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8558B1 -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 - Google Patents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8558B1 KR102698558B1 KR1020230044008A KR20230044008A KR102698558B1 KR 102698558 B1 KR102698558 B1 KR 102698558B1 KR 1020230044008 A KR1020230044008 A KR 1020230044008A KR 20230044008 A KR20230044008 A KR 20230044008A KR 102698558 B1 KR102698558 B1 KR 1026985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 blocking
- delete delete
- strength
- block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6010003645 Atop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08000026935 allergic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10052704 rad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SYUHGPGVQRZVTB-UHFFFAOYSA-N radon atom Chemical compound [Rn] SYUHGPGVQRZVTB-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group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653 Carica parvifl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43321 Cnid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8691 Cupress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438 Dermatitis atopi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97 Sick building syndrom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937 atopic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11 extrinsic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94 fiberbo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23 metal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93 paper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은 합성수지재로써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차음부재와, 상기 제 1 차음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강도보강부재와, 상기 강도보강부재 내부에서 상기 제 1 차음부재를 대면하도록 배치되며, 합성수지재로써 형성되는 제 2 차음부재와, 상기 제 2 차음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직사삭 형상의 제 2 강도보강부재와, 상기 제 2 강도보강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직사각 형상의 입자차단부재와, 상기 입자차단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직사각 형상의 마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강도보강부재는 직사각형 틀의 형태로 형성되되, 네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2 차음부재는 상기 네 개의 영역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마감부재는 천연목재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라돈이나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물질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킴으로써,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발생되는 층간소음이나 진동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시공과 취급 과정에서 작용될 수 있는 외력에 의한 파손과 변형을 방지하고, 다양한 천연성분들을 포함하여 친환경적으로 구성됨으로써, 아토피나 천식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라돈이나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물질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킴으로써,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발생되는 층간소음이나 진동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시공과 취급 과정에서 작용될 수 있는 외력에 의한 파손과 변형을 방지하고, 다양한 천연성분들을 포함하여 친환경적으로 구성됨으로써, 아토피나 천식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 패널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소음과 진동을 완충시키고,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천연성분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에 관한 발명이다.
종래, 건축물의 내부 공간을 마감하기 위해 주로 벽지들이 이용되었다.
그런데, 벽지의 경우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유해물질을 방출할 수 있고, 콘크리트로부터 방출되는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효과가 매우 약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벽지는 건축물의 벽면을 통해 전달되는 소음이나 진동에 대한 완충효과를 전혀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목재를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건축용 패널들이 개발 보급되고 있다.
상기 목재로써 원목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원목의 경우 가공과 취급이 어렵고 가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건축용 패널로써는 주로 합판이나 MDF(Medium Density Fiberboard)로 불리는 합성목재 패널 또는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합판이나 MDF의 경우, 상면과 하면에 인조 목재재질을 배치한 상태에서, 그 사이 공간에 보강재를 삽입하는 구조로 구성되는데, 상기 보강재로는 주로 폐지를 압축 가공한 것을 사용하고 있어, 상하면과 보강재 사이가 들뜨고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합판이나 MDF는 목질이 갖는 미적요소를 가미하기 위하여, 그 표면을 도색하거나 목재 형태의 시트를 접착하는 실정이라, 화재에 취약하고 유해가스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파티클 보드는 접착제로써 목재 파쇄편들을 접착하므로, 뒤틀림이나 휨 특성에서 원목보다 우수하지만, 접착제에 포름알데히드 성분이 함유는 점과, 재활용이 어려워 폐기시 환경문제를 야기시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합성목재로 이루어진 패널은 대부분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유해성분을 함유하는 도료에 의해 마감 도장이 이루어져 있어,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유해성 유기물질들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은 새집증후군이나 아토피성 피부염과 천식 등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키도록 구성되는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천연성분들을 포함하여 친환경적으로 구성되는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은 합성수지재로써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차음부재와, 상기 제 1 차음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강도보강부재와, 상기 강도보강부재 내부에서 상기 제 1 차음부재를 대면하도록 배치되며, 합성수지재로써 형성되는 제 2 차음부재와, 상기 제 2 차음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직사각 형상의 제 2 강도보강부재와, 상기 제 2 강도보강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직사각 형상의 입자차단부재와, 상기 입자차단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직사각 형상의 마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강도보강부재는 직사각형 틀의 형태로 형성되되, 네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2 차음부재는 상기 네 개의 영역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마감부재는 천연목재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차음부재에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차음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관통공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차음부재에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차음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관통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차음부재의 양면에는 상기 제 1 관통공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오목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차음부재의 양면에는 상기 제 2 관통공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 2 오목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차음부재 상에 상기 제 2 차음부재가 겹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1 관통공의 사이사이에 상기 제 2 관통공들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차음부재와 상기 제 2 강도보강부재 사이에 제 3 차음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제 3 차음부재의 양면에는 격자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공과 제 2 관통공은 상기 마감부재를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절두원추 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차음부재는 발포된 합성수지재를 압축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공과 제 1 오목부에는 상기 제 1 차음부재와는 다른 탄력성을 갖는 제 1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관통공과 제 2 오목부에는 상기 제 2 차음부재와는 다른 탄력성을 갖는 제 2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충진재는 제 1 충진재 보다 더욱 탄력적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자차단부재 내부에는 보강재가 배치되며, 상기 보강재는 금속재 망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재 망체는 복수의 금속사들을 꼬아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금속사들 사이에는 상기 입자차단부재를 형성하는 성분이 침입될 수 있는 침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사의 내부에는 상기 입자차단부재를 형성하는 성분이 침입될 수 있는 침입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자차단부재는 황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자차단부재는 탄산칼슘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자차단부재는 소금과 식물성 전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자차단부재는 목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자차단부재는 산호칼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산칼슘분말은 250℃ 내지 300℃로 가열된 후 상온으로 냉각된 상태에서 혼합된다.
본 발명에 의해,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라돈이나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물질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킴으로써,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발생되는 층간소음이나 진동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시공과 취급 과정에서 작용될 수 있는 외력에 의한 파손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천연성분들을 포함하여 친환경적으로 구성됨으로써, 아토피나 천식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건축용 패널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차음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차음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제 1 차음부재와 제 2 차음부재가 겹쳐진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6 은 상기 제 1 차음부재와 제 2 차음부재가 겹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자차단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8 은 상기 입자차단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9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강부재에 포함되는 금속사의 사시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건축용 패널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차음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차음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제 1 차음부재와 제 2 차음부재가 겹쳐진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6 은 상기 제 1 차음부재와 제 2 차음부재가 겹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자차단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8 은 상기 입자차단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9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강부재에 포함되는 금속사의 사시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건축용 패널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차음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차음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제 1 차음부재와 제 2 차음부재가 겹쳐진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6 은 상기 제 1 차음부재와 제 2 차음부재가 겹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자차단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8 은 상기 입자차단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9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강부재에 포함되는 금속사의 사시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과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은 합성수지재로써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차음부재(10)와, 상기 제 1 차음부재(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강도보강부재(20)와, 상기 강도보강부재(20) 내부에서 상기 제 1 차음부재(10)를 대면하도록 배치되며, 합성수지재로써 형성되는 제 2 차음부재(30)와, 상기 제 2 차음부재(30) 상부에 배치되는 직사삭 형상의 제 2 강도보강부재(50)와, 상기 제 2 강도보강부재(50)의 상부에 배치되는 직사각 형상의 입자차단부재(70)와, 상기 입자차단부재(70)의 상부에 배치되는 직사각 형상의 마감부재(9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강도보강부재(20)는 직사각형 틀의 형태로 형성되되, 네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2 차음부재(30)는 상기 네 개의 영역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마감부재(90)는 천연목재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차음부재(10)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패널이 시공되는 벽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일차적으로 완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 1 차음부재(10)는 탄력성 있는 합성수지재로써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차음부재(10)는 발포된 우레탄 폼을 압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우레탄 소재를 발포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수많은 기공들에 의해, 벽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키고, 소음에 대한 상쇄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차음부재(10)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강도보강부재(20)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강도보강부재(20)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써 직사각형 틀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강도보강부재(20)에는 네 개의 영역들이 분할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강도보강부재(20)가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써 사각의 틀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제 2 차음부재(30)를 수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소음과 진동 차단 효과를 높이면서도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강도보강부재(20)가 지지력을 발휘하는 뼈대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패널의 지지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제 2 차음부재(30)는 틀의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강도보강부재(20) 내부에서 분할된 상기 네 개의 영역에 각각 삽입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 2 차음부재(30)는 상기 강도보강부재(2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차음부재(10)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차음부재(30) 역시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재를 발포시킨 후 압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차음부재(10)에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차음부재(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관통공(12)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관통공(12)들은 상기 제 1 차음부재(10)를 전면으로부터 배면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대략 상기 제 1 차음부재(10)의 전체 면적에 걸쳐 복수의 행과 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차음부재(10)의 양면에는 상기 제 1 관통공(12)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오목부(14)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오목부(14)들은 상기 제 1 관통공(12)들을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오목부(14)들은 상기 제 1 차음부재(10)의 전면과 배면 모두에 형성된다.
그리하여, 벽면으로부터 전달된 진동과 소음이 상기 제 1 관통공(12)을 통해 상기 제 1 오목부(14)들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차음부재(30)에도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차음부재(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관통공(32)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차음부재(30)의 양면에도 상기 제 2 관통공(32)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 2 오목부(34)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차음부재(10)로부터 전달된 진동과 소음이 상기 제 2 관통공(32)을 통해 상기 제 2 오목부(34)들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차음부재(10) 상에 상기 제 2 차음부재(30)가 겹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관통공(12)들의 사이사이에 상기 제 2 관통공(32)들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차음부재(10)와 제 2 차음부재(30)에서 상기 제 1 관통공(12)들과 제 2 관통공(32)들은 동일한 피치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 1 관통공(12)들과 제 1 오목부(14)들이, 상기 제 2 관통공(32)들 및 제 2 오목부(34)들과는 서로 어긋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차음부재(10)의 제 1 관통공(12)으로 유입된 소음과 진동 파동은, 상기 제 1 오목부(14)들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차음부재(30)에 의해 감쇄되고, 상기 제 1 오목부(14)로 유동되는 소음과 진동 파동이, 상기 제 2 관통공(32)으로 유입된 후 상기 제 2 오목부(34)로 유동됨으로써 감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 1 차음부재(10)로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의 파동이, 상기 제 1, 2 차음부재(10, 30)에 수직한 방향 즉, 실내 공간을 향하여 곧장 전파되기 보다는 상기 제 1, 2 관통공(12, 32)들을 통해 상기 제 1, 2 오목부(14, 34)들로 안내 유동됨으로써 감쇄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관통공(12)과 제 2 관통공(32)은 상기 마감부재(90)를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절두원추 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2 관통공(12, 32)들이 마치 머플러와 같은 단면 형태가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소음과 진동 파동이 상기 제 1, 2 관통공(12, 32) 내부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쇄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관통공(12)과 제 1 오목부(14)에는 상기 제 1 차음부재(10)와는 다른 탄력성을 갖는 제 1 충진재(16)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충진재(16)는 상기 제 1 차음부재(10) 보다 높은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관통공(32)과 제 2 오목부(34)에도 상기 제 2 차음부재(30)와는 다른 탄력성을 갖는 제 2 충진재(36)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충진재(36) 역시 상기 제 2 차음부재(30) 보다는 높은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2 차음부재(10, 30)가 발포된 우레탄 폼을 압축하여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2 충진재(16, 36)는 압축되지 않은 발포된 우레탄 폼으로 형성되거나 재질 자체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2 충진재(16, 36)들이 상기 제 1, 2 차음부재(10, 30)들보다 높은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소음과 진동 파동이 상기 제 1, 2 관통공(12, 32)들과 제 1, 2 오목부(14, 34)들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완충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충진재(36)는 제 1 충진재(16) 보다 더욱 탄력적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충진재(16)를 통과한 소음과 진동의 파동이, 더욱 큰 탄력성을 갖는 상기 제 2 충진재(36)에 의해 감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차음부재(30) 상부에는 직사각 형상의 제 2 강도보강부재(50)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강도보강부재(50)는 얇은 두께의 합성수지재 패널 또는 석고보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2 강도보강부재(50)와 제 1 강도보강부재(2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전체 패널의 지지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강도보강부재(50)의 상부에는 직사각 형상의 입자차단부재(70)가 배치된다.
상기 입자차단부재(70)는 시멘트와 황토를 포함하여 직사각형의 패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자차단부재(70)는 시멘트와 황토를 40 대 60 정도의 비율로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자차단부재(70)를 통해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물질이 실내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입자차단부재(70)가 황토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황토 내에 형성되는 풍부한 기공을 통해 상기 유해물질의 흡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입자차단부재(70)를 통한 유해물질 흡착성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입자차단부재(70)는 5 내지 10 중량부의 목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자차단부재(70)는 2 내지 5 중량부의 소금과 2 내지 3 중량부의 식물성 전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소금 성분에 의해 항균 성능을 높이면서도, 상기 식물성 전분을 혼합함으로써, 시멘트의 혼합 비율을 낮추면서도 상기 입자차단부재(70)를 형성하기 위한 여러 성분들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자차단부재(70)는 2 내지 5 중량부의 탄산칼슘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분말은 다공질로서 흡수성이 우수하며 마모율이 낮은 성질이 있다.
상기 탄산칼슘분말은 다공질성으로 인해 비표면적과 공극률이 커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지며, 주변의 습도가 높으면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다.
여기서, 상기 탄산칼슘분말은 250℃ 내지 300℃로 가열된 후 상온으로 냉각된 상태에서 혼합된다.
상기 탄산칼슘분말을 상기 온도 범위로 가열함으로써, 탄산칼슘분말의 기공 내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입자차단부재(70)를 형성하는 다른 성분들과 혼합되도록 하여 성분들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자차단부재(70)는 1 내지 2 중량부의 산호칼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호칼슘은 산호에서 추출한 칼슘으로서, 산호에 의해 한번 소화된 성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산호칼슘은 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 칼슘으로서, 칼슘 섭취를 위한 각종 건강보조식품의 원료로 이용될 정도로 친환경적인 원료이다.
도 7 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자차단부재(70) 내부에 보강재(80)가 배치된다.
상기 보강재(80)는 철사와 같은 단위 금속사(82)들을 도 8 에서와 같이 꼬은 상태에서,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역어 망체로 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금속사(82)들을 꼬는 과정에서, 상기 금속사(82)들의 사이에는, 상기 입자차단부재(70)를 형성하는 성분들이 침입할 수 있는 침입부(84)가 공간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는, 도 9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가티, 상기 금속사(82)의 내부에 상기 입자차단부재(70)를 형성하는 성분들이 침입할 수 있는 침입개구(86)들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망체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보강재(80)의 내부에 침입부(84)를 형성하거나, 단위 금속사(82)의 내부에 침입개구(86)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입자차단부재(70)를 형성하는 성분들이 상기 침입부(84) 또는 침입개구(86) 내부로 침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재(80)와 결합되므로, 상기 보강재(80)에 의한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차음부재(30)와 상기 제 2 강도보강부재(50) 사이에 제 3 차음부재(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차음부재(40)는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를 발포시킨 상태에서 압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차음부재(40)의 양면에는 격자 형태의 오목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2 차음부재(30)의 제 2 관통공(32)과 제 2 오목부(34)로 유동된 소음과 진동의 파동이 상기 제 3 차음부재(40)에 의해 차단되면서, 상기 제 3 차음부재(40)의 표면에 형성되는 오목부들로 유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3 차음부재(40) 표면에 형성되는 오목부들에 의해, 상기 제 3 차음부재(40)와 제 2 강도보강부재(50) 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소음과 진동의 파동이 상기 제 2 강도보강부재(50)를 통해 실내로 전달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자차단부재(70)의 상부에는 직사각 형상의 마감부재(90)가 배치된다.
상기 마감부재(90)는 편백나무와 같은 천연목재로써 사각형 패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천연 목재로 형성되는 상기 마감부재(90)가 실내 공간으로 배치됨으로써, 천연 목재가 가지는 장점들에 따른 효과를 실내 공간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된 "포함된다" 또는 "구성된다" 의 용어는 해당 구성 요소가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외 다른 구성 요소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 1 차음부재
20: 제 1 강도보강부재
30: 제 2 차음부재
40: 제 3 차음부재
50: 제 2 강도보강부재
70: 입자차단부재
80: 보강재
90: 마감부재
20: 제 1 강도보강부재
30: 제 2 차음부재
40: 제 3 차음부재
50: 제 2 강도보강부재
70: 입자차단부재
80: 보강재
90: 마감부재
Claims (22)
- 합성수지재로써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차음부재와;
상기 제 1 차음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강도보강부재와;
상기 제 1 강도보강부재 내부에서 상기 제 1 차음부재를 대면하도록 배치되며, 합성수지재로써 형성되는 제 2 차음부재와;
상기 제 2 차음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직사각 형상의 제 2 강도보강부재와;
상기 제 2 강도보강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직사각 형상의 입자차단부재와;
상기 입자차단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직사각 형상의 마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강도보강부재는 직사각형 틀의 형태로 형성되되, 네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2 차음부재는 상기 네 개의 영역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마감부재는 천연목재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 1 차음부재와 제 2 차음부재는 발포된 합성수지재로써 형성되며,
상기 제 1 차음부재에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차음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관통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차음부재에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차음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관통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차음부재의 양면에는 상기 제 1 관통공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오목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차음부재의 양면에는 상기 제 2 관통공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 2 오목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차음부재 상에 상기 제 2 차음부재가 겹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1 관통공의 사이사이에 상기 제 2 관통공들이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차음부재와 상기 제 2 강도보강부재 사이에는 발포된 합성수지재를 압축하여 형성되는 제 3 차음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제 3 차음부재의 양면에는 격자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공과 제 2 관통공은 상기 마감부재를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절두원추 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관통공과 제 1 오목부에는 상기 제 1 차음부재와는 다른 탄력성을 갖는 제 1 충진재가 충진되고,
상기 제 2 관통공과 제 2 오목부에는 상기 제 2 차음부재와는 다른 탄력성을 갖는 제 2 충진재가 충진되며,
상기 제 2 충진재는 제 1 충진재 보다 더욱 탄력적인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입자차단부재는 시멘트를 포함하여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에는 보강재가 배치되며,
상기 보강재는 복수의 철사들을 꼬은 상태에서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엮은 망체로 구성되며,
상기 철사의 내부에는 상기 입자차단부재를 형성하는 성분이 침입될 수 있는 침입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자차단부재는 탄산칼슘분말과 식물성 전분을 포함하며,
상기 탄산칼슘분말은 250℃ 내지 300℃로 가열된 후 상온으로 냉각된 상태에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사들 사이에는 상기 입자차단부재를 형성하는 성분이 침입될 수 있는 침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차단부재는 소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차단부재는 황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차단부재는 목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차단부재는 산호칼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4008A KR102698558B1 (ko) | 2023-04-04 | 2023-04-04 |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4008A KR102698558B1 (ko) | 2023-04-04 | 2023-04-04 |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98558B1 true KR102698558B1 (ko) | 2024-08-28 |
Family
ID=9259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4008A KR102698558B1 (ko) | 2023-04-04 | 2023-04-04 |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855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8379A (ko) * | 1994-11-13 | 1996-06-17 | 이상호 | 단열 및 차음(遮音) 효과개선을 위한 온돌바닥 완충패널단위체 구조 |
KR200382999Y1 (ko) * | 2005-01-27 | 2005-04-28 | (주)동성에스엔피 | 소음 방지재 |
KR20080084460A (ko) * | 2007-03-16 | 2008-09-19 | 고혜미 | 건축용 내 외장 패널 및 패널 제조 방법 |
KR102030071B1 (ko) * | 2019-02-28 | 2019-10-08 |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 공동주택용 방음내장재 |
JP2021514302A (ja) * | 2018-02-16 | 2021-06-10 | ▲蘇▼州▲紅▼泥新材料科技有限公司 | 浸透塗布のサンドイッチ壁紙及びその製造方法 |
-
2023
- 2023-04-04 KR KR1020230044008A patent/KR1026985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8379A (ko) * | 1994-11-13 | 1996-06-17 | 이상호 | 단열 및 차음(遮音) 효과개선을 위한 온돌바닥 완충패널단위체 구조 |
KR200382999Y1 (ko) * | 2005-01-27 | 2005-04-28 | (주)동성에스엔피 | 소음 방지재 |
KR20080084460A (ko) * | 2007-03-16 | 2008-09-19 | 고혜미 | 건축용 내 외장 패널 및 패널 제조 방법 |
JP2021514302A (ja) * | 2018-02-16 | 2021-06-10 | ▲蘇▼州▲紅▼泥新材料科技有限公司 | 浸透塗布のサンドイッチ壁紙及びその製造方法 |
KR102030071B1 (ko) * | 2019-02-28 | 2019-10-08 |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 공동주택용 방음내장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93628A (ko) | 건축용 방음 방진 패널 및 시공방법 | |
KR101477783B1 (ko) |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 |
US3111188A (en) | Acoustical tile | |
KR102698558B1 (ko) | 친환경 소음차단 건축용 패널 | |
US3122216A (en) | Acoustical ceiling panels | |
KR101323476B1 (ko) | 건물용 층간소음 방지재와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방지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444674B1 (ko) | 숯이 내장된 건축용 흡음재 및 흡음 도어 | |
CA3074528A1 (en) | Dimensionally stable building panel | |
JP2009209542A (ja) | 複合繊維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箱型構造体 | |
CN212078507U (zh) | 一种高强度防潮隔音复合板 | |
JPH08105192A (ja) | 床部の防振兼遮音装置 | |
JPS6329768Y2 (ko) | ||
JP2010031599A (ja) | 床衝撃音低減材、住環境改善建築構造および住環境改善化工法 | |
KR20140113068A (ko) |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
JPH0626127A (ja) | 建築用板 | |
CN110181884B (zh) | 全频声学控制模块 | |
KR100977168B1 (ko) | 층간 소음 방지용 탄성 바닥재 | |
KR101207975B1 (ko) | 숯이 내장된 건축용 흡음재 | |
JP4542373B2 (ja) | 壁面家具装置 | |
JPH0355705Y2 (ko) | ||
JP2009035925A (ja) | 建物の防音システム | |
JPH08156173A (ja) | 建材用パネル | |
KR100927358B1 (ko) |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 |
KR200322187Y1 (ko) | 공동주택의 층간 충격진동흡음판넬 | |
JPS6351549A (ja) | 遮音用建築部材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