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703911B1 - Sanitary Mask Including a Chin Support Member for Improved Wearability - Google Patents

Sanitary Mask Including a Chin Support Member for Improved Wear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3911B1
KR102703911B1 KR1020210169908A KR20210169908A KR102703911B1 KR 102703911 B1 KR102703911 B1 KR 102703911B1 KR 1020210169908 A KR1020210169908 A KR 1020210169908A KR 20210169908 A KR20210169908 A KR 20210169908A KR 102703911 B1 KR102703911 B1 KR 102703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jaw support
user
fixing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9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82205A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칼라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칼라컵 filed Critical (주)칼라컵
Priority to KR1020210169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3911B1/en
Publication of KR20230082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2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3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391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착용성 향상을 위한 턱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위생 마스크는, 적어도 사용자의 호흡기 전방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안면커버부와, 상기 안면커버부의 양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고정되는 고정용 끈이 연결되는 한 쌍의 끈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본체, 사용자의 턱 전방을 지지하도록 상기 안면커버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상부 턱 지지부재 및 사용자의 턱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 턱 지지부재보다 아래족에서 상기 안면커버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하부 턱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턱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턱 지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형태를 가진다.A sanitary mask including a chin support member for improving wear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sk body including a face cover member provided to block at least the front of a user's respiratory tract; a pair of strap fixing memb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ace cover member and to which fixing straps fixed to body parts of the user are connected; an upper chin support member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ace cover member to support the front of the user's chin; and a lower chin support member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ace cover member below the upper chin support member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user's chin; at least one of the upper chin support members and the lower chin support members is provided as a pair and has a shape in which i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Description

착용성 향상을 위한 턱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위생 마스크{Sanitary Mask Including a Chin Support Member for Improved Wearability}{Sanitary Mask Including a Chin Support Member for Improved Wearability}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호흡기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내부로부터 비말이 확산되거나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위생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이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형태의 상부 턱 지지부재 및 하부 턱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턱 형태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착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위생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itary mask formed to wrap around a user's respiratory system to block the spread of droplets from the inside or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anitary mask including a pair of upper jaw support members and lower jaw support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reby being formed to be easily deformabl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user's jaw, thereby greatly improving wearability.

일반적으로 요식업계 등 식음료를 취급하는 분야에서 작업자의 비말이 튀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의 안면부 전방을 차단하는 형태의 위생 마스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in industries that handle food and beverages, such as the restaurant industry, sanitary masks that block the front of the worker's face are widely used to prevent the spread of droplets from workers.

이와 같은 형태의 위생 마스크는 비말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안면부 전방을 차단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커버와, 이와 같은 커버의 양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귀 등에 위생 마스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용 끈을 포함하고 있다.A sanitary mask of this type includes a synthetic resin cover that blocks the front of the user's face to block droplets, and a fixing strap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ver to allow the sanitary mask to be fixed to the user's ears, etc.

또한 위생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인중, 턱 등 신체부위에 직접 접촉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Additionally, sanitary masks often include structures tha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body parts, such as the philtrum and chin, to provide support so that they are stably fixed to the user's face.

다만, 이와 같은 구조를 포함하는 종래의 위생 마스크는 장시간 착용 시 사용자의 안면부에 통증을 유발하게 되며, 또한 강성이 높은 지지력 제공 구조로 인해 사용자의 안면 형상에 맞도록 변형되기가 어려워 착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conventional sanitary masks including such a structure cause pain to the user's face when worn for a long time, and also have a problem in that the wearability is significantly reduc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deform to fit the shape of the user's face due to the structure providing high rigidity and support.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is required.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2512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2512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접촉되어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 구조를 포함하면서도 사용자의 안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자연스럽게 변형이 가능하며, 또한 사용자가 느끼는 안면부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생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has the purpose of providing a sanitary mask that includes a support structure that provides stable support by coming into contact with a body part of a user, while being naturally deformabl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user's face, and further minimizing facial pain felt by the us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착용성 향상을 위한 턱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위생 마스크는, 적어도 사용자의 호흡기 전방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안면커버부와, 상기 안면커버부의 양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고정되는 고정용 끈이 연결되는 한 쌍의 끈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본체, 사용자의 턱 전방을 지지하도록 상기 안면커버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상부 턱 지지부재 및 사용자의 턱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 턱 지지부재보다 아래족에서 상기 안면커버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하부 턱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턱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턱 지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형태를 가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nitary mask including a chin support member for improving wearability, comprising: a mask body including a face cover member provided to block at least the front of the user's respiratory tract; a pair of strap fixing memb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ace cover member and to which fixing straps fixed to body parts of the user are connected; an upper chin support member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ace cover member to support the front of the user's chin; and a lower chin support member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ace cover member below the upper chin support member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user's chin; and at least one of the upper chin support members and the lower chin support members is provided as a pair and has a shape in which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이때 상기 상부 턱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턱 지지부재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턱 지지부재의 좌우 이격 거리는 상기 하부 턱 지지부재의 좌우 이격 거리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are each provided as a pair, and the left and right separation distance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can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left and right separation distance of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또한 상기 상부 턱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턱 지지부재는 서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그리고 상기 상부 턱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턱 지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사용자의 턱과 접촉되는 영역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t least one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formed to have a rounded area in contact with the user's jaw.

더불어 상기 상부 턱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턱 지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사용자의 턱과 접촉되는 영역에 미세 돌기가 배열되는 돌기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protrusion-forming portion in which fine protrusions are arranged in an area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jaw.

한편 상기 끈 고정부에는, 테두리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기 설정된 끈 진입경로를 형성하는 절개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cut line extending inward from the edge side to form a preset string entry path may be formed in the above-mentioned string fixing portion.

이때 상기 절개라인은, 폐곡선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용 끈의 임의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이 외측으로부터 진입되도록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진입영역, 상기 진입영역의 끝단으로부터 서로 상부 및 하부로 분지되어 내측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고정용 끈의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이 각각 분리된 상태로 진입되는 한 쌍의 분지영역, 상기 한 쌍의 분지영역 각각의 끝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더 연장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영역 및 상기 한 쌍의 이탈방지영역 각각의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용 끈의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이 고정되는 고정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cision line may include an entry region extending inwardly from the edge so that any first point and second point of the fixing string forming a closed curve enter from the outside, a pair of branch regions extending inwardly by branching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ends of the entry region and into which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f the fixing string enter in a separate state, a pair of anti-separation regions further extending in a different direction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ends of each of the pair of branch regions, and a fixing region provided at the ends of each of the pair of anti-separation regions and to which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f the fixing string are fixe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착용성 향상을 위한 턱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위생 마스크는, 사용자의 턱 전방을 지지하는 상부 턱 지지부재 및 사용자의 턱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턱 지지부재가 각각 한 쌍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마스크 본체를 착용 시 안면커버부 및 끈 고정부가 안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자연스럽게 변형될 수 있어 착용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sanitary mask including a chin support member for improving wear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chin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front of the user's chin and a lower chin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user's chin, each of which is provided in a form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when the user wears the mask body, the face cover part and the strap fixing part can be naturally de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ac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wearing comfort.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턱 지지부재 및 하부 턱 지지부재가 각각 복수 개 구비되므로, 사용자 턱에 인가되는 가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안면부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upper jaw support members and a plurality of lower jaw support member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s jaw can be effectively distributed, thereby minimizing facial pain felt by the use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에 있어서, 상부 턱 지지부재 및 하부 턱 지지부재의 배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에 있어서, 상부 턱 지지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drawing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drawings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in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showing a user wearing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rawing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rawing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upper chin support member in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describing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에 있어서, 상부 턱 지지부재(130) 및 하부 턱 지지부재(140)의 배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drawings showing the arrangement of an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and a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in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4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And Fig. 4 is a drawing showing a user wearing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100), 상부 턱 지지부재(130) 및 하부 턱 지지부재(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k body (100), an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and a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그리고 마스크 본체(100)는 적어도 사용자의 호흡기 전방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안면커버부(110)와, 안면커버부(110)의 양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고정되는 고정용 끈(150)이 연결되는 한 쌍의 끈 고정부(120)를 포함한다.And the mask body (100) includes a face cover part (110) that is equipped to block at least the front of the user's respiratory tract, and a pair of strap fixing parts (120) that are equipped on both sides of the face cover part (110) and to which fixing straps (150) that are fixed to a body part of the user are connected.

보다 구체적으로 안면커버부(110)는 적어도 사용자의 호흡기 전방을 차단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비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안면커버부(110)는 투명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안면커버부(110)의 형태 및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ore specifically, the face cover part (110) is provided to block at least the front of the user's respiratory tract, thereby preventing the user's droplets from spreading. At this time, the face cover part (110) may be formed to have transparency, and may also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However,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face cover part (110)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끈 고정부(120)는 안면커버부(110)의 양측에 구비되며, 고정용 끈(15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타공된 끈 고정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용 끈(150)은 이와 같은 끈 고정홀(121)을 통과하도록 구비되며, 사용자는 본인의 신체부위, 예컨대 귀, 두부 등에 고정용 끈(150)을 걸어 마스크 본체(100)를 안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A strap fixing part (12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ace cover part (110), and a strap fixing hole (121) may be formed so as to be able to fix a fixing strap (150). In addition, the fixing strap (150) is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the strap fixing hole (121), and the user can fix the mask body (100) to the face by hanging the fixing strap (150) on a body part, such as an ear or head.

상부 턱 지지부재(130)는 사용자의 턱 전방을 지지하도록 안면커버부(1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has a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ace cover member (110) to support the front of the user's jaw.

또한 하부 턱 지지부재(140)는 사용자의 턱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부 턱 지지부재(130)보다 아래족에서 안면커버부(1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In addition,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has a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ace cover part (110) at a lower level than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user's jaw.

이때 상부 턱 지지부재(130) 및 하부 턱 지지부재(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have a shap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 턱 지지부재(130) 및 하부 턱 지지부재(140)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부 턱 지지부재(130) 및 하부 턱 지지부재(140)는 어느 하나만이 한 쌍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단일 개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are provided as a pai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but of course, one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s (130)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the other may be formed as a single member.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부 턱 지지부재(130)의 좌우 이격 거리(w1)는 하부 턱 지지부재(140)의 좌우 이격 거리(w2)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in this embodiment, the left-right separation distance (w 1 )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and the left-right separation distance (w 2 ) of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 턱 지지부재(130)의 좌우 이격 거리(w1)는 하부 턱 지지부재(140)의 좌우 이격 거리(w2)보다 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턱은 하부 영역보다 상부 영역이 넓게 형성되며, 또한 보다 굴곡지게 형성되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ft-right separation distance (w 1 )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left-right separation distance (w 2 ) of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general, the upper region of a human jaw is formed wider than the lower region, and is also formed to be more curved.

다만, 이와 달리 하부 턱 지지부재(140)의 좌우 이격 거리(w2)가 상부 턱 지지부재(130)의 좌우 이격 거리(w1)보다 멀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left-right separation distance (w 2 ) of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may be formed to be further than the left-right separation distance (w 1 )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턱 지지부재(130)의 길이(d1)는 하부 턱 지지부재(140)의 길이(d2)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s illustrated in FIG. 3, the length (d 1 )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length (d 2 ) of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 턱 지지부재(130)의 길이(d1)는 하부 턱 지지부재(140)의 길이(d2)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하부 턱 지지부재(140)를 보다 길게 돌출시켜 사용자의 턱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 (d 1 )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is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d 2 ) of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The reason for this is to allow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to protrude longer so as to stably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user's jaw.

다만, 이와 달리 하부 턱 지지부재(140)의 길이(d2)가 상부 턱 지지부재(130)의 길이(d1)보다 짧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length (d 2 ) of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may be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d 1 )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턱 전방을 지지하는 상부 턱 지지부재(130) 및 사용자의 턱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턱 지지부재(140)가 각각 한 쌍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용 끈(150)을 신체부위에 고정시켜 마스크 본체(100)를 착용할 경우, 안면커버부(110) 및 끈 고정부(120)가 안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자연스럽게 변형될 수 있어 착용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supporting the front of the user's chin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user's chin are provided as a pair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the user wears the mask body (100) by fixing the fixing strap (150) to a body part as shown in FIG. 4, the face cover part (110) and the strap fixing part (120) can be naturally de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ac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wearing comfort.

더불어 본 발명은 상부 턱 지지부재(130) 및 하부 턱 지지부재(140)가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 턱에 인가되는 가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안면부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pper jaw support members (130) and lower jaw support members (140),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s jaw can be effectively distributed, thereby minimizing facial pain felt by the us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이하 설명될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Below,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in each embodiment to be described below, redundant descriptions of components that ar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drawing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 턱 지지부재(130) 및 하부 턱 지지부재(140)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형태를 가진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5,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are provided in pairs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부 턱 지지부재(130) 및 하부 턱 지지부재(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사용자의 턱과 접촉되는 영역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곡면부(131, 141)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has a shape including a curved portion (131, 141) formed in a round shape in an area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jaw.

이는 사용자가 상부 턱 지지부재(130) 및 하부 턱 지지부재(140)로 인해 느끼는 통증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부드러운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minimize the pain felt by the user due to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and to provide a softer wearing experience to the user.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 턱 지지부재(130) 및 하부 턱 지지부재(140)가 모두 곡면부(131, 141)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부 턱 지지부재(130) 또는 하부 턱 지지부재(140) 중 어느 일측에만 곡면부(131, 141)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both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include curved portions (131, 141), but of course, the curved portions (131, 141) may be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or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6 is a drawing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상부 턱 지지부재(130) 및 하부 턱 지지부재(140)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형태를 가진다.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6, as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are provided in pairs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부 턱 지지부재(130) 및 하부 턱 지지부재(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사용자의 턱과 접촉되는 영역에 미세 돌기가 배열되는 돌기형성부(132, 142)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has a form including a protrusion-forming portion (132, 142) in which fine protrusions are arranged in an area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jaw.

이는 사용자의 턱과, 상부 턱 지지부재(130) 또는 하부 턱 지지부재(140)가 접촉되는 영역에서 땀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땀띠 등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prevent skin troubles such as heat rash 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sweat in the area where the user's chin and the upper chin support member (130) or lower chin support member (140) come into contact.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 턱 지지부재(130) 및 하부 턱 지지부재(140)가 모두 돌기형성부(132, 142)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부 턱 지지부재(130) 또는 하부 턱 지지부재(140) 중 어느 일측에만 돌기형성부(132, 142)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both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include protrusion-forming portions (132, 142), but of course, the protrusion-forming portions (132, 142) may be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or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그리고 돌기형성부(132, 142)에 형성되는 미세 돌기의 형상은 제한없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미세 돌기는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micro-protrusions formed in the protrusion-forming portion (132, 142)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out limitation, and the micro-protrusions can also be made of a soft material to alleviate the pain felt by the user.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7 is a drawing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상부 턱 지지부재(130) 및 하부 턱 지지부재(140)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형태를 가진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7, as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are provided in pairs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마스크 본체(100)의 끈 고정부(120)에는 끈 고정홀(121)을 대체하여, 테두리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기 설정된 끈 진입경로를 형성하는 절개라인(160)이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An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string fixing part (120) of the mask body (100) has a characteristic in that, instead of the string fixing hole (121), a cut line (160) is formed that extends inward from the edge side to form a preset string entry path.

이와 같은 절개라인(16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절개라인(160)은 진입영역(161), 분지영역(162), 이탈방지영역(163) 및 고정영역(164)을 포함하여 끈 고정부(120)의 테두리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Such a cutting line (160)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in this embodiment, the cutting line (160) has a shape that extends inward from the edge of the string fixing portion (120) and includes an entry area (161), a branch area (162), a separation prevention area (163), and a fixing area (164).

구체적으로 진입영역(161)은 매듭에 의해 폐곡선을 형성하는 고정용 끈(150)의 임의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이 겹쳐진 상태로 외측으로부터 진입되도록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다.Specifically, the entry area (161) is an area extending inward from the edg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oints of the fixing string (150) forming a closed curve by a knot overlap each other and enter from the outside.

그리고 분지영역(162)은 한 쌍이 마련되며, 진입영역(161)의 끝단으로부터 서로 상부 및 하부로 분지되어 내측으로 더 연장되며, 고정용 끈(150)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이 각각 분리된 상태로 진입되는 영역이다.And the branch area (162) is provided in a pair, and is branched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entry area (161) and extends further inward, and is an area into which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f the fixing string (150) enter in a separate state.

이때 한 쌍의 분지영역(162)은 적어도 일부 길이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서로의 이격거리가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air of branch regions (162) can be form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gradually increases as they progres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for at least some length.

더불어 진입영역(161)의 폭은 분지영역(16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고정용 끈(150)의 임의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이 겹쳐진 상태로 동시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entry area (161) can be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ranch area (162),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oints of the fixing strap (150) can enter simultaneously while overlapping each other.

또한 이탈방지영역(163)은 한 쌍의 분지영역(162) 각각의 끝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더 연장되는 영역으로서, 이후 고정영역(164)에 삽입된 고정용 끈(15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분지영역(162)과는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된다.In addition, the detachment prevention area (163) is an area that extends in an outward direction from the ends of each of the pair of branch areas (162), and extend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ranch area (162) so as to prevent the fixing string (150) inserted into the fixing area (164) from being separated.

특히 한 쌍의 이탈방지영역(163)은 적어도 일부 길이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진행할수록 서로의 이격거리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고정용 끈(150)의 임의의 제1지점 및 제2지점 사이의 거리가 과도하게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particular, a pair of anti-separation areas (163) are form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gradually decreases as at least some of the length progress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this is to prevent the distance between any first point and second point of the fixing strap (150) from becoming excessively large.

그리고 고정영역(164)은 한 쌍의 이탈방지영역(163) 각각의 끝단에 구비되며, 고정용 끈(150)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이 고정되는 영역이다.And the fixed area (164) is provided at the end of each of the pair of anti-separation areas (163), and is the area where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f the fixing string (150) are fixed.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영역(164)은 고정용 끈(14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끈 고정부(120)를 관통하는 관통홀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영역(164)에 진입한 고정용 끈(150)은 이탈방지영역(163)으로 다시 진입하기 어렵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ed area (164)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string fixing portion (120) so as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ed string (140), so that the fixed string (150) that has entered the fixed area (164) is difficult to re-enter the anti-separation area (163).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용 끈(150)을 절개라인(160)에 삽입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In this embodiment,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fixing string (150) into the cutting line (160) is as follows.

먼저, 고정용 끈(150)의 임의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이 서로 겹쳐지도록 하여, 절개라인(200)의 진입영역(161)에 삽입한다.First, insert the first and second points of the fixing string (150) into the entry area (161) of the cutting line (200) so that they overlap each other.

그리고 고정용 끈(150)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이 진입영역(161)에 도달하게 되면, 고정용 끈(150)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을 각각 분리하여 한 쌍의 분지영역(162)으로 진입시킨다.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points of the fixing strap (150) reach the entry area (161), the first and second points of the fixing strap (150) are separated and entered into a pair of branch areas (162).

이때 분지영역(162)의 폭은 고정용 끈(15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원활한 진입을 위해 절개라인(200)에 의해 끈 고정부(120) 내측에 형성된 벤딩부(121)를 다소 들어 올려 변형시킨 상태로 본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width of the branch area (162)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string (150), this process can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bending portion (121)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tring fixing portion (120) by the cutting line (200) is slightly raised and deformed for smooth entry.

이후 고정용 끈(150)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은 이탈방지영역(163)으로 진입하게 되며, 고정용 끈(150)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을 이탈방지영역(163)을 따라 더 진행시켜 고정영역(164) 측에 삽입함에 따라 고정용 끈(150)을 안정적으로 끈 고정부(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reafter, the first and second points of the fixing strap (150) enter the anti-separation area (163), and by further advancing the first and second points of the fixing strap (150) along the anti-separation area (163) and inserting them into the fixing area (164), the fixing strap (150) can be stably fixed to the strap fixing portion (120).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은 한 쌍의 끈 고정부(120)에 대해 각각 진행될 수 있다.And this process can be performed for each pair of string fixing parts (120).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테두리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기 설정된 끈 진입경로를 형성하는 절개라인(200)이 형성된 끈 고정부(120)를 포함함에 따라 고정용 끈(150)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고정용 끈(150)이 한번 고정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tring fixing portion (120) in which a cut line (200) is formed that extends inward from the edge side to form a preset string entry path, thereby enabling the fixing string (150) to be easily fixed, and preventing the fixing string (150) from being easily separated once fixed.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에 있어서, 상부 턱 지지부재(13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drawing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upper chin support member (130) in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경우, 상부 턱 지지부재(130)는 사용자의 턱에 접촉되는 끝단부에 구비되는 제1탄성제공부(133)와, 안면커버부(110)에 연결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제2탄성제공부(134)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In the case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8,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has a form including a first elastic providing part (133) provided at an end portion that contacts the user's jaw, and a second elastic providing part (134) provided at an area connected to the face cover part (110).

이때 제1탄성제공부(133) 및 제2탄성제공부(134)는 각각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 가능한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elastic providing portion (133) and the second elastic providing portion (134) can each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at can be easi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이에 따라 제1탄성제공부(133)는 사용자에게 인가하는 가압력을 최소화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제2탄성제공부(134)는 상부 턱 지지부재(130)가 안면커버부(110)에 대해 이루는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마스크 본체(100)가 사용자의 턱 형상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elasticity providing unit (133) can minimiz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feel comfortable wearing the mask, and further, the second elasticity providing unit (134) is formed so as to be deformable so as to vary the angle formed by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with respect to the face cover unit (110), thereby allowing the mask body (100) to be more easily deformed along the shape of the user's jaw.

한편 도 8에서는 상부 턱 지지부재(130) 만을 대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하부 턱 지지부재(140)에도 동일하게 제1탄성제공부(133) 및 제2탄성제공부(134)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in Fig. 8, only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130) is show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but it is obvious that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140) may also be provided with the first elastic providing portion (133) and the second elastic providing portion (134).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amined,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마스크 본체
110: 안면커버부
120: 끈 고정부
121: 끈 고정홀
130: 상부 턱 지지부재
131, 141: 곡면부
132, 142: 돌기형성부
133: 제1탄성제공부
134: 제2탄성제공부
140: 하부 턱 지지부재
150: 고정용 끈
160: 절개라인
161: 진입영역
162 분지영역
163: 이탈방지영역
164: 고정영역
100: Mask body
110: Face cover
120: Strap fixing part
121: Strap fixing hole
130: Upper jaw support member
131, 141: Curved section
132, 142: Protrusion formation area
133: 1st Elasticity Provider
134: Second elasticity provision department
140: Lower jaw support member
150: Fixed strap
160: Incision line
161: Entry area
162 Branch area
163: Anti-separation zone
164: Fixed area

Claims (7)

적어도 사용자의 호흡기 전방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안면커버부와, 상기 안면커버부의 양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고정되는 고정용 끈이 연결되는 한 쌍의 끈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본체;
사용자의 턱 전방을 지지하도록 상기 안면커버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상부 턱 지지부재; 및
사용자의 턱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 턱 지지부재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안면커버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하부 턱 지지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턱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턱 지지부재 각각은,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상부 턱 지지부재 사이의 좌우 이격 거리는 상기 한 쌍의 하부 턱 지지부재 사이의 좌우 이격 거리보다 멀게 형성되는,
위생 마스크.
A mask body including a face covering part equipped to block at least the front of the user's respiratory tract, and a pair of strap fixing parts equipped on both sides of the face covering part and to which fixing straps for fixing to a part of the user's body are connected;
An upper jaw support member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ace cover part to support the front of the user's jaw; and
A lower jaw support member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and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ace cover part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user's jaw;
Including,
Each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It has a pair of shap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left-right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upper jaw support members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ft-right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lower jaw support members.
Sanitary ma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턱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턱 지지부재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턱 지지부재의 좌우 이격 거리는 상기 하부 턱 지지부재의 좌우 이격 거리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위생 마스크.
In the first paragraph,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are each provided in pairs,
The left and right spacing distance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left and right spacing distance of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Sanitary ma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턱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턱 지지부재는 서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위생 마스크.
In the first paragraph,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are formed with different lengths.
Sanitary ma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턱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턱 지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사용자의 턱과 접촉되는 영역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곡면부를 포함하는,
위생 마스크.
In the first paragraph,
At least one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includes a curved portion formed to have a rounded area in contact with the user's jaw.
Sanitary ma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턱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턱 지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사용자의 턱과 접촉되는 영역에 미세 돌기가 배열되는 돌기형성부를 포함하는,
위생 마스크.
In the first paragraph,
At least one of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includes a protrusion-forming portion in which fine protrusions are arranged in an area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jaw.
Sanitary ma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끈 고정부에는,
테두리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기 설정된 끈 진입경로를 형성하는 절개라인이 형성된,
위생 마스크.
In the first paragraph,
In the above string fixing part,
A cut line is formed that extends inward from the edge side to form a preset string entry path.
Sanitary mas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라인은,
폐곡선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용 끈의 임의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이 외측으로부터 진입되도록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진입영역;
상기 진입영역의 끝단으로부터 서로 상부 및 하부로 분지되어 내측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고정용 끈의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이 각각 분리된 상태로 진입되는 한 쌍의 분지영역;
상기 한 쌍의 분지영역 각각의 끝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더 연장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영역; 및
상기 한 쌍의 이탈방지영역 각각의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용 끈의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이 고정되는 고정영역;
을 포함하는,
위생 마스크.
In Article 6,
The above incision line is,
An entry area extending inward from the edge so that any first point and second point of the fixing string forming a closed curve enter from the outside;
A pair of branch regions extending inwardly and branching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above-mentioned entry region, and into which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f the above-mentioned fixing string enter in a separate state;
A pair of anti-separation regions extending further outwardly from each end of the pair of branch regions; and
A fixing area provided at each end of the pair of anti-separation areas, to which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f the fixing strap are fixed;
Including,
Sanitary mask.
KR1020210169908A 2021-12-01 2021-12-01 Sanitary Mask Including a Chin Support Member for Improved Wearability Active KR1027039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908A KR102703911B1 (en) 2021-12-01 2021-12-01 Sanitary Mask Including a Chin Support Member for Improved Wear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908A KR102703911B1 (en) 2021-12-01 2021-12-01 Sanitary Mask Including a Chin Support Member for Improved Wear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205A KR20230082205A (en) 2023-06-08
KR102703911B1 true KR102703911B1 (en) 2024-09-06

Family

ID=8676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908A Active KR102703911B1 (en) 2021-12-01 2021-12-01 Sanitary Mask Including a Chin Support Member for Improved Wear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391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193B1 (en) * 2014-08-26 2017-03-08 씨우 니 리 A mask
KR102304351B1 (en) * 2020-10-26 2021-09-23 서시연 Mask
KR102313987B1 (en) * 2021-05-28 2021-10-18 (주)칼라컵 Sanitary Mask Having Band Fastening Part Having Section L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126A (en) 2010-09-07 2012-03-15 심규성 Philtrum support type hygienic mas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193B1 (en) * 2014-08-26 2017-03-08 씨우 니 리 A mask
KR102304351B1 (en) * 2020-10-26 2021-09-23 서시연 Mask
KR102313987B1 (en) * 2021-05-28 2021-10-18 (주)칼라컵 Sanitary Mask Having Band Fastening Part Having Section 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205A (en)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4802B2 (en) Mask with locking tool
US9907348B2 (en) Functional headband having integral cushion band
JP5466220B2 (en) Underwater mask
KR101594145B1 (en) Head band device with functional cushion case
US10702024B2 (en) Buckle for connecting strap and respirator harness including the same
JP2017193802A5 (en)
JP4277006B2 (en) Diving face mask strap
US12193531B2 (en) Dust mask
KR20200121258A (en) hanger device for face mask
ITUB20155310A1 (en) BAND POGGIA FRONT FOR HELMETS AND HELMET PROVIDED WITH SUCH FRONT POGGIA BAND.
ITUB20155311A1 (en) BAND POGGIA FRONT FOR HELMETS AND HELMET PROVIDED WITH SUCH FRONT POGGIA BAND.
CN110996702A (en) Mask comprising adjustable ear ring
KR101544582B1 (en) Dual-mask
KR102703911B1 (en) Sanitary Mask Including a Chin Support Member for Improved Wearability
KR20210052403A (en) Mask
KR101967885B1 (en) Neck guard for welding
EP3117804B1 (en) Nasal dilator device
KR102296424B1 (en) Headrest band for hard hat and hard hat with the same
KR200347518Y1 (en) A mask
KR102331519B1 (en) anti-fog device for glasses
JP7340269B2 (en) taping tape
KR102280127B1 (en) hair band for permanent
KR20220001354U (en) A guard for mask
KR102003324B1 (en) Curvature changable hat
KR20160001204U (en) Cover for protecting against the c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