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700153B1 - 전극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극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0153B1
KR102700153B1 KR1020160054018A KR20160054018A KR102700153B1 KR 102700153 B1 KR102700153 B1 KR 102700153B1 KR 1020160054018 A KR1020160054018 A KR 1020160054018A KR 20160054018 A KR20160054018 A KR 20160054018A KR 102700153 B1 KR102700153 B1 KR 102700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joint
electrode assembly
article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4298A (ko
Inventor
조기봉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4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0153B1/ko
Priority to US15/494,095 priority patent/US10727527B2/en
Priority to CN201710282086.5A priority patent/CN107342391B/zh
Priority to EP17168364.2A priority patent/EP3242346B1/en
Publication of KR20170124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0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72Vertically superposed cells with vertically disposed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466U-shaped, bag-shaped or fold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2010/4292Aspects relating to capacity ratio of electrodes/electrolyte or anode/cath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7Ionic conducti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제1 활물질층을 가지는 제1 전극부와 상기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무지부를 가지는 복수의 제1 전극, 제1 전극부를 각각 수용하며,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수용부를 가지며, 이웃하는 수용부의 일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반복적으로 굽어져 있는 분리막, 수용부의 마주하는 일면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제1 전극부와 중첩하고, 제2 활물질층을 가지는 제2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 무지부를 가지는 복수의 제2 전극을 가진다.

Description

전극 조립체{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의 형태로 바꾸어 저장할 수 있는 우수한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는 전력저장시스템이다. 재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에 비해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여 스마트폰, 셀룰러폰, 노트북, 타블렛 PC 등 IT 기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환경문제와 화석연료 고갈문제로 인해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차전지로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 이차전지는 이러한 추세에 따라 고밀도, 고출력, 안전성 등의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차전지의 종류에는 납축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니켈수소전지, 리튬이온전지, 리튬폴리머전지, 리튬메탈전지, 리튬에어전지, 나트륨에어전지 등이 있다. 이 중 리튬을 이용한 이차전지는 다른 전지에 비해 작동전압과 단위중량당 에너지밀도가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휴대용 IT 기기와 전기차에 급속도로 적용되고 있다.
리튬계열 이차전지는 리튬의 강한 반응성으로 인해 단락이 발생할 경우 발화 및 폭발의 위험성이 있어서 반복적인 충/방전에도 전극간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 안전한 구조가 요구된다. 이러한 안전성 확보와 함께 고속 생산이 용이한 구조로 이차전지의 전극 조립체 구조가 개발되어 왔다.
그 대표적 구조로는, 첫째 양/음극 전극 사이에 분리막을 넣고 말아서 전극 조립체를 형성시키는 권취(winding)구조가 있으며, 둘째는 전지 크기에 맞게 절단한 양/음극 전극들을 분리막과 번갈아 쌓아서 전극 조립체를 형성시키는 스택(Stack)구조가 있다.
그러나 권취구조의 조립체는 충/방전 과정 중 음극 팽창에 의한 변형(Deform)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에 비해 스택구조의 조립체는 이러한 변형 문제가 적은 대신 충/방전 과정 중 발열에 의해 분리막이 수축되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전지의 형상이 변형될 경우 양/음극 간의 단락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특히 전극과 분리막을 가열/부착하는 라미네이팅을 거쳐 제조하는 스택구조 전극 조립체의 경우 전해액이 전극표면으로 침투하는 속도가 느리고 젖음 상태가 불균일해져 이차전지의 용량이 불균일해지고,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차 전지의 전해액 침투를 균일하게 하여, 수명을 증가시킨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차 전지의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형을 최소화하고, 분리막의 수축 또는 충격으로 인한 단락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제1 활물질층을 가지는 제1 전극부와 상기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무지부를 가지는 복수의 제1 전극, 제1 전극부를 각각 수용하며,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수용부를 가지며, 이웃하는 수용부의 일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반복적으로 굽어져 있는 분리막, 수용부의 마주하는 일면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제1 전극부와 중첩하고, 제2 활물질층을 가지는 제2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 무지부를 가지는 복수의 제2 전극을 가진다.
상기 분리막은 상기 수용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부의 일측을 밀봉하는 제1 접합부를 포함하고, 제1 무지부는 상기 제1 접합부와 교차하여 상기 수용부 밖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접합부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접합부와 교차하는 방향의 상기 수용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접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접합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 접합부를 더 포함하고, 제1 접합부와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제1 전극부를 중심으로 반대편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합부, 상기 제2 접합부 및 상기 제3 접합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접합부, 상기 제2 접합부 및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제1 전극부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부를 둘러싸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제1 전극부의 경계선 밖으로 돌출한 확장 전극부를 포함하고, 확장 전극부는 상기 제1 전극부의 경계선을 향해서 오목한 노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질 수 있다.
상기 확장 전극부의 일면은 상기 제2 접합부의 일면에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노치와 대응하는 절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이웃하는 상기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4 접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지부와 중첩하는 상기 수용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5 접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5 접합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6 접합부를 더 포함하고, 제5 접합부와 상기 제6 접합부는 상기 제1 전극부를 중심으로 반대편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 접합부, 상기 제5 접합부 및 상기 제6 접합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4 접합부, 상기 제5 접합부 및 상기 제6 접합부는 상기 제1 전극부의 경계선을 둘러싸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교대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전극부의 적어도 연속하는 3개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부의 양면과 각각 중첩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을 포함하고,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전극부의 경계선을 따라서 접합되어 상기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양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음극일 수 있으며, 제2 전극부의 면적은 상기 제1 전극부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제1 활물질층을 가지는 제1 전극부와 상기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무지부를 가지는 복수의 제1 전극, 제2 활물질층을 가지는 제2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 무지부를 가지는 복수의 제2 전극,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제1 전극부의 상면과 각각 중첩하는 제1 부분, 이웃하는 제1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가지는 제1 부재, 제1 전극부의 하면과 각각 중첩하는 제3 부분, 이웃하는 제3 부분 사이에 위치하며 제2 부분과 접합된 제1 접합부를 가지는 제4 부분을 가지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제4 부분은 상기 제1 부재의 일면이 마주하는 방향, 또는 상기 제2 부재의 일면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굽어져 있으며,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마주하는 제1 부재 사이 또는 상기 마주하는 제2 부재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전극부의 일측을 감싸도록 굽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를 사이에 두고 교번하여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전극부의 경계선 밖으로 확장된 제1 확장부 및 제2 확장부를 각각 포함하고, 제1 확장부는 각각 상기 제1 무지부 및 상기 제2 무지부와 중첩하고, 제2 확장부는 각각 상기 제1 전극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확장부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지부 및 상기 제2 무지부는 상기 제1 확장부 밖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의 제1 확장부와 상기 제3 부분의 제1 확장부는 서로 접촉하여 접합된 제2 접합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의 제2 확장부와 상기 제3 부분의 제2 확장부는 서로 접촉하여 접합된 제3 접합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접합부, 상기 제2 접합부 및 제3 접합부는 상기 제1 전극부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부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제1 접합부, 상기 제2 접합부 및 상기 제3 접합부는 복수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제1 전극부의 경계선 밖으로 돌출한 확장 전극부를 포함하고, 확장 전극부는 상기 제1 전극부의 경계선을 향해서 오목한 노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질 수 있다.
상기 확장 전극부는 상기 제1 접합부에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노치와 대응하는 절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양극이고, 제2 전극은 음극일수 있고, 제2 전극부의 면적은 상기 제1 전극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반복적으로 적층함으로써 전극 조립체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양극을 분리막으로 감싸서 고정시킨 후 이차 전지를 제작하면, 반복되는 충방전 과정에 발열로 인해 분리막이 수축하려는 경향이 있어도 양극과 음극이 직접 만나 단락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서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전극이 고정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접어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을 정렬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이차 전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면과 분리막면을 가열/융착하지 않고 전극위치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전해액이 전극의 표면까지 쉽고 균일하게 도달할 수 있어서 안정된 이차전지의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극 조립체용 분리막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극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극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을 포함하는 분리막과 제2 전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도 27의 XXIII-XX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극 조립체용 분리막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0)는 서로 마주하는 제1 전극(100)과 제2 전극(200), 제1 전극(100)과 제2 전극(200)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300)을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1000)는 복수의 제1 전극(100)과 제2 전극(200)을 포함하며, 제1 전극(100)과 제2 전극(200)이 분리막(300)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적층되어 있다.
제1 전극(100)은 제1 전극부(11)와 제1 무지부(13)를 포함하며, 제1 무지부(13)를 통해서 이차 전지의 양극(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부(11)는 제1 기재(11a), 제1 기재(11a)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활물질층(11b)을 포함한다. 제1 활물질층(11b)은 도 2에서와 같이 제1 기재(11a)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제1 기재(11a)의 일면에만 형성(도시하지 않음)될 수 있다.
제1 기재(11a)는 금속 박막으로 제1 활물질층(11b)에서 발생하는 전하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고, 제1 활물질층(11b)을 지지한다. 예를 들어, 제1 전극부(11)이 이차 전지의 양극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기재(11a)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활물질층(11b)은 전극 활물질, 바인더, 도전체 등을 포함하는 전극용 합재를 용매에 분산시켜 슬러리 형태로 만든 다음, 이를 제1 기재(11a)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한 후 건조 및 압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무지부(13)는 제1 기재(11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무지부(13)의 일측변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전극부(11)의 일측변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200)은 제2 전극부(21)와 제2 무지부(23)를 포함하며, 제2 전극(200)은 이차 전지의 음극(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부(21)는 제2 기재(21a), 제2 기재(21a)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활물질층(21b)을 포함한다. 제2 활물질층(21b)은 도 2에서와 같이 제2 기재(21a)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제2 기재(21a)의 일면에만 형성(도시하지 않음)될 수 있다.
제2 기재(21a)는 금속 박막으로 제2 활물질층(21b)에서 발생하는 전하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고, 제2 활물질층(21b)을 지지한다. 예를 들어, 제2 전극(200)이 이차 전지의 음극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기재(21a)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활물질층(21b)은 전극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 등으로 이루어진 전극 합재에 용매를 분산시켜 슬러리 형태로 만든 다음, 이를 제2 기재(21a)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한 후 건조 및 압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2 무지부(23)는 제2 기재(21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극부(21)의 일측변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극부(21)의 일측변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2 무지부(23)는 제1 무지부(13)와 단락되지 않도록 이격되어 위치한다.
분리막(300)은 높은 이온 투과도를 가지며 기계적인 강도를 갖는 다공성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막(300)은 예를 들어, 폴리 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리막(300)은 분리막(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며, 제1 전극부(11)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부(31)를 가질 수 있다. 분리막(300)은 한 장의 부재 또는 한 쌍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31)는 수용부(31) 내에 수용되는 제1 전극부(11) 전체를 감싸도록 제1 전극부(11)의 부피보다 수용부(31)의 부피가 더 클 수 있다. 수용부(31)의 일측은 개방된 상태로,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제1 전극부(11)가 삽입될 수 있다.
수용부(31)의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극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31)의 가장자리에는 제1 접합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합부(41)는 수용부(31)의 개방된 일측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열융착, 마찰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해서 접합될 수 있다.
제1 접합부(41)는 제1 전극부(11)가 삽입된 상태에서 접합될 수 있으며, 제1 접합부(41)가 접합됨으로써 제1 전극부(11)는 수용부(31) 내에 밀봉될 수 있다. 이때, 제1 무지부(13)는 제1 접합부(41)를 가로질러 수용부(31) 밖으로 돌출되며, 제1 무지부(13)와 중첩하는 제1 접합부(41)는 제1 무지부(13)의 양면에 각각 접합된다.
도 5에서와 같이, 분리막(300)이 한 장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수용부(31)의 일측만 개방된 포켓 형태일 때 제1 접합부(41)를 형성하면, 제1 접합부(41)만으로도 제1 전극부(11)를 밀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방되지 않은 타측에도 접합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형성할 수 있다. 개방되지 않은 가장자리에도 접합부를 형성할 경우, 분리막이 수축하면서 제1 전극부(11)에 밀착되어 좀 더 안정적으로 수용부 내에 제1 전극부(11)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막(300)은 한 쌍의 제2 접합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접합부(43)는 수용부(31)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제1 접합부(41)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어 제1 접합부(4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합부(43)는 이웃하는 두 수용부(31) 사이 영역(D)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두 수용부(31)는 제2 접합부(43)를 공유할 수 있다.
도 6의 분리막(300)은 제1 전극부(11)를 중심으로 양면에 위치하는 제1 부재(33)와 제2 부재(35)를 포함한다. 제1 부재(33)와 제2 부재(3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부(11)를 사이에 두고 한 장의 부재를 접는선(A)을 따라 접으면 제1 부재(33) 및 제2 부재(35)가 제1 전극부(11)의 양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한 장의 부재를 접으면 접어지는 부분은 개방되지 않으므로, 도 6에서와 같이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를 형성하여 제1 전극부(11)를 수용부 내에 밀봉시킬 수 있다. 물론, 도 5에서와 같이 개방되지 않은 가장자리에도 접합부를 형성하여 제1 전극부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막(300)은 제3 접합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접합부(45)는 제1 전극부(11)를 중심으로 제1 전극부(11)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접합부(41), 제2 접합부(43) 및 제3 접합부(45)의 일단은 서로 연결되어, 제1 전극부(11)의 경계선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분리막(300)은 제1 전극부(11)를 중심으로 양면에 위치하는 제1 부재(33)와 제2 부재(35)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부재(33)와 제2 부재(35)는 분리되어 있다.
이처럼, 제1 부재(33)와 제2 부재(35)가 분리된 경우에는 제1 전극부(11)의 모든 가장자리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제1 접합부(41), 제2 접합부(43) 및 제3 접합부(45)를 형성하여 제1 전극부(11)를 수용부(31) 내에 밀봉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제1 접합부(41), 제2 접합부(43) 및 제3 접합부(45)를 형성하면, 수용부(31) 내에 제1 전극부(11)를 밀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접합부(41)와 함께 제2 접합부(43)를 더 형성하거나, 제1 접합부(41)와 함께 제2 접합부(43) 및 제3 접합부(45)를 더 형성하면, 제1 전극부(11)를 좀 더 안정적으로 수용부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열융착등으로 접합부를 형성할 경우, 열에 의해서 수용부의 수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서 제1 접합부(41) 내지 제3 접합부(45)는 제1 전극부(11)와 인접하거나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부(11)가 수용부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어 수용부(31)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전극부(11)를 수용부(31) 내에 고정하면, 전극 조립체의 제조 공정시에 제1 전극부(11)와 제2 전극부(21)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에서는 제1 접합부(41), 제2 접합부(43) 또는 제3 접합부(45)를 형성하고, 이들을 연결하여 제1 전극부(11)가 수용부(31) 내부에 밀봉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41) 내지 제3 접합부(45) 중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는 복수의 소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분리막(300)은 이웃하는 수용부(31)의 일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반복적으로 접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수용부(31)가 적층된 형태를 이룬다. 즉, 분리막(300)은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질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31) 내에 삽입된 제1 전극부(11)도 반복하여 적층된다.
제2 전극(200)은 제1 전극(100)을 포함하는 수용부(31)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전극부(11)와 제2 전극부(21)가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수용부(31)에 제1 전극부(11)를 수용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접어지는 수용부(31)의 일면 사이에 제2 전극(200)을 배치하면, 제1 전극(100), 분리막(300), 제2 전극(200)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이룬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는 제1 접합부, 제2 접합부 및 제3 접합부를 형성하여, 수용부 내에 제1 전극부가 밀봉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 및 도 13에서와 같이 소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극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6의 제1 전극과 분리막은 대부분 도 1 내지 도 7의 제1 전극을 포함하는 분리막과 동일하므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막(300)은 제1 전극부(11)를 둘러싸는 제1 접합부(41), 제2 접합부(43) 및 제3 접합부(45)를 포함하고, 각각의 접합부는 복수의 소접합부(4)를 포함한다. 복수의 소접합부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소접합부(4)는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제1 전극부(11)의 경계선을 따라서 또는 수용부와 수용부 사이의 영역(D)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접합부는 행렬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분리막(300)의 두께, 탄성 및 이웃하는 두 수용부 사이 영역(D)의 면적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접합부(41) 내지 제3 접합부(45)를 복수로 형성하면 제1 전극부(11)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도, 전해질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들에서는 이웃하는 두 수용부(31) 사이에 제2 접합부(43)가 위치하고, 이웃하는 두 수용부(31)가 하나의 제2 접합부(43)를 공유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두 수용부(31)의 가장자리에 각각 제2 접합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리막(300)이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할 경우, 이웃하는 제2 접합부(43) 사이의 영역(D)에 위치하는 제 1부재와 제2 부재는 분리될 수 있다.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수용부(31) 사이 영역(D)에 하나의 제2 접합부(43)를 형성(도 5 내지 도 7 참조)하면, 두께가 증가하여 용이하게 접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융착 불량이 발생할 경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가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1에서와 같이 각각의 수용부(31)에 제2 접합부(43)를 형성하면, 이웃하는 제2 접합부(43) 사이 영역(D)에 위치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분리되어 접어지는 두께가 증가하지 않고 각각의 굽힘 응력이 적용되어 용이하게 접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접합부(43)가 이웃하는 두 수용부 사이의 영역(D)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므로, 어느 하나의 용착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도 11에서와 같이 이웃하는 두 수용부 사이의 영역(D)에 제2 접합부(43)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하면, 분리막(300)을 접어서 전극 조립체를 형성할 때, 분리막(300)이 접어지는 위치를 안내하여 용이하게 분리막(300)을 접을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는 제1 전극부가 대략 사각형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12에서와 같이 제1 전극부(11)가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13 내지 16에서와 같이 적어도 어느 한 모퉁이가 모따기 된 것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전극부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접합부(47)는 도 12에서와 같이 전극부 사이의 영역에 모두 형성되거나, 도 13 내지 도 16에서와 같이 전극부의 경계선을 따라서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접합부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을 포함하는 분리막과 제2 전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극(100)은 분리막(300)에 형성된 수용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1 전극부(11)는 제2 전극부(21)와 중첩한다.
제2 전극부(21)는 제1 전극부(11)의 경계선 밖으로 돌출한 확장 전극부(2)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 전극부(2)는 제1 전극부(11)의 경계선을 향해서 오목한 노치(3)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노치(3)를 가지는 확장 전극부(2)를 형성하면, 노치(3)에 의해서 제2 접합부(43)와 확장 전극부(2)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제2 접합부(43)를 열융착 할 때, 제2 접합부(43)가 수축되면서 더 넓은 면적으로 제2 전극부(21)를 감싸므로, 제1 전극부(21)는 분리막(3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7에서는 확장 전극부(2)가 제2 전극부(21)의 일변을 따라서 긴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8에서와 같이 분리하여 복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확장 전극부(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치(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9에서와 같이 제2 접합부(43)는 노치(3)와 대응하는 절개부(5)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이처럼, 노치(3)와 대응하는 절개부(5)를 형성하면 분리막(300)을 용이하게 접을 수 있다. 분리막(300)은 제2 접합부(43)에서 접어지며, 이때 절개부(5)에 의해서 제2 접합부(43)의 면적이 감소하여 제2 접합부(43)로 인한 굽힘 응력이 감소함으로 분리막(300)을 용이하게 접을 수 있다.
절개부(5)는 도 19에서와 같이 분리막을 접기 전에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0에서와 같이 반복적으로 접어 전극 조립체를 형성한 후 한번에 중첩된 복수의 분리막을 제거하여 절개부(5)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절개부(5)의 경계선은 노치(3)의 경계선 내에 위치하며, 절개부(5)의 경계선은 노치(3)의 경계선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노치(3)의 경계선 내에 절개부(5)를 형성하면, 노치(3)를 둘러싸는 제2 접합부(43)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도, 제1 전극부(11)를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럼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극, 제2 전극 및 분리막(300)을 각각 준비한다. 분리막(300)은 제1 부재(33)와 제2 부재(35)를 포함한다.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후, 제1 부재 위에 제1 전극(100)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이때, 제1 전극부(11)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1 부재 위에 배치되므로, 이웃하는 제1 전극부(11) 사이의 제1 부재는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무지부(13)는 분리막의 경계선 밖으로 돌출하도록 배치한다.
다음,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극부(11)를 덮도록 분리막(300)을 접는다. 이때, 제1 전극부(11)와 중첩하지 않는 제1 부재(33)의 노출된 부분과 분리막(300)의 제2 부재(35)가 서로 맞닿도록 접으며, 제1 전극부(11)를 중심으로 제1 전극부(11)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편 일단을 따라서 제1 부재의 접는선(A)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맞닿는 부분을 접합하여 제1 접합부(41) 및 제2 접합부(43)를 형성한다.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분리막(300)을 이용하므로, 제3 접합부는 생략할 수 있다. 접합부는 레이저 또는 히터를 이용한 열에 의해서 열융착, 초음파 또는 고주파와 같은 마찰 용접, 접착제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접합부(41)와 제2 접합부(43)를 형성하면 복수의 제1 전극(100)이 분리막(300)에 고정 되므로, 후속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다음,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막(300)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100)의 제1 전극부(11)와 중첩하도록 제2 전극(200)을 배치한다. 제1 전극(100)은 분리막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전극 위에 제2 전극을 정렬하기가 용이하다.
이후, 제2 전극과 중첩하도록 분리막(300)을 접는다. 이때, 분리막(300)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제1 전극부(11)가 제2 전극부(21)와 중첩하도록 접는다.
분리막(300)을 반복적으로 접을 때 분리막(300)에 고정되지 않은 제2 전극(200)이 이탈될 수 있으므로, 제2 전극(200)를 배치하고 접은 다음, 다시 제2 전극(200)을 배치하고 접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한다. 이때, 접는 방향은 먼저 접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접는다.
제1 전극을 중심으로 양쪽에 제2 전극을 배치(도시하지 않음)하여 한 번에 접으면 정렬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2 전극을 하나씩 배치하는 것보다 생산성이 증가한다.
도 25 내지 도 2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8은 도 27의 XXIII-XX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극, 제2 전극 및 분리막(300)을 각각 준비한다. 분리막(300)은 제1 부재(33)와 제2 부재(35)를 포함한다. 제1 부재와 제2 부재(35)는 분리되어 있으며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이후, 제1 부재(33) 위에 제1 전극(100)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이때, 제1 전극부(11)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1 부재 위에 배치되므로, 이웃하는 제1 전극부(11) 사이의 제1 부재는 노출되어 있다. 이때, 제1 무지부(13)는 분리막의 경계선 밖으로 돌출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제1 부재(33) 위에 제2 부재(35)를 정렬한다.
다음,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재(33)와 제2 부재(35)를 중첩하여, 제1 전극부(11)와 중첩하지 않는 제1 부재(33)의 노출된 부분과 제2 부재(35)가 서로 맞닿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제1 부재(33)와 제2 부재(35)가 맞닿는 부분을 열융착시켜 제1 접합부(41), 제2 접합부(43) 및 제3 접합부(45)를 형성한다. 제1 부재(33)와 제2 부재(35)는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1 전극부(11)를 둘러싸도록 제1 접합부(41) 내지 제3 접합부(45)를 형성하여 제1 전극(100)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27 및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막(300)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100)의 제1 전극부(11)와 중첩하도록 제2 전극(200)를 배치한다. 제1 전극(100)은 분리막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전극 위에 제2 전극을 정렬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확장 전극부(2)를 가지는 제2 전극(200)을 배치하여 확장 전극부(2)를 분리막(3)에 고정시키면, 후속 공정시 제2 전극(200)이 이탈되거나 정렬이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확장 전극부는 분리막의 일부를 녹여서 확장 전극부(2)에 부착하는 열융착법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길게 펼쳐진 분리막 위에 다수의 전극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한 후 분리막을 그 위에 다시 겹쳐서 각 전극의 테두리를 따라 분리막끼리 접합함으로써 이후 공정에서 추가되는 상대전극과 접촉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열된 전극들을 겹쳐진 분리막 속에 전극을 넣고 전극 주위 분리막끼리만 부착시킴으로서 전극 위치는 견고하게 고정시키면서 전해액의 유통에는 유리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처럼, 전극을 일정간격으로 연속된 분리막 사이에 봉지(Sealing)하거나 고정시킨 후 상대전극을 그 외부에 순차적으로 엇갈리게 배치하거나 붙여서 지그재그(또는 병풍처럼)로 접어서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면, 이차전지의 안전성과 전해액 함침에 유리할 뿐 아니라 다수의 전극을 동시에 정렬(Array), 봉지(Sealing), 접층(Folding) 시킬 수 있어서 생산속도를 높이기도 매우 유리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전극면과 분리막면을 가열/융착하지 않고 전극위치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전해액이 전극의 표면까지 쉽고 균일하게 도달할 수 있어서 안정된 이차전지의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양극과 같은 한 전극을 분리막으로 감싸서 고정시킨 후 이차 전지를 제작하면, 반복되는 충방전 과정에 발열로 인해 분리막이 수축하려는 경향이 있어도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음극 및 양극)이 직접 만나 단락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전극 조립체는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기 설명한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1000), 전극 조립체(1000)를 내장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각형 또는 파우치(500)형과 같이 필요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파우치형 케이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극 조립체(1000)는 도 1의 전극 조립체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무지부(13), 복수의 제2 무지부(23)는 동일한 극성끼리 중첩된 후 초음파 용접 등으로 용접되어 있을 수 있다.
전극 조립체(1000)는 분리막(300)을 반복적으로 접어서 형성한 것으로, 접어진 형태를 고정하기 위해서 고정 부재(400)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400)는 전극 조립체(1000)의 가장자리를 감싸거나 전극 조립체(1000) 전체를 가로 지르는 띠 형태일 수 있다.
전극 조립체(1000)는 전해질과 함께 파우치에 삽입된 후 밀봉될 수 있다. 전해액은 EC, PC, DEC, EMC, EMC와 같은 유기 용매에 LiPF6, LiBF4와 같은 리튬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해액은 액체, 고체 또는 겔상일 수 있다.
파우치(500)는 다층 시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우치는 내면을 형성하며 절연 및 열융착 작용하는 폴리머 시트, 외면을 형성하여 보호 작용하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시트, 나일론 시트 또는 PET-나일론 복합 시트,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는 금속 시트를 포함한다. 금속 시트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시트일 수 있으며, 폴리머 시트와 나일론 시트 사이에 위치한다.
파우치(500)는 전극 조립체(1000)가 삽입되는 수용부(52)와 수용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밀봉(sealing)을 위하여 열융착에 의해서 접합된 테두리부(54)를 포함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2: 확장 전극부 3: 노치
5: 절개부 11: 제1 전극부
11a: 제1 기재 11b: 제1 활물질층
13: 제1 무지부 21: 제1 전극부
21a: 제2 기재 21b: 제2 활물질층
23: 제2 무지부 31, 52: 수용부
33: 제1 부재 35: 제2 부재
54: 테두리부 100: 제1 전극
200: 제2 전극 300: 분리막
400: 고정 부재 500: 파우치
1000: 전극 조립체

Claims (33)

  1. 제1 활물질층을 가지는 제1 전극부와 상기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무지부를 가지는 복수의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부를 각각 수용하며,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수용부를 가지며, 이웃하는 수용부의 일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반복적으로 굽어져 있는 분리막,
    상기 수용부의 마주하는 일면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제1 전극부와 중첩하고, 제2 활물질층을 가지는 제2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 무지부를 가지는 복수의 제2 전극
    을 가지고,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제1 전극부의 경계선 밖으로 돌출한 확장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전극부는 상기 제1 전극부의 경계선을 향해서 오목한 노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전극 조립체.
  2. 제1항에서,
    상기 분리막은 상기 수용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부의 일측을 밀봉하는 제1 접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지부는 상기 제1 접합부와 교차하여 상기 수용부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3. 제2항에서,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접합부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접합부와 교차하는 방향의 상기 수용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4. 제3항에서,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접합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 접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제1 전극부를 중심으로 반대편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
  5. 제4항에서,
    상기 제1 접합부, 상기 제2 접합부 및 상기 제3 접합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6. 제4항에서,
    상기 제1 접합부, 상기 제2 접합부 및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제1 전극부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부를 둘러싸고 있는 전극 조립체.
  7. 삭제
  8. 제3항에서,
    상기 확장 전극부의 일면은 상기 제2 접합부의 일면에 접합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9. 제8항에서,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노치와 대응하는 절개부를 가지는 전극 조립체.
  10. 제1항에서,
    이웃하는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접합부
    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11. 제10항에서,
    상기 제1 무지부와 중첩하는 상기 수용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
    를 더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12. 제11항에서,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접합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 접합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제1 전극부를 중심으로 반대편에 각각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
  13. 제12항에서,
    상기 제1 접합부, 상기 제2 접합부 및 상기 제3 접합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14. 제12항에서,
    상기 제1 접합부, 상기 제2 접합부 및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제1 전극부의 경계선을 둘러싸고 있는 전극 조립체.
  15. 제1항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교대로 적층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16. 제1항에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전극부의 적어도 연속하는 3개의 단부를 수용하는 전극 조립체.
  17. 제1항에서,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부의 양면과 각각 중첩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전극부의 경계선을 따라서 접합되어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전극 조립체.
  18. 제17항에서,
    상기 제1 전극은 양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음극인 전극 조립체.
  19. 제18항에서,
    상기 제2 전극부의 면적은 상기 제1 전극부의 면적보다 큰 전극 조립체.
  20. 제1 활물질층을 가지는 제1 전극부와 상기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무지부를 가지는 복수의 제1 전극,
    제2 활물질층을 가지는 제2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 무지부를 가지는 복수의 제2 전극,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제1 전극부의 일면과 각각 중첩하는 제1 부분, 이웃하는 제1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가지는 제1 부재,
    상기 제1 전극부의 타면과 각각 중첩하는 제3 부분, 이웃하는 제3 부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부분과 접합하여 제1 접합부를 형성하는 제4 부분을 가지는 제2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1 부재의 일면이 마주하는 방향, 또는 상기 제2 부재의 일면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굽어져 있으며,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마주하는 제1 부재 사이 또는 상기 마주하는 제2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
  21. 제20항에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전극부의 일측을 감싸도록 굽어져 있는 전극 조립체.
  22. 제20항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를 사이에 두고 교번하여 적층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23. 제20항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무지부와 중첩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어 제2 접합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접합되어 있는전극 조립체.
  24. 제23항에서,
    상기 제1 무지부 및 상기 제2 무지부는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경계선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25. 삭제
  26. 제24항에서,
    상기 제1 전극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 접합부와 반대편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상기 제1 전극부의 경계선 밖으로 확장되어 제3 접합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접합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27. 제26항에서,
    상기 제1 접합부, 상기 제2 접합부 및 제3 접합부는 상기 제1 전극부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부를 둘러싸는 전극 조립체.
  28. 제27항에서,
    상기 제1 접합부, 상기 제2 접합부 및 상기 제3 접합부는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29. 제20항에서,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제1 전극부의 경계선 밖으로 돌출한 확장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전극부는 상기 제1 전극부의 경계선을 향해서 오목한 노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전극 조립체.
  30. 제29항에서,
    상기 확장 전극부는 상기 제1 접합부에 접합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31. 제30항에서,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노치와 대응하는 절개부를 가지는 전극 조립체.
  32. 제20항에서,
    상기 제1 전극은 양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음극인 전극 조립체.
  33. 제32항에서,
    상기 제2 전극부의 면적은 상기 제1 전극의 면적보다 큰 전극 조립체.
KR1020160054018A 2016-05-02 2016-05-02 전극 조립체 KR102700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018A KR102700153B1 (ko) 2016-05-02 2016-05-02 전극 조립체
US15/494,095 US10727527B2 (en) 2016-05-02 2017-04-21 Electrode assembly
CN201710282086.5A CN107342391B (zh) 2016-05-02 2017-04-26 电极组件
EP17168364.2A EP3242346B1 (en) 2016-05-02 2017-04-27 Electrod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018A KR102700153B1 (ko) 2016-05-02 2016-05-02 전극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298A KR20170124298A (ko) 2017-11-10
KR102700153B1 true KR102700153B1 (ko) 2024-08-27

Family

ID=5863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018A KR102700153B1 (ko) 2016-05-02 2016-05-02 전극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27527B2 (ko)
EP (1) EP3242346B1 (ko)
KR (1) KR102700153B1 (ko)
CN (1) CN1073423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5901B2 (en) * 2017-02-24 2020-05-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attery and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with folded construction
US12080843B2 (en) * 2017-11-16 2024-09-03 Apple Inc. Battery cell with multiple separator layers that include adhesive and ceramic material
JP7146386B2 (ja) * 2017-11-17 2022-10-04 ロベルト・ボッシュ・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蓄電素子の製造方法
CN109860490B (zh) * 2017-11-30 2022-08-12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芯、电池以及电芯的隔离膜的封装方法
JP7071706B2 (ja) * 2017-12-26 2022-05-1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US11870037B2 (en) 2018-04-10 2024-01-09 Apple Inc. Porous ceramic separator materials and formation processes
PL3557674T3 (pl) * 2018-04-20 2023-11-27 Robert Bosch Gmbh Sposób wytwarzania zespołu elektrod dla ogniwa akumulatorowego oraz ogniwo akumulatorowe
KR102259747B1 (ko) * 2019-05-14 2021-06-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468395B1 (ko) 2019-07-22 2022-11-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분리막 접힘 방지를 위한 분리막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CN112117495A (zh) * 2020-10-20 2020-12-22 深圳吉阳智能科技有限公司 叠片设备、方法及叠片结构
KR102458418B1 (ko) * 2020-10-26 2022-10-26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포케팅 양극체의 제조방법, 포케팅 양극체 및 포케팅 양극체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102458417B1 (ko) * 2020-10-26 2022-10-26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포케팅 양극체의 제조방법, 포케팅 양극체 및 포케팅 양극체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CN112331927B (zh) * 2020-11-10 2022-05-20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叠片电芯及电池
WO2022204981A1 (zh) * 2021-03-30 2022-10-06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及用电设备
CN115832605B (zh) * 2021-12-01 2023-10-1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隔膜、电池、电池模块、电池包和用电装置
DE102022122168A1 (de) 2022-09-01 2024-03-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onozellstapel für eine Batteriezel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4075A (ja) * 2010-11-01 2012-06-14 Teijin Ltd 連結多孔質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系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53224A (ja) * 2013-09-09 2015-03-1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37817Y1 (ko) 1969-03-04 1972-11-15
JPS5624065U (ko) * 1979-07-31 1981-03-04
JPS5624065A (en) 1979-08-06 1981-03-07 Hitachi Chem Co Ltd Varnish immersing treatment apparatus
JPS6097547A (ja) 1983-10-31 1985-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蓄電池
KR100309604B1 (ko) 1999-12-20 2001-11-03 홍지준 리튬 2차 전지
KR100515571B1 (ko) 2000-02-08 2005-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첩 전기 화학 셀
KR100365824B1 (ko) 2000-05-13 2002-12-26 한국 파워셀 주식회사 리튬이온 이차전지
JP4737817B2 (ja) 2000-11-16 2011-08-03 トータル ワイヤレス ソリューショオンズ リミテッド 折り畳み型リチウム電池の製造方法
JP3934888B2 (ja) * 2001-06-28 2007-06-20 Necトーキン株式会社 積層型二次電池
US6946218B2 (en) * 2002-09-06 2005-09-20 Enerdel, Inc. Battery cell having edge suppor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60099496A1 (en) * 2004-10-29 2006-05-11 Aamodt Paul B Separator container
KR100948972B1 (ko) 2005-11-03 2010-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딩부가 형성되어 있는 분리막으로 구성된 이차전지
KR101123059B1 (ko) 2006-10-23 2012-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혼합형 스택 및 폴딩형 전극조립체와 이를 포함하고 있는이차전지
KR101189621B1 (ko) 2007-01-04 2012-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101014817B1 (ko) 2007-12-14 2011-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그것의 제조방법
JP2009289418A (ja) 2008-05-27 2009-12-10 Nec Tokin Corp 積層型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5334162B2 (ja) * 2008-09-08 2013-11-06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積層型二次電池
EP2477255B1 (en) * 2009-09-10 2020-02-26 Envision AESC Energy Devices Ltd. Stacked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288739B1 (ko) 2009-09-30 2013-07-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내부 단락 방지 성능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084909B1 (ko) 2009-12-07 2011-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조립체블록 및 그 제조 방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8882858B2 (en) 2010-05-14 2014-11-11 Manz Italy S.R.L.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s
JP5594764B2 (ja) * 2010-05-18 2014-09-24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積層型二次電池
KR101488046B1 (ko) 2010-12-21 2015-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함침성이 향상된 스택/폴딩형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543055B1 (ko) 2011-01-14 2015-08-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스택/폴딩형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225828B1 (ko) 2011-05-25 2013-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택 및 폴딩형 이차전지
KR101484525B1 (ko) 2012-05-07 2015-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ITPD20120167A1 (it) 2012-05-24 2013-11-25 Sovema Spa Macchina e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celle per accumulatori elettrici e cella per accumulatore elettrico
KR101651712B1 (ko) 2012-07-26 2016-08-2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
EP2882027B1 (en) 2013-05-23 2020-03-18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and radical unit for the same
KR101535023B1 (ko) 2013-11-22 2015-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위한 기본 단위체
KR20150006273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기주식회사 관성 센서의 적응형 자동이득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15045796A1 (ja) * 2013-09-30 2015-04-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二次電池
KR101868643B1 (ko) 2013-11-29 2018-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세스 홈이 형성된 배터리 셀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4075A (ja) * 2010-11-01 2012-06-14 Teijin Ltd 連結多孔質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系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53224A (ja) * 2013-09-09 2015-03-1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2346A1 (en) 2017-11-08
CN107342391A (zh) 2017-11-10
CN107342391B (zh) 2022-04-15
KR20170124298A (ko) 2017-11-10
EP3242346B1 (en) 2018-12-19
US10727527B2 (en) 2020-07-28
US20170317375A1 (en)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00153B1 (ko) 전극 조립체
EP3073542B1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152552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2303828B1 (ko)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조립체들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기화학소자
KR101808923B1 (ko)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차 전지
KR101675623B1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366429B1 (ko) 전극탭의 용접 특성을 개선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20012400A (ko) 각형 2차전지
KR102539949B1 (ko) 배터리 셀 시스템용 파우치 필름
US20110076544A1 (en) Stack type battery
KR101387137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4141640A1 (ja) ラミネート外装電池
KR101261243B1 (ko) 변형된 구조의 보호테이프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US9048487B2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7098995A1 (ja) 電気化学デバイスとその製造方法
KR102504792B1 (ko) 이차 전지
KR20220002540A (ko) 셀 배터리
KR20170022372A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174964B1 (ko) 이차 전지 및 그의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JP2004164905A (ja) フィルム外装電池および組電池
KR101755073B1 (ko)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7767B1 (ko) 배터리 셀
JP2020053238A (ja) 蓄電素子、蓄電素子の製造方法
KR20180122073A (ko) 최외곽 전극 상에 확장형 금속을 이용한 보강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전극 조립체
KR20180122074A (ko) 최외곽 전극 및 내부 전극 상에 확장형 금속을 이용한 보강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전극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