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86666B1 - 장파장 영역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파장 영역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6666B1
KR102686666B1 KR1020230149834A KR20230149834A KR102686666B1 KR 102686666 B1 KR102686666 B1 KR 102686666B1 KR 1020230149834 A KR1020230149834 A KR 1020230149834A KR 20230149834 A KR20230149834 A KR 20230149834A KR 102686666 B1 KR102686666 B1 KR 102686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oxamer
cosmetic composition
polyquaternium
sunscreen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9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차영
현하나
이남희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4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6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6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66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Tri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o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메틸렌비스-벤조트라이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MBBT), 양이온성 고분자, 폴록사머 및 겔링화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장파장 영역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THAT BLOCKS ULTRAVIOLET RAYS IN THE LONG WAVELENGTH RANGE}
본 발명은, 장파장 영역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자외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노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피부 손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장파장 자외선으로 분류되는 자외선A(UVA; 파장 320 내지 400nm 영역의 자외선)는 다른 영역의 자외선보다 긴 파장으로 인하여 피부의 진피층까지 도달할 수 있어 피부 흑화 또는 광노화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현대인의 피부 건강을 위해, 장파장 영역까지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필요하다.
자외선 차단제는 크게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 구분되는데, 일반적으로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특유의 높은 굴절율로 인하여 백탁 현상이 심하고 부드럽게 발리지 않고 뻑뻑하여 사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불투명하거나 백색을 띠는 경향이 있어, 피부에 도포 시 밀착력이 떨어져 무겁게 느껴지고 피부가 자연스럽게 보이지 않아 피부 톤을 맞추는데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장파장 영역을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백탁 현상이 없고 투명도가 높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한 결과,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양이온성 폴리머, 폴록사머, 겔링화제를 최적으로 배합하여 초장파장 영역의 자외선까지 높은 차단효과를 가지면서도 투명도가 높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KR 10-2022-0054447 A
본 발명은 장파장 영역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틸렌비스-벤조트라이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MBBT), 양이온성 고분자, 폴록사머 및 겔링화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메틸렌비스-벤조트라이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MBBT)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01 내지 2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0005 내지 4.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록사머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006 내지 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겔링화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05 내지 14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장파장(~380nm) 및 초장파장(~400nm) 영역의 자외선도 차단할 수 있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성이 높고,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밀착력과 발림성이 좋아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실험예 4의 실시예 14, 비교예 12 및 비교예 13의 투명도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도가 높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장파장 및 초장파장 영역의 자외선에 대한 우수한 차단 효과를 갖고, 높은 투명도를 가지며, 사용감 및 제형의 안정성 또한 우수한 특징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장파장 영역의 자외선은 자외선A(UVA; 파장 320 내지 400nm 영역의 자외선) 중 파장이 380nm 이하인 자외선을 의미하고, 초장파장 영역의 자외선은 자외선A 중 파장이 400nm 이하이고, 장파장 영역에 속하지 않는 자외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도가 높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메틸렌비스-벤조트라이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MBBT), 양이온성 고분자, 폴록사머(Poloxamer) 및 겔링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메틸렌비스-벤조트라이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MBBT)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성분으로, 자외선 A 및 자외선 B(UVB; 파장 280 내지 320nm 영역의 자외선) 영역의 자외선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메틸렌비스-벤조트라이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MBBT)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 0.01 내지 2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1 내지 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MBBT를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 시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흡할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피부 자극이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메틸렌비스-벤조트라이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은 단일 성분뿐만 아니라, 메틸렌비스-벤조트라이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을 포함하는 복합체의 형태(다른 성분들과 복합화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양이온성 고분자는 수상에서의 MBBT 분산성을 개선하고, 유중수형 에멀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시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양이온성 고분자는 4차 암모늄을 포함하는 중합체로서, 폴리쿼터늄-37, 폴리쿼터늄-47, 폴리쿼터늄-51, 폴리쿼터늄-53,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22 및 폴리쿼터늄-39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쿼터늄-37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상기 나열한 예시 이외에도, 양전하가 부가된 고분자 점증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양전하가 부가된 고분자 점증제의 예로 카시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Cassia hydroxypropyltrimonium Choloride) 및 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Hydroxypropyl 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양이온성 고분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 0.0005 내지 4.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가 0.00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 밀착력이 저하되어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고, 4.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점도 상승으로 인하여 유화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폴록사머는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의 합성 블록 공중합체로서, 형성된 제형의 안정성을 장기간 동안 유지하고,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시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폴록사머는 폴록사머105, 폴록사머124, 폴록사머181, 폴록사머182, 폴록사머184, 폴록사머185, 폴록사머188, 폴록사머333, 폴록사머403, 폴록사머407, 폴록사머331, 폴록사머338, 폴록사머235, 폴록사머234, 폴록사머217, 폴록사머401, 폴록사머215, 폴록사머101, 폴록사머123, 폴록사머237, 폴록사머238, 폴록사머334, 폴록사머335, 폴록사머108, 폴록사머122, 폴록사머183, 폴록사머212, 폴록사머231, 폴록사머282, 폴록사머284, 폴록사머288 및 폴록사머40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록사머188, 폴록사머407, 폴록사머338, 폴록사머217, 폴록사머237, 폴록사머238, 폴록사머108 및 폴록사머288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폴록사머188 및 폴록사머407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폴록사머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 0.006 내지 9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록사머가 0.006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 밀착력이 저하되어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고 장기간 보관 시 제형 안정성이 불량해질 수 있으며, 9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점도 상승으로 인하여 유화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겔링화제는 점도를 형성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제형을 구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겔링화제는 폴리아마이드-3(Polyamide-3), 폴리아마이드-8(Polyamide-8), 폴리우레탄-79(Polyurethane-79) 및 폴리C10-30알킬아크릴레이트(Poly C10-30 Alkyl Acrylat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겔링화제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 0.05 내지 14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1 내지 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겔링화제가 0.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유화 안정성이 저하되어 안정적인 제형 형성이 불가능할 수 있고, 14 중량%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점도 상승으로 끈적임이 증가하여 발림성이 불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MBBT의 자외선 흡수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넓은 범위의 파장에 대한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자외선 흡수제 성분은, 예를 들어, 파라아미노안식향산, 파라아미노안식향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파라아미노 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파라아미노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파라아미노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파라아미노안식향산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파라아미노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 흡수제;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 및 그 나트륨염,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시녹세이트), 사이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옥토크릴렌),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페룰산 및 그 유도체 등의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옥시벤존-3), 2-하이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하이드록시-4-n-옥토시벤조페논, 4-하이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3-(4'-메틸벤질리덴)-d,l-캠퍼, 3-벤질리덴-d,l-캠퍼; 디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2-페닐-5-메틸벤조옥사졸; 2,2'-하이드록시-5-메틸 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에틸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에틸헥실트리아존; 디벤즈알라진; 디아니소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르닐리덴)-3-펜탄-2-온; 4-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 의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옥틸트리아존; 우로카닌산 및 우로카닌산에틸 등의 우로카닌산 유도체;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1-(3,4-디메톡시페닐)-4,4-디메틸-1,3-펜탄디온, 디메톡시벤질리덴디옥소이미 다졸리딘프로피온산2-에틸헥실 등의 히탄토인 유도체,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폰산,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안트라닐산메틸, 루틴 및 그 유도체, 오리자놀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기 자외선 흡수제 성분이 추가로 적용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유용성 유기 자외선 흡수제 성분이 복합 적용됨으로써, 백탁 현상이 적고 사용감이 우수하며, MBBT의 흡수 파장 이외의 영역에 대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무기 자외선 흡수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방부제 또는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피부에 수분을 제공하거나 피부의 수분을 유지시키며 지속적인 보습감을 제공하는 것으로, 수용성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메틸프로판다이올(Methylpropanediol),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프로판디올(Propandiol), 솔비톨(Sorbitol), 다이글리세린(Diglycerin)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부제는 보존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에틸헥실글리세린,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의 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성분이 혼합되어 추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름 개선제, 미백 기능성 성분, 색소침착 기능성 성분, 피부진정 기능성 성분 및 피지 또는 모공관리 기능성 성분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 피부 컨디셔닝제, 이온 봉쇄제, 살균제, pH 조절제, 산화방지제, 알코올, 식물 추출물, 향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성분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일 수 있다. 유중수형이란, 수상이 유상에 입자형태로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유중수(W/O) 뿐만 아니라 유중수중유(O/W/O)와 같은 다중 에멀젼 제형도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상에 분산시킨 수분산 제형, 수중유(O/W), 수중유중수(W/O/W) 유형의 에멀젼 제형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고체, 겔, 오일, 분말, 페이스트 또는 포말(foam) 에어로졸, 미스트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양이온성 고분자 함량에 따른 비교 실험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본 발명에서 양이온성 고분자의 포함 여부 및 그 함량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유중수형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메틸렌비스-벤조트라이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은 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DECYL GLUCOSIDE*GLYCERIN*XANTHAN GUM*WATER 복합체를 이용하였고, 양이온성 고분자는 폴리쿼터늄-37(Polyquaternium-37), 폴록사머는 폴록사머407, 겔링화제는 폴리아마이드-8(Polyamide-8)를 이용하였다. 양이온성 고분자인 폴리쿼터늄-37의 함량은 변화시키되, 폴리쿼터늄-37폴록사머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의 함량은 고정하였다. 표 1의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유기 자외선차단제와 겔링화제를 포함하는 유상을 70 내지 80℃로 가온하여 용해 및 분산시키고, 정제수, 양이온성 고분자, 폴록사머 및 MBBT를 포함하는 수상을 70 내지 80℃로 가온하여 충분히 분산시켰다. 그 다음, 균일하게 분산된 유상과 수상을 40 내지 70℃로 냉각 후 유상에 수상을 천천히 투입하여 유화시키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2)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 비교
상기 표 1에 나타난 조성으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제형 형성 여부, 투명도, 밀착력, 발림성 및 장기 안정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제형 형성 여부는 제조가 완료된 후 제형의 형성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투명도는 투명한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여 0 점 내지 5점 사이에서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밀착력 및 발림성은 화장품 전문평가단을 통한 관능평가로 하여 '우수/양호/보통/낮음'으로 평가하였고, 장기 안정성은 저온(5℃), 실온(25℃), 고온(40℃)에서 3개월 보관 후 제형이 여전히 안정한지 평가하였다.
상기와 같은 평가 방법으로 진행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제형이 형성되고 투명도가 높으며, 밀착력 및 발림성이 우수하고 장기 안정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양이온성 고분자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0.0001 중량%로 극미량 첨가한 비교예 2의 경우 제형은 형성되었으나, 낮은 밀착력으로 미끌미끌한 사용감을 보였고 장기간 보관 시 층이 분리되어 낮은 장기 안정성을 보였다. 또한, 양이온성 고분자를 5 중량%로 첨가한 비교예 3의 경우 제조과정에서 수상의 점도가 과하게 높아짐으로 인하여 유화가 불가능하여 제형이 형성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이온성 고분자의 포함여부와 그 적정 함량범위는 제형 형성 여부와 밀착력 향상에 있어 중요한 구성임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2. 폴록사머 함량에 따른 비교 실험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본 발명에서 폴록사머의 포함 여부 및 그 함량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하기 표 3과 같이 유중수형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메틸렌비스-벤조트라이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은 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DECYL GLUCOSIDE*GLYCERIN*XANTHAN GUM*WATER 복합체를 이용하였고, 폴록사머는 폴록사머407 및 폴록사머18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하였으며, 양이온성 고분자는 폴리쿼터늄-37(Polyquaternium-37), 겔링화제는 폴리아마이드-8(Polyamide-8)를 이용하였다. 폴록사머인 폴록사머407 및/또는 폴록사머188의 함량은 변화시키되, 나머지 성분의 함량은 고정하였다. 표 3의 단위는 중량%이다.
(2)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 비교
상기 표 3에 나타난 조성으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형 형성 여부, 투명도, 밀착력, 발림성 및 장기 안정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상기와 같은 평가 방법으로 진행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 내지 8의 경우 제형이 형성되고 투명도가 높으며, 밀착력 및 발림성이 우수하고 장기 안정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폴록사머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4 및 폴록사머를 0.005 중량%로 소량 첨가한 비교예 5의 경우 제형은 형성되었으나, 낮은 밀착력으로 미끌미끌한 사용감을 보였고 고온에서 장기간 보관 시 오일이 분리되어 장기 안정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폴록사머를 10 중량%로 첨가한 비교예 6의 경우 제조과정에서 수상의 점도가 과하게 높아짐으로 인하여 유화가 불가능하여 제형이 형성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록사머의 포함여부와 그 적정 함량범위는 제형 형성 여부와 밀착력 향상에 있어 중요한 구성임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3. 겔링화제 종류 및 함량에 따른 비교 실험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본 발명에서 겔링화제의 포함 여부 및 그 함량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하여, 하기 표 5 및 표 6과 같이 유중수형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메틸렌비스-벤조트라이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은 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DECYL GLUCOSIDE*GLYCERIN*XANTHAN GUM*WATER 복합체를 이용하였고, 실시예의 경우 겔링화제는 폴리아마이드-8(Polyamide-8), 폴리우레탄-79(Polyurethane-79) 및 폴리C10-30알킬아크릴레이트(Poly C10-30 Alkyl Acrylate) 중 1종으로 하였으며, 양이온성 고분자는 폴리쿼터늄-37(Polyquaternium-37), 폴록사머는 폴록사머407로 하였다. 비교예의 경우 겔링화제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폴리아마이드-8을 사용하거나, 실시예와 달리 C13-16 Isoparaffin (and)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and) Dimethicone 및 덱스트린팔미테이트(Dextrin Palmitate) 중 1종으로 하였다. 겔링화제의 함량을 변화시키되, 겔링화제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의 조성은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표 5 및 표 6의 단위는 중량%이다.
(2)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 비교
상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난 조성으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형 형성 여부, 투명도, 밀착력, 발림성 및 장기 안정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상기와 같은 평가 방법으로 진행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겔링화제로 폴리아마이드-8(Polyamide-8), 폴리우레탄-79(Polyurethane-79) 및 폴리C10-30알킬아크릴레이트(Poly C10-30 Alkyl Acrylate) 중 1종을 이용하고 겔링화제를 약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실시예 9 내지 13의 경우, 제형이 형성되고 투명도가 높으며, 밀착력 및 발림성이 우수하고 장기 안정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겔링화제가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도록 포함되거나 다른 겔링화제 성분을 사용한 경우, 제형이 형성되지 않거나, 발림성이 불량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겔링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7 및 겔링화제를 0.01 중량%로 소량 첨가한 비교예 8의 경우 유화 안정성이 저하되어 안정적인 제형이 형성되지 않았다. 겔링화제를 15 중량%로 첨가한 비교예 9의 경우 제형은 형성되었으나, 유상의 점도가 높아져, 발림성이 저하되고 끈적임이 증가하여 사용에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9 내지 13과 상이한 종류의 겔링화제를 사용한 비교예 10 및 11의 경우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포함된 유상이 충분히 겔링화되지 못하여 안정적인 유화 제형이 형성되지 않았다. 특히, 덱스트린팔미테이트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11은 제형 형성이 불가하였으나, 덱스트린팔미테이트와 겔링화제인 폴리우레탄-79를 혼합 사용한 실시예 12의 경우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었는 바, 본 발명의 겔링화제 중 1종을 포함할 경우에는 덱스트린팔미테이트를 포함하여도 제형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겔링화제의 포함 여부와 종류 및 그 적정 함량범위는 제형 형성 여부와 밀착력 향상에 있어 중요한 구성임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4. 자외선 차단 효과 비교 실험 및 투명도 비교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장파장 및 초장파장 영역에서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과 장파장 영역대 차단이 가능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비교예로 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 측정을 진행하고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의 투명도를 비교하였다.
(1) 실시예 및 비교예 제조
하기 표 8 및 표 9에 기재된 조성을 이용하여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 13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실험예에서의 실시예 14는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메틸렌비스-벤조트라이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은 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DECYL GLUCOSIDE*GLYCERIN*XANTHAN GUM*WATER 복합체를 이용하였고, 양이온성 고분자는 폴리쿼터늄-37을 이용하였으며, 폴록사머는 폴록사머188, 겔링화제는 폴리아마이드-8. 폴리우레탄-79 및 폴리C10-30알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예에서의 비교예 12, 13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온에서 수상 및 유상을 AGI MIXER를 이용하여 각각 균일하게 용해 및 분산시켰다. 그 다음, 수상을 유상에 천천히 투입하여 유화시켜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2) UVAPF in vitro SPF 및 자외선 투과율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UVA 및 UVB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UVAPF를 측정하고, in vitro에서 SPF를 측정하였으며, 장파장 및 초장파장 영역의 자외선 차단을 확인하기 위해, 장파장 자외선((파장)=380nm)과 초장파장 자외선((파장)=400nm)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PMMA plate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2mg/cm2 30초 동안 고르게 도포한 후 암실에서 15분 건조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Labsphere UV 2000S In Vitro SPF Analyser를 이용하여 UVAPF 및 in vitro SPF 수치를 측정하였고, UV-Vis 분광 광도계(Jasco V-770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300 내지 800nm에서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경우 장파장 영역대의 차단이 가능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비교하였을 때, UVAPF 수치와 SPF 수치 모두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는 바, 자외선 차단 효율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80nm와 400nm에서 투과율을 비교하였을 때에도, 실시예의 투과율이 더 낮게 측정되어, 초장파장 영역대의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3) 투명도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를 기존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비교하기 위하여, 실험예 1에서와 같이 5점법을 이용하여 투명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고, 도 1에 실시예14 및 비교예 12, 13을 나타내었다.
상기 표 11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4가 가장 투명함이 두드러지는 반면 비교예 13은 매우 불투명하였으며 비교예 12는 비교예 13보다 투명하지만 실시예 14보다 불투명함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경우 기존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비교하였을 때 투명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메틸렌비스-벤조트라이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MBBT), 폴리쿼터늄 계열의 양이온성 고분자, 폴록사머 및 겔링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겔링화제는, 폴리아마이드-3(Polyamide-3), 폴리아마이드-8(Polyamide-8), 폴리우레탄-79(Polyurethane-79) 및 폴리C10-30알킬아크릴레이트(Poly C10-30 Alkyl Acrylat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BBT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01 내지 20 중량% 로 포함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쿼터늄 계열의 양이온성 고분자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0005 내지 4.5 중량%로 포함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록사머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006 내지 9 중량%로 포함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겔링화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 0.05 내지 14 중량%로 포함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쿼터늄 계열의 양이온성 고분자는, 폴리쿼터늄-37(Polyquaternium-37), 폴리쿼터늄-47, 폴리쿼터늄-51, 폴리쿼터늄-53,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22 및 폴리쿼터늄-39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록사머는, 폴록사머105, 폴록사머124, 폴록사머181, 폴록사머182, 폴록사머184, 폴록사머185, 폴록사머188, 폴록사머333, 폴록사머403, 폴록사머407, 폴록사머331, 폴록사머338, 폴록사머235, 폴록사머234, 폴록사머217, 폴록사머401, 폴록사머215, 폴록사머101, 폴록사머123, 폴록사머237, 폴록사머238, 폴록사머334, 폴록사머335, 폴록사머108, 폴록사머122, 폴록사머183, 폴록사머212, 폴록사머231, 폴록사머282, 폴록사머284, 폴록사머288 및 폴록사머40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차단제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149834A 2023-11-02 2023-11-02 장파장 영역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686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9834A KR102686666B1 (ko) 2023-11-02 2023-11-02 장파장 영역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9834A KR102686666B1 (ko) 2023-11-02 2023-11-02 장파장 영역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6666B1 true KR102686666B1 (ko) 2024-07-22

Family

ID=92172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9834A Active KR102686666B1 (ko) 2023-11-02 2023-11-02 장파장 영역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6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90035B1 (ko) * 2024-09-13 2025-04-01 한국콜마주식회사 건조 피부와 젖은 피부에서 밀착력을 향상시킨 야외 활동에 적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542A (ko) * 2015-06-12 2018-02-14 아이에스피 인베스트먼츠 엘엘씨 기능성 활성 화합물을 위한 가용화제
KR20220054447A (ko) 2019-09-30 2022-05-02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자외선 차단 화장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542A (ko) * 2015-06-12 2018-02-14 아이에스피 인베스트먼츠 엘엘씨 기능성 활성 화합물을 위한 가용화제
KR20220054447A (ko) 2019-09-30 2022-05-02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자외선 차단 화장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90035B1 (ko) * 2024-09-13 2025-04-01 한국콜마주식회사 건조 피부와 젖은 피부에서 밀착력을 향상시킨 야외 활동에 적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161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3236914B1 (en) Sprayable cosmetic sunscreen composition
KR102502084B1 (ko)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38453B1 (ko) 계면활성제 프리 액상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0958A (ko) 향상된 높은 차단성의 방수성 선스크린 조성물
KR102686666B1 (ko) 장파장 영역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6363B1 (ko) 화장료 썬스크린 조성물
CN104207964A (zh) 水包油型防晒乳液
JPH09278625A (ja) サンケア用化粧組成物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130989B1 (ko) 마크로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TWI861409B (zh) 通過熱和紫外線提高紫外線阻斷效率的紫外線阻斷用化妝料組合物
KR10235435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74588B1 (ko)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664351B1 (ko) 유무기 복합체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 물질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2019043888A (ja) 皮膚外用剤
CN117064781A (zh) 一种安全温和的防晒组合物及其应用
JP2025514417A (ja) 白濁現象のない紫外線遮断用化粧料組成物
KR102689534B1 (ko) 내수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752825B1 (ko) 이중 겔링 시스템을 적용하여 자외선 차단용 수분산 유무기 복합체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102725430B1 (ko) 실란계 표면 개질제에 의해 개질된 리그닌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824936B1 (ko) 광 보호 효능이 우수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8300B1 (ko)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5255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무스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40151A (ko)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1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