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8677B1 -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 - Google Patents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08677B1 KR102708677B1 KR1020230156277A KR20230156277A KR102708677B1 KR 102708677 B1 KR102708677 B1 KR 102708677B1 KR 1020230156277 A KR1020230156277 A KR 1020230156277A KR 20230156277 A KR20230156277 A KR 20230156277A KR 102708677 B1 KR102708677 B1 KR 1027086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extinguishing
- operation signal
- main server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1931 thermograph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75 solid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369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68 digestive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1 electric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과 연기를 동시에 감지하며 어느 하나의 감지기가 파손되어 작동되지 않더라고 화재 발생을 감지하며 화재 감지를 놓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화재 발생을 정확히 감지하고, 화재가 발생된 지역에 소화약제를 정확히 분사하여 화재가 신속하게 진압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초기 화재에 대한 예측, 화재 발생 위치, 화재 감지여부, 화재 발생시간, 화재 소화장치 기동시간 등 원격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은 무선통신 가능한 메인서버부, 인터넷프로토콜(IP:Internet Protocol)주소가 할당되고 수배전모듈에 설치되어 수배전모듈의 내부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1화재임계온도 이상이면 제1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열감지기와, 수배전모듈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화재임계연기농도 이상이면 제2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연기감지기와, 내부에 소화약제를 수용하고 있으며 열감지기에서 제1작동신호 또는 연기감지기에서 제2작동신호를 수신하면 소화약제를 외부로 분사하는 소화기를 포함하여 메인서버부에 제1작동신호 및 제2작동신호의 출력시간을 전송하는 화재감지소화부, 메인서버부와 통신하며 화재감지소화부에서 제1작동신호 또는 제2작동신호가 출력되면 메인서버부에서 제1작동신호 또는 제2작동신호의 출력시간을 수신하는 외부단말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재를 감지하는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다.
현재 반도체, 전력, 철강 등 주요 국가 기간산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전력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기술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화재에 의한 사고로 발생되는 2차적인 전기 사고는 기간산업에 엄청난 손실을 발생시킨다. 일례로, 반도체 파운드리 회사에서 정전이 발생하였을 경우, 정전에 의한 피해 및 정전 복구 후, 수 많은 공정 장비를 다시 설정 하는데 기하급수적인 피해 비용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초기 발생에 대한 예측, 발생 위치, 감지 여부, 발생 시간, 소화 장치 기동 시간, 원격관리등에 대한 통보 기능 등이 구비된 새로운 무선 디지털 자동 감지 및 소화 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현재, 전기수배전반에 발생되는 화재를 빠르게 감지하고 초동 진압하여 화재에 의한 전기 단전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장치 및 시스템 등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개발된 많은 화재 감지 장치 및 자동 화재 소화시스템은 화재 발생 시 열, 연기감지기의 정해진 값의 화재온도(정온식)로 감지기가 동작하여 기동 장치, 점화 원에 전원을 인가하여 소화장치를 기동하여 소화시키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개발된 많은 시스템은 초기 화재에 대한 예측, 화재 발생위치, 화재 감지여부, 화재 발생시간, 화재 소화장치의 기동시간, 원격관리등에 대한 통보 등 선제적 화재 대응을 신속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기존에 설치되고 있는 전기수배전반, EPS, TPS등 작은 공간 자동소화장치들은 열에 의해 작동하는 센서로 화재를 감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방식은 센서가 고장 났을 때, 화재를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진다, 그리고 화재를 감지한 후, 소화약제를 분사하였을 때 약제 분사가 올바르게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 하였는지에 대해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에 대한 예측, 화재 발생 위치, 화재 감지여부, 화재 발생시간, 화재 소화장치의 기동시간, 원격관리등에 대한 통보 등 선제적 화재 대응을 신속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 그리고 열을 감지하는 센서가 고장 났을 때, 화재 발생을 감지 못하는 문제 그리고 화재 발생에 의한 소화약제를 분사하였을 때, 약제 분사에 의한 화재 진압여부를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은, 무선통신 가능한 메인서버부, 인터넷프로토콜(IP:Internet Protocol)주소가 할당되고 수배전모듈에 설치되어 수배전모듈의 내부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1화재임계온도 이상이면 제1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열감지기와, 수배전모듈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화재임계연기농도 이상이면 제2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연기감지기와, 내부에 소화약제를 수용하고 있으며 열감지기에서 제1작동신호 또는 연기감지기에서 제2작동신호를 수신하면 소화약제를 외부로 분사하는 소화기를 포함하여 메인서버부에 제1작동신호 및 제2작동신호의 출력시간을 전송하는 화재감지소화부, 메인서버부와 통신하며 화재감지소화부에서 제1작동신호 또는 제2작동신호가 출력되면 메인서버부에서 제1작동신호 또는 제2작동신호의 출력시간을 수신하는 외부단말기부를 포함하고, 메인서버부는 화재감지소화부에서 제1작동신호 또는 제2작동신호중 어느 하나의 작동신호를 수신하면 활성화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수배전모듈과 이격되어 메인서버부에서 활성화신호가 인가되면 수배전모듈을 촬영하며 수배전모듈의 도어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열화상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열화상카메라부는 수배전모듈의 도어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온도가 설정시간 동안 기 설정된 제2화재임계온도로 유지되면 화재진압실패신호를 생성하고 측정된 표면온도가 설정시간 내에 기 설정된 제2화재임계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화재진압성공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화재진압실패신호 또는 화재진압성공신호를 메인서버부로 전송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메인서버부는 제1식별번호가 할당된 제1수배전반 내지 제N실별번호가 할당된 제N수배전반으로 형성된 각각의 수배전모듈의 식별번호 및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수배전모듈의 위치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고, 화재감지소화부는 제1인터넷프로토콜 주소가 할당되며 제1수배전반에 설치되는 제1화재감지소화모듈 내지 제N인터넷프로토콜 주소가 할당되며 제N수배전반에 설치되는 제N화재감지소화모듈로 형성되며 제1화재감지소화모듈 내지 제N화재감지소화모듈은 제1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하나의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외부단말기부는 제1화재감지소화모듈 내지 제N화재감지소화모듈 중 제1작동신호 또는 제2작동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소화모듈이 설치된 수배전반의 식별번호 및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열화상카메라부는 복수 개의 제1수배전반 내지 제N수배전반의 도어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평균 표면온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도어표면온도보다 높은 도어표면온도를 가지는 수배전반을 화재가 발생한 수배전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외부단말기부는 메인서버부가 화재진압실패신호를 수신하면, 메인서버부에서 화재진압실패신호를 생성한 열화상카메라부가 설치된 수배전모듈의 식별번호 및 수배전모듈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과 연기를 동시에 감지하며 어느 하나의 감지기가 파손되어 작동되지 않더라고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화재 발생을 정확히 감지하고, 화재가 발생된 지역에 소화약제를 분사한 후, 분사된 소화약제에 의해 화재가 진압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 화재에 대한 예측, 화재 발생 위치, 화재 감지여부, 화재 발생시간, 화재 소화장치의 기동시간 등 원격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며 관리자가 복수 개의 수배전반 등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배전모듈 및 수배전모듈에 설치된 화재감지소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재감지소화부가 수배전모듈의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화재감지소화부의 열감지기 및 연기감지기가 수배전모듈의 내부에서 화재를 감지하였을 때, 소화기를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화재감지소화부에서 화재를 감지하였을 때, 열화상카메라부가 활성화 되며 수배전모듈의 도어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열화상카메라부가 수배전모듈의 도어표면온도를 측정한 후, 화재가 발생한 수배전모듈을 파악한 후, 해당 수배전모듈의 정보를 메인서버부로 전송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열화상카메라부가 수배전모듈의 도어표면온도를 측정하며 화재가 발생한 수배전모듈 내의 화재의 진압 성공여부에 대한 신호를 메인서버부로 전송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배전모듈 및 수배전모듈에 설치된 화재감지소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재감지소화부가 수배전모듈의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화재감지소화부의 열감지기 및 연기감지기가 수배전모듈의 내부에서 화재를 감지하였을 때, 소화기를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화재감지소화부에서 화재를 감지하였을 때, 열화상카메라부가 활성화 되며 수배전모듈의 도어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열화상카메라부가 수배전모듈의 도어표면온도를 측정한 후, 화재가 발생한 수배전모듈을 파악한 후, 해당 수배전모듈의 정보를 메인서버부로 전송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열화상카메라부가 수배전모듈의 도어표면온도를 측정하며 화재가 발생한 수배전모듈 내의 화재의 진압 성공여부에 대한 신호를 메인서버부로 전송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 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청구항을 비롯해 청구항을 뒷받침하는 설명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 질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이후,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배전모듈 및 수배전모듈에 설치된 화재감지소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은 화재감지소화부(20)가 수배전모듈(A)에 설치되어 수배전모듈(A)의 내부 온도 측정하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며 화재 발생 증조 및 화재 발생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더욱이, 수배전모듈(A)의 내부에서 측정한 열데이터와 연기농도데이터를 통해 소화기(230)를 작동시키며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은 소화기(230)가 작동되면 수배전모듈(A)의 인근에 설치된 열화상카메라부(40)를 활성화 시켜 수배전모듈(A)을 촬영하도록 하여 수배전모듈(A)의 도어표면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열화상카메라부(40)는 측정된 도어표면온도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수배전모듈(A)을 파악하고 해당 수배전모듈(A)의 도어표면온도의 하강을 통해 발생된 화재의 진압여부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를 통해,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은 화재가 발생되었던 수배전모듈의 특정하고, 화재가 발생되었던 수배전모듈의 화재 진압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더욱이,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은 화재감지소화부(20)가 게이트웨이부(50)를 통해 로컬 연결되어 하나의 통신망으로 연결된 후, 게이트웨이부(50)를 통해 메인서버부(10)와 연결된다. 이에,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은 화재감지소화부(20)에 할당된 고유의 인터넷프로토콜 주소, 화재감지소화부(20)의 작동시각 및 구동시간 등 다양한 데이터가 메인서버부(1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메인서버부(10)가 수신한 데이터를 메인서버부(10)와 무선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외부단말기부(30)에 전송하며 와부단말기부(30)를 소지한 관리자(E)가 보다 명확하게 화재감지소화부(20) 및 수배전모듈(A)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나타내는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은 메인서버부(10), 화재감지소화부(20), 외부단말기부(3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아울러, 열화상카메라부(40) 및 게이트웨이부(50)를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서버부(10)는 화재감지소화부(20)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부단말기부(3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화재감지소화부(2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외부단말기부(3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메인서버부(10)에는 각각의 수배전모듈(A)의 식별번호 및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수배전모듈(A)의 위치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다.
게이트웨이부(50)는 메인서버부(10)와 화재감지소화부(20) 사이에 설치되어 메인서버부(10)와 화재감지소화부(20)가 상호 접속되도록 한다. 게이트웨이부(50)는 미니컴퓨터가 될 수 있다.
화재감지소화부(20)는 열과 연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화약제를 분사한다. 이러한 화재감지소화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모듈(A)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배전모듈(A)은 제1식별번호가 할당된 제1수배전반(A1) 내지 제N실별번호가 할당된 제N수배전반(AN)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재감지소화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을 감지하며 온도데이터를 생성하는 열감지기(210)와 연기를 감지하며 연기농도데이터를 생성하는 연기감지기(220) 그리고 열감지기(210)에서 출력되는 제1작동신호 또는 연기감지기(220)에서 출력되는 제2작동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소화기(230)를 포함한다.
이후,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메인서버부, 화재감지소화부, 외부단말기부 및 열화상카메라부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화재감지소화부가 수배전모듈의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화재감지소화부의 열감지기 및 연기감지기가 수배전모듈의 내부에서 화재를 감지하였을 때, 소화기를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화재감지소화부에서 화재를 감지하였을 때, 열화상카메라부가 활성화 되며 수배전모듈의 도어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열화상카메라부가 수배전모듈의 도어표면온도를 측정한 후, 화재가 발생한 수배전모듈을 파악한 후, 해당 수배전모듈의 정보를 메인서버부로 전송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열화상카메라부가 수배전모듈의 도어표면온도를 측정하며 화재가 발생한 수배전모듈 내의 화재의 진압 성공여부에 대한 신호를 메인서버부로 전송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화재감지소화부(20)의 열감지기(210)는 수배전모듈(A)에 설치되어 수배전모듈(A)의 내부온도를 측정한다.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B)의 열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온도를 기 설정된 제1화재임계온도와 대비하여, 측정된 온도가 제1화재임계온도 이상이면 제1작동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열감지기(210)는 제1작동신호를 출력할 때, 출력시간을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프로토콜(IP:Internet Protocol)주소가 할당되어 고유의 인터넷프로토콜 주소를 게이트웨이부(50)를 통해 메인서버부(10)로 전송할 수 있다.
연기감지기(220)는 수배전모듈(A)에서 발생되는 연기(C)를 감지한다.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기감지기(220)는 수배전모듈(A)에서 발생되는 연기(C)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되는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화재임계연기농도 이상이면 제2작동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2작동신호를 출력될 때 출력시간을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소화기(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감지기(210)에서 제1작동신호 또는 연기감지기(220)에서 제2작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소화기(230)는 제1작동신호 또는 제2작동신호 중 어느 하나의 작동신호를 수신하면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소화약제(D)를 외부로 분사한다. 여기서, 소화약제(D)는 고체에어로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소화기(230)는 고체에어로졸을 수용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고체에어로졸을 분사하는 소화장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감지기(210), 연기감지기(220) 및 소화기(230)를 포함하는 화재감지소화부(20)는 메인서버부(10)에 제1작동신호 및 제2작동신호 그리고 제1작동신호의 출력시간 그리고 제2작동신호의 출력시간을 전송한다.
외부단말기(30)는 여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단말기가 된다. 일례로, 외부단말기(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워치(310) 또는 스마트폰(320)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단말기(30)는 메인서버부(10)를 통해 화재감지소화부(20)에서 전송된 제1작동신호 및 제2작동신호의 출력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E)는 이러한 외부단말기(30)를 소지하고 있다가 화재가 발생된 수배전모듈(A)의 위치 및 수배전모듈(A)에 화재가 발생된 시점 그리고 소화약제의 분사시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메인서버부(10)는 화재감지소화부(20)에서 제1작동신호 또는 제2작동신호 중 어느 하나의 작동신호를 수신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화상카메라부(40)를 턴-온 시키는 활성화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활성화신호를 열화상카메라부(40)에 전송한다. 여기서, 열화상카메라부(40)는 수배전모듈의 외측에 설치되어 메인서버부(10)에서 활성화신호가 인가되면 설정영역 즉, 수배전모듈(A)을 촬영하며 수배전모듈(A)의 도어에 대한 열화상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열화상영상데이터는 피사체가 발산하는 적외선을 가시화 시킨 열화상이미지가 된다. 열화상카메라부(40)는 열화상이미지 상의 색상에 따라 온도를 추출한다. 이에, 열화상카메라부(40)는 수배전모듈(A)의 도어를 촬영하여 도어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열화상카메라부(40)는 복수 개의 제1수배전반(A1) 내지 제N수배전반(AN)의 도어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열화상카메라부(40)는 각각의 수배전반(A1~AN)의 도어표면의 평균 온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도어표면평균온도와 각각의 수배전반(A1~AN)의 도어표면온도를 비교하여 도어표면평균온도 보다 높은 도어표면온도를 가지는 수배전반(A1~AN)을 화재가 발생한 수배전반으로 검출한다. 일례로, 열화상카메라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배전반(A1)의 도어 표면의 온도를 30℃로 측정할 수 있고 제2수배전반(A2)의 도어 표면의 온도를 80℃로 측정할 수 있다. 제3수배전반(A3)의 도어 표면의 온도를 30℃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4수배전반(A4)의 도어 표면의 온도를 30℃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열화상카메라부(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각 수배전반의 도어 표면의 온도를 도어표면평균온도 40℃와 비교하여, 40℃ 보다 높은 온도가 측정되는 제2수배전반(A2)을 화재가 발생한 수배전반으로 검출한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한 수배전반으로 검출된 제2수배전반(A)에 대한 식별번호를 메인서버부(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열화상카메라부(40)는 화재가 발생한 수배전반으로 검출한 수배전반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배전반(A2)의 도어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온도가 설정시간 내에 기 설정된 제2화재임계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화재진압성공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재진압성공신호는 수배전모듈에 설치된 화재감지소화부(20)의 소화기(230)에서 소화약제(D)가 화재로 분사되어 발생한 화재가 진압되었을 때 발생되는 신호가 된다.
반면, 열화상카메라부(40)는 화재가 발생한 제2수배전반의 도어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온도가 표면온도가 설정시간 내에 기 설정된 제2화재임계온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진압실폐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재진압실폐신호는 수배전모듈(A)에 설치된 소화기(230)가 구동하지 않거나 구동하더라도 화재가 진압되지 않을 시, 발생되는 신호가 된다.
외부단말기부(30)는 메인서버부(10)가 화재진압실패신호를 수신하면, 메인서버부(10)에서 화재진압실패신호를 생성한 열화상카메라부(40)가 설치된 수배전모듈(A)의 식별번호 및 수배전모듈(A)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의 따른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1)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과 달리, 하나의 게이트웨이부(50)에 복수 개의 화재감지소화모듈(2001~20NX)가 연결되는 구조가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게이트웨이(501)에 제1화재감지소화모듈(2001) 내지 제25화재감지소화모듈(2025)이 연결되고, 제1열화상카메라모듈(51)이 제1화재감지소화모듈(2001) 내지 제25화재감지소화모듈(2025)이 각각 설치된 제1수배전반(A1) 내지 제25수배전반(AN)을 촬영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1)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은 전술한 구조적 특징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이에,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1)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 즉, 하나의 게이트웨이(501)에 복수 개의 화재감지소화모듈(2001~20NX)가 연결되는 구조 및 하나의 게이트웨이(501, 502)에 연결된 복수 개의 화재감지소화모듈(2001~20NX)이 설치된 복수 개의 수배전반을 어느 하나의 열화상카메라모듈이 촬영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게이트웨이(501, 502)에 복수 개의 화재감지소화모듈(2001~20NN)이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제1게이트웨이(501)에 제1화재감지소화모듈(2001) 내지 제25화재감지소화모듈(2025)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게이트웨이(502)에 제26화재감지소화모듈(2026) 내지 제N화재감지소화모듈(20NX)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화재감지소화모듈(2001) 내지 제N화재감지소화모듈(20NX)은 서로 다른 인터넷프로토콜 주소가 할당되어 제1게이트웨이(501) 및 제2게이트웨이(502)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게이트웨이(501) 및 제2게이트웨이(502)는 메인서버부(10)와 연결되어 제1게이트웨이(501) 및 제2게이트웨이(502)에 연결된 제1화재감지소화모듈(2001) 내지 제N화재감지소화모듈(20NX)의 상태정보를 메인서버부(10)에 전송한다. 여기서, 화재감지소화부(20)는 제1인터넷프로토콜 주소가 할당되며 제1수배전반(A1)에 설치되는 제1화재감지소화모듈(201) 내지 제N인터넷프로토콜 주소가 할당되며 제N수배전반(N)에 설치되는 제N화재감지소화모듈(20NX)로 형성되며 제1화재감지소화모듈(201) 내지 제N화재감지소화모듈(20NX)은 어느 하나의 게이트웨이(50)에 연결되어 하나의 통신망으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1)은 구역별 및 여러 개의 방호구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감지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역에 설치된 수배전모듈(A)에 대한 화재 발생 가능성에 대해 예측하고, 화재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구역에 설치된 수배전모듈(A)에 대한 화재 발생 가능성에 대해 예측하고 화재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역별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경우 제1구역에는 제1열화상카메라모듈(41)이 설치되고, 제2구역에는 제2열화상카메라모듈(4N)이 설치된다. 이때, 제1열화상카메라모듈(41) 및 제2열화상카메라모듈(42)은 수배전모듈(A)에서 발생한 화재를 감지한다. 외부단말기부(30)는 제1화재감지소화모듈(201) 내지 제N화재감지소화모듈(20NX) 중 제1작동신호 또는 제2작동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소화모듈(2001~20NX)이 설치된 수배전반의 식별번호 및 위치정보를 메인서버부(10)에서 수신한다.
외부단말기부(30)는 메인서버부(10)에서 복수 개의 수배전반의 식별번호 및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아울러, 외부단말기부(30)에는 복수 개의 수배전반 중, 특정 수배전반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그리고 발생된 화재가 진압되었을 때 등 특정 수배전반이 어느 구역에 위치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구역에서 어디에 설치된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가 전송된다. 관리자(E)는 외부단말기부(30)에 전송되는 정보를 통해, 여러 구역 그리고 그 구역에 설치된 많은 수배전모듈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1-1: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
10: 메인서버부
20: 화재감지소화부
210: 열감지기 220: 연기감지기
230: 소화기
2001: 제1화재감지소화모듈 20NX: 제N화재감지소화모듈
30: 외부단말기부
40: 열화상카메라부
41: 제1열화상카메라모듈 4N: 제N열화상카메라모듈
50: 게이트웨이부
501: 제1게이트웨이 502: 제2게이트웨이
A: 수배전모듈
A1: 제1수배전반 AN: 제N수배전반
B: 화염 C: 연기
D: 소화약제 E: 관리자
F: 소방서
10: 메인서버부
20: 화재감지소화부
210: 열감지기 220: 연기감지기
230: 소화기
2001: 제1화재감지소화모듈 20NX: 제N화재감지소화모듈
30: 외부단말기부
40: 열화상카메라부
41: 제1열화상카메라모듈 4N: 제N열화상카메라모듈
50: 게이트웨이부
501: 제1게이트웨이 502: 제2게이트웨이
A: 수배전모듈
A1: 제1수배전반 AN: 제N수배전반
B: 화염 C: 연기
D: 소화약제 E: 관리자
F: 소방서
Claims (7)
- 무선통신 가능한 메인서버부(10);
인터넷프로토콜(IP:Internet Protocol)주소가 할당되고 수배전모듈(A)에 설치되어 수배전모듈(A)의 내부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1화재임계온도 이상이면 제1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열감지기(210)와, 수배전모듈(A)에서 발생되는 연기(C)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화재임계연기농도 이상이면 제2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연기감지기(220)와, 내부에 소화약제(D)를 수용하고 있으며 열감지기(210)에서 제1작동신호 또는 연기감지기(220)에서 제2작동신호를 수신하면 소화약제(D)를 외부로 분사하는 소화기(230)를 포함하여 메인서버부(10)에 제1작동신호 및 제2작동신호의 출력시간을 전송하는 화재감지소화부(20);
메인서버부(10)와 통신하며 화재감지소화부(20)에서 제1작동신호 또는 제2작동신호가 출력되면 메인서버부(10)에서 제1작동신호 또는 제2작동신호의 출력시간을 수신하는 외부단말기부(30)를 포함하고,
메인서버부(10)는 화재감지소화부(20)에서 제1작동신호 또는 제2작동신호 중 어느 하나의 작동신호를 수신하면 활성화신호를 생성하고,
수배전모듈(A)과 이격되어 메인서버부(10)에서 활성화신호가 인가되면 수배전모듈(A)을 촬영하며 수배전모듈(A)의 도어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열화상카메라부(40)를 포함하고,
열화상카메라부(40)는 수배전모듈(A)의 도어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온도가 설정시간 동안 기 설정된 제2화재임계온도로 유지되면 화재진압실패신호를 생성하고 측정된 표면온도가 설정시간 내에 기 설정된 제2화재임계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화재진압성공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화재진압실패신호 또는 화재진압성공신호를 메인서버부(10)로 전송하는,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메인서버부(10)는,
제1식별번호가 할당된 제1수배전반(A1) 내지 제N실별번호가 할당된 제N수배전반(AN)으로 형성된 각각의 수배전모듈(A)의 식별번호 및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수배전모듈(A)의 위치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고,
화재감지소화부(20)는,
제1인터넷프로토콜 주소가 할당되며 제1수배전반(A1)에 설치되는 제1화재감지소화모듈(2001) 내지 제N인터넷프로토콜 주소가 할당되며 제N수배전반(AN)에 설치되는 제N화재감지소화모듈(200N)로 형성되며 제1화재감지소화모듈(2001) 내지 제N화재감지소화모듈(200N)은 어느 하나의 게이트웨이(50)에 연결되어 하나의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외부단말기부(30)는,
제1화재감지소화모듈(2001) 내지 제N화재감지소화모듈(200N) 중 제1작동신호 또는 제2작동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소화모듈(2001~200N)이 설치된 수배전반의 식별번호 및 위치정보를 메인서버부(10)에서 수신하는,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 - 제5항에 있어서, 열화상카메라부(40)는,
복수 개의 제1수배전반(A1) 내지 제N수배전반(AN)의 도어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평균 표면온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도어표면온도보다 높은 도어표면온도를 가지는 수배전반(A1~AN)을 화재가 발생한 수배전반으로 검출하는,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 - 제6항에 있어서, 외부단말기부(30)는,
메인서버부(10)가 화재진압실패신호를 수신하면, 메인서버부(10)에서 화재진압실패신호를 생성한 열화상카메라부(40)가 설치된 수배전모듈(A)의 식별번호 및 수배전모듈(A)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56277A KR102708677B1 (ko) | 2023-11-13 | 2023-11-13 |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56277A KR102708677B1 (ko) | 2023-11-13 | 2023-11-13 |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08677B1 true KR102708677B1 (ko) | 2024-09-24 |
Family
ID=9292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56277A KR102708677B1 (ko) | 2023-11-13 | 2023-11-13 |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8677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2894Y1 (ko) | 2005-08-09 | 2005-12-08 |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 전기 배전반 패널용 자동 소화장치 |
KR102089257B1 (ko) * | 2019-07-03 | 2020-03-16 | (주)에스지솔루션 | 배전반용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
KR102115292B1 (ko) * | 2019-12-10 | 2020-05-26 | 상원엔지니어링(주) | 배전반 화재 관리 시스템 |
KR102219598B1 (ko) * | 2019-10-28 | 2021-02-24 |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 설비용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
KR20220063008A (ko) * | 2020-11-09 | 2022-05-17 | 주식회사 케이티 | 건물에 구비된 복수의 설비를 제어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
2023
- 2023-11-13 KR KR1020230156277A patent/KR1027086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2894Y1 (ko) | 2005-08-09 | 2005-12-08 |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 전기 배전반 패널용 자동 소화장치 |
KR102089257B1 (ko) * | 2019-07-03 | 2020-03-16 | (주)에스지솔루션 | 배전반용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
KR102219598B1 (ko) * | 2019-10-28 | 2021-02-24 |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 설비용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
KR102115292B1 (ko) * | 2019-12-10 | 2020-05-26 | 상원엔지니어링(주) | 배전반 화재 관리 시스템 |
KR20220063008A (ko) * | 2020-11-09 | 2022-05-17 | 주식회사 케이티 | 건물에 구비된 복수의 설비를 제어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3680B1 (ko) |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 |
WO2021157771A1 (ko) | IoT 기반의 소화 장치를 이용한 통합 소방방재 장치 및 방법 | |
KR102322427B1 (ko) |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 |
KR101439860B1 (ko) |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 |
KR102275989B1 (ko) | 화재 및 화재의 예상 전개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화재예측 시스템 | |
KR102045795B1 (ko)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배전반 방재 시스템 | |
KR101684374B1 (ko) |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 |
KR102358776B1 (ko) |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
KR20190040887A (ko) | 기존 소방감지기를 활용한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 | |
KR102230217B1 (ko) | 사물인터넷 센싱기술 융합의 지능형 화재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 |
CN101670159B (zh) | 基站灭火装置及方法 | |
KR102032406B1 (ko) | 재난 경보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80023118A (ko) | 화재감지 시스템 | |
KR101439267B1 (ko) |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장치 | |
KR101399475B1 (ko) |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시스템 | |
WO2019035505A1 (ko) |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 |
KR102464640B1 (ko) | IoT 기반의 화재 감시 및 관리 시스템 | |
KR20200011114A (ko) |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원격 화재감시 시스템 및 방법 | |
KR102708677B1 (ko) | Ip주소 확인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시스템 | |
KR100596204B1 (ko) | 랙용 화재징후 복합 감지 시스템 | |
KR20050064510A (ko) | 원격제어 소방시스템 | |
KR102296974B1 (ko) |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 |
KR102144098B1 (ko) | Iot 기반의 화재 예측 및 진화 시스템 | |
KR20150061289A (ko) | Usn 기반의 화재 경로 예측 시스템 | |
KR20150015074A (ko) | Lte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된 무인 방범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