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70817B1 - 안과용 렌즈 - Google Patents

안과용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0817B1
KR102670817B1 KR1020217042254A KR20217042254A KR102670817B1 KR 102670817 B1 KR102670817 B1 KR 102670817B1 KR 1020217042254 A KR1020217042254 A KR 1020217042254A KR 20217042254 A KR20217042254 A KR 20217042254A KR 102670817 B1 KR102670817 B1 KR 102670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ower
line
lens element
refr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2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8923A (ko
Inventor
쇼헤이 마츠오카
유키 이구치
히로유키 무카이야마
Original Assignee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8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02B27/00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for correction of secondary colour or higher-order chromatic aber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17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 B29D11/00326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having particular surface properties, e.g. a micro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02B27/00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for correction of secondary colour or higher-order chromatic aberrations
    • G02B27/006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for correction of secondary colour or higher-order chromatic aberrations by controlling the dispersion of a lens material, e.g. adapting the relative partial disper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0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 G02B9/1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one + and one - componen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2Ophthalmic lenses having special refractive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6Laminated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도수의 양음이 상이한 2개의 렌즈 요소 1, 2를 구비한 안과용 렌즈로서, 도수의 절대값이 작은 쪽의 렌즈 요소 1의 아베수(e선 기준)를 υe1, 다른 한쪽의 렌즈 요소 2의 아베수(e선 기준)를 υe2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 1을 만족하고,
υe1<υe2···(식 1)
도수의 절대값이 작은 쪽의 렌즈 요소 1에 있어서의 g선과 F'선과의 사이의 부분 분산비 PgF'1, 다른 한쪽의 렌즈 요소 2에 있어서의 g선과 F'선과의 사이의 부분 분산비 PgF'2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 2를 만족하는, 안과용 렌즈 및 그 관련 기술을 제공한다.
PgF'1>PgF '2···(식 2)

Description

안과용 렌즈
본 발명은 안과용 렌즈에 관한 것이다.
근시 인구증가에 따라 강도 근시의 인구도 증가하고 있다. 강도 근시는 실명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강도 근시의 증가는, 중대한 사회 문제이며, 근시의 진행을 억제하는 치료법이 널리 요구되고 있다.
강도 근시에 이르게 하는 근시 진행을 억제하는 방법이 몇 가지 제안되어 있다. 광학적인 근시 진행 억제 방법으로서는, 안경 또는 콘택트렌즈(소프트 콘택트렌즈, 각막 굴절 교정술(orthokeratology) 등의 안과용 렌즈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후술하는 단색 수차를 부가하여 근시 등의 굴절 이상의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이후, 근시 진행 억제 효과라고도 칭함.)를 발휘하는 안경 렌즈가 기재되어 있다. 이 안경 렌즈를 근시 진행 억제 렌즈라고도 칭한다. 구체적으로는, 안경 렌즈의 물체측의 면인 볼록면에 대해, 예를 들면, 직경 1mm 정도의 구 형상의 미소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안경 렌즈에 있어서의 미소 볼록부를 광선이 통과함으로써, 안경 렌즈에 입사되고 또한 동공을 통과하는 광선의 다발인 광속(光束)(이후, 「광속」에 대해서는 같은 의미로 한다.)을, 망막 상의 소정의 위치보다도 광축 방향으로 오버 포커스측의 복수의 위치에서 집광시킨다. 이것에 의해, 근시의 진행이 억제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오버 포커스측이란 망막을 기준으로 하여 광축 방향에 있어서 시인(視認)해야 할 물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가리키고, 언더 포커스측이란 오버 포커스측의 역방향이며, 망막을 기준으로 하여 광축 방향에 있어서 시인해야 할 물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가리킨다. 광학 도수가 양으로 과잉인 경우는 오버 포커스측으로, 부족한 경우는 언더 포커스측으로 집광된다.
그 한편, 특허 문헌 2에는, 적색의 파장의 광이, 청색 및 녹색의 파장의 광보다도 후방에서 집광되는 종색수차(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특허 문헌 2의[0041]). 그리고, 동물 실험에 있어서, 적색의 파장의 광이, 안축(眼軸)을 길게 하여, 근시의 진행을 가져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특허 문헌 2의[0008][0049]). 반대로, 청색의 파장의 광은, 근시의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특허 문헌 2의[0054]).
그리고, 특허 문헌 2에는, 근시 진행을 억제할 수 있도록, 청색 및 녹색의 파장의 광을 이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특허 문헌 2의[0035]). 구체적으로는, 안경 렌즈에 광학 필터를 마련하여, 460~490nm의 파장의 범위와 약 490~550nm의 파장의 범위에 광량의 피크를 형성하고, 또한 약 550~700nm의 파장의 범위의 광량을 1% 이하로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특허 문헌 2의[Claim 1][Claim 5][Claim 6][0032]).
특허 문헌 3에는, 눈에 음 및/또는 반전시킨 종색수차를 가져오도록 종색수차를 제어하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3의[0002]). 이 안과용 렌즈 시스템은 제1 렌즈와 제2 렌즈를 구비한다(특허 문헌 3의[0008]).
특허 문헌 3에는, 양 또는 제로의 도수의 안과 렌즈 시스템을 광이 통과했을 때, 장파장측의 광이 안과 렌즈 시스템에 가까운 위치에서 집광되도록 제1 렌즈와 제2 렌즈를 선택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특허 문헌 3의[0008]).
특허 문헌 3에는, 음의 도수의 안과 렌즈 시스템을 광이 통과했을 때, 눈이 가져오는 종색수차보다도 절대값을 크게 함으로써, 단파장측의 광이 안과 렌즈 시스템에 가까운 위치에서 집광되도록 제1 렌즈와 제2 렌즈를 선택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특허 문헌 3의[0008]).
특허 문헌 1: 미국 출원 공개 제2017/0131567호 특허 문헌 2: WO 2012/044256호 팜플렛 특허 문헌 3: WO 2018/152596호 팜플렛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수법은, 파장의 필터링에 관한 것이다. 그 한편, 안경 렌즈 자체가 가져오는 종색수차에 대한 검토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종색수차는 처방 도수에 의존한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수법이라면, 아무리 파장의 필터링을 행했다고 해도, 안경 렌즈 자체의 종색수차가 적절히 생기지 않으면, 근시 진행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수법은, 안과 렌즈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렌즈와 제2 렌즈에 의해, 각 파장의 광의 집광 위치를 변화시키는 종색수차를 일으키게 한다고 하는 내용이다. 그 한편,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수법이라면, 안과 렌즈 시스템을 통과하고 또한 동공을 통과하는 가시광의 광선의 다발 중 단파장측의 파장의 광속의 집광 위치가 오버 포커스측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장파장측의 파장의 광속의 집광 위치가 언더 포커스측으로 이동한다.
즉,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수법이라면, 근시 진행 억제 효과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근시 진행 억제 효과를 저해하는 요인도 증대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의 FIGURE 63).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색수차에 의해, 근시 또는 원시(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통합하여 굴절 이상이라고 함)의 진행의 억제 효과를 발휘시키면서, 해당 억제 효과를 저해하는 요인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것 같은 복수의 렌즈에 의해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에 대해서 주목했다. 그리고, 같은 복수의 렌즈에 의해 구성되는 현미경 등에서 활용되고 있는 애퍼크로맷(Apochromat)에 주목했다.
애퍼크로맷의 전신인 아크로맷(Achromat)은, 적색 파장의 광인 C'선(파장 644nm)과 청색 파장의 광인 F'선(파장 480nm)에 대해 축상 색수차를 보정하고, 황색 파장의 광인 d선(파장 588nm)에서 구면 수차와 코마(coma) 수차를 최소로 하는 C-d-F보정을 가리킨다. 이 보정은 「색지움」이라고도 불리며, 일차 함수적인 색수차 보정이다.
아크로맷은 2종의 파장의 광에 대해서만 색수차 보정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색수차가 잔존한다. 이 잔존 색수차의 것을 2차 스펙트럼이라고 부른다.
애퍼크로맷은 적색 파장, 청색 파장에 더하여, 또 다른 일색의 파장의 광의 색수차도 보정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리고, 애퍼크로맷은 상기 2차 스펙트럼을 저감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이 보정은 「초(超)색지움」이라고도 불리며, 2차 함수적인 색수차 보정이다.
통상, 현미경 등에서는, 애퍼크로맷은 색수차를 제거하는 것을 취지로 한다. 그 한편, 본 발명자 등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안과용 렌즈에 대해서, 색수차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증대시키도록 애퍼크로맷의 기술을 응용하는 것을 알게 됐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서, g선과 F'선과의 사이에 종래의 애퍼크로맷과는 상이한 부분 분산비의 관계를 규정한다고 하는 수법을 생각해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도수의 양음이 상이한 2개의 렌즈 요소 1, 2를 구비한 안과용 렌즈로서,
도수의 절대값이 작은 쪽의 렌즈 요소 1의 아베수(e선 기준)를 υe1, 다른 한쪽의 렌즈 요소 2의 아베수(e선 기준)를 υe2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 1을 만족하고,
υe1<υe2···(식 1)
도수의 절대값이 작은 쪽의 렌즈 요소 1에 있어서의 g선과 F'선과의 사이의 부분 분산비 P'gF'1, 다른 한쪽의 렌즈 요소 2에 있어서의 g선과 F'선과의 사이의 부분 분산비 P'gF'2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 2를 만족하는, 안과용 렌즈이다.
P'gF'1>P'gF'2···(식 2)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제1 양태에 기재된 양태로서,
렌즈 요소 1의 도수의 절대값을 D1, 다른 한쪽의 렌즈 요소 2의 도수의 절대값을 D2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 3을 만족시킨다.
(D1/υe1)<(D2/υe2)···(식 3)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제1 또는 제2 양태에 기재된 양태로서,
렌즈 요소 1의 도수의 절대값을 D1, 다른 한쪽의 렌즈 요소 2의 도수의 절대값을 D2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 4를 만족시킨다.
{D1×(1+3×P'gF'1)/υe1}>{D2×(1+3×P'gF'2)/υe2}···(식 4)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제1~ 제3 중 어느 양태에 기재된 양태로서,
렌즈 요소 1의 도수는 양이고, 렌즈 요소 2의 도수는 음이다.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제1~ 제3 중 어느 양태에 기재된 양태로서,
렌즈 요소 1의 도수는 음이고, 렌즈 요소 2의 도수는 양이다.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제1~ 제5 중 어느 양태에 기재된 양태로서,
눈의 굴절 이상을 교정하는 처방에 기초하는 제1 굴절력을 가지는 제1 굴절 영역과,
제1 굴절력과는 상이한 굴절력을 가지며, 눈의 굴절 이상의 진행을 억제하도록 눈의 망막 이외의 위치에 초점을 맺히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제2 굴절 영역을 가지고,
제2 굴절 영역은 안과용 렌즈의 중심부의 근방에 각각 독립한 영역으로서 형성된 것이고,
제1 굴절 영역은 제2 굴절 영역이 형성된 영역 이외에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7 양태는 제1~ 제6 중 어느 양태에 기재된 양태로서,
안과용 렌즈는 안경 렌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이하와 같다.
렌즈 요소 1의 도수는 양이고, 렌즈 요소 2의 도수는 음이며, 안과용 렌즈의 처방 도수는 음이고, 안과용 렌즈는 마이너스 렌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이하와 같다.
렌즈 요소 1의 도수는 음이고, 렌즈 요소 2의 도수는 양이며, 안과용 렌즈의 처방 도수는 양이고, 안과용 렌즈는 플러스 렌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이하와 같다.
「도수의 양음이 상이한 2개의 렌즈 요소를 구비한 안과용 렌즈로서,
가시광 중의 장파장측의 파장의 광에 대해서는, 종색수차를 제로 근방으로 하고,
가시광 중의 단파장측의 파장의 광에 대해서는, (2차 스펙트럼에 의해) 종색수차가 증대되고, 처방 도수보다도 도수를 증가시킨, 안과용 렌즈.」
제로 근방이란 파장역 80nm당 도수차의 절대값이 0.01D 이하의 상황을 가리킨다. 이것은 e선 기준일 때, g선으로부터 C'선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도수차의 절대값이 0.02D 이하인 상황을 국소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이하와 같다.
안과용 렌즈는 안내(眼內) 렌즈(이른바 IOL)를 제외한다. 안과용 렌즈는 안구의 외측에서 착용하는 렌즈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종색수차에 의해, 굴절 이상의 진행의 억제 효과를 발휘시키면서, 해당 억제 효과를 저해하는 요인은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의 (a)는 비교예 1에 따른 마이너스 렌즈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1의 (b)는 실시예 1, 2에 따른 근시 진행 억제용의 마이너스 렌즈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변형예에 따른,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제1 굴절 영역 및 제2 굴절 영역을 구비하는 안경 렌즈의 개략 측단면도이며, 말풍선 안은 확대도이다.
도 3은 변형예에 따른 원시 진행 억제용의 플러스 렌즈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4는 가로축을 파장[nm], 세로축을 도수[D]라고 했을 때의, 비교예 1 및 실시예 1, 2에 있어서의, 각 파장 광에 의한 안경 렌즈의 도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플롯이다. 덧붙여, 적합예의 임계 의의를 나타내는 플롯도 도면 내에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대해 기술한다. 이하에 있어서의 설명은 예시로서, 본 발명은 예시된 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 「~」는 소정의 수치 이상이고 또한 소정의 수치 이하를 나타낸다.
또, 이하에 기술하는 C'선, F'선 등의 파장은 프라운호퍼선(Fraunhofer lines) 파장이며, 파장의 값은 소수점 이하를 사사오입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정확한 값을 사용하는 경우는 프라운호퍼선 파장을 참조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안과용 렌즈]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안과용 렌즈는 굴절 이상 진행 억제 렌즈이다.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와 같다.
「도수의 양음이 상이한 2개의 렌즈 요소 1, 2를 구비한 안과용 렌즈로서,
도수의 절대값이 작은 쪽의 렌즈 요소 1의 아베수(e선 기준)를 υe1, 다른 한쪽의 렌즈 요소 2의 아베수(e선 기준)를 υe2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 1을 만족하고,
υe1<υe2···(식 1)
도수의 절대값이 작은 쪽의 렌즈 요소 1에 있어서의 g선과 F'선과의 사이의 부분 분산비 P'gF'1, 다른 한쪽의 렌즈 요소 2에 있어서의 g선과 F'선과의 사이의 부분 분산비 P'gF'2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 2를 만족하는, 안과용 렌즈.
P'gF'1>P'gF'2···(식 2)」
「안과용 렌즈」로서는, 근시 진행 억제 렌즈로서의 기능을 달성하는 것이면 양태에 특별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면, 안경 렌즈 또는 콘택트렌즈(즉 안구의 외측에서 착용하는 렌즈)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안과용 렌즈는 안내 렌즈(이른바 IOL)를 포함해도 상관없는 한편으로, 안과용 렌즈로부터 안내 렌즈를 제외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는, 안경 렌즈를 예시한다.
안경 렌즈는 물체측의 면과 안구측의 면을 가진다. 「물체측의 면」은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이 착용자에게 착용되었을 때 물체측에 위치하는 표면이며, 이른바 외면이다. 「안구측의 면」은, 그 반대, 즉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이 착용자에게 착용되었을 때 안구측에 위치하는 표면이며, 이른바 내면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물체측의 면은 볼록면이며, 안구측의 면은 오목면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안경 렌즈는, 메니스커스(meniscus) 렌즈이다.
「물체측의 면의 측」이란, 예를 들면 안경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의 최표면(最表面)을 포함하고 있고, 안경 렌즈의 기초가 되는 렌즈 기재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도 포함하고 있고, 그 렌즈 기재의 위에 마련된 하드 코트층 등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도 포함한다. 「안구측의 면의 측」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렌즈 요소 1, 2의 「도수」란 각 렌즈 요소를 광이 통과할 때의 굴절력을 가리킨다. 렌즈 요소 1, 2는 어디까지나 안경 렌즈의 구성 부분이기 때문에, 렌즈 요소 1, 2의 도수는, 안경 렌즈 그 자체의 처방 도수와는 상이하다.
「가시광」이란 그 명칭과 같이 사람이 시인 가능한 광이며, JIS Z 8120 광학 용어에 기초하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파장이 360~830nm의 범위의 광으로 한다.
「단파장측」이란 가시광의 파장역 중 단파장측을 가리키고, 상기 파장역의 반값 미만인 것을 가리키고, 상기의 파장역으로 말하면 595nm 미만이다. 단파장측인 것을 청색광측이라고도 칭한다.
「장파장측」이란 가시광의 파장역 중 장파장측을 가리키고, 상기 파장역의 반값 이상을 가리키며, 상기의 파장역으로 말하면 595nm 이상이다. 장파장측을 적색광측이라고도 칭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안경 렌즈는, 도수의 양음이 상이한 2개의 렌즈 요소 1, 2를 구비한다. 또, 렌즈 요소 1, 2는 도수의 절대값이 서로 다르다. 특허 문헌 3의 FIGURE 15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원 도 1의 (b)에 나타내는 것처럼, 한쪽의 렌즈 요소의 도수는 양이고, 다른 한쪽의 렌즈 요소의 도수는 음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안경 렌즈에서는, 렌즈 요소 1, 2가 접합되어 구성된다.
「렌즈 요소」란 그 물체측의 면과 안구측의 면과의 조합, 및 그 굴절률에 의해, 양 또는 음의 도수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렌즈 요소의 재료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렌즈 기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재료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또, 위 단락에서는 렌즈 요소 1, 2가 접합하는 예를 들었지만, 본 발명은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중간막을 사이에 두고 렌즈 요소 1, 2가 배치되어도 상관없다. 그 때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160994호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안과용 렌즈를 제조해도 된다.
덧붙여, 중간막이 매우 얇은 경우, 중간막은 렌즈 요소 1, 2의 거의 계면 형상이 된다. 그 경우, 중간막의 물체측의 면과 안구측의 면에서 거의 같게 되어, 양 또는 음의 도수는 실현되지 않는다. 수치로 말하면, 해당 중간막이 가져오는 도수는 제로 도수, 또는 제로 도수가 아니라 하더라도 도수의 절대값은 최대로도 0.12D이다. 이 경우, 중간막은 렌즈 요소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는 렌즈 요소 1, 2가 접합되었을 경우를 예시하지만, 렌즈 요소 1, 2의 한쪽은 층 모양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렌즈 요소 2가 렌즈 기재인 경우, 렌즈 요소 1은 렌즈 기재에 대해서 적층된 막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안경 렌즈는, 도수의 절대값이 작은 쪽의 렌즈 요소 1의 아베수(e선 기준)를 υe1, 다른 한쪽의 렌즈 요소 2의 아베수(e선 기준)를 υe2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 1을 만족시킨다. e선은 파장 546nm로 한다.
υe1<υe2···(식 1)
그리고, 도수의 절대값이 작은 쪽의 렌즈 요소 1에 있어서의 g선과 F'선과의 사이의 부분 분산비 P'gF'1, 다른 한쪽의 렌즈 요소 2에 있어서의 g선(파장 436nm)과 F'선(파장 480nm)과의 사이의 부분 분산비 P'gF'2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 2를 만족시킨다.
P'gF'1>P'gF'2···(식 2)
부분 분산비란 부분 분산을 주분산으로 나눈 값이며,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주분산으로서 F'선(파장 480nm)에서의 굴절률 nF'로부터 C'선(파장 644nm)에서의 굴절률 nC'를 뺀 것을 사용한다. ng을 g선(파장 436nm)에서의 굴절률이라고 하고, nF'를 F'선(파장 480nm)에서의 굴절률이라고 할 때, P'gF'는 이하의 식 2-1로 나타내진다.
P'gF'=(ng-nF')/(nF'-nC')···(식 2-1)
즉, P'gF'1은 렌즈 요소 1에 있어서의 g선과 F'선과의 사이의 부분 분산비를 나타내고, P'gF'2는 렌즈 요소 2에 있어서의 g선과 F'선과의 사이의 부분 분산비를 나타낸다.
상기 렌즈 요소 1, 2, 식 1 및 식 2를 조합함으로써, 뒤에 열거한 도 4의 실시예 1, 2의 플롯이 나타내는 것처럼, 안경 렌즈를 통과하고 또한 동공을 통과하는 가시광의 광선의 다발 중 단파장측의 파장의 광속의 집광 위치가, 비교예 1(크라운 유리로 이루어지는 단일 렌즈)에 비해 크게 오버 포커스측으로 이동한다. 그 한편, 장파장측의 파장의 광속의 집광 위치는, 비교예 1(크라운 유리로 이루어지는 단일 렌즈)에 비해 별로 변화하지 않으며, 망막에 가까워진다.
즉,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안경 렌즈라면, 종색수차에 의해 굴절 이상의 진행의 억제 효과를 발휘시킬 때, 해당 억제 효과를 저해하는 요인은 저감된다. 또한, 종색수차 자체에 있어서 해당 억제 효과를 저해하는 요인이 저감되어 있기 때문에,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 같은 필터링(이른바 파장 필터)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단파장측의 파장의 광속을 큰 폭으로 삭감할 필요도 없어져, 해상감(解像感)의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안경 렌즈의 상세]
이하,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추가적인 구체예, 적합예 및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안경 렌즈의 종류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단초점 렌즈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안경 렌즈는 중간 거리(1m~40cm) 내지 근방 거리(40cm~10cm)의 물체 거리에 대응하는 단초점 렌즈이다. 물론 무한원(無限遠)에 대응하는 단초점 렌즈여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적용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는 중근(中近) 거리에 대응하는 단초점 렌즈를 예시한다.
덧붙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안경 렌즈가, 2초점인 바이포컬(bifocal)렌즈, 3초점인 트리포컬(trifocal)렌즈여도 상관없다. 또, 근방 거리에 대응하는 근용부(近用部)와, 근방 거리보다도 먼 거리에 대응하는 원용부(遠用部)와, 근용부와 원용부를 잇는 누진 작용을 가지는 중간부를 구비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여도 상관없다.
렌즈 요소 1의 도수의 절대값을 D1, 다른 한쪽의 렌즈 요소 2의 도수의 절대값을 D2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 3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1/υe1)<(D2/υe2)···(식 3)
식 3을 만족시킴으로써, 안경 렌즈를 통과하고 또한 동공을 통과하는 가시광의 광선의 다발 중 단파장측의 파장 "이외"의 광속의, 망막 상에서의 색수차가, 나안(裸眼)일 때보다도 저감된다.
렌즈 요소 1의 도수의 절대값을 D1, 다른 한쪽의 렌즈 요소 2의 도수의 절대값을 D2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 4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1×(1+3×P'gF'1)/υe1}>{D2×(1+3×P'gF'2)/υe2}···(식 4)
식 4를 만족시킴으로써, 파장 453nm의 청색광의 색수차(e선 즉 파장 546nm의 광에 대한 디포커스)가 나안(裸眼)보다도 증대한다. 파장 453nm는 S추체(錐體) 세포의 감도가, 다른 추체 세포나 간체(桿體) 세포의 감도를 상회하는 파장이며, 이것보다 단파장측의 광은 S추체 세포에 의해 청색광으로서 강하게 감수(感受)되기 쉽다. 따라서, 453nm이하의 단파장으로 망막보다 앞쪽으로 집광시키는 작용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 4의 도출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식 4는[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서 예로 든 2차 스펙트럼에 관한 것이다. 즉, 식 4는 애퍼크로맷과 같은 색수차를 없애는 것이란 진역(眞逆) 즉 종색수차를 증대시켜, 단파장측(g선으로부터 F'선)에 있어서 망막보다 앞쪽으로 집광시키기 위한 일 구체예이다.
2차 스펙트럼인 색수차 ΔD의 플롯은, 파장의 역수(K로 둠)에 대한 2차 함수가 된다. 2차 함수를 ΔD=aK2+bK+c로 설정한다. 그 다음에, 이하의 식 설정을 행한다.
·청색광으로 양의 색수차를 가져오는 조건(e선에 대한 디포커스)
{a(1/453)2+b(1/453)2+c}-{a(1/546)2+b(1/546)2+c}>0···(식 5)
·F'선과 C'선의 색수차(일차의 색수차)의 관계식
{a(1/480)2+b(1/480)2+c}-{a(1/644)2+b(1/644)2+c}>{(D1/υe1)-(D2/υe2)}···(식 6)
·g선과 F'선의 색수차(2차 스펙트럼)의 관계식
{a(1/453)2+b(1/453)2+c}-{a(1/480)2+b(1/480)2+c}>{(D1/υe1)×P'gF'1-(D2/υe2)×P'gF'2}···(식 7)
식 5에 식 6과 식 7을 대입하면, 이하의 식 8이 얻어진다.
{(D1/υe1)-(D2/υe2)}+3.01×{(D1/υe1)×P'gF'1}-{(D2/υe2)×P'gF'2}>0···(식 8)
식 8에 대해서, 소수(小數)를 잘라 버리고 정리하면, 상기 식 4가 얻어진다.
{D1×(1+3×P'gF'1)/υe1}>{D2×(1+3×P'gF'2)/υe2}···(식 4)
렌즈 요소 1의 도수가 양이고, 렌즈 요소 2의 도수가 음인 경우, 근시 진행 억제 효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안과용 렌즈의 처방 도수는 음이고, 안과용 렌즈는 마이너스 렌즈이다. 근시 진행 억제 효과가 필요한 사람은 이미 근시인 경우가 많고, 마이너스 렌즈는 이 근시를 교정 가능하기 때문이다.
덧붙여서, 착용자 정보의 처방 데이터는 렌즈 포장(콘택트렌즈의 경우는 사양서)에 기재되어 있다. 즉, 렌즈 포장이 있으면, 착용자 정보의 처방 데이터에 기초한 안과용 렌즈의 물건으로서의 특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안과용 렌즈는 렌즈 포장 또는 사양서와 세트가 되어 있는 것이 통상이다. 그 때문에, 렌즈 포장 또는 사양서가 부속된 안과용 렌즈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영되어 있고, 렌즈 포장과 안과용 렌즈의 세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렌즈 요소 1의 도수가 음이고, 렌즈 요소 2의 도수가 양인 경우, 원시 진행 억제 효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안과용 렌즈의 처방 도수는 양이고, 안과용 렌즈는 플러스 렌즈이다. 원시 진행 억제 효과가 필요한 사람은 이미 원시인 경우가 많고, 플러스 렌즈는 이 원시를 교정 가능하기 때문이다. 원시 진행 억제 효과에 대해서는[변형예]에서 기술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안경 렌즈의 한층 더한 구체적 구성에 대해 기술한다.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와, 렌즈 기재의 볼록면 측에 형성된 파장 필터와, 렌즈 기재의 볼록면측 및 오목면측의 각각에 형성된 하드 코트막과, 각 하드 코트막의 각각의 표면에 형성된 반사 방지막(AR막)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안경 렌즈는 하드 코트막 및 반사 방지막에 더하여, 추가로 다른 막이 형성되어도 된다.
(렌즈 기재)
렌즈 기재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CR-39, 티오 우레탄, 아릴, 아크릴, 에피치오(epithio) 등의 열경화성 수지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덧붙여, 렌즈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원하는 굴절도가 얻어지는 다른 수지 재료를 선택해도 된다. 또, 수지 재료가 아니라, 무기 유리제의 렌즈 기재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는, 렌즈 기재의 안구측의 면에 톱니 모양의 부분을 마련하고, 또한 해당 톱니 모양의 부분을, 안경 렌즈의 렌즈 중심(기하 중심 또는 광학 중심)을 중심으로 한 복수의 동심원 링 모양으로 배치하는 경우를 주로 예시한다.
(하드 코트막)
하드 코트막은,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또는 UV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드 코트막은, 하드 코트액에 렌즈 기재를 침지시키는 방법이나, 스핀 코트 등을 사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 코트막의 피복에 의해서, 안경 렌즈의 내구성 향상이 도모된다.
(반사 방지막)
반사 방지막은, 예를 들면, ZrO2, MgF2, Al2O3 등의 반사 방지제를 진공 증착에 의해 성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반사 방지막의 피복에 의해서, 안경 렌즈를 투과한 상의 시인성(視認性) 향상이 도모된다. 덧붙여, 반사 방지막의 재료 및 그 막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분광 투과율을 컨트롤하는 것도 가능하고, 반사 방지막에 파장 필터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
이상에 본 발명의 일 양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개시 내용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양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일 양태로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가 가져오는 효과에 의해, 굴절 이상 진행 억제 효과를 저해하는 요인은 저감된다. 그 때문에,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 같은 필터링(이른바 파장 필터)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 바람직하다. 그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파장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제외시킬 이유는 없다.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안과용 렌즈는, 렌즈 요소 1, 2만으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가 가져와야 할 효과를 발휘 가능하면, 그 이외의 다른 렌즈 요소를 조합해도 상관없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처럼 미소 볼록부를 복수 형성하고 있는 안경 렌즈 추가로는 안과용 렌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안과용 렌즈는, 이하의 구성을 더 구비한다.
「눈의 굴절 이상을 교정하는 처방에 기초하는 제1 굴절력을 가지는 제1 굴절 영역과,
제1 굴절력과는 상이한 굴절력을 가지며, 눈의 굴절 이상의 진행을 억제하도록 눈의 망막 이외의 위치에 초점을 맺히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제2 굴절 영역을 가지고,
제2 굴절 영역은 안과용 렌즈의 중심부의 근방에 각각 독립한 영역으로서 형성된 것이고,
제1 굴절 영역은 제2 굴절 영역이 형성된 영역 이외에 형성된 것이다. 」
도 2는 변형예에 따른,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제1 굴절 영역 및 제2 굴절 영역을 구비하는 안경 렌즈의 개략 측단면도이며, 말풍선 안은 확대도이다.
도 2의 (a)는 렌즈 기재이고 또한 도수가 양인 렌즈 요소 2의 물체측의 면에 대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미소 볼록부(제2 굴절 영역)가 형성된 막을 적층한 모습을 나타낸다. 안경 렌즈 전체적으로는 플러스 렌즈이지만, 미소 볼록부에 의한 디포커스 파워가 발휘되기 때문에, 근시 진행 억제 효과를 구비한다.
도 2의 (b)는 렌즈 기재이고 또한 도수가 음인 렌즈 요소 2의 물체측의 면에 대해, 미소 볼록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 물체측의 면에 대해, 미소 볼록부의 영향이 안경 렌즈의 최표면에 나타나지 않도록, 미소 볼록부를 매립하도록 막을 적층한 모습을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안경 렌즈의 최표면은 평활하다. 최표면이 평활해도, 안경 렌즈의 내부의 계면 부분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와 같은 형상과, 해당 계면 부분을 사이에 두는 2종의 면기재의 굴절률의 차를 적절히 설정하면, 근시 진행 억제 효과가 얻어진다.
덧붙여, 도 2의 (b) 내의 확대도가 나타내는 것처럼, 해당 막에 있어서 미소 볼록부(제2 굴절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음의 도수를 가져오는 형상 및 두께를 가지고 있다. 즉,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렌즈 요소는 적어도 그 일부에 있어서 도수가 양 또는 음이면 된다.
도 2의 (c)는 렌즈 기재이고 또한 도수가 음인 렌즈 요소 2의 물체측의 면에 대해, 미소 볼록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 물체측의 면에 대해, 미소 볼록부의 영향이 안경 렌즈의 최표면에 나타나도록 막(렌즈 요소 1)을 적층한 모습을 나타낸다. 덧붙여, 도 2의 (c) 내의 확대도가 나타내는 것처럼, 해당 막에 있어서 미소 볼록부(제2 굴절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음의 도수를 가져오는 형상 및 두께를 가지고 있다.
미소 볼록부인 볼록 모양 영역은, 렌즈 기재의 볼록 모양 영역에 따른 것이므로, 해당 볼록 모양 영역과 마찬가지로, 렌즈 중심의 주위에 원주 방향 및 축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즉 렌즈 중심의 근방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상태로, 섬 모양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볼록 모양 영역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볼록 모양 영역의 직경은, 0.8~2.0mm 정도가 바람직하다. 볼록 모양 영역의 돌출 높이(돌출량)는, 0.1~10μm 정도, 바람직하게는 0.7~0.9μm 정도가 바람직하다. 볼록 모양 영역의 곡률 반경은, 50~250mmR, 바람직하게는 86mmR 정도의 구(球)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볼록 모양 영역의 굴절력은, 볼록 모양 영역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의 굴절력보다도, 2.00~5.00 디옵터 정도 커지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제1 굴절 영역 및 제2 굴절 영역에 따른 그 외의 내용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내용을 모두 원용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기재를 생략한다.
도 3은 변형예에 따른 원시 진행 억제용의 플러스 렌즈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안경 렌즈의 기술적 사상은, 원시 진행 억제 기능을 달성하는 안경 렌즈에도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광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망막 상의 위치 A보다도 물체측으로부터 멀어진(즉 위치 A보다도 안쪽인 언더 포커스측의) 위치 B′에 광속을 수렴시키는 작용을 가지도록 종색수차를 구비하게 한다. 즉,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와는 반대로, 안경 렌즈를 통과하고 또한 동공을 통과하는 가시광의 광선의 다발 중 장파장측의 파장의 광속의 집광 위치는, 2차 스펙트럼에 의해, 언더 포커스측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은 렌즈 요소 1의 도수가 음이고, 렌즈 요소 2의 도수가 양인 경우에 실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과용 렌즈의 처방 도수는 양이다. 또, 특허 문헌 1의 내용을 적용했을 경우에 있어서 원시 진행 억제 기능을 갖게 하는 경우는, 「볼록」을 「오목」으로 바꿔 읽으면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를 이하와 같이 정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수의 양음이 상이한 2개의 렌즈 요소를 구비한 안과용 렌즈로서,
가시광 중의 장파장측의 파장의 광에 대해서는, 종색수차를 제로 근방으로 하고,
가시광 중의 단파장측의 파장의 광에 대해서는, (2차 스펙트럼에 의해) 종색수차가 증대되고, 처방 도수보다도 도수를 증가시킨, 안과용 렌즈.」
제로 근방이란 파장역 80nm당 도수차의 절대값이 0.01D 이하인 상황을 가리킨다. 이것은 e선 기준일 때, g선으로부터 C'선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도수차의 절대값이 0.02D 이하인 상황을 국소화한 것이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도 1의 (a)는 비교예 1에 따른 마이너스 렌즈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처방 도수 즉 구면 도수 S가 -4.0D, 난시 도수가 제로인 안경 렌즈를 설계했다. 즉, 이 안경 렌즈는 단초점 마이너스 렌즈이다. 또, 이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 그 자체이며, 하드 코트층 등의 피막(被膜)은 형성하고 있지 않다. 렌즈 기재는 크라운 유리이며, 그 굴절률(e선 기준)은 1.525이다. 또, 아베수(e선 기준)는 58.62, g선과 F'선과의 사이의 부분 분산비는 0.541로 했다.
도 4는 가로축을 파장[nm], 세로축을 도수[D]로 했을 때의, 비교예 1 및 실시예 1, 2에 있어서의, 각 파장 광에 의한 안경 렌즈의 도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플롯이다. 덧붙여, 적합예의 임계 의의를 나타내는 플롯도 도면 내에 나타낸다.
덧붙여, 비교예 1 및 뒤에 열거한 실시예 1, 2(더욱은 적합예의 임계 의의의 플롯)에 있어서는, e선(파장 546nm)이 통과했을 때의 안경 렌즈의 도수가 -4.0 D가 되도록 플롯을 설정했다. 이것을 e선 기준이라고 한다.
<실시예 1>
도 1의 (b)는 실시예 1, 2에 따른 근시 진행 억제용의 마이너스 렌즈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실시예 1, 2는 근시 진행 억제용의 안경 렌즈이다. 실시예 1에 따른 렌즈 요소 1, 2를 이하와 같이 설정했다. ne1은 렌즈 요소 1에 있어서의 e선 기준의 굴절률이며, ne2은 렌즈 요소 2에 있어서의 e선 기준의 굴절률이다.
렌즈 요소 1:도수가 양
ne1:2.00009
υe1:16.72
P'gF'1:0.588
D1:4.1[D]
렌즈 요소 2:도수가 음
ne2:1.86560
υe2:30.23
P'gF'2:0.529
D2:-8.1[D]
<실시예 2>
실시예 2에 따른 렌즈 요소 1, 2를 이하와 같이 설정했다. 덧붙여, 실시예 2는 상기 식 4를 만족하는 적합예이다.
렌즈 요소 1:도수가 양
ne1:2.00009
υe1:16.72
P'gF'1:0.588
D1:4.8[D]
렌즈 요소 2:도수가 음
ne2:1.86560
υe2:30.23
P'gF'2:0.529
D2:-8.8[D]
<적합예의 임계 의의>
상기 식 3을 만족하는 적합예의 임계 의의에 따른 렌즈 요소 1, 2를 이하와 같이 설정했다.
렌즈 요소 1:도수가 양
ne1:2.00009
υe1:16.72
P'gF'1:0.588
D1:5.8[D]
렌즈 요소 2:도수가 음
ne2:1.86560
υe2:30.23
P'gF'2:0.528
D2:-9.8[D]
<검토>
도 4에 나타내는 것처럼, 실시예 1, 2라면, 비교예 1에 비해, 단파장측의 광선(파장이 546nm보다 작은 광선)은, 도수가 플러스의 방향으로 시프트됐다. 이것은, 안경 렌즈를 통과하고 또한 동공을 통과하는 단파장측의 광속의 집광 위치가 오버 포커스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반대로, 장파장측의 광(즉 적색광측의 광, 파장이 546nm보다 큰 광선)은, 도수가 마이너스의 방향으로 시프트됐다. 이것은 종색수차에 의해, 굴절 이상의 진행의 억제 효과를 발휘시킬 때, 해당 억제 효과를 저해하는 요인은 저감된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2라면, 실시예 1보다도, 단파장측의 광속의 집광 위치를 망막의 보다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효과가 크다. 동시에, 실시예 2라면, 실시예 1보다도, 장파장측의 광속의 집광 위치를 망막에 접근시킬 수 있다. 장파장측의 광속의 집광 위치는 언더 포커스측이라면 근시 진행 억제 효과를 저해한다. 그 한편, 장파장측의 광속의 집광 위치를 망막에 근접시킨다고 하는 것은, 이 저해 요인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적합예의 임계 의의의 플롯에 대해서이지만, 해당 플롯이라면, 안경 렌즈를 통과하고 또한 동공을 통과하는 장파장측의 광속의 집광 위치가 언더 포커스측으로 이동한다. 이 플롯은 상기 식 3을 등식으로 했을 경우의 플롯이다. 결국, 해당 플롯과 비교예 1의 플롯의 사이에 플롯이 배치되는 렌즈 요소 1, 2의 조합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식 3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총괄]
이하, 본 명시된 「안과용 렌즈」에 대해 총괄한다.
본 명시된 일 실시예는 이하와 같다.
「도수의 양음이 상이한 2개의 렌즈 요소 1, 2를 구비한 안과용 렌즈로서,
도수의 절대값이 작은 쪽의 렌즈 요소 1의 아베수(e선 기준)를 υe1, 다른 한쪽의 렌즈 요소 2의 아베수(e선 기준)를 υe2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 1을 만족하고,
υe1<υe2···(식 1)
도수의 절대값이 작은 쪽의 렌즈 요소 1에 있어서의 g선과 F'선과의 사이의 부분 분산비 P'gF'1, 다른 한쪽의 렌즈 요소 2에 있어서의 g선과 F'선과의 사이의 부분 분산비 P'gF'2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 2를 만족하는, 안과용 렌즈.
P'gF'1>P'gF'2···(식 2). 」

Claims (7)

  1. 도수의 양음이 상이한 2개의 렌즈 요소 1, 2를 구비한 안과용 렌즈로서,
    도수의 절대값이 작은 쪽의 렌즈 요소 1의 아베수(e선 기준)를 υe1, 다른 한쪽의 렌즈 요소 2의 아베수(e선 기준)를 υe2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 1을 만족하고,
    υe1<υe2···(식 1)
    도수의 절대값이 작은 쪽의 렌즈 요소 1에 있어서의 g선과 F'선과의 사이의 부분 분산비 P'gF'1, 다른 한쪽의 렌즈 요소 2에 있어서의 g선과 F'선과의 사이의 부분 분산비 P'gF'2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 2를 만족하고,
    P'gF'1>P'gF'2···(식 2)
    렌즈 요소 1의 도수의 절대값을 D1, 다른 한쪽의 렌즈 요소 2의 도수의 절대값을 D2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 3 및 식 4을 만족하는, 안과용 렌즈.
    (D1/υe1)<(D2/υe2)···(식 3)
    {D1×(1+3×P'gF'1)/υe1}>{D2×(1+3×P'gF'2)/υe2}···(식 4)
  2. 청구항 1에 있어서,
    렌즈 요소 1의 도수는 양이고, 렌즈 요소 2의 도수는 음인, 안과용 렌즈.
  3. 청구항 1에 있어서,
    렌즈 요소 1의 도수는 음이고, 렌즈 요소 2의 도수는 양인, 안과용 렌즈.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눈의 굴절 이상을 교정하는 처방에 기초하는 제1 굴절력을 가지는 제1 굴절 영역과,
    제1 굴절력과는 상이한 굴절력을 가지며, 눈의 굴절 이상의 진행을 억제하도록 눈의 망막 이외의 위치에 초점을 맺히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제2 굴절 영역을 가지고,
    제2 굴절 영역은 안과용 렌즈의 중심부의 근방에 각각 독립한 영역으로서 형성된 것이고,
    제1 굴절 영역은 제2 굴절 영역이 형성된 영역 이외에 형성된 것인, 안과용 렌즈.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는 안경 렌즈인, 안과용 렌즈.
  6. 삭제
  7. 삭제
KR1020217042254A 2019-09-26 2020-07-10 안과용 렌즈 KR102670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74954 2019-09-26
JP2019174954A JP7350588B2 (ja) 2019-09-26 2019-09-26 眼科用レンズ
PCT/JP2020/026941 WO2021059673A1 (ja) 2019-09-26 2020-07-10 眼科用レン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923A KR20220008923A (ko) 2022-01-21
KR102670817B1 true KR102670817B1 (ko) 2024-05-31

Family

ID=75157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254A KR102670817B1 (ko) 2019-09-26 2020-07-10 안과용 렌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69108A1 (ko)
EP (1) EP4036637A4 (ko)
JP (1) JP7350588B2 (ko)
KR (1) KR102670817B1 (ko)
CN (1) CN114051596B (ko)
WO (1) WO2021059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922771A (zh) * 2022-03-28 2024-11-08 豪雅镜片泰国有限公司 眼镜镜片及眼镜镜片的设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31567A1 (en) * 2015-11-06 2017-05-11 Hoya Lens Thailand Ltd. Spectacle Len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9912A (ja) * 1988-10-06 1990-04-11 Shiide:Kk 色収差補正複合レンズ
JPH029912A (ja) * 1989-05-15 1990-01-12 Masashi Tsuchida 波動式過給型吸気システム
JPH0728002A (ja) * 1993-07-13 1995-01-31 Toray Ind Inc 眼鏡レンズ
US5859685A (en) 1996-07-18 1999-01-12 Innotech, Inc. Achromatic ophthalmic lenses
US6070980A (en) * 1997-04-08 2000-06-06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Spectacle lens
US7918555B2 (en) 2006-09-25 2011-04-05 Ophthonix, Inc. Methods and lenses for correction of chromatic aberration
KR20130126903A (ko) 2010-09-28 2013-11-21 싱가포르 헬스 서비시즈 피티이. 엘티디. 대안렌즈
JP6110595B2 (ja) 2012-02-07 2017-04-05 イーエイチエス レンズ フィリピン インク 眼鏡用偏光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EP3693737B1 (en) 2015-03-27 2022-03-30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integrated metabolic baseline and potential of living cells
TW201841023A (zh) 2017-02-27 2018-11-16 澳大利亞商布萊恩荷登視覺協會 用於控制縱向色差之眼鏡片系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31567A1 (en) * 2015-11-06 2017-05-11 Hoya Lens Thailand Ltd. Spectacle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69108A1 (en) 2022-08-25
JP2021051241A (ja) 2021-04-01
EP4036637A1 (en) 2022-08-03
CN114051596B (zh) 2024-06-25
CN114051596A (zh) 2022-02-15
KR20220008923A (ko) 2022-01-21
EP4036637A4 (en) 2023-11-08
WO2021059673A1 (ja) 2021-04-01
JP7350588B2 (ja)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2535B2 (ja) 光学部品における度数を修正するための湾曲円盤
JP2006504137A (ja) 色収差を軽減した眼用レンズ
KR20230025506A (ko) 안경 렌즈 및 안경 렌즈 설계 방법
AU2020304216B2 (en) Ophthalmological lens
KR102670817B1 (ko) 안과용 렌즈
EP2622402B1 (en) Optical lens, in particular for use as a spectacle lens
US20230113972A1 (en) Spectacle lens
WO2021181885A1 (ja) 眼鏡レンズ
KR102675571B1 (ko) 안과용 렌즈
WO2023188558A1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
US20240208166A1 (en) Semi-finished optical element for manufacturing an ophthalmic article, ophthalmic article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
WO2023189088A1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
WO2023171061A1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
WO2023166822A1 (ja) 眼鏡レンズ、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眼鏡及び眼鏡の製造方法
US20240337865A1 (en) Spectacle lens
KR100504388B1 (ko) 비축 비구면 다초점 광학 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