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가 안전 보건 체계를 지원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트베이스(140)는 안전 보건 상태를 결정하고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정 관련 리스트, 기계 설비 관련 리스트, 재해 관련 리스트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리스트에 저장된 내용들은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를 운용하는 자의 설정에 따라 추가, 삭제, 및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산업안전보건공단의 위험성 평가 시스템으로부터 추출되는 공정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140)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공정리스트는 추출된 공정들 각각에 대하여 공정명, 세부 공정의 설명, 투입 기계 설비, 유해인자, 위험 요소, 및 발생 가능한 재해유형의 종류 및 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유해 인자, 기계 설비, 위험 요소, 재해 유형에 대하여 5*4 위험성 평가 척도를 통한 위험성 추정치가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기계 설비들에 대한 설비 리스트, 각각의 기계 설비들에 대한 체크리스트 및 유해 인자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140)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기계 설비 각각에 대하여, 5단계의 가능성 수치와 4단계의 중대성 수치를 중심으로 위험성 추정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험성 추정치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해둘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설비 리스트, 체크 리스트, 및 유해 인자 리스트는 설비 각각에 대하여 설비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평가 리스트를 추출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17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IEEE 802.16e), UMB(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5G 등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100)에 따르면, 근로자(111)는 작업장에서 근무를 시작하기 전에 유저 친화적인 UI로 제공되는 웹 페이지를 통해 근로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근로자 단말(110), 관리 단말(120), 및 외부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안전 보건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안전 보건 상태를 사업주 및 근로자에게 알림으로써, 근로자 및 작업자에 대한 안전 보건 환경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100)에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의 구성(200)을 도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부(230), 입출력 인터페이스(24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한다. 메모리(21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메모리(210)는 데이터베이스(14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210)와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부(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는 프로세서(22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10)는 근로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근로자 정보와 관리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작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30)를 통해 신호가 송신 및 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부(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가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근로자 정보와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작업에 대한 안전 보건 정보와 설비에 대한 설비 안전 정보를 생성하고, 안전 보건 정보와 설비 안전 정보에 따른 응답 안전도를 결정하고, 재해 발생 이력에 따른 평가 안전도를 결정하고, 응답 안전도와 평가 안전도를 이용하여 작업장에 대응되는 안전 보건 상태를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통신부(23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부(230)는 통신망을 통해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노드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요청 신호를 생성한 경우, 요청 신호는 통신부(230)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노드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노드의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콘텐츠, 파일 등이 통신부(230)를 통해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로 수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230)는 근로자 정보와 작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30)는 생성한 안전 진단 보고서와 재해 안내 보고서를 송신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때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등과 같은 장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의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디스플레이부(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된 웹 브라우징 윈도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전술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출력할 출력 데이터를 프로세서(22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안전 보건 상태를 결정 과정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직접 입력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시한다. 디스플레이부(25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각각은 개별적으로 독립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고, 전술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가 결합하여 단일 컨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25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중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물리적으로 결합된 다중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으며, 하나의 화면을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250)는 안전 보건 상태를 평가하는 과정의 현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근로자 단말(110)로부터 근로자의 작업 준비 현황 및 질환 현황에 관한 근로자 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근로자(111)는 근로자 단말(110)에 근로자 본인의 개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근로자 단말(110)로부터 근로자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 단말로부터 작업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근로자 정보 및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안전 보건 조치에 관한 안전 보건 정보와 설비 안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보건 조치는 근로자(111)의 담당 업무에 기초하여 근로자가 조치해야 하는 안전 조치 사항들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세부 관리 방법과 유해 및 위험작업 별 안전 작업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공정 내용 별 안전 보건 정보를 저장해둘 수 있으며, 추가로, 산업 안전 관리 공단의 홈페이지를 크롤링(crawling)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근로자의 담당 업무가 철근 콘크리트 제품 제조업인 경우 세부 관리 방법은 산업재해발생보고 및 기록관리, 유해한 장소 등 안전보건표지 부착,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산업안전보건위원회설치 운영, 사업장 안전보건관리규정 작성과 준수, 도급 제한, 도급인의 안전보건조치,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실시, 유해기구 등에 대한 방호 조치, 안전성이 확보된 유해 기구 등의 사용, 유해기구 등에 대한 안전검사, 사업장 작업환경측정 실시,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 위험성평가 실시, 위험방지계획서 작성 등이 있으며, 유해 위험 작업 별 안전작업 방법은 작업장 바닥 안전 관리, 작업장 통로 및 출입구 관리, 지게차 사용 작업 안전관리, 혼합기 작업 안전 관리, 컨베이어 작업 안전 관리,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등이 있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근로자 정보와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작업자에게 필요한 안전 보건 정보 및 설비 안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근로자(111)에게 제공한다. 근로자(111)는 안전 보건 정보와 설비 안전 정보를 확인하고 안전 보건 조치의 시행 여부를 체크하여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전달받은 응답 정보 및 재해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 보건 조치의 수행 평가 결과에 관련된 안전 보건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안전 보건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근로자 및 사업주에게 안내 및 보고서를 송부함으로써 안전 보건 시스템의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 방법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 방법에 관한 흐름도(300)를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단계(301)에서, 근로자 단말(110)은 근로자 정보를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로 송신한다. 근로자(111)는 근로자 단말(110)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웹 페이지를 통하여 근로자의 출근 여부, 장비 착용 상태, 작업 전 안전 교육 이수 여부, 및 질환 유무를 입력할 수 있다. 근로자 단말(110)이 근로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는 도 4에서 예시된다. 근로자 단말(110)은 입력 받은 정보로부터 근로자의 작업 준비 현황 및 질환 현황에 대한 근로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근로자 정보는 근로자의 성명, 인적사항 번호, 작업 가능 내용, 자격 제출 유무, 배치일, 투입일, 고용 유형, 소속, 연락처, 이수 교육 내역, 장비 착용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근로자 단말(110)은 생성한 근로자 정보를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303)에서, 관리 단말(120)은 작업 정보를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로 송신한다. 관리 단말(120)은 작업장의 작업 스케줄 및 작업 환경에 관련된 작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 정보는 해당하는 작업장의 위치, 크기, 작업장에서 수행될 일별 공정명, 공정 시간, 작업장에 배치된 설비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단말(120)은 생성한 작업 정보를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리 단말(120)의 관리 편의를 위하여, 근로자 단말(110)이 근로자 정보를 관리 단말(120)로 송신하고, 관리 단말(120)이 근로자 정보와 함께 작업 정보를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단계(305)에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안전 보건 정보와 설비 안전 정보를 생성한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근로자 정보와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작업의 안전에 대한 안전 보건 정보와 설비의 운용 안전에 대한 설비 안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근로자 정보와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작업장에 필요한 안전 보건 조치와 설비 정보를 결정하고, 데이터베이스(140)를 이용하여 안전 보건 조치에 따른 작업 별 위험 요인 및 예방 대책에 대한 안전 보건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140)를 이용하여 설비 정보에 따른 설비 별 위험 요인에 대한 설비 안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근로자 정보와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작업장에 필요한 안전 보건 조치와 설비 정보를 결정한다. 안전 보건 조치는 해당 공정 작업을 진행하는 환경에서 근로자가 확인하여야 하는 사항으로서, 세부 관리 방법과 유해 및 위험 작업 별 안전 작업 방법으로 구분된다. 즉,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근로자 정보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작업 준비가 완료되고 해당 작업에 대한 질환자 명단을 파악한 이후에, 작업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스케줄에 따른 작업의 공정 내용에 대응되는 안전 보건 조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작업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공정에 이용되는 설비 명단을 지시하는 설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데이터베이스(140)를 이용하여 안전 보건 조치에 따른 작업 별 위험 요인 및 예방 대책에 대한 안전 보건 정보를 생성한다. 안전 보건 정보는 안전 보건 조치의 유해 및 위험 작업 별 안전 작업 방법에 포함된 위험 요인, 및 예방 대책을 지시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140)는 안전 보건 조치의 유해 및 위험 작업 별 안전 작업 방법마다, 위험 요인과 예방 대책을 미리 저장해둘 수 있다. 안전 보건 조치 및 이에 대응되는 안전 보건 정보는 산업 안전 관리 공단에서 배포하는 작업 별 안내 정보로부터 획득하거나 산업 안전 관리 공단의 홈페이지를 크롤링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데이터베이스(140)에서 작업장 및 근로자 정보에 맞는 안전 보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추가로, 안전 보건 정보는 산업안전보건공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7가지 핵심 요소에 관련된 101가지 항목들을 평가하기 위한 핵심 요소 평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안전 보건 조치에 따른 작업 별 위험 요인 및 예방 대책과 함께 101가지 항목들에 관한 핵심 요소 평가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안전 보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담당 업무가 철근 콘크리트 제품 제조업인 경우에서, 유해 및 위험 작업 별 안전 작업 방법은 '작업장 통로 및 출입구 관리' 등이 있으며, 작업장 통로 및 출입구 관리 내에 위험 요인은 '작업장 통로를 구분하지 않아 지게차와 부딪힐 위험', 예방 대책은 '통로와 하역운반기계가 다니는 통로를 구분하여 설치'를 지시할 수 있다.
이후,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데이터베이스(140)를 이용하여 설비 정보에 따른 설비 별 위험 요인에 대한 설비 안전 정보를 생성한다. 설비 안전 정보는 설비에서 검토가 필요한 평가리스트를 지시할 수 있다. 즉, 설비 안전 정보는 해당 설비의 관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 리스트를 지시할 수 있다. 설비 안전 정보의 구체적인 예는 도 5에서 예시된다.
단계(307)에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안전 보건 정보와 설비 안전 정보를 근로자 단말(110)에 송신한다. 안전 보건 정보는 위험 요인 및 예방 대책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여부에 대한 체크리스트로 구성되고, 설비 안전 정보는 현재 설비의 관리 상태에 대한 평가리스트로 구성되며,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생성된 안전 보건 정보와 설비 안전 정보를 근로자 단말(110)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309)에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근로자 단말(110)은 응답 정보를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로 송신한다. 근로자(111)는 근로자 단말(110)을 이용하여 안전 보건 정보의 체크리스트에서 작업장 환경에 맞는 내용을 체크하고, 설비 안전 정보의 평가리스트에서 설비 관리 상태에 대한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근로자 단말(110)은 안전 보건 정보에서 예방 대책에 대한 근로자의 확인 결과를 지시하는 제1 응답 정보와 설비 안전 정보에서 설비 별 위험 요인에 대한 근로자의 평가 결과를 지시하는 제2 응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근로자 단말(110)은 생성한 제1 응답 정보와 제2 응답 정보를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311)에서, 외부 서버(130)는 재해 정보를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로 송신한다. 재해 정보는 재해의 발생 내역을 지시하는 사건 정보를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재해 정보는 재해가 발생한 사건마다 분류되고, 작업장의 크기, 재해의 종류, 사고의 강도, 공정 작업명, 재해의 발생 일시, 소재지, 재해 요약, 및 재해 상황 이미지를 기록한 정보를 지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응답 정보의 수신에 대응하여 외부 서버(130)로 재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웹 크롤링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발생한 재해 사고를 수집함으로써 재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313)에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안전 보건 상태를 결정한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안전 보건 정보와 설비 안전 정보에 따른 응답 안전도를 결정하고, 재해 발생 이력에 따른 평가 안전도를 결정하고, 응답 안전도와 평가 안전도를 이용하여 작업장에 대응되는 안전 보건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응답 안전도를 결정한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제1 응답 정보의 확인 결과에 따른 예방 대책의 구현 정도, 및 제2 응답 정보의 평가 결과의 평균에 따른 설비 정도를 합산하여 응답 안전도를 결정할 수 있다. 안전 보건 정보는 위험 요인에 대한 예방 대책들이 갖추어져 있는지 여부에 대한 체크리스트와 핵심 요소 평가 정보에 대한 설문 응답 결과를 지시하므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체크리스트의 체크 비율에 제1 환산 계수를 곱하여 예방 정도를 연산하고, 핵심 요소 평가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를 계량화한 평가 점수를 연산하고, 예방 정도에 평가 점수를 더하여 구현 정도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설비 안전 정보는 설비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는지 여부에 대한 수치화된 결과를 지시하므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평가 항목들의 평균 값에 제2 환산 계수를 곱합으로써 설비 정도를 연산할 수 있다. 이후,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구현 정도와 설비 정도를 합산하여 응답 안전도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응답 안전도에 기반하여 안전 보건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안전 보건 등급은 점수의 구간에 따라 A 등급, B 등급, C 등급, 및 D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안전 진단 보고서 작성에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 보건 정보의 20개의 문항 중에 15개 문항에 체크가 되어 있고, 핵심 요소 평가 정보에 대한 평가 점수가 25점이고, 설비 안전 정보에 포함된 두 개의 설비에 대하여, 제1 설비에 대한 평균 값이 1, 제2 설비에 대한 평균 값이 3이고, 제1 환산 계수가 100, 제2 환산 계수가 25인 경우,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구현 정도를 100으로, 설비 정도를 50으로 결정하고, 응답 안전도를 15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재해 발생 이력에 따른 평가 안전도를 결정한다. 여기서, 평가 안전도는 작업장의 크기와 작업 내용을 고려하여 수치화된 안전도를 지시할 수 있다. 재해 정보는 재해 별 작업장의 크기와 사건의 사고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수집된 재해 정보에서 작업장에 관련된 재해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추출된 재해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작업 공정에 대한 작업 공간의 크기와 사고 위험도 사이의 관계 레벨을 연산하고, 관계 레벨과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작업장의 평가 안전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고 위험도는 재해의 종류에 따른 중대성과 재해의 강도에 기반하여 수치화된 값을 지시할 수 있다. 재해의 종류는 부딪힘, 끼임, 넘어짐, 물체에 맞음, 뒤집힘, 베임, 찔림, 절단, 깔림, 떨어짐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재해의 강도는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정하는 이차 사고 초래 수준의 강도 1, 완치 가능한 상해를 초래하는 수준의 강도 2, 사망, 장애 등을 초래하는 수준의 강도 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사고 위험도는 재해의 종류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가중치와 재해의 강도를 곱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장의 크기와 사고 위험도 사이의 관계 레벨은 <수학식 1>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을 참고하면, RL은 관계 레벨, Di는 i번째 재해에 대한 사고 위험도, Si는 i번째 재해에 대한 작업장의 크기, N은 작업장에 관련된 재해의 수를 지시할 수 있다.
관계 레벨의 크기가 작을 수록 돌발적인 상황이 자주 발생함을 의미하므로 안전도가 낮다. 따라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작업장에 대하여 작업장의 크기와 사고 위험도 사이의 선형적인 관계 레벨을 결정하고, 추출된 재해 정보에서 해당 작업장의 크기와 임계 차이 이내의 다른 작업장에서 발생한 빈도수와 관계 레벨을 이용하여 평가 안전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응답 안전도와 평가 안전도를 합산하여 안전 보건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315)에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안전 진단 보고서를 관리 단말(120)로 송신한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안전 보건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태 보다 낮은 경우, 작업 정보, 안전 보건 상태를 표시하는 안전 진단 보고서를 관리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진단 보고서는 응답 안전도, 평가 안전도, 및 안전 보건 등급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안전 보건 상태에 따라 작업장의 안전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하고, 작업장이 위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작업 환경을 시정하기 위한 안전 진단 보고서를 생성하여 사업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317)에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재해 안내 보고서를 근로자 단말(110)로 송신한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재해 정보 중에서 작업장과 관련도가 높은 재해 안내 정보를 추출하고, 재해 안내 정보에 대한 재해 안내 보고서를 근로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유사한 크기의 작업장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재해 내역을 추출하고, 재해 내역을 설명하는 재해 안내 보고서를 생성하여 근로자(111)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작업장에 대하여 안전 사고 발생 위험도가 높은 근로자에게 재해 위험성을 알리기 위한 재해 위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제공하는 재해 사례들을 공정명, 투입 기계 설비, 재해 유형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해둘 수 있으며, 재해 사례와 근로자 정보에 대한 키워드 비교를 통해 위험 근로자에게 재해 위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재해 사례들 각각에 대하여 재해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해당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의 근로 키워드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재해 키워드들과 근로 키워드들 모두에 포함되는 키워드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 근로자에게 재해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 재해 사례에 대하여 재해 키워드는 공정 A, 투입 기계 설비 B, 작업 내용 C, 질환 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근로자들 각각에 대하여 공정 A, 투입 기계 설비 B, 작업 내용 C, 질환 D 중 3개 이상의 키워드가 일치하는 근로자를 일일안전체크 근로자로 추출하고, 추출된 근로자에게 X 재해 사례에 대한 위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100)에서, 근로자 단말(110)에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일 예(400)를 도시한다.
근로자(111)는 근로자 단말(110)에 표시되는 UI 화면을 통해 작업에 대한 준비 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며, 근로자 단말(110)은 근로자 입력에 기반하여 근로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근로자 단말(110)은 근로자의 서명을 요청하는 제1 웹 페이지(410)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근로자(111)는 이에 대응하여 드래그 및 터치를 통해 서명을 입력할 수 있으며, 근로자 단말(110)은 서명이 정상적으로 입력된 경우 근로자가 작업장에 출근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후, 근로자 단말(110)은 근로자의 안전 장비 확인을 요청하는 제2 웹 페이지(430)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제2 웹 페이지(430)는 근로자의 전신 이미지(431), 및 전신 이미지에서 신체 부위들 각각에 필요한 장비를 표시하는 장비 UI 객체들(433)을 표시할 수 있다. 근로자는 본인의 장비 착용 상태를 확인하고 착용한 장비 UI 객체를 클릭함으로써 안전 장비의 착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근로자 단말(110)은 근로자의 모든 장비 착용이 완료된 경우 근로자가 작업 준비를 완료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후, 근로자 단말(110)은 작업 전 안전 교육의 이수 유무 및 질환 유무의 확인을 요청하는 제3 웹 페이지(450)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근로자(111)는 안전 교육을 수강한 이후에 이수 확인 및 질환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근로자 단말(110)은 이수 확인 및 질환 정보가 입력된 경우 근로자가 작업 준비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근로자 단말(110)은 근로자가 정상적으로 출근하고, 장비 착용을 완료하였으며,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식별된 경우, 근로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100)에서, 설비 안전 정보의 일 예(500)를 도시한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기계 설비들에 대한 설비 리스트, 각각의 기계 설비들에 대한 체크리스트 및 유해 인자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140)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기계 설비 각각에 대하여, 5단계의 가능성 수치와 4단계의 중대성 수치를 중심으로 위험성 추정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험성 추정치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해둘 수 있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설비 리스트, 체크 리스트, 및 유해 인자 리스트를 참고하여, 설비 각각에 대하여 설비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평가 리스트를 추출하고, 이를 근로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작업 정보에서 해당 작업에 이용되는 설비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리스트들을 참고하여 필요한 설비 각각에 대한 평가 리스트를 추출함으로써 설비 안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근로자(111)는 설비 안전 정보에서 평가 결과란에 개선 필요, 보통, 우수, 해당 없음 중 어느 하나의 평가를 입력함으로써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설비 중 파이프 절단기에 대한 평가 리스트가 예시된다. 도 5는 파이프 절단기에 대한 4개의 평가 문항이 예시되지만, 평가 문항의 내용 및 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100)에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의 동작 방법에 관한 흐름도(600)를 도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단계(601)에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근로자 정보와 작업 정보를 획득한다.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근로자 단말(110)로부터 근로자의 작업 준비 현황과 질환 현황에 관련된 근로자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 단말(120)로부터 작업장의 작업 스케줄과 작업 환경에 관련된 작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작업 정보는 작업장의 작업 내용, 작업장의 크기, 작업장의 운영 기간, 작업장에 배치된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603)에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근로자 정보와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작업에 대한 안전 보건 정보와 설비에 대한 설비 안전 정보를 생성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 보건 관리 장치는 근로자 정보와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작업장에 필요한 안전 보건 조치와 설비 정보를 결정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안전 보건 조치에 따른 작업 별 위험 요인 및 예방 대책에 대한 안전 보건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설비 정보에 따른 설비 별 위험 요인에 대한 설비 안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605)에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안전 보건 정보와 설비 안전 정보에 따른 응답 안전도를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근로자 단말로부터, 안전 보건 정보에서 예방 대책에 대한 근로자의 확인 결과를 지시하는 제1 응답 정보와 설비 안전 정보에서 설비 별 위험 요인에 대한 근로자의 평가 결과를 지시하는 제2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응답 정보의 확인 결과에 따른 예방 대책의 구현 정도와 제2 응답 정보에 따른 평가 결과의 평균에 따른 설비 정도를 합산하여 응답 안전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607)에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재해 발생 이력에 따른 평가 안전도를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웹 크롤링에 기반하여 재해 정보를 수집하고, 재해 정보에 기반하여 작업 공간의 크기와 사고 위험도 사이의 관계 레벨을 연산하고, 관계 레벨과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작업장의 평가 안전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609)에서,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응답 안전도와 평가 안전도를 이용하여 작업장에 대응되는 안전 보건 상태를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 보건 관리 장치(150)는 안전 보건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태 보다 낮은 경우, 작업 정보, 안전 보건 상태를 표시하는 안전 진단 보고서를 관리 단말로 송신하고,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재해 정보 중에서 작업장과 관련도가 높은 재해 안내 정보를 추출하고, 재해 안내 정보에 대한 재해 안내 보고서를 근로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1 근로자 110 근로자 단말
120 관리 단말 130 외부 서버
140 데이터베이스 150 안전 보건 관리 장치
170 네트워크 210 메모리
220 프로세서 230 통신부
240 입출력 인터페이스 250 디스플레이부
410, 430, 450 제1 웹 페이지 내지 제3 웹 페이지
431 전신 이미지 433 장비 UI 객체들

Claims (5)

  1.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의 안전 보건을 지원하는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근로자의 작업 준비 현황과 질환 현황에 관련된 근로자 정보를 생성하는 근로자 단말;
    상기 작업장의 작업 스케줄과 작업 환경에 관련된 작업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단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근로자 정보와 상기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작업에 대한 안전 보건 정보와 설비에 대한 설비 안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 보건 정보와 상기 설비 안전 정보에 따른 응답 안전도를 결정하고, 재해 발생 이력에 따른 평가 안전도를 결정하고, 상기 응답 안전도와 상기 평가 안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장에 대응되는 안전 보건 상태를 결정하는 안전 보건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근로자 단말은,
    상기 근로자의 서명 요청하는 제1 웹 페이지를 통한 제1 근로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근로자의 출근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근로자가 출근한 것으로 식별된 이후에, 상기 근로자의 안전 장비 확인을 요청하는 제2 웹 페이지를 통한 제2 근로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근로자의 장비 착용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장비 착용 상태를 획득한 이후에, 상기 근로자의 작업 전 안전 교육 이수 유무 및 질환 유무의 확인을 요청하는 제3 웹 페이지를 통한 제3 근로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근로자의 준비 완료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출근 여부, 상기 장비 착용 상태, 및 상기 준비 완료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근로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웹 페이지는 상기 근로자의 전신 이미지, 및 상기 전신 이미지에서 신체 부위들 각각에 필요한 장비를 표시하는 장비 UI(user interface) 객체들을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근로자 입력은 상기 장비 UI 객체들을 선택하는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보건 관리 장치는,
    상기 근로자 정보와 상기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작업장에 필요한 안전 보건 조치와 설비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 보건 조치에 따른 작업 별 위험 요인 및 예방 대책에 대한 안전 보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 정보에 따른 설비 별 위험 요인에 대한 설비 안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 보건 관리 장치는,
    상기 근로자 단말로부터, 상기 안전 보건 정보에서 상기 예방 대책에 대한 상기 근로자의 확인 결과를 지시하는 제1 응답 정보와 상기 설비 안전 정보에서 상기 설비 별 위험 요인에 대한 상기 근로자의 평가 결과를 지시하는 제2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응답 정보의 확인 결과에 따른 상기 예방 대책의 구현 정도와 상기 제2 응답 정보에 따른 상기 평가 결과의 평균에 따른 설비 정도를 합산하여 응답 안전도를 결정하고,
    웹 크롤링에 기반하여 재해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재해 정보에 기반하여 작업 공간의 크기와 사고 위험도 사이의 관계 레벨을 연산하고,
    상기 관계 레벨과 상기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작업장의 평가 안전도를 결정하고,
    상기 응답 안전도와 상기 평가 안전도를 합산하여 안전 보건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관계 레벨은 수학식 1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수학식 1)

    상기 RL은 관계 레벨, 상기 Di는 i번째 재해에 대한 사고 위험도, 상기 Si는 i번째 재해에 대한 작업장의 크기, 상기 N은 작업장에 관련된 재해의 수를 지시하고, 상기 N은 2보다 크거나 같은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 정보는 상기 작업장의 작업 내용, 상기 작업장의 크기, 상기 작업장의 운영 기간, 상기 작업장에 배치된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보건 관리 장치는,
    상기 안전 보건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태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작업 정보, 상기 안전 보건 상태를 표시하는 안전 진단 보고서를 상기 관리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재해 정보 중에서 상기 작업장과 관련도가 높은 재해 안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재해 안내 정보에 대한 재해 안내 보고서를 상기 근로자 단말로 송신하는 안전 보건 관리 시스템.

KR1020230093847A 2023-04-07 2023-07-19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의 안전 보건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712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350 2023-04-07
KR20230046350 2023-04-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12162B1 true KR102712162B1 (ko) 2024-09-30

Family

ID=9292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3847A KR102712162B1 (ko) 2023-04-07 2023-07-19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의 안전 보건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216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265B1 (ko) * 2018-10-10 2019-09-09 (주)미래산업안전기술원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00128111A (ko) * 2018-03-01 2020-11-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개인 보호 장비 식별 시스템
KR102213278B1 (ko) 2020-04-07 2021-02-08 주식회사 한국산업보건연구소 사업자, 근로자 및 사업장을 위한 산업안전보건 원스톱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82648B1 (ko) * 2021-06-17 2022-04-01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20135741A (ko) *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위험요인 분석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예방시스템
KR102513892B1 (ko) * 2022-08-30 2023-03-23 김나혜 작업자 안전근태관리 통합 플랫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111A (ko) * 2018-03-01 2020-11-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개인 보호 장비 식별 시스템
KR101983265B1 (ko) * 2018-10-10 2019-09-09 (주)미래산업안전기술원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213278B1 (ko) 2020-04-07 2021-02-08 주식회사 한국산업보건연구소 사업자, 근로자 및 사업장을 위한 산업안전보건 원스톱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35741A (ko) *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위험요인 분석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예방시스템
KR102382648B1 (ko) * 2021-06-17 2022-04-01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513892B1 (ko) * 2022-08-30 2023-03-23 김나혜 작업자 안전근태관리 통합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wankwo et al. Analysis of accidents caused by human factors in the oil and gas industry using the HFACS-OGI framework
Hallowell Safety risk perception in construction companies in the Pacific Northwest of the USA
US81403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hazard-based decision making tools and processes
Yeo et al. Quantifying the effectiveness of IoT technologies for accident prevention
Haas et al. Learning from workers’ near-miss reports to improve organizational management
Bussier et al. Relationship between safety measures and human erro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orking at heights
Singh et al. Chain of events model for safety management: data analytics approach
Gous et al. The impact of digital technologies on point-of-care diagnostics in resource-limited settings
Ramlakhan et al. The safety of emergency medicine
AU2013101777A4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orkplace safety event reporting
JP6917791B2 (ja) 土木・建設現場における工事作業に対する危険予知活動の分析支援システム及び連絡配布支援システム
Nguyen et al. A review of the role of digitalization in health risk management in extractive industries–a study motivated by COVID-19
Horberry et al. The role of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in mining emergency management: three case studies
KR102712162B1 (ko)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의 안전 보건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hayea et al. Structural model of factors contributing to the motivational problem of taking shortcuts at construction workplaces in the Kingdom of Saudi Arabia
Hosseinpouri et al. Methodology for quantitatively monitoring the basic risk factors of accidents: A case study on manufacturing companies
Simutenda et al. Types of occupational accidents and their predictors at construction sites in Lusaka city
Jeebhay et al. Strengthening social compact and innovative health sector collaborations in addressing COVID-19 in South African workplaces
Mason et al. Exposure assessment in health assessments for hand–arm vibration syndrome
Kasap et al.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Safety Engineers for Hazard Analysis
Evans et al. Review of ethics for occupational hygiene hazard monitoring surveys using sensors
EP2682885A2 (en) Tool for deployment of medical services
JP6382270B2 (ja) 労働衛生管理支援システム、労働衛生管理支援方法及び労働衛生管理支援プログラム
Hussin et al. Accident reporting system using an iOS application
KR102691061B1 (ko) 작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