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0208B1 - Agricultural Vehicle - Google Patents
Agricultural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80208B1 KR102680208B1 KR1020190015602A KR20190015602A KR102680208B1 KR 102680208 B1 KR102680208 B1 KR 102680208B1 KR 1020190015602 A KR1020190015602 A KR 1020190015602A KR 20190015602 A KR20190015602 A KR 20190015602A KR 102680208 B1 KR102680208 B1 KR 1026802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 unit
- control
- signal
- lift ar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420 orch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11—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regulating working depth of imp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an electric mo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이 결합된 차량본체, 상기 차량본체에 결합된 리프트암, 상기 리프트암에 대한 상하제어를 위해 상기 리프트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조절부, 상기 리프트암에 대한 수평제어를 위해 상기 리프트암이 갖는 제1리프트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평조절부, 및 상기 상하조절부와 상기 수평조절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리프트암에 대한 상하제어를 위한 개별상하신호를 생성하는 상하조작부, 상기 리프트암에 대한 수평제어를 위한 개별수평신호를 생성하는 수평조작부, 및 상기 리프트암에 대한 상하제어와 수평제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멀티제어신호를 생상하는 멀티조작부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dy to which an engine is coupled, a lift arm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 vertical adjustment unit that moves the lift arm up and down for vertical control of the lift arm, and a vertical control unit for horizontal control of the lift arm. It includes a horizontal adjustment unit that moves the first lift member of the lift arm up and down, and an operation unit that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to operate the up and down adjustment unit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and the operation unit controls the up and down of the lift arm. A vertical control unit that generates individual up and down signals for the lift arm, a horizontal control unit that generates individual horizontal signals for horizontal control of the lift arm, and a multi-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y one selected from up and down control and horizontal control of the lift arm. This relates to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that includes a multi-control unit that generates signals.
Description
본 발명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used to grow crops necessary for human life using land.
농업용 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등이 농업용 작업차량에 해당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Agricultural work vehicles are used to use land to grow crops necessary for human life. For example, combines, tractors, etc. are agricultural work vehicles. A combine is used to harvest and thresh crops such as rice, barley, wheat, and soybeans. Tractors use traction to perform the work necessary to grow crops.
농업용 작업차량은 필요에 따라 작업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한다. 작업기의 예로는 논, 밭, 과수원 등의 경작을 위해 땅을 파거나 흙을 갈아 엎어 줄 수 있는 로터리, 쟁기 등이 있다. 이러한 농업용 작업차량에는 작업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트암이 결합된다.Agricultural work vehicles perform certain tasks while equipped with work equipment as needed. Examples of working machines include rotaries and plows that can dig up the ground or turn over the soil for cultivation of rice paddies, fields, orchards, etc. These agricultural work vehicles are equipped with a lift arm to move the work machine.
농업용 작업차량은 해당 작업기를 지면에 맞닿게 하거나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리프트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작업환경에 따라 지면에 평평한 부분과 굴곡으로 인해 경사진 부분이 공존할 경우, 농업용 작업차량은 해당 작업기가 지면의 경사에 대응되는 상태로 되도록 상기 리프트암을 좌우로 기울이는 수평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can perform vertical control to move the lift arm up and down to bring the implemen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or separate it from the ground. In addition, when flat parts and curved parts of the ground coexist depending on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performs horizontal control by tilting the lift arm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working machine corresponds to the slope of the ground. You may.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상하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상하조작부, 및 수평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수평조작부가 별도로 구비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ere,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mplemented to be separately provided with a vertical control unit for performing vertical control and a horizontal control unit for horizontal control. Accordingly, agricultural work vehicl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작업자가 상하조작부와 수평조작부를 개별적으로 조작하도록 구현되므로, 작업자에게 조작의 번거로움을 초래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First, since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mplemented so that the operator operates the upper and lower control units and the horizontal control unit separate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uses inconvenience to the operator and reduces work efficiency.
둘째,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상하조작부와 수평조작부가 별도로 구비되므로, 다양한 작업환경에서 상하제어와 수평제어 간에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작업시간이 증가되어 농작물의 수확량이 감소되는 등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Second, since agricultural work vehicl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re equipped with separate up and down control units and horizontal control units, the time required to switch between up and down control and horizontal control in various work environments increases.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of reduced work efficiency, such as increased work time and decreased crop yiel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상하제어와 수평제어를 위한 조작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relates to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that can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operating for vertical and horizontal control.
본 발명은 상하제어와 수평제어 간에 전환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that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to switch between up and down control and horizontal control.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엔진이 결합된 차량본체, 상기 차량본체에 결합된 리프트암, 상기 리프트암에 대한 상하제어를 위해 상기 리프트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조절부, 상기 리프트암에 대한 수평제어를 위해 상기 리프트암이 갖는 제1리프트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평조절부, 및 상기 상하조절부와 상기 수평조절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리프트암에 대한 상하제어를 위한 개별상하신호를 생성하는 상하조작부, 상기 리프트암에 대한 수평제어를 위한 개별수평신호를 생성하는 수평조작부, 및 상기 리프트암에 대한 상하제어와 수평제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멀티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dy to which an engine is coupled, a lift arm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 vertical adjustment unit that moves the lift arm up and down for vertical control of the lift arm, and a vertical control unit for horizontal control of the lift arm. It may include a horizontal adjusting unit that moves the first lift member of the lift arm up and down, and an operating unit that generates an operating signal to operate the vertical adjusting unit and the horizontal adjusting unit. The operating unit includes a vertical operating unit that generates individual vertical signals for vertical control of the lift arm, a horizontal operating section that generates individual horizontal signals for horizontal control of the lift arm, and vertical and horizontal control of the lift arm. It may include a multi-control unit that generates a multi-control signal to control any one selected from among them.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하나의 조작부를 이용하여 리프트암에 대한 상하제어와 수평제어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리프트암의 제어에 대한 조작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vertical control and horizontal control of the lift arm using one operating unit,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lift arm.
본 발명은 리프트암에 대한 상하제어와 수평제어 간에 전환을 위한 조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시켜서 농작물의 수확량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shorten the operating time for switching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control of the lift arm, thereby contributing to increasing the yield of crops by shortening the overall working time.
본 발명은 조작부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다양한 작업환경과 작업상황에 따라 작업운용의 폭을 넓힐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control unit can be selectively operated, thereby contributing to expanding the range of work 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work environments and work situ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리프트암, 및 조절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조작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개별조작부, 멀티조작부, 및 제어부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lift arm and an adjustment unit in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operating unit in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individual operation unit, multi-operation unit, and control unit in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schematic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in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트랙터, 콤바인 등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엔진(Engine)이 결합된 차량본체(2), 상기 차량본체(2)에 결합된 리프트암(3),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를 위해 상기 리프트암(3)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조절부(41),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위해 상기 리프트암(3)이 갖는 제1리프트부재(3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평조절부(42), 및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조작부(5)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5)는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를 위한 개별상하신호를 생성하는 상하조작부(511),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위한 개별수평신호를 생성하는 수평조작부(512), 및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와 수평제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멀티조작부(5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body (2) to which an engine is coupled, a lift arm (3) coupled to the vehicle body (2), and the lift. A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상하조작부(511) 및 상기 수평조작부(512)에 더하여 상기 멀티조작부(52)를 포함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멀티조작부(52)만으로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와 수평제어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별도로 구비된 상하조작부(511)와 수평조작부(512)만을 갖는 비교예와 대비하여 볼 때, 상기 리프트암(3)의 상하제어와 수평제어에 대한 조작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농작물을 재배하는 등의 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th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다양한 작업환경, 작업상황에 따라 상기 상하제어와 수평제어를 연속하여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멀티조작부(52)를 조작하여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를 연속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멀티조작부(52)를 통해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와 수평제어 간에 전환을 위한 조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시켜서 농작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 in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erform the vertical control and horizontal control according to various work environments and work situations, the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작업자가 상기 상하조작부(511), 상기 수평조작부(512), 및 상기 멀티조작부(52)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 이후에 연속하여 수평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조작부(5)는 상기 멀티조작부(52)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를 연속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 또는 수평제어만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조작부(5)는 상기 상하조작부(511)와 상기 수평조작부(512)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상하조절부(41) 및 상기 수평조절부(4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조작부(5)가 상기 상하조작부(511)와 상기 수평조작부(512)에 더하여 상기 멀티조작부(52)를 포함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다양한 작업환경과 작업상황에 따라 작업운용의 폭을 넓힐 수 있음과 더불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Third, the
이하에서는 상기 차량본체(2), 상기 리프트암(3), 상기 상하조절부(41), 상기 수평조절부(42), 및 상기 조작부(5)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vehicle body 2, the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차량본체(2)는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엔진은 상기 차량본체(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차량본체(2)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엔진은 상기 차량본체(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량본체(2)는 상기 리프트암(3)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차량본체(2)에는 상기 상하조절부(41), 및 상기 수평조절부(4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량본체(2)에는 운전석(21)이 마련될 수 있다. 운전자가 상기 차량본체(2)에 마련된 운전석(21)에 탑승하여 조향장치, 조작장치 등을 조작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차량본체(2)에는 바퀴(2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엔진은 상기 바퀴(2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차량본체(2)를 주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은 상기 차량본체(2)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차량본체(2)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후진방향(BD 화살표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차량본체(2)에는 상기 엔진 및 상기 바퀴(22)를 연결하는 변속기(Transmission)가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vehicle body 2 supports the engine. The engine can be supported on the vehicle body (2) by being coupled to the vehicle body (2). The engine may be placed inside the vehicle body 2. The vehicle body 2 can support the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리프트암(3)은 상기 차량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리프트암(3)이 상기 차량본체(2)에 대해 상기 후진방향(B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리프트암(3)은 상기 차량본체(2)에 대해 상기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리프트암(3)에는 로터리, 쟁기 등과 같은 작업기(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작업기가 상기 리프트암(3)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논, 밭, 과수원 등의 경작을 위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리프트암(3)은 상기 제1리프트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3, the
상기 제1리프트부재(31)는 상기 차량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리프트부재(31)는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리프트부재(3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작업기가 지면의 경사에 대응되는 상태로 되도록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상기 리프트암(3)은 제2리프트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2리프트부재(32)는 상기 제1리프트부재(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차량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리프트부재(32)는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를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리프트부재(32) 및 상기 제1리프트부재(31)를 함께 상하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작업기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지면에 맞닿도록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암(3)은 상기 제1리프트부재(31) 및 상기 제2리프트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리프트부재(31)는 수평조절부(42)와 연결되는 일측 부재 및 연결부재(43)와 연결되는 타측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리프트부재(32)는 상기 수평조절부(42)와 연결되는 일측 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43)와 연결되는 타측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3)는 상기 차량본체(2)에 설치된 것으로써, 상기 제1리프트부재(31)의 타측 부재 및 상기 제2리프트부재(32)의 타측 부재 각각에 결합된 링크(Link)일 수 있다. 상기 제1리프트부재(31) 및 상기 제2리프트부재(32)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와 수평제어가 이루어지는 일례를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우선, 상기 작업기가 지면에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작업기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조절부(41)는 상기 제1리프트부재(31) 및 상기 제2리프트부재(32) 모두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기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작업기를 지면의 경사에 대응되는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평조절부(42)는 상기 제1리프트부재(31)의 일측 부재만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기는 지면의 경사에 대응되는 상태로 될 수 있다.First, the
상기에서는 상기 리프트암(3)이 상기 제1리프트부재(31)와 상기 제2리프트부재(32)를 포함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리프트암(3)은 3개 이상의 리프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조절부(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상기 조절부(4)는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 및 수평제어를 위한 것이다. 상기 조절부(4)는 상기 작업기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거나 지면에 맞닿도록 하기 위해 상기 리프트암(3)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절부(4)는 상기 제1리프트부재(31)와 상기 제2리프트부재(32)를 함께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부(4)는 상기 작업기가 지면의 경사에 대응되는 상태로 되도록 상기 제1리프트부재(31)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절부(4)는 상기 제1리프트부재(31)만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부(4)는 유압시스템(Hydraulic System)을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와 수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adjusting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조절부(4)는 상기 상하조절부(41), 및 상기 수평조절부(4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adjusting
상기 상하조절부(41)는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를 위한 것이다. 상기 상하조절부(41)는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를 위해 상기 제1리프트부재(31) 및 상기 제2리프트부재(32)를 함께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상하조절부(41)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상기 상하조절부(41)는 상기 리프트암(3)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상하조절부(41)는 상기 제2리프트부재(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하조절부(41)는 상기 수평조절부(4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and
상기 수평조절부(42)는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위한 것이다. 상기 수평조절부(42)는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위해 상기 리프트암(3)이 갖는 상기 제1리프트부재(31)의 일측 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부(42)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leveling
상기 수평조절부(42)는 상기 리프트암(3)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수평조절부(42)는 상기 제1리프트부재(31)의 일측 부재 및 상기 제2리프트부재(32)의 일측 부재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부(42)는 상기 상하조절부(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leveling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조작부(5)는 상기 조절부(4)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작부(5)가 상기 조절부(4)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하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조절부(4)는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해 상하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가 상기 조절부(4)를 동작시키기 위해 수평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조절부(4)는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해 수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는 상기 리프트암(3)을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수단일 수 있다. 상기 조작부(5)는 상기 운전석(21)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운전석(21)에 탑승한 운전자가 상기 조작부(5)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와 수평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2 to 5, the
상기 조작부(5)는 개별조작부(5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개별조작부(51)는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 각각을 별도로 동작시키기 위한 개별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개별제어신호는 상기 개별상하신호 및 상기 개별수평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별조작부(51)가 상기 상하조절부(41)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개별상하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상하조절부(41)는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해 상하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개별조작부(51)가 상기 수평조절부(42)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개별수평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수평조절부(42)는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해 수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상기 개별조작부(51)는 상기 상하조작부(511), 및 상기 수평조작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상하조작부(511)는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를 위한 상기 개별상하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상하조작부(511)의 조작을 통해 상기 상하조작부(511)가 상기 개별상하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상하조작부(511)는 상기 상하조절부(4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상하조작부(511)를 통해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가 수행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up and down
상기 상하조작부(511)는 상하조작부재(5111), 상하신호생성모듈(5112), 및 상하조작본체(51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 and down
상기 상하조작부재(5111)는 외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하조작부재(5111)는 외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하조작본체(511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하조작부재(5111)를 이동시키기 위한 외력은, 운전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운전자는 상기 상하조작부재(5111)를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상하조작부재(5111)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개별상하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The up and down
상기 상하신호생성모듈(5112)은 상기 개별상하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상하신호생성모듈(5112)은 상기 상하조작부재(5111)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개별상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상하신호생성모듈(5112)은 상기 상하조작부재(5111)의 이동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상기 개별상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상기 상하조작부재(5111)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상하신호생성모듈(5112)은 상기 리프트암(3)을 상승시키기 위한 상기 개별상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운전자가 상기 상하조작부재(5111)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상하신호생성모듈(5112)은 상기 리프트암(3)을 하강시키기 위한 상기 개별상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상하신호생성모듈(5112)에 의해 생성된 서로 다른 상기 개별상하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상하신호생성모듈(5112)은 상기 상하조작본체(5113)에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상기 상하조작본체(5113)는 상기 상하조작부(511)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상하조작본체(5113)에는 상기 상하조작부재(5111) 및 상기 상하신호생성모듈(511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하조작본체(5113)는 상기 상하조작부재(5111)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하조작부재(511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하조작본체(5113)는 상기 상하조작부재(5111)가 운전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운전석(21)에 결합될 수 있다.The up-down
상기 수평조작부(512)는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위한 상기 개별수평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조작부(512)의 조작을 통해 상기 수평조작부(512)가 상기 개별수평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수평조작부(512)는 상기 수평조절부(4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수평조작부(512)를 통해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가 수행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작부(512)는 상기 상하조작부(511)에 대해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수평조작부(512)는 수평조작부재(5121), 수평신호생성모듈(5122), 및 수평조작본체(5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수평조작부재(5121)는 외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작부재(5121)는 외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조작본체(512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작부재(5121)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개별수평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작부재(5121)를 이동시키기 위한 외력은, 운전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운전자는 상기 수평조작부재(5121)를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The
상기 수평신호생성모듈(5122)은 상기 개별수평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신호생성모듈(5122)은 상기 수평조작부재(5121)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개별수평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신호생성모듈(5122)은 상기 수평조작부재(5121)의 이동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상기 개별수평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상기 수평조작부재(5121)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수평신호생성모듈(5122)은 상기 제1리프트부재(31)의 일측 부재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기 개별수평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운전자가 상기 수평조작부재(5121)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수평신호생성모듈(5122)은 상기 제1리프트부재(31)의 일측 부재를 하강시키기 위한 상기 개별수평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수평신호생성모듈(5122)에 의해 생성된 서로 다른 상기 개별수평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평신호생성모듈(5122)은 상기 수평조작본체(5123)에 결합될 수 있다.The horizontal
상기 수평조작본체(5123)는 상기 수평조작부(512)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작본체(5123)에는 상기 수평조작부재(5121) 및 상기 수평신호생성모듈(512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작본체(5123)는 상기 수평조작부재(5121)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조작부재(512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작본체(5123)는 상기 수평조작부재(5121)가 운전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운전석(21)에 결합될 수 있다.The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조작부(5)는 상기 멀티조작부(5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2 to 5, the
상기 멀티조작부(52)는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와 수평제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멀티조작부(52)는 멀티상하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함에 따라 상기 상하조절부(4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4)는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멀티조작부(52)가 상기 멀티수평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함에 따라 상기 수평조절부(4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4)는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작업환경, 작업상황에 따라 작업자가 멀티조작부(52)와 개별조작부(51)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 이후에 연속하여 수평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조절부(4)는 상기 멀티조작부(52)를 통해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연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 또는 수평제어만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조절부(4)는 상기 개별조작부(51)를 통해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 또는 수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조작부(5)가 상기 개별조작부(51)에 더하여 상기 멀티조작부(52)를 포함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다양한 작업환경과 작업상황에 따라 작업운용의 폭을 넓힐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상기 멀티조작부(52)는 멀티조작부재(521), 멀티신호생성모듈(522), 및 멀티조작본체(5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멀티조작부재(521)는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멀티조작부재(521)는 외력에 의해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멀티조작본체(523)에 결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멀티조작부재(521)는 외력에 의해 상하이동 및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멀티조작본체(523)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멀티조작부재(521)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멀티상하신호와 상기 멀티수평신호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조작부재(521)를 이동시키기 위한 외력은, 운전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운전자는 상기 멀티조작부재(521)를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The multi-operation member 521 moves by external force. The multi-manipulation member 521 may be coupled to the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은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은 상기 멀티조작부재(521)의 이동방향과 회전방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멀티상하신호와 상기 멀티수평신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멀티조작부(52) 내에서 상기 멀티조작부재(521)를 조작하는 작업만으로도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이 상기 멀티상하신호 및 상기 멀티수평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에 의해 생성된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상기 멀티상하신호일 경우, 상기 조절부(4)는 상기 멀티상하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에 의해 생성된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상기 멀티수평신호일 경우, 상기 조절부(4)는 상기 멀티수평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은 상기 멀티조작본체(523)에 결합될 수 있다.When the multi-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이하에서는 상기 멀티조작부재(521)의 이동방향과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에 의해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생성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조작부재(521)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멀티상하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멀티조작부재(521)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멀티수평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multi-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the
우선,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은 상기 멀티조작부재(521)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멀티제어신호에 포함된 서로 다른 상기 멀티상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상기 멀티조작부재(521)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은 상기 리프트암(3)을 상승시키기 위한 상기 멀티상하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운전자가 상기 멀티조작부재(521)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은 상기 리프트암(3)을 하강시키기 위한 상기 멀티상하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First, the
다음,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은 상기 멀티조작부재(521)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멀티제어신호에 포함된 서로 다른 상기 멀티수평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상기 멀티조작부재(52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은 상기 제1리프트부재(31)의 일측 부재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기 멀티수평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4)는 상기 작업기가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운전자가 상기 멀티조작부재(52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은 상기 제1리프트부재(31)의 일측 부재를 하강시키기 위한 상기 멀티수평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4)는 상기 작업기가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더 나아가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은 상기 멀티조작부재(521)의 상하이동방향과 좌우이동방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멀티상하신호와 상기 멀티수평신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멀티조작부(52) 내에서 상기 멀티조작부재(521)를 조작하는 작업만으로도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이 상기 멀티상하신호 및 상기 멀티수평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이하에서는 상기 멀티조작부재(521)의 상하이동방향과 좌우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에 의해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생성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조작부재(521)의 상하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멀티상하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멀티조작부재(521)의 좌우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멀티수평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multi-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the
우선,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은 상기 멀티조작부재(521)의 상하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멀티제어신호에 포함된 서로 다른 상기 멀티상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상기 멀티조작부재(521)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은 상기 리프트암(3)을 상승시키기 위한 상기 멀티상하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운전자가 상기 멀티조작부재(521)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은 상기 리프트암(3)을 하강시키기 위한 상기 멀티상하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First, the
다음,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은 상기 멀티조작부재(521)의 좌우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멀티제어신호에 포함된 서로 다른 상기 멀티수평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상기 멀티조작부재(521)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은 상기 제1리프트부재(31)의 일측 부재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기 멀티수평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4)는 상기 작업기가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운전자가 상기 멀티조작부재(521)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은 상기 제1리프트부재(31)의 일측 부재를 하강시키기 위한 상기 멀티수평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4)는 상기 작업기가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상기 멀티조작본체(523)는 상기 멀티조작부(52)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멀티조작본체(523)에는 상기 멀티조작부재(521), 및 상기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멀티조작본체(523)는 상기 멀티조작부재(521)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멀티조작부재(52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멀티조작본체(523)는 상기 멀티조작부재(521)가 운전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운전석(21)에 결합될 수 있다.The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제어부(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6, the
상기 제어부(6)는 상기 조작부(5)로부터 제공된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조절부(4)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6)는 상기 조작부(5)로부터 제공된 조작신호를 상기 조절부(4)로 전달할 수 있다.The
상기 제어부(6)는 상기 상하조작부(511)로부터 상기 개별상하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를 위해 상기 개별상하신호를 상기 상하조절부(4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는 상기 수평조작부(512)로부터 상기 개별수평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위해 상기 개별수평신호를 상기 수평조절부(42)로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individual up/down signal is provided from the up/down
상기 제어부(6)는 상기 멀티조작부(52)로부터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멀티제어신호에 상기 멀티상하신호와 상기 멀티수평신호 중에서 어느 것이 포함되어 있는지에 따라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6)는 상기 멀티조작부(52)로부터 상기 멀티상하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를 위해 상기 멀티상하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상기 상하조절부(4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는 상기 멀티조작부(52)로부터 상기 멀티수평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위해 상기 멀티수평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상기 수평조절부(42)로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multi-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6)는 수신모듈(6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2 to 6, the
상기 수신모듈(60)은 상기 개별조작부(51)로부터 상기 개별상하신호 및 상기 개별수평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모듈(60)은 상기 멀티조작부(52)로부터 상기 멀티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멀티상하신호와 상기 멀티수평신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수신모듈(60)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부(5)로부터 상기 조작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6)는 판단모듈(61), 및 제어모듈(6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6 , the
상기 판단모듈(61)은 상기 멀티제어신호에 상기 멀티상하신호와 상기 멀티수평신호 중에서 어느 것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판단모듈(61)에 제공된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상기 멀티상하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판단모듈(61)은 상기 제어모듈(62)에 상기 멀티상하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판단모듈(61)에 제공된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상기 멀티수평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판단모듈(61)은 상기 제어모듈(62)에 상기 멀티수평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The
상기 제어모듈(62)은 상기 판단모듈(61)이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판단모듈(61)이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멀티상하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상기 제어모듈(62)에 제공된 경우, 상기 제어모듈(62)은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를 위해 상기 상하조절부(4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모듈(61)이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멀티수평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상기 제어모듈(62)에 제공된 경우, 상기 제어모듈(62)은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위해 상기 수평조절부(42)를 제어할 수 있다.The
도 4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5)는 전환조작부(5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7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전환조작부(53)는 상기 멀티조작부(52)의 조작에 따라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가 동작하는 멀티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전환조작부(53)는 상기 멀티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멀티모드진입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멀티모드는 상기 멀티조작부(52)의 조작에 따라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가 동작하는 상태일 수 있다.The switching
상기 전환조작부(53)는 상기 개별조작부(51)의 조작에 따라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가 동작하는 개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환조작부(53)는 상기 개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멀티모드해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개별모드는 상기 개별조작부(51)의 조작에 따라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가 동작하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환조작부(53)를 조작하는 작업만으로 상기 멀티모드와 상기 개별모드 간에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switching
상기 전환조작부(53)는 전환조작부재(531), 전환신호생성모듈(532), 및 전환조작본체(5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ing
상기 전환조작부재(531)는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전환조작부재(531)는 외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전환조작본체(5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환조작부재(531)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멀티모드진입신호 또는 상기 멀티모드해제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전환조작부재(531)를 이동시키기 위한 외력은. 운전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운전자는 상기 전환조작부재(531)를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전환조작부재(531)는 모멘터리 스위치(Momentary Switch)로 구현될 수 있다.The switching operation member 531 moves by external force. The switching operation member 531 may be coupled to the
상기 전환신호생성모듈(532)은 전환조작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전환조작신호는 상기 멀티모드진입신호와 상기 멀티모드해제신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전환신호생성모듈(532)은 상기 전환조작부재(531)의 조작 횟수에 따라 상기 멀티모드진입신호와 상기 멀티모드해제신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상기 개별모드에서 상기 전환조작부재(531)를 1회 조작하면, 상기 전환신호생성모듈(532)은 상기 멀티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상기 멀티모드진입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운전자가 상기 멀티모드에서 상기 전환조작부재(531)를 1회 더 조작하면, 상기 전환신호생성모듈(532)은 상기 개별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상기 멀티모드해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환신호생성모듈(532)에 의해 생성된 전환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모드 또는 상기 개별모드에서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와 수평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환신호생성모듈(532)은 상기 전환조작본체(533)에 결합될 수 있다.The switching signal generation module 532 generates a switching operation signal. The switching operation signal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multi-mode entry signal and the multi-mode release signal. The switching signal generation module 532 may generate one of the multi-mode entry signal and the multi-mode release signal depending on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switching operation member 531. For example,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switching operation member 531 once in the individual mode, the switching signal generation module 532 can generate the multi-mode entry signal to enter the multi-mode.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switching operation member 531 one more time in the multi-mode, the switching signal generation module 532 can generate the multi-mode release signal to enter the individual mode.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switching signal generation module 532, vertical control and horizontal control of the
상기 전환조작본체(533)는 상기 전환조작부(53)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전환조작본체(533)에는 상기 전환조작부재(531), 및 상기 전환신호생성모듈(53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환조작본체(533)는 상기 전환조작부재(531)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전환조작부재(53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환조작본체(533)는 상기 전환조작부재(531)가 운전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운전석(21)에 결합될 수 있다.The switching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조작부(5)가 상기 전환조작부(53)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제어부(6)는 전환모듈(6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7 , when the
상기 전환모듈(63)은 상기 개별모드 및 상기 멀티모드 간에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전환모듈(63)은 상기 전환조작부(53)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전환조작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환모듈(63)은 상기 멀티모드인 경우, 상기 개별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전환조작부(53)로부터 모드전환을 위한 상기 전환조작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환조작신호는 상기 멀티모드해제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4)는 상기 개별모드에서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와 수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환모듈(63)은 상기 개별모드인 경우, 상기 멀티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전환조작부(53)로부터 모드전환을 위한 상기 전환조작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환조작신호는 상기 멀티모드진입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4)는 상기 멀티모드에서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와 수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상기 전환모듈(63)은 상기 개별모드인 경우, 상기 멀티조작부(52)로부터 제공된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개별모드에서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상기 멀티조작부(52)를 조작함으로써 생성되는 상기 멀티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와 수평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개별모드에서 상기 개별조작부(51)의 조작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개별제어신호만을 상기 조절부(4)에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When in the individual mode, the switching
상기 전환모듈(63)은 상기 멀티모드인 경우, 상기 상하조작부(511)로부터 제공된 상기 개별상하신호에 따라 상기 상하조절부(41)가 동작하도록 상기 개별상하신호가 상기 상하조절부(41)에 전달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전환모듈(63)은 상기 멀티모드에서 상기 멀티상하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에 우선하여 상기 개별상하신호를 상기 상하조절부(41)에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멀티모드에서 상기 멀티조작부(52)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상기 멀티제어신호에 우선하여 상기 상하조작부(511)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개별상하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When in the multi-mode, the switching
상기 전환모듈(63)은 상기 멀티모드인 경우, 상기 수평조작부(512)로부터 제공된 상기 개별수평신호에 따라 상기 수평조절부(42)가 동작하도록 상기 개별수평신호가 상기 수평조절부(42)에 전달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전환모듈(63)은 상기 멀티모드에서 상기 멀티수평신호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에 우선하여 상기 개별수평신호를 상기 수평조절부(42)에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멀티모드에서 상기 멀티조작부(52)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상기 멀티제어신호에 우선하여 상기 수평조작부(512)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개별수평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When in the multi-mode, the switch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1 : 농업용 작업차량 2 : 차량본체
3 : 리프트암 4 : 조절부
5 : 조작부 6 : 제어부
21 : 운전석 22 : 바퀴
31 : 제1리프트부재 32 : 제2리프트부재
41 : 상하조절부 42 : 수평조절부
43 : 연결부재 51 : 개별조작부
52 : 멀티조작부 53 : 전환조작부
60 : 수신모듈 61 : 판단모듈
62 : 제어모듈 63 : 전환모듈
511 : 상하조작부 512 : 수평조작부1: Agricultural work vehicle 2: Vehicle body
3: Lift arm 4: Control unit
5: Control panel 6: Control panel
21: Driver's seat 22: Wheel
31: first lift member 32: second lift member
41: up and down adjustment part 42: horizontal adjustment part
43: connecting member 51: individual operating unit
52: Multi-control unit 53: Switch control unit
60: Receiving module 61: Judgment module
62: Control module 63: Conversion module
511: Up and down control unit 512: Horizontal control unit
Claims (10)
상기 차량본체(2)에 결합된 리프트암(3);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를 위해 상기 리프트암(3)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조절부(41);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위해 상기 리프트암(3)이 갖는 제1리프트부재(3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평조절부(42); 및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조작부(5)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5)는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를 위한 개별상하신호를 생성하는 상하조작부(511),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수평제어를 위한 개별수평신호를 생성하는 수평조작부(512), 및 상기 리프트암(3)에 대한 상하제어와 수평제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멀티조작부(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Vehicle body with engine (2) combined;
Lift arm (3) coupled to the vehicle body (2);
A vertical adjustment unit 41 that moves the lift arm 3 up and down for vertical control of the lift arm 3;
A horizontal adjusting unit 42 that moves the first lift member 31 of the lift arm 3 up and down for horizontal control of the lift arm 3; and
It includes an operation unit (5) that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for operating the up and down adjustment unit (41)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42),
The control unit 5 includes a vertical control unit 511 that generates individual vertical signals for vertical control of the lift arm 3, and a horizontal control unit that generates individual horizontal signals for horizontal control of the lift arm 3. (512), and a multi-control unit 52 that generates a multi-control signal to control any one selected from the vertical control and horizontal control of the lift arm (3).
상기 조작부(5)로부터 제공된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를 제어하는 제어부(6)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는 상기 멀티조작부(52)로부터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멀티제어신호에 멀티상하신호와 멀티수평신호 중에서 어느 것이 포함되어 있는지에 따라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According to paragraph 1,
It includes a control unit (6) that controls the vertical adjustment unit (41)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42)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operation unit (5),
When the multi-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ulti-manipulation unit 52, the control unit 6 controls the vertical adjustment unit 41 and the multi-horizontal signal depending on whether the multi-control signal includes a multi-up/down signal or a multi-horizontal signal.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any one selected from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42).
상기 멀티제어신호에 상기 멀티상하신호와 상기 멀티수평신호 중에서 어느 것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61), 및
상기 판단모듈(61)이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모듈(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6)
A judgment module 61 that determines which of the multi-upward signal and the multi-horizontal signal is included in the multi-control signal, and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omprising a control module (62) that controls one of the vertical adjustment unit (41)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42)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module (61).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멀티조작부재(521); 및
상기 멀티조작부재(521)의 이동방향과 회전방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따라 멀티상하신호와 멀티수평신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ulti-manipulation unit 52
Multi-operating member 521 moved by external force; and
Comprising a multi-signal generation module 522 that generates the multi-control signal containing one selected from a multi-upright signal and a multi-horizontal sig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moving direction and rotation direction of the multi-manipulation member 521. Characterized by agricultural work vehicles.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멀티조작부재(521); 및
상기 멀티조작부재(521)의 상하이동방향과 좌우이동방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따라 멀티상하신호와 멀티수평신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 상기 멀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멀티신호생성모듈(5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ulti-manipulation unit 52
Multi-operating member 521 moved by external force; and
It includes a multi-signal generation module 522 that generates the multi-control signal including one selected from multi-up and down signals and multi-horizontal signal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vertical and left-right moving directions of the multi-manipulating member 521.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by:
상기 멀티조작부(52)의 조작에 따라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가 동작하는 멀티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조작부(53), 및 상기 조작부(5)로부터 제공된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를 제어하는 제어부(6)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는 상기 상하조작부(511)와 상기 수평조작부(512)의 조작에 따라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가 동작하는 개별모드 및 상기 멀티모드 간에 전환하기 위한 전환모듈(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According to paragraph 1,
A switching operation unit 53 for switching to a multi-mode in which the up and down adjustment unit 41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42 oper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ulti operation unit 52, and an opera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operation unit 5. It includes a control unit 6 that controls the up and down adjustment unit 41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42,
The control unit 6 switches between the individual mode and the multi-mode in which the up and down adjustment unit 41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42 oper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p and down control unit 511 and the horizontal control unit 512.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nversion module (63) for.
상기 전환모듈(63)은 상기 개별모드인 경우, 상기 멀티조작부(52)로부터 제공된 상기 멀티제어신호가 상기 상하조절부(41)와 상기 수평조절부(42)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According to clause 6,
When in the individual mode, the switching module 63 blocks the multi-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multi-control unit 52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vertical adjustment unit 41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42. Agricultural work vehicle.
상기 전환모듈(63)은 상기 멀티모드인 경우, 상기 상하조작부(511)로부터 제공된 상기 개별상하신호에 따라 상기 상하조절부(41)가 동작하도록 상기 개별상하신호가 상기 상하조절부(41)에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According to clause 6,
When in the multi-mode, the switching module 63 transmits the individual up and down control unit 41 to the up and down control unit 41 so that the up and down control unit 41 operat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up and down signal provided from the up and down control unit 511.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allows delivery.
상기 전환모듈(63)은 상기 멀티모드인 경우, 상기 수평조작부(512)로부터 제공된 상기 개별수평신호에 따라 상기 수평조절부(42)가 동작하도록 상기 개별수평신호가 상기 수평조절부(42)에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According to clause 6,
In the case of the multi-mode, the switching module 63 transmits the individual horizontal signal to the leveling unit 42 so that the leveling unit 42 operat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horizontal signal provided from the horizontal operating unit 512. Agricultur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allows delivery.
상기 전환모듈(63)은 상기 멀티모드인 경우, 상기 전환조작부(53)로부터 모드전환을 위한 전환조작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개별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According to clause 6,
The switching module (63) is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case of the multi-mode, switching to the individual mode when a switching operation signal for mode switching is provided from the switching operation unit (5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5602A KR102680208B1 (en) | 2019-02-11 | 2019-02-11 | Agricultural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5602A KR102680208B1 (en) | 2019-02-11 | 2019-02-11 | Agricultural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8023A KR20200098023A (en) | 2020-08-20 |
KR102680208B1 true KR102680208B1 (en) | 2024-07-02 |
Family
ID=7224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5602A KR102680208B1 (en) | 2019-02-11 | 2019-02-11 | Agricultural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0208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48644A (en) | 2006-12-19 | 2008-07-03 | Kubota Corp | Operation mechanism of working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48041A (en) * | 1996-03-14 | 1997-09-22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Combine |
JP3635775B2 (en) * | 1996-04-08 | 2005-04-06 | 井関農機株式会社 | Agricultural machinery horizontal control device |
KR19990042203U (en) * | 1999-08-28 | 1999-12-27 | 권문구 | Control system using oil pressure cylinder with sensor of horizontal direction for tractor |
KR20160075082A (en) * | 2014-12-19 | 2016-06-29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Horizontality control apparatus of working vehicle |
-
2019
- 2019-02-11 KR KR1020190015602A patent/KR102680208B1/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48644A (en) | 2006-12-19 | 2008-07-03 | Kubota Corp | Operation mechanism of working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8023A (en) | 2020-08-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43577B1 (en) | Operator control station and method for a work machine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
US7635045B2 (en) | Machine tool control console | |
KR102680208B1 (en) | Agricultural Vehicle | |
JP5783069B2 (en) | Multipurpose farm vehicle | |
GB2412362A (en) | Method for a work machine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
JP7229143B2 (en) | Work equipment communication system | |
JP6253057B2 (en) | Work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lifting device | |
JP7258705B2 (en) | work vehicle | |
JP7258704B2 (en) | work vehicle | |
KR20210143481A (en) | Agricultural Vehicle | |
JPH0431645B2 (en) | ||
JP3271306B2 (en) | Work machine control mechanism for tractors, etc. | |
JP7042668B2 (en) | Field work machine | |
JP3821935B2 (en) | Leveling machine | |
CN115316090B (en) | Paddy field working machine | |
JP2009011164A (en) | Levee-plastering machine | |
JP2002335708A (en) | Traveling vehicle for working | |
JPH09154302A (en) | Front gauge wheel of rotary plower | |
JPH07170817A (en) | Sulky type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 |
JP2002339390A (en) | Working vehicle | |
JP2002339389A (en) | Working vehicle | |
JP2021027807A (en) | Work vehicle | |
KR20220146340A (en) | Agricultural Vehicle | |
JPH11113307A (en) | Land-leveling machine | |
JP3286220B2 (en) | Transplant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