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716318B1 -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6318B1
KR102716318B1 KR1020220021464A KR20220021464A KR102716318B1 KR 102716318 B1 KR102716318 B1 KR 102716318B1 KR 1020220021464 A KR1020220021464 A KR 1020220021464A KR 20220021464 A KR20220021464 A KR 20220021464A KR 102716318 B1 KR102716318 B1 KR 102716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ushion
seat
user
relaxation
auxili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4795A (ko
Inventor
박수헌
최봉호
오희택
Original Assignee
광명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명산업(주) filed Critical 광명산업(주)
Priority to KR102022002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6318B1/ko
Publication of KR20230124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6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63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0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cushion, e.g. back-rest hinged on the bottom to the cushion and linked on the top to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95Lower-leg-rests, e.g. calf-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실 내부에 배치되는 시트쿠션; 리클라이닝축을 매개로 시트쿠션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시트백; 및 시트쿠션의 전단 영역에 배치되는 보조시트쿠션;을 포함하되, 보조시트쿠션은, 시트쿠션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고, 릴렉션 상태로의 전환에 따라 시트쿠션과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향해, 시트쿠션으로부터 승강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은 보조시트쿠션을 통해 허벅지 부위에 대한 지지력이 제공된 후 상측으로 회동되어 종아리 부위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레그레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중이 넓은 면적에서 고르게 지지된 상태로 릴렉션 상태로의 전환이 이뤄지고, 체압을 고르게 분산시켜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 {RELAXATION SEAT FRAME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부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시트백과, 엉덩이나 허벅지 부위를 지지하는 시트쿠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량용 시트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부가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대부분의 차량용 시트에는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리클라이너(recliner)가 구비되어 있다. 리클라이너는 디자인이나 작동감 개선 등을 위해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왔다. 예컨대 등록특허 제10-1385432호는 사이드 프레임의 폭을 축소하고 백 프레임의 강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장착 구조물"을 개시하고 있고, 등록특허 제10-2242928호는 리클라이너의 록킹 기능을 하는 폴투스의 조립 공차를 줄여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너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근래 들어 차량은 단순한 이동수단을 넘어 하나의 이동식 거주공간과 같은 개념으로 발전되고 있다. 자율주행의 발전은 이러한 경향을 보다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차량 내부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특히 사용자가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내는 시트의 중요성이 급격히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최근에는 무중력 상태에서의 중립 신체 자세(Neutral Body Posture, NBP)와 유사한 포지션을 유도할 수 있는 시트들이 등장되고 있다. 당해 업계에서는 저중력 시트, 무중력 시트, 릴렉션 시트, 컴포트 시트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예컨대 공개특허 제10-2021-0122971호는 무중력 자세와 같은 릴렉션 컴포트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자동차용 릴렉션 컴포트 시트"를 개시하고 있고, 등록특허 제10-2108803호는 차량 내부의 제한된 무릎 공간에도 불구하고 중립 자세의 구현이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시트 및 차량용 시트를 이용한 착석 자세 제어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릴렉션 시트 등은 여전히 많은 해결과제들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에도 지속적인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385432호(2014.04.08. 등록) 등록특허 제10-2242928호(2021.04.15. 등록) 공개특허 제10-2021-0122971호(2021.10.13. 공개) 등록특허 제10-2108803호(2020.05.04.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고, 작동감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실 내부에 배치되는 시트쿠션; 리클라이닝축을 매개로 상기 시트쿠션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시트백; 및 상기 시트쿠션의 전단 영역에 배치되는 보조시트쿠션;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시트쿠션은, 상기 시트쿠션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고, 릴렉션 상태로의 전환에 따라 상기 시트쿠션과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향해, 상기 시트쿠션으로부터 승강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초기상태에서 릴렉션 상태로의 전환이 입력되는 단계; 시트백이 리클라이닝축을 중심으로 회동으로 회동되는 단계; 상기 시트백의 회동과 함께 시트쿠션의 전단 영역에 배치된 보조시트쿠션이 상승되어, 상기 시트백의 회동에 따른 지지점의 이동에 대응해 사용자의 허벅지 부위에 대한 지지력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보조시트쿠션이 상승되면, 레그레스트회동축을 중심으로 레그레스트가 상측으로 회동되어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대한 지지력이 제공되는 단계; 및 상기 시트백 및 상기 보조시트쿠션 사이의 리클라이닝축 부위에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가 안정되게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전단 부위가 상승되도록 시트쿠션이 회동되어 릴렉션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의 릴렉션 상태로의 전환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은 사용자의 체중이 넓은 면적에서 고르게 지지된 상태로 릴렉션 상태로의 전환 및 릴렉션 상태에서의 지지가 이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은 체압을 고르게 분산시켜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하고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의 제1작동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의 제2작동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의 제3작동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의 제4작동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과, 종래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의 작동을 비교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2에서는 일부 구성요소들을 생략해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의 보다 명확한 표현을 위해 도 1 및 2는 각각 상이한 작동상태(자세)에서의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이하, "시트(100)"로 지칭함)는,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백(110),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쿠션(120), 사용자의 다리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레그레스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백(110)은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면은 인체공학적 설계 등이 반영되어 소정의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시트백(110)의 외형이나 지지면의 형상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시트백(110)은 시트백(110)의 골격이나 지지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와, 프레임 구조에 씌워지는 커버나 쿠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버나 쿠션부재가 제거된 프레임 구조를 중심으로 시트백(110)을 도시하고 있다.
시트백(110)의 하단부에는 시트쿠션(120)이 배치될 수 있다. 시트쿠션(120)은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를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시트백(110)의 경우와 유사하게, 지지면은 인체공학적 설계 등이 반영되어 소정의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시트쿠션(120)의 외형이나 지지면의 형상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시트백(110)의 경우와 유사하게, 시트쿠션(120)은 시트쿠션(120)의 골격이나 지지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와, 프레임 구조에 씌워지는 커버나 쿠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버나 쿠션부재가 제거된 프레임 구조를 중심으로 시트쿠션(120)을 도시하고 있다.
시트쿠션(120)은 후단부가 리클라이닝축(S1)을 매개로 시트백(110)의 하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시트백(110)은 하단부가 리클라이닝축(S1)을 매개로 시트쿠션(120)의 후단부가 체결될 수 있다. 리클라이닝축(S1)은 대체로 좌우방향의 회전 중심축을 형성할 수 있다. 리클라이닝축(S1)은 시트쿠션(120)에 대해 시트백(110)이 회동 가능하도록, 또는 시트백(110)에 대해 시트쿠션(120)이 회동 가능하도록, 시트쿠션(120)과 시트백(110) 사이를 링크결합시킬 수 있다.
시트쿠션(120)은 제1시트쿠션회동축(S2)과 제2시트쿠션회동축(S3)을 매개로 베이스(140)에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140)는 시트(100)를 지지하기 위해 차내에 설치되는 소정의 지지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쿠션(120)은 베이스(140)와 제1시트쿠션회동축(S2) 사이에 설치되는 소정의 제1결합수단과, 베이스(140)와 제2시트쿠션회동축(S3) 사이에 설치되는 소정의 제2결합수단에 의해, 베이스(140)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제1결합수단은 제1시트쿠션회동축(S2)과 베이스(14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고, 제2결합수단은 제2시트쿠션회동축(S3)과 베이스(14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쿠션(120)은 좌우방향을 축으로 베이스(140)에 대해 회동되어 배치자세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의 좌우방향을 축으로 한 회동은 하나 또는 복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시트쿠션(120)의 전단부에는 레그레스트(130)가 배치될 수 있다. 레그레스트(130)는 사용자의 다리(종아리) 부위를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레그레스트(130)는 대략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예시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시트백(110)의 경우와 유사하게, 경우에 따라 레그레스트(130)의 지지면은 인체공학적 설계 등이 반영되어 소정의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레그레스트(130)는 후단부가 레그레스트회동축(S5)을 매개로 보조시트쿠션(150)의 전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보조시트쿠션(15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레그레스트회동축(S5)은 대체로 좌우방향의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레그레스트회동축(S5)은 보조시트쿠션(150)에 대해 레그레스트(130)가 회동 가능하도록, 보조시트쿠션(150)과 레그레스트(130) 사이를 링크결합시킬 수 있다.
레그레스트(130)는 소정의 링크구조를 통해 보조시트쿠션(150)에 링크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레그레스트(130)는 복수의 링크아암을 포함한 링크조립체를 통해 보조시트쿠션(150)에 링크결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레그레스트(130)는 전후방향의 길이가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레그레스트(130)는 다리 부위에 대한 지지면적을 넓히기 위해 길이가 신장되거나, 배치공간을 줄이기 위해 길이가 축소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레그레스트(130)는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출원번호 제10-2021-0177240호의 "확장형 레그레스트"가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시트(100)는 보조시트쿠션(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시트쿠션(150)은 시트쿠션(120)의 전단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시트쿠션(150)은 시트쿠션(120)의 전단 부위에서 시트쿠션(120)과 일부 겹침 영역을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시트쿠션(150)은 시트쿠션(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시트쿠션(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조시트쿠션(150)은 사용자의 허벅지 부위를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지지면(151)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보조시트쿠션(150)의 지지면(151)은 시트쿠션(120) 및 보조시트쿠션(150)을 포함한 전체 지지면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해 약 30~40%의 전후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보조시트쿠션(150)의 지지면(151)의 좌우방향 폭은 대체로 시트쿠션(120)의 좌우방향 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조시트쿠션(150)은 시트쿠션(120)에 대해 독립적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보조시트쿠션(150)은 시트쿠션(120)으로부터 팝업(pop-up)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시트쿠션(150)의 승하강 또는 팝업에 따라 보조시트쿠션(150)의 지지면(151)은 사용자의 허벅지 부위로 좀 더 밀착되어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의 작동과 관련해 부연한다.
보조시트쿠션(150)은 시트쿠션(120)에 대해 승하강 또는 팝업 가능한 것이면, 다양한 방식이나 결합구조로 시트쿠션(120)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보조시트쿠션(150)은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힌지 결합구조를 갖고 시트쿠션(120)과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시트쿠션(150)은 후단이 보조시트쿠션회동축(S4)을 매개로 시트쿠션(12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보조시트쿠션회동축(S4)은 좌우방향의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시트쿠션(150)은 보조시트쿠션회동축(S4)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되어 시트쿠션(120)으로부터 승강 또는 돌출되거나, 반대로 하측으로 회동되어 시트쿠션(120)에 대응되는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시트쿠션회동축(S4)은 보조시트쿠션(150)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면(151)은 보조시트쿠션(150)의 전단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면(151)은 보조시트쿠션회동축(S4)과 전후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의 간격은 보조시트쿠션회동축(S4)을 중심으로 한 지지면(151)의 회동(승하강) 동작 시 작동감을 개선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실시예의 시트(100)를 숄더에어셀(160)(shoulder air cell) 및 사이드볼스터(170)(side bols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숄더에어셀(160)은 시트백(1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숄더에어셀(160)은 에어공급라인을 통해 에어를 공급받아 팽창되거나, 에어가 배출되어 수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숄더에어셀(160)은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대한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사이드볼스터(170)는 시트백(110)의 중단에 좌우로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볼스터(170)는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위로 돌출되어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이드볼스터(170)는 겨드랑이 부위에 대한 지지력을 적절히 가변시킬 수 있도록 돌출량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6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의 제1 내지 4작동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시트(100)가 초기상태로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6은 본 실시예의 시트(100)가 릴렉션(relaxtion) 상태로 전환된 전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일 작동예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시트(100)는 도 3 내지 6의 각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초기상태에서 릴렉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며 초기상태에서 릴렉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시트(100)가 반드시 도 3 내지 6의 각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거쳐야 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시트(100)는 작동순서 등을 달리해 도 3의 작동상태에서 도 6의 작동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은 시트(100)가 초기상태로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3은 대체로 일상적인 사용상태에 대응될 수 있다. 도 3의 상태에서 시트백(110)은 시트쿠션(120)과 대략 90~100도를 이룰 수 있고, 시트쿠션(120)은 베이스(140)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조시트쿠션(150)은 시트쿠션(120)에 밀착되도록 하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레그레스트(130)는 시트쿠션(120)을 향해 폴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릴렉션 모드를 작동시키면, 시트(100)는 도 4 이후의 단계들을 거치며 도 6과 같은 배치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6의 릴렉션 상태는 휴식 등을 위해 보다 편안한 자세로 사용자의 자세를 유도한 것이다.
참고로 릴렉션 모드는 중립 신체 자세(Neutral Body Posture, NBP)를 유도해 사용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로 시트(100)에 앉을 수 있도록 한 상태를 의미한다. 릴렉션 모드가 구현된 시트는 당해 업계에서 저중력 시트, 무중력 시트, 릴렉션 시트, 컴포트 시트 등 다양한 명칭으로 지칭되고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릴렉션 모드로의 전환 초기 단계에서는 시트백(110)이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시트백(110)은 리클라이닝축(S1)을 중심으로 해 후방으로 소정 각도 회동될 수 있다. 바람직한 중립 신체 자세를 유도하기 위해 시트백(110)은 도 3의 초기 상태에서 20~40도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는 시트백(110)은 도 3의 초기 상태에서 20~40도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조시트쿠션(150)은 보조시트쿠션회동축(S4)을 중심으로 시트쿠션(120)에 대해 회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조시트쿠션(150)을 상측으로 소정 정도 승강 또는 팝업될 수 있다. 바람직한 중립 신체 자세를 유도하기 위해 보조시트쿠션(150)은 도 3의 초기 상태에서 7~10도 상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는 보조시트쿠션(150)은 도 3의 초기 상태에서 7~10도 상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70~90mm 상측으로 승강 또는 팝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조시트쿠션(150)의 승강 또는 팝업은 시트백(110)의 후방 회동과 함께 일어날 수 있다. 즉, 시트백(110)이 후방으로 점진적 회동됨에 따라, 보조시트쿠션(150)은 상측으로 점진적 회동될 수 있다.
상기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가 시트쿠션(120)의 후방에 안정적으로 위치 유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시트백(110)이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보조시트쿠션(150)이 상측으로 승강 또는 팝업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부위가 지지되는 상태에서 시트백(110)이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백(110)의 후방 회동 과정에서 무게 중심의 변화로 인해 사용자가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저감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느낌없이 엉덩이 부위의 위치가 유지된 상태로 자연스럽게 뒤로 눕는 사용감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7과 관련해 부연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어서 레그레스트(130)가 레그레스트회동축(S5)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레그레스트(130)는 일부 구성부품이 전방으로 전개되어 전후방향의 길이가 함께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중립 신체 자세를 유도하기 위해 레그레스트(130)는 도 3의 초기 상태에서 70~90도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는 레그레스트(130)는 도 3의 초기 상태에서 70~90도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배치상태에서 레그레스트(130)는 수평방향에 대해 10~15도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레그레스트(130)는 후술할 시트쿠션(120)의 회동에 따라 대략 수평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그레스트(130)는 보조시트쿠션(150)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그레스트(130)는 보조시트쿠션(150)으로부터 인출(회동)될 수 있다. 또한 인출된 레그레스트(130)는 도 5와 같이 레그레스트회동축(S5)을 중심으로 보조시트쿠션(150)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보조시트쿠션(150)으로부터의 레그레스트(130) 인출은 사용자의 허벅지 부위가 적절히 지지된 상태에서, 레그레스트(130)가 상승되어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를 지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그레스트(130)의 작동과정에서 레그레스트(130)에 작용되는 하중(종아리 부위의 하중)이 적절히 분산될 수 있다. 이는 모드 전환 시 이질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어서 시트쿠션(120)이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시트쿠션(120)은 전단이 소정 각도 상승되도록 제1, 2시트쿠션회동축(S2, S3)을 매개로 회동될 수 있다. 바람직한 중립 신체 자세를 유도하기 위해 시트쿠션(120)은 도 3의 초기 상태에서 제2시트쿠션회동축(S3)을 중심으로 대략 10~15도 회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트쿠션(120)의 회동에 따라 시트쿠션(120)에 지지된 시트백(110), 보조시트쿠션(150) 및 레그레스트(130)는 시트쿠션(120)과 함께 소정 각도 회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6과 같은 릴렉션 상태에서 시트쿠션(120)과 시트백(110) 사이의 각도는 120~130도로 형성될 수 있고, 시트백(110)과 베이스(140) 사이의 각도는 40~5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쿠션(120)은 시트백(110), 레그레스트(130) 및 보조시트쿠션(150)이 적절한 중간위치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는 시트(100)는 전(全) 영역에 걸쳐 고르게 지지될 수 있고, 도 6과 같은 릴렉션 상태로의 이와 같은 지지상태에서 이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릴렉션 상태로의 전환과정에 있어서도 편안한 사용감을 느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6의 릴렉션 상태에서 숄더에어셀(160) 및/또는 사이드볼스터(170)의 작동이 부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시트(100)는 상기와 같은 작동단계를 거쳐 도 3의 초기상태에서 도 6의 릴렉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반대의 경우 상기의 역순을 거쳐 다시 초기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시트(100)에는 시트쿠션(120), 시트백(110), 레그레스트(130) 및 보조시트쿠션(150)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구동수단은 모터, 실린더, 액츄에이터 등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링크, 브라켓, 기타 연결구 등이 부가되어 각 구성요소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수단의 종류, 동력전달구조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과, 종래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의 작동을 비교한 예시도이다.
도 7의 (b)는 종래 알려진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이하, "종래 시트(10)"로 지칭함)에서 릴렉션 상태로의 전환동작을 보여준다. 종래 시트(10)는 사용자가 릴렉션 모드를 활성화시키면, 시트백(11)이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이와 함께 시트쿠션(12)의 회동이나, 레그레스트(13)의 회동이 이뤄지게 구성되어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종래 시트(10)는 릴렉션 상태로의 전환과정에서 사용자가 시트(10)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작동과정에서 사용감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기상태에서 릴렉션 모드가 활성화되어 시트백(11)이 후방으로 회동되면, 지지점이 이동됨에 따라 사용자는 전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다. 또는 그렇지 않더라도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듯한 사용감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는 작동과정이나 작동 이후 자세를 다시 한번 바로잡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다리 부위는 대부분 레그레스트(13)에 의해서만 지지된 상태로, 릴렉션 상태로의 전환이 이뤄지게 된다. 릴렉션 상태로 완전히 전환된 이후에도 신체 구조상 사용자의 다리 부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종아리 부위만이 부분적으로 레그레스트(13)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무릎 부위는 레그레스트(13)나 시트쿠션(12)으로부터 이격되고, 허벅지 부위는 시트쿠션(12)과 소정의 간격(G1)을 가지고 이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체 다리 부위의 하중이 레그레스트(13)에 지지되는 종아리 부위로 집중되게 되고, 장시간 사용 시 불편함이 있다.
나아가 일반적으로 릴렉션 상태에서 시트백(11)은 완전히 수평상태가 아닌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배치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체의 하중으로 인해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외력을 받게 된다. 또한 이러한 외력은 대부분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에 집중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 구조상 허벅지 부위와 시트쿠션(120) 간에 소정의 간격(G1)이 생겨 적절한 지지력 제공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 시 대부분 엉덩이나 요추 부위에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도 7의 (a)는 본 실시예의 시트(100)에 따른 지지구조를 보여준다.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시트(100)는 릴렉션 상태로의 전환 동작 방식이나 보조시트쿠션(150)의 작동을 통해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상당 부분 개선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의 시트(100)는 시트백(110)의 회동되고 지지점이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보조시트쿠션(150)이 돌출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부위를 지지해주게 된다. 따라서 시트백(110)의 회동 시 사용자가 전방으로 미끄러지거나 자세가 변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시트쿠션(150)이 사용자의 허벅지 부위를 적절히 지지해 하중을 분산시킨 상태에서, 레그레스트(130)의 전개나 시트쿠션(120)의 회동이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종아리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체중이 고르게 분산 지지된 상태에서 시트쿠션(120)을 비롯한 시트(100) 전체가 후방으로 회동되어, 안정적인 사용감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릴렉션 상태로의 완전한 전환이 이뤄지게 되면, 사용자는 엉덩이 부위를 중심으로, 요추 내지 등 부위가 시트백(110)에 적절히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고, 반대측인 허벅지 부위 또한 보조시트쿠션(150)에 적절히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트백(110)과 보조시트쿠션(150) 사이에서 엉덩이 부위를 중심으로 넓은 면적에서 고르게 지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100)는 사용자의 체중이 넓은 면적에서 고르게 지지된 상태로 릴렉션 상태로의 전환 및 릴렉션 상태에서의 지지가 이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체압을 고르게 분산시켜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하고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 110: 시트백
120: 시트쿠션 130: 레그레스트
140: 베이스 150: 보조시트쿠션
160: 숄더에어셀 170: 사이드볼스터

Claims (9)

  1. 차실 내부에 배치되는 시트쿠션;
    리클라이닝축을 매개로 상기 시트쿠션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시트백;
    상기 시트쿠션의 전단 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시트쿠션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고, 릴렉션 상태로의 전환에 따라 상기 시트쿠션과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향해, 상기 시트쿠션으로부터 승강되도록 형성되는 보조시트쿠션; 및
    레그레스트회동축을 매개로 상기 보조시트쿠션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그레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은, 초기상태에서 릴렉션 상태로의 전환이 개시되면, 상기 리클라이닝축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시트쿠션은, 상기 시트백의 회동과 함께 상기 시트쿠션으로부터 상승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부위에 밀착되고, 상기 시트백의 회동에 따른 지지점의 이동에 대응해 사용자의 허벅지 부위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은, 상기 시트백이 회동되고 상기 보조시트쿠션이 상승 완료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가 상기 리클라이닝축 부위에서 안정되게 위치 고정되면, 전단 부위가 상승되도록 회동되어 상기 릴렉션 상태로 전환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그레스트는, 초기상태에서 릴렉션 상태로의 전환이 개시되고, 상기 보조시트쿠션이 상승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부위에 대한 지지력이 제공되면, 상기 레그레스트회동축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되어,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쿠션은, 보조시트쿠션회동축을 매개로 상기 시트쿠션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보조시트쿠션회동축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부위를 향해 상승되거나, 상기 보조시트쿠션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동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부위로부터 하강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쿠션은, 상기 보조시트쿠션의 전단 영역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부위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시트쿠션회동축은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시트쿠션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은,
    상기 시트쿠션의 전후방향 일 측에서 제1결합수단을 매개로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시트쿠션회동축; 및
    상기 제1시트쿠션회동축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결합수단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시트쿠션회동축을 구비하는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
  8. 삭제
  9. 삭제
KR1020220021464A 2022-02-18 2022-02-18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 Active KR102716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464A KR102716318B1 (ko) 2022-02-18 2022-02-18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464A KR102716318B1 (ko) 2022-02-18 2022-02-18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795A KR20230124795A (ko) 2023-08-28
KR102716318B1 true KR102716318B1 (ko) 2024-10-16

Family

ID=8780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464A Active KR102716318B1 (ko) 2022-02-18 2022-02-18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63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79395A (ko) 2023-11-27 2025-06-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원터치 릴렉션 모드 전환형 차량 시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04016A1 (en) 2013-01-24 2016-10-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extension and thigh support
US20180338625A1 (en) 2015-06-19 2018-11-29 Tempur-Pedic Management, Llc Adjustable base assembli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20200223342A1 (en) * 2019-01-16 2020-07-16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KR102153216B1 (ko) 2019-03-13 202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US20210070203A1 (en) 2019-09-11 2021-03-11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Thigh support and seat
US11198379B2 (en) * 2017-04-28 2021-12-14 Ts Tech Co., Ltd. Seat unit, vehicle, and conveyance sea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432B1 (ko) 2013-07-02 2014-04-14 현대다이모스(주)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장착 구조물
GB2520350B (en) * 2013-11-19 2017-03-08 Jaguar Land Rover Ltd Deployable leg rest assembly
WO2017155069A1 (ja) * 2016-03-10 2017-09-14 デルタ工業株式会社 座席構造
KR102108803B1 (ko) 2018-03-22 2020-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및 차량용 시트를 이용한 착석 자세 제어 방법
KR102242928B1 (ko) 2019-10-29 2021-06-2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너 장치
KR102726813B1 (ko) 2020-04-02 2024-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릴렉션 컴포트 시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04016A1 (en) 2013-01-24 2016-10-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extension and thigh support
US20180338625A1 (en) 2015-06-19 2018-11-29 Tempur-Pedic Management, Llc Adjustable base assembli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11198379B2 (en) * 2017-04-28 2021-12-14 Ts Tech Co., Ltd. Seat unit, vehicle, and conveyance seat
US20200223342A1 (en) * 2019-01-16 2020-07-16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KR102153216B1 (ko) 2019-03-13 202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US20210070203A1 (en) 2019-09-11 2021-03-11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Thigh support and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795A (ko) 202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456B1 (ko) 베드로 변형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
CN108327589A (zh) 车辆座椅
JP2009536541A (ja) 改良された座席
JPH0461651B2 (ko)
US6811227B2 (en) Firm cushion
KR102165278B1 (ko) 접이식 휠체어
KR102716318B1 (ko)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
US9315120B2 (en) Comfort recline seat for a vehicle
JPH07257242A (ja) 車両用シート
JP3607861B2 (ja) シート
JP2015012909A (ja) 座席装置
JP3012765B2 (ja) 座席装置
US20080246322A1 (en) Seat for Vehicles
JP3014516B2 (ja) 乗物用座席
JP4407321B2 (ja) 車椅子
JP3636892B2 (ja) 座席のレグレスト
SE544988C2 (en) Neck Pillow
CN218141203U (zh) 座椅脚踏翻转机构
JP2023004166A (ja) 乗物用シート
JP5627353B2 (ja) 座席装置
JP3892088B2 (ja) 車両用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CN220988179U (zh) 椅子
JP2025022724A (ja) 車両用シート
JP2002248978A (ja) 車両用シート
JP3213286B2 (ja) 乗物用座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