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4402B1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4402B1 KR102674402B1 KR1020190024018A KR20190024018A KR102674402B1 KR 102674402 B1 KR102674402 B1 KR 102674402B1 KR 1020190024018 A KR1020190024018 A KR 1020190024018A KR 20190024018 A KR20190024018 A KR 20190024018A KR 102674402 B1 KR102674402 B1 KR 1026744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mperature
- greenhouse
- freezer
- fan
- refrigerat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58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5679 Pelti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WVHNUGRFECMVLQ-UHFFFAOYSA-N 1,3-dichloro-2-(2,4-dichloroph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l)=CC=C1C1=C(Cl)C=CC=C1Cl WVHNUGRFECMVL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SFTUSTXGTCCSHX-UHFFFAOYSA-N 1,3-dichloro-2-(2,5-dichloroph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Cl)C(C=2C(=CC=CC=2Cl)Cl)=C1 SFTUSTXGTCCSH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HCWZEPKLWVAEOV-UHFFFAOYSA-N 2,2',5,5'-tetrachlorobiphenyl Chemical compound ClC1=CC=C(Cl)C(C=2C(=CC=C(Cl)C=2)Cl)=C1 HCWZEPKLWVAEO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2 pos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87 quadratic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25B21/04—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reversi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5—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using primary and secondary refrigeration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25B2600/112—Fan speed control of evaporator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4—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eep-frozen arti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1—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particular compart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freezer compart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4—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utside the refrigerator or freez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심온실 모드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일정 주기를 가지고 간헐적으로 상기 온도 센서를 온시켜, 상기 온도 센서가 제 1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심온실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도록 하고, 감지된 심온실 내부 온도가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도록 하여,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으로 저장하는 가전 기기로서, 섭씨 3℃ 범위의 냉장 상태로 음식물을 저장하기 위한 냉장실과, 섭씨 -20℃ 범위의 냉동 상태로 음식물을 저장하기 위한 냉동실을 포함한다.
그러나, 육류나 해산물 같은 음식물을 현재의 냉동실 내에서 냉동 상태로 보관는 경우, 음식물이 -20℃로 결빙되는 과정에서 육류나 해산물의 세포 내에 있는 수빈이 세포 밖으로 빠져나가면서 세포가 파괴되고 해동 과정에서 식감이 변해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저장실의 온도 조건을 현재의 냉동실 온도보다 현저히 낮은 극저온 상태로 만들어서, 음식물이 냉동 상태로 변화될 때 빙결점 온도 대역을 빠르게 지나가도록 하면 세포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해동 후에도 육질과 식감이 냉동 전의 상태에 가까운 상태로 되돌아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극저온 이라 함은 -45℃ ~ -50℃ 범위의 온도를 말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최근에는 냉동실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심온실이 구비된 냉장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심온실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냉매를 이용한 냉각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열전 소자(TEM : ThermoElectric Module)를 이용하여 심온실 온도를 극저온으로 낮추는 시도를 하고 있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는 열전 소자를 이용한 심온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 따르면, 열전 소자의 발열면에는 팽창변을 통과한 냉매가 흐르는 냉매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증발기가 부착되어, 열전 소자의 흡열면에서 흡수되어 발열면으로 전달되는 열이 증발기로 방출되도록 한다.
열전 소자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지는 흡열면과 발열면 사이에 반도체가 배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일 면은 흡열면으로 작용하고 타 면은 발열면으로 작용하는 특성을 가진다.
열전 소자의 흡열면이 심온실에 노출되어 심온실 온도를 낮추도록 하고, 발열면이 증발기에 부착되어 열을 외부로 신속히 방출시키도록 한다.
아래의 선행 기술은 열전 소자의 발열면에서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는 히트 싱크로서 증발기가 적용되는 예가 개시되어 있기는 하나, 심온실 내부의 온도 제어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아니하다.
상세히, 심온실 모드가 온된 경우와 오프된 경우에 따라서 심온실 팬의 구동을 어떻게 제어함으로써 열전 모듈의 냉력과 효율을 극대화하고,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아니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냉장실; 상기 냉장실과 구획되는 냉동실; 상기 냉동실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냉동실과 구획되는 심온실; 상기 심온실의 온도를 냉동실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하도록 제공되는 열전 모듈; 상기 심온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심온실 내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심온실 팬; 및 상기 심온실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심온실 모드의 온/오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심온실 모드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일정 주기를 가지고 간헐적으로 상기 온도 센서를 온시켜, 상기 온도 센서가 제 1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심온실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전송한 심온실 온도가 냉동실 불만족 온도 영역에 있다고 판단되면, 심온실 온도가 냉동실 만족 온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심온실 팬을 구동시키되, 냉장실 단독 운전 중인 경우, 냉동실 도어가 개방된 경우, 및 냉동실 운전 시작 후 제 2 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심온실 팬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심온실 모드가 온된 경우와 오프된 경우 별로 심온실 팬의 구동 조건을 달리 설정하여 제어함으로써, 냉장고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심온실 모드가 오프된 경우에는 심온실 온도를 냉동실 만족 온도로 유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심온실을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심온실 온도를 불필요하게 극저온으로 냉각시키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심온실 모드가 오프된 경우에도 심온실 온도를 냉동실 만족 온도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심온실 모드가 온되었을 때 심온실 온도를 심온실 만족 온도로 냉각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심온실 모드가 오프된 경우에도 심온실 온도를 냉동실 만족 온도로 유지되로고 함으로써, 심온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부하가 냉동실 부하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심온실 모드가 오프된 경우에는 일정 주기를 가지고 간헐적으로 심온실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에 따라 심온실 팬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심온실 온도 유지를 위해 제공되는 전장 부품들에 소모되는 대기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메인 제어부와, 심온실 제어만을 위한 서브 제어부가 별도로 제공됨으로써, 메인 제어부의 공용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일곱째, 심온실 팬의 정지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심온실 팬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 동안 저속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심온실 팬의 결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냉장고의 냉매 순환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과 심온실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3-3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4는 입력 전압 및 푸리에 효과에 대한 냉력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입력 전압 및 푸리에 효과에 대한 효율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은 전압에 따른 냉력과 효율의 상관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7은 고내 부하 변동에 따른 냉장고 제어를 위한 기준 온도선을 보여주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온실 팬 출력 제어를 위한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과 심온실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3-3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4는 입력 전압 및 푸리에 효과에 대한 냉력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입력 전압 및 푸리에 효과에 대한 효율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은 전압에 따른 냉력과 효율의 상관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7은 고내 부하 변동에 따른 냉장고 제어를 위한 기준 온도선을 보여주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온실 팬 출력 제어를 위한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냉장고의 냉매 순환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제 1 냉각기(first cooling device) 에 의해 냉각되어 소정의 온도로 제어될 수 있는 저장실을 제 1 저장실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 2 냉각기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제 1 저장실보다 낮은 온도로 제어될 수 있는 저장실 제 2 저장실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 3 냉각기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제 2 저장실보다 낮은 온도로 제어될 수 있는 저장실을 제 3 저장실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상기 제 1 냉각기는, 제1증발기와,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제 1 열전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증발기는 후술할 냉장실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상기 제 2 냉각기는, 제 2 증발기와,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제 2 열전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는 후술할 냉동실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저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상기 제 3 냉각기는, 제 3 증발기와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제 3 열전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열전 모듈을 냉각수단으로 하는 실시예들에서, 열전 모듈 대신 증발기로 대체하여 적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열전 모듈의 콜드 싱크"또는 "열전 소자의 흡열면"또는 "열전 모듈의 흡열측"은, "증발기 또는 증발기의 일측"으로 해석될 수 있다.
(2)"열전 모듈의 흡열측"은, "열전 모듈의 콜드 싱크" 또는 "열전 모듈의 흡열면"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3) 제어부가"열전 모듈에 정전압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것"은, "증발기로 냉매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것", "절환 밸브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제어되는 것", 또는 "압축기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해석될 수 있다.
(4) 제어부가 "열전 모듈에 인가되는 정전압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증발기에 흐르는 냉매의 양 또는 유속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 "절환 밸브의 개도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 압축기 출력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중 어느 하나로 해석될 수 있다.
(5) 제어부가 "열전 모듈에 인가되는 역전압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증발기에 인접하는 제상 히터에 인가되는 전압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열전 모듈에 의하여 냉각되는 저장실"을 저장실 A로 정의하고, "상기 열전 모듈에 인접하는 곳에 위치하여 상기 저장실 A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열전 모듈의 흡열면과 열교환하도록 하는 팬"을 "저장실 A 팬"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 A와 함께 냉장고를 구성하면서 냉각기에 의해 냉각되는 저장실을 "저장실 B"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냉각기 챔버"는 냉각기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정의하고,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송풍하는 팬이 추가된 구조에서는 상기 팬이 수용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상기 팬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를 저장실로 안내하는 유로나 제상수가 배출되는 유로가 추가된 구조에서는 상기 유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콜드 싱크나 그 주변에 착상된 성에나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콜드 싱크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상 히터를 콜드 싱크 제상 히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히트 싱크나 그 주변에 착상된 성에나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히트 싱크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상 히터를 히트 싱크 제상 히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냉각기나 그 주변에 착상된 성에나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냉각기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상 히터를 냉각기 제상 히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냉각기 챔버를 형성하는 벽면이나 그 주변에 착상된 성에나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냉각기 챔버를 형성하는 벽면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상 히터를 냉각기 챔버 제상 히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콜드 싱크나 그 주변에서 녹은 제상수나 수증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재결빙 또는 재착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콜드 싱크의 일측에 배치되는 히터를 콜드 싱크 드레인 히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히트 싱크나 그 주변에서 녹은 제상수나 수증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재결빙 또는 재착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히트 싱크의 일측에 배치되는 히터를 히트 싱크 드레인 히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냉각기나 그 주변에서 녹은 제상수나 수증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재결빙 또는 재착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히터를 냉각기 드레인 히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냉각기 챔버를 형성하는 벽면이나 그 주변에서 녹은 제상수나 수증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재결빙 또는 재착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기 챔버를 형성하는 벽면의 일측에 배치되는 히터를 냉각기 챔버 드레인 히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될 "콜드 싱크 히터"는 상기 콜드 싱크 제상 히터의 기능과 상기 콜드 싱크 드레인 히터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히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히트 싱크 히터"는 상기 히트 싱크 제상 히터의 기능과 상기 히트 싱크 드레인 히터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히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냉각기 히터"는, 상기 냉각기 제상 히터의 기능과 상기 냉각기 드레인 히터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히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될 "백히터"는 상기 히트 싱크 히터의 기능과 상기 냉각기 챔버 제상 히터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히터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백히터는, 히트 싱크 제상 히터, 히터 싱크 드레인 히터, 및 냉각기 챔버 제상 히터의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히터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 상기 제 1 저장실은 상기 제 1 냉각기에 의해 영상의 온도로 제어될 수 있는 냉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저장실은, 상기 제 2 냉각기에 의해 영하의 온도로 제어될 수 있는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저장실은, 상기 제 3 냉각기에 의해 극저온(cryogenic temperature) 또는 초저온(ultrafrezing temperature)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는 심온실(deep freezing compartmen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내지 제 3 저장실이 모두 영하의 온도로 제어되는 경우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저장실이 모두 영상의 온도로 제어되는 경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저장실은 영상의 온도로 제어되고, 상기 제 3 저장실은 영하의 온도로 제어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냉장고의 "운전"은 운전시작조건 또는 운전투입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I)와, 운전투입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미리 정해진 운전이 수행되는 단계(II)와, 운전완료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III), 및 운전완료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운전이 종료되는 단계(IV)의 4가지 운전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냉장고의 저장실 냉각을 위한 "운전"은, 일반 운전과 특수 운전으로 구분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일반 운전은, 저장실 도어의 개방이나 음식물 저장에 따른 부하 투입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고내 온도가 상승하였을 때 수행되는 냉각 운전을 의미할 수 있다.
상세히, 저장실의 온도가 불만 온도 영역(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진입하여 운전투입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저장실의 냉각을 위해 제어부가 상기 저장실의 냉각기로부터 냉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일반운전은 냉장실 냉각운전, 냉동실 냉각운전, 심온실 냉각운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특수운전은, 상기 일반운전으로 정의되는 운전을 제외한 운전을 의미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특수 운전은, 저장실의 제상주기가 경과하여 냉각기에 착상된 성에나 얼음을 녹이기 위해 상기 냉각기에 열을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제상 운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수 운전은, 저장실의 도어가 개방된 후 닫힌 시점으로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또는 설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저장실의 온도가 설정 온도로 상승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되어 운전 투입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저장실에 침투한 열부하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냉각기로부터 상기 저장실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부하 대응 운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부하 대응 운전은, 저장실 도어의 개폐 동작 이후에 저장실 내부로 침투한 부하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도어 부하 대응 운전과, 냉장고 설치 후 처음으로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저장실 내부의 부하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초기 냉기동 운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상 운전은, 냉장실 제상 운전, 냉동실 제상 운전, 및 심온실 제상 운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부하 대응 운전은, 냉장실 도어 부하 대응 운전, 냉동실 도어 부하 대응 운전, 심온실 부하 대응 운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심온실 부하 대응 운전은, 심온실 도어가 개방에 따라 부하가 증가되었을 때 수행되는 심온실 도어 부하 대응 운전 투입 조건, 심온실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심온실 내의 부하를 제거하기 위해 수행되는 심온실 초기 냉기동 운전 투입 조건, 및 심온실 제상 운전이 완료된 이후에 처음으로 시작되는 제상 후 운전 투입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면 수행되는, 심온실 부하 제거를 위한 운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세히, 심온실 도어 부하 대응 운전 투입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냉동실 도어와 심온실 도어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 후 닫힌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조건, 또는 일정 시간 이내에 심온실 온도가 설정 온도로 상승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심온실 초기 냉기동 운전 투입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냉장고 전원이 켜지고, 심온실 모드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심온실 제상 후 운전 투입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콜드 싱크 히터 오프, 백히터 오프, 콜드 싱크 제상을 위해 열전 모듈에 인가되는 역전압 중단, 콜드 싱크 제상을 위해 역전압이 인가된 후 히트 싱크 제상을 위해 열전 모듈에 인가되는 정전압 중단, 히트 싱크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온도가 설정 온도로 상승, 및 냉동실 제상 운전 종료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실과 냉동실 및 심온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장실의 운전은, 저장실 일반 운전과, 저장실 특수 운전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저장실의 운전 중 2가지 운전이 충돌하는 경우,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운전(운전 A)이 우선하여 수행되고 다른 하나의 운전(운전 B)은 중단(pause)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운전의 충돌은, i) 운전 A의 투입 조건과 운전 B의 투입 조건이 동시에 만족하여 동시에 충돌하는 경우, ii) 운전 A의 투입조건이 만족되어 운전 A가 수행되는 중에 운전 B의 투입조건이 만족되어 충돌하는 경우, iii) 운전 B의 투입 조건이 만족되어 운전 B가 수행되는 중에 운전 A의 투입조건이 만족되어 충돌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2가지 운전이 충돌하는 경우, 제어부는, 충돌하는 운전의 수행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해당 운전의 수행을 제어하기 위해, 소위 "충돌 제어 알고리즘"이 수행되도록 한다.
운전 A가 우선 수행되고, 운전 B가 중단된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상세히, 본 발명에서는 중단된 운전 B는 운전 A의 완료 후, 아래 예시의 3가지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과정을 따르도록 제어될 수 있다.
a. 운전 B의 해제(termination)
운전 A가 완료되면, 운전 B의 수행은 해제되어 상기 충돌 제어 알고리즘을 종료하고, 그 이전의 운전 단계로 되돌아가는 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해제"는, 이 경우, 중단된 상기 운전 B는 더 이상 수행되지 않을 뿐 아니라, 운전 B의 투입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도 판단하지 않는다. 즉, 운전 B의 투입 조건에 대한 판단 정보가 초기화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b. 운전 B의 투입 조건 재판단(redetermination)
우선 수행된 운전 A가 완료되면, 제어부는 상기 중단된 운전 B의 투입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서, 운전 B의 재시작(restart)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 B는 10분 동안 팬을 구동하는 운전이고, 운전 A와 충돌하여 운전 시작 후 3분이 경과된 시점에서 운전이 중단되었다면, 운전 A가 완료된 시점에서 운전 B의 투입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하고, 만족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시 10분 동안 팬을 구동하도록 한다.
c. 운전 B의 속행(continuation)
우선 수행된 운전 A가 완료되면, 제어부는 중단되었던 상기 운전 B가 속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속행"은,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중단된 운전을 이어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운전 B가 10분 동안 팬을 구동하는 운전이고, 운전 A와 충돌하여 운전 시작 후 3분이 경과된 시점에서 운전이 중단되었다면, 운전 A가 완료된 시점부터 곧바로 잔여 시간 7분 동안 압축기가 더 구동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운전의 우선순위는 아래와 같이 정해질 수 있다.
첫째, 일반 운전과 특수 운전이 충돌하면, 상기 특수운전이 우선하여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둘째, 일반 운전 간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운전의 우선 순위는 아래와 같이 정해질 수 있다.
가. 냉장실 냉각 운전과 냉동실 냉각 운전이 충돌하면, 냉장실 냉각 운전이 우선하여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나. 냉장실(또는 냉동실) 냉각 운전과 심온실 냉각 운전이 충돌하면, 냉장실(또는 냉동실) 냉각 운전이 우선하여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심온실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심온실 냉각기의 최대 냉력보다 낮은 수준의 냉력이 심온실 냉각기로부터 상기 심온실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력은, 냉각기 자체의 냉각능력과, 냉각기에 인접한 곳에 위치하는 냉각 팬의 송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온실의 냉각기가 열전모듈인 경우, 제어부는, 냉장실(또는 냉동실) 냉각운전과 심온실 냉각운전이 충돌하면, 냉장실(또는 냉동실) 냉각운전을 우선하여 수행하되, 열전모듈에 인가될 수 있는 최대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열전모듈에 입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셋째, 특수 운전 간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운전의 우선 순위는 아래와 같이 정해질 수 있다.
가. 냉장실 도어부하대응 운전과 냉동실 도어부하대응 운전이 충돌하면, 제어부는 냉장실 도어부하대응 운전이 우선하여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 냉동실 도어부하대응 운전과 심온실 도어부하대응 운전이 충돌하면, 제어부는 심온실 도어부하대응 운전이 우선하여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 냉장실 운전과 심온실 도어부하대응 운전이 충돌하면, 제어부는 냉장실 운전과 심온실 도어부하대응운전이 동시에 수행하도록 제어한 후, 냉장실 온도가 특정 온도 a에 도달하면, 심온실 도어 부하 대응 운전이 단독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심온실 도어 부하 대응 운전이 단독적으로 수행되는 도중에 냉장실 온도가 다시 상승하여 특정 온도 b(a<b)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다시 냉장실 운전과 심온실 도어부하대응운전이 동시에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에도, 냉장실 온도에 따라, 상기 심온실과 냉장실 동시 운전과 심온실 단독 운전 간의 운전 전환 과정이 반복하여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확장된 변형예로, 제어부는 심온실 부하 대응 운전의 운전투입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냉장실 운전과 심온실 도어부하대응 운전이 충돌한 경우와 동일하게 운전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상기 제 1 저장실이 냉장실, 상기 제 2 저장실이 냉동실, 상기 제 3 저장실이 심온실인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매 순환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매 순환 시스템(10)은,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압축하는 압축기(11)와, 상기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응축하는 응축기(12)와, 상기 응축기(12)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저온 저압의 2상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변과, 상기 팽창변을 통과한 냉매를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로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는 상기 압축기(11)로 유입된다. 상기의 구성들은 냉매 배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구성한다.
상세히, 상기 팽창변은, 냉장실 팽창변(14)과 냉동실 팽창변(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2)의 출구 측에서 냉매 배관은 두 갈래로 나뉘어지고, 두 갈래로 나뉘어지는 냉매 배관에 상기 냉장실 팽창변(14)과 상기 냉동실 팽창변(15)이 각각 연결된다. 즉, 상기 냉장실 팽창변(14)과 냉동실 팽창변(15)은 상기 응축기(12)의 출구에서 병렬 연결된다.
상기 응축기(12)의 출구측에서 냉매 배관이 두 갈래로 나뉘어지는 지점에 절환 밸브(13)가 장착된다. 상기 절환 밸브(13)의 개도 조절 동작에 의하여 상기 응축기(12)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냉장실 팽창변(14)과 상기 냉동실 팽창변(15) 중 어느 한 쪽으로만 흐르거나, 양 쪽으로 나뉘어 흐를 수 있다.
상기 절환 밸브(13)는 삼방 밸브일 수 있고, 운전 모드에 따라서 냉매의 흐름 방향이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삼방 밸브와 같은 하나의 절환 밸브가 상기 응축기(12)의 출구에 장착되어 냉매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고, 다른 방법으로 상기 냉장실 팽창변(14)과 냉동실 팽창변(15)의 입구 측에 개폐 밸브가 각각 장착되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증발기 배치 방식에 대한 첫번 째 예로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냉장실 팽창변(14)의 출구 측에 연결되는 냉장실 증발기(16)와, 상기 냉동실 팽창변(15)의 출구 측에 연결되는 직렬 연결되는 히트 싱크(24) 및 냉동실 증발기(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24)및 냉동실 증발기(17)는 직렬 연결되고, 상기 냉동실 팽창변을 통과한 냉매는 상기 히트 싱크(24)를 통과한 후 상기 냉동실 증발기(17)로 유입된다.
두번 째 예로서, 상기 히트 싱크(24)는 상기 냉동실 증발기(17)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냉동실 증발기(17)를 통과한 냉매가 히트 싱크(24)로 유입되는 구조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세번째 예로서, 상기 히트 싱크(24)와 냉동실 증발기(17)가 상기 냉동실 팽창변(15)의 출구단에서 병렬 연결되는 구조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히트 싱크(24)는 증발기이지만, 심온실 냉기와 열교환하는 목적이 아니라 후술할 열전 모듈의 발열면을 냉각시키는 목적으로 제공된다.
증발기의 배치 방법에 대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세 가지 예들 각각에서, 상기 절환 밸브(13)와 냉장실 팽창변(14) 및 냉장실 증발기(16)가 제거된 제 1 냉매 순환 시스템과, 냉장실 냉각용 증발기, 냉장실 냉각용 팽창변, 냉장실 냉각용 응축기, 냉장실 냉각용 압축기로 이루어지는 제 2 냉매 순환 시스템이 조합된 복합 시스템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 1 냉매 순환 시스템을 구성하는 응축기와 상기 제 2 냉매 순환 시스템을 구성하는 응축기가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응축기이되 냉매는 혼합되지 않는 복합 응축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심온실을 포함하여 저장실이 2개인 냉장고의 냉매 순환 시스템은, 상기 제 1 냉매 순환 시스템 만으로 구성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상기 히트 싱크와 냉동실 증발기(17)가 직렬 연결되는 구조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응축기(12)에 인접하는 곳에는 응축팬(121)이 장착되고, 상기 냉장실 증발기(16)에 인접하는 곳에는 냉장실 팬(161)이 장착되며, 상기 냉동실 증발기(17)에 인접하는 곳에는 냉동실 팬(171)이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매 순환 시스템이 구비되는 냉장고의 내부에는, 상기 냉장실 증발기(16)에서 생성되는 냉기에 의하여 냉장 온도로 유지되는 냉장실과, 상기 냉동실 증발기(16)에서 생성되는 냉기에 의하여 냉동 온도로 유지되는 냉동실, 및 후술하게 될 열전 모듈에 의하여 극저온(cryogenic) 또는 초저온(ultrafrezing)의 온도로 유지되는 심온실(dee freezing compartment)(202)이 형성된다.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구획벽에 의하여 서로 구획된다. 상기 심온실은 상기 냉동실 내부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심온실이 냉동실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심온실의 냉기와 상기 냉동실의 냉기가 서로 열교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단열 성능이 높은 심온 케이스(201)에 의하여 상기 심온실(202)은 상기 냉동실로부터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 모듈은, 전원이 공급되면 한쪽 면은 열을 흡수하고 반대면은 열을 방출하는 특징을 보이는 열전 소자(21)와, 상기 열전 소자(21)의 흡열면에 장착되는 콜드 싱크(cold sink)(22)와, 상기 열전 소자(21)의 발열면에 장착되는 히트 싱크(heat sink)와, 상기 콜드 싱크(22)와 히트 싱크 간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단열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트 싱크(24)는 상기 열전 소자(21)의 발열면에 접촉되는 증발기이다. 즉, 상기 열전 소자(21)의 발열면으로 전달되는 열은 상기 히트 싱크(24)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한다. 상기 히트 싱크(24) 내부를 따라 흐르면서 상기 열전 소자(21)의 발열면으로부터 열을 흡수한 냉매는 상기 냉동실 증발기(17)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콜드 싱크(22)의 전방에는 냉각팬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냉각팬은 상기 심온실 내부 후측에 배치되므로 심온실 팬(25)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콜드 싱크(22)는 상기 심온실(202) 내부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심온실(202)의 냉기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심온실 팬(25)이 구동하여 상기 심온실(202) 냉기를 강제 순환시키면, 상기 콜드 싱크(22)는 상기 심온실 냉기와 열교환을 통하여 열을 흡수한 다음 상기 열전 소자(21)의 흡열면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흡열면으로 전달된 열은 상기 열전 소자(21)의 발열면으로 전달된다.
상기 히트 싱크(24)는 상기 열전 소자(21)의 흡열면에서 흡수되어 상기 열전 소자(21)의 발열면으로 전달된 열을 다시 흡수하여 상기 열전 모듈(20) 외부로 방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과 심온실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3-3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동실(102)을 정의하는 인너 케이스(101)와, 상기 냉동실(102)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심온 냉동 유닛(200)을 포함한다.
상세히, 냉장실 내부는 약 섭씨 3℃ 내외로 유지되고, 상기 냉동실(102) 내부는 약 -18℃ 내외로 유지되는 반면, 상기 심온 냉동 유닛(200) 내부의 온도, 즉 심온실(202) 내부 온도는 약 -50℃ 내외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심온실(202) 내부 온도를 -50℃의 극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냉동실 증발기 외에 열전 모듈(20)과 같은 부가적인 냉동 수단이 필요하다.
더욱 상세히, 상기 심온 냉동 유닛(200)은, 내부에 심온실(202)을 형성하는 심온 케이스(201)와, 상기 심온 케이스(201) 내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심온실 드로어(203), 및 상기 심온 케이스(201)의 후면에 장착되는 열전 모듈(20)을 포함한다.
상기 심온실 드로어(203)가 적용되는 대신, 상기 심온 케이스(201) 전면 일측에 심온실 도어가 연결되고, 상기 심온 케이스(201) 내부 전체가 음식물 저장 공간으로 구성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후면은 후방으로 단차져서, 상기 냉동실 증발기(17)가 수용되는 냉동 증발실(104)을 형성한다. 또한, 구획벽(103)에 의하여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내부 공간이 상기 냉동 증발실(104)과 냉동실(102)로 구획된다. 상기 열전 모듈(20)은 상기 구획벽(103)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고, 일부가 상기 심온 케이스(201)를 관통하여 상기 심온실(202) 내부에 수용된다.
상세히, 상기 열전 모듈(20)을 구성하는 상기 히트 싱크(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동실 팽창변(15)에 연결되는 증발기일 수 있다. 상기 구획벽(103)에는 상기 히트 싱크(24)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24) 내부에는 냉동실 팽창변(15)을 통과하면서 -18℃ ~ -20℃ 정도로 냉각된 2상 냉매가 흐르므로, 상기 히트 싱크(24)의 표면 온도는 -18℃~ -20℃로 유지된다. 여기서, 냉동실 팽창변(15)을 통과한 냉매의 온도와 압력은 냉동실 온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히트 싱크(24)의 전면에 상기 열전 소자(21)의 후면이 접촉되고, 상기 열전 소자(2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열전 소자(21)의 후면은 발열면이 된다.
상기 열전 소자의 전면에는 상기 콜드 싱크(22)가 접촉되고, 상기 열전 소자(2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열전 소자(21)의 전면은 흡열면이 된다.
상기 콜드 싱크(22)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는 열전도 판과, 상기 열전도판의 전면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열교환 핀(fin)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열교환핀은 수직하게 연장되고 가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열전도판과 열교환 핀으로 이루어지는 열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거나 수용하는 하우징이 제공될 경우, 상기 콜드 싱크(22)는, 상기 열전도체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도 포함하는 열전달 부재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히트 싱크(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상기 히트 싱크(22)는 열전도 판과 열교환 핀으로 이루어지는 열전도체 뿐만 아니라, 하우징이 제공될 경우 하우징을 포함하는 열전달 부재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콜드 싱크(22)의 전방에는 상기 심온실 팬(25)이 배치되어, 상기 심온실(202) 내부 공기를 강제 순환시킨다.
이하에서는 열전 소자의 효율 및 냉력에 대하여 설명한다.
열전 모듈(20)의 효율은 성능 계수(COP : Coefficient Of Performance)로 정의될 수 있고, 효율식은 아래와 같다.
Qc : 냉력(Cooling Capacity, 열을 흡수하는 능력)
Pe : 입력(Input Power, 열전 소자에 공급된 전력)
또한, 열전 모듈(20)의 냉력은 아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반도체 소재 특성 계수>
α: 제벡(Seebeck) 계수[V/K]
ρ: 비저항 [Ωm-1]
k: 열전도도[W/mk]
<반도체 구조 특성>
L : 열전 소자 두께 : 흡열면과 발열면의 거리
A : 열전 소자의 면적
<시스템 사용 조건>
i : 전류
V : 전압
Th : 열전 소자의 발열면 온도
Tc : 열전 소자이 흡열면 온도
위의 냉력 식에서, 우측 첫번 째 항은 펠티어 효과로 정의될 수 있고, 전압차에 의한 흡열면과 발열면 양단 간의 이동 열량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펠티어 효과는 전류 함수로서 공급 전류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V = iR 식에서, 열전 소자를 구성하는 반도체는 저항으로 작용하고, 상기 저항을 상수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전압과 전류는 비례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열전 소자(21)에 걸리는 전압이 증가하면 전류도 증가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펠티어 효과는 전류 함수로 볼 수도 있고 전압의 함수로 볼 수도 있다.
상기 냉력 또한 전류의 함수 또는 전압의 함수로 볼 수 있다. 상기 펠티어 효과는 상기 냉력을 증가시키는 플러스 효과로 작용한다. 즉, 공급 전압이 커지면 펠티어 효과가 증가하여 냉력이 증가한다.
상기 냉력 식에서 두번 째 항은 줄 효과(Joule Effect)로 정의된다.
상기 줄 효과는, 저항체에 전류가 인가되면 열이 발생하는 효과를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열전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면 열이 발생하므로, 이는 냉력을 감소시키는 마이너스 효과로 작용한다. 따라서, 열전 소자에 공급되는 전압이 증가하면 줄 효과가 증가하여 열전 소자의 냉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상기 냉력 식에서 세번 째 항은 푸리에 효과(Fourier Effect)로 정의된다.
상기 푸리에 효과는, 열전 소자의 양 면에 온도 차가 발생하면 열전도에 의하여 열이 이동하는 효과를 의미한다.
상세히, 상기 열전 소자는 세라믹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흡열면과 발열면, 상기 흡열면과 발열면 사이에 배치되는 반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열전 소자에 전압을 걸어주면 흡열면과 발열면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흡열면을 통하여 흡수되는 열은 반도체를 통과하여 발열면으로 전달된다. 그런데, 상기 흡열면과 발열면의 온도 차가 발생하면, 열전도에 의하여 발열면으로부터 흡열면으로 열이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를 푸리에 효과라고 한다.
상기 푸리에 효과는 줄 효과와 마찬가지로 냉력을 저하시키는 마이너스 효과로 작용한다. 다시 말하면, 공급 전류가 증가하면, 열전 소자의 발열면과 흡열면의 온도차(Th-Tc), 즉 ΔT값이 커지게 되어 냉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도 4는 입력 전압 및 푸리에 효과에 대한 냉력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푸리에 효과는 흡열면과 발열면의 온도차, 즉 ΔT의 함수로 정의할 수 있다.
상세히, 열전 소자의 규격이 결정되면, 위 냉력 식의 푸리에 효과 항에서 k,A 및 L값은 상수값이 되므로, 푸리에 효과는 ΔT를 변수로 하는 함수로 볼 수 있다.
따라서, ΔT가 커질수록 푸리에 효과값은 증가하나 푸리에 효과는 냉력에 마이너스 효과로 작용하므로 결국 냉력은 감소하게 된다.
도 4의 그래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압이 일정한 조건 하에서 ΔT가 클수록 냉력은 적음을 알 수 있다.
또한 ΔT를 고정한 상태, 예컨대 ΔT가 30℃인 경우로 한정하여 전압 변화에 따른 냉력 변화를 살펴보면, 전압값이 증가할 수록 냉력이 증가하다가 어느 지점에서 최고치를 보인 후 다시 감소하는 포물선 형태를 그리게 된다.
여기서 전압과 전류는 비례 관계에 있기 때문에 위 냉력식에 기재된 전류를 전압으로 보고 동일하게 해석하여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상세히, 공급 전압(또는 전류)이 증가함에 따라 냉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위 냉력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먼저 상기 ΔT 값을 고정하였으므로 상수가 된다. 열전 소자의 규격 별 상기 ΔT값은 정해지기 때문에, 요구되는 ΔT값에 따라 적정한 열전 소자의 규격을 설정할 수 있다.
ΔT가 고정되므로 상기 푸리에 효과는 상수로 볼 수 있고, 결국 냉력은 전압(또는 전류)의 1차 함수로 볼 수 있는 펠티어 효과와 전압(또는 전류)의 2차 함수로 볼 수 있는 줄 효과의 함수로 단순화될 수 있다.
전압 값이 점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압의 1차 함수인 펠티어 효과의 증가량이 전압의 2차 함수인 줄 효과의 증가량보다 커서, 결과적으로 냉력이 증가하는 양태를 보인다. 다시 말하면, 냉력이 최대가 될때까지는 줄 효과의 함수는 상수에 가까워서 냉력이 전압의 1차 함수에 근접하는 형태를 보이게 된다.
전압이 더 증가할 수록 펠티어 효과에 따른 이동 열량보다 줄 효과에 의한 자체 발열량이 더 커지는 역전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그 결과 냉력은 다시 감소하는 양태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전압(또는 전류)의 1차 함수인 펠티어 효과와 전압(또는 전류)의 2차 함수인 줄 효과의 함수 관계식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즉, 냉력이 감소할 때는 냉력은 전압의 2차 함수에 근접하는 형태를 보이게 된다.
도 4의 그래프 상에서는 공급 전압이 약 30 내지 40V 범위 구간,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35V일 때 냉력이 최대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냉력만 고려한다면 열전 소자에 30 내지 40V 범위 내의 전압차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말할 수 있다.
도 5는 입력 전압 및 푸리에 효과에 대한 효율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일 전압 대비 ΔT가 클수록 효율이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효율이 냉력에 비례하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라 할 것이다.
또한 ΔT를 고정한 상태, 예컨대 ΔT가 30℃인 경우로 한정하여 전압 변화에 따른 효율 변화를 살펴보면, 공급 전압이 증가할 수록 효율도 함께 증가하다가 어느 시점을 경과하면 효율이 오히려 감소하는 양태를 보인다. 이는 전압 변화에 따른 냉력 그래프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효율(COP)은 냉력 뿐만 아니라 입력 전력의 함수이기도 하며, 입력(Pe)은, 열전 소자(21)의 저항을 상수로 보면, V2 의 함수가 된다. 냉력을 V2 으로 나누면 효율은 결국, 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효율의 그래프는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은 형태를 이룬다고 볼 수 있다.
도 5의 그래프 상에서 효율이 최대인 지점은 열전 소자에 걸리는 전압차(또는 공급 전압)가 대략 20V 미만인 영역에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요구되는 ΔT가 결정되면, 그에 따라 적절한 전압을 걸어주어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히트 싱크의 온도와 심온실(202)의 설정 온도가 결정되면 ΔT가 결정되고, 그에 따라서 열전 소자에 걸리는 최적의 전압차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전압에 따른 냉력과 효율의 상관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압차가 커질수록 냉력과 효율 모두 증가후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상세히, 냉력이 최대가 되는 전압값과 효율이 최대가 되는 전압값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냉력이 최대가 될 때까지는 전압의 1차 함수이고, 효율은 전압의 2차 함수이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일례로서 ΔT가 30℃인 열전 소자의 경우 열전 소자에 걸리는 전압차가 대략 12V ~ 17V 범위 내에서 열전 소자의 효율이 가장 높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압의 범위 내에서 냉력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따라서, 냉력을 함께 고려하여 적어도 12V 이상의 전압차가 요구되고, 전압차가 14V일 때 효율이 최대임을 알 수 있다.
도 7은 고내 부하 변동에 따른 냉장고 제어를 위한 기준 온도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각 저장실의 설정 온도를 노치 온도(notch temperature)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준 온도선은 임계 온도선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그래프 상에서 하측의 기준 온도선은 만족 온도 영역과 불만족 온도 영역을 구분하는 기준 온도선이다. 따라서, 하측의 기준 온도선 아래 영역(A)은 만족 구간 또는 만족 영역으로 정의되고, 하측의 기준 온도선 위 영역(B)은 불만족 구간 또는 불만족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측의 기준 온도선은 불만족 온도 영역과 상한 온도 영역을 구분하는 기준 온도선이다. 따라서, 상측의 기준 온도선 위 영역(C)은 상한 영역 또는 상한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고, 특수 운전 영역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냉장고 제어를 위한 만족/불만족/상한 온도 영역을 정의할 때, 하측의 기준 온도선은 만족 온도 영역에 포함되도록 하는 경우와 불만 온도 영역에 포함되도록 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측의 기준 온도선은 불만 온도 영역에 포함되도록 하는 경우와 상한 온도 영역에 포함되도록 하는 경우 중 하나로 정의될 수 있다.
고내 온도가 만족 영역(A) 내에 있는 경우에는 압축기를 구동하지 않으며, 불만족 영역(B)에 있는 경우에 압축기를 구동하여 고내 온도가 만족 영역 내로 들어오도록 한다.
또한, 고내 온도가 상한 영역(C)에 있는 경우는, 고내로 온도가 높은 음식물이 투입되었거나, 해당 저장실의 도어가 개방되어 고내 부하가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보아 부하 대응 운전을 포함하는 특수 운전 알고리즘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의 (a)는 냉장실 온도 변화에 따른 냉장고 제어를 위한 기준 온도 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냉장실의 노치 온도(N1)는 영상의 온도로 설정된다. 그리고 냉장실 온도가 노치 온도(N1)로 유지되록 하기 위하여, 노치 온도(N1)보다 제 1 온도차(d1)만큼 높은 제 1 만족 임계 온도(N11)로 상승하면, 압축기를 구동하도록 제어되고, 압축기 구동 후 상기 노치 온도(N1)보다 상기 제 1 온도차(d1) 만큼 더 낮은 제 2 만족 임계 온도(N12)로 하강하면 압축기를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제 1 온도차(d1)는 상기 냉장실의 노치 온도(N1)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된 온도값으로써, 상기 냉장실 온도가 설정 온도인 노치 온도(N1)로 유지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온도 구간을 정의하는 제어 디퍼런셜(control differential) 또는 제어 디퍼런셜 온도(control diffetial temperature)로 정의될 수 있으며, 대략 1.5℃일 수 있다.
또한, 냉장실 온도가 노치 온도(N1)로부터 제 2 온도차(d2)만큼 더 높은 제 1 불만족 임계 온도(N13)로 상승하였다고 판단되면 특수 운전 알고리즘이 수행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제 2 온도차(d2)는 4.5℃일 수 있다. 상기 제 1 불만족 임계 온도는 상한 투입 온도로 정의될 수도 있다.
특수 운전 알고리즘이 수행된 이후에 고내 온도가 상기 제 1 불만족 임계 온도보다 제 3 온도차(d3)만큼 더 낮은 제 2 불만족 온도(N14)로 하강하면, 상기 특수 운전 알고리즘의 운전을 종료한다. 상기 제 2 불만족 온도(N14)는 제 1 불만족 온도(N13)보다 낮으며, 상기 제 3 온도차(d3)는 3.0℃일 수 있다. 상기 제 2 불만족 임계 온도(N14)는 상한 해제 온도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특수 운전 알고리즘이 종료한 다음에는 압축기의 냉력을 조절하여 고내 온도가 상기 제 2 만족 임계 온도(N12)에 도달하도록 한 후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한다.
도 7의 (b)는 냉동실 온도 변화에 따른 냉장고 제어를 위한 기준 온도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냉동실 온도 제어를 위한 기준 온도선의 형태는 냉장실 온도 제어를 위한 기준 온도선의 형태와 동일하되, 노치 온도(N2) 및 노치 온도(N2)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하는 온도 변화량(k1,k2,k3)이 냉장실의 노치 온도(N1)와 온도 변화량(d1,d2,d3)과 다를 뿐이다.
상기 냉동실 노치 온도(N2)는 상술한 바와 같이 -18℃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냉동실 온도가 설정 온도인 노치 온도(N2)로 유지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온도 구간을 정의하는 제어 디퍼런셜 온도(k1)는 2℃일 수 있다.
따라서, 냉동실 온도가 노치 온도(N2)보다 제 1 온도차(k1)만큼 증가한 제 1 만족 임계 온도(N21)로 증가하면 압축기를 구동하고, 노치 온도(N2) 보다 제 2 온도차(k2)만큰 증가한 제 1 불만족 임계 온도(상한 투입 온도)(N23)이면 특수 운전 알고리즘이 수행된다.
또한, 압축기 구동 후 냉동실 온도가 노치 온도(N2)보다 제 1 온도차(k1)만큼 낮은 제 2 만족 임계 온도 온도(N22)로 하강하면 압축기 구동을 정지한다.
특수 운전 알고리즘이 수행된 이후 냉동실 온도가 제 1 불만족 온도(N23)보다 제 3 온도차(k3)만큼 낮은 제 2 불만족 임계 온도(상한 해제 온도)(N24)로 하강하면 특수 운전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압축기 냉력 조절을 통하여 냉동실 온도가 제 2 만족 임계 온도(N22)로 하강하도록 한다.
한편, 심온실 모드가 꺼진 상태에서도 상기 심온실의 온도를 일정 주기를 가지고 간헐적으로 제어하여 심온실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심온실 모드가 꺼진 상태에서 상기 심온실의 온도 제어는, 도 7의 (b)에 개시되는 냉동실 온도 제어를 위한 온도 기준선을 따른다.
이와 같이, 심온실 모드가 꺼진 상태에서 냉동실 온도 제어를 위한 기준 온도선이 적용되는 이유는, 심온실이 냉동실 내부에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심온실 모드가 오프되어 심온실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심온실 내부 온도는 적어도 냉동실 온도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냉동실 부하가 증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온실 모드가 꺼진 상태에서, 심온실 노치 온도는 냉동실 노치 온도(N2)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제 1 및 제 2 만족 임계 온도와 제 1 및 제 2 불만족 임계 온도 또한 냉동실 온도 제어를 위한 임계 온도들(N21,N22,N23,N24)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도 7의 (c)는 심온실 모드가 켜진 상태에서 심온실 온도 변화에 따른 냉장고 제어를 위한 기준 온도 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심온실 모드가 켜진 상태, 즉 심온실이 온된 상태에서는 심온실 노치 온도(N3)는 냉동실 노치 온도(N2)보다 현저히 낮은 온도로 설정되며, 약 -45℃ ~ -55℃, 바람직하게는 -55℃일 수 있다. 이 경우, 심온실 노치 온도(N3)는 열전 소자(21)의 흡열면 온도에 대응되고, 냉동실 노치 온도(N2)는 열전 소자(21)의 발열면 온도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냉동실 팽창변(15)을 통과한 냉매가 히트 싱크(24)를 통과하므로, 히트 싱크(24)와 접촉하는 열전 소자(21)의 발열면의 온도는 적어도 냉동실 팽창변을 통과한 냉매의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로 유지된다. 따라서, 열전 소자의 흡열면과 발열면의 온도차, 즉 ΔT는 32℃가 된다.
한편, 심온실이 설정 온도인 노치 온도(N3)로 유지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온도 구간을 정의하는 제어 디퍼런셜 온도(m1), 즉 심온실 제어 디퍼런셜 온도는 냉동실 냉동실 제어 디퍼런셜 온도(k1)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일례로 3℃일 수 있다.
따라서, 심온실의 제 1 만족 임계 온도(N31)와 제 2 만족 임계 온도(N32) 사이 구간으로 정의되는 설정 온도 유지 간주 구간은 냉동실의 설정 온도 유지 간주 구간보다 넓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심온실 온도가 노치 온도(N3)보다 제 2 온도차(m2)만큼 높은 제 1 불만족 임계 온도(N33)로 상승하면 특수 운전 알고리즘이 수행되고, 특수 운전 알고리즘 수행 이후 심온실 온도가 상기 제 1 불만족 임계 온도(N33)보다 제 3 온도차(m3)만큼 낮은 제 2 불만족 임계 온도(N34)로 하강하면 특수 운전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기 제 2 온도차(m2)는 5℃일 수 있다.
여기서, 심온실의 제 2 온도차(m2)가 냉동실의 제 2 온도차(k2)보다 높게 설정된다. 다시 말하면, 심온실 온도 제어를 위한 제 1 불만족 임계 온도(N33)와 심온실 노치 온도(N3) 간의 간격이, 냉동실 온도 제어를 위한 제 1 불만족 임계 온도(N23)와 냉동실 노치 온도(N2) 간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는, 심온실의 내부 공간이 냉동실에 비하여 좁고, 심온 케이스(201)의 단열 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심온실 내부로 투입된 부하가 외부로 방출되는 양이 적다. 뿐만 아니라, 심온실 온도가 냉동실 온도에 비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심온실 내부로 음식물과 같은 열부하가 침투하였을 때, 열부하에 대한 반응 민감도가 매우 높다.
이 때문에, 심온실의 제 2 온도차(m2)가 냉동실의 제 2 온도차(k2)와 동일하게 설정될 경우, 부하 대응 운전과 같은 특수 운전 알고리즘의 수행 빈도가 과도하게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특수 운전 알고리즘의 수행 빈도를 낮추어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심온실의 제 2 온도차(m2)는 냉동실의 제 2 온도차(k2)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다수의 조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면 특정 단계를 수행한다고 하는 내용은, 제어부가 판단하는 시점에서 상기 다수의 조건들 중 어느 하나만 만족하면 특정 단계를 수행한다는 의미에 더하여, 다수의 조건들 중 어느 하나만, 또는 일부만, 또는 전부가 반드시 만족되어야 특정 단계를 수행한다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온실 팬 출력 제어를 위한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상세히, 도 8에 개시되는 플로차트는 심온실 모드가 온인 상태에서 심온실 팬의 출력 제어를 위한 제어 방법을 보여주고, 도 9에 개시되는 플로차트는 심온실 모드가 오프인 상태에서 심온실 팬의 출력 제어를 위한 제어 방법을 보여준다.
심온실 모드가 온 상태라 함은, 사용자가 심온실 모드 실행 버튼을 눌러 심온실 모드가 수행 가능한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심온실 모드가 온된 상태에서는,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열전 모듈로 전원이 즉시 인가될 수 있다.
반대로 심온실 모드가 오프 상태라 함은, 열전 모듈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열전 모듈과 심온실 팬으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에서는 현재 상태가 심온실 모드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현재 심온실 모드가 오프 상태라고 판단되면 단계 A로 넘어가며, 이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세히, 현재 심온실 모드가 온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어부에서는 현재 운전 조건이 냉장실 단독 운전 상태인지 또는 현재 심온실 온도가 만족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여기서 도 1에서와 같이 냉장실 증발기와(16)와 히트 싱크(24)가 병렬로 연결된 경우, 특정 저장실의 단독운전이라 함은, 그 해당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각기가 증발기인 경우, 해당 저장실 증발기 쪽으로만 냉매가 흐르도록 절환 밸브(13)의 개도가 조절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또는 그 해당 저장실의 냉각기가 열전 모듈을 포함하는 다른 냉각 수단인 경우, 해당 저장실 냉각 수단만 동작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다른 측면에서, 심온실 운전은 심온실이 만족 온도 영역에 있기 때문에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고, 만족 온도 영역에 있지 아니하더라도 다른 이유로 인하여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단계 S120은, 제어부가 현재 운전 조건이 심온실 냉각을 위한 냉각운전이 되지 않는 경우와, 심온실이 만족 온도 영역에 있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다른 측면에서, S120은 제어부가 현재 운전 조건이 심온실 냉각을 위한 히트 싱크에 냉매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와, 심온실이 만족 온도 영역에 있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심온실이 만족 상태라 함은, 심온실의 온도가 도 7의 (c)에 보이는 심온실 만족 온도 영역(A)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냉장실 단독 운전이라 함은, 냉장실 냉각을 위하여 상기 절환 밸브(13)가 냉장실 팽창변(14) 쪽으로 절환되어, 냉매가 냉장실 팽창변(14) 쪽으로만 흐르는 상황을 의미한다.
냉장실 단독 운전 중이거나 심온실 온도가 만족 상태이면 심온실 팬을 정지하거나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S130). 냉장실 단독 운전 중인 경우, 냉동실 팽창변(15) 쪽으로는 냉매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히트 싱크(24)로도 냉매가 흐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열전 모듈이 냉각 부재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심온실 팬(25)은 구동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현재 심온실 온도가 만족 온도 상태라고 하면 굳이 심온실 팬을 구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심온실 팬(25)이 구동하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제어부에서는 심온실 팬의 정지 시간이 설정 시간(t1) 이상 지속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여기서 설정 시간(t1)은 60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심온실 내부의 극저온 상태에서 심온실 팬이 장시간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심온실 팬과 회전축이 결빙되어 전원이 인가되어도 회전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 시간(t1) 이상 심온실 팬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제어부에서는 심온실 팬이 저속으로 구동하도록 한다(S150). 제어부에서는 설정 시간(t2)이 경과하면 심온실 팬을 정지시키고(S160), 냉장고 전원이 오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70), 심온실 팬 구동 알고리즘을 종료하거나, 계속하여 반복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심온실 팬이 저속으로 구동하는 상기 설정 시간(t2)은 10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냉장실 단독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에서, 냉장실 단독 운전이 아니고 심온실 온도도 만족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냉동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180). 여기서, 냉장실 단독 운전이 아니라는 것은, 냉동실 단독 운전 또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동시에 냉각시키는 동시 운전 중 어느 하나의 상태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심온실 팬은 정지하거나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130)로 넘어가도록 한다. 냉동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냉동실 내부 또는 심온실 드로어를 개방하여 음식물을 투입하거나 음식물을 꺼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공기가 냉동실 또는 심온실로 침투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냉동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심온실 팬이 구동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또한, 냉동실 도어가 닫힌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냉동실 운전 시작 후 설정 시간(t3)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0). 만일, 현재 시점이 냉동실 운전 시작 후 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심온실 팬이 정지하거나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130)로 넘어간다.
즉, 현재 심온실 모드가 온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는 현재 운전 조건이 앞서 설명한 단계 S120, 단계 S180, 단계 S190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되면, 단계 S130로 넘어가도록 냉장고를 제어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는 곧, 단계 S120, 단계 S180, 단계 S190의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단계 S180과 S190의 과정은 순차적으로 수행하되 수행 순서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냉동실 운전 초기에는 냉동실 온도를 설정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 동안은 냉동실 팽창변(15)을 통과한 냉매가 냉동실 냉기와 집중적으로 열교환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설정 시간(t3)은 90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냉동실 운전 시작 후 설정 시간(t3)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현재 냉동실 온도가 만족 온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0).
즉, 현재 심온실 모드가 온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는 현재 운전 조건이 앞서 설명한 단계 S120, 단계 S180, 단계 S190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으면, 단계 S200으로 넘어가도록 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냉동실 온도가 만족 온도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심온실 팬을 저속 구동하여(S220), 냉동실 온도가 신속히 도 7의 (c)에서 보이는 만족 영역(A)까지 냉각되도록 한다.
반면, 냉동실 온도가 현재 만족 영역에 있다고 판단되면 심온실 팬을 중속으로 구동하여(S210), 심온실이 설정 온도까지 냉각되도록 한다. 냉동실 온도가 만족 온도인 경우, 냉동실 팬이 구동하지 않아서 냉동실 증발기(17)에서는 실질적으로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트 싱크(24)를 통과하는 냉매가 상기 심온실 냉기와 열교환하여 심온실 온도가 설정 온도로 신속히 냉각되도록 심온실 팬의 회전 속도를 높이는 것이 좋다.
한편, 심온실 팬이 저속 또는 중속으로 구동하고 있는 중에는 심온실 온도가 만족 영역으로 진입하였는지가 지속적으로 판단된다. 즉, 심온 모듈의 전면에 장착되어 심온실 냉기에 노출된 심온실 온도 센서(미도시)에서는 지속적으로 심온실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전송된 심온실 온도 감지값을 기반으로 심온실 온도가 만족 영역(A)으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230).
심온실 온도가 만족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냉동실 도어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80)로 되돌아가서 이후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계 S180으로 되돌아가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단계 S120, S190, 및 S200 중 어느 하나로 되돌아 가도록 제어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여기서, 심온실 팬이 저속 또는 중속으로 구동하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를 개방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심온실 팬을 즉시 중지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심온실 팬이 구동하고 있고, 심온실 온도가 만족 영역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냉동실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할 필요가 있다.
심온실 온도가 만족 영역으로 하강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심온실 팬은 저속으로 구동하도록 제어된다(S240). 만일 심온실 온도가 불만족 상태에서도 저속으로 구동하고 있었으면, 저속 운전을 계속 유지하고, 중속 이상으로 구동하고 있었으면 저속으로 속도 가변되도록 한다.
심온실 온도가 만족 영역에 있는 상태에서 심온실 팬의 저속 구동 시간이 설정 시간(t4)을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S250), 심온실 팬을 정지하는 단계(S130)로 넘어가도록 제어된다. 심온실 팬의 정지 시간이 설정 시간(t1)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반복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설정 시간(t4)은 90초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심온실 온도가 만족 영역 내로 들어온 이후에도 설정 시간(t4) 동안 심온실 팬을 더 구동시키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세히, 심온실 냉각 운전이 종료하여 열전 소자(21)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상기 모듈(20)의 콜드 싱크(22)는 심온실 온도 이하의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하기 때문에, 콜드 싱크(22)에 남아 있는 냉기를 최대한 심온실 냉기로 공급하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열전 소자로 전원 공급이 차단된 이후에도, 콜드 싱크(22)의 온도가 심온실 온도 미만인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은, 심온실 냉기와 콜드 싱크(22)가 열교환하도록 하여, 콜드 싱크(22)가 심온실 냉기로부터 열을 더 흡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콜드 싱크(22)에 남은 잔냉기를 최대한 활용하면 열전 모듈의 냉력과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심온실 온도가 만족 온도 영역에 진입하면 심온실 팬을 추가 구동하는 단계 S240 및 S250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심온실 팬을 정지하는 단계 S130으로 넘어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현재 심온실 모드가 온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는 현재 운전 조건이 앞서 설명한 단계 S120, 단계 S180, 단계 S190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으면, 냉동실 온도 만족 여부를 별도로 판단하지 않고 무조건 심온실 팬을 특정 속도로 구동하도록 하는 제어도 가능하다. 여기서 특정 속도는 저속과 중속 외에 다른 속도도 포함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다른 실시예로서, 단계 S120, S180, 및 S1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 만족하지 않아도 바로 단계 S200으로 넘어가도록 하거나, 바로 심온실 팬을 상기 특정 속도로 회전하도록 하는 단계로 넘어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8의 단계 S110에서 심온실 모드가 오프된 상태라고 제어부에서 판단하면, 도 9에 개시되는 알고리즘이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모든 저장실의 온도가 만족 온도 영역에 있어서 압축기가 휴지 기간에 진입하기 전에 증발기들에 있는 냉매를 응축기로 회수하는 펌프 다운 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펌프 다운 운전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심온실 팬을 저속 또는 중속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현재 심온실 모드가 오프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주기적으로 일정 시간 동안 심온실 온도 센서를 온시켜서 심온실 온도를 체크하도록 한다.
상세히, 심온실 모드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심온실로 공급되는 전원이 완전히 차단되기 때문에, 심온실 온도를 감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된다. 그러면, 심온실 내부에서 증가된 열부하가 냉동실로 전달되어 냉동실 부하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심온실 모드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온도 센서가 주기적으로 온되어 심온실 내부 온도를 감지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에서는 심온실 온도 체크 주기가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00), 온도 체크 주기가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단계 C로 넘어가서 심온실 모드가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0)를 반복 수행하도록 한다.
심온실 온도 체크 주기는 4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심온실 온도 체크 주기가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에서는 심온실 온도 체크 시간(t5)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
상세히, 심온실 온도 체크 주기가 경과하였다는 것은, 심온실 온도 체크 시점에 도달하였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4분이 경과하여 심온실 온도를 체크할 시점에 도달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온실 온도 체크 주기가 경과하였으면, 심온실 온도 센서로 전원을 공급하여 심온실 온도 체크가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심온실 온도 체크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심온실 온도 센서가 심온실 온도를 체크하도록 한다(S330). 심온실 온도 체크 시간은 1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심온실 온도 체크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심온실 온도 체크 주기를 초기화하여(S320), 타이머가 4분으로 재설정되도록 한다. 물론, 심온실 온도 체크 주기가 초기화되어 주기가 재설정되면, 심온실 온도 체크 시간도 0으로 재설정된다.
심온실 온도 체크 주기가 초기화된 이후에는 단계 B로 넘어가서, 도 8에 보이는 심온실 팬의 정지 시간이 설정 시간(t1)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가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에서는 심온실 온도 체크 시간 내에 심온실 온도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심온실 온도가 냉동실 만족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40). 그 이유는, 도 7의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심온실 모드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심온실 온도가 적어도 냉동실 온도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세히, 심온실 온도가 냉동실 만족 온도, 다시 말하면 심온실 온도가 도 7의 (b)에서 보이는 냉동실 만족 온도 영역(A)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심온실 온도 제어를 위해 심온실 팬을 구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는 심온실 모드가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초기 단계(S110)로 되돌아가도록 한다.
반면, 심온실 온도가 냉동실 만족 온도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심온실 모드 온인 상태에서와 동일하게, 현재 냉장실 단독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50)와, 냉동실 도어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60), 및 현재 시점이 냉동실 운전 시작 후 설정 시간(t3)이 경과하기 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37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단 과정이 수행된다. 상기 단계 S350, S360, S370에서 수행되는 판단 과정 중 복수 개의 판단 과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이들의 수행 순서에는 제약이 없음을 밝혀둔다.
심온실 온도가 도 7의 (b)에 보이는 냉동실 만족 온도 영역 (A) 내에 있다고 판단되거나, 냉장실 단독 운전 중이거나, 냉동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속하면, 심온실 팬을 정지 또는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S380).
심온실 온도를 체크하여(S330), 심온실 온도가 도 7의 (b)에 보이는 냉동실 만족 온도 영역(A)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0)를 반복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심온실 온도가 도 7의 (b)에 보이는 냉동실 만족 온도 영역 (A)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단계 S110으로 넘어가고, 냉장실 단독 운전 중이거나, 냉동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이거나, 냉동실 운전후 설정 시간(t3)이 경과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단계 S110으로 되돌아가지 않고 심온실 온도를 체크하는 단계(S330)를 반복 수행하도록 한다.
심온실 온도가 냉동실 불만족 온도이고, 냉장실 단독 운전이 아니며, 냉동실 도어가 닫힌 상태이고, 냉동실 운전 시작 후 설정 시간(t3)이 경과한 경우, 제어부는 심온실 온도 체크 시간을 초기화한다(S390). 상기 제어부에서는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TR)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00). 상기 설정 온도(TR)는 38℃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단계 S400을 생략하고 바로 심온실 팬을 특정 속도로 회전하도록 하는 방법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속도는 도 8에서 설명한 특정 속도와 동일한 의미임을 밝혀둔다.
상세히,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TR)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심온실 팬을 중속으로 구동하고(S410),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TR)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심온실 팬을 저속으로 구동한다(S420).
여기서, 현재 상태가 심온실 모드 오프 상태라 하더라도 심온실 팬을 구동하는 이유는, 냉동실 냉각 운전이 시작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열전 모듈(2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열전 모듈(21)이 적어도 냉동실 팽창변(15)을 통과한 냉매의 온도로 냉각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냉동실 운전이 수행되면, 상기 냉동실 팽창변(15)을 통과한 냉매가 상기 히트 싱크(24)를 통과한 뒤 상기 냉동실 증발기(17)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히트 싱크(24)도 약 -18℃ 정도로 냉각된다. 그러면, 상기 히트 싱크(24)와 접촉된 상기 열전 소자(21)와, 상기 열전 소자(21)의 전면에 부착된 콜드 싱크(22)도 히트 싱크(24)와 동일 유사한 온도로 냉각된다.
따라서, 상기 열전 소자(2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상기 열전 모듈(20) 자체가 하나의 냉각 부재로 기능하기 때문에, 상기 열전 모듈(20)과 심온실 냉기의 열교환을 통하여, 심온실이 냉동실 노치 온도(N2) 범위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심온실 팬이 저속 또는 중속으로 구동하는 동안 심온실 온도를 체크하는 단계(S330)를 반복 수행하여, 심온실 온도가 냉동실 만족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
이와 같이, 심온실 모드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주기적으로 심온실 온도를 체크하여 심온실 온도가 냉동실 온도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심온실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일단 심온실의 부하가 불만족 온도 또는 상한 투입 온도 이상으로 증가하면, 이를 만족 온도로 낮추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심온실 모드가 오프된 경우에도 심온실 온도를 적어도 냉동실 만족 온도로 유지함으로써, 이후에 심온실 모드 온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심온실 온도를 심온실 노치 온도(N3)로 낮추는데 걸리는 시간이 절약되고,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심온실이 구비되는 냉장고의 경우, 단일 피시비로 냉장고를 제어할 경우, 심온실 모드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열전 소자(21)와 심온실 팬(25), 심온실에 구비되는 히터(27) 및 센서들(28,29)로 대기 전력이 공급되어, 소비 전력량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심온실 제어를 위한 별도의 피시비를 구비하고, 심온실 모드가 오프 상태에서는 주기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메인 피시비(51)와 서브 피시비(52)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스위치(S1)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메인 피시비(51)에는 주제어부(52)가 구비되고, 상기 서브 피시비(52)에는 서브 제어부 (54)가 구비된다. 상기 서브 피시비(53)에는 열전 모듈 제상을 위한 제상 센서(29), 심온실 온도 체크를 위한 온도 센서(29)가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위치(S1)가 온되면 상기 온도 센서(28)와 제상 센서(29)로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상기 히터(27)는 드레인 히터 및 가스켓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내지 제 4 히터(S2,S3,S4)에 의하여 상기 서브 제어부(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열전 소자(21)는 제 5 스위치(S5)에 의하여 상기 서브 제어부(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심온실 모드 온인 경우 상기 스위치들(S1 ~ S5)이 모두 온되어 메인 피시비(51)로부터 서브 피시비(53)로 전원이 항상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반면, 심온실 모드 오프인 경우, 심온실 온도 체크 주기가 도달할 때만다 제 1 스위치(S1)가 온되어, 심온실 온도가 체크되도록 하고, 심온실 온도가 냉동실 만족 온도 이상일 경우 제 2 및 제 4 스위치(S2,S4)가 온되어 상기 심온실 팬(25)이 저속 또는 중속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메인 제어부와, 심온실 제어만을 위한 서브 제어부가 별도로 제공됨으로써, 메인 제어부의 공용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메인 제어부는 심온실이 구비된 냉장고 뿐만 아니라 심온실이 구비되지 않은 냉장고에도 공통으로 적용되고, 상기 서브 제어부는 심온실이 구비된 냉장고에만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피시비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2)
- 냉장실;
상기 냉장실과 구획되는 냉동실;
상기 냉동실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냉동실과 구획되는 심온실;
상기 심온실의 온도를 냉동실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하도록 제공되는 열전 모듈;
상기 심온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심온실 내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심온실 팬; 및
상기 심온실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심온실 모드의 온/오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심온실 모드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일정 주기를 가지고 간헐적으로 상기 온도 센서를 온시켜, 상기 온도 센서가 제 1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심온실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전송한 심온실 온도가 냉동실 불만족 온도 영역에 있다고 판단되면, 심온실 온도가 냉동실 만족 온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심온실 팬을 구동시키되,
냉장실 단독 운전 중인 경우, 냉동실 도어가 개방된 경우, 및 냉동실 운전 시작 후 제 2 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심온실 팬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온실 팬의 구동 속도는 실내 온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TR) 이상이면, 상기 심온실 팬은 중속으로 구동하고,
상기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TR) 미만이면, 상기 심온실 팬은 저속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정 시간은 9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온도는 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주기는 4분이고,
상기 제 1 설정 시간은 1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주기가 경과하지 않았거나, 상기 심온실 온도가 냉동실 만족 온도영역으로 하강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심온실 모드의 온/오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심온실 온도 체크를 위한 상기 제 1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심온실 팬의 정지 시간이 제 3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설정 시간은 6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심온실 팬의 정지 시간이 상기 제 3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심온실 팬은 저속으로 제 4 설정 시간 동안 구동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제 4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심온실 모드의 온/오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설정 시간은 1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심온실 모드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의 온 상태를 유지하여 심온실 온도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체크된 심온실 온도가 심온실 만족 온도 영역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심온실 팬의 구동이 정지 또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심온실 온도가 심온실 불만족 온도 영역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심온실 팬을 구동하되,
상기 심온실 온도가 심온실 불만족 온도 영역에 있더라도, 냉장실 단독 운전 중인 경우, 냉동실 도어가 개방된 경우, 냉동실 운전 시작 후 제 2 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되면, 상기 심온실 팬을 정지 또는 정지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삭제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심온실 온도가 심온실 불만족 온도 영역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냉동실 온도가 냉동실 만족 온도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심온실 팬의 구동 속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 온도가 냉동실 만족 온도 영역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심온실 팬은 중속으로 구동하고,
상기 냉동실 온도가 냉동실 만족 온도 영역에 있지 아니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심온실 팬은 저속으로 구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심온실 온도가 심온실 만족 온도 영역으로 하강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심온실 팬은 저속으로 제 5 설정 시간 동안 더 구동한 다음 정지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설정 시간은 9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심온실 팬이 정지한 상태에서는, 상기 심온실 팬의 정지 시간이 제 3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설정 시간은 6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심온실 팬의 정지 시간이 상기 제 3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심온실 팬은 저속으로 제 4 설정 시간 동안 구동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제 4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심온실 모드의 온/오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4018A KR102674402B1 (ko) | 2019-02-28 | 2019-02-28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PCT/KR2020/002074 WO2020175828A1 (ko) | 2019-02-28 | 2020-02-13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EP20762538.5A EP3933326A4 (en) | 2019-02-28 | 2020-02-13 | REFRIGERATOR CONTROL METHOD |
US17/434,338 US12038219B2 (en) | 2019-02-28 | 2020-02-13 | Refrigerator control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4018A KR102674402B1 (ko) | 2019-02-28 | 2019-02-28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5196A KR20200105196A (ko) | 2020-09-07 |
KR102674402B1 true KR102674402B1 (ko) | 2024-06-13 |
Family
ID=72239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4018A KR102674402B1 (ko) | 2019-02-28 | 2019-02-28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2038219B2 (ko) |
EP (1) | EP3933326A4 (ko) |
KR (1) | KR102674402B1 (ko) |
WO (1) | WO2020175828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1289B1 (ko) * | 2016-09-02 | 2018-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52586A (ko) * | 1997-12-22 | 1999-07-15 | 전주범 | 냉장고의 냉동실팬 제어방법 |
KR20000019752A (ko) * | 1998-09-15 | 2000-04-15 | 전주범 | 냉장고의 도어개방 제어방법 |
KR100456589B1 (ko) * | 2002-08-19 | 2004-11-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열전반도체소자를 사용한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KR101570348B1 (ko) * | 2008-11-19 | 2015-1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바텀프리져타입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EP2256446A3 (de) * | 2009-05-18 | 2012-08-01 | DOMETIC S.a.r.l. | Temperierbare Lagervorrichtung, insbesondere Kühl- bzw. Gefriergerät für Blutprodukte |
KR20140019594A (ko) * | 2012-08-06 | 2014-02-17 |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의 운전제어 방법 |
KR102270628B1 (ko) | 2015-02-09 | 2021-06-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FR3045635B1 (fr) | 2015-12-18 | 2019-06-07 | Nexans | Composition polymere presentant une resistance au blanchiment sous contrainte amelioree |
KR102274676B1 (ko) * | 2017-03-14 | 2021-07-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102320983B1 (ko) * | 2017-04-11 | 2021-11-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102363407B1 (ko) * | 2017-07-05 | 2022-02-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102191582B1 (ko) * | 2017-07-19 | 2020-1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
2019
- 2019-02-28 KR KR1020190024018A patent/KR10267440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2-13 US US17/434,338 patent/US12038219B2/en active Active
- 2020-02-13 WO PCT/KR2020/002074 patent/WO2020175828A1/ko unknown
- 2020-02-13 EP EP20762538.5A patent/EP3933326A4/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1289B1 (ko) * | 2016-09-02 | 2018-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933326A4 (en) | 2022-11-02 |
US12038219B2 (en) | 2024-07-16 |
EP3933326A1 (en) | 2022-01-05 |
US20220154994A1 (en) | 2022-05-19 |
WO2020175828A1 (ko) | 2020-09-03 |
KR20200105196A (ko) | 2020-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74401B1 (ko)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
KR102699772B1 (ko)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
CN113474608B (zh) | 冰箱的控制方法 | |
US12130079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 |
CN113490824B (zh) | 冰箱 | |
CN113544451B (zh) | 冰箱的控制方法 | |
KR102676330B1 (ko)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
KR102674402B1 (ko)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
KR102678956B1 (ko)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
KR102723799B1 (ko)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