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709733B1 - 물품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9733B1
KR102709733B1 KR1020217021403A KR20217021403A KR102709733B1 KR 102709733 B1 KR102709733 B1 KR 102709733B1 KR 1020217021403 A KR1020217021403 A KR 1020217021403A KR 20217021403 A KR20217021403 A KR 20217021403A KR 102709733 B1 KR102709733 B1 KR 102709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conveyor
return
return path
convey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4944A (ko
Inventor
유이치 우에다
오사무 마츠이
히로유키 코이데
아츠시 이시쿠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210114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9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97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4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 B65G47/96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65G47/32Applications of transf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65G47/681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from distinct, separate conveyor l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85Postal items, e.g. letters, parc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주 컨베이어 장치(20)와 인덕션 컨베이어(30)를 갖는 물품 반송 설비(10)이다. 주 컨베이어 장치(20)는 벨트 컨베이어(24)와 대차 본체(23)를 구비한다. 인덕션 컨베이어(30)는 제 2 반송 경로(K2) 상에 물품(90)을 투입하는 제 1 컨베이어 장치(31)와, 반송 경로(K) 상의 물품 투입 위치(T)에 대응시켜서 설치되고 벨트 컨베이어(24)에 물품(90)을 투입하는 제 2 컨베이어 장치(32)를 구비한다. 제 1 컨베이어 장치(31)는 제 2 컨베이어 장치(32)에 물품(90)을 투입하는 타이밍을 제어해서 물품(90)이 물품 투입 위치(T)에 투입되는 타이밍을 조절한다. 제 2 컨베이어 장치(32)는 벨트 컨베이어(24)에 물품(90)을 투입하는 타이밍을 제어해서 벨트 컨베이어(24)에 투입된 물품(90)의 벨트 컨베이어(24)에 있어서의 적재 위치를 조정한다.

Description

물품 반송 설비
본 발명은 물품을 소정의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주 컨베이어 장치와, 상기 반송 경로 상에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물품 투입 장치를 구비하는 물품 반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물품의 반송 경로 상에 물품을 투입하는 물품 투입 장치를 구비하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2006-199505호 공보에 나타내는 크로스 벨트 분류 장치가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6-199505호 공보의 크로스 벨트 분류 장치는 환상의 반송 경로에 의해 서로 연락된 1개 이상의 소포 도입 스테이션(물품 투입 장치) 및 1개 이상의 짐 내림 스테이션과,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반송 유닛(물품 지지체, 주행 유닛)을 구비하는 것이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6-199505호 공보의 크로스 벨트 분류 장치에 있어서는 소포(물품)가 소포 도입 스테이션으로부터 반송 유닛에 대해서 투입된다. 투입된 소포는 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고, 짐 내림 스테이션까지 반송된 후, 반송 유닛으로부터 인출된다.
소포 도입 스테이션은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연속된 컨베이어를 구비한다. 소포 도입 스테이션은 상기 반송 경로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갖고 정렬된다. 소포 도입 스테이션은 각 컨베이어에 의해 소포를 반송시키면서, 대상이 되는 반송 유닛에 대해서 소포를 투입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6-199505호 공보에 나타내는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는 반송 경로 상을 연속해서 주행하는 복수의 물품 지지체 중 소정의 물품 지지체에 대해서, 물품을 물품 투입 장치로부터 투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형상(물품의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이 큰 물품에 계속해서 형상이 작은 물품을 연속해서 물품 지지체에 투입할 경우에는 형상이 큰 물품을 물품 지지체의 주행속도에 동기시켜서 가속시키면, 본래 가속해서는 안되는 후방의 형상이 작은 물품이 형상이 큰 물품에 이끌려 가속하는 일이 있다. 그 때문에 후방의 형상이 작은 물품을 본래 투입되어야할 대상의 물품 지지체에 투입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형상이 다른 물품을 연속해서 대상의 물품 지지체에 투입하기 위해서, 물품의 투입처인 주 컨베이어 장치의 반송 능력(반송 속도)을 떨어뜨리는 등해서 대응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물품 투입 장치에 의한 물품의 투입처인 주 컨베이어 장치의 반송 능력(반송 속도)을 떨어뜨리지 않고, 물품 투입 장치가 형상(크기)이 다른 물품을 연속해서 대상의 물품 지지체에 확실하게 투입 가능한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이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는 물품을 소정의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주 컨베이어 장치와, 상기 반송 경로 상에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물품 투입 장치를 구비하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주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물품을 적재해서 지지하는 물품 지지체와, 상기 물품 지지체를 상기 물품의 반송방향을 따라 주행시키는 주행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물품 투입 장치는 제 1 반송 경로를 따라 상기 물품을 반송해서 상기 반송 경로와 합류하는 제 2 반송 경로 상에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제 1 컨베이어 장치와, 상기 반송 경로 상에 설정되는 물품 투입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치되고 상기 제 1 반송 경로와 합류하는 상기 제 2 반송 경로를 따라 상기 물품을 반송해서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상기 물품 지지체에 대해서 상기 물품 투입 위치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제 2 컨베이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제 2 컨베이어 장치에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물품이 상기 제 2 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상기 물품 투입 위치에 투입되는 타이밍을 조절하고, 상기 제 2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물품 지지체에 대해서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물품 지지체에의 상기 물품의 투입시에 있어서의 상기 물품 지지체 상에서의 상기 물품의 적재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제 1 반송 경로(제 1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물품이 제 2 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물품 투입 위치에 투입되는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해서, 제 2 컨베이어 장치에 물품을 투입하는 타이밍이 제어된다. 계속해서 제 1 반송 경로(제 1 컨베이어 장치)와는 다른 제 2 반송 경로(제 2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물품 지지체에의 물품의 투입시에 있어서의 물품 지지체 상에서의 물품의 적재 위치의 조정을 행하기 위해, 물품 지지체에 대해서 물품을 투입하는 타이밍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는, 상기 제 1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제 1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상기 물품의 반송방향의 길이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반송 경로 상에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제 1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물품의 길이(물품의 사이즈)에 의거하여 물품을 제 2 반송 경로에 투입하는 타이밍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는, 상기 제 1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제 1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상기 물품의 폭방향의 길이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반송 경로 상에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제 1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물품의 폭에 의거하여 물품을 제 2 반송 경로에 투입하는 타이밍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는, 상기 제 1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제 1 반송 경로를 따라 서로 인접해서 반송되는 2개의 물품에 있어서의 반송방향의 길이의 차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반송 경로 상에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제 1 반송 경로를 따라 서로 인접해서 반송되는 2개의 물품간의 물품의 길이의 차(물품간의 사이즈 차)에 의거하여 상기 2개의 물품 중 제 1 반송 경로의 상류측(물품의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의 물품을 제 2 반송 경로에 투입하는 타이밍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는, 상기 제 1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제 1 반송 경로를 따라 서로 인접해서 반송되는 2개의 물품에 있어서의 반송방향의 길이의 차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2개의 물품간의 피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제 1 컨베이어 장치는 제 1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2개의 물품간의 피치를 상기 2개의 물품의 길이의 차에 의거하여 제어되는 소정의 피치로 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물품을 제 2 반송 경로 상에 투입한다.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는, 상기 물품 투입 장치는 상기 반송 경로 상에 설정되는 복수의 물품 투입 위치의 각각에 대응시켜서 설치되고,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복수의 물품 지지체 중 소정 수의 물품 지지체 간격으로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물품 투입 장치는 소정 수의 물품 지지체 간격으로 물품을 투입함으로써 정해진 물품 지지체에 물품을 투입한다.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는, 상기 제 2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제 1 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결정된 상기 물품을 투입해야 할 물품 지지체에 대해서 상기 물품을 투입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물품을 투입해야 할 물품 지지체가 상기 물품 투입 위치를 통과하고나서 상기 소정 수 후방의 물품 지지체에 대해서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제 2 컨베이어 장치는 제 1 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결정된 물품을 투입해야 할 물품 지지체에 대해서 물품을 투입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당초 물품의 투입을 예정하고 있던 물품 지지체보다 소정 수 후방에 위치하는 물품 지지체에 대해서 물품을 투입한다.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에 의하면, 물품 지지체에 대해서 물품을 투입하는 제 2 반송 경로(제 2 컨베이어 장치)와 다른 제 1 반송 경로(제 1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물품이 제 2 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물품 투입 위치에 투입되는 타이밍을 미리 조절하고, 또한 물품 지지체에 대해서 물품을 투입하기 직전의 제 2 반송 경로(제 2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물품 지지체에의 물품의 투입시에 있어서의 물품 지지체 상에서의 물품의 적재 위치의 조정을 행하는 점에서 물품의 형상(크기)의 대소에 상관없이, 주 컨베이어 장치의 반송 능력(반송 속도)에 맞춰서 제 2 반송 경로(제 2 컨베이어 장치)에서의 물품의 반송을 제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주 컨베이어 장치의 반송 능력(반송 속도)을 떨어뜨리지 않고, 물품 투입 장치가 형상(크기)이 다른 물품을 연속해서 대상의 물품 지지체에 확실하게 투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주 컨베이어 장치인 대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인덕션 컨베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인덕션 컨베이어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인덕션 컨베이어의 제 1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의 물품의 반송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인덕션 컨베이어의 제 1 컨베이어 장치로부터 제 2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의 물품의 반송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물품 반송 설비(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물품 반송 설비(10)에는 루프상의 반송 경로(K)가 형성되어 있다. 물품 반송 설비(10)는 반송 경로(K)를 따라 물품(90)을 반송하는 주 컨베이어 장치(20)와, 주 컨베이어 장치(20)의 반송 경로(K) 상에 물품(90)을 투입하는 복수의 인덕션 컨베이어(30)(「물품 투입 장치」의 일례)와, 주 컨베이어 장치(20)의 반송 경로(K)로부터 인출되는 물품(90)을 수용하는 복수의 슈트(50)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물품 반송 설비(10)에서는 물품(90)이 소정의 인덕션 컨베이어(30)로부터 주 컨베이어 장치(20)의 반송 경로(K) 상에 투입된다. 반송 경로(K) 상에 투입되는 물품(90)은 물품 투입 위치(T)에 있어서, 주 컨베이어 장치(20)에 의해 수용된다. 물품(90)은 주 컨베이어 장치(20)에 의해, 반송 경로(K)를 따라 반송된다. 주 컨베이어 장치(20)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은 슈트(50)에 인출된다. 각 슈트(50)에는 물품(90)의 구분처인 점포가 할당되어 있다. 물품(90)은 슈트(50)에 인출됨으로써 슈트(50)마다 할당된 점포마다 분류된다. 물품 반송 설비(10)의 각 장치(주 컨베이어 장치(20), 인덕션 컨베이어(30), 슈트(50))는 물품 반송 설비(10) 전체를 제어하는 통괄 컨트롤러(80)(도 4 참조)에 접속되고, 통괄 컨트롤러(80)에 의해 제어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주 컨베이어 장치(20)는 반송 경로(K)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21)과, 레일(21)을 따라 주행하는 복수의 대차(22)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주 컨베이어 장치(20)는 물품(90)을 적재한 대차(22)를 레일(21) 상에서 주행시킴으로써 물품(90)을 반송 경로(K)를 따라 반송한다.
대차(22)는 소정의 인덕션 컨베이어(30)로부터 투입되는 물품(90)을 물품 투입 위치(T)에 있어서 수용한다. 대차(22)는 수용한 물품(90)을 반송 경로(K)를 따라 반송하고, 소정의 슈트(50)에 대해서 인출한다. 대차(22)는 반송 경로(K)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대차(22)와 연결되고, 인접하는 다른 대차(22)와 연결된 상태로 레일(21) 상을 주행한다. 대차(22)는 레일(21) 상을 주행하는 대차 본체(23)(「주행 유닛」의 일례)와, 물품(90)을 적재해서 지지하는 벨트 컨베이어(24)(「물품 지지체」의 일례)와, 인접하는 다른 대차(22)의 간극을 덮는 커버(25)를 주로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대차 본체(23)는 레일(21) 상을 주행하기 위한 차륜(23A)과, 차륜(23A), 벨트 컨베이어(24) 등을 지지하는 프레임(23B)을 주로 구비한다.
벨트 컨베이어(24)는 대차 본체(23)의 상부에 설치된다. 벨트 컨베이어(24)는 적재한 물품(90)을 대차(22)의 주행방향(물품(90)의 반송방향(H))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벨트 컨베이어(24)는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26)를 갖는다. 벨트 컨베이어(24)는 대차(22)가 소정의 슈트(50)에 도달했을 때에, 벨트를 구동시킴으로써 물품(90)을 슈트(5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배출한다. 벨트 컨베이어(24)는 대차(22)에 의한 물품(90)의 반송 중에, 벨트 컨베이어(24) 상의 물품(90)이 적절한 위치로부터 어긋난 경우에는 벨트를 구동시킴으로써 물품(90)의 적재 위치를 적절한 위치로 조정한다.
커버(25)는 반송 경로(K)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다른 대차(22)간의 간극을 막는 판자 모양의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커버(25)는 대차(22)의 후방측 단부(대차(22)의 주행방향에 대해서 후방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인덕션 컨베이어(30)는 반송 경로(K)의 측부에서 대차(22)의 주행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따른 경사방향으로 물품(90)을 반송하고, 그 물품(90)의 반송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물품(90)을 대차(22)의 벨트 컨베이어(24)에 투입한다. 인덕션 컨베이어(30)는 반송 경로(K)를 따라 복수개(도 1에서는 3개) 설치되어 있다. 인덕션 컨베이어(30)는 반송 경로(K) 상에 설정되는 복수 개소(도 1에서는 3개소)의 물품 투입 위치(T)(인덕션 컨베이어(30)가 대차(22)의 벨트 컨베이어(24)에 물품(90)을 투입하는 위치)의 각각에 대응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인덕션 컨베이어(30)에 있어서는 각각의 인덕션 컨베이어(30)마다 미리 물품(90)을 투입해야 할 대차(22)가 통괄 컨트롤러(80)에 의해 검색되어서 물품(90)을 투입해야 할 대차(22)가 결정된다. 인덕션 컨베이어(30)는 인덕션 컨베이어(30)마다 결정된 소정의 대차(22)에 대해서 물품(90)을 투입한다.
인덕션 컨베이어(30)는 제 1 반송 경로(K1)와, 제 2 반송 경로(K2)를 갖고, 제 1 반송 경로(K1), 제 2 반송 경로(K2)의 순으로 물품(90)을 반송한다. 제 1 반송 경로(K1)는 그 상류측에 있어서 물품(90)이 공급된다. 제 2 반송 경로(K2)는 그 상류측에 있어서 제 1 반송 경로(K1)가 합류되고, 그 하류측에 있어서 반송 경로(K)와 합류한다.
제 1 반송 경로(K1)는 반송 경로(K)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 1 반송 경로(K1)는 제 2 반송 경로(K2)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를 갖고 합류한다. 제 1 반송 경로(K1)의 상류측에 있어서, 물품(90)이 인덕션 컨베이어(30)에 공급된다. 제 1 반송 경로(K1)의 하류측에 있어서, 물품(90)의 반송 경로가 제 1 반송 경로(K1)로부터 제 2 반송 경로(K2)로 변경된다.
제 2 반송 경로(K2)는 반송 경로(K) 상의 물품(90)의 반송방향(H)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따른 경사방향으로부터 반송 경로(K)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를 갖고 합류한다. 제 2 반송 경로(K2)의 상류측에 있어서, 제 1 반송 경로로부터 반송된 물품(90)이 투입된다. 제 2 반송 경로(K2)의 하류측에 있어서, 물품(90)이 대차(22)에 투입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인덕션 컨베이어(30)는 제 1 반송 경로(K1)를 따라 물품(90)을 반송하는 제 1 컨베이어 장치(31)와, 제 2 반송 경로(K2)를 따라 물품(90)을 반송하는 제 2 컨베이어 장치(32)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컨베이어 장치(31)는 제 1 반송 경로(K1)의 상류측으로부터 공급되는 물품(90)을 수용하고, 수용한 물품(90)을 제 1 반송 경로(K1)의 하류측의 제 2 반송 경로(K2)까지 반송한다. 제 1 컨베이어 장치(31)는 제 1 반송 경로(K1)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따라 물품(90)이 이동하는 순으로 물품 선단 피치 생성 컨베이어(33), 투출 컨베이어(35)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제 1 컨베이어 장치(31)의 각 컨베이어(물품 선단 피치 생성 컨베이어(33), 투출 컨베이어(35))는 제 1 컨베이어 장치(31) 전체를 제어하는 통괄 컨트롤러(80)에 접속되고, 통괄 컨트롤러(80)에 의해 제어된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물품 선단 피치 생성 컨베이어(33)는 제 1 반송 경로(K1)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컨베이어이다. 물품 선단 피치 생성 컨베이어(33)는 제 1 반송 경로(K1)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상류측 컨베이어(33A)와, 제 1 반송 경로(K1)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하류측 컨베이어(33B)의 2개의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류측 컨베이어(33A)는 상류측 컨베이어(33A)의 상류측으로부터 공급되는 물품(90)을 하류측 컨베이어(33B)에 송출하기 위한 송출 컨베이어이다. 상류측 컨베이어(33A)는 그 상류측에 물품(90)을 제 1 컨베이어 장치(31)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컨베이어(95)가 연결된다. 상류측 컨베이어(33A)는 상류측 컨베이어(33A)의 하류측에 하류측 컨베이어(33B)가 연결된다. 상류측 컨베이어(33A)는 공급 컨베이어(95)로부터 연속해서 공급되는 물품(90)을 하류측 컨베이어(33B)로 송출한다.
하류측 컨베이어(33B)는 제 1 반송 경로(K1)를 따라 서로 인접해서 반송되는 2개의 물품(90)간의 물품 선단 피치(N1)를 조정하기 위한 물품 선단 피치 조정 컨베이어이다. 여기에서, 2개의 물품(90)간의 물품 선단 피치(N1)란 인접해서 반송되는 2개의 물품(90) 중 제 1 반송 경로(K1)의 상류측(물품(90)의 반송방향(H)에 있어서의 후방측)의 물품(90)의 전방측 끝가장자리부와, 하류측(물품(90)의 반송방향(H)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물품(90)의 전방측 끝가장자리부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하류측 컨베이어(33B)는 상류측 컨베이어(33A)에 의해 인접해서 송출되는 2개의 물품(90) 중 제 1 반송 경로(K1)의 상류측(물품(90)의 반송방향(H)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물품(90)을 투출 컨베이어(35)로 송출하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물품 선단 피치(N1)를 조정한다.
상류측 컨베이어(33A)에는 상류측 컨베이어(33A)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의 반송방향(H)의 길이(L) 및 물품(90)의 폭방향(물품(90)의 반송방향(H)에 대해서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W)(도 6)를 계측하기 위한 물품 길이 계측 센서(34)가 설치되어 있다. 물품 길이 계측 센서(34)는 복수의 단광축 광전 센서를 직렬 접속하여 다광축화한 센서이다. 물품 길이 계측 센서(34)는 상류측 컨베이어(33A)의 상방에서 상류측 컨베이어(33A)의 반송면과 평행하게, 상류측 컨베이어(33A)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복수의 단광축 광전 센서를 직렬로 배치함으로써 구성된다. 즉, 물품 길이 계측 센서(34)는 그 검출 가능 범위가 상류측 컨베이어(33A)의 폭방향(상류측 컨베이어(33A)의 반송면과 평행한 면에 있어서, 상류측 컨베이어(33A)가 물품(90)을 반송하는 방향(물품(90)의 반송방향(H))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물품 길이 계측 센서(34)는 통괄 컨트롤러(80)에 접속되어 있다. 물품 길이 계측 센서(34)는 상류측 컨베이어(33A)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을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통괄 컨트롤러(80)에 송신한다. 통괄 컨트롤러(80)는 상류측 컨베이어(33A)의 반송 속도와, 물품 길이 계측 센서(34)가 물품(90)의 검출을 개시(ON)하고나서 종료(OFF)할 때까지의 시간에 의거하여 물품(90)의 반송방향(H)의 길이(L)를 계측한다. 또한 통괄 컨트롤러(80)는 상류측 컨베이어(33A)의 반송 속도와, 물품 길이 계측 센서(34)가 하류측의 물품(90)의 검출을 개시(ON)하고나서 상류측의 물품(90)의 검출을 개시(ON)할 때까지의 시간에 의거하여 상류측의 물품(90)과 하류측의 물품(90) 사이의 물품 선단 피치(N1)를 계측한다. 또한, 통괄 컨트롤러(80)는 물품 길이 계측 센서(34)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광축 광전 센서 중 물품(90)을 검출한 단광축 광전 센서의 검출 신호(물품(90)을 검출한 단광축 광전 센서의 수)에 의거하여 물품(90)의 폭방향의 길이(W)를 계측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투출 컨베이어(35)는 제 1 반송 경로(K1)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컨베이어이다. 투출 컨베이어(35)는 그 상류측이 물품 선단 피치 생성 컨베이어(33)의 하류측 컨베이어(33B)와 연결되어 있다. 투출 컨베이어(35)는 그 하류측이 제 2 컨베이어 장치(32)의 수취 컨베이어(36)를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투출 컨베이어(35)는 그 반송면이 수취 컨베이어(36)의 반송면보다 상방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투출 컨베이어(35)는 물품(90)을 수취 컨베이어(36)에 낙하시키도록 투출한다. 투출 컨베이어(35)는 하류측 컨베이어(33B)로부터 송출된 물품(90)을 반송하고, 반송한 물품(90)을 최하류 위치에 있어서 수취 컨베이어(36)를 향해서 투출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제 2 컨베이어 장치(32)는 제 2 반송 경로(K2)의 상류측에 있어서 제 1 컨베이어 장치(31)로부터 투입되는 물품(90)을 수용하고, 수용한 물품(90)을 제 2 반송 경로(K2)의 최하류 위치인 물품 투입 위치(T)에 있어서 주 컨베이어 장치(20)의 대차(22)에 투입한다. 제 2 컨베이어 장치(32)는 제 2 반송 경로(K2)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따라 물품(90)이 이동하는 순으로 수취 컨베이어(36), 업로딩 컨베이어(37), 동기 컨베이어(38), 투입 컨베이어(39)의 순으로 배치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제 2 컨베이어 장치(32)의 각 컨베이어(수취 컨베이어(36), 업로딩 컨베이어(37), 동기 컨베이어(38), 투입 컨베이어(39))는 제 2 컨베이어 장치(32) 전체를 제어하는 통괄 컨트롤러(80)에 접속되고, 통괄 컨트롤러(80)에 의해 제어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수취 컨베이어(36)는 제 2 반송 경로(K2)의 최상류측에 배치된다. 수취 컨베이어(36)는 제 1 컨베이어 장치(31)(투출 컨베이어(35))부터 투입되는 물품(90)을 수용하고, 수용한 물품(90)을 수용한 상태 그대로 하류측의 업로딩 컨베이어(37)에 반송한다.
업로딩 컨베이어(37)는 수취 컨베이어(36)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을 하류측의 동기 컨베이어(38)에 반송한다.
동기 컨베이어(38)는 업로딩 컨베이어(37)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을 주 컨베이어 장치(20)의 대차(22)의 주행과 동기시켜서 이동시킨다. 동기 컨베이어(38)는 복수의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고, 제 2 반송 경로(K2)를 따라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다.
투입 컨베이어(39)는 제 2 반송 경로(K)의 최하류측에 배치된다. 투입 컨베이어(39)는 동기 컨베이어(38)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을 주 컨베이어 장치(20)의 대차(22)에 투입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수취 컨베이어(36)와 업로딩 컨베이어(37)의 연결부에는 물품형상 계측 센서(40)가 설치되어 있다. 물품형상 계측 센서(40)는 수취 컨베이어(36) 및 업로딩 컨베이어(37)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광축 광전 센서이다. 물품형상 계측 센서(40)는 통괄 컨트롤러(80)에 접속되어 있다. 물품형상 계측 센서(40)는 수취 컨베이어(36)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을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통괄 컨트롤러(80)에 송신한다. 통괄 컨트롤러(80)는 물품형상 계측 센서(40)로부터 송신되는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물품(90)의 형상(물품(90)의 반송방향(H)의 길이(L), 물품(90)의 폭방향의 길이(W)), 물품(90)의 중심, 수취 컨베이어(36)(업로딩 컨베이어(37))에 의한 물품(90)의 반송방향(H)에 대한 물품(90)의 경사를 계측한다. 또한 통괄 컨트롤러(80)는 물품형상 계측 센서(40)로부터 송신되는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투입 컨베이어(39)에 있어서 물품(90)을 투입하는 주 컨베이어 장치(20)의 대차(22)를 검색해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물품형상 계측 센서(40)가 수취 컨베이어(36)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의 검출을 개시(ON)하면(물품(90)의 반송방향(H)의 선단이 물품형상 계측 센서(40)에 의해 검출되면), 통괄 컨트롤러(80)는 물품형상 계측 센서(40)로부터 송신되는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투입 컨베이어(39)에 있어서 물품(90)을 투입해야 할 대차(22)를 검색한다. 또한, 물품형상 계측 센서(40)가 상기 물품(90)의 검출을 종료(OFF)하면(물품(90)이 물품형상 계측 센서(40)를 통과하면), 투입 컨베이어(39)에 있어서 물품(90)을 투입해야 할 대차(22)가 통괄 컨트롤러(80)에 의해 결정된다.
복수의 동기 컨베이어(38) 중 최하류측에 설치되는 동기 컨베이어(38)에는 물품 어긋남 체크 센서(41)가 설치되어 있다. 물품 어긋남 체크 센서(41)는 동기 컨베이어(38)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광축 광전 센서이다. 물품 어긋남 체크 센서(41)는 통괄 컨트롤러(80)에 접속되어 있다. 물품 어긋남 체크 센서(41)는 동기 컨베이어(38)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을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통괄 컨트롤러(80)에 송신한다. 통괄 컨트롤러(80)는 물품 어긋남 체크 센서(41)로부터 송신되는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물품 어긋남 체크 센서(41)가 검출한 물품(90)이 물품형상 계측 센서(40)의 통과시에 결정된 대차(22)에 투입 가능한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슈트(50)는 대차(22)로부터 인출되는 물품(90)을 수용하고, 수용한 물품(90)을 하류의 별도 설비(예를 들면 출하 설비) 또는 직접 차량(예를 들면 트럭) 등에 반송한다. 슈트(50)는 반송 경로(K)를 따라 복수개(도 1에서는 3개) 설치되어 있다. 슈트(50)는 각각의 슈트(50)마다 미리 결정된 물품(90)을 대차(22)로부터 수용한다. 슈트(50)는 철판 등의 판상부재, 롤러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등을 조합해서 구성된다. 슈트(50)는 주 컨베이어 장치(20)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경사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인덕션 컨베이어(30)(제 1 컨베이어 장치(31) 및 제 2 컨베이어 장치(32))에 있어서의 물품(90)의 반송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 1 컨베이어 장치(31)에 있어서의 물품(90)의 반송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컨베이어 장치(31)에서는 공급 컨베이어(95)로부터 물품 선단 피치 생성 컨베이어(33)에 물품(90)이 공급된다. 공급된 물품(90)은 인접하는 하류측의 물품(90)과의 물품 선단 피치(N1)를 소정의 물품 선단 피치 이상으로 조정된 후에, 물품 선단 피치 생성 컨베이어(33)로부터 투출 컨베이어(35)로 송출된다.
도 5에 나타내듯이, 물품 선단 피치 생성 컨베이어(33)에서는 하류측 컨베이어(33B)가 공급 컨베이어(95)로부터 연속해서 공급되는 2개의 물품(90(90A, 90B)) 중 제 1 반송 경로(K1)의 상류측(물품(90)의 반송방향(H)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물품(90(90A))을 투출 컨베이어(35)에 송출하는 타이밍(반송 속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2개의 물품(90(90A, 90B))간의 물품 선단 피치(N1)를 조정한다. 하류측 컨베이어(33B)는 상류측 컨베이어(33A)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상류측의 물품(90A))과, 상기 상류측의 물품(90A)에 인접해서 반송되는 물품(90)이며 하류측 컨베이어(33B)에 의해 투출 컨베이어(35)에 송출된 하류측의 물품(90B) 사이의 물품 선단 피치(N1)가 필요 물품 선단 피치 이상인지의 여부에 의해 상기 상류측의 물품(90)을 투출 컨베이어(35)에 송출하는 타이밍(반송 속도)이 제어된다. 여기에서, 필요 물품 선단 피치란 물품(90)을 제 2 컨베이어 장치(32)(투입 컨베이어(39))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대차(22)에 대해서 확실하게 투입하기 위해서 필요한 2개의 물품(90(90A, 90B))간의 물품 선단 피치이며, 상기 상류측의 물품(90A)의 길이(L1)(물품(90)의 반송방향(H)의 길이)와 상기 하류측의 물품(90B)의 길이(L2)(물품(90)의 반송방향(H)의 길이)의 차, 상기 상류측의 물품(90A)의 폭방향의 길이(W)와 상기 하류측의 물품(90B)의 폭방향의 길이(W)의 차, 물품 선단 피치 생성 컨베이어(33)의 반송 속도, 투출 컨베이어(35)의 반송 속도, 및 인덕션 컨베이어(30)의 처리 능력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상류측의 물품(90)의 전방측 가장자리 단부와 하류측의 물품(90)의 전방측 가장자리 단부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필요 물품 선단 피치를 상기 상류측의 물품(90A)의 길이(L1)와 상기 하류측의 물품(90B)의 길이(L2)의 차, 및 상기 상류측의 물품(90A)의 폭방향의 길이(W)와 상기 하류측의 물품(90B)의 폭방향의 길이(W)의 차에 의거하여 산출함으로써, 즉, 필요 물품 선단 피치를 물품(90)의 반송방향(H)의 길이(L) 및 물품(90)의 폭방향의 길이(W)에 의거하여 산출함으로써, 제 1 컨베이어 장치(31)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의 사이즈에 따른 필요 물품 선단 피치를 보다 정밀도 좋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필요 물품 선단 피치 및 물품 선단 피치(N1)에 의거하여 제어되는, 하류측 컨베이어(33B)로부터 투출 컨베이어(35)에 상류측의 물품(90A)을 송출하는 타이밍(반송 속도)을 보다 정밀도 좋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인덕션 컨베이어(30)에서는 물품(90)이 제 1 컨베이어 장치(31)로부터 제 2 컨베이어 장치(32)로 이동함으로써 물품(90)의 반송방향(H)이 변화된다. 즉, 물품(90)의 반송방향(H)에 대해서 물품(90)의 방향이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물품(90)의 반송방향(H)은 반송 경로(K)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반송 경로(K) 상의 대차(22)의 주행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따른 경사방향으로부터 반송 경로(K)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를 갖는 방향으로 변화된다. 이 때문에, 인접해서 반송되는 2개의 물품(90)간의 간격의 제어를 물품 선단 피치(N1)에 의한 제어로부터 물품 중심 피치(N2)에 의한 제어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물품 중심 피치(N2)란 제 2 반송 경로(K2)를 따라 서로 인접해서 반송되는 2개의 물품(90(90A, 90B))에 있어서, 제 2 반송 경로(K2)의 상류측(물품(90)의 반송방향(H)에 있어서의 후방측)의 물품(90A)의 중심위치(G1)와, 하류측(물품(90)의 반송방향(H)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물품(90B)의 중심위치(G2)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또한, 인덕션 컨베이어(30)에서는 물품(90)은 제 1 컨베이어 장치(31)로부터 제 2 컨베이어 장치(32)로 이동할 때에, 제 1 컨베이어 장치(31)(투출 컨베이어(35))부터 제 2 컨베이어 장치(32)(수취 컨베이어(36))를 향해서 낙하하도록 투출된다. 이 때문에, 물품(90)의 형상(물품(90)의 길이방향의 길이, 물품(90)의 폭방향의 길이)에 의해, 투출 컨베이어(35)로부터 수취 컨베이어(36)에 낙하하는 위치(적재되는 위치)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물품(90)의 형상(크기)이 큰 경우에는 물품(90)은 수취 컨베이어(36)의 폭방향의 중앙위치 부근에 낙하하고(예를 들면 도 6의 물품(90A, 90B)), 물품(90)의 형상(크기)이 작은 경우에는 물품(90)은 수취 컨베이어(36)의 폭방향의 투출 컨베이어(35)측의 단부위치 부근에 낙하한다(예를 들면 도 6의 물품(90C, 90D)).
이 때문에, 형상(크기)이 크게 다른 복수의 물품(90)을 상기 형상(크기)의 차를 고려하지 않고 일정한 물품 선단 피치(인접해서 반송되는 2개의 물품(90) 중 반송방향(H)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물품(90)의 전방측 끝가장자리부와, 물품(90)의 반송방향(H)에 있어서의 후방측의 물품(90)의 전방측 끝가장자리부 사이의 거리)로 제 1 컨베이어 장치(31) 상을 연속해서 반송시키면, 제 2 반송 경로(K2) 상에서의 물품(90)간의 물품 중심 피치(N2)가 같은 정도의 형상(크기)의 복수의 물품(90)을 연속해서 반송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크게 불균일해진다. 특히, 형상(크기)이 큰 물품(90(90A))의 뒤에 형상(크기)이 작은 물품(90(90C))을 연속해서 반송한 경우에는 제 2 반송 경로(K2) 상에서의 물품(90)간의 물품 중심 피치(N2)가 같은 정도의 형상(크기)의 물품(90)(물품(90A, 90B))을 연속해서 반송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극단적으로 짧아진다. 이 때문에, 물품(90)간의 물품 중심 피치(N2)의 변화에 맞춰 제 2 컨베이어 장치의 투입 컨베이어(39)로부터 물품(90)을 대차(22)에 투입하는 타이밍을 순차 변경할 필요가 있고, 제 2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복잡한 제어를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점에서, 인덕션 컨베이어(30)에서는 제 1 컨베이어 장치(31)(하류측 컨베이어(33B))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물품(90)의 형상(크기)을 고려해서 물품 선단 피치(N1)를 조정함(필요 물품 선단 피치로 조정함)으로써, 제 2 반송 경로(K2) 상을 이동하는 물품(90)간의 물품 중심 피치(N2)가 소정의 물품 중심 피치 이상이 되도록 제어하고 있다. 특히, 제 2 반송 경로(K2) 상에서의 물품(90)간의 물품 중심 피치(N2)를 필요 최저 피치이며 또한 일정 간격으로 함으로써 주 컨베이어 장치(20)의 반송 능력(반송 속도)을 떨어뜨리지 않고, 인덕션 컨베이어(30)가 물품(90)을 대상의 대차(22)(벨트 컨베이어(24))에 확실하게 투입할 수 있으므로, 제 2 반송 경로(K2) 상에서의 물품(90)간의 물품 중심 피치(N2)를 필요 최저 피치이며 또한 일정 간격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듯이, 상류측 컨베이어(33A)에 의해 반송되는 상류측의 물품(90A)과, 상기 상류측의 물품(90A)에 인접해서 반송되는 물품(90)이며 하류측 컨베이어(33B)에 의해 투출 컨베이어(35)에 송출된 하류측의 물품(90B) 사이의 물품 선단 피치(N1)가 소정의 물품 선단 피치(필요 물품 선단 피치) 이상인 경우에는 하류측 컨베이어(33B)는 그대로의 구동으로 상기 상류측의 물품(90A)을 반송한다. 한편, 물품 선단 피치(N1)가 필요 물품 선단 피치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하류측 컨베이어(33B)는 그 구동을 일단 정지해서 상기 상류측의 물품(90A)의 반송을 중지함으로써 물품 선단 피치(N1)를 필요 물품 선단 피치 이상으로 한다.
또한, 인덕션 컨베이어(30)에서는 하류측 컨베이어(33B)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물품(90)의 형상(크기)을 고려해서 물품 선단 피치(N1)를 조정함(필요 물품 선단 피치로 조정함)으로써, 투출 컨베이어(35)가 수취 컨베이어(36)(제 2 반송 경로(K2) 상)에 물품(90)을 투입하는 타이밍을 제어하고 있다. 여기에서, 수취 컨베이어(36)에 투입된 물품(90)은 소정의 반송 속도로 최하류의 투입 컨베이어(39)까지 반송되므로, 상기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수취 컨베이어(36)에 투입된 물품(90)이 최하류의 투입 컨베이어(39)에 도달하는 타이밍을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물품(90)이 제 2 컨베이어 장치(32)(투입 컨베이어(39))에 의해 물품 투입 위치(T)에 투입되는 타이밍을 미리 조절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하류측 컨베이어(33B)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물품(90)의 형상(크기)을 고려해서 물품 선단 피치(N1)를 조정함(필요 물품 선단 피치로 조정함)으로써, 대상으로 하는 물품(90)을 투입해야 할 대차(22)(벨트 컨베이어(24))가 물품 투입 위치(T)(투입 컨베이어(39)가 물품(90)을 반송 경로(K) 상에 투입하는 위치)에 도달하는 타이밍에서, 물품(90)을 물품 투입 위치(T)에 도달시키도록 물품(90)의 반송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 물품 선단 피치가 물품(90)의 반송방향(H)의 길이(L) 및 물품(90)의 폭방향의 길이(W)에 의거하여 보다 정밀도 좋게 산출되는 점에서, 투출 컨베이어(35)가 수취 컨베이어(36)(제 2 반송 경로(K2) 상)에 물품(90)을 투입하는 타이밍을 제 1 컨베이어 장치(31)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의 사이즈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음에 제 2 컨베이어 장치(32)에 있어서의 물품(90)의 반송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컨베이어 장치(32)에서는 제 1 컨베이어 장치(31)의 투출 컨베이어(35)로부터 투출된 물품(90)을 수취 컨베이어(36)에서 수용하고, 수용한 물품(90)을 최하류의 투입 컨베이어(39)까지 반송해서 대차(22)에 투입한다.
수취 컨베이어(36)에서 수용한 물품(90)은 물품형상 계측 센서(40)에 의해 검출됨으로써 투입 대상이 되는 대차(22)(벨트 컨베이어(24))가 할당된다. 대차(22)가 할당된 물품(90)은 할당된 대차(22)의 주행과 동기해서 이동하도록 동기 컨베이어(38)에 의해 반송된다. 그리고, 동기 컨베이어(38)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은 물품 어긋남 체크 센서(41)에 의해 검출됨으로써 투입 대상의 대차(22)(벨트 컨베이어(24))와의 동기의 어긋남이 검출된다. 여기에서, 물품 어긋남 체크 센서(41)가 투입 대상의 대차(22)(벨트 컨베이어(24))와의 동기의 어긋남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즉, 투입 대상의 대차(22)(벨트 컨베이어(24))에 물품(90)을 투입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최하류측의 동기 컨베이어(38)는 물품(90)을 그대로 투입 컨베이어(39)에 송출한다. 한편, 물품 어긋남 체크 센서(41)가 투입 대상의 대차(22)(벨트 컨베이어(24))와의 동기의 어긋남을 검출한 경우, 즉, 투입 대상의 대차(22)(벨트 컨베이어(24))에 물품(90)을 투입 불능이다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최하류측의 동기 컨베이어(38)는 물품(90)을 일단 정지시키거나, 또는 물품(90)의 반송 속도를 감속해서 투입 대상의 대차(22)(벨트 컨베이어(24))와의 동기의 어긋남을 보정해서 투입 컨베이어(39)에 송출한다.
이상과 같이, 하류측 컨베이어(33B)에 있어서, 2개의 물품(90)간의 물품 선단 피치(N1)를 조정해서 투출 컨베이어(35)가 수취 컨베이어(36)에 물품(90)을 투입하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물품(90)이 투입 컨베이어(39)에 의해 물품 투입 위치(T)에 투입되는 타이밍을 제어한다. 그리고, 하류측 컨베이어(33B)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이 제어되어서 동기 컨베이어(38)까지 반송된 물품(90)과, 상기 물품(90)을 투입하는 대상의 대차(22)(벨트 컨베이어(24)) 사이에 동기의 어긋남이 생기고 있는 경우에는 동기 컨베이어(38)에 있어서 그 동기의 어긋남을 보정한 후, 상기 물품(90)을 투입 컨베이어(39)까지 반송한다.
투입 컨베이어(39)는 동기 컨베이어(38)로부터 송출된 물품(90)을 반송 경로(K)를 따라 주행하는 복수의 대차(22)(벨트 컨베이어(24)) 중 소정 수의 대차(22)(벨트 컨베이어(24)) 간격으로 투입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듯이, 3개의 인덕션 컨베이어(30)를 사용해서 물품(90)을 투입할 경우에는 반송 경로(K)를 따라 주행하는 대차(22)를 3대씩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분류한 3대의 대차(22) 중 선두를 주행하는 대차(22)에 대해서, 3개의 인덕션 컨베이어(30) 중 최상류측의 인덕션 컨베이어(30)의 투입 컨베이어(39)로부터 물품(90)을 투입한다. 계속해서, 분류한 3대의 대차(22) 중 중앙을 주행하는 대차(22)에 대해서, 3개의 인덕션 컨베이어(30) 중 중앙의 인덕션 컨베이어(30)의 투입 컨베이어(39)로부터 물품(90)을 투입한다. 더 계속해서, 분류한 3대의 대차(22) 중 최후미를 주행하는 대차(22)에 대해서 3개의 인덕션 컨베이어(30) 중 최하류측의 인덕션 컨베이어(30)의 투입 컨베이어(39)로부터 물품(90)을 투입한다. 즉, 인덕션 컨베이어(30)는 3대의 대차(22) 간격으로 물품(90)을 투입 컨베이어(39)로부터 투입한다.
한편, 투입 컨베이어(39)는 제 1 컨베이어 장치(31)에 의해 결정된 물품(90)을 투입해야 할 대차(22)(벨트 컨베이어(24))에 대해서 물품(90)을 투입할 수 없는 경우에는 물품(90)을 투입해야 할 대차(22)(벨트 컨베이어(24))가 물품 투입 위치(T)를 통과하고나서 소정 대수 후방의 대차(22)(벨트 컨베이어(24))에 대해서 물품(90)을 투입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3대의 대차(22) 간격으로 물품(90)을 투입 컨베이어(39)로부터 투입할 경우이며, 또한, 투입해야 할 대차(22)에 대해서 물품(90)을 투입할 수 없는 경우에는 투입 컨베이어(39)는 투입해야 할 대차(22)가 물품 투입 위치(T)를 통과하고나서 3대 후방의 대차(22)에 대해서 물품(90)을 투입한다. 즉, 투입 컨베이어(39)는 물품(90)을 투입하는 대차(22)의 그룹 단위당 대수(상기 예이면 3대)를 변경하지 않고, 물품(90)을 투입하는 대차(22)의 그룹을 1개 건너 뛰어서 다음 그룹의 대차(22)에 투입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대차(22)(벨트 컨베이어(24))에 대해서 물품(90)을 투입하는 제 2 반송 경로(K2)(제 2 컨베이어 장치(32))와는 다른 제 1 반송 경로(K1)(제 1 컨베이어 장치(31))에 있어서, 물품(90)이 제 2 컨베이어 장치(32)에 의해 물품 투입 위치(T)에 투입되는 타이밍이 미리 조절된다. 또한, 대차(22)(벨트 컨베이어(24))에 대해서 물품(90)을 투입하기 직전의 제 2 반송 경로(K2)(제 2 컨베이어 장치(32))에 있어서, 벨트 컨베이어(24)에의 물품(90)의 투입시에 있어서의 벨트 컨베이어(24) 상에서의 물품(90)의 적재 위치가 조정된다. 그 때문에 물품(90)의 형상(크기)의 대소에 상관없이, 주 컨베이어 장치(20)의 반송 능력(반송 속도)에 맞춰서 제 2 반송 경로(K2)(제 2 컨베이어 장치(32))에서의 물품(90)의 반송을 제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주 컨베이어 장치(20)의 반송 능력(반송 속도)을 떨어뜨리지 않고, 인덕션 컨베이어(30)가 형상(크기)이 다른 물품(90)을 연속해서 대상의 대차(22)(벨트 컨베이어(24))에 확실하게 투입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 컨베이어 장치(20)(대차(22))에 있어서의 물품 지지체를 벨트 컨베이어(24)(자신 구동의 크로스 벨트식)에 의해 구성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품(90)을 적재해서 지지 가능한 구성이면, 예를 들면 트레이(자신 비구동의 틸트 트레이식)에 의해 구성해도 상관없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괄 컨트롤러(80)가 제 1 컨베이어 장치(31) 전체 및 제 2 컨베이어 장치(32) 전체를 제어하고 있지만, 이러한 제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제 1 컨베이어 장치(31) 및 제 2 컨베이어 장치(32)를 각각 개별의 컨트롤러로 제어(예를 들면 제 1 컨베이어 장치(31)를 제 1 컨트롤러가 제어하고, 제 2 컨베이어 장치(32)를 제 2 컨트롤러가 제어)하고, 상기 개별의 컨트롤러(제 1 컨트롤러 및 제 2 컨트롤러)를 통괄 컨트롤러(80)가 통괄해서 제어하는 제어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투출 컨베이어(35)가 수취 컨베이어(36)(제 2 반송 경로(K2) 상)에 물품(90)을 투입하는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해서 산출되는 필요 물품 선단 피치를 물품(90)의 반송방향(H)의 길이(L) 및 물품(90)의 폭방향의 길이(W)에 의거하여 산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 물품 선단 피치를 물품(90)의 폭방향의 길이(W)를 고려하지 않고, 물품(90)의 반송방향(H)의 길이(L)에 의거하여 산출해도 상관없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물품 길이 계측 센서(34)를 복수의 단광축 광전 센서를 직렬 접속하고 다광축화한 센서에 의해 구성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광축 광전 센서에 의해 구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물품(90)의 반송방향(H)의 길이(L) 및 물품(90)의 폭방향의 길이(W)를 검출 가능한 센서이면, 물품 길이 계측 센서(34)를 예를 들면 레이저 센서 등에 의해 구성해도 상관없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물품형상 계측 센서(40) 및 물품 어긋남 체크 센서(41)를 다광축 광전 센서에 의해 구성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단광축 광전 센서를 직렬 접속하고 다광축화한 센서에 의해 구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물품(90)의 반송방향(H)의 길이(L) 및 물품(90)의 폭방향의 길이(W)를 검출 가능한 센서이면, 물품형상 계측 센서(40) 및 물품 어긋남 체크 센서(41)를 예를 들면 레이저 센서 등에 의해 구성해도 상관없다.
10: 물품 반송 설비
20: 주 컨베이어 장치
23: 대차 본체(주행 유닛)
24: 벨트 컨베이어(물품 지지체)
30: 인덕션 컨베이어(물품 투입 장치)
31: 제 1 컨베이어 장치
32: 제 2 컨베이어 장치
90: 물품
K: 반송 경로
K1: 제 1 반송 경로
K2: 제 2 반송 경로
T: 물품 투입 위치

Claims (7)

  1. 물품을 소정의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주 컨베이어 장치와, 상기 반송 경로 상에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물품 투입 장치를 구비하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주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물품을 적재해서 지지하는 물품 지지체와,
    상기 물품 지지체를 상기 물품의 반송방향을 따라 주행시키는 주행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물품 투입 장치는,
    제 1 반송 경로를 따라 상기 물품을 반송하고, 상기 반송 경로와 합류하는 제 2 반송 경로 상에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제 1 컨베이어 장치와,
    상기 반송 경로 상에 설정되는 물품 투입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치되고,
    상기 제 1 반송 경로와 합류하는 상기 제 2 반송 경로를 따라 상기 물품을 반송하고,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상기 물품 지지체에 대해서 상기 물품 투입 위치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제 2 컨베이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제 2 컨베이어 장치에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물품이 상기 제 2 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상기 물품 투입 위치에 투입되는 타이밍을 조절하고,
    상기 제 2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물품 지지체에 대해서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물품 지지체에의 상기 물품의 투입시에 있어서의 상기 물품 지지체 상에서의 상기 물품의 적재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제 1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상기 물품의 반송방향의 길이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반송 경로 상에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제 1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상기 물품의 폭방향의 길이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반송 경로 상에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제 1 반송 경로를 따라 서로 인접해서 반송되는 2개의 물품에 있어서의 반송방향의 길이의 차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반송 경로 상에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제 1 반송 경로를 따라 서로 인접해서 반송되는 2개의 물품에 있어서의 반송방향의 길이의 차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2개의 물품간의 피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투입 장치는,
    상기 반송 경로 상에 설정되는 복수의 물품 투입 위치의 각각에 대응시켜서 설치되고,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복수의 물품 지지체 중 소정 수의 물품 지지체 간격으로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제 1 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결정된 상기 물품을 투입해야 할 물품 지지체에 대해서 상기 물품을 투입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물품을 투입해야 할 물품 지지체가 상기 물품 투입 위치를 통과하고나서 상기 소정 수 후방의 물품 지지체에 대해서 상기 물품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KR1020217021403A 2019-01-23 2019-11-21 물품 반송 설비 KR102709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08867 2019-01-23
JP2019008867A JP7077975B2 (ja) 2019-01-23 2019-01-23 物品搬送設備
PCT/JP2019/045671 WO2020152966A1 (ja) 2019-01-23 2019-11-21 物品搬送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944A KR20210114944A (ko) 2021-09-24
KR102709733B1 true KR102709733B1 (ko) 2024-09-26

Family

ID=7173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403A KR102709733B1 (ko) 2019-01-23 2019-11-21 물품 반송 설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95013B2 (ko)
EP (1) EP3915906A4 (ko)
JP (1) JP7077975B2 (ko)
KR (1) KR102709733B1 (ko)
CN (1) CN113286754B (ko)
TW (1) TWI824073B (ko)
WO (1) WO2020152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6068A1 (en) * 2021-05-20 2022-11-24 Material Handling Systems, Inc. Trapdoor rejection subsystem for a conveyor system
JP2023060536A (ja) * 2021-10-18 2023-04-28 株式会社京都製作所 物品送出装置
CH719300A1 (de) * 2021-12-22 2023-06-30 Fer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hasengenauen Übergeben von Stückgu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817A (ja) 1998-12-22 2000-07-04 Sandvik Sorting System Kk 物品仕分け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4011A (en) * 1981-05-06 1982-11-12 Okura Yusoki Co Ltd Convey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5135102A (en) 1989-09-19 1992-08-04 Quipp, Incorporated Sorting conveyor
JPH0764409B2 (ja) * 1989-11-14 1995-07-12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コンベヤ装置
JP3386881B2 (ja) * 1994-03-31 2003-03-17 三機工業株式会社 仕分け装置におけるインダクション部の投入装置
EP0811567B1 (en) * 1994-09-06 1999-08-18 MANNESMANN Aktiengesellschaft Crossbelt sortation system
JPH10139130A (ja) * 1996-09-10 1998-05-26 Toyo Kanetsu Kk 導入装置
WO2000032502A1 (en) 1998-12-01 2000-06-08 Crisplant A/S A conveyor/sorter system, a loading conveyor and a control system for such conveyors
US6513641B1 (en) 1999-10-12 2003-02-04 Rapistan Systems Advertising Corp. High rate induction system
DE10049100A1 (de) * 2000-09-27 2002-04-18 Siemens Ag Einschleuseeinrichtung mit Pufferfunktion für eine Stückgutsortieranlage
JP4048029B2 (ja) 2001-02-02 2008-02-1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の合流制御方法
US6889814B2 (en) * 2001-05-30 2005-05-10 Rapistan Systems Advertising Corp. Article sortation system
JP2003264216A (ja) 2002-03-08 2003-09-19 Murata Mach Ltd 搬送システム
KR200334924Y1 (ko) * 2003-05-06 2003-12-01 포철산기(주) 수하물 분리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CA2844967C (en) 2007-09-07 2016-02-02 Dematic Corp. Conveyor systems
JP2012035958A (ja) 2010-08-05 2012-02-2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ストック装置
FR3011537B1 (fr) * 2013-10-08 2016-01-01 Cinetic Sorting S P A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triage des bagages, capable de traiter des produits peu stables et de formes irregulieres
KR20150142923A (ko) 2014-06-12 2015-12-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포 인입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044056A (ja) * 2014-08-25 2016-04-04 株式会社東芝 物品仕分装置
KR101644077B1 (ko) * 2014-12-22 2016-07-2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물품 자동 분류시스템의 인덕션-캐리어 실시간 동기제어방법
FR3035865B1 (fr) 2015-05-07 2019-09-06 C.E.R.M.E.X. Constructions Etudes Et Recherches De Materiels Pour L'emballage D'expedition Alimentation controlee pour solution de conditionnement par lots
CN108974877A (zh) * 2018-06-26 2018-12-11 应剑军 一种包装机械的定位等距入料装置
US10569959B1 (en) * 2018-06-29 2020-02-25 Amazon Technologies, Inc. Sensor array to transfer an item based on alignment
US10689200B1 (en) * 2018-09-28 2020-06-23 Amazon Technologies, Inc. Sorting system that transfers payloads from a conveyor system onto mobile drive units without the conveyor system knowing destinations of the mobile drive uni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817A (ja) 1998-12-22 2000-07-04 Sandvik Sorting System Kk 物品仕分け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95013B2 (en) 2023-10-24
EP3915906A1 (en) 2021-12-01
TW202028085A (zh) 2020-08-01
CN113286754A (zh) 2021-08-20
KR20210114944A (ko) 2021-09-24
EP3915906A4 (en) 2023-01-04
WO2020152966A1 (ja) 2020-07-30
TWI824073B (zh) 2023-12-01
US20220089384A1 (en) 2022-03-24
CN113286754B (zh) 2023-01-17
JP2020117343A (ja) 2020-08-06
JP7077975B2 (ja)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09733B1 (ko) 물품 반송 설비
CN102774631B (zh) 用于偏转和对齐成件货物或物品的方法和设备
US9624043B2 (en) High rate bulk flow sortation
KR101901898B1 (ko) 우편물을 자동으로 구분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5436084B2 (ja) 搬送装置
JP2018150174A (ja) 嵩物を搬送するための搬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3086598B (zh) 分拣设备
JP5711011B2 (ja) 物品選別装置
CN113544036B (zh) 物品输送设备
JP3386881B2 (ja) 仕分け装置におけるインダクション部の投入装置
JP2014113528A (ja) 重量選別装置
JP7268609B2 (ja) 物品搬送設備
JP7184426B2 (ja) 搬送装置、搬送方法及び搬送制御プログラム
JP6166538B2 (ja) 搬送装置および物品の投入方法
JP2001019152A (ja) 搬送物品の合流装置
US20120067694A1 (en) Product redistribution apparatus
KR20150142994A (ko) 과일 선별장치
NL2024890B1 (en) System for transporting and delivering piece goods.
KR20230088152A (ko) 데이터 트래킹 동기화를 이용한 화물 분류 장치
KR20170021049A (ko) 과일 적재용 트레이 이송장치
JP2017043483A (ja) 整列システム
KR20230104865A (ko) 반송 설비
JP2022063972A (ja) 物品搬送設備
JP2001261116A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