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8645B1 - Breathalyzer with non-contact mouthpiece separa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Breathalyzer with non-contact mouthpiece separation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88645B1 KR102688645B1 KR1020230077519A KR20230077519A KR102688645B1 KR 102688645 B1 KR102688645 B1 KR 102688645B1 KR 1020230077519 A KR1020230077519 A KR 1020230077519A KR 20230077519 A KR20230077519 A KR 20230077519A KR 102688645 B1 KR102688645 B1 KR 1026886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halation
- main body
- pipe
- supply port
- inle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4
- 241000711573 Coronavi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6010006326 Breath odou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37 trache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2—Determining alcohol cont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공간(111)이 마련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호기유입구(121)가 노출되도록 내부공간(111)에 장착되고 유입된 호기에 포함된 알콜입자를 감지하는 알콜센서(120); 상기 알콜센서(12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혈중알콜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혈중알콜농도가 디스플레이(13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 내부에 호기공(141)이 관통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거치되며 상기 호기유입구(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호기공급구(142)가 형성되어 거치되면서 호기공급구(142)가 호기유입구(121)에 연통되는 호기관(140); 및 상기 본체부(110)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본체부(110)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회동동작하면서 본체부(110)에 거치된 호기관(140)을 고정지지하고, 본체부(110)의 일측을 개방하도록 회동동작하면서 거치된 호기관(140)으로부터 이격되는 호기관고정부(150);를 포함하는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110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111; An alcohol sensor 120 is mounted on the inner space 111 so that the exhaled breath inlet 121 is ex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detects alcohol particles contained in the inhaled breath; A control unit 130 that calculates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us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alcohol sensor 120 and controls the calculated blood alcohol concentr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31; It is made in the shape of a tube with an exhalation hole 141 formed through it and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an exhalation supply port 142 is formed and mou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inlet 121, thereby forming an exhalation supply port. (142) is an exhalation pipe (140) connected to the exhalation inlet (121); and is rotatably axi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and rotates to cover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hereby fixing and supporting the exhalation pipe 140 mounted on the main body 110, and the main body 110 A breathalyzer equipped with a non-contact exhalation pipe separation function is provided, including an exhalation pipe fixing part 150 that rotates to open one side of the breathalyze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mounted exhalation pipe 140.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주측정시 피측정자가 입에 물었던 호기관을 측정자가 손대지 않고서도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질병의 전염가능성을 최소화하며 보다 위생적인 음주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thalyzer equipped with a non-contact exhalation pipe separation function. More specifically, it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exhalation pipe held in the mouth of the test subject during a breathalyzer test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without the tester touching it, preventing coronavirus and This relates to a breathalyzer equipped with a non-contact exhalation tube separation function that minimizes the possibility of transmission of the same disease and allows for more hygienic breathalyzer testing.
일반적으로 음주측정기는 피측정자의 호기에 포함된 알콜입자를 알콜센서로 감지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혈중알콜농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도 17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음주측정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측정기본체(10)에는 호기투입구(11)가 형성되고 이 호기투입구(11)에는 피측정자의 호기를 장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관형상으로 이루어진 호기관(30)이 장착된다.In general, a breathalyzer is a device that measures blood alcohol concentration by detecting alcohol particles contained in the exhaled breath of the subject with an alcohol sensor and quantifying them. Figure 17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breathalyz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the drawing, an exhalation inlet 11 is formed in the measuring device main body 10, and a tubular exhalation pipe 30 is installed in this exhalation inlet 11 to allow the exhaled breath of the subject to be measured to flow into the device.
따라서, 피측정자가 호기관(30)을 입에 문 상태에서 호기를 불어 넣으면 측정기본체(10)의 호기투입구(11)로 호기가 유입되고, 측정기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알콜센서(미도시)가 호기에 포함된 알콜입자를 감지하며 제어부(미도시)에서 알콜감지신호에 따라 혈중알콜농도를 측정하여 표시부(12)에 표시함으로써 측정자가 피측정자의 혈중알콜농도를 인지할 수 있었다.Therefore, when the person being measured blows exhalation while holding the exhalation tube 30 in his mouth, the exhaled air flows into the exhalation inlet 11 of the measuring device main body 10, and the alcohol sensor provided inside the measuring device main body 10 ( (not shown) detects alcohol particles contained in exhaled breath,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measures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alcohol detection signal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2, allowing the measurer to recognize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of the subject. .
또한, 음주단속시 다수의 피측정자를 대상으로 음주측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호기관(30)은 측정기본체(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한번 사용된 호기관(30)은 분리후 폐기하고 새로운 호기관(30)으로 교체하여 사용하였다.In addition, since the breathalyzer test is performed on a number of subjects during a drinking control, the exhalation pipe 3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measuring body 10, so that the exhalation pipe 30 that has been used once is removed and discarded and a new one is used. It was used instead of the organ (30).
그러나, 종래에는 호기관(30)의 단부가 통공형상의 삽입부(21)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착탈구조로 구비되었기 때문에 호기관(3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측정자가 손으로 호기관(30)을 잡아 당겨야 하며 이 과정에서 호기관(30)에 묻은 침 등의 이물질이 피측정자의 손에 접촉될 수 있어 피측정자가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질병에 간염된 경우 측정자에게 쉽게 전염될 수 있으며 전염된 측정자를 통해 다른 피측정들에게 전파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the end of the exhalation pipe 30 was provided in a detachable structure in which the end of the exhalation pipe 30 was press-fitted and coupled to the through-hole-shaped insertion portion 21. Therefore, in order to separate the exhalation pipe 30, the measurer must manually lift the exhalation pipe 30. It must be pulled, and in this process,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liva on the exhalation tube 3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hands of the person being measured, so if the person being measured is infected with a disease such as coronavirus, it can easily be transmitted to the person being measured, and the infected person must be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be spread to other measured subject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주측정시 피측정자가 입에 물었던 호기관을 측정자가 손을 대지 않고서도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호기관에 묻은 침 등의 이물질이 측정자의 손에 접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질병의 전염가능성을 최소화하며 보다 위생적인 음주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separate the exhalation pipe held in the mouth of the test subject during a breathalyzer test from the main body without the tester touching the breath pipe. A breathalyzer equipped with a non-contact exhalation tube separation function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tester's hands, thereby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transmitting diseases such as coronavirus, and allowing for more hygienic breathalyzer testing. It's in what it provides.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공간(111)이 마련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호기유입구(121)가 노출되도록 내부공간(111)에 장착되고 유입된 호기에 포함된 알콜입자를 감지하는 알콜센서(120); 상기 알콜센서(12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혈중알콜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혈중알콜농도가 디스플레이(13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 내부에 호기공(141)이 관통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거치되며 상기 호기유입구(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호기공급구(142)가 형성되어 거치되면서 호기공급구(142)가 호기유입구(121)에 연통되는 호기관(140); 및 상기 본체부(110)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본체부(110)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회동동작하면서 본체부(110)에 거치된 호기관(140)을 고정지지하고, 본체부(110)의 일측을 개방하도록 회동동작하면서 거치된 호기관(140)으로부터 이격되는 호기관고정부(150);를 포함하는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호기관고정부(150)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배치된 회동축(112)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타측이 일측을 중심으로 젖혀지도록 회동동작하면서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개방하고 타측에는 걸림턱(1511)이 형성된 덮개부(1510)와,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걸림턱(151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지지턱(1521)이 형성되어 덮개부(1510)가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회동하면 지지턱(1521)이 걸림턱(1511)에 걸림 지지되어 덮개부(1510)를 고정하며 일부가 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가압동작에 의해 눌리면 걸림턱(1511)에 걸림 지지된 지지턱(1521)이 이격되어 고정된 덮개부(1510)를 고정해제하는 분리버튼부(1520) 및, 상기 덮개부(1510)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가압하여 분리버튼부(1520)에 의해 덮개부(1510)가 고정해제되면 탄성가압력에 의해 덮개부(1510)가 회동동작하면서 본체부(110)의 상부를 자동 개방하도록 하는 덮개스프링(15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exhal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덮개스프링(1530)은 회동축(112)의 둘레에 삽입되어 일측은 본체부(110)에 지지되고 타측은 덮개부(1510)에 지지되면서 본체부(110)에 대하여 덮개부(1510)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 구조를 가지며, 상기 호기관고정부(150)에 배치되어 호기관고정부(150)가 개방되는 회동방향으로 하중이 부가되도록 하는 웨이트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는 상향 개구되어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거치홈(113)이 형성되며, 상기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 중 하나는 일정길이로 상하 돌출된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돌출된 관이 삽입되는 통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호기관(140)은 거치홈(113)에 삽입되어 수평하게 거치되면서 거치홈(113)의 내면에 의해 폭방향(W)으로 고정되도록 지지되고 상기 호기유입구(121)에 결합된 호기공급구(142)에 의해 길이방향(L)으로 고정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는 호기유입구(121)의 둘레에 수평배치되되 상기 거치홈(113)의 바닥면(113a)보다 상대적으로 상향 돌출되도록 배치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씰링패드(114)가 구비되고, 상기 호기관고정부(150)는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회동동작하면서 호기관(140)이 씰링패드(114)에 밀착되도록 하향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호기관(140)은, 상기 호기공급구(142)의 둘레를 따라 고리형태로 하향 돌출되어 상기 씰링패드(114)를 국부적으로 하향 가압하면서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 사이를 기밀하게 밀폐시키는 호기관 돌기환(14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씰링패드(114)는, 상기 호기유입구(121)의 둘레를 따라 고리형태로 상향 돌출되어 호기관(140)에 의해 압착되면서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 사이를 기밀하게 밀폐시키는 패드돌기환(11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가 노출되도록 내부공간(111)에 배치되고 유입된 호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30)는 압력센서(17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호기의 압력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호기압력값이 적정 압력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131)를 통해 비정상 호기유입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호기관(140)은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와 대응되는 위치에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가 형성되어 거치되면서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가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호기관(140) 상에서 호기공급구(142)는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 보다 상대적으로 호기의 유입측에 근접배치되고, 상기 호기관(140) 내에서 상기 호기공급구(142)와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 사이에는 호기공(141)의 내벽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 부근의 호기압력이 낮아지도록 하는 압력조절부(14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내부공간(111)이 마련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호기유입구(121)가 노출되도록 내부공간(111)에 장착되고 유입된 호기에 포함된 알콜입자를 감지하는 알콜센서(120); 상기 알콜센서(12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혈중알콜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혈중알콜농도가 디스플레이(13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 내부에 호기공(141)이 관통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거치되고 상기 호기유입구(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호기공급구(142)가 형성되어 거치되면서 호기공급구(142)가 호기유입구(121)에 연통되며 폭방향(W)의 양측에 걸림턱(147)이 형성된 호기관(140); 및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고 거치된 호기관(140)의 각 걸림턱(147)과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턱(1541,1561)이 구비되어 호기관(140)이 거치되면 지지턱(1541,1561)이 걸림턱(147)에 걸림 지지되어 거치된 호기관(140)을 고정하며, 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분리버튼부(1570)가 사용자의 가압동작에 의해 눌리면 걸림턱(147)에 걸림 지지된 지지턱(1541,1561)이 이격되어 고정된 호기관(140)을 고정해제하는 호기관고정부(150);를 포함하는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는 상부에 상향 개구되어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거치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호기관(140)은 거치홈(113)에 삽입되어 수평하게 거치되며, 상기 호기관고정부(150)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수평축 결합되고 상단에 형성된 지지턱(1541)은 거치홈(113)의 일측면으로 노출되면서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에 걸림 지지되는 제1회동프레임(1540)과, 상기 제1회동프레임(1540)의 지지턱(1541)이 걸림턱(147)을 향하여 회동동작하도록 제1회동프레임(1540)을 탄성가압하는 제1스프링(1551)과,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수평축 결합되고 상단에 형성된 지지턱(1561)은 거치홈(113)의 타측면으로 노출되면서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에 걸림 지지되는 제2회동프레임(1560)과, 상기 제2회동프레임(1560)의 지지턱(1561)이 걸림턱(147)을 향하여 회동동작하도록 제2회동프레임(1560)을 탄성가압하는 제2스프링(1552) 및, 일측은 상기 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은 제2회동프레임(1560)의 하부와 대향하도록 본체부(11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가압동작에 의해 눌리면서 제2회동프레임(1560)을 측방 가압하여 제2회동프레임(1560)의 지지턱(1561)이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동작시키는 분리버튼부(157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동프레임(1540)의 하부에는 제2회동프레임(1560) 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15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프레임(1560)의 하부에는 제1회동프레임(1540)을 향해 연장되어 제1연장부(154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연장부(1562)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장부(1562)는 하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회동프레임(1560)이 분리버튼부(1570)에 의해 측방 가압되면 제1연장부(1542)를 상향 가압하여 제1회동프레임(1540)의 지지턱(1541)이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호기관(140)이 거치되는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출몰하도록 본체부(110)에 장착되어 호기관(140)이 거치되면 가압되면서 본체부(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가압부(181) 및, 상기 본체부(110)에 거치된 호기관(140) 측으로 상기 가압부(181)를 탄성가압하여 본체부(110)의 내부로 삽입된 가압부(181)가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팝업스프링(182)을 포함하는 팝업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As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본체부(110)는 내부공간(111)이 마련되며, 알콜센서(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호기유입구(121)가 노출되도록 내부공간(111)에 장착되고 유입된 호기에 포함된 알콜입자를 감지하며, 제어부(130)는 상기 알콜센서(12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혈중알콜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혈중알콜농도가 디스플레이(13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호기관(140)은 내부에 호기공(141)이 관통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거치되며 상기 호기유입구(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호기공급구(142)가 형성되어 거치되면서 호기공급구(142)가 호기유입구(121)에 연통되고, 호기관고정부(150)는 상기 본체부(110)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본체부(110)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회동동작하면서 본체부(110)에 거치된 호기관(140)을 고정지지하며 본체부(110)의 일측을 개방하도록 회동동작하면서 거치된 호기관(140)으로부터 이격되는 것과 같이, 회동동작하는 호기관고정부(150)로 호기관(140)을 본체부(110)에 고정시켜 음주측정시 호기공(141)으로 유입되는 호기를 누설없이 호기유입구(121)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음주측정 완료후 호기관고정부(150)를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음주측정시 입에 물었던 호기관(140)을 측정자가 손을 대지 않고서도 본체부(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호기관(140)에 묻은 침 등의 이물질이 측정자의 손에 접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질병의 전염가능성을 최소화하여 보다 위생적인 음주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irst, the
둘째, 상기 호기관고정부(150)는, 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배치된 회동축(112)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타측이 일측을 중심으로 젖혀지도록 회동동작하면서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개방하고 타측에는 걸림턱(1511)이 형성된 덮개부(1510)와,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걸림턱(151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지지턱(1521)이 형성되어 덮개부(1510)가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회동하면 지지턱(1521)이 걸림턱(1511)에 걸림 지지되어 덮개부(1510)를 고정하며 일부가 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가압동작에 의해 눌리면 걸림턱(1511)에 걸림 지지된 지지턱(1521)이 이격되어 고정된 덮개부(1510)를 고정해제하는 분리버튼부(1520) 및, 상기 덮개부(1510)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가압하여 분리버튼부(1520)에 의해 덮개부(1510)가 고정해제되면 탄성가압력에 의해 덮개부(1510)가 회동동작하면서 본체부(110)의 상부를 자동 개방하도록 하는 덮개스프링(1530)을 포함함으로써, 음주측정 완료후 측정자가 손으로 덮개부(1510)를 회동시킬 필요없이 분리버튼부(1520)를 누르는 가압동작만으로 호기관(140)을 고정하던 덮개부(1510)가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호기관(140)을 분리시킬 수 있어 측정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덮개부(1510)를 손으로 회동시키는 중에 호기관(140)이 손에 접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Second, the exhalation
셋째, 상기 덮개스프링(1530)은 회동축(112)의 둘레에 삽입되어 일측은 본체부(110)에 지지되고 타측은 덮개부(1510)에 지지되면서 본체부(110)에 대하여 덮개부(1510)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 구조를 가지며, 웨이트부(160)는 상기 호기관고정부(150)에 배치되어 호기관고정부(150)가 개방되는 회동방향으로 하중이 부가되도록 함으로써, 덮개부(1510)가 회동하는 중에 마찰력에 의해 정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덮개부(1510)가 완전하게 젖혀진 상태로 회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으며 개방되는 덮개부(1510)가 반동에 의해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the
넷째,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는 상향 개구되어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거치홈(113)이 형성되며, 상기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 중 하나는 일정길이로 상하 돌출된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돌출된 관이 삽입되는 통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호기관(140)은 거치홈(113)에 삽입되어 수평하게 거치되면서 거치홈(113)의 내면에 의해 폭방향(W)으로 고정되도록 지지되고 상기 호기유입구(121)에 결합된 호기공급구(142)에 의해 길이방향(L)으로 고정되도록 지지됨으로써, 본체부(110)에 호기관(140)의 거치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음주측정시 호기관(140)이 길이방향(L)이나 폭방향(W)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urth, a mounting
다섯째, 상기 본체부(110)는 호기유입구(121)의 둘레에 수평배치되되 상기 거치홈(113)의 바닥면(113a)보다 상대적으로 상향 돌출되도록 배치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씰링패드(114)가 구비되고, 상기 호기관고정부(150)는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회동동작하면서 호기관(140)이 씰링패드(114)에 밀착되도록 하향 가압함으로써,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가 상호 압입되도록 결합되지 않더라도 호기유입구(121)에서 유입되는 호기를 호기공급구(142)로 누설없이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가 압입되도록 결합되는 경우 이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본체부(110)로부터 호기관(140)을 손으로 잡아 당겨 압입된 상태를 분리해야 하나 상기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가 압입되도록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호기관(140)으로부터 호기관고정부(150)를 이격시키는 것만으로 거치된 호기관(140)을 분리시킬 수 있다.Fifth, the
여섯째, 상기 호기관(140)은, 호기공급구(142)의 둘레를 따라 고리형태로 하향 돌출되어 상기 씰링패드(114)를 국부적으로 하향 가압하는 호기관 돌기환(143)이 구비됨으로써,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 사이를 더욱 기밀하게 밀폐시킬 수 있으며 호기관(140)의 저면이 씰링패드(114)에 면접촉되면서 기밀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호기관고정부(150)가 호기관(140)을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가압하더라도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 사이의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ixth, the
일곱째, 상기 씰링패드(114)는, 호기유입구(121)의 둘레를 따라 고리형태로 상향 돌출되어 호기관(140)에 의해 압착되는 패드돌기환(115)가 구비됨으로써,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 사이를 더욱 기밀하게 밀폐시킬 수 있으며 호기관(140)의 저면이 씰링패드(114)에 면접촉되면서 기밀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호기관고정부(150)가 호기관(140)을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가압하더라도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 사이의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eventh, the
여덟째, 압력센서(17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가 노출되도록 내부공간(111)에 배치되고 유입된 호기의 압력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130)는 압력센서(17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호기의 압력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호기압력값이 적정 압력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131)를 통해 비정상 호기유입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호기관(140)은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와 대응되는 위치에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가 형성되어 거치되면서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가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에 연통됨으로써, 압력센서(170)가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 및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를 통해 호기관(140)으로 주입된 호기를 직접 공급받을 수 있으면서도 호기관고정부(150)를 통해 호기관(140)의 회동동작으로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에 결합된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Eighth, the
아홉째, 상기 호기관(140) 상에서 호기공급구(142)는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 보다 상대적으로 호기의 유입측에 근접배치되고, 상기 호기관(140) 내에서 상기 호기공급구(142)와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 사이에는 호기공(141)의 내벽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 부근의 호기압력이 낮아지도록 하는 압력조절부(146)가 구비됨으로써, 호기관(140)으로 강하게 주입되는 호기가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로 직접적으로 가해져 압력센서(170)에서 감지되는 압력감지신호의 고저폭이 과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Ninth, on the
열째, 본체부(110)는 내부공간(111)이 마련되며, 알콜센서(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호기유입구(121)가 노출되도록 내부공간(111)에 장착되고 유입된 호기에 포함된 알콜입자를 감지하며, 제어부(130)는 상기 알콜센서(12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혈중알콜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혈중알콜농도가 디스플레이(13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호기관(140)은 내부에 호기공(141)이 관통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거치되고 상기 호기유입구(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호기공급구(142)가 형성되어 거치되면서 호기공급구(142)가 호기유입구(121)에 연통되며 폭방향(W)의 양측에 걸림턱(147)이 형성되고, 호기관고정부(15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며 거치된 호기관(140)의 각 걸림턱(147)과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턱(1541,1561)이 구비되어 호기관(140)이 거치되면 지지턱(1541,1561)이 걸림턱(147)에 걸림 지지되어 거치된 호기관(140)을 고정하고, 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분리버튼부(1570)가 사용자의 가압동작에 의해 눌리면 걸림턱(147)에 걸림 지지된 지지턱(1541,1561)이 이격되어 고정된 호기관(140)을 고정해제하는 것과 같이, 호기관고정부(150)로 호기관(140)을 본체부(110)에 고정시켜 음주측정시 호기공(141)으로 유입되는 호기를 누설없이 호기유입구(121)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음주측정 완료후 분리버튼부(1520)을 가압하는 것만으로 음주측정시 입에 물었던 호기관(140)을 측정자가 손을 대지 않고서도 본체부(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호기관(140)에 묻은 침 등의 이물질이 측정자의 손에 접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질병의 전염가능성을 최소화하여 보다 위생적인 음주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enth, the
열한째, 상기 본체부(110)는 상부에 상향 개구되어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거치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호기관(140)은 거치홈(113)에 삽입되어 수평하게 거치되며, 상기 호기관고정부(150)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수평축 결합되고 상단에 형성된 지지턱(1541)은 거치홈(113)의 일측면으로 노출되면서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에 걸림 지지되는 제1회동프레임(1540)과, 상기 제1회동프레임(1540)의 지지턱(1541)이 걸림턱(147)을 향하여 회동동작하도록 제1회동프레임(1540)을 탄성가압하는 제1스프링(1551)과,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수평축 결합되고 상단에 형성된 지지턱(1561)은 거치홈(113)의 타측면으로 노출되면서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에 걸림 지지되는 제2회동프레임(1560)과, 상기 제2회동프레임(1560)의 지지턱(1561)이 걸림턱(147)을 향하여 회동동작하도록 제2회동프레임(1560)을 탄성가압하는 제2스프링(1552) 및, 일측은 상기 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은 제2회동프레임(1560)의 하부와 대향하도록 본체부(11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가압동작에 의해 눌리면서 제2회동프레임(1560)을 측방 가압하여 제2회동프레임(1560)의 지지턱(1561)이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동작시키는 분리버튼부(157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동프레임(1540)의 하부에는 제2회동프레임(1560) 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15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프레임(1560)의 하부에는 제1회동프레임(1540)을 향해 연장되어 제1연장부(154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연장부(1562)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장부(1562)는 하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회동프레임(1560)이 분리버튼부(1570)에 의해 측방 가압되면 제1연장부(1542)를 상향 가압하여 제1회동프레임(1540)의 지지턱(1541)이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동작시킴으로써, 호기관(140)을 거치홈(113)에 삽입하여 거치하는 것만으로 걸림턱(147)에 지지턱(1541,1621)이 자동적으로 걸림 지지되면서 호기관(140)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분리버튼부(1520)로 두 회동프레임(1540,1560)을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어 분리 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고정된 호기관(140)의 양측이 동시에 고정해제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Eleventh, the
열둘째, 팝업부(180)는, 호기관(140)이 거치되는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출몰하도록 본체부(110)에 장착되어 호기관(140)이 거치되면 가압되면서 본체부(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가압부(181) 및, 상기 본체부(110)에 거치된 호기관(140) 측으로 상기 가압부(181)를 탄성가압하여 본체부(110)의 내부로 삽입된 가압부(181)가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팝업스프링(182)을 포함함으로써, 분리버튼부(1520)가 사용자의 가압동작에 의해 눌리면서 지지턱(1541,1561)이 걸림턱(147)으로부터 이격되면 가압부(181)가 거치된 호기관(140)을 가압하여 본체부(110)로부터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Twelfth, the pop-up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호기관고정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호기관이 본체부에 거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호기관고정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호기관고정부가 회동하면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웨이트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호기관이 본체부에 거치되면서 호기관 돌기환이 씰링패드를 하향 가압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호기관이 본체부에 거치되면서 패드돌기환이 호기관에 의해 하향 가압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호기관고정부 및 팝업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호기관고정부에 의해 거치되는 호기관이 고정 및 고정해제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팝업부에 의해 고정해제된 호기관이 자동 배출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주측정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a breathalyzer equipped with a non-contact exhalation pipe separ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xhalation pipe is mounted on the main body in an open state of the exhalation pipe fixing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breathalyzer equipped with a non-contact exhalation pipe sepa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xhalation pipe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xhalation pipe fixing part in a rotating and open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eight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principle in which the exhalation pipe protrusion ring presses downward on the sealing pad while the exhalation pipe is mounted on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principle in which the exhalation pip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the pad protrusion ring is pressed downward by the exhalation pipe;
Figure 9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a breathalyzer equipped with a non-contact exhalation pipe sepa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eathalyzer equipped with a non-contact exhalation pipe separ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halation pipe fixing part and the pop-up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exhalation pipe mounted by the exhalation pipe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and released;
Figure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n exhalation pipe unlocked by a pop-up unit is automatically discharged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a breathalyzer equipped with a non-contact exhalation pipe separ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eathalyz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urpos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clearer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100)는 음주측정시 피측정자가 입에 물었던 호기관(140)을 측정자가 손대지 않고서도 본체부(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질병의 전염가능성을 최소화하며 보다 위생적인 음주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음주측정기(100)로서, 이하에서는 본체부(110)에 거치되는 호기관(140)을 고정하는 방식에 따라 실시예를 구분하여 설명한다.The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음주측정기(100)는 회동동작하는 호기관고정부(150)로 본체부(110)에 거치되는 호기관(140)을 하향 가압하여 고정하는 방식의 음주측정기(100)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 알콜센서(120), 제어부(130), 호기관(140) 및 호기관고정부(150)를 포함한다.First, the
상기 본체부(110)는 음주측정기(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부재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알콜센서(120), 제어부(130), 압력센서(170) 및 펌프(190) 등의 각 구성품들을 실장하기 위한 내부공간(111)이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상태 및 설정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31)와, 동작상태 및 설정상태를 조작하는데 이용하는 조작부(13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된다.The
상기 알콜센서(120)는 음주측정시 피측정자의 음주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데이터로 알콜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기유입구(121)가 본체부(110)의 일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부(110)의 내부공간(111)에 배치되고 유입된 호기에 포함된 알콜입자를 감지하여 감지상태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인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한다.The
여기서, 도면에는 알콜센서(120)의 호기유입구(121)가 본체부(11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호기관(140)이 거치되는 위치에 따라 본체부(110)의 측면이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Here, the drawing illustrates that the
또한, 상기 알콜센서(120)는 센서몸체 내부로 호기를 유입시켜서 호기에 포함된 알콜입자가 백금촉매판과 반응하여 이온화된 전자의 이동을 검출함으로써 알콜감지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알콜센서(120)와 연결되는 펌프(190)가 장착되며 이 펌프(190)는 호기관(140)으로 주입된 호기가 호기유입구(121)를 통해 알콜센서(120)로 유입되도록 흡입동작하여 일정량의 호기를 알콜센서(120)가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알콜센서(120)는 알콜감지의 고정밀성을 고려하여 Fuel Cell 기반의 감지방식으로 알콜입자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도체 감지방식을 포함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알콜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감지방식으로 동작되는 알콜센서도 이용할 수도 있다.The
상기 제어부(130)는 음주측정기(100)의 동작을 중앙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로서 상기 알콜센서(12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혈중알콜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혈중알콜농도가 디스플레이(131)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The
상기 호기관(140)은 음주측정시 피측정자의 호기가 주입되는 관체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호기공(141)이 관통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거치되며 상기 호기유입구(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호기공급구(142)가 형성되어 거치되면서 호기공급구(142)가 호기유입구(121)에 연통된다.The
여기서, 상기 호기관(140)은 내부의 호기공(141)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양단이 개구되어 일단을 피측정자가 입에 문 상태에서 호기를 호기공(141)으로 불어 넣으면 타단으로 호기가 배출되도록 하며 중앙부에는 호기공(141)와 연통된 호기공급구(142)가 형성되어 일단에서 타단으로 향하는 호기의 일부가 호기공급구(142)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호기공급구(142)로 유입된 호기는 연통된 호기유입구(121)를 통해 알콜센서(120)에 공급된다.Here, the
상기 호기관고정부(150)는 본체부(110)에 거치된 호기관(140)이 음주측정시 유동되지 않도록 호기관(140)을 본체부(11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부재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본체부(110)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회동동작하면서 본체부(110)에 거치된 호기관(140)을 고정지지하고, 본체부(110)의 일측을 개방하도록 회동동작하면서 거치된 호기관(140)으로부터 이격된다.The exhal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와 같이 본체부(110)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호기관고정부(150)를 회동시키면 알콜센서(120)의 호기유입구(121)가 외부로 노출되어 노출된 호기유입구(121)에 호기공급구(142)가 연통되도록 호기관(140)을 본체부(110)의 일측에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본체부(110)의 일측이 커버되도록 호기관고정부(150)를 회동시키면 거치된 호기관(140)이 호기관고정부(150)에 의해 본체부(110)의 일측방향으로 가압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주측정시 피측정자가 호기관(140)을 물고 호기를 불어 넣는 와중에 호기관(140)이 가압되면서 본체부(110)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exhalation
여기서, 상기 호기관고정부(150) 상에서 호기관(14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호기관(14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가압홈(117)이 형성되어 호기관고정부(150)가 본체부(110)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회동되면 가압홈(117)에 호기관(140)의 둘레가 삽입되면서 가압홈(117)의 내면에 의해 호기관(140)이 가압될 수 있다.Here, a
음주측정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회동된 호기관고정부(150)를 젖혀 개방되도록 회동시키면 호기관고정부(150)가 호기관(140)으로부터 이격되면서 호기관(140)에 대한 가압력이 사라져 본체부(110)의 일측이 지면을 향하도록 뒤집는 방식 등으로 호기관(140)을 분리시킬 수 있다.After the breathalyzer test, as shown in FIG. 5, when the exhal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체부(110), 알콜센서(120), 제어부(130), 호기관(140) 및 호기관고정부(150)의 조합된 구성을 통해, 회동동작하는 호기관고정부(150)로 호기관(140)을 본체부(110)에 고정시켜 음주측정시 호기공(141)으로 유입되는 호기를 누설없이 호기유입구(121)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음주측정 완료후 호기관고정부(150)를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음주측정시 입에 물었던 호기관(140)을 측정자가 손을 대지 않고서도 본체부(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호기관(140)에 묻은 침 등의 이물질이 측정자의 손에 접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질병의 전염가능성을 최소화하여 보다 위생적인 음주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e combined configuration of the
한편, 호기관고정부(150)가 호기관(140)을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본체부(110)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호기관고정부(150)의 회동된 상태를 고정시켜야 하며 호기관(140)의 교체시마다 호기관고정부(150)를 손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고 손으로 호기관고정부(150)를 회동시키는 조작중에 의도하지 않게 호기관(140)이 손에 접촉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exhalation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호기관고정부(150)는 호기관(140)을 가압하도록 회동된 상태가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버튼조작만으로 호기관고정부(150)가 개방되도록 회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exhalation
이를 위해,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기관고정부(150)는, 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배치된 회동축(112)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타측이 일측을 중심으로 젖혀지도록 회동동작하면서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개방하고 타측에는 걸림턱(1511)이 형성된 덮개부(1510)와,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걸림턱(151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지지턱(1521)이 형성되어 덮개부(1510)가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회동하면 지지턱(1521)이 걸림턱(1511)에 걸림 지지되어 덮개부(1510)를 고정하며 일부가 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가압동작에 의해 눌리면 걸림턱(1511)에 걸림 지지된 지지턱(1521)이 이격되어 고정된 덮개부(1510)를 고정해제하는 분리버튼부(1520) 및, 상기 덮개부(1510)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가압하여 분리버튼부(1520)에 의해 덮개부(1510)가 고정해제되면 탄성가압력에 의해 덮개부(1510)가 회동동작하면서 본체부(110)의 상부를 자동 개방하도록 하는 덮개스프링(1530)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S. 2, 4, and 5, the exhalation
따라서, 본체부(110)의 상부에 호기관(140)을 거치한 상태에서 덮개부(1510)가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회동시키면 덮개부(1510)의 걸림턱(1511)이 분리버튼부(1520)의 지지턱(1521)에 지지되면서 덮개부(1510)의 회동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또한, 음주측정 완료후 측정자가 손으로 덮개부(1510)를 회동시킬 필요없이 분리버튼부(1520)를 누르는 가압동작만으로 호기관(140)을 고정하던 덮개부(1510)가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호기관(140)을 분리시킬 수 있어 측정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덮개부(1510)를 손으로 회동시키는 중에 호기관(140)이 손에 접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completing the breathalyzer test, the
더불어,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버튼부(1520)와 본체부(110) 사에에는 분리버튼부(1520)를 외측으로 탄성가압하는 버튼스프링(1522)이 구비되어 분리버튼부(1520)를 누르는 사용자의 가압력이 사라지면 분리버튼부(1520)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4, a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스프링(1530)은 회동축(112)의 둘레에 삽입되어 일측은 본체부(110)에 지지되고 타측은 덮개부(1510)에 지지되면서 본체부(110)에 대하여 덮개부(1510)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 구조를 가지며, 웨이트부(160)는 상기 호기관고정부(150)에 배치되어 호기관고정부(150)가 개방되는 회동방향으로 하중이 부가되도록 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6, th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리버튼부(1520)에 의해 덮개부(1510)의 고정된 상태가 고정해제되면 도 6의 (a)와 같이 덮개스프링(1530)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덮개부(1510)가 개방되도록 회동하게 되는데, 도 6의 (b)와 같이 덮개부(1510)가 회동하면서 일정각도(웨이트부(160)가 수직축선(L)을 벗어나는 각도)를 넘어서게 되면 웨이트부(160)의 하중이 하방으로 작용하게 되어 덮개부(1510)의 탄성가압력이 사라지더라도 완전히 개방되도록 회동할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fixed state of the
따라서, 덮개부(1510)가 회동하는 중에 마찰력에 의해 정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덮개부(1510)가 완전하게 젖혀진 상태로 회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으며 개방되는 덮개부(1510)가 반동에 의해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는 상향 개구되어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거치홈(113)이 형성되며, 상기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 중 하나는 일정길이로 상하 돌출된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돌출된 관이 삽입되는 통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호기관(140)은 거치홈(113)에 삽입되어 수평하게 거치되면서 거치홈(113)의 내면에 의해 폭방향(W)으로 고정되도록 지지되고 상기 호기유입구(121)에 결합된 호기공급구(142)에 의해 길이방향(L)으로 고정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10)에 호기관(140)의 거치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음주측정시 호기관(140)이 길이방향(L)이나 폭방향(W)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a mounting
한편,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는, 공기차단이 가능하면서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호기유입구(121)의 둘레에 수평배치되되 상기 거치홈(113)의 바닥면(113a)보다 상대적으로 상향 돌출되도록 배치된 씰링패드(114)가 구비되고, 상기 호기관고정부(150)는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회동동작하면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기관(140)이 씰링패드(114)에 밀착되도록 하향 가압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a) of FIG. 7, the
여기서, 상기 씰링패드(114)는 공기차단과 탄성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판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밖에 기밀하게 공기를 차단할 수 있으면서 가압되는 힘에 의해 탄성복원력이 발생하는 다양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Here, the
따라서,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가 상호 압입되도록 결합되지 않더라도 호기유입구(121)에서 유입되는 호기를 호기공급구(142)로 누설없이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가 압입되도록 결합되는 경우 이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본체부(110)로부터 호기관(140)을 손으로 잡아 당겨 압입된 상태를 분리해야 하나 상기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가 압입되도록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호기관(140)으로부터 호기관고정부(150)를 이격시키는 것만으로 거치된 호기관(140)을 분리시킬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더불어, 상기 호기관(140)은, 도 2 및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기공급구(142)의 둘레를 따라 고리형태로 하향 돌출되어 상기 씰링패드(114)를 국부적으로 하향 가압하는 호기관 돌기환(143)이 구비됨으로써,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 사이를 더욱 기밀하게 밀폐시킬 수 있으며 호기관(140)의 저면이 씰링패드(114)에 면접촉되면서 기밀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호기관고정부(150)가 호기관(140)을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가압하더라도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 사이의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일반적으로 음주측정기에는 호기의 적정 유입량을 확인하기 위해 압력센서가 구비되어 설정된 호기압력이 유지되는지를 감지하는데,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Generally, a breathalyzer is equipped with a pressure sensor to check whether the appropriate amount of exhaled breath is inflow and detects whether the set exhaled pressur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ures 2 and 3.
여기서, 압력센서(17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가 노출되도록 내부공간(111)에 배치되고 유입된 호기의 압력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130)는 압력센서(17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호기의 압력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호기압력값이 적정 압력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131)를 통해 비정상 호기유입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호기관(140)은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와 대응되는 위치에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가 형성되어 거치되면서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가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에 연통된다.Here, the
따라서, 압력센서(170)가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 및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를 통해 호기관(140)으로 주입된 호기를 직접 공급받을 수 있으면서도 호기관고정부(150)를 통해 호기관(140)의 회동동작으로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에 결합된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또한, 도 2 및 도 9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기관(140)은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와 대응되는 위치에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가 형성되어 거치되면서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가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에 연통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s of FIGS. 2 and 9, the
더불어, 상기 본체부(110)는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의 둘레에 수평배치되되 상기 거치홈(113)의 바닥면(113a)보다 상대적으로 상향 돌출되도록 배치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 등의 씰링패드(116)가 구비되고, 상기 호기관고정부(150)는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회동동작하면서 호기관(140)이 씰링패드(116)에 밀착되도록 하향 가압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호기관(140)은, 상기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의 둘레를 따라 고리형태로 하향 돌출되어 상기 씰링패드(116)를 국부적으로 하향 가압하면서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와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 사이를 기밀하게 밀폐시키는 호기관 돌기환(146)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씰링패드(116)는, 상기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의 둘레를 따라 고리형태로 상향 돌출되어 호기관(140)에 의해 압착되면서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와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 사이를 기밀하게 밀폐시키는 패드돌기환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더불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기관(140) 상에서 호기공급구(142)는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 보다 상대적으로 호기의 유입측에 근접배치되고, 상기 호기관(140) 내에서 상기 호기공급구(142)와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 사이에는 호기공(141)의 내벽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 부근의 호기압력이 낮아지도록 하는 압력조절부(146)가 구비됨으로써, 호기관(140)으로 강하게 주입되는 호기가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로 직접적으로 가해져 압력센서(170)에서 감지되는 압력감지신호의 고저폭이 과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on the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음주측정기(100)의 음주측정시 사용방식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0, a method of using the
먼저, 음주측정을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은 호기관(140)을 본체부(110)에 거치해야 하는데, 분리버튼부(1520)를 누르면 분리버튼부(1520)의 지지턱(1521)이 덮개부(1510)의 걸림턱(1511)로부터부터 이격되어 덮개부(1510)의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며, 도 10의 (a)와 같이 덮개스프링(1530)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덮개부(1510)가 회동동작하면서 본체부(110)의 상부를 자동 개방하고 이에 따라 본체부(110)의 상부에 마련된 삽입홈(141) 및 압력센서(170)의 호기유입구(121)가 상향 노출된다. 이후 미사용 호기관(140)을 삽입홈(141)에 삽입하면 호기공급구(142)가 호기유입구(121)와 연통된 상태로 호기관(140)이 본체부(110)의 상부에 거치된다.First, for breathalyzer testing, the
이후 도 10의 (b)와 같이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덮개부(1510)를 회동시키면 덮개부(1510)의 걸림턱(1511)이 분리버튼부(1520)의 지지턱(1521)에 걸림지지되면서 덮개부(1510)의 회동된 상태가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호기관(140)의 단부를 피측정자가 입에 문 상태에서 호기를 불어 넣으면 호기공(141) 및 호기유입구(121)를 통해 압력센서(170)로 일정량의 호기가 유입된다.Afterwards, when the
압력센서(170)는 유입된 호기에 포함된 알콜입자를 감지하여 알콜 감지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하고, 제어부(130)는 알콜센서(12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혈중알콜농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혈중알콜농도가 디스플레이(13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여 측정자가 피측정자의 혈중알콜농도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음주측정이 완료되면 사용된 호기관(140)을 분리해야 하는데 분리버튼부(1520)를 누르면 분리버튼부(1520)의 지지턱(1521)이 덮개부(1510)의 걸림턱(1511)으로부터 이격되어 덮개부(1510)의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며 도 10의 (c)와 같이 본체부(110)를 기울이거나 뒤집게 되면 본체부(110)의 상부에 거치된 호기관(140)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된다.When the breathalyzer test is completed, the used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음주측정기(10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음주측정기(100)는 본체부(110)에 거치되는 호기관(140)의 양측이 호기관고정부(150)에 걸림지지되면서 고정하는 방식의 음주측정기(100)로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 알콜센서(120), 제어부(130), 호기관(140) 및 호기관고정부(150)를 포함한다.Next,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상기 본체부(110)는 알콜센서(120), 제어부(130), 압력센서(170) 및 펌프(190) 등의 각 구성품들을 실장하기 위한 내부공간(111)이 형성되고, 상기 알콜센서(120)는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호기유입구(121)가 노출되도록 내부공간(111)에 장착되고 유입된 호기에 포함된 알콜입자를 감지하며, 제어부(130)는 알콜센서(12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혈중알콜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혈중알콜농도가 디스플레이(131)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The
여기서,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 알콜센서(120) 및 제어부(130)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 알콜센서(120) 및 제어부(130)의 구성과 기능이 동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상기 호기관(140)은 음주측정시 피측정자의 호기가 주입되는 관체로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호기공(141)이 관통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거치되고 상기 호기유입구(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호기공급구(142)가 형성되어 거치되면서 호기공급구(142)가 호기유입구(121)에 연통되며 폭방향(W)의 양측에 걸림턱(147)이 각각 형성된다.The
여기서, 도면에는 호기관(140)의 양측에 각각 하나의 걸림턱(147)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호기관(140)의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호기관(140)의 양측에 복수 개의 걸림턱(147)을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Here, the drawing illustrates that one
상기 호기관고정부(150)는 본체부(110)에 거치된 호기관(140)이 음주측정시 유동되지 않도록 호기관(140)을 본체부(11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부재로서,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고 거치된 호기관(140)의 각 걸림턱(147)과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턱(1541,1561)이 구비되어 호기관(140)이 거치되면 지지턱(1541,1561)이 걸림턱(147)에 걸림 지지되어 거치된 호기관(140)을 고정하며, 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분리버튼부(1570)가 사용자의 가압동작에 의해 눌리면 걸림턱(147)에 걸림 지지된 지지턱(1541,1561)이 이격되어 고정된 호기관(140)을 고정해제한다.The exhalation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는 상향 개구되어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거치홈(113)이 형성되며, 상기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 중 하나는 일정길이로 상하 돌출된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돌출된 관이 삽입되는 통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호기관(140)은 거치홈(113)에 삽입되어 수평하게 거치되면서 거치홈(113)의 내면에 의해 폭방향(W)으로 고정되도록 지지되고 상기 호기유입구(121)에 결합된 호기공급구(142)에 의해 길이방향(L)으로 고정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10)에 호기관(140)의 거치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음주측정시 호기관(140)이 길이방향(L)이나 폭방향(W)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11, a mounting
이러한 본체부(110), 알콜센서(120), 제어부(130), 호기관(140) 및 호기관고정부(150)의 조합된 구성을 통해, 호기관고정부(150)로 호기관(140)을 본체부(110)에 고정시켜 음주측정시 호기공(141)으로 유입되는 호기를 누설없이 호기유입구(121)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음주측정 완료후 분리버튼부(1520)을 가압하는 것만으로 음주측정시 입에 물었던 호기관(140)을 측정자가 손을 대지 않고서도 본체부(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호기관(140)에 묻은 침 등의 이물질이 측정자의 손에 접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질병의 전염가능성을 최소화하여 보다 위생적인 음주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e combined configuration of the
이를 위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기관고정부(150)는 제1회동프레임(1540), 제1스프링(1551), 제2회동프레임(1560), 제2스프링(1552) 및 분리버튼부(1520)를 포함한다.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ures 13 and 14, the exhalation
상기 제1회동프레임(1540)은 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수평축 결합되고 상단에 형성된 지지턱(1541)은 거치홈(113)의 일측면으로 노출되면서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에 걸림 지지되고, 상기 제1스프링(1551)은 제1회동프레임(1540)의 지지턱(1541)이 걸림턱(147)을 향하여 회동동작하도록 제1회동프레임(1540)을 탄성가압한다.The first
상기 제2회동프레임(1560)은 본체부(110)의 상부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수평축 결합되고 상단에 형성된 지지턱(1561)은 거치홈(113)의 타측면으로 노출되면서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에 걸림 지지되고, 제2스프링(1552)은 제2회동프레임(1560)의 지지턱(1561)이 걸림턱(147)을 향하여 회동동작하도록 제2회동프레임(1560)을 탄성가압한다.The second
상기 분리버튼부(1520)는 일측이 상기 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은 제2회동프레임(1560)의 하부와 대향하도록 본체부(11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가압동작에 의해 눌리면서 제2회동프레임(1560)을 측방 가압하여 제2회동프레임(1560)의 지지턱(1561)이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동작시킨다.The
여기서, 상기 제1회동프레임(1540)의 하부에는 제2회동프레임(1560) 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15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프레임(1560)의 하부에는 제1회동프레임(1540)을 향해 연장되어 제1연장부(154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연장부(1562)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장부(1562)는 하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동프레임(1560)이 분리버튼부(1570)에 의해 측방 가압되면 제1연장부(1542)를 상향 가압하여 제1회동프레임(1540)의 지지턱(1541)이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동작시킨다.Here, a
따라서, 호기관(140)을 거치홈(113)에 삽입하여 거치하는 것만으로 걸림턱(147)에 지지턱(1541,1621)이 자동적으로 걸림 지지되면서 호기관(140)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분리버튼부(1520)로 두 회동프레임(1540,1560)을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어 분리 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고정된 호기관(140)의 양측이 동시에 고정해제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Therefore, simply by inserting and mounting th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음주측정기(100)는 거치된 호기관(140)이 고정해제되면 팝업부(180)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호기관(140)이 튀어 오르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호기관(140)이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를 위해,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팝업부(180)는, 호기관(140)이 거치되는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출몰하도록 본체부(110)에 장착되어 호기관(140)이 거치되면 가압되면서 본체부(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가압부(181) 및, 상기 본체부(110)에 거치된 호기관(140) 측으로 상기 가압부(181)를 탄성가압하여 본체부(110)의 내부로 삽입된 가압부(181)가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팝업스프링(182)을 포함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S. 13 and 15, the pop-up
따라서, 분리버튼부(1520)가 사용자의 가압동작에 의해 눌리면서 지지턱(1541,1561)이 걸림턱(147)으로부터 이격되면 가압부(181)가 거치된 호기관(140)을 가압하여 본체부(110)로부터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이와 같이 호기관(140)을 거치홈(113)에 삽입하여 거치하는 것만으로 걸림턱(147)에 지지턱(1541,1621)이 자동적으로 걸림 지지되면서 호기관(140)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분리버튼부(1520)로 두 회동프레임(1540,1560)을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어 분리 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고정된 호기관(140)의 양측이 동시에 고정해제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In this way, simply by inserting and mounting the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음주측정기(100)의 음주측정시 사용방식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6, a method of using the
먼저, 음주측정을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은 미사용 호기관(140)을 본체부(110)에 거치해야 하는데, 도 15의 (a) 및 도 16의 (a)와 같이 호기관(140)을 본체부(110)의 삽입홈(141)을 향해 직하방으로 가압하면 호기관(140)의 하향 가압력에 의해 본체부(110)의 상부에 돌출된 양측의 지지턱(1541,1561)이 벌어지면서 호기관(140)이 삽입홈(141)에 삽입될 수 있으며, 도 16의 (b)와 같이 벌어진 각 지지턱(1541,1561)이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에 걸림 지지되면서 삽입된 호기관(140)을 고정시킬 수 있고, 이 상태에서 호기관(140)의 단부를 피측정자가 입에 문 상태에서 호기를 불어 넣으면 호기공(141) 및 호기유입구(121)를 통해 압력센서(170)로 일정량의 호기가 유입된다.First, for breathalyzer testing, an
압력센서(170)는 유입된 호기에 포함된 알콜입자를 감지하여 알콜 감지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하고, 제어부(130)는 알콜센서(12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혈중알콜농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혈중알콜농도가 디스플레이(13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여 측정자가 피측정자의 혈중알콜농도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음주측정이 완료되면 사용된 호기관(140)을 분리해야 하는데 도 15의 (b) 및도 16의 (c)와 같이 분리버튼부(1570)를 누르면 제2회동프레임(1560)의 하부가 가압되면서 회동축(1563)을 중심으로 제2회동프레임(1560)가 회동하게 되고 제2회동프레임(1560)의 상부에 구비된 지지턱(1561)은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으로부터 이격되며 제2회동프레임(1560)의 하부에 구비된 제2연장부(1562)는 제1회동프레임(1540)의 제1연장부(1542)를 상향 가압하게 된다.When the breathalyzer test is completed, the used
상기 제1연장부(1542)가 가압되는 힘에 의해 제1회동프레임(1540)는 회동축(1543)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1회동프레임(1540)의 상부에 구비된 지지턱(1541)은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본체부(110)의 상부에 거치된 호기관(140)이 고정해제될 수 있다.Due to the force with which the
이와 같이 호기관(140)이 고정해제되면 팝업부(180)에 구비된 팝업스프링(182)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가압부(181)가 거치된 호기관(140)을 상향으로 탄성가압하면서 고정해제된 호기관(140)이 튀어 오르듯 본체부(110)의 상부로부터 분리된다.Whe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s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100...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
110...본체부 111...내부공간
112...회동축 113...거치홈
114...씰링패드 115...패드돌기환
120...알콜센서 121...호기유입구
130...제어부 131...디스플레이
140...호기관 141...호기공
142...호기공급구 143...호기관 돌기환
145...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
146...압력조절부 147,1511...걸림턱
150...호기관고정부 1510...덮개부
1511...걸림턱 1520,1570...분리버튼부
1521,1541,1561...지지턱
1540...제1회동프레임 1542...제1연장부
1551...제1스프링 1552...제2스프링
1560...제2회동프레임 1562...제2연장부
1530...덮개스프링 160...웨이트부
170...압력센서 171...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
180...팝업부 181...가압부
182...팝업스프링100... Breathalyzer with non-contact exhalation tube separation function
110...
112...
114...sealing
120...
130...
140...
142... expiratory
145...Exhalation supply port for pressure sensing
146...
150...exhalation
1511...Latching
1521,1541,1561...support jaw
1540...1st
1551...
1560...2nd
1530... cover
170...
180...pop-up
182...Pop-up spring
Claims (10)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로 호기유입구(121)가 상향 노출되도록 내부공간(111)에 장착되고 유입된 호기에 포함된 알콜입자를 감지하는 알콜센서(120);
상기 알콜센서(12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혈중알콜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혈중알콜농도가 디스플레이(13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
내부에 호기공(141)이 관통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 거치되며 상기 호기유입구(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호기공급구(142)가 형성되어 거치되면서 호기공급구(142)가 호기유입구(121)에 연통되는 호기관(140); 및
상기 본체부(110)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회동동작하면서 본체부(110)에 거치된 호기관(140)을 하향 가압하여 고정지지하고, 본체부(110)의 상부를 개방하도록 회동동작하면서 거치된 호기관(140)으로부터 이격되어 본체부(110)의 상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뒤집으면 본체부(110)에 거치된 호기관(140)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호기관고정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호기관고정부(150)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배치된 회동축(112)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타측이 일측을 중심으로 젖혀지도록 회동동작하면서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개방하고 타측에는 걸림턱(1511)이 형성된 덮개부(1510)와,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걸림턱(151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지지턱(1521)이 형성되어 덮개부(1510)가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회동하면 지지턱(1521)이 걸림턱(1511)에 걸림 지지되어 덮개부(1510)를 고정하며 일부가 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가압동작에 의해 눌리면 걸림턱(1511)에 걸림 지지된 지지턱(1521)이 이격되어 고정된 덮개부(1510)를 고정해제하는 분리버튼부(1520) 및, 상기 덮개부(1510)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가압하여 분리버튼부(1520)에 의해 덮개부(1510)가 고정해제되면 탄성가압력에 의해 덮개부(1510)가 회동동작하면서 본체부(110)의 상부를 자동 개방하도록 하는 덮개스프링(1530)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1510) 상에서 호기관(14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호기관(14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되고 호기관(140)의 둘레면 형상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반원형상의 가압홈(117)이 형성되어 덮개부(1510)가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회동하면 가압홈(117)에 호기관(140)의 둘레가 삽입되면서 가압홈(117)의 내면에 의해 호기관(140)이 하향 가압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는 상향 개구되어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거치홈(113)이 형성되며, 상기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 중 하나는 일정길이로 상하 돌출된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돌출된 관이 삽입되는 통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호기관(140)은 거치홈(113)에 삽입되어 수평하게 거치되면서 거치홈(113)의 내면에 의해 폭방향(W)으로 고정되도록 지지되고 상기 호기유입구(121)에 결합된 호기공급구(142)에 의해 길이방향(L)으로 고정되도록 지지되며,
상기 본체부(110)는, 공기차단이 가능하면서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호기유입구(121)의 둘레에 수평배치되되 상기 거치홈(113)의 바닥면(113a)보다 상대적으로 상향 돌출되도록 배치된 씰링패드(114)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부(1510)는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회동동작하면서 호기관(140)이 씰링패드(114)에 밀착되도록 하향 가압하며,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로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가 상향 노출되도록 내부공간(111)에 배치되고 유입된 호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30)는 압력센서(17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호기의 압력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호기압력값이 적정 압력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131)를 통해 비정상 호기유입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호기관(140)은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와 대응되는 위치에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가 형성되어 거치되면서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가 압력감지용 호기유입구(171)에 연통되고,
상기 호기관(140) 상에서 호기공급구(142)는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 보다 상대적으로 호기의 유입측에 근접배치되고, 상기 호기관(140) 내에서 상기 호기공급구(142)와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 사이에는 호기공(141)의 내벽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압력감지용 호기공급구(145) 부근의 호기압력이 낮아지도록 하는 압력조절부(14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
A main body portion 110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111;
An alcohol sensor 120 is mounted in the internal space 111 so that the exhalation inlet 121 is exposed upwardly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and detects alcohol particles contained in the inhaled exhaled breath;
A control unit 130 that calculates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us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alcohol sensor 120 and controls the calculated blood alcohol concentr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31;
It is made in the shape of a tube with an exhalation hole 141 formed through it and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and an exhalation supply port 142 is formed and mou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inlet 121, thereby providing an exhalation supply port. (142) is an exhalation pipe (140) connected to the exhalation inlet (121); and
It is rotatably axi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and rotates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and presses downward to support the exhalation pipe 140 mounted on the main body 110, and the main body ( Whe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is rotated to open the upper part of the body 110 and is separated from the mounted exhalation pipe 140 and turned over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is facing the ground, the exhalation pipe 140 mounted on the main body 110 falls under its own weight. It includes an exhalation pipe fixing part 150 that falls and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The exhalation pipe fixing part 150,
One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12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other side rotates so that it is tilted around one side, covering or opening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A cover part 1510 with a locking protrusion 1511 is formed on the side, and a support protrusion 1521 is mounted on the other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trusion 1511, so that the cover part 1510 ) is rotated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the support protrusion 1521 is caught and supported by the locking protrusion 1511 to fix the cover part 1510, and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user can use it. When pressed by a pressing action, the support jaw 1521, which is caught and supported by the locking jaw 1511, is spaced apart and releases a release button 1520 that releases the fixed cover 1510, and opens the cover 1510. When the cover part 1510 is released by the separation button part 1520 by elastically pressing in the direction, the cover part 1510 rotates due to the elastic pressure and automatically opens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cover spring ( 153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pipe 140 on the cover portion 1510, a semicircular pressing groove 117 is open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exhalation pipe 140 and has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halation pipe 140. When this is formed and the cover part 1510 is rotated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110, the circumference of the exhalation pipe 140 is inserted into the pressing groove 117, and the exhalation pipe 140 is mov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ing groove 117. ) is pressed downward,
A mounting groove 113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which is opened upward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one of the exhalation inlet 121 and the exhalation supply port 142 protrudes up and down at a certain length. On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ube, and the oth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e into which a protruding tube is inserted. The exhalation pipe 14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13 and mounted horizontally, and the width is determin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113. It is supported to be fixed in the direction (W) and supported to be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by the exhalation supply port (142) coupled to the exhalation inlet (121),
The main body 110 is made of an air-blocking and elastic material and is arranged horizontally around the exhalation inlet 121, but is arranged to protrude relatively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113a of the mounting groove 113. A sealing pad 114 is provided, and the cover part 1510 rotates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and presses the exhalation pipe 140 downward so that i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aling pad 114,
It further includes a pressure sensor 170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111 so that the exhalation inlet 171 for pressure sensing is upwardly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and detects the pressure of the inflowed exhaled air, and the control unit (130) calculates the expiratory pressure value us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170, and if the calculated expiratory pressure value is not within the appropriate pressure range, it controls the display 131 to display abnormal expiratory inflow, The exhalation pipe 140 is mounted with an exhalation supply port 145 for pressure sensing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inlet 171 for pressure sensing, and the exhalation supply port 145 for pressure sensing is connected to the exhalation inlet for pressure sensing ( 171),
On the exhalation pipe 140, the exhalation air supply port 142 is disposed relatively closer to the inflow side of the exhaled air than the pressure sensing exhalation supply port 145, and the exhalation air supply port 142 within the exhalation pipe 140 A pressure regulator 146 is provided between the pressure sensing exhalation supply port 145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exhalation hole 141 to lower the exhalation pressure near the pressure sensing exhalation supply port 145. A breathalyzer equipped with a non-contact exhalation tube separation function.
상기 덮개스프링(1530)은 회동축(112)의 둘레에 삽입되어 일측은 본체부(110)에 지지되고 타측은 덮개부(1510)에 지지되면서 본체부(110)에 대하여 덮개부(1510)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 구조를 가지며,
상기 호기관고정부(150)에 배치되어 호기관고정부(150)가 개방되는 회동방향으로 하중이 부가되도록 하는 웨이트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
In claim 1,
The cover spring 1530 is inserted around the rotation axis 112, so that one side is supported by the main body 110 and the other side is supported by the cover part 1510, thereby forming a cover part 151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It has a torsion spring structure that elastically presses in the opening direction.
A non-contact exhalation tube separation function is provided, further comprising a weight unit 160 disposed on the exhalation tube fixing part 150 to apply a loa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in which the exhalation tube fixing part 150 is opened. Breathalyzer.
상기 호기관(140)은,
상기 호기공급구(142)의 둘레를 따라 고리형태로 하향 돌출되어 상기 씰링패드(114)를 국부적으로 하향 가압하면서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 사이를 기밀하게 밀폐시키는 호기관 돌기환(14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
In claim 1,
The exhalation pipe 140 is,
An exhalation tube protrusion protrudes downward in a ring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xhalation supply port 142 to locally pressurize the sealing pad 114 downward while airtightly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exhalation inlet 121 and the exhalation supply port 142. A breathalyzer with a non-contact exhalation tube sepa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ring (143).
상기 씰링패드(114)는,
상기 호기유입구(121)의 둘레를 따라 고리형태로 상향 돌출되어 호기관(140)에 의해 압착되면서 호기유입구(121)와 호기공급구(142) 사이를 기밀하게 밀폐시키는 패드돌기환(11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
In claim 1,
The sealing pad 114 is,
A pad protrusion ring 115 protrudes upward in a ring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xhalation inlet 121 and is compressed by the exhalation pipe 140 to airtightly seal between the exhalation inlet 121 and the exhalation supply port 142. A breathalyzer equipped with a non-contact exhalation tube sepa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로 호기유입구(121)가 상향 노출되도록 내부공간(111)에 장착되고 유입된 호기에 포함된 알콜입자를 감지하는 알콜센서(120);
상기 알콜센서(12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혈중알콜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혈중알콜농도가 디스플레이(13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
내부에 호기공(141)이 관통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거치되고 상기 호기유입구(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호기공급구(142)가 형성되어 거치되면서 호기공급구(142)가 호기유입구(121)에 연통되며 폭방향(W)의 양측에 걸림턱(147)이 각각 형성된 호기관(140); 및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고 거치된 호기관(140)의 각 걸림턱(147)과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턱(1541,1561)이 구비되어 호기관(140)이 거치되면 지지턱(1541,1561)이 걸림턱(147)에 걸림 지지되어 거치된 호기관(140)을 고정하며, 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분리버튼부(1570)가 사용자의 가압동작에 의해 눌리면 걸림턱(147)에 걸림 지지된 지지턱(1541,1561)이 이격되어 고정된 호기관(140)을 고정해제하는 호기관고정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10)는 상부에 상향 개구되어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거치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호기관(140)은 거치홈(113)에 삽입되어 수평하게 거치되며,
상기 호기관고정부(150)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수평축 결합되고 상단에 형성된 지지턱(1541)은 거치홈(113)의 일측면으로 노출되면서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에 걸림 지지되는 제1회동프레임(1540)과,
상기 제1회동프레임(1540)의 지지턱(1541)이 걸림턱(147)을 향하여 회동동작하도록 제1회동프레임(1540)을 탄성가압하는 제1스프링(1551)과,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수평축 결합되고 상단에 형성된 지지턱(1561)은 거치홈(113)의 타측면으로 노출되면서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에 걸림 지지되는 제2회동프레임(1560)과,
상기 제2회동프레임(1560)의 지지턱(1561)이 걸림턱(147)을 향하여 회동동작하도록 제2회동프레임(1560)을 탄성가압하는 제2스프링(1552) 및,
일측은 상기 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은 제2회동프레임(1560)의 하부와 대향하도록 본체부(11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가압동작에 의해 눌리면서 제2회동프레임(1560)을 측방 가압하여 제2회동프레임(1560)의 지지턱(1561)이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동작시키는 분리버튼부(157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동프레임(1540)의 하부에는 제2회동프레임(1560) 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15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프레임(1560)의 하부에는 제1회동프레임(1540)을 향해 연장되어 제1연장부(154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연장부(1562)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장부(1562)는 하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회동프레임(1560)이 분리버튼부(1570)에 의해 측방 가압되면 제1연장부(1542)를 상향 가압하여 제1회동프레임(1540)의 지지턱(1541)이 호기관(140)의 걸림턱(147)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동작시키고,
호기관(140)이 거치되는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출몰하도록 본체부(110)에 장착되어 호기관(140)이 거치되면 가압되면서 본체부(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가압부(181) 및, 상기 본체부(110)에 거치된 호기관(140) 측으로 상기 가압부(181)를 탄성가압하여 본체부(110)의 내부로 삽입된 가압부(181)가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팝업스프링(182)을 포함하는 팝업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호기관 분리기능이 구비된 음주측정기.A main body portion 110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111;
An alcohol sensor 120 is mounted in the internal space 111 so that the exhalation inlet 121 is exposed upwardly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and detects alcohol particles contained in the inhaled exhaled breath;
A control unit 130 that calculates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us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alcohol sensor 120 and controls the calculated blood alcohol concentr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31;
It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an exhalation hole 141 penetrating the inside, and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an exhalation supply port 142 is formed and mou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inlet 121, thereby forming an exhalation supply port. (142) is an exhalation pipe (140) that communicates with the exhalation inlet (121) and has locking protrusions (147)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Support jaws 1541 and 1561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locking jaw 147 of the exhalation pipe 140 mounted and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when the exhalation pipe 140 is mounted, the support jaw (1541, 1561) are supported on the locking protrusion 147 to secure the mounted exhalation pipe 140, and when the separation button 157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is pressed by the user's pressing action, It includes an exhalation pipe fixing part 150 that releases the fixed exhalation pipe 140 by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jaws 1541 and 1561, which are supported by the locking jaw 147,
The main body portion 110 is opened upward at the top to form a mounting groove 113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e exhalation pipe 14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13 and mounted horizontally,
The exhalation pipe fixing part 150,
The support protrusion 1541, which is rotatably horizontally coupled to on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formed at the top, is exposed to one side of the mounting groove 113 and is supported by the engaging protrusion 147 of the exhalation pipe 140. The first rotating frame (1540),
A first spring 1551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first pivoting frame 1540 so that the support jaw 1541 of the first pivoting frame 1540 rotates toward the locking jaw 147,
The support protrusion 1561, which is rotatably horizontally coupled to the other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formed at the upper end, is exposed to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groove 113 and is supported by the engaging protrusion 147 of the exhalation pipe 140. The second rotating frame (1560),
A second spring 1552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second pivoting frame 1560 so that the support jaw 1561 of the second pivoting frame 1560 rotates toward the locking jaw 147,
One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other side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10 to face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rotating frame 1560, and is pressed by the user's pressing action to open the second rotating frame 1560. It includes a separation button portion 1570 that rotates the support jaw 1561 of the second rotating frame 156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topping jaw 147 of the exhalation pipe 140 by applying lateral pressure,
A first extension portion 1542 extending toward the second rotating frame 1560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rotating frame 1540, and a first rotating frame 1540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rotating frame 1560. A second extension portion 1562 is formed that extends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542,
The second extension part 1562 is formed to extend at a downward angle, so that when the second pivoting frame 1560 is pressed laterally by the separation button portion 1570,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542 is pressed upward to form the first pivoting frame ( Rotating the support jaw 1541 of 154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topping jaw 147 of the exhalation pipe 140,
A pressurizing part 181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10 so that it appears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on which the exhalation pipe 140 is mounted, and is pressurized and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10 when the exhalation pipe 140 is mounted. ) And, the pressing part 181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10 by elastically pressing the pressing part 181 toward the exhalation pipe 140 mounted on the main body 110 is pressed against the main body 110. A breathalyzer with a non-contact exhalation tube separation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pop-up portion (180) including a pop-up spring (182) that protrudes to one 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7519A KR102688645B1 (en) | 2023-06-16 | 2023-06-16 | Breathalyzer with non-contact mouthpiece separation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7519A KR102688645B1 (en) | 2023-06-16 | 2023-06-16 | Breathalyzer with non-contact mouthpiece separation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88645B1 true KR102688645B1 (en) | 2024-07-25 |
Family
ID=9217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77519A KR102688645B1 (en) | 2023-06-16 | 2023-06-16 | Breathalyzer with non-contact mouthpiece separation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8645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9406Y1 (en) | 2007-04-09 | 2008-04-10 | 주식회사 디에이텍 | A drunkometer |
KR20120011687A (en) * | 2010-07-29 | 2012-02-08 | 주식회사 디에이텍 | Apparatus for measuring a blood alcohol concentration |
KR20150114904A (en) * | 2014-04-02 | 2015-10-13 | 서어모스 케이.케이. | Cap of drink container |
KR20200127097A (en) * | 2019-04-30 | 2020-11-10 | 주식회사 아이센스 | Applicato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
2023
- 2023-06-16 KR KR1020230077519A patent/KR10268864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9406Y1 (en) | 2007-04-09 | 2008-04-10 | 주식회사 디에이텍 | A drunkometer |
KR20120011687A (en) * | 2010-07-29 | 2012-02-08 | 주식회사 디에이텍 | Apparatus for measuring a blood alcohol concentration |
KR20150114904A (en) * | 2014-04-02 | 2015-10-13 | 서어모스 케이.케이. | Cap of drink container |
KR20200127097A (en) * | 2019-04-30 | 2020-11-10 | 주식회사 아이센스 | Applicato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76132A (en) | Pulmonary interface system | |
JP5756409B2 (en) | Breath analysis | |
US3858573A (en) | Alveolar gas trap and method of use | |
US8313440B2 (en) | Infant breath collector | |
US953273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 gas in exhaled air | |
US20110208081A1 (en) | Apparatus and method | |
CN10323749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collection of samples of exhaled air | |
CN209595789U (en) | A kind of hand-held end-tidal sampling apparatus | |
JP2023096083A (en) | Portable fluid sampling device, system for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
KR102688645B1 (en) | Breathalyzer with non-contact mouthpiece separation function | |
WO2016082088A1 (en) |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for human respiratory system function | |
US20160341716A1 (en) | Breath capture and sampling system | |
JP2010503865A (en) | Nitric oxide detection method | |
KR101519462B1 (en) | Drunkometer | |
JP6765043B1 (en) | Local odor search device and local odor search method | |
CN113777244A (en) | Alveolar gas concentrat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air passage | |
CN105388278B (en) | A kind of hand-held respiration filtering device | |
WO2020009798A1 (en) | Device for selective collection and condensation of exhaled breath | |
KR100608434B1 (en) | Concentration measured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of oral gas | |
US20050203362A1 (en) | Mucosal sensor adaptor | |
JPH062128B2 (en) | Bad breath measuring device | |
CN214895310U (en) | Expiration sampling device | |
KR102290066B1 (en) | Loop-type sampling device and breath alcohol analyzer with the same | |
EP4193136B1 (en) | Improvements in relation to breath collection | |
CN109288498B (en) | Comprehensive examination instrument for obstetrics and gynecology depart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