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9246B1 - 잔류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한 단일 수지 펌프 용기 - Google Patents
잔류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한 단일 수지 펌프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9246B1 KR102679246B1 KR1020220067325A KR20220067325A KR102679246B1 KR 102679246 B1 KR102679246 B1 KR 102679246B1 KR 1020220067325 A KR1020220067325 A KR 1020220067325A KR 20220067325 A KR20220067325 A KR 20220067325A KR 102679246 B1 KR102679246 B1 KR 1026792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ston
- unit
- container
- pumping
- conten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1—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without contact of the fluid remaining in the container with the atmospheric ai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용기의 분해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의 파손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a는 파손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파손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의 파손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a는 파손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파손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의 파손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a는 파손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파손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의 파손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6a는 파손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파손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S2 : 하부공간 P : 기밀부재
100 : 용기부 110 : 통공
120 : 진공제거돌기
200 : 실린더부 210 : 실린더 몸체
211 : 유입홀 212 : 연통돌기
220 : 실린더 플랜지
300 : 피스톤부 310 : 피스톤 몸체
311 : 수용홈 312 : 연통홈
313 : 파손용 시트 314 : 연통부위
315 : 파단 보조홈
320 : 피스톤 돌기 330 : 피스톤 플랜지
331 : 진공해제홈
400 : 펌핑부 410 : 배출수단
420 : 동작장치
Claims (7)
- 삭제
- 삭제
- 삭제
-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 일측에 통공(110)이 형성되는 용기부(100);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에 유입홀(211)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211)이 용기부(10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용기부(100)의 개방된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실린더부(200);
상기 용기부(10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부공간(S1)에 내용물이 수용되게 구성되는 피스톤부(300); 및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측이 상기 실린더부(200)의 개방된 상부 및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상기 용기부(100)의 상단에 결합되어 펌핑시 상기 피스톤부(300)의 상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펌핑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부(300)가 용기부(100)의 최상단으로 이동되면, 피스톤부(300)의 일측이 파손되면서 펌핑부(400)측으로 공기가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용기부(100), 실린더부(200), 펌핑부(400)는 모두 동일한 재활용이 가능한 수지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피스톤부(3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하방으로 패인 수용홈(311)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 몸체(310);
상기 피스톤 몸체(310)의 외주 측면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외주 둘레 전체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피스톤 돌기(320); 및
상기 피스톤 돌기(320)의 돌출된 끝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연장된 끝단이 상기 용기부(100)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비되고, 세로 단면이 호 형상을 이루는 피스톤 플랜지(330);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부(300)는,
상기 피스톤 몸체(310)의 하부면에 관통 형성되는 연통홈(312); 및
상기 피스톤 몸체(310)보다 작은 강성을 갖는 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통홈(312)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파손용 시트(3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손용 시트(313)는,
상기 피스톤부(300)가 용기부(100)의 최상단으로 이동된 이후, 계속된 펌핑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공간(S1)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면 파손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한 단일 수지 펌프 용기.
-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 일측에 통공(110)이 형성되는 용기부(100);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에 유입홀(211)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211)이 용기부(10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용기부(100)의 개방된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실린더부(200);
상기 용기부(10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부공간(S1)에 내용물이 수용되게 구성되는 피스톤부(300); 및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측이 상기 실린더부(200)의 개방된 상부 및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상기 용기부(100)의 상단에 결합되어 펌핑시 상기 피스톤부(300)의 상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펌핑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부(300)가 용기부(100)의 최상단으로 이동되면, 피스톤부(300)의 일측이 파손되면서 펌핑부(400)측으로 공기가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용기부(100), 실린더부(200), 펌핑부(400)는 모두 동일한 재활용이 가능한 수지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피스톤부(3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하방으로 패인 수용홈(311)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 몸체(310);
상기 피스톤 몸체(310)의 외주 측면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외주 둘레 전체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피스톤 돌기(320); 및
상기 피스톤 돌기(320)의 돌출된 끝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연장된 끝단이 상기 용기부(100)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비되고, 세로 단면이 호 형상을 이루는 피스톤 플랜지(330);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부(300)는,
상기 피스톤 몸체(310)의 하부면에 관통 형성되는 연통홈(312); 및
상기 피스톤 몸체(310)보다 작은 강성을 갖는 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통홈(312)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파손용 시트(3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손용 시트(313)는,
상기 용기부(100)의 통공(110)을 관통하여 용기부(100)의 내부로 삽입된 천공부재(D)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한 단일 수지 펌프 용기.
-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 일측에 통공(110)이 형성되는 용기부(100);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에 유입홀(211)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211)이 용기부(10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용기부(100)의 개방된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실린더부(200);
상기 용기부(10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부공간(S1)에 내용물이 수용되게 구성되는 피스톤부(300); 및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측이 상기 실린더부(200)의 개방된 상부 및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상기 용기부(100)의 상단에 결합되어 펌핑시 상기 피스톤부(300)의 상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펌핑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부(300)가 용기부(100)의 최상단으로 이동되면, 피스톤부(300)의 일측이 파손되면서 펌핑부(400)측으로 공기가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용기부(100), 실린더부(200), 펌핑부(400)는 모두 동일한 재활용이 가능한 수지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피스톤부(3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하방으로 패인 수용홈(311)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 몸체(310);
상기 피스톤 몸체(310)의 외주 측면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외주 둘레 전체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피스톤 돌기(320); 및
상기 피스톤 돌기(320)의 돌출된 끝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연장된 끝단이 상기 용기부(100)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비되고, 세로 단면이 호 형상을 이루는 피스톤 플랜지(330);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부(300)는,
상기 피스톤 몸체(310)의 하부 중심부에 형성되되, 중심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구성되는 연통부위(314)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부(200)는,
하부 끝단에 구비되되, 상기 연통부위(314)와 동일 수직축상에 구비되는 연통돌기(212)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돌기(212)는,
상기 피스톤부(300)가 용기부(100)의 최상단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연통부위(314)를 가압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한 단일 수지 펌프 용기.
-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 일측에 통공(110)이 형성되는 용기부(100);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에 유입홀(211)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211)이 용기부(10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용기부(100)의 개방된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실린더부(200);
상기 용기부(10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부공간(S1)에 내용물이 수용되게 구성되는 피스톤부(300); 및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측이 상기 실린더부(200)의 개방된 상부 및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상기 용기부(100)의 상단에 결합되어 펌핑시 상기 피스톤부(300)의 상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펌핑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부(300)가 용기부(100)의 최상단으로 이동되면, 피스톤부(300)의 일측이 파손되면서 펌핑부(400)측으로 공기가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용기부(100), 실린더부(200), 펌핑부(400)는 모두 동일한 재활용이 가능한 수지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피스톤부(3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하방으로 패인 수용홈(311)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 몸체(310);
상기 피스톤 몸체(310)의 외주 측면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외주 둘레 전체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피스톤 돌기(320); 및
상기 피스톤 돌기(320)의 돌출된 끝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연장된 끝단이 상기 용기부(100)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비되고, 세로 단면이 호 형상을 이루는 피스톤 플랜지(33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100)에는,
측면의 상단 내측면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진공제거돌기(120)가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하단측 피스톤 플랜지(330)에는.
측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진공해제홈(33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한 단일 수지 펌프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7325A KR102679246B1 (ko) | 2022-06-02 | 2022-06-02 | 잔류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한 단일 수지 펌프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7325A KR102679246B1 (ko) | 2022-06-02 | 2022-06-02 | 잔류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한 단일 수지 펌프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7473A KR20230167473A (ko) | 2023-12-11 |
KR102679246B1 true KR102679246B1 (ko) | 2024-06-28 |
Family
ID=8916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67325A Active KR102679246B1 (ko) | 2022-06-02 | 2022-06-02 | 잔류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한 단일 수지 펌프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9246B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206524C2 (de) * | 1992-03-02 | 1997-04-24 | Andris Raimund Gmbh & Co Kg | Dosierpumpe für zähflüssige, insbesondere pastenartige Stoffe |
KR101292166B1 (ko) * | 2011-07-14 | 2013-08-06 | 유진우 | 다기능 이중 용기 |
KR200475600Y1 (ko) * | 2013-04-19 | 2014-12-16 | 펌텍코리아 (주) | 함침부재와 흡수부재를 구비한 에어리스 펌프 용기 |
KR101959131B1 (ko) * | 2017-07-14 | 2019-03-15 | 양형택 |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
KR102368660B1 (ko) | 2020-06-23 | 2022-02-28 | (주)연우 | 내용물 용기 |
-
2022
- 2022-06-02 KR KR1020220067325A patent/KR102679246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7473A (ko) | 2023-1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845092B1 (en) | Container for discharging contents | |
JP7588244B2 (ja) | 内容物吐出容器 | |
KR101928640B1 (ko) | 이종물질혼합용기 | |
SK286670B6 (sk) | Nádobka s čerpacími prostriedkami | |
KR102044128B1 (ko) | 펌프 용기 | |
KR200487644Y1 (ko) |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 |
KR20100006674U (ko) |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 |
KR102679246B1 (ko) | 잔류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한 단일 수지 펌프 용기 | |
CN114514182B (zh) | 流体分配器 | |
JP4670302B2 (ja) | 材料圧送装置 | |
CN113329950B (zh) | 袋组件及使用该袋组件的容器装置 | |
KR101773375B1 (ko) | 화장품 용기용 캡 | |
KR102009626B1 (ko) | 효율적 폐기가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포장용기 | |
KR102482672B1 (ko) | 화장품 용기 | |
JP4808096B2 (ja) | 内圧吸収機構付き吐出容器 | |
KR101454748B1 (ko) |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 |
KR101861811B1 (ko) |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토출장치 | |
JP5603734B2 (ja) | ポンプ式吐出容器 | |
JP2010235134A (ja) | ポンプ付き薄肉容器 | |
JP3818159B2 (ja) | 容器の減容圧縮装置 | |
KR20130004531U (ko) | 절약형 용기 | |
KR200450863Y1 (ko) |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 |
KR101101288B1 (ko) | 유체 흡입수단을 구비하는 유체 저장용기 | |
JP2789087B2 (ja) | 手押しポンプ機構 | |
KR102482727B1 (ko) | 토출구가 자동으로 팝업되는 펌프식 액체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2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