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0197B1 - Fire protection cover for Fire suppression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 Google Patents
Fire protection cover for Fire suppression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80197B1 KR102680197B1 KR1020230090301A KR20230090301A KR102680197B1 KR 102680197 B1 KR102680197 B1 KR 102680197B1 KR 1020230090301 A KR1020230090301 A KR 1020230090301A KR 20230090301 A KR20230090301 A KR 20230090301A KR 102680197 B1 KR102680197 B1 KR 1026801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extinguishing
- extinguishing agent
- flame retardant
- fire
- electric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31 ther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83 diese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95 eco-friendly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충전소의 화재진압용 방염막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기차 충전소에서 화재발생시 전기차 상부에 설치된 차단소화장치의 방염막이 펼쳐서 화염을 차단시켜 화염확산을 방지하고, 방염막 내측으로는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소화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방염막 내부로 분사된 소화약제는 내부에 저장하여 수조기능을 제공하되 저장된 소화약제 수위가 일정높이를 초과되면 배출장치에 의해 초과된 량을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방염막 내부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량을 감소시켜 소화약제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전기차충전소의 화재진압용 방염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me retardant film for fire suppression a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More specifically, when a fire occurs at an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the flame retardant film of the blocking fire extinguishing device installed on top of the electric vehicle spreads to block the flame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flame, and the inside of the flame retardant film prevents the flame from spread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to ensure fire extinguishing effect, an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prayed into the flame retardant membrane is stored inside to provide a water tank function. However, if the level of the stored fire extinguishing agent exceeds a certain height, the excess amoun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discharge device. This relates to a flame retardant film for fire suppression a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hat can reduce the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agent used by reducing the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agent sprayed into the flame retardant film while being discharg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차충전소의 화재진압용 방염막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기차 충전소에서 화재발생시 전기차 상부에 설치된 차단소화장치의 방염막이 펼쳐서 화염을 차단시켜 화염확산을 방지하고, 방염막 내측으로는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소화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방염막 내부로 분사된 소화약제는 내부에 저장하여 수조기능을 제공하되 저장된 소화약제 수위가 일정높이를 초과되면 배출장치에 의해 초과된 량을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방염막 내부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량을 감소시켜 소화약제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전기차충전소의 화재진압용 방염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me retardant film for fire suppression a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More specifically, when a fire occurs at an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the flame retardant film of the cut-off fire extinguishing device installed on top of the electric vehicle spreads to block the flame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flame, and the inside of the flame retardant film prevents the flame from spread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to ensure fire extinguishing effect, an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prayed into the flame retardant membrane is stored inside to provide a water tank function. However, if the level of the stored fire extinguishing agent exceeds a certain height, the excess amoun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discharge device. This relates to a flame retardant film for fire suppression a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hat can reduce the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agent used by reducing the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agent sprayed into the flame retardant film while being discharged.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가솔린이나 디젤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을 사용하였으나, 내연기관에서 발산하는 이산화탄소의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친환경에너지 자동차인 전기차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지구온난화 문제로 전세계적으로 내연기관자동차의 퇴출 분위기는 점점 더 커질 것이고, 이에 반하여 전기차의 보급을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앞으로 그 점유율을 더욱 올라갈 것이다.In general, automobiles use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that use gasoline or diesel fuel, but recently, due to the problem of carbon dioxide emitted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s, the spread of electric vehicles, which are eco-friendly energy vehicles, has been increasing. This trend is leading to a growing trend around the world to phase out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due to global warming issues. In contrast, the supply of electric vehicles is steadily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ir market share is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in the future.
이러한 전기차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배터리는 1회충전에 의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배터리모듈을 내장하여 하나의 배터리팩으로 구성한 다음 자동차의 하부측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팩은 외부충격을 포함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화재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주행중이나 충전중에도 발생될 수 있다. The batter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these electric vehicles, is used by building a single battery pack with multiple battery modules to enable long-term use on a single charge and then installing it on the lower part of the car. The battery pack may catch fire due to various causes, including external shocks, and this may occur even while driving or charging.
특히 충전시에는 충전장치와 배터리간 이상작동, 파손된 배터리에 의한 이상발생에 의해 급속하게 배터리열이 상승하면서 배터리 연소반응이 발생되어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In particular, during charging, abnormal operation between the charging device and the battery or abnormalities caused by a damaged battery can cause battery heat to rise rapidly, resulting in a battery combustion reaction, which may result in a fire.
따라서, 최근에는 전기차 충전소에는 화재진압장치를 설치하여 전기차 화재 발생시 신속한 소화작업이 이루어지게 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고 있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fire suppression devices have been installed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by quickly extinguishing fires in the event of an electric vehicle fire.
한국등록특허 제10-2431474호(2022.08.08.등록;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함)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를 제시하였다. 상기 특허문헌1은 충전소의 주차위치에 사각테두리 형태의 수납본체를 바닥에 형성하고, 수납본체에 내장되고 공기주입에 의해 상부로 팽창되는 다단벽튜브를 제공하여 수조를 형성해 담수가 이루어지게 하였다. 그러나 상부가 개방되기 때문에 화염이 인접지역으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Korean Patent No. 10-2431474 (registered on August 8, 202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proposed a fire suppression tank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n
한국등록특허 제10-2504119호(2023.02.22.등록;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함)은 전기차 충전시 화재감지 및 확산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상기 특허문헌2는 전기차의 상부측에 소화액 분사부와 지붕막을 배치시키며, 화재시 지붕막 가장자리에 설치된 차단막홀딩부에서 차단막을 펼쳐 전기차가 내포되도록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소화액의 분사가 이루어지게 하였다. 그러나 차단막은 주차지역 바닥과 밀착되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분사되는 소화액을 내부에 담수할 수 없다. Korean Patent No. 10-2504119 (registered on February 22, 202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proposes a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ire and preventing its spread when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Patent Document 2 arranges a fire extinguishing liquid spraying unit and a roof membrane on the upper side of an electric vehicle, and in the event of a fire, the blocking membrane is spread from the blocking membrane holding unit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roof membrane to form an enclosed space to enclose the electric vehicle and spraying of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occurs. However, because the barrier has a weak adhesion to the floor of the parking area, the sprayed fire extinguishing liquid cannot be contained inside.
한국등록특허 제10-2470858호(2022.11.22.등록;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함)은 살수 수조를 갖는 질식 소화덮개를 제시하였다. 상기 특허문헌3은 차량을 덮는 소화포와, 소화수공급호스와, 상기 소화포저면에 살수공이 형성된 살수포를 결합시키도록 구성하여 살수포 내측공간으로 소화수를 유입해 살수공을 통해 차량으로 소화수 분사가 이루어지게 하였으나, 살수포 내측공간으로 소화수를 저장시켜 배터리를 잠기게 하는 기능은 없다. Korean Patent No. 10-2470858 (registered on November 22, 202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proposed a suffocating fire extinguishing cover having a water spray tank. Patent Document 3 is configured to combine a fire extinguisher covering a vehicle, a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y hose, and a sprinkler with a spray hol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ire extinguisher, so that fire extinguishing water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prinkler and extinguishes the fire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spray hole. Although water spraying is provided, there is no function to store fire extinguishing water in the inner space of the spray gun and lock the battery.
따라서, 전기차 화재시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면서 분사된 소화약제를 포집하여 수조가 형성되도록 하고, 소화약제의 사용랑을 절감시키면서 효과적인 화재진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화재진압시스템용 방염막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flame retardant membrane for a fire suppression system that prevents the spread of flame in the event of an electric vehicle fire, collects the sprayed fire extinguishing agent, forms a water tank, and can achieve effective fire suppression while reducing the use of fire extinguishing agent. It has been done.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차충전소의 화재진압시스템용 방염막은, The flame retardant film for the fire suppression system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펼쳐져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설치되는 충전영역의 바닥과의 밀착력을 높여 내부로 분사된 소화약제를 가둬 수조가 형성되도록 하고, 내부공간에 일정수위로 소화약제가 담수되면 소화약제의 분사량을 단속시켜 소화약제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방염막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event of a fire, it spreads quickly to prevent the flame from spreading, and increases adhesion to the floor of the installed charging area to form a water tank to trap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prayed insid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lame retardant membrane that can reduce the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agent used by controlling the spray amount of the agent.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차충전소의 화재진압시스템용 방염막은,The flame retardant film for the fire suppression system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전기차충전소의 충전영역 상부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소화약제가 주입으로 확장되어 전기차를 덮어 화염 확산을 방지하는 화재진압용 방염막에 있어서, 방염소재를 다층(multi-layer)으로 적층 및 접합하여 형성된 돔형태의 본체막과; 상기 본체막의 일부분에 유로를 형성하여 약제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소화약제를 이송시키고, 소화약제의 압력에 의해 본체막을 돔형태로 유지시키고 충전영역바닥과 밀착되어 내측으로 자동차가 안치되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유로부와; 상기 유로부에서 밀폐공간이 형성된 내측면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소화약제를 밀폐공간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유로부가 없는 본체막에 형성되어 밀폐공간으로 담수된 소화약제가 일정높이 이상으로 저장되지 않도록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the flame retardant membrane for fire suppression,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harging area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expands by injection of fire extinguishing agent in the event of a fire to cover the electric vehicle and prevent the spread of flame, the dome is formed by laminating and joining flame retardant materials in multi-layers. A main body membrane of the form; A flow path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main body membrane to transpor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upplied from the chemical tank, and the main body membrane is maintained in a dome shape by the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charging area to form an enclosed space in which the car is placed inside. Euro Department; a spray nozzl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ed space in the flow path portion and spraying the transported fire extinguishing agent into the closed spa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formed on the main body membrane without the passage portion and soaked in the sealed space to the outside so that it is not stored above a certain height.
또한, 상기 배출수단은, 전기차의 배터리장착 높이보다 20~30cm 높은 높이에 장착되어 소화약제의 저장수위를 제한하는 다수개의 체크밸브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discharge means may be a plurality of check valves that are mounted at a height of 20 to 30 cm higher than the battery mounting heigh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limit the storage level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여기서 상기 배출수단에는 소화약제의 배출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장착하여, 감지센서에서 소화약제 배출이 감지되면 약제탱크의 소화약제 배출량을 줄이도록 조절해 소화약제의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Here, the discharge means is equipped with a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discharged, and when discharge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the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agent used can be reduced by adjusting to reduce the discharge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from the chemical tank.
또한, 상기 유로부는, 약제탱크로부터 소화약제를 공급받는 중앙에서 방사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본체막 상부를 캡형태로 펼쳐지게 하고, 내측 밀폐공간 방향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된 방사유로와; 상기 방사유로와 일단이 연통되고 하부가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수직배치되어 내부면적을 확장시키고, 밀폐공간 방향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된 수직유로와; 상기 다수개의 수직유로 중 인접한 수직유로의 하단을 서로 연결시켜 환 또는 사각형으로 폐구시키고, 내입된 소화약제 중량에 의해 충전영역의 바닥에 밀착되어 내부에 분사된 소화약제를 포집시키는 바닥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passage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adial passages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that receiv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from the chemical tank, spreading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membrane in a cap shape, and having a spray nozzl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ealed space; a vertical passage with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radiation passage and vertically disposed so that its lower portion extends outward to expand the internal area, and having a spray nozzl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enclosed space; Among the plurality of vertical passages, the lower ends of adjacent vertical passag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losed into a ring or square shape, and a bottom passag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filling area due to the weight of the injected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collects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prayed therein. It is composed by:
상기 바닥유로의 바닥면에는 바닥유로를 따라 길게 형성된 볼록부를 다열로 구성하여 바닥유로 내부에 충전되는 소화약제의 하중이 볼록부의 만곡지점에 집중되어 충전영역 바닥과의 밀착되어 내부 밀폐공간의 밀폐력을 증가시키게 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ssage is composed of multiple rows of convex portions formed long along the bottom passage, so that the load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filled inside the bottom passage is concentrated at the curved point of the convex portion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filling area, thereby increasing the sealing force of the internal sealed space. can be increased.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전기차충전소의 화재진압용 방염막은, The flame retardant film for fire suppress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solution,
충전장소 상부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펼쳐져 화염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charging area and can quickly unfold in the event of a fire to prevent the spread of flame.
특히 방염막의 하단을 충전장소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내부로 분사되는 소화약제의 담수시켜 수조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배터리를 담수된 소화약제에 담궈 신속한 소화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In particular, by ensuring that the bottom of the flame retardant fil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harging location,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prayed inside is desalinated and a water tank function is provided, allowing rapid fire extinguishment by immersing the battery in the fresh water extinguishing agent.
또한, 방염막 내에 충분한 량으로 담수가 이루어지면 배출수단을 통해 잉여 소화약제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동시에 방염막 내부로 공급되는 소화약제의 분사량감소로 소화약제 사용량을 절감시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친환경 화재진압용 방염막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In addition, when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is contained within the flame retardant membrane, the excess fire extinguishing agen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means, and at the same time,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minimized by reducing the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agent used by reducing the spray amount of the extinguishing agent supplied into the flame retardant membrane. It has become possible to provide eco-friendly flame retardant membranes for fire suppress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염막의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염막 내부의 초기 분사상태와 담수된 소화약제의 배출상태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방염막이 펼쳐졌을 때 상단과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c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염막 하단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수직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a flame retardant fil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are vertic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initial injection state and discharge state of fresh water fire extinguishing agent inside the flame retardant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are a top and side view of the flame retardant film when it is unfolded.
Figures 3c and 3d are vertic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shapes of the bottom of the flame retardan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tak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the attached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or reduced from the actual size to ensure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f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that are commonly used and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염막의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염막 내부의 초기 분사상태와 소화약제의 담수상태를 도시한 수직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lame retardant membra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2a and 2b are vertic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initial injection state and fresh water state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nside the flame retardant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시스템(10)은, 전기차가 주차되는 충전영역의 일측에 설치되는 충전장치(20)와, 상기 충전영역의 전방과 후방 및 바닥에 설치되어 충전을 위해 주차된 전기차에 대한 영상을 측정하는 카메라측정장치(30)와, 상기 전기차 화재시 전기차를 신속하게 덮어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부공간으로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차단소화장치(40)와, 각종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referenced, the
상기 충전장치(20)는, 자동차가 충전영역으로 진입하는 입구와 반대되는 방향에 벽부형 또는 스텐드형으로 설치되고, 충전커넥터를 구비하여 주차된 전기차에 연결하여 충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충전장치는 출시된 다양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카메라측정장치와 약제탱크가 내장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The
상기 카메라측정장치(30)는, 전방의 충전장치에 설치 또는 주차되는 전기차의 상부 및 후미측에 설치 또는 양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다양한 각도에서 영상을 촬영하도록 2개 이상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주차영역의 바닥에도 설치하여 주차된 전기차의 하부면을 촬영할 수도 있다. The camera measuring device 30 can be installed on the top and rear sides or on both sides of an electric vehicle that is installed or parked in a front charging device, and two or more cameras can be installed to capture images from various angles. Additionally, it can be installed on the floor of a parking area to capture the lower surface of a parked electric vehicle.
이러한 카메라측정장치(30)는, 전기차에서 연기 또는 불꽃이 발생되는 것을 촬영하여 감시하거나 열화상카메라를 통한 열분포를 촬영하여 후술되는 제어장치로 제공한다. 즉, 외부적으로 확인되는 연기나 불꽃 또는 배터리팩 하우징의 파손여부는 일반영상촬영 카메라를 통해서 점검하고, 전기차에 설치된 배터리나 충전라인 상의 이상 여부는 열화상카메라를 통해서 점검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This camera measurement device 30 captures and monitors smoke or flames generated from an electric vehicle, or captures heat distribution through a thermal imaging camera and provides the image to a control device described later. In other words, externally confirmed smoke, flames, or damage to the battery pack housing can be checked through a general video camera, and abnormalities in the battery or charging line installed in the electric vehicle can be checked through a thermal imaging camera. .
상기 차단소화장치(40)는, 주차된 전기차 상부측에 방염막(44)을 접어서 배치하고, 소화작업시 방염막(44)이 펼쳐지면서 전기차(70)를 덮어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내부로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화재진압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특히 방염막와 충전영역 바닥과의 밀착력을 높여 내부로 분사된 소화약제를 담수하여 수조기능에 의한 화재진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The blocking
상기 차단소화장치(40)는, 도 2a를 참조한 바와같이 소화약제가 충전된 약제탱크(41)를 포함한다. 상기 약제탱크(41)는 충전장치 내부에 설치되거나, 충전영역의 일측에 스텐드형으로 설치되거나, 매립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약제탱크에 충전되는 소화약제는 전기차 소화에 사용되는 다양한 약제가 사용된다. The blocking
상기 약제탱크는 일측에 이송관(42)이 연결된다. 상기 이송관(42)은 유입구가 약제탱크(41)와 연결되어 약제탱크에 저장된 소화약제를 제공받고, 토출구는 주차된 전기차의 상부에 배치되어 토출이 이루어진다. 이송관 또는 약제탱크 또는 이송관과 약제탱크의 연결부위는 단속밸브를 설치하여 제어장치의 단속에 의해 약제탱크에 저장된 소화약제를 이송공급하게 할 수 있다.The chemical tank is connected to a
상기 이송관의 토출구 부분에는 방염하우징(43)이 설치된다. 상기 방염하우징(43)은 이송관(42)의 토출구와 근접된 부분에 결합되고, 후술되는 방염막을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박스형태로 제공되거나, 방염막이 임의로 내려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등 방염막을 보관하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방염하우징(43)이 박스형태일 경우에는 저면에 개폐구가 형성되어 개폐에 의해 방염막(44)이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개폐구는 내부 방염막의 팽창력에 의해 파손되는 재질로 형성하거나, 제어장치의 단속에 의해 개폐되는 기계식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염하우징(43)은 이송관(42)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구조로 제공하여, 사용후 교체장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 flame-
상기 방염막(44)은 방염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화재발생시 도 2a와 같이 외부로 배출되어 돔형태로 펼쳐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되, 내부공간으로 전기차가 위치하도록 덮어 전기차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염막(44)은 평상시에는 방염하우징 내부에 쉽게 펼쳐질 수 있도록 접어서 보관되고, 화재시 돔형태로 펼쳐져 내부에 전기차가 수용되도록 한다.The
상기 방염막(44)은, 방염소재로 형성된 돔형태의 본체막(45)과, 상기 본체막의 일부분에 적층된 방염소재층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여 약제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소화약제를 이송시키는 유로부(46)와, 상기 유로부가 형성된 내측면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소화약제를 방염막 내측공간인 밀폐공간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464)로 구성된다. The
상기 본체막(45)은, 단층으로 형성되는 것보다는 다층(multi-layer)으로 적층 및 접합하여 방염소재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유로부(46)는, 적층된 방염소재층 내부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접착하지 않아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막에 형성된 유로부는 전체가 하나로 연결되어 유로부 내부로 소화약제를 공급하여 유로부를 충전시키고, 유로부를 통해 소화약제의 이송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The
상기 분사노즐(464)은, 유로부를 통해 공급된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노즐로서, 유로부를 따라 다수개 형성하여, 방염막 내부 밀폐공간으로 다양한 방향에서 소화약제의 분사가 이루어져 신속한 소화작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The spray nozzle 464 is a nozzle that sprays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upplied through the flow path, and is formed in plural numbers along the flow path,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from various directions into the sealed space inside the flame retardant membrane to achieve a rapid fire extinguishing action. can do.
이와같이 상기 방염막(44)은, 연결구를 통해서 이송관의 토출구와 연결되어 이송관으로부터 소화약제를 공급받아 방염막의 유로부(46)를 충전시키며, 유로부 충전과정에서 방염막은 돔형태로 펼쳐지게 된다. In this way, the
상기 연결구(441)는 수밀패킹으로 형성하여 이송관에 밀착 장착되고, 소화약제의 토출압력에 의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관 또는 방염하우징에 결합되는 잠금수단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으로는 이송관 또는 방염하우징에는 폐구된 고정고리를 형성하고, 연결구에는 걸고리를 형성하여 고정고리에 걸고리를 끼워서 잠금이 이루어지는 형태를 포함하는 다양한 공지된 잠금장치를 이용한 잠금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방염막(44)은 방염소재의 천을 다층으로 적층시켜 최종막을 구성하되 접착방식 이외에 봉재방식을 통해 유로부가 형성되게 할 수 있으며, 부착간격 또는 봉재간격을 조절하여 방염막의 뼈대역할을 하는 유로부의 두께를 원하는 두께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물론 상기 부분부착이나 봉재 없이 다층의 방염소재층 사이공간 전체를 소화약제 충전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나, 이는 소화약제를 충전하는데 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신속한 화재진압이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부분적인 부착이나 봉재방식을 적용하여 소화약제가 충전되는 유로부의 면적을 줄임으로써 신속하게 뼈대를 구성하여 자동차를 돔형태로 덮어 밀폐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Of course, the entire space between the multi-layer flame retardant material layers can be used as a filling space for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without the partial attachment or sewing, but it takes a long time to charg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o rapid fire suppression cannot be achieved. Therefore, by applying partial attachment or sewing method to reduce the area of the flow path filled with fire extinguishing agent, it is possible to quickly construct a framework and cover the car in a dome shape to seal it.
도 2b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유로부가 없는 본체막(45) 부분에 배출수단(4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B,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means 47 in a portion of the
상기 배출수단(47)은 방염막 내부에 담수된 소화약제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로, 대표적으로는 체크밸브가 있으며, 이외에 일정수위가 되면 개방되어 내부 수위를 유지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The discharge means 47 is a device that discharges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oaked inside the flame retardant membrane to the outside, and typically has a check valve. In addition, various methods may be applied to maintain the internal water level by opening when the water level reaches a certain level.
상기 배출수단 적어도 자동차의 배터리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다수 형성하여 자동차 배터리가 담수된 소화약제에 담궈지게 한다. 상기 배출수단의 형성높이는 배터리 장착높이보다 10~50cm로 설치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20~30cm높이로 형성하여 배터리가 충분히 잠기게 하는 것이다 .A plurality of the discharge means are formed at least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ar battery, so that the car battery is immersed in fresh water fire extinguishing agent. The forming height of the discharge means is set at 10 to 50 cm higher than the battery installation height, and is preferably set at 20 to 30 cm high so that the battery is sufficiently submerged.
아울러 상기 배출수단(47)에는 감지센서를 더 장착하여 소화약제의 배출여부를 감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에서 소화약제의 배출이 감지되면 약제탱크(41)의 소화약제 배출량을 줄이도록 단속해 소화약제의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means 47 can be further equipped with a detection sensor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discharged. When the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discharge of fire extinguishing agent, the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agent used can be reduced by controlling to reduce the discharge of fire extinguishing agent from the
상기 감지센서는 제어장치나 약제탱크의 단속밸브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약제탱크의 단속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The detection sensor can be connected wired or wirelessly to the control device or the control valve of the chemical tank to control the chemical tank.
도 3a와 도 3b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염막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The flame retardant membran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본 발명의 방염막(44)은 부분적으로 소화약제가 이송되는 유로부(46)가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로부(46)는 다층으로 구성된 본체막 중 부분적으로 접합되지 않거나 봉재를 통해 형성되며, 이외에 방염막(44)의 내면에 유로부를 형성하기 위한 방염천을 덧대어 형성되게 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방염막에 유로부를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유로부(46)는 도 3a와 같이 중앙에 연결구(441)가 형성되어 이송관(42)의 토출구와 결합되고, 결합된 이송관으로부터 소화약제를 제공받아 전체 유로부(46) 내부를 충전한다. The
상기 유로부(46) 내부로 소화약제를 공급하면, 소화약제의 공급압력에 의해 유로부는 팽창되어 펼쳐지게 된다. 즉, 방염하우징 내부에 접혀서 보관된 방염막(44)으로 소화약제 공급이 이루어지면, 방염막(44)은 유로부(46) 내부에 소화약제가 충전되면서 접힌 부분이 펼쳐지고, 유로가 펼쳐지는 과정에서 방염하우징 내에서 배출되고, 지속적으로 펼쳐져 전기차를 덮게 된다. When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upplied into the
상기 유로부(46)는 도시된 바와같이 이송관 토출구와 연결되는 부분인 연결구(44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확장되어 지붕을 형성하는 방사유로(461)와, 상기 방사유로와 연통되어 수직으로 배치되어 방사유로가 형성하는 지붕부분을 일정높이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수직유로(462)와, 상기 수직유로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폐구된 원 또는 다각형을 형성하여 전기차 충전영역의 바닥에 접하는 바닥유로(463)로 구성된다.As shown, the
상기 방사유로(461)는 도면에서는 4개로 도시하였으나 4개 이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수직유로(462)는 상부보다 하부의 간격이 더 넓은 확장된 뿔대형태로 배치하여 충전영역에 안정적으로 안치되게 할 수 있고, 상기 바닥유로(463)는 유로를 형성하는 단면을 방사유로와 수직유로보다 더 넓게 형성하여 내부에 충전되는 량을 증가시켜 바닥유로 자체 중량에 의해 충전영역에 밀착시킬 수 있다.The
상기 방사유로(461)와, 수직유로(462) 및 바닥유로(463)에는 내측 밀폐공간 방향으로 다수개의 분사노즐(464)을 형성하여 충전된 소화약제를 밀폐공간에 안치된 전기차(70) 방향으로 분사되어 소화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직유로(462)간에도 수평으로 보조유로를 더 형성하고, 보조유로에도 분사노즐을 형성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동시에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신속한 화재진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In the
또한, 도 3c를 참조한 바와같이 방염막(44)의 바닥유로(463)는 충전영역 바닥과 밀착되어 어느 정도의 수밀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내부로 분사된 소화약제를 담수할 수 있어 전기차 배터리팩 부분이 담수된 소화약제에 잠기게 하는 수조효과에 의해 신속한 배터리 안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C, the
또한, 도 3d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바닥유로(463)는 바닥면에 바닥유로를 따라 길게 형성된 볼록부(465)를 다열로 구성하여 바닥유로 내부에 충전되는 소화약제의 하중이 볼록부의 만곡지점에 더 집중되어 충전영역 바닥과의 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볼록부(465)는 삼각형 또는 곡면의 단면을 갖는 폐구된 때형태로 제공되어 바닥유로와 충전영역의 바닥면 사이의 밀폐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s referring to FIG. 3D, the
상기 제어장치(60)는,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시스템 내의 각종 신호를 제어하는 장치이며, 충전장치(20)내에 설치되거나, 별도로 충전시설과는 이격된 안전지역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장치는 충전상태를 점검하여 이상시 충전을 차단하여 안전성을 제공하거나, 카메라측정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일반영상 및 열화상을 제공받아 기설정된 비교데이터와 대비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판단시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정상확인 또는 이상에 대해 대응하는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차단소화장치를 작동시키게 한다.The control device 60 is a device that controls various signals within the fire suppression system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is installed within the charging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충전소의 화재진압용 방염막은, 충전영역에서의 전기차 화재가 발생되면 소화약제 주입에 의해 방염막이 신속하게 펼쳐지면서 전기차를 덮어 화염을 차단하고, 방염막 내부의 분사노즐을 통해 소화약제를 분사시켜 신속한 소화가 이루어지게 한다. 특히 방염막이 충전장소 바닥과 밀착됨으로써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된 소화약제는 방염막 내부에 담수되어 수조기능을 제공하고, 충분히 담수가 이루어지면 배출수단을 통해 소화약제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분사노즐을 통한 소화약제의 분사량을 감소시켜 소화약제 사용량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lame retardant film for fire suppression i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hen an electric vehicle fire occurs in the charging area, the flame retardant film spreads quickly by injection of a fire extinguishing agent, covers the electric vehicle, blocks the flame, and sprays inside the flame retardant film.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through a nozzle to ensure rapid fire extinguishment. In particular, as the flame retardant membran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charging area,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prayed by the spray nozzle is freshened inside the flame retardant membrane to provide a water tank function. When sufficient fresh water is create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means an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discharged through the spray nozzle.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reducing the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agent used by reducing the spray amount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10 : 화재진압시스템
20 : 충전장치
30 : 카메라측정장치
40 : 차단소화장치
41 : 약제탱크 42 : 이송관
43 : 방염하우징 44 : 방염막
45 : 본체막 46 : 유로부
47 : 배출수단
441 : 연결구 461 : 방사유로
462 : 수직유로 463 : 바닥유로
464 : 분사노즐 465 : 볼록부
70 : 전기차10: Fire suppression system
20: Charging device
30: Camera measuring device
40: Blocking fire extinguishing device
41: Chemical tank 42: Transfer pipe
43: flame retardant housing 44: flame retardant membrane
45: main body membrane 46: flow path part
47: discharge means
441: Connector 461: Radiation passage
462: Vertical flow path 463: Bottom flow path
464: spray nozzle 465: convex portion
70: electric car
Claims (5)
방염소재를 다층(multi-layer)으로 적층 및 접합하여 형성된 돔형태의 본체막과; 상기 본체막의 일부분에 유로를 형성하여 약제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소화약제를 이송시키고, 소화약제의 압력에 의해 본체막을 돔형태로 유지시키고 충전영역바닥과 밀착되어 내측으로 자동차가 안치되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유로부와; 상기 유로부에서 밀폐공간이 형성된 내측면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소화약제를 밀폐공간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유로부가 없는 본체막에 형성되어 밀폐공간으로 담수된 소화약제가 일정높이 이상으로 저장되지 않도록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유로부는,
약제탱크로부터 소화약제를 공급받는 중앙에서 방사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본체막 상부를 캡형태로 펼쳐지게 하고, 내측 밀폐공간 방향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된 방사유로와;
상기 방사유로와 일단이 연통되고 하부가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수직배치되어 내부면적을 확장시키고, 밀폐공간 방향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된 수직유로와;
상기 다수개의 수직유로 중 인접한 수직유로의 하단을 서로 연결시켜 환 또는 사각형으로 폐구시키고, 내입된 소화약제 중량에 의해 충전영역의 바닥에 밀착되어 내부에 분사된 소화약제를 포집시키는 바닥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충전소의 화재진압용 방염막.In the flame retardant film for fire suppression,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harging area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hen a fire occurs,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injected and expanded to cover the electric vehicle to prevent the spread of flame,
A dome-shaped main body film formed by laminating and bonding flame retardant materials in multi-layers; A flow path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main body membrane to transpor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upplied from the chemical tank, and the main body membrane is maintained in a dome shape by the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charging area to form an enclosed space in which the car is placed inside. Euro Department; a spray nozzl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ed space in the flow path portion and spraying the transported fire extinguishing agent into the sealed space; Discharg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formed on the main body membrane without the passage portion and soaked in the sealed space to the outside so that it is not stored above a certain height,
The euro section,
A plurality of radiation passages are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that receives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from the chemical tank to spread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membrane in a cap shape, and a spray nozzle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ealed space;
a vertical passage with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radiation passage and vertically disposed so that its lower portion extends outward to expand the internal area, and having a spray nozzl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enclosed space;
Among the plurality of vertical passages, the lower ends of adjacent vertical passag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losed into a ring or square shape, and a bottom passag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filling area due to the weight of the injected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collects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prayed therein. A flame retardant film for fire suppression a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상기 배출수단은,
담수된 소화약제에 배터리가 담궈지도록 전기차 배터리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내부에 담수된 소화약제를 외부로 배출시켜 내부수위를 유지시키는 다수개의 체크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충전소의 화재진압용 방염막.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charge means is,
For fire suppression a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hich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so that the battery is immersed in the fresh water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has a plurality of check valves that discharge the fresh water fire extinguishing agent to the outside to maintain the internal water level. Flame retardant membrane.
상기 배출수단에는 소화약제의 배출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장착하여, 감지센서에서 소화약제 배출이 감지되면 약제탱크의 소화약제 배출량을 줄이도록 조절해 소화약제의 사용량을 절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충전소의 화재진압용 방염막.According to paragraph 2,
The discharge means is equipped with a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discharged, and when discharge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the electric veh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duces the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agent used by adjusting to reduce the discharge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from the chemical tank. Flame retardant membrane for fire suppression at charging stations.
상기 바닥유로의 바닥면에는 바닥유로를 따라 길게 형성된 볼록부를 다열로 구성하여 바닥유로 내부에 충전되는 소화약제의 하중이 볼록부의 만곡지점에 집중되어 충전영역 바닥과의 밀착되어 내부 밀폐공간의 밀폐력을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충전소의 화재진압용 방염막.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ssage is composed of multiple rows of convex portions formed long along the bottom passage, so that the load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filled inside the bottom passage is concentrated at the curved point of the convex portion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filling area, thereby increasing the sealing force of the internal sealed space. A flame retardant film for fire suppression a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characterized by an increased flame retardant.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0301A KR102680197B1 (en) | 2023-07-12 | 2023-07-12 | Fire protection cover for Fire suppression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
PCT/KR2023/013767 WO2024232481A1 (en) | 2023-05-10 | 2023-09-14 | Fire suppression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0301A KR102680197B1 (en) | 2023-07-12 | 2023-07-12 | Fire protection cover for Fire suppression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80197B1 true KR102680197B1 (en) | 2024-07-01 |
Family
ID=9194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90301A Active KR102680197B1 (en) | 2023-05-10 | 2023-07-12 | Fire protection cover for Fire suppression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019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662814A (en) * | 2024-08-20 | 2024-09-20 | 四川英杰新能源有限公司 | Charging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pile |
KR102750231B1 (en) * | 2024-09-20 | 2025-01-07 | 두레시닝(주) | Electric vehicle fire suppression system |
KR102803505B1 (en) | 2024-07-17 | 2025-05-02 | 이일규 | Fire prevention system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or thermal imaging sensor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6350B1 (en) * | 2016-02-29 | 2017-08-08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Firefighting systems using flame retardant fabric that is unfolding |
KR102431474B1 (en) | 2022-06-17 | 2022-08-11 |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 Fire suppression water tank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
KR102470858B1 (en) | 2021-08-27 | 2022-11-25 | 서한나 | Choking fire extinguisher with sprinkler structure |
KR102482555B1 (en) * | 2021-11-02 | 2022-12-29 | 이호진 | Waterproof dam for fire suppression of electric vehicles |
KR102504119B1 (en) | 2021-08-12 | 2023-02-27 |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 Fire detection and diffusion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when charging electric vehicle |
KR102529404B1 (en) * | 2022-07-21 | 2023-06-13 | 주식회사 에스제이코퍼레이션 | Tube for extingguishing vehicle fire |
KR102552703B1 (en) * | 2020-12-16 | 2023-07-06 | 유병철 |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electric car parking lot |
-
2023
- 2023-07-12 KR KR1020230090301A patent/KR10268019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6350B1 (en) * | 2016-02-29 | 2017-08-08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Firefighting systems using flame retardant fabric that is unfolding |
KR102552703B1 (en) * | 2020-12-16 | 2023-07-06 | 유병철 |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electric car parking lot |
KR102504119B1 (en) | 2021-08-12 | 2023-02-27 |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 Fire detection and diffusion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when charging electric vehicle |
KR102470858B1 (en) | 2021-08-27 | 2022-11-25 | 서한나 | Choking fire extinguisher with sprinkler structure |
KR102482555B1 (en) * | 2021-11-02 | 2022-12-29 | 이호진 | Waterproof dam for fire suppression of electric vehicles |
KR102431474B1 (en) | 2022-06-17 | 2022-08-11 |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 Fire suppression water tank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
KR102529404B1 (en) * | 2022-07-21 | 2023-06-13 | 주식회사 에스제이코퍼레이션 | Tube for extingguishing vehicle fir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803505B1 (en) | 2024-07-17 | 2025-05-02 | 이일규 | Fire prevention system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or thermal imaging sensor |
CN118662814A (en) * | 2024-08-20 | 2024-09-20 | 四川英杰新能源有限公司 | Charging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pile |
KR102750231B1 (en) * | 2024-09-20 | 2025-01-07 | 두레시닝(주) | Electric vehicle fire suppression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80197B1 (en) | Fire protection cover for Fire suppression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 |
KR102577099B1 (en) | Fire Suppression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 |
KR102409287B1 (en) | Tube type apparatus for extinguishing fire of vehicle | |
KR102431474B1 (en) | Fire suppression water tank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 |
KR102495227B1 (en) | Battery automatic stabilization system by interlocking cooling tank and fire suppression robot fot battery stabilization work in case of electric vehicle fire | |
KR102070259B1 (en) |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for the Evolution of Vehicle Fire in Parking Lot | |
KR102514469B1 (en) | Tube type apparatus for extinguishing fire of vehicle | |
JP7473722B2 (en) |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at hydrogen stations | |
KR102670457B1 (en) | Tubular water tank and parking lot fire preven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 |
ZA200602533B (en) | Fire-retarding device on storage tanks | |
KR102538695B1 (en) | Movable chamber for transportation and performance inspection of spent battery | |
KR20230138746A (en) | Fire protection water tank type electric vehicle fire protection device with firewall | |
KR102514985B1 (en) | Tube type apparatus for extinguishing fire of vehicle | |
KR20240145330A (en) | A Flood Device for Extinguishing Fire of Energy Storage System | |
KR102607797B1 (en) | A fire extinguishing tank equipped with a fixed floor watering device for responding to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 fires | |
KR102793132B1 (en) | Rapid installation of water tank for preventing recurrence of electric vehicle fire | |
KR20230111779A (en) | Fire extinguishing tank forming tube for electric vehicle fire suppression | |
KR102654468B1 (en) | System for extinguishing electric vehicle fires and preventing fire spread | |
KR102663069B1 (en) | Fire spread prevention and extinguishing system in parking lot | |
RU2470686C1 (en) | Device for extinguishing flammable liquids in vertical tank with floating roof or pontoon | |
KR20240007428A (en) | Tube type apparatus for extinguishing fire of vehicle | |
KR20240014367A (en) | Foldable fire exthiguish water tank for electric car | |
KR102688543B1 (en) | Fire prevention system for electric vehicle | |
KR101917171B1 (en) | Lpg storage tank protecting against from fire | |
KR102825630B1 (en) | Battery fire control system for electric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7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7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