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97179B1 - 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 - Google Patents

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7179B1
KR102697179B1 KR1020230185046A KR20230185046A KR102697179B1 KR 102697179 B1 KR102697179 B1 KR 102697179B1 KR 1020230185046 A KR1020230185046 A KR 1020230185046A KR 20230185046 A KR20230185046 A KR 20230185046A KR 102697179 B1 KR102697179 B1 KR 102697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elevator
floor
are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5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121157A (en
Inventor
이상현
이승용
서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엇
Priority to KR1020230185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7179B1/en
Publication of KR20240121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11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7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7179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B25J9/1697Vision controll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20Control system inputs
    • G05D1/24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 G05D1/246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using environment maps, e.g. simultaneous localisation and mapping [SLA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60Intended control result
    • G05D1/617Safety or protection, e.g. defining protection zones around obstacles or avoiding hazards
    • G05D1/622Obstacle avo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5Transportation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 승하강 및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 및 건물 내에 설치된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운용에 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와 자율 주행 로봇 간의 통신 연동을 통해 구현되는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하여 층간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하차 상황에서의 안정성 및 효율성 확립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floor movement operation system of an autonomous driving robot, which is implemented through communication linkage between an elevator control module installed in an elevator and controlling floor selection, boarding/disembarking, and door opening/closing of the elevator; and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that performs integrated control of the operation of each elevator installed in a building; and an autonomous driving robo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ology for achieving stability and efficiency in an elevator boarding/disembarking situation of a robot in a process of performing inter-floor movement in conjunction with the elevator system of a building.

Description

층간 이동 자율 주행 로봇 운용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

본 발명은 건물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하여 층간 이동을 수행하는 자율 주행 로봇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하차 상황에서의 안정성 및 효율성 확립을 달성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ous driving robot operation system that performs inter-floor movement in conjunction with a building's elevator system, and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can achieve stability and efficiency in situations where a robot gets on or off an elevator.

최근 들어, 심부름 서비스, 배송 서비스, 청소 서비스, 안내 서비스 등의 수행(대행)을 목적으로 한 자율 주행형 서비스 로봇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건물 내의 위치 및 장소에 제한됨이 없이 전술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로봇이 엘리베이터에 탑승하여 자율적으로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필연적으로 적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이 건물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하여 층간 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Recently, autonomous service robot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acting on behalf of) errand services, delivery services, cleaning services, and guide services. Meanwhile, in order to provide the aforementioned service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location and location within a building, technology that allows service robots to ride in an elevator and move autonomously between floors is inevitably applied. Accordingly, technology is required that allows autonomous service robots to stably move between floors by linking with the building's elevator system.

한국특허등록 제10-1523268호 (2015년 5월 20일 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23268 (registered on May 20, 2015) 한국특허공개 제10-2022-0161705호 (2022년 12월 7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161705 (published on December 7, 2022) 한국특허공개 제10-2022-0169667호 (2022년 12월 28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169667 (published on December 28, 2022)

본 발명은 건물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하여 층간 이동을 수행하는 자율 주행 로봇 운용 시스템으로서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하차 상황에서의 안정성 및 효율성 확립을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for providing an autonomous driving robot operating system that performs inter-floor movement in conjunction with a building's elevator system, which can achieve stability and efficiency in situations where the robot gets on and off an elevato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 승하강 및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 및 건물 내에 설치된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운용에 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와 자율 주행 로봇 간의 통신 연동을 통해 구현되는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하여 층간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하차 상황에서의 안정성 및 효율성 확립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operating an inter-floor movement of an autonomous driving robot, which is implemented through communication linkage between an elevator control module installed in an elevator and controlling floor selection, boarding/disembarking, and door opening/closing of the elevator; and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that performs integrated control of the operation of each elevator installed in a building; and an autonomous driving robot. The system provides a technology for establishing stability and efficiency in an elevator boarding/disembarking situation of a robot in a process of performing inter-floor movement in conjunction with the elevator system of a build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이동 자율 주행 로봇 운용 시스템에 의하면, 건물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하여 층간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하차 상황에서의 안정성 및 효율성 확립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ter-floor movement autonomous driving robot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inter-floor movement in conjunction with the elevator system of a building,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establishing stability and efficiency in situations where the robot gets on and off an eleva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자율 주행 로봇의 승차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FIG. 1 is a drawing for generally explaining an inter-floor movement operation system of an autonomous driv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boarding process of an autonomous driving robo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ter-floor movement operation system of FIG. 1.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s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identifier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may also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ompon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rather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includ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par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this means that it can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 전반][Overall interfloor movement operation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for generally explaining an inter-floor movement operation system of an autonomous driv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 승하강 및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 및 건물 내에 설치된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운용에 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와 자율 주행 로봇(100) 간의 통신 연동을 통해 구현된다.Referring to FIG. 1, the inter-floor movement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hrough communication linkage between an elevator control module (200) installed in an elevator and controlling floor selection, boarding/descent, and door opening/closing of the elevator;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300) that performs integrated control of the operation of each elevator installed in a building; and an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이때,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와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 간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동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와 자율 주행 로봇(100) 간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동될 수 있으며, 자율 주행 로봇(100)과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 간은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 등)을 통해 통신 연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300) and the elevator control module (200) can be communicated and link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300) and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can be communicated and link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and the elevator control module (200) can be communicated and link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g., BLE (Bluetooth low energy) beacon, etc.).

자율 주행 로봇(100)은, 통신부(110)(예를 들어, LTE/5G 등의 무선통신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 센서부(120); 맵 저장부(130); 자율 주행부(140); 제어부(150); 출력부(160)(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 음성/음향 출력 모듈 등); 메모리(1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율 주행 로봇(100)은 맵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주행환경지도에 의해 설정된 주행경로를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하며, 이러한 자율 주행 과정에서 센서부(120)를 통한 장애물 감지 및 회피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센서부(120)로는 LiDAR 센서, IMU 센서, IR(Infrared)센서, 이미지센서, 초음파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자율 주행 로봇(100)은 엘리베이터와 연동한 층간 이동을 위해, 출발층 정보 및 도착층 정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로 무선 전송한다.The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e.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LTE/5G,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etc.); a sensor unit (120); a map storage unit (130); an autonomous driving unit (140); a control unit (150); an output unit (160) (e.g., a display module, a voice/sound output module, etc.); a memory (170), etc. Accordingly,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performs autonomous driving along a driving route set by a driving environment map pre-stored in the map storage unit (130), and performs obstacle detection and avoidance operations through the sensor unit (120) during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a LiDAR sensor, an IMU sensor, an IR (Infrared) sensor, an image sensor, an ultrasonic sensor, etc. In addition,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wirelessly transmits an elevator call signal including departure floor information and arrival floor information to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300) for interfloor movement in conjunction with the elevator.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며, 통신부(210)(이 역시, 유무선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음); 승강기 제어부(220); 층 감지 모듈(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승강기 제어부(220)는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 승하강 및 도어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여기서, 층 감지 모듈(230)은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과 독립적으로 분리 설치되되,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과 데이터 연동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The elevator control module (200) is installed in an elevator and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0) (which may also include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 elevator control unit (220); a floor detection module (230); etc. At this time, the elevator control unit (220) controls floor selection, ascending/descending, and door opening/closing operations of the elevator. However, the floor detection module (230) may be installed independently and separately from the elevator control module (200), but may be configured to be data-linked with the elevator control module (200).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건물 내에 설치된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운용에 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기 위해, 통신부(310); 정보 처리부(330); 운용 관제부(340); 데이터베이스(3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층간 이동을 수행할 운용 로봇을 등록 관리하기 위한 로봇 등록부(320)도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3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10);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30); an operation control unit (340); a database (350); etc., in order to perform integrated control of the operation of each elevator installed in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300) may also include a robot registration unit (320) for registering and managing an operation robot to perform inter-floor movement.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을 위한 승차 프로세스][Boarding process for interfloor movement of autonomous driving robots]

도 2는 도 1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자율 주행 로봇의 승차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층간 이동을 위한 자율 주행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차 프로세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boarding process of an autonomous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ter-floor movement operation system of FIG. 1. Hereinafter, an elevator boarding process of an autonomous robot for inter-floor move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2.

자율 주행 로봇(100)은, 엘리베이터와 연동한 층간 이동을 위해, 출발층 정보 및 도착층 정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로 무선 전송한다[도 2의 S110 참조].The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wirelessly transmits an elevator call signal including departure floor information and arrival floor information to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300) for interfloor movement in conjunction with an elevator [see S110 of FIG. 2].

보다 구체적으로, 자율 주행 로봇(100)은, 맵 저장부(130)에 저장된 주행환경지도 상에서 상기 출발층에 대응하여 사전 설정된 엘리베이터 승차 대기 지점의 좌표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can transmit the elevator call signal to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when it moves to the coordinates of the elevator boarding waiting point preset in response to the departure floor on the driving environment map stored in the map storage unit (130).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에 따른 출발층 및 도착층 정보에 상응하여 결정되는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이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상기 출발층에 설치된 실외 컨트롤보드에 의해 선택되도록 하는 출발층 버튼선택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로 전송한다[도 2의 S120 참조].Accordingly,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300) transmits a departure floor button selection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module (200) so that the elevator call button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departure floor and arrival flo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levator call signal is selected by the outdoor control board installed on the departure floor of the calling elevator [see S120 of FIG. 2].

예를 들어, 설정된 출발층이 3층이고 도착층이 10층인 경우, 그 3층의 엘리베이터의 실외 컨트롤보드의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중 업(up) 버튼이 선택되도록 하는 출발층 버튼선택신호가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로 전송된다.For example, if the set departure floor is the 3rd floor and the arrival floor is the 10th floor, a departure floor button selection signal that selects the up button among the elevator call buttons on the outdoor control board of the elevator on the 3rd floor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control module (200).

이후,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은,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정차하는 경우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이후 승강 동작에 따른 승강 방향 정보를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서 브로드캐스팅한다[도 2의 S125 참조].Thereafter, the elevator control module (200) broadcasts,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ascent and descent according to the subsequent ascent and descent operation of the calling elevator when the calling elevator stops at the departure floor [see S125 of FIG. 2].

상술한 바와 같이, 호출 엘리베이터의 승강 방향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자율 주행 로봇(100)이 출발층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엘리베이터 승차 대기 지점의 좌표로 이동한 이후, 호출 엘리베이터가 해당 출발층에 정차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자율 주행 로봇(100)의 입장에서는 출발층에 정차한 엘리베이터가 자신의 호출에 의해 정차한 것인지, 그 호출된 엘리베이터 내에 탑승한 승객이 그 출발층을 도착층으로 선택하였기 때문에 정차한 것인지를 구별할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for broadcasting the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boarding of the called elevator is as follows. When the autonomous robot (100) moves to the coordinates of the preset elevator boarding waiting point corresponding to the departure floor, and the called elevator stops at the corresponding departure floor and opens the door, the autonomous robot (100) cannot distinguish whether the elevator stopped at the departure floor because it was called or because a passenger riding in the called elevator selected the departure floor as the arrival floor.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호출 엘리베이터가 출발층에 정차하게 되는 경우에, 그 정차 시점에 맞춰 또는 그 정차 시점 이전의 소정의 시점에 맞춰, 그 정차 이후의 승강 방향에 관한 정보를 자율 주행 로봇(100)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한다.Therefo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all elevator stops at a departure floor, information about the direction of boarding and disembarking after the stop is broadcasted at a predetermined time point before or at the time of the stop so that the autonomous robot (100) can confirm the information.

이에 따라, 자율 주행 로봇(100)은, 상기 승강 방향 정보가 상기 출발층으로부터 상기 도착층을 향하는 목표 승강 방향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승강 방향 정보가 상기 목표 승강 방향과 동일한 경우 승차 준비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승강 방향 정보가 상기 목표 승강 방향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현재의 승차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can determine whether the boarding direction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e target boarding direction from the departure floor to the arrival floor, and if the boarding direction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e target boarding direction, switch to a boarding preparation state, and if the boarding direction information is not the same as the target boarding direction, maintain the current boarding standby st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호출 엘리베이터 내의 여유공간 관련정보를 획득하고[도 2의 S130 참조], 여유공간 관련정보가 자율 주행 로봇(10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300) obtains information related to free space in a calling elevator [see S130 of FIG. 2] and enables the free space-relate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an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이때, 호출 엘리베이터 내의 여유공간 관련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At this time, the process of ob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free space inside the calling elevator is specifically described below.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상기 출발층 버튼선택신호에 따라 해당 출발층에서의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이 선택된 이후,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정차하게 되는 경우,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도착하기 이전의 사전 지정된 근접 시점 또는 상기 출발층 이전의 직전층에 도달한 이후의 소정 시점에(예를 들어, 출발층이 3층일 때, 승강 방향에 따라서 엘리베이터가 2층 또는 4층에서 출발한 시점),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 내의 실내 상방에 설치된 영상 촬영 장치(예를 들어, CCTV 등)로부터 획득된 실내영상을 기준으로 한 영상분석을 통해서, 엘리베이터 실내 지면 면적 중 사람 및 물체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비점유 면적을 계산한다[도 2의 S131 참조].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300) calculates an unoccupied area of the elevator interior floor area that is not occupied by people and objects through image analysis based on an indoor image acquired from an image capturing device (e.g., CCTV, etc.) installed above the interior of the call elevator, at a pre-designated proximity point in time before the call elevator arrives at the departure floor or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ime after reaching the floor immediately preceding the departure floor (e.g., when the departure floor is the 3rd floor, the elevator departs from the 2nd or 4th floor depending on the ascending or descending direction) in the call elevator, after which the call elevator stops at the departure floor [see S131 of FIG. 2].

이후,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계산된 비점유 면적과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차시 요구되는 최소 승차여유면적 간을 비교하여[도 2의 S133 참조], 상기 출발층 도착 시점의 전후의 소정 시점에,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상기 여유공간 관련정보를 상기 자율 주행 로봇으로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에 탑재된 통신 모듈을 통해서 브로드캐스팅되도록 한다[도 2의 S135 참조].Thereafter,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300) compares the calculated unoccupied area with the minimum boarding space area required when the autonomous robot boards the elevator [see S133 of FIG. 2], and at a predetermined time before or after the arrival at the departure floor, transmits the free space-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directly to the autonomous robot or broadcasts it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on the elevator control module [see S135 of FIG. 2].

이때, 최소 승차여유면적은, 시스템 설계 방식에 따라 운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나, 운용 로봇의 승차시의 점유면적을 상회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로봇의 승차 과정에서의 사람과의 충돌 문제 등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inimum boarding space area can be set in various ways by the operator depending on the system design method, but it is desirable to minimize problems such as collisions with people during boarding of the robot by setting it to exceed the occupied area when the operating robot is boarded.

이와 같은 경우, 자율 주행 로봇(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호출 엘리베이터 내의 여유공간 관련정보를 수신함으로써[도 2의 S140 참조], 수신된 여유공간 관련정보에 근거하여 기설정된 엘리베이터 승차 프로세스를 실행한다[도 2의 S150 참조].In this case,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free space in the called elevator as described above [see S140 of FIG. 2], and executes a preset elevator boarding process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related to free space [see S150 of FIG. 2].

이하, 여유공간 관련정보 및 이에 따른 기설정된 엘리베이터 승차 프로세스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Below, the information related to free space and the preset elevator boarding process based on it are explained in more detail.

제1 케이스로서,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정차하는 시점에,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상기 승강 방향 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에 따른 출발층 정보 및 도착층 정보에 근거하여 확인되는 목표 승강 방향과 동일한 경우로서, 상기 비점유 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이상인 경우, 상기 여유공간 관련정보로서 승차준비 메시지가 상기 자율 주행 로봇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이 사전 지정된 승차 준비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As a first case,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300) causes a boarding preparation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as the free space related information when the call elevator stops at the departure floor and the boarding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call elevator is the same as the target boarding direction confirmed based on the departure floor information and the arrival flo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levator call signal, and when the unoccupied are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inimum boarding space, so that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can execute a pre-designated boarding preparation process.

이때, 로봇의 승차 안전성 확보를 위해,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에 탑재된 음성출력장치를 통해서,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상기 출발층 도착 시점 전후 및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차 시점 전후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로봇 승차 안내 메시지(예를 들어, 다음층에 로봇이 승차함을 안내 등) 및 로봇 진입 협조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도어 개방시 로봇 진입을 위한 진입로 확보를 요청함 등)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실내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of the robot's boarding, at least one of a robot boarding guidance message (e.g., guiding that the robot will board the next floor) and a robot entry cooperation request message (e.g., requesting that an entry path be secured for the robot to enter when the door is opened) can be output inside the call elevator through a voice output device mounted on the elevator control module (200) at at least one of the time points before and after the call elevator arrives at the departure floor and before and after the autonomous robot boards the elevator.

제2 케이스로서,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정차하는 시점에,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상기 승강 방향 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에 따른 출발층 정보 및 도착층 정보에 근거하여 확인되는 목표 승강 방향과 동일한 경우로서, 상기 비점유 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미만인 경우, 다음과 같이 처리할 수 있다.As a second case,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300) may process as follows when the call elevator stops at the departure floor, the boarding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call elevator is the same as the target boarding direction confirmed based on the departure floor information and arrival flo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levator call signal, and the unoccupied area is less than the minimum boarding area.

먼저, 상기 출발층과 동일한 층 버튼이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실내 컨트롤보드를 통해 선택되지 않았던 경우(즉, 로봇의 출발층이 엘리베이터를 탑승한 탑승자의 도착층에 해당되지 않은 케이스), 상기 여유공간 관련정보로서 승차불가 메시지가 상기 자율 주행 로봇에 전달되도록 한다.First, if the same floor button as the departure floor is not selected through the indoor control board of the calling elevator (i.e., if the departure floor of the robot does not correspond to the arrival floor of the passenger who boarded the elevator), a message indicating that boarding is not possible is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a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ree space.

다음으로, 상기 출발층과 동일한 층 버튼이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실내 컨트롤보드를 통해 도착층으로 선택된 상태에 있었던 경우라면, 상기 여유공간 관련정보로서 승차대기 메시지가 상기 자율 주행 로봇에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승차대기 메시지가 상기 자율 주행 로봇에 전달되는 경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상기 출발층에서의 엘리베이터 하차 인원에 따라 변동된 비점유 면적을 영상분석을 통해서 재계산하고, 재계산된 비점유 면적과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간의 비교 결과에 따른 여유공간 관련정보가 상기 자율 주행 로봇에 재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Next, if the same floor button as the departure floor has been selected as the arrival floor through the indoor control board of the calling elevator, a boarding waiting message is transmitted as the free space related information to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If the boarding waiting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300) can recalculate the unoccupied area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ople getting off the elevator at the departure floor through image analysis, and can retransmit the free space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recalculated unoccupied area and the minimum boarding free area to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상기 여유공간 관련정보에 승차여유면적정보를 포함하여 자율 주행 로봇(100) 측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300) can include the passenger space area information in the free space-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이에 따라, 제3 케이스로서, 자율 주행 로봇(100)은, 상기 승강 방향 정보가 상기 목표 승강 방향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로서 상기 비점유 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미만인 경우 현재의 승차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상기 승강 방향 정보가 상기 목표 승강 방향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로서 상기 비점유 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이상인 경우 현재의 승차 대기 상태를 승차 예비 준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Accordingly, as a third case,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can maintain the current boarding standby state if the boarding direction information is not the same as the target boarding direction and the unoccupied area is less than the minimum boarding area, and can change the current boarding standby state to a boarding preliminary preparation state if the boarding direction information is not the same as the target boarding direction and the unoccupied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boarding area.

승강 방향 정보가 목표 승강 방향과 동일하지 않더라도, 승차 여유 공간이 있는 경우라면, 향후 승차 공간이 부족할 것을 대비하여 미리 승차할 필요도 있기 때문이다.Even if the boarding direction information is not the same as the target boarding direction, if there is space for boarding, it is necessary to board in advance in case there is a shortage of boarding space in the future.

승차 예비 준비 상태에서, 자율 주행 로봇(100)은, 상기 엘리베이터 승차 대기 지점으로부터 전방의 엘리베이터 도어를 잇는 엘리베이터 승차 진입로 사이에 선행하여 존재하는 엘리베이터 승차 대기 인원수를 상기 센서부(120)를 통한 객체 추정(예를 들어, LiDAR 기반의 형체 추정 또는 카메라 영상 기반의 객체 인식 등)을 통해서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승차 대기 인원수에 따라 점유될 것으로 예측되는 승차점유면적을 사전 지정된 기준에 따라 계산하고, 계산된 승차점유면적을 상기 승차여유면적정보에서 뺀 잔여면적과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간을 비교하여, 엘리베이터 승차 여부를 결정한다.In a state of preliminary boarding readiness,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estimates the number of people waiting to board the elevator that exists in advance between the elevator boarding entrance connecting the elevator door in front from the elevator boarding waiting point through object estimation (e.g., shape estimation based on LiDAR or object recognition based on camera image, etc.) using the sensor unit (120), calculates a boarding occupancy area predicted to be occupied based on the estimated number of people waiting to board based on a pre-specified criterion, and compares the remaining area obtained by subtracting the calculated boarding occupancy area from the boarding vacancy area information and the minimum boarding vacancy area to determine whether to board the elevator.

이에 따라, 자율 주행 로봇(100)은, 상기 잔여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미만인 경우, 상기 승차 예비 준비 상태를 다시 승차 대기 상태로 재전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can re-convert the boarding preparation state to a boarding standby state when the remaining area is less than the minimum boarding area.

또한, 자율 주행 로봇(100)은, 상기 잔여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이상인 경우로서, 상기 추정된 승차 대기 인원수에 따라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는 엘리베이터 승차소요시간을 사전 지정된 기준(예를 들어, 대기 인원수 당 지정된 단위소요시간을 곱함)에 따라 계산하고, 계산된 승차소요시간을 사전 설정된 승차요구시간에서 뺀 잔여시간이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차에 소요되는 안전 승차소요시간 미만인 경우(예를 들어, 사전 설정된 승차요구시간이 40초이고, 계산된 대기 인원의 승차소요시간이 12초(총 4명, 1명당 3초)이며, 로봇의 안전 승차소요시간이 30초인 경우), 상기 승차 예비 준비 상태를 다시 승차 대기 상태로 재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calculates an elevator boarding time expected to be required based on the estimated number of passengers waiting to board if the remaining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available boarding area based on a pre-designated criterion (e.g., multiplying the unit time required by the number of passengers waiting) and, if the calculated boarding time is subtracted from the pre-designated boarding time and the remaining time is less than the safe boarding time required for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to board the elevator (e.g., if the pre-designated boarding time is 40 seconds, the calculated boarding time of the waiting passengers is 12 seconds (4 passengers in total, 3 seconds per passenger), and the safe boarding time of the robot is 30 seconds), the boarding preliminary preparation state can be re-converted to a boarding standby state.

반면, 상기 잔여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이상인 경우로서, 상기 잔여시간이 상기 안전 승차소요시간 이상인 경우, 자율 주행 로봇(100)은 상기 승차 예비 준비 상태를 승차 준비 상태로 전환하여, 사전 지정된 승차 준비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remaining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boarding area and the remaining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afe boarding time,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can switch the boarding preliminary preparation state to the boarding preparation state and execute a pre-designated boarding preparation process.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승차요구시간은, 도어 개방 버튼을 다시 누르지 않았을 때를 가정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된 이후 도어가 닫힘 동작을 시작할 때까지의 도어 개폐 간격(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승차요구시간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도착함에 따라,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 및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자율 주행 로봇(1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율 주행 로봇(100)은 상기 승차요구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 카운팅을 함으로써, 안전 승차 가능여부에 관한 판단을 자체적으로 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arding request time may be set to the door opening/closing interval (time) from when the door of the elevator is opened until the door starts closing, assuming that the door open button is not pressed again.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information about the boarding request time may be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from at least one of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300) and the elevator control module (200) when the called elevator arrives at the departure floor. Through this,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100) may perform time counting using the boarding request time information, thereby independently determining whether safe boarding is possibl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laims (3)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 승하강 및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 및 건물 내에 설치된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운용에 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와 자율 주행 로봇 간의 통신 연동을 통해 구현되는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으로서,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은,
기저장된 주행환경지도에 의해 설정된 주행경로에 따라 자율 주행하는 자율 주행부; 장애물 회피를 위해 상기 주행경로 상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 및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상기 주행환경지도 상에서 출발층에 대응하여 사전 설정된 엘리베이터 승차 대기 지점의 좌표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출발층 정보 및 도착층 정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로 무선 전송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에 의해 선택된 호출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은,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정차하는 경우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이후 승강 동작에 따른 승강 방향 정보를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서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승강 방향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승강 방향 정보가 상기 출발층으로부터 상기 도착층을 향하는 목표 승강 방향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승강 방향 정보가 상기 목표 승강 방향과 동일한 경우 승차 준비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승강 방향 정보가 상기 목표 승강 방향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현재의 승차 대기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는,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에 따른 출발층 및 도착층 정보에 상응하여 결정되는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이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상기 출발층에 설치된 실외 컨트롤보드에 의해 선택되도록 하는 출발층 버튼선택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출발층 버튼선택신호에 따라 해당 출발층에서의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이 선택된 이후,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정차하게 되는 경우,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도착하기 이전의 사전 지정된 근접 시점 또는 상기 출발층 이전의 직전층에 도달한 이후의 소정 시점에,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 내의 실내 상방에 설치된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된 실내영상을 기준으로 한 영상분석을 통해서, 엘리베이터 실내 지면 면적 중 사람 및 물체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비점유 면적을 계산하고,
계산된 비점유 면적과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차시 요구되는 최소 승차여유면적 간을 비교하여, 상기 출발층 도착 시점의 전후의 소정 시점에,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여유공간 관련정보를 상기 자율 주행 로봇으로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에 탑재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서 브로드캐스팅되도록 하고,
상기 여유공간 관련정보는 승차여유면적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은,
상기 승강 방향 정보가 상기 목표 승강 방향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로서, 상기 비점유 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미만인 경우, 현재의 승차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상기 승강 방향 정보가 상기 목표 승강 방향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로서, 상기 비점유 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이상인 경우, 현재의 승차 대기 상태를 승차 예비 준비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승차 대기 지점으로부터 전방의 엘리베이터 도어를 잇는 엘리베이터 승차 진입로 사이에 선행하여 존재하는 엘리베이터 승차 대기 인원수를 상기 센서부를 통한 객체 추정을 통해서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승차 대기 인원수에 따라 점유될 것으로 예측되는 승차점유면적을 사전 지정된 기준에 따라 계산하고, 계산된 승차점유면적을 상기 승차여유면적정보에서 뺀 잔여면적과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간을 비교하여, 엘리베이터 승차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
An elevator control module installed in an elevator to control floor selection, boarding and descent,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and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that performs integrated control of the operation of each elevator installed in a building; and an autonomous driving robot interfloor movement operation system implemented through communication linkage between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The above autonomous driving robot,
An autonomous driving unit that autonomously drives according to a driving route set by a pre-stored driving environment map; a sensor unit that detects an obstacle on the driving route to avoid obstacles; a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and the elevator control module; Including, when moving to the coordinates of an elevator boarding waiting point preset corresponding to a departure floor on the driving environment map, an elevator call signal including the departure floor information and arrival floor information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The elevator control module installed in the call elevator selected by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according to the elevator call signal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all elevator stops at the departure floor, it broadcasts the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ascent and descent according to the subsequent ascent and descent operation of the call elevator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above broadcasted boarding dir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oarding direction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e target boarding direction from the departure floor to the arrival floor, and if the boarding direction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e target boarding direction, it switches to a boarding preparation state, and if the boarding direction information is not the same as the target boarding direction, it maintains the current boarding standby state.
The abov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A departure floor button sel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control module so that an elevator call button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departure floor and arrival flo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levator call signal is selected by an outdoor control board installed on the departure floor of the calling elevator,
After the elevator call button for the corresponding departure floor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eparture floor button selection signal, when the call elevator stops at the departure floor, at a predetermined proximity point before the call elevator arrives at the departure floor or at a predetermined point after reaching the floor immediately preceding the departure floor, an unoccupied area among the floor area of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that is not occupied by people and objects is calculated through image analysis based on an indoor image acquired from an image capturing device installed indoors above the call elevator,
By comparing the calculated unoccupied area with the minimum boarding space area required when the autonomous robot boards the elevat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free spa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autonomous robot at a predetermined time before or after the arrival at the departure floor, or is broadcasted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on the elevator control module.
The above free space related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assenger space area.
The above autonomous driving robot,
If the above boarding direction information is not the same as the target boarding direction and the non-occupied area is less than the minimum boarding area, the current boarding waiting state is maintained.
A system for operating an inter-floor movement of an autonomous robot,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above boarding direction information is not the same as the target boarding direction and the above unoccupied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available boarding area, the current boarding standby state is converted to a boarding standby state, the number of people waiting to board the elevator existing in advance between the elevator boarding entrance connecting the elevator boarding waiting point and the front elevator door is estimated through object estimation using the sensor unit, the boarding occupancy area predicted to be occupied according to the estimated number of people waiting to board is calcul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the remaining area obtained by subtracting the calculated boarding occupancy area from the boarding occupancy area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minimum available boarding area to determine whether to board the elev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은,
상기 잔여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미만인 경우, 상기 승차 예비 준비 상태를 다시 승차 대기 상태로 재전환하고,
상기 잔여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이상인 경우로서, 상기 추정된 승차 대기 인원수에 따라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는 엘리베이터 승차소요시간을 사전 지정된 기준에 따라 계산하고, 계산된 승차소요시간을 사전 설정된 승차요구시간에서 뺀 잔여시간이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차에 소요되는 안전 승차소요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승차 예비 준비 상태를 다시 승차 대기 상태로 재전환하며,
상기 잔여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이상인 경우로서, 상기 잔여시간이 상기 안전 승차소요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승차 예비 준비 상태를 승차 준비 상태로 전환하여, 사전 지정된 승차 준비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autonomous driving robot,
If the above remaining area is less than the above minimum boarding space, the boarding preparation state is re-converted to the boarding standby state.
If the remaining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boarding space, the elevator boarding time expected to be required based on the estimated number of passengers waiting to board is calculated based on pre-specified criteria, and if the remaining tim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calculated boarding time from the pre-specified boarding time is less than the safe boarding time required for the autonomous robot to board the elevator, the boarding preliminary preparation state is re-converted to the boarding standby state.
An inter-floor movement operation system for an autonomous driving robot,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remaining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boarding area and the remaining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afe boarding time, the boarding preliminary preparation state is converted to a boarding preparation state and a pre-designated boarding preparation process is execu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요구시간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도착함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 및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자율 주행 로봇으로 전달되고,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은, 상기 승차요구시간 정보를 이용한 시간 카운팅을 통해서 안전 승차 가능여부에 관한 판단을 자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
In the second paragraph,
Information about the above boarding request time is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f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erver and the elevator control module to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as the called elevator arrives at the departure floor.
An inter-floor movement operation system for an autonomous driving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independently performs a judgment on whether safe boarding is possible through time counting using the boarding requirement time information.
KR1020230185046A 2023-01-31 2023-12-18 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 KR1026971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5046A KR102697179B1 (en) 2023-01-31 2023-12-18 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309A KR102640758B1 (en) 2023-01-31 2023-01-31 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
KR1020230185046A KR102697179B1 (en) 2023-01-31 2023-12-18 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309A Division KR102640758B1 (en) 2023-01-31 2023-01-31 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1157A KR20240121157A (en) 2024-08-08
KR102697179B1 true KR102697179B1 (en) 2024-08-22

Family

ID=900528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309A KR102640758B1 (en) 2023-01-31 2023-01-31 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
KR1020230185046A KR102697179B1 (en) 2023-01-31 2023-12-18 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309A KR102640758B1 (en) 2023-01-31 2023-01-31 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4075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697B1 (en) 2021-09-08 2022-02-08 (주)플레토로보틱스 Delivery robot that can use elevator
JP2022083144A (en) * 2020-11-24 2022-06-0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Eleva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268B1 (en) 2013-07-30 2015-05-2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System and method of floor-to-floor self navigation for mobile robots
KR102541959B1 (en) * 2021-04-08 2023-06-12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which robot and human board
KR102484732B1 (en) 2021-05-31 2023-01-04 정자영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movement between floors of autonomous mobile robot
KR20220169667A (en) 2021-06-21 2022-1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or C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83144A (en) * 2020-11-24 2022-06-0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Elevator system
KR102358697B1 (en) 2021-09-08 2022-02-08 (주)플레토로보틱스 Delivery robot that can use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1157A (en) 2024-08-08
KR102640758B1 (en) 202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9760B2 (en) Elevator apparatus, elevator system, and autonomous robot control method
CN110476133B (en) Map management device and autonomous moving object control device
US20170057781A1 (en)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using a communication bridge
KR101287699B1 (en) Elevator system that autonomously moving device ride together
EP2437995B1 (en) Elevator system
CN110937480A (en) Method and system for robot to take elevator autonomously
JP6781284B2 (en) Elevator system
US20150251874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automatic generation of elevator calls
CN111032552A (en) Elevator system with mobile robot
JP2017220123A (en) Mobile robot
US20190077630A1 (en)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a hall and car call for an elevator system
JP2020011805A (en) Transportation system of autonomous mobile body
EP3366629A1 (en) Method for detecting trapped passengers in elevator car
JP2021070578A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elevator
JP2005053671A (en) Autonomous mobile robot and elevator getting-on-and-off system for autonomous mobile robot
JP2019049937A (en) Robot management apparatus and robot management system
JPWO2019180860A1 (en) Elevator hall guidance device
KR102697179B1 (en) 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
KR101947570B1 (en) Lifting system performing user-customized operation
KR102693684B1 (en) 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
KR102642787B1 (en) 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
KR102642782B1 (en) 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
WO2018220770A1 (en) Elevator system
JP7577788B2 (en)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JP2021066575A (en) Elev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