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717659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7659B1
KR102717659B1 KR1020160164658A KR20160164658A KR102717659B1 KR 102717659 B1 KR102717659 B1 KR 102717659B1 KR 1020160164658 A KR1020160164658 A KR 1020160164658A KR 20160164658 A KR20160164658 A KR 20160164658A KR 102717659 B1 KR102717659 B1 KR 102717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or
display
display device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631A (ko
Inventor
김선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4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7659B1/ko
Priority to US15/793,321 priority patent/US10514792B2/en
Priority to CN201711266634.1A priority patent/CN108153376B/zh
Publication of KR20180064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7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7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면에 제공된 제1 센서 유닛; 제2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면에 제공된 제2 센서 유닛; 상기 제1 센서 유닛과 상기 제2 센서 유닛의 사이에 제공된 제3 센서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와, 상기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센서 구동부와, 상기 제2 센서 유닛의 감지 신호로부터 검출된 터치 입력의 위치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일 영역으로 매핑하는 매핑 제어부를 포함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매핑 제어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매핑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활용도 및 휴대성을 높이기 위하여 양면에서 영상을 표시하거나 접을 수 있는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 수단으로서 화면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를 보면서 편리하게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터치 센서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적어도 양면에서 터치 입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면에 제공된 제1 센서 유닛; 제2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면에 제공된 제2 센서 유닛; 상기 제1 센서 유닛과 상기 제2 센서 유닛의 사이에 제공된 제3 센서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와, 상기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센서 구동부와, 상기 제2 센서 유닛의 감지 신호로부터 검출된 터치 입력의 위치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일 영역으로 매핑하는 매핑 제어부를 포함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매핑 제어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매핑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매핑 제어부는, 상기 제3 센서 유닛의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매핑 제어부가 활성화되는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상기 제3 센서 유닛을 오프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매핑 제어부가 활성화되는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상기 제2 센서 유닛의 일 영역만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영역은 오프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매핑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 유닛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된 감지 신호, 또는 소정의 옵션 키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동부는, 상기 매핑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나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동부는, 상기 매핑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 상에 매핑된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센서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사이에 개재하고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센서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센서 유닛의 서로 대응되는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 유닛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3 센서 유닛의 영역에 배치된 소정의 폴딩 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센서 유닛은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 유닛은 자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제2 센서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된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문 센서에서 감지된 지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센서 유닛에 제공된 유효 터치 입력을 식별하는 지문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3 센서 유닛에 제공된 터치 입력을 복수의 터치 이벤트로 구분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소정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3 센서 유닛에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터치 입력의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소정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은, 서로 중첩되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과,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면에 제공된 제1 및 제2 센서 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 측면에 제공되는 제3 센서 유닛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양면 연동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 유닛으로 제공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의 위치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일 영역으로 매핑하여 위치 정보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3 센서 유닛으로 제공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상기 제3 센서 유닛을 오프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센서 유닛에 제공된 유효 터치 입력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의하면, 적어도 양면에서 터치 입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서로 다른 일면에 제공된 센서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동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의하면, 배면 측의 제2 센서 유닛에서 발생하는 터치 입력의 유형을 판별하여 터치 인식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센서 유닛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센서 유닛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센서 유닛을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센서 유닛을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센서 유닛을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센서 유닛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센서 유닛을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센서 유닛을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밖에 당업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그 표현 여부에 관계없이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적으로 관계되지 않은 일부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생략되었을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의 일부 구성 요소는 그 크기나 비율 등이 다소 과장되어 도시되었을 수 있다. 도면 전반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 번호 및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부(100)와, 상기 패널부(1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200)를 포함한다.
패널부(100)는 적어도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과 제1 및 제2 센서 유닛(110, 140)을 포함한다. 즉, 패널부(100)는 각각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들(120, 130) 및 센서 유닛들(110, 140)을 포함한다. 한편, 도 1의 실시예에서는 패널부(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들(120, 130) 및 센서 유닛들(110, 140)을 모두 개별적인 구성 요소로서 분리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들(120, 130) 및 센서 유닛들(110, 140) 중 적어도 두 개는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패널부(100)는 경성의(rigid) 디스플레이 패널부를 구성하거나, 가요성의(flexible) 디스플레이 패널부를 구성할 수 있다. 패널부(100)가 경성의 디스플레이 패널부로 구성될 때,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과 제1 및 제2 센서 유닛(110, 140) 중 적어도 하나는 경성의 디스플레이 유닛 혹은 경성의 센서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부(100)가 가요성의 디스플레이 패널부로 구성될 때,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과 제1 및 제2 센서 유닛(110, 140)은 가요성의 디스플레이 유닛 혹은 가요성의 센서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은 각각 개별적인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은 일체로 연결된 단일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foldable display panel)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은 일면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의 다른 일면 측에는 각각 제1 센서 유닛(110) 및 제2 센서 유닛(140)이 제공된다.
즉,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은 서로 중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일례로,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으로 빛을 방출하여 전면에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으로 빛을 방출하여 배면에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배면 디스플레이 유닛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20)과 배면 디스플레이 유닛(130)의 타입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유닛(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nit)과 같은 자발광성 디스플레이 유닛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타입의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 중 적어도 하나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liquid crystal display unit) 등과 같은 비발광성 디스플레이 유닛일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 중 적어도 하나가 비발광성 디스플레이 유닛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센서 유닛(110)은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일면에 제공된다. 일례로, 제1 센서 유닛(110)은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영상 표시면, 예컨대, 전면 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센서 유닛(11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서 제공되는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센서 유닛(110)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센서 유닛(140)은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의 일면에 제공된다. 일례로, 제2 센서 유닛(140)은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의 영상 표시면, 예컨대, 배면 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센서 유닛(14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서 제공된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센서 유닛(140)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센서 유닛(110) 및 제2 센서 유닛(14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 제1 센서 유닛(110)은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포함되고, 제2 센서 유닛(140)은 자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센서 유닛(110)과 제2 센서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타입의 터치 센서, 일례로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나 압전 소자를 이용한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센서 유닛(110, 140)의 타입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동부(200)는 패널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패널부(100)를 제어하며, 이를 위해 패널부(100)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한다. 실시예에 따라, 구동부(200)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구동부(220, 230), 제1 및 제2 센서 구동부(210, 240) 및 매핑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구동부(220)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1 디스플레이 구동부(220)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를 공급한다. 일례로, 제1 디스플레이 구동부(220)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주사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구동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또는 타이밍 제어부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IC(D-IC)의 내부에 집적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주사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 타이밍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집적되거나 실장될 수도 있다.
제2 디스플레이 구동부(230)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2 디스플레이 구동부(230)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를 공급한다. 일례로, 제2 디스플레이 구동부(230)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의 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또는 타이밍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을 구동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또는 타이밍 제어부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IC(D-IC)의 내부에 집적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주사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 타이밍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 상에 집적되거나 실장될 수도 있다.
제1 센서 구동부(210)는 제1 센서 유닛(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센서 유닛(110)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1 센서 구동부(210)는 제1 센서 유닛(110)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한다. 일례로, 제1 센서 구동부(210)는 제1 센서 유닛(110)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한 후, 상기 제1 센서 유닛(110)으로부터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로부터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센서 구동부(210)는 구동 회로와 감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센서 유닛(1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와 감지 회로는 하나의 터치 IC(T-IC)의 내부에 집적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센서 구동부(240)는 제2 센서 유닛(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센서 유닛(140)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2 센서 구동부(240)는 제2 센서 유닛(140)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한다. 일례로, 제2 센서 구동부(240)는 제2 센서 유닛(140)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한 후, 상기 제2 센서 유닛(140)으로부터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로부터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센서 구동부(240)는 구동 회로와 감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센서 유닛(14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와 감지 회로는 하나의 터치 IC(T-IC)의 내부에 집적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매핑 제어부(250)는 제2 센서 유닛(140) 및 제2 센서 구동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정의 제어 신호(혹은,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된다. 제어 신호는 제1 및 제2 센서 유닛(110, 1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호스트 프로세서 등으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일례로, 매핑 제어부(250)는 제1 및 제2 센서 유닛(110, 1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된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예컨대, 매핑 제어부(250)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위치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나 이벤트 신호, 혹은 소정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소정의 위치나 이벤트 신호, 혹은 소정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가 매핑 제어부(250)를 활성화하는 제어 신호로서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매핑 제어부(25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되는 소정의 옵션 키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화된 매핑 제어부(250)는 제2 센서 구동부(240)와 연결되어 제2 센서 유닛(140)의 감지 신호로부터 검출된 터치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매핑 제어부(250)는 수신한 터치 입력 정보에 포함된 터치 입력의 위치(즉,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 상에서의 터치 입력의 위치)를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의 일 영역으로 매핑하여 변환한다. 이를 위해, 매핑 제어부(250)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서의 소정의 위치와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 상에서의 소정의 위치를 서로 매핑하기 위해 미리 저장된 매핑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매핑 제어부(250)는 매핑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미도시)를 참조하여 제2 센서 유닛(140)에서 감지된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 상에서의 터치 입력의 위치를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의 일 영역으로 매핑하여 변환하고, 변환된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200)는 소정의 제어 신호(혹은,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여 매핑 제어부(250)를 활성화하고, 상기 매핑 제어부(250)로부터 출력되는 위치 정보(즉, 변환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구동부(200)는 매핑 제어부(250)로부터 출력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나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구동부(200)는 매핑 제어부(250)로부터 출력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화면 상에서 매핑된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구동부(200)는 매핑 제어부(250)로부터 출력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화면 상에서 매핑된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200)는 일례로, 커서(cursor)와 같은 포인터(pointer)를 이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화면 상에서 매핑된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면 중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 측의 배면을 터치하여 제2 센서 유닛(140)으로 배면 터치 입력을 제공하면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즉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서 상기 배면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위치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매핑 제어부(250)가 활성화되어 제2 센서 유닛(140)을 통한 배면 터치 입력에 의해 전면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제어되는 모드를 "양면 연동 모드"라 지칭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에는 한 손만으로도 휴대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양면에서 터치 입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서로 다른 일면에 제공된 센서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 예컨대, 제2 센서 유닛(140)과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연동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이러한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개시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 1과 유사 또는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센서 유닛(110, 140)을 제어 및 구동하기 위한 제1 및 제2 센서 구동부(210, 240)는 하나의 센서 구동부(260)로 통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센서 구동부(210, 240)는 하나의 터치 IC(T-IC)로 집적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을 제어 및 구동하기 위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구동부(220, 23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부(270)로 통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구동부(220, 23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IC(D-IC)로 집적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앞선 실시예에서 서로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20 또는 130) 및 센서 유닛(110 또는 140)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센서 유닛(110)은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혹은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센서 일체형 디스플레이 유닛(150)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센서 유닛(140)은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혹은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센서 일체형 디스플레이 유닛(160)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패널부(100)는 지문 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구동부(200)는 지문 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식별하는 지문 인식부(fingerprint identification unit; FP ID UNIT)(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측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 및 제2 센서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에 지문 센서를 구비 혹은 형성하거나, 혹은 이들을 수용하는 하부 커버를 지문 센서 일체형 커버로 구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측에 지문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지문 센서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예컨대, 지문 센서는 매핑 제어부(250)가 활성화되는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측에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지문 인식부(280)는 지문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미리 등록된 소정의 지문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측에 제공되는 터치 입력이 유효 터치 입력인지 아닌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특정 손가락, 일례로 검지 등에 대한 지문 정보를 미리 등록해 둠으로써,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손바닥이나 혹은 다른 손가락에 의해 의도치 않게 발생하는 터치 입력에 대해서는 비유효 터치 입력으로 인식하여 반응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미리 등록된 손가락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입력만 유효 터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면 측의 제2 센서 유닛(140)에서 발생하는 터치 입력의 유형을 판별하여 유효 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터치 인식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원치 않는 터치 입력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음으로써, 일례로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센서 유닛을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센서 유닛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1 센서 유닛(110) 및 제2 센서 유닛(140)은 서로 다른 타입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 유닛(110)은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로 구현되고, 제2 센서 유닛(140)은 자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센서 유닛(110)은 활성 영역(active area; 이하 'AA'라 함) 및 비활성 영역(active area; 이하 'NA'라 함)이 정의된 기판(111)과, 상기 기판(111)의 활성 영역(AA)에 제공되는 다수의 제1 전극들(112) 및 제2 전극들(113)과, 상기 기판(111)의 비활성 영역(NA)에 제공되며 각각의 제1 전극들(112) 및 제2 전극들(1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배선들(11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전극(112)은 제1 방향(예컨대, X 방향)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제1 센싱셀들(112a)과 상기 제1 센싱셀들(112a)을 제1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들(11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전극(112)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바 형상의 전극일 수도 있다.
각각의 제2 전극(113)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예컨대, Y 방향)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제2 센싱셀들(113a)과 상기 제2 센싱셀들(113a)을 제2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부들(113b)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2 전극(113)은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바 형상의 전극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전극들(112)은 구동 신호를 공급받는 구동 전극들일 수 있고, 제2 전극들(113)은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 전극들일 수 있다. 또는, 제1 전극들(112)이 감지 전극들이고, 제2 전극들(113)이 구동 전극들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센서 유닛(140)은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이 정의된 기판(141)과, 상기 기판(141)의 활성 영역(AA)에 제공되는 다수의 전극부들(142)과, 각각의 전극부들(1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비활성 영역(NA)으로 인출되는 다수의 배선들(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부들(142)은 활성 영역(AA)에 다수 분산되어 배치되며, 서로 교차하는 제1 방향(예컨대, X 방향) 및 제2 방향(예컨대, Y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 개씩 나열될 수 있다. 즉, 전극부들(142) 각각은 좌표로 정의할 수 있는 소정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전극부들(142)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에 의해 해당 위치에서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 전면 측에 배치되는 제1 센서 유닛(110)과 배면 측에 배치되는 제2 센서 유닛(140)은 각각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및 자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로 구현된다.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는 자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에 비해 외곽의 비활성 영역(NA)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에서는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적용할 수 있어 넓은 화면을 구현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는 액티브 펜(active pen)과 같은 터치 입력 도구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한편, 자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는 영역별로 터치 기능의 온/오프를 제어하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일례로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지문 등록 등을 통해 미리 지정된 손가락(예컨대, 검지) 외에 다른 손가락이나 손바닥이 접촉되기 쉬운 영역을 부분적으로 오프 시키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제2 센서 유닛(140)의 활성 영역(AA) 중에서도 중앙에 위치된 일부 영역만 선택적으로 터치 기능을 온 시키고, 제2 센서 유닛(140)의 나머지 가장자리 영역의 터치 기능을 선택적으로 오프 시킴으로써 의도치 않은 터치 입력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센서 유닛(110, 14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 혹은 동일한 타입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개략적인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에 적용될 수 있는 화소의 일 실시예를 회로도로 나타낸 것이다. 편의상, 도 8에서는 제n(n은 자연수) 주사선 및 제m(m은 자연수) 데이터선에 접속되며 두 개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능동형 유기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소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소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화소의 타입이나 그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화소의 일 영역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이 정의된 기판(171)과, 상기 기판(171)의 활성 영역(AA)에 제공되는 다수의 화소들(PXL)을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각각의 화소(PXL)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M1, M2), 커패시터(C) 및 발광소자(EL)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M1)는 데이터선(Dm)과 제1 노드(N1) 사이에 접속되며, 제1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Sn)에 접속된다. 이러한 제1 트랜지스터(M1)는 주사선(Sn)으로부터 게이트 온 전압(예컨대, 로우 전압)을 가지는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된다. 제1 트랜지스터(M1)가 턴-온되면, 데이터선(Dm)과 제1 노드(N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트랜지스터(M2)는 제1 전원(ELVDD)과 발광소자(EL) 사이에 접속되며, 제2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전극은 제1 노드(N1)에 접속된다. 이러한 제2 트랜지스터(M2)는 제1 노드(N1)의 전압에 대응하여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발광소자(EL)를 경유하여 제2 전원(ELVSS)으로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전원(ELVDD)은 고전위 화소전원이고, 제2 전원(ELVSS)은 저전위 화소전원일 수 있다.
커패시터(C)는 제1 전원(ELVDD)과 제1 노드(N1) 사이에 접속된다. 이러한 커패시터(C)는 제1 노드(N1)로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저장하고, 다음 프레임의 데이터 신호가 공급될 때까지 저장된 전압을 유지한다.
발광소자(EL)는 제2 트랜지스터(M2)와 제2 전원(ELVSS) 사이에 접속된다. 이러한 발광소자(EL)는 제2 트랜지스터(M2)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전류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한다. 실시예에 따라, 발광소자(EL)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70)은 서로 대향되는 제1 기판(171) 및 제2 기판(177)과, 상기 제1 기판(171)과 제2 기판(177)의 사이에 제공되는 화소(PXL)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기판(171)과 제2 기판(177) 중 적어도 하나는 경성 기판 혹은 가요성 기판일 수 있으며, 그 재질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 기판(171)과 제2 기판(177) 중 적어도 하나는 박막의 유/무기막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기판(177)은 적어도 한 층의 무기막 및/또는 유기막을 포함하는 절연층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례로, 제2 기판(177)은 적어도 한 층의 무기막 및 유기막을 포함하는 박막 봉지층(thin film encapsulation; TFE)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기판(171)과 제2 기판(177)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는 센서층(178)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기판(177)의 상부면에는 디스플레이 유닛(170)과 일체로 제작된 센서층(178)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센서층(178)은 앞서 설명한 제1 또는 제2 센서 유닛(110, 140)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또는 제2 센서 유닛(110, 140)은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과 별도로 제작된 이후,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의 일면 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 기판(171)과 제2 기판(177)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편광층이나 반사층과 같은 소정의 기능층이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화소(PXL)는 제1 기판(171)의 제1면, 예컨대, 제2 기판(177)을 향하는 일면 상에 제공되는 트랜지스터, 일례로, 도 8의 제2 트랜지스터(M2)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M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소자(EL)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기판(171)과 화소(PXL)의 사이에는 버퍼층(172)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트랜지스터(M2)는, 활성층(ACT), 게이트 전극(GE), 소스 및 드레인 전극(SE, DE)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활성층(ACT)은 제1 기판(171)의 일면에 제공된 버퍼층(172) 상에 제공되고, 게이트 전극(GE)은 제1 절연막(173)을 사이에 개재하고 활성층(ACT)과 중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소스 및 드레인 전극(SE, DE)은 게이트 전극(GE) 상에 위치된 제2 절연막(174) 상에 위치되어, 제1 및 제2 절연막(173, 174)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활성층(ACT)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제2 트랜지스터(M2)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2 트랜지스터(M2)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소스 및 드레인 전극(SE, DE) 상에는 제3 절연막(175)이 배치되고, 제3 절연막(175) 상에는 발광소자(EL)가 제공될 수 있다. 발광소자(EL)는 제3 절연막(175)에 형성된 비아홀을 통해 제2 트랜지스터(M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광소자(EL)는 적어도 일 영역에서 서로 중첩되는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사이에 개재된 발광층(EML)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은 각각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화소 구조에 따라서는 제2 트랜지스터(M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E1)이 캐소드 전극일 수도 있다. 애노드 전극의 일 영역, 예컨대 가장자리 영역은 화소 정의막(176)에 의해 덮이고, 화소 정의막(176)에 의해 덮이지 않은 노출 영역 상에 발광층(EML)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170)은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 모두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170)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은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일례로,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은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과 상이한 타입의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현되거나, 혹은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과 동일한 타입의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현되되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과 일부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도 7 내지 도 9와 유사 또는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170)은 활성 영역(AA)에 제공된 복수의 포토 센서들(PHS)을 포함한다. 일례로, 포토 센서들(PHS)은 소정의 해상도로 활성 영역(AA)에 균이랗게 분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포토 센서들(PHS)은 화소들(PXL)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170)은 활성 영역(AA)에 분산된 포토 센서들(PHS)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170)은, 포토 센서들(PHS)로 구성된 지문 센서를 내재한 디스플레이 유닛일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유닛(170)은 화소들(PXL)을 구성하는 제2 트랜지스터들(M2)과 동일 층 상에 배치된 포토 센서들(PHS)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포토 센서(PHS)는 제2 트랜지스터들(M2)의 활성층(ACT)과 동일 층 상에 제공된 포토 다이오드(PHD)와, 상기 포토 다이오드(PHD)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포토 전극들(PE1, PE2)을 포함할 수 있다. 포토 센서(PHS)는 제1 및 제2 포토 전극들(PE1, PE2)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지문 감지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포토 다이오드(PHD)로 입사된 광 정보를 지문 감지 회로로 출력한다. 일례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디스플레이 유닛(170)을 터치할 때, 주변 화소(PXL)의 발광 소자(EL)에서 방출된 광 중 일부가 손가락의 지문에서 반사되어 포토 센서(PHS)로 입사될 수 있다. 그러면, 포토 센서(PHS)는 입사된 광량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포토 센서(PHS)에서 감지된 광 정보는 구동부(200)에 제공된 지문 인식부(280)로 입력될 수 있다. 그러면, 지문 인식부(280)는 복수의 포토 센서들(PHS)로부터 전달되는 광 정보를 종합하여 사용자의 지문 형태를 파악함으로써, 지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170)은 사용자의 지문에서 반사되는 반사광 중 미리 설정된 특정 방향의 광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도광 구조체(LG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유닛(170)은 사용자의 지문에서 반사되는 반사광 중, 포토 센서(PHS)로 수직으로 입사되는 광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도광 구조체(LG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문 센서의 구조나 그 타입이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포토 센서들 (PHS)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조나 타입의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170)은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들(120, 130)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측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은 지문 센서를 내재한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 영역(AA)에 제공된 다수의 포토 센서들(PHS)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널부(100)의 배면 측에 지문 센서를 구성하게 되면, 일례로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유효 터치 입력과 비유효 터치 입력을 구분하여 터치 인식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지문이 등록된 손가락(일례로, 사용자의 왼손 검지 및/또는 오른손 검지 등) 외에 다른 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에 의하여 의도치 않은 터치 입력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해서는 비유효 터치 입력으로 판별하고 전면 측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나 콘텐츠를 제어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3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패널부(100)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과,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 각각의 일면 측에 제공되는 제1 및 제2 센서 유닛(110, 140)과, 상기 제1 및 제2 센서 유닛(110, 140)의 사이에 제공되는 제3 센서 유닛(180)을 포함한다. 즉, 제3 센서 유닛(180)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의 일면 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구동부(200)는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110, 140, 180)을 제어하는 센서 구동부(260)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270)와, 배면 측의 제2 센서 유닛(140)의 감지 신호로부터 검출된 터치 입력의 위치를 전면 측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일 영역으로 매핑하여 양면 연동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매핑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센서 유닛(110)과 제2 센서 유닛(140)의 사이에 제공되는 제3 센서 유닛(180)을 더 포함한다. 일례로, 제3 센서 유닛(18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어도 일 측면 측에 제공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서 제공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예컨대, 제1 및 제2 센서 유닛(110, 140)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을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의 외면 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제3 센서 유닛(180)은 제1 및 제2 센서 유닛(110, 140)의 서로 대응되는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 유닛(110, 14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3 센서 유닛(180)은 제1 센서 유닛(110) 및/또는 제2 센서 유닛(140)과 일체로 제작되거나, 혹은 제1 센서 유닛(110) 및 제2 센서 유닛(140)과 별도로 제작된 후 이들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3 센서 유닛(180)은 제1 센서 유닛(110)과 제2 센서 유닛(140)의 사이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고정된 형태의 커브드 센서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제3 센서 유닛(180)은 가요성 센서 유닛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3 센서 유닛(180)이 제공된 영역에서 접거나 펼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3 센서 유닛(18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서 제공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3 센서 유닛(180)은 제1 센서 유닛(110) 및/또는 제2 센서 유닛(140)과 동일한 타입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제3 센서 유닛(180)은 지정된 위치나 이벤트를 인식하는 옵션 키 등을 구현하는 압력 감지 소자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3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3 센서 유닛(180)을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서 제공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다양한 부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3 센서 유닛(180)에서 감지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매핑 제어부(25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제3 센서 유닛(180)으로 제공되는 터치 입력을 통해 매핑 제어부(250)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매핑 제어부(250)가 활성화되는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사용자가 한 손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한다고 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측에는 원치 않는 터치 입력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 센서 구동부(260)는 매핑 제어부(250)가 활성화된 이후부터 상기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제3 센서 유닛(180)의 터치 기능을 일시적으로 오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센서 구동부(260)는 양면 연동 모드의 종료를 지시하는 소정의 제어 신호나 제3 센서 유닛(180)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소정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3 센서 유닛(180)의 터치 기능을 다시 턴-온 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센서 구동부(260)는 매핑 제어부(250)가 활성화되는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제2 센서 유닛(140)의 일 영역만 부분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제2 센서 유닛(140)의 나머지 영역은 터치 기능을 오프시킬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라, 센서 구동부(260)는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제2 센서 유닛(140)의 일 영역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터치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도치 않은 터치 입력이 발생하기 쉬운 영역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터치 기능을 비활성화시켜 의도치 않은 터치 입력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제2 및/또는 제3 센서 유닛(110, 140, 180)에 제공된 터치 입력을 복수의 터치 이벤트로 구분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소정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분된 각각의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과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110, 140, 180) 중 적어도 하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제어 동작은 구동부(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200)는 제3 센서 유닛(180)에 제공된 터치 입력을 분석하여 복수의 터치 이벤트 중 대응하는 터치 이벤트를 판별하고, 판별된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터치 이벤트를 구분하기 위하여, 구동부(200)는 제1, 제2 및/또는 제3 센서 유닛(110, 140, 180)에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터치 입력의 횟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횟수에 대응하여 소정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일례로, 구동부(200)는 제3 센서 유닛(180)에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터치 입력의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횟수에 대응하여 소정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200)는 사용자가 제3 센서 유닛(180)을 2회 연속 터치할 시에는 제1 센서 유닛(110) 및/또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활성화 상태로 턴-온 시키고, 3회 연속 터치할 시에는 제2 센서 유닛(140)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을 활성화 상태로 턴-온 시키며, 4회 연속 터치할 시에는 제1 내지 제3 센서 유닛(110, 140, 180) 모두를 활성화 상태로 턴-온 시킬 수 있다. 다만,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소정의 터치 이벤트 및 이에 대응하는 소정의 동작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제3 센서 유닛(180)을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4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foldable display panel; 이하 'FLP'라 함)을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정의 폴딩 축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의 일면이 서로 접하도록 접힐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3 센서 유닛(180)은 폴딩 영역에 제공되고, 상기 제3 센서 유닛(180) 영역에 배치된 소정의 폴딩 축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FLP)은 적어도 양면에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FLP)의 폴딩 영역(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의 연결 영역)(190)에도 화소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FLP)은 폴딩 영역(190)에서도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여, 측면에서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110, 140, 180)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폴더블 센서 유닛(foldable sensor unit; 이하 'FLS'라 함)을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폴더블 센서 유닛(FLS)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FLP)의 일면에 제공된다. 이러한 폴더블 센서 유닛(FLS)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FLP)과 일체로 제작되거나, 이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FLP)의 일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의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도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매핑 제어부(250)를 구비하며, 이에 의해 양면 연동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매핑 제어부(25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FLP)이 접혔을 때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130)의 상응점을 매핑시킴으로써, 배면 측의 제2 센서 유닛(140)을 통해 제공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전면 측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펼쳐지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이 연결되면서 확장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센서 유닛을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센서 유닛(FLS)은,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이 정의된 기판(101)과, 상기 기판(101)의 활성 영역(AA)에 제공된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110, 140, 180)을 포함한다. 한편, 도 15의 실시예에서는 활성 영역(AA)을 기준으로 상기 활성 영역(AA)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폴딩 축(FA)을 배치하였으나, 폴딩 축(FA)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축(FA)은 기판(101)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101)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즉, 폴딩 축(FA)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폴딩 축(FA)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폴딩 축(FA)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폴더블 센서 유닛(FLS)을 구성하는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110, 140, 180)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110, 140, 180)을 구성하는 전극들은 활성 영역(AA) 내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활성 영역(AA)의 동일한 행 또는 동일한 열에 배치된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110, 140, 180)의 일 전극(예컨대, 일 감지 전극)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센싱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110, 140, 180)은 활성 영역(AA) 내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들(110, 140, 18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로 구현되고, 제1 및 제2 전극들(112, 113)은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110, 140) 간의 영역 구분 없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110, 140, 180)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로 구현되고, 전극부들(142)은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110, 140, 180) 간의 영역 구분 없이 활성 영역(AA) 내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110, 140, 180)을 구성하는 전극들은 활성 영역(AA) 내에 비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극들(112, 113) 중 적어도 하나, 특히 폴딩 축(FA)이 배치된 영역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폴딩 축(FA)을 기준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극들(112, 113)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110, 140, 180)의 영역 간 경계에서 분할될 수도 있다. 일례로,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110, 140, 180) 사이의 경계에서 제1 및 제2 전극들(112, 113)을 분할하여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들(110, 140, 180)을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110, 140, 180)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센서 유닛들(110, 140, 180)과 상이한 타입 혹은 구조의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센서 유닛(110, 140)의 영역에만 제1 및 제2 전극들(112, 113)(혹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극부들(142))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센서 유닛(180)의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115) 등과 같은 다른 타입의 센서를 배치하여 측면 터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은, 이벤트 판별 단계(S100)와 양면 연동 모드 실행 단계(S201) 및/또는 영역별 센서/디스플레이 온/오프 단계(S202)와, 배면 터치 인식 단계(S300)와, 위치 정보 변환 단계(S400)와, 전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로 소정의 제어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제어 신호를 확인하기 위한 이벤트 판별 단계(S100)가 실행될 수 있다. 즉, 이벤트 판별 단계(S100)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확인하여 이벤트의 종류나 실행해야 할 동작을 판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 신호가 양면 연동 모드의 실행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인 경우(Event A)에는, 양면 연동 모드 실행 단계(S201)가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제어 신호가 제1 내지 제3 센서 유닛(110, 140, 180) 및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0, 130) 중 적어도 하나의 온/오프 제어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인 경우(Event B)에는, 영역별 센서/디스플레이 온/오프 제어 단계(S202)가 실행될 수 있다. 영역별 센서/디스플레이 온/오프 제어 단계(S202)가 실행된 이후에는 해당 이벤트(Event B)의 실행이 완료되어 종료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Event A와 Event B는 동시 혹은 순차적으로 실행되거나, 혹은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도 21의 실시예에서는 두 가지 이벤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일례로서 개시하고 있으나, 이벤트의 종류는 보다 다양화될 수 있다.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면, 배면 터치 인식 단계(S300), 위치 정보 변환 단계(S400) 및 전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500)가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배면 터치 인식 단계(S3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측에 배치되는 제2 센서 유닛(140)으로 제공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터치 입력을 분석하여 터치 입력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배면 터치 인식 단계(S300)가 완료되면, 위치 정보 변환 단계(S400)가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 변환 단계(S400)는, 배면 터치 인식 단계(S300)에서 검출된 터치 입력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측에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의 일 영역으로 매핑하여 위치 정보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변환 단계(S400)가 완료되면, 전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500)가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500)는, 이전 단계(S400)에서 변환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앞선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동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측에 배치되는 제3 센서 유닛(180)으로 제공되는 소정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양면 연동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러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양면 연동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제3 센서 유닛(180)을 오프시킴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터치 입력에 의한 사용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된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상기 지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센서 유닛(140)에 제공된 유효 터치 입력을 식별함으로써, 터치 인식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또한,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140, 180: 센서 유닛
120, 130, 170: 디스플레이 유닛
150, 160: 센서 일체형 디스플레이 유닛
210, 240, 260: 센서 구동부
220, 230, 270: 디스플레이 구동부
250: 매핑 제어부
280: 지문 인식부
FLP: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
FLS: 폴더블 센서 유닛
PHS: 포토 센서
PXL: 화소

Claims (20)

  1.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면에 제공된 제1 센서 유닛;
    제2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면에 제공된 제2 센서 유닛;
    상기 제1 센서 유닛과 상기 제2 센서 유닛의 사이에 제공된 제3 센서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와, 상기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센서 구동부와, 상기 제2 센서 유닛의 감지 신호로부터 검출된 터치 입력의 위치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일 영역으로 매핑하는 매핑 제어부를 포함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매핑 제어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매핑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 유닛은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제2 센서 유닛은 자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제어부는, 상기 제3 센서 유닛의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매핑 제어부가 활성화되는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상기 제3 센서 유닛을 오프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매핑 제어부가 활성화되는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상기 제2 센서 유닛의 일 영역만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영역은 오프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 유닛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된 감지 신호, 또는 소정의 옵션 키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매핑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나 컨텐츠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매핑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 상에 매핑된 지점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사이에 개재하고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센서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센서 유닛의 서로 대응되는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 유닛의 사이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센서 유닛의 영역에 배치된 소정의 폴딩 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제2 센서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된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문 센서에서 감지된 지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센서 유닛에 제공된 유효 터치 입력을 식별하는 지문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센서 유닛에 제공된 터치 입력을 복수의 터치 이벤트로 구분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소정의 동작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제1, 제2 및 제3 센서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센서 유닛에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터치 입력의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소정의 동작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서로 중첩되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과,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면에 제공된 제1 및 제2 센서 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 측면에 제공되는 제3 센서 유닛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양면 연동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 유닛으로 제공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의 위치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일 영역으로 매핑하여 위치 정보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 유닛은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제2 센서 유닛은 자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센서 유닛으로 제공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연동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상기 제3 센서 유닛을 오프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센서 유닛에 제공된 유효 터치 입력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60164658A 2016-12-05 2016-12-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717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658A KR102717659B1 (ko) 2016-12-05 2016-12-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5/793,321 US10514792B2 (en) 2016-12-05 2017-10-25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CN201711266634.1A CN108153376B (zh) 2016-12-05 2017-12-05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658A KR102717659B1 (ko) 2016-12-05 2016-12-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631A KR20180064631A (ko) 2018-06-15
KR102717659B1 true KR102717659B1 (ko) 2024-10-17

Family

ID=6224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658A KR102717659B1 (ko) 2016-12-05 2016-12-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14792B2 (ko)
KR (1) KR102717659B1 (ko)
CN (1) CN1081533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110B1 (ko) * 2016-01-14 2023-02-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CN107103307B (zh) * 2017-05-23 2020-05-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和显示装置
WO2018225204A1 (ja) 2017-06-08 2018-12-13 株式会社ワコム ポインタの位置検出方法
FR3082025B1 (fr) * 2018-06-04 2021-07-16 Isorg Dispositif combinant capteur d'images et un écran d'affichage organiques aptes a la détection d'empreintes digitales
US11199872B2 (en) * 2018-10-30 2021-12-14 Innolux Corporation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biometric sensor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0642313B1 (en) * 2018-12-13 2020-05-05 Innolux Corporation Folda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N109740496B (zh) * 2018-12-28 2021-02-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识别方法
WO2020152556A1 (ja) * 2019-01-25 2020-07-3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機能パネル、表示装置、入出力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駆動方法
KR20190020303A (ko) * 2019-02-10 2019-02-28 심성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0221653A (zh) * 2019-05-14 2019-09-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屏
KR20210002163A (ko) * 2019-06-26 2021-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489016A (zh) * 2019-08-20 2019-11-22 闻泰通讯股份有限公司 触摸状态控制方法、装置及移动设备
CN112987957A (zh) * 2019-12-17 2021-06-1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N113138690A (zh) * 2020-01-20 2021-07-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触控屏、移动终端、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10121548A (ko) * 2020-03-30 2021-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설정된 위치로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016362A (ko) 2020-07-30 2022-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181201A (zh) * 2020-09-28 2021-01-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基板及其制作方法、触控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20230020612A (ko) * 2021-08-03 2023-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부와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592874B1 (en) * 2021-08-04 2023-02-28 Sigmasense, Llc. Touch sensing in a flexible/foldable touch screen display
KR20230036642A (ko) * 2021-09-07 2023-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지타이저를 포함한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737B1 (ko) * 2012-06-21 2013-12-16 주식회사 팬택 후면 터치를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5188137A (ja) * 2014-03-26 2015-10-2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1991A1 (en) * 2000-05-11 2002-07-11 Castro Juan Carlos Unified real-time microprocessor computer
US8416217B1 (en) * 2002-11-04 2013-04-09 Neonode Inc. Light-based finger gesture user interface
US9152176B2 (en) * 2010-10-01 2015-10-06 Z124 Application display transitions between single and multiple displays
US20080180399A1 (en) * 2007-01-31 2008-07-31 Tung Wan Cheng Flexible Multi-touch Screen
KR100946361B1 (ko) * 2007-07-05 2010-03-08 고윤용 객체연결버튼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방법, 이를 이용한 기록 매체 및 제어시스템
US9323398B2 (en) * 2009-07-10 2016-04-26 Apple Inc. Touch and hover sensing
KR20120072793A (ko) 2010-12-24 2012-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CN103309594B (zh) * 2012-03-12 2016-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触摸屏输入方法及电子设备
KR101905789B1 (ko) 2012-05-10 2018-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70244B1 (ko) * 2012-08-01 2020-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2959B1 (ko) * 2012-08-22 201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4061538A1 (ja) * 2012-10-16 2014-04-24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セッサ
KR102114312B1 (ko) 2012-10-29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KR102120099B1 (ko) * 2013-02-06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102131825B1 (ko) * 2013-03-20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터치 센서티브 영역을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7496B1 (ko) * 2013-10-07 2020-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19444A1 (en) * 2014-02-06 2015-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s
KR102243652B1 (ko) 2014-02-17 2021-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2721B1 (ko) * 2014-05-12 2021-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51666B1 (ko) 2014-07-14 2022-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을 구비한 플랙서블 표시 장치
KR20160020189A (ko) * 2014-08-13 2016-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255143B1 (ko) * 2014-09-02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033507A (ko) * 2014-09-18 201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22517A (ko) * 2015-04-1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403236B2 (en) * 2016-11-04 2019-09-03 Lenovo (Singapore) Pte. Ltd. Electronic device with folded display and 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737B1 (ko) * 2012-06-21 2013-12-16 주식회사 팬택 후면 터치를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5188137A (ja) * 2014-03-26 2015-10-2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53376A (zh) 2018-06-12
KR20180064631A (ko) 2018-06-15
US10514792B2 (en) 2019-12-24
US20180157361A1 (en) 2018-06-07
CN108153376B (zh) 202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1765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0540033B2 (en)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US20180349669A1 (en) Operating method of optical fingerprint sensor,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optical fingerprint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optical fingerprint sensor
KR101555967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908721B2 (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for removing display noise from a touch sensing signal
KR101641690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US20170351364A1 (en)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Scanning Image
US9740327B2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KR102061108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011435B1 (ko)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200097122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Built-In Touchscreen
KR20200015869A (ko) 표시장치
TW201903587A (zh) 觸控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KR20140078922A (ko) 압력 센서부를 이용한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
JP2015215800A (ja) 携帯型電子装置
KR101733728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20180132496A (ko) 광학식 지문 센서의 동작 방법,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2470108A (zh) 用于触摸屏的机械键盘覆盖物
KR101723879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JP2000276296A (ja) 入出力素子及びその駆動方法、入出力装置、並びに情報処理装置
KR101720997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20200082180A (ko) 터치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818548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터치 집적회로
KR102423596B1 (ko) 포스 센싱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43891B1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