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68541B1 -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 Google Patents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541B1
KR102668541B1 KR1020230040897A KR20230040897A KR102668541B1 KR 102668541 B1 KR102668541 B1 KR 102668541B1 KR 1020230040897 A KR1020230040897 A KR 1020230040897A KR 20230040897 A KR20230040897 A KR 20230040897A KR 102668541 B1 KR102668541 B1 KR 102668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coupled
update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식
신진규
원용성
Original Assignee
중앙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항업(주) filed Critical 중앙항업(주)
Priority to KR102023004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리를 주행하는 차량에 설치되어 촬영정보, 카메라 위치정보, 카메라 자세정보를 수신하는 보정컴퓨터 및 보정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를 매개로 기존 수치지도를 갱신할 수 있는 GIS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도로기반시설물의 변화에 따라 수치지형도 내 해당 도로기반시설물의 관련 데이터를 신뢰도 있게 갱신할 수 있는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ROADSIDE FACILITY USING GNSS AND IMAGE INFORMATION}
본 발명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치지도는 표현하고자 하는 지리적, 지형적인 내용을 수치로 나타내는 지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수심을 수치로 나타내는 해도(海圖), 지형의 기복상태를 나타내는 지형계측도(地形計測圖) 등이 있다. 즉, 수치지도는 특정지점에 대한 지리적/지형적인 특징을 수치정보로 표현하면서 도화된 이미지에 적용한 것이다.
수치지도의 구축 과정은 다음과 같이 여러 과정을 거쳐서 완성되게 된다. 먼저, 종이지도가 디지타이징(digitizing)이나 스캐닝(scanning)을 거쳐 수치지도의 형태가 된 후, 각종 입력 오차를 수정하기 위한 절차를 거친다.
이어서 좌표 변환을 통해 사용자의 목적에 맞도록 실제 좌표계로 변환을 거친 후, 공간 객체 간의 상호 위치성과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위상 구조를 정립하게 된다. 이후 위상 구조의 정립을 거친 수치지도에 각각의 도형자료와 관련된 속성자료를 입력시키게 된다.
이때, 상술한 속성자료는 다양한 식별자 정보들이 포함되며, 일 예로써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도의 지형지물에 대한 식별자로는 지형지물 전자식별자(UFID: Unique Feature Identifier)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지형물에 부여되는 위치정보, 관리기관, 타 속성정보 등을 나타내는 단일 식별자로 지형지물에 유일하게 부여되는 식별자를 말하며, 기관코드, 도엽번호, 지형지물 식별코드, 일련번호 필드 등으로 구성되어 지형지물의 관리, 검색 및 활용을 위해 다른 지리정보와의 연계 또는 지형지물 간의 상호참조를 위한 식별자로 사용된다.
이렇게 제작된 수치지도는 종이지도에 비해 빠르고 정확한 지도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정보관리와 활용성 면에서 뛰어나 각종 계획수립과 의사결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수치지도는 사용자가 지도를 보면서 지리적, 지형적 정보를 쉽게 수득할 수 있도록 해당 지점에 대한 수치화된 공간정보가 도화된 이미지에 정확히 적용되어야 하고, 도화된 이미지 또한 공간정보에 맞춰 정확히 도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간정보는 GNSS의 좌표값일 수도 있고, 지적도의 행정구역 단위에 따른 좌표값일 수도 있는데, GNSS 좌표값과 지적도의 좌표값은 그 정보가 서로 상응해야 하고, 수치지도 상에도 해당 위치에 정확히 표기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GNSS의 좌표값과 지적도의 좌표값 및 실지점에서 측정/수집된 각종 데이터 등의 수치정보를 공간정보로 통칭해 설명한다.
그러나 종래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도화는 항공사진, 위성영상, 차량을 통해 획득된 영상을 판독하여 입력되기 때문에 도화의 지형지물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어려우며, 또한, 이에 따라 각 지형지물에 부여되는 속성자료의 정확도 역시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수치지도 제작자들은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해, 도 1에서 기재하고 있는 수치지도 생성 방법의 과정을 통해 보다 정확한 수치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수치지도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치지도 제작자는 측량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MMS 차량을 통해 획득된 도로변 영상 등 디지타이징이나 스캐닝을 통해 생성된 도화를 종이에 프린트하여(S10), 프린트된 도화의 해당 지역으로 현장조사를 수행한다(S20).
여기서, 상술한 현장조사에서는 실제 장소에 프린트된 도화에 표시된 건물, 도로(포장, 비포장), 철도, 공원, 하천, 산, 논, 밭, 등의 다양한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또는 실제 장소에 위치하는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의 크기, 방향, 형태가 도화에도 정확히 표시되어 있는지 등을 직접 확인하고, 다른 부분이 있으면 도화에 수작업으로 직접 수정한다.
아울러, 해당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의 상호, 명칭 및 기본정보(건물의 층수, 도로나 하천의 폭 등) 등의 속성자료들을 도화의 해당 위치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표기한다.
이렇게 현장조사를 통해 도화에 잘못 묘사된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과, 각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의 속성자료들의 표기가 완료되면, 표기된 도화를 이용하여 전산화 작업을 통한 최초 생성된 도화에 상기 변경정보 및 속성자료를 표시하여 도화 및 지도입력 성과를 수정하고 보완함으로써, 지형, 지물의 지리적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정위치 편집을 수행한다(S30).
이어, 상기 정위치 편집을 통해 편집된 지형, 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고 필요한 대상을 점, 선, 면 및 네트워크 영역분할의 모델 또는 이를 조합한 기하모델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정의한 점, 선, 면 형태화를 기반으로 일일이 해당되는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에 전산화 작업을 통한 수작업으로 표시하고 편집하는 구조화 편집을 수행한다(S40). 이때, 상술한 구조화 편집에서 도화에 표시되는 속성자료는 숨겨진(화면에 표시되지 않고 저장된) 상태로 편집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조화 편집까지 완료되면,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 수치지도를 제작 및 인쇄하여 수치지도를 제작/요청한 국토지리정보원에 제공한다(S50). 이때,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구조화 편집된 도화를 정의된 형태로 변경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공지된 프로그램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한편, 도로기반시설물은 정확한 위치와 규격 등을 확인하고, 이렇게 수집한 위치정보를 수치지형도에 포함시켜야 한다. 도로기반시설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도로관리시스템, 포장관리시스템 등 시설물 관리시스템이 개발·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생애주기비용 분석의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세부항목에 대한 DB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이렇게 구축한 DB를 기반으로 해서 시각적인 검색과 분석이 용이하도록 전술한 수치지형도의 제작 또한 요구된다.
더욱이, 상기 DB에 저장된 시설물 정보 데이터의 해당 시설물들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폐기하고 재시공되어 설치되므로, 주기적으로 시설물 정보 데이터를 갱신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 갱신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로기반시설물의 변화에 따라 수치지형도 내 해당 도로기반시설물의 관련 데이터를 신뢰도 있게 갱신할 수 있는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의 데이터 수집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거리를 주행하는 차량에 설치되어 촬영정보, 카메라 위치정보, 카메라 자세정보를 수신하는 보정컴퓨터; 및 보정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를 매개로 기존 수치지도를 갱신할 수 있는 GIS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GIS서버는, 도로기반시설물의 명칭, 위치, 제원을 포함한 구체정보를 정보데이터로 저장하고, 도로기반시설물별로 해당하는 구체정보의 식별을 위해 관공서 시스템과 동일한 형식의 고유코드를 설정하는 시설물DB; GNSS정보를 포함한 수치지형 이미지, 수치지형 이미지를 바탕으로 해서 도화한 지적편집도 이미지 및 수치지형 이미지에 기초해 도화된 지도이미지를 지도데이터로 저장하는 수치지형DB; 보정컴퓨터로부터 위치별 데이터를 제1 시설물 데이터로 수집하고, 고유코드별로 구분한 도로기반시설물별 구체정보가 저장된 관공서 시스템으로부터 도로기반시설물별 구체정보를 제2 시설물 데이터로 수집하며, 수치지형도 관리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수치지형도를 제3 시설물 데이터로 수집하되, 제2 시설물 데이터는 갱신된 도로기반시설물에 대한 데이터로 한정하고, 보정컴퓨터와 수치지형도 관리기관 시스템의 제1,3 시설물 데이터는 제2 시설물 데이터의 갱신된 도로기반시설물의 최외곽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범위만을 추출한 원시영상과 수치지형 이미지인 데이터 수집모듈; 데이터 수집모듈이 수집한 시설물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데이터를 고유코드를 기반으로 시설물DB에서 검색하며, 검색된 시설물 데이터와 정보데이터를 비교해서 차이를 확인하면 해당 정보데이터를 갱신 대상 정보데이터로 확정하고, 갱신 대상 정보데이터로 확정된 도로기반시설물 관련 수치지형 이미지와 지적편집도 이미지와 지도이미지를 포함한 지도데이터를 수치지형DB에서 검색하되, 고유코드 확인을 통해서 갱신 대상 도로기반시설물이 도로인 것으로 확인하면, 수치지형 이미지를 채색 별로 명도 확인이 가능하도록 처리해서 명암이미지로 변환하고, 명암이미지에서 기준치 범위 이내의 명도는 동일한 명도로 간주해 동일 구간의 도로로 확정한 구간이미지를 생성하며, 명도를 포장도로, 비포장도로, 신설 포장도로로 등급을 분류해서 명암이미지의 명도에 따라 해당 도로 구간이 포장도로인지 여부와 신설 포장도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갱신대상 확인모듈; 갱신대상 확인모듈에서 확인한 갱신 대상 정보데이터의 고유코드별 정보를 해당 시설물 데이터의 동일 고유코드별 정보로 일괄 갱신하고, 갱신 대상 도로기반시설물을 지도이미지에 도시해서 추가 갱신하되, 고유코드 확인을 통해서 갱신 대상 도로기반시설물이 도로인 것으로 확인하면, 해당 시설물 데이터의 구체정보에서 갱신 대상 도로기반시설물과 연결되는 다른 도로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지도이미지 내에 다른 도로의 위치를 확인하고, 갱신 대상 도로기반시설물을 지적편집도 이미지에 표시된 인근 지대를 침범하지 않는 최단코스로 도시해서 추가 갱신하는 갱신처리모듈; 데이터 수집모듈이 수집한 시설물 데이터와, 갱신대상 확인모듈이 시설물DB와 수치지형DB에서 검색한 정보데이터를 각각 지정된 단말에 출력시키고, 갱신처리모듈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리포팅모듈; 및 갱신처리모듈의 갱신 처리에 따라 지도이미지를 편집해서 지정된 단말에 출력시키는 맵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보정컴퓨터는, 이동 가능한 차량의 상부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 탈착체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차폐부; 및 차폐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카메라;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흡수연결유닛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 흡수베이스부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한 쌍의 제1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흡수베이스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흡수커넥터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마련된 판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 커넥터볼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 커넥터로드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 및 커넥터헤드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커넥터볼트;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제1연결부는, 커넥터볼트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제1연결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서로 근접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지면 커넥터볼에 의해 흡수베이스부는 회전됨과 아울러 제1연결바가 제1연결바디에서 이동되어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탈착체결부는,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 탈착함몰부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 탈착모터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 탈착기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 탈착스프링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 및 탈착삽입부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가 하강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탈착승강진입부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가 더 결합되며, 탈착스토퍼는 승강진입부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 및 탈착경사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차폐유닛은, 탈착체결부의 상부에 결합된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는 베이스바디; 베이스바디의 상부에 마련되어 베이스바디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베이스차폐바디; 베이스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1차폐바디; 제1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차폐바디; 및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를 승강시키는 차폐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차폐구동부는, 베이스차폐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 실린더바디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 실린더브래킷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와 같이 승강되는 차폐연결유닛;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된 베이스지지판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의 제1지지판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 차폐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연결시켜 차폐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와 같이 승강되는 하부승강바; 및 하부승강바에 마련되어 하부승강바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도로기반시설물의 변화에 따라 수치지형도 내에서 해당 도로기반시설물을 사용자가 신뢰할 수 있도록 갱신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카메라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의 데이터 수집 정확도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수치지도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의 작동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모듈이 수집한 갱신 대상 도로기반시설물 위치 지역의 수치지형 이미지와 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해 보인 수치지형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보유한 정보데이터의 수치지형 이미지에서 수치지형 이미지 위치의 수치지형 이미지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신대상 확인모듈이 정보데이터의 수치지형 이미지를 변환해서 도로 상태를 파악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8은 도 7의 명암이미지를 구간이미지로 변환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보유한 정보데이터에서 수치지형 이미지 위치의 지적편집도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을 통한 지도이미지의 갱신모습과 실지점의 촬영이미지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컴퓨터의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체결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가 하강한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은, 거리를 주행하는 차량(V)에 설치되어 촬영정보, 카메라 위치정보, 카메라 자세정보를 수신하는 보정컴퓨터(100) 및 보정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를 매개로 기존 수치지도를 갱신할 수 있는 GIS서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GIS서버(200)는, 도로기반시설물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설물DB(210)와, 수치지형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치지형DB(220)와, 시설물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집모듈(230)과, 데이터수집모듈(230)에서 수신한 시설물 데이터와 시설물DB(210)의 정보데이터를 비교해서 갱신대상 정보데이터를 확인하며 해당하는 지도데이터를 수치지형DB(220)에서 검색하는 갱신대상확인모듈(240)과, 갱신 대상이 되는 상기 정보데이터와 지도데이터를 갱신하는 갱신처리모듈(250)과, 갱신한 정보데이터에 해당하는 도로기반시설물 관련 리스트를 자동 생성해서 출력하는 리포팅모듈(260)과, 갱신처리모듈(250)의 갱신 처리에 따라 해당하는 지도이미지를 편집해 출력하는 맵모듈(27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도이미지는 수치지형 이미지에 기초해 도화된다.
시설물DB(210)는 도로, 교량, 터널, 공원 및 기타 기반 시설 등의 명칭, 대상, 용도, 위치, 제원, 시설 이력에 관한 정보들로 구성된 정보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수치지형DB(220)는 정보데이터와 링크하는 도로기반시설물 관련 지도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맵모듈(270)은 갱신처리모듈(250)의 갱신처리에 따른 해당 지도이미지를 편집해서 출력한다.
데이터수집모듈(230)은 위치별 원시영상을 수집하는 보정컴퓨터(100), 도로기반시설물을 관리하는 관공서 시스템 및 수치지형도를 제작하거나 이를 관리하는 수치지형도 관리기관 시스템과 통신하면서, DB에 저장된 시설물 데이터를 검색해 수집한다. 이외에도 도로기반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기관의 시스템은 다양할 수 있다.
갱신대상확인모듈(240)은 데이터수집모듈(230)에서 수신한 시설물 데이터와 시설물DB(210)의 정보데이터를 비교해서 갱신 대상 정보데이터를 확인하며, 해당 정보데이터 관련 지도데이터를 수치지형DB(220)에서 검색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갱신대상확인모듈(240)은 시설물 데이터로부터 해당 도로기반시설물의 명칭 또는 고유코드 등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설물DB(210)의 정보데이터를 검색한다.
이렇게 확인 및 검색한 시설물 데이터와 정보데이터를 파악해서 해당 도로기반시설물의 정보를 비교하고, 차이 여부를 확인한다. 차이를 확인하면, 해당 정보데이터는 갱신 대상 정보데이터로 확정한다. 또한, 갱신대상확인모듈(240)은 갱신 대상 정보데이터로 확인한 해당 도로기반시설물 관련 지도데이터를 수치지형DB(220)에서 검색한다.
갱신처리모듈(250)은 갱신 대상이 되는 상기 정보데이터와 지도데이터를 갱신한다.
리포팅모듈(260)은 갱신한 정보데이터에 해당하는 도로기반시설물 관련 리스트를 자동 생성하며, 작업자가 상기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정된 단말에 전달해서 출력시킨다.
맵모듈(270)은 갱신처리모듈(250)이 갱신한 지도데이터의 지도이미지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편집해서 지정된 단말을 통해 출력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의 작동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모듈이 수집한 갱신 대상 도로기반시설물 위치 지역의 수치지형 이미지와 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해 보인 수치지형 이미지이다.
S10; 데이터 수집 단계
본 실시의 데이터수집모듈(230)은 도로기반시설물 관련 시설물 데이터를 수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수집모듈(230)은 보정컴퓨터(100), 도로기반시설물을 관리하는 관공서 시스템, 수치지형도를 제작하거나 이를 관리하는 수치지형도 관리기관 시스템 등으로부터 시설물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외에도 도로기반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기관의 시스템은 다양할 수 있다.
본 실시의 데이터수집모듈(230)은 DB에 주기적으로 접속해서, DB의 시설물 데이터가 갱신하여 데이터 버전이 변경하면 이를 수집한다.
참고로, 도로기반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데이터는 비교적 크기가 크므로, 해당 기관에서는 도로기반시설물 관련 정보를 지역별로 구분해 생성 및 관리한다. 따라서 데이터수집모듈(230)은 구분된 각 데이터의 버전을 확인해서 버전이 변경된 지역의 데이터만을 추출해 수집한다.
본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집모듈(230)은 도로기반시설물을 관리하는 관공서 시스템으로부터,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에 소재한 '북안천'에 '부흥교'의 신축 기록과 '북안천'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부흥교'와 이어지는 갓길1,2,3,4(도 5 참고) 정비 공사에 대한 기록을 데이터 버전이 갱신된 시설물 데이터로 수집하고, '부흥교'로의 차량통행을 위한 도로 포장공사 사실 기록 또한 시설물 데이터로 수집한다. 여기서 신축된 도로는 '반정2길'의 일부이다.
또한, 데이터수집모듈(230)은 수치지형도를 제작하거나 이를 관리하는 수치지형도 관리기관 시스템으로부터,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에 소재하는 '북안천'에 '부흥교' 지역 및 '반정2길'에 대한 제1 수치지형 이미지를, 도 4의 (a)도면 및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은 시설물 데이터로 수집한다. 여기서, 도 5는 도 4의 (a)도면에서 표시한 'A'를 확대해 보인 것이다. 본 실시에서 갱신대상 도로기반시설물은 '부흥교' 교량이고, '부흥교'로의 원활한 차량통행을 위해 포장된 도로는 '반정2길' 도로의 일부인데, 도 5는 '반정2길' 도로에서 새로 포장되는 도로 구간을 확대한 것이다.
참고로, 데이터수집모듈(230)은, 도 4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확인 대상이 되는 시설물 데이터인 '반정2길' 도로 이미지로부터 일정 거리(d) 이내의 장방형 범위만을 제1 수치지형 이미지로 추출한다.
본 실시는 '반정2길'의 도로가 도로기반시설물이고, '반정2길' 이미지의 3 끝단점(P1, P2, P3)이 제1 수치지형 이미지 추출을 위한 일정 거리(d)의 범위 결정 기준이었으나, 도로기반시설물이 터널이거나 교량 또는 다른 종류의 시설물인 경우에는 일정 거리(d)의 범위 결정 기준이 도로기반시설물 이미지의 끝단점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일정 거리(d)의 범위 결정 기준은 도로기반시설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도로기반시설물 이미지의 최외곽 지점이다. 계속해서 데이터수집모듈(230)은 해당 정보시스템으로부터 추출한 제1 수치지형 이미지의 GNSS정보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수집모듈(230)은 추출한 제1 수치지형 이미지의 각 꼭지점에 해당하는 지점의 실제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실제 위치의 GNSS정보를 확인한다.
참고로, 본 실시의 도로기반시설물인 '반정2길'은 'P1, P2' 끝단점이 대경로와 연결되고, 북안천의 부흥교를 지나 경부고속화도로를 관통해서 'P3' 끝단점이 '부흥지(미도시)' 방향으로 이르는 행정상의 도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보유한 정보데이터의 수치지형 이미지에서 수치지형 이미지 위치의 수치지형 이미지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신대상 확인모듈이 정보데이터의 수치지형 이미지를 변환해서 도로 상태를 파악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며, 도 8은 도 7의 명암이미지를 구간이미지로 변환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S20; 정보데이터 검색 단계
본 실시의 갱신대상확인모듈(240)은 데이터수집모듈(230)로부터 수신한 시설물 데이터를 확인하고, 해당하는 정보데이터를 시설물DB(210) 및 수치지형DB(220)에서 검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설물 데이터는 지역별로 구분하므로, 갱신대상확인모듈(240)은 시설물 데이터의 해당 지역을 참고해서 시설물DB(210) 및 수치지형DB(220)를 검색한다.
본 실시에서 갱신대상확인모듈(240)은 시설물DB(210)에서 갱신대상 정보데이터가 포함하는 도로기반시설물의 상태 정보를 확인한다. 본 실시에서 갱신 대상이 되는 도로기반시설물은 '부흥교' 및 '반정2길' 도로이고, 추가로 '북안천'을 따라 형성된 '갓길1,2,3,4'이다.
또한, 본 실시에서 갱신대상확인모듈(240)은 수치지형DB(220)에서 갱신대상 지도데이터가 포함하는 도로기반시설물의 원시영상이 지도데이터인 제2 수치지형 이미지(도 6 참고)를 검색해 확인한다. 여기서 갱신대상확인모듈(240)은 데이터수집모듈(230)로부터 수신한 제1 수치지형 이미지의 GNSS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기준으로 수치지형DB(220)에서 해당하는 제2 수치지형 이미지를 검색한다.
한편, 제2 수치지형 이미지를 바탕으로 해서 도화한 지적편집도 이미지(도 9 참고)를 수치지형DB(220)에서 검색해 확인한다. 참고로, 제2 수치지형 이미지는 '부흥교' 신축 모습을 항공촬영한 항공촬영이미지이며, 제2 수치지형 이미지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부흥교' 기초 공사가 진행되고, '부흥교' 기초 옆에는 '북안천' 통행을 위한 한 쌍의 임시 교량(G)이 설치되었다. 한편, '갓길1,2,3,4'은 비포장 도로를 이루며, '반정2길' 도로는 '대경로' 등과 연결된 '반정2길(제1로)' 및 '반정2길(제2로)'만이 일부 포장된 상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본 실시의 갱신대상확인모듈(240)은 원시영상 분석을 위해 수치지형DB(220)에서 검색한 지도데이터인 제2 수치지형 이미지를 처리해서 도로와 도로가 아닌 구간을 구분하고, 더 나아가 도로에서도 포장과 비포장도로를 구분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갱신대상확인모듈(240)은 도 6에서 보인 제2 수치지형 이미지를 채색 별로 명도 확인이 가능하도록 처리해서, 도 7에서 보인 명암이미지로 변환한다. 계속해서, 갱신대상확인모듈(240)은 명암이미지 곳곳의 명암을 확인해서 기준치 범위 이내의 명도는 동일한 명도로 간주하고, 도 8과 같이 동일한 명도인 범위를 동일 구간으로 확정하여 구간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갱신대상확인모듈(240)은 명도의 등급을 나눠서 포장도로와 비포장도로를 구분한다. 본 실시에서 갱신대상확인모듈(240)은 명도에 따라 '0 ~ 100'로 구분한 상대치를 기준으로, '35' 이하의 밝기를 갖는 구간은 포장도로로 간주하고, '35'를 초과하는 밝기를 갖는 구간은 비포장도로로 간주해서 구분한다.
본 실시의 구간이미지에서 도로로 확인된 부분은 대경로, 반정2길(제1로), 갓길1,2,3,4, 부흥교(기초), 임시 교량(G), 반정2길(제2로)1,2, 경부고속화도로이고, 이중에서 포장도로(실선)는 대경로, 반정2길(제1로), 반정2길(제2로)1, 경부고속화도로이며, 비포장도로(가상선)는 갓길1,2,3,4, 임시 교량(G), 반정2길(제2로)2이다.
한편, 포장도로 중에서도 '20' 이하의 밝기를 갖는 구간은 새로 포장된 도로로 간주해 구분한다. 본 실시에서 반정2길(제1로)와 반정2길(제2로)1은 다른 포장도로에 비해 신축 포장된 도로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갱신대상확인모듈(240)은 데이터수집모듈(230)이 수집한 시설물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데이터를 시설물DB(210) 및 수치지형DB(220)에서 각각 검색하고, 갱신대상확인모듈(240)은 갱신대상 도로기반시설물을 기준으로 해서 상기 지도데이터 중 제2 수치지형 이미지를 분석한다.
본 실시에서 갱신대상 도로기반시설물은 '부흥교' 교량이고, '부흥교'로의 원활한 차량통행을 위해 신축된 도로는 '반정2길'의 일부 도로이므로, 제2 수치지형 이미지 분석은 도로 이미지를 기준으로 해 이루어지고, 제2 수치지형 이미지 분석은 명도를 기준으로 해 진행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보유한 정보데이터에서 수치지형 이미지 위치의 지적편집도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을 통한 지도이미지의 갱신모습과 실지점의 촬영이미지를 보인 도면이다.
S30; 데이터 갱신 처리 단계
본 실시의 갱신처리모듈(250)은 시설물 데이터에 해당하는 정보데이터를 상기 시설물 데이터로 갱신한다. 본 실시에서 시설물 데이터는 도로기반시설별로 고유코드가 설정되고, 도로기반시설에 속하는 구체정보 또한 해당 도로기반시설물의 고유코드에 속하는 고유코드가 설정되므로, 시설물 데이터의 고유코드에 해당하는 고유코드가 정보데이터에서 검색되지 않으면 해당 도로기반시설물은 기존에 없던 신축 시설물이고, 고유코드가 정보데이터에서 검색되면 해당 정보데이터를 시설물 데이터를 갱신한다.
일 예를 들어 시설물 데이터에 포함된 '부흥교'의 고유코드는 'KN-04031-B004'이고, '부흥교'의 구체정보인 명칭, 위치, 제원은 각각 'KN-04031-B004-NA', 'KN-04031-B004-PO', 'KN-04031-B004-SI'이다.
그리고 정보데이터에 포함된 '부흥교'와 그의 명칭, 위치, 제원은 각각 시설물 데이터의 상기 고유코드와 동일하다. 따라서 갱신처리모듈(250)은 고유코드에 따라 정보데이터를 갱신한다. 참고로, 갱신처리모듈(250)은 시설물 데이터와 정보데이터의 차이에 상관없이 정보데이터를 시설물 데이터에 따라 일괄 갱신한다.
또한, '반정2길' 도로의 고유코드는 'KN-04031-R093'이고, '반정2길' 도로의 구체정보인 명칭, 위치, 제원은 각각 'KN-04031-R093-NA', 'KN-04031-R093-PO', 'KN-04031-R093-SI'이다.
또한, '갓길' 도로의 고유코드는 'KN-04031-R8101'이고, '갓길' 도로의 구체정보인 명칭, 위치, 제원은 각각 'KN-04031-R8101-NA', 'KN-04031-R8101-PO', 'KN-04031-R8101-SI'이다.
참고로, '갓길' 중에서 '갓길1', '갓길3', '갓길4'는 신설도로이므로, 해당하는 고유코드는 시설물 데이터에만 존재하며 정보데이터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갱신처리모듈(250)은 해당 시설물 데이터를 정보데이터에 추가한다.
계속해서, 갱신처리모듈(250)은 정보데이터와 해당 지적편집도 이미지를 기준으로 해서 수치지형DB(220)의 지도이미지를 갱신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설물DB(210)의 정보데이터는 도로기반시설물별로 고유코드가 설정되고, 특히 도로기반시설물이 도로인 경우에는 다수의 도로가 서로 연결돼 이루어지므로, 도로의 고유코드의 구체정보에는 상기 도로와 이어지는 다른 도로에 대한 고유코드도 포함된다.
따라서 갱신처리모듈(250)은 정보데이터의 해당 고유코드와 지적편집도 이미지를 기초로 해서 지도이미지를 갱신한다. 참고로 지적편집도는 구획된 지대가 표시되므로, 갱신처리모듈(250)은 이를 경계해서 신설도로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본 실시의 갱신처리모듈(250)은 정보데이터에서 신설도로인 갱신지점1 내지 갱신지점4를 확인하되, 갱신처리모듈(250)은 갱신지점1 내지 갱신지점4의 신설도로가 지적편집도에 구획된 지대와 독립하며 연결도로와 이어지는 위치로 결정한다.
따라서 갱신지점1의 도로는 '1147번지'와 '1139번지'와 '1145 2전'과 1146 1과'를 침범하지 않는 최단코스로 결정하고, 갱신지점2의 도로는 정보데이터에서 확인한 연결도로와 이어지면서 '1145 1전'과 '1144번지'를 침범하지 않는 최단코스로 결정한다.
참고로, 갱신지점2의 도로는 상기 연결도로 외에 다른 도로와도 연결되므로, 상기 연결도로를 경유해 연장한다. 이와 같이, 갱신지점3 및 갱신지점4의 도로도 각각 정보데이터와 지적편집도 이미지를 기초로 해서 해당 도로를 결정한다.
갱신처리모듈(250)은 이렇게 확인한 신설도로를 도 10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기존 지도이미지에 도시해서 추가 갱신한다. 참고로, 추가된 도로인 '연장도로', '갓길1', '갓길2', '갓길4'는 식별을 위한 검은색으로 표시했으나, 기존 지도이미지에 표시된 도로의 색상(백색)과 동일하게 해서 갱신할 수 있다.
갱신처리모듈(250)은 갱신한 지도이미지를 지도데이터로서 수치지형DB(220)에 저장해 갱신한다.
S40; 갱신 내용 리스트 생성 단계
본 실시의 리포팅모듈(260)은 데이터수집모듈(230)이 수집한 갱신 대상인 시설물 데이터와, 갱신대상확인모듈(240)이 시설물DB(210)와 수치지형DB(220)에서 검색한 정보데이터를 각각 지정된 단말에 출력시켜서, 작업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외에도 리포팅모듈(260)은 단말에 출력된 시설물 데이터와 정보데이터를 작업자가 확인하고 후속 과정 진행 여부를 선택하도록 승인요청을 실행하며, 작업자가 출력된 버튼을 클릭해서 승인 또는 재검색 입력신호를 입력하면, 이에 따라 시설물DB(210)와 수치지형DB(220)를 재검색하거나, 갱신처리모듈(250)의 갱신처리를 속행하게 할 수 있다.
S50; 갱신 지도이미지 생성 단계
본 실시의 맵모듈(270)은 갱신처리모듈(250)의 갱신 관련 연산처리에 따라 도 10의 (a)도면에서 보인 지도이미지를 편집해서 지정된 단말에 출력시키고, 작업자는 단말에서 출력되는 지도이미지를 확인해서 전술한 갱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여부를 감독할 수 있다.
참고로, 갱신처리모듈(250)의 갱신 처리에 따라 단말에 출력된 지도이미지는, 도 10의 (b)도면에서 보인 실제 항공촬영이미지인 수치지형 이미지와 유사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컴퓨터의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보정컴퓨터(100)는 거리를 주행하는 차량(V)과 이러한 차량(V)에 설치되는 카메라(110), 위성항법장치(120,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관성항법장치(130, INS; Inertial Navigation System) 등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110)는 영상촬영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CCD 카메라이고, 위성항법장치(120)는 카메라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송출하는 통상의 장치이며, 관성항법장치(130)는 카메라 위치정보 및 자세정보를 획득하여 송출하는 통상의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정컴퓨터(100)는, 이동 가능한 차량(V)의 상부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500)와 제2수직지지대(510), 제1수직지지대(500)와 제2수직지지대(510)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500)와 제2수직지지대(51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400), 제1수직지지대(500)와 제2수직지지대(510)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520), 수평지지대(520)의 상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300), 탈착체결부(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차폐부(600) 및 차폐부(6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카메라(110)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연결유닛(400)은 제1수직지지대(500)와 제2수직지지대(51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제1수직지지대(500)와 제2수직지지대(510)를 연결시킨다. 또한, 흡수연결유닛(400)은 자체적으로 회전 및 길이 조절이 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수연결유닛(400)은, 제1수직지지대(500)와 제2수직지지대(510)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410), 흡수베이스부(410)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420), 한 쌍의 제1연결부(420)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430)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430)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500)와 제2수직지지대(51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440)을 포함한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412)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42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413)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는 판홀(411a)이 마련되어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413a)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판홀(411a)은 커넥터볼(413a)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체결레버(412)는 하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하단부가 나사 결합되어 한 쌍의 커넥터볼(413a)을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이 가압하도록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커넥터부(413)는 일측부가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외력이 가해질 경우 흡수베이스부(410)가 위치 변형되어 흡수베이스부(410)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413)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마련된 판홀(411a)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413a), 커넥터볼(413a)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413b), 커넥터로드(413b)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413c), 커넥터헤드(413c)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4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볼트(413d) 및 커넥터볼(413a)의 외벽에 마련되어 커넥터볼(413a)이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1패킹부재(413e)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트(413d)는 제1연결부(420)의 제1연결바디(421)에 마련된 나사홈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부(413)의 제1패킹부재(413e)는 판홀(411a)의 중앙부와 커넥터볼(413a)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420)는 일측부는 커넥터부(413)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43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부(420)는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500)와 제2수직지지대(510)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길이가 가변되어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수베이스부(4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420)는,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트(413d)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421), 제1연결바디(421)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422)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422)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430)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4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바디(421)에는 절개홀(421a)이 마련되어 연결스프링부재(422)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결스프링부재(422)의 신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바(423)의 일측 단부는 제2연결부(430)의 제2연결바디(431)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1연결바디(421)의 내부에 제1연결바디(4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500)와 제2수직지지대(5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연결바디(421)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때 연결스프링부재(422)는 팽창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연결바(423)에는 스토퍼 돌기가 마련되어 제1연결바(423)가 제1연결바디(4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430)는, 일측부는 제1연결부(420)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기둥브래킷(44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부(430)는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500)와 제2수직지지대(510)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각도가 가변되어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수베이스부(4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흡수베이스부(410)는 커넥터볼(413a)이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마련되어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제2연결부(430)에서 흡수베이스부(410)로 전달되는 충격은 제1연결부(420)의 길이 가변과 연결스프링부재(422)의 신축에 의해서도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430)는, 제1연결바(423)에 탈착 결합되는 제2연결바디(431), 제2연결바디(431)에 마련되는 연결로드(432), 연결로드(432)에 마련되어 기둥브래킷(440)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볼(433) 및 연결볼(433)의 외벽에 마련되어 연결볼(433)이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2패킹부재(43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연결부(430)의 연결볼(433)은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에 마련된 볼록부(442)에 지지되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기둥브래킷(440)은 제1수직지지대(500)과 제2수직지지대(510)에 각각 결합되며 제2연결부(430)의 연결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기둥브래킷(440)의 일측부에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가 마련되고, 이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는 너트와 볼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443)에 의해 조여져서 연결볼(433)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기둥브래킷(440)에는 복수의 브래킷홀(444)이 마련되어 기둥브래킷(44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체결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체결부(300)는 수평지지대(520)의 상부에 장착되며, 탈착체결부(300)의 상부에는 차폐부(600)가 결합된다. 탈착체결부(300)는 차폐부(600) 및 그 내부의 카메라(110)를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착체결부(300)는, 수평지지대(52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311)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310),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을 기준으로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312), 탈착함몰부(312)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330), 탈착모터(330)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330)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331), 탈착기어(331)의 하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332), 탈착스프링(332)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3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320),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340) 및 탈착삽입부(340)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320)가 하강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3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탈착케이스(310)는 내부에 수용공간(311)이 형성되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수용공간(311)을 기준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탈착함몰부(312)는 수용공간(311)의 상부에 배치되며, 탈착함몰부(312)에는 탈착모터(330), 탈착기어(331), 탈착스프링(332) 및 탈착승강부(320)가 수용될 수 있다. 탈착승강부(320)는 상승하였을 때 탈착함몰부(312) 내부에 수용되고, 하강하였을 때 탈착함몰부(312)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탈착모터(330)가 작동하면 탈착기어(331)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수평 회전할 수 있으며, 탈착기어(331)의 회전에 따라 탈착스프링(332)도 회전할 수 있다. 탈착스프링(332)이 회전하면 그 하단에 결합된 탈착승강부(320)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탈착스프링(332)은 탈착기어(331)와 탈착승강부(320) 사이를 연결하여 탈착승강부(32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탈착스프링(3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탈착승강부(320)는 평상시 하강되어 있다.
상기 탈착승강부(320)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승강경사면(321)이 형성된다. 승강경사면(321)에 의해 탈착승강부(320)는 직각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는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으며, 탈착삽입부(340)의 상부에는 차폐부(600)가 결합된다. 탈착삽입부(340)는 수용공간(311)에 삽입되는 하부면과 삽입시 탈착케이스(310)의 상부에 놓이는 상부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진입부(342)는 탈착삽입부(34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탈착삽입부(340)가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에 삽입되었을 때 탈착승강부(320)는 하강하여 승강진입부(342)에 진입할 수 있다.
상기 탈착삽입부(340)의 하부면 전단에는 탈착승강부(320)의 승강경사면(321)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가지는 삽입경사면(341)이 형성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가 탈착케이스(3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진입함에 따라 삽입경사면(341)은 승강경사면(321)에 접촉되어 승강경사면(321)을 밀어 올리고, 탈착승강부(320)는 상승하게 된다. 상승된 탈착승강부(320)는 승강진입부(342)가 위치한 지점에서 탈착스프링(332)에 의해 하강하여 승강진입부(342)에 삽입된다.
상기 승강진입부(342)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350)가 더 결합된다. 탈착스토퍼(350)는 승강진입부(342)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351) 및 탈착경사면(351)의 하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342)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320)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352)을 포함한다.
평상시 탈착승강부(320)는 탈착스프링(332)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되어 있다. 탈착삽입부(340)가 탈착케이스(310)의 후방에서부터 전방으로 진입함에 따라 삽입경사면(341)이 승강경사면(321)에 접촉되어 탈착승강부(320)를 상승시킨다. 이때,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경사면(321)은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삽입부(340)가 전방으로 진입하여 탈착승강부(320)가 승강진입부(342)에 위치하면 탈착스프링(332)의 탄성력에 의해 탈착승강부(320)는 하강하여 승강진입부(34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탈착삽입부(340)는 탈착케이스(3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스토퍼(350)의 탈착높이면(352)은 탈착승강부(320)의 전방을 접촉 지지하므로 탈착삽입부(340)는 후방으로 이탈되지 못하고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를 탈착케이스(3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탈착모터(330)가 작동하여 탈착기어(331)를 회전시키고, 탈착스프링(332) 및 탈착승강부(320)는 180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승강경사면(321)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승강경사면(321)은 탈착스토퍼(350)의 탈착경사면(351)에 접촉되어 탈착경사면(351)을 타고 넘어가게 되며 탈착승강부(320)는 상승된다. 탈착승강부(320)가 상승되면 탈착삽입부(340)는 탈착케이스(310)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차폐부(600)는 분리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가 하강한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폐부(600)는 내부에 배치된 카메라(110)를 외부와 차폐시킬 수 있다. 차폐부(600)는 내부 부품과 외부를 차단할 수 차폐할 수 있으므로 수집장치의 운반, 설치시 카메라(110)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부(600)는 베이스바디(601), 베이스차폐바디(610), 제1차폐바디(620), 제2차폐바디(630), 차폐구동부(640) 및 스토퍼부(650)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바디(601)는 탈착체결부(3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전방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후방부도 개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바디(601)의 상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바디(602)가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610)의 탈착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돌출지지바디(602)에는 가이드절개홀(603)이 마련되고 여기에는 차폐부(600)에 마련된 실린더바디(641)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실린더바디(641)가 돌출지지바디(602)와 간섭 즉 충돌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는 베이스바디(601)의 돌출지지바디(602)에 결합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 예를 들어 베이스바디(601)의 전방 영역 또는 후방 영역을 차폐할 수 있고, 베이스바디(601)의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을 모두 차폐하는 경우 베이스바디(60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는 베이스바디(601)의 상부에 결합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덮고,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610)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으며, 제2차폐바디(630)는 제1차폐바디(62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다.
상기 차폐구동부(640)의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를 승강시킨다. 상기 스토퍼부(65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와 제1차폐바디(620)에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한다.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양측에는 베이스절곡판(611)이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외벽에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절곡판(611)에는 베이스지지레일(613)이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에 마련된 제1승강레일(623)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중앙부에는 베이스지지판(612)이 마련된다. 베이스지지판(612)에는 베이스가이드바디(614)가 마련되어 차폐구동부(640)의 승강가이드바(645)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바(645)에는 절개홀(645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바디(620)의 양측에는 제1절곡판(621)이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외벽에 지지될 수 있다. 제1지지판(622)에는 제1승강레일(623)이 마련되고, 제1승강레일(623)은 전술한 베이스지지레일(613)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승강레일(623)에는 제1지지레일(624)이 결합되어 제2차폐바디(630)에 마련된 제2 승강레일(633)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폐바디(620)의 중앙부에는 제1지지판(62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바디(630)는 제1차폐바디(62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바디(630)의 양측에는 제2절곡판(631)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절곡판(631)에는 전술한 제2승강레일(633)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차폐바디(630)의 하단부에는 절곡편(632)이 마련되고, 이 절곡편(632)은 베이스바디(601)의 전방벽 또는 후방벽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차폐구동부(640)는,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차폐구동부(640)는 제어모듈(미도시)에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차폐구동부(64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641)와, 실린더바디(641)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642)와, 실린더로드(642)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643)과, 실린더브래킷(643)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642)와 같이 승강되는 차폐연결유닛(644)과,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지지판(612)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620)의 제1지지판(622)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645)와, 차폐연결유닛(644)과 승강가이드바(645)를 연결시켜 차폐연결유닛(644)과 승강가이드바(645)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645)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646)와,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645)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645)와 같이 승강되는 하부승강바(647)와, 하부승강바(647)에 마련되어 하부승강바(647)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스토퍼(648)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바디(641)의 상단부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베이스차폐바디(610)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폐연결유닛(644)은, 실린더브래킷(643)에 결합되며 제1지지판(62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디(644a)와, 제1연결바디(644a)에 결합되며 제1지지판(62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연결바디(644b)와, 일측부는 제2연결바디(644b)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승강연결바디(646)에 결합되는 제3연결바디(644c)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3연결바디(644c)는 승강가이드바(645)의 외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제1연결바디(644a)와 제2연결바디(644b)와 제3연결바디(644c)는 평면상 '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가이드바(645)에는 절개홀(645a)이 마련되어 승강연결바디(646)와 승강가이드바(645)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650)는 베이스지지레일(613)과 제1지지레일(624)에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부(650)는, 스토퍼판(651)과, 스토퍼판(651)의 벽부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스토퍼볼(65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스토퍼볼(652)이 제1승강레일(623) 또는 제2승강레일(633)에 접촉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차폐구동부(640)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차폐구동부(640)의 실린더로드(642)가 하강하면, 차폐연결유닛(644), 차폐연결유닛(644)과 연결된 승강가이드바(645)가 하강된다. 이때, 승강가이드바(645)의 하부에는 하부승강바(647)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하부승강바(647)도 같이 하강된다.
그 결과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도 같이 하강되며,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지지레일(613)에 지지되면서 하강되고, 제2차폐바디(630)는 제1지지레일(624)에 지지되어 하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보정컴퓨터 110 : 카메라 120 : 위성항법장치
130 : 관성항법장치 200 : GIS서버 210 : 시설물DB
220 : 수치지형DB 230 : 데이터수집모듈 240 : 갱신대상확인모듈
250 : 갱신처리모듈 260 : 리포팅모듈 270 : 맵모듈
300 : 탈착체결부 310 : 탈착케이스 311 : 수용공간
312 : 탈착함몰부 320 : 탈착승강부 321 : 승강경사면
330 : 탈착모터 331 : 탈착기어 332 : 탈착스프링
340 : 탈착삽입부 341 : 삽입경사면 342 : 승강진입부
350 : 탈착스토퍼 351 : 탈착경사면 352 : 탈착높이면
400 : 흡수연결유닛 410 : 흡수베이스부 411 : 흡수베이스판
411a : 판홀 412 : 체결레버 413 : 커넥터부
413a : 커넥터볼 413b : 커넥터로드 413c : 커넥터헤드
413d : 커넥터볼트 413e : 제1패킹부재 420 : 제1연결부
421 : 제1연결바디 421a : 절개홀 422 : 연결스프링부재
423 : 제1연결바 430 : 제2연결부 431 : 제2연결바디
432 : 연결로드 433 : 연결볼 434 : 제2패킹부재
440 : 기둥브래킷 441 : 브래킷플랜지 442 : 볼록부
443 : 결합부재 444 : 브래킷홀 500 : 제1수직지지대
510 : 제2수직지지대 520 : 수평지지대 600 : 차폐부
601 : 베이스바디 602 : 돌출지지바디 603 : 가이드절개홀
610 : 베이스차폐바디 611 : 베이스절곡판 612 : 베이스지지판
613 : 베이스지지레일 614 : 베이스가이드바디 620 : 제1차폐바디
621 : 제1절곡판 622 : 제1지지판 623 : 제1승강레일
624 : 제1지지레일 630 : 제2차폐바디 631 : 제2절곡판
632 : 절곡편 633 : 제2승강레일 640 : 차폐구동부
641 : 실린더바디 642 : 실린더로드 643 : 실린더브래킷
644 : 차폐연결유닛 644a : 제1연결바디 644b : 제2연결바디
644c : 제3연결바디 645 : 승강가이드바 645a : 절개홀
646 : 승강연결바디 647 : 하부승강바 648 : 하부스토퍼
650 : 스토퍼부 651 : 스토퍼판 652 : 스토퍼볼

Claims (1)

  1. 거리를 주행하는 차량에 설치되어 촬영정보, 카메라 위치정보, 카메라 자세정보를 수신하는 보정컴퓨터; 및 보정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를 매개로 기존 수치지도를 갱신할 수 있는 GIS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GIS서버는,
    도로기반시설물의 명칭, 위치, 제원을 포함한 구체정보를 정보데이터로 저장하고, 도로기반시설물별로 해당하는 구체정보의 식별을 위해 관공서 시스템과 동일한 형식의 고유코드를 설정하는 시설물DB;
    GNSS정보를 포함한 수치지형 이미지, 수치지형 이미지를 바탕으로 해서 도화한 지적편집도 이미지 및 수치지형 이미지에 기초해 도화된 지도이미지를 지도데이터로 저장하는 수치지형DB;
    보정컴퓨터로부터 위치별 데이터를 제1 시설물 데이터로 수집하고, 고유코드별로 구분한 도로기반시설물별 구체정보가 저장된 관공서 시스템으로부터 도로기반시설물별 구체정보를 제2 시설물 데이터로 수집하며, 수치지형도 관리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수치지형도를 제3 시설물 데이터로 수집하되, 제2 시설물 데이터는 갱신된 도로기반시설물에 대한 데이터로 한정하고, 보정컴퓨터와 수치지형도 관리기관 시스템의 제1,3 시설물 데이터는 제2 시설물 데이터의 갱신된 도로기반시설물의 최외곽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범위만을 추출한 원시영상과 수치지형 이미지인 데이터 수집모듈;
    데이터 수집모듈이 수집한 시설물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데이터를 고유코드를 기반으로 시설물DB에서 검색하며, 검색된 시설물 데이터와 정보데이터를 비교해서 차이를 확인하면 해당 정보데이터를 갱신 대상 정보데이터로 확정하고, 갱신 대상 정보데이터로 확정된 도로기반시설물 관련 수치지형 이미지와 지적편집도 이미지와 지도이미지를 포함한 지도데이터를 수치지형DB에서 검색하되, 고유코드 확인을 통해서 갱신 대상 도로기반시설물이 도로인 것으로 확인하면, 수치지형 이미지를 채색 별로 명도 확인이 가능하도록 처리해서 명암이미지로 변환하고, 명암이미지에서 기준치 범위 이내의 명도는 동일한 명도로 간주해 동일 구간의 도로로 확정한 구간이미지를 생성하며, 명도를 포장도로, 비포장도로, 신설 포장도로로 등급을 분류해서 명암이미지의 명도에 따라 해당 도로 구간이 포장도로인지 여부와 신설 포장도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갱신대상 확인모듈;
    갱신대상 확인모듈에서 확인한 갱신 대상 정보데이터의 고유코드별 정보를 해당 시설물 데이터의 동일 고유코드별 정보로 일괄 갱신하고, 갱신 대상 도로기반시설물을 지도이미지에 도시해서 추가 갱신하되, 고유코드 확인을 통해서 갱신 대상 도로기반시설물이 도로인 것으로 확인하면, 해당 시설물 데이터의 구체정보에서 갱신 대상 도로기반시설물과 연결되는 다른 도로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지도이미지 내에 다른 도로의 위치를 확인하고, 갱신 대상 도로기반시설물을 지적편집도 이미지에 표시된 인근 지대를 침범하지 않는 최단코스로 도시해서 추가 갱신하는 갱신처리모듈;
    데이터 수집모듈이 수집한 시설물 데이터와, 갱신대상 확인모듈이 시설물DB와 수치지형DB에서 검색한 정보데이터를 각각 지정된 단말에 출력시키고, 갱신처리모듈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리포팅모듈; 및
    갱신처리모듈의 갱신 처리에 따라 지도이미지를 편집해서 지정된 단말에 출력시키는 맵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컴퓨터는,
    이동 가능한 차량의 상부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 탈착체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차폐부; 및 차폐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카메라; 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연결유닛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 흡수베이스부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한 쌍의 제1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 을 포함하며,
    상기 흡수베이스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마련된 판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 커넥터볼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 커넥터로드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 및 커넥터헤드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커넥터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커넥터볼트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제1연결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 를 포함하고,
    서로 근접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지면 커넥터볼에 의해 흡수베이스부는 회전됨과 아울러 제1연결바가 제1연결바디에서 이동되어 충격을 감소시키며,
    상기 탈착체결부는,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 탈착함몰부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 탈착모터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 탈착기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 탈착스프링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 및 탈착삽입부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가 하강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진입부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가 더 결합되며, 탈착스토퍼는 승강진입부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 및 탈착경사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탈착체결부의 상부에 결합된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는 베이스바디; 베이스바디의 상부에 마련되어 베이스바디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베이스차폐바디; 베이스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1차폐바디; 제1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차폐바디; 및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를 승강시키는 차폐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구동부는,
    베이스차폐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 실린더바디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 실린더브래킷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와 같이 승강되는 차폐연결유닛;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된 베이스지지판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의 제1지지판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 차폐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연결시켜 차폐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와 같이 승강되는 하부승강바; 및 하부승강바에 마련되어 하부승강바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0230040897A 2023-03-29 2023-03-29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668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0897A KR102668541B1 (ko) 2023-03-29 2023-03-29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0897A KR102668541B1 (ko) 2023-03-29 2023-03-29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8541B1 true KR102668541B1 (ko) 2024-05-23

Family

ID=9128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0897A KR102668541B1 (ko) 2023-03-29 2023-03-29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85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620B1 (ko) * 2016-04-06 2017-01-02 에스제이데이타 주식회사 드론에서 항공 수집한 원시영상의 분석과 mms 연동을 통한 도로기반시설물의 변화지역 갱신시스템
KR102203969B1 (ko) * 2020-09-25 2021-01-18 서광항업 주식회사 Mms 연동을 통해 도로기반시설물의 변화지역을 갱신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구축시스템
KR102494274B1 (ko) * 2022-07-22 2023-02-06 주식회사 베스트정보기술 좌표정보의 속성을 이용하여 지형변화정보를 통합 갱신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503630B1 (ko) * 2022-09-22 2023-02-24 주식회사 도명메타 새로운 지형정보 및 기존 지형정보의 비교를 통해 수치지도의 갱신이 가능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512699B1 (ko) * 2022-10-13 2023-03-22 (주)위상공감 대상 객체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데이터 획득을 위한 촬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620B1 (ko) * 2016-04-06 2017-01-02 에스제이데이타 주식회사 드론에서 항공 수집한 원시영상의 분석과 mms 연동을 통한 도로기반시설물의 변화지역 갱신시스템
KR102203969B1 (ko) * 2020-09-25 2021-01-18 서광항업 주식회사 Mms 연동을 통해 도로기반시설물의 변화지역을 갱신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구축시스템
KR102494274B1 (ko) * 2022-07-22 2023-02-06 주식회사 베스트정보기술 좌표정보의 속성을 이용하여 지형변화정보를 통합 갱신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503630B1 (ko) * 2022-09-22 2023-02-24 주식회사 도명메타 새로운 지형정보 및 기존 지형정보의 비교를 통해 수치지도의 갱신이 가능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512699B1 (ko) * 2022-10-13 2023-03-22 (주)위상공감 대상 객체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데이터 획득을 위한 촬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620B1 (ko) 드론에서 항공 수집한 원시영상의 분석과 mms 연동을 통한 도로기반시설물의 변화지역 갱신시스템
KR102333008B1 (ko) Gis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해 도로기반시설물의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US8958980B2 (en) Method of generating a geodetic reference database product
KR101294956B1 (ko) 지도 데이터 베이스 생성 시스템
KR102203969B1 (ko) Mms 연동을 통해 도로기반시설물의 변화지역을 갱신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구축시스템
Zhang Towards an operational system for automated updating of road databases by integration of imagery and geodata
KR102493769B1 (ko) 지리 참조된 영상정보와 기준점 위치정보의 정밀 해석을 통해 수치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JP6713368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129163B2 (en) Detecting common geographic features in images based on invariant components
KR102527649B1 (ko) 지리공간정보가 적용된 영상정보와 기준점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195536B1 (ko) 원시영상의 분석과 mms 연동을 통한 도로기반시설물의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CN101523157A (zh) 用于产生正射纠正瓦片的方法和设备
Shams et al. Highway cross-slope measurement using mobile LiDAR
CN108388995B (zh) 一种道路资产管理系统的建立方法及建立系统
Zhou et al. Investigation of methods and approaches for collecting and recording highway inventory data
KR102234739B1 (ko) 원시영상 분석과 모바일맵핑시스템 연동을 통한 도로기반시설물의 변화지역 갱신이 가능한 정밀도로지도 시스템
KR102603925B1 (ko) 실측으로 확인된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EP1505547B1 (en) Method for surveying, processing and making use of data concerning the topographic conformation and the morphology of land and road network
KR102668541B1 (ko)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N114379598A (zh) 一种铁路综合巡检系统
Leslar et al. Using mobile lidar to survey a railway line for asset inventory
Elberink Acquisition of 3D topgraphy: automated 3D road and building reconstruction using airborne laser scanner data and topographic maps
JP2021184202A (ja) 補修計画策定装置
CN111047694A (zh) 一种基于视觉与规则的三维道路建模方法及系统
KR102642146B1 (ko) Ufid 부여를 통한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섹션별로 갱신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