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74124B1 - 포장재, 포장재의 제조 방법, 판독 장치, 수납물 관리 시스템, 단선 검지 디바이스, 개봉 검지 라벨 및 개봉 검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포장재, 포장재의 제조 방법, 판독 장치, 수납물 관리 시스템, 단선 검지 디바이스, 개봉 검지 라벨 및 개봉 검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4124B1
KR102674124B1 KR1020207006840A KR20207006840A KR102674124B1 KR 102674124 B1 KR102674124 B1 KR 102674124B1 KR 1020207006840 A KR1020207006840 A KR 1020207006840A KR 20207006840 A KR20207006840 A KR 20207006840A KR 102674124 B1 KR102674124 B1 KR 102674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ackaging material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063A (ko
Inventor
준지 와키타
세이이치로 무라세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6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25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 B65D75/327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61J1/035Blister-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18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electronic history memo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9/00Kinds or details of pack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79/02Arrangements or devices for indicating incorrect storage or trans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40Organic transistors
    • H10K10/46Field-effect transistors, e.g.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OTFT]
    • H10K10/462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 H10K10/466Lateral bottom-gate IGFETs comprising only a single g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40Organic transistors
    • H10K10/46Field-effect transistors, e.g.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OTFT]
    • H10K10/462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 H10K10/484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characterised by the channel reg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H10K85/221Carbon nano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30Compliance analysis for taking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6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using magnetic or electronic identifications, e.g. chips, RFID, electronic t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0Transpo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Wrapper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형태인 포장재는, 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갖는 포장재 본체부와, 수납부를 밀폐하는 시트와, 수납부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도록 시트에 형성되는 도선과, 도선과 접속되도록 시트에 형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를 구비한다. 당해 무선 통신 장치는, 수납부의 개봉에 수반하여 시트와 함께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한다. 당해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발신된 정보는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된다. 이들 포장재 및 판독 장치는 수납물 관리 시스템에 사용된다.

Description

포장재, 포장재의 제조 방법, 판독 장치, 수납물 관리 시스템, 단선 검지 디바이스, 개봉 검지 라벨 및 개봉 검지 시스템
본 발명은, 포장재, 포장재의 제조 방법, 판독 장치, 수납물 관리 시스템, 단선 검지 디바이스, 개봉 검지 라벨 및 개봉 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년, 블리스터 팩 또는 PTP(Press Through Package(프레스 스루 패키지)) 포장 등의 포장재로부터 수납물이 취출된 것을 검지하는 구조나, 보틀이나 주머니 등의 개봉을 검지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들 구조는, 예를 들어 환자가 처방된 약제를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양으로 복용하였는지 여부의 정보를 수집하는 복약 관리 디바이스로의 적용이나, 고가의 주류나 약 등의 물품의 용기가 개봉되었는지 여부의 확인을 가능하게 하는 개봉 검지 라벨로의 적용이 기대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3에서는, 수납물을 수납하는 수납부마다 배선을 마련하여, 수납부로부터의 수납물의 취출에 수반하는 해당 배선의 단선을 검지함으로써, 수납부의 개봉을 검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서는, 수납부의 개봉에 수반하는 배선의 단선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의 서브캐리어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수납부의 개봉을 검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5, 6에서는, 수납부마다 RFID 회로를 마련하여, 수납부로부터의 수납물의 취출에 수반하는 해당 RFID 회로의 파괴에 의해, 수납부의 개봉을 검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7에서는, RFID 태그를 사용한 개봉 검지 라벨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표 제2005-53930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76597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5/008528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10-7522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035789호 공보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12863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7-07898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4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포장재에 마련된 하나의 RFID 태그 등의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수납부의 개봉 검지를 행하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으며, 각 수납부가 개별로 분리된 경우, 이 무선 통신 장치와 각 수납부의 배선의 접속이 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각 수납부의 개봉을 검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특히, 포장재가 정제 등의 약제를 포장하는 것이면, 포장재를 약제의 수납부마다 분리하여 운반하는 장면이 많기 때문에, 상기 문제의 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포장재에 있어서의 수납부의 수가 많아지면, 이에 수반하여, 포장재에는 많은 배선이 필요해진다. 포장재에 있어서의 배선수의 증가에서 기인하여 배선의 세선화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포장재의 절곡 등, 수납물의 취출 이외의 포장재의 조작(취급)에 의해 배선이 단선되기 쉬워진다. 이 결과, 포장재로부터 수납물을 취출하는 것 이외에도 배선을 의도치 않게 단선시킬 가능성이 증가하는 점에서, 포장재로부터의 수납물의 취출 검지의 신뢰성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 내지 3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포장재에 무선 통신 장치를 장착할 필요가 있어, 고비용이 되기 때문에 1회용의 운용이 곤란한 점에서, 저비용화의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5 내지 6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수납부마다 마련된 RFID 회로의 파괴에 의해, 응답하지 않게 된 RFID 회로에 대응하는 수납부의 개봉을 검지하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수납물의 취출 이외의 포장재의 조작으로 RFID 회로가 파괴된 경우, 또는 RFID 회로가 고장난 경우, 가령 수납물이 수납부로부터 취출되지 않아도, 수납부가 개봉된 상태라고 오인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7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기존의 IC 칩을 사용한 RFID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비용이 되어 1회용의 운용이 어려워, 저비용화의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7에는 개봉 검지의 방식이 기재되어 있지 않아, 개봉 후의 통신 가부 등 상세한 것은 불분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제1 목적은, 수납부로부터의 수납물의 취출 검지의 신뢰성을 높이고, 또한 각 수납부가 개별로 분리되어도 수납부가 개봉된 것을 검지할 수 있는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2 목적은, 상기 수납물의 취출 검지의 신뢰성을 높이고, 또한 포장재가 수납부별로 분리되어도 수납부의 개봉 검지를 가능하게 하는 포장재의 제조 방법, 판독 장치 및 수납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3 목적은, 개봉 검지 센서 구비 포장재를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제4 목적은, 개봉 검지 라벨을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포장재의 수납부마다 마련된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납부의 개봉의 유무에서 상이한 신호를 발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갖는 포장재 본체부와, 상기 수납부를 밀폐하는 시트와, 상기 수납부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도록 상기 시트에 형성되는 도선과, 상기 도선과 접속되도록 상기 시트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개봉에 수반하여 상기 시트와 함께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본체부는 복수의 상기 수납부를 갖고, 상기 도선은 복수의 상기 수납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시트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시트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본체부는 복수의 상기 수납부를 갖고, 상기 도선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복수의 상기 수납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시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상기 기억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소자를 갖고, 상기 도선은 상기 메모리 소자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상기 메모리 소자로부터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상기 기억 수단은 복수의 메모리 소자를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메모리 어레이를 갖고, 상기 도선은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상기 메모리 어레이로부터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어레이는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1 배선과 교차하는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의 각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 중 1개에 접속되는 제3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3 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층을 각각 갖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를 갖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한쪽은,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중 1개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영역에 반도체층을 갖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전기 특성이 서로 다른 2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기록되는 정보는, 상기 2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임의로 조합한 배열에 의해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2종류의 메모리 소자 중, 한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는 상기 반도체층을 갖는 메모리 소자이며, 다른 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는 상기 반도체층을 갖지 않는 메모리 소자이며, 상기 한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 및 상기 다른 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는, 상기 반도체층의 유무에 의해, 서로 다른 각 정보를 각각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카본 나노 튜브, 그래핀 및 풀러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카본 나노 튜브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공액계 중합체가 부착된 카본 나노 튜브 복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각 상기 메모리 어레이는, 복수의 상기 수납부별로 상이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선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모리 소자에 접속되는 비트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상기 기억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플립플롭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도선은 상기 플립플롭 회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립플롭 회로는, 반도체층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반도체층은, 카본 나노 튜브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공액계 중합체가 부착된 카본 나노 튜브 복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변조 회로를 갖고, 상기 도선은 상기 변조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상기 변조 회로에 의해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조 회로는 스위치 회로와, 상기 스위치 회로에 접속되는 복수의 저항 소자를 갖고, 상기 도선은 상기 복수의 저항 소자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회로는 반도체층을 갖는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반도체층은, 카본 나노 튜브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공액계 중합체가 부착된 카본 나노 튜브 복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납물은 의약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의 제조 방법은, 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를 갖는 포장재 본체부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납부를 밀폐하는 시트를 구비하는 포장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시트를 구성하는 기재 상에, 상기 수납부의 밀폐되는 개구 상을 통과하는 도선과, 상기 도선에 접속되고, 상기 수납부의 개봉에 수반하여 상기 시트와 함께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형성하는 기능부 형성 공정과, 상기 수납부에 상기 수납물을 수납한 상태의 상기 포장재 본체부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도선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된 상기 시트를 첩부하고, 첩부한 상기 시트에 의해 상기 포장재 본체부의 상기 수납부를 밀폐하는 첩부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상기 기능부 형성 공정은, 상기 기억 수단의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도포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1 배선과 교차하는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의 각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를, 상기 기재 상에 구비하는 메모리 어레이를 갖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 중 1개에 접속되는 제3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3 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층을 각각 갖고, 상기 기능부 형성 공정은,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영역에, 도포법에 의해 도포층을 형성하여, 복수의 상기 수납부별로 상이한 정보가 기록된 각 상기 메모리 어레이를 복수의 상기 무선 통신 장치별로 제작하고, 상기 도포법은 잉크젯법, 디스펜서법 및 스프레이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독 장치는, 상기 발명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포장재가 갖는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발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부와, 수납물을 수납하는 상기 포장재에 있어서의 수납부의 개봉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수납부의 개봉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상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안테나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부의 개봉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발명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포장재와, 상기 포장재가 갖는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발신되며, 수납물을 수납하는 상기 포장재에 있어서의 수납부의 개봉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정보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부의 개봉의 유무를 판독하여 검지하는 판독 장치와, 상기 판독 장치와 회선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관리 장치와, 상기 관리 장치와 회선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단말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검지된 상기 수납부의 개봉의 유무를 나타내는 검지 정보를 상기 판독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검지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상기 정보의 차이는,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독출되는 정보가 상기 수납부의 개봉의 전과 후에서 변화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차이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발신되는 신호의 변조도가 상기 수납부의 개봉의 전과 후에서 상이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선 검지 디바이스는, 기재에 형성되는 도선과, 상기 도선과 접속되도록 상기 기재에 형성되고,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상기 기억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소자를 갖고, 상기 도선은 상기 메모리 소자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상기 메모리 소자로부터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선 검지 디바이스는, 기재에 형성되는 도선과, 상기 도선과 접속되도록 상기 기재에 형성되고,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상기 기억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플립플롭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도선은 상기 플립플롭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상기 플립플롭 회로로부터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선 검지 디바이스는, 기재에 형성되는 도선과, 상기 도선과 접속되도록 상기 기재에 형성되고,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변조 회로를 갖고, 상기 도선은 상기 변조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상기 변조 회로에 의해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은, 기재에 형성되는 도선과, 상기 도선과 접속되도록 상기 기재에 형성되고,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갖는 단선 검지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단선 검지 디바이스는 피개봉물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선은 상기 피개봉물의 개봉에 수반하여 상기 기재와 함께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상기 기억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소자를 갖고, 상기 도선은 상기 메모리 소자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상기 메모리 소자로부터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상기 기억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플립플롭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도선은 상기 플립플롭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상기 플립플롭 회로로부터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변조 회로를 갖고, 상기 도선은 상기 변조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상기 변조 회로에 의해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봉 검지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기재된 개봉 검지 라벨과, 상기 개봉 검지 라벨이 갖는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발신되며, 피개봉물의 개봉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정보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피개봉물의 개봉의 유무를 판독하여 검지하는 판독 장치와, 상기 판독 장치와 회선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관리 장치와, 상기 관리 장치와 회선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단말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검지된 상기 피개봉물의 개봉의 유무를 나타내는 검지 정보를 상기 판독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검지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부로부터의 수납물의 취출 검지의 신뢰성을 높이고, 또한 포장재가 수납부별로 분리되어도, 수납부가 개봉된 것을 검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내는 포장재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나타내는 포장재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수납부로부터 수납물이 취출된 상태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내는 포장재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시트에 형성되는 접속선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시트에 형성되는 접속선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수납부로부터 수납물이 취출된 상태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에 나타내는 포장재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a는,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포장재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제2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포장재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장치의 회로부에 적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접속선 및 무선 통신 장치의 형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포장재 본체부와 시트의 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에 접속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기본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에 접속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기본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c는, 도 12b에 나타내는 메모리 소자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3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c는, 도 14b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4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제5 예에 적용되는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b는, 도 16a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제6 예에 적용되는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제7 예에 적용되는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b는, 도 18a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제8 예에 적용되는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9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b는, 도 20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c는, 도 20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d는, 도 20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e는, 도 20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10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b는, 도 21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11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b는, 도 22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12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3b는, 도 23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4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다른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4c는, 도 24a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적용되는 변조 회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d는, 도 24c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변조 회로에 적용되는 저항 소자의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e는, 도 24b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적용되는 변조 회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f는, 도 24e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변조 회로에 적용되는 저항 소자의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다른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5c는, 도 25a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적용되는 변조 회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d는, 도 25b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적용되는 변조 회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수납물 관리 시스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선 검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8b는, 도 28a에 나타내는 개봉 검지 라벨 세트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28c는, 도 28a에 나타내는 개봉 검지 라벨 세트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2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일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로 소편화하기 전의 개봉 검지 라벨 시트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9b는, 도 29a에 나타내는 개봉 검지 라벨 시트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29c는, 제1 방향으로 본 개봉 검지 라벨 시트의 소편화 공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9d는, 도 29a에 나타내는 개봉 검지 라벨 시트의 H-H'선 단면도이다.
도 29e는, 제2 방향으로 본 개봉 검지 라벨 시트의 소편화 공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9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로 소편화하기 전의 개봉 검지 라벨 시트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9g는, 도 29f에 나타내는 개봉 검지 라벨 시트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29h는, 도 29f에 나타내는 개봉 검지 라벨 시트의 H-H'선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개봉 검지 라벨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제1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제2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제3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제4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제5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제6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제7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h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제8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i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제9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시스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시스템의 판독 장치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 포장재의 제조 방법, 판독 장치, 수납물 관리 시스템, 단선 검지 디바이스, 개봉 검지 라벨 및 개봉 검지 시스템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형태(예를 들어 회로 구성 등)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그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그의 형태 및 상세한 것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실시 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
(포장재의 구성)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는, 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내는 포장재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나타내는 포장재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포장재(10)는 포장재 본체부(18)와 시트(11)를 구비한다. 포장재 본체부(18)는 복수의 수납부, 예를 들어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수납부(15a 내지 15d)를 갖는다. 수납부(15a 내지 15d)는 각각 포장재 본체부(18) 중 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한 부분이다. 예를 들어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15a)는 수납물(17a)을 수납하고, 수납부(15b)는 수납물(17b)을 수납하고, 수납부(15c)는 수납물(17c)을 수납하고, 수납부(15d)는 수납물(17d)을 수납한다. 시트(11)는 이들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각 개구를 밀폐하는 것이다.
또한, 포장재(10)는 복수의 접속선(예를 들어 도 1a, 1b에 나타내는 4개의 접속선(13a 내지 13d))과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도 1a에 나타내는 4개의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를 구비한다. 이들 복수의 접속선 및 무선 통신 장치는, 복수의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각각에 대응하여 시트(11)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a,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선(13a)은 수납부(15a)에 대응하는 도선이며, 수납물(17a)을 수납한 상태에 있는 수납부(15a)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도록 시트(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접속선(13b)은 수납부(15b)에 대응하는 도선이며, 수납물(17b)을 수납한 상태에 있는 수납부(15b)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도록 시트(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접속선(13c)은 수납부(15c)에 대응하는 도선이며, 수납물(17c)을 수납한 상태에 있는 수납부(15c)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도록 시트(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접속선(13d)은 수납부(15d)에 대응하는 도선이며, 수납물(17d)을 수납한 상태에 있는 수납부(15d)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도록 시트(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무선 통신 장치(16a)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15a)에 대응하는 것이며, 접속선(13a)과 접속되도록 시트(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장치(16a)는 적어도 무선 통신용 안테나(12a)와, 무선 통신 등의 기능을 갖는 회로부(14a)를 구비한다. 접속선(13a)은, 예를 들어 회로부(14a)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수납부(15a) 상을 가로지르도록 통과하는 환상 패턴을 이루게, 회로부(14a)와 접속된다. 무선 통신 장치(16a)는, 수납부(15a)의 개봉에 수반하여 시트(11)와 함께 접속선(13a)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당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한다.
무선 통신 장치(16b)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15b)에 대응하는 것이며, 접속선(13b)과 접속되도록 시트(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무선 통신 장치(16a)와 동일하게, 무선 통신 장치(16b)는 적어도 안테나(12b)와 회로부(14b)를 구비한다. 이 회로부(14b)에는, 예를 들어 수납부(15b) 상을 가로지르도록 통과하는 환상 패턴의 접속선(13b)이 접속된다. 무선 통신 장치(16b)는, 수납부(15b)의 개봉에 수반하여 시트(11)와 함께 접속선(13b)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당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한다.
무선 통신 장치(16c)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15c)에 대응하는 것이며, 접속선(13c)과 접속되도록 시트(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무선 통신 장치(16a, 16b)와 동일하게, 무선 통신 장치(16c)는 적어도 안테나(12c)와 회로부(14c)를 구비한다. 이 회로부(14c)에는, 예를 들어 수납부(15c) 상을 가로지르도록 통과하는 환상 패턴의 접속선(13c)이 접속된다. 무선 통신 장치(16c)는, 수납부(15c)의 개봉에 수반하여 시트(11)와 함께 접속선(13c)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당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한다.
무선 통신 장치(16d)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15d)에 대응하는 것이며, 접속선(13d)과 접속되도록 시트(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c)와 동일하게, 무선 통신 장치(16d)는 적어도 안테나(12d)와 회로부(14d)를 구비한다. 이 회로부(14d)에는, 예를 들어 수납부(15d) 상을 가로지르도록 통과하는 환상 패턴의 접속선(13d)이 접속된다. 무선 통신 장치(16d)는, 수납부(15d)의 개봉에 수반하여 시트(11)와 함께 접속선(13d)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당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한다.
이하, 수납부(15a 내지 15d)는 총칭하여 「수납부(15)」라고 적절히 칭해진다. 수납부(15)는 수납부(15a 내지 15d)의 모두 또는 어느 것을 의미한다. 동일하게, 수납물(17a 내지 17d)은 총칭하여 「수납물(17)」이라 적절히 칭해진다. 수납물(17)은 수납물(17a 내지 17d)의 모두 또는 어느 것을 의미한다. 접속선(13a 내지 13d)은 총칭하여 「접속선(13)」이라 적절히 칭해진다. 접속선(13)은 접속선(13a 내지 13d)의 모두 또는 어느 것을 의미한다.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는 총칭하여 「무선 통신 장치(16)」라 적절히 칭해진다. 무선 통신 장치(16)는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의 모두 또는 어느 것을 의미한다. 안테나(12a 내지 12d)는 총칭하여 「안테나(12)」라 적절히 칭해진다. 안테나(12)는 안테나(12a 내지 12d)의 모두 또는 어느 것을 의미한다. 회로부(14a 내지 14d)는 총칭하여 「회로부(14)」라 적절히 칭해진다. 회로부(14)는 회로부(14a 내지 14d)의 모두 또는 어느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1a, 1b에서는, 4개의 수납부(15)를 갖는 포장재(10)가 예시되어 있지만, 포장재(10)가 갖는 수납부(15)의 수는, 상술한 4개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이상이면 된다. 또한, 포장재(10)의 수납부(15)에 수납되는 수납물(17)의 수는, 상술한 4개에 한정되지 않고, 수납부(15)별로 하나 이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수납부(15)에 복수의 수납물(17)이 수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수납부(15)마다 시트(11)에 마련되는 접속선(13) 및 무선 통신 장치(16)의 각 배치수는, 상술한 4개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수납부(15)당 하나 이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수납부(15)당 복수개의 접속선(13)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10)의 수납부(15)로부터 수납물(17)이 취출된 상태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내는 포장재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2a, 2b에는, 수납부(15)로부터 수납물(17)이 취출된 포장재(10)의 일 구체예로서, 수납부(15b, 15c)로부터 수납물(17b, 17c)이 각각 취출된 상태의 포장재(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재(10)의 수납부(15b, 15c)로부터 수납물(17b, 17c)(도 1b 참조)이 취출된 경우, 시트(11) 중, 이들 수납부(15b, 15c)의 개구를 밀폐하고 있었던 부분이 깨져서, 수납부(15b, 15c)가 각각 개봉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수반하여, 접속선(13b, 13c)은 각각 이 시트(11)의 각 파단 부분과 함께 절단된다.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6b)는, 접속선(13b)이 절단되기 전의 상태(도 1a 참조)인 경우, 회로부(14b)에 미리 기록되어 있었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외부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안테나(12b)로부터 발한다. 한편, 접속선(13b)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절단된 후의 상태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b)는, 접속선(13b)의 절단 전에 발신하고 있었던 정보와는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의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안테나(12b)로부터 발한다. 이 무선 통신 장치(16b)의 동작과는 독립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6c)는, 접속선(13c)이 절단되기 전의 상태(도 1a 참조)인 경우, 회로부(14c)에 미리 기록되어 있었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의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안테나(12c)로부터 발한다. 한편, 접속선(13c)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절단된 후의 상태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c)는, 접속선(13c)의 절단 전에 발신하고 있었던 정보와는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의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안테나(12c)로부터 발한다.
또한, 도 2a,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15a, 15d)로부터 수납물(17a, 17d)이 취출되지 않은 경우, 접속선(13a, 13d)은 모두 절단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a)는, 회로부(14a)에 미리 기록되어 있었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의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안테나(12a)로부터 발한다. 이것과 동일하게, 무선 통신 장치(16d)는, 회로부(14d)에 미리 기록되어 있었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의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안테나(12d)로부터 발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 장치(16a, 16d)의 각 동작은, 도 2a,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15b, 15c)가 개봉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즉, 접속선(13b, 13c)의 절단 전후에서 상이하는 무선 통신 장치(16b, 16c)의 각 동작과는 관계없이, 각각 독립적으로 행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재(10)를 구성함으로써, 수납부(15)가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를 무선 통신 장치(16)로부터 수납부(15)별로 발신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로부터의 응답 요구에 대한 무선 통신 장치(16)의 응답의 유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장치(16) 중 어느 것이 고장난 것인지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이들의 결과, 무선 통신 장치(16)의 고장 등에서 기인하여 수납부(15) 중 미개봉의 것이 개봉된 상태라고 오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수납부(15)로부터의 수납물(17)의 취출 검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6)가 고장나 있으면, 무선 통신 장치(16) 중 고장나 있는 것에서는 외부 장치에 대한 응답이 없기 때문에, 미개봉의 수납부(15)를 개봉한 것으로 오인식하지 않고, 이 응답이 없는 무선 통신 장치(16)가 고장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포장재(10)에서는, 수납부(15)별로 접속선(13) 및 무선 통신 장치(16)의 각 세트가 시트(11)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속선(13) 및 무선 통신 장치(16) 중 어느 것도 파손되지 않고, 접속선(13) 및 무선 통신 장치(16)의 각 세트를 시트(11) 및 포장재 본체부(18)와 함께 수납부(15)별로 분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장재(10)를 수납부(15)별(수납된 수납물(17)별)로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음과 함께, 분리된 시트(11) 상의 무선 통신 장치(16)로부터는, 수납부(15)가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를 개별로 발신할 수 있다. 이 결과, 가령 무선 통신 장치(16)가 수납부(15)별로 분리된 상태에서도, 무선 통신 장치(16)의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별로 분리된 상태에 있는 수납부(15)의 개봉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10)에서는, 수납부(15)의 밀폐되는 개구 상을 가로지르는 환상 패턴의 접속선(13)(도 1a 참조)이 예시되어 있었지만,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밀폐되는 개구 상을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그의 양태에 제한은 없다. 도 3a는, 포장재의 시트에 형성되는 접속선(13)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포장재의 시트에 형성되는 접속선(13)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접속선(13a 내지 13d)은 도 3a, 3b에 나타내는 포장재(10a, 10b)와 같이, 시트(11)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 있는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각 개구상을 각각 종단 또는 횡단하도록 통과하는 환상 패턴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포장재(10A)는 포장재 본체부(18)와 시트(11)를 구비한다. 포장재 본체부(18)는 복수의 수납부(15), 예를 들어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수납부(15a 내지 15d)를 갖는다. 수납부(15a 내지 15d)는 각각 포장재 본체부(18) 중의 수납물(17)을 수납하기 위한 부분이다. 예를 들어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15a)는 수납물(17a)을 수납하고, 수납부(15b)는 수납물(17b)을 수납하고, 수납부(15c)는 수납물(17c)을 수납하고, 수납부(15d)는 수납물(17d)을 수납한다. 시트(11)는 이들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각 개구를 밀폐하는 것이다.
포장재(10A)는, 복수의 접속선(13)(예를 들어 도 4a, 4b에 나타내는 4개의 접속선(13a 내지 13d))과 하나의 무선 통신 장치(16)(예를 들어 도 4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16))를 구비한다. 이들 복수의 접속선(13a 내지 13d)은 복수의 수납부(15)의 각각에 대응하여 시트(11)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a,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선(13a)은 수납부(15a)에 대응하는 도선이며, 수납물(17a)을 수납한 상태에 있는 수납부(15a)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도록 시트(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접속선(13b)은 수납부(15b)에 대응하는 도선이며, 수납물(17b)을 수납한 상태에 있는 수납부(15b)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도록 시트(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접속선(13c)은 수납부(15c)에 대응하는 도선이며, 수납물(17c)을 수납한 상태에 있는 수납부(15c)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도록 시트(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접속선(13d)은 수납부(15d)에 대응하는 도선이며, 수납물(17d)을 수납한 상태에 있는 수납부(15d)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도록 시트(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16)는 접속선(13a 내지 13d)과 접속되도록 시트(11) 상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장치(16)는 적어도 무선 통신용 안테나(12)와, 무선 통신 등의 기능을 갖는 회로부(14)를 구비한다. 접속선(13a 내지 13d)은, 예를 들어 회로부(14)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수납부(15a 내지 15d) 상을 가로지르도록 통과하는 환상 패턴을 이루게, 회로부(14)와 접속된다. 무선 통신 장치(16)는,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에 수반하여 시트(11)와 함께 접속선(13a 내지 13d)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당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한다.
또한, 도 4a, 4b에서는, 4개의 수납부(15)를 갖는 포장재(10A)가 예시되어 있지만, 포장재(10A)가 갖는 수납부(15)의 수는 상술한 4개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이상이면 된다. 또한, 포장재(10A)의 수납부(15)에 수납되는 수납물(17)의 수는, 상술한 4개에 한정되지 않고, 수납부(15)마다 하나 이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수납부(15)에 복수의 수납물(17)이 수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수납부(15)마다 시트(11)에 마련되는 접속선(13)의 각 배치수는, 상술한 4개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수납부(15)당 하나 이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수납부(15)당 복수개의 접속선(13)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수납부(15)로부터 수납물(17)이 취출된 상태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에 나타내는 포장재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5a, 5b에는, 수납부(15)로부터 수납물(17)이 취출된 포장재(10A)의 일 구체예로서, 수납부(15b, 15c)로부터 수납물(17b, 17c)이 각각 취출된 상태의 포장재(10A)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재(10A)의 수납부(15b, 15c)로부터 수납물(17b, 17c)(도 5b 참조)이 취출된 경우, 시트(11) 중, 이들 수납부(15b, 15c)의 개구를 밀폐하고 있었던 부분이 깨져서, 수납부(15b, 15c)가 각각 개봉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수반하여, 접속선(13b, 13c)은 각각 이 시트(11)의 각 파단 부분과 함께 절단된다.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6)는, 접속선(13b)이 절단되기 전의 상태(도 4a 참조)인 경우, 회로부(14)에 미리 기록되어 있었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외부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안테나(12)로부터 발한다. 한편, 접속선(13b)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절단된 후의 상태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는, 접속선(13b)의 절단 전에 발신하고 있었던 정보와는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의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안테나(12)로부터 발한다. 이 접속선(13b)과는 독립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6)는, 접속선(13c)이 절단되기 전의 상태(도 4a 참조)인 경우, 회로부(14)에 미리 기록되어 있었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의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안테나(12)로부터 발한다. 한편, 접속선(13c)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절단된 후의 상태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는, 접속선(13c)의 절단 전에 발신하고 있었던 정보와는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의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안테나(12)로부터 발한다.
또한, 도 5a,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15a, 15d)로부터 수납물(17a, 17d)이 취출되지 않은 경우, 접속선(13a, 13d)은 모두 절단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는, 회로부(14)에 미리 기록되어 있었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의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안테나(12)로부터 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재(10A)를 구성함으로써, 수납부(15)가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를 무선 통신 장치(16)로부터 수납부(15)마다 발신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로부터의 응답 요구에 대한 무선 통신 장치(16)의 응답의 유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장치(16)가 고장났는지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이들의 결과, 무선 통신 장치(16)의 고장 등에서 기인하여 미개봉의 수납부(15)를 개봉된 상태라고 오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수납부(15)로부터의 수납물(17)의 취출 검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6)가 고장나 있으면, 외부 장치에 대한 응답이 없기 때문에, 미개봉의 수납부(15)를 개봉된 것으로 오인식하지 않으며, 이 응답이 없는 무선 통신 장치(16)가 고장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10A)에서는, 수납부(15)의 밀폐되는 개구 상을 가로지르는 환상 패턴의 접속선(13)(도 4a 참조)이 예시되어 있었지만,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밀폐되는 개구 상을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그의 양태에 제한은 없다. 도 6a는,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포장재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재(10A)에 있어서 접속선(13a 내지 13d)의 일부가 공통화되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10A)로서는, 시트(11) 상에 무선 통신 장치(16)가 하나만 마련된 구성(도 6a 참조)을 예시하였지만, 무선 통신 장치(16)는 2개 이상 마련해도 된다. 도 6b는, 제2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포장재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재(10A)에 있어서, 2개의 무선 통신 장치(16a, 16b)가 마련되어 있다. 제2 변형예에 의한 포장재(10A)에 있어서는, 무선 통신 장치(16a)가 접속선(13a, 13b)과 접속되고, 무선 통신 장치(16b)가 접속선(13c, 13d)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6b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16a, 16b)는, 시트(11)의 상하 단부측에 마련되어 있지만, 무선 통신 장치(16a, 16b)를 마련하는 위치에 제한은 없고, 무선 통신 장치(16a, 16b)를 예를 들어 시트(11)의 좌우 단부측에 형성해도 되고, 시트(11)의 중앙부에 집중해서 마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16)는 그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패시브형 또는 액티브형의 RFID 기술을 사용한 무선 통신 장치여도 되고, Bluetooth(등록 상표)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 장치여도 된다. 무선 통신 장치(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안테나(12)와 회로부(14)를 구비한다(도 1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 및 도 4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16) 참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16)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16)는 안테나(12)와 회로부(14)를 구비한다. 회로부(14)는 기억부(141)와, 전원 생성부(142)와, 통신 회로(143)와, 제어 회로(146)를 구비한다.
안테나(12)는, 무선 통신 장치(16)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 등의 외부 장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기억 수단으로서의 기억부(141)는, 소정의 정보(예를 들어 ID 번호 등의 고유 정보)가 독출 가능하게 기록된 메모리 소자나, 메모리 어레이나, 플립플롭 회로 등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전원 생성부(142)는 무선 통신 장치(16)에 있어서의 정류 회로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통신 회로(143)는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회로이며, 예를 들어 복조 회로(144)와 변조 회로(145)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 회로(146)는 이들 각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테나(12) 및 회로부(14)의 각 회로는, 각각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장치(16)에 있어서, 안테나(12)는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변조파 신호)를 수신한다. 전원 생성부(142)는 안테나(12)에서 수신된 변조파 신호를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정류를 행하고, 이것에 의해 얻어진 직류 전류(전원)를 무선 통신 장치(16)의 각 구성부에 공급한다. 복조 회로(144)는 이 변조파 신호를 복조하고, 이에 의해 얻어진 전기 신호(커맨드)를 제어 회로(146)에 송신한다. 기억부(141)는 미리 기록된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제어 회로(146)는, 복조 회로(144)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바탕으로 입수한 커맨드에 기초하여, 기억부(141)로부터 정보를 독출하고, 이 독출한 정보를 변조 회로(145)에 송신한다. 변조 회로(145)는 제어 회로(146)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변조하고, 이에 의해 생성된 변조파 신호를 안테나(12)에 송신한다. 안테나(12)는 이 변조 회로(145)로부터의 변조파 신호를, 상술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로서 외부 장치에 송신한다.
또한, 회로부(14)에 포함되는 회로로서는, 무선 통신 장치(16)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의 무선 통신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이러한 회로로서는,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내는 기억부(141), 전원 생성부(142), 통신 회로(143) 및 제어 회로(146)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7에는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무선 통신 장치(16)의 회로부(14)에는, 접속선(13)이 접속되어 있다(도 1a에 나타내는 접속선(13a 내지 13d) 및 회로부(14a 내지 14d), 및 도 4a에 나타내는 접속선(13a 내지 13d) 및 회로부(14) 참조). 예를 들어, 접속선(13)은 회로부(14)를 구성하는 각 회로 중 어느 것(예를 들어, 기억부(141)나 통신 회로(143)나 제어 회로(146))과 접속된다. 접속선(13)이 접속되는 회로로서는, 무선 통신 장치(16)로부터 외부 장치에 발신되는 정보를,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는 접속선(13)의 절단 전후에서 변화시킬 수 있는 회로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제조 방법)
이어서, 참조하는 도면을 도 1a 내지 1c로 돌아가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1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도 4a 내지 4c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10A)의 구성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1b,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재 본체부(18)는, 대략 반원 형상의 볼록부로 구성된 수납부(15a 내지 15d)를 갖는다. 포장재 본체부(18)에는,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각 개구측에, 파단 가능한 시트(11)가 첩부된다.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각 개구는, 이 시트(11)에 의해 밀폐된다.
포장재 본체부(18)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환상 올레핀 코폴리머,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투명한 수지 재료, 이들 발포체의 재료, 또는 이들 재료 중에서 선택되는 2종류 이상의 재료의 적층체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시트(11)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수지 재료, 금속 재료, 종이 재료 및 그들의 적층체가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온도나 습도 등에 대한 안정성, 낮은 수증기 투과율 등의 관점에서, 금속 재료(예를 들어 금속박)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와 시트(11)의 절연을 취할 필요가 있는 점에서, 시트(11)로서, 금속박과 절연층의 적층체가 바람직하다.
시트(11)의 절연층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무기 재료, 유기 고분자 재료 또는 무기 재료 분말과 유기 재료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실리콘, 알루미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고분자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실록산, 폴리비닐페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절연층의 두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수납부(15)를 개봉할 때의 시트(11)의 파단을 용이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재봉땀이나 V자의 절입 등의 절단 가능부가, 시트(11)를 구성하는 절연층 중 적어도 수납부(15)의 개구 상에 위치하는 부분에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절연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고분자 필름을 금속박에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저항 가열 증착, 전자선 빔, 스퍼터링, 도금, CVD, 이온 플레이팅 코팅, 잉크젯, 인쇄, 스핀 코팅법, 블레이드 코팅법, 슬릿 다이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바 코터법, 주형법, 인쇄 전사법, 침지 인상법 등의 공지된 기술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절연층의 형성 방법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시트(11)를 구성하는 절연층은 단층이어도 다층이어도 된다. 또한, 이 절연층과 금속박 사이에는, 인자(印字)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인자층의 인쇄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그라비아 인쇄법 등을 들 수 있다.
시트(11)와 포장재 본체부(18)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시트(11)와 포장재 본체부(18)를 첩부하기 위한 접착층이 존재한다. 또한, 이 접착층과 시트(11) 사이에는, 인자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인자층의 인쇄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그라비아 인쇄법 등을 들 수 있다.
접속선(13)에 사용되는 재료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일반적으로 도전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도전 재료라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접속선(13)의 도전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도전성 금속 산화물, 금속, 무기 도전성 물질, 유기 도전성 물질, 도전성 폴리머, 탄소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성 금속 산화물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주석 인듐(ITO)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어 백금, 금, 은, 구리, 철, 주석, 아연, 알루미늄, 인듐, 크롬, 리튬, 나트륨, 칼륨, 세슘, 칼슘, 마그네슘, 팔라듐, 몰리브덴, 아몰퍼스 실리콘이나 폴리실리콘, 이들의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도전성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요오드화구리, 황화구리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도전성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과 폴리스티렌술폰산의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어 요오드 등의 도핑에 의해 도전율을 향상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접속선(13)의 도전 재료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도전 재료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지만, 복수의 재료를 적층 또는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접속선(13)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전막을 공지된 포토리소그래피법 등에 의해 패턴 형성하는 방법, 전극 물질의 증착이나 스퍼터링 시에 원하는 형상의 마스크를 통해 패턴 형성하는 방법, 상술한 방법으로 제작한 전극 박막을 레이저 가공에 의해 패턴 형성하는 방법, 감광성 도전 페이스트를 사용한 포토리소그래피 가공에 의해 패턴 형성하는 방법, 인쇄 방법에 의해 직접 패턴 형성하는 방법, 시트(11) 상에 첩부한 금속박을 에칭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전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저항 가열 증착, 전자선 빔, 스퍼터링, 도금, CVD, 이온 플레이팅 코팅, 잉크젯 및 인쇄 등을 들 수 있다. 접속선(13)을 직접 패턴 형성할 때의 인쇄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잉크젯이나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플렉소 인쇄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도전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제조 비용 등의 관점에서, 상술한 인쇄 방법에 의해 도전 페이스트를 시트(11) 상에 도포하여 도전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 페이스트의 건조 및 소성의 방법으로서는, 오븐, 이너트 오븐, 핫 플레이트, 적외선 등에 의한 가열 경화나 진공 경화, 크세논 플래시 램프에 의한 경화, UV 광에 의한 광경화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도통을 취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테나(예를 들어 도 1a에 나타내는 안테나(12a 내지 12d))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안테나(12)의 종류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HF(High Frequency)대에서의 통신에 사용되는 루프 안테나, 스파이럴 안테나나, UHF(Ultra High Frequency)대에서의 통신에 사용되는 다이폴 안테나, 패치 안테나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테나(12)의 패턴의 일례로서, 메안다 라인 형상의 다이폴 안테나를 주로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테나(12)에 사용되는 재료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일반적으로 도전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도전 재료라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12)의 재료로서, 상술한 접속선(13)과 동일한 도전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안테나(12)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기재 상에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안테나 시트를 시트(11) 상에 첩부하는 방법이나, 시트(11) 상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안테나에 대응하는 패턴에 인쇄하여 열이나 광에 의해 경화시키는 방법이나, 시트(11) 상에 펀칭날을 사용하여 안테나 형상으로 가공된 금속박을 전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안테나 시트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펀칭날을 사용하여 구리박이나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박을 안테나 형상으로 가공하여 기재에 전사하는 방법, 고분자 필름 등의 기재에 첩부한 금속박을, 금속박 상에 형성한 레지스트층을 마스크로 하여 에칭하는 방법, 고분자 필름 등의 기재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안테나에 대응하는 패턴에 인쇄하여 열이나 광에 의해 경화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안테나 시트의 형성 방법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로부(14)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기존의 IC 칩을 실장하는 방법이나, IC를 인쇄 등의 도포 공정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는, 회로부(14)의 형성 방법은, 후자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장치(16)의 회로부에 적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회로부(14)는 적어도, 도 8에 예시하는 박막 트랜지스터(20)와 배선(도시하지 않음)을 갖는다. 박막 트랜지스터(2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21)와, 게이트 전극(22)과, 소스 전극(25)과, 드레인 전극(26)과, 게이트 절연층(23)과, 반도체층(24)에 의해 구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20)의 구조(이하, TFT 구조라 적절히 칭함)는, 게이트 전극(22)이 반도체층(24)의 하측(기재(21)측)에 배치되고, 반도체층(24)과 동일 평면 상에 소스 전극(25) 및 드레인 전극(26)이 배치되는, 소위 보텀 게이트 구조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장치(16)의 회로부(14)에 적용되는 TFT 구조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22)이 반도체층(24)의 상측(기재(21)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반도체층(24)과 동일 평면 상에 소스 전극(25) 및 드레인 전극(26)이 배치되는, 소위 톱 게이트 구조여도 된다.
박막 트랜지스터(20)의 각 전극(게이트 전극(22), 소스 전극(25), 드레인 전극(26)) 및 배선의 형성에는, 접속선(13)과 동일한 재료 및 형성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단, 회로부(14)의 성능의 관점에서, 박막 트랜지스터(20)의 각 전극이나 배선의 가공에는 미세 가공성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회로부(14)를 도포 형성하는 경우에는, 감광성 도전 페이스트를 사용한 포토리소그래피 가공이 바람직하다. 감광성 도전 페이스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미세 가공성 및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적어도 은(Ag) 입자와 감광성 유기 성분을 함유하는 감광성 도전 페이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로부(14)를 도포 형성하는 경우, 이 회로부(14)의 도포 공정에 있어서, 회로부(14)의 배선 및 접속선(13)을 회로부(14)와 함께 도포 형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Ag 입자 등의 도전체와 감광성 유기 성분을 함유하는 감광성 도전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시트(11) 상에 도포막을 형성하고, 이 도포막을,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회로부(14)의 배선과 접속선(13)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가공하고, 회로부(14)의 배선과 접속선(13)에 대응하는 패턴을 경화시켜, 회로부(14)의 배선과 접속선(13)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회로부(14)의 배선 및 접속선(13)의 형성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도체층(24)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반도체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실리콘 반도체나 산화물 반도체 등의 무기 반도체, 펜타센이나 폴리티오펜 유도체 등의 유기 반도체, 카본 나노 튜브(CNT), 그래핀, 풀러렌 등의 카본 반도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반도체층(24)을 도포 형성할 수 있다는 관점, 및 200℃ 이하의 저온에서 반도체층(24)을 형성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유기 반도체나 카본 반도체가 바람직하다. 즉, 반도체층(24)의 재료는 CNT, 그래핀, 풀러렌 및 유기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트랜지스터 회로의 성능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 반도체층(24)의 재료는 CNT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높은 반도체 특성의 관점에서, 반도체층(24)의 재료는, CNT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공액계 중합체가 부착된 CNT 복합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CNT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공액계 중합체를 부착시킴으로써, CNT가 보유하는 높은 전기적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CNT를 반도체층 형성용 용액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CNT가 균일하게 분산된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잉크젯법 등의 도포법에 의해, CNT가 균일하게 분산된 막을 반도체층(24)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CNT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공액계 중합체가 부착된 상태」란, CNT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공액계 중합체가 피복된 상태를 의미한다. 공액계 중합체가 CNT를 피복할 수 있는 것은, 양자의 공액계 구조에서 유래하는 π 전자 구름이 겹침으로써 상호 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CNT가 공액계 중합체로 피복되어 있는지 여부는, 피복된 CNT의 반사색이 피복되지 않은 CNT의 색으로부터 공액계 중합체의 색에 가까워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량적으로는 XPS 등의 원소 분석에 의해, 부착물의 존재와, CNT에 대한 부착물의 중량비를 동정할 수 있다.
CNT에 공액계 중합체를 부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4가지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제1 방법은, 용융된 공액계 중합체 중에 CNT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방법이다. 제2 방법은, 공액계 중합체를 용매 중에 용해시켜, 이 중에 CNT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방법이다. 제3 방법은, CNT를 용매 중에 초음파 등으로 예비 분산시켜두고, 거기에 공액계 중합체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방법이다. 제4 방법은, 용매 중에 공액계 중합체와 CNT를 넣고, 이 혼합계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혼합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방법 중 어느 방법을 사용해도 되고, 복수의 방법을 조합해도 된다.
공액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티오펜계 중합체, 폴리피롤계 중합체, 폴리아닐린계 중합체, 폴리아세틸렌계 중합체, 폴리-p-페닐렌계 중합체, 폴리-p-페닐렌 비닐렌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중합체는, 단일 모노머 유닛이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다른 모노머 유닛을 블록 공중합한 것, 랜덤 공중합한 것도 사용된다. 또한, 그래프트 중합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23)에 사용되는 절연성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산화실리콘, 알루미나 등의 무기 재료,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실록산, 폴리비닐페놀, 아크릴 수지 등의 유기 고분자 재료, 또는 무기 재료 분말과 유기 재료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23)에 사용되는 절연성 재료는, 이들 중에서도, 규소 원자와 탄소 원자의 결합을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외에도, 금속 원자와 산소 원자의 결합을 포함하는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게이트 절연층(23)은 단층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층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게이트 절연층(23)의 하나의 층이 복수의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어도 되고, 게이트 절연층(23)의 복수의 층이 복수의 절연성 재료를 적층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게이트 절연층(23)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저항 가열 증착, 전자선 빔, 스퍼터링, 도금, CVD, 이온 플레이팅 코팅, 잉크젯, 인쇄, 스핀 코팅법, 블레이드 코팅법, 슬릿 다이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바 코터법, 주형법, 인쇄 전사법, 침지 인상법 등의 공지된 기술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게이트 절연층(23)의 형성 방법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회로부(14)를 시트(11) 상에 배치하는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시트(11) 상에 회로부(14)를 직접 형성해도 되고, 고분자 필름 등의 기재(21)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20)(도 8 참조)를 포함하는 회로부(14)를 형성하여, 회로부(14)를 기재(21) 채로 시트(11)에 첩부해도 된다. 또는, 안테나(12)와 같은 고분자 필름 등의 기재(21) 상에 회로부(14)를 형성하여, 회로부(14)를 기재(21) 채로 시트(11)에 첩부해도 된다.
(포장재의 제조 방법)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 9b는, 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접속선 및 무선 통신 장치(16)의 형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b는, 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포장재 본체부와 시트의 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9a, 9b에 나타내는 포장재의 제조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의 일례이며,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의 제조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제조 방법은, 수납물(17)을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15)를 갖는 포장재 본체부와, 이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15)를 밀폐하는 시트(11)를 구비하는 포장재를 제조하는 것이며, 적어도 기능부 형성 공정과 첩부 공정을 포함한다. 기능부 형성 공정은, 상술한 시트(11)를 구성하는 기재 상에, 수납부(15)의 밀폐되는 개구 상을 통과하는 도선과, 이 도선에 접속되며,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여 시트(11)와 함께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16)를 복수의 수납부(15)의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하는 공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수납물(17)을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15)를 갖는 포장재 본체부와, 이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15)를 밀폐하는 시트(11)를 구비하는 포장재를 제조하는 것이며, 적어도 기능부 형성 공정과 첩부 공정을 포함한다. 기능부 형성 공정은, 상술한 시트(11)를 구성하는 기재 상에, 수납부(15)의 밀폐되는 개구 상을 통과하는 도선을 복수의 수납부(15)의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하고, 이 도선에 접속되며,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여 시트(11)와 함께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장치(16)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첩부 공정은, 복수의 수납부(15)에 수납물(17)을 수납한 상태의 포장재 본체부와, 복수의 도선 및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16)가 기재 상에 형성된 시트(11)를 첩부하고, 이 첩부한 시트(11)에 의해 포장재 본체부의 복수의 수납부(15)를 밀폐하는 공정이다. 이하, 상술한 포장재(10)(도 1a 내지 1c 참조)를 제조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10)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10)(도 1a 참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기능부 형성 공정에서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11b) 상에, 접속선(13a 내지 13d)과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가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기재(11b)는 시트(11)(상세하게는 시트(11)의 절연층)를 구성하는 것이다. 접속선(13a 내지 13d)은 기재(11b) 중, 시트(11)에 의해 밀폐되는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각 개구가 위치하는 부분(도 9a중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나는 부분)을 각각 통과하는 환상 패턴이 되도록, 기재(11b) 상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접속선(13a)은 수납부(15a)의 밀폐되는 개구가 위치하는 부분을 통과하도록, 기재(11b) 상에 형성된다.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는 기재(11b) 상에 안테나(12a 내지 12d)와 회로부(14a 내지 14d)를 형성함으로써 제작된다. 이 때, 안테나(12a 내지 12d)는 회로부(14a 내지 14d)와 각각 접속하게 형성된다. 회로부(14a 내지 14d)는 접속선(13a 내지 13d)과 각각 접속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12a)는 회로부(14a)와 접속되고, 회로부(14a)는 접속선(13a)과 접속되고, 이들 안테나(12a) 및 회로부(14a)의 형성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16a)가 기재(11b)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재(10A)(도 4a 참조)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도, 무선 통신 장치(16)가 시트(11) 상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접속선(13a 내지 13d)이 무선 통신 장치(16)에 접속되는 것 이외에는,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기능부 형성 공정을 채용할 수 있다.
상술한 기능부 형성 공정이 행해진 후, 첩부 공정이 행해진다. 첩부 공정에서는,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15a 내지 15d)가 형성된 포장재 본체부(18)와, 접속선(13a 내지 13d) 및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도 9b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의 회로부(14a 내지 14d)가 도시되어 있음)가 형성된 기재(11b)가,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어 금속박(11a)을 통해 첩부된다. 이 때, 도 9b에 나타내는 상태 S1과 같이, 포장재 본체부(18)는 미리 수납부(15a 내지 15d) 내에 수납물(17a 내지 17d)을 각각 수납한 상태로 되어 있다. 금속박(11a) 및 기재(11b)는, 이들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각 개구측으로부터, 라미네이트 등의 방법에 의해 포장재 본체부(18)에 첩부된다. 이들 첩부에 의해, 도 9b에 나타내는 상태 S2와 같이, 금속박(11a)과 기재(11b)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시트(11)가 형성됨과 함께, 이 시트(11)에 의해 포장재 본체부(18)의 수납부(15a 내지 15d)가 수납물(17a 내지 17d)을 각각 수납한 상태에서 밀폐된다. 이 때, 금속박(11a)은 포장재 본체부(18)와 기재(11b)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10A)의 제조에 있어서도,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첩부 공정을 채용할 수 있다.
상술한 첩부 공정에 있어서, 시트(11)와 포장재 본체부(18)를 첩부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금속박(11a)을 포장재 본체부(18)에 라미네이트하고, 그 후, 이 금속박(11a)에 대하여, 기능부 형성 공정에서 접속선(13a 내지 13d) 및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가 형성된 기재(11b)를 라미네이트 등의 방법에 의해 첩부해도 된다. 또는, 금속박(11a)과, 기능부 형성 공정에서 접속선(13a 내지 13d) 및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가 형성된 기재(11b)를 라미네이트하여, 시트(11)를 형성하고, 이 시트(11)를 금속박(11a)측으로부터 포장재 본체부(18)에 라미네이트 등의 방법으로 첩부해도 된다. 또한, 금속박(11a)과 기재(11b)를 라미네이트하여 시트(11)를 형성하고, 그 후, 이 시트(11)의 기재(11b) 상에, 기능부 형성 공정에서 접속선(13a 내지 13d) 및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를 형성하고, 기능부 형성 공정 후의 시트(11)를 금속박(11a)측으로부터 포장재 본체부(18)에 라미네이트 등의 방법에 의해 첩부해도 된다. 또한,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10A)의 제조에 있어서의 첩부 공정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시트(11)는 상술한 금속박(11a) 및 기재(11b) 등의 재료 및 형성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기재(11b)는, 상술한 시트(11)의 절연층의 재료 및 형성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접속선(13a 내지 13d),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의 안테나(12a 내지 12d) 및 회로부(14a 내지 14d), 및 회로부(14) 내의 각 회로(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내는 기억부(141)나 통신 회로(143) 등)에 적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20)(도 8 참조)는 각각 상술한 재료 및 형성 방법에 의해 기재(11b) 상에 형성할 수 있다. 포장재 본체부(18)는 상술한 재료를 사용하여 성형 가공 등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10A)의 제조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상술한 기능부 형성 공정에 있어서 기재(11b) 상에 접속선(13a 내지 13d) 및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를 형성할 때, 안테나(12a 내지 12d)의 각 패턴이 형성된 안테나 시트를 기재(11b) 상에 첩부하고, 그 후, 이들 안테나(12a 내지 12d)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부(14a 내지 14d), 및 이들 회로부(14a 내지 14d)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선(13a 내지 13d)을 기재(11b) 상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회로부(14a 내지 14d) 및 접속선(13a 내지 13d)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인쇄 등의 도포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10A)의 제조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무선 통신 장치)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실시 형태는,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6)의 기본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16)는 안테나(12)와 회로부(14)를 구비한다. 회로부(14)는 기억부(141)와, 전원 생성부(142)와, 복조 회로(144) 및 변조 회로(145)에 의해 구성되는 통신 회로(143)와, 제어 회로(146)를 갖는다. 이 회로부(14) 중, 기억 수단으로서의 기억부(141)에는, 수납부(15)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는 접속선(13)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무선 통신 장치(16)는,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는 접속선(13)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기억부(141)에 기록된 정보를 변화시켜, 외부 장치에 대하여, 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한다. 이에 의해, 수납부(15)의 개봉의 유무가, 이 외부 장치에 의해 검지 가능해진다.
또한, 도 11은,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10A)에 접속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기본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있어서는, 접속하는 포장재를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10A)로 하는 것 이외에는, 상술한 도 10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16)와 동일하다.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1 예)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1 예로서는, 기억부가 적어도, 수납부(15)의 개봉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 소자를 갖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도 12a는 도 1a에 나타내는 포장재(10)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6A)의 구성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16A)의 기억부(141A)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c는 도 12b에 나타내는 메모리 소자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12c에는, 이 제1 예의 무선 통신 장치(16A)의 기억부(141A)에 적용되는 메모리 소자로서, 1비트의 메모리 소자(800)를 예시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억부(141A)는, 2비트 이상의 메모리 소자(즉, 복수의 메모리 소자(800))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16A)는 회로부(14)를 구성하는 1 회로로서, 기억부(141A)를 갖는다. 기억부(141A)는 도 10에 나타내는 기억부(141)의 일례이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소자(800)를 갖는다.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여 메모리 소자(800)에 접속된다. 기타 구성은 도 10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16)와 동일하고,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141A)는 메모리 소자(800)와, 메모리 소자(800)로부터 정보를 독출하는 디코더 등의 주변 회로(801, 802)와, 워드선(80)을 갖는다.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여, 메모리 소자(800)와 주변 회로(801, 802)에 접속된다. 즉, 기억부(141A)에 있어서 접속선(13)은 메모리 소자(800)에 접속되는 비트선과 상술한 수납부(15)의 개구 상을 통과하는 배선에 의해 구성되고, 비트선으로서 기능한다. 이 접속선(13)과 워드선(80)은, 서로 절연된 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800)는, 접속선(13)에 포함되는 비트선(제1 배선)과 워드선(80)의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또한, 기억부(141A)의 배선 구성, 메모리 소자(800) 및 주변 회로(801, 802)의 배치 등은, 도 12b에 예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 소자(800)는, 예를 들어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은 TFT 구조의 메모리 소자이다.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메모리 소자(800)는 기재(81)와, 제1 전극(85)과, 제2 전극(86)과, 제3 전극(82)과, 절연층(83)과, 반도체층(84)을 갖는다.
메모리 소자(800)에 있어서, 제3 전극(82)은 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이며, 기재(81) 상에 형성된다. 제3 전극(82)은 배선을 통해, 도 12b에 나타내는 워드선(8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전극(85)은 예를 들어 드레인 전극이며, 제2 전극(86)은 예를 들어 소스 전극이다. 제1 전극(85) 및 제2 전극(86)은 서로 이격되도록 절연층(83)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1 전극(85)은 배선을 통해, 도 12b에 나타내는 접속선(1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선(13)은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소자(800)에 있어서의 비트선을 포함하고 있다. 제2 전극(86)은 배선을 통해 기준 전위선(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절연층(83)은 제1 전극(85) 및 제2 전극(86)과 제3 전극(82)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게이트 절연층이다. 절연층(83)은 예를 들어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85) 및 제2 전극(86)과 제3 전극(82) 사이에 개재하도록 기재(81) 상에 형성된다. 반도체층(84)은 반도체 재료의 도포층 등에 의해 구성되고, 제1 전극(85)과 제2 전극(86)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다. 반도체층(84)은 이들 제1 전극(85)과 제2 전극(86) 사이의 전기 특성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영역」은, 메모리 소자의 두께 방향(예를 들어 절연층의 막 두께 방향)으로부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평면으로 본 경우에, 이들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영역에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끼워진 영역은 물론, 이 끼워진 영역에 메모리 소자의 두께 방향(예를 들어 상방)으로 면하는 영역(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끼워지지 않은 영역) 등도 포함된다.
여기서, 수납부(15)가 아직 개봉되지 않은 경우, 접속선(13)은 절단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주변 회로(801)가 메모리 소자(800)를 정보 독출 대상으로서 선택한 경우, 워드선(80)을 통해 메모리 소자(800)의 제3 전극(82)에 전압이 인가된다. 이에 의해, 제1 전극(85)과 제2 전극(86)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는, 접속선(13)을 통해 주변 회로(802)에 의해 검출된다. 이 때, 메모리 소자(800)로부터 독출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1」로 한다. 한편, 수납부(15)가 개봉된 경우,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부분에서 절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주변 회로(801)가 메모리 소자(800)를 정보 독출 대상으로서 선택해도, 주변 회로(802)는 제1 전극(85)과 제2 전극(86) 사이에 흘러드는 전류를 검출할 수 없게 된다. 이 때, 메모리 소자(800)로부터 독출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0」으로 한다.
이렇게 접속선(13)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메모리 소자(800)로부터 독출되는 정보(즉, 메모리 소자(800)에 미리 기록된 정보)를 변화시킴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6A)로부터 외부 장치에 발신되는 정보를,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여 접속선(13)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수납부(15)가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외부 장치에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2 예)
도 13a는,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141B)는, 수납부(15a 내지 15d)에 각각 대응한 메모리 소자(800a 내지 800d)를 배치하고, 메모리 소자(800a 내지 800d)를 접속선(13a 내지 13d)에 각각 접속시킴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6B)로부터 외부 장치에 발신되는 정보를,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여 접속선(13)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수납부(15)가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외부 장치에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3b에는, 각 수납부(15)에 대응하는 메모리 소자로서, 1비트의 메모리 소자(800)를 예시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2비트 이상의 메모리 소자(즉, 복수의 메모리 소자(800))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141B)는 메모리 소자(800)와, 메모리 소자(800)로부터 정보를 독출하는 디코더 등의 주변 회로(801, 802)와, 워드선(80)을 갖는다. 접속선(13a 내지 13d)은 수납부(15a 내지 15d)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여, 메모리 소자(800a 내지 800d)와 주변 회로(801, 802)에 접속된다. 즉, 기억부(141B)에 있어서 접속선(13a 내지 13d)은, 메모리 소자(800a 내지 800d)에 접속되는 비트선과 상술한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구 상을 통과하는 배선에 의해 구성되고, 비트선으로서 기능한다. 이 접속선(13a 내지 13d)과 워드선(80)은, 서로 절연된 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800a 내지 800d)는, 접속선(13a 내지 13d)에 포함되는 비트선(제1 배선)과 워드선(80)의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또한, 기억부(141B)의 배선 구성, 메모리 소자(800a 내지 800d) 및 주변 회로(801, 802)의 배치 등은, 도 13b에 예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메모리 소자의 구성 및 개봉 검지의 방법에 대하여는, 도 12a 내지 12c에 나타내는 포장재와 동일하다.
(메모리 어레이를 구비한 기억부)
한편, 무선 통신 장치(16)의 기억부(141)(도 10 참조)로서는, 또한 ID 번호 등의 고유 정보를, 상술한 수납부(15)의 개봉의 유무의 검지에 사용되는 정보 이외의 정보(기타 정보)로서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소자가 하나 이상 추가로 배열된 메모리 어레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무선 통신 장치(16)는, 접속선(13)의 절단 전후에서 상이하게 할 수 있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소자와, 이 무선 통신 장치(16)의 고유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를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메모리 어레이를, 기억부(141) 내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수납부(15)의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16)의 각 메모리 어레이에, 이들 복수의 수납부(15)별로 다른 고유 정보를 기록시킴으로써, 복수의 수납부(15)의 각각 개봉의 유무를 개별로 검지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메모리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로서는, 그 종류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재기입 가능한 메모리 소자여도 되고, ROM(Read Only Memory) 등의 독출 전용의 메모리 소자여도 된다. 정보의 개찬 방지의 관점에서는, 이들 복수의 메모리 소자로서, ROM이 바람직하다.
ROM의 방식으로서는, 기록시켜야 할 「0」 또는 「1」의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각 메모리 소자를 포토리소그래피 가공 등에 의해 구분해서 제작하고, 메모리 회로의 제조 시에 정보가 기입되는 마스크 ROM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수납부(15)별로 다른 고유 정보 등을 각 메모리 소자에 기입하는 경우에는, 각 상품(예를 들어 포장재)에 따라서 다른 마스크가 필요해지고, 이것에서 기인하여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 비용이 증대되어버린다. 따라서, 메모리 소자를 형성하는 방식으로서는, 도포법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20)의 반도체층의 특성을 구분해서 제작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억부(141)(도 10 참조)에 적용되는 메모리 어레이는, 복수의 제1 배선과, 이들 복수의 제1 배선과 교차하는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과, 이들 복수의 제1 배선과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의 각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를 기재 상에 구비한다. 이 메모리 어레이에 있어서, 복수의 메모리 소자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술한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 중 1개에 접속되는 제3 전극과, 이들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제3 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층을 각각 갖는다. 또한, 이들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어느 한쪽은, 상술한 복수의 제1 배선 중 1개에 접속된다. 이들 복수의 메모리 소자 중 적어도 하나는, 상술한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영역에 도포층을 갖는다. 이들 복수의 메모리 소자는, 상술한 도포층에 의해 상술한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전기 특성이 서로 다른 2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모리 어레이에 기록되는 정보(예를 들어 ID 번호 등의 고유 정보)는, 이들 2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임의로 조합한 배열에 의해 결정한다.
또한,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영역」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소자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평면으로 본 경우에, 이들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3 예)
도 14a는 도 1a에 나타내는 포장재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3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 14B에는, 이 제3 예의 무선 통신 장치(16C)의 기억부(141C)에 적용되는 메모리 어레이로서, 9개의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9)가 배열된 메모리 어레이(900)를 예시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억부(141C)는 복수(2개 이상)의 메모리 소자를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메모리 어레이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16C)는 회로부(14)를 구성하는 1 회로로서 기억부(141C)를 갖는다. 기억부(141C)는 도 10에 나타내는 기억부(141)의 일례이며, 메모리 어레이(900)를 갖는다.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여 메모리 어레이(900)에 접속된다. 기타 구성은 도 10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16)와 동일하고,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141C)는 메모리 어레이(900)와, 메모리 어레이(900)로부터 정보를 독출하는 디코더 등의 주변 회로(901, 902)와, 3개의 워드선(90a 내지 90c)과, 3개의 비트선(91a 내지 91c)과, 접속선(13)을 갖는다. 메모리 어레이(900)는 9개의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9)를 갖는다.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여, 메모리 어레이(900)의 메모리 소자(9009)와 주변 회로(901, 902)에 접속된다. 즉, 기억부(141C)에 있어서, 접속선(13)은 메모리 소자(9009)에 접속되는 비트선과 상술한 수납부(15)의 개구 상을 통과하는 배선에 의해 구성되고, 비트선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141C)의 배선 구성,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9) 및 주변 회로(901, 902)의 배치 등은, 도 14b에 예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워드선(90a 내지 90c)은 상술한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의 일례이다. 워드선(90a 내지 90c)은 소정의 방향을 길이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열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워드선(90a)은 주변 회로(901)와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3)에 접속된다. 워드선(90b)은 주변 회로(901)와 메모리 소자(9004 내지 9006)에 접속된다. 워드선(90c)은 주변 회로(901)와 메모리 소자(9007 내지 9009)에 접속된다. 비트선(91a 내지 91c) 및 접속선(13)에 포함되는 비트선은, 상술한 복수의 제1 배선의 일례이다. 비트선(91a 내지 91c) 및 접속선(13) 내의 비트선은, 워드선(90a 내지 90c)과 교차하는 방향을 길이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열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워드선(90a 내지 90c)과, 비트선(91a 내지 91c) 및 접속선(13) 내의 비트선은, 서로 절연된 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9)는 상술한 제1 배선과 제2 배선의 각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의 일례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8)는 워드선(90a 내지 90c)과 비트선(91a 내지 91c)의 각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8개의 영역에 각각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9009)는 워드선(90c)과 접속선(13) 내의 비트선의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도 14b에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서, 9비트분의 메모리 어레이(900)가 예시되어 있지만,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어레이(900)는 물론, 9비트분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2비트분 이상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14b에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서, 접속선(13) 내의 비트선에 접속되는 메모리 소자(9009)를 1비트의 메모리 소자로 한 경우가 예시되어 있지만,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어레이(900)는 물론, 접속선(13) 내의 비트선에 접속되는 메모리 소자(9009)로서 2비트 이상의 메모리 소자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14c는 도 14b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14c에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어레이(900)를 구성하는 2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대표하여,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3)의 일 구성예가 나타나 있다.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2종류의 메모리 소자의 일례인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3)는, 기재(92) 상에 형성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3)는 기재(92) 상에, 제1 전극(96), 제2 전극(97), 절연층(94) 및 제3 전극(93)을 갖는다. 제3 전극(93)은 절연층(94)에 의해, 제1 전극(96) 및 제2 전극(97)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1 전극(96) 및 제2 전극(97)은 예를 들어 절연층(94) 상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배열되어 있다. 또한, 기재(92)는 시트(11)(상세하게는 도 9a, 9b에 나타내는 기재(11b))여도 되고, 기타 절연성 기재여도 된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메모리 소자(9001, 9003)와 메모리 소자(9002)는, 제1 전극(96)과 제2 전극(97) 사이의 전기 특성이 서로 다른 2종류의 메모리 소자의 일례이다.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2종류의 메모리 소자 중, 한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9001, 9003)는, 제1 전극(96)과 제2 전극(97) 사이의 영역에 반도체층(95)을 더 갖는다. 반도체층(95)은 제1 전극(96)과 제2 전극(97) 사이의 영역에 도포된 반도체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층의 일례이다. 다른 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9002)는 이 영역에 반도체층(95)을 갖지 않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반도체층(95)을 제1 전극(96)과 제2 전극(97) 사이의 영역에 형성할지 여부로,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3)에 각각 기록되는 정보, 예를 들어 「0」 또는 「1」이 결정된다. 즉,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3)는 반도체층(95)의 유무에 의해, 서로 다른 각 정보를 각각 기록한다. 이렇게 2종류의 메모리 소자들에서 기록되는 정보가 상이한 것은, 각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3)의 선택 시, 즉, 각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3)의 제3 전극(93)에 일정한 전압이 부여되었을 때, 반도체층(95)을 갖는 메모리 소자(9001, 9003)에는 전류가 흐르지만, 반도체층(95)을 갖지 않는 메모리 소자(900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이다.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3)의 각각에 있어서, 제3 전극(93)은 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이며, 배선을 통해, 도 14b에 나타내는 워드선(90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전극(96)은 예를 들어 드레인 전극이다. 메모리 소자(9001)에 있어서의 제1 전극(96)은 배선을 통해, 도 14b에 나타내는 비트선(91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9002)에 있어서의 제1 전극(96)은 배선을 통해, 도 14b에 나타내는 비트선(91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9003)에 있어서의 제1 전극(96)은 배선을 통해, 도 14b에 나타내는 비트선(91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전극(97)은 예를 들어 소스 전극이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각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3)에 있어서의 제2 전극(97)은 배선을 통해 기준 전위선에 접속되어 있다.
도 14b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900)를 구성하는 9개의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9) 중,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8)는, 도 14c에 나타내는 2종류의 메모리 소자(9001, 9002) 중 어느 한쪽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소자(9004 내지 9006)의 각각에 있어서, 제3 전극(93)은 배선을 통해 워드선(90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9004)에 있어서의 제1 전극(96)은 배선을 통해 비트선(91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9005)에 있어서의 제1 전극(96)은 배선을 통해 비트선(91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9006)에 있어서의 제1 전극(96)은 배선을 통해 비트선(91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 소자(9007, 9008)의 각각에 있어서, 제3 전극(93)은 배선을 통해 워드선(90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9007)에 있어서의 제1 전극(96)은 배선을 통해 비트선(91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9008)에 있어서의 제1 전극(96)은 배선을 통해 비트선(91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각 메모리 소자(9004 내지 9008)에 있어서의 제2 전극(97)은 배선을 통해 기준 전위선에 접속되어 있다.
도 14b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900)에 있어서는,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8)가 메모리 소자(9001)에 예시되는 「반도체층(95)을 갖는 메모리 소자」와 메모리 소자(9002)에 예시되는 「반도체층(95)을 갖지 않는 메모리 소자」의 2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임의로 조합한 배열을 취함으로써, 기록되는 정보가 결정된다. 이 결정된 정보는, 메모리 어레이(900)(나아가서는, 메모리 어레이(900)를 갖는 무선 통신 장치(16C)에 대응하는 수납부(15))에 고유한 ID 번호 등의 고유 정보로서, 메모리 어레이(900)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개의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8)의 배열[메모리 소자(9001), 메모리 소자(9002), 메모리 소자(9003), 메모리 소자(9004), 메모리 소자(9005), 메모리 소자(9006), 메모리 소자(9007), 메모리 소자(9008)]에 있어서, 메모리 소자(9001, 9003, 9005, 9007)가 반도체층(95)을 갖고, 또한 메모리 소자(9002, 9004, 9006, 9008)가 반도체층(95)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1, 0, 1, 0, 1, 0, 1, 0] 또는 [0, 1, 0, 1, 0, 1, 0, 1]의 정보가, 메모리 어레이(900)에 고유 정보로서 기록된다.
한편, 메모리 소자(9009)는 도 14c에 나타내는 메모리 소자(9001)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제1 전극(96)과 제2 전극(97) 사이에 반도체층(95)을 갖고 있다. 메모리 소자(9009)에 있어서, 제3 전극(93)은 배선을 통해 워드선(90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1 전극(96)은 배선을 통해 접속선(13) 내의 비트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접속선(13)은 메모리 소자(9009)에 있어서의 비트선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메모리 소자(9009)에 있어서의 제2 전극(97)은 배선을 통해 기준 전위선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수납부(15)가 아직 개봉되지 않은 경우, 접속선(13)은 절단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주변 회로(901)가 메모리 소자(9009)를 정보 독출 대상으로서 선택한 경우, 워드선(90c)을 통해 메모리 소자(9009)의 제3 전극(93)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층(95)을 갖는 메모리 소자(9009)에는, 그 제1 전극(96)과 제2 전극(97)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는 접속선(13)을 통해 주변 회로(902)에 의해 검출된다. 이 때, 메모리 소자(9009)로부터 독출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1」로 한다. 한편, 수납부(15)가 개봉된 경우,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부분에서 절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주변 회로(901)가 메모리 소자(9009)를 정보 독출 대상으로서 선택한 경우, 반도체층(95)을 갖는 메모리 소자(9009)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가 흐르지만, 주변 회로(902)는 이 전류를 검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주변 회로(902)에서 보면, 메모리 소자(9009)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있는 상태와 동일하다. 이 때, 메모리 소자(9009)로부터 독출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0」으로 한다. 즉, 메모리 어레이(900)에 기록된 정보(메모리 어레이(900)로부터 독출되는 정보)가 수납부(15)의 개봉의 전과 후에서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8)에 상술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수납부(15)가 개봉되기 전에 있어서 메모리 어레이(900)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는,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9)의 배열[메모리 소자(9001), 메모리 소자(9002), 메모리 소자(9003), 메모리 소자(9004), 메모리 소자(9005), 메모리 소자(9006), 메모리 소자(9007), 메모리 소자(9008), 메모리 소자(9009)]에 기초하여, [1, 0, 1, 0, 1, 0, 1, 0, 1] 또는 [0, 1, 0, 1, 0, 1, 0, 1, 0]이다. 한편, 수납부(15)가 개봉된 후에 있어서 메모리 어레이(900)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는, 상술한 배열에 기초하여 [1, 0, 1, 0, 1, 0, 1, 0, 0] 또는 [0, 1, 0, 1, 0, 1, 0, 1, 1]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는 접속선(13)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메모리 어레이(900)로부터 독출되는 정보(즉, 메모리 어레이(900)에 미리 기록된 정보)를 변화시킴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6C)는 메모리 어레이(900)의 고유 정보를 유지하면서, 상술한 접속선(13)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당해 고유 정보와 함께 외부 장치에 발신할 수 있다. 이 결과, 복수의 수납부(15) 중 어느 것이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수납부(15)별로 외부 장치에서 검지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어레이(900)에 적용된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9)의 구조(TFT 구조)는, 도 14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3 전극(93)이 반도체층(95)의 하측(기재(92)측)에 배치되고, 반도체층(95)과 동일 평면 상에 제1 전극(96) 및 제2 전극(97)이 배치되는, 소위 보텀 게이트 구조이다. 그러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어레이(900)에 적용할 수 있는 TFT 구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3 전극(93)이 반도체층(95)의 상측(기재(92)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반도체층(95)과 동일 평면 상에 제1 전극(96) 및 제2 전극(97)이 배치되는, 소위 톱 게이트 구조여도 된다.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4 예)
도 15a는,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4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15b에는, 제4 예의 무선 통신 장치(16D)의 기억부(141D)에 적용되는 메모리 어레이로서, 9개의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9)가 배열된 메모리 어레이(900)를 예시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억부(141D)는 복수(2개 이상)의 메모리 소자를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메모리 어레이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141D)는 메모리 어레이(900)와, 메모리 어레이(900)로부터 정보를 독출하는 디코더 등의 주변 회로(901, 902)와, 3개의 워드선(90a 내지 90c)과, 3개의 비트선(91a 내지 91c)과, 접속선(13a 내지 13d)을 갖는다. 메모리 어레이(900)는 9개의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9)를 갖는다. 접속선(13a 내지 13d)은 수납부(15a 내지 15d)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여, 메모리 어레이(900)의 메모리 소자(9009)와 주변 회로(901, 902)에 접속된다. 즉, 기억부(141D)에 있어서, 접속선(13a 내지 13d)은 메모리 소자(9006 내지 9009)에 접속되는 비트선과 상술한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구 상을 통과하는 배선에 의해 구성되고, 비트선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141D)의 배선 구성,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9) 및 주변 회로(901, 902)의 배치 등은, 도 15b에 예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워드선(90a 내지 90c)은 상술한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의 일례이다. 워드선(90a 내지 90c)은 소정의 방향을 길이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열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워드선(90a)은 주변 회로(901)와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3)에 접속된다. 워드선(90b)은 주변 회로(901)와 메모리 소자(9004 내지 9006)에 접속된다. 워드선(90c)은 주변 회로(901)와 메모리 소자(9007 내지 9009)에 접속된다. 비트선(91a 내지 91c) 및 접속선(13a 내지 13d)에 포함되는 비트선은, 상술한 복수의 제1 배선의 일례이다. 비트선(91a 내지 91c) 및 접속선(13a 내지 13d) 내의 비트선은, 워드선(90a 내지 90c)과 교차하는 방향을 길이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열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워드선(90a 내지 90c)과, 비트선(91a 내지 91c) 및 접속선(13a 내지 13d) 내의 비트선은, 서로 절연된 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9)는, 상술한 제1 배선과 제2 배선의 각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의 일례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5)는 워드선(90a 내지 90c)과 비트선(91a 내지 91c)의 각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5개의 영역에 각각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9006)는 워드선(90b)과 접속선(13a) 내의 비트선의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9007)는 워드선(90c)과 접속선(13d) 내의 비트선의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9008)는 워드선(90c)과 접속선(13c) 내의 비트선의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9009)는 워드선(90c)과 접속선(13b) 내의 비트선의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도 15b에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서, 9비트분의 메모리 어레이(900)가 예시되어 있지만,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어레이(900)는 물론 9비트분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2비트분 이상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15b에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서, 접속선(13a 내지 13d) 내의 비트선에 접속되는 메모리 소자(9006 내지 9009)를 1비트의 메모리 소자로 한 경우가 예시되어 있지만,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어레이(900)는, 물론 접속선(13a 내지 13d) 내의 비트선에 접속되는 메모리 소자(9006 내지 9009)로서 2비트 이상의 메모리 소자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15b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900)의 III-III'선 단면도에 대하여는, 도 14c에 나타내는 단면도와 동일하다. 또한, 각 메모리 소자의 구성 및 개봉 검지의 방법에 대해서도, 도 14a 내지 14c에 나타내는 포장재의 경우와 동일하다.
즉, 도 15b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900)에 있어서는,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5)가, 도 14c에 나타내는 메모리 소자(9001)에 예시되는 「반도체층(95)을 갖는 메모리 소자」와, 메모리 소자(9002)에 예시되는 「반도체층(95)을 갖지 않는 메모리 소자」의 2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임의로 조합한 배열을 취함으로써, 기록되는 정보가 결정된다. 이 결정한 정보는, 메모리 어레이(900)(나아가서는, 메모리 어레이(900)를 갖는 무선 통신 장치(16D)에 대응하는 수납부(15))에 고유한 ID 번호 등의 고유 정보로서, 메모리 어레이(900)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개의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5)의 배열[메모리 소자(9001), 메모리 소자(9002), 메모리 소자(9003), 메모리 소자(9004), 메모리 소자(9005)]에 있어서, 메모리 소자(9001, 9003, 9005)가 반도체층(95)을 갖고, 또한 메모리 소자(9002, 9004)가 반도체층(95)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1, 0, 1, 0, 1] 또는 [0, 1, 0, 1, 0]의 정보가, 메모리 어레이(900)에 고유 정보로서 기록된다.
한편, 메모리 소자(9006 내지 9009)는, 도 14c에 나타내는 메모리 소자(9001)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제1 전극(96)과 제2 전극(97) 사이에 반도체층을 갖고 있다. 메모리 소자(9006 내지 9009)에 있어서, 제3 전극(93)은 배선을 통해 워드선(90b, 90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1 전극(96)은 배선을 통해 접속선(13a 내지 13d) 내의 비트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접속선(13)은 메모리 소자(9006 내지 9009)에 있어서의 비트선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메모리 소자(9006 내지 9009)에 있어서의 제2 전극(97)은 배선을 통해 기준 전위선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수납부(15a 내지 15d)가 아직 개봉되지 않은 경우, 접속선(13a 내지 13d)은 절단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주변 회로(901)가 메모리 소자(9006 내지 9009)를 정보 독출 대상으로서 선택한 경우, 워드선(90b, 90c)을 통해 메모리 소자(9006 내지 9009)의 제3 전극(93)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층(95)을 갖는 메모리 소자(9006 내지 9009)에는, 그 제1 전극(96)과 제2 전극(97)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는, 접속선(13a 내지 13d)을 통해 주변 회로(902)에 의해 검출된다. 이 때, 메모리 소자(9006 내지 9009)로부터 독출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1」로 한다. 한편, 수납부(15a 내지 15d)가 개봉된 경우, 접속선(13a 내지 13d)은 수납부(15a 내지 15d)의 부분에서 절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주변 회로(901)가 메모리 소자(9006 내지 9009)를 정보 독출 대상으로서 선택한 경우, 반도체층을 갖는 메모리 소자(9006 내지 9009)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가 흐르지만, 주변 회로(902)는 이 전류를 검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주변 회로(902)에서 보면, 메모리 소자(9006 내지 9009)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있는 상태와 동일하다. 이 때, 메모리 소자(9006 내지 9009)로부터 독출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0」으로 한다. 즉, 메모리 어레이(900)에 기록된 정보(메모리 어레이(900)로부터 독출되는 정보)가 수납부(15)의 개봉의 전과 후에서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5)에 상술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수납부(15)가 개봉되기 전에 있어서 메모리 어레이(900)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는,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9)의 배열[메모리 소자(9001), 메모리 소자(9002), 메모리 소자(9003), 메모리 소자(9004), 메모리 소자(9005), 메모리 소자(9006), 메모리 소자(9007), 메모리 소자(9008), 메모리 소자(9009)]에 기초하여, [1, 0, 1, 0, 1, 1, 1, 1, 1] 또는 [0, 1, 0, 1, 0, 0, 0, 0, 0]이다. 한편, 수납부(15a 내지 15d)의 모두가 개봉된 후에 있어서 메모리 어레이(900)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는, 상술한 배열에 기초하여 [1, 0, 1, 0, 1, 0, 0, 0, 0] 또는 [0, 1, 0, 1, 0, 1, 1, 1, 1]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에 수반하는 접속선(13a 내지 13d)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메모리 어레이(900)로부터 독출되는 정보(즉, 메모리 어레이(900)에 미리 기록된 정보)를 변화시킴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6D)는 메모리 어레이(900)의 고유 정보를 유지하면서, 상술한 접속선(13)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당해 고유 정보와 함께 외부 장치에 발신할 수 있다. 이 결과, 복수의 수납부(15a 내지 15d)가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외부 장치에 의해 검지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5 예)
또한, 무선 통신 장치(16)의 기억부(141E)(도 10 참조)에 적용되는 메모리 어레이로서는, 도 14b, 14c에 나타내는 구조의 메모리 어레이(900) 이외에도, 이하에 나타내는 구조의 메모리 어레이를 들 수 있다. 도 16a는 도 1a에 나타내는 포장재(10)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제5 예에 적용되는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6a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이 제5 예의 무선 통신 장치는, 기억부(141E)의 일례로서, 메모리 어레이(1000)를 갖는 기억부(141E)를 구비하고, 또한이 메모리 어레이(1000)에 접속선(13)이 접속되는 것 이외에도, 도 14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16C)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6a에는, 이 제5 예의 기억부(141E)에 적용되는 메모리 어레이로서, 9개의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9)가 배열된 메모리 어레이(1000)를 예시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억부(141E)는 복수(2개 이상)의 메모리 소자를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메모리 어레이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141E)는 메모리 어레이(1000)와, 메모리 어레이(1000)로부터 정보를 독출하는 디코더 등의 주변 회로(1001, 1002)와, 3개의 워드선(100a 내지 100c)과, 3개의 비트선(101a 내지 101c)과, 접속선(13)을 갖는다. 메모리 어레이(1000)는 9개의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9)를 갖는다.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여, 메모리 어레이(1000)의 메모리 소자(10009)와 주변 회로(1001, 1002)에 접속된다. 즉, 기억부(141E)에 있어서, 접속선(13)은, 메모리 소자(10009)에 접속되는 비트선과 상술한 수납부(15)의 개구 상을 통과하는 배선에 의해 구성되고, 비트선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141E)의 배선 구성,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9) 및 주변 회로(1001, 1002)의 배치 등은, 도 16a에 예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워드선(100a 내지 100c)은 상술한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의 일례이다. 워드선(100a 내지 100c)은 소정의 방향을 길이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열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워드선(100a)은 주변 회로(1001)와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3)에 접속된다. 워드선(100b)은 주변 회로(1001)와 메모리 소자(10004 내지 10006)에 접속된다. 워드선(100c)은 주변 회로(1001)와 메모리 소자(10007 내지 10009)에 접속된다. 비트선(101a 내지 101c) 및 접속선(13)에 포함되는 비트선은, 상술한 복수의 제1 배선의 일례이다. 비트선(101a 내지 101c) 및 접속선(13) 내의 비트선은, 워드선(100a 내지 100c)과 교차하는 방향을 길이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열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워드선(100a 내지 100c)과, 비트선(101a 내지 101c) 및 접속선(13) 내의 비트선은, 서로 절연된 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9)는, 상술한 제1 배선과 제2 배선의 각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의 일례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8)는 워드선(100a 내지 100c)과 비트선(101a 내지 101c)의 각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8개의 영역에 각각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10009)는 워드선(100c)과 접속선(13) 내의 비트선의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도 16b는 도 16a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16b에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어레이(1000)를 구성하는 2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대표하여,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3)의 일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2종류의 메모리 소자의 일례인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3)는, 기재(102) 상에 형성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3)는, 기재(102) 상에 제1 전극(106), 제2 전극(107), 절연층(104) 및 제3 전극(103)을 갖는다. 제3 전극(103)은 절연층(104)에 의해, 제1 전극(106) 및 제2 전극(107)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1 전극(106) 및 제2 전극(107)은 예를 들어 절연층(104) 상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3)는,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7) 사이의 영역에, 서로 전기 특성이 다른 반도체층(105, 108) 중 어느 것을 갖는다. 반도체층(105, 108)은,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7) 사이의 영역에 도포된 반도체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층의 일례이다. 이러한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3)는, 이들 반도체층(105, 108) 중 어느 것을 갖는지에 따라서,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7) 사이의 전기 특성이 서로 다른 2종류의 메모리 소자로 구별된다. 예를 들어, 이들 2종류의 메모리 소자 중, 한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는 제1 반도체층을 갖는 메모리 소자(10001, 10003)이며, 다른 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는 제2 반도체층을 갖는 메모리 소자(10002)이다. 이들 한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10001, 10003)와 다른 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10002)는, 반도체층(105, 108)의 전기 특성의 상이에 의해, 서로 다른 각 정보(예를 들어 「0」 또는 「1」)를 각각 기록한다. 또한, 기재(102)는 시트(11)(상세하게는 도 9a, 9b에 나타내는 기재(11b))여도 되고, 기타 절연성 기재여도 된다.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3)의 각각에 있어서, 제3 전극(103)은 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이며, 배선을 통해, 도 16a에 나타내는 워드선(100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전극(106)은 예를 들어 드레인 전극이다. 메모리 소자(10001)에 있어서의 제1 전극(106)은 배선을 통해, 도 16a에 나타내는 비트선(101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10002)에 있어서의 제1 전극(106)은 배선을 통해, 도 16a에 나타내는 비트선(101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10003)에 있어서의 제1 전극(106)은 배선을 통해, 도 16a에 나타내는 비트선(101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전극(107)은 예를 들어 소스 전극이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각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3)에 있어서의 제2 전극(107)은 배선을 통해 기준 전위선에 접속되어 있다.
도 16a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1000)를 구성하는 9개의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9) 중,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8)는, 도 16b에 나타내는 2종류의 메모리 소자(10001, 10002) 중 어느 한쪽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소자(10004 내지 10006)의 각각에 있어서, 제3 전극(103)은 배선을 통해 워드선(100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10004)에 있어서의 제1 전극(106)은 배선을 통해 비트선(101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10005)에 있어서의 제1 전극은 배선을 통해 비트선(101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10006)에 있어서의 제1 전극은 배선을 통해 비트선(101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 소자(10007, 10008)의 각각에 있어서, 제3 전극은 배선을 통해 워드선(100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10007)에 있어서의 제1 전극은 배선을 통해 비트선(101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10008)에 있어서의 제1 전극은 배선을 통해 비트선(101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각 메모리 소자(10004 내지 10008)에 있어서의 제2 전극(107)은 배선을 통해 기준 전위선에 접속되어 있다.
특히,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8)는, 상술한 반도체층(105, 108)(도 16b 참조)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서로 전기 특성이 다른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 중 어느 것을 갖는다. 이에 의해,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8)에 각각 기록되는 정보, 예를 들어 「0」 또는 「1」이 결정된다.
즉, 메모리 어레이(1000)를 구성하는 2종류의 메모리 소자 중, 제1 반도체층(예를 들어 반도체층(105))을 갖는 메모리 소자를 메모리 소자 (a)로 하고, 제2 반도체층(예를 들어 반도체층(108))을 갖는 메모리 소자를 메모리 소자 (b)로 하였을 때,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은 서로 전기 특성이 다른 것이기 때문에, 메모리 소자 (a) 및 메모리 소자 (b)는 제1 반도체층과 제2 반도체층의 전기 특성의 상이에 의해, 서로 다른 각 정보를 각각 기록한다.
상술한 「전기 특성이 다른」이란, 각 메모리 소자 (a), (b)의 선택 시, 즉, 각 메모리 소자 (a), (b)의 제3 전극(103)에 일정한 전압이 부여되었을 때, 이들 메모리 소자 (a), (b)들에서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7) 사이에 흘러드는 전류값이 상이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류값의 차이에 의해, 메모리 소자 (a)와 메모리 소자 (b)에 있어서, 「0」의 상태와 「1」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이 식별을 충분히 행하기 위해서는, 「1」을 기록한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의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7) 사이에 흐르는 전류값과, 「0」을 기록한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의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7) 사이에 흐르는 전류값 중, 한쪽이 다른 쪽에 비해 100배 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고, 1000배 이상 큰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모리 어레이(1000)에 있어서는, 이들 2종류의 메모리 소자 (a), (b)를 포함하는 8개의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8)의 배열[메모리 소자(10001), 메모리 소자(10002), 메모리 소자(10003), 메모리 소자(10004), 메모리 소자(10005), 메모리 소자(10006), 메모리 소자(10007), 메모리 소자(10008)]에 기초하여, 메모리 어레이(1000)의 고유 정보가 결정되어 기록된다.
한편, 접속선(13) 내의 비트선에 접속된 메모리 소자(10009)는, 상술한 2종류의 메모리 소자 (a), (b) 중,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7) 사이에 흘러드는 전류값이 높은 쪽의 반도체층을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7) 사이의 영역에 갖는 메모리 소자이다. 기타 구성은 도 16b에 나타내는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3)와 동일하다.
여기서, 수납부(15)가 아직 개봉되지 않은 경우, 접속선(13)은 절단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주변 회로(1001)가 메모리 소자(10009)를 정보 독출 대상으로서 선택한 경우, 워드선(100c)을 통해 메모리 소자(10009)의 제3 전극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층을 갖는 메모리 소자(10009)에는, 그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는, 접속선(13)을 통해 주변 회로(1002)에 의해 검출된다. 이 때, 메모리 소자(10009)로부터 독출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1」로 한다.
한편, 수납부(15)가 개봉된 경우,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부분에서 절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주변 회로(1001)가 메모리 소자(10009)를 정보 독출 대상으로서 선택한 경우, 메모리 소자(10009)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가 흐르지만, 주변 회로(1002)는 이 전류를 검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주변 회로(1002)에서 보면, 메모리 소자(10009)에 흐르는 전류는, 접속선(13)의 절단 전에 비해 작아진 것과 동일한 상태이다. 이것은, 메모리 소자(10009)가, 상술한 2종류의 메모리 소자 (a), (b) 중,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7) 사이에 흘러드는 전류값이 낮은 쪽의 반도체층을 갖는 메모리 소자인 것과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의미이다. 즉, 메모리 소자(10009)에 기록된 정보가, 수납부(15)의 개봉의 전과 후에서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 소자(10009)로부터 독출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0」으로 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8)에 메모리 어레이(1000)의 고유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수납부(15)가 개봉되기 전에 있어서 메모리 어레이(1000)에 기록되어 있었던 정보는,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9)의 배열에 기초하여 [고유 정보, 1]이다. 한편, 수납부(15)가 개봉된 후에 있어서 메모리 어레이(1000)에 기록되어 있었던 정보는, 상술한 배열에 기초하여 [고유 정보, 0]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는 접속선(13)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메모리 어레이(1000)로부터 독출되는 정보(즉, 메모리 어레이(1000)에 미리 기록된 정보)를 변화시킴으로써, 메모리 어레이(1000)를 기억부(141E)에 갖는 무선 통신 장치(16)는, 메모리 어레이(1000)의 고유 정보를 유지하면서, 상술한 접속선(13)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당해 고유 정보와 함께 외부 장치에 발신할 수 있다. 이 결과, 복수의 수납부(15) 중 어느 것이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수납부(15)별로 외부 장치에서 검지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어레이(1000)에 적용된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9)의 TFT 구조는, 도 16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소위 보텀 게이트 구조이다. 그러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어레이(1000)에 적용할 수 있는 TFT 구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소위 톱 게이트 구조여도 된다.
또한, 도 16b에 나타내는 반도체층(105)과 반도체층(108)의 각 전기 특성이 서로 다른 것은, 그들 구성의 상이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반도체층과 제2 반도체층의 구성의 상이로서는, 반도체층의 막 두께의 차이나, 반도체층을 구성하는 반도체 재료의 차이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제1 반도체층과 제2 반도체층의 각 전기 특성을 충분히 상이하게 하는 것이면, 제1 반도체층과 제2 반도체층의 구성의 상이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도체층을 구성하는 반도체 재료의 차이로서, 제2 반도체층이 제1 반도체층과 다른 반도체 재료를 함유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제2 반도체층을 구성하는 반도체 재료가 제1 반도체층을 구성하는 반도체 재료보다 이동도가 높은 재료인 경우나, 제1 반도체층에는 인핸스먼트형이 되는 반도체 재료를 사용하여, 제2 반도체층에는 디플리션형이 되는 반도체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반도체층의 막 두께의 차이로서, 예를 들어 제2 반도체층의 막 두께가 제1 반도체층의 막 두께보다 두꺼운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반도체층과 제1 반도체층의 각 저항률이 서로 상이하다. 그 때문에, 각 메모리 소자의 제3 전극에 일정한 전압이 부여되었을 때, 그들 메모리 소자가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흘러드는 전류값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이 반도체 재료로서 CNT를 각각 함유하는 경우, 함유하는 CNT의 농도의 차이에 의해, 제1 반도체층과 제2 반도체층의 각 전기 특성을 충분히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층(105)(제1 반도체층)에 있어서의 CNT의 농도를, 반도체층(108)(제2 반도체층)에 있어서의 CNT의 농도보다 높게 하면, CNT의 농도가 높은 반도체층(105)을 갖는 메모리 소자쪽이, 다른 쪽 메모리 소자에 비해,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7) 사이에 전류가 흐르기 쉽다.
상술한 CNT의 농도란, 반도체층 중에 있어서의 임의의 1㎛2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 CNT의 개수를 말한다. CNT의 개수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원자간력 현미경, 주사형 전자 현미경, 투과형 전자 현미경 등에서 얻은 반도체층의 화상 중으로부터 임의의 1㎛2의 영역을 선택하고, 그 영역에 포함되는 모든 CNT의 개수를 세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6 예)
도 17은,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10A)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6 예에 적용되는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있어서, 제6 예의 무선 통신 장치(16D)의 기억부(141F)에 적용되는 메모리 어레이로서, 9개의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9)가 배열된 메모리 어레이(1000)를 예시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억부(141F)는 복수(2개 이상)의 메모리 소자를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메모리 어레이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141F)는 메모리 어레이(1000)와, 메모리 어레이(1000)로부터 정보를 독출하는 디코더 등의 주변 회로(1001, 1002)와, 3개의 워드선(100a 내지 100c)과, 3개의 비트선(101a 내지 101c)과, 접속선(13a 내지 13d)을 갖는다. 메모리 어레이(1000)는 9개의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9)를 갖는다. 접속선(13a 내지 13d)은 수납부(15a 내지 15d)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여, 메모리 어레이(1000)의 메모리 소자(10006 내지 10009)와 주변 회로(1001, 1002)에 접속된다. 즉, 기억부(141F)에 있어서, 접속선(13a 내지 13d)은 메모리 소자(10006 내지 10009)에 접속되는 비트선과 상술한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구 상을 통과하는 배선에 의해 구성되고, 비트선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141F)의 배선 구성,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9) 및 주변 회로(1001, 1002)의 배치 등은, 도 17에 예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워드선(100a 내지 100c)은 상술한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의 일례이다. 워드선(100a 내지 100c)은 소정의 방향을 길이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열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워드선(100a)은 주변 회로(1001)와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3)에 접속된다. 워드선(100b)은 주변 회로(1001)와 메모리 소자(10004 내지 10006)에 접속된다. 워드선(100c)은 주변 회로(1001)와 메모리 소자(10007 내지 10009)에 접속된다. 비트선(101a 내지 101c) 및 접속선(13a 내지 13d)에 포함되는 비트선은, 상술한 복수의 제1 배선의 일례이다. 비트선(101a 내지 101c) 및 접속선(13a 내지 13d) 내의 비트선은, 워드선(100a 내지 100c)과 교차하는 방향을 길이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열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워드선(100a 내지 100c)과, 비트선(101a 내지 101c) 및 접속선(13a 내지 13d) 내의 비트선은, 서로 절연된 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9)는, 상술한 제1 배선과 제2 배선의 각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의 일례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5)는 워드선(100a 내지 100c)과 비트선(101a 내지 101c)의 각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5개의 영역에 각각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10006)는 워드선(100b)과 접속선(13a) 내의 비트선의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10007)는 워드선(100c)과 접속선(13d) 내의 비트선의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10008)는 워드선(100c)과 접속선(13c) 내의 비트선의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10009)는 워드선(100c)과 접속선(13b) 내의 비트선의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의 V-V'선 단면도는, 도 16b에 나타내는 단면도와 동일하다. 또한, 각 메모리 소자의 구성 및 개봉 검지의 방법에 대하여는, 도 16a, 16b에 나타내는 포장재의 경우와 동일하다. 특히,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5)는, 상술한 반도체층(105, 108)(도 16b 참조)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서로 전기 특성이 다른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 중 어느 것을 갖는다. 이에 의해,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8)에 각각 기록되는 정보, 예를 들어 「0」 또는 「1」이 결정된다.
메모리 어레이(1000)에 있어서는, 이들 2종류의 메모리 소자 (a), (b)를 포함하는 8개의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5)의 배열[메모리 소자(10001), 메모리 소자(10002), 메모리 소자(10003), 메모리 소자(10004), 메모리 소자(10005)]에 기초하여, 메모리 어레이(1000)의 고유 정보가 결정되어 기록된다.
한편, 접속선(13a 내지 13d) 내의 비트선에 접속된 메모리 소자(10006 내지 10009)는, 상술한 2종류의 메모리 소자 (a), (b) 중,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7) 사이에 흘러드는 전류값이 높은 쪽의 반도체층을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7) 사이의 영역에 갖는 메모리 소자이다. 기타 구성은 도 16b에 나타내는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3)와 동일하다.
여기서, 수납부(15a 내지 15d)가 아직 개봉되지 않은 경우, 접속선(13a 내지 13d)은 절단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주변 회로(1001)가 메모리 소자(10009)를 정보 독출 대상으로서 선택한 경우, 워드선(100c)을 통해 메모리 소자(10006 내지 10009)의 제3 전극(103)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층을 갖는 메모리 소자(10006 내지 10009)에는,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7)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는, 접속선(13a 내지 13d)을 통해 주변 회로(1002)에 의해 검출된다. 이 때, 메모리 소자(10006 내지 10009)로부터 독출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1」로 한다.
한편, 수납부(15a 내지 15d)가 개봉된 경우, 접속선(13a 내지 13d)은 수납부(15a 내지 15d)의 부분에서 절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주변 회로(1001)가 메모리 소자(10006 내지 10009)를 정보 독출 대상으로서 선택한 경우, 메모리 소자(10006 내지 10009)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가 흐르지만, 주변 회로(1002)는 이 전류를 검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주변 회로(1002)에서 보면, 메모리 소자(10006 내지 10009)에 흐르는 전류는, 접속선(13a 내지 13d)의 절단 전에 비해 작아진 것과 동일한 상태이다. 이것은, 메모리 소자(10006 내지 10009)가, 상술한 2종류의 메모리 소자 (a), (b) 중,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7) 사이에 흘러드는 전류값이 낮은 쪽의 반도체층을 갖는 메모리 소자인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이다. 즉, 메모리 소자(10006 내지 10009)에 기록된 정보가,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의 전과 후에서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 소자(10006 내지 10009)로부터 독출되는 정보를, 예를 들어 「0」으로 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5)에 메모리 어레이(1000)의 고유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수납부(15a 내지 15d)가 개봉되기 전에 있어서 메모리 어레이(1000)에 기록되어 있었던 정보는, 메모리 소자(10001 내지 10009)의 배열에 기초하여 [고유 정보, 1, 1, 1, 1]이다. 한편, 수납부(15a 내지 15d)의 모두가 개봉된 후에 있어서 메모리 어레이(1000)에 기록되어 있었던 정보는, 상술한 배열에 기초하여 [고유 정보, 0, 0, 0, 0]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에 수반하는 접속선(13a 내지 13d)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메모리 어레이(1000)로부터 독출되는 정보(즉, 메모리 어레이(1000)에 미리 기록된 정보)를 변화시킴으로써, 메모리 어레이(1000)를 기억부(141F)에 갖는 무선 통신 장치(16D)는, 메모리 어레이(1000)의 고유 정보를 유지하면서, 상술한 접속선(13)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당해 고유 정보와 함께 외부 장치에 발신할 수 있다. 이 결과, 복수의 수납부(15a 내지 15d)가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외부 장치에서 검지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16)의 기억부(141)(도 10 참조)에 적용되는 메모리 어레이로서는, 도 14b, 14c, 도 15b, 도 16a, 16b 또는 도 17에 나타내는 것 이외에도, 이하에 나타내는 구조의 메모리 어레이를 들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7 예)
도 18a는 도 1a에 나타내는 포장재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제7 예에 적용되는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8a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제7 예의 무선 통신 장치는, 기억부(141)의 일례로서, 메모리 어레이(1100)를 갖는 기억부(141G)를 구비하고, 또한 이 메모리 어레이(1100)에 접속선(13)이 접속되는 것 이외에도, 도 14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16C)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8a에는, 이 제7 예의 기억부(141G)에 적용되는 메모리 어레이로서, 9개의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9)가 배열된 메모리 어레이(1100)를 예시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억부(141G)는 복수(2개 이상)의 메모리 소자를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메모리 어레이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141G)는 메모리 어레이(1100)와, 메모리 어레이(1100)로부터 정보를 독출하는 디코더 등의 주변 회로(1101, 1102)와, 3개의 워드선(110a 내지 110c)과, 3개의 비트선(111a 내지 111c)과, 접속선(13)을 갖는다. 메모리 어레이(1100)는 9개의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9)를 갖는다.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여, 메모리 어레이(1100)의 메모리 소자(11009)와 주변 회로(1101, 1102)에 접속된다. 즉, 기억부(141G)에 있어서, 접속선(13)은 메모리 소자(11009)에 접속되는 비트선과 상술한 수납부(15)의 개구 상을 통과하는 배선에 의해 구성되고, 비트선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141G)의 배선 구성,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9) 및 주변 회로(1101, 1102)의 배치 등은, 도 18a에 예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워드선(110a 내지 110c)은 상술한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의 일례이다. 워드선(110a 내지 110c)은 소정의 방향을 길이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열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워드선(110a)은 주변 회로(1101)와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3)에 접속된다. 워드선(110b)은 주변 회로(1101)와 메모리 소자(11004 내지 11006)에 접속된다. 워드선(110c)은 주변 회로(1101)와 메모리 소자(11007 내지 11009)에 접속된다. 비트선(111a 내지 111c) 및 접속선(13)에 포함되는 비트선은, 상술한 복수의 제1 배선의 일례이다. 비트선(111a 내지 111c) 및 접속선(13) 내의 비트선은, 워드선(110a 내지 110c)과 교차하는 방향을 길이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열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워드선(110a 내지 110c)과, 비트선(111a 내지 111c) 및 접속선(13) 내의 비트선은, 서로 절연된 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9)는, 상술한 제1 배선과 제2 배선의 각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의 일례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8)는 워드선(110a 내지 110c)과 비트선(111a 내지 111c)의 각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8개의 영역에 각각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11009)는 워드선(110c)과 접속선(13) 내의 비트선의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도 18b는 도 18a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18b에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어레이(1100)를 구성하는 2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대표하여,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3)의 일 구성예가 나타나 있다.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2종류의 메모리 소자의 일례인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3)는, 기재(112) 상에 형성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3)는, 기재(112) 상에 제1 전극(116), 제2 전극(117), 절연층(114), 제3 전극(113) 및 반도체층(115)을 갖는다. 제3 전극(113)은 절연층(114)에 의해, 제1 전극(116) 및 제2 전극(117)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1 전극(116) 및 제2 전극(117)은 예를 들어 절연층(114) 상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배열되어 있다. 반도체층(115)은 절연층(114) 상에 있으며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반도체층(115)은 이들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의 영역에 도포된 반도체 재료를 포함하는 층이다. 또한, 기재(112)는 시트(11)(상세하게는 도 9a, 9b에 나타내는 기재(11b))여도 되고, 기타 절연성 기재여도 된다.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3)의 각각에 있어서, 제3 전극(113)은 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이며, 배선을 통해, 도 18a에 나타내는 워드선(110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전극(116)은 예를 들어 드레인 전극이다. 메모리 소자(11001)에 있어서의 제1 전극(116)은 배선을 통해, 도 18a에 나타내는 비트선(111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11002)에 있어서의 제1 전극(116)은 배선을 통해, 도 18a에 나타내는 비트선(111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11003)에 있어서의 제1 전극(116)은 배선을 통해, 도 18a에 나타내는 비트선(111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전극(117)은 예를 들어 소스 전극이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각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3)에 있어서의 제2 전극(117)은 배선을 통해 기준 전위선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3)는,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의 영역에, 반도체층(115)의 전기 특성을 서로 다른 전기 특성으로 변화시키는 제1 절연층(118) 또는 제2 절연층(119)을 갖는다.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3)는, 이들 제1 절연층(118) 및 제2 절연층(119) 중 어느 것을 갖는지에 따라서,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의 전기 특성이 서로 다른 2종류의 메모리 소자로 구별된다. 예를 들어, 이들 2종류의 메모리 소자 중, 한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는 제1 절연층(118)을 갖는 메모리 소자(11001)이며, 다른 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는 제2 절연층(119)을 갖는 메모리 소자(11002, 11003)이다. 이들 한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11001)와 다른 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11002, 11003)는, 제1 절연층(118)과 제2 절연층(119)에 의한 반도체층(115)의 전기 특성의 상이에 의해, 서로 다른 각 정보를 각각 기록한다.
제1 절연층(118) 및 제2 절연층(119)은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는 도포층의 일례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절연층(118) 및 제2 절연층(119)은 각각 원하는 도포법에 의해 절연층(114)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반도체층(115)과 접하게 도포된 절연성 재료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절연층(118) 및 제2 절연층(119)은 각각 다른 재료를 함유한다. 이러한 제1 절연층(118) 또는 제2 절연층(119)은 반도체층(115)에 접하면, 이 접한 상태에 있는 반도체층(115)의 전기 특성을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절연층(118)측의 반도체층(115)의 전기 특성과 제2 절연층(119)측의 반도체층(115)의 전기 특성이, 서로 상이한 것이 된다. 그 이유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반도체층(115)은 대기와 접해 있으면, 접해 있는 분위기 중의 산소나 수분의 영향을 받는다. 이 결과, 반도체층(115)의 전기 특성이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제1 절연층(118) 또는 제2 절연층(119)이 반도체층(115)에 접하여 덮음으로써, 그러한 외부 환경에 의한 반도체층(115)에의 영향이 없어진다.
또한, 제1 절연층(118)에 포함되는 재료가, 이것과 접하는 반도체층(115)의 전기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제2 절연층(119)에 포함되는 재료가, 이것과 접하는 반도체층(115)의 전기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지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절연층(118)이 반도체층(115)과 접해 있는 경우, 상술한 외부 환경에 의한 반도체층(115)에의 영향을 없앤 후, 이 제1 절연층(118)에 포함되는 재료의 종류에 의해, 반도체층(115)을 통해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에 흘러드는 전류값이 감소 또는 증가한다. 이것은, 제2 절연층(119)이 반도체층(115)과 접해 있는 경우에도 일어난다. 제1 절연층(118) 및 제2 절연층(119)에 각각 포함되는 각 재료가 서로 상이하면, 메모리 소자(11001)에 있어서의 반도체층(115)의 전기 특성이 변화되는 정도와, 메모리 소자(11002)에 있어서의 반도체층(115)의 전기 특성이 변화되는 정도가 서로 상이하다. 이 결과, 메모리 소자(11001)에 있어서의 반도체층(115)의 전기 특성과 메모리 소자(11002)에 있어서의 반도체층(115)의 전기 특성이, 서로 상이한 것이 된다.
상술한 제1 절연층(118)과 제2 절연층(119)에 의한 각 반도체층(115)의 전기 특성의 상이에 의해, 메모리 소자(11001) 및 메모리 소자(11002)에 각각 기록되는 정보, 예를 들어 「0」 또는 「1」이 결정된다.
도 18a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1100)를 구성하는 9개의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9) 중,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8)는, 도 18b에 나타내는 2종류의 메모리 소자(11001, 11002) 중 어느 한쪽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소자(11004 내지 11006)의 각각에 있어서, 제3 전극(113)은 배선을 통해 워드선(110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11004)에 있어서의 제1 전극(116)은 배선을 통해 비트선(111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11005)에 있어서의 제1 전극(116)은 배선을 통해 비트선(111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11006)에 있어서의 제1 전극(116)은 배선을 통해 비트선(111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 소자(11007, 11008)의 각각에 있어서, 제3 전극(113)은 배선을 통해 워드선(110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11007)에 있어서의 제1 전극(116)은 배선을 통해 비트선(111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11008)에 있어서의 제1 전극(116)은 배선을 통해 비트선(111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각 메모리 소자(11004 내지 11008)에 있어서의 제2 전극(117)은 배선을 통해 기준 전위선에 접속되어 있다.
특히,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8)는, 상술한 제1 절연층(118) 및 제2 절연층(119) 중 어느 것을 갖는 것이며,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의 전기 특성이 서로 다른 2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한다.
즉, 메모리 어레이(1100)를 구성하는 2종류의 메모리 소자 중, 메모리 소자(11001)와 같이 제1 절연층(118)을 갖는 메모리 소자를 메모리 소자 (c)라 하고, 메모리 소자(11002)와 같이 제2 절연층(119)을 갖는 메모리 소자를 메모리 소자 (d)라 하였을 때, 제1 절연층(118)과 제2 절연층(119)이 서로 다른 재료를 갖고 있으면, 메모리 소자 (c) 및 메모리 소자 (d)는, 제1 절연층(118)과 제2 절연층(119)에 의한 각 반도체층(115)의 전기 특성의 상이에 의해, 서로 다른 각 정보를 각각 기록한다.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8)를 2종류의 메모리 소자 (c), (d) 중 어느 것으로 함으로써,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8)에 각각 기록되는 정보, 예를 들어 「0」 또는 「1」이 결정된다.
상술한 「반도체층의 전기 특성을 변화시키는」이란, 각 메모리 소자 (c), (d)의 선택 시, 즉, 각 메모리 소자 (c), (d)의 제3 전극(113)에 일정한 전압이 부여되었을 때, 이들 메모리 소자 (c), (d)들에서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에 흘러드는 전류값이 상이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류값의 차이에 의해, 메모리 소자 (c)와 메모리 소자 (d)에 있어서, 「0」의 상태와 「1」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이 식별을 충분히 행하기 위해서는, 「1」을 기록한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의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에 흐르는 전류값과, 「0」을 기록한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의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에 흐르는 전류값 중, 한쪽이 다른 쪽에 비해 100배 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고, 1000배 이상 큰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모리 어레이(1100)에 있어서는, 이들 2종류의 메모리 소자 (c), (d)를 포함하는 8개의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8)의 배열[메모리 소자(11001), 메모리 소자(11002), 메모리 소자(11003), 메모리 소자(11004), 메모리 소자(11005), 메모리 소자(11006), 메모리 소자(11007), 메모리 소자(11008)]에 기초하여, 메모리 어레이(1100)의 고유 정보가 결정되어 기록된다.
한편, 접속선(13) 내의 비트선에 접속된 메모리 소자(11009)는, 상술한 2종류의 메모리 소자 (c), (d) 중 반도체층(115)을 통해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에 흘러드는 전류값이 높은 쪽의 절연층(구체적으로는 제1 절연층(118) 또는 제2 절연층(119))을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의 영역에 갖는 메모리 소자이다. 기타 구성은 도 18b에 나타내는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3)와 동일하다.
여기서, 수납부(15)가 아직 개봉되지 않은 경우, 접속선(13)은 절단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주변 회로(1101)가 메모리 소자(11009)를 정보 독출 대상으로서 선택한 경우, 워드선(110c)을 통해 메모리 소자(11009)의 제3 전극(113)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메모리 소자(11009)에는, 제1 절연층(118) 또는 제2 절연층(119)의 작용에 의해 전기 특성에 영향을 받은 반도체층(115)을 통해,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는, 접속선(13)을 통해 주변 회로(1102)에 의해 검출된다. 이 때, 메모리 소자(11009)로부터 독출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1」로 한다.
한편, 수납부(15)가 개봉된 경우,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부분에서 절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주변 회로(1101)가 메모리 소자(11009)를 정보 독출 대상으로서 선택한 경우, 메모리 소자(11009)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가 흐르지만, 주변 회로(1102)는 이 전류를 검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주변 회로(1102)에서 보면, 메모리 소자(11009)에 흐르는 전류는, 접속선(13)의 절단 전에 비해 작아진 것과 동일한 상태이다. 이것은, 메모리 소자(11009)가, 상술한 2종류의 메모리 소자 (c), (d) 중,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에 흘러드는 전류값이 낮은 쪽의 메모리 소자인 것과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의미이다. 즉, 메모리 소자(11009)에 기록된 정보가, 수납부(15)의 개봉의 전과 후에서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 소자(11009)로부터 독출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0」으로 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8)에 메모리 어레이(1100)의 고유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수납부(15)가 개봉되기 전에 있어서 메모리 어레이(1100)에 기록되어 있었던 정보는,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9)의 배열에 기초하여 [고유 정보, 1]이다. 한편, 수납부(15)가 개봉된 후에 있어서 메모리 어레이(1100)에 기록되어 있었던 정보는, 상술한 배열에 기초하여 [고유 정보, 0]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는 접속선(13)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메모리 어레이(1100)로부터 독출되는 정보(즉, 메모리 어레이(1100)에 미리 기록된 정보)를 변화시킴으로써, 메모리 어레이(1100)를 기억부(141G)에 갖는 무선 통신 장치(16)는, 메모리 어레이(1100)의 고유 정보를 유지하면서, 상술한 접속선(13)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당해 고유 정보와 함께 외부 장치에 발신할 수 있다. 이 결과, 복수의 수납부(15) 중 어느 것이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수납부(15)별로 외부 장치에서 검지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메모리 어레이(1100)에 적용된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9)의 TFT 구조는, 도 18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소위 보텀 게이트 구조이다. 그러나, 메모리 어레이(1100)에 적용할 수 있는 TFT 구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소위 톱 게이트 구조여도 된다.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8 예)
도 19는,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10A)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8 예에 있어서의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는, 제8 예의 무선 통신 장치(16)의 기억부(141H)에 적용되는 메모리 어레이로서, 9개의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9)가 배열된 메모리 어레이(1100)를 예시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억부(141H)는 복수(2개 이상)의 메모리 소자를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메모리 어레이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141H)는 메모리 어레이(1100)와, 메모리 어레이(1100)로부터 정보를 독출하는 디코더 등의 주변 회로(1101, 1102)와, 3개의 워드선(110a 내지 110c)과, 3개의 비트선(111a 내지 111c)과, 접속선(13a 내지 13d)을 갖는다. 메모리 어레이(1100)는 9개의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9)를 갖는다.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여, 메모리 어레이(1100)의 메모리 소자(11009)와 주변 회로(1101, 1102)에 접속된다. 즉, 기억부(141H)에 있어서, 접속선(13a 내지 13d)은 메모리 소자(11009)에 접속되는 비트선과 상술한 수납부(15)의 개구 상을 통과하는 배선에 의해 구성되고, 비트선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141H)의 배선 구성,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9) 및 주변 회로(1101, 1102)의 배치 등은, 도 19에 예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워드선(110a 내지 110c)은 상술한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의 일례이다. 워드선(110a 내지 110c)은 소정의 방향을 길이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열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워드선(110a)은 주변 회로(1101)와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3)에 접속된다. 워드선(110b)은 주변 회로(1101)와 메모리 소자(11004 내지 11006)에 접속된다. 워드선(110c)은 주변 회로(1101)와 메모리 소자(11007 내지 11009)에 접속된다. 비트선(111a 내지 111c) 및 접속선(13a 내지 13d)에 포함되는 비트선은, 상술한 복수의 제1 배선의 일례이다. 비트선(111a 내지 111c) 및 접속선(13a 내지 13d) 내의 비트선은, 워드선(110a 내지 110c)과 교차하는 방향을 길이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열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워드선(110a 내지 110c)과, 비트선(111a 내지 111c) 및 접속선(13a 내지 13d) 내의 비트선은, 서로 절연된 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9)는, 상술한 제1 배선과 제2 배선의 각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의 일례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5)는 워드선(110a 내지 110c)과 비트선(111a 내지 111c)의 각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5개의 영역에 각각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11006)는 워드선(110b)과 접속선(13a) 내의 비트선의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11007)는 워드선(110c)과 접속선(13d) 내의 비트선의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11008)는 워드선(110c)과 접속선(13c) 내의 비트선의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메모리 소자(11009)는 워드선(110c)과 접속선(13b) 내의 비트선의 교차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도 19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의 VII-VII'선 단면도는, 도 18b에 나타내는 단면도와 동일하다. 또한, 각 메모리 소자의 구성 및 개봉 검지의 방법에 대하여는, 도 18a, 18b에 나타내는 포장재의 경우와 동일하다. 특히,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5)는, 상술한 반도체층(105, 108)(도 18b 참조)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절연층(118) 및 제2 절연층(119) 중 어느 것을 갖는 것이며,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의 전기 특성이 서로 상이하다. 이에 의해,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5)에 각각 기록되는 정보, 예를 들어 「0」 또는 「1」이 결정된다.
메모리 어레이(1100)에 있어서는, 이들 2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5개의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5)의 배열[메모리 소자(11001), 메모리 소자(11002), 메모리 소자(11003), 메모리 소자(11004), 메모리 소자(11005)]에 기초하여, 메모리 어레이(1100)의 고유 정보가 결정되어 기록된다.
한편, 접속선(13a 내지 13d) 내의 비트선에 접속된 메모리 소자(11006 내지 11009)는, 상술한 2종류의 메모리 소자 중, 반도체층(115)을 통해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에 흘러드는 전류값이 높은 쪽의 절연층(구체적으로는 제1 절연층(118) 또는 제2 절연층(119))을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의 영역에 갖는 메모리 소자이다. 기기타 구성은 도 18b에 나타내는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3)와 동일하다.
여기서, 수납부(15a 내지 15d)가 아직 개봉되지 않은 경우, 접속선(13a 내지 13d)은 절단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주변 회로(1101)가 메모리 소자(11009)를 정보 독출 대상으로서 선택한 경우, 워드선(110b 내지 110c)을 통해 메모리 소자(11006 내지 11009)의 제3 전극(113)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메모리 소자(11006 내지 11009)에는, 제1 절연층(118) 또는 제2 절연층(119)의 작용에 의해 전기 특성에 영향을 받은 반도체층(115)을 통해,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는, 접속선(13)을 통해 주변 회로(1102)에 의해 검출된다. 이 때, 메모리 소자(11006 내지 11009)로부터 독출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1」로 한다.
한편, 수납부(15a 내지 15d)가 개봉된 경우, 접속선(13a 내지 13d)은 수납부(15a 내지 15d)의 부분에서 절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주변 회로(1101)가 메모리 소자(11006 내지 11009)를 정보 독출 대상으로서 선택한 경우, 메모리 소자(11006 내지 11009)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가 흐르지만, 주변 회로(1102)는 이 전류를 검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주변 회로(1102)에서 보면, 메모리 소자(11006 내지 11009)에 흐르는 전류는, 접속선(13a 내지 13d)의 절단 전에 비해 작아진 것과 동일한 상태이다. 이것은, 메모리 소자(11006 내지 11009)가, 상술한 2종류의 메모리 소자 중,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에 흘러드는 전류값이 낮은 쪽의 메모리 소자인 것과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의미이다. 즉, 메모리 소자(11006 내지 11009)에 기록된 정보가,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의 전과 후에서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 소자(11006 내지 11009)로부터 독출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0」으로 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5)에 메모리 어레이(1100)의 고유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수납부(15a 내지 15d)가 개봉되기 전에 있어서 메모리 어레이(1100)에 기록되어 있었던 정보는,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5)의 배열에 기초하여 [고유 정보, 1, 1, 1, 1]이다. 한편, 수납부(15a 내지 15d)의 모두가 개봉된 후에 있어서 메모리 어레이(1100)에 기록되어 있었던 정보는, 상술한 배열에 기초하여 [고유 정보, 0, 0, 0, 0]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에 수반하는 접속선(13a 내지 13d)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메모리 어레이(1100)로부터 독출되는 정보(즉, 메모리 어레이(1100)에 미리 기록된 정보)를 변화시킴으로써, 메모리 어레이(1100)를 기억부(141H)에 갖는 무선 통신 장치(16)는, 메모리 어레이(1100)의 고유 정보를 유지하면서, 상술한 접속선(13a 내지 13d)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당해 고유 정보와 함께 외부 장치에 발신할 수 있다. 이 결과, 복수의 수납부(15a 내지 15d) 중 어느 것이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외부 장치에서 검지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의 제1 예 내지 제8 예에 공통되는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극 및 배선의 설명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의 제1 예 내지 제8 예에 있어서의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제3 전극은 「전극」이라 적절히 총칭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제1 예 내지 제8 예에 있어서의 워드선 및 비트선 등을 포함하는 기재 상의 각종 배선은 「배선」이라 적절히 총칭한다. 반도체층의 설명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의 제1 예 내지 제4 예, 제7 예 및 제8 예에 있어서의 반도체층, 제3 실시 형태의 제5 예 및 제6 예에 있어서의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은 「반도체층」이라 적절히 총칭한다.
전극 및 배선에 사용되는 재료는, 일반적으로 전극으로서 사용 가능한 도전성 재료라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그러한 도전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접속선(13)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의 폭, 두께 및 각 전극간의 간격(예를 들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간격)은 임의이다. 구체적으로는, 전극의 폭은 5㎛ 이상 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의 두께는 0.01㎛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간격은 1㎛ 이상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들 치수는 상술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배선의 폭 및 두께도 임의이다. 구체적으로는, 배선의 두께는 0.01㎛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선의 폭은 5㎛ 이상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들 치수는 상술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극 및 배선의 형성 방법과, 패턴 가공 방법에 대하여는, 상술한 접속선(1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극 패턴 및 배선 패턴은, 각각 따로 따로 가공하여 형성해도 되고, 복수의 전극 패턴 및 배선 패턴 중 적어도 2개를 일괄해서 가공하여 형성해도 된다. 가공 공정의 저감, 패턴의 접속 용이성 및 정밀도의 관점에서는, 전극 패턴 및 배선 패턴을 일괄해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에 사용되는 절연성 재료는, 상술한 게이트 절연층(23)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도, 상술한 게이트 절연층(2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반도체층에 사용되는 반도체 재료로서는, 상술한 반도체층(24)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반도체층(24)과 동일한 재료 중에서도, 도포법에 의해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반도체층은 반도체 재료로서, CNT, 그래핀, 풀러렌 및 유기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00℃ 이하의 저온에서 형성할 수 있는 것, 및 반도체 특성이 높은 것 등의 관점에서, 반도체층은 반도체 재료로서, CNT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반도체 재료로서의 CNT 중에서도, CNT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공액계 중합체가 부착된 CNT 복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CNT가 보유하는 높은 전기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CNT를 반도체층 형성용 용액 중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CNT가 균일하게 분산된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잉크젯법 등의 도포법에 의해, CNT가 균일하게 분산된 막을, 반도체층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제5 예 및 제6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제1 반도체층의 반도체 재료로서, 폴리티오펜류, 폴리피롤류나 폴리아닐린류 등의 유기 반도체 폴리머를 사용하고, 제2 반도체층의 반도체 재료로서, CN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메모리 소자 (a) 및 메모리 소자 (b)의 제3 전극에 일정한 전압이 부여되었을 때, 메모리 소자 (a)의 경우와 메모리 소자 (b)의 경우에 있어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흘러드는 전류값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제7 예 및 제8 예에 있어서의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도 18b에 예시한 제1 절연층(118), 제2 절연층(119) 참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에 사용되는 절연성 재료는, 반도체층의 전기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층을 산소나 수분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다.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에 사용되는 절연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노볼락 수지,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전구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 수지는, 반복 단위에 적어도 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아크릴계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모든 화합물이 사용 가능하다. 아크릴계 모노머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에틸, n-부틸아크릴레이트, i-부틸아크릴레이트, i-프로필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N-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n-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이소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부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1-나프틸아크릴레이트, 2-나프틸아크릴레이트, 티오페놀아크릴레이트, 벤질머캅탄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모노머 및 이들 아크릴레이트를 메타크릴레이트에 대체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아크릴계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상관없다.
에폭시 수지란, 분자 구조 중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프리폴리머를 갖는 구조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프리폴리머로서는, 예를 들어 비페닐 골격이나 디시클로펜타디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에 사용되는 절연성 재료는, 에폭시 수지에 더하여 경화제를 갖고 있어도 된다. 경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페놀노볼락 수지, 비스페놀 A형 노볼락 수지, 아미노트리아진 화합물, 나프톨 화합물, 디아민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에 사용되는 절연성 재료는, 추가로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등의 경화 촉진제를 갖고 있어도 된다.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페닐포스핀, 벤즈이미다졸계 화합물, 트리스(2,4-펜탄디오나토)코발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이미드 전구체 수지란, 열 및 화학적 폐환 반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폴리이미드 수지로 변환되는 수지이다. 폴리이미드 전구체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산, 폴리아미드산에스테르, 폴리아미드산실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이미드 전구체 수지는 디아민 화합물과, 산 이무수물 또는 그의 유도체의 중합 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산이무수물의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카르복실산, 산염화물, 테트라카르복실산의 모노, 디, 트리 또는 테트라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화된 구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등으로 에스테르화된 구조를 들 수 있다. 중합 반응의 방법은, 목적으로 하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수지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된 반응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실록산 수지는 실란 화합물의 중축합 화합물이다. 실란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디에톡시디메틸실란, 디에톡시디페닐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헥실트리메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p-톨릴트리메톡시실란, 벤질트리메톡시실란, α-나프틸트리메톡시실란, β-나프틸트리메톡시실란, 트리플루오로에틸트리메톡시실란, 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실란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상관없다.
불소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폴리(불화비닐리덴-트리플루오로에틸렌)(PVDF-TrFE), 폴리(불화비닐리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VDF-TeFE), 폴리(불화비닐리덴-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VDF-CTFE), 폴리(불화비닐리덴-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PVDF-CFE), 폴리(불화비닐리덴-트리플루오로에틸렌-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PVDF-TrFE-CFE), 폴리(불화비닐리덴-트리플루오로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VDF-TrFE-C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폴리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코폴리머, 폴리불화비닐,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디옥솔 코폴리머,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코폴리머,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펜 코폴리머, 퍼플루오로알콕시알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불소계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상관없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아세탈화하여 얻어지는 수지이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부티랄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수지로서는, 스티렌, p-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히드록시스티렌, o-히드록시스티렌, m-히드록시스티렌, α-메틸스티렌, 클로로메틸스티렌, 히드록시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 유도체, 1-비닐-2-피롤리돈 등의 비닐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수지, 시클로올레핀 등의 환상 탄화수소 구조를 포함하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닐계 모노머는 이들 모노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은, 상술한 절연성 재료에 더하여, 산화실리콘,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등의 무기 재료나, 아미드계 화합물, 이미드계 화합물, 우레아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이민계 화합물, 아닐린계 화합물, 니트릴계 화합물 등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함유해도 된다.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은 상술한 화합물을 함유함으로써, 역치 전압이나 전류값 등이라는, 반도체층의 전기 특성을 더욱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미드계 화합물로서, 폴리아미드, 포름아미드, 아세트아미드, 폴리-N-비닐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트아닐리드, 벤즈아닐리드, N-메틸벤즈아닐리드, 술폰아미드, 나일론, 폴리비닐피롤리돈, N-메틸피롤리돈, 폴리비닐폴리피롤리돈, β-락탐, γ-락탐, δ-락탐, ε-카프로락탐 등을 들 수 있다. 이미드계 화합물로서, 폴리이미드, 프탈이미드, 말레이미드, 알록산, 숙신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우레아계 화합물로서, 우라실, 티민, 요소, 폴리우레탄, 아세토헥사미드, 알란토인, 2-이미다졸리디논,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디시안디아미딘, 시트룰린 등을 들 수 있다.
아민계 화합물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메틸시클로헥실아민, 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메틸아민, 트리시클로헥실아민, 시클로옥틸아민, 시클로데실아민, 시클로도데실아민, 1-아자비시클로[2.2.2]옥탄(퀴누클리딘),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카-7-엔(DBU), 1,5-디아자비시클로[4.3.0]논-5-엔(DBN), 1,5,7-트리아자비시클로[4.4.0]데크-5-엔(TBD), 7-메틸-1,5,7-트리아자비시클로[4.4.0]데크-5-엔(MTBD), 폴리(멜라민-co-포름알데히드),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피페리딘, 줄롤리딘, 페닐알라닌 등을 들 수 있다. 이민계 화합물로서, 이미다졸, 피리미딘, 폴리(멜라민-co-포름알데히드)메틸아미노벤조산 등을 들 수 있다.
아닐린계 화합물로서, 아닐린, 디페닐아민, 트리페닐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니트릴계 화합물로서, 아세토니트릴, 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 중, 한쪽은 극성기를 갖는 수지를 포함하고, 다른 쪽은 극성기를 갖는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기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기, 카르복시기, 카르보닐기, 알데히드기, 아미노기, 이미노기, 니트로기, 술포기, 시아노기, 글리시딜기, 할로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극성기는 이들 기의 일부가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극성기를 갖는 수지란, 수지의 반복 단위 중에 극성기를 갖는 수지를 말한다. 수지 중에 복수의 반복 단위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들 복수의 반복 단위 중의 적어도 하나 중에 극성기가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극성기를 갖는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절연층과, 극성기를 갖는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절연층은, 비유전율이 서로 상이하다. 그것에 의해,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과 각각 접하는 각 반도체층의 역치 전압을, 서로 다른 정도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을 구성하는 절연성 재료의 비유전율은, 이하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먼저,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의 각 구성물을 판정한다. 이 판정 처리는 원소 분석, 핵자기 공명 분석, 적외 분광 분석, X선 광전자 분광 등의 각종 유기 분석 방법 및 무기 분석 방법을, 단독으로 또는 복수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판정 처리에 의해 판명된 각 구성물을 유전체층으로서 사용하여 콘덴서를 제작하고, 이 콘덴서에 주파수 1kHz에서 교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정전 용량을 측정한다. 측정한 정전 용량(C), 콘덴서의 전극 면적(S) 및 유전체층의 막 두께(d)로부터, 이하의 (1) 식을 사용하여 비유전율(εr)을 산출한다. 여기서, 진공의 유전율(ε0)은 8.854×10-12로서 산출한다.
C=εrε0S/d ……(1)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의 막 두께는, 일반적으로는 50nm 이상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0nm 이상 3㎛ 이하이다.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은 각각 단층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층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의 각각에 있어서, 하나의 층이 복수의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어도 되고, 복수의 층이 복수의 절연성 재료를 적층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9 예)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9 예로서는, 기억부가 적어도, 수납부(15)의 개봉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정보를 기록하는 플립플롭 회로를 갖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도 20a는 도 1a에 나타내는 포장재(10)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9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b 내지 20e는, 도 20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16E)에 적용되는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9 예에 있어서의 기억부(141K)는 플립플롭 회로(1300)를 갖는다. 도 20b 내지 20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립플롭 회로(1300)는 2개의 플립플롭 회로(13001, 13002)를 가지고 구성된다. 2개의 플립플롭 회로(13001, 13002)를 조합함으로써, [1000], [1100], [1010], [1110]의 4개의 디지털 신호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즉, 2비트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0b에 있어서, [1000]의 디지털 신호를 발하는 배선이 접속선(13a)인 경우를 설명한다. 수납부(15a)가 미개봉인 경우, 도 20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16E)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16a)(도 1a 참조)로부터는, [1000, 1100, 1010, 1110]의 신호가 송신된다. 한편, 수납부(15a)가 개봉된 경우, 접속선(13a)을 전원 회로, 또는 기준 전위선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에 주변 회로(1103)로 접속시킴으로써 [1111]의 디지털 신호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무선 통신 장치(16a)로부터는, [1111, 1100, 1010, 1110]의 신호가 송신된다. 즉, 수납부(15a)의 고유 정보는 [1100, 1010, 1110]으로 할 수 있고, 상술한 접속선(13a)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당해 고유 정보와 함께 외부 장치에 발신할 수 있다.
도 20c에 있어서, [1100]의 디지털 신호를 발하는 배선이 접속선(13b)인 경우를 설명한다. 수납부(15b)가 미개봉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b)(도 1a 참조)로부터는, [1000, 1100, 1010, 1110]의 신호가 송신된다. 한편, 수납부(15b)가 개봉된 경우, 접속선(13b)을 전원 회로, 또는 기준 전위선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에 주변 회로(1103)로 접속시킴으로써 [1111]의 디지털 신호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무선 통신 장치(16b)로부터는, [1000, 1111, 1010, 1110]의 신호가 송신된다. 즉, 수납부(15b)의 고유 정보는 [1000, 1010, 1110]으로 할 수 있고, 상술한 접속선(13b)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당해 고유 정보와 함께 외부 장치에 발신할 수 있다.
도 20d에 있어서, [1010]의 디지털 신호를 발하는 배선이 접속선(13c)인 경우를 설명한다. 수납부(15c)가 미개봉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c)(도 1a 참조)로부터는, [1000, 1100, 1010, 1110]의 신호가 송신된다. 한편, 수납부(15c)가 개봉된 경우, 접속선(13c)을 전원 회로, 또는 기준 전위선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에 주변 회로(1103)로 접속시킴으로써 [1010]의 디지털 신호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무선 통신 장치(16c)로부터는, [1000, 1100, 1111, 1110]의 신호가 송신된다. 즉, 수납부(15c)의 고유 정보는 [1000, 1100, 1110]으로 할 수 있고, 상술한 접속선(13c)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당해 고유 정보와 함께 외부 장치에 발신할 수 있다.
도 20e에 있어서, [1110]의 디지털 신호를 발하는 배선이 접속선(13d)인 경우를 설명한다. 수납부(15d)가 미개봉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d)(도 1a 참조)로부터는, [1000, 1100, 1010, 1110]의 신호가 송신된다. 한편, 수납부(15d)가 개봉된 경우, 접속선(13d)을 전원 회로, 또는 기준 전위선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에 주변 회로(1103)로 접속시킴으로써 [1111]의 디지털 신호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무선 통신 장치(16d)로부터는, [1000, 1100, 1010, 1111]의 신호가 송신된다. 즉, 수납부(15d)의 고유 정보는 [1000, 1100, 1010]으로 할 수 있고, 상술한 접속선(13d)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당해 고유 정보와 함께 외부 장치에 발신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 복수의 수납부(15) 중 어느 것이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수납부(15)별로 외부 장치에서 검지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납부(15)의 수가 증가한 경우에는, 플립플롭 회로의 수를 증가시키면 되고, n개의 플립플롭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2n개의 수납부(15)를 구별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10 예)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10 예로서는, 기억부가 적어도 수납부(15)의 개봉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정보를 기록하는 플립플롭 회로를 갖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도 21a는,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10A)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6F)의 구성의 제10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b는, 도 21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0 예에 있어서의 기억부(141L)는 플립플롭 회로(1300)를 갖는다.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립플롭 회로(1300)는 2개의 플립플롭 회로(13001, 13002)를 가지고 구성된다. 2개의 플립플롭 회로(13001, 13002)를 조합함으로써, [1000], [1100], [1010], [1110]의 4개의 디지털 신호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즉, 2비트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1b에 있어서, [1000]의 디지털 신호를 발하는 배선이 접속선(13a), [1100]의 디지털 신호를 발하는 배선이 접속선(13b), [1010]의 디지털 신호를 발하는 배선이 접속선(13c), [1110]의 디지털 신호를 발하는 배선이 접속선(13d)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납부(15a 내지 15d)가 모두 미개봉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F)로부터는, [1000, 1100, 1010, 1110]의 신호가 송신된다. 한편, 수납부(15a)가 개봉된 경우, 접속선(13a)을 전원 회로, 또는 기준 전위선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에 주변 회로(1103)로 접속시킴으로써, [1111]의 디지털 신호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무선 통신 장치(16F)로부터는, [1111, 1100, 1010, 1110]의 신호가 송신된다. 즉, 상술한 접속선(13a)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외부 장치에 발신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15b)가 개봉된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F)로부터는, [1111, 1111, 1010, 1110]의 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수납부(15c)가 개봉된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F)로부터는, [1111, 1111, 1111, 1110]의 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수납부(15d)가 개봉된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F)로부터는, [1111, 1111, 1111, 1111]의 신호가 송신된다.
이상의 결과, 복수의 수납부(15a 내지 15d) 중 어느 것이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수납부(15)별로 외부 장치에서 검지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납부(15)의 수가 증가한 경우에는, 플립플롭 회로의 수를 증가시키면 되고, n개의 플립플롭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2n개의 수납부(15)를 구별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11 예)
또한, 도 22a는 도 1a에 나타내는 포장재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 제11 예에 관한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b는, 도 22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1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6G)는 기억부(141M) 내에 메모리 어레이(1500) 및 주변 회로(1501, 1502)를 갖는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도 1a에 나타내는 포장재(10)는 주변 회로(1501, 1502)에 접속되어 있다. 워드선(150a 내지 150c)은 각각 워드선(90a 내지 90c)과 동일하며, 비트선(151a 내지 151c)은 각각 비트선(91a 내지 91c)과 동일하다. 기타 구성은 도 14a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하다.
도 22b에 있어서는, 메모리 소자(15001 내지 15009)를 포함하는 메모리 어레이(1500)에는, 수납부(15)의 고유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주변 회로(1501) 내에서 접속선(13)이 기준 전위선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되어 있으며, 수납부(15)가 미개봉인 경우, 주변 회로(15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0」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G)로부터는, [고유 정보, 0]이라는 신호가 송신된다. 한편, 수납부(15)가 개봉된 경우에는, 주변 회로(15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1」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G)로부터는, [고유 정보, 1]이라는 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주변 회로(1501) 내에서 접속선(13)이 전원 회로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되어 있으며, 수납부(15)가 미개봉인 경우에는, 주변 회로(15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1」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G)로부터는, [고유 정보, 1]이라는 신호가 송신된다. 한편, 수납부(15)가 개봉된 경우, 주변 회로(15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0」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G)로부터는, [고유 정보, 0]이라는 신호가 송신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접속선(13)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당해 고유 정보와 함께 외부 장치에 발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수납부(15) 중 어느 것이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수납부(15)별로 외부 장치에서 검지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모리 어레이(1500)의 구조에 대하여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메모리 어레이(1500)의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3 예 내지 제8 예에서 나타낸 구조가 바람직하다(도 14c, 도 16b 및 도 18b 참조).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12 예)
도 23a는,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 제12 예에 관한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3b는, 도 23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기억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2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6H)는, 기억부(141N) 내에 메모리 어레이(1500) 및 주변 회로(1501, 1502)를 갖는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10A)는, 주변 회로(1501, 1502)에 접속되어 있다. 워드선(150a 내지 150c)은 각각 워드선(90a 내지 90c)과 동일하며, 비트선(151a 내지 151c)은 각각 비트선(91a 내지 91c)과 동일하다. 기타 구성은 도 15a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하다.
도 23b에 있어서는, 메모리 소자(15001 내지 15009)를 포함하는 메모리 어레이(1500)에는, 포장재의 고유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주변 회로(1501) 내에서 접속선(13a 내지 13d)이 기준 전위선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되어 있으며, 수납부(15a 내지 15d)가 미개봉인 경우, 주변 회로(15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0」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H)로부터는, [고유 정보, 0, 0, 0, 0]이라는 신호가 송신된다. 한편, 수납부(15a)가 개봉된 경우에는, 주변 회로(15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1」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H)로부터는, [고유 정보, 1, 0, 0, 0]이라는 신호가 송신된다. 계속해서, 수납부(15b)가 개봉된 경우에는, 무선 통신 장치(16H)로부터는, [고유 정보, 1, 1, 0, 0]이라는 신호가 송신된다. 계속해서, 수납부(15c)가 개봉된 경우에는, 무선 통신 장치(16H)로부터는, [고유 정보, 1, 1, 1, 0]이라는 신호가 송신된다. 계속해서, 수납부(15d)가 개봉된 경우에는, 무선 통신 장치(16H)로부터는, [고유 정보, 1, 1, 1, 1]이라는 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주변 회로(1501) 내에서 접속선(13)이 전원 회로에 접속되어 있으며, 수납부(15)가 미개봉인 경우, 주변 회로(15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1」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H)로부터는, [고유 정보, 1, 1, 1, 1]이라는 신호가 송신된다. 한편, 수납부(15a)가 개봉된 경우, 주변 회로(15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0」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H)로부터는, [고유 정보, 0, 1, 1, 1]이라는 신호가 송신된다. 계속해서, 수납부(15b)가 개봉된 경우에는, 무선 통신 장치(16H)로부터는, [고유 정보, 0, 0, 1, 1]이라는 신호가 송신된다. 계속해서, 수납부(15c)가 개봉된 경우에는, 무선 통신 장치(16H)로부터는, [고유 정보, 0, 0, 0, 1]이라는 신호가 송신된다. 계속해서, 수납부(15d)가 개봉된 경우에는, 무선 통신 장치(16H)로부터는, [고유 정보, 0, 0, 0, 0]이라는 신호가 송신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접속선(13a 내지 13d)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당해 고유 정보와 함께 외부 장치에 발신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재가 갖는 복수의 수납부(15) 중 어느 것이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외부 장치에서 검지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모리 어레이(1500)의 구조에 대하여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메모리 어레이(1500)의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의 제3 예 내지 제8 예에서 나타낸 구조가 바람직하다(도 14c, 도 16b 및 도 18b 참조).
(무선 통신 장치의 제1 예 및 제2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제1 예 및 제2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영역에, 도포법에 의해 도포층을 형성하는 도포 공정을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조 대상의 메모리 소자를 구성하는 전극이나 절연층, 반도체층의 형성 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들 형성 방법의 순서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제1 예 및 제2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제1 예 및 제2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 12b, 12c에 나타내는 메모리 소자(800)를 예로 들어, 도 12b, 12c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예 및 제2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는, 메모리 소자와, 1개의 워드선과, 비트선으로서의 접속선(13)을 형성하기 위한 각종 공정, 예를 들어 제1 전극 배선 형성 공정과, 절연층 형성 공정과, 제2 전극 배선 형성 공정과, 도포 공정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제1 전극 배선 형성 공정이 행해진다. 이 공정에서는 기재(81) 상에, 1개의 워드선(80)과 제3 전극(82)이 상술한 방법, 예를 들어 마스크를 통하여 진공 증착함으로써, 동시에 형성된다. 제3 전극(82)은 워드선(80)과 배선을 통해 접속된다.
이어서, 절연층 형성 공정이 행해진다. 이 공정에서는 기재(81) 상에, 절연층(83)이 제3 전극(82)에 대응하여 상술한 방법, 예를 들어 인쇄법으로 형성된다. 형성된 절연층(83)은 제3 전극(82)에 상측으로부터 접함과 함께, 기재(81)와의 사이에 제3 전극(82)을 끼우고 덮는다.
이어서, 제2 전극 배선 형성 공정이 행해진다. 이 공정에서는, 접속선(13)과, 한 쌍의 제1 전극(85) 및 제2 전극(86)이 상술한 방법, 예를 들어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마스크를 통하여 진공 증착함으로써, 동시에 형성된다. 이 때, 접속선(13)은, 워드선(80)과 교차하는 방향을 길이로 하고, 수납부(15)의 개구를 밀폐하는 기재 부분을 통과하여 주변 회로(801, 802)와 접속 가능한 패턴이 되도록, 기재(81) 상에 형성된다. 제1 전극(85)은 접속선(13)과 배선을 통해 접속된다.
이어서, 도포 공정이 행해진다. 이 공정에 있어서 대상으로 하는 도포층은, 반도체층(84)(도 12c 참조)이다. 이 공정에서는, 제1 전극(85)과 제2 전극(86) 사이의 영역에, 반도체층(84)이 도포법에 의해 형성된다. 이 공정에 있어서의 도포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잉크젯법, 디스펜서법 및 스프레이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도포 위치 정밀도 및 원료 사용 효율의 관점에서, 도포법으로서 잉크젯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전극 배선 형성 공정, 절연층 형성 공정, 제2 전극 배선 형성 공정 및 도포 공정에 의해, 기재(81) 상에, 도 12c에 나타내는 TFT 구조를 가지며 또한 워드선(80) 및 접속선(13)과 접속된 상태의 메모리 소자(800)(도 12b 참조)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재(81)로서는, 예를 들어 포장재(10)의 시트(11)를 구성하는 기재(11b)(도 9a, 9b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의 제3 예 내지 제8 예, 제11 예 및 제12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제3 예 내지 제8 예, 제11 예 및 제12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1 예 및 제12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어레이의 구조는, 제3 예 내지 제8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어레이의 구조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1 예 및 제12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도, 제3 예 내지 제8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조 방법은, 복수의 메모리 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영역에, 도포법에 의해 도포층을 형성하는 도포 공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조 대상의 메모리 어레이에 포함되는 각 메모리 소자를 구성하는 전극이나 절연층, 반도체층의 형성 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들 형성 방법의 순서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제3 예 내지 제8 예, 제11 예 및 제12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어레이를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제3 예 내지 제8 예, 제11 예 및 제12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 14b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900)를 예로 들어, 도 14b, 14c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제3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 방법에는, 이 메모리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와, 적어도 1개의 워드선과, 복수의 비트선을 형성하기 위한 각종 공정, 예를 들어 제1 전극 배선 형성 공정과, 절연층 형성 공정과, 제2 전극 배선 형성 공정과, 도포 공정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제1 전극 배선 형성 공정이 행해진다. 이 공정에서는, 기재(92) 상에, 3개의 워드선(90a 내지 90c)과 복수의 제3 전극(93)이 상술한 방법, 예를 들어 마스크를 통하여 진공 증착함으로써, 동시에 형성된다. 이들 복수의 제3 전극(93)은 워드선(90a 내지 90c) 중 접속 대상으로서 순차로 선택되는 1개와 배선을 통해 접속된다. 제3 전극(93)의 형성수는 제작 예정의 복수(예를 들어 9개)의 메모리 소자와 동일한 수이다.
이어서, 절연층 형성 공정이 행해진다. 이 공정에서는, 기재(92) 상에, 복수의 절연층(94)이 복수의 제3 전극(93)에 대응하여, 상술한 방법, 예를 들어 인쇄법으로 형성된다. 이들 복수의 절연층(94)의 각각은, 제3 전극(93)에 상측으로부터 접함과 함께, 기재(92)와의 사이에 제3 전극(93)을 끼우고 덮는다.
이어서, 제2 전극 배선 형성 공정이 행해진다. 이 공정에서는, 복수의 비트선(예를 들어 비트선(91a 내지 91c) 및 비트선으로서의 접속선(13))과, 복수쌍의 제1 전극(96) 및 제2 전극(97)이 상술한 방법, 예를 들어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마스크를 통하여 진공 증착함으로써, 동시에 형성된다. 이 때, 비트선(91a 내지 91c) 및 접속선(13)은 적어도 1개의 워드선(예를 들어 워드선(90a 내지 90c))과 교차하는 방향을 길이로 하여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도록, 기재(92)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개구를 밀폐하는 기재 부분을 통과하여 주변 회로(901, 902)와 접속 가능한 패턴을 이루도록 한다. 복수의 제1 전극(96)의 각각은 비트선(91a 내지 91c) 및 접속선(13) 등, 복수의 비트선 중 접속 대상으로서 순차로 선택되는 1개와 배선을 통해 접속된다. 제1 전극(96) 및 제2 전극(97)의 각 형성수는 제작 예정의 복수(예를 들어 9개)의 메모리 소자와 동일한 수이다.
이어서, 도포 공정이 행해진다. 이 공정에 있어서 대상으로 하는 도포층은, 반도체층(95)이다. 이 공정에서는, 기록되는 정보에 대응하여, 기재(92) 상의 복수의 메모리 소자 중에서 도포 대상의 메모리 소자가 선택된다. 계속해서, 선택된 도포 대상의 메모리 소자(도 14c에서는 메모리 소자(9001, 9003))에 있어서의 제1 전극(96)과 제2 전극(97) 사이의 영역에, 반도체층(95)이 도포법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 소자(9001)가, 제1 전극(96)과 제2 전극(97) 사이의 영역에, CNT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서 건조시켜, 반도체층(95)이 형성된다. 한편, 이들 복수의 메모리 소자 중, 도포 대상으로 선택되지 않은 메모리 소자(도 14c에서는 메모리 소자(9002))에는, 반도체층(95)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92) 상의 복수의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층(95)의 유무에 의해 전기 특성이 서로 다른(즉, 기록되는 정보가 서로 다른) 2종류의 메모리 소자로 구분해서 제작할 수 있다. 이 결과, 이들 2종류의 메모리 소자의 임의의 배열에 의해 결정되는 정보(예를 들어 복수의 수납부(15)별로 다른 고유 정보 및 개봉 검지를 위한 정보 등)가 기록된 메모리 어레이(예를 들어 도 14b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900))를 제작할 수 있다.
이 공정에 있어서의 도포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잉크젯법, 디스펜서법 및 스프레이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도포 위치 정밀도 및 원료 사용 효율의 관점에서, 도포법으로서 잉크젯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기재(92)로서는, 예를 들어 포장재(10)의 시트(11)를 구성하는 기재(11b) 등을 들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의 제5 예 및 제6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 방법의 예)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제5 예 및 제6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 16a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1000)를 예로 들어, 도 16a, 16b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제5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 방법에는, 이 메모리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와, 적어도 1개의 워드선과, 복수의 비트선을 형성하기 위한 각종 공정, 예를 들어 제1 전극 배선 형성 공정과, 절연층 형성 공정과, 제2 전극 배선 형성 공정과, 도포 공정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제1 전극 배선 형성 공정이 행해진다. 이 공정에서는, 기재(102) 상에, 3개의 워드선(100a 내지 100c)과 복수의 제3 전극(103)이 상술한 방법, 예를 들어 마스크를 통하여 진공 증착함으로써, 동시에 형성된다. 이들 복수의 제3 전극(103)은 워드선(100a 내지 100c) 중 접속 대상으로서 순차로 선택되는 1개와 배선을 통해 접속된다. 제3 전극(103)의 형성수는 제작 예정의 복수(예를 들어 9개)의 메모리 소자와 동일한 수이다.
이어서, 절연층 형성 공정이 행해진다. 이 공정에서는, 기재(102) 상에, 복수의 절연층(104)이 복수의 제3 전극(103)에 대응하여, 상술한 방법, 예를 들어 인쇄법으로 형성된다. 이들 복수의 절연층(104)의 각각은, 제3 전극(103)에 상측으로부터 접함과 함께, 기재(102)와의 사이에 제3 전극(103)을 끼우고 덮는다.
이어서, 제2 전극 배선 형성 공정이 행해진다. 이 공정에서는, 복수의 비트선(예를 들어 비트선(101a 내지 101c) 및 비트선으로서의 접속선(13))과, 복수쌍의 제1 전극(106) 및 제2 전극(107)이 상술한 방법, 예를 들어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마스크를 통하여 진공 증착함으로써, 동시에 형성된다. 이 때, 비트선(101a 내지 101c) 및 접속선(13)은, 적어도 1개의 워드선(예를 들어 워드선(100a 내지 100c))과 교차하는 방향을 길이로 하여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도록, 기재(102)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개구를 밀폐하는 기재 부분을 통과하여 주변 회로(1001, 1002)와 접속 가능한 패턴을 이루도록 한다. 복수의 제1 전극(106)의 각각은 비트선(101a 내지 101c) 및 접속선(13) 등, 복수의 비트선 중 접속 대상으로서 순차로 선택되는 1개와 배선을 통해 접속된다. 제1 전극(106) 및 제2 전극(107)의 각 형성수는 제작 예정의 복수(예를 들어 9개)의 메모리 소자와 동일한 수이다.
이어서, 도포 공정이 행해진다. 이 공정에 있어서 대상으로 하는 도포층은, 서로 전기 특성이 다른 반도체층(105, 108)이다. 이 공정에서는, 기록되는 정보에 대응하여, 기재(102) 상의 복수의 메모리 소자의 각각에 있어서의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7) 사이의 영역에, 반도체층(105) 또는 반도체층(108)이 도포법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 소자(10001, 10003)의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7) 사이의 영역에, CNT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서 건조시켜, 반도체층(105)이 형성된다. 또한, 메모리 소자(10002)의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7) 사이의 영역에, 폴리(3-헥실티오펜)(P3HT)을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서 건조시켜, 반도체층(10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102) 상의 복수의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층(105, 108) 중 어느 것을 갖는지에 따라서 전기 특성이 서로 다른(즉, 기록되는 정보가 서로 다른) 2종류의 메모리 소자로 구분해서 제작할 수 있다. 이 결과, 이들 2종류의 메모리 소자의 임의의 배열에 의해 결정되는 정보(예를 들어 복수의 수납부(15)별로 다른 고유 정보 및 개봉 검지를 위한 정보 등)가 기록된 메모리 어레이(예를 들어 도 16a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1000))를 제작할 수 있다.
이 공정에 있어서의 도포법은, 상술한 제3 예에 있어서의 도포 공정의 경우와 동일하게, 잉크젯법, 디스펜서법 및 스프레이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도포 위치 정밀도 및 원료 사용 효율의 관점에서, 잉크젯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메모리 소자(10001) 및 메모리 소자(10002)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전기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반도체층(105, 108)을 각각 형성하는 각 반도체 재료를 서로 다른 것으로 하는 것 외에도,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하나는, 반도체층(105)을 형성할 때의 CNT 용액의 도포량을, 반도체층(108)을 형성할 때의 CNT 용액의 도포량보다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 반도체층(105)의 막 두께를 반도체층(108)의 막 두께보다 두껍게 하는 방법이다. 또한, 다른 하나는, 반도체층(105) 및 반도체층(108)을 각각 형성할 때의 각 반도체 재료의 도포량은 일정하게 하지만, 반도체층(105)을 형성할 때의 CNT 용액의 농도를, 반도체층(108)을 형성할 때의 CNT 용액의 농도보다도 진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들 방법에 의해, 「0」 및 「1」 중 한쪽 정보를 메모리 소자(10001)에 기록시키고, 다른 쪽 정보를 메모리 소자(10002)에 기록시키거나 하여, 서로 다른 정보를 기록한 2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임의로 조합한 복수의 메모리 소자의 배열, 즉, 메모리 어레이를, 동일한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단, 반도체층들의 전기 특성을 충분히 상이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면, 이들 이외의 방법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장치의 제7 예 및 제8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 방법의 예)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제7 예 및 제8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 18a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1100)를 예로 들어, 도 18a, 18b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7 예 및 제8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 방법에는, 이 메모리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와, 적어도 1개의 워드선과, 복수의 비트선을 형성하기 위한 각종 공정, 예를 들어 제1 전극 배선 형성 공정과, 절연층 형성 공정과, 제2 전극 배선 형성 공정과, 반도체층 형성 공정과, 도포 공정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제1 전극 배선 형성 공정이 행해진다. 이 공정에서는, 기재(112) 상에, 3개의 워드선(110a 내지 110c)과 복수의 제3 전극(113)이 상술한 방법, 예를 들어 마스크를 통하여 진공 증착함으로써, 동시에 형성된다. 이들 복수의 제3 전극(113)은 워드선(110a 내지 110c) 중 접속 대상으로서 순차로 선택되는 1개와 배선을 통해 접속된다. 제3 전극(113)의 형성수는 제작 예정의 복수(예를 들어 9개)의 메모리 소자와 동일한 수이다.
이어서, 절연층 형성 공정이 행해진다. 이 공정에서는, 기재(112) 상에, 복수의 절연층(114)이 복수의 제3 전극(113)에 대응하여, 상술한 방법, 예를 들어 인쇄법으로 형성된다. 이들 복수의 절연층(114)의 각각은 제3 전극(113)에 상측으로부터 접함과 함께, 기재(112)와의 사이에 제3 전극(113)을 끼우고 덮는다.
이어서, 제2 전극 배선 형성 공정이 행해진다. 이 공정에서는, 복수의 비트선(예를 들어 비트선(111a 내지 111c) 및 비트선으로서의 접속선(13))과, 복수쌍의 제1 전극(116) 및 제2 전극(117)이 상술한 방법, 예를 들어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마스크를 통하여 진공 증착함으로써, 동시에 형성된다. 이 때, 비트선(111a 내지 111c) 및 접속선(13)은 적어도 1개의 워드선(예를 들어 워드선(110a 내지 110c))과 교차하는 방향을 길이로 하여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도록, 기재(112)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개구를 밀폐하는 기재 부분을 통과하여 주변 회로(1101, 1102)와 접속 가능한 패턴을 이루도록 한다. 복수의 제1 전극(116)의 각각은 비트선(111a 내지 111c) 및 접속선(13) 등, 복수의 비트선 중 접속 대상으로서 순차로 선택되는 1개와 배선을 통해 접속된다. 제1 전극(116) 및 제2 전극(117)의 각 형성수는 제작 예정의 복수(예를 들어 9개)의 메모리 소자와 동일한 수이다.
이어서, 반도체층 형성 공정이 행해진다. 이 공정에서는, 제작 예정의 복수의 메모리 소자의 각각에 있어서의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의 영역에, 절연층(114)과 접하도록 반도체층(115)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 소자(11001 내지 11003)의 구성 요소인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의 영역에, CNT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서 건조시켜, 절연층(114)의 상면에 접하는 반도체층(115)이 형성된다.
이 공정에 있어서의 도포법은, 상술한 제3 예에 있어서의 도포 공정의 경우와 동일하게, 잉크젯법, 디스펜서법 및 스프레이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도포 위치 정밀도 및 원료 사용 효율의 관점에서, 잉크젯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포 공정이 행해진다. 이 공정에 있어서 대상으로 하는 도포층은, 서로 전기 특성이 다른 제1 절연층(118) 또는 제2 절연층(119)이다. 이 공정에서는, 기록되는 정보에 대응하여, 기재(112) 상의 복수의 메모리 소자의 각각에 있어서의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의 영역에, 절연층(114)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반도체층(115)과 접하도록 제1 절연층(118) 또는 제2 절연층(119)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 소자(11001)에 대하여는,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의 영역에, 반도체층(115)을 덮도록, 제1 절연층(118)의 형성을 위한 절연성 재료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서 건조시켜, 제1 절연층(118)이 형성된다. 메모리 소자(11002)에 대하여는,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17) 사이의 영역에, 반도체층(115)을 덮도록, 제2 절연층(119)의 형성을 위한 절연성 재료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서 건조시켜, 제2 절연층(119)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112) 상의 복수의 메모리 소자는, 제1 절연층(118) 및 제2 절연층(119) 중 어느 것을 갖는지에 따라서 전기 특성이 서로 다른(즉, 기록되는 정보가 서로 다른) 2종류의 메모리 소자로 구분해서 제작할 수 있다. 이 결과, 이들 2종류의 메모리 소자의 임의의 배열에 의해 결정되는 정보(예를 들어 복수의 수납부(15)별로 다른 고유 정보 및 개봉 검지를 위한 정보 등)가 기록된 메모리 어레이(예를 들어 도 18a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1100))를 제작할 수 있다.
이 공정에 있어서의 도포법은 잉크젯법, 디스펜서법, 스프레이법,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플렉소 인쇄, 슬릿 코팅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3 예 내지 제8 예, 제11 예 및 제12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어레이 중 어느 제조 방법도, 각각 기록 정보가 다른 다수의 메모리 어레이를 제조할 때, 프로세스면 및 비용면에 있어서 유리하다. 각각 기록 정보가 다른 각 메모리 어레이는, 「0」의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 소자와 「1」의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 소자를 임의로 조합한 배열이 상이한 것이다. 메모리 어레이마다, 이들 2종류의 메모리 소자의 배열을, 상이하게 되도록 형성하고자 하면, 예를 들어 메모리 어레이마다 대응하는 포토마스크가 필요해지는 등의 이유에 의해, 통상 프로세스나 비용이 증가한다. 상술한 제3 예 내지 제8 예, 제11 예 및 제12 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반도체층이나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 등의 도포층의 형성 대상으로 하는 메모리 소자의 위치를,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간이하게 메모리 어레이마다 변화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상술한 2종류의 메모리 소자의 배열이 상이한 많은 종류의 메모리 어레이를 제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각각 기록 정보가 다른 다수의 메모리 어레이를, 간편한 프로세스 또한 저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수납부(15)마다 다른 ID를 갖는 무선 통신 장치를 구비한 포장재를, 저비용의 제조로 얻을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의 제9 예 및 제10 예에 있어서의 플립플롭 회로)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제9 예 및 제10 예에 있어서의 플립플롭 회로의 각 회로에 포함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되고, 사용되는 재료,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 각 회로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재료도,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전성 재료라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이들 각 회로의 접속 방법도, 전기적으로 도통을 취할 수 있으면, 어떠한 방법이어도 되고, 각 회로간의 접속부의 폭 및 두께는 임의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는 인쇄 등의 도포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메모리 소자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반도체층으로서는 소자 성능의 관점에서, 카본 나노 튜브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공액계 중합체가 부착된 카본 나노 튜브 복합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제1 예 내지 제12 예의 메모리 소자, 메모리 어레이, 플립플롭 회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제1 전극 배선 형성 공정, 절연층 형성 공정, 제2 전극 배선 형성 공정, 반도체층 형성 공정 및 도포 공정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기능부 형성 공정에 포함되어도 된다.
(기억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제1 예 내지 제12 예에 있어서의 기억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억부(141)는, 적어도 메모리 소자(예를 들어 도 12b에 나타내는 메모리 소자(800)), 메모리 어레이(도 14b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900), 도 16b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1000) 또는 도 18b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1100), 또는 도 22b에 나타내는 메모리 어레이(900)) 또는 플립플롭 회로(예를 들어 도 20b 내지 20e에 나타내는 플립플롭 회로(13001, 13002))와, 주변 회로(도 12b에 나타내는 주변 회로(801, 802), 도 14b에 나타내는 주변 회로(901, 902), 도 16a에 나타내는 주변 회로(1001, 1002), 도 18a에 나타내는 주변 회로(1101, 1102), 도 20b 내지 20e에 나타내는 주변 회로(1103))를 구성 요소에 갖는다.
주변 회로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주변 회로(801, 901, 1001, 1101)는 링 오실레이터 회로와 카운터 회로를 갖고, 주변 회로(802, 902, 1002, 1102)는 플립플롭 회로를 갖는다. 예를 들어, 링 오실레이터 회로로부터 발생한 클럭 신호가, 카운터 회로에 입력된다. 이에 의해, 카운터 회로로부터 메모리 어레이의 비트선(예를 들어 도 14b에 나타내는 비트선(91a 내지 91c)), 워드선(예를 들어 도 14b에 나타내는 워드선(90a 내지 90c)) 및 접속선(13)에 대하여, 선택 신호가 각각 출력된다. 이러한 선택 신호의 출력에 의해, 메모리 어레이 내의 복수의 메모리 소자(예를 들어 도 14b에 나타내는 메모리 소자(9001 내지 9009)) 중에서, 정보의 독출 대상의 메모리 소자가 소정의 순서로 순차로 선택된다. 이들 복수의 메모리 소자에 각각 기록되어 있는 각 정보(예를 들어 「0」 또는 「1」 등의 2값의 정보)는, 이 선택의 순서에 따라서 순차로 독출된다. 이 독출된 순서대로 배열되는 각 정보가, 메모리 어레이의 고유 정보 등의 기록 정보로서 메모리 어레이로부터 플립플롭 회로에 입력된다. 플립플롭 회로는, 링 오실레이터 회로로부터 입력된 클럭 신호와, 메모리 어레이로부터 입력된 각 정보를 바탕으로, 이들 각 정보를 안정화 처리한다. 안정화 처리된 각 정보는, 메모리 어레이의 기록 정보로서, 플립플롭 회로로부터 메모리 회로의 외부로 출력된다.
링 오실레이터 회로, 카운터 회로, 플립플롭 회로의 각 회로에 포함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되고, 사용되는 재료,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 각 회로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재료도,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전성 재료라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이들 각 회로의 접속 방법도 전기적으로 도통을 취할 수 있으면, 어떠한 방법이어도 되고, 각 회로간의 접속부의 폭 및 두께는 임의이다. 그러나, 기억부도 회로부(14)(도 14a 등 참조)의 구성 요소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는, 인쇄 등의 도포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는, 기억 수단으로서의 기억부의 구성 요소의 적어도 하나는, 인쇄 등의 도포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억부의 구성 요소의 모두가 인쇄 등의 도포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4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a, 24b는 도 1a에 나타내는 포장재(10)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6K)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16))의 일례이다.
도 24a,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16K)는 도 10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16)의 통신 회로(143) 대신에 통신 회로(143A)를 회로부(14) 내에 구비한다. 통신 회로(143A)는 무선 통신 장치(16)의 변조 회로(145) 대신에 변조 회로(145A)를 갖는다. 이 변조 회로(145A)에는, 접속선(13)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24a에 예시하는 무선 통신 장치(16K)에서는, 변조 회로(145A)와 안테나(12)가 배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도 24b에 예시하는 무선 통신 장치(16K)에서는, 변조 회로(145A)와 안테나(12)가 배선 및 전원 생성부(142)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무선 통신 장치(16K)는, 판독 장치 등의 외부 장치에 송신하는 신호의 변조 상태를,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는 접속선(13)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변화시킴으로써, 수납부(15)의 개봉의 유무에 의해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에 발신하여, 수납부(15)의 개봉의 유무를 검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기타 구성은 상술한 무선 통신 장치(16)와 동일하고,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변조 회로(145A)는, 무선 통신 장치(16K)로부터 외부 장치에 발신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여 접속선(13)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변조한다. 구체적으로는, 변조 회로(145A)는 제어 회로(146)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기억부(141)로부터 독출된 정보(예를 들어 「0」, 「1」의 배열에 의한 디지털 정보)를 송신 대상의 정보로서 반송파에 적재한다. 이 때, 변조 회로(145A)는, 송신 대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반송파의 진폭, 주파수, 위상 등을 변화시키는 변조 처리를 행하고, 이에 의해, 송신 대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변조파 신호를 생성한다. 변조 회로(145A)에 의해 생성된 변조파 신호는, 안테나(12)로부터 외부 장치에 무선 송신된다. 이 결과, 무선 통신 장치(16K)는 반송파를 매체로 하여 송신 대상의 정보를 외부 장치에 발신할 수 있다.
특히,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변조 회로(145A)는,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여 접속선(13)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변조 처리에 의한 반송파의 진폭, 주파수, 위상 등의 변조 상태를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변조 회로(145A)는 이 접속선(13)의 절단 전후에서 변조 상태가 상이하도록 변조파 신호를 생성한다. 이 결과, 송신 대상의 정보는 이 접속선(13)의 절단 전후에서 상이한 것이 된다. 무선 통신 장치(16K)는, 이러한 변조 회로(145A)의 변조 처리에 의한 변조파 신호를 외부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접속선(13)의 절단 전후 즉 수납부(15)의 개봉의 유무에서 상이한 정보를, 외부 장치에 발신할 수 있다. 또한, 접속선(13)의 절단 전후에서 상이하게 하는 변조 상태로서는, 송신 대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송신 신호)의 진폭, 주파수, 위상 중 어느 상태여도 된다.
도 24c는, 도 24a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적용되는 변조 회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c에는, 이 변조 회로(145A)의 일례로서,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는 접속선(13)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송신 신호의 진폭의 변조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나타내지만, 변조 회로(145A)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조 회로(145A)는 스위치 회로(1201)와 복수(도 24c에서는 2개)의 저항 소자(1202, 1203)를 갖는다. 스위치 회로(1201)는 제어 회로(146)에 의해 개폐 제어된다. 저항 소자(1202, 1203)는, 예를 들어 부하 저항에 의해 구성되고, 배선을 통해 스위치 회로(1201)에 대하여 각각 접속(예를 들어 병렬로 접속)된다. 이들 스위치 회로(1201) 및 저항 소자(1202, 1203)는, 배선을 통해 안테나(12)와 접속된다. 또한, 저항 소자(1202, 1203)는, 접속선(13) 등의 배선을 통해 서로 병렬로 접속된다. 병렬 접속된 상태의 저항 소자(1202, 1203)의 임피던스는, 안테나(12)의 임피던스와 동일해지게 설정된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는 절단 전에 있어서, 저항 소자(1202, 1203)의 양쪽과 접속된 상태가 되고,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는 절단 후에 있어서, 한쪽 저항 소자(1202)와는 접속되며 또한 다른 쪽 저항 소자(1203)와는 단선된 상태가 된다. 즉, 접속선(13)은 이들 저항 소자(1202, 1203)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수납부(15)가 아직 개봉되지 않은 경우, 접속선(13)은 절단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스위치 회로(1201)가 개방되어 있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12)의 임피던스와 저항 소자(1202, 1203)의 임피던스가 동일하기 때문에, 변조 회로(145A)에서는 판독 장치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된 반송파의 반사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 경우, 변조 회로(145A)는 반사파의 진폭을 제로로 변조할 수 있다. 이 때, 변조 회로(145A)는 기억부(141)로부터 독출된 송신 대상의 정보를 「0」이 되도록, 반송파를 변조한다. 한편, 스위치 회로(1201)가 단락되어(폐쇄되어) 있으면, 변조 회로(145A)에서는 상술한 반송파의 전반사가 일어난다. 이 경우, 변조 회로(145A)에 의한 반사파의 진폭의 변조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 때, 변조 회로(145A)는 기억부(141)로부터 독출된 송신 대상의 정보를 「1」이 되도록, 반송파를 변조한다. 이와 같이, 변조 회로(145A)에 의한 반송파의 진폭의 변조를 이용하여, 송신 대상의 정보를 「0」 또는 「1」로 함으로써, 기억부(141)에 기록된 정보를, 접속선(13)의 절단 전의 상태에 대응한 디지털 정보로 변조하여, 무선 통신 장치(16K)로부터 외부 장치에 발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수납부(15)가 개봉된 경우,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부분에서 절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저항 소자(1202, 1203)의 임피던스는 변화되어버리고, 이것에서 기인하여 안테나(12)의 임피던스와 저항 소자(1202, 1203)의 임피던스는, 동일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가령 스위치 회로(1201)가 개방되었다고 해도, 변조 회로(145A)에서는 상술한 반송파의 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반사파의 진폭이 제로는 아니다. 이 때, 기억부(141)로부터 독출된 송신 대상의 정보가 실린 변조파 신호의 진폭이, 저하된 상태가 된다. 즉, 변조 회로(145A)는,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는 접속선(13)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송신 대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변조한다. 무선 통신 장치(16K)는, 이 송신 대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변조파 신호를 외부 장치에 송신한다. 이렇게 수납부(15)의 개봉 후에 무선 통신 장치(16K)로부터 외부 장치에 송신된 변조파 신호의 진폭은, 수납부(15)의 개봉의 전과 비교하여 변화되어 있다. 이 진폭의 변화를 외부 장치에 의해 검지하면, 수납부(15)가 개봉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변조 회로(145A)에 있어서의 저항 소자(1202, 1203)의 배치는, 도 24c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4d는, 도 24c에 나타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변조 회로에 적용되는 저항 소자의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조 회로(145A)에 있어서, 22개의 저항 소자(1202, 1203) 중 한쪽(예를 들어 저항 소자(1203))은, 접속선(13)의 중도부이며 수납부(15)의 개구를 밀폐하는 기재 부분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배치에서는, 저항 소자(1203)는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여, 접속선(13)과 함께 절단된다.
도 24e는, 도 24b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적용되는 변조 회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e에는, 이 변조 회로(145A)의 일례로서,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는 접속선(13)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송신 신호의 진폭의 변조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나타내지만, 변조 회로(145A)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4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조 회로(145A)는 스위치 회로(1201)와 복수(도 24e에서는 2개)의 저항 소자(1202, 1203)를 갖는다. 스위치 회로(1201)는 제어 회로(146)에 의해 개폐 제어된다. 저항 소자(1202, 1203)는, 예를 들어 부하 저항에 의해 구성되고, 배선을 통해 스위치 회로(1201)에 대하여 각각 접속(예를 들어 직렬로 접속)된다. 이들 스위치 회로(1201) 및 저항 소자(1202, 1203)는, 배선을 통해 전원 생성부(142)와 접속된다. 전원 생성부(142)는 배선을 통해 안테나(12)와 접속된다. 또한, 저항 소자(1202, 1203)는, 접속선(13) 등의 배선을 통해 서로 병렬로 접속된다. 병렬 접속된 상태의 저항 소자(1202, 1203)에 의해, 제어 회로(146) 및 기억부(141)의 임피던스와, 안테나(12)의 임피던스가 동일해지게 설계되어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는 절단 전에 있어서, 저항 소자(1202, 1203)의 양쪽과 접속된 상태가 되고,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는 절단 후에 있어서, 한쪽 저항 소자(1202)와는 접속되며 또한 다른 쪽 저항 소자(1203)와는 단선된 상태가 된다. 즉, 도 24e에 예시되는 구성에 있어서도, 접속선(13)은 이들 저항 소자(1202, 1203)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수납부(15)가 아직 개봉되지 않은 경우, 접속선(13)은 절단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스위치 회로(1201)가 개방되어 있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12)의 임피던스와 제어 회로(146) 및 기억부(141)의 임피던스가 동일하기 때문에, 변조 회로(145A)에서는 판독 장치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된 반송파의 반사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 경우, 변조 회로(145A)는 반사파의 진폭을 제로로 변조할 수 있다. 이 때, 변조 회로(145A)는 기억부(141)로부터 독출된 송신 대상의 정보를 「0」이 되도록, 반송파를 변조한다. 한편, 스위치 회로(1201)가 단락되어(폐쇄되어) 있으면, 변조 회로(145A)에서는 상술한 반송파의 전반사가 일어난다. 이 경우, 변조 회로(145A)에 의한 반사파의 진폭의 변조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 때, 변조 회로(145A)는 기억부(141)로부터 독출된 송신 대상의 정보를 「1」이 되도록, 반송파를 변조한다. 이와 같이, 변조 회로(145A)에 의한 반송파의 진폭의 변조를 이용하여, 송신 대상의 정보를 「0」 또는 「1」로 함으로써, 기억부(141)에 기록된 정보를, 접속선(13)의 절단 전의 상태에 대응한 디지털 정보로 변조하여, 무선 통신 장치(16K)로부터 외부 장치에 발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수납부(15)가 개봉된 경우, 접속선(13)은 수납부(15)의 부분에서 절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저항 소자(1202, 1203)의 임피던스는 변화되어버리고, 이것에서 기인하여 안테나(12)의 임피던스와, 제어 회로(146) 및 기억부(141)의 임피던스는, 동일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가령 스위치 회로(1201)가 개방되었다고 해도, 변조 회로(145A)에서는 상술한 반송파의 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반사파의 진폭이 제로는 아니다. 이 때, 기억부(141)로부터 독출된 송신 대상의 정보가 실린 변조파 신호의 진폭이, 저하된 상태가 된다. 즉, 변조 회로(145A)는,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는 접속선(13)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송신 대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변조한다. 무선 통신 장치(16K)는, 이 송신 대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변조파 신호를 외부 장치에 송신한다. 이렇게 수납부(15)의 개봉 후에 무선 통신 장치(16K)로부터 외부 장치에 송신된 변조파 신호의 진폭은, 수납부(15)의 개봉의 전과 비교하여 변화되어 있다. 이 진폭의 변화를 외부 장치에 의해 검지하면, 수납부(15)가 개봉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변조 회로(145A)에 있어서의 저항 소자(1202, 1203)의 배치는, 도 24e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4f는, 도 24e에 나타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변조 회로에 적용되는 저항 소자의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조 회로(145A)에 있어서, 22개의 저항 소자(1202, 1203) 중 한쪽(예를 들어 저항 소자(1203))은, 접속선(13)의 중도부이며 수납부(15)의 개구를 밀폐하는 기재 부분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배치에서는, 저항 소자(1203)는 수납부(15)의 개봉에 수반하여, 접속선(13)과 함께 절단된다.
(제4 실시 형태의 다른 예)
도 25a, 25b는,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10A)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하나의 무선 통신 장치(16L)에 접속선(13a 내지 13d)이 접속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도 24a, 24b와 동일하다.
도 25a,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16L)는, 도 10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16)의 통신 회로(143) 대신에 통신 회로(143B)를 회로부(14) 내에 구비한다. 통신 회로(143B)는, 무선 통신 장치(16)의 변조 회로(145) 대신에 변조 회로(145B)를 갖는다.
도 25c는, 도 25a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6L)에 적용되는 변조 회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c에는, 이 변조 회로(145B)의 일례로서,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에 수반하는 접속선(13a 내지 13d)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송신 신호의 진폭의 변조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나타내지만, 변조 회로(145B)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조 회로(145B)는 스위치 회로(1201)와 복수(도 25c에서는 5개)의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를 갖는다. 스위치 회로(1201)는 제어 회로(146)에 의해 개폐 제어된다.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는, 예를 들어 부하 저항에 의해 구성되고, 배선을 통해 스위치 회로(1201)에 대하여 각각 접속(예를 들어 병렬로 접속)된다. 이들 스위치 회로(1201) 및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는 배선을 통해 안테나(12)와 접속된다. 또한,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는 접속선(13) 등의 배선을 통해 서로 병렬로 접속된다. 병렬 접속된 상태의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의 임피던스는, 안테나(12)의 임피던스와 동일해지게 설정된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속선(13a 내지 13d)은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에 수반하는 절단 전에 있어서,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의 모두와 접속된 상태가 되고, 수납부(15a 내지 15d) 중 어느 것 또는 모든 개봉에 수반하는 절단 후에 있어서, 한쪽 저항 소자(1202)와는 접속되며 또한 저항 소자(1203a 내지 1203d) 중 어느 것 또는 모두와는 단선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수납부(15a 내지 15d)가 아직 개봉되지 않은 경우, 접속선(13a 내지 13d)은 절단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스위치 회로(1201)가 개방되어 있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12)의 임피던스와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의 임피던스가 동일하기 때문에, 변조 회로(145B)에서는 판독 장치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된 반송파의 반사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 경우, 변조 회로(145B)는 반사파의 진폭을 제로로 변조할 수 있다. 이 때, 변조 회로(145B)는 기억부(141)로부터 독출된 송신 대상의 정보를 「0」이 되도록, 반송파를 변조한다. 한편, 스위치 회로(1201)가 단락되어(폐쇄되어) 있으면, 변조 회로(145B)에서는 상술한 반송파의 전반사가 일어난다. 이 경우, 변조 회로(145B)에 의한 반사파의 진폭의 변조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 때, 변조 회로(145B)는 기억부(141)로부터 독출된 송신 대상의 정보를 「1」이 되도록, 반송파를 변조한다. 이와 같이, 변조 회로(145B)에 의한 반송파의 진폭의 변조를 이용하여, 송신 대상의 정보를 「0」 또는 「1」로 함으로써, 기억부(141)에 기록된 정보를, 접속선(13a 내지 13d)의 절단 전의 상태에 대응한 디지털 정보로 변조하여, 무선 통신 장치(16L)로부터 외부 장치에 발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수납부(15a)가 개봉된 경우, 접속선(13a)은 수납부(15a)의 부분에서 절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의 임피던스는 변화되어버리고, 이것에서 기인하여 안테나(12)의 임피던스와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의 임피던스는, 동일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가령 스위치 회로(1201)가 개방되었다고 해도, 변조 회로(145B)에서는 상술한 반송파의 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반사파의 진폭이 제로는 아니다. 이 때, 기억부(141)로부터 독출된 송신 대상의 정보가 실린 변조파 신호의 진폭이, 저하된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수납부(15b)가 개봉된 경우, 접속선(13b)은 수납부(15b)의 부분에서 절단된 상태가 되고, 안테나(12)의 임피던스와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의 임피던스의 차는 더욱 커지게 된다. 그 결과, 이 때, 기억부(141)로부터 독출된 송신 대상의 정보가 실린 변조파 신호의 진폭이, 더욱 저하된 상태가 된다. 동일하게, 수납부(15c, 15d)가 개봉되어가면, 안테나(12)의 임피던스와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의 임피던스의 차는 더욱 커지게 되고, 기억부(141)로부터 독출된 송신 대상의 정보가 실린 변조파 신호의 진폭이, 단계적으로 저하된다. 즉, 변조 회로(145B)는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 상태에 따라서, 송신 대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다른 변조파 신호를 외부 장치에 송신한다. 이 진폭의 상태를 외부 장치에 의해 검지하면, 수납부(15a 내지 15d) 중 개봉되어 있는 수납부(15)의 수를 검지할 수 있다.
도 25d는, 도 25b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적용되는 변조 회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d에는, 이 변조 회로(145B)의 일례로서,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에 수반하는 접속선(13a 내지 13d)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송신 신호의 진폭의 변조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나타내지만, 변조 회로(145B)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조 회로(145B)는 스위치 회로(1201)와 복수(도 25d에서는 5개)의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를 갖는다. 스위치 회로(1201)는 제어 회로(146)에 의해 개폐 제어된다.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는, 예를 들어 부하 저항에 의해 구성되고, 배선을 통해 스위치 회로(1201)에 대하여 각각 접속(예를 들어 직렬로 접속)된다. 이들 스위치 회로(1201) 및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는 배선을 통해 전원 생성부(142)와 접속된다. 전원 생성부(142)는 배선을 통해 안테나(12)와 접속된다. 또한,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는 접속선(13a 내지 13d) 등의 배선을 통해 서로 병렬로 접속된다. 병렬 접속된 상태의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에 의해, 제어 회로(146) 및 기억부(141)의 임피던스와, 안테나(12)의 임피던스가 동일해지게 설계되어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속선(13a 내지 13d)은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에 수반하는 절단 전에 있어서,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의 양쪽과 접속된 상태가 되고,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에 수반하는 절단 후에 있어서, 한쪽 저항 소자(1202)와는 접속되며 또한 다른 쪽 저항 소자(1203a 내지 1203d)와는 단선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수납부(15a 내지 15d)가 아직 개봉되지 않은 경우, 접속선(13a 내지 13d)은 절단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스위치 회로(1201)가 개방되어 있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12)의 임피던스와 제어 회로(146) 및 기억부(141)의 임피던스가 동일하기 때문에, 변조 회로(145B)에서는 판독 장치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된 반송파의 반사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 경우, 변조 회로(145B)는 반사파의 진폭을 제로로 변조할 수 있다. 이 때, 변조 회로(145B)는 기억부(141)로부터 독출된 송신 대상의 정보를 「0」이 되도록, 반송파를 변조한다. 한편, 스위치 회로(1201)가 단락되어(폐쇄되어) 있으면, 변조 회로(145B)에서는 상술한 반송파의 전반사가 일어난다. 이 경우, 변조 회로(145B)에 의한 반사파의 진폭의 변조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 때, 변조 회로(145B)는, 기억부(141)로부터 독출된 송신 대상의 정보를 「1」이 되도록, 반송파를 변조한다. 이와 같이, 변조 회로(145B)에 의한 반송파의 진폭의 변조를 이용하여, 송신 대상의 정보를 「0」 또는 「1」로 함으로써, 기억부(141)에 기록된 정보를, 접속선(13)의 절단 전의 상태에 대응한 디지털 정보로 변조하여, 무선 통신 장치(16C)로부터 외부 장치에 발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수납부(15a)가 개봉된 경우, 접속선(13a)은 수납부(15a)의 부분에서 절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의 임피던스는 변화되어버리고, 이것에서 기인하여 안테나(12)의 임피던스와, 제어 회로(146) 및 기억부(141)의 임피던스는, 동일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가령 스위치 회로(1201)가 개방되었다고 해도, 변조 회로(145B)에서는 상술한 반송파의 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반사파의 진폭이 제로는 아니다. 이 때, 기억부(141)로부터 독출된 송신 대상의 정보가 실린 변조파 신호의 진폭은, 저하된 상태가 된다. 즉, 변조 회로(145B)는 수납부(15a)의 개봉에 수반하는 접속선(13a)의 절단의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송신 대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변조한다. 계속해서, 수납부(15b)가 개봉된 경우, 접속선(13b)은 수납부(15b)의 부분에서 절단된 상태가 되고, 안테나(12)의 임피던스와 제어 회로(146) 및 기억부(141)의 임피던스의 차는 더욱 커지게 된다. 그 결과, 이 때, 기억부(141)로부터 독출된 송신 대상의 정보가 실린 변조파 신호의 진폭은, 더욱 저하된 상태가 된다. 동일하게, 수납부(15c, 15d)가 개봉되어가면, 안테나(12)의 임피던스와 제어 회로(146) 및 기억부(141)의 임피던스의 차는 더욱 커지게 되고, 기억부(141)로부터 독출된 송신 대상의 정보가 실린 변조파 신호의 진폭이, 단계적으로 저하된다. 즉, 변조 회로(145B)는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 상태에 따라서, 송신 대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다른 변조파 신호를 외부 장치에 송신한다. 이 진폭의 상태를 외부 장치에 의해 검지하면, 수납부(15a 내지 15d) 중 개봉되어 있는 수납부(15)의 수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변조 회로(145A, 145B)에 적용되는 스위치 회로(1201)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는 스위치 소자를 들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을 갖는 트랜지스터의 일례이다. 이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나는 박막 트랜지스터(20)와 동일한 TFT 구조를 들 수 있다. 이 박막 트랜지스터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상술한 박막 트랜지스터(20)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반도체 재료를 사용한 도포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이 박막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은 반도체 재료로서, CNT, 그래핀, 풀러렌 및 유기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00℃ 이하의 저온에서 형성할 수 있는 것, 및 반도체 특성이 높은 것 등의 관점에서, 이 박막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은 반도체 재료로서, CNT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NT 중에서도, CNT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공액계 중합체가 부착된 CNT 복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CNT가 보유하는 높은 전기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CNT를 반도체층 형성용 용액 중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CNT가 균일하게 분산된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잉크젯법 등의 도포법에 의해, CNT가 균일하게 분산된 막을, 반도체층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저항 소자(1202, 1203a 내지 1203d)에 적용되는 부하 저항의 재료는, 일반적으로 저항 소자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재료라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그러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주석 인듐(ITO), 산화루테늄 등의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백금, 금, 은, 구리, 철, 주석, 아연, 알루미늄, 인듐, 크롬, 리튬, 나트륨, 칼륨, 세슘, 칼슘, 마그네슘, 팔라듐, 몰리브덴, 아몰퍼스 실리콘이나 폴리실리콘 등의 금속, 이들 중에서 선택되는 복수의 금속의 합금, 요오드화구리, 황화구리 등의 무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과 폴리스티렌술폰산의 착체, 요오드 등의 도핑에 의해 도전율을 향상시킨 도전성 폴리머를 들 수 있다. 나아가, 탄소 재료, 유기 성분과 도전체를 함유하는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부하 저항의 재료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재료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지만, 복수의 재료를 적층 또는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부하 저항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기존의 저항 소자를 실장하는 방법, 도전막을 공지된 포토리소그래피법 등에 의해 패턴 형성하는 방법, 전극 물질의 증착이나 스퍼터링 시에 원하는 형상의 마스크를 통해 패턴 형성하는 방법, 상술한 방법으로 제작한 전극 박막을 레이저 가공에 의해 패턴 형성하는 방법, 감광성 도전 페이스트를 사용한 포토리소그래피 가공에 의해 패턴 형성하는 방법, 인쇄 방법에 의해 직접 패턴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전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저항 가열 증착, 전자선 빔, 스퍼터링, 도금, CVD, 이온 플레이팅 코팅, 잉크젯 및 인쇄 등을 들 수 있다. 부하 저항을 직접 패턴 형성할 때의 인쇄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잉크젯이나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플렉소 인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부하 저항의 형성 방법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납물 관리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를 사용한 수납물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26은 도 1a에 나타내는 포장재(10)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수납물 관리 시스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수납물 관리 시스템(1)은 포장재(10)와, RFID 판독 장치(2)와, RFID 판독 장치(2)와 네트워크(7)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관리 장치(5)와, 관리 장치(5)와 네트워크(7)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단말 장치(6)를 구비한다. 이 수납물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RFID 판독 장치(2)는, 포장재(10)가 갖는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에 의해 발신된 정보(즉, 수납물(17)을 수납하는 포장재(10)에 있어서의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의 차이에 기초하여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의 유무를 판독하여 검지한다. 관리 장치(5)는 네트워크(7)를 통해, RFID 판독 장치(2)에 의해 검지된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의 유무를 나타내는 검지 정보를 RFID 판독 장치(2)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검지 정보를 단말 장치(6)에 통지한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재(10)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의 일례이며, 예를 들어 수납물(17)(도 1a 내지 1c에 나타내는 수납물(17a 내지 17d) 참조)을 수납하는 수납부(15a 내지 15d)와, 접속선(13a 내지 13d)과,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를 구비하고 있다. RFID 판독 장치(2)는, 포장재(10)의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로부터의 정보를 판독하여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의 유무를 검지하는 판독 장치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수납물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RFID 판독 장치(2)는 안테나 회로부(3)와 제어부(4)를 구비한다. 안테나 회로부(3)는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에 의해 발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부의 일례이다. 또한, 이 판독 장치는 RFID 기술을 적용한 판독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통신 기술을 적용한 것이어도 된다. 제어부(4)는, 안테나 회로부(3)를 통한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기능과, 수납물(17)을 수납하는 포장재(10)에 있어서의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부로서의 기능을 겸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가 패시브형의 UHF대 RFID의 무선 통신 장치인 경우, RFID 판독 장치(2)는 안테나 회로부(3)를 통해 UHF대의 전파를 발신하여, 포장재(10)의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의 회로부(14a 내지 14d)를 기전한다. 또한, RFID 판독 장치(2)는 안테나 회로부(3)를 통해 회로부(14a 내지 14d)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회로부(14a 내지 14d)로부터는, 예를 들어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의 유무를 수납부(15)별로 검지할 수 있는 정보나, 회로부(14a 내지 14d)의 각 메모리 회로에 기록된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RFID 판독 장치(2)에 송신된다. 그리고, RFID 판독 장치(2)에 있어서, 안테나 회로부(3)는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각각에 대하여, 그 개봉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의 각각으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4)는, 안테나 회로부(3)에 의해 수신된 정보의 차이(수납부(15a 내지 15d)마다의 개봉의 유무에서 기인하는 차이)에 기초하여,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의 유무를 개별로 검지한다.
예를 들어, 포장재(10)에 마련된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도 10 내지 19b 참조)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는 기억 수단으로서의 기억부를 각각 갖고, 상술한 기억부로부터 독출되는 정보가, 수납부(15a 내지 15d)마다의 개봉의 전과 후에서 변화된다. 또한, 기억부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소자나 메모리 어레이나 플립플롭 회로에서 정보가 기록된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로부터 안테나 회로부(3)에 의해 수신되는 상술한 정보의 차이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억부의 정보의 변화에 의해 발생한다. 제어부(4)는 이러한 기억부의 정보의 변화로부터, 수납부(15a 내지 15d)마다의 개봉의 유무를 검지한다.
또한, 포장재(10)에 마련된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도 24a 내지 24f 참조)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는 회로부(14a 내지 14d)에 변조 회로를 각각 갖고, 당해 변조 회로에 의한 신호의 변조도(예를 들어 진폭의 변조의 변조도)가, 수납부(15a 내지 15d)마다의 개봉의 전과 후에서 상이하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로부터 안테나 회로부(3)에 의해 수신되는 상술한 정보의 차이는,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에 의해 발신되는 신호의, 상술한 바와 같은 변조도의 상이에 의해 발생한다. 제어부(4)는 이러한 신호의 변조도의 상이로부터, 수납부(15a 내지 15d)마다의 개봉의 유무를 검지한다.
한편, RFID 판독 장치(2)는 안테나 회로부(3)에 의해, 수납부(15a 내지 15d)와 대응지어진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를 개별로 특정하는 고유 정보를,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의 유무를 수납부(15)별로 검지할 수 있는 정보와 함께,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RFID 판독 장치(2)는, 제어부(4)에 의해 검지된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의 유무(당해 개봉의 유무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검지 정보나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의 각 고유 정보 등을 포함하는 신호를, 네트워크(7)를 통해 관리 장치(5)에 송신한다. 관리 장치(5)는 이들 검지 정보나 고유 정보 등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각 정보를 취득한다. 계속해서, 관리 장치(5)는 취득한 각 정보를 바탕으로,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의 유무의 검지 정보와, 무선 통신 장치(16a 내지 16d)의 각 고유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한다. 또한, 관리 장치(5)는 네트워크(7)를 통해, 단말 장치(6)에 수납부(15a 내지 15d)의 개봉의 유무의 검지 정보를 개별로 통지한다. 관리 장치(5) 및 단말 장치(6)는 가반형 또는 설치형의 퍼스널 컴퓨터(PC) 등에 의해 구성되고, 상호 네트워크(7)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네트워크(7)로서는, 예를 들어 인터넷, 무선 LAN, 전화 회선 등의 각종 통신 회선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내는 포장재(10A)를 사용해도, 상술한 것과 동일한 수납물 관리 시스템(1)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수납부(15)의 개봉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신호)를 외부 장치에 발신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수납물 관리 시스템(예를 들어 도 26에 나타내는 수납물 관리 시스템(1))에 사용할 수 있다. 이 수납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술한 관리 장치(5) 및 단말 장치(6)를 하나의 장치가 겸해도 된다. 수납물(17)의 종류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구체적으로는 의약품, 식품(조미료, 과자류, 서플리먼트 등), 화장품, 전자 부품, 보석 장식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포장재가 내포하는 수납물(17)의 종류는 1종류이어도 되고, 복수 종류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약을 섭취하는 환자용으로, 수납부(15)별로 다른 약이 수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각 수납부(15)에 수납되는 수납물(17)의 수, 종류에도 제한은 없고, 복수 종류의 수납물(17)이 하나의 수납부(15)에 수납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의약품에 대하여는, 의약품의 약효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의사로부터 지시된 시간 그대로 복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환자 자신에게 복약할 의사가 없거나, 환자가 인지증을 발병하고 있는 경우에는, 정기적인 복약이 곤란하거나 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수납물 관리 시스템은, 수납물(17)이 의약품인 경우, 복약 관리 시스템에의 적용의 기대가 높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를 사용한 수납물 관리 시스템의 구체예로서, 의약품의 복약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의약품의 복약 관리 시스템의 예로서는, 이하와 같은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RFID 판독 장치(2)는 포장재(10)의 무선 통신 장치(16)에 대하여 전파를 정기적으로 발신하고, 무선 통신 장치(16)는 이것에 응답하여, 수납부(15)의 개봉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RFID 판독 장치(2)에 송신한다. RFID 판독 장치(2)는 무선 통신 장치(16)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차이에 기초하여 포장재(10)의 수납부(15)의 개봉의 유무를 판독하여 검지한다. 또한, RFID 판독 장치(2)는 수납부(15)의 개봉의 유무의 검지 정보를 관리 장치(5)에 송신하고, 관리 장치(5)는 이 검지 정보를 단말 장치(6)에 통지한다. 이 관리 장치(5)로서는,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 등을 들 수 있다. 이 단말 장치(6)로서는, 예를 들어 PC, 휴대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형 PC 등을 들 수 있다. 단, 이들 관리 장치(5) 및 단말 장치(6)를 하나의 장치가 겸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서의 복약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포장재(10)의 수납부(15)가 개봉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납부(15) 중 개봉된 것에 수납되어 있었던 의약품이 복약된 것으로 간주한다. 수납부(15)가 개봉되지 않은 경우에는, 복약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RFID 판독 장치(2)로부터 관리 장치(5)로의 정보 송신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무선 통신 회선을 사용해도, 전기나 광신호를 사용한 유선 통신 회선에서도 상관없다. 관리 장치(5)가 병원이나 약국 등의 의료 기관에 설치되어 있으면, 의사, 간호사, 약사 등의 의료 관계자는, 단말 장치(6)를 사용하여 환자의 복약 상황을 모니터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장치(5)가 환자 자신의 집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그 경우, 환자의 가족은 단말 장치(6)를 사용하여 환자의 복약 상황을 모니터할 수 있어, 복약 잊어버림 등이 있으면, 이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16)의 메모리 회로에 기록된 정보도, 수납부(15)의 개봉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RFID 판독 장치(2)에 송신할 수 있다. 포장재(10)가 의약품을 포장하는 것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6)의 메모리 회로에 기록되는 정보의 구체예로서는, 의약품의 정보(품명, 제품 번호, 제조 연월일, 사용 기한, 제조 로트 등), 의약품을 수납하는 수납부(15)의 정보(수납부(15)별 고유 ID 등), 환자 정보(환자 ID, 카르테 번호, 환자의 병명, 치료 이력 등), 의료 종사자 정보(병원 ID, 의사 ID, 간호사 ID, 약사 ID 등), 환자의 복약 이력, 의약품의 전자 증명 등을 들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6)의 메모리 회로에는, 이들 정보가 모두 기록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적어도 수납부(15)를 개별로 특정하는 ID 번호 등의 고유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면, 기타 정보는, 데이터 서버 상에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선 통신 장치(16)의 메모리 회로에 수납부(15)의 고유 정보가 기록되는 경우, 작은 용량의 메모리 회로로도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를 적용한 복약 관리 시스템에서는, 수납부(15)의 개봉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와 수납부(15)의 고유 정보가 포장재(10)로부터 외부 장치에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복약 관리 시스템을 의료 기관에서 사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한다. 포장재(10) 및 RFID 판독 장치(2)는, 예를 들어 병실 침대 옆의 약제대에 설치되어 있다. 환자는 소정의 시각에 포장재(10) 내의 약제를 복약한 후에, 포장재(10)를 이 약제대로 복귀시킨다. 한편, 관리 장치(5) 및 단말 장치(6)는 예를 들어 너스 스테이션에 설치되어 있고, 의료 종사자는 RFID 판독 장치(2)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의해, 환자가 복약한 약제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관리 장치(5)에는, 환자의 정보, 처방된 약제의 정보, 담당 의사·간호사·약사의 정보 등이 등록되어 있다. 또한, 이 관리 장치(5)는 등록된 복약 시간의 정보에 따라서, RFID 판독 장치(2)로 판독하여 지시를 송신한다.
관리 장치(5)는 RFID 판독 장치(2)로부터 송신된 약제의 잔량(즉, 미개봉의 수납부(15)의 수)과, 포장재(10)에 원래 남아있어야 할 약제의 양을 비교한다. 그리고, 관리 장치(5)는 양자의 양이 상이한 경우에, 알람 표시나 소리에 의해, 그 사실을 의료 종사자가 갖는 단말 장치(6)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정해진 복약 시간으로부터 크게 지연되지 않고, 간호사는 환자에게 복약 지도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호사가 너스 스테이션에 앉은 채로, 환자가 약제를 적절하게 마시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할 수 있기 때문에, 간호사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RFID 판독 장치(2)가 알람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면, 환자 자신에도 복약에 오류가 있는 것을 통지할 수 있어, 치료 효과의 최대화가 기대된다.
또한, 상술한 복약 관리 시스템은, 엄밀한 복약 관리가 요구되는 신약의 임상 시험에 사용함으로써, 환자의 음용 잊어버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신약의 약효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복약 관리 시스템을 가정에서 사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 복약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포장재(10) 및 RFID 판독 장치(2)를 설치하는 장소에 제한은 없다. 포장재(10)로부터의 정보를 RFID 판독 장치(2)에 의해 판독할 수 있으면, 포장재(10) 및 RFID 판독 장치(2)는 동일한 장소에 놓이지 않아도 된다. 단, 포장재(10)로부터의 정보의 판독에 UHF대의 RFID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실이나 다이닝 등의 동일한 방에 놓여 있는 것(예를 들어 5m 이내)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장재(10)로부터의 정보의 판독에 HF대의 RFID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RFID 판독 장치(2)와 포장재(10)는 근접해서 놓여 있는 것(예를 들어 50cm 이내)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리 장치(5)로서는, 예를 들어 가정 내의 PC, 스마트폰, 태블릿형 PC, 의료 기관에 설치된 데이터 서버 등을 들 수 있다. 관리 장치(5)는 등록된 복약 시간의 정보에 따라서, RFID 판독 장치(2)로 판독하여 지시를 송신한다. RFID 판독 장치(2)는 이에 따라서, 포장재(10)에 있어서의 수납부(15)의 개봉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무선 통신 장치(16)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정보(수납부(15)의 개봉의 유무의 검지 정보 등)를 관리 장치(5)에 송신한다. 관리 장치(5)는 RFID 판독 장치(2)로부터 송신된 정보(약제의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와, 포장재(10)에 원래 남아있어야 할 약제의 양을 비교한다. 그리고, 관리 장치(5)는 이들 양자의 양이 상이한 경우, 알람 표시나 소리에 의해, 그 사실을 가족이나 의료 종사자가 갖는 단말 장치(6)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환자에게 복약을 재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족이나 의료 종사자는 눈으로 보아 포장재(10) 내의 약제 잔량을 확인하지 않고, 환자가 약제를 적절하게 마시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할 수 있다. 이 결과, 환자와 그 가족이 다른 집에 살고 있는 경우, 환자가 가족에게 약의 복약 상황을 보이고 싶어하지 않는 경우, 재택 의료의 경우 등에 있어서, 치료 효과의 최대화가 기대됨과 함께, 가족이나 의료 종사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복약 관리 시스템을 출장지에서 사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 복약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RFID 판독 장치(2)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가능한 판독 장치로 함으로써, 포장재(10)와 함께 외출 시에도 휴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 내의 PC, 스마트폰, 태블릿형 PC, 의료 기관에 설치된 데이터 서버 등의 관리 장치(5)로부터, 등록된 복약 시간의 정보에 따라서, RFID 판독 장치(2)로 판독하여 지시가 송신된다. RFID 판독 장치(2)는 이에 따라서, 포장재(10)에 있어서의 수납부(15)의 개봉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무선 통신 장치(16)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정보를 관리 장치(5)에 송신한다. 관리 장치(5)는 RFID 판독 장치(2)로부터 송신된 정보(약제의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와, 포장재(10)에 원래 남아있어야 할 약제의 양을 비교한다. 그리고, 관리 장치(5)는 이들 양자의 양이 상이한 경우, 알람 표시나 소리에 의해, 그 사실을 환자 자신, 가족 및 의료 종사자에게 통지한다. 이에 의해, 환자의 복약을 재촉할 수 있다.
(단선 검지 디바이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선 검지 디바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선 검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162)는 하나의 기재(160) 상에 복수의 단선 검지 디바이스(예를 들어, 4개의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를 구비한 시트상의 디바이스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162)는, 기재(160)에 도선(163a 내지 163d)과 무선 통신 장치(164a 내지 164d)를 형성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이들 도선(163a 내지 163d) 및 무선 통신 장치(164a 내지 164d)는, 상술한 기능부 형성 공정(도 9a 등 참조)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기재(16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도선(163a 내지 163d)은 상술한 접속선(13)과 동일한 배선 패턴을 이루도록 기재(160) 상에 형성된다. 무선 통신 장치(164a 내지 164d)는 도선(163a 내지 163d)과 각각 접속되도록 기재(160) 상에 형성된다.
이렇게 기재(160)에 형성되는 도선(163a 내지 163d) 및 무선 통신 장치(164a 내지 164d)는, 본 발명에 따른 단선 검지 디바이스의 일례인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를 구성하는 것이다. 즉,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는, 기재(160)에 형성되는 도선(163a)과, 이 도선(163a)과 접속되도록 기재(160)에 형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164a)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 장치(164a)는 상술한 무선 통신 장치(16)와 동일한 기능을 갖고, 도선(163a)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또한,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b)는 도선(163b)과 무선 통신 장치(164b)를 구비한다.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c)는 도선(163c)과 무선 통신 장치(164c)를 구비한다.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d)는 도선(163d)과 무선 통신 장치(164d)를 구비한다. 이들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b 내지 161d)는 상술한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 장치(164b 내지 164d)는, 미리 기록된 정보가 서로 상이한 것 이외에도, 상술한 무선 통신 장치(164a)와 동일하다.
또한, 도선(163a 내지 163d)은 각각 기재(160)를 절단하는 등의 어떠한 방법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선(163a)은 도 27에 나타내는 D-D' 파선에 따라서 기재(160)가 절단된 경우, 이 기재(160)와 함께 절단된다. 이러한 단선은 다른 도선(163b 내지 163d)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는, 도선(163a)의 단선 전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 장치(164a)로부터 발신할 수 있는 점에서, 도선(163a)의 단선의 유무를 검지하는 단선 검지에 유용하다.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b 내지 161d)에 대해서도, 상술한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와 동일하게, 단선 검지에 유용하다.
이러한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는, 예를 들어 피개봉물의 개봉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개봉 검지 라벨의 구성 부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는 도선(163a 내지 163d) 및 무선 통신 장치(164a 내지 164d)를 각각 포함하는 양태(도 27 중의 이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양태)가 되도록,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162)로부터 절취되어 사용된다. 특히,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를 시일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에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기재(160)의 이면(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가 형성되지 않은 측의 면), 또는 기재(160)의 표면(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등의 라벨 가공이 행해진 후,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162)는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마다 소편화된다. 또한,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를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에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162)를 적어도 2매의 필름 또는 종이 등의 커버 부재와의 사이에 끼우는 라미네이트 가공이 행해지고, 그 후,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162)는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별로 소편화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은, 필요에 따라서, 개봉 부분에 단선 검지 디바이스가 내장된 양태의 피개봉물로 가공된다.
이하,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는 총칭하여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라 적절히 칭해진다.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는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의 모두 또는 어느 것을 의미한다. 동일하게, 도선(163a 내지 163d)은 총칭하여 「도선(163)」이라 적절히 칭해진다. 도선(163)은 도선(163a 내지 163d)의 모두 또는 어느 것을 의미한다. 무선 통신 장치(164a 내지 164d)는 총칭하여 「무선 통신 장치(164)」라 적절히 칭해진다. 무선 통신 장치(164)는 무선 통신 장치(164a 내지 164d)의 모두 또는 어느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27에는,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의 일례로서, 하나의 기재 상에 단선 검지 디바이스가 4개 형성되고, 무선 통신 장치와 접속되는 도선(단선 검지의 대상이 되는 도선)이 각 단선 검지 디바이스에 하나씩 마련된 것을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재 상의 단선 검지 디바이스의 수, 및 각 단선 검지 디바이스의 도선의 개수는, 특별히 제약은 없고, 임의의 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선 검지 디바이스의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64))는, 당해 무선 통신 장치와 접속되는 도선(예를 들어 도선(163))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의 경우와 동일하게, 당해 무선 통신 장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상기 기억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소자를 갖고, 상기 도선은 상기 메모리 소자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상기 메모리 소자로부터 독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당해 무선 통신 장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상기 기억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플립플롭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도선은 상기 플립플롭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상기 플립플롭 회로로부터 독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당해 무선 통신 장치는 변조 회로를 갖고, 상기 도선은 상기 변조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상기 변조 회로에 의해 변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의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기억 수단은 복수의 메모리 소자를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메모리 어레이를 갖고, 상기 도선은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상기 메모리 어레이로부터 독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 어레이는,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1 배선과 교차하는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의 각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 중 1개에 접속되는 제3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3 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층을 각각 갖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를 갖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한쪽은,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중 1개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영역에 반도체층을 갖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전기 특성이 서로 다른 2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기록되는 정보는, 상기 2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임의로 조합한 배열에 의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2종류의 메모리 소자 중, 한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는 상기 반도체층을 갖는 메모리 소자이며, 다른 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는 상기 반도체층을 갖지 않는 메모리 소자이며, 상기 한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 및 상기 다른 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는, 상기 반도체층의 유무에 의해, 서로 다른 각 정보를 각각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162)에 사용되는 기재(160)의 재료, 도선(163)의 재료, 도선(163)의 형상 및 무선 통신 장치(164)의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164)에 있어서, 안테나의 종류나 재료, 회로부에 포함되는 TFT 소자의 구조, 상기 TFT 소자의 각 층(절연층, 반도체층, 게이트 전극, 소스·드레인 전극)의 재료, 기억부의 회로 구성, 변조 회로의 회로 구성 등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162)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상술한 기능부 형성 공정(도 9a 참조)과 동일하며, 무선 통신 장치(164)나 도선(163)의 형성 방법도, 전술한 포장재와 동일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162)에 예시되는 본 발명의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를, 간편한 프로세스이면서 저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로부터 얻어지는 단선 검지 디바이스(예를 들어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를 구비하는 개봉 검지 라벨을, 저비용으로 얻을 수 있다.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를 1 구성 부품으로 하는 개봉 검지 라벨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162)의 적어도 1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시일 라벨형의 것,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162)의 양면을 종이나 필름 등의 커버 부재로 라미네이트한 필름 라벨형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시일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은 피개봉물에 첩부하여 사용된다. 이에 의해, 시일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에 포함되는 단선 검지 디바이스는 피개봉물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은 피개봉물의 개봉 부분에 가리는 등의 방법으로 붙이거나, 또는 피개봉물의 개봉 부분과 일체화되어 사용된다. 이에 의해,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에 포함되는 단선 검지 디바이스는 피개봉물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개봉 검지 라벨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시일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의 경우,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162)의 표리 양면 중,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가 형성되지 않은 측의 면(즉, 이면)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이 이면에 이형지를 라미네이트하고, 또한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가 형성된 측의 면(즉, 표면)에 인자 등의 인쇄가 가능한 표면 시트를 접착제로 라미네이트하고, 그 후 슬러리 제거를 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단선 검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위로 소편화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점착제를 도포하는 면은 상기 이면에 한정되지 않고,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162)의 표면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의 경우,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162)의 표리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들 양면에 필름이나 종이 등의 커버 부재를 라미네이트하고, 그 후, 적어도 하나의 단선 검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위로 소편화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시일 라벨)의 구조의 일례에 대하여, 도 28a 내지 28c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8a에는, 하나의 이형지(165) 상에, 소편화된 하나 이상의 시일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예를 들어 4개의 개봉 검지 라벨(166a 내지 166d)이 형성된 상태의 시트 구조체, 즉, 개봉 검지 라벨 세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28b는, 도 28a에 나타내는 개봉 검지 라벨 세트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28c는, 도 28a에 나타내는 개봉 검지 라벨 세트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28a 내지 2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검지 라벨(166a)은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와, 점착층(167)과, 접착층(168)과, 표면 시트(169)를 구비한다.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는 기재(160)와, 이 기재(160)의 표면 상에 형성된 도선(163a) 및 무선 통신 장치(164a)를 구비한다. 점착층(167)은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의 기재(160)의 이면에 형성된다. 즉, 점착층(167)은 개봉 검지 라벨(166a)을 이형지(165)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기재(160)의 이면과 이형지(165)의 표면 사이에 개재한다. 이 점착층(167)에 의해, 기재(160)는 개봉 검지 라벨(166a)의 대상으로 하는 피개봉물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선(163a)은 개봉 검지 라벨(166a)이 붙여진 피개봉물의 개봉에 수반하여 기재(160)와 함께 절단되게 구성된다. 접착층(168)은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의 도선(163a) 및 무선 통신 장치(164a)를 매립하도록, 기재(160)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표면 시트(169)는 접착층(168) 상에 형성된다. 표면 시트(169)는, 예를 들어 상품명 등을 인자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개봉 검지 라벨(166b)은,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대신에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b)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도, 상술한 개봉 검지 라벨(166a)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개봉 검지 라벨(166c)은,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대신에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c)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도, 상술한 개봉 검지 라벨(166a)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개봉 검지 라벨(166d)은,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대신에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d)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도, 상술한 개봉 검지 라벨(166a)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28a, 2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검지 라벨(166a 내지 166d)은 서로 별체가 되게 소편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봉 검지 라벨(166a 내지 166d)은 이형지(165)로부터 각각 박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9a 내지 29e를 사용하여, 개봉 검지 라벨의 소편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일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로 소편화하기 전의 개봉 검지 라벨 시트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9b는, 도 29a에 나타내는 개봉 검지 라벨 시트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29c는, 제1 방향으로 본 개봉 검지 라벨 시트의 소편화 공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9d는, 도 29a에 나타내는 개봉 검지 라벨 시트의 H-H'선 단면도이다. 도 29e는, 제2 방향으로 본 개봉 검지 라벨 시트의 소편화 공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9a, 29b, 2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는, 소편화되기 전의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즉, 도 27에 나타낸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162))와, 점착층(167)과, 접착층(168)과, 표면 시트(169)에 의해 구성된다.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에 있어서,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는 제1 방향(F1)으로 열을 이루면서 또한 제2 방향(F2)으로 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점착층(167)은, 이들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가 마련된 기재(160)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기재(160)는 점착층(167)을 통해 이형지(165)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의 상부에는, 접착층(168)을 통해 표면 시트(169)가 첩부되어 있다.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의 소편화 공정에서는, 제1 방향(F1)에 대하여, 도 2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 중, 화살표로 나타내지는 시트 부분(181a, 181b)이 날에 의해 절단된다. 상세하게는,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의 시트 부분(181a, 181b)은, 제1 방향(F1)에 대하여,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도 29b에서는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가 대표로 나타나 있음)를 내측에 끼우는 부분이다. 이들 시트 부분(181a, 181b)은, 표면 시트(169)로부터 점착층(167)에 도달할 때까지의 범위에 걸쳐 날로 절단된다. 그 후, 도 2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방향(F1)의 슬러리 제거부(170a)가 이형지(165)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의 소편화 공정에서는, 제2 방향(F2)에 대하여, 도 2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 중, 화살표로 나타내지는 시트 부분(182a 내지 182h)이 날에 의해 절단된다. 상세하게는,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의 시트 부분(182a 내지 182h)은 제2 방향(F2)에 대하여,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를 내측에 끼우는 부분이다. 이들 시트 부분(182a 내지 182h)은 표면 시트(169)로부터 점착층(167)에 도달할 때까지의 범위에 걸쳐 날로 절단된다. 그 후, 도 29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방향(F2)의 슬러리 제거부(170b)가 이형지(165)로부터 제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의 소편화 공정에서는, 제1 방향(F1) 및 제2 방향(F2)에 대하여, 슬러리 제거부(170a, 170b)를 제거함으로써,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를 시일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166a 내지 166d)로 소편화할 수 있다. 소편화된 개봉 검지 라벨(166a 내지 166d)은 도 28a 내지 2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별체가 되고, 점착층(167)을 통해 이형지(165)에 각각 첩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술한 시일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은, 본 발명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일례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로서는, 시일 라벨형 이외에도, 예를 들어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을 들 수 있다. 도 29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로 소편화하기 전의 개봉 검지 라벨 시트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9g는 도 29f에 나타내는 개봉 검지 라벨 시트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29h는 도 29f에 나타내는 개봉 검지 라벨 시트의 H-H'선 단면도이다.
도 29f 내지 29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A)는, 소편화되기 전의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즉, 도 27에 나타낸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162))와, 기재(160)의 표리 양면의 접착층(168)과, 기재(160)의 표리 양면의 커버 부재(185)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기재(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가 형성되는 기재이다.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A)에 있어서,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는 도 29a에 나타낸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의 경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접착층(168)은 도포 등에 의해 기재(160)의 표리 양면에 형성된다. 커버 부재(185)는 접착층(168)을 통해 기재(160)의 표리 양면에 첩부된다. 이에 의해, 기재(160) 상의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즉,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162))가, 이들 양면의 커버 부재(185) 사이에 끼워져 라미네이트된다. 이 결과,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A)가 제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은, 예를 들어 상술한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A)의 소편화 공정에 의해 얻어진다.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A)의 소편화 공정에서는,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A)가 단선 검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위로 절단된다. 이에 의해,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A)를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로 소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개봉 검지 라벨 시트(180A)로부터는,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로서,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a 내지 161d)를 각각 포함하는 4개의 개봉 검지 라벨이 얻어진다.
이러한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은 피개봉물의 개봉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당해 피개봉물에 붙여진다. 즉,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은, 당해 개봉 검지 라벨 내의 단선 검지 디바이스를 단선시키지 않으면 개봉 부분을 개봉할 수 없도록, 피개봉물에 붙여진다. 또는,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은 피개봉물의 개봉 부분과 일체화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 중의 단선 검지 디바이스를 라미네이트하는 커버 부재는, 피개봉물을 구성하는 부재이다.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개봉 검지 라벨 시트의 소편화에 의해 제작된 후, 단선 검지 디바이스가 개봉 부분에 내장된 양태의 피개봉물 자체로 가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선 검지 디바이스를 사용한 개봉 검지 라벨은, 도선의 단선 전후에서 상이한 정보, 즉, 도선의 단선을 검지할 수 있는 정보(신호)를 외부 장치에 발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머니나 상자 등의 피개봉물의 개봉에 수반하여 시일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과 함께 도선(163)이 절단되도록, 상기 시일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을 피개봉물의 개봉 절취선 상이나 개폐부 상에 첩부함으로써, 피개봉물의 개봉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또는, 피개봉물의 개봉에 수반하여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과 함께 도선(163)이 절단되도록, 상기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을 피개봉물의 개봉 부분에 붙이거나, 또는 당해 개봉 부분과 일체화함으로써, 피개봉물의 개봉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개봉 검지 라벨에서는, 시일 라벨형 및 필름 라벨형에 구애받지 않고, 주머니나 상자 등의 피개봉물의 개봉에 수반하여 개봉 검지 라벨이 도선과 함께 절단되기 쉽게 하기 위해서, 개봉 검지 라벨에 미리 절입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개봉 검지 라벨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형지(165) 상의 개봉 검지 라벨(166a 내지 166d)에는, 도선(163a 내지 163d)을 각각 통과하는 절취선(17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절취선(171)은 개봉 검지 라벨(166a 내지 166d)의 기재(160)에, 도선(163a 내지 163d)을 각각 통과하는 경로를 따라서 재봉땀이나 V자의 절입 등을 넣음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0에는, 시일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필름 라벨형의 개봉 검지 라벨에 절취선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하, 개봉 검지 라벨(166a 내지 166d)은 총칭하여 「개봉 검지 라벨(166)」이라 적절히 칭해진다. 개봉 검지 라벨(166)은 개봉 검지 라벨(166a 내지 166d)의 모두 또는 어느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개봉 검지 라벨(166)은 시일 라벨형 및 필름 라벨형 중 어느 타입의 개봉 검지 라벨이어도 된다.
(개봉 검지 라벨의 용도)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을 적용 가능한 용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제1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제2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제3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제4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제5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제6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제7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h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제8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i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제9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 31a 내지 31i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의 일례로서 상술한 개봉 검지 라벨(166)을 예시하여, 당해 개봉 검지 라벨의 용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개봉 검지 라벨을 적용 가능한 용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의약품, 식품(조미료, 과자류, 서플리먼트 등), 화장품, 전자 부품, 수송용 상자, CD 케이스, 우편 봉투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1a에 나타내는 제1 적용예로서, 개봉 검지 라벨(166)은 의약품 등의 약을 내포하는 약포 주머니(190)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봉 검지 라벨(166)은 시일 라벨형이며, 약포 주머니(190)의 개봉 부분에 첩부된다. 이 경우, 개봉 검지 라벨(166)의 절취선(171)은, 약포 주머니(190)를 개봉하기 위한 절단부(190a)와 위치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1b에 나타내는 제2 적용예로서, 개봉 검지 라벨(166)은 와인 보틀(191)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제2 적용예의 개봉 검지 라벨(166)은 필름 라벨형이며, 와인 보틀(191)의 개봉 부분을 덮도록, 와인 보틀(191)에 붙여진다. 도 31c에 나타내는 제3 적용예로서, 개봉 검지 라벨(166)은 CD 케이스(192)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제3 적용예의 개봉 검지 라벨(166)은 시일 라벨형이며, CD 케이스(192)의 개폐 덮개 부분에 첩부된다. 도 31d에 나타내는 제4 적용예로서, 개봉 검지 라벨(166)은 화장품 상자(193)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제4 적용예의 개봉 검지 라벨(166)은 시일 라벨형이며, 화장품 상자(193)의 개폐 덮개 부분에 첩부된다. 도 31e에 나타내는 제5 적용예로서, 개봉 검지 라벨(166)은 봉투(194)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제5 적용예의 개봉 검지 라벨(166)은 시일 라벨형이며, 봉투(194)의 개봉 부분에 첩부된다.
또한, 도 31f에 나타내는 제6 적용예로서, 개봉 검지 라벨(166)은 운송 상자(195)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제6 적용예의 개봉 검지 라벨(166)은 시일 라벨형이며, 운송 상자(195)의 개폐 덮개 부분에 첩부된다. 도 31g에 나타내는 제7 적용예로서, 개봉 검지 라벨(166)은 의약품 보틀(196)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제7 적용예의 개봉 검지 라벨(166)은 시일 라벨형이며, 의약품 보틀(196)의 개폐 덮개 부분에 첩부된다. 도 31h에 나타내는 제8 적용예로서, 개봉 검지 라벨(166)은 과자 주머니(197)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제8 적용예의 개봉 검지 라벨(166)은 필름 라벨형이며,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가 개봉 부분에 내장된 양태로 과자 주머니(197)와 일체화된다. 즉, 이 제8 적용예의 개봉 검지 라벨(166)은, 단선 검지 디바이스(161)를 개봉 부분에 구비한 과자 주머니(197) 자체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8 적용예의 개봉 검지 라벨(166)에는, 도 31a에 나타낸 제1 적용예와 동일하게, 절취선(171) 및 절단부(190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1i에 나타내는 제9 적용예로서, 개봉 검지 라벨(166)은 와인 보틀(191)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제9 적용예의 개봉 검지 라벨(166)은 시일 라벨형이며, 와인 보틀(191)의 개봉 부분에 첩부된다.
또한, 도 31a 내지 31i에는, 개봉 검지 라벨(166)의 대표적인 적용예가 나타나 있지만, 개봉 검지 라벨(166)이 적용되는 물품(피개봉물)이나 개봉 검지 라벨(166)의 장착 위치 등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개봉 검지 라벨의 형태로서는, 시일 라벨형 및 필름 라벨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기타 형태여도 상관없다.
(개봉 검지 시스템)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을 사용한 개봉 검지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시스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개봉 검지 시스템(200)은 상술한 수납물 관리 시스템(1)(도 26 참조)의 포장재(10) 대신에 개봉 검지 라벨(166)을 구비한다. 도 3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 개봉 검지 라벨(166)은 피개봉물의 개봉 부분에 절취선(171)을 따라서 장착된 상태, 또는 피개봉물과 일체화된 상태에 있다. 기타 구성은 상술한 수납물 관리 시스템(1)과 동일하고,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개봉 검지 시스템(200)에 있어서, RFID 판독 장치(2)는 개봉 검지 라벨(166)이 갖는 무선 통신 장치(164)에 의해 발신된 정보를 수신한다. 이 정보는, 개봉 검지 라벨(166)의 도선(163)의 단선 전후에서 상이한 정보, 즉, 개봉 검지 라벨(166)이 장착 또는 일체화된 피개봉물(용기)의 개봉의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이다. RFID 판독 장치(2)는 이 수신한 정보의 차이에 기초하여 이 피개봉물의 개봉의 유무를 판독하여 검지한다. 관리 장치(5)는 네트워크(7)를 통해, RFID 판독 장치(2)에 의해 검지된 피개봉물의 개봉의 유무를 나타내는 검지 정보를 RFID 판독 장치(2)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검지 정보를 단말 장치(6)에 통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의약품에 대하여는, 의약품의 약효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의사로부터 지시된 시간 그대로 복약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시스템(200)의 구체예로서, 의약품의 복약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재 복수종의 약이 처방되어 있는 경우, 이들 복수종의 약은, 복약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1회에 복약하는 약을 1포화된 약포 주머니(190)로 조제된다.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포 주머니(190)의 절단부(190a)에 개봉 검지 라벨(166)을 첩부하고, RFID 판독 장치(2) 등의 판독 장치를 사용하여 개봉 검지 라벨(166)로부터의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복약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의약품의 복약 관리 시스템의 예로서는, 이하와 같은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RFID 판독 장치(2)는 개봉 검지 라벨(166)의 무선 통신 장치(164)에 대하여 전파를 정기적으로 발신한다. 무선 통신 장치(164)는 이것에 응답하여, 개봉 검지 라벨(166)의 도선(163)의 절단(즉, 약포 주머니(190)의 개봉)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RFID 판독 장치(2)에 송신한다. RFID 판독 장치(2)는 무선 통신 장치(164)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차이에 기초하여 약포 주머니(190)의 개봉의 유무를 판독하여 검지한다. 또한, RFID 판독 장치(2)는 약포 주머니(190)의 개봉의 유무의 검지 정보를 관리 장치(5)에 송신하고, 관리 장치(5)는 이 검지 정보를 단말 장치(6)에 통지한다. 이 관리 장치(5)로서는,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 등을 들 수 있다. 이 단말 장치(6)로서는, 예를 들어 PC, 휴대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형 PC 등을 들 수 있다. 단, 이들 관리 장치(5) 및 단말 장치(6)를 하나의 장치가 겸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서의 복약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약포 주머니(190)가 개봉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납되어 있었던 의약품이 복약된 것으로 간주한다. 약포 주머니(190)가 개봉되지 않은 경우에는, 복약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RFID 판독 장치(2)로부터 관리 장치(5)로의 정보 송신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무선 통신 회선을 사용해도, 전기나 광신호를 사용한 유선 통신 회선이어도 상관없다. 관리 장치(5)가 병원, 방문 개호 시설, 방문 간호 시설, 약국 등의 의료·개호 복지 기관에 설치되어 있으면, 의사, 간호사, 약사 등의 의료 관계자나 개호사는, 단말 장치(6)를 사용하여 환자의 복약 상황을 모니터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장치(5)가 환자 자신의 집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그 경우, 환자의 가족은 단말 장치(6)를 사용하여 환자의 복약 상황을 모니터할 수 있어, 복약 잊어버림 등이 있으면,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164)의 메모리 회로에 기록된 정보도, 약포 주머니(190)의 개봉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RFID 판독 장치(2)에 송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64)의 메모리 회로에 기록되는 정보의 구체예로서는, 의약품의 정보(품명, 제품 번호, 1포화 연월일, 사용 기한 등), 약포 주머니의 정보(약포 주머니별 고유 ID 등), 환자 정보(환자 ID, 카르테 번호, 환자의 병명, 치료 이력 등), 의료 종사자 정보(병원 ID, 의사 ID, 간호사 ID, 약사 ID 등), 환자의 복약 이력, 의약품의 전자 증명 등을 들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64)의 메모리 회로에는, 이들 정보가 모두 기록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적어도 약포 주머니(190)를 개별로 특정하는 ID 번호 등의 고유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면, 기타 정보는 데이터 서버 상에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선 통신 장치(164)의 메모리 회로에 약포 주머니(190)의 고유 정보가 기록되는 경우, 작은 용량의 메모리 회로로도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166)을 적용한 복약 관리 시스템에서는, 약포 주머니(190)의 개봉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와 약포 주머니(190)의 고유 정보가 개봉 검지 라벨(166)로부터 외부 장치에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복약 관리 시스템을 의료 기관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약포 주머니(190) 및 RFID 판독 장치(2)는, 예를 들어 병실 침대 옆의 약제대에 설치되어 있다. 환자는 소정의 시각에서 약포 주머니(190) 내의 약제를 복약한 후에, 약포 주머니(190)를 이 약제대로 복귀된다. 한편, 관리 장치(5) 및 단말 장치(6)는 예를 들어 너스 스테이션에 설치되어 있고, 의료 종사자는 RFID 판독 장치(2)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의해, 환자의 복약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관리 장치(5)에는, 환자의 정보, 처방된 약제의 정보, 담당 의사·간호사·약사의 정보 등이 등록되어 있다. 또한, 이 관리 장치(5)는 등록된 복약 시간의 정보에 따라서, RFID 판독 장치(2)로 판독하여 지시를 송신한다.
관리 장치(5)는 RFID 판독 장치(2)로부터 송신된 약제의 잔량(즉, 미개봉의 약포 주머니(190)의 수)과, 원래 남아있어야 할 약포 주머니(190)의 수를 비교한다. 그리고, 관리 장치(5)는 양자의 양이 상이한 경우에, 알람 표시나 소리에 의해, 그 사실을 의료 종사자가 갖는 단말 장치(6)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정해진 복약 시간으로부터 크게 지연되는 일없이, 간호사는 환자에게 복약 지도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호사가 너스 스테이션에 앉은 채로, 환자가 약제를 적절하게 마시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할 수 있기 때문에, 간호사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RFID 판독 장치(2)가 알람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면, 환자 자신에도 복약에 오류가 있는 것을 통지할 수 있어, 치료 효과의 최대화가 기대된다.
또한, 상술한 복약 관리 시스템은, 엄밀한 복약 관리가 요구되는 신약의 임상 시험에 사용함으로써, 환자의 음용 잊어버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신약의 약효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복약 관리 시스템을 가정에서 사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 복약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약포 주머니(190) 및 RFID 판독 장치(2)를 설치하는 장소에 제한은 없다. 약포 주머니(190)에 첩부된 개봉 검지 라벨(166)로부터의 정보를 RFID 판독 장치(2)에 의해 판독할 수 있으면, 약포 주머니(190) 및 RFID 판독 장치(2)는 동일한 장소에 놓지 않아도 된다. 단, 약포 주머니(190)의 개봉 검지 라벨(166)로부터의 정보의 판독에 UHF대의 RFID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실이나 다이닝 등의 동일한 방에 놓여 있는 것(예를 들어 5m 이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포 주머니(190)의 개봉 검지 라벨(166)로부터의 정보의 판독에 HF대의 RFID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RFID 판독 장치(2)와 약포 주머니(190)는 근접해서 놓여 있는 것(예를 들어 50cm 이내)이 바람직하다. RFID 판독 장치(2)의 설치 위치로서는, 예를 들어 자택의 테이블 아래 등을 들 수 있다. 이 RFID 판독 장치(2) 상을 약 거치 장소로 하면, 약포 주머니(190)의 개봉 상태를 항상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RFID 판독 장치(2)는 벽걸이의 약 캘린더와 일체화된 양태의 것이어도 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검지 시스템의 판독 장치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FID 판독 장치(2)는 벽걸이 가능한 구조의 장치 본체를 갖고, 이 장치 본체의 전방면에 약 캘린더(201)를 구비한다. 약 캘린더(201)는, 예를 들어 요일과 시간대의 조합마다 구분된 매트릭스상의 구획 영역을 갖는다. 약 캘린더(201)의 각 구획 영역에는,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부분에 개봉 검지 라벨(166)이 첩부된 약포 주머니(190)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복수의 약포 주머니(190)는 약 캘린더(201)에 의해, 요일과 시간대의 조합별(예를 들어, 월요일 내지 일요일의 각 요일과, 아침 식사, 점심 식사, 저녁 식사, 취침 전의 각 시간대의 조합별)로 분류되어 있다. RFID 판독 장치(2)는 이렇게 약 캘린더(201)의 각 구획 영역에 세트된 약포 주머니(190)의 개봉 검지 라벨(166)로부터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약 캘린더(201)로 식사마다 또는 요일마다 구분된 약포 주머니(190)의 개봉 상태를 항상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3에 예시되는 양태의 RFID 판독 장치(2)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관리 장치(5)로서는, 예를 들어 가정 내의 PC, 스마트폰, 태블릿형 PC, 병원, 방문 개호 시설, 방문 간호 시설, 약국 등의 의료·개호 복지 기관에 설치된 데이터 서버 등을 들 수 있다. 관리 장치(5)는 등록된 복약 시간의 정보에 따라서, RFID 판독 장치(2)로 판독하여 지시를 송신한다. RFID 판독 장치(2)는 이에 따라서, 약 캘린더(201) 상의 약포 주머니(190)의 개봉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무선 통신 장치(164)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정보(약포 주머니(190)의 개봉의 유무의 검지 정보 등)를 관리 장치(5)에 송신한다. 관리 장치(5)는 RFID 판독 장치(2)로부터 송신된 정보(개봉 후의 약포 주머니(190)와 미개봉의 약포 주머니(190)의 수량을 나타내는 정보)와, 원래 남아있어야 할 약포 주머니(190)의 양을 비교한다. 그리고, 관리 장치(5)는, 이들 양자의 양이 상이한 경우, 알람 표시나 소리에 의해, 그 사실을 가족이나 의료 종사자가 갖는 단말 장치(6)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환자에게 복약을 재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족이나 의료 종사자는 눈으로 보아 약포 주머니(190)의 잔량을 확인하지 않고, 환자가 약제를 적절하게 마시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약사에 의한 복약 지도나 약사로부터 의사에 처방전의 재검토 제안을 행할 수도 있다. 이 결과, 환자와 그 가족이 다른 집에 살고 있는 경우, 환자가 가족에게 약의 복약 상황을 보여주고 싶어하지 않는 경우, 재택 의료의 경우 등에 있어서, 치료 효과의 최대화가 기대됨과 함께, 가족이나 의료 종사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런데, 근년 진짜 상품에 사용되는 보틀이나 상자 등의 용기(피개봉물)에, 본래의 상품과는 다른 음식물, 약품 또는 화장품 등의 가짜 물품을 채워넣은 가짜가 시장에 나도는 케이스가 보고되고 있다. 이것에 대처하기 위해서, 물품의 용기가 미개봉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이 용기 내의 물품이 진짜(진상품)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봉 검지 라벨은, 도 31a 내지 31i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각종 물품의 용기에 장착 또는 당해 용기와 일체화함으로써, 이 용기가 미개봉인지 여부, 즉, 이 용기 내의 물품이 진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봉 검지 라벨이 보틀 라벨에 내장되어 있으면, 판매점이나 소비자는 개봉 검지 라벨을 판독하여, 보틀이 미개봉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보틀 내의 상품(예를 들어 와인 등의 알코올 음료)의 진위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의 용기나 화장품 상자에 본 발명의 개봉 검지 라벨을 첨부함으로써, 의약품이나 화장품의 진위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이들 가짜에 의한 건강 피해의 방지에 공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 포장재의 제조 방법, 판독 장치 및 수납물 관리 시스템은, 수납부로부터의 수납물의 취출 검지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유용하고, 예를 들어 개별로 분리된 수납부라도, 의약품 등의 수납물의 취출에 수반하여 수납부가 개봉된 것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포장재, 포장재의 제조 방법, 판독 장치 및 수납물 관리 시스템의 실현에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 포장재의 제조 방법, 판독 장치 및 수납물 관리 시스템은, 약제용 포장재에 수납되어 있는 약제의 복용수를 고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고, 약제의 복용수를 검지할 때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포장재, 포장재의 제조 방법, 판독 장치 및 수납물 관리 시스템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선 검지 디바이스, 개봉 검지 라벨 및 개봉 검지 시스템은, 패키지 주머니나 상자 등의 피개봉물의 개봉 검지에 유용하고, 의약품, 식품(조미료, 과자류, 서플리먼트 등), 화장품, 전자 부품, 수송용 상자, CD 케이스, 우편 봉투 등, 모든 물품(상품)의 개봉 검지에 적용할 수 있다.
1 수납물 관리 시스템
2 RFID 판독 장치
3 안테나 회로부
4 제어부
5 관리 장치
6 단말 장치
7 네트워크
10, 10a, 10b, 10A 포장재
11 시트
11a 금속박
11b, 21, 81, 92, 102, 112 기재
12, 12a 내지 12d 안테나
13, 13a 내지 13d 접속선
14, 14a 내지 14d 회로부
15, 15a 내지 15d 수납부
16, 16a 내지 16d, 16A 내지 16H, 16K, 16L 무선 통신 장치
17, 17a 내지 17d 수납물
18 포장재 본체부
20 박막 트랜지스터
22 게이트 전극
23 게이트 절연층
24, 84, 95, 105, 108, 115 반도체층
25 소스 전극
26 드레인 전극
80, 90a 내지 90c, 100a 내지 100c, 110a 내지 110c, 150a 내지 150c 워드선
91a 내지 91c, 101a 내지 101c, 111a 내지 111c, 151a 내지 151c 비트선
82, 93, 103, 113 제3 전극
83, 94, 104, 114 절연층
85, 96, 106, 116 제1 전극
86, 97, 107, 117 제2 전극
118 제1 절연층
119 제2 절연층
141, 141A 내지 141H, 141K 내지 141N 기억부
142 전원 생성부
143, 143A, 143B 통신 회로
144 복조 회로
145, 145A, 145B 변조 회로
146 제어 회로
800, 9001 내지 9009, 10001 내지 10009, 11001 내지 11009, 15001 내지 15009 메모리 소자
801, 802, 901, 902, 1001, 1002, 1101, 1102, 1103, 1501, 1502 주변 회로
900, 1000, 1100, 1500 메모리 어레이
1201 스위치 회로
1202, 1203 저항 소자
1300, 13001, 13002 플립플롭 회로
160 기재
161, 161a 내지 161d 단선 검지 디바이스
162 단선 검지 디바이스 시트
163, 163a 내지 163d 도선
164, 164a 내지 164d 무선 통신 장치
165 이형지
166, 166a 내지 166d 개봉 검지 라벨
167 점착층
168 접착층
169 표면 시트
170a, 170b 슬러리 제거부
171 절취선
180, 180A 개봉 검지 라벨 시트
181a, 181b, 182a 내지 182h 시트 부분
185 커버 부재
190 약포 주머니
190a 절단부
191 와인 보틀
192 CD 케이스
193 화장품 상자
194 봉투
195 운송 상자
196 의약품 보틀
197 과자 주머니
200 개봉 검지 시스템
201 약 캘린더
F1 제1 방향
F2 제2 방향

Claims (32)

  1. 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갖는 포장재 본체부와,
    상기 수납부를 밀폐하는 시트와,
    상기 수납부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도록 상기 시트에 형성되는 도선과,
    상기 도선과 접속되도록 상기 시트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개봉에 수반하여 상기 시트와 함께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상기 기억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소자를 갖고,
    상기 도선은 상기 메모리 소자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상기 메모리 소자로부터 독출되고,
    상기 도선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모리 소자에 접속되는 비트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2. 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갖는 포장재 본체부와,
    상기 수납부를 밀폐하는 시트와,
    상기 수납부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도록 상기 시트에 형성되는 도선과,
    상기 도선과 접속되도록 상기 시트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개봉에 수반하여 상기 시트와 함께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상기 기억 수단은 복수의 메모리 소자를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메모리 어레이를 갖고,
    상기 도선은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상기 메모리 어레이로부터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3. 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갖는 포장재 본체부와,
    상기 수납부를 밀폐하는 시트와,
    상기 수납부의 밀폐된 개구 상을 통과하도록 상기 시트에 형성되는 도선과,
    상기 도선과 접속되도록 상기 시트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개봉에 수반하여 상기 시트와 함께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변조 회로를 갖고,
    상기 도선은 상기 변조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상기 변조 회로에 의해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본체부는 복수의 상기 수납부를 갖고,
    상기 도선은 복수의 상기 수납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시트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시트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본체부는 복수의 상기 수납부를 갖고,
    상기 도선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복수의 상기 수납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시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어레이는,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1 배선과 교차하는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의 각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 중 1개에 접속되는 제3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3 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층을 각각 갖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
    를 갖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한쪽은,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중 1개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영역에 반도체층을 갖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전기 특성이 서로 다른 2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기록되는 정보는, 상기 2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임의로 조합한 배열에 의해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종류의 메모리 소자 중, 한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는 상기 반도체층을 갖는 메모리 소자이며, 다른 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는 상기 반도체층을 갖지 않는 메모리 소자이며,
    상기 한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 및 상기 다른 쪽 종류의 메모리 소자는, 상기 반도체층의 유무에 의해, 서로 다른 각 정보를 각각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카본 나노 튜브, 그래핀 및 풀러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카본 나노 튜브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공액계 중합체가 부착된 카본 나노 튜브 복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회로는,
    스위치 회로와,
    상기 스위치 회로에 접속되는 복수의 저항 소자
    를 갖고,
    상기 도선은 상기 복수의 저항 소자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회로는 반도체층을 갖는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반도체층은, 카본 나노 튜브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공액계 중합체가 부착된 카본 나노 튜브 복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12. 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를 갖는 포장재 본체부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납부를 밀폐하는 시트를 구비하는 포장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시트를 구성하는 기재 상에, 상기 수납부의 밀폐되는 개구 상을 통과하는 도선과, 상기 도선에 접속되고, 상기 수납부의 개봉에 수반하여 상기 시트와 함께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형성하는 기능부 형성 공정과,
    상기 수납부에 상기 수납물을 수납한 상태의 상기 포장재 본체부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도선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된 상기 시트를 첩부하고, 첩부한 상기 시트에 의해 상기 포장재 본체부의 상기 수납부를 밀폐하는 첩부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1 배선과 교차하는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의 각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를, 상기 기재 상에 구비하는 메모리 어레이를 갖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 중 1개에 접속되는 제3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3 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층을 각각 갖고,
    상기 기능부 형성 공정은,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영역에, 도포법에 의해 도포층을 형성하여, 복수의 상기 수납부별로 상이한 정보가 기록된 각 상기 메모리 어레이를 복수의 상기 무선 통신 장치별로 제작하고,
    상기 도포법은 잉크젯법, 디스펜서법 및 스프레이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의 제조 방법.
  13. 기재에 형성되는 도선과,
    상기 도선과 접속되도록 상기 기재에 형성되고,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상기 기억 수단은 복수의 메모리 소자를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메모리 어레이를 갖고,
    상기 도선은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상기 메모리 어레이부터 독출되고,
    상기 메모리 어레이는,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1 배선과 교차하는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의 각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 배선 중 1개에 접속되는 제3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3 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층을 각각 갖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
    를 갖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한쪽은,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중 1개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영역에 반도체층을 갖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 소자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전기 특성이 서로 다른 2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기록되는 정보는, 상기 2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임의로 조합한 배열에 의해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지 디바이스.
  14. 기재에 형성되는 도선과,
    상기 도선과 접속되도록 상기 기재에 형성되고,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변조 회로를 갖고,
    상기 도선은 상기 변조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상기 도선이 절단되기 전과 후에서 상이하도록 상기 변조 회로에 의해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지 디바이스.
  15. 제13항에 기재된 단선 검지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단선 검지 디바이스는 피개봉물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선은 상기 피개봉물의 개봉에 수반하여 상기 기재와 함께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검지 라벨.
  16. 제14항에 기재된 단선 검지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단선 검지 디바이스는 피개봉물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선은 상기 피개봉물의 개봉에 수반하여 상기 기재와 함께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검지 라벨.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207006840A 2017-10-04 2018-09-27 포장재, 포장재의 제조 방법, 판독 장치, 수납물 관리 시스템, 단선 검지 디바이스, 개봉 검지 라벨 및 개봉 검지 시스템 KR102674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94595 2017-10-04
JP2017194595 2017-10-04
JPJP-P-2017-233836 2017-12-05
JP2017233836 2017-12-05
PCT/JP2018/035845 WO2019069772A1 (ja) 2017-10-04 2018-09-27 包装材、包装材の製造方法、読取装置、収納物管理システム、断線検知デバイス、開封検知ラベル、および開封検知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063A KR20200064063A (ko) 2020-06-05
KR102674124B1 true KR102674124B1 (ko) 2024-06-12

Family

ID=6599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840A KR102674124B1 (ko) 2017-10-04 2018-09-27 포장재, 포장재의 제조 방법, 판독 장치, 수납물 관리 시스템, 단선 검지 디바이스, 개봉 검지 라벨 및 개봉 검지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87981B2 (ko)
EP (2) EP3693290B1 (ko)
JP (2) JP7183791B2 (ko)
KR (1) KR102674124B1 (ko)
CN (1) CN111148701B (ko)
TW (1) TWI782106B (ko)
WO (1) WO20190697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1023442A2 (pt) * 2019-05-22 2022-01-11 Bayer Ag Rastreamento de produtos
JP7021722B2 (ja) * 2019-10-01 2022-02-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薬剤取出検知システム
JP7369055B2 (ja) * 2020-02-06 2023-10-25 藤森工業株式会社 ブリスター包装、及びブリスター包装の製造方法
CN111199678B (zh) * 2020-03-03 2022-04-12 北京京东振世信息技术有限公司 标签及其制作方法、打包方法及包装判断方法
JP7577297B2 (ja) 2020-07-22 2024-11-05 学校法人日本大学 配送管理装置及び配送管理方法
JP6852216B1 (ja) * 2020-10-08 2021-03-31 株式会社WindyLab お薬カレンダーを利用したゲーム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339741B1 (ko) * 2021-02-17 2021-12-17 이정규 마스크 세트 및 그를 포함하는 마스크 관리시스템
CN113324853B (zh) * 2021-05-28 2024-08-13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用于剪切变形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JP2024013163A (ja) * 2022-07-19 2024-01-31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状態検出システム、検出装置、状態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4148292A1 (en) * 2023-01-06 2024-07-11 Tespo Ip, Llc Supplement system and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7544A1 (ja) * 2007-03-28 2008-10-02 Nec Corporation 内包物管理デバイス、内包物管理デバイス製造装置、内包物管理デバイス製造方法、及び内包物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3228B2 (ja) 1995-07-21 1997-11-26 株式会社八剱電子 筐体の封印装置
US8391104B2 (en) * 1997-03-28 2013-03-05 Carlos De La Huerga Interactive medication container labeling
US6411567B1 (en) * 2000-07-07 2002-06-25 Mark A. Niemiec Drug delivery management system
US6961285B2 (en) * 2000-07-07 2005-11-01 Ddms Holdings L.L.C. Drug delivery management system
JP4572543B2 (ja) 2003-02-14 2010-11-04 東レ株式会社 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並びに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EP1737750B1 (de) * 2003-12-19 2007-10-24 Simon Udo Blisterpackungsanordnung
JP2005211601A (ja) * 2004-02-02 2005-08-11 E-F Net Co Ltd 薬剤収容物、薬剤管理システム及び薬剤管理方法
DE102004040831A1 (de) 2004-08-23 2006-03-09 Polyic Gmbh & Co. Kg Funketikettfähige Umverpackung
US8120492B2 (en) * 2005-02-25 2012-02-21 Tom Ahlkvist Scharfeld Blister package with integrated electronic tag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6308776A (ja) * 2005-04-27 2006-11-09 Sun Corp 封印シール
JP2006341858A (ja) 2005-06-07 2006-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包装商品に対するicタグの装着方法
JP4920218B2 (ja) 2005-08-29 2012-04-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切り取ることによりデータ又は動作を変更可能な無線識別装置及び変更方法
JP5030444B2 (ja) * 2006-03-15 2012-09-19 株式会社リコー 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
JP2008008763A (ja) * 2006-06-29 2008-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送受信方法
JP2008034083A (ja) * 2006-06-30 2008-02-1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及び電子機器
US7742351B2 (en) 2006-06-30 2010-06-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232621B2 (en) 2006-07-28 2012-07-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JP3128634U (ja) 2006-10-31 2007-01-18 東日本メディコム株式会社 Rfidタグ(無線認証タグ)を備えた包装薬剤
DE102007043407A1 (de) * 2007-09-12 2009-03-19 Polyic Gmbh & Co. Kg Mehrschichtiger flexibler Folienkörper
JP2009227298A (ja) * 2008-03-21 2009-10-08 Fujitsu Ltd 梱包箱、梱包材、タグid読取方法、タグid送信プログラム
TWI428387B (zh) * 2008-05-12 2014-03-01 Toray Industries 碳奈米管複合體、有機半導體複合物,及電場效果型電晶體
JP2010028105A (ja) * 2008-06-20 2010-02-0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記憶素子及び記憶素子の作製方法
JP2010035789A (ja) 2008-08-05 2010-02-18 Panasonic Corp 薬剤用包装材、薬剤包装体、rfid読み取り装置および薬剤管理システム
JP2010075227A (ja) * 2008-09-24 2010-04-08 Panasonic Corp 薬剤用包装材、薬剤包装体、rfid読み取り装置および薬剤管理システム
CN102656828B (zh) * 2009-10-05 2014-10-22 帝人纤维株式会社 通信用片材结构体以及信息管理系统
JP2011139052A (ja) * 2009-12-04 2011-07-1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記憶装置
JP4724249B2 (ja) 2010-03-25 2011-07-13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
BR112012032936B1 (pt) * 2010-06-22 2020-11-17 Stora Enso Oyj sistema compreendendo embalagem à base de fibra ou de plástico, e método e memória para comunicação de dados sem fio
AT511037B1 (de) * 2011-01-31 2013-08-15 Seibersdorf Labor Gmbh Behälter und verpackungseinheit
JP2016501094A (ja) * 2012-12-19 2016-01-18 ブロシェ, マーシャルBLOCHET, Martial 患者による錠剤の服用遵守を監視するための錠剤管理システム
JP2014176597A (ja) 2013-07-04 2014-09-25 Kanae Co Ltd ラベル
WO2015008528A1 (ja) 2013-07-19 2015-01-22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開封検出モジュール、プログラム、開封検出方法及び物品包装材
EP3032649A4 (en) * 2013-08-09 2016-07-20 Ricoh Co Ltd PACKAGING WITH IC WIRELESS LABEL FIXED THEREIN AND PRODUCTION METHOD FOR PACKAGING WITH IC WIRELESS LABEL FIXED THEREOF
US8960440B1 (en) 2013-12-27 2015-02-24 Verimed Holdings, LLC Blister pack content usage monitoring
AT515453B1 (de) * 2014-02-11 2016-05-15 Seibersdorf Labor Gmbh Vorrichtung zur Erkennung der Entnahme von Medikamenten
JP6471441B2 (ja) 2014-09-24 2019-02-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519904B2 (en) * 2014-10-19 2016-12-13 Thin Film Electronics Asa NFC/RF mechanism with multiple valid states for detecting an open containe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0896301B2 (en) * 2015-07-07 2021-01-19 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RFID-based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medication compliance
CN106503778A (zh) * 2015-09-08 2017-03-15 凸版印刷株式会社 带ic标签贴纸及其安装方法
JP2017078984A (ja) 2015-10-21 2017-04-27 凸版印刷株式会社 開封検知機能とrfid機能を有するラベル
KR20180105166A (ko) 2016-01-25 2018-09-2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n형 반도체 소자와 상보형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무선 통신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7544A1 (ja) * 2007-03-28 2008-10-02 Nec Corporation 内包物管理デバイス、内包物管理デバイス製造装置、内包物管理デバイス製造方法、及び内包物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48701A (zh) 2020-05-12
TW201917072A (zh) 2019-05-01
JP7318780B2 (ja) 2023-08-01
TWI782106B (zh) 2022-11-01
EP3693290A4 (en) 2020-11-11
JP2022167911A (ja) 2022-11-04
JP7183791B2 (ja) 2022-12-06
US20200293849A1 (en) 2020-09-17
KR20200064063A (ko) 2020-06-05
WO2019069772A1 (ja) 2019-04-11
JPWO2019069772A1 (ja) 2020-09-10
EP4195099A1 (en) 2023-06-14
CN111148701B (zh) 2022-04-26
US11487981B2 (en) 2022-11-01
EP3693290B1 (en) 2024-01-17
EP3693290A1 (en)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74124B1 (ko) 포장재, 포장재의 제조 방법, 판독 장치, 수납물 관리 시스템, 단선 검지 디바이스, 개봉 검지 라벨 및 개봉 검지 시스템
US7504954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pharmaceutical tracking system and method
JP6552069B2 (ja) ワイヤレス通信デバイス、パッケージまたは容器、および方法
US11030508B2 (en) Packaging system with code-based detection of product falsification
CN104302555B (zh) 一种智能包装和有指示器的监测系统及其制造方法
JP2018517954A (ja) 開封された、または損なわれた容器を検出するための複数の有効な状態を有するセンサベースのnfc/rf機構、ならびにそれらを製造および使用する方法
Bettinger et al. Biomaterials‐based organic electronic devices
EP3877962B1 (en) Packaging supporting verification of package integrity and detection of related intrusion
US20230051106A1 (en) Usage tracking system
US7466230B2 (en) Device for the storage of solid and/or liquid and/or gaseous objects
EP3923197B1 (en) Packaging system with detection of product tampering and/or falsification and integrated galvanic cell(s)
JP2010075227A (ja) 薬剤用包装材、薬剤包装体、rfid読み取り装置および薬剤管理システム
US11001466B2 (en) Trackable, packetized distrubution system
WO2006062143A1 (en) Memory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JP4712545B2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