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5424B1 -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 - Google Patents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5424B1 KR102695424B1 KR1020230039745A KR20230039745A KR102695424B1 KR 102695424 B1 KR102695424 B1 KR 102695424B1 KR 1020230039745 A KR1020230039745 A KR 1020230039745A KR 20230039745 A KR20230039745 A KR 20230039745A KR 102695424 B1 KR102695424 B1 KR 1026954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torage chamber
- barrier
- water barrier
- buoyancy body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7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24 Flood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7—Floo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이나 지하철 등의 구조물로 물이 넘쳐 흐르는 것을 부력에 의해 자동 차단될 수 있도록 한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통행로에 병렬로 설치되는 빗물유입 패널, 상기 빗물유입 패널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저수 챔버, 상기 저수 챔버(2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도록 한 부력체, 상기 양측 빗물유입 패널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구멍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부력체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차수벽, 상기 저수 챔버의 하부 일측에 배수구멍이 형성된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통행로에 병렬로 설치되는 빗물유입 패널, 상기 빗물유입 패널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저수 챔버, 상기 저수 챔버(2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도록 한 부력체, 상기 양측 빗물유입 패널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구멍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부력체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차수벽, 상기 저수 챔버의 하부 일측에 배수구멍이 형성된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종 건물의 지하주차장, 저지대나 지하철 등의 구조물로 물이 넘쳐 흐르는 것을 부력에 의해 자동 차단될 수 있도록 한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대륙과 해양성 기후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년 강수량의 2/3가 여름철에 집중하는 지정학적·기상학적 여건과, 하천의 유로가 짧고 경사가 급한 지형적인 특성으로 인해 홍수피해가 많은 지역에 속한다.
이에 따라 정부는 홍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대책들을 지속적으로 강구하여 왔으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홍수 대응책으로서는 댐이나 하천 제방과 같은 수공 구조물의 건설을 들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매년 하절기마다 홍수로 인한 자연적인 재해로부터 안전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최근 들어 기후변화로 인해 게릴라성 국지성 호우가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가옥이나 건물, 지하철 등의 구조물에 대한 침수피해가 확대되고 있다.
게릴라성 호우는 단시간에 대량의 비를 내리기 때문에 소지역별 사전 예측이 어렵고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비가 내려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한 사전 준비 시간도 충분하지 못하고 침수 방지를 위한 대책도 충분하지 못해 비로 인한 침수 피해 규모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최근 들어 일부 건물에 차수벽 설치가 이루어지고, 지하철 출입구에는 빗물 유입 방지를 위한 간이 칸막이 시설이 준비되고 있으나, 이러한 시설 모두가 사람이 설치하거나 설비를 작동시켜야 하는 방식이다. 즉, 빗물의 상황을 보면서 사람의 판단으로 차수벽 설비를 가동시켜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 사용되는 차수막은 유압식이라도 사람이 호우를 인지하여 스위치를 작동시켜야 하고 수동식이면 사람이 직접 차수막을 설치해야 하는데 밤중에 집중호우가 내리면 적절히 대응하기 어렵다.
현재 국내에서 상용화 되고 있는 차수벽 제품을 살펴보면, 유압 또는 공기압을 이용한 실린더를 차수벽 개폐에 적용하고 있다. 그런데, 유압이나 공기압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유압펌프나 공기압축기가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장치는 전기전원을 필요로 하게 되고, 침수 등으로 전원 공급이 안될 경우에는 장치의 작동도 어렵게 된다.
또한, 유압의 경우 실린더 내부에 기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기간이 길어지면 실링 재료 등이 노화되어 오일이 외부로 유출될 수도 있는데, 실린더로부터 오일이 유출되면 실린더 작동이 원활하지 않아 차수벽 작동에도 문제가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해 주변 설비가 필요하게 되고 정기적으로 유지보수를 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 장치의 설치 및 운용비용이 고가이며 유지관리를 위한 전문인력도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비용적, 운용적 문제로 인해 일반 주택이나 건물 등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특허공개번호 제10-2019-0056549호 "수해방지용 차수벽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으며, 그 구조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일측에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빗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수 탱크와; 상기 중심축의 타측에 상기 저수탱크의 회전운동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수판을 포함하여, 상기 저수 탱크에 빗물 유입 시 빗물 하중에 따른 저수 탱크의 회전에 따라 차수판이 기립하여 차수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차수벽 시스템의 경우에는 차수판이 회전운동을 하기 위한 작동공간이 필요하고, 다수의 구성부재들이 구비되기 때문에 지하주차장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이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유지 관리 및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등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수해방지가 필요한 통행로의 입구에 빗물유입용 패널을 설치하여 저수 챔버로 빗물이 유입되게 하고, 상기 저수 챔버의 수위에 따라 수직으로 승강되게 한 부력식 차수벽을 설치하여 통행로에 많은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에 통행로를 자동 차단될 수 있도록 한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통행로에 병렬로 설치되는 빗물유입 패널, 상기 빗물유입 패널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저수 챔버, 상기 저수 챔버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도록 한 부력체, 상기 양측 빗물유입 패널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구멍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부력체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차수벽, 상기 저수 챔버의 하부 일측에 배수구멍이 형성된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구멍으로 나가는 빗물의 양보다 위로 들어오는 빗물의 양이 많게 되면 저수 챔버에 빗물이 차게 되어 부력을 올리게 된다. 그러면 부력과 연결된 차수막도 올라가게 되어 빗물을 지하주차장이나 저지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게 된다. 빗물유입 패널로 들어오는 빗물의 양이 적어지게 되어 유입량보다 배수구멍으로 유출되는 양이 많아지면 챔버의 빗물의 양이 줄어들어 차수벽이 내려오게 된다.
또한, 배수구 밖에 배수펌프를 설치하여 챔버 안의 물의 양을 조절하여 차수벽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배수구가 물이 나가는 배수관로보다 낮으면 배수펌프로 물을 강제로 내보낼 수 있다.
상기 부력체는 저수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부력체의 측면은 저수 챔버의 측벽에 맞닿는 형태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체의 상면 일측에는 다수의 통수구멍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물이 통과되게 한 구성으로 부력체의 상면으로 낙하되는 물이 부력체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수벽의 상단은 커버부재가 형성되어 가이드구멍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수 챔버의 일측에는 통수로를 통해 연통되도록 한 보조 챔버, 보조 챔버에 설치되어 수위를 따라 승강되게 한 수위감지 부구, 상기 보조 챔버의 일측벽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수위감지 부구의 승강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를 통해 저수 챔버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챔버는 차수막 챔버의 앞 또는 옆 또는 별도의 위치에 설치되어 저수 챔버 통수로를 통해 연통되든지 위에 패널이 설치되어 이곳으로 빗물이 들어오도록 하든지 하여 보조 챔버, 보조 챔버에 설치되어 수위를 따라 승강되게 한 수위감지 부구, 상기 보조 챔버의 일측벽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수위감지 부구의 승강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를 통해 저수 챔버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수벽의 가이드구멍이나 차수벽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에 센서를 설치하여 차수벽이 위 아래로 작동할 때 감지하도록 하여 빗물이 들어오게 되어 작동 해야할 때 적기에 작동하는지 여부를 보조 챔버에 붙은 센서를 통해 감지 비교 분석하여 작동해야 할 때 작동 유·무를 관리사무소와 같은 가까운 거리는 유선으로 원격지에 설치될 경우에는 통신망을 통해 통제센터나 관리자에게 통지해 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은 수해방지가 필요한 통행로에 설치되어 통행로를 통해 빗물이 넘쳐 흐르는 경우에 통행로 바닥면에 설치된 빗물유입 패널을 통해 저수 챔버로 유입되면 저수 챔버의 수위가 상승함과 아울러 부력체와 연동되게 한 차수벽이 자동적으로 상승되면서 통행로를 차단하는 수단으로 통행로를 통해 지하주차장 등으로 빗물이 유입되어 침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상기 통행로를 차단하고 상태의 차수벽은 통행로에 빗물이 흐르지 않는 경우에는 저수 챔버의 빗물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배수가 이루어지면서 차수벽이 하강하여 통행로의 차단이 해제가 되며, 이러한 본 발명의 차수벽에 의한 통행로의 차단기능은 통행로에 빗물의 유입여부에 따라 모터의 동력없이 빗물의 양만으로 자동적으로 차수벽이 승강되어 빗물의 유입을 막는다. 그래서 사람이 호우를 인지하여 스위치를 작동하거나 수동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빗물이 흘러들어오면서 자동적으로 적기에 작동하기 때문에 효과적이며 특히 밤중에 집중호우가 발생하면 더욱 유용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면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의 구성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이 상승하여 통행로를 차단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에서 부력체의 통수구멍이 상광하협상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에서 저수 챔버의 수위를 보조 챔버를 통해 감지할 수 있도록 한 또 다른 구성 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이 상승하여 통행로를 차단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에서 부력체의 통수구멍이 상광하협상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에서 저수 챔버의 수위를 보조 챔버를 통해 감지할 수 있도록 한 또 다른 구성 실시예의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홍수 때에 별도의 외부 동력이나 인위적인 행위 없이도 빗물의 하중과 부력만을 이용하여 무전원과 무동력원으로 각종 건물의 지하주차장, 저지대 출입구나 지하철 출입구 등의 수해방지가 필요한 통행로에 물이 흘러넘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은, 통행로의 입구 양측에 병렬로 설치되는 빗물유입 패널(11)(12), 상기 빗물유입 패널(11)(12)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저수 챔버(20), 상기 저수 챔버(20)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승강되고 다수의 통수구멍(32)이 형성되어 있는 부력체(30), 상기 양측 빗물유입 패널(11)(12)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구멍(14)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부력체(30)의 상면에 고정된 차수벽(40), 상기 저수 챔버(2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멍(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빗물유입 패널(11)(12)은 각종 건물의 지하주차장, 저지대 출입구 및 지하철 출입구 등의 수해방지가 필요한 통행로의 입구에 차량이나 사람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바닥면과 동일 또는 약간 돌출되게 구비되는 상부 고정틀체(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틀체(10)에 빗물유입 패널(11)(12)이 병렬 설치되고, 상기 빗물유입 패널(11)(12) 사이에 가이드구멍(14)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빗물유입 패널(11)(12)은 통행로에 병렬로 설치되되 외측에 위치한 빗물유입 패널(11)은 외부에서 통행로로 흘러 넘치는 빗물이 저수 챔버(20)에 유입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내측에 위치한 빗물유입 패널(12)은 일부 빗물이 유입될 수 있지만 주로 빗물 유입보다는 저수 챔버(20)의 수위에 따라 상승하는 부력체(30)의 상층부에 위치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유통 기능으로 저수 챔버(20)의 공간이 밀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저수 챔버(20)의 수위변동 및 부력체(30)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하나의 빗물유입 채널을 구비하여 빗물이 유입되게 하는 경우에는 부력체의 상층 부분의 공기 유통은 차단되기 때문에 부력체의 승강 작용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저수 챔버(20)는 수직의 벽체가 구비되고 부력체(30) 및 차수벽(40)이 충분히 하강할 수 있는 깊이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저수 챔버(20)의 상단부에 고정틀체(10)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저수 챔버(20) 내부의 청소나 수리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부력체(30)는 저수 챔버(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부력체(30)의 측면은 저수 챔버(20)의 측벽에 거의 맞닿는 형태로 구비되어 차수벽(40)이 요동되지 않고 안정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부력체(30)의 측면에는 가이드 돌기(미도시)를 수직으로 형성하여 그 가이드 돌기에 의해 접촉저항을 줄이면서 승강작용을 수행하고 차수벽이 벽이나 담과 밀착연결되게 하여 빗물의 유입을 막도록 한다.
그리고, 부력체(30)의 상면 일측에는 다수의 통수구멍(32)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물이 통과되게 한 구성으로 부력체(30)의 상면으로 낙하되는 물이 부력체(3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부력체(30)에 형성되는 통수구멍(32)은 통행로의 외측에 위치한 빗물유입 패널(11)의 직하부분에 형성되어 빗물유입 패널(11)에서 낙하되는 빗물이 부력체(30)의 통수구멍(32)을 통해 저수 챔버(20)에 저수가 용이하도록 하고, 통행로의 외측에 위치한 빗물유입 패널(12)의 직하부분에는 통수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에 의해 부력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통수구멍(32)은 상광하협상으로 형성되어 부력체(30)의 부력작용은 충분히 발휘하면서 부력체(30)의 상측으로 낙하되는 빗물이 통수구멍(32)을 통해 신속하게 부력체(30)의 하부 저수 챔버(20)에 저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로도 할 수 있다.
상기 차수벽(40)은 수해방지가 필요한 통행로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빗물이 더 이상 통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차수벽(40)의 상단은 커버부재(42)가 형성되고 차수벽(40)의 하단은 부력체(3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고, 커버부재(42)의 상면은 곡면을 이루는 형태로 차량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재(42)는 차수벽(40)이 저수 챔버(20)의 하부에 더 이상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커버부재(42)에 의해 가이드구멍(14) 부분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수벽(40)의 승강작용이 이루어지는 가이드구멍(14)의 슬라이딩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부력체(30)의 상면에 고정된 차수벽(40)은 저수 챔버(20)의 수위에 따라 가이드구멍(14)을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차수벽(40)의 측면은 통행로의 벽면을 가이드부(미도시)에 슬라이딩되게 구비되어 차수벽(40)의 돌출시에 통행로를 완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가이드구멍(14)이나 차수벽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부(미도시)에 센서들을 설치하여 차수벽이 위 아래로 작동할 때 감지하도록 하여 차수막이 작동해야 할 때 제때 작동하는지 여부를 보조 챔버에 붙은 센서와 감지 비교하여 관리사무소나 관리자에게 가까운 거리는 유선으로 원격지는 통신망을 통해서 통지해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구멍(50)은 저수 챔버(2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통상의 하수관로(미도시)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배수구멍(50)은 통행로에 많은 빗물이 넘쳐 흘러서 저수 챔버(20)로 유입되는 물을 소량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는, 배수구멍(50)으로는 빗물이 소량 배수가 되기 때문에 저수 챔버(20)에 지속적으로 많은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저수 챔버(20)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면서 부력체(30)의 상승으로 차수벽(40)에 의한 통행로 차단이 이루어지고, 상기 저수 챔버(20)로 저수되는 빗물 유입량이 배수구멍(50)으로 배수되는 수량보다 적거나 유입이 되지 않을 때에는 저수 챔버(20)의 물이 서서히 빠져나가면서 자연적으로 차수벽(40)이 하강하여 통행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배수구멍(50)의 밖에 배수펌프를 설치하여 챔버의 물의 양을 조절하며 차수벽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배수구멍으로 흘러나가는 배수관로가 배수구멍보다 더 높은 경우 배수펌프를 통해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저수 챔버(20)의 일측에는 통수로(62)를 통해 연통되도록 한 보조 챔버(60), 보조 챔버(60)에 설치되어 수위를 따라 승강되게 한 수위감지 부구(64), 상기 보조 챔버(60)의 일측벽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수위감지 부구(64)의 승강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66)를 통해 저수 챔버(2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조 챔버(60)는 저수 챔버(2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소량의 빗물을 저수할 수 있는 구조로 저수 챔버(20)의 수위변동에 따라 보조 챔버(60)도 동일한 수위변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있으며, 이러한 수위변동에 따른 수위감지 부구(64)의 승강상태를 감지센서부(66)를 통해 감지하는 수단으로 저수 챔버(20)의 수위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수위감지정보 및 차수막이 제 때 작동 유·무정보를 유,무선통신(미도시)을 통해 근거리 및 원거리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조 챔버(60)의 상측에는 저수 챔버(20)와 연통된 통기구멍(60a)이 형성되어 보조 챔버(60)의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보조 챔버(60)의 공간이 밀폐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조 챔버(60)의 수위변동 및 수위감지 부구(64)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보조 챔버(60)는 차수막 저수 챔버의 앞 또는 옆 또는 별도의 위치에 설치되어 저수 챔버 통수로를 통해 연통되든지 위에 패널이 설치되어 이곳으로 빗물이 들어오도록 하든지 하여 보조 챔버, 보조 챔버에 설치되어 수위를 따라 승강되게 한 수위감지 부구, 상기 보조 챔버의 일측벽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수위감지 부구의 승강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를 통해 저수 챔버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부(66) 및 유,무선통신에 적용되는 전원은 태양광 전지판(68)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은 각종 건물의 지하주차장, 저지대 출입구나 지하철 출입구 등의 수해방지가 필요한 통행로에 설치되어 물이 흘러넘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통행로를 통해 빗물이 흘러넘치는 경우에 통행로의 입구 바닥면에 형성된 방수유입 패널(11)을 통해 저수 챔버(20)로 점차적으로 빗물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면, 저수 챔버(20)에 수위가 상승하면서 부력체(30)는 부력에 의해 함께 상승이 된다.
상기 부력체(30)가 상승하게 되면 이와 연동되게 한 차수벽(40)이 함께 자연적인 상승이 이루어지면서 차수벽(40)에 의한 통행로의 빗물 유입을 차단하여 지하주차장, 저지대 등으로 빗물이 유입되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저수 챔버(20)에 유입도는 수위 높이에 따라 차수벽(40)의 높이가 가변되는 것으로, 많은 빗물이 통행로를 통해 흘러넘치는 경우에는 저수 챔버(20)의 수위가 최상층으로 놓여지면 차수벽(40)도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 빗물 차단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통행로를 통해 빗물이 넘쳐흐르는 상황이 종료되면, 저수 챔버(20)에 저수되어 있는 빗물은 배수구멍(50)을 통해 점차적으로 외부 하수관로 등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면서 저수 챔버(20)의 수위가 하강함과 동시에 부력체(30)를 따라 승강이 되는 차수벽(40)도 하강하면서 통행로의 차단이 해제되는 것이다.
즉, 배수구멍으로 나가는 빗물의 양보다 위로 들어오는 빗물의 양이 많게 되면 저수 챔버에 빗물이 차게 되어 부력을 올리게 된다. 그러면 부력과 연결된 차수막도 올라가게 되어 빗물을 지하 주차장이나 저지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게 된다. 빗물유입 패널(11)(12)로 들어오는 빗물의 양이 적어지게 되어 유입량보다 배수구멍(50)으로 유출되는 양이 많아지면 저수 챔버의 빗물의 양이 줄어들어 차수벽이 내려오게 된다.
또한, 배수구멍 밖에 배수펌프를 설치하여 저수 챔버 안의 물의 양을 조절하여 차수벽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배수구가 물이 나가는 배수관로보다 낮으면 배수펌프로 물을 내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행로에 빗물이 흘러들어오는 상태에 따라 차수벽(40)이 빗물을 활용하여 부력을 활용하여 무동력으로 자동적 승강하는 수단에 의해 지하주차장, 저지대 등과 같은 장소의 침수피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고정틀체 11,12 : 빗물유입 패널
14 : 가이드구멍 20 : 저수 챔버
30 : 부력체 32 : 통수구멍
40 : 차수벽 42 : 커버부재
50 : 배수구멍 60 : 보조 챔버
60a : 통기구멍 62 : 통수로
64 : 수위감지 부구 66 : 감지센서부
68 : 태양광 전지판
14 : 가이드구멍 20 : 저수 챔버
30 : 부력체 32 : 통수구멍
40 : 차수벽 42 : 커버부재
50 : 배수구멍 60 : 보조 챔버
60a : 통기구멍 62 : 통수로
64 : 수위감지 부구 66 : 감지센서부
68 : 태양광 전지판
Claims (7)
- 통행로에 설치되는 빗물유입 패널(11)(12),
상기 빗물유입 패널(11)(12)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저수 챔버(20),
상기 저수 챔버(2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도록 한 부력체(30),
상기 빗물유입 패널(11)(12)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구멍(14)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부력체(30)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차수벽(40),
상기 저수 챔버(20)의 하부 일측에 배수구멍(50)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부력체(30)의 상면 일측에는 다수의 통수구멍(32)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물이 통과되게 한 구성으로 부력체(30)의 상면으로 낙하되는 물이 부력체(3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30)는 저수 챔버(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부력체(30)의 측면은 저수 챔버(20)의 측벽에 맞닿는 형태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40)의 상단은 커버부재(42)가 형성되어 가이드구멍(14)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챔버(20)의 일측에는 통수로(62)를 통해 연통되도록 한 보조 챔버(60), 보조 챔버(60)에 설치되어 수위를 따라 승강되게 한 수위감지 부구(64), 상기 보조 챔버(60)의 일측벽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수위감지 부구(64)의 승강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66)를 통해 저수 챔버(2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챔버(60)는 저수 챔버(20)의 앞 또는 옆 또는 별도의 위치에 설치되고
보조 챔버로 흘러들어온 물의 양에 따라 보조 챔버의 일측벽에 부구의 승강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를 기준으로
차수벽의 가이드구멍(14)이나 차수벽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차수벽이 위·아래로 움직임을 감지하여
보조 챔버에 붙은 센서를 통해 물의 높낮이를 통해 차수벽도 물 높이에 따라 작동해야 할 때 작동하는지 여부를 유,무선으로 관리사무소나 관리자에게 통지해 주도록 한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챔버(20)의 배수구멍(50)의 밖에 배수펌프를 설치하여 저수 챔버의 물의 양을 조절하여 차수벽의 높낮이 조절 및 배수구멍이 배수관로보다 저지대일 때 강제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9745A KR102695424B1 (ko) | 2023-03-27 | 2023-03-27 |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9745A KR102695424B1 (ko) | 2023-03-27 | 2023-03-27 |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95424B1 true KR102695424B1 (ko) | 2024-08-14 |
Family
ID=9241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39745A KR102695424B1 (ko) | 2023-03-27 | 2023-03-27 |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5424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147B1 (ko) | 2009-04-17 | 2009-10-23 |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
KR20120036722A (ko) * | 2010-10-08 | 2012-04-18 | 히데키 후지타 | 차수 장치 |
KR101505014B1 (ko) | 2013-06-27 | 2015-03-25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
KR101709274B1 (ko) | 2016-07-20 | 2017-02-22 | (주)태평양기술산업 |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
KR20190056549A (ko) | 2017-11-17 | 2019-05-27 | 서규호 | 수해방지용 차수벽 시스템 |
KR102047325B1 (ko) * | 2019-01-09 | 2019-11-2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부력을 이용한 방수문 가동구조 |
-
2023
- 2023-03-27 KR KR1020230039745A patent/KR10269542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147B1 (ko) | 2009-04-17 | 2009-10-23 |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
KR20120036722A (ko) * | 2010-10-08 | 2012-04-18 | 히데키 후지타 | 차수 장치 |
KR101505014B1 (ko) | 2013-06-27 | 2015-03-25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
KR101709274B1 (ko) | 2016-07-20 | 2017-02-22 | (주)태평양기술산업 |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
KR20190056549A (ko) | 2017-11-17 | 2019-05-27 | 서규호 | 수해방지용 차수벽 시스템 |
KR102047325B1 (ko) * | 2019-01-09 | 2019-11-2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부력을 이용한 방수문 가동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23209B1 (en) | Automatic flood gate | |
US5460462A (en) | Liquid and flood water barrier wall forming-apparatus | |
US6338594B1 (en) | Movable barrier wall | |
JP4472749B2 (ja) | 防潮装置および防潮構造 | |
JP3532462B2 (ja) | 浮力式床面止水装置 | |
US20110268506A1 (en) | Flood defens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 |
JP3283209B2 (ja) | 防水板の自動操作機構 | |
CN109611007A (zh) | 一种出入口气囊式防水装置 | |
JP2000319857A (ja) | 防潮装置 | |
EP2354326B1 (en) | Anti-flooding device | |
KR102695424B1 (ko) |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 | |
KR101206266B1 (ko) | 도로의 형태에 따라 최적의 차집효율을 분석하고 그에 맞는 배수구를 제공하도록 하는 도로의 수리실험장치 | |
CN110468948A (zh) | 深隧排水系统泵站 | |
JP2001032621A (ja) | 防水扉 | |
CN210562570U (zh) | 深隧排水系统泵站 | |
GB2464959A (en) | Flood defenc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 |
CN218062136U (zh) | 一种地下车库汽车坡道自动升降的防水装置 | |
JP3717454B2 (ja) | 浮上式水防装置の排水構造 | |
CN212867066U (zh) | 一种浮箱式车库防洪门 | |
KR200382030Y1 (ko) | 펌프 일체형 수문 | |
US11898317B2 (en) | Surface wa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weir wall and detention pond | |
KR100529737B1 (ko) |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 |
KR102126072B1 (ko) | 천변저류시설 및 배수펌프장 가동을 위한 교육용 장치 | |
KR102716051B1 (ko) | 수직 상승식 차수장치 | |
KR20220144254A (ko) |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