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70265B1 -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0265B1
KR102670265B1 KR1020220115457A KR20220115457A KR102670265B1 KR 102670265 B1 KR102670265 B1 KR 102670265B1 KR 1020220115457 A KR1020220115457 A KR 1020220115457A KR 20220115457 A KR20220115457 A KR 20220115457A KR 102670265 B1 KR102670265 B1 KR 102670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hylococcus aureus
composition
tetramethylbutylhydroquinone
biofilm formation
inhibi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36878A (ko
Inventor
이진태
이진형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1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0265B1/ko
Publication of KR20240036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2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01N31/16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with two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same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00Disinfectants; Antimicrobial compounds or mix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이 병원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및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을 나타내고, 주요 독성인자인 용혈소(hemolysin) 및 리파아제(lipase) 생산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이나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hibiting form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biofilm comprising tetramethylbutylhydroquinon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황색포도상구균(또는 황색포도알균, Staphylococcus aureus)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세균 중 하나로, 건강한 사람의 30% 이상의 비강, 인후두, 피부, 털 등에 집락된 채로 보균되어 있는 균이다. 그러나 이 균은 연부 조직 감염(봉와직염, 화농성 근육염), 화농성 관절염, 화농성 골수염, 중이염, 폐렴, 수술 후 창상 감염, 균혈증, 심내막염, 식중독 등을 일으키는 원인균이다.
특히,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은 지역사회 및 병원 환경에서 흔하며 생명을 위협하는 다양한 독성 인자, 예를 들어 엔테로톡신(enterotoxin), 스타필로잔틴(staphyloxanthin), 리파아제(lipase), 용혈소(hemolysin), 바이오필름(biofilm) 등을 생성한다.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시 사용하는 항생제는 페니실린계, 카르바페넴계, 세팔로스포린계 및 베타 락탐계열인데, 항생제의 남용으로 페니실린에 내성이 생긴 것은 이미 오래전 일이고,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과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VRSA)의 증가가 세계적인 문제이며, MRSA 또는 VRSA에 감염 시, 항생제 처방이 유효하지 않아 생명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황색포도상구균의 항균 및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117977호(2022.08.25.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에 의해서 유발되는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에 의해서 유발되는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이 병원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및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을 나타내고, 주요 독성인자인 용혈소(hemolysin) 및 리파아제(lipase) 생산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이나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A는 하이드로퀴논 및 그 유도체를 첨가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황색포도상구균 균주(ATCC 6538)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1B, 1C, 1D 및 1E는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 TBHQ)의 메티실린 민감성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ATCC 6538; MSSA 6538 및 S. aureus ATCC 25923; MSSA 25923)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MW2; MRSA MW2 및 S. aureus ATCC 33591; MRSA 33591)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1F 및 1G는 하이드로퀴논(HQ) 및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BHQ) 처리 시의 황색포도상구균(MSSA 6538) 세포 성장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2는 하이드로퀴논(HQ) 및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의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바이오필름을 iRiS™ 디지털 세포 이미징 시스템을 통해 2D 및 3D로 분석한 이미지이다. 도 2B는 공초점레이저현미경(CLSM)를 이용한 바이오필름 이미지이고, 도 2C는 상기 도 2B의 결과를 바이오필름 정량측정 소프트웨어 COMSTAT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2D는 나일론표면에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의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을 전자현미경(SEM)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하이드로퀴논(HQ) 및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의 황색포도상구균 독성인자인 용혈소(hemolysin) 및 리파아제(lipase) 억제 활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4는 식물(배추) 발아 및 선충 모델에서 하이드로퀴논(HQ) 및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의 세포 독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 부틸하이드로퀴논을 이용한 항균 및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을 연구하던 중, 다른 부틸하이드로퀴논과 비교해서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이 약제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 및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을 나타내고, 주요 독성인자인 용혈소(hemolysin) 및 리파아제(lipase) 생산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황색포도상구균은 메티실린 민감성 황색포도상구균(MSSA),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VRS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의 독성인자를 억제할 수 있고, 상기 독성인자는 스타필로잔틴(staphyloxanthin), 용혈소(hemolysin) 및 리파아제(lip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항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항생제는 반코마이신(vancomy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암피실린(ampicillin) 및 옥시테트라사이클린(oxytetracycl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에 의해서 유발되는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감염증은 충치, 치주염, 중이염, 근골계 감염, 괴사성 근막염, 담관계 감염, 골수염, 세균성 전립선염, 유방염, 피부염, 패혈증, 화농성 질환, 식중독, 농가진, 균혈증, 심내막염, 장염, 낭포성 섬유증 폐렴, 멜로이도시스(meloidosis), 병원내 감염(nosocomial infection), ICU 폐렴, 요로 카테터 방광염(urinary catheter cystitis), 복막 투석(CAPD) 복막염 및 담도 배액관 폐쇄(biliary stent blockag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제제화에 사용되는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정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피부 외용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제형화를 위해 추가로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는 전분, 당 및 만니톨과 같은 부형제, 칼슘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충전제 및 증량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젤라틴, 알긴산염,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과 같은 결합제, 활석, 스테아린산 칼슘, 수소화 피마자유 및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윤활제, 포비돈 및 크로스포비돈과 같은 붕해제, 폴리소르베이트, 세틸알코올, 글리세롤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는 대상체에게 생물학적 및 생리학적으로 친화적인 것일 수 있다. 희석제의 예로는 염수, 수용성 완충액, 용매 및/또는 분산제(dispersion media)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일 경우, 정제, 트로키제(troches), 로젠지(lozenge), 수용성 현탁액, 유성 현탁액, 조제 분말, 과립, 에멀젼, 하드 캡슐, 소프트 캡슐, 시럽, 엘릭시르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일 경우, 주사액,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연고, 도포용 파우더, 오일, 크림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체질 특이성, 제제의 성질, 질병의 정도, 조성물의 투여시간, 투여방법, 투여기간 또는 간격, 배설율 및 약물 형태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수 있으며, 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약 0.1 내지 10,000mg/kg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으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면, 정맥 내, 피하 내,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량 및 유효 투여량은 약학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식품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 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 형태의 건강기능 식품 중 경질 캡슐제는 통상의 경질 캡슐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 및 충진 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캡슐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하고 젤라틴 등 캡슐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캡슐제 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감염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감염증을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감염증의 나쁜 상태를 좋게 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식품제조기, 식품포장용기, 의료기기, 의료용 재료 또는 의료용 이식물에 코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1] 균주, 화합물 및 배양 재료 준비
메티실린 민감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sensitive S. aureus strains ATCC 25923 및 ATCC 6538; 이하 MSSA 25923 및 MSSA 6538이라 함)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strain MW2 및 ATCC 33591; 이하 MRSA MW2 및 MRSA 33591이라 함)을 사용하였다. MSSA 균주는 37℃에서 LB 배지로 배양하였고, MRSA 균주는 0.2% 글루코스(glucose)를 포함하는 LB 배지로 배양하였다.
4종의 하이드로퀴논 및 그 유도체인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이하 HQ라 함),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 이하 TBHQ라 함), 다이터트부틸하이드로퀴논(2,5-Di-tert-butylhydroquinone; 이하 2,5-Di-tert-butylHQ라 함) 및 터트부틸하이드로퀴논(tert-butylhydroquinone; 이하 tert-butylHQ라 함)은 Sigma-Aldrich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고, 용해시키는 용매로 DMSO를 사용하였다. DMSO(0.1% v/v)를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고, DMSO 0.1% 이하는 세균 성장 또는 바이오필름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험예 2] HQ 및 그 유도체의 항균 활성 분석
HQ 및 그 유도체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황색포도상구균을 HQ 및 그 유도체 존재 유무에 따라 37℃에서 24시간 동안 250ml 플라스크에서 배양한 후, 분광 광도계(Optizen 2120 UV; Mecasys Co. Ltd., 대전,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600nm에서 배양 탁도를 측정하였다. 초기 세포 농도에 비해 세포성장이 없는 경우, 화합물의 최소성장저해농도(MIC)로 하였다. 모든 실험은 최소 2개의 독립적인 배양을 통해 수행하였다.
[ 실험예 3] HQ 및 그 유도체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 분석
3-1.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 분석
HQ 및 그 유도체의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크리스탈 바이올렛 분석을 통해 바이오필름 형성을 정량하였다. 4종류의 균주(MSSA 6538, MSSA 25923, MRSA MW2 및 MRSA 33591) 바이오필름 형성 분석은 96-웰 폴리스티렌 플레이트(SPL Life Sciences, Korea)에서 수행하였다.
초기 세포농도 1 x 107 CFU/ml의 황색포도상구균을 신선한 LB 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교반 없이 24시간 동안 HQ 및 그 유도체(0, 0.2, 0.5, 1, 2 및 5μg/mL)와 함께 배양하였다. 부유세포를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를 사용하여 플레이트를 3회 세척한 후 바이오필름 형성을 정량화하였다. 바이오필름은 0.1% 크리스탈-바이올렛과 함께 2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증류수를 사용하여 3회 세척한 다음 95% 에탄올을 사용하여 바이오필름 세포에 부착된 크리스탈-바이올렛을 추출하였다. 바이오필름 형성 측정을 위한 흡광도는 570nm에서 Multiskan EX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실험은 최소 6회 이상 반복수행하였다.
3-2. 광학현미경을 통한 분석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2-1과 같이 37℃에서 24시간 동안 바이오필름을 생성하고 부유세포를 증류수로 3회 부드럽게 세척하여 제거하고 바이오필름을 iRiS™ 디지털 세포 이미징 시스템(Logos BioSystems)을 사용하여 라이브 이미징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바이오필름 이미지는 ImageJ를 사용하여 색상으로 구분된 2D 및 3D 사진으로 생성하였다.
3-3. 공초점현미경을 통한 분석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을 사용하였다. 황색포도상구균을 HQ 및 그 유도체의 존재 유무에 따라 교반 없이 96-웰 폴리스티렌 플레이트(SPL Life Sciences)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멸균 PBS(phosphate-buffered saline)로 3회 세척하여 부유세포를 제거하였다. 플레이트 바닥의 바이오필름은 20x 대물렌즈가 장착된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Nikon Eclipse Ti, Tokyo, Japan, 488nm)의 Ar 레이저(방출 파장 500~550nm)를 사용하여 시각화하였다. 공초점 이미지는 NIS-Elements C 버전 3.2(Nikon eclipse)를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실험당 최소 12개의 무작위 위치를 분석하였다.
3-4. 전자현미경을 통한 분석
구체적인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나일론 막에 형성된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세포를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였다. 나일론 막을 0.4 x 0.4cm 크기로 자르고, HQ 및 그 유도체(0, 0.5, 1 및 2μg/mL)을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을 37℃에서 24시간 동안 나일론 막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나일론 막에 부착된 세포는 2.5% 글루타르알데하이드(glutaraldehyde) 및 2%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로 고정하고, 사산화 오스뮴(OsO4)을 사용하여 전처리하고, 에탄올 계열(50%, 70%, 80%, 90%, 95% 및 100%) 및 이소아밀 아세테이트(isoamyl acetate)를 사용하여 탈수화하였다. 임계점 건조 후, 세포는 팔라듐/금으로 스퍼터 코팅하고, 15kV에서 S-4800 스캐닝 전자 현미경(Hitachi, Tokyo, Japan)으로 관찰하였다.
[실험예 4] HQ 및 그 유도체의 황색포도상구균 독성인자 억제 활성 분석
황색포도상구균은 용혈소(hemolysins) 및 리파아제(lipase)와 같은 여러 독성 인자를 생산한다. 따라서, HQ 및 그 유도체의 황색포도상구균 독성인자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용혈소 및 리파아제 억제 활성을 분석하였다.
용혈(hemolysis) 분석은 신선한 양혈액을 MBcell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양혈액을 3000 x g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적혈구를 분리하고, PBS로 3회 세척(330 μL의 적혈구 세포/10ml의 PBS 버퍼)하였다. 초기 세포농도 1 x 107 CFU/ml 황색포도상구균에 신선한 LB 배지 2mL와 HQ 및 그 유도체(0, 0.2, 0.5, 1 및 2μg/mL)를 넣고 250rpm에서 교반하면서 37℃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물을 희석된 적혈구 세포에 첨가하고 용혈성을 결정하기 위해 혈액과 황색포도상구균(세포 배양액 200μL)의 혼합물을 37℃에서 3시간 동안 250rpm으로 반응하였다. 배양물을 16,600 x 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분리하였고, 543nm에서 광학 밀도를 측정하였다.
리파아제(lipase)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초기 세포농도 1 x 107 CFU/ml 황색포도상구균에 LB 배지 2mL와 HQ 및 그 유도체(0, 0.2, 0.5, 1 및 2μg/mL)를 추가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250rpm에서 교반하면서 배양하였다. 그 후, 상층액을 8,000 x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수집하고, 상등액 분취량(0.1mL)과 기질 완충액[0.9mL 완충액 A의 10%(vol/vol)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 p-니트로페닐 팔미테이트 3mg/mL 및 1mg/mL 검아리빅과 완충액 B 90%(vol/vol) Na2PO4 완충액(50mM, pH 8.0)]과 혼합하였다. 혼합액을 암실에서 40℃로 30분 가열하고, 1M 탄산나트륨(Na2CO3)을 첨가하여 리파아제 반응을 중단하고 혼합물을 10분 동안 10,000 x g으로 원심분리 후 상등액의 흡광도를 405nm에서 측정하였다.
[실험예 5] HQ 및 그 유도체의 세포 독성 분석
HQ 및 그 유도체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배추종자 발아 모델 시스템 및 선충 모델(C. elegans)을 사용하였다.
먼저, 배추(Brassica rapa)의 발아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배추 종자를 멸균 증류수에 16시간 동안 담그고 증류수로 3회 헹구었다. 종자 표면을 살균하기 위해 종자를 실온에서 15분 동안 95% 에탄올 및 3% 차아염소산나트륨에서 순차적으로 배양하고 증류수로 3회 헹구었다. 플레이트당 10개의 종자를 0.7% 한천 및 0.86g/l Murashige-Skoog(MS)로 구성된 부드러운 한천 Murashige-Skoog 플레이트에 놓고 실온(24℃)에서 4일 동안 배양하였다. 매일 같은 시간에 종자 발아율 및 식물성장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HQ 및 그 유도체(10, 50 및 200μg/mL) 각 농도에 대해 4번의 독립적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예쁜꼬마선충[C. albicans 균주 fer-15(b26); fem-1(hc17)]을 M9 완충액[3g/l 인산칼륨(KH2PO4), 6g/l 제2인산나트륨(Na2HPO4), 5g/l 염화나트륨(NaCl) 및 1mM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2회 세척한 후, 약 40마리의 선충을 HQ 및 그 유도체(5, 10, 20 및 50μg/mL)가 포함된 M9 완충액(200μl)을 96 웰 플레이트에 넣었다. 그 후, 플레이트를 교반 없이 25℃에서 4일 동안 배양하였다. 4개의 독립적인 실험을 3회 수행하였다. 선충의 생존 결과는 인큐베이션 후 iRiS™ 디지털 세포 이미징 시스템(Logos Bio Systems)을 사용하여 20~30초 동안 LED 조명에 대한 반응을 통해 결정하였다.
[실험예 6] 통계 분석
모든 실험예의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SPSS version 23(SPSS Inc., Chicago, IL, USA) Dunnett 테스트에 따른 one-way ANOVA을 이용한 통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p 값이 <0.05 일 때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 실시예 1] HQ 및 그 유도체의 항균 활성 분석
상기 실험예 2에 따라, HQ 및 그 유도체의 황색포도상구균(MSSA 6538)에 대한 항균 활성을 분석한 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TBHQ은 5μg/mL, tert-butylHQ은 200μg/mL, HQ 및 2,5-Di-tert-butylHQ은 400μg/mL 이상으로 나타나, TBHQ의 MIC가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F 및 1G에 나타난 바와 같이, TBHQ 5μg/mL 농도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의 세포성장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기 실험예에서 사용한 화합물 중 TBHQ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화합물명 구조 Cell growth(%)
(10μg/mL)
Cell growth(%)
(50μg/mL)
MIC
(μg/mL)
None - 100 100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 HQ)
93 77 >400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
(tetramethylbutylhydroquinone; TBHQ)
15 14 5
다이터트부틸하이드로퀴논
(2,5-Di-tert-butylhydroquinone; 2,5-Di-tert-butylHQ)
78 65 >400
터트부틸하이드로퀴논
(tert-butylhydroquinone; tert-butylHQ)
81 69 200
[ 실시예 2] HQ 및 그 유도체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 분석
2-1. 크리스탈 바이올렛 분석
상기 실험예 3-1에 따라, HQ 및 그 유도체의 황색포도상구균(MSSA 6538)에 대한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을 분석한 결과,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TBHQ, 2,5-Di-tert-butylHQ 및 tert-butylHQ은 50μg/mL 농도에서 유의미한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을 나타냈고, 특히 TBHQ은 10μg/mL 농도에서도 바이오필름 형성을 95% 이상 억제하는 반면, HQ은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시키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기 실험예에서 사용한 화합물 중 TBHQ이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억제 활성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TBHQ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TBHQ을 4종의 황색포도상구균(MSSA 25923, MSSA 6538, MRSA MW2 및 MRSA 33591)을 처리한 후 바이오필름 활성도를 분석한 결과, 도 1B, 1C, 1D 및 1E에 나타난 바와 같이, TBHQ이 상기 4종의 균주 모두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하였고, 구체적으로 1μg/mL의 TBHQ이 상기 4종의 균주 모두의 바이오필름 형성을 85% 이상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가장 우수한 항균 및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TBHQ에 대해 추가적인 실험을 수행하기로 결정하였다.
2-1. 현미경을 통한 분석
상기 실험예 3-2, 3-3 및 3-4에 따라, 광학현미경, 공초점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HQ 및 그 유도체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을 분석한 결과, 도 2B, 2C 및 2D에 나타난 바와 같이, TBHQ이 용량 의존적으로 바이오필름 형성을 감소시키는 반면, HQ은 바이오필름 억제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공초점현미경에서 관찰한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를 COMSTAT 소프트웨어 분석으로 정량화한 결과, 도 2C에 나타난 바와 같이, 1μg/mL의 TBHQ이 바이오필름 양, 표면커버리지 및 바이오필름 두께를 70% 이상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HQ 및 그 유도체의 황색포도상구균 독성인자 억제 활성 분석
상기 실험예 4에 따라, HQ 및 그 유도체의 황색포도상구균 독성인자 억제 활성을 분석한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TBHQ(0.5, 1 및 2μg/mL)은 용혈 활성 및 리파아제 활성을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TBHQ 1μg/mL 처리 시, 용혈 활성은 70% 이상, 리파아제 활성은 75% 이상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HQ 및 그 유도체의 세포 독성 분석
상기 실험예 5에 따라, 배추종자 발아 모델을 사용하여 HQ 및 그 유도체의 세포 독성을 분석한 결과, 도 4A, 4B 및 4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자 발아율은 시험 농도(10, 50 및 200μg/mL)에서 TBHQ 및 HQ의 큰 영향을 받지 않았고, 식물 성장 길이는 4일 동안 TBHQ 및 HQ 처리군 모두에서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충 모델을 사용하여 HQ 및 그 유도체의 세포 독성을 분석한 결과, 도 4D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TBHQ은 HQ보다 C. elegans에 대해 독성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대부분의 선충은 TBHQ 50μg/mL를 4일 동안 처리 시 생존한 반면, HQ 50μg/mL 처리 시 선충의 44%가 사망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활성 농도(1∼5μg/mL)의 TBHQ이 배추성장 및 선충에 대한 독성이 없음을 의미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

Claims (12)

  1.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황색포도상구균은 메티실린 민감성 황색포도상구균(MSSA),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VRS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의 독성인자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독성인자는 스타필로잔틴(staphyloxanthin), 용혈소(hemolysin) 및 리파아제(lip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는 반코마이신(vancomy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암피실린(ampicillin) 및 옥시테트라사이클린(oxytetracycl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8.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에 의해서 유발되는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감염증은 충치, 치주염, 중이염, 근골계 감염, 괴사성 근막염, 담관계 감염, 골수염, 세균성 전립선염, 유방염, 피부염, 패혈증, 화농성 질환, 식중독, 농가진, 균혈증, 심내막염, 장염, 낭포성 섬유증 폐렴, 멜로이도시스(meloidosis), 병원내 감염(nosocomial infection), ICU 폐렴, 요로 카테터 방광염(urinary catheter cystitis), 복막 투석(CAPD) 복막염 및 담도 배액관 폐쇄(biliary stent blockag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0.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tetramethylbutylhydr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코팅 조성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식품제조기, 식품포장용기, 의료기기, 의료용 재료 또는 의료용 이식물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코팅 조성물.
KR1020220115457A 2022-09-14 2022-09-14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Active KR102670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457A KR102670265B1 (ko) 2022-09-14 2022-09-14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457A KR102670265B1 (ko) 2022-09-14 2022-09-14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878A KR20240036878A (ko) 2024-03-21
KR102670265B1 true KR102670265B1 (ko) 2024-05-28

Family

ID=9047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457A Active KR102670265B1 (ko) 2022-09-14 2022-09-14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02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043B1 (ko) 2018-11-21 2019-12-24 주식회사 에이조스바이오 방부제 조성물
KR102275801B1 (ko) * 2019-12-24 2021-07-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스-자스몬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006B1 (ko) * 2018-06-12 2020-08-31 재단법인 포항테크노파크 황색포도상구균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2578908B1 (ko) 2021-02-18 2023-09-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043B1 (ko) 2018-11-21 2019-12-24 주식회사 에이조스바이오 방부제 조성물
KR102275801B1 (ko) * 2019-12-24 2021-07-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스-자스몬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ydroquinones Inhibit ~ aureus]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2022.09.14.)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878A (ko)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0977B (zh) 大麻二酚组合物及其用途
JP2893035B2 (ja) 増強された抗菌剤組成物
EP2437737B1 (fr) Composition comprenant au moins du trans-cinnamaldehyde et son utilisation dans le traitement des infections bacteriennes plus particulierement dans le traitement des maladies nosocomiales
US11744819B2 (en) Antibiotic cannabinoid-terpene formulations
KR102670265B1 (ko)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CN110179967A (zh) 多粘菌素母核和一种抗生素的组合物及其应用
Hamid et al. Effects of antimicrobial flavonoids against representative bacteria and fungi: a review of the literature
KR102248812B1 (ko) 상승효과를 갖는 글리시리진 및 글리시레트산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및 구강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4029348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biofilms, infections and periodontitis
KR102275801B1 (ko) 시스-자스몬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EP3268002B1 (en) Antibacterial compositions and methods
KR20240056096A (ko) 무릇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240020468A (ko) 페트로셀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색포도상구균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250006497A (ko) 레티놀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생물막 형성 또는 독성인자 억제용 조성물
KR102441377B1 (ko) 펙토리나린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2430080B1 (ko) 메틸 갈레이트 및 틸로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450964B1 (ko) 아세타니솔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240036881A (ko) 다이메틸하이드로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브리오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CN106673989A (zh) 一种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429579B1 (fr) Tulathromycine potentialisee
CN120201999A (zh) 抗微生物组合物
Aristizábal et al. Development of an Effective Triantibiotic formulation for Enterococcus faecalis in the Treatment of Endodontic Pathology
EP1313500B1 (fr) Associations dalfopristine/quinupristine avec le cefpirome
KR20240018763A (ko)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원성 진균의 항진균 및 생물막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240115407A (ko) 오리 유래 항균 펩타이드로부터 설계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