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87210B1 - 브러시리스 모터 및 전기장치 - Google Patents

브러시리스 모터 및 전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7210B1
KR102687210B1 KR1020217038686A KR20217038686A KR102687210B1 KR 102687210 B1 KR102687210 B1 KR 102687210B1 KR 1020217038686 A KR1020217038686 A KR 1020217038686A KR 20217038686 A KR20217038686 A KR 20217038686A KR 102687210 B1 KR102687210 B1 KR 102687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sheet
conductive
brushless motor
hous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8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3581A (ko
Inventor
궈슝 리
청둥 황
루창 쩡
후 리
지팡 뤼
구이례 중
위찬 뤼
Original Assignee
광동 웰링 모터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웰링 모터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웰링 모터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3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7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7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1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02K5/173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094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5Mounting arrangements for bearing-shields or end pla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08Insulating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시리스 모터(100) 및 전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브러시리스 모터(100)는 하우징(11), 스테이터(12) 및 로터(13)를 포함하고, 스테이터(12)는 스테이터 코어(121)와 권선(122)을 포함하며, 로터(13)는 로터 코어(132)와 회전축(131)을 포함하며, 회전축(131) 상에 베어링(14)이 슬리빙되고, 2개의 베어링(14)을 고정한 베어링 브래킷(15)이 하우징(11)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고, 제 1 도전성 시트(21) 및 제 2 도전성 시트(22)가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브래킷(15)과 스테이터 코어(121) 사이에 설치되며,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가 간격을 두고 나란히 대향 배치되고, 제1 도전성 시트(21)와 스테이터 코어(121)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도전성 시트(22)와 인접한 베어링 브래킷(15)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브러시리스 모터 및 전기장치
본 발명은 2019년 7월 26일에 중화인민공화국 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 201910683981.7,발명 명칭이 "브러시리스 모터 및 전기장치"인 특허에 대한 중화인민공화국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청구하며, 해당 특허의 전부 내용은 인용의 방식으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모터 분야에 적용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브러시리스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재된 설명은 본 발명의 종래 배경 기술에 한해 제공되는 정보로, 반드시 종래 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근래에, 공조 장치의 에너지 절감 추세로 인해 유도 모터를 대체한 고효율 브러시리스 DC 모터가 팬 구동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브러시리스 DC 모터는 일반적으로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법(이하 PWM이라 함)을 구동 방식으로 적용하는 인버터에 의해 구동된다. PWM 구동 방식을 사용할 경우, 권선의 중성점 전위가 0이 아닌 이유로 공통 모드 전압을 발생하며; 고주파의 경우, 모터의 다양한 구조 사이에 커플링 커패시터가 발생하며, 이와 같은 공통 모드 전압은 스테이터, 로터, 로터 코어, 베어링 브래킷 등과 같은 부품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터 및 베어링 커패시터를 통해 회로를 형성하여 베어링 (베어링 커패시터 분기회로)의 내륜과 외륜 사이에 전압을 생성한다. 공통 모드 전압에 의해 베어링의 내륜과 외륜 사이에 발생하는 이와 같은 전압을 축전압이라 한다. 축전압은 PWM 구동 시 반도체의 고속 스위칭 동작에 따른 고주파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축전압이 베어링 내부 윤활유막의 절연파괴전압에 도달하면 방전되면서 전류가 발생하여 베어링 내표면과 볼의 부분적인 용융 부식, 즉, 베어링 내부의 전기적 부식(전기침식이라고도 함)을 발생한다. 전기적 부식이 가중해 지면 베어링의 내륜, 외륜, 볼 등과 같은 베어링 부재에 웨이브 모양의 마모가 발생하여 이상소음이 발생하고 베어링 수명이 단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의 브러시리스 모터의 축전압이 과도하게 높아 베어링의 전기적 부식을 유발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브러시리스 모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채택된 기술적 해결방안을 통해 절연 특성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로터(1)를 포함하는 브러시리스 모터를 제공하며,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감아서 제작된 권선을 포함하며, 상기 로터는 로터 코어와 상기 로터 코어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 위에 상기 로터코어 양단의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베이링을 슬리빙으로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 양단에 각각 2개의 상기 베이링을 고정하는 베어링 브래킷을 설치하며, 적어도 1개의 상기 베이링 브래킷과 상기 스테이터 코어 사이에 상기 베어링 내륜과 외륜 사이의 전위 균형을 협력하기 위한 제1 도전성 시트와 제2 도전성 시트를 설치하며,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상기 제2 도전성 시트는 나란히 대향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도전성 시트는 인접한 상기 베어링 브래킷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브러시리스 모터를 포함하는 전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상기 1개 또는 다수 기술방안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기술적 효과 중 하나를 나타낸다.
상기 브러시리스 모터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 및 상기 베어링 브래킷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성 시트 및 제2 도전성 시트를 설치하며,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상기 제2 도전성 시트는 나란히 대향 이격 설치되며, 제1 도전성 시트와 제2 도전성 시트는 스테이터 코어와 베어링 브래킷 사이의 용량 리액턴스를 협력 조절할 수 있으며, 베어링 외륜과 내륜의 전위 균형을 이루어 베어링 외륜과 내륜 사이의 전위차를 줄여 주어 베어링의 전기침식을 피하도록 축전압을 줄여 준다.
본 발명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을 보다 분명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시예 또는 예시적인 기술 설명에 필요한 도면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며, 하기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명시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일반 기술자에 의해 창조적인 과정을 투입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이와 같은 도면을 통해 기타 관련 도면을 도출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러시리스 모터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러시리스 모터의 분해 구조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을 제거했을 때의 브러시리스 모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브러시리스 모터의 스테이터와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브러시리스 모터에서 인쇄회로기판을 하우징에 설치한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브러시리스 모터에 있는 스테이터와 제1브래킷이 결합된 구조 개략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전기성 접촉편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2 전기성 접촉편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브러시리스 모터에 있는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나타낸 제1 개략도;
도 10은 도 2의 브러시리스 모터에 있는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나타낸 제2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유형의 브러시리스 모터에서 제1 도전성 시트 및 제2 도전성 시트를 지지판에 설치한 단면구조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제3 유형의 브러시리스 모터에서 제1 도전성 시트 및 제2 도전성 시트를 지지판에 설치한 단면구조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유형의 브러시리스 모터에서 지지판에 설치된 제1 도전성 시트 및 제2 도전성 시트의 단면구조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5 유형의 브러시리스 모터 단면구조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유형의 브러시리스 모터 단면구조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7 유형의 브러시리스 모터 단면구조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8유형의 브러시리스 모터 단면구조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9유형의 브러시리스 모터 단면구조 개략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기술적 해결방안 및 유익한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부분에서 설명된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함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한 소자가 다른 소자에 "고정"되거나 “설치”되는 것으로 언급될 경우, 이와 같은 소자는 다른 소자 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한 소자가 다른 소자에 "연결"되는 것으로 언급될 경우, 이와 같은 소자가 다른 소자에 직접 또는 간접 연결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제1" 및 "제2"라는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대적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거나 표시된 기술적 특징 수를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로 한정된 특징은 이와 같은 특징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한, 2개 또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약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한, 1개 또는 1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중앙", "길이", "폭", "두께", "위", "아래", "앞", "뒤", "왼쪽", "오른쪽", "수직", "수평", "위", "밑", "내", "외" 등 용어와 같은 방향 표시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에 기준하며,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리와 단순화를 위한 것일 뿐이며, 언급된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방향을 가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작동되어야 함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기에, 본 발명에 대한 제한사항으로 이해하지 말아야 한다. 본 발명에서 별도로 명시된 규정이나 제한을 제외하고 "설치", "상호 연결", "연결" 등과 같은 용어는 광의적인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화 연결일 수 있으며;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적접 연결 또는 중간 매개물을 통한 간접 연결일 수도 있으며, 2개 소자의 내부적인 관통 또는 2개 소자간의 상호작용 관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상기 용어가 본 발명에서의 구체적인 의미는 특정한 상황에 따라 이해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공하는 브러시리스 모터(100)를 설명한다. 상기 브러시리스 모터(1001)는 하우징(11), 스테이터(12), 로터(13), 2개의 베어링(14) 및 2개의 베어링 브래킷(15)을 포함한다. 스테이터(12)와 로터(13)는 전부 하우징(11)에 설치되며,스테이터(12)는 로터(13)의 회전을 구동하는 데 사용된다. 2개의 베어링(14)은 로터(13)에 설치되어 로터(1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2개의 베어링 브래킷(15)은 각각 2개의 베어링(14)을 지지하며 이에 따라 로터(13)도 지지해 준다; 또한, 2개의 베어링 브래킷(15)은 각각 하우징(11)의 양단에 설치되어 로터(13)가 유연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11) 내에서 로터(13)를 지지해 준다. 베어링 브래킷(15)을 사용하여 베어링(14)을 지지하여 베어링(14)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통해, 베어링(14)의 양호한 회전을 확보해 준다.
하우징(11)은 절연성을 구비하며 지지 및 보호와 같은 주요 역할을 한다. 하우징(11)은 수지재질로 사출성형되어 가공 및 제작이 용이하고 단열효과가 양호함과 동시에 방열효과도 나타낸다. 물론, 방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부 방열 핀이 하우징(11)에 구비될 수도 있다.
스테이터(12)는 스테이터 코어(121) 및 권선(122)을 포함하며, 권선(122)은 스테이터 코어(121)에 감겨 제작되며, 권선(122)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하고, 스테이터 코어(121)를 통해 강화 및 유도된다. 스테이터 코어(121)는 와전류를 줄이기 위해 약간의 규소 강판을 적층하여 형성된다. 스테이터 코어(121)는 일반적으로 약간의 톱니형 구조를 포함하고, 권선(122)은 각각의 톱니에 감겨 있다. 이러한 톱니형 구조는 링 모양으로 둘러싸여 있어, 로터(13)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로터(13)를 스테이터(12)에 설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권선(122)와 스테이터 코어(121)를 견고하게 연결하고, 권선(122)을 스테이터 코어(121)의 톱니 상에 쉽게 설치하기 위해 권선을 지지해 주는 절연골조(123)를 설정해 둘 수 있으며, 절연골조(123)를 스테이터 코어(121) 상에 고정한다. 물론, 구동회로와 권선(122)의 용이한 연결을 위해 권선(122)의 리드단자를 절연골조(123) 상에 고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일 실시예에서, 권선(122)의 리드단자를 밀봉판(124) 위에 고정시키고, 구동 회로(162)와의 용이한 전기 연결을 위해, 또는 케이블을 쉽게 인출하여 외부 구동회로와 전기연결하기 위해, 절연골조(123) 상에 밀봉판(124)을 구비할 수 있으며, 밀봉판(124)은 절연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구동 회로(162)는 하우징(11)에 설치하거나, 케이블을 통해 외부구동회로와 연결되는 외부구동회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구동회로(162)를 하우징(11) 내부에 설치하여 부피를 줄이고 집적도를 향상시키며 용이한 사용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인쇄회로기판(161)은 하우징(11)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회로(162)는 인쇄회로기판(161)에 형성될 수 있다. 권선(122)의 리드 단자는 인쇄회로기판(161)과의 용이한 전기적 연결을 위해 핀삽입구조(126)로 제작될 수 있다.
로터(13)는 회전축(131)과 로터 코어(132)를 포함하며, 회전축(131)은 로터 코어(132)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축(131)을 통해 로터 코어(132)를 지지하며, 로터 코어(132)를 스테이터(12) 상에 구성하여, 권선(122)에 전원이 연결되면 스테이터 코어(121) 상에 교류 자기장이 생성되어 로터 코어(132)의 회전을 구동하고, 회전축(131)의 회전을 추진한다. 보다 상세하게, 로터 코어(132)는 로터 철심과 자석이 조합된 구조를 채택하거나, 규소강판을 농형으로 펀칭 및 적한층 후, 알루미늄으로 주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2개의 베어링(14)은 회전축(131) 상에 슬리빙 되며, 2개의 베어링(14)은 각각 로터 코어(132)의 양단에 위치한다. 로터(13)의 무게는 대부분 로터 코어(132) 위치에 집중되기 때문에 로터(13)의 무게 중심도 로터 코어(132)의 대응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처럼 2개의 베어링(14)을 각각 로터 코어(132)의 양단에 설치하여, 회전축(131)을 더 단단하게 지지하고, 로터 코어(132)도 지지해 주어, 로터 코어(132)와 회전축(131)이 보다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한다. 회전축(131)이 보다 유연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2개의 베어링(14)을 설치하여 회전축(131)을 지지한다.
두 개의 베어링(14)은 두 개의 베어링 브래킷(15)에 설치되여, 두 개의 베어링 브래킷(15)을 통해 해당 베어링(14)을 지지해 주고 로터(13)도 지지해 준다. 단, 2개의 베어링 브래킷(15)은 각각 하우징(11)의 양단에 설치되어 하우징(11) 내부에서 로터(13)를 지지해 주고, 하우징(11) 내부에서 로터(13)가 유연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스테이터 코어(121)와 각 베어링 브래킷(15)은 절연 설치된다. 베어링 브래킷(15)을 사용하여 베어링(14)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베어링(14)의 외륜과 내륜 사이의 안정적인 회전을 보장하며, 진동을 줄이고 베어링(14)의 크리프를 방지하며, 베어링(14)의 외륜과 베어링 브래킷(15)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스테이터(12)와 하우징(11)은 플라스틱 밀봉을 통해 일체 구조로 되어 있어, 스테이터(12)가 하우징(11)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며, 하우징(11)을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하여 제작된 브러시리스 모터(100)의 부피와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은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고, 스테이터(12)는 몰드에 방치가능하여, 하우징(11)과 스테이터(12)는 사출성형 하우징(11)을 통해 일체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다른 부분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11)은 별도로 제작된 후, 스테이터(12)를 하우징(11)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테이터 코어(121)의 단부면에 플라스틱 밀봉 단부면(125)이 형성되어 스테이터 코어(121)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불순물이 스테이터 코어(12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테이터 코어(121)와 외부 전도성 부품의 연결도 방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플라스틱 밀봉 단부면(125)은 절연골조(123) 상에 구비되어 절연골조(123)를 스테이터 코어(121)에 설치한 후, 플라스틱 밀봉 단부면(125)을 스테이터 코어(121)의 단부면에 직접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스테이터(12)와 하우징(11)이 일체로 플라스틱 밀봉되는 경우, 이와 동시에 스테이터(12)의 단부면에 플라스틱 밀봉 단부면(125)도 형성하여 가공 및 제작이 용이해지고, 플라스틱 밀봉 단부면(125)이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다.
물론, 밀봉판(124)을 스테이터(12)에 구성하면, 플라스틱 밀봉을 통해 밀봉판(124), 스테이터(12) 및 하우징(11)의 일체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2개의 베어링 브래킷(15)은 각각 제1 브래킷(151)과 제2 브래킷(152)이고, 제1 브래킷(151)과 제2 브래킷(152)은 각각 하우징(11)의 양단에 위치하며, 이 중 제1 브래킷(151)은 하우징(11)의 엔드캡으로 사용되며, 제2 브래킷(152)과 하우징(11)은 플라스틱 밀봉을 통해 일체화 구조로 구성된다. 즉, 하우징(11)을 사출 제작하면서 제2 브래킷(152)을 몰드에 방치하여 하우징(11)으로 일체로 사출성형 될 경우, 제2 브래킷(152)이 하우징(11)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여, 가공이 용이해 지고 중량 감소와 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의 양단은 개방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2개의 베어링 브래킷(15)은 2개의 엔드캡 구조로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1)의 일단에 팬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보다 충분하게 열을 분산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조에서 일부 회전축(131) 양단 모두가 출력이 필요한 모터의 경우, 보다 실용적인 의미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11) 양단 모두가 개방형 구조로 되어 있고, 2개의 베어링 브래킷(15)은 엔드캡으로 사용되며, 베어링 브래킷(15)을 통해 브러시리스 모터(100) 완제품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베어링 브래킷(15)를 통해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하우징 앤드캡의 경우, 앤드캡 전체를 금속으로 제작하거나 베어링을 지지하는 부분만 금속으로 제작하여, 베어링(14)이 크리핑 되는 것을 방지하고 베어링(14)의 안정적인 회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2개의 베어링 브래킷(15)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 베어링 브래킷(15) 전위의 일치성을 유지해 주며, 양 베어링(14) 외륜 전위의 일치성도 유지해 준다.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제1 브래킷(151)과 제2 브래킷(152)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브래킷(151)과 제2 브래킷(152) 전위의 일치성을 유지해 준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에 도전성 부재(111)를 구성하여 두 개의 베어링 브래킷(15)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1)의 외부로부터 도전성 부재(111)를 접착하여 양 베어링 브래킷(15)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1브래킷(151)과 스테이터 코어(121) 사이에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가 구비되고,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가 나란히 대향 이격 배치되고, 제1 도전성 시트(21)는 스테이터 코어(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도전성 시트(22)는 제1 브래킷(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브래킷(151) 및 제2 브래킷(152) 상의 전기량을 제2 도전성 시트(22)로 인입하고, 스테이터 코어(121)에 가해지는 전기량은 제1 도전성 시트(21)에 인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 사이에 커패시티가 형성되고, 스테이터 코어(121)와 베어링 브래킷(15) 사이의 용량 리액턴스를 조절할 수 있여, 스테이터 코어(121) 및 베어링(14) 내륜 사이의 등가 커패시티가 스테이터 코어(121) 및 베이링(14)외륜 사이의 등가 커패시티와 비슷하거나 같게 한다. 즉, 스테이터 코어(121) 및 베어링(14) 내륜 사이의 등가 커패시티와 스테이터 코어(121) 및 베어링(14) 외륜 사이의 등가 커패시티 간의 균형을 이루게 하며, 나아가, 베어링(14) 외륜과 베어링(14) 내륜 사이의 전위 균형도 유지해 주어, 베어링(14) 외륜과 내륜 사이의 전위 유사성을 확보하여, 베어링(14) 외륜과 내륜 사이의 전위차, 축전압을 감소시켜, 베어링(14)의 전기적 침식을 피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실시예에서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는 제2 브래킷(152)과 스테이터 코어(121) 사이에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 제2 브래킷(152) 및 스테이터 코어(121)가 플라스틱 밀봉을 통해 일체로 구성되기에, 제2 브래킷(152)과 스테이터 코어(121) 사이에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1)를 설치할 경우, 하우징(11) 제작 시,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를 몰드에 사전 설치해 두어, 제1 도전성 시트(21), 제2 도전성 시트(22) 및 하우징(11)을 플라스틱 밀봉 일체 구조로 성형한다.
도 18을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 양단이 개방된 구조로 제공되는 경우, 두 개의 베어링 브래킷(15)과 스테이터 코어(121)의 양단 사이에 각각 제1 도전성 시트(21)는 제2 도전성 시트(22)를 설치하여, 2개의 베어링 브래킷(1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스테이터 코어(121) 양단에 있는 2개의 제1 도전성 시트(21)는 전부 스테이터 코어(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2개의 제2 도전성 시트(22)는 인접한 베어링 브래킷(15)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테이터 코어(121)의 양단에 있는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를 통해 이와 같은 스테이터 코어(121)와 2개의 베어링 브래킷(15) 사이의 용량 리액턴스를 조절하여, 각각 2개의 베어링(14)의 내륜과 외륜 사이의 전위차를 조절해 준다. 물론, 일부 실시예에서, 2개의 베어링 브래킷(15)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는 각각 두 개의 베어링 브래킷(15)과 스테이터 코어(121)의 양단 사이에 구비되어, 더 큰 조절 공간과 조절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의 양단이 개방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을 경우, 2개의 베어링 브래킷(15)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2개의 베어링 브래킷(15)의 전위가 동일해 지며,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를 이 중 하나의 베어링 브래킷(15)과 스테이터 코어(121) 사이에 구성할 수도 있으며, 두 개의 베어링 브래킷(15)과 스테이터 코어(121) 사이의 용량 리액턴스는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를 통해 조절하여, 제작의 편리, 원가절감, 편리한 사용성 등을 달성할 수 있다.
물론,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개의 베어링 브래킷(15)의 구조가 상이할 경우, 두 개의 베어링(14)의 내륜과 외륜 사이의 전위차도 상이하여, 2개의 베어링 브래킷(1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지 않을 수 있어, 이 중 1개의 베어링 브래킷(15)과 스테이터 코어(121) 사이의 용량 리액턴스만 조절하거나; 2개의 베어링 브래킷(15)과 스테이터 코어(121) 사이의 용량 리액턴스를 각각 조절한다.
하기의 실시예에서 2개의 베어링 브래킷(15)을 특별히 설명하거나, 실시예 중의 하우징(11) 양단이 개방되는 구조를 제외하고, 베어링 브래킷(15)은 제1 브래킷(151)을 지칭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브러시리스 모터(100)는 지지판(16)을 더 포함하고, 지지판(16)은 하우징(11)에 고정되고,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는 지지판(16) 위에 설치되어, 지지판(16)을 통해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를 지지해 주면서,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를 하우징(11)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지지판(16)은 인쇄회로기판(161)일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61)의 양면에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를 설치하여, 인쇄회로기판(161)을 통해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를 지지하여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의 설치 및 고정이 용이해지고, 점용 공간도 줄여 주어, 부피가 더 작은 브러시리스 모터(100)의 제작을 통해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
도 5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실시예에서, 권선(122)의 구동 편리를 위해, 구동 회로(162)를 인쇄회로기판(161) 상에 구성할 수 있다.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는 구동 회로(162)로부터 절연 및 단선되어,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가 구동 회로(162)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161)은 상대적으로 크게 제작될 수 있고, 구동회로(162)는 인쇄회로기판(161)의 1개 영역에 설치하고,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는 인쇄회로기판(161)의 다른 1개 영역에 설치하여,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가 구동회로(162)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지지판(16)은 인쇄회로기판(161)이 아닐 수 있다. 즉, 지지판(16)을 별도로 설정하여,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를 지지하여,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가 인쇄회로기판(161) 상의 구동회로(162)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161)은 일반적으로 부피가 작게 제작하여 지지판(16)과 인쇄회로기판(161)을 동일한 평면에 구성하여 하우징(11)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줄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판(16)과 인쇄회로기판(161)은 나란히 이격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가 스테이터 코어(12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 스테이터 코어(121)의 양단에 각각 인쇄회로기판(161)과 지지판(16)을 구성할 수 있으며, 스테이터 코어(121)의 일단에 있는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를 인쇄회로기판(161) 상에 설치하고, 스테이터 코어(121) 다른 일단에 있는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는 지지판(16) 상에 설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판(16)는 스테이터 코어(121)의 양단에 각각 구성될 수 있고, 2개의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는 각각 대응하는 지지판(16)에 장착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도전성 시트(21)가 제2 도전성 시트(22)로부터 등진 면에 제1 절연성 보호층(214)을 구성하여, 제1 절연성 보호층(214)을 통해 제1 도전성 시트(21)를 보호하여, 브러시리스 모터(100) 상의 다른 부품이 제1 도전성 시트(21)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킨다. 마찬가지로, 제2 도전성 시트(22)에는 제1 도전성 시트(21)와 등진 면에 제2 절연성 보호층(224)이 구비되고, 제2 도전성 시트(22)는 제2 절연성 보호층(224)을 통해 보호되어, 브러시리스 모터(100)에서 다른 구성 부품이 제2 도전성 시트(22)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킨다. 특히,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를 지지판(16)의 양면에 설치하는 경우, 지지판(16)을 통해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 사이에 불순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1 절연보호층(214)은 지지판(16)과 협력하여 제1 도전성 시트(21)를 보호할 수 있고, 제2 절연보호층(224)도 지지판(16)과 협력하여 제2 도전성 시트(22)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제1 절연층(215)은 제1 도전성 시트(21)의 제2 도전성 시트(22)에 가까운 측면에 구성되어,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가 나란히 이격 구성될 경우,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의 비전기적 연결을 보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가 비전기적으로 더 잘 연결되도록 제2 도전성 시트(22)의 제1 도전성 시트(21)에 가까운 측에 제2 절연층(225)을 구성한다. 특히, 인쇄회로기판(161)의 양면에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를 설치할 경우, 인쇄회로기판(161) 상의 구동회로(162)와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와의 단선을 보다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실시예에서, 제1 절연층(215) 및 제1 절연성 보호층(214)은 제1 도전성 시트(21)를 보다 충분히 보호하기 위해 동시에 제1 도전성 시트(21)의 양면에 각각 구성될 수 있고, 제1 도전성 시트(21) 설치 시, 브러시리스 모터(100)의 다른 구성 부품에 영향 주는 것을 더 충분히 피면할 수 있거나, 브러시리스 모터(100) 상의 다른 구성 부품이 제1 도전성 시트(21)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충분히 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절연층(225) 및 제2 절연성 보호층(224)은 제2 도전성 시트(22)를 보다 충분히 보호하기 위해 제2 도전성 시트(22)의 양면에 동시에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도전성 시트(22)를 설치할 경우, 브러시리스 모터(100)의 다른 부품에 영향주거나 브러시리스 모터(100)의 다른 부품이 제2 도전성 시트(22)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확실히 피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 사이에 유전체층(23)을 구성하고, 유전체층(23) 양면에 각각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를 구성한다. 따라서, 제 1 도전성 시트(21) 및 제 2 도전성 시트(22)는 유전체층(23)을 통해 지지될 수 있고, 제 1 도전성 시트(21), 유전체층(23) 및 제 2 도전성 시트(22)는 일체로 제작되어 편리한 설치를 확보한다. 유전체층(23)은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의 비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절연층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도전성 시트(21)는 접착층을 통해 지지판(16)에 장착되어, 제2 도전성 시트(22)도 상기 지지판(16)의 지지를 받게 되며,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1)는 지지판(16)의 같은 측에 구성된다. 물론,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도전성 시트(22)는 접착층을 통해 지지판(16) 상에 장착될 수도 있어서, 제1 도전성 시트(21)도 상기 지지판(16) 상에 지지되고,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는 지지판(16)의 같은 측에 구성된다. 접착층은 도전층 또는 절연층일 수 있다. 지지판(16)이 인쇄회로기판(161)인 경우, 접착층은 절연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를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 사이에 유전체층(23)이 구성되고,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는 유전체층(23)에 의해 지지되어, 제2 도전성 시트(22)는 접착층(26)을 통해 인접한 베어링 브래킷(15)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제1 도전성 시트(21)도 베어링 브래킷(15) 상에 지지되어 하우징(11)이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킨다. 제2 도전성 시트(22)는 인근에 있는 베어링 브래킷(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접착층(26)은 도전층을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접착층(26)은 절연층일 수도 있어, 제2 도전성 시트(22)는 인출되어 상기 베어링 브래킷(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물론,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도전성 시트(21)는 접착층(26)을 통해 인접한 베어링 브래킷(15) 상에 장착할 수 있어, 제2 도전성 시트(22)도 베어링 브래킷(15) 상에 지지되어 하우징(11)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주며, 이 경우, 접착층(26)은 제1 도전성 시트(21)와 베어링 브래킷(15)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피하기 위해 절연층을 사용해야 한다.
도 14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실시예에서, 제2 도전성 시트(22)가 베어링 브래킷(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제1 도전성 시트(21)는 연결판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접착층(26)은 연결판과 베어링 브래킷(15) 사이에 구성되고, 하우징(11)에 금속골무(27)가 구비되고, 금속 골무(27)는 스테이터 코어(121)와 연결되며, 베어링 브래킷(15) 설치 시, 금속 골무(27)를 연결판에 접하게 하여 제1 도전성 시트(21)를 스테이터 코어(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연결이 편리해진다. 물론,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도전성 시트(21)와 스테이터 코어(121)는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 사이에 유전체층(23)이 구성되고, 제1 도전성 시트(21)와 제2 도전성 시트(22)는 유전체층(23)에 의해 지지되어, 제2 도전성 시트(22)는 접착층(26)을 통해 스테이터 코어(121)의 인근에 있는 플라스틱 밀봉 단부면(125)에 설치될 수 있기에, 제1 도전성 시트(21)도 플라스틱 밀봉 단부면(125) 상에 지지되어 하우징(11)에 대한 공간 점유를 감소시킨다. 접착층(26)은 도전층 또는 절연층일 수 있다. 물론,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도전성 시트(21)는 접착층(26)을 통해 인근에 있는 플라스틱 밀봉 단부면(125) 상에 설치될 수 있어, 제2 도전성 시트(22)도 플라스틱 밀봉 단부면(125)에 지지되어 하우징(11)에 대한 공간 점유를 감소시킨다.
도 16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실시예에서, 제1 전기성 접촉편(24)은 절연골조(123) 상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전기성 접촉편(24) 일단은 플라스틱 단부면(125)으로 연장되고, 제1 전기성 접촉편(24)의 타단은 스테이터 코어(121)에 연결된다. 또한, 제 2 전기성 접촉편(25)을 절연골조(123) 상에 설치할 수 있으며, 제 2 전기성 접촉편(25) 일단을 플라스틱 밀봉 단부면(125)까지 연장하며, 제 2 전기성 접촉편(25)의 타단은 플라스틱 밀봉 단부면(125)에서 연장되어 베어링 브래킷(15)과 접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1 도전성 시트(21)가 플라스틱 밀봉 단부면(125)에 설치되면, 제1 도전성 시트(21)는 제1 전기성 접촉 시트(24)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고, 이어서 제1 도전성 시트(21)와 스테이터 코어(12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2 도전성 시트(22)로부터 연결선을 인출하여 제2 전기 접촉 시트(25)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베어링 브래킷(15)이 설치된 후, 제2 전기 접촉 시트(25)의 타단은 베어링 브래킷(15)에 접하게 되며, 제2 도전성 시트(22)는 베어링 브래킷(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제2 도전성 시트(22)는 스테이터 코어(121)로부터 등진 지지판(16) 일측에 구성되고, 제1 도전성 시트(21)는 스테이터 코어(121)와 가까운 지지판(16) 일면에 구성되어, 제1 도전성 시트(21)와 스테이터 코어(121) 사이의 용이한 전기적 연결을 확보하면서, 제2 도전성 시트(22)와 대응하는 베어링 브래킷(15) 사이의 용이한 전기적 연결도 구현해 준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도전성 시트(21)는 스테이터 코어(121)와 등진 지지판(16)의 일면에 구성될 수 있고, 제2 도전성 시트(22)는 스테이터 코어(121)와 가까운 지지판(16)의 일면에 구성될 수 있어, 지지판(16) 양면에 각각 접선판을 설정할 수 있으며, 회로를 사용하여 제1 도전성 시트(21)와 지지판(16) 위에 스테이터 코어(121)에 가까운 일측의 접선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제2 도전성 시트(22)는 지지판(16)의 스테이터 코어(121) 일측에서 등진 접선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도전성 시트(21) 및 제2 도전성 시트(22)가 지지판(16) 상에 설치될 때, 지지판(16) 상에 제1 도전판(163) 및 제2 도전판(164)을 구성할 수 있으며, 제1 도전판(163)과 제1 도전성 시트(21)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도전판(164)과 제2 도전성 시트(22)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전기성 접촉편(24) 및 제 2 전기성 접촉편(25)는 하우징(11)에 설치될 수 있고, 제 1 전기성 접촉편(24)는 스테이터 코어(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전기성 접촉편(25)는 인근에 있는 베어링 브래킷(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전기성 접촉편(24)은 제1 도전판(163)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어, 제2 전기성 접촉편(25)은 제2 도전판(164)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기에, 제1 도전성 시트(21)와 스테이터 코어(121)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도전성 시트(22)와 베어링 브래킷(1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에도 편리해진다. 상기 지지판(16)은 인쇄회로기판(161)일 수 있고 별도로 설정된 기판 본체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실시예에서, 제1 전기성 접촉편(24)은 제1 도통부(242), 제1 도전부(243) 및 제1 접속부(241)를 포함하며,제1 도통부(242)와 제1 도전부(243)는 제1 접속부(241) 상에 설치되며, 제1 접속부(241)를 통해 제1도통부(242)과 제1 도전부(243)을 지지하며, 제1 접속부(241)는 하우징(11) 상에 고정되어, 제1 도통부(242) 및 제1 도전부(243)를 하우징(11) 상에서 지지한다. 제1 도통부(242)는 제1 도전판(163)과의 연결에 사용되며, 제1 도전부(243)는 스테이터 코어(121)와 접속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지지판(16) 설치시 제1도통부(242)를 제1도전판(163)에 연결한 후, 제1 도전성 시트(21)에 연결하여 제1도전성 시트(21)와 스테이터 코어(12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실시예에서, 제1 도통부(242)는 제1 접속부(241) 일측 일단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며, 제1 도전부(243)는 제1 접속부(241) 일측 타단에서 상기 제1 접속부(241) 일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섹션(2431), 및 제 1 섹션(2431)의 자유단부로부터 제 1 도통부(24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섹션(2432), 즉, 제 1 도전부(243)는 제1 섹션(2431)과 제2 섹션(2432)을 포함하며, 제 1 섹션(2431)은 제1 접속부(241) 일측에서 해당 제1 접속부(241) 일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2섹션(2432)은 제 1 섹션(2431)의 자유단부로부터 제 1 도통부(24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도통부(242) 및 제 1 섹션(2431)은 각각 제 1 접속부(241) 일측 양단에 위치된다. 제1 도통부(242) 및 제1 도전부(243)는 제1 접속부(241)의 동일 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를 통해, 가공 및 제작이 용이하고 편리한 설치와 함께, 스테이터 코어(121)와의 전기적인 연결도 편리해 진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실시예에서, 제1 전기성 접촉편(24)은 금속 시트로부터 스탬핑 제작된다. 물론, 금속 시트를 만곡 제작할 수도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기성 접촉편(24)은 다수 금속 시트를 용접 제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실시예에서, 제1 전기성 접촉편(24)은 제1 전기성 접촉편(24)을 보다 충분히 지지하기 위해, 밀봉판(124)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접속부(241)는 절연골조(123) 상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도통부(242)는 밀봉판(124) 상에 고정되어, 제1 전기성 접촉편(24)의 보다 양호한 고정을 구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접속부(241) 상에 제1 바요넷(244)이 돌출 형성되어 제1 접속부(241)가 보다 견고하게 절연골조(123) 상에 고정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10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실시예에서, 제1 도전성 시트(21)는 제1 리드선(213)을 통해 제1 도전판(163)에 연결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실시예에서, 제2 도전성 시트(22)는 제2 리드선(223)을 통해 제2 도전판(164)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실시예에서, 제2 전기 접촉편(25)은 제2 도통부(252), 제2 도전부(253), 및 제2 접속부(251)를 포함하며, 제2 도통부(252)와 제2 도전부(253)은 제2 접속부(251) 상에 설치되고, 제2 접속부(251)를 통해 제2 도통부(252) 및 제2 도전부(253)를 지지하며, 제2 접속부(251)는 하우징(11) 상에 고정되어, 제2 도통부(252) 및 제2 도전부(253)가 하우징(11) 상에 있도록 지지해 준다. 제2 도통부(252)는 제2 도전판(164)과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고, 제2 도전부(253)는 베어링 브래킷(15)과 접속 연결되는 데에 사용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이를 통해 지지판(16) 설치 시, 제2 도통부(252)는 제2 도전판(164)과 연결되고, 제2 도전성 시트(22)와도 연결된다. 베어링 브래킷(15) 설치 시, 제2 도전부(253)는 베어링 브래킷(15)과 위로 접하여, 제2 도전성 시트(22)와 베어링 브래킷(15)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실시예에서, 제2 도통부(252)는 제2 접속부(251)의 일측 일단에서 돌출 연장되며, 제2 도전부(253)는 제2 접속부(251)의 일측 다른 일단에서 연장된 제1 단(2531), 제1 단(2531)의 자유 단부로부터 해당 제2 접속부(251)의 일면을 향해 연장된 제2 단(2532), 및 제2 단(2532)의 자유 단부로부터 제2 접속부(25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3 단(2533) 포함, 즉, 제2 도전부(252)는 제1 단(2531), 제2 단(2532) 및 제3 단(2533)을 포함하며, 제1 단(2531)은 제2 접속부(251)의 일측변에서 연장되며, 제2 단(2531)은 제1단(2531)의 자유 단부로부터 제2 접속부(251) 일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3 단(2533)은 제2 단(2532)의 자유 단부로부터 제2 접속부(25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도통부(252) 및 제1 단(2531)은 각각 제2 접속부(251) 일측 양단에 위치한다. 제3 단(2533)은 제2 도통부(252)에 평행되고, 제2 도통부(252)와 제2 도전부(253)는 제2 접속부(251)의 동일 측에 위치하여 가공제작, 설치 및 베어링 브래킷(15)에 전기적 연결 등이 편리해진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실시예에서, 제2 전기성 접촉편(25)은 금속 시트를 스탬핑하여 제작된다. 물론, 금속 시트를 만곡 제작할 수도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전기 접촉편(25)은 다수 금속 시트를 용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실시예에서, 제2 전기성 접촉편(25)은 제2 전기성 접촉편(25)을 보다 충분히 지지하기 위해 밀봉판(124)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2 접속부(251)는 절연골조(123) 상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도통부(252) 및 제2 도전부(253)를 밀봉판(124) 상에 고정될 수 있어, 제2 전기성 접촉편(25)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2 접속부(251)에는 제2 바요넷(254)이 돌출 형성되어 제2 결합부(251)가 절연 프레임(123)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실시예에서는 밀봉판(124)이 구비되고, 제1 전기성 접촉편(24)과 제2 전기성 접촉편(25)은 밀봉판(124)에 의해 지지되며, 스테이터(12)와 하우징(11)이 일체로 사출성형 시, 밀봉판(124)을 하우징(11)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제1 전기 접촉편(24) 및 제2 전기 접촉편(25)을 편리하게 지지 및 고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공 및 제조가 편리하다.
보다 상세하게, 도 15를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지지판(16) 상에 전도성 포고핀(28)을 설치하여, 제2 도전성 시트(22)와 전도성 포고핀(28)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전도성 포고핀(28)을 통해 베어링 브래킷(15)을 위로 접하여 제2 도전성 시트(22)와 베어링 브래킷(15)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도전성 시트(21)는 약간의 제1 전기성 시트(211)를 포함하고, 2개의 인접한 제1 전기성 시트(211)는 찢겨 절단될 수 있는 제1 연결부(212)에 의해 연결되고; 찢겨 절단될 수 있는 제1 연결부(212)를 사용하여 2개의 인접한 제1 전기성 시트(211)를 연결하여 제1 도전성 시트(21)를 구성하여, 사용 시, 필요에 따라 제1 도전성 시트(21)의 면적을 조절하며, 베어링 브래킷(15)과 스테이터 코어(121) 사이의 용량 리액턴스를 편리하게 조절한다. 마찬가지로,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제2 도전성 시트(22)는 약간의 제2 전기성 시트(221)를 포함하고, 2개의 인접한 제2 전기성 시트(221)는 찢겨 절단될 수 있는 제2 연결부(222)를 통해 연결된다; 찢겨 절단될 수 있는 제2 연결부(222)를 사용하여 인접한 2개의 제2 도전성 시트(221)를 연결하여 제2 도전성 시트(22)를 구성하여 사용 시 필요에 따라 제2 도전성 시트(22) 면적을 조절할 수 있고, 베어링 브래킷(15)과 스테이터 코어(121) 사이의 용량 리액턴스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도전성 시트(21)는 도전성 박편일 수 있고, 도전성 박편의 일면은 도전성을 갖는 접착면이고, 도전성 박편의 다른 한면은 절연성을 갖는 절연면이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이 편리해져 사용 시 제1 도전성 시트(21)는 지지판(16)에 직접 접착하거나 플라스틱 밀봉 단부면(125)에 접착할 수도 있다. 동시에, 제1 도전성 시트(21)도 쉽게 절단할 수 있어, 제1 도전성 시트(21) 의 면적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제2 도전성 시트(22)는 도전성 박편일 수 있고, 도전성 박편의 일면은 도전성을 갖는 접착면이고, 도전성 박편의 다른 일면은 절연성을 갖는 절연면이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이 편리해 지며, 사용 시, 제2 도전성 시트(22)는 지지판(16)에 직접 접착하거나 플라스틱 밀봉 단부면(125)에 접착할 수도 있다. 동시에, 제2 도전성 시트(22)를 편리하게 절단할 수 있어, 제2 도전성 시트(22) 면적 조절에 편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도전성 시트(21)는 인쇄회로기판(161)에 제작 구성된 구리층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도전성 시트(22)도 인쇄회로기판(161)에 제작 구성된 구리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브러시리스 모터(100)는 베어링(14)의 내륜과 외륜 사이의 전위 균형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고, 베어링(14)의 내륜과 외륜 사이의 전압을 감소시키고, 베어링(14)의 내륜과 외륜의 전기 침식을 방지하여, 브러시리스 모터(100)의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작동을 보장하고, 소음과 진동을 줄이며 사용수명을 연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리스 모터(100)는 에어컨, 세탁기, 전자레인지, 냉장고 등의 전기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전기장치도 제공하며, 이와 같은 전기장치는 상기 임의 실시예에 기재된 브러시리스 모터(100)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장치에 브러시리스 모터(100)를 사용하면 브러시리스 모터(100)의 양호한 사용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선택가능한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와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 교체 및 개선 등은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00-브러시리스 모터; 11-하우징; 111-도체; 12- 스테이터; 121-스테이터 코어; 122- 권선; 123- 절연골조; 124- 밀봉판; 125- 플라스틱밀봉단부면; 126- 핀삽입 구조; 13-로터; 131-회전축; 132-로터 코어; 14-베어링; 15-베어링 브래킷; 151-제1 브래킷; 152-제2 브래킷, 16-지지판; 161-인쇄회로기판; 162-구동회로; 163-제1 도전판; 164-제2 도전판; 21-제1 도전성 시트; 211-제1 전기성 시트; 212-제1 연결부; 213-제1 리드선; 214- 제1 절연보호층; 215-제1 절연층; 22-제2 도전성 시트; 221-제2 전기성 시트; 222-제2 연결부; 223-제2 리드선; 224-제2 절연 보호층; 225-제2 절연층; 23-유전체층; 24-제1전기성 접촉편; 241-제1 접속부; 242-제1 도통부; 243-제1 도전부; 244-제1 바요넷; 25-제2 전기성 접촉편; 251-제2 접속부; 252-제2 도통부; 253-제2 도전부; 254-제2 바요넷; 26-접착층; 27-금속 골무; 28-전도성 포고핀.

Claims (20)

  1. 브러시리스 모터로서,
    절연 특성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로터를 포함하되,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감아서 제작된 권선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로터 코어와 상기 로터 코어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 위의 상기 로터 코어 양단에 대응하는 위치 각각에서는 베어링이 슬리빙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양단 각각에는 2개의 상기 베어링을 고정하는 베어링 브래킷이 마련되며,
    적어도 1개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과 상기 스테이터 코어 사이에는 상기 베어링 내륜과 외륜 사이의 전위 균형을 협력하기 위한 제1 도전성 시트와 제2 도전성 시트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상기 제2 도전성 시트는 나란히 대향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도전성 시트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전성 시트는 인접한 상기 베어링 브래킷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브러시리스 모터는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상기 제2 도전성 시트의 지지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은 상기 하우징 상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판은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구동회로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도전성 시트 및 상기 제2 도전성 시트는 전부 상기 구동회로와 절연 단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시트 및 상기 제2 도전성 시트는 각각 상기 지지판 양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의 상기 제2 도전성 시트와 인접한 일면에 제1 절연층을 구성하고/하거나; 상기 제2 도전성 시트의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인접한 일면에 제2 절연층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시트가 상기 제2 도전성 시트로부터 등진 일면에 제1 절연보호층을 씌워 구성하고/하거나; 상기 제2 도전성 시트로부터 등진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의 일면에 제2 절연보호층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상에는 제1 도전판 및 제2 도전판이 마련되되, 상기 제1 도전판은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전판은 상기 제2 도전성 시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상에는 상기 제1 도전판을 연결하는 제1 전기성 접촉편 및 상기 제2 도전판을 연결하는 제2 전기성 접촉편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전기성 접촉편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전기성 접촉편은 인접한 상기 베어링 브래킷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성 접촉편은 상기 제1 도전판 연결용 제1 도통부,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접속하는 제1 도전부, 상기 제1 도통부와 상기 제1 도전부를 연결하는 제1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하우징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성 접촉편은 상기 제2 도전판 연결용 제2 도통부, 상기 베어링 브래킷과 위로 접하는 제2 도전부, 및 상기 제2 도통부와 상기 제2 도전부를 연결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하우징 상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상기 제2 도전성 시트 사이에 유전체층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제2 도전성 시트는 각각 상기 유전체층의 양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제2 도전성 시트 및 유전체층은 상기 지지판의 동일 측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상기 제2 도전성 시트 사이에 유전체층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제2 도전성 시트는 각각 상기 유전체층의 양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제2 도전성 시트는 절연 연결층을 통해 인접한 상기 베어링 브래킷 상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하우징은 플라스틱 밀봉을 통해 일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단부면은 플라스틱 밀봉 단부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상기 제2 도전성 시트 사이에는 유전체층이 마련되며,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상기 제2 도전성 시트는 각각 상기 유전체층의 양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상기 제2 도전성 시트는 인접한 상기 플라스틱 밀봉 단부면 위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14.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15. 제14항에 있어서,
    1개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과 상기 스테이터 코어 사이에는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상기 제2 도전성 시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16. 제14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과 상기 스테이터 코어 사이에는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상기 제2 도전성 시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17.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시트는 복수의 제1 전기성 시트를 포함하되, 인접한 2개의 제1 전기성 시트는 찢겨 절단될 수 있는 제1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전성 시트는 복수의 제2 전기성 시트를 포함하되, 인접한 2개의 제2 전기성 시트는 찢겨 절단될 수 있는 제2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18.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은 각각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이되, 상기 제2 브래킷은 상기 하우징과 플라스틱 밀봉을 통해 일체화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브래킷은 상기 하우징 위에 씌워지며, 상기 제1 도전성 시트와 제2 도전성 시트는 상기 제1 브래킷과 상기 스테이터 코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19.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시트 및/또는 상기 제2 도전성 시트는 도전성 박편이되, 상기 도전성 박편의 일면은 도전성을 띤 접착면이고, 상기 도전성 박편의 다른 일면은 절연성을 띤 절연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20. 전기장치로서,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브러시리스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
KR1020217038686A 2019-07-26 2019-10-17 브러시리스 모터 및 전기장치 KR102687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683981.7A CN112311128B (zh) 2019-07-26 2019-07-26 无刷电机及电器设备
CN201910683981.7 2019-07-26
PCT/CN2019/111662 WO2021017189A1 (zh) 2019-07-26 2019-10-17 无刷电机及电器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581A KR20220003581A (ko) 2022-01-10
KR102687210B1 true KR102687210B1 (ko) 2024-07-19

Family

ID=74228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686A KR102687210B1 (ko) 2019-07-26 2019-10-17 브러시리스 모터 및 전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958444A4 (ko)
JP (1) JP7304971B2 (ko)
KR (1) KR102687210B1 (ko)
CN (1) CN112311128B (ko)
WO (1) WO20210171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5805B2 (ja) * 2021-12-28 2023-11-0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電動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0474A1 (en) 2005-03-31 2006-10-05 Nidec Shibaura Corporation Brushless DC motor with molded resin housing
WO2010098123A1 (ja) * 2009-02-26 2010-09-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動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CN203193434U (zh) * 2013-03-25 2013-09-11 中山大洋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塑封电机
JP2015156794A (ja) * 2013-10-21 2015-08-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動機およびこの電動機を備える電気機器
CN108768091A (zh) 2018-08-16 2018-11-06 江苏曼淇威电气产品有限公司 一种具有拼块式定子铁芯的塑封电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38646A (en) * 2005-02-23 2009-07-31 Panasonic Corp Motor and electric apparatus equipped with a conductive pin for suppressing electrolytic corrosion
JP5076311B2 (ja) * 2005-12-07 2012-1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
AU2009345022B2 (en) * 2009-04-22 2014-02-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otor and electri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tor
JP5370431B2 (ja) * 2011-08-05 2013-12-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動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JP2014107998A (ja) * 2012-11-29 2014-06-09 Panasonic Corp 電動機
CN107482859B (zh) * 2017-08-30 2020-09-01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塑封电机
CN108964335B (zh) * 2018-09-03 2023-11-07 卧龙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减小轴电压结构及采用减小轴电压结构的塑封电机
CN208608816U (zh) * 2018-09-06 2019-03-15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电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0474A1 (en) 2005-03-31 2006-10-05 Nidec Shibaura Corporation Brushless DC motor with molded resin housing
WO2010098123A1 (ja) * 2009-02-26 2010-09-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動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CN203193434U (zh) * 2013-03-25 2013-09-11 中山大洋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塑封电机
JP2015156794A (ja) * 2013-10-21 2015-08-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動機およびこの電動機を備える電気機器
CN108768091A (zh) 2018-08-16 2018-11-06 江苏曼淇威电气产品有限公司 一种具有拼块式定子铁芯的塑封电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8444A4 (en) 2022-06-08
JP7304971B2 (ja) 2023-07-07
EP3958444A1 (en) 2022-02-23
KR20220003581A (ko) 2022-01-10
WO2021017189A1 (zh) 2021-02-04
JP2022535342A (ja) 2022-08-08
CN112311128A (zh) 2021-02-02
CN112311128B (zh)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5139B2 (en) Motor
CN104521114A (zh) 驱动控制装置一体型旋转电机
JP7288983B2 (ja) モータ及び該モータを有する電気機器
KR102687210B1 (ko) 브러시리스 모터 및 전기장치
CN112366897B (zh) 无刷电机及电器设备
CN112366879B (zh) 无刷电机及电器设备
US12040678B2 (en) Brushless motor and electrical equipment
JP5656795B2 (ja) 空気調和機
CN112311127B (zh) 无刷电机及电器设备
EP2980965B1 (en) Molded motor and outdoor air conditioning unit
WO2022239190A1 (ja) モータ
CN112311129B (zh) 无刷电机及电器设备
JP2016007108A (ja) 制御部一体型回転電機
JPWO2016063337A1 (ja) 車両用回転電機
WO2003043164A1 (en) Dynamo-electric machine
CN221042426U (zh) 电机
CN215010007U (zh) 一种用于充气产品的永磁直流马达
CN210867357U (zh) 一种电机及吊扇
JP2012253985A (ja) モータ
CN114614627A (zh) 一种电机及真空泵
WO2021017190A1 (zh) 电机及电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