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88831B1 -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8831B1
KR102688831B1 KR1020190016892A KR20190016892A KR102688831B1 KR 102688831 B1 KR102688831 B1 KR 102688831B1 KR 1020190016892 A KR1020190016892 A KR 1020190016892A KR 20190016892 A KR20190016892 A KR 20190016892A KR 102688831 B1 KR102688831 B1 KR 102688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
electromagnetic contactor
enclosure
electromagnetic
conta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9031A (ko
Inventor
신의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90016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8831B1/ko
Publication of KR20200099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8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88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2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 H01H50/323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re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 인터록 기능을 갖는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Interlock Device of Electro-magnet Contactor}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 인터록 기능을 갖는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구동과 전류신호를 전달해주는 전기적인 회로 개폐 장치의 일종으로,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 설치된다.
특히, 모터 보호용 배선용 차단기(MMS; Manual Motor Starters)는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부하측 모터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모터 보호용 배선용 차단기는 단락, 과부하, 결상보호 기능도 갖고 있다.
이러한 전자접촉기가 복수 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경우, 전자접촉기 간에 배타적인 작동을 하도록 하기 위해 인터록 기구(인터록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전자접촉기가 연결되는 시스템에서, 인터록 장치는 어느 하나의 전자접촉기가 투입되는 경우 다른 하나의 전자접촉기는 투입이 방지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록 장치를 기계적 인터록 장치라고도 한다.
한편, 전자접촉기를 안전하게 사용하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인터록 장치 내부에 보조접점(NC 접점)을 추가하여 전기적 인터록을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와 인터록 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전자접촉기는 2대가 마련되고, 그 사이에 인터록 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제1 전자접촉기(101)과 제2 전자접촉기(111) 사이에 인터록 유닛(121)이 설치된다. 인터록 유닛(121)은 제1 전자접촉기(101)과 제2 전자접촉기(111)의 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제1 전자접촉기(101)과 제2 전자접촉기(111)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고정홈(102,103)에 인터록 유닛(121)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122,123)가 끼워짐으로써 인터록 유닛(121)이 제1 전자접촉기(101)과 제2 전자접촉기(111)의 사이에 고정된다.
인터록 유닛(121)의 양 측면에 돌출된 크로스바(124)가 제1 전자접촉기(101)와 제2 전자접촉기(111)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04)에 삽입된다.
만일, 제1 전자접촉기(101)의 제1 홀더(105)가 눌러지면 제1 전자접촉기(101)는 온 상태가 되면서 인터록 유닛(121)의 크로스바(124)를 작동시킨다. 또한, 제2 전자접촉기(111)의 제2 홀더(115)가 눌러지면 제2 전자접촉기(111)는 온 상태가 되면서 인터록 유닛(121)의 크로스바(124)를 작동시킨다.
도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터록 유닛(121)의 내부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전자접촉기(101) 또는 제2 전자접촉기(111)가 온 상태가 되면 이에 연동하여 인터록 유닛(121)의 크로스바(124)가 눌러지고, 이에 따라, 보조 가동접점(106,107)이 함께 하강하여 보조 고정접점(108,109)로부터 분리되어 보조접점은 개방 상태에 놓인다. 즉, 전기적 인터록 기능이 달성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있어서 이와 같은 보조접점이 필요없는 고객에 있어서는 기구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낭비가 된다. 이에 따라, 보조접점이 구비되지 않고, 기계적 인터록 구성만 갖고 있는 인터록 유닛의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계적 인터록 기능만 수행되고 전기적 인터록 기능은 갖지 않는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는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전자접촉기와 제2 전자접촉기 및 상기 제1 전자접촉기와 제2 전자접촉기 사이에 결합되는 인터록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유닛은, 외함; 상기 외함 내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전자접촉기의 투입/차단 작동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각각의 이동부재; 및 상기 외함 내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이동부재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각각의 인터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접촉기와 제2 전자접촉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자접촉기가 투입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인터록 부재가 다른 하나의 인터록 부재의 운동을 구속하여 다른 하나의 전자접촉기의 투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이동부재에는 외측면에 홀더 연결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각 전자접촉기에 구비되는 각각의 홀더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이동부재에는 내측면에 가압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인터록 부재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인터록 부재에는 갈고리 형태의 잠금결합부 및 상기 잠금결합부가 삽입되는 홈 형태의 잠금수용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인터록 부재의 잠금결합부가 상기 다른 하나의 인터록 부재의 잠금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다른 하나의 인터록 부재의 운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인터록 부재에는 측면에 접촉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압부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함 내부에는 상기 각 인터록 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터록 유닛의 단자홈에는 각각 단자 폐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자 폐쇄부재는 'ㄱ'자 형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제1 폐쇄돌기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제2 폐쇄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에 의하면 기계적 인터록 기능이 수행되어 인접한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전자접촉기가 On 상태가 되면, 다른 하나의 전자접촉기는 On 상태로 전환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인터록 기구에는 전기적 인터록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단자부가 폐쇄된다.
또한, 종래의 인터록 기구의 외함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부품 공용화가 실현되어, 제품이 이원화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와 인터록 기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인터록 기구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와 인터록 기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전자접촉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인터록 기구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홀더가 부분 절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크로스바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유닛의 작용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는 병렬로 배치되는 제1 전자접촉기(10)와 제2 전자접촉기(30)와 상기 제1 전자접촉기(10)와 제2 전자접촉기(30) 사이에 구비되는 인터록 유닛(50)을 포함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와 인터록 기구의 결합관계를 나타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전자접촉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인터록 기구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홀더가 부분 절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이동 부재의 측면도이다.
전자접촉기는 2대가 구비된다. 이를 구분하여 제1 전자접촉기(10)와 제2 전자접촉기(30)라고 하기로 한다.
전자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구동과 전류신호를 전달해주는 전기적인 회로 개폐 장치의 일종으로,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 설치된다.
특히, 모터 보호용 배선용 차단기(MMS; Manual Motor Starters)는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부하측 모터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모터 보호용 배선용 차단기는 단락, 과부하, 결상보호 기능도 갖고 있다.
먼저 전자접촉기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전자접촉기(1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2 전자접촉기(30)도 기본 구성은 제1 전자접촉기(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이 마련된다. 상부 프레임(11)은 가동부, 접점부 및 아크소호부를 내장하는 프레임의 상측부이고, 하부 프레임(12)은 코일, 고정코어를 내장하고 있는 프레임의 하측부이다.
상부 프레임(11)의 상부에는 On/Off시 arc 차단을 위한 소호부를 포함하는 아크챔버(Arc chamber)(13)가 구비된다.
아크챔버(13)의 상부에는 임의로 홀더(Holder)(17)를 누르지 못하게 하는 안전 장치로서 안전커버(Safety cover)(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의 내부에는 주회로의 고정부를 이루는 고정접점(15)이 구비되고, 고정접점(15)의 주변에는 단자부가 결합된다. 단자부는 러그(Lug) 방식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인 러그 터미널(Lug terminal kit)(16a), 또는 O형 단자, Y형 단자 등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인 스크류 터미널 (Screw terminal kit)(16b)가 구비된다.
상부 프레임(11)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Holder)(17)는 가동 코어(18)와 및 가동 접점(19)과 조립되어 ON/OFF시 개폐 동작을 하며, 인터록 유닛(인터록 기구)(50)를 동작시킨다. 홀더(17)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버튼(17a)은 아크 챔버(13)의 상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가동접점(Moving contact)(19)은 주회로 단자의 가동부가 된다. 가동접점(19)이 고정접점(15)에 접촉하는 경우 주회로는 통전되고, 가동접점(19)이 고정접점(15)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주회로는 차단된다.
가동 코어(Moving core)(18)는 코일 어셈블리(20)의 코일에 제어전원(코일전원)이 공급되면 전자석이 되는 고정 코어(21)에 의해 흡인된다. 가동 코어(21)는 이동하면서 홀더(17)와 가동접점(19)을 함께 이동시킨다.
코일 어셈블리(20)는 전원이 공급되면 코일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여 가동코어(18)와 고정코어(21)가 서로 전자석이 되어 흡인되도록 한다.
복귀 스프링(Return spring)(22)은 코일 어셈블리(20)에 전원이 차단되면 가동부의 가동코어(18)와 홀더(17)를 해제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고정 코어(Fixed core)(21)는 코일 어셈블리(20)에 전원을 공급하면 전자석이 되어 가동 코어(18)를 흡인하게 된다.
전자접촉기는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동부와 고정부를 포함하여 회로를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구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예의 전자접촉기가 해당될 수 있다.
제1 전자접촉기(10)의 상부 프레임(11) 및 하부 프레임(12)에는 인터록 유닛(5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1 하부홈(23) 및 제1 상부홈(24)이 각각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제1 전자접촉기(10)의 상부 프레임(11)에는 제1 홀더(17)와 인터록 유닛(50)를 연결하기 위해 제1 작동홈(25)이 형성된다.
위와 같은 제1 하부홈(23), 제1 상부홈(24) 및 제1 작동홈(25)은 제1 전자접촉기(1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자접촉기(30)도 제1 전자접촉기(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자접촉기(30)의 하부 프레임(32)에는 상부 프레임(31) 및 하부 프레임(12)에는 인터록 유닛(5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2 하부홈(43) 및 제2 상부홈(44)이 각각 복수 개 형성된다.
제2 전자접촉기(30)의 상부 프레임(31)에는 제2 홀더와 인터록 유닛(50)를 연결하기 위해 제2 작동홈(45)이 형성된다.
위와 같은 제2 하부홈(43), 제2 상부홈(44) 및 제2 작동홈(45)은 제2 전자접촉기(3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인터록 유닛(50)가 마련된다. 인터록 유닛(50)는 제1 전자접촉기(10)와 제2 전자접촉기(30) 사이의 기계적 인터록을 구현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인터록 유닛(50)의 외함(51)은 합성수지물로 형성될 수 있다. 외함(51)은 단이 형성되어 2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인터록 유닛(50)의 외함(51)은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외함(51)에는 제1단의 상부에 제1 단자홈(52)이 형성되고, 제2단의 상부에 제2 단자홈(53)이 형성될 수 있다.
외함(51)에는 내측면에 이동 부재(6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54)가 형성된다. 가이드부(54)는 대칭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외함(51)에는 인터록 부재(70,80)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축돌기(55)가 마련된다. 축돌기(55)는 대칭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외함(51)에는 복귀 스프링(90)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56)가 돌출 형성된다.
외함(51)의 외측면에는 전자접촉기의 제1 하부홈(23), 제1 상부홈(24)에 끼움결합되는 하부돌기(57)와 상부돌기(58)가 돌출 형성된다.
이동 부재(60)가 마련된다. 이동 부재(60)는 크로스바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동 부재(60)는 전자접촉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자접촉기가 온 상태가 되면 인터록 기능을 수행하여 다른 하나의 전자접촉기가 투입(On)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동 부재(60)는 제1 전자접촉기(10)와 작용하는 제1 이동부재(60a)와, 제2 전자접촉기(30)와 작용하는 제2 이동부재(60b)로 구성된다. 제1 이동부재(60a)와 제2 이동부재(60b)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 이동부재(60a)와 제2 이동부재(60b)는 일부(중간부)는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일부(상,하부)는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부재(60)(제1 이동부재(60a))의 상단부에는 제1 보조접점 삽입부(61)가 마련된다. 제1 보조접점 삽입부(61)에는 제1 보조 가동접점 및 제1 보조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전기적 인터록 기능은 삭제되는 경우 이러한 제1 보조 가동접점과 제1 보조 스프링은 구비되지 않는다.
이동 부재(60)에는 제1 보조접점 삽입부(61)의 하부에 인터록 부재 삽입부(62)가 형성된다. 인터록 부재 삽입부(62)에는 인터록 부재(70,80)가 삽입되어 동작한다.
이동 부재(60)에는 인터록 부재 삽입부(62)의 하부에 지지부(63)가 형성된다.
이동 부재(60)(제2 이동부재(60b))에는 제2 보조접점 삽입부(64)가 형성된다. 제2 보조접점 삽입부(64)에는 제2 보조 가동접점 및 제2 보조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전기적 인터록 기능은 삭제되는 경우 이러한 제2 보조 가동접점과 제2 보조 스프링은 구비되지 않는다.
이동 부재(60)에는 외측에 각각 홀더 연결부(65a,65b)가 돌출 형성된다. 홀더 연결부(65a,65b)는 전자접촉기(10,30)의 작동홈(25,45)을 통해 전자접촉기의 홀더(17)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홀더(17)가 하강하는 경우 함께 하강하여 이동 부재(6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인터록 부재 삽입부(62)의 하부에는 내측면에 상부 가압부(66a,66b)와 하부 가압부(67a,67b)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가압부(66a,66b)와 하부 가압부(67a,67b) 사이의 거리는 인터록 부재(70,80)의 접촉부(75,8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인터록 부재(70,80)가 마련된다. 인터록 부재(70,80)는 서로 대칭되는 제1 인터록 부재(70)와 제2 인터록 부재(8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인터록 부재(70)는 인접한 전자 접촉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자접촉기(예를 들어, 제1 전자접촉기(10))에 대응하여 작용하고, 제2 인터록 부재(80)는 인접한 전자 접촉기 중에서 다른 하나의 전자접촉기(예를 들어, 제2 전자접촉기(30))에 대응하여 작용할 수 있다. 이는, 인터록 유닛(50)가 어느 측면에 설치되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제1 전자접촉기(10) 측에 구비되는 것을 제1 인터록 부재(70)라고 하고, 제2 전자접촉기(30) 측에 구비되는 것을 제2 인터록 부재(80)라고 하기로 한다.
인터록 부재(70,80)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인터록 부재(70,80)는 외함(5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인터록 부재(70,80)의 하단부에는 축홀(미부호)이 각각 형성되어 축돌기(55)에 끼움 결합된다. 인터록 부재(70,80)는 축돌기(55)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인터록 부재(70,80)의 상부에는 갈고리 형태의 잠금결합부(72,82)가 마련된다.
인터록 부재(70,80)에는 잠금수용부(73,83)가 홈 형태로 마련된다. 잠금수용부(73,83)는 잠금결합부(72,82)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잠금결합부(72,82)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록 부재(70)의 제1 잠금결합부(72)는 제2 인터록 부재(80)의 제2 잠금수용부(8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인터록 부재(80)는 고정되어 회전하지 못한다. 따라서, 제2 인터록 부재(80)가 제2 이동부재(60b)를 구속하므로 제2 전자접촉기(30)의 투입은 방지된다.
이와 반대로, 제2 인터록 부재(80)의 제2 잠금결합부(82)가 제1 인터록 부재(70)의 제1 잠금수용부(73)에 끼워지는 경우 제1 인터록 부재(70)는 고정되어 회전하지 못한다. 따라서, 제1 인터록 부재(70)가 제1 이동부재(60a)를 구속하므로 제1 전자접촉기(10)의 투입은 방지된다.
인터록 부재(70,80)에는 스프링 고정부(74,84)가 형성된다.
인터록 부재(70,80)에는 접촉부(75,85)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각 접촉부(75,85)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1 접촉부(75)는 제1 상부 가압부(66a)와 제1 하부 가압부(67a)가 있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 접촉부(85)는 제1 잠금결합부(72)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상부 가압부(66b)와 제2 하부 가압부(67b)가 있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접촉부(75,85)는 상부 가압부(66a,66b)와 하부 가압부(67a,67b) 사이에 배치된다. 이동 부재(60)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부 가압부(66a,66b)가 접촉부(75,85)를 가압하여 인터록 부재(70,80)는 회전 운동한다. 이동 부재(60)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하부 가압부(67a,67b)가 접촉부(75)를 가압하여 인터록 부재(70,80)는 역회전 운동한다. 이때, 복귀 스프링(90)에 의해 인터록 부재(70,80)의 운동을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복귀 스프링(90)에 의해 인터록 부재(70,80)는 상부 방향의 힘을 받는다.
복귀 스프링(90)이 마련된다. 복귀 스프링(90)은 인터록 부재(70,80)의 스프링 고정부(74,84)와 외함(51)의 스프링 지지부(56) 사이에 설치된다.
각 단자홈(52,53)에는 단자 폐쇄부재(95)가 구비된다. 단자 폐쇄부재(95)는 판상의 부재가 절곡되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 폐쇄부재(95)는 상부에 단자홈(52,53)에 삽입되는 제1 폐쇄돌기부(96)와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 폐쇄돌기부(97)를 가질 수 있다.
단자 폐쇄부재(95)가 마련되어, 각 단자홈(52,53)을 폐쇄하므로 먼지 등 이물질이 삽입되지 않는다. 또한, 종래 사용되던 외함(51)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새로이 부품을 개발할 필요가 없다.
도 5,8을 참조하여, 인터록 유닛(50)이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전자접촉기(10)가 투입되는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제1 전자접촉기(10)의 제1 홀더(17)의 버튼(17a)을 누르면 제1 전자접촉기(10)는 투입 상태(On 상태)로 된다. 제1 홀더(17)는 이동 부재(60)의 제1 이동부재(60a)의 제1 홀더 연결부(65a)를 눌러 제1 이동부재(60a)를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제1 이동부재(60a)의 제1 상부 가압부(66a)가 제1 인터록 부재(70)의 제1 접촉부(75)를 눌러 제1 인터록 부재(70)가 회전한다(도 8에서 시계 방향). 제1 인터록 부재(70)의 제1 잠금결합부(72)가 제2 인터록 부재(80)의 제2 잠금수용부(83)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제2 인터록 부재(80)의 회전이 구속되므로 제2 이동부재(60b)의 움직임이 구속되고, 제2 전자접촉기(30)의 투입은 방지된다.
한편, 이때, 각 단자홈(52,53)은 폐쇄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의 투입이나 불필요한 연결이 방지된다.
제2 전자접촉기(30)가 투입되는 경우에 제1 전자접촉기(10)의 투입이 방지되는 방식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전자접촉기(10)가 차단(오프)되는 경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1 전자접촉기(10)의 홀더(17)가 오프 상태로, 즉 상방으로 복귀하는 경우 제1 이동부재(60a)를 구속하는 힘은 사라진다. 따라서, 복귀 스프링(90)은 제1 인터록 부재(70)를 역회전(도 8에서 반시계 방향)시킨다. 제1 인터록 부재(70)의 제1 접촉부(75)는 제1 이동부재(60a)의 제1 상부 가압부(66a)를 밀어올려 제1 이동부재(60a)를 상방으로 복귀시킨다.
제2 전자접촉기(30)가 차단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에 의하면 기계적 인터록 기능이 수행되어 인접한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전자접촉기가 On 상태가 되면, 다른 하나의 전자접촉기는 On 상태로 전환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인터록 기구에는 전기적 인터록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단자부가 폐쇄된다.
또한, 종래의 인터록 기구의 외함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부품 공용화가 실현되어, 제품이 이원화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30 전자접촉기 11,31 상부 프레임
12,32 하부 프레임 13 아크챔버
15 고정접점 17 홀더
17a 버튼 18 가동코어
19 가동접점 20 코일 어셈블리
21 고정코어 23,43 하부홈
24,44 상부홈 25,45 작동홈
50 인터록 유닛 51 외함
52,53 단자홈 54 가이드부
55 축돌기 56 지지부
57 하부돌기 58 상부돌기
60a,60b 이동부재 61 제1 보조접점 삽입부
62 인터록 부재 삽입부 63 지지부
64 제2 보조접점 삽입부 65a,65b 홀더 연결부
66a,66b 상부 가압부 67a,67b 하부 가압부
70,80 인터록 부재 72,82 잠금결합부
73,83 잠금수용부 74,84 스프링 고정부
75,85 접촉부 90 복귀 스프링
95 단자 폐쇄부재 96,97 폐쇄돌기부

Claims (8)

  1.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전자접촉기와 제2 전자접촉기 및 상기 제1 전자접촉기와 제2 전자접촉기 사이에 결합되는 인터록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유닛은,
    외함;
    상기 외함 내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전자접촉기의 투입/차단 작동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각각의 이동부재; 및
    상기 외함 내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이동부재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각각의 인터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이동부재에는 내측면에 가압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인터록 부재를 동작시키며,
    상기 각 인터록 부재는,
    갈고리 형태의 잠금결합부;
    상기 잠금결합부가 삽입되는 홈 형태의 잠금수용부; 및
    상기 각 인터록 부재의 측면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가 있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에 가압되어 연동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전자접촉기와 제2 전자접촉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자접촉기가 투입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인터록 부재의 잠금결합부가 상기 다른 하나의 인터록 부재의 잠금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인터록 부재의 운동을 구속함으로써 다른 하나의 전자접촉기의 투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동부재에는 외측면에 홀더 연결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각 전자접촉기에 구비되는 각각의 홀더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 내부에는 상기 각 인터록 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유닛의 단자홈에는 각각 단자 폐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폐쇄부재는 'ㄱ'자 형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제1 폐쇄돌기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제2 폐쇄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
KR1020190016892A 2019-02-13 2019-02-13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 Active KR102688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892A KR102688831B1 (ko) 2019-02-13 2019-02-13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892A KR102688831B1 (ko) 2019-02-13 2019-02-13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031A KR20200099031A (ko) 2020-08-21
KR102688831B1 true KR102688831B1 (ko) 2024-07-29

Family

ID=7223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892A Active KR102688831B1 (ko) 2019-02-13 2019-02-13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88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229Y1 (ko) * 2002-03-30 2002-07-02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유니트
US20140246295A1 (en) * 2011-11-17 2014-09-04 Anders Eriksson Interlocking Mechanism For Switch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17328B1 (fr) * 1987-06-26 1989-11-03 Telemecanique Electrique Dispositif de condamnation mecanique et electrique pour contacteurs
KR100438985B1 (ko) * 2002-03-08 2004-07-03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229Y1 (ko) * 2002-03-30 2002-07-02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유니트
US20140246295A1 (en) * 2011-11-17 2014-09-04 Anders Eriksson Interlocking Mechanism For Switch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031A (ko) 202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99282B1 (en) An automatic magneto-thermal protection switch having a high breaking capacity
US7116194B2 (en) Electric pole for a low-voltage power circuit breaker, and associated circuit breaker
JP3573359B2 (ja) 多極遮断器
US6791040B1 (en) Locking assembly for a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KR101052634B1 (ko)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JP2006108106A (ja) 配線用遮断器のプレッシャートリップ装置
US4006322A (en) Auxiliary interlock switch with interchangeable and reversible chisel-shaped contacts and spring biasing mechanism
JPH02100230A (ja)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EP3594986B1 (en)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KR102688831B1 (ko)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
US3505621A (en) Coupling for two-pole circuit breaker
CN213093070U (zh) 一种动作机构和切换装置
KR102423488B1 (ko) 소형 차단기용 순시 트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형 차단기
KR0128810Y1 (ko) 전자접촉기의 상호쇄정장치
US3688234A (en) Push button type circuit protector
CA1245258A (en) Vacuum contactor with integral shaft
CN216902746U (zh) 一种断路器
JP4644227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回路遮断器
US3478179A (en) Multiposition selector switch for an enclosed electrical control station
CN216213216U (zh) 一种动作组件和断路器
KR102295674B1 (ko) 보조 접점 동작을 지연시키기 위한 동작 지연 레버를 포함하는 래치 릴레이
US7330091B2 (en) Electronic type protective relay
KR200224240Y1 (ko) 전자접촉기의 래치장치
GB2071419A (en) Electric Switching Device
CN116364494A (zh) 一种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2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