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9058B1 - Electrode reel ej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de reel ejec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19058B1 KR102719058B1 KR1020240091227A KR20240091227A KR102719058B1 KR 102719058 B1 KR102719058 B1 KR 102719058B1 KR 1020240091227 A KR1020240091227 A KR 1020240091227A KR 20240091227 A KR20240091227 A KR 20240091227A KR 102719058 B1 KR102719058 B1 KR 1027190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e
- electrode reel
- electrode
- reel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65H19/123—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with cantilever support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1—Handling web roll
- B65H2301/41745—Handling web roll by axial movement of ro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팔보 형태의 샤프트에 서로 인접하도록 거치되어 있는 다수의 전극릴을 하나씩 반출하는 과정에서 전극릴 사이의 간격을 충분하게 벌리는 작업을 사전에 하여 푸싱 유닛의 진입에 의한 원활한 반출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한 쌍의 수직 지지대와 한 쌍의 수평 지지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본체 프레임, 수평 지지대에 하나씩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와 수평 가이드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동 유닛, 이동 유닛과 연계하여 코어를 단독으로 당기는 동작을 하는 클램핑 유닛 및, 클램핑 유닛의 작동 후에 이동 유닛과 연계하여 전극릴의 코어를 단독으로 미는 동작을 하는 푸싱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hat enables smooth removal by entry of a pushing unit by sufficiently widening the gap between the electrode reels in advance during the process of remo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reels that ar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on a cantilever-shaped shaft one by one.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main body frame configured in a form including a pair of vertical supports and a pair of horizontal supports, a first linear actuator installed horizontally on each of the horizontal supports, and a moving unit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in both directions using a horizontal guide, a clamping unit that performs an operation of pulling a core alone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unit, and a pushing unit that performs an operation of pushing a core of an electrode reel alone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unit after the operation of the clamping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극릴을 반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외팔보 형태의 샤프트에 서로 인접하도록 거치되어 있는 다수의 전극릴을 하나씩 반출하는 과정에서 전극릴 사이의 간격을 충분하게 벌리는 작업을 사전에 하여 푸싱 유닛의 진입에 의한 원활한 반출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moving an electrode reel,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for remo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reels, which are mounted adjacent to each other on a cantilever-shaped shaft, one by one by sufficiently increasing the gap between the electrode reels in advance so that smooth removal can be performed by entry of a pushing unit.
일반적으로, 2차 전지의 생산 공정에서 이용되는 전극릴은 부피가 크고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인력에 의한 운반이 사실상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바닥면에 적층하는 방식으로의 보관이나 운반이 적절하지 않다.In general, electrode reels used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secondary batteries are large in volume and heavy, making it virtually impossible to transport them by manpower, and storing or transporting them by stacking them on the floor is not appropriate.
따라서,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외팔보 형태의 샤프트에 다수의 전극릴을 거치한 상태에서의 보관이나 운반을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전극릴을 취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이 고안되어 현장에서 이용되고 있다.Accordingly, it is most desirable to store or transport a number of electrode reels mounted on a horizontally installed cantilever-shaped shaft, and various types of devices capable of handling electrode reels in this manner have been designed and used in the field.
또한, 보관을 위한 목적으로 외팔보 형태의 샤프트에 거치되어 있는 전극릴을 운반을 위한 목적으로 다른 샤프트에 이재하거나 반대로 이재하기 위한 장치도 필요하다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와 관련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55349호의 “릴 투 릴 생산장비용 릴 취출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In addition, a device may be needed to transfer an electrode reel mounted on a cantilever-shaped shaft for storage purposes to another shaft for transportation purposes or vice versa, and with regard to such a device, a “reel extraction device for reel-to-reel production equipment” has been prop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455349.
즉,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55349호의 발명에는 전극릴의 코어를 감싸는 형태로 파지한 집게를 수평 및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해당 전극릴의 손상을 방지하며 샤프트에서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That is, the invention of the above-mentione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455349 proposes an invention regarding a device that prevents damage to the electrode reel and enables extraction from the shaft by moving a forceps that wraps around the core of the electrode reel in horizontal and inclined directions.
그러나 최근에는 보빈에 권취되는 전극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릴 코어의 면적이 감소하게 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코어를 잡고 당기는 방식으로의 전극릴의 반출(취출)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However, recently, as the area of the electrode wound on the bobbin increases, the area of the electrode reel core exposed to the outside decreases, and as described above, the problem of making it difficult to remove (extract) the electrode reel by holding and pulling the core has arisen.
즉, 상당한 무게의 전극릴을 코어를 잡고 당기는 방식으로 반출하기 위해서는 코어를 잡고 가압할 수 있는 면적이 충분하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최근의 추세에 따른 전극릴 코어의 노출 면적으로는 가압을 위한 면적을 충분하게 형성할 수 없게 된다.That is, in order to remove a considerable weight of an electrode reel by holding and pulling the core, a sufficient area must be formed for holding and pressing the core. However, the exposed area of the electrode reel core according to recent trends does not form a sufficient area for pressing.
따라서, 전극릴을 반출하는 과정에서 집게가 코어를 계속 놓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작업 지연의 문제가 계속 발생하게 될 수 밖에 없다.Therefore, during the process of removing the electrode reel, there may be a situation where the tongs continue to miss the core, and the problem of work delays will inevitably continue to occur.
또한, 상기와 동일한 이유로 외팔보 형태의 샤프트에 서로 인접하도록 거치되는 두 개의 전극릴 사이의 공간이 매우 협소하게 형성됨에 따라 작업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코어를 미는 방식으로의 전극릴의 반출도 사실상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for the same reason as above, the space between the two electrode reels, which ar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cantilever-shaped shaft, is formed very narrow, so that sufficient space for working cannot be secured, and thus the problem of removing the electrode reel by pushing the core occurs, making it virtually difficult.
상기한 바와 같이, 보빈에 권취되는 전극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과 같이 코어를 잡고 당기거나 코어를 미는 방식으로의 전극릴의 반출이 어렵게 되었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여 전극릴의 반출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area of the electrode wound on the bobbin increases, it has become difficult to remove the electrode reel by holding and pulling the core or pushing the core as in the past. Therefore, a new device is required to solve this problem and enable smooth removal of the electrode reel.
본 발명에 의한 전극릴 반출 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안된 발명으로써,The electrode reel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proposed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다시 요약하자면, 보빈에 권취되는 전극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릴 코어의 면적이 감소하게 되는 동시에 외팔보 형태의 샤프트에 서로 인접하도록 거치되는 두 개의 전극릴 사이의 공간이 매우 협소하게 형성될 수 밖에 없고,To summarize again, as the area of the electrode wound on the bobbin increases, the area of the electrode reel core exposed to the outside decreases, and at the same time, the space between the two electrode reels mount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cantilever-shaped shaft cannot but be formed very narrow.
그에 따라, 기존과 같이 코어를 잡고 당기는 방식으로의 전극릴의 반출과 코어를 미는 방식으로의 전극릴의 반출이 어렵게 되었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since it has become difficult to remove the electrode reel by pulling and holding the core as before, and to remove the electrode reel by pushing the core, 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present a solution to this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상기 반출 라인의 말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이송용의 대차가 대기하는 공간을 사이에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대와 반출 라인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한 쌍의 수평 지지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평 지지대에 하나씩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와 수평 가이드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동 유닛; 전극릴의 코어를 잡는 동작을 하는 클램퍼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유닛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클램퍼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 유닛과 연계하여 코어를 단독으로 당기는 동작을 하는 클램핑 유닛; 및, 전극릴의 코어에 대응하는 푸시바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유닛의 타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3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푸시바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 유닛의 작동 후에 이동 유닛과 연계하여 코어를 단독으로 미는 동작을 하는 푸싱 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릴 반출 장치를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reel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in body fram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vertical supports installed adjacent to the end of the above-described removal line and forming a space therebetween in which a transport cart waits, and a pair of horizontal supports positioned above the removal line; a moving unit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in both directions using a first linear actuator and a horizontal guide, each of which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pair of horizontal supports; a clamping unit having a clamper for holding a core of an electrode reel, and being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clamper can be raised and lowered using a second linear actuator vertical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bove-described removal unit, and performing an operation to pull the core alone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unit; and a pushing unit having a push bar corresponding to the core of the electrode reel, and being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push bar can be raised and lowered using a third linear actuator vertical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above-described removal unit, and performing an operation to push the core alone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unit after the operation of the clamping unit.
본 발명에 의한 전극릴 반출 장치는,The electrode reel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외팔보 형태의 샤프트에 서로 인접하도록 거치되어 있는 다수의 전극릴을 하나씩 반출하는 과정에서 클램핑 유닛을 이용하여 전극릴 사이의 간격을 충분하게 벌리는 작업을 사전에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후의 과정에서 푸싱 유닛의 진입에 의한 전극릴의 원활한 반출이 실시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Since the apparatus is configur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electrode reels can be sufficiently widened using a clamping unit in advance during the process of remo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reels, which ar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on a cantilever-shaped shaft, one by one, the effect of enabling the electrode reels to be removed smoothly by the entry of the pushing unit in the subsequent process is genera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릴 반출 장치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릴 반출 장치를 이용하여 전극릴을 반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릴 반출 장치를 구성하는 클램핑 유닛이 전극릴의 코어를 잡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a 내지 도 4d는 전극릴의 전극릴을 반출하는 과정에서의 손상 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구비되는 여러 센서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센서에 의해 전극릴의 손상 위험이 감지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릴 반출 장치를 구성하는 푸싱 유닛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예시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reel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to 2e are flowcharts showing a process of removing an electrode reel using an electrode reel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are flowcharts showing the process in which the clamping unit constituting the electrode reel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lds the core of the electrode reel.
Figures 4a to 4d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operational examples of various sensor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damage during the process of removing the electrode reel from the electrode reel.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risk of damage to an electrode reel is detected by a sensor.
Figure 6 is an exemplary drawing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 pushing unit constituting an electrode reel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전극릴의 반출 라인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전극릴 반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reel removal device installed adjacent to an electrode reel removal line,
상기 반출 라인(10)의 말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이송용의 대차가 대기하는 공간을 사이에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대(101)와 반출 라인(1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한 쌍의 수평 지지대(10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본체 프레임(100); 상기 한 쌍의 수평 지지대(102)에 하나씩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11)와 수평 가이드(112)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동 유닛(110); 전극릴의 코어를 잡는 동작을 하는 클램퍼(121)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유닛(110)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 리니어 액추에이터(122)를 이용하여 클램퍼(121)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 유닛(110)과 연계하여 코어를 단독으로 당기는 동작을 하는 클램핑 유닛(120); 및, 전극릴의 코어에 대응하는 푸시바(131)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유닛(110)의 타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3 리니어 액추에이터(132)를 이용하여 푸시바(131)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 유닛(120)의 작동 후에 이동 유닛(110)과 연계하여 코어를 단독으로 미는 동작을 하는 푸싱 유닛(1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ain body frame (100)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vertical supports (101) installed adjacent to the end of the above-described export line (10) and forming a space therebetween in which a transport cart waits, and a pair of horizontal supports (102) positioned above the above-described export line (10); a moving unit (110)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in both directions using a first linear actuator (111) and a horizontal guide (112) installed horizontally on each of the above-described pair of horizontal supports (102); a clamping unit (120) having a clamper (121) that performs a motion to hold a core of an electrode reel, and being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elevate the clamper (121) using a second linear actuator (122) install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moving unit (110), and performing a motion to pull the core alone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unit (110); An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ushing unit (130) that performs an operation of pushing the core alone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unit (110) after the operation of the clamping unit (120), while being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push bar (131) corresponding to the core of the electrode reel can be raised and lowered using a third linear actuator (132) installed vertically on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unit (110).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전극릴의 반출 라인(1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ㄱ’자 형태의 구조물이며, 이송용의 대차(20)가 대기하는 공간을 하방에 형성하고, 이동 유닛(110)과 클램핑 유닛(120) 그리고 푸싱 유닛(130)을 반출 라인(10)의 상방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main body frame (100) is a ‘ㄱ’ shaped structure installed adjacent to the electrode reel discharge line (10), forms a space in the lower part where a transport cart (20) waits, and allows the moving unit (110), clamping unit (120), and pushing unit (130) to be installed above the discharge line (10).
즉,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이송용의 대차(20)가 대기하는 공간을 사이에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대(101)와 그 한 쌍의 수직 지지대(101)를 이용하여 일정한 높이에서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 지지대(10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일자형인 반출 라인(10)의 말단에 한 쌍의 수직 지지대(101)가 위치하고, 말단의 상방에 한 쌍의 수평 지지대(102)가 위치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전극릴의 반출이 원활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main body frame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vertical supports (101) that are installed parallel to each other to form a space between which a transport cart (20) waits, and a pair of horizontal supports (102) that are installed parallel to each other at a certain height using the pair of vertical supports (101). A pair of vertical supports (101) is positioned at the end of a straight-line (10) and a pair of horizontal supports (102) is positioned above the end, so that the electrode reel can be smoothly removed.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대(101)는 외팔보 형태의 샤프트에 거치된 상태에서 반출 라인(10)을 따라 이송되는 전극릴 상단의 높이를 상회하도록 길이가 형성되어야 하며, 이송용의 대차(20)가 진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극릴이 수월하게 통과할 수 있는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야 한다.To this end, the above pair of vertical supports (101) should be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exceeds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electrode reel that is transported along the export line (10) while mounted on a cantilever-shaped shaft, and should be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so that the transport cart (20) can enter and the electrode reel can pass through easily.
또한,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대(101)를 이용하여 한 쌍의 수평 지지대(102)를 수평하게 설치하여야 하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인 두 수평 지지대(102)의 말단을 연결하는 형태로 지지바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구조적인 보강이 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horizontal supports (102) should be installed horizontally using the above pair of vertical supports (101), and a support bar can be installed horizontally to connect the ends of two horizontal supports (10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thereby providing structural reinforcement.
따라서,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전극릴의 반출을 위한 이동 유닛(110)과 클램핑 유닛(120) 그리고 푸싱 유닛(130)을 모두 설치한 상태에서 수평 지지대(102)가 하중을 받아 휘어지게 되는 문제의 발생을 예방하여 안정적인 형태로의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by installing the moving unit (110), clamping unit (120), and pushing unit (130) for removing the electrode reel on the main body frame (100), the occurrence of a problem in which the horizontal support (102) bends under the load is prevented, thereby enabling stable operation.
이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유닛(110)은 전극릴의 반출을 위한 클램핑 유닛(120)과 푸싱 유닛(130)을 동시에 지지하는 상태로 본체 프레임(100)의 상단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치이다.Next, as shown in FIG. 1, the moving unit (110) is a device configured to be able to reciprocate on the top of the main body frame (100) while simultaneously supporting the clamping unit (120) and the pushing unit (130) for removing the electrode reel.
이때, 상기 이동 유닛(110)은 한 쌍의 수평 지지대(102) 중 하나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11)와 다른 하나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 가이드(112)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되어 전극릴의 반출을 위한 클램핑 유닛(120)과 푸싱 유닛(130)의 위치 이동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moving unit (110) is installed in a form that can move in both directions by using a first linear actuator (111) installed horizontally on one of a pair of horizontal supports (102) and a horizontal guide (112)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other, so that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clamping unit (120) and the pushing unit (130) for taking out the electrode reel can be performed.
즉, 상기 이동 유닛(110)은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11)에 설치되는 제1 블럭과 수평 가이드(112)에 설치되는 제2 블럭 그리고 제1 블럭과 제2 블럭을 이용하여 양측 말단이 동시에 지지되는 수평바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클램핑 유닛(120)과 푸싱 유닛(1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에서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That is, the moving unit (1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block installed on a first linear actuator (111), a second block installed on a horizontal guide (112), and a horizontal bar whose ends are supported simultaneously by using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thereby enabling positional movement while stably supporting the clamping unit (120) and the pushing unit (130).
이때, 상기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11)는 우수한 하중 용량을 가지며 정밀하게 직선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의 장치이므로 이동 유닛(110)과 클램핑 유닛(120) 그리고 푸싱 유닛(130)의 하중을 지지하는 상태에서의 정밀한 위치 이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linear actuator (111) is a known device that has excellent load capacity and can perform precise linear movemen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precise position movement while supporting the loads of the moving unit (110), the clamping unit (120), and the pushing unit (130).
즉, 상기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11)는 구동 모터와 볼스크류 그리고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전극릴의 반출을 위한 정밀한 직선 운동을 오차없이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linear actuator (111)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ing motor, a ball screw, and a linear actuator, and can perform precise linear motion for removing the electrode reel without error.
그러나 상기 수평 가이드(112)는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11)에 의한 이동 유닛(110)의 이동을 보조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구동 모터와 볼스크류와 같은 동력의 생성 및 전달을 위한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However, the above horizontal guide (112) may be a device that assists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110) by the first linear actuator (111), and 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mean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power, such as a driving motor and a ball screw.
다만, 이 경우에 있어, 상기 이동 유닛(110)의 이동을 위한 동력이 한쪽에서만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점을 고려하여,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11)를 구성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너비를 수평 가이드(112)의 너비보다 넓게 하고, 그 너비의 비율에 맞게 제1 블럭과 제2 블럭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수평바를 지지하는 면적에 차이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n this case, considering that the power for moving the moving unit (110) is configured to be generated only on one sid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width of the linear actuator constituting the first linear actuator (111) wider than the width of the horizontal guide (112), and to make the sizes of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different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widths so that a difference occurs in the area supporting the horizontal bar.
즉, 상기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11)를 구성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와 상기 수평 가이드(112)의 너비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 블럭과 제2 블럭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11)에 의한 동력이 발생할 때 양쪽에 하중이 불균형하게 작용하게 되므로, 수평바의 비틀림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이동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등의 여러 문제가 발생하게 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widths of the linear actuator constituting the first linear actuator (111) and the horizontal guide (112) are formed to be the same, and the sizes of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re formed to be the same, when power is generated by the first linear actuator (111), the load is applied unbalancedly on both sides, which may cause various problems, such as not only torsion of the horizontal bar but also a decrease in the precision of movement.
따라서, 상기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11)와 동일하게 수평 가이드(112)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상기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 방식을 따르자면 초기 설치 비용의 증가, 제어의 복잡화 그리고 유지 보수의 난이도 증가 등의 문제가 새롭게 발생하게 된다.Accordingly, the occurrence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 can be prevented by configuring the horizontal guide (112) in the same way as the first linear actuator (111), but if this method is followed, new problems such as increased initial installation cost, complicated control, and increased difficulty in maintenance arise.
이 때문에, 본 발명은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11)가 수평 가이드(112)에 비해 더 큰 하중을 부담하게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효과로 수평바의 비틀림이 유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제1 블록과 제2 블록의 이동을 오차없이 동기화할 수 있게 된다.For this reason,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method in which the first linear actuator (111) providing power bears a greater load than the horizontal guide (112), and as a result, the problem of causing twisting of the horizontal bar can be solved, while at the same time, the movement of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can be synchronized without error.
또한, 상기 클램핑 유닛(120)은 이동 유닛(110)과 연계하여 전극릴의 코어를 단독으로 잡고 당기는 동작을 하는 장치이며, 이를 위한 클램퍼(121)와 제2 리니어 액추에이터(12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lamping unit (120) is a device that performs an operation of independently holding and pulling the core of the electrode reel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unit (110), and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to include a clamper (121) and a second linear actuator (122) for this purpose.
즉, 전극의 면적이 증가한 형태로 전극릴이 제조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릴 코어의 면적이 감소하게 되는 동시에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전극릴 사이의 공간이 매우 협소하게 되었으므로 기존과 같이 코어를 잡고 당기는 방식으로의 전극릴의 배출이 불가하게 되었고, 코어를 미는 방식으로의 전극릴의 배출도 사실상 불가하게 될 수 밖에 없다.That is, as the electrode reel is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the electrode area increases, the area of the electrode reel core exposed to the outside decreases, and at the same time, the space between two adjacent electrode reels becomes very narrow.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discharge the electrode reel by pulling and holding the core as before, and it is also virtually impossible to discharge the electrode reel by pushing the core.
따라서,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클램핑 유닛(120)을 이용하여 외팔보 형태의 샤프트에 서로 인접한 상태로 거치되어 있는 전극릴 사이의 간격이 충분하게 벌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후 코어를 미는 방식으로의 전극릴의 배출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2a to 2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gap between electrode reels mounted adjacent to each other on a cantilever-shaped shaft to be sufficiently widened by using the clamping unit (120), thereby enabling discharge of the electrode reel in a manner of pushing the core thereafter.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유닛(120)은 전극릴의 코어를 잡는 동작을 하는 클램퍼(121)와 상기 이동 유닛(110)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클램퍼(121)를 승강시키는 제2 리니어 액추에이터(12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 상태에서 이동 유닛(110)과 연계하여 코어를 단독으로 잡고 당기는 동작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S. 3A and 3B, the clamping unit (120) is configured to perform an operation of holding and pulling the core alone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unit (110) in a state in which it includes a clamper (121) that performs an operation of holding the core of the electrode reel and a second linear actuator (122) that is install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moving unit (110) and raises and lowers the clamper (121).
이때, 상기 클램퍼(121)는 원통형인 전극릴의 코어를 잡을 수 있는 집게와 집게의 자체 구동을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타이밍에 맞게 제어되어 전극릴의 코어를 잡거나 놓는 동작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lamper (121) is configured to include a forceps capable of holding the core of a cylindrical electrode reel and a driving unit for self-driving of the forceps, and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iming to perform an action of holding or releasing the core of the electrode reel.
여기서 상기 구동부의 상세한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55349호의 선행 발명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는 바, 본문에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bove driving unit is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prior invention of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455349, and therefor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text.
또한, 상기 제2 리니어 액추에이터(122)도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11)와 동일하게 구동 모터와 볼스크류 그리고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공지의 장치이므로 클램퍼(121)의 위치 이동을 정확한 높이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linear actuator (122) is a known device tha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ing motor, a ball screw, and a linear actuator, similar to the first linear actuator (111),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clamper (121) at an accurate height.
이 과정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유닛(120)은 제2 리니어 액추에이터(122)를 이용하여 최대로 상승한 상태와 클램퍼(121)의 집게가 최대로 벌어진 상태를 초기 설정 상태로 하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클램퍼(121)가 코어를 잡는 동작을 하거나 하강이 완료된 상태에서 클램퍼(121)가 코어를 잡는 동작을 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process, as shown in FIG. 3a, the clamping unit (120) is set to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clamping forceps of the clamper (121) are maximally opened and the second linear actuator (122) is used to raise the clamping unit to the maximum, but as shown in FIG. 3b, the clamping unit (120) is configured to perform a motion to grab the core during the lowering process or to perform a motion to grab the core when the lowering is complete.
즉, 샤프트에 거치된 상태인 전극릴의 위치 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으며, 그 즉시 상기 이동 유닛(110)에 의한 일정 거리의 위치 이동이 발생하여 서로 인접하는 전극릴 사이의 간격이 푸싱 유닛(130)의 진입에 문제가 없을 정도로 이격될 수 있다.That is, a state can be created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reel mounted on the shaft can be moved, and immediately, a certain distance of position movement occurs by the moving unit (110), so that the gap between adjacent electrode reels can be separated to a degree that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entry of the pushing unit (130).
이후, 상기 클램핑 유닛(120)은 푸싱 유닛(130)에 의한 전극릴의 이송이 시작되기 전에 다시 초기 설정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Thereafter, the clamping unit (120) returns to the initial setting state before the transfer of the electrode reel by the pushing unit (130) begins.
한편,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유닛(120)의 일측에는 전극릴 코어의 감지를 위한 목적으로, 상기 이동 유닛(110)이 전극릴의 상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직 하방으로의 거리를 측정하는 릴 디텍트 센서(123)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4a to 4d, a reel detect sensor (123)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lamping unit (120) to measure the vertical downward distance while the moving unit (110) moves upward of the electrode reel for the purpose of detecting the electrode reel core.
즉, 상기 릴 디텍트 센서(123)는 거리 감지 센서이며, 클램핑 유닛(120)을 구성하는 제2 리니어 액추에이터(122)의 일측에 직접 설치되거나 브라켓을 이용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항상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며, 수직 하방으로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above reel detect sensor (123) is a distance detection sensor, and can be configured to detect a vertical downward distance while always maintaining the same height in a state where it is direct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linear actuator (122) constituting the clamping unit (120) or installed using a bracket.
따라서, 상기 릴 디텍트 센서(123)는 초기에 샤프트와의 거리를 계속 측정하게 되므로 거리 측정값이 계속 동일하게 유지되나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유닛(110)에 의한 클램핑 유닛(120)의 위치 이동이 발생하는 상태에서 수직 하방에 전극릴 코어가 위치하는 순간 거리 측정값이 변화하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reel detect sensor (123) initially continues to measure the distance from the shaft,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 remains the same, but as shown in FIGS. 4a and 4b, when the position of the clamping unit (120) by the moving unit (110) moves,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 changes the moment the electrode reel core is positioned vertically downward.
그 즉시 센서값의 처리를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한 감지 신호가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11)의 모터 제어를 위한 PLC로 전송될 수 있으며, PLC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횟수로의 회전 제어를 하여, 클램핑 유닛(120)을 구성하는 클램퍼(121)의 수직 하방에 전극릴 코어가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이동 정지가 되도록 할 수 있다.Immediately, a detection signal by a microcontroller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processing the sensor value can be transmitted to a PLC for motor control of the first linear actuator (111), and the PLC can perform rotation control for a preset number of times from the time of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thereby causing the movement to stop in a state where the electrode reel core is positioned vertically below the clamper (121) constituting the clamping unit (120).
다시 말해, 상기 이동 유닛(110)은 릴 디텍트 센서(123)를 이용하여 전극릴의 코어가 감지되는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를 더 이동한 후 정지하도록 구성된다.In other words, the moving unit (110) is configured to move a preset distance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core of the electrode reel is detected using the reel detect sensor (123) and then stop.
또한, 상기 클램핑 유닛(120)에는 전극릴의 감지를 위한 목적으로 경사 방향으로의 거리를 측정하는 클램퍼 오버랩 센서(124)가 클램퍼(121)의 다른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a clamper overlap sensor (124) for measuring the distance in the inclined direction for the purpose of detecting the electrode reel may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lamping unit (120).
즉, 상기 클램퍼 오버랩 센서(124)도 거리 감지 센서이며, 클램퍼(121)를 구성하는 집게의 상방에 직접 또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하방으로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clamper overlap sensor (124) is also a distance detection sensor, and can be configured to measure the downward distance while installed directly or using a bracket on the upper side of the clamp constituting the clamper (121).
이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퍼(121)를 구성하는 집게가 전극릴 코어의 수직 상방에 올바르게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클램퍼 오버랩 센서(124)가 설치되는 위치상 전극릴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없으나 모터 제어의 오류로 클램퍼(121)의 위치 설정에 오차가 발생한 상태에서는 클램퍼 오버랩 센서(124)가 전극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c, when the clamp constituting the clamper (121) is correctly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electrode reel core, the clamper overlap sensor (124) cannot measure the distance to the electrode reel due to the position where it is installed. However, when an error occurs in the position setting of the clamper (121) due to an error in motor control, the clamper overlap sensor (124) can be in a state where it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electrode reel.
이 경우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한 감지 신호가 제2 리니어 액추에이터(122)의 모터 제어를 위한 PLC로 전송되어 클램퍼(121)의 하강을 위한 제어가 제한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a detection signal from the microcontroller is transmitted to the PLC for motor control of the second linear actuator (122) so that the control for lowering the clamper (121) can be limited.
이처럼 상기 릴 디텍트 센서(123)는 클램퍼(121)의 위치 설정을 위한 용도로 이용되나 상기 클램퍼 오버랩 센서(124)는 잘못된 위치 설정에 따른 사고 방지를 위한 용도로 이용되며, 이를 통해 전극릴이 손상에 따른 여러 형태의 손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above reel detection sensor (123) is used for the purpose of setting the position of the clamper (121), but the clamper overlap sensor (124) is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accidents due to incorrect position setting, and through this, various types of damage due to damage to the electrode reel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푸싱 유닛(130)은 이동 유닛(110)과 연계하여 전극릴의 코어를 미는 동작을 하는 장치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위한 푸시바(131)와 제3 리니어 액추에이터(13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shing unit (130) is a device that performs a movement of pushing the core of the electrode reel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unit (110), and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in a form that includes a push bar (131) and a third linear actuator (132) for this purpose, as illustrated in FIG. 6.
즉, 상기 클램핑 유닛(120)에 의한 선행 작업으로 샤프트에 거치된 전극릴 사이의 간격이 충분하게 이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그 사이로 푸시바(131)의 진입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That is, since the gap between the electrode reels mounted on the shaft is sufficiently spaced due to the preceding work by the clamping unit (120), the push bar (131) can enter between them.
따라서, 상기 푸싱 유닛(130)은 제3 리니어 액추에이터(132)를 이용하여 푸시바(131)가 최대로 상승한 상태를 초기 설정 상태로 하되, 상기 클램핑 유닛(120)에 의한 선행 작업이 실시되는 즉시 푸시바(131)가 하강하여 코어의 말단면에 접촉하거나 인접한 상태가 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ushing unit (130) sets the push bar (131) to the initial setting state in which it is raised to the maximum using the third linear actuator (132), but as soon as the preceding work by the clamping unit (120) is performed, the push bar (131) can be lowered to contact or be in a state adjacent to the end face of the core.
즉, 코어의 말단면을 미는 방식으로 전극릴의 위치 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으며, 그 즉시 상기 이동 유닛(110)에 의한 일정 거리의 위치 이동이 발생하여 이송용의 대차(20)가 대기하는 방향으로의 전극릴이 이송이 완료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achieve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reel can be moved by pushing the end face of the core, and immediately, a certain distance of position movement occurs by the moving unit (110), so that the electrode reel can be transpor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port cart (20) is waiting.
이때,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싱 유닛(130)의 일측에는 전극릴 코어의 감지를 위한 목적으로 수직 하방으로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 푸셔 오버랩 센서(133)와 다른 전극릴 코어의 감지를 위한 목적으로 수직 하방으로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 푸셔 오버랩 센서(134)가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4a to 4c, a first pusher overlap sensor (133) that measures the vertical downward distance for the purpose of detecting an electrode reel core and a second pusher overlap sensor (134) that measures the vertical downward distance for the purpose of detecting another electrode reel core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ushing unit (130).
즉, 상기 제1 푸셔 오버랩 센서(133)와 제2 푸셔 오버랩 센서(134)도 모두 거리 감지 센서이며, 푸싱 유닛(130)을 구성하는 제3 리니어 액추에이터(132)의 일측에 서로 다른 길이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항상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며, 하방으로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both the first pusher overlap sensor (133) and the second pusher overlap sensor (134) are distance detection sensors, and can be configured to detect the downward distance while always maintaining the same height in a state where they are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they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using brackets of different lengths on one side of the third linear actuator (132) constituting the pushing unit (13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푸셔 오버랩 센서(133)는 클램퍼(121)가 전극릴 코어의 수직 상방에 위치할 때 반대편 코어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오버랩 센서는 클램퍼(121)가 전극릴 코어의 수직 상방에 위치할 때 인접한 다른 전극릴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pusher overlap sensor (133)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opposite core when the clamper (121) is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electrode reel core, and the second overlap sensor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other adjacent electrode reel when the clamper (121) is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electrode reel core.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푸셔 오버랩 센서(133)와 제2 푸셔 오버랩 센서(134)는 릴 디텍트 센서(123)에 의한 전극릴 코어의 감지가 발생하는 순간으로부터 거리 측정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illustrated in FIG. 4b, the first pusher overlap sensor (133) and the second pusher overlap sensor (134) can be configured to start distance measurement from the moment when detection of the electrode reel core by the reel detect sensor (123) occurs.
따라서, 상기 제1 푸셔 오버랩 센서(133)는 초기에 전극릴을 구성하는 전극과의 거리를 계속 측정하게 되므로 거리 측정값이 동일하게 유지되나, 상기 이동 유닛(110)에 의한 푸싱 유닛(130)의 위치 이동이 완료되는 단계에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에 전극릴 코어가 위치하게 되므로 거리 측정값이 변화하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pusher overlap sensor (133) initially continuously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electrodes forming the electrode reel, so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 remains the same. However, at the stage where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pushing unit (130) by the moving unit (110)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4c, the electrode reel core is positioned downward, so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 changes.
또한, 상기 제1 푸셔 오버랩 센서(133)는 릴 디텍트 센서(123)에 의한 전극릴의 감지가 발생하는 순간으로부터 거리 측정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있어 제1 푸셔 오버랩 센서(133)는 초기에 전극릴 코어와의 거리를 계속 측정하게 되므로 거리 측정값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usher overlap sensor (133) may be configured to start distance measurement from the moment when detection of the electrode reel by the reel detect sensor (123) occurs, and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pusher overlap sensor (133) initially continues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electrode reel core,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 may be maintained the same.
그러나 상기 이동 유닛(110)과 상기 클램핑 유닛(120)에 의한 전극릴의 위치 이동이 실시되는 과정에서 전극릴이 충분하게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1 푸셔 오버랩 센서(133)의 하방에 전극릴 코어가 위치하지 않게 된다.However,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reel by the moving unit (110) and the clamping unit (120), if the electrode reel does not move sufficiently, the electrode reel core is not positioned below the first pusher overlap sensor (133).
이 상태에서 상기 푸시바(131)가 하강하게 되면, 전극릴과 푸시바(131)의 충돌이 발생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제1 푸셔 오버랩 센서(133)를 이용하여 전극릴의 코어가 감지되는 상황에서만 푸시바(131)를 하강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state, if the push bar (131) is lowered, a collision between the electrode reel and the push bar (131) may occur, so the micro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lowering of the push bar (131) only in a situation where the core of the electrode reel is detected using the first pusher overlap sensor (133).
또한, 상기 제2 푸셔 오버랩 센서(134)는 이동 유닛(110)과 클램핑 유닛(120)에 의한 전극릴의 위치 이동이 실시되는 과정에서 코어 간의 마찰을 원인으로 하여 다른 전극릴까지 이동하게 되는 현상의 대비를 위한 구성이며, 제1 푸셔 오버랩 센서(133)와 동시에 작동하거나 시간차를 두고 작동하여 다른 전극릴이나 다른 전극릴 코어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usher overlap sensor (134) is configured to counteract the phenomenon in which the electrode reel moves to another electrode reel due to friction between cores during the process in which the electrode reel's position is moved by the moving unit (110) and the clamping unit (120), and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simultaneously with the first pusher overlap sensor (133) or operate with a time difference to measure the distance to another electrode reel or another electrode reel core.
이때, 도 4d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상기 클램핑 유닛(120)에 의한 전극릴의 이동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제2 푸셔 오버랩 센서(134)가 샤프트와의 거리를 측정하게 되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거리 측정값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d, in the case where movement of the electrode reel by the clamping unit (120) occurs normally, the second pusher overlap sensor (134) measures the distance from the shaft, but in the case where a phenomenon as shown in FIG. 5 occurs, no change occurs in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
이 상태에서 상기 푸시바(131)가 하강하게 되면, 양측의 전극릴과 푸시바(131)의 충돌이 발생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제2 푸셔 오버랩 센서(134)를 이용하여 다른 전극릴의 코어가 감지되는 상황에서는 푸시바(131)의 하강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state, if the push bar (131) is lowered, a collision between the electrode reels on both sides and the push bar (131) may occur, so the micro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limit the lowering of the push bar (131) in a situation where the core of another electrode reel is detected using the second pusher overlap sensor (134).
따라서, 상기 푸시바(131)의 위치 설정에 오차가 발생하거나 서로 인접한 전극릴 사이에 푸시바(131)의 진입을 위한 공간이 충분하게 형성되지 못한 상황에서의 푸시바(131)의 하강이 제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극릴이 손상에 따른 여러 형태의 손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an error in the positioning of the push bar (131) or where there is not enough space between adjacent electrode reels for the entry of the push bar (131), the descent of the push bar (131) can be restricted, thereby preventing various types of damage due to damage to the electrode reel.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introduced above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explana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components may be expressed in an exaggerated or reduced form for convenience.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Additionally, identical reference numb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present identical components.
10 : 반출 라인
11 : 샤프트
20 : 대차
100 : 본체 프레임 → 101 : 수직 지지대
→ 102 : 수평 지지대
110 : 이동 유닛 → 111 :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
→ 112 : 수평 가이드
120 : 클램핑 유닛 → 121 : 클램퍼
→ 122 : 제2 리니어 액추에이터
→ 123 : 릴 디텍트 센서
→ 124 : 클램퍼 오버랩 센서
130 : 푸싱 유닛 → 131 : 푸시바
→ 132 : 제3 리니어 액추에이터
→ 133 : 제1 푸셔 오버랩 센서
→ 134 : 제2 푸셔 오버랩 센서
전극릴 : R
코어 : C
샤프트 : S10: Export line
11 : Shaft
20 : Cargo
100: Body frame → 101: Vertical support
→ 102 : Horizontal support
110: Moving unit → 111: First linear actuator
→ 112 : Horizontal guide
120: Clamping unit → 121: Clamper
→ 122 : 2nd linear actuator
→ 123 : Reel Detect Sensor
→ 124 : Clamper Overlap Sensor
130: Pushing Unit → 131: Push Bar
→ 132 : 3rd linear actuator
→ 133: 1st pusher overlap sensor
→ 134: 2nd pusher overlap sensor
Electrode reel: R
Core: C
Shaft: S
Claims (5)
상기 반출 라인(10)의 말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이송용의 대차(20)가 대기하는 공간을 사이에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대(101)와 반출 라인(1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한 쌍의 수평 지지대(10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본체 프레임(100);
상기 한 쌍의 수평 지지대(102)에 하나씩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11)와 수평 가이드(112)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동 유닛(110);
전극릴의 코어를 잡는 동작을 하는 클램퍼(121)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유닛(110)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 리니어 액추에이터(122)를 이용하여 클램퍼(121)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 유닛(110)과 연계하여 코어를 단독으로 당기는 동작을 하는 클램핑 유닛(120); 및,
전극릴의 코어에 대응하는 푸시바(131)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유닛(110)의 타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3 리니어 액추에이터(132)를 이용하여 푸시바(131)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 유닛(120)의 작동 후에 이동 유닛(110)과 연계하여 코어를 단독으로 미는 동작을 하는 푸싱 유닛(1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릴 반출 장치.
In an electrode reel removal device installed adjacent to an electrode reel removal line (10),
A main body frame (100)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vertical supports (101) installed adjacent to the end of the above-mentioned export line (10) and forming a space between which a transport cart (20) waits, and a pair of horizontal supports (102) positioned above the export line (10);
A moving unit (110)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in both directions using a first linear actuator (111) and a horizontal guide (112) installed horizontally on one of the above pair of horizontal supports (102);
A clamping unit (120) that performs a motion to independently pull the core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unit (110) while being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clamper (121) is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using a second linear actuator (122) install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moving unit (110), and having a clamper (121) that performs a motion to hold the core of the electrode reel; and,
An electrode reel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pushing unit (130) configured to independently push the core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unit (110) after the operation of the clamping unit (120), wherein the pushing unit (131) is provided with a push bar (131) corresponding to the core of the electrode reel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raise and lower the push bar (131) using a third linear actuator (132) installed vertically on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unit (110).
상기 이동 유닛(110)은,
전극릴의 상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클램핑 유닛(120)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직 하방으로의 거리를 측정하는 릴 디텍트 센서(123)를 이용하여, 전극릴의 코어가 감지되는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를 더 이동한 후 정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릴 반출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moving unit (110) is,
In the process of moving upwards on the electrode reel,
An electrode reel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move a preset distance from the point at which the core of the electrode reel is detected and then stop using a reel detection sensor (123) that measures the vertical downward distance whil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lamping unit (120).
상기 클램핑 유닛(120)은,
상기 클램퍼(121)의 상방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방으로의 거리를 측정하는 클램퍼 오버랩 센서(124)를 이용하여, 전극릴이 감지되는 상황에서는 클램퍼(121)의 하강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릴 반출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lamping unit (120) is
An electrode reel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limit the descent of the clamper (121) in a situation where the electrode reel is detected by using a clamper overlap sensor (124) that measures the downward distance while installed above the clamper (121).
상기 푸싱 유닛(130)은,
상기 클램퍼(121)가 전극릴 코어의 수직 상방에 위치할 때 반대편 코어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하방으로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 푸셔 오버랩 센서(133)를 이용하여, 전극릴의 코어가 감지되는 상황에서만 상기 푸시바(131)를 하강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릴 반출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pushing unit (130) is
An electrode reel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ush bar (131) is controlled to descend only in a situation where the core of the electrode reel is detected by using a first pusher overlap sensor (133) that measures the downward distance while the clamper (121) is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opposite core when it is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electrode reel core.
상기 푸싱 유닛(130)은,
상기 클램퍼(121)가 전극릴 코어의 수직 상방에 위치할 때 인접한 다른 전극릴 코어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하방으로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 푸셔 오버랩 센서(134)를 이용하여, 다른 전극릴의 코어가 감지되는 상황에서는 상기 푸시바(131)의 하강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릴 반출 장치.In paragraph 4,
The above pushing unit (130) is
An electrode reel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usher overlap sensor (134) is used to measure the downward distance while the clamper (121) is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another adjacent electrode reel core when it is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electrode reel core, and is configured to limit the descent of the push bar (131) in a situation where the core of another electrode reel is detec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91227A KR102719058B1 (en) | 2024-07-10 | 2024-07-10 | Electrode reel ejec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91227A KR102719058B1 (en) | 2024-07-10 | 2024-07-10 | Electrode reel ejec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19058B1 true KR102719058B1 (en) | 2024-10-17 |
Family
ID=93286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91227A KR102719058B1 (en) | 2024-07-10 | 2024-07-10 | Electrode reel ejec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9058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1810A (en) * | 1993-09-14 | 1995-03-28 | Kao Corp |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roll sheet |
US20070028934A1 (en) * | 2003-09-25 | 2007-02-08 | Thomas Hafker |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cigarette) packets |
JP2007505801A (en) * | 2003-09-16 | 2007-03-15 | ザウラ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 Winder |
KR20220066714A (en) * | 2020-11-16 | 2022-05-24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Automated guided vehicl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electrode reel core using thereof |
KR102455349B1 (en) | 2022-02-21 | 2022-10-17 | (주)코윈테크 | Reel take-out device for Reel to Reel production equipment |
-
2024
- 2024-07-10 KR KR1020240091227A patent/KR10271905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1810A (en) * | 1993-09-14 | 1995-03-28 | Kao Corp |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roll sheet |
JP2007505801A (en) * | 2003-09-16 | 2007-03-15 | ザウラ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 Winder |
US20070028934A1 (en) * | 2003-09-25 | 2007-02-08 | Thomas Hafker |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cigarette) packets |
KR20220066714A (en) * | 2020-11-16 | 2022-05-24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Automated guided vehicl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electrode reel core using thereof |
KR102455349B1 (en) | 2022-02-21 | 2022-10-17 | (주)코윈테크 | Reel take-out device for Reel to Reel production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30060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ube for heat exchange of heat exchanger | |
JP3315151B2 (en) | Pipe insertion device of heat exchanger assembly device | |
JP6260034B2 (en) | Sheet material sorting equipment | |
WO2009125616A1 (en) | Article storage facility | |
JP2008201491A (en) | Control device of automated warehouse | |
US6264417B1 (en) | Flexible roll chucking assemblage and method | |
KR102719058B1 (en) | Electrode reel ejection device | |
JP6452040B2 (en) | Bar feeder | |
KR101365151B1 (en) | A system for automatically storing wheels | |
KR100858126B1 (en) | The supply apparatus which it follows in steel sleeve width | |
JPH10181884A (en) | Article stack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 |
CN212333688U (en) | Scroll conveying system | |
JP6287657B2 (en) | Goods transport equipment | |
CN108217151B (en) | Barrel centering system | |
JP2973817B2 (en) | Automatic warehouse loading / unloading device | |
KR102064193B1 (en) | Split and merge apparatus for goods | |
JP2007137605A (en) | Storage facility for roll-shaped article | |
JP5050990B2 (en) | Automatic tensile tester for wire | |
JP2002167044A (en) | Mechanism for tiering bar and pipe material in multiple stages | |
CN113636285B (en) | Transfer device | |
JP3254083B2 (en) | Continuous sheet feeder for sheet-fed printing press | |
KR200186060Y1 (en) | Device for transporting paper coil | |
JPS6124345Y2 (en) | ||
JP4155571B2 (en) | Automatic supply and discharge device for pile truck | |
JP5548335B2 (en) | Corrugated equipment for game boar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