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4804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04804B1 KR102704804B1 KR1020230049106A KR20230049106A KR102704804B1 KR 102704804 B1 KR102704804 B1 KR 102704804B1 KR 1020230049106 A KR1020230049106 A KR 1020230049106A KR 20230049106 A KR20230049106 A KR 20230049106A KR 102704804 B1 KR102704804 B1 KR 1027048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dishwasher
- lens
- cover
- circuit boar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74—Arrang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e.g. control units or cabl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5—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 G03B21/006—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using LCD'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058—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s, e.g. on a dishwasher, a washing machine or a refrigerat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바닥면에 식기세척기의 상태 정보 등을 이미지화하여 투사하는 인디케이터를 로어프레임의 상면에 배치하여, 도어의 개방 시 도어에 대한 간섭 및 도어의 회동에 의한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외부바닥면에 식기세척기의 상태 정보 등을 이미지화하여 투사하는 인디케이터를 로어프레임의 상면에 배치하여, 도어의 개방 시 도어에 대한 간섭 및 도어의 회동에 의한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 조리기구 등에 물과 같은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 때,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터브의 내부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및 물을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식기 등과 같은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최근 주방공간의 확장을 위한 목적으로, 빌트인 방식으로 식기세척기를 배치하는 비율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특히, 식기세척기가 배치되는 공간과 주변 가구와의 일체감 형상을 위해서 도어의 전면에 커버패널이 부착되는 제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커버패널은 주변 가구와의 일체감을 형성하기 위해서, 주변 가구의 외장과 동일한 재질감 및 색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커버패널이 도어에 부착되는 빌트인으로 식기세척기를 배치하는 경우, 커버패널이 도어를 전체적으로 가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기세척기의 작동유무를 직관적으로 판단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럽공개특허공보 제3772316호(선행문헌 001)에는, 식기세척기가 지지되는 외부바닥면에 식기세척기의 상태 정보 등을 빔프로젝터 방식으로 투사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001의 식기세척기의 표시장치는, 도어의 하측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과하여 외부바닥면으로 빔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표시장치는, 외부바닥면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와 터브 사이에 배치되는 로어프레임의 저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와 같이 선행문헌 001의 표시장치는 터브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로어프레임의 저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도어의 개방을 위한 도어의 회동 시에 도어 하단의 회동범위에 표시장치가 속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개방을 위한 회동 시에 표시장치와 도어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도어의 회동에 표시장치의 물리적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선행문헌 001의 표시장치는 터브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로어프레임의 저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도어를 통한 세척수의 누수 발생 시에 누수된 세척수가 로어프레임을 타고 이동하여 표시장치의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표시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장부품의 손상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한편, 이에 대응하여 미국등록특허공보 제8870392호(선행문헌 002)에는, 표시장치가 로어프레임의 상면에 부착 및 고정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선행문헌 002의 표시장치는,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개별 모듈의 배치가 개략적으로 배치되어 있을 뿐이며, 아우터 케이싱에 대한 개별 모듈의 고정 구조가 불명확하게 개시되어 있다.
또한, 전자적 부품에 해당하는 내부의 광원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 연결관계 및 메인 컨트롤러에 대한 전기적 연결관계가 불명확하게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선행문헌 002의 표시장치는?실제 제품화 구현이 사실상 불가능한 구성에 해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002의 표시장치는, 외장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싱의 내부에 광원모듈, 제1 렌즈, 및 디스플레이모듈의 수용 및 지지를 위한 별도의 이너 케이싱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표시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 수량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표시장치 자체의 사이즈가 증가하게 되어 로어프레임과 터브 사이에 형성되는 협소한 공간에 표시장치가 배치하기에 부적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바닥면에 식기세척기의 상태 정보 등을 이미지화하여 투사하는 인디케이터를 로어프레임의 상면에 배치하여, 도어의 개방 시 도어에 대한 간섭 및 도어의 회동에 의한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디케이터를 구성하는 개별 기능모듈에 대한 배치 및 고정 구조를 단순화 및 공용화하여,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디케이터를 구성하는 개별 기능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부품을 최소화하고, 인디케이터의 사이즈를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성이 우수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디케이터를 구성하는 개별 기능모듈 중에서 전장부품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이들 전장부품과 메인 컨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하네스 모듈 구성을 단순화 및 공용화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4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외부바닥면에 가시광선빔을 투사하여 소정의 정보를 시각적 이미지로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로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홀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가시광선빔을 생성하는 광원모듈; 상기 광원모듈에서 생성된 가시광선빔을 굴절시키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를 통과한 가시광선빔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시각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LCD모듈; 상기 LCD모듈을 통과한 가시광선빔의 이동경로를 상기 외부바닥면을 향해 전환시키는 반사판; 및 상기 이동경로가 전환된 가시광선빔을 굴절시키는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2 렌즈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고, 상기 제2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렌즈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반사판이 상기 스토퍼리브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판의 상단부가 상기 스토퍼리브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리브는, 상하방향을 따라 막대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반사판의 상단부가 상기 스토퍼리브의 상단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의 상단부는, 상기 제2 렌즈에 대해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스토퍼리브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스토퍼리브의 상단에는 상기 반사판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리브의 하단은 각각 상기 홀더의 하면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렌즈에는 상기 스토퍼리브가 삽입되는 노치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렌즈의 상면에는, 상측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노치 슬롯의 높이를 확장하는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의 하단부는, 상기 제2 렌즈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렌즈의 상면에는, 하측방향으로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이 구비되고, 상기 반사판의 하단부는, 상기 제2 렌즈에 대해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걸림홈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반사판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반사판의 이동을 저지하는 서포트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외부바닥면에 가시광선빔을 투사하여 소정의 정보를 시각적 이미지로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로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홀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가시광선빔을 생성하는 광원모듈; 상기 광원모듈에서 생성된 가시광선빔을 굴절시키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를 통과한 가시광선빔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시각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LCD모듈; 상기 LCD모듈을 통과한 가시광선빔의 이동경로를 상기 외부바닥면을 향해 전환시키는 반사판; 및 상기 이동경로가 전환된 가시광선을 굴절시키는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가시광선빔을 생성하는 광원소자; 및 상기 광원소자가 실장되는 제1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LCD모듈은, 상기 가시광선빔을 부분적을 통과시키는 LCD패널; 및 상기 LCD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상기 제2 회로기판은 서로 분리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회로기판의 길이방향과 상기 홀더의 길이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는 상태로 상기 제2 회로기판이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CD패널과 상기 제2 회로기판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고, 상기 LCD패널은 상기 제1 회로기판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소자가 실장되는 일면이 상기 홀더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회로기판이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상기 제2 회로기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광원소자와 상기 LCD패널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제1 회로기판 사이, 및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제2 회로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네스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네스모듈은, 일단이 상기 제1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제1 케이블; 일단이 상기 제2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제2 케이블; 일단이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접속되는 제3 케이블; 일단이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접속되는 제4 케이블; 및 상기 제1 케이블의 타단 및 상기 제2 케이블의 타단을 일괄적으로 홀딩하는 메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커넥터는, 상기 제1 케이블의 타단과 상기 제3 케이블의 타단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케이블의 타단과 상기 제4 케이블의 타단 사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터브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에 배치되는 제1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메인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케이블의 일단과 상기 제4 케이블의 일단은 각각 상기 제1 메인 컨트롤러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터브의 하부를 커버하는 로어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어프레임은, 상기 터브의 하면를 커버하며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터브의 하면과 상기 로어프레임의 상면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이격공간에 좌우방향이 길이방향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은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상하방향 폭이 좁아지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어프레임의 상면의 전방단부에는 상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벤딩부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의 전면과 상기 벤딩부가 서로 접촉하도록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로어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도어의 개방 시 도어에 대한 간섭 및 도어의 회동에 의한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인디케이터를 구성하는 개별 기능모듈에 대한 배치 및 고정 구조를 단순화 및 공용화하여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인디케이터를 구성하는 개별 기능모듈을 지지하는 홀더의 내부에 개별 기능모듈에 대한 오조립방지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여 이들 기능모듈의 오조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인디케이터를 구성하는 개별 기능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부품을 최소화하고, 인디케이터의 사이즈를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성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인디케이터를 구성하는 개별 기능모듈 중에서 전장부품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이들 전장부품과 메인 컨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하네스 모듈 구성을 단순화 및 공용화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로어프레임에 인디케이터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전방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어프레임으로부터 인디케이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전방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부분확대도로서 로어프레임에 인디케이터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인디케이터에 하네스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전방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인디케이터와 하네스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인디케이터를 길이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인디케이터를 구성하는 홀더의 전방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홀더에 광원모듈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홀더를 전후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홀더에 제1 렌즈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홀더를 전후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홀더에 LCD모듈 중 LCD패널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홀더를 전후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홀더에 LCD모듈 중 제2 회로기판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홀더를 전후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홀더에 제1 렌즈, LCD패널 및 제2 회로기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홀더에 제2 렌즈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홀더를 좌우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홀더에 제2 렌즈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홀더에 제2 렌즈가 결합된 상태에서 반사판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홀더를 좌우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반사판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커버까지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좌우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6은 커버에 구비되는 서포트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커버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부를 구성하는 제1 메인 컨트롤러와 제2 메인 컨트롤러에 대한 인디케이터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블럭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가 사용자 인지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인디케이터를 통해 외부바닥면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이미지에 관한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로어프레임에 인디케이터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전방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어프레임으로부터 인디케이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전방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부분확대도로서 로어프레임에 인디케이터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인디케이터에 하네스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전방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인디케이터와 하네스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인디케이터를 길이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인디케이터를 구성하는 홀더의 전방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홀더에 광원모듈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홀더를 전후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홀더에 제1 렌즈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홀더를 전후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홀더에 LCD모듈 중 LCD패널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홀더를 전후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홀더에 LCD모듈 중 제2 회로기판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홀더를 전후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홀더에 제1 렌즈, LCD패널 및 제2 회로기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홀더에 제2 렌즈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홀더를 좌우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홀더에 제2 렌즈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홀더에 제2 렌즈가 결합된 상태에서 반사판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홀더를 좌우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반사판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커버까지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좌우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6은 커버에 구비되는 서포트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커버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부를 구성하는 제1 메인 컨트롤러와 제2 메인 컨트롤러에 대한 인디케이터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블럭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가 사용자 인지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인디케이터를 통해 외부바닥면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이미지에 관한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식기세척기의 전반적 구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전반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로서, 특히 빌트인 방식의 식기세척기(1)가 도시되어 있다.
빌트인 방식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터브(10)의 외측을 커버하는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미도시)가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1)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달리 설명하지 않는 한 도어(30) 및 커버패널(400)의 관계는, 케이스가 구비된 식기세척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세척 대상물이 세척되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0)와, 도어(30)의 전방에 배치되는 커버패널(400),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및 배수하는 구동부(40)와, 터브(20)의 내부 세척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척 대상물이 안착되는 수납부(50)와, 수납부(50)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6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수납부(50)에 안착되는 세척 대상물은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 및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이하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세척 대상물을 식기로 지칭하기로 한다.
터브(20)는, 전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위 세척조로 알려져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터브(20)의 내부에는 세척공간(21)이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터브(20)는,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계열의 재질을 갖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는 실시예의 경우에 터브(20)의 상면(24), 우측면(27), 좌측면(26) 및 후면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터브(2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수납부(50), 분사부(60) 등과 같은 기능 구성들이 터브(20)의 내부에서 지지되고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다수의 브라켓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40)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1)와, 섬프(41)를 터브(20)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와, 외부로부터 섬프(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43)와, 섬프(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와, 섬프(41)의 세척수를 분사부(60)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45) 및 공급유로(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섬프 커버(42)는 섬프(41)의 상측에 배치되며, 터브(20)와 섬프(41)를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부(60)를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섬프(41)로 회수하기 위한 복수의 회수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부(60)에서 식기를 향해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1)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섬프(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가압하여 분사부(6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급수펌프(45)의 일단은 섬프(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섬프(41)의 세척수가 가압된 후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부(6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공급유로(46)는 급수펌프(45)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부(6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61)에 연결되는 제1 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62) 및 탑 노즐(63)에 연결되는 제2 공급유로(463)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유로(46)에는 공급유로들(461, 46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분사부(60)는 수납부(5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는, 분사부(60)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 랙(51)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61)과,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 랙(51)과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6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탑 랙(53) 또는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노즐(6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부 분사암(61)과 상부 분사암(62)은 터브(20)의 세척공간(2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납부(50)의 식기를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1)은 하부 랙(51)의 하부에서 하부 랙(51)을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섬프 커버(42)의 상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부 분사암(62)은 분사암 홀더(미도시)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터브(20)의 하면(25)에는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하부 분사암(61)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방향(U-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60)에 관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구성이 적용 가능한 바, 이하에서는 분사부(6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세척공간(21)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50)는 터브(20)의 내부에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도 2에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대형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하부 랙(51)과, 하부 랙(51)의 상측에 위치하고 중형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상부 랙(5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소형 식기 등이 수납될 수 있는 탑 랙(53)을 포함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수납부(50)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은 각각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브(2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양측벽에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가이드 레일은 상부레일, 하부레일, 및 탑레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 하부에는 각각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을 터브(20)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이들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용이하게 이들로부터 꺼낼 수 있다.
가이드 레일(54)은 분사부(6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 레일 형태의 고정 가이드 레일 또는 분사부(60)의 인출 및 수납을 안내하며 분사부(60)의 인출에 따라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로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는 상술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통상적으로 개방된 전면의 하부에 도어(30)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도어(30)는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도어(30)가 개방된다.
여기서, 빌트인 타입을 구현하기 위해 도어(30)의 상측면에는 식기세척기(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에는 식기세척기의 현재 작동 상태 등에 관한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입력되는 선택버튼 및 식기세척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전원버튼 등을 포함하는 버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은 도어(30)의 상측면에 구비되기 때문에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식기세척기(1)의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300)에 관한 내용은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컨트롤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메인 회로기판이 도어(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나아가 컨트롤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식기세척기의 전반적인 행정 진행을 제어하는 제1 메인 컨트롤러가 제1 메인 회로기판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메인 컨트롤러와 제1 메인 회로기판은 식기세척기(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 중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세부 내용은 도 2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어(30)의 내측면은 도어(30)의 폐쇄시 터브(20)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30)의 풀-개방시 수납부(50)의 하부 랙(51)이 지지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어(30)가 풀-개방될 경우 도어(30)의 내측면은 하부 랙(51)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54)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의 내부의 세척공간으로 고온 또는 저온 건조풍을 생성하고 공급하기 위한 건조풍공급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부(80)는 외부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재(883)와,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팬(825)과, 건조풍 기류를 가열하는 히터(84)와,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며 건조풍 기류의 안내하는 기류가이드(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브(20)의 하면에는 건조풍공급부에서 생성된 고온 건조풍이 터브(20)의 내부로 도입할 수 있도록 건조풍공급홀(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커버패널(400)은, 도어(30)의 외측에 배치 및 부착되고, 식기세척기(1)의 전면의 외장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커버패널(400)은 식기세척기(1)가 수용되는 주변 가구와의 일체감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변 가구와의 일체감 및 통일감을 형성하기 위해서, 커버패널(400)은 주변 가구의 외장과 동일한 재질감 및 색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커버패널(400)은 도어(30)의 전방에 배치되되, 도어(30)에 대해서 상대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어(30)의 개방을 위한 도어(30)의 회동 시에 커버패널(400)은 도어(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패널(400)의 상대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서 커버패널(400)의 하단은, 식기세척기(1)가 지지되는 외부바닥면(F)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대 이동을 위해, 커버패널(400)을 도어(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시키는 링크모듈(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터브(20)의 아래에 배치되고, 중력방향으로 터브(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베이스(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90)는 전술한 구동부(40), 건조풍공급부(80) 등의 기능모듈들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90)의 내부에는 구동부(40), 건조풍공급부(80) 등의 기능모듈들이 배치되며, 이들 기능모듈들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기능모듈들을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한 다소 복잡한 구조가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도록, 베이스(90)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90)에는 식기세척기(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제2 메인 컨트롤러(102)와 제2 메인 회로기판(102a)이 제어박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메인 컨트롤러(102)는 베이스(90)의 수용되는 구동부(40),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을 제어하고, 정상 작동 유무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는 예시적으로 제2 메인 컨트롤러(102)와 제2 메인 회로기판(102a)이 배치되는 제어박스가 베이스(90)의 좌측 단부면에 배치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지만, 이하에서는 제어박스가 베이스(90)의 좌측 단부면에 배치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2 메인 컨트롤러(102)와 제2 메인 회로기판(102a)은, 전술한 제1 메인 컨트롤러(101)와 제2 메인 회로기판(10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간 전기적 제어신호 및 전기적 정보가 교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 관계에 관한 구성은 도 2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인디케이터의 배치 구조 및 고정 수단]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에 구비되는 인디케이터(300)의 배치 구조 및 고정 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300)는 식기세척기(1)가 지지되는 외부바닥면(F)에 가시광선빔을 투사하여 식기세척기(1)의 작동 상태에 관한 소정의 정보를 시각적 이미지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인디케이터(300)는 도어(30)의 후면 및 베이스(90)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향해 가시광선빔이 투사하여 시각적 이미지가 외부바닥면(F)에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디케이터(300)는, 베이스(90)의 전방 단부면으로부터 전방 및 상측방향(U-방향)으로 연장되며, 터브(20)의 하면(25)의 아래를 커버하는 로어프레임(200)에 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로어프레임(200)은, 터브(20)의 하면(25)을 아래에서 커버하며 대략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연장부(201)와, 베이스(90)의 전방 단부면에 부착되는 베이스 연결부(203)와, 수평연장부(201) 및 베이스 연결부(203)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연장부(2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연결부(203)는 베이스(90)의 전방 단부면 측에 부착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90)에 대한 연결 강도를 높이고 접촉 면적을 늘리기 위해서 베이스 연결부(203)는 베이스(90)의 전방 단부면 측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직연장부(202)는, 베이스 연결부(203)의 상단과 수평연장부(201)의 후단을 연결하는 역할 및 부분 개방된 베이스(90)의 전방 단부면을 가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부분 개방된 베이스(90)의 전방 단부면을 효과적으로 가릴 수 있도록 수직연장부(202)는 대략 수직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연장부(201)는, 터브(20)의 하면(25)을 아래에서 커버다. 이 때, 수평연장부(201)와 터브(20)의 하면(25)은 서로 분리된 상태가 되도록 수평연장부(201)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연장부(201)와 터브(20)의 하면(25)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S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수평연장부(201), 수직연장부(202) 및 베이스 연결부(203)는 대략 두께가 균일한 금속 소재의 판상 부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바닥면(F)을 향해 효과적으로 가시광선빔을 투사할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300)는, 로어프레임(200)을 구성하는 수평연장부(201)의 배치 및 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평연장부(201)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디케이터(300)가 수평연장부(201)의 상면에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30)의 개방을 위한 도어(30)의 회동 시에 도어(30)의 하단 및 커버패널(400)의 하단과 인디케이터(300)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300)는, 로어프레임(200)의 수평연장부(201)와 터브(20)의 하면(25)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A)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의 하면(25)은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상하방향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수렴경사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터브(20)의 하면(25)과 로어프레임(200)의 수평연장부(201)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A)은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상하방향 폭 또는 상하방향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이격공간(SA)의 형상을 고려하되, 인디케이터(300)의 설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이격공간(SA)의 상하방향 폭이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는 수평연장부(201)의 전방 단부에 근접해서 인디케이터(30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로어프레임(200)의 수평연장부(201)의 전방 단부에서의 이격공간(SA)의 상하방향 폭은 상대적으로 협소할 수 밖에 없고, 인디케이터(300)의 높이는 이러한 이격공간(SA)의 상하방향 폭에 의해서 제한받을 수 밖에 없다.
이를 고려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300)는 좌우방향(Le-Ri방향)이 길이방향이 되도록 이격공간(SA)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인디케이터(300)는 상하방향 높이와 전후방향 폭이 이격공간(SA)에 의해서 제한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좌우방향(Le-Ri방향)의 폭이 상대적으로 매우 큰 치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연장부(201)의 전방 단부에는 상측방향(U-방향)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벤딩부(2016)가 구비될 수 있다.
벤딩부(2016)는, 자유단부가 되는 수평연장부(201)의 전방 단부의 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예시적으로 벤딩부(2016)는 자유단부가 되는 수평연장부(201)의 전방 단부를 상측방향(U-방향)을 향해 절곡시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 높이가 대략 일정한 장벽 형태로 좌우방향(Le-Ri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벤딩부(2016)는 수평연장부(201)의 전방 단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수평연장부(201)의 전방 단부를 전체적으로 절곡하여 벤딩부(2016)가 형성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본 발명은 수평연장부(201)의 전방 단부를 전체적으로 절곡하여 벤딩부(2016)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벤딩부(2016)가 수평연장부(201)의 전방 단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이유로, 인디케이터(300)가 이격공간(SA)의 최대한 전방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300)의 전면(310c)은 벤딩부(2016)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벤딩부(2016)는 인디케이터(300)의 조립을 위한 위치설정 기능 및 조립 후 인디케이터(300)의 전방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로서 기능을 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300)는 로어프레임(200)의 수평연장부(201)의 상면에 배치 및 고정된다.
예시적으로 인디케이터(300)는 2개소에서 로어프레임(200)의 수평연장부(201)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인디케이터(300)의 체결 수단은 2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체결 수단과 제2 체결 수단이 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300)가 수평연장부(201)에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제1 체결 수단은, 인디케이터(300)의 좌측면에 구비되는 제1 연결탭(311)이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1 연결탭(311)은, 우측 단부가 인디케이터(300)의 홀더(310)의 좌측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좌측 단부는 자유단부가 되는 본체부(3111)와, 본체부(311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보스(3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111)는 로어프레임(200)의 수평연장부(201)의 상면에 대한 접촉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 전후방향 폭과 좌우방향 폭이 상하방향 두께보다 훨씬 더 크게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보스(3112)는, 본체부(311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부(3111)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보스(3112)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체결볼트가 되는 파스너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체결보스(3112)와 본체부(3111) 사이에는 이들의 연결 강도 향상을 위한 보강리브(3113)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탭(311)에 대응하여, 로어프레임(200)의 수평연장부(201)에는 전술한 파스너가 관통 연장되는 체결홀(20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홀(2012)은 수평연장부(201)를 상측방향(U-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변형시켜 형성되는 제1 비드포밍부(2011)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인디케이터(300)가 수평연장부(201)에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제2 체결 수단은, 인디케이터(300)의 홀더(310)의 후면으로서 홀더(310)의 우측면에 인접해서 구비되는 제2 연결탭(312)이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2 연결탭(312)은, 전방 단부가 인디케이터(300)의 홀더(310)의 후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후방 단부는 자유단부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결탭(311)과 유사한 이유로, 제2 연결탭(312)은 로어프레임(200)의 수평연장부(201)의 상면에 대한 접촉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 전후방향 폭과 좌우방향 폭이 상하방향 두께보다 훨씬 더 크게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1 연결탭(311)과 달리, 제2 연결탭(312)은 별도의 파스너를 추가함이 없이 로어프레임(200)의 수평연장부(201)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2 연결탭(312)은 단면이 지그재그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탭(312)은, 홀더(310)의 후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1 연장부(3121), 제1 연장부(3121)보다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더 낮은 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부(3123)와, 제1 연장부(3121) 및 제2 연장부(3123) 사이를 연결하는 절곡부(31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연결탭(312)의 후방 단부를 형성하는 제2 연장부(3123)의 상하방향 위치가 전방 단부를 형성하는 제1 연장부(3121)의 상하방향 위치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면 형상을 통해서, 제2 연결탭(312)은, 로어프레임(200)의 수평연장부(201)에 형성되는 삽입홀(2014)에 단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되, 단차를 형성하는 단면 형상으로 인해 삽입 후 전후방향 이동이 삽입홀(2014)에 의해서 구속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삽입홀(2014)은 제2 연결탭(312)의 제2 연장부(3123)의 삽입이 용이하게 좌우방향 폭이 전후방향 폭보다 매우 크게 되는 슬릿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파스너의 추가 없이 제2 연결탭(312)이 삽입홀(2014)에 용이하게 또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체결홀(2012)과 유사하게, 삽입홀(2014)은 수평연장부(201)를 부분적으로 상측방향(U-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변형시켜 형성되는 제2 비드포밍부(2013)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일 파스너를 통해, 인디케이터(300)가 로어프레임(200)의 수평연장부(201)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인디케이터(300)에 대한 체결 공수 및 체결 부재가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드포밍부(2011)와 제2 비드포밍부(2013) 사이에는 인디케이터(300)를 통해 생성된 가시광선빔이 통과할 수 있는 제2 투광홀(201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300)의 배치 및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2 투광홀(2015)은 후술하는 인디케이터(300)의 홀더(310)의 하면(310b)에 관통 형성되는 제1 투광홀(310b1)과 동심이 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의 전반적 구성]
이하, 도 7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에 구비되는 인디케이터(300)의 전반적 구성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3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홀더(310)와, 홀더(3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가시광선빔을 생성하는 광원모듈(340)과, 광원모듈(340)에서 생성된 가시광선빔을 굴절시키는 제1 렌즈(350)와, 제1 렌즈(350)를 통과한 가시광선빔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LCD모듈(360)과, LCD모듈(360)을 통과한 가시광선빔의 이동경로를 외부바닥면을 향해 전환시키는 반사판(370)과, 이동경로가 전환된 가시광선빔을 굴절시키는 제2 렌즈(3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홀더(310)는, 인디케이터(300)의 외체를 형성하며, 인디케이터(300)를 구성하는 기능모듈들을 내부에 수용하고 이들 기능모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인디케이터(300)가 로어프레임(200)의 수평연장부(201)에 배치 및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홀더(310)는 상면(310a)이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310)의 개방된 상면(310a)을 통해 인디케이터(300)의 기능모듈을 구성하는 광원모듈(340), 제1 렌즈(350), LCD모듈(360), 반사판(370), 및 제2 렌즈(380)가 홀더(310)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 방식으로 진입되면서 홀더(310)의 내부에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홀더(310)의 내부에는 광원모듈(340), 제1 렌즈(350), LCD모듈(360), 반사판(370), 및 제2 렌즈(380)과 같은 기능모듈의 개별적인 지지 구조 및 고정 구조가 홀더(310)에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광원모듈(340), 제1 렌즈(350), LCD모듈(360), 반사판(370), 및 제2 렌즈(380)에 대한 개별적인 지지 구조 및 고정 구조는 도 12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이와 같이 기능모듈의 개별적인 지지 구조 및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여러 복잡한 구조물이 일체화되어 홀더(310)에 구비될 수 있도록 홀더(310)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방식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광원모듈(340)은, 홀더(3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가시광선빔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도 9 내지 도 11에는 예시적으로 광원모듈(340)이 홀더(310)의 좌측면(310f)에 근접해서 배치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광원모듈(340)은 가시광선빔을 생성하는 광원소자(341), 광원소자(341)가 일측면에 실장되는 제1 회로기판(342), 제1 회로기판(342)의 타측면에 실장되는 제1 기판커넥터(3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원소자(341)는, 예시적으로 단일 또는 복수의 LED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도 9 이하에는 단일 LED소자가 적용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편의상 단일 LED소자가 광원소자(341)로서 구비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광원소자(341)는, 홀더(310)의 내부 수용공간을 향해 가시광선빔을 투사할 수 있도록 제1 회로기판(342)의 우측면에 실장될 수 있다.
한편, 광원소자(341)가 실장되는 우측면의 반대면이 되는 좌측면에는 제1 기판커넥터(343)가 실장될 수 있다.
제1 기판커넥터(343)에는 후술하는 하네스모듈(330)의 제1 케이블(3341)의 제1 단자(332)가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될 수 있다.
제1 회로기판(342)은, 광원소자(341)와 제1 기판커넥터(343)가 실장되며 이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로기판(342)은 두께가 대략 균일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두께 방향이 홀더(3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되도록 홀더(310)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제1 회로기판(342)은 홀더(310)의 좌측면(310f)과 대략 나란한 방향으로 및 광원소자(341)가 실장되는 우측면이 홀더(31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수직이 되도록 홀더(310)의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홀더(310)의 내부에는 제1 회로기판(342)을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한 제1 슬롯(S1)이 홀더(310)의 좌측면(310f)에 바로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렌즈(350)는, 광원모듈(340)의 광원소자(341)에서 생성된 가시광선빔을 굴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는, 제1 렌즈(350)는 광원소자(341)에서 생성되어 확산되는 가시광선빔을 수평방향을 따라 직진하도록 굴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 렌즈(350)는 제1 회로기판(342)의 우측에 제1 회로기판(342)에 대해서 나란하게 배치 및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가시광선빔의 굴절을 위해서 제1 렌즈(350)의 우측면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LCD모듈(360)의 LCD패널(361)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렌즈 형태의 굴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홀더(310)의 내부에는 제1 렌즈(350)를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한 제2 슬롯(S2)이 제1 슬롯(S1)에 나란하게 그리고 제1 슬롯(S1)에 이어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렌즈(350)의 세부 구성은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LCD모듈(360)은, 제1 렌즈(350)를 통과한 가시광선빔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는 LCD모듈(360)은, 가시광선빔을 부분적을 통과시키는 LCD패널(361)과, LCD패널(361)의 통과한 기사광선빔의 통과 영역을 제한하는 가림판(362)과, LCD패널(3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LCD패널(36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회로기판(36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LCD패널(361)은, 제1 렌즈(350)를 통과하면서 굴절된 가시광선빔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식기세척기(1)의 작동과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이미지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LCD패널(361)은 제1 렌즈(350)의 우측에 제1 렌즈(350)와 제1 회로기판(342)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1 렌즈(350)를 통과한 가시광선빔의 경로를 직접적으로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LCD패널(361)은 플랫케이블(363)을 통해 LCD패널(361)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홀더(310)에 배치되는 제2 회로기판(364)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LCD패널(361)은 당업계에 알려진 수단이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LCD패널(361)에 관한 세부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가림판(362)은, LCD패널(361)을 통과한 가시광선빔의 통과 영역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가림판(362)은 LCD패널(361)의 우측면에 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림판(362)의 내부에는 사각형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시광선빔은 가림판(362)을 통과하면서 전체적으로 4각형상이 되는 가시광선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바닥면(F)에는 4각형상이 되는 표시영역(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표시영역(A)의 내부에는 LCD패널(361)에 의해서 생성되는 소정의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가림판(362)의 홀 형상이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림판(362)에 원형 홀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외부바닥면(F)에는 원형이 되는 표시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로기판(364)은, LCD패널(36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회로소자(미도시)가 실장되며 이들 회로소자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로기판(364)은 다수의 회로소자와, 전술한 플랫케이블(363)이 접속되는 LCD패널커넥터(366)와, 후술하는 하네스모듈(330)의 제2 케이블(3342)의 제2 단자(333)가 접속되는 제2 기판커넥터(365)가 실장되고 이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로기판(364)의 면적은, 인디케이터(300)를 구성하는 기능모듈 중에서 가장 큰 사이즈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회로기판(364)의 사이즈 및 면적을 고려하여, 제2 회로기판(364)은 LCD패널(361) 및 제1 회로기판(342)과 분리된 상태로 홀더(31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홀더(310)가 배치되는 이격공간(SA)의 형상을 고려하여, 제2 회로기판(364)의 길이방향과 홀더(310)의 길이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는 상태로 홀더(310)의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회로기판(364)은 장변의 길이가 단변의 길이보다 훨씬 더 큰 장방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장변방향이 홀더(3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홀더(3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LCD패널커넥터(366)와 제2 기판커넥터(365)가 실장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제2 회로기판(364)은 홀더(310)의 후면(310d)에 근접하여 홀더(310)의 후면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홀더(310)의 내부에는 LCD패널(361)과 제2 회로기판(364)을 분리된 상태로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한 제3 슬롯(S3)과 제4 슬롯(S4)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판(370)은, LCD패널(361)의 우측에 배치되며 LCD패널(361)을 통과한 가시광선빔의 이동 경로를 외부바닥면(F)을 향해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가시광선빔의 이동 경로 전환을 위해서, 반사면으로 작용하는 반사판(370)의 좌측면은 수직방향에 대해서 대략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홀더(310)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수평방향을 따라 진행하는 가시광선빔을 수직방향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반사판(370)은 수직방향에 대해서 대략 45도 경사각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반사판(370)은 우측면이 반사면이 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홀더(310)에는 이와 같이 반사판(370)을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스토퍼리브(315e1, 315e2)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리브(315e1, 315e2)는 후술하는 제2 렌즈(380)의 설치위치를 안내하고 제2 렌즈(38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리브(315e1, 315e2)를 이용한 반사판(370)과 제2 렌즈(380)의 지지구조는 도 20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2 렌즈(380)는 반사판(370)에 의해 이동경로가 전환된 가시광선빔을 굴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는, 제2 렌즈(380)는 반사판(37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 경로가 전환된 가시광선빔을 굴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2 렌즈(380)는 반사판(370)의 아래 위치로서 홀더(310)의 하면(310b)에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가시광선빔의 굴절을 위해서, 홀더(310)의 하면(310b)에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2 렌즈(380)의 하부면의 중앙에는 외부바닥면(F)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렌즈 형태의 굴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렌즈(380)의 굴절부의 아래에는 전술한 제1 투광홀(310b1)이 홀더(310)의 하면(310b)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렌즈(380)의 굴절부(381)는 제1 투광홀(310b1)과 대략 동심이 되도록 홀더(31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380)의 굴절부(381)는 제1 투광홀(310b1)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홀더(3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렌즈(380)를 통과하면서 굴절된 가시광선빔은 홀더(310)에 형성된 제1 투광홀(310b1) 및 로어프레임(200)의 수평연장부(201)에 형성된 제2 투광홀(2015)을 통과하여 외부바닥면(F)을 향해 투사될 수 있다.
제2 렌즈(3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판(370)의 지지를 위한 스토퍼리브(315e1, 315e2)에 위해서 설치위치가 안내되고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인디케이터(300)는, 홀더(310)의 개방된 상면(310a)에 결합되는 커버(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320)는, 홀더(310)의 개방된 상면(310a)을 전체적으로 덮는 상태로 커버(3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커버바디(321)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310)의 개방된 상면(310a)의 형상에 대응하여 커버바디(321)는 장방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바디(321)는 홀더(310)의 개방된 상면(310a)을 통과하여 전체적으로 홀더(31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홀더(3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커버바디(321)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에지는 홀더(310)의 내부면에 밀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310)의 내부면에 대한 접촉 면적을 높이고, 커버바디(321)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커버바디(321)는 외측 둘레면을 따라 상측방향(U-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벽 형태의 에지리브(322)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홀더(310)의 전면 상단 및 후면 상단에 구비되는 후크 형상을 갖는 다수의 걸림돌기(313)가 탈착가능하게 커버바디(321)에 결합될 수 있다.
다수의 걸림돌기(313)의 후크 결합을 위해서, 에지리브(322)에는 다수의 걸림돌기(313)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치(3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320)가 홀더(310)에 결합이 완료된 상태가 되면, 커버(320)의 상부면은 걸림돌기(313)에 걸림상태가 되어 상측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나아가, 커버(320)의 하부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홀더(310)의 전면의 내측 및 후면의 내측에 구비되는 커버지지리브(314)의 상단에 접촉된 상태가 되어 하측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바디(321)의 상면에는 상측방향(U-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에지리브(322)와 연결되는 다수의 리브가 추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310)의 내부에 수용 및 보호되는 인디케이터(300)의 기능모듈들이 상측방향(U-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원모듈(340)의 제1 회로기판(342)이 제1 슬롯(S1)에 삽입되고, 제1 렌즈(350)가 제2 슬롯(S2)에 삽입되고, LCD패널(361)이 제3 슬롯(S3)에 삽입되며, 제2 회로기판(364)이 제4 슬롯(S4)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들 제1 회로기판(342), 제1 렌즈(350), LCD패널(361) 및 제2 회로기판(364)은 커버바디(321)의 하부면에 의해서 상측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커버바디(321)의 하부면은 제1 회로기판(342), 제1 렌즈(350), LCD패널(361) 및 제2 회로기판(364)의 상측방향 이동 및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면으로 작용하게 된다.
나아가 커버바디의 하부면에는, 하측방향(D-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기능모듈 중에서 반사판(370) 및 제2 렌즈(380)의 상측방향 이동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서포트리브(3241)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서포트리브(3241)에 관한 세부 구성은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홀더의 세부 구조 및 기능모듈들의 설치 과정]
이하, 도 12 내지 26을 참조하여 홀더(310)의 세부 구조 및 각 기능모듈이 홀더(310)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2 내지 14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310)의 상면(310a)은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면(310a)이 개방된 홀더(310)의 내부에는 좌우방향(Le-Ri방향)의 폭이 상하방향 높이 및 전후방향 폭보다 훨씬 더 크게 형성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310)의 개방된 상면(310a)은 커버(320)가 탈착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커버(320)가 체결되면 내부 수용공간은 폐쇄될 수 있다.
탈착가능한 커버(320)의 체결을 위해, 인디케이터(300)가 로어프레임(200)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홀더(310)의 전면(310c)의 상단 및 후면(310d)의 상단에는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돌기(313)가 홀더(310)의 전면(310c) 및 후면(310d)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걸림돌기(313)의 상부면은 내부로 향해 진행하면서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320)의 체결 시에 커버바디(321)가 걸림돌기(313)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홀더(3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320)의 체결이 완료되면 커버바디(321)의 상부면은 걸림돌기(313)의 하부면에 걸림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걸림돌기(313)의 양측에는 걸림돌기(313)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한 쌍의 슬릿이 홀더(310)의 전면(310c) 또는 후면(310d)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는 예시적으로 홀더(310)의 후면(310d)에 슬릿이 구비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슬릿에 의해서 각각의 걸림돌기(313)가 구비되는 위치는 자유단이 될 수 있고, 커버(320)의 체결 시에 걸림돌기(313)에 소정의 탄성력이 부여될 수 있다.
한편, 홀더(310)의 전면(310c) 및 후면(310d)에는 걸림돌기(313)로부터 좌우방향(Le-Ri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커버지지리브(314)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커버지지리브(314)는 두께 및 전후방향 돌출폭이 대략 균일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홀더(310)의 전면(310c)에 배치되는 커버지지리브(314)는, 홀더(310)의 하면(310b)과 홀더(310)의 전면(310c)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홀더(310)의 후면에 배치되는 커버지지리브(314)는, 홀더(310)의 하면(310b)과 홀더(310)의 후면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홀더(310)의 내부에는 인디케이터(300)를 구성하는 다수의 기능모듈을 지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리브(315)가 홀더(310)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310)의 내부에는 광원모듈(340)의 제1 회로기판(342)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제1 슬롯(S1), 제1 렌즈(350)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제2 슬롯(S2), LCD패널(361)을 지지하고 수용하는 제3 슬롯(S3), 및 제2 회로기판(364)을 지지하고 수용하는 제4 슬롯(S4)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슬롯(S1)은 다수의 가이드리브(315) 중에서 제1 가이드리브(315a)와 홀더(310)의 좌측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리브(315a)는 홀더(310)의 좌측면(310f)에 나란하여 배치되는 장벽 형상을 갖는 리브가 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리브(315a)의 전방 단부는 홀더(310)의 전면(310c)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가이드리브(315a)의 후방 단부는 홀더(310)의 좌측면(310f)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리브(315a)의 하단은 홀더(310)의 하면(310b)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란히 배열되는 홀더(310)의 좌측면(310f)과 제1 가이드리브(315a) 사이에 제1 회로기판(342)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슬롯(S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회로기판(342)의 우측면에 실장되는 광원소자(341) 및 기타 회로소자들에 대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가이드리브(315a)는 상단이 개방된 U자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로기판(342)의 좌측면에 실장되는 제1 기판커넥터(343)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홀더(310)의 좌측면에는 상단이 개방된 U자 형태의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롯(S1)의 좌우방향 폭은 제1 회로기판(342)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회로기판(342)의 두께와 동일하게나 다소 작게 형성될 있다.
따라서 제1 회로기판(342)의 전방 에지 및 후단 에지가 부분적으로 제1 가이드리브(315a)와 홀더(310)의 좌측면 사이에 끼인 상태로 제1 회로기판(342)이 지지되고 전후방향 이동 및 좌우방향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회로기판(342)의 상하방향 이동은 홀더(310)의 하면(310b) 및 커버(320)의 커버바디(321)에 의해서 저지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슬롯(S1)의 내부에는 제1 회로기판(342)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슬롯(S2)은 제1 슬롯(S1)의 우측에 배치되며 제1 슬롯(S1)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2 슬롯(S2)은 다수의 가이드리브(315) 중에서 제1 가이드리브(315a)의 우측에 배열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리브(315b)를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가이드리브(315b)는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서로 나란하여 배치되는 장벽 형상을 갖는 리브가 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가이드리브(315b)의 전방 단부는 홀더(310)의 전면(310c)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가이드리브(315b)의 후방 단부는 홀더(310)의 후면(310d)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가이드리브(315b)의 하단은 홀더(310)의 하면(310b)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란히 배열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리브(315b) 사이에 제1 렌즈(350)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슬롯(S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렌즈(350)를 통과하는 가시광선빔에 대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2 가이드리브(315b)는 각각 상단이 개방된 U자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가이드리브(315b)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슬롯(S2)의 좌우방향 폭은 제1 렌즈(350)의 외곽 확장부(352)의 두께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슬롯(S2)의 좌우방향 폭은 제1 렌즈(350)의 외곽 확장부(352)의 두께와 동일하게나 다소 작게 형성될 있다.
따라서 제1 렌즈(350)의 확장부의 전방 에지 및 후단 에지가 부분적으로 한 쌍의 제2 가이드리브(315b) 사이에 끼인 상태로 제1 렌즈(350)가 지지되고 전후방향 이동 및 좌우방향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렌즈(350)의 상하방향 이동은 홀더(310)의 하면(310b) 및 커버(320)의 커버바디(321)에 의해서 저지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슬롯(S1)과 유사하게 제2 슬롯(S2)의 내부에는 제1 렌즈(350)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3 슬롯(S3)은 제2 슬롯(S2)의 우측에 배치되며 제2 슬롯(S2)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3 슬롯(S3)은 다수의 가이드리브(315) 중에서 제2 가이드리브(315b)의 우측에 배열되는 한 쌍의 제3 가이드리브(315c)를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3 가이드리브(315c)는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장벽 형상을 갖는 리브가 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가이드리브(315c)의 전방 단부는 홀더(310)의 전면(310c)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제3 가이드리브(315c)의 후방 단부는 홀더(310)의 후면(310d)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한 쌍의 제3 가이드리브(315c)의 후방 단부 사이로 플랫케이블(363)이 통과될 수 있도록,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3 가이드리브(315c)의 후방 단부 사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제3 가이드리브(315c)의 후방 단부 사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한 쌍의 제3 가이드리브(315c) 중에서 좌측에 배열되는 리브는 인접해 있는 제2 가이드리브(315b)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가이드리브(315c)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3 가이드리브(315c)의 하단은 홀더(310)의 하면(310b)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란히 배열되는 한 쌍의 제3 가이드리브(315c) 사이에 LCD패널(361) 및 가림판(362)을 수용하기 위한 제3 슬롯(S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LCD패널(361)을 통과하는 가시광선빔에 대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3 가이드리브(315c)는 각각 상단이 개방된 U자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가이드리브(315c)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슬롯(S3)의 좌우방향 폭은 LCD패널(361) 및 가림판(362)의 두께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LCD패널(361) 및 가림판(362)의 두께와 동일하게나 다소 작게 형성될 있다. 또한, 제3 슬롯(S3)의 형상은 LCD패널(361) 및 가림판(362)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LCD패널(361) 및 가림판(362)의 전방 에지 및 후단 에지가 부분적으로 한 쌍의 제3 가이드리브(315c) 사이에 끼인 상태로 LCD패널(361) 및 가림판(362)이 지지되고 전후방향 이동 및 좌우방향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LCD패널(361) 및 가림판(362)의 상하방향 이동은 홀더(310)의 하면(310b) 및 커버(320)의 커버바디(321)에 의해서 저지될 수 있다.
한편, 제4 슬롯(S4)은 전술한 제1 슬롯 내지 제3 슬롯(S1, S2, S3)과는 달리 홀더(310)의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Le-Ri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4 슬롯(S4)은, 장변이 홀더(310)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회로기판(364)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4 슬롯(S4)은 홀더(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4 슬롯(S4)은 홀더(310)의 후면(310d)에 인접하여 홀더(310)의 후면(310d)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4 슬롯(S4)은 다수의 가이드리브(315) 중에서 홀더(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4 가이드리브(315d)를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4 가이드리브(315d)는 장방 형상을 갖는 제2 회로기판(364)의 우측 에지와 좌측 에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결합 후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4 가이드리브(315d) 중에서 좌측에 배치되는 것은, 홀더(310)의 하면(310b)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 단일 막대형 리브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일 막대형 리브에 내부에 ㄷ자 형상이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ㄷ자 형상의 공간에 제1 회로기판(342)의 좌측 에지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4 가이드리브(315d) 중에서 우측에 배치되는 것은, 홀더(310)의 우측면(310e)으로부터 균일한 돌출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홀더(310)의 하면(310b)에 일체로 연결되는 한 쌍의 막대형 리브가 될 수 있다. 한 쌍의 막대형 리브와 홀더(310)의 우측면(310e) 사이에 ㄷ자 형상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ㄷ자 형상의 공간에 제1 회로기판(342)의 우측 에지가 수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4 가이드리브(315d)에 구비되는 ㄷ자 형상의 공간의 전후방향 폭은 제2 회로기판(364)의 두께와 동일하게나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제4 가이드리브(315d) 사이에 제2 회로기판(364)을 수용하기 위한 제4 슬롯(S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회로기판(364)의 우측 에지 및 좌측 에지가 부분적으로 한 쌍의 제4 가이드리브(315d) 사이에 끼인 상태로 제2 회로기판(364)이 지지되고 전후방향 이동 및 좌우방향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회로기판(364)의 상하방향 이동은 홀더(310)의 하면(310b) 및 커버(320)의 커버바디(321)에 의해서 저지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4 슬롯(S4)의 내부에는 제2 회로기판(364)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가이드리브(315)는. 제2 렌즈(380) 및 반사판(370)을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5 가이드리브(315e)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회로기판(342), 제1 렌즈(350), LCD패널(361) 및 제2 회로기판(364)에 형성되는 제1 슬롯 내지 제4 슬롯(S1, S2, S3, S4)에 슬라이딩 이동 방식으로 삽입 및 결합된다.
이와 유사하게 나머지 기능모듈 중에서 제2 렌즈(380)도 슬라이딩 이동 방식으로 홀더(310)에 삽입되고 결합된다.
다만,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슬롯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렌즈(380)에 노치 슬롯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가이드리브(315) 중에서 제5 가이드리브(315e)는 제2 렌즈(380)에 구비되는 노치 슬롯에 결합되어 제2 렌즈(380)의 삽입 시에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예시적으로 제5 가이드리브(315e)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제1 투광홀(310b1) 주위에 배열되는 제1 스토퍼리브(315e1), 제2 스토퍼리브(315e2) 및 제3 스토퍼리브(315e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토퍼리브(315e1)와 제2 스토퍼리브(315e2)는 전후방향(F-R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측방향(U-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막대형 리브가 될 수 있다.
제1 스토퍼리브(315e1)는, 홀더(310)의 전면(310c)과 하면(310b)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토퍼리브(315e2)는, 홀더(310)의 후면(310d)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홀더(310)의 하면(310b)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토퍼리브(315e2)와 홀더(310)의 후면(310d) 사이에는, 홀더(310)의 하면(310b)으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벽체 형상의 돌출리브(315d1)가 배치될 수 있고, 돌출리브(315d1)를 통해 제2 스토퍼리브(315e2)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돌출리브(315d1)는 제2 회로기판의 오조립방지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제1 스토퍼리브(315e1)와 제2 스토퍼리브(315e2)의 상단에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진행하면서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구배를 갖는 경사면 형태로 구비되는 제1 지지면(315e11)과 제2 지지면(315e21)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면(315e11)과 제2 지지면(315e21)은 각각 수직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반사판(37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 지지면(315e11)과 제2 지지면(315e21)의 경사 구배와 반사판(370)의 경사각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투광홀(310b1)을 사이에 두고 제1 스토퍼리브(315e1)와 제2 스토퍼리브(315e2)에 대해서 우측에 제3 스토퍼리브(315e3)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스토퍼리브(315e3)는, 제1 스토퍼리브(315e1)와 제2 스토퍼리브(315e2)와 유사하게 홀더(310)의 하면(310b)으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막대형 리브가 될 수 있다.
다만, 제3 스토퍼리브(315e3)가 돌출되는 높이는 제1 스토퍼리브(315e1)와 제2 스토퍼리브(315e2)가 돌출되는 높이보다는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토퍼리브(315e1), 제2 스토퍼리브(315e2) 및 제3 스토퍼리브(315e3)는 제2 렌즈(380)의 결합 시에 제2 렌즈(38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 제1 스토퍼리브(315e1), 제2 스토퍼리브(315e2) 및 제3 스토퍼리브(315e3)는 각각 제2 렌즈(380)에 구비되는 제1 노치 슬롯(3821a), 제2 노치 슬롯(3821b) 및 제3 노치 슬롯(3821c)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서, 제1 스토퍼리브(315e1), 제2 스토퍼리브(315e2) 및 제3 스토퍼리브(315e3)는 하측방향(D-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더(310)에는 인디케이터(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기능모듈들에 대한 지지 및 고정 구조가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홀더(310)에는 커버(320)를 위한 탈착가능한 체결구조가 일체화되어 있다.
나아가 홀더(310)에는 인디케이터(300) 자체의 고정 및 설치를 위한 구조로서 제1 연결탭(311)과 제2 연결탭(312)이 일체화되어 있다.
이를 통해, 홀더(310)의 제조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고, 인디케이터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인디케이터(300)를 구성하는 각 기능모듈이 홀더(310)에 설치되고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능모듈의 설치 순서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선후관계가 뒤바뀐 상태로 조립되는 과정도 적용 가능하다.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로기판(342)에 광원소자(341)를 포함하는 회로소자와 제1 기판커넥터(343)가 실장된 상태로 제1 회로기판(342)이 제1 슬롯(S1)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소자가 실장되는 제1 회로기판(342)의 일측면이 홀더(310)의 우측면을 향하고, 제1 기판커넥터(343)가 실장되는 타측면이 홀더(310)의 좌측면을 향해 배열되는 상태로, 제1 회로기판(342)이 제1 슬롯(S1)에 삽입되고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배열상태가 광원모듈(340)이 제1 슬롯(S1)에 정상조립되는 상태가 된다.
다만, 제1 회로기판(342)은 두께가 대체로 균일한 플레이트 형태이기 때문에, 제1 회로기판(342)이 전후면이 뒤집히거나 상하방향이 뒤집힌 상태로 조립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 슬롯(S1)의 내부에는 홀더(310)의 하면(310b)으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단차부(S11)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이, 예시적으로 제1 단차부(S11)는 홀더(310)의 전면(310c)에 근접해서 배치되거나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차부(S11)를 통해, 제1 슬롯(S1)의 하단의 전후방향 폭이 제1 슬롯(S1)의 상단의 전후방향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회로기판(342)의 전방 에지에는 제1 단차부(S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커팅부(3421)가 구비될 수 있다.
커팅부(3421)를 통해, 제1 회로기판(342)의 하단 에지의 전후방향 폭이 제1 회로기판(342)의 상단 에지의 전후방향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단차부(S11) 및 커팅부(3421)에 의해, 제1 회로기판(342)의 전후면이 뒤집히거나 상하방향이 뒤집힌 상태로 제1 슬롯(S1)에 조립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350)가 제2 슬롯(S2)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렌즈를 형성하는 굴절부가 구비되는 우측면이 홀더(310)의 우측면(310e)을 향해 배열되는 상태로, 제1 렌즈(350)가 제2 슬롯(S2)에 삽입되고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배열상태가 제1 렌즈(350)가 제2 슬롯(S2)에 정상조립되는 상태가 된다.
다만, 굴절부(351)의 외곽 테두리면을 형성하는 확장부(352)는 전후방향 두께가 대체로 균일한 플레이트 형태이기 때문에, 제1 렌즈(350)가 전후면이 뒤집히거나 상하방향이 뒤집힌 상태로 조립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 슬롯(S1)과 유사하게 제2 슬롯(S2)의 내부에는 홀더(310)의 하면(310b)으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단차부(S21)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이, 예시적으로 제2 단차부(S21)는 홀더(310)의 전면(310c)에 근접해서 배치되거나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단차부(S21)를 통해, 제2 슬롯(S2)의 하단의 전후방향 폭이 제2 슬롯(S2)의 상단의 전후방향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렌즈(350)의 확장부(352)의 전방 에지에는 제2 단차부(S2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커팅부(3521)가 구비될 수 있다.
커팅부(3521)를 통해, 제1 렌즈(350)의 하단 에지의 전후방향 폭이 제1 회로기판(342)의 상단 에지의 전후방향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렌즈(350)의 하단 에지와 상단 에지가 비대칭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단차부(S21) 및 커팅부(3521)에 의해, 제1 렌즈(350)의 전후면이 뒤집히거나 상하방향이 뒤집힌 상태로 제2 슬롯(S2)에 조립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판(362)과 플랫케이블(363)이 부착된 상태로 LCD패널(361)이 제3 슬롯(S3)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판(362)이 홀더(310)의 우측면(310e)을 향해 배열되는 상태, 그리고 플랫케이블(363)이 후방에 배치되는 상태로, LCD패널(361)이 제3 슬롯(S3)에 삽입되고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배열상태가 LCD패널(361)이 제3 슬롯(S3)에 정상조립되는 상태가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판(362) 및 플랫케이블(363)이 부착된 상태에서 LCD패널(361), 가림판(362) 및 플랫케이블(363)의 조립체는 비대칭적 형상을 갖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슬롯(S3)은 LCD패널(361), 가림판(362) 및 플랫케이블(363)의 조립체의 외형에 대응하는 비대칭적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자체로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케이블(363)의 일단은 LCD패널(361)의 후방 에지 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LCD패널(361)이 제3 슬롯(S3)에 삽입되고 결합이 완료되면, 플랫케이블(363)의 타단은 한 쌍의 제3 가이드리브(315c)의 후방 단부 사이를 통과하여 제2 회로기판(364)의 LCD패널커넥터(366)에 연결 및 접속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로기판(364)이 제4 슬롯(S4)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판커넥터(365)와 LCD패널커넥터(366)가 실장되는 일측면이 홀더(310)의 후면(310d)을 향해 배열되는 상태로, 제2 회로기판(364)이 제4 슬롯(S4)에 삽입되고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배열상태가 제2 회로기판(364)이 제4 슬롯(S4)에 정상조립되는 상태가 된다.
다만, 제2 회로기판(364)은 전후방향 두께가 대체로 균일한 플레이트 형태이기 때문에, 제2 회로기판(364)의 전후면이 뒤집히거나 상하방향이 뒤집힌 상태로 조립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 슬롯(S1) 및 제2 슬롯(S2)과 유사하게 홀더(310)의 하면(310b)으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리브(315d1)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리브(315d1)는 홀더(310)의 후면(310d)과 제2 스토퍼리브(315e2)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돌출리브(315d1)가 홀더(310)의 하면(310b)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제2 회로기판(364)의 단변의 길이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회로기판(364)의 하단 에지에는 돌출리브(315d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기판노치(364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출리브(315d1)와 기판노치(3641)는 제2 회로기판(364)의 중심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대칭적 위치에 형성되는 돌출리브(315d1)와 기판노치(3641)에 의해, 제2 회로기판(364)의 전후면이 뒤집히거나 상하방향이 뒤집힌 상태로 제4 슬롯(S4)에 조립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380)가 홀더(310)의 하면(310b)에 향해 이동되면서 조립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렌즈를 형성하는 굴절부가 구비되는 하부면이 홀더(310)의 하면(310b)을 향해 배열되는 상태로, 하측방향(D-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2 렌즈(380)가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배열상태가 제2 렌즈(380)가 홀더(310)의 하면(310b)에 정상조립되는 상태가 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렌즈(380)의 하측방향 슬라이딩 이동은 제1 스토퍼리브(315e1), 제2 스토퍼리브(315e2) 및 제3 스토퍼리브(315e3)에 의해서 안내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380)의 확장부(382)에는, 제1 스토퍼리브(315e1)가 삽입 및 결합되는 제1 노치 슬롯(3821a), 제2 스토퍼리브(315e2)가 삽입 및 결합되는 제2 노치 슬롯(3821b) 및 제3 스토퍼리브(315e3)가 삽입 및 결합되는 제3 노치 슬롯(3821c)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노치 슬롯(3821a, 3821b, 3821c)는 제1 스토퍼리브(315e1), 제2 스토퍼리브(315e2) 및 제3 스토퍼리브(315e3)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1 노치 슬롯(3821a)은 제1 렌즈(350)의 전방 에지에 형성되며 좌측 에지에 근접해서 배치될 수 있고, 제2 노치 슬롯(3821b)은 제1 렌즈(350)의 후방 에지에 형성되며 좌측 에지에 근접해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노치 슬롯(3821c)은 제2 렌즈(380)의 후방 에지에 형성되며 후방 에지의 중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굴절부(381)의 외곽 테두리면을 형성하는 확장부(382)는 상하방향 두께가 대체로 균일한 플레이트 형태이기 때문에, 제2 렌즈(380)가 상하부면이 뒤집힌 상태로 조립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2 렌즈(380)의 확장부(382)의 상부면에는 상측방향(U-방향)으로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3822a, 3822b 3822c)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다수의 돌기(3822a, 3822b 3822c)는, 제1 노치 슬롯(3821a)과 확장부(382)의 좌측 에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돌기(3822a)와, 제2 노치 슬롯(3821b)과 확장부(382)의 좌측 에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돌기(3822b)와, 확장부(382)의 우측 에지로부터 굴절부(381)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제3 돌기(382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렌즈(380)의 확장부(382)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돌기(3822a, 3822b 3822c)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렌즈(380)가 상부면과 하부면이 뒤집힌 상태로 오조립되는 경우에 굴절부(381)와 홀더(310)의 하면(310b) 사이에는 이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격에 의해서 제2 렌즈(380)가 오조립된 상태임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돌기(3822a)는 제1 노치 슬롯(3821a)의 좌측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제1 돌기(3822a)의 일측면은 제1 노치 슬롯(3821a)의 높이를 확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돌기(3822b)는 제2 노치 슬롯(3821b)의 좌측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제2 돌기(3822b)의 일측면은 제2 노치 슬롯(3821b)의 높이를 확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돌기(3822a) 및 제2 돌기(3822b)에 의해서 제1 노치 슬롯(3821a) 및 제2 노치 슬롯(3821b)의 높이가 확장됨으로써, 제1 스토퍼리브(315e1)와 제2 스토퍼리브(315e2)에 대한 접촉 면적이 확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렌즈(380)의 좌측 에지 측이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3 돌기(3822c) 중에서 내측에 배열되는 2개의 제3 돌기(3822c)는 제3 노치 슬롯(3821c)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이들은 제3 노치 슬롯(3821c)이 높이를 확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돌기(3822c)에 의해서 제3 노치 슬롯(3821c)의 높이가 확장됨으로써, 제3 스토퍼리브(315e3)에 대한 접촉 면적이 확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렌즈(380)의 우측 에지 측이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380)의 배치 및 조립이 완료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370)이 배치되고 조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판(370)은 가시광선빔의 이동경로를 수직방향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도록, 수직방향에 대해서 대략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고 지지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판(370)의 상단부는, 제1 스토퍼리브(315e1)의 상단과 제2 스토퍼리브(315e2)의 상단에 경사면 형태로 구비되는 제1 지지면(315e11)과 제2 지지면(315e21)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반사판(370)의 하단부는, 제2 렌즈(380)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렌즈(380)의 확장부(382)의 상부면에는 하측방향(D-방향)으로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3823)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홈(3823)은, 반사판(370)의 하단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이, 반사판(370)이 단순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경우에 걸림홈(3823)은 반사판(370)의 하단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전후방향에 수직한 평면을 따라 자른 단면의 형상이 L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L자 형상의 일면(3823a)은 제3 돌기(3822c)의 우측 단부를 경사면 형태로 절삭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L자 형상의 일면(3823a)은 제3 스토퍼리브(315e3)를 향해 진행하면서 상하방향 위치가 높아지는 경사 구배를 갖는 경사면이 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이 다수의 제3 돌기(3822c)가 서로 분리되어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제3 돌기(3822c)의 우측 단부에 경사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L자 형상의 일면(3823a)은 불연속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370)의 배치가 완료되면,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반사판(370)의 4개의 에지 중에서 좌측 에지가 L자 형상의 일면(3823a)과 면접촉되는 상태로 반사판(370)의 좌측 에지가 L자 형상의 일면(3823a)에 지지될 수 있다.
L자 형상의 타면(3823b)은 제3 돌기(3822c)와 굴절부(381) 사이의 확장부를 경사면 형태로 절삭한 형태로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와 같이 L자 형상의 타면(3823b)은, 반사판(370)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사판(370)의 경사각과 대략 동일한 경사 구배를 갖는 경사면이 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L자 형상의 타면(3823b)은 제1 스토퍼리브(315e1) 및 제2 스토퍼리브(315e2)를 향해 진행하면서 상하방향 위치가 높아지는 경사 구배를 갖는 경사면이 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370)의 배치가 완료되면,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반사판(370)의 하부면이 L자 형상의 타면(3823b)과 면접촉되는 상태로 반사판(370)의 하부면이 L자 형상의 타면(3823b)에 지지될 수 있다.도 23 내지 도 25에는 이와 같이, 반사판(370)과 제2 렌즈(380)의 배치 및 조립이 완료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2 렌즈(380)가 홀더(310)의 하면(310b)에 배치가 완료되면, 제2 렌즈(380)의 확장부(382)의 하부면과 홀더(310)의 하면(310b) 사이에는 면접촉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렌즈(380)와 홀더(310)의 하면(310b) 사이의 접촉 면적이 확장될 수 있고, 제2 렌즈(380)가 홀더(310)의 하면(310b)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렌즈(380)는 확장부(382)에 구비되는 제1 노치 슬롯 내지 제3 노치 슬롯(3821a, 3821b, 3821c)에 각각 제1 스토퍼리브 내지 제3 스토퍼리브(315e1, 315e2 315e3)가 삽입되어 전후방향 이동 및 좌우방향 이동이 제한되는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제1 노치 슬롯 내지 제3 노치 슬롯(3821a, 3821b, 3821c)과 제1 스토퍼리브 내지 제3 스토퍼리브(315e1, 315e2 315e3)의 공차에 의한 유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유격에 의해서 제2 렌즈(380)가 배치되는 위치가 정확하게 가이드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유격에 의한 제2 렌즈(380)의 배치 위치를 정확하게 가이드하기 위한 수단이 제2 렌즈(380)의 굴절부(381)와 홀더(310)의 제2 투광홀(310b1)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310)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2 렌즈(380)의 굴절부(381)는, 확장부(382)의 상부면에 대해서 오목하게 형성되고, 확장부(382)의 하부면에 대해서 하측방향을 향해 돌출 되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하측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굴절부(381)에는, 확장부(382)의 하부면으로부터의 돌출 두께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1 부분(3811)과, 확장부(382)의 하부면으로부터의 돌출 두께가 변화하는 제2 부분(38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3811)은, 굴절부(381)의 반경방향 외측의 에지를 형성하며 확장부(382)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 높이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돌출 높이의 변화율이 제2 부분(3812)보다는 훨씬 더 작게 유지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예시적으로 제1 부분(3811)은 반경방향 폭이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부분(3812)은, 제1 부분(3811)에 대해서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며,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진행하면서 상하방향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부분이 된다.
이와 같은 제1 부분(3811)의 형상을 통해 홀더(310)의 하부면과 굴절부(381)의 제1 부분(3811) 사이에는 소정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투광홀(310b1)은, 상대적으로 관통 직경이 더 큰 대경부(310b12)와 상대적으로 관통 직경이 더 작은 소경부(310b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대경부(310b12)는 제2 투광홀(310b1)의 상부를 형성하고, 소경부(310b11)는 제2 투광홀(310b1)의 하부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대경부(310b12)와 소경부(310b11)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투광홀(310b1)에 형성되는 단차의 형상은 제2 렌즈(380)의 굴절부(381)에 구비되는 단차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대경부(310b12)와 소경부(310b11) 사이에는 단차에 의해서 제2 렌즈(380)의 굴절부(381)의 배치 위치가 정확하게 가이드될 수 있으며, 제2 렌즈(380)의 굴절부(381)는 제1 투광홀(310b1)과 대략 동심이 되도록 홀더(310)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경부(310b12)의 내주면이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부분(3811)의 외주면이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기 때문에, 대경부(310b12)의 내주면과 제1 부분(3811)의 외주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경부(310b12)의 내주면과 제1 부분(3811)의 외주면 사이의 접촉을 통해 제2 렌즈(380)가 홀더(310)의 하면(310b)에 대한 수평방향 상대 이동이 효과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반사판(370)은 제1 스토퍼리브(315e1)와 제2 스토퍼리브(315e2)에 상단부가 단순 거치된 상태이고, 제2 렌즈(380)의 걸림홈(3823)에 하단부가 단순 거치된 상태로 지지될 뿐이다.
도시된 상태에서 상측방향 상대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사판(370)은 쉽게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사판(370)의 상측방향 이탈 및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전술한 커버(320)에 서포트리브(3241)로서 구비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리브(3241)는 커버바디(321)의 하부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서포트리브(3241)는, 상단이 커버바디(321)의 하부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하단이 반사판(370)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 서포트리브(3241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포트리브(3241a)는 전후방향 두께가 일정한 장벽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1 서포트리브(3241a)의 하단은 반사판(370)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경사 구배를 갖도록 좌우방향(Le-Ri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상하방향 높이가 가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서포트리브(3241)는 상단이 커버바디(321)의 하부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하단이 반사판(370)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서포트리브(324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서포트리브(3241b)는 좌우방향 두께가 일정한 장벽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제1 서포트리브(3241a)와 교차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26에는 예시적으로 제2 서포트리브(3241b)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반사판(370)이 설치된 상태에 대응하여, 제2 서포트리브(3241b)의 하단의 상하방향 위치는 전후방향(F-R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한 쌍의 제2 서포트리브(3241b)가 서로 좌우방향(Le-Ri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반사판(370)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한 쌍의 제2 서포트리브(3241b)의 하단의 위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서포트리브(3241a)의 하단 및 한 쌍의 제2 서포트리브(3241b)의 하단은 가상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가상의 동일 평면은 반사판(370)과 대략 평행한 관계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320)와 홀더(310)에 사이의 체결이 완료되면, 제1 서포트리브(3241a)의 하단 및 한 쌍의 제2 서포트리브(3241b)의 하단은, 반사판(370)의 상부면에 동시에 접촉하는 상태가 되거나 반사판(370)의 상부면과 소정의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나란히 배열되는 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별도의 지지부재를 추가함이 없이 반사판(370)의 상측방향 상대이동이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고, 반사판(37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구조가 달성 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와 제어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 구성]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인디케이터(300)는 제어부(100)를 통해 전기적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300)는 도어(3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메인 컨트롤러(1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기적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인 컨트롤러(101)는 제1 메인 회로기판(101a)에 실장될 수 있고, 제1 메인 회로기판(101a)은 제어박스에 구비되는 제2 메인 회로기판(102a)에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메인 회로기판(102a)에는 전술한 제2 메인 컨트롤러(102)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메인 회로기판(101a)에는, 식기세척기(1)의 전반적인 행정 진행을 제어하기 위해 전술한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버튼부와, 외부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구비되는 통신부 및 도어위치감지부(36)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300)에 구비되는 제1 회로기판(342)과 제2 회로기판(364)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홀더(310)에 배치된다.
또한, 제1 회로기판(342)과 제2 회로기판(364)은 광원소자(341) 및 LCD패널(361)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각각 제1 메인 컨트롤러(101)로부터 별도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회로기판(342)과 제2 회로기판(364)이 각각 별도로 제1 메인 컨트롤러(101)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되, 인디케이터(300)가 설치되는 다소 협소한 이격공간에 적합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제1 회로기판(342)과 제2 회로기판(364)을 일괄적으로 제1 메인 회로기판(101a)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하네스모듈(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도 9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네스모듈(330)은, 일단이 제1 회로기판(342)에 접속되는 제1 케이블과, 일단이 제2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제2 케이블(3342)과, 일단이 제1 메인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제3 케이블(3343)과, 일단이 제1 메인 회로기판(101a)에 접속되는 제4 케이블(3344)과, 제1 케이블(3341)의 타단 및 제2 케이블(3342)의 타단을 일괄적으로 홀딩하는 메인 커넥터(3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메인 커넥터(331)는, 제1 케이블(3341)의 타단과 제3 케이블(3343)의 타단 사이, 그리고 제2 케이블(3342)의 타단과 제4 케이블(3344)의 타단 사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그리고 일괄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제1 회로기판(342)과 제2 회로기판(364)에 각각 제1 단자(332)와 제2 단자(333)를 통해 접속되기 위해서 분기되어 있는 제1 케이블(3341)과 제2 케이블(3342)의 타단이 메인 커넥터(331)를 통해서 통합적으로 관리 및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다소 협소한 터브(20)와 로어프레임(200) 사이의 이격공간(SA)에 제1 케이블(3341)과 제2 케이블(3342)이 효과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인디케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시각적 이미지]
이하 도 28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인디케이터(300)에 의해 표시되는 시각적 이미지 정보의 예시를 설명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300)는 식기세척기(1)가 지지되는 외부바닥면(F)에 가시광선빔을 투사하여 식기세척기(1)의 작동 상태에 관한 소정의 정보를 시각적 이미지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외부바닥면(F)에 투사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현재 식기세척기(1)의 작동 상태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시각적 이미지는 가시광선빔이 투사되는 표시영역(A)의 내부에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이미지 정보가 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시각적 이미지는, 진행 중인 행정의 잔여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숫자 이미지(IF1), 진행 중인 행정의 진행률을 표시하는 막대 이미지(IF2), 단위 행정 또는 전체 행정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표시하는 완료 이미지(IF3), 소정의 에러가 발생하여 행정이 중단되었다는 정보를 표시하는 에러 이미지(IF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숫자 이미지(IF1)와 막대 이미지(IF2)는 함께 표시되거나 또는 각각 별개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에러 이미지(IF4)에는 발생된 에러의 종류를 표시하는 이미지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통신부를 구비하여 외부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식기세척기(1)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서버로부터 기존 이미지와 다른 새로운 이미지를 추가로 다운로드받아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저장된 이미지 및 새로 저장된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볼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세척기 10: 케이스
20: 터브 30: 도어
40: 구동부 45: 세척수펌프
50: 수납부 100: 제어부
300: 인디케이터
20: 터브 30: 도어
40: 구동부 45: 세척수펌프
50: 수납부 100: 제어부
300: 인디케이터
Claims (20)
- 외부바닥면에 가시광선빔을 투사하여 소정의 정보를 시각적 이미지로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홀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가시광선빔을 생성하는 광원모듈;
상기 광원모듈에서 생성된 가시광선빔을 굴절시키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를 통과한 가시광선빔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시각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LCD모듈;
상기 LCD모듈을 통과한 가시광선빔을 굴절시키는 제2 렌즈; 및
상기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커버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이동이 저지되는 식기세척기.
- 삭제
- 제1 항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렌즈의 이동을 저지하는 서포트리브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3 항에서,
상기 서포트리브는, 일단이 상기 커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렌즈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 제1 항에서,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LCD모듈은 상기 커버에 의해서 이동이 저지되는 식기세척기.
- 제1 항에서,
상기 홀더는, 일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 제6 항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홀더의 개방된 일면을 전체적으로 덮는 상태로 상기 커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식기세척기.
- 제7 항에서,
상기 홀더는, 상기 커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 제7 항에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홀더의 내부면에 접촉하는 장벽 형태의 에지리브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 제9 항에서,
상기 에지리브는 상기 커버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연장되는 식기세척기.
- 제6 항에서,
상기 홀더의 내부면에는 상기 커버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커버지지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지지리브는 상기 홀더의 내부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식기세척기.
- 제1 항에서,
상기 홀더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되는 식기세척기.
- 제1 항에서,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가시광선빔을 생성하는 광원소자; 및
상기 광원소자가 일측면에 실장되는 회로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소자는, 단일 LED소자만으로 구성되는 식기세척기.
- 제1 항에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LCD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LCD모듈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 제14 항에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LCD모듈과 상기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랫케이블;
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4 항에서,
상기 가시광선빔이 통과하는 영역을 제한하는 가림판;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6 항에서,
상기 가림판은, 상기 가시광선이 통과하는 원형 홀을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 제1 항에서,
상기 인디케이터가 부착 및 고정되며, 금속 재질을 갖는 판상의 프레임;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일단이 상기 홀더의 외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단부가 되며, 타단은 자유단부가 되는 연결탭;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8 항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연결탭이 삽입 결합되는 슬릿 형상의 삽입홀을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 제19 항에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프레임을 부분적으로 돌출 변형시켜 형성되는 포밍부에 관통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9106A KR102704804B1 (ko) | 2022-11-24 | 2023-04-14 | 식기세척기 |
KR1020240119897A KR20240136291A (ko) | 2022-11-24 | 2024-09-04 | 식기세척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8926A KR20240076959A (ko) | 2022-11-24 | 2022-11-24 | 식기세척기 |
KR1020230049106A KR102704804B1 (ko) | 2022-11-24 | 2023-04-14 | 식기세척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8926A Division KR20240076959A (ko) | 2022-11-24 | 2022-11-24 | 식기세척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19897A Division KR20240136291A (ko) | 2022-11-24 | 2024-09-04 | 식기세척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77382A KR20240077382A (ko) | 2024-05-31 |
KR102704804B1 true KR102704804B1 (ko) | 2024-09-06 |
Family
ID=8896519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8926A KR20240076959A (ko) | 2022-11-24 | 2022-11-24 | 식기세척기 |
KR1020230049106A KR102704804B1 (ko) | 2022-11-24 | 2023-04-14 | 식기세척기 |
KR1020240119897A KR20240136291A (ko) | 2022-11-24 | 2024-09-04 | 식기세척기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8926A KR20240076959A (ko) | 2022-11-24 | 2022-11-24 | 식기세척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19897A KR20240136291A (ko) | 2022-11-24 | 2024-09-04 | 식기세척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172916A1 (ko) |
EP (1) | EP4374765A1 (ko) |
KR (3) | KR20240076959A (ko) |
AU (1) | AU2023270289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320345A1 (en) * | 2010-03-01 | 2012-12-20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Projector and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such a projector |
US20210038051A1 (en) * | 2019-08-08 | 2021-02-11 |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 Information light system and a dishwasher compri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1081334A1 (de) * | 2011-05-24 | 2012-11-29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Projektionseinrichtung in ihrem Sockel |
KR101668922B1 (ko) * | 2014-12-24 | 2016-10-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
DE102018213979A1 (de) * | 2018-08-20 | 2020-02-20 | BSH Hausgeräte GmbH | Haushaltsgerät mit einer Projektionsvorrichtung |
KR20200011505A (ko) * | 2020-01-14 | 2020-0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식기세척기 |
US11602059B2 (en) * | 2020-01-18 | 2023-03-07 | True Manufacturing Co., Inc. |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detachable electronics module |
-
2022
- 2022-11-24 KR KR1020220158926A patent/KR20240076959A/ko unknown
-
2023
- 2023-04-14 KR KR1020230049106A patent/KR10270480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11-22 US US18/517,842 patent/US20240172916A1/en active Pending
- 2023-11-23 AU AU2023270289A patent/AU2023270289A1/en active Pending
- 2023-11-23 EP EP23211856.2A patent/EP4374765A1/en active Pending
-
2024
- 2024-09-04 KR KR1020240119897A patent/KR20240136291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320345A1 (en) * | 2010-03-01 | 2012-12-20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Projector and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such a projector |
US20210038051A1 (en) * | 2019-08-08 | 2021-02-11 |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 Information light system and a dishwasher compri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36291A (ko) | 2024-09-13 |
EP4374765A1 (en) | 2024-05-29 |
KR20240076959A (ko) | 2024-05-31 |
KR20240077382A (ko) | 2024-05-31 |
US20240172916A1 (en) | 2024-05-30 |
AU2023270289A1 (en) | 2024-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98534B2 (en) | Household appliance | |
RU2462172C2 (ru) |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с удобным блоком управления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 |
US20080163904A1 (en) | Nozzle Structure of Dish Washer | |
KR20160103888A (ko) | 세탁기 | |
RU2324778C2 (ru) | Устройство панели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бытовой машины | |
EP1847209B1 (en) | Dispenser rinse system and method for a drawer-type dishwasher | |
KR102704804B1 (ko) | 식기세척기 | |
US10076227B2 (en) | Dishwasher | |
US20230062504A1 (en) | Dishwasher | |
US20220142450A1 (en) | Dishwasher | |
US20220142451A1 (en) | Dishwasher | |
KR102633902B1 (ko) | 식기세척기 | |
KR102727756B1 (ko) | 식기세척기 | |
KR102627641B1 (ko) | 식기세척기 | |
US12011133B2 (en) | Retention clip for a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 |
EP4205623A1 (en) | Dishwasher | |
US8613289B2 (en) | Dishwasher with a reinforcement member | |
KR20230103443A (ko) | 식기세척기 | |
KR20240057208A (ko) | 식기 세척기 | |
JPH11197084A (ja) | 食器洗い機 | |
KR20230130908A (ko) | 식기세척기 | |
JP2007111348A (ja) | 食器洗浄機 | |
CN115486774A (zh) | 一种抽屉式洗碗机 | |
JPH0759989A (ja) | 洗濯機 | |
JP2001079167A (ja) | 遊技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