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709712B1 - 유체 덕트 - Google Patents

유체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9712B1
KR102709712B1 KR1020207028925A KR20207028925A KR102709712B1 KR 102709712 B1 KR102709712 B1 KR 102709712B1 KR 1020207028925 A KR1020207028925 A KR 1020207028925A KR 20207028925 A KR20207028925 A KR 20207028925A KR 102709712 B1 KR102709712 B1 KR 102709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ows
fluid duct
convolutes
duct
convolu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8751A (ko
Inventor
미셸 씨 르노
Original Assignee
듀폰 폴리머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폰 폴리머스, 인크. filed Critical 듀폰 폴리머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13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9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97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02M35/10137Flexible ducts, e.g. bellows o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F16L1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with homogeneous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 F16L11/12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specially profiled cross s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덕트 채널을 둘러싸는 튜브형 베이스 벽(11)과, 튜브형 베이스 벽(11)의 구간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벨로우즈(10)를 포함하는 유체 덕트(2)가 본원에 제공된다. 벨로우즈(10)는 베이스 벽(11)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로파일부(14)를 갖는 복수의 컨벌루트(12)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컨벌루트(12)는 컨벌루트(12)의 제1 단부(22a)로부터 제2 단부(22b)까지 180° 내지 720°의 감김 각도(Ω)로 덕트 채널 주위에 감기고, 상기 제2 단부(22b)는 제1 단부(22a)로부터 영이 아닌 오프셋 거리(D)만큼 덕트 채널의 중심선(C)에 평행한 유동 방향(F)으로 오프셋된다.

Description

유체 덕트
본 발명은 가요성 유체 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거나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유체 덕트에 관한 것이다. 유체 덕트는 예를 들어 자동차 응용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자동차 응용 분야에 사용되는 유체 덕트는, 공기 덕트로서 공기의 유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액체 또는 가스 연료 및 다른 물질의 유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응용 분야에서, 덕트는 200℃를 초과할 수 있는 온도를 견뎌야 하며, 튜브 내의 상대 압력은 최대 3 bar일 수 있다.
자동차 응용 분야용 가요성 블로우 성형 중합체 튜브가 EP1295062에 제시된다. 가요성 튜브는 튜브에 약간의 굽힘 가요성을 제공하기 위해 벨로우즈를 포함한다. 굽힘 가요성은 열적 부하 및 기계적 부하로 인한 튜브의 응력과 모터 부품으로의 튜브 단부의 커플링의 응력을 저감한다. 그러나, 높은 굽힘 가요성을 제공하는 벨로우즈는 또한 유동 방향으로 튜브에 가요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터보 차저로부터의 가스 유동을 위해 엔진실에서 사용되는 덕트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이, 고온 및 고압 하에서, 가요성 튜브의 벨로우즈의 신장과 연관된 문제가 증가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종래의 벨로우즈는, 예를 들어, 튜브를 완전히 둘러싸지 않은 컨벌루트를 제공하거나 유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유동 방향으로 튜브를 강화하는 리브를 성형함으로써, 유동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강성인 구간을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굽힘 가요성이 최대인 평면의 양측의 방향으로의 굽힘 가요성을 감소시킨다. 엔진실에서 발견되는 덕트에 작용하는 다양한 열적 힘 및 기계적 힘으로 인해, 가요성이 최대인 평면을 벗어나 감소하는 튜브의 가요성은 가요성 튜브 내부 또는 커플링 단부에서 응력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열, 분리 또는 영구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더욱이, 튜브 강성 부분에 의해 야기되는 저감된 평면 외 굽힘 가요성은 또한 전체 덕트의 강성을 전반적으로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상보적 커플링 요소에 대한 조립을 더 어렵게 만든다. 예를 들어, 엔진실에서의 덕트의 조립 및 분해의 용이성은 다른 중요한 인자이다.
비용, 디자인, 레이아웃 및 중량을 이유로, 유체 덕트는 통상적으로 블로우 성형 중합체 재료로 형성된다. 가요성 튜브, 특히, 벨로우즈는 또한, 이러한 경우, 블로우 성형 주형 캐비티에서 쉽게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특히, 주형 캐비티로부터 블로우 성형 부품을 쉽게 해제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는 벨로우즈, 특히, 컨벌루트 및 강성 구간의 형상 및 위치에 대한 특정 제약을 일으킨다.
상술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에 있어 비용 효율적이고 유동 방향으로의 강성 및 굽힘 가요성의 높은 조합 인자를 갖는 유체 덕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유리하게는, 광범위한 각도에서 높은 굽힘 가요성을 갖는 유체 덕트를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블로우 성형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유체 덕트를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다목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컴팩트하고 강건한 유체 덕트를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부품으로의 장착 중 조립력을 줄이고 결합 단부 및 덕트 내에서 사용 중 응력을 줄이는 유체 덕트를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영구 변형 없이, 약 2 내지 4 bar의 상대 압력 및 최대 250℃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주로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거나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유체 덕트를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강하고 내구성이 있으면서 조립하기 쉬운 가스 덕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유체 덕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었다.
덕트 채널을 둘러싸는 튜브형 베이스 벽과, 튜브형 베이스 벽의 구간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벨로우즈를 포함하고, 벨로우즈는 베이스 벽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로파일부를 갖는 복수의 컨벌루트를 포함하는, 유체 덕트가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복수의 컨벌루트 중 하나 이상 또는 모두는 각각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180° 내지 720°로 덕트 채널 주위에 감기고, 상기 제2 단부는 제1 단부로부터 영이 아닌 오프셋 거리(D)만큼 덕트 채널의 중심선(C)에 평행한 유동 방향(F)으로 오프셋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유체 덕트는 벨로우즈 없는 적어도 하나의 비-벨로우즈 튜브 부분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벨로우즈를 갖는 복수의 벨로우즈를 포함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유체 덕트는 180° 내지 360°의 감김 각도(Ω)로 튜브형 구간 주위에 감기는 컨벌루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벨로우즈를 포함하고, 상기 컨벌루트는 컨벌루트 쌍이 반대 감김 방향으로 덕트 채널 주위에 감기도록 개재되는 컨벌루트 쌍으로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감김 각도(Ω)는 200° 내지 340°의 범위 내에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컨벌루트의 개재 쌍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벨로우즈는 유체 덕트의 직선 또는 실질적으로 직선 구간 상에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벨로우즈는 360° 내지 720°의 감김 각도로 덕트 채널 주위에 감기는 복수의 컨벌루트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감김 각도(Ω)는 380° 내지 560°의 범위 내에 있다.
실시예에서, 벨로우즈는 유체 덕트의 절곡 구간에 구비되고, 컨벌루트는 각각의 컨벌루트의 중첩 단부가 절곡 구간의 외반경 상에 구비되도록 배향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벨로우즈의 상기 컨벌루트는 병치 방식으로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병치 컨벌루트의 단부는 벨로우즈의 중심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가상선을 따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실시예에서, 병치 컨벌루트는 벨로우즈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회전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컨벌루트는 각각, 컨벌루트의 주요 길이의 폭(W) 및/또는 반경 방향 높이(H)보다 각각 작은 축 방향 폭(W') 및/또는 반경 방향 높이(H')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협소형 테이퍼를 구비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협소형 테이퍼는 컨벌루트의 경사 구간에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협소형 테이퍼는 컨벌루트의 단부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실시예에서, 협소형 테이퍼 구간은 컨벌루트의 단부 사이의 중간에 구비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컨벌루트의 프로파일부는 튜브형 베이스 벽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고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유체 덕트는 자동차 엔진실에서 유체 덕트로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유체 덕트는 블로우 성형되거나 압출된 중합체 부품이다.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장점 및 신규한 특징이 본원에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되며 청구범위의 일부를 형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 본 발명의 장점 및 본 발명의 사용에 의해 얻어지는 목적의 보다 양호한 이해를 위해, 본원의 추가적인 부분을 형성하는 도면을 참조하여야 하고, 본 발명의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있는 첨부된 설명 사항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을 예로서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덕트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덕트의 다른 예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덕트의 벨로우즈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화살표 III C 방향의 도면이다.
도 3d는 도 3c의 화살표 III D 방향의 도면이다.
도 3e 및 도 3f는 도 3c 및 도 3d의 벨로우즈의 컨벌루트의 형상을 각각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덕트의 벨로우즈의 절곡 구간의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a 및 도 4b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4d는 도 4a 내지 도 4c의 벨로우즈의 컨벌루트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3a 내지 도 3d와 유사하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3a 내지 도 3d와 유사하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4a 내지 도 4d와 유사하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유사한 참조 번호가 도면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구조에 지정되고, 특히,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덕트(2)는, 예를 들면, 다른 부품, 예를 들면, 자동차 연소 기관의 터보 차저의 가스 유동 시스템과 같은 가스 유동 시스템의 입구 및 출구로의 결합을 위한 연결 단부(4a, 4b)를 포함한다. 그러나, 유체 덕트는 자동차 응용 분야 및 비-자동차 응용 분야에서 다른 유체에 사용될 수 있다. 유체 덕트는 직선 구간(6) 및/또는 절곡 구간(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2b의 유체 덕트의 형상은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유체 덕트는 매우 다양한 형상, 길이, 직경, 절곡 구간의 개수 및 직선 구간의 개수를 가질 수 있고, 또한, 응용 분야에 따라, 기능적 또는 구조적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유체 덕트(2)는 그 내부에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덕트 채널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벨로우즈(10) 또는 비-벨로우즈 부분(9)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벨로우즈(10)를 포함한다. 비-벨로우즈 부분은, 예를 들어, 전반적으로 원통형인 튜브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벨로우즈(10)는, 예를 들어, 도 2a, 도 2b, 도 4a 내지 도 4d,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벨로우즈(10'')를 포함할 수 있거나, 예를 들면, 도 2a, 도 2b, 도 3a 내지 도 3d, 도 5a 내지 도 5d,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벨로우즈(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10)는 유체 덕트의 튜브형 베이스 벽(11)에 형성되는 복수의 컨벌루트(12)를 포함한다. 컨벌루트(12) 및 튜브형 베이스 벽(11)은 덕트 채널 주위에 감긴다. 도시된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형 베이스 벽(11)은 원통형이거나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튜브형 베이스 벽(11)은 난형(oval)(예를 들면, 타원형), 다각형 또는 불규칙적인 형상 등의 비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컨벌루트(12)는, 컨벌루트(12)의 감김 방향에 대한 직교 단면에서 볼 때, 볼록하고 만곡되거나 둥근, 예를 들어, 튜브형 베이스 벽(11)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직립하는 전반적으로 원통형인 볼록 프로파일부(14)를 포함하는 프로파일부(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벨로우즈(10)의 컨벌루트(12)는 튜브형 베이스 벽(11)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오목 프로파일부(14)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동일한 벨로우즈(10)에서 또는 유체 덕트(2)의 복수의 벨로우즈의 상이한 벨로우즈에서 볼록하고 오목한 컨벌루트(12)를 갖는 벨로우즈(10)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컨벌루트의 프로파일부(14)는 원통형 이외의 형상, 예를 들면, 타원형, 삼각형, 포물형 및 다양한 다른 프로파일부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벨로우즈(10)의 컨벌루트(12) 또는 유체 덕트(2)의 상이한 벨로우즈(10)의 컨벌루트(12)는 본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프로파일부(14)를 가질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의 유체 덕트(2)는, 연결 단부(4a, 4b)를 제외하고, 본질적으로 일정한 튜브형 베이스 벽 직경을 갖는 유체 덕트로서 도시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튜브형 베이스 벽(11)은 또한 유체 덕트(2)를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Y" 형상 유체 덕트 구간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이, 함께 병합되는 추가적인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체 유체 덕트(2)의 가요성은 외부 부품으로의 연결 단부(4a 및 4b)의 용이한 조립 및 결합을 허용하는 데에 중요할 수 있다. 자동차 응용 분야에서, 유체 덕트(2)는 종종, 부품 사이의 간격이 매우 작아 유체 덕트(2)의 조립 및 분해를 위한 접근을 어렵게 하는 엔진실 내에 위치된다. 덕트 중심선(C)을 중심으로 하는 광범위한 회전 각도에서의 유체 덕트(2)의 전체 가요성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도 1a, 도 1b, 도 2a, 도 2b의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벨로우즈(10)를 구비하는 유체 덕트(2)에서, 복수의 벨로우즈(10)는 각각 결합 단부(4a, 4b) 사이의 유체 덕트(2)의 전체 굽힘 가요성에 기여한다. 각각의 벨로우즈(10)가 중심선(C)을 중심으로 상이한 회전 각도로 큰 굽힘 가요성을 갖는 경우, 유체 덕트(2)의 전체 가요성이 또한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벨로우즈(10)의 컨벌루트(12)는 제1 단부(22a)로부터 함께 연결되지 않은 제2 단부(22b)까지 연장된다는 의미에서 비연속적이며, 이에 따라, 컨벌루트(12)는 180° 내지 720°의 각도(Ω)로 덕트 채널 주위에 감기는 전반적으로 나선형 형상을 가지며, 제1 및 제2 단부(22a, 22b)는 영이 아닌 축 방향 오프셋(D)만큼 유동 방향(F)으로 오프셋된다. 예를 들면, 도 3c 참조. 본원에 정의된 감김 각도(Ω)는 각도의 평면 투영으로 측정된다.
복수의 컨벌루트(12) 각각의 전반적인 나선형 형상 및 180° 내지 720°의 감김 각도(Ω)는 유리하게는 중심선(C)을 중심으로 하는 광범위한 각도에서 큰 굽힘 가요성을 제공하며, 또한, 연속적인 인접한 컨벌루트(12) 사이의 튜브 베이스 벽(11)의 연속적인 경로로 인해 유동 방향(F)(중심선(C)에 평행)으로의 신장에 대한 높은 강성을 확보한다. 각각의 컨벌루트(12)는 비연속적이기 때문에, 유동 방향(F)으로의 컨벌루트(12)의 신장은 상호 접합되는 튜브형 베이스 벽 부분(11)에 의해 제한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3a 내지 도 3f, 도 5a 내지 도 5d, 및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컨벌루트(12)는 180° 초과 및 36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40°의 범위의 각도(Ω)로 덕트 채널 주위에 감긴다. 컨벌루트는 개재 쌍(interleaving pairs)(12', 12'')으로 배열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인접한 컨벌루트는, 도 3e 및 도 3f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컨벌루트(12', 12'')가 개재되도록 반대 각도로 전반적인 나선형 형상을 갖는다(즉, 반대 방향으로 감김).
도 4a 내지 도 4d,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벨로우즈(10)의 실시예에서, 컨벌루트(12)는 360° 초과 및 600° 미만의 각도(Ω)로 덕트 채널의 주위에 감겨, 단부(23a, 23b)가 튜브 벽(11)의 둘레에서 서로 중첩된다. 각각의 컨벌루트(12)는, 바람직하게는, 380° 내지 560°의 범위 내인 감김 각도(Ω)를 갖는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벨로우즈(10)는 절곡부를 형성하는 만곡된 유체 덕트(2) 상에 제공되며, 컨벌루트(12)의 중첩 구간(23a, 23b)은 튜브 베이스 벽(11)의 외반경(R) 상에 구비된다.
360° 미만의 각도(Ω)로 덕트 채널 주위에 감긴 한 쌍의 개재 컨벌루트(12)는, 특히, 튜브의 직선 구간 또는 거의 직선 구간에 잘 적용되는 한편, 360° 초과의 각도(Ω)로 튜브 주위에 감긴 컨벌루트(12)를 갖는 벨로우즈(10)는 유체 덕트(2)의 절곡 구간에 잘 적용되지만, 둘 모두의 컨벌루트 변형예는, 중심선(C)을 중심으로 넓은 회전 각도에서 굽힘 가요성이 강화되고 중심선(C)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유동 방향(F)으로의 신장에 대한 강성이 높은 본 발명에 따른 장점을 제공하면서, 절곡 구간 또는 직선 구간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 도 4a 내지 도 4d,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d의 실시예에서, 도 3c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컨벌루트(12)의 프로파일부(14)는 튜브 베이스 벽(11)으로부터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반경 방향 높이(H) 및 실질적으로 일정한 축 방향 폭(W)을 갖는다. 축 방향 오프셋(D)을 제공하기 위해, 컨벌루트(12)는 하나 이상의 S-형상 만곡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컨벌루트(12)의 나머지 구간은 중심선(C)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연장될 수 있거나, S-절곡부(25)의 곡률을 저감하거나 제거하도록 중심선(C)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약간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특정 변형예에서, S-절곡부(25)는, 예를 들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은 테이퍼 구간(16)을 구비할 수 있다. 좁은 테이퍼 구간(16)은 컨벌루트(12)의 다른 부분의 축 방향 폭(W)보다 작은 축 방향 폭(W')을 갖고/갖거나, 예를 들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벌루트(12)의 다른 부분의 반경 방향 높이(H)보다 작은 반경 방향 높이(H')를 갖는다. 이는 유동 방향(F)으로의 신장을 방지하거나 저감하는 약간 더 큰 강성을 제공하며, 또한, 컨벌루트(12)의 중첩 단부(23a, 23b) 사이의 축 방향 오프셋(D)을 저감한다. 축 방향 오프셋(D)은, 예를 들면,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다. 따라서, 신장 강성을 실질적으로 저감하지 않고 굽힘 가요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인접한 컨벌루트(12)의 보다 컴팩트한 배치가 이 변형예에서 제공될 수 있다.
벨로우즈 구간(10)에서, 인접한 컨벌루트(12)의 단부(22a, 22b)는, 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6c,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중심선(C)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벌루트(12)는 중심선(C)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전되어, 단부(22a, 22b)가 덕트 채널 주위에 꼬인(즉, 감긴) 가상선과 정렬되도록 한다. 연속적인 컨벌루트(12)의 회전은 유리하게는, 컨벌루트(12)의 중첩 단부가 튜브형 베이스 벽(11)의 외반경(R) 상에 유지되도록, 유체 덕트(2)의 절곡 각도 가요성을 변경하고/하거나 덕트에서 2차원 또는 3차원 절곡 곡선을 따르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유체 덕트(2)는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지방족, 반(semi) 방향족, 블렌드), 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렌드), 폴리아세탈, 폴리올레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열가소성 가황물,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 및 블렌드와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로 형성된다.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엘라스토머(EPDM) 및 아크릴레이트 고무와 같은 고무도 사용될 수 있다. 공기 덕트는, 예를 들면, 블로우 성형 또는 다른 성형, 사출 성형 또는 압출(예를 들면, 주름 압출)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제조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체 덕트(2)는 균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섬유 강화 중합체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유체 덕트(2)는 중합체 층 또는 층으로 공압출된 금속 및/또는 직물 강화 및/또는 배리어 층과 같은 다층 공압출(coextruded) 조합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유체 덕트(2)는 공기, 배기 및 연료/공기 분산과 같은 가스용 도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체 덕트(2)는 또한 냉각수, 연료, 트랜스미션액 및 브레이크액과 같은 액체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위에서 설명되고 구체적으로 예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의 구조 및 기능의 세부 사항과 함께 전술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다수의 특징 및 이점이 제시되었지만, 본 개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특히, 본 발명의 원리 내에서 부품의 형상, 크기 및 배치 면에서, 첨부된 청구범위가 표현되는 용어의 광범위한 일반적인 의미에 의해 나타내는 전체 범위까지, 변경이 상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공기 유동 시스템(예를 들면, 자동차)
유체 덕트(2)
(가스 덕트)
연결 단부(4a, 4b)
직선 구간(6)
절곡 구간(8)
비-벨로우즈 튜브 부분(9)
벨로우즈(10)
절곡 벨로우즈(10')
직선 벨로우즈(10'')
튜브형 베이스 벽(11)
컨벌루트(비연속적)(12)
개재된 컨벌루트 쌍(12', 12'')
프로파일부(14)
볼록 프로파일부
만곡 프로파일부
원통형 프로파일부
협소형 테이퍼(16)
단부(22a, 22b)
축 방향 오프셋(D)
단부(23a, 23b)
컨벌루트 프로파일부 축 방향 폭(W)
컨벌루트 프로파일부 반경 방향 높이(H)
협소 구간 축 방향 폭(W'), 반경 방향 높이(H')
컨벌루트 감김 각도(Ω)
중심선(C)
유동 방향(F)(축 방향)

Claims (15)

  1. 덕트 채널을 둘러싸는 튜브형 베이스 벽(11)과, 상기 튜브형 베이스 벽(11)의 구간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벨로우즈(10)를 포함하고, 상기 벨로우즈(10)는 상기 튜브형 베이스 벽(11)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로파일부(14)를 갖는 복수의 컨벌루트(12)를 포함하는, 유체 덕트(2)로서,
    상기 복수의 컨벌루트(1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단부(22a)로부터 제2 단부(22b)까지 측정된 180° 내지 720°의 감김 각도(Ω)로 상기 덕트 채널 주위에 감기고,
    중심선(C)에서 상기 감김 각도(Ω)의 정점인, 상기 제2 단부(22b)는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영이 아닌 오프셋 거리(D)만큼 상기 덕트 채널의 중심선(C)에 평행한 유동 방향(F)으로 오프셋되고,
    상기 벨로우즈(10)는 유체 덕트(2)의 절곡 구간(8)에 구비되고, 상기 컨벌루트(12)는 각각의 컨벌루트(12)의 중첩 단부(23a, 23b)가 상기 절곡 구간(8)의 외반경 상에 구비되도록 배향되는, 유체 덕트(2).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벨로우즈(10)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벨로우즈(10)는 적어도 하나의 비-벨로우즈 튜브 부분(6)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유체 덕트(2).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덕트가 180° 내지 360°의 감김 각도(Ω)로 상기 튜브형 베이스 벽(11)의 구간 주위에 감기는 컨벌루트(12)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벨로우즈(10)를 포함하고, 상기 컨벌루트(12)는 상기 한 쌍의 컨벌루트(12)가 반대 감김 방향으로 상기 덕트 채널 주위에 감기도록 개재되는 형태로 한 쌍으로 배치되는, 유체 덕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김 각도(Ω)가 200° 내지 340°의 범위 내에 있는, 유체 덕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벨로우즈(10)가 360° 내지 720°, 또는 380° 내지 560°의 감김 각도(Ω)로 상기 덕트 채널 주위에 감기는 복수의 컨벌루트(12)를 포함하는, 유체 덕트.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벨로우즈(10)의 상기 컨벌루트(12)가 병치 방식으로 구비되는, 유체 덕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병치 컨벌루트(12)의 단부(22a, 22b)는 상기 벨로우즈의 중심선(C)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가상선을 따라 실질적으로 정렬되거나, 상기 병치 컨벌루트(12)가 상기 벨로우즈(10)의 중심선(C)을 중심으로,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회전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유체 덕트.
  10.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컨벌루트(12)는 각각, 상기 컨벌루트(12)의 협소하지 않고 테이퍼되지 않은 부분의 폭(W) 및/또는 반경 방향 높이(H) 각각보다 작은 축 방향 폭(W') 및/또는 반경 방향 높이(H)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협소형 테이퍼(16)를 구비하는, 유체 덕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협소형 테이퍼(16)가 상기 컨벌루트(12)의 경사진 구간에 배치되거나, 상기 협소형 테이퍼(16)가 상기 컨벌루트(12)의 단부(22a, 22b)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유체 덕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협소형 테이퍼(16)가 상기 컨벌루트(12)의 단부(22a, 22b) 사이의 중간에 구비되는, 유체 덕트.
  1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컨벌루트(12)의 프로파일부(14)가 상기 튜브형 베이스 벽(11)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고 돌출되는, 유체 덕트.
  14.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 엔진실에서 유체 덕트로서 사용되는, 유체 덕트.
  15.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덕트(2)가 블로우 성형되거나 압출된 중합체 부품인, 유체 덕트.
KR1020207028925A 2018-03-29 2019-03-27 유체 덕트 Active KR102709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49689P 2018-03-29 2018-03-29
US62/649,689 2018-03-29
PCT/US2019/024232 WO2019191194A1 (en) 2018-03-29 2019-03-27 Fluid du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751A KR20200138751A (ko) 2020-12-10
KR102709712B1 true KR102709712B1 (ko) 2024-09-24

Family

ID=6610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925A Active KR102709712B1 (ko) 2018-03-29 2019-03-27 유체 덕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703159B2 (ko)
EP (1) EP3775652B1 (ko)
JP (1) JP2021519400A (ko)
KR (1) KR102709712B1 (ko)
CN (1) CN112204288B (ko)
WO (1) WO20191911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0849A1 (de) * 2019-04-26 2020-10-29 Norma Germany Gmbh Fluidleitung mit einem Wellenformabschnitt
CH717896A1 (de) * 2020-09-23 2022-03-31 Aborra Ag Vorrichtung zum Entkoppeln sowie zur Schwingungskontrolle.
JP7613688B2 (ja) 2021-01-13 2025-01-15 株式会社オンダ製作所 複合管
US11821544B1 (en) 2022-05-20 2023-11-21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Rectangular convoluted fluid tub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3113A (en) 1997-05-01 2000-09-2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Asymmetrical convolute tube
JP2002106761A (ja) * 2000-10-04 2002-04-10 Excel Kk 蛇腹ダクト
JP2003340989A (ja) * 2002-05-07 2003-12-02 Ems-Chemie Ag 長さ変化を減少させた多層ポリマーホースラインまたはチューブ
JP2004506144A (ja) * 2000-06-30 2004-02-26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可変剛性ベローズを具備する可撓性チューブ
US20150042086A1 (en) 2013-08-12 2015-02-12 Kia Motors Corporation Mounting structure of intercooler pip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4861A (en) * 1928-06-05 1932-06-28 Schaller Alfred Hose coupling
NL168935B (nl) * 1951-04-20 Kempten Elektroschmelz Gmbh Door directe elektrische verhitting volgens het weer- standsprincipe bedreven oveninrichting, in het bijzon- der voor de bereiding van siliciumcarbide.
US3318335A (en) * 1963-10-15 1967-05-09 Chester M Heller Torsional pipe coupling
DE1465643A1 (de) * 1963-11-12 1969-10-02 Kabel Metallwerke Ghh Hohlrohrleiter
FI42392B (ko) * 1967-11-01 1970-03-31 Jorma Taitto
JPS5258822U (ko) * 1975-10-28 1977-04-28
NL7612712A (nl) * 1976-11-16 1978-05-18 Neratoom Balgen bevattend buisvormig lichaam.
JPH0336187Y2 (ko) * 1986-09-29 1991-07-31
JP2603591B2 (ja) * 1993-05-27 1997-04-23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薄肉金属製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
US5435962A (en) * 1994-05-24 1995-07-25 Crushproof Tubing Company Rubber tubing with axially spaced annularly corrugated flexible segments
US6056018A (en) * 1997-10-29 2000-05-02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Variable stiffness bellows
JPH11291361A (ja) * 1998-02-10 1999-10-26 Tokai Rubber Ind Ltd 曲り樹脂チュ―ブ及びその製造方法
JP4084518B2 (ja) * 1999-10-25 2008-04-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樹脂ホースの製造方法および樹脂ホース
US20020088500A1 (en) * 2000-07-25 2002-07-11 Turner Donald Milne Convoluted hose
ITTO20010123A1 (it) * 2001-02-13 2002-08-13 Cornaglia G Off Met Spa Tubazione per il trasporto di un fluido in pressione a rigidezza assiale controllata.
JP4235021B2 (ja) * 2002-04-18 2009-03-04 サンデン商事株式会社 自在管継手
NO20025536D0 (no) * 2002-11-18 2002-11-18 Norsk Hydro As Fleksibel röranordning, f.eks. en rörbelg
DE102008037740B3 (de) * 2008-08-14 2010-01-14 Norma Germany Gmbh Fluidleitung
DE202012101676U1 (de) * 2012-05-07 2012-05-21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Schutzrohr für eine zu temperierende Medienleitung und Leitungsaggregat
US20140130929A1 (en) * 2012-11-07 2014-05-15 Euramax International, Inc. Seamless helically corrugated tub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0140261841A1 (en) * 2013-03-14 2014-09-18 Robert Bosch Gmbh Kink resistant hose system with coil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R3009240B1 (fr) * 2013-08-01 2016-12-30 Nobel Plastiques Tubulure de remplissage et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e telle tubulure.
KR101499218B1 (ko) * 2013-08-29 2015-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저진동 특성을 가지는 자동차용 인터쿨러 파이프
DE102019110849A1 (de) * 2019-04-26 2020-10-29 Norma Germany Gmbh Fluidleitung mit einem Wellenformabschnit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3113A (en) 1997-05-01 2000-09-2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Asymmetrical convolute tube
JP2004506144A (ja) * 2000-06-30 2004-02-26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可変剛性ベローズを具備する可撓性チューブ
JP2002106761A (ja) * 2000-10-04 2002-04-10 Excel Kk 蛇腹ダクト
JP2003340989A (ja) * 2002-05-07 2003-12-02 Ems-Chemie Ag 長さ変化を減少させた多層ポリマーホースラインまたはチューブ
US20150042086A1 (en) 2013-08-12 2015-02-12 Kia Motors Corporation Mounting structure of intercooler 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9400A (ja) 2021-08-10
CN112204288B (zh) 2022-10-28
EP3775652B1 (en) 2022-04-13
CN112204288A (zh) 2021-01-08
KR20200138751A (ko) 2020-12-10
EP3775652A1 (en) 2021-02-17
US11703159B2 (en) 2023-07-18
US20210010620A1 (en) 2021-01-14
US11732823B2 (en) 2023-08-22
WO2019191194A1 (en) 2019-10-03
US20220112972A1 (en)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09712B1 (ko) 유체 덕트
EP1195545B1 (en) Spiral bellows structure
US6021816A (en) Corrugated pipe
US6062266A (en) Multibellows element
US3330303A (en) Composite tubing structure
CN101100966A (zh) 用于卷绕管的柔性套管衬套
EP0979368B1 (en) Asymmetrical convoluted tube
CN104048118B (zh) 用于汽车排气管的柔性管件
CN111212998B (zh) 波纹管
BRPI0316896B1 (pt) conduto e método de fabricação do mesmo
KR101553714B1 (ko)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CN112178307B (zh) 管构件
ITTO20100533A1 (it) Giunto di disaccoppiamento per tubazioni di scarico di motori endotermici
JP5010540B2 (ja) ダクト
JP2002039450A (ja) 蛇腹付ホース
EP4420871A1 (en) Pipeline with longitudinal channels for a fluid to be transported, in particular in a motor vehicle
JP2022528544A (ja) 波形部分を有する流体配管
CN219061815U (zh) 膨胀节、发动机排气管与膨胀节的密封连接结构和发动机
ITTO20010123A1 (it) Tubazione per il trasporto di un fluido in pressione a rigidezza assiale controllata.
JP6636316B2 (ja) 管部材
CN206904396U (zh) 汽车燃油蒸汽输送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